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076A - 배달앱 주문 및 배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배달앱 주문 및 배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076A
KR20160109076A KR1020150032769A KR20150032769A KR20160109076A KR 20160109076 A KR20160109076 A KR 20160109076A KR 1020150032769 A KR1020150032769 A KR 1020150032769A KR 20150032769 A KR20150032769 A KR 20150032769A KR 20160109076 A KR20160109076 A KR 20160109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app
order
server
delivery a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피에스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피에스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피에스윈
Priority to KR1020150032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9076A/ko
Publication of KR20160109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50/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배달앱 주문 및 배달 방법은, 배달앱 서버가, 주문대기방을 개설하여 배달앱 가맹점에서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있는 배달앱 회원들로부터 상기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을 상기 주문대기방을 통해 주문받는 배달 주문 과정; 상기 배달 주문을 요청한 배달 주문자의 인원이 설정된 기준 인원을 초과하거나 배달 주문된 주문 금액이 설정된 기준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달앱 서버가, 상기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요청된 배달에 대한 현물 준비 주문을 각 배달앱 가맹점 서버에 전송하는 현물 주문 과정; 상기 배달앱 가맹점 서버가, 상기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요청된 현물의 준비가 완료되면 현물 완료 메시지를 상기 배달앱 서버에 전송하는 현물 완료 과정; 및 상기 배달앱 서버가, 현물 주문한 배달앱 가맹점으로부터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 배달앱 회원이 주문한 현물 완료된 배달앱 가맹점의 주소가 포함된 배달 리스트를 배달 대행 서버에 전송하여 배달 대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달 대행 요청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달앱을 통하여 배달 주문 시에 배달 대행점을 통하여 전문적으로 배달받을 수 있어, 배달 오류 등의 배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서로 다른 배달 가맹점에서 파는 물품을 주문하더라도, 한 번의 배달로 모든 주문 물품을 받아볼 수 있다.

Description

배달앱 주문 및 배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System for ordering in order applic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달앱 주문 및 배달 시스템 및 동작 방법으로서, 배달앱을 통해 음식 등의 물품을 주문하여 배달받을 수 있는 배달앱의 시스템 및 배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득 수준이 향상되고, 주 5일 근무제로 시간적인 여유가 생기고, 여성의 사회 진출이 보편화됨에 따라 외식을 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국민 소비 가운데 외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식품비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외식 비용이 차지하는 등 국민 경제에 있어 외식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늘어나고 있고, 그 중요성 또한 크게 확대되고 있다.
외식을 위하여 집 밖에 나가서 음식을 사먹을 수도 있지만, 집에서 음식을 시켜먹는 배달 주문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음식을 주문하고자 하는 경우, 주문자는 집안의 음식점 전단지 또는 음식점 안내 책자를 찾고, 찾아진 전단지들 및 안내책자를 보면서 주문할 음식 종류를 결정한다. 음식 종류가 결정되면 주문자는 결정된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주문을 한다.
이와 같이 전화로 배달 주문을 할 경우 배달 요청할 음식 종류, 집주소를 일일이 말로 설명하여 했으며, 음식점에 해당 음식이 없을 경우 다른 음식점을 찾아봐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주문 배달 요청 어플리케이션(이하, '배달앱')이 개발되어 대중화되고 있다. 주변 배달 음식점 검색, 음식 검색, 및 집주소 입력 등을 스마트폰에 설치된 배달앱을 통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배달앱의 경우 각 음식점마다 각각 배달을 받아야 하는 불편이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중국집의 짬뽕을 주문하고, 국수집의 칼국수를 주문하고, 족발집의 족발을 주문한 경우, 구매자는 짬뽕을 중국집의 제1배달원으로부터 수령해야 하고, 칼국수를 국수집의 제2배달원으로부터 수령해야 하고, 족발을 족발집의 제3배달원으로부터 각각 수령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특히, 주문 배달이 올 때마다 문을 매번 열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배달원이 아닌 무단 침입자가 집 초인종을 누를 시에도 배달로 착각하고 문을 열어주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주문하는 가게가 모두 틀리더라도 한번에 모든 주문 음식을 배달해줄 수 있는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13-0038102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달앱을 통하여 배달 주문 시에 배달 대행점을 통하여 배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달앱을 통하여 배달 주문시에 서로 다른 배달 가맹점에서 파는 물품을 한번에 배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배달앱 주문 및 배달 방법은, 배달앱 서버가, 주문대기방을 개설하여 배달앱 가맹점에서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있는 배달앱 회원들로부터 상기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을 상기 주문대기방을 통해 주문받는 배달 주문 과정; 상기 배달 주문을 요청한 배달 주문자의 인원이 설정된 기준 인원을 초과하거나 배달 주문된 주문 금액이 설정된 기준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달앱 서버가, 상기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요청된 배달에 대한 현물 준비 주문을 각 배달앱 가맹점 서버에 전송하는 현물 주문 과정; 상기 배달앱 가맹점 서버가, 상기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요청된 현물의 준비가 완료되면 현물 완료 메시지를 상기 배달앱 서버에 전송하는 현물 완료 과정; 및 상기 배달앱 서버가, 현물 주문한 배달앱 가맹점으로부터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 배달앱 회원이 주문한 현물 완료된 배달앱 가맹점의 주소가 포함된 배달 리스트를 배달 대행 서버에 전송하여 배달 대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달 대행 요청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달 주문 과정은, 한 곳의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동일한 상품에 대하여 상기 주문대기방을 통해 주문받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달 주문 과정은, 복수의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서로 다른 상품에 대하여 상기 주문대기방을 통해 각각 주문받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달 대행 요청 과정이 있은 후, 상기 배달앱 서버는, 배달이 출발될 것임을 배달앱 회원 단말기에 표시된 주문대기방을 통해 통보할 수 있다.
