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970B1 -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뷰 커버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970B1
KR101513970B1 KR1020130106412A KR20130106412A KR101513970B1 KR 101513970 B1 KR101513970 B1 KR 101513970B1 KR 1020130106412 A KR1020130106412 A KR 1020130106412A KR 20130106412 A KR20130106412 A KR 20130106412A KR 101513970 B1 KR101513970 B1 KR 101513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base plate
synthetic resin
manufacturing
resi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8388A (ko
Inventor
박종민
류명현
구성범
Original Assignee
범진아이엔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진아이엔디(주) filed Critical 범진아이엔디(주)
Priority to KR1020130106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970B1/ko
Publication of KR20150028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1Environmental protection, e.g. against dust or humid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한 창을 가지는 뷰 커버를 간단한 공정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신속하게 제작하여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제조 방법은 투명한 재질의 제1 합성수지 소재로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를 제작하는 윈도우 제작 단계와;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를 금형의 내부에 이격된 상태로 상호 대응되게 인서트하고,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를 각각 외측 방향으로 진공 흡착하여 상기 금형에 밀착시키는 윈도우 인서트 단계와; 투명한 재질의 제2 합성수지 소재로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의 사이에 베이스판을 사출 성형하여 제작하는 베이스판 사출 성형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뷰 커버{METHOD FOR MANUFACTURING A VIEW COVER FOR A LCD SCREEN OF AN ELECTRONIC DEVICE AND A VIEW COVER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을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한 창을 가지는 뷰 커버를 간단한 공정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신속하게 제작하여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의 발달에 힘입어 휴대폰, PDA, DMB, 노트북, 랩톱 컴퓨터, 노트패드 등의 액정화면을 가지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필수적인 소지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휴대폰이다.
휴대폰은 고유 기능인 통화 기능 외에도 동영상 재생, 음악 재생, 디지털 카메라, DMB 수신, 네비게이션, 인터넷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이 추가되고, 그 디자인이나 형상 등도 점점 미려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일명 '스마트폰'으로 명명되는 지능형 휴대폰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폰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는 이점 때문에 수요자에게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고가이면서 미려한 자신의 전자기기의 몸체나 이의 액정화면에 생길 수 있는 긁힘이나 흠집, 파손 등에 더욱 민감해졌으며, 나아가 사용자들은 전자기기의 외관을 더욱 아름답게 꾸며 일종의 악세서리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향도 강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의 손상을 막으면서 미려한 외관을 자랑하기 위해 전자기기의 외부에 설치되는 다양한 전자기기용 보호 덮개('플립 커버'라고도 함)가 제안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보호 덮개의 내부에 투명한 창을 가지는 뷰 커버를 삽입하여 보호 덮개를 열지 않고도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뷰 커버의 일예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여 그 제조 방법과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뷰 커버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내구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판(1)의 상면과 하면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 아크릴 수지)와 같이 스크래치(긁힘)가 잘 나지 않은 소재로 이루어진 윈도우층(2a, 3a)을 적층하여 일체로 형성한 후에, 상기 베이스판(1)의 상면에는 제1 윈도우(2)가 형성되고 그 하면에는 제2 윈도우(3)가 형성되도록 상기 윈도우층(2a, 3a)을 각각 밀링 공구(M)로 정밀하게 절삭하여 상기 윈도우(2, 3)를 가지는 뷰 커버를 제작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윈도우층(2a, 3a)은 0.25mm 정도의 두께이고 상기 베이스판(1)은 1.0mm 정도의 두께이며, CNC 가공을 통해 상기 베이스판(1)의 상면과 하면으로 상기 윈도우층(2a, 3a)을 0.25mm 정도의 두께로 정밀하게 절삭하여 상기 제1 윈도우(2)와 제2 윈도우(3)를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되는 종래의 뷰 커버는 정밀한 절삭 가공이 수반되어 제작 및 가공 작업이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제작 및 가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매우 낮고, 그에 따라 제품 단가가 매우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2007-0003295호 "표시장치 보호용 커버"(2007. 01. 0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공정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신속하게 제작하여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윈도우의 열처리를 통해 윈도우의 복굴절 현상이 원활히 저감되도록 하면서 윈도우 결합 후에 베이스판의 변형이 원활히 방지되도록 하는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은, 투명한 재질의 제1 합성수지 소재로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를 제작하는 윈도우 제작 단계와;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를 금형의 내부에 이격된 상태로 상호 대응되게 인서트하고,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를 각각 외측 방향으로 진공 흡착하여 상기 금형에 밀착시키는 윈도우 인서트 단계와; 투명한 재질의 제2 합성수지 소재로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의 사이에 베이스판을 사출 성형하여 제작하는 베이스판 사출 