KR20160127897A -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897A
KR20160127897A KR1020150059210A KR20150059210A KR20160127897A KR 20160127897 A KR20160127897 A KR 20160127897A KR 1020150059210 A KR1020150059210 A KR 1020150059210A KR 20150059210 A KR20150059210 A KR 20150059210A KR 20160127897 A KR20160127897 A KR 20160127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case
smartphone
cove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2476B1 (ko
Inventor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영광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광정공(주) filed Critical 영광정공(주)
Priority to KR1020150059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476B1/ko
Publication of KR20160127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의 파지감도를 증대시키도록 스마트폰의 둘레 즉, 측면 및 모서리까지 가죽이 감싸지도록 제조하기 위한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마트폰 커버를 이루는 케이스와 가죽을 얼라인(align)하여 압착시키는 가접압착 단계(S112); 상기 케이스의 보이는 부분을 핫멜트(hot melt)를 이용하여 열압착시키는 1차 열압착 단계(S113); 상기 케이스 배면에 덧대어지는 상기 가죽을 테두리 부분에서 안쪽으로 감아지는 치수만큼 커팅하는 사이드커팅 단계(S114); 상기 케이스의 배면측에서 상기 가죽이 깜싸지도록 접착시키는 둘레압착 단계(S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품의 파지감도를 증대시키도록 스마트폰의 둘레 즉, 측면 및 모서리까지 가죽이 감싸지도록 제조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파지감도를 획기적으로 증대시키고, 겨울철이나 추운 날씨에도 스마트폰을 쥔 손이 차갑지 않도록 해주는 장점을 제공해주고, 제품의 성능과 더불어서 제품의 품격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도록 한 효과를 제공해준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fabricating smart phone cover}
본 발명은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커버의 측면과 모서리까지 가죽을 덧대어 제조하는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특허 공개번호 10-2014-0137491)에 따르면,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는, 겉감을 지그에 안착시키는 1단계; 휴대기기의 버튼 및 송,수화구, 카메라 렌즈에 대응되는 홀이 형성된 심재를 상기 겉감의 상면에 배치하는 2단계; 상기 심재의 상면에 안감을 배치하여 겉감과 합지가 되도록 조립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의 합지를 접착기에 넣고 접착에 의해 합지가 일체로 접착되도록 하는 4단계; 상기 4단계의 접착된 합지를 컷팅기에 넣고 일정된 형상으로 컷팅시켜 커버를 완성하는 5단계;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며 연질 소재로 형성된 본체를 접착용 지그에 넣고, 상기 5단계에서 수득된 커버의 연결부를 본체의 일측에 접착시키는 6단계;에 의해 제조되며,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며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며 본체의 일측에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되어 개폐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고, 커버는 본체의 일측에 고주파 접착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는 본체의 전면을 덮도록 커버를 구성하되 커버는 본체의 일측에 고주파 접착에 의해 접착됨으로써 제조 공수 및 재료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어 생산성과 가격경쟁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라고 개시된 바가 있다.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특허 공개번호 10-2014-0137491)
그러나, 종래의 스마트폰 커버에서 가죽은 배면의 보이는 부분에만 구비되었기 때문에, 스마트폰 커버를 손에 쥘 때, 손에 감기는 느낌과 손에 쥐어지는 느낌을 결정하는 주요 부분인 스마트폰 커버의 측면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이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떨어뜨리거나 한 손에 쥐어지는 파지감을 떨어뜨리는 주요 요인이 되었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제품의 성능 못지않게 제품의 내구성을 유지시키고 고가의 스마트폰을 교체하지 않도록 사용기간을 늘려주는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어서 반드시 해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기도 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의 파지감도를 증대시키도록 스마트폰의 둘레 즉, 측면 및 모서리까지 가죽이 감싸지도록 제조하기 위한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커버의 배면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진 가죽을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폰 커버의 배면 및 둘레에 가죽을 덧대어 접착하는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이다.