상기 배달 주문 과정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이 배달앱 서버에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현물 주문 과정은, 각 배달앱 가맹점마다 주문된 현물을 각각 별도로 배달앱 가맹점 서버에 요청하며, 상기 현물 완료 과정은, 각각의 배달앱 가맹점 서버가 현물 완료 메시지를 상기 배달앱 서버에 각각 전송하며, 상기 배달 대행 요청 과정은, 현물 주문한 모든 배달앱 가맹점으로부터 현물 완료 메시지를 모두 수신한 경우에만,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 배달앱 회원이 주문한 현물 완료된 각각의 배달앱 가맹점의 주소가 포함된 배달 리스트를 배달 대행 서버에 전송하여 배달 대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배달 대행 요청 과정은, 복수의 배달 대행자가 위치한 배달 대행점 주소를 파악하여,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를 가장 가까운 배달 대행자가 운영하는 배달 대행 서버에 상기 배달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배달 대행 요청 과정이 있은 후, 상기 배달앱 서버는, 배달 주문 요청한 배달앱 회원과, 배달 주문 요청한 배달앱 회원을 추천한 추천인에게 각각 포인트를 적립시켜 줄 수 있다.
주문대기방을 개설하여 배달앱 가맹점에서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있는 배달앱 회원들로부터 상기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을 상기 주문대기방을 통해 주문받으며, 상기 배달 주문을 요청한 배달 주문자의 인원이 설정된 기준 인원을 초과하거나 배달 주문된 주문 금액이 설정된 기준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요청된 현물에 대한 주문을 배달앱 가맹점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배달앱 가맹점 서버로부터 현물 주문된 현물의 준비가 완료됨을 알리는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 배달앱 회원이 주문한 현물 완료된 배달앱 가맹점의 주소가 포함된 배달 리스트를 배달 대행 서버에 전송하여 배달 대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달앱 서버;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로그인되어 배달앱 가맹점에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을 상기 주문대기방을 통해 주문하는 배달앱 회원 단말기; 상기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요청된 현물의 준비가 완료되면 현물 완료 메시지를 상기 배달앱 서버에 전송하는 배달앱 가맹점 서버; 상기 배달앱 서버로부터 배달 리스트를 수신하는 배달 대행 서버; 및 상기 배달앱 회원 단말기, 배달앱 서버, 및 배달앱 가맹점 서버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달앱 서버는, 주문대기방을 개설하여 배달앱 가맹점에서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있는 배달앱 회원들로부터 상기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을 받는 주문대기방을 생성하는 주문대기방 생성부; 배달앱 회원들의 주소, 연령, 성별, 연락처, 및 포인트를 포함한 배달앱 회원 정보가 배달앱 회원별로 저장된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배달 대행 서버를 운영하는 배달 대행점의 주소 및 연락처를 각 배달 대행점별로 저장된 배달 대행점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주문대기방을 통해 배달 주문을 요청한 배달 주문자의 인원이 설정된 기준 인원을 초과하거나 배달 주문된 주문 금액이 설정된 기준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배달앱 가맹점에 현물 준비 요청부;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 배달앱 회원이 주문한 현물에 대한 주문이 전달된 배달앱 가맹점의 주소가 포함된 배달 리스트를 생성하는 배달 리스트 생성부; 현물 주문한 배달앱 가맹점으로부터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만, 상기 배달 대행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배달 대행점 주소를 파악한 후,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 가장 가까운 배달 대행자가 운영하는 배달 대행 서버에 상기 배달앱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배달 리스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배달 대행 요청부; 및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요청된 현물에 대한 주문을 배달앱 가맹점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배달 대행 서버에 상기 배달 리스트를 전송하며, 상기 배달앱 가맹점 서버로부터 상기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배달앱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달 대행 요청부는, 상기 배달앱 회원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이 요청되는 경우, 각 배달앱 가맹점마다 주문된 현물을 각각 별도로 배달앱 가맹점 서버에 요청하며, 각각의 배달앱 가맹점 서버로부터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며, 현물 주문한 모든 배달앱 가맹점으로부터 현물 완료 메시지를 모두 수신한 경우에만,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 배달앱 회원이 주문한 현물 완료된 각각의 배달앱 가맹점의 주소가 모두 포함된 배달 리스트를 배달 대행 서버에 전송하여 배달 대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달앱을 통하여 배달 주문 시에 배달 대행점을 통하여 전문적으로 배달받을 수 있어, 배달 오류 등의 배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서로 다른 배달 가맹점에서 파는 물품을 주문하더라도, 한 번의 배달로 모든 주문 물품을 받아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달앱 주문 및 배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달앱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배달앱 가맹점을 대상으로 배달앱 주문 및 배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배달앱 가맹점을 대상으로 배달앱 주문 및 배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달앱 주문 시에 배달앱 가맹점에서 직접 배달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달앱 주문 및 배달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달앱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배달앱 주문 및 배달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500), 배달앱 회원 단말기(100), 배달앱 서버(200),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 및 배달 대행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500)은, 배달앱 회원 단말기(100), 배달앱 서버(200),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 배달 대행 서버(400)간의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망이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50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및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으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참고로,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은 기지국(BS : Base Station), 이동전화 교환국(MTSO : Mobile Telephone Switching Office),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이외에, 무선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등과 같은 구성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500)(6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배달앱 회원 단말기(100)는,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로그인되어 배달앱 가맹점에 판매하는 물품(이하, '현물'이라 함)에 대한 배달을 주문한다. 배달앱 회원 단말기(1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배달앱 회원 단말기(100)에는,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배달앱 회원 단말기(100)에는 '배달앱'이라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배달앱은, '요기요', '배달의 민족', '배달통' 등과 같이 스마트폰에 깔린 애플리케이션이다. 배달앱은 소비자인 배달앱 회원의 배달 주문(주문 물품, 배달 주소, 결제 등)을 입력받아 배달앱 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달 주문은 음식, 책, 과일 등의 현물을 선택하고, 선택한 현물에 대한 결제까지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참고로, 배달이 이루어질 때마다 해당 배달앱 회원에게는 포인트가 적립되어,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포인트 적립은 배달앱 회원뿐만 아니라 배달앱 회원 가입을 권유한 추천인들에게도 다단계 형태로 포인트가 지급될 수 있다.
