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880A -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880A
KR20140059880A KR1020120125778A KR20120125778A KR20140059880A KR 20140059880 A KR20140059880 A KR 20140059880A KR 1020120125778 A KR1020120125778 A KR 1020120125778A KR 20120125778 A KR20120125778 A KR 20120125778A KR 20140059880 A KR20140059880 A KR 20140059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ase
leather
leather fabric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성
Original Assignee
김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성 filed Critical 김병성
Priority to KR1020120125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9880A/ko
Publication of KR20140059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A45C13/06Fram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죽 소재로 이루어지는 전자기기 케이스를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 시간이 단축되도록 제조할 수 있는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은, 1)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상하 2장의 가죽 원단 및 상기 가죽 원단 사이에 배치되며 열에 의하여 용융되는 핫멜트(hot melt)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2장의 가죽 원단 및 핫멜트 필름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2장의 가죽 원단을 부착하여 부착 원단을 만드는 단계; 3) 상기 부착 원단 중에서 절단될 부분과 압축될 부분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는 단계; 4) 상기 부착 원단 중에서 절단될 부분을 절단하여 케이스 부분품을 만드는 단계; 5) 상기 케이스 부분품을 조립하여 전자기기 케이스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ASE OF TH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죽 소재로 이루어지는 전자기기 케이스를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 시간이 단축되도록 제조할 수 있는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형 멀티미디어 기기는 휴대폰, 미디어 플레이어, 게임기 및 이들의 기능적 조합으로 이루어져서, 사운드 영상, 방송, 인터넷 영상 등을 조합 또는 복합 제공 가능토록 이루어져 이를 소형 전자기기나 소형 복합전자기기로 칭한다.
이러한 소형 전자기기는 휴대하면서 방송 및 영상을 수신할 수 있는 PMP나 DMB, PDA, 휴대폰, 네비게이션, 태블릿PC 등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는 사용자에게 문자, 그림, 영상 등의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화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전면이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전면의 터치스크린은 강화유리로 처리되어 있다.
한편, 강화유리는 긁힘, 전면으로부터의 충격에는 강한 이점이 있으나, 측면으로부터의 충격에 매우 취약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이 강화유리로 제작된 전자기기의 사용자가 사용 중 부주의에 의해 지면으로 낙하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고 있는 전면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자체가 지면과의 충격에 의해 깨져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비교적 고가이며 미려한 전자기기에 생길 수 있는 긁힘이나 흠집, 파손 등에 더욱 민감해졌으며, 나아가 전자기기의 외관을 자신의 개인 취향에 알맞은 액세서리로 활용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처럼 전자기기의 외관을 감싸줌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의 침투로부터 전자기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 개개인의 취향을 반영하여 투명 혹은 컬러화를 시도하여 각종 디자인과 문양을 부각시켜 미려한 외관을 자랑하는 다양한 종류 및 재질의 케이스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 케이스는 플라스틱,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의 재질로 만들어져 전자기기의 둘레와 후면을 보호하는 형태와 가죽을 재단하여 그 내부에 핸드폰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덮개를 여닫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지갑 형으로 구분된다. 특히,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와 카드를 한 번에 휴대하여 전자기기와 카드 이용의 편리성을 추구한 가죽 소재로 이루어진 지갑 형태의 케이스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 가죽 소재의 전자기기 케이스는 가죽 소재를 이중으로 접착하는 과정에서 공업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므로 작업자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으며, 공업용 본드 도포 후에 건조를 위하여 일정시간 건조대에 건조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치게 된다. 따라서 건조에 따르는 공정 시간이 대폭 증가하고 건조 장소가 대규모로 필요하여 작업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죽 소재 전자기기 케에스는 이중으로 접합된 가죽 소재의 절단면이 두꺼우면서도 외관상 다층 형상이 드러나는 현상이 있으므로, 이 절단면을 안료로 도색하여 마무리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절단면에 대한 안료 도색은 통상적으로 3 ~ 4번 반복하여 이루어지므로 작업 시간이 대폭 증가되고, 작업 공간도 증가하며, 숙력된 작업 인력의 필요로 인하여 제조단가도 대폭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죽 소재로 이루어지는 전자기기 케이스를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 시간이 단축되도록 제조할 수 있는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은, 1)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상하 2장의 가죽 원단 및 상기 가죽 원단 사이에 배치되며 열에 의하여 용융되는 핫멜트(hot melt)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2장의 가죽 원단 및 핫멜트 필름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2장의 가죽 원단을 부착하여 부착 원단을 만드는 단계; 3) 상기 부착 원단 중에서 절단될 부분과 압축될 부분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는 단계; 4) 상기 부착 원단 중에서 절단될 부분을 절단하여 케이스 부분품을 만드는 단계; 5) 상기 케이스 부분품을 조립하여 전자기기 케이스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2) 