이 제조방법에서, 상기 스마트폰 커버를 이루는 케이스와 가죽을 얼라인(align)하여 압착시키는 가접압착 단계(S112); 상기 케이스의 보이는 부분을 핫멜트(hot melt)를 이용하여 열압착시키는 1차 열압착 단계(S113); 상기 케이스 배면에 덧대어지는 상기 가죽을 테두리 부분에서 안쪽으로 감아지는 치수만큼 커팅하는 사이드커팅 단계(S114); 상기 케이스의 배면측에서 상기 가죽이 깜싸지도록 접착시키는 둘레압착 단계(S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서, 상기 둘레압착 단계(S115)는; 유압을 이용하는 제 1 실린더를 상기 케이스 및 상기 가죽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제 1 실린더 로딩 단계(S1161); 상기 케이스 및 상기 가죽의 상부에서 상기 제 1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 및 상기 가죽을 고정하도록 위에서 압착하는 1차상부 가압 단계(S1162); 상기 케이스 및 가죽의 4군데 모서리 부분을 열압착하는 모서리가압 단계(S1163); 상기 케이스 및 가죽의 4군데 측면 부분을 열압착하는 측면가압 단계(S1164); 유압을 이용하는 제 2 실린더를 상기 케이스 및 상기 가죽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제 2 실린더 로딩 단계(S1165); 상기 케이스 및 상기 가죽의 상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옆으로 접힌 가죽 부분을 열압착하는 2차상부 가압 단계(S1166)를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 예에서, 상기 가접압착 단계(S112) 이전에, 상기 케이스에서 안테나가 설치되는 부분에 은성분을 추가하여 무선통신감도를 증대시키도록 미러인쇄(mirror print; 거꾸로 인쇄)하는 미러인쇄 단계(S111)를 수행하는 것이다.
실시 예에서, 상기 둘레압착 단계(S116) 이후에; 상기 케이스에 상기 가죽이 감싸지는 영역을 핫멜트를 이용하여 열압착시키는 2차 열압착 단계(S117); 상기 가죽의 가운데 부분에 훼이크 스티치(fake stitch) 느낌으로 열과 압력으로 찍어주는 센터불박 단계(S118); 상기 가죽의 절단면으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죽의 커팅된 단면을 우레탄스프레이로 코팅하는 배면스프레이코팅 단계(S119); 상기 가죽의 홀의 단면으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용성 우레탄으로 상기 홀의 단면을 코팅하는 홀엣지코팅 단계(S120)를 수행하는 것이다.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가죽 사이에는 시트(sheet)형태로 이루어지고 열로 접착시키는 핫멜트(hot melt)접착제가 이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효과에 따르면, 제품의 파지감도를 증대시키도록 스마트폰의 둘레 즉, 측면 및 모서리까지 가죽이 감싸지도록 제조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파지 감도를 획기적으로 증대시키고, 겨울철이나 추운 날씨에도 스마트폰을 쥔 손이 차갑지 않도록 해주는 장점을 제공해주고, 제품의 성능과 더불어서 제품의 품격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도록 한 효과를 제공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흐름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둘레압착 단계의 세부적인 단계를 나타낸 공정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커버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커버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커버의 배면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진 가죽을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폰 커버의 배면 및 둘레에 가죽을 덧대어 접착하는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스마트폰 커버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 커버(10)는 합성수지 및 가죽으로 이루어져, 스마트폰의 원래의 커버를 떼어낸 후, 스마트폰 커버(10)의 내측면(B) 방향으로 스마트폰에 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커버(10)는 케이스(11)가 내측에 위치하고, 가죽(12)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가죽(12)의 면적은 상기 케이스(11)의 면적 보다 크도록 재단하여, 상기 가죽(12)의 테두리가 상기 케이스(11)의 측면 및 모서리까지 감아지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11)와 상기 가죽(12) 사이에는 시트(sheet)형태로 이루어지고 열로 접착시키는 핫멜트(hot melt) 접착제가 이용되는데, 이는 일정 온도 이상에서 용융되고 일정 온도 미만에서 굳어져 접착되는 접착제이다.