배달앱은 주문대기방을 배달앱 회원 단말기(100)에 표시하며, 배달앱 회원은 배달앱 회원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주문대기방을 통하여 배달 주문을 한다. 이러한 주문대기방은 배달앱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것으로서, 별개의 창으로 구현되거나 여러 사람이 채팅도 가능하도록 채팅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화면 상의 일부 구역에서 주문 내역을 실시간으로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는, 배달앱에 가맹된 가맹점이 관리하는 서버(개인컴퓨터)이다. 배달앱 가맹점은, 음식집, 서점, 꽃집, 마트 등의 가게로서, 배달앱에 가맹되어 배달앱 가맹점으로부터 배달 주문을 받아 현물(음식, 책, 꽃, 마트 상품 등)을 준비한다.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는,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요청된 현물의 준비가 완료되면, 현물을 배달앱 회원에게 직접 배달하지 않고, 현물 준비가 완료되었다는 현물 완료 메시지를 배달앱 서버(200)에 전송한다.
배달 대행 서버(400)는, 배달을 대행하는 배달 대행점이 관리하는 서버(컴퓨터)이다.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 배달앱 회원이 주문한 현물 완료된 배달앱 가맹점의 주소가 포함된 배달 리스트를 배달앱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면, 배달원을 통하여 배달앱 가맹점을 돌아다니게 하며 배달앱 가맹점으로부터 현물을 수령한다. 수령한 현물은 배달앱 회원에게 전달되도록 한다. 따라서 배달 대행 서버(400)는 배달앱 서버(200)로부터 배달 리스트가 수신되면, 배달원이 소지한 단말기(스마트폰)에 배달 리스트를 중계하여 배달을 하도록 요청한다.
한편, 배달앱에 가맹된 가맹점은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요청된 현물을 배달 대행점을 이용하지 않고 가맹점 측에서 직접 배달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배달 대행 서버(400)의 모듈은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 내에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배달앱 서버(200)는, 배달앱을 운영하는 업체가 관리하는 서버(컴퓨터)이다. 배달앱 서버(200)는,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요청된 현물에 대한 주문을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에 전송하며,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로부터 현물 주문된 현물의 준비가 완료됨을 알리는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 배달앱 회원이 주문한 현물 완료된 배달앱 가맹점의 주소가 포함된 배달 리스트를 배달 대행 서버(400)에 전송하여 배달 대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배달 가맹점에서 직접 배달하지 않고 배달 전문 업체인 배달 대행점을 이용하여 배달되도록 하여, 배달 착오가 나지 않고 전문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어느 1인의 배달앱 회원이 서로 다른 다수의 배달앱 가맹점을 통해 현물(음식 등)을 주문할 경우, 배달 대행점의 배달원이 배달앱 가맹점을 돌면서 주문된 모든 현물을 모집하여, 주문한 배달앱 회원에게 대표로 전달해줄 수 있다. 또한 주문대기방을 개설하여 배달앱 회원 단말기(100)에 제공하여, 배달앱 가맹점에서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있는 배달앱 회원들로부터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을 주문대기방을 통해 주문받으며, 배달 주문을 요청한 배달 주문자의 인원이 설정된 기준 인원을 초과하거나 배달 주문된 주문 금액이 설정된 기준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요청된 현물에 대한 준비할 것을 요청하는 주문(이하, '현물 준비 주문'이라 함)을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에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배달앱 서버(200)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10), 배달 대행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 배달앱 통신부(250), 배달 리스트 생성부(230), 주문대기방 생성부(260), 현물 주문 요청부(270), 및 배달 대행 요청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배달앱 회원들의 주소, 연령, 성별, 연락처, 및 포인트를 포함한 배달앱 회원 정보가 배달앱 회원별로 저장한 데이터베이스(DB;database)이다. 배달앱 회원의 주소는 배달앱 회원이 거주하는 회원 주소를 말하며, 연령은 배달앱 회원의 나이를 말하며, 성별은 배달앱 회원이 남자인지 여자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연락처는 배달앱 회원의 전화번호 및 이메일 주소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포인트는, 배달앱 회원별로 배달 주문시에 적립되는 포인트를 말한다. 설정된 적립 비율대로 포인트가 적립되는데, 예컨대, 적립 비율이 2%라 할 때 주문 금액이 10,000원인 경우, 200 포인트(point)가 적립될 수 있다. 포인트 적립이 배달앱 회원뿐만 아니라 배달앱 회원 가입을 권유한 추천인들에게도 다단계 형태로 포인트가 지급되는 경우에는, 추천인에게 0.5%의 적립 비율로 적립되며, 추천인을 추천한 상위 추천인에게 0.2%의 적립 비율로 적립될 수 있다.
또한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배달앱 가냉점들의 주소, 연락처 등이 저장된다. 각 배달앱 가맹점 주소를 배달앱 가맹점으로부터 등록받는 것이다.
주문대기방 생성부(260)는, 주문대기방을 개설하여 배달앱 가맹점에서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있는 배달앱 회원들로부터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을 받는 주문대기방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서울 강남구 역삼동'의 주소를 가지는 배달앱 가맹점들이 대상인 경우, '서울 강남구 역삼동'을 배달앱 회원 주소로 가지는 배달앱 회원들이 소지한 배달앱 회원 단말기(100)들에게 역삼동 주문대기방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주소를 가지는 배달앱 가맹점들이 대상인 경우, '서울 서초구 반포동'을 배달앱 회원 주소로 가지는 배달앱 회원들이 소지한 배달앱 회원 단말기(100)들에게 반포동 주문대기방을 제공한다. 한편, 배달앱 회원들이 소지한 각 배달앱 회원 단말기(100)들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제한반경 내에 존재하는 가맹점들에 대한 주문을 받는 주문대기방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한반경의 거리는 배달이 가능한 적정거리로 결정될 수 있다.