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가 형성된 부위와 베이스판을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여 열처리하는 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 가열 온도는 90 ℃ 내지 120 ℃이고,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 및 베이스판의 가열은 상기 베이스판을 성형하는 금형의 가열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의 상기 제1 합성수지 소재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이고, 상기 제2 합성수지 소재는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의 상기 윈도우 제작 단계에서,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는 상기 제1 합성수지 소재로 각각 사출 성형되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의 상기 윈도우 제작 단계에서,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는 상기 제1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필름을 각각 재단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의 상기 베이스판 사출 성형 단계에서,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판의 외면에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이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은, 투명한 재질의 제1 합성수지 소재로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를 제작하는 윈도우 제작 단계와; 상기 제1 윈도우를 금형의 내부에 인서트하고, 상기 제1 윈도우를 외측 방향으로 진공 흡착하여 상기 금형에 밀착시키는 윈도우 인서트 단계와; 투명한 재질의 제2 합성수지 소재로 상기 제1 윈도우의 배면에 베이스판을 사출 성형하여 제작하는 베이스판 사출 성형 단계와; 상기 제1 윈도우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윈도우를 상기 베이스판의 외면에 부착하는 제2 윈도우 부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간단한 공정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신속하게 제작하여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그에 따라 제품의 생산 비용이 현저히 저하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윈도우의 열처리를 통해 윈도우의 복굴절 현상이 원활히 저감되고, 윈도우 결합 후에 베이스판의 변형이 원활히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뷰 커버의 제조 과정을 보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뷰 커버의 제조 과정을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뷰 커버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 커버 제조 방법을 보인 단계도,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뷰 커버 제조 방법을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뷰 커버 제조 방법을 보인 단계도,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뷰 커버 제조 방법을 보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작된 뷰 커버를 보인 실물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뷰 커버 제조 방법을 보인 단계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뷰 커버 제조 방법을 보인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은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를 제작하는 윈도우 제작 단계(S1)와, 금형에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를 인서트시키는 윈도우 인서트 단계(S2)와,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의 사이에 베이스판을 사출 성형하는 베이스판 사출 성형 단계(S3)를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 제작 단계(S1)는 투명한 재질의 제1 합성수지 소재로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를 제작하는 공정이다(도 5의 (a) 참조). 상기 윈도우 제작 단계(S1)는 이후에 제작되는 상기 베이스판(10)의 양면에 부착될 수 있는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를 신속하게 제작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는 상기 제1 합성수지 소재로 각각 사출 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즉, 사출 성형을 통해 다수의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를 미리 제작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는 상기 제1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필름을 각각 재단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합성수지 소재를 미리 만들어진 필름을 일정한 크기로 잘라내어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를 제작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합성수지 소재는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로 형성된 후에 4H 이상의 표면경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제1 합성수지 소재가 4H보다 낮은 표면경도를 가지면 표면에 스크래치가 쉽게 발생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경도를 나타내는 H는 연필 경도를 말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합성수지 소재는 표면경도가 좋고 스크래치가 잘 발생하지 않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인서트 단계(S2)는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를 금형(IM)의 내부에 이격된 상태로 상호 대응되게 인서트하고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를 각각 외측 방향으로 진공 흡착하여 상기 금형(IM)에 밀착시키는 공정이다(도 5의 (b) 참조). 상기 윈도우 인서트 단계(S2)는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를 금형(IM)에 인서트한 상태로 진공 흡착을 통해 금형(IM)의 내측면에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를 각각 밀착시켜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를 고정하면서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의 사이에 상기 베이스판(10)이 형성되는 일정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진공 흡착이란, 상기 금형(IM)의 내측에 공기 배출관을 연결하고 공기펌프 혹은 진공펌프를 통해 금형(IM)의 내부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제1 윈도우(20) 및 제2 윈도우(30)와 금형(IM)의 내부면 사이를 진공 상태로 만들고, 이와 같은 진공을 통해 상기 금형(IM)의 내부면에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를 각각 흡착시키는 것을 말한다.