이러한 스마트폰 커버(10)를 제조하는 방법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흐름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둘레압착단계의 세부적인 단계를 나타낸 공정 흐름도이다.
즉, 상기 스마트폰 커버를 이루는 케이스와 가죽을 얼라인(align)하여 압착시키는 가접압착 단계(S112), 상기 케이스의 보이는 부분을 핫멜트(hot melt)를 이용하여 열압착시키는 1차 열압착 단계(S113), 상기 케이스 배면에 덧대어지는 상기 가죽을 테두리 부분에서 안쪽으로 감아지는 치수만큼 커팅하는 사이드커팅 단계(S114), 상기 케이스의 배면측에서 상기 가죽이 깜싸지도록 접착시키는 둘레압착 단계(S115)가 차례로 진행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기 둘레압착 단계(S115)는 다음과 같은 세부과정을 거친다.
즉, 유압을 이용하는 제 1 실린더를 상기 케이스 및 상기 가죽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제 1 실린더 로딩 단계(S1161), 상기 케이스 및 상기 가죽의 상부에서 상기 제 1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 및 상기 가죽을 고정하도록 위에서 압착하는 1차상부 가압 단계(S1162)가 진행된다.
이어, 상기 케이스 및 가죽의 4군데 모서리 부분을 열압착하는 모서리가압 단계(S1163), 상기 케이스 및 가죽의 4군데 측면 부분을 열압착하는 측면가압 단계(S1164)가 수행된다.
마지막으로, 유압을 이용하는 제 2 실린더를 상기 케이스 및 상기 가죽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제 2 실린더 로딩 단계(S1165), 상기 케이스 및 상기 가죽의 상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옆으로 접힌 가죽 부분을 열압착하는 2차상부 가압 단계(S1166)가 차례로 진행된다.
한편, 상기 가접압착 단계(S112) 이전에는 미러인쇄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즉, 상기 케이스에서 안테나가 설치되는 부분에 은성분을 추가하여 무선통신감도를 증대시키도록 미러인쇄(mirror print; 거꾸로 인쇄)하는 미러인쇄 단계(S111)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레압착 단계(S116) 이후에도 다음과 같은 제조과정을 거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에 상기 가죽이 감싸지는 영역을 핫멜트를 이용하여 열압착시키는 2차 열압착 단계(S117). 상기 가죽의 가운데 부분에 훼이크 스티치(fake stitch) 느낌으로 열과 압력으로 찍어주는 센터불박 단계(S118), 상기 가죽의 절단면으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죽의 커팅된 단면을 우레탄스프레이로 코팅하는 배면스프레이코팅 단계(S119), 상기 가죽의 홀의 단면으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용성 우레탄으로 상기 홀의 단면을 코팅하는 홀엣지코팅 단계(S120)가 그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제조과정을 거쳐서 따스한 온기를 줄 수 있는 스마트폰 커버를 제공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10 ; 스마트폰 커버 11 ; 케이스
12 ; 가죽 B ; 내측면

Claims (5)

  1. 스마트폰 커버의 배면 면적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진 가죽을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폰 커버의 배면 및 둘레에 가죽을 덧대어 접착하는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커버를 이루는 케이스와 가죽을 얼라인(align)하여 압착시키는 가접압착 단계(S112);
    상기 케이스의 보이는 부분을 핫멜트(hot melt)를 이용하여 열압착시키는 1차 열압착 단계(S113);
    상기 케이스 배면에 덧대어지는 상기 가죽을 테두리 부분에서 안쪽으로 감아지는 치수만큼 커팅하는 사이드커팅 단계(S114);
    상기 케이스의 배면측에서 상기 가죽이 깜싸지도록 접착시키는 둘레압착 단계(S115)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둘레압착 단계(S115)는
    유압을 이용하는 제 1 실린더를 상기 케이스 및 상기 가죽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제 1 실린더 로딩 단계(S1161);
    상기 케이스 및 상기 가죽의 상부에서 상기 제 1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 및 상기 가죽을 고정하도록 위에서 압착하는 1차상부 가압 단계(S1162);
    상기 케이스 및 가죽의 4군데 모서리 부분을 열압착하는 모서리가압 단계(S1163);
    상기 케이스 및 가죽의 4군데 측면 부분을 열압착하는 측면가압 단계(S1164);
    유압을 이용하는 제 2 실린더를 상기 케이스 및 상기 가죽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제 2 실린더 로딩 단계(S1165);
    상기 케이스 및 상기 가죽의 상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옆으로 접힌 가죽 부분을 열압착하는 2차상부 가압 단계(S1166)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접압착 단계(S112) 이전에, 상기 케이스에서 안테나가 설치되는 부분에 은성분을 추가하여 무선통신감도를 증대시키도록 미러인쇄(mirror print; 거꾸로 인쇄)하는 미러인쇄 단계(S111)를 수행하는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둘레압착단계(S116) 이후에
    상기 케이스에 상기 가죽이 감싸지는 영역을 핫멜트를 이용하여 열압착시키는 2차 열압착 단계(S117);
    상기 가죽의 가운데 부분에 훼이크 스티치(fake stitch) 느낌으로 열과 압력으로 찍어주는 센터불박 단계(S118);