배달 대행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는, 배달 대행 서버(400)를 운영하는 배달 대행점의 주소 및 연락처를 각 배달 대행점별로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예를 들어, 서울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제1배달 대행점 및 제5배달 대행점, 서울 서초구 반포동에 위치한 제2배달 대행점, 제4배달 대행점, 및 제7배달 대행점, 서울 노원구 상계동에 위치한 제3배달 대행점 및 제6배달 대행점들에 대한 주소 및 연락처 연락처가 배달 대행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어 있다.
참고로,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10) 및 배달 대행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DB;database)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현물 주문 요청부(270)는, 주문대기방을 통해 배달 주문을 요청한 배달 주문자의 인원이 설정된 기준 인원을 초과하거나 배달 주문된 총 주문 금액이 설정된 기준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배달앱 가맹점에 배달 주문 요청된 현물에 대한 준비를 할 것을 요청한다. 예를 들어, 배달 주문된 현물이 음식인 경우 음식을 제조할 것을 요청하며, 배달 주문된 현물이 상품인 경우 상품을 찾아서 포장하여 준비해놓을 것을 요청한다.
이러한 현물 주문 요청은, 배달 주문이 있다고 무조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주문대기방을 통해 배달 주문을 요청한 배달 주문자의 인원이 설정된 기준 인원을 초과하거나 배달 주문된 주문 금액의 총합이 설정된 기준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배달 리스트가 작성된다. 예를 들어, 주문대기방을 통해 주문 인원이 기준 인원 10명을 초과하거나, 주문대기방을 통해 주문된 금액의 합이 기준 금액 3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배달 리스트가 작성된다. 만약, 기준 인원이나 기준 금액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때는 대기 상태가 되어 현물 주문 요청이 이루어지지 않고, 기준 인원이나 기준 금액의 조건을 충족될 때 현물 주문 요청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기준 인원이 부족한 경우에는 배달 주문자가 주문대기방을 통해 주문을 추가하여 기준 인원을 채운 경우에만 현물 주문 요청이 이뤄지며, 기준 금액이 부족한 경우에는 기존에 주문한 사람이나 새로운 사람이 추가로 주문하여 기준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 현물 주문 요청이 이뤄진다. 참고로, 주문대기방을 통해 주문이 이루어질 때 결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제건수 및 결제금액을 알 수 있어, 배달 주문자 인원과 주문 금액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배달 리스트 및/또는 현물 주문 요청은 배달앱 서버(200)로부터 배달 대행 서버(400)로 전송된 후 바로 사라지게 구현될 수도 있지만, 제한 잔존시간 동안 주문대기방에 잔존한 뒤 사라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배달 리스트 및/또는 현물 주문 요청이 배달 대행 서버(400)로 전송된 후에도 제한잔존시간 동안만큼 주문대기방에 잔존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주문대기방에서 사람이 모이거나 총금액이 채워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이미 조건이 충족되어 조만간 배달이 수행될 주문에 다른 주문자가 편승함으로써 빨리 음식이나 상품을 배달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한잔존시간은 주문 배달할 물건의 특성이나 배달 시간의 장단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배달 리스트 생성부(230)는,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 배달앱 회원이 주문한 현물에 대한 주문이 전달된 배달앱 가맹점의 주소가 포함된 배달 리스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서울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한 명의 배달앱 회원이 중국집의 짬뽕, 국수집의 칼국수, 및 족발집의 족발을 함께 주문한 경우, 배달 리스트 생성부(230)는,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를 기재하고, 중국집의 주소, 국수집의 주소, 및 족발집의 주소를 기재한 배달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러한 배달 리스트는 배달 대행 서버(400)에 전송되어, 배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배달 대행 요청부(240)는, 현물 주문한 배달앱 가맹점으로부터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여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만, 배달 대행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등록된 배달 대행점 주소를 파악한 후,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와 가장 가까운 배달 대행자가 운영하는 배달 대행 서버(400)에 상기 배달앱 통신부(250)를 통하여 배달 리스트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한 명의 배달앱 회원이 꽃집에서 국화꽃 10송이와 장미꽃 10송이를 배달 요청한 경우, 꽃집에 속한 전용 배달원이 없을 때 배달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배달 가맹점인 꽃집에 속한 전용 배달원이 없더라도 배달 대행 서버(400)의 배달 대행을 통하여 배달이 가능하다. 즉, 배달앱 서버(200)가 꽃집의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에 배달앱 회원이 요청한 국화꽃 10송이와 장미꽃 10송이를 주문하면, 꽃집 주인은 국화꽃 10송이와 장미꽃 10송이의 포장이 완료된 후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를 통하여 꽃 현물 완료 메시지를 배달앱 서버(200)에 전송한다. 배달앱 서버(200)는 꽃을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와 연락처, 꽃집의 주소와 연락처를 기록한 배달 리스트를 배달 대행 서버(400)에 전송하고, 배달 대행 서버(400)를 운영하는 배달 대행점은 배달 리스트에 적힌 꽃집에 방문하여 국화꽃 10송이와 장미꽃 10송이를 수령하여, 배달앱 회원에게 대신 배달하여 준다.