단계에서는,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면이 노출되는 부분을 감싸는 케이스 부분품에는, 상기 상하 2장의 가죽 원단 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면 테두리와 동일한 형상의 철심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 단계에서는, 190 ~ 210℃의 열을 1 ~ 3초 동안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3) 단계에서는, 상기 부착 원단의 성형 부분에 고주파 열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5) 단계에서는, 상기 케이스 부분품을 박음질 또는 본드 부착에 의하여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죽 소재를 이중으로 접착하는 과정에서 액상의 공업용 본드를 사용하지 않고 고체 소재의 핫멜트 필름을 사용하므로 작업과정에서 본드 냄새가 발생하지 않으며, 작업자의 건강을 위협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액상의 공업용 본드를 건조하는 과정이 불필요하므로 공정시간과 작업 공간이 대폭 감소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에 따르면 절단 공정 이전에 절단 부분에 대한 고주파 열처리를 통하여 절단면에 대한 추가 도색 마무리 작업이 불필요하고, 절단면이 견고하게 마감되어 사용과정에서 절단면이 손상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공정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하여 작업 인력 감축이 가능하므로 제조 단가가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케이스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케이스의 부분품들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의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의 공정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가지 단계를 거치게 진행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죽 원단 및 핫멜트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S100)가 진행된다. 이 단계(S100)에서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상하 2장의 가죽 원단(10, 20) 및 상기 가죽 원단 사이에 배치되며 열에 의하여 용융되는 핫멜트(hot-melt) 필름(30)을 준비한다. 여기에서 핫멜트(hot-melt) 필름(30)은 열이 가해지면 용융되어 접착제 역할을 하는 소재로서, 상온에서 고체 상태를 유지하며,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용융되어 접착제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액상의 공업용 본드 대신 고체 상태의 핫멜트 필름을 사용하여 2장의 가죽 원단을 부착하므로, 작업 과정에서 유독한 공업용 본드 냄새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작업환경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준비된 상기 2장의 가죽 원단 및 핫멜트 필름을 정확하게 정렬한 상태에서 열과 압력을 가하여 2장의 가죽 원단을 부착하여 부착 원단을 만드는 단계(S200)가 진행된다. 이 단계(S200)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 지그(40) 상에 2장의 가죽 원단(10, 20)과 핫멜트 필름(30)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상측의 압축 지그(5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 지그(50) 및 고정 지그(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발열수단(도면에 미도시)이 구비하여 열을 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190 ~ 210 ℃의 열을 1 ~ 3초 동안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 단계(S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면이 노출되는 부분을 감싸는 케이스 부분품(2)에는, 상기 상하 2장의 가죽 원단(10, 20) 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면 테두리와 동일한 형상의 철심(60)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면을 감싸는 부분은 전자기기를 안정적으로 수납하기 위하여 변형되지 않고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가죽 원단(10 ,20) 사이에 디스플레이면 테두리와 동일한 형상의 철심(60)을 개재시켜, 강도를 확보한 상태에서 부착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 원단 중에서 절단될 부분과 압축될 부분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는 단계(S300)가 진행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에스 부분품(2)의 부착 원단에는 절단되어 제거되는 부분과 압축되어 눌려진 상태로 형상이 변형되는 부분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열과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는 단계(S30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고정지그(40)를 구비하고, 그 상부에 부착 원단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압축틀(70)을 하강시켜 성형한다. 이때 상기 압축틀(70)은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72)가 구비되며, 이 돌출부(72)는 가압할 부분의 형상에 따라 미리 디자인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부착 원단의 성형 부분에 고주파 열처리를 수행하여, 성형된 부분이 반영구적으로 변형되도록 하며, 성형된 부분의 마감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상기 부착 원단 중에서 절단될 부분을 절단하여 케이스 부분품을 만드는 단계(S400)가 진행된다. 이 단계(S400)에서는 상기 성형 단계(S300)와 마찬가지로, 하측에 고정 지그(40)를 준비한 상태에서 성형된 부착 원단을 올려놓고, 상측에서 절단 지그(도면에 미도시)를 하강시켜 절단될 부분을 절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성형된 부착 원단 중에서 절단될 부분이 미리 압축 성형되어 있으므로, 절단된 면의 마감성이 완벽하게 처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절단면을 별도로 마감처리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절단면의 두께가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형태를 취하므로 전자기기의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걸리는 등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케이스 부분품(1, 2, 3)을 조립하여 전자기기 케이스를 완성하는 단계(S500)가 진행된다. 이 단계(S500)에서는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준비된 상기 케이스 부분품들(1, 2, 3)을 박음질 또는 본드 부착에 의하여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부분품들(1, 2, 3)을 결합시키고 나면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케이스가 완성된다.