상기 베이스판 사출 성형 단계(S3)는 투명한 재질의 제2 합성수지 소재로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의 사이에 베이스판(10)을 사출 성형하여 제작하는 공정이다(도 5의 (c) 참조). 상기 베이스판 사출 성형 단계(S3)는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의 사이로 본 뷰 커버의 몸체가 되는 베이스판(10)을 금형으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판(10)은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를 부착시켜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를 적절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판(10)의 소재인 상기 제2 합성수지 소재는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PC)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투명한 재질의 다양한 합성수지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뷰 커버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가 형성된 부위와 베이스판(10)을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여 열처리하는 열처리 단계(S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열처리 단계(S4)는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를 가열하여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에서 발생하거나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에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판(10)에서 발생하는 복굴절 현상을 저감시켜 상기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에 복굴절 현상에 의해 나타나는 무지개 색상의 표출이 현저히 저감되어 원하는 투명도와 선명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도 9의 사진 참조).
이와 같은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의 열처리는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에 사용된 소재의 방향성을 제거하여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도 한다.
아울러, 상기 열처리 단계(S4)는 상기 베이스판(10)을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사출 성형 중에 상기 베이스판(10)에 잔류하는 응력을 제거하여 본 뷰 커버의 제작이 완료된 후에 잔류 응력에 의한 상기 베이스판(10)의 변형이나 휨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열처리 단계(S4)에서 열처리를 위한 가열 온도는 90 ℃ 내지 120 ℃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가열 온도가 90 ℃보다 낮으면 적절한 열처리 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고, 가열 온도가 120 ℃보다 높으면 사출 성형된 상기 베이스판(10)이나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가 다시 용융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열처리 단계(S4)에서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 및 베이스판(10)의 가열은 상기 베이스판(10)을 성형하는 금형(IM)의 가열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에 상기 베이스판(10)을 사출 성형하여 본 뷰 커버가 완성된 후에 금형에서 본 뷰 커버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금형에 본 뷰 커버가 내재된 상태로 상기 금형 자체를 가열하여 본 뷰 커버를 열처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별도의 상기 가열수단을 두지 않고도 상기 금형을 통해 손쉽게 열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뷰 커버 제조 방법을 보인 단계도이고,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뷰 커버 제조 방법을 보인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은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를 제작하는 윈도우 제작 단계(S10)와, 금형에 상기 제1 윈도우를 인서트시키는 윈도우 인서트 단계(S20)와, 상기 제1 윈도우의 배면에 베이스판을 사출 성형하는 베이스판 사출 성형 단계(S30)와, 상기 베이스판의 배면에 상기 제2 윈도우를 부착하는 제2 윈도우 부착 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 제작 단계(S10)는 투명한 재질의 제1 합성수지 소재로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를 제작하는 공정이다(도 7의 (a) 참조). 상기 윈도우 제작 단계(S10)는 이후에 제작되는 상기 베이스판(10)의 양면에 부착될 수 있는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를 신속하게 제작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는 상기 제1 합성수지 소재로 각각 사출 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즉, 사출 성형을 통해 다수의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를 미리 제작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는 상기 제1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필름을 각각 재단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합성수지 소재를 미리 만들어진 필름을 일정한 크기로 잘라내어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를 제작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합성수지 소재는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로 형성된 후에 4H 이상의 표면경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제1 합성수지 소재가 4H보다 낮은 표면경도를 가지면 표면에 스크래치가 쉽게 발생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경도를 나타내는 H는 연필 경도를 말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합성수지 소재는 표면경도가 좋고 스크래치가 잘 발생하지 않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 인서트 단계(S20)는 상기 제1 윈도우(20)를 금형(IM)의 내부에 인서트하고 상기 제1 윈도우(20)를 외측 방향으로 진공 흡착하여 상기 금형(IM)에 밀착시키는 공정이다(도 7의 (b) 참조). 