배달앱 통신부(250)는, 유무선 통신망(500)과 통신 인터페이스 처리를 한다. 배달앱 통신부(250)는,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요청된 현물에 대한 주문을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에 전송하며, 배달 대행 서버(400)에 배달 리스트를 전송한다. 또한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로부터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은 배달앱 회원이 어느 하나의 가맹점이 아닌 다수의 가맹점에서 각각 다른 현물을 주문하더라도, 일괄적인 배달 대행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배달 대행 요청부(240)는, 배달앱 회원 단말기(100)로부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이 요청되는 경우, 각 배달앱 가맹점마다 주문된 현물을 준비할 것을 각각 별도로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에 요청하며, 각각의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로부터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며, 현물 주문한 모든 배달앱 가맹점으로부터 현물 완료 메시지를 모두 수신한 경우에만,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와, 배달앱 회원이 주문한 현물 완료된 각각의 배달앱 가맹점의 주소가 모두 포함된 배달 리스트를 배달 대행 서버(400)에 전송하여 배달 대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한 명의 배달앱 회원이 중국집의 짬뽕, 국수집의 칼국수, 및 족발집의 족발을 함께 주문한 경우, 기준 인원이나 기준 금액의 조건을 충족한 경우 이러한 음식들을 만들 것을 각 배달앱 가맹점에 요청한다. 중국집으로부터 짬뽕이 요리되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짬뽕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국수집으로부터 칼국수가 요리되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칼국수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족발집으로부터 족발이 요리되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족발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여, 모든 주문 음식이 현물로서 준비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각 배달앱 가맹점으로부터 모두 수신한 경우에만 배달 리스트를 배달 대행 서버(400)에 전송한다. 배달앱 회원이 요청한 주문 음식 중에 어느 하나라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배달 대행 서버(400)에 배달 리스트를 전송하지 않는다.
모든 주문이 들어간 배달 리스트를 수신한 배달 대행 서버(400)는, 배달 리스트를 참조하여 배달원을 시켜 중국집에서 짬뽕을 수령하고, 국수집에서 칼국수를 수령하고, 족발집에서 족발을 수령하여 배달앱 회원에게 배달하도록 요청한다. 따라서 배달앱 회원은, 짬뽕, 칼국수, 및 족발을 각각 개별적으로 수령하지 않고 한 명의 배달원으로부터 주문한 모든 음식을 한번에 수령할 수 있다.
한편, 배달 리스트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배달앱 서버(200)로부터 배달 대행 서버(400)로 전송된 후 바로 사라지게 구현될 수도 있지만, 제한 잔존시간 동안 주문대기방에 잔존한 뒤 사라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배달 리스트가 배달 대행 서버(400)로 전송된 후에도 제한잔존시간 동안만 주문대기방에 잔존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주문대기방에서 사람이 모이거나 총금액이 채워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이미 조건이 충족되어 조만간 배달이 수행될 주문에 편승함으로써 빨리 음식이나 상품을 배달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한잔존시간은 주문 배달할 물건의 특성이나 배달 시간의 장단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배달앱 가맹점을 대상으로 배달앱 주문 및 배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배달앱 가맹점을 대상으로 배달앱 주문 및 배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로그인된 배달앱 회원 단말기(100)가, 배달앱을 구동시켜 배달받을 물품을 배달앱 회원으로 선택(S1)받아, 배달앱 가맹점에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을 배달앱 서버(200)에 전송(S2)하는 배달 주문 과정을 가진다. 배달앱은 소비자인 배달앱 회원의 배달 주문(주문 물품, 배달 주소, 결제 등)을 입력받아 배달앱 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달 주문은 음식, 책, 과일 등의 현물을 선택하고, 배달 주소 입력 및 선택한 현물에 대한 결제까지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배달 주문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달앱 회원이 하나의 동일한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주문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꽃집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장미꽃을 주문하여, 같은 꽃집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국화꽃도 함께 주문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달 주문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달앱 회원이 복수의 배달앱 가맹점에서 각각 판매하는 현물들에 대한 주문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하나의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뿐만 아니라 다른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주문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명의 배달앱 회원이 각각 다른 배달앱 가맹점인 중국집의 짬뽕, 국수집의 칼국수, 및 족발집의 족발을 각각 주문할 수 있다.
배달 주문이 이루어지면 배달앱 서버(200)는, 주문대기방을 생성(S3)하여 배달앱 회원 단말기(100)에 제공한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배달앱 회원 단말기(100)와 주문대기방을 별도로 도시하였으나, 주문대기방은 배달앱 회원 단말기(100)의 표시창에 표시된다.
배달앱 서버(200)는, 배달앱 가맹점에서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있는 배달앱 회원들로부터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을 받는 주문대기방을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서울 강남구 역삼동'의 주소를 가지는 배달앱 가맹점들이 대상인 경우, '서울 강남구 역삼동'을 배달앱 회원 주소로 가지는 배달앱 회원들이 소지한 배달앱 회원 단말기(100)들에게 역삼동 주문대기방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주소를 가지는 배달앱 가맹점들이 대상인 경우, '서울 서초구 반포동'을 배달앱 회원 주소로 가지는 배달앱 회원들이 소지한 배달앱 회원 단말기(100)들에게 반포동 주문대기방을 제공한다.
상기 배달 주문을 요청한 배달 주문자의 인원이 설정된 기준 인원을 초과하거나 배달 주문된 주문 금액이 설정된 기준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배달앱 서버(200)가,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요청된 배달에 대한 현물 준비 주문을 각 배달앱 가맹점 서버에 전송하는 현물 주문 과정(S5)을 가진다.
현물 주문 과정(S5)은, 배달 주문이 있다고 무조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주문대기방을 통해 배달 주문을 요청한 배달 주문자의 인원이 설정된 기준 인원을 초과하거나 배달 주문된 주문 금액이 설정된 기준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배달 리스트가 작성된다. 예를 들어, 주문대기방을 통해 주문 인원이 기준 인원 10명을 초과하거나, 개설된 주문대기방을 통해 주문된 금액이 기준 금액 3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배달 리스트가 작성된다. 만약, 기준 인원이나 기준 금액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때는 대기 상태가 되어 현물 주문 요청이 이루어지지 않고, 기준 인원이나 기준 금액의 조건을 충족될 때 현물 주문 요청이 이루어진다.