1, 2, 3 : 전자기기 케이스 부분품
10 : 상부 원단
20 : 하부 원단
30 : 핫멜트 필름
40 : 고정 지그
50 : 압축 지그
60 : 철심
70 : 압축틀

Claims (5)

1)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상하 2장의 가죽 원단 및 상기 가죽 원단 사이에 배치되며 열에 의하여 용융되는 핫멜트(hot melt)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2장의 가죽 원단 및 핫멜트 필름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2장의 가죽 원단을 부착하여 부착 원단을 만드는 단계;
3) 상기 부착 원단 중에서 절단될 부분과 압축될 부분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는 단계;
4) 상기 부착 원단 중에서 절단될 부분을 절단하여 케이스 부분품을 만드는 단계;
5) 상기 케이스 부분품을 조립하여 전자기기 케이스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는,
상기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면이 노출되는 부분을 감싸는 케이스 부분품에는, 상기 상하 2장의 가죽 원단 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면 테두리와 동일한 형상의 철심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는,
190 ~ 210℃의 열을 1 ~ 3초 동안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에서는,
상기 부착 원단의 성형 부분에 고주파 열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5) 단계에서는,
상기 케이스 부분품을 박음질 또는 본드 부착에 의하여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
KR1020120125778A 2012-11-08 2012-11-08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 KR201400598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778A KR20140059880A (ko) 2012-11-08 2012-11-08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778A KR20140059880A (ko) 2012-11-08 2012-11-08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880A true KR20140059880A (ko) 2014-05-19

Family

ID=50889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778A KR20140059880A (ko) 2012-11-08 2012-11-08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98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452A (ko) * 2014-11-20 2016-05-30 조주호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76853A (ko) 2020-12-01 2022-06-08 이경민 스마트키 모듈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452A (ko) * 2014-11-20 2016-05-30 조주호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76853A (ko) 2020-12-01 2022-06-08 이경민 스마트키 모듈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916Y1 (ko) 휴대전자기기용 프로텍터
EP3012708B1 (en) Tempered glass screen protector applied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I410390B (zh) 插入玻璃或無機材料之嵌入模塑法
KR101178165B1 (ko) 강화유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 필름
US20170248922A1 (en) Cover or Faceplate for Electronic Smart Watch
US20150065208A1 (en) Fea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397925B1 (ko) 샌드위치 접합구조를 갖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WO2015034719A1 (en)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making a case
CN104145228B (zh) 用于消费电子设备的附件单元以及相关的组件和方法
US20140364178A1 (en) Rigid frame with protective film
US20120033357A1 (en) Electronic device hous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90078310A (ko) 전자장치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59880A (ko)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
KR102307396B1 (ko) 보호 커버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1443565B1 (ko) 금속프레임을 적용한 모바일기기의 프레임 구조
US10840963B2 (en) Means of protecting a mobile electronic device utilizing only the corners of the device
KR101201348B1 (ko) 액정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일체형 스마트 기기 보호 케이스
KR20140137491A (ko)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299676B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1513970B1 (ko)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뷰 커버
KR102431033B1 (ko) 스마트키 모듈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86014A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5300A (ko) 휴대기기 보호대 및 그 제조방법
KR101421899B1 (ko) 휴대폰 단말기용 플립 커버 및 플립 커버의 제조방법
KR101324991B1 (ko) 휴대단말기의 보호커버용 소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