    상기 가죽의 절단면으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죽의 커팅된 단면을 우레탄스프레이로 코팅하는 배면스프레이코팅 단계(S119);
    상기 가죽의 홀의 단면으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용성 우레탄으로 상기 홀의 단면을 코팅하는 홀엣지코팅 단계(S120)를 수행하는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가죽 사이에는 시트(sheet)형태로 이루어지고 열로 접착시키는 핫멜트(hot melt)접착제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



KR1020150059210A 2015-04-27 2015-04-27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 KR101732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210A KR101732476B1 (ko) 2015-04-27 2015-04-27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210A KR101732476B1 (ko) 2015-04-27 2015-04-27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897A true KR20160127897A (ko) 2016-11-07
KR101732476B1 KR101732476B1 (ko) 2017-05-25

Family

ID=5752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210A KR101732476B1 (ko) 2015-04-27 2015-04-27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4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332A (ko) 2018-07-30 2020-02-07 (주)제론텍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 및 이를 구비한 3d 곡면유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510B1 (ko) 2019-04-01 2019-09-26 정순철 스마트폰 백커버 포밍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7491A (ko) 2013-05-22 2014-12-03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7491A (ko) 2013-05-22 2014-12-03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332A (ko) 2018-07-30 2020-02-07 (주)제론텍 3d 곡면유리용 점착필름 및 이를 구비한 3d 곡면유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476B1 (ko)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737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arphone
WO2016038468A1 (en) Cover or faceplate for electronic smart watch
EP3069622B1 (en) Glove structure
US20090223801A1 (en) Member for push button switc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1914389A (zh) 手持裝置保護殼組
KR101732476B1 (ko)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방법
WO2006041753A3 (en) Hot melt adhesive lamination for forming a carpet backing and finished carpet
KR101397925B1 (ko) 샌드위치 접합구조를 갖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084548B1 (ko) 실드 케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
US1056224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proof zipper
CN109822921B (zh) 一种手机皮套的超纤定位搭边工艺
KR101512416B1 (ko) 탄성체를 이용한 휴대폰 가죽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431033B1 (ko) 스마트키 모듈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CN109940931B (zh) 用于电子设备的防水透气膜组件及其制造方法
KR101368626B1 (ko)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제조금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KR20140137491A (ko)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US920559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lexi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40059880A (ko)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
CN103549747A (zh) 一种皮质手机套加工方法
KR102119564B1 (ko) 배터리 케이스 조립용 접착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케이스 조립용 접착체
KR101474982B1 (ko) 투광창이 형성된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336864B1 (ko) 브라컵 및 그 제조방법
US10850463B2 (en) Method for fabricating spectacle frame made of cellulose acetate sheet embedded with metal piece
KR200395465Y1 (ko) 핫픽스가 고정된 벨트
KR101666159B1 (ko) 스마트폰 커버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