즉, 기준 인원이나 기준 금액의 조건을 충족할 경우,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요청된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 내용을 저장(S4)하고,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요청된 현물에 대한 준비 주문을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에 전송하는 현물 주문 과정(S5)을 가진다. 한 명의 배달앱 회원이 하나의 동일한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이 이루어질 때는, 예컨대, 꽃집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장미꽃과 국화꽃을 주문한 경우, 배달앱 서버(200)는 꽃집의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에 장미꽃과 국화꽃의 현물 주문을 한다.
또한 배달앱 회원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배달앱 가맹점에서 각각 판매하는 현물들에 대한 배달 주문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즉,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이 배달앱 서버(200)에서 수신되는 때는, 현물 주문 과정은, 각 배달앱 가맹점마다 주문된 현물을 각각 별도로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에 현물 주문을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한 명의 배달앱 회원이 각각 다른 배달앱 가맹점인 중국집의 짬뽕, 국수집의 칼국수, 및 족발집의 족발을 배달 주문한 경우, 배달앱 서버(200)는 중국집의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에 짬뽕의 현물 주문을 하며, 국수집의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에 칼국수의 현물 주문을 하며, 족발집의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에 족발의 현물 주문을 한다.
현물 주문 과정이 완료되면,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는, 현물 주문 내용을 저장(S6)하고,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요청된 현물의 준비가 완료되면 현물 완료 메시지를 배달앱 서버(200)에 전송(S7)하는 현물 완료 과정을 가진다. 예컨대, 꽃집의 국화꽃과 장미꽃 포장이 완료되면, 꽃집의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는, 국화꽃과 장미꽃이 포장되어 배달이 가능함을 알리는 현물 완료 메시지를 배달앱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배달앱 회원이 복수의 배달앱 가맹점에서 각각 판매하는 현물들에 대한 배달 주문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즉,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이 있을 때는, 현물 완료 메시지를 전송(S7)하는 현물 완료 과정은, 각각의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가 현물 완료 메시지를 상기 배달앱 서버(200)에 각각 전송한다.
예컨대, 한 명의 배달앱 회원이 각각 다른 배달앱 가맹점인 중국집의 짬뽕, 국수집의 칼국수, 및 족발집의 족발을 배달 주문한 경우, 중국집의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는 짬뽕이 요리 완료되어 배달이 가능함을 알리는 짬뽕의 현물 완료 메시지를 배달앱 서버(200)에 전송하며, 국수집의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는 칼국수가 요리 완료되었다는 짬뽕의 현물 완료 메시지를 배달앱 서버(200)에 전송하며, 족발집의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는 족발이 요리 완료되었다는 짬뽕의 현물 완료 메시지를 배달앱 서버(200)에 전송한다.
현물 완료 메시지를 전송(S7)하는 현물 완료 과정이 있은 후, 배달앱 서버(200)가, 현물 주문한 배달앱 가맹점으로부터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배달 주문 요청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 배달앱 회원이 주문한 현물 완료된 배달앱 가맹점의 주소가 포함된 배달 리스트를 생성(S8)하여 배달 대행 서버(400)에 전송(S9)하여 배달 대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달 대행 요청 과정을 가진다. 또한 배달 대행 요청 과정이 있은 후, 배달앱 서버(200)는, 배달이 출발될 것임을 배달앱 회원 단말기(100)에 통보(S10)할 수 있다. 따라서 배달앱 회원은 배달이 출발했다는 배달 출발 사실을 알 수 있게 된다.
배달 리스트를 생성(S8)하여 배달 대행 서버(400)에 전송(S9)하는 배달 대행 요청 과정은, 예컨대, 꽃집의 국화꽃과 장미꽃 포장이 완료되었다는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배달앱 서버(200)는, 배달 주문 요청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 꽃집의 배달앱 가맹점 주소 및 연락처가 포함된 배달 리스트를 생성하여 배달 대행 서버(400)에 전송한다.
또한 배달앱 회원이 복수의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들에 대한 배달 주문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즉,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이 있을 때는, 배달 대행 요청 과정은, 현물 주문한 모든 배달앱 가맹점으로부터 현물 완료 메시지를 모두 수신한 경우에만,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 배달앱 회원이 주문한 현물 완료된 각각의 배달앱 가맹점의 주소가 포함된 배달 리스트를 배달 대행 서버(400)에 전송하여 배달 대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컨대, 중국집으로부터 짬뽕이 요리되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짬뽕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국수집으로부터 칼국수가 요리되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칼국수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족발집으로부터 족발이 요리되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족발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여, 모든 주문 음식이 현물로서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각 배달앱 가맹점으로부터 모두 수신한 경우에만 배달 리스트를 배달 대행 서버(400)에 전송한다. 배달앱 회원이 요청한 주문 음식 중에 어느 하나라도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배달 대행 서버(400)에 배달 리스트를 전송하지 않는다.
배달 대행 서버(400)는, 배달 리스트를 저장(S11)한 후, 배달 리스트를 배달원이 소지한 단말기(스마트폰)에 중계 전송(S12)하여 배달앱 가맹점을 돌며 음식을 모두 수령하여, 배달앱 회원에게 배달하도록 한다. 예컨대, 배달 리스트를 참조하여 배달원을 시켜 중국집에서 짬뽕을 수령하고, 국수집에서 칼국수를 수령하고, 족발집에서 족발을 수령하여 배달앱 회원에게 배달하도록 요청한다. 따라서 배달앱 회원은, 짬뽕, 칼국수, 및 족발을 각각 개별적으로 수령하지 않고 한 명의 배달원으로부터 주문한 모든 음식을 일시에 수령할 수 있다.
배달원으로부터 배달 완료 사실을 통보받으면, 배달 대행 서버(400)는 배달앱 서버(200)에게 배달 완료 사실을 통보(S12)한다.