상기 윈도우 인서트 단계(S20)는 상기 제1 윈도우(20)를 금형(IM)에 인서트한 상태로 진공 흡착을 통해 금형(IM)의 내측면에 상기 제1 윈도우(20)를 밀착시켜 상기 제1 윈도우(20)를 고정하면서 상기 제1 윈도우(20)의 배면에 상기 베이스판(10)이 형성되는 일정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판 사출 성형 단계(S30)는 투명한 재질의 제2 합성수지 소재로 상기 제1 윈도우(20)의 배면에 베이스판(10)을 사출 성형하여 제작하는 공정이다(도 7의 (b) 참조). 상기 베이스판 사출 성형 단계(S30)는 상기 제1 윈도우(20)의 배면로 본 뷰 커버의 몸체가 되는 베이스판(10)을 금형(IM)으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판(10)은 상기 제1 윈도우(20)를 부착시켜 상기 제1 윈도우(20)를 적절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판(10)의 소재인 상기 제2 합성수지 소재는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PC)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투명한 재질의 다양한 합성수지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윈도우 부착 단계(S40)는 상기 제1 윈도우(20)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윈도우(30)를 상기 베이스판(10)의 외면에 부착하는 공정이다(도 7의 (c) 참조). 상기 제2 윈도우 부착 단계(S40)는 남아 있는 상기 제2 윈도우(30)를 접착제 혹은 열접착 방식 등의 공지된 접착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윈도우(30)를 상기 베이스판(10)의 배면에 부착하여 본 뷰 커버를 완성하는 공정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의 상기 베이스판 사출 성형 단계에서,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판(10)의 외면에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판(10)이 삽입홈(11)을 가지는 상태로 사출 성형된다.
즉, 상기 베이스판(10)은 상기 제1 윈도우(20)와 제2 윈도우(3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그 양면에 상기 삽입홈(11)을 가지는 상태로 사출 성형됨으로써, 상기 베이스판(10)에 상기 제1 윈도우(20)가 보다 원활히 접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 윈도우(30)는 상기 삽입홈(11)에 끼워져 보다 손쉽고 견고하게 접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베이스판
11 : 삽입홈
20 : 제1 윈도우
30 : 제2 윈도우
IM : 금형

Claims (11)

  1. 투명한 재질의 제1 합성수지 소재로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를 제작하는 윈도우 제작 단계와;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를 금형의 내부에 이격된 상태로 상호 대응되게 인서트하고,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를 각각 외측 방향으로 진공 흡착하여 상기 금형에 밀착시키는 윈도우 인서트 단계와;
    투명한 재질의 제2 합성수지 소재로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의 사이에 베이스판을 사출 성형하여 제작하는 베이스판 사출 성형 단계를; 포함하고,
    본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가 형성된 부위와 베이스판을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여 열처리하는 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 가열 온도는 90 ℃ 내지 120 ℃이고,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 및 베이스판의 가열은 상기 베이스판을 성형하는 금형의 가열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합성수지 소재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이고,
    상기 제2 합성수지 소재는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제작 단계에서,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는 상기 제1 합성수지 소재로 각각 사출 성형되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제작 단계에서,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는 상기 제1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필름을 각각 재단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 사출 성형 단계에서,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판의 외면에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판이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7. 투명한 재질의 제1 합성수지 소재로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를 제작하는 윈도우 제작 단계와;
    상기 제1 윈도우를 금형의 내부에 인서트하고, 상기 제1 윈도우를 외측 방향으로 진공 흡착하여 상기 금형에 밀착시키는 윈도우 인서트 단계와;
    투명한 재질의 제2 합성수지 소재로 상기 제1 윈도우의 배면에 베이스판을 사출 성형하여 제작하는 베이스판 사출 성형 단계와;