한편, 배달앱 서버(200)가 배달앱 대행 서버에 배달 대행 요청을 하는 경우, 복수의 배달 대행자가 위치한 배달 대행점 주소를 파악하여,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를 가장 가까운 배달 대행자가 운영하는 배달 대행 서버(400)에 배달 리스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서울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제1배달 대행점, 서울 서초구 반포동에 위치한 제2배달 대행점, 제4배달 대행점, 및 제7배달 대행점, 서울 노원구 상계동에 위치한 제3배달 대행점 및 제6배달 대행점이 위치한 경우,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이 역삼동에 살고 있는 사람이라면, 역삼동에 위치한 제1배달 대행점에 배달 리스트를 전송한다.
또한, 배달앱 서버(200)는, 배달 주문 요청한 배달앱 회원과, 배달 주문 요청한 배달앱 회원을 추천한 추천인에게 각각 포인트를 적립시켜 준다. 따라서 배달이 이루어질 때마다 해당 배달앱 회원에게는 포인트가 적립되어,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포인트 적립은 배달앱 회원뿐만 아니라 배달앱 회원 가입을 권유한 추천인들에게도 다단계 형태로 포인트가 지급될 수 있다. 포인트는, 설정된 적립 비율대로 포인트가 적립되는데, 예컨대, 적립 비율이 2%라 할 때 주문 금액이 10,000원인 경우, 200 포인트(point)가 적립될 수 있다. 포인트 적립이 배달앱 회원뿐만 아니라 배달앱 회원 가입을 권유한 추천인들에게도 다단계 형태로 포인트가 지급되는 경우에는, 추천인에게 0.5%의 적립 비율로 적립되며, 추천인을 추천한 상위 추천인에게 0.2%의 적립 비율로 적립될 수 있다.
한편, 배달 주문 과정에서, 한 곳의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해서만 배달 주문이 요청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달 대행점을 거치지 않고 배달 가맹점으로 하여금 직접 배달하도록 요청하는 배달 요청 메시지를 배달앱 서버(200)가 배달앱 가맹점 서버(300)에 전송(S101)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배달앱 회원 단말기 200:배달앱 서버
300:배달앱 가맹점 서버 400:배달 대행 서버
210: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220:배달 대행점 정보 데이터베이스
230:배달 리스트 생성부 240:배달 대행 요청부
250:배달앱 통신부

Claims (10)

  1. 배달앱 서버가, 주문대기방을 개설하여 배달앱 가맹점에서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있는 배달앱 회원들로부터 상기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을 상기 주문대기방을 통해 주문받는 배달 주문 과정;
    상기 배달 주문을 요청한 배달 주문자의 인원이 설정된 기준 인원을 초과하거나 배달 주문된 주문 금액이 설정된 기준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달앱 서버가, 상기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요청된 배달에 대한 현물 준비 주문을 각 배달앱 가맹점 서버에 전송하는 현물 주문 과정;
    상기 배달앱 가맹점 서버가, 상기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요청된 현물의 준비가 완료되면 현물 완료 메시지를 상기 배달앱 서버에 전송하는 현물 완료 과정; 및
    상기 배달앱 서버가, 현물 주문한 배달앱 가맹점으로부터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 배달앱 회원이 주문한 현물 완료된 배달앱 가맹점의 주소가 포함된 배달 리스트를 배달 대행 서버에 전송하여 배달 대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달 대행 요청 과정;
    을 포함하는 배달앱 주문 및 배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달 주문 과정은,
    한 곳의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동일한 상품에 대하여 상기 주문대기방을 통해 주문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앱 주문 및 배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달 주문 과정은,
    복수의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서로 다른 상품에 대하여 상기주문대기방을 통해 각각 주문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앱 주문 및 배달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달 대행 요청 과정이 있은 후,
    상기 배달앱 서버는, 배달이 출발될 것임을 배달앱 회원 단말기에 표시된 주문대기방을 통해 통보하는 배달앱 주문 및 배달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달 주문 과정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이 배달앱 서버에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현물 주문 과정은, 각 배달앱 가맹점마다 주문된 현물을 각각 별도로 배달앱 가맹점 서버에 요청하며,
    상기 현물 완료 과정은, 각각의 배달앱 가맹점 서버가 현물 완료 메시지를 상기 배달앱 서버에 각각 전송하며,
    상기 배달 대행 요청 과정은, 현물 주문한 모든 배달앱 가맹점으로부터 현물 완료 메시지를 모두 수신한 경우에만,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 배달앱 회원이 주문한 현물 완료된 각각의 배달앱 가맹점의 주소가 포함된 배달 리스트를 배달 대행 서버에 전송하여 배달 대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달앱 주문 및 배달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배달 대행 요청 과정은,
    복수의 배달 대행자가 위치한 배달 대행점 주소를 파악하여,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를 가장 가까운 배달 대행자가 운영하는 배달 대행 서버에 상기 배달 리스트를 전송하는 배달앱 주문 및 배달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달 대행 요청 과정이 있은 후,
    상기 배달앱 서버는, 배달 주문 요청한 배달앱 회원과, 배달 주문 요청한 배달앱 회원을 추천한 추천인에게 각각 포인트를 적립시켜 주는 배달앱 주문 및 배달 방법.