    상기 제1 윈도우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윈도우를 상기 베이스판의 외면에 부착하는 제2 윈도우 부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제작 단계에서, 상기 제1 윈도우와 제2 윈도우는 상기 제1 합성수지 소재로 각각 사출 성형되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합성수지 소재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이고,
    상기 제2 합성수지 소재는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제1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KR1020130106412A 2013-09-05 2013-09-05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뷰 커버 KR101513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412A KR101513970B1 (ko) 2013-09-05 2013-09-05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뷰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412A KR101513970B1 (ko) 2013-09-05 2013-09-05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뷰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388A KR20150028388A (ko) 2015-03-16
KR101513970B1 true KR101513970B1 (ko) 2015-04-23

Family

ID=53023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412A KR101513970B1 (ko) 2013-09-05 2013-09-05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뷰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9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612B1 (ko) 2008-06-25 2009-07-09 (주)쉘-라인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146602B1 (ko) 2011-08-24 2012-05-14 이희성 터치스크린 패널의 커버 윈도우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351436B1 (ko) 2013-09-05 2014-01-16 범진아이엔디(주)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뷰 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612B1 (ko) 2008-06-25 2009-07-09 (주)쉘-라인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146602B1 (ko) 2011-08-24 2012-05-14 이희성 터치스크린 패널의 커버 윈도우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351436B1 (ko) 2013-09-05 2014-01-16 범진아이엔디(주)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뷰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388A (ko) 201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42872B (zh) 制造装置外壳的方法和包括具有阶梯式凸缘的透明透镜的装置外壳
JP6050962B2 (ja) ガラス一体型成形品の製造方法、ガラス一体型成形品
KR102247283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외관 부재 제작 방법
KR101165892B1 (ko) 금속 베젤에 유리 인서트를 일체형으로 트랩하기 위한 방법 및 제조된 전자 디바이스
JP4948686B2 (ja) ガラス複合体、ガラス複合体を用いた電子機器、及び、入力装置
TWI410390B (zh) 插入玻璃或無機材料之嵌入模塑法
US8300395B2 (en)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20120033357A1 (en) Electronic device hous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20168339A1 (en) Housing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189326B2 (en) Product case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40364178A1 (en) Rigid frame with protective film
JP2013239812A (ja) 携帯端末
US8242396B2 (en) Keypad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130007068A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부재 제작 방법
JP2011073438A (ja) キー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キーユニット
EP2664433B1 (en) Formable inserts and related methods
JP2010012601A (ja) ハウジングケース、及び、ハウジングケースの製造方法
US201502377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lessly affixing a protective film to an electronic device
US8437131B2 (en) Electronic device hous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13970B1 (ko)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뷰 커버
KR20160124989A (ko) 이중 사출에 의한 엣지 벤트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커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엣지 벤트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커버
KR101351436B1 (ko)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뷰 커버
WO2010001678A1 (ja) ハウジングケース、及び、ハウジングケースの製造方法
KR101513968B1 (ko)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뷰 커버
US20180279494A1 (en) Housing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