  8. 주문대기방을 개설하여 배달앱 가맹점에서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있는 배달앱 회원들로부터 상기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을 상기 주문대기방을 통해 주문받으며, 상기 배달 주문을 요청한 배달 주문자의 인원이 설정된 기준 인원을 초과하거나 배달 주문된 주문 금액이 설정된 기준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요청된 현물에 대한 주문을 배달앱 가맹점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배달앱 가맹점 서버로부터 현물 주문된 현물의 준비가 완료됨을 알리는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 배달앱 회원이 주문한 현물 완료된 배달앱 가맹점의 주소가 포함된 배달 리스트를 배달 대행 서버에 전송하여 배달 대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달앱 서버;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로그인되어 배달앱 가맹점에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을 상기 주문대기방을 통해 주문하는 배달앱 회원 단말기;
    상기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요청된 현물의 준비가 완료되면 현물 완료 메시지를 상기 배달앱 서버에 전송하는 배달앱 가맹점 서버;
    상기 배달앱 서버로부터 배달 리스트를 수신하는 배달 대행 서버; 및
    상기 배달앱 회원 단말기, 배달앱 서버, 및 배달앱 가맹점 서버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유무선 통신망;
    을 포함하는 배달앱 주문 및 배달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배달앱 서버는,
    주문대기방을 개설하여 배달앱 가맹점에서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있는 배달앱 회원들로부터 상기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을 받는 주문대기방을 생성하는 주문대기방 생성부;
    배달앱 회원들의 주소, 연령, 성별, 연락처, 및 포인트를 포함한 배달앱 회원 정보가 배달앱 회원별로 저장된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배달 대행 서버를 운영하는 배달 대행점의 주소 및 연락처를 각 배달 대행점별로 저장된 배달 대행점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주문대기방을 통해 배달 주문을 요청한 배달 주문자의 인원이 설정된 기준 인원을 초과하거나 배달 주문된 주문 금액이 설정된 기준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 배달앱 가맹점에 현물 준비 요청부;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 배달앱 회원이 주문한 현물에 대한 주문이 전달된 배달앱 가맹점의 주소가 포함된 배달 리스트를 생성하는 배달 리스트 생성부;
    현물 주문한 배달앱 가맹점으로부터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만, 상기 배달 대행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배달 대행점 주소를 파악한 후,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 가장 가까운 배달 대행자가 운영하는 배달 대행 서버에 상기 배달앱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배달 리스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배달 대행 요청부; 및
    배달앱 회원으로부터 요청된 현물에 대한 주문을 배달앱 가맹점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배달 대행 서버에 상기 배달 리스트를 전송하며, 상기 배달앱 가맹점 서버로부터 상기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배달앱 통신부;
    를 포함하는 배달앱 주문 및 배달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배달 대행 요청부는,
    상기 배달앱 회원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배달앱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현물에 대한 배달 주문이 요청되는 경우,
    각 배달앱 가맹점마다 주문된 현물을 각각 별도로 배달앱 가맹점 서버에 요청하며, 각각의 배달앱 가맹점 서버로부터 현물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며, 현물 주문한 모든 배달앱 가맹점으로부터 현물 완료 메시지를 모두 수신한 경우에만, 배달 주문한 배달앱 회원의 주소 및 연락처, 배달앱 회원이 주문한 현물 완료된 각각의 배달앱 가맹점의 주소가 모두 포함된 배달 리스트를 배달 대행 서버에 전송하여 배달 대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달앱 주문 및 배달 방법.
KR1020150032769A 2015-03-09 2015-03-09 배달앱 주문 및 배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1090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769A KR20160109076A (ko) 2015-03-09 2015-03-09 배달앱 주문 및 배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769A KR20160109076A (ko) 2015-03-09 2015-03-09 배달앱 주문 및 배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076A true KR20160109076A (ko) 2016-09-21

Family

ID=57080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769A KR20160109076A (ko) 2015-03-09 2015-03-09 배달앱 주문 및 배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9076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757A (ko) 2018-06-25 2020-01-03 유승우 심부름 연결 플랫폼 서비스 방법
KR102097763B1 (ko) * 2019-01-07 2020-04-06 주식회사 엠제이 스마트폰을 이용한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5301A (ko) * 2018-12-18 2020-06-26 이지원 배달음식에 관한 발렌타인 메신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200102221A (ko) * 2019-02-21 2020-08-31 이성웅 도매/소매/구매대행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45473A (ko) * 2020-05-25 2021-12-02 임익종 비대면 방식의 리워드 적립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7270A (ko) 2020-07-10 2022-01-18 딜리온그룹 주식회사 복수의 배달 대행사에 대한 배달콜 분배 시스템 및 방법
KR102370585B1 (ko) * 2020-09-18 2022-03-04 최효상 배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37727A (ko) * 2020-09-18 2022-03-25 주식회사 에스엠식품 쇼핑포인트 공유 시스템 및 공유방법
KR102390763B1 (ko) * 2021-05-24 2022-04-26 주식회사 한국페이즈서비스 모바일 상품권 기반의 주문 대행 장치 및 방법
KR20220123929A (ko) 2021-03-02 2022-09-13 (주)엔조이소프트 배달대행앱 연동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8102A (ko) 2011-10-08 2013-04-17 주식회사 이지딜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음식 배달 업체에 대한 검색, 주문, 결제 및 위치 추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8102A (ko) 2011-10-08 2013-04-17 주식회사 이지딜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음식 배달 업체에 대한 검색, 주문, 결제 및 위치 추적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757A (ko) 2018-06-25 2020-01-03 유승우 심부름 연결 플랫폼 서비스 방법
KR20200075301A (ko) * 2018-12-18 2020-06-26 이지원 배달음식에 관한 발렌타인 메신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097763B1 (ko) * 2019-01-07 2020-04-06 주식회사 엠제이 스마트폰을 이용한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02221A (ko) * 2019-02-21 2020-08-31 이성웅 도매/소매/구매대행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45473A (ko) * 2020-05-25 2021-12-02 임익종 비대면 방식의 리워드 적립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7270A (ko) 2020-07-10 2022-01-18 딜리온그룹 주식회사 복수의 배달 대행사에 대한 배달콜 분배 시스템 및 방법
KR102370585B1 (ko) * 2020-09-18 2022-03-04 최효상 배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37727A (ko) * 2020-09-18 2022-03-25 주식회사 에스엠식품 쇼핑포인트 공유 시스템 및 공유방법
KR20220123929A (ko) 2021-03-02 2022-09-13 (주)엔조이소프트 배달대행앱 연동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90763B1 (ko) * 2021-05-24 2022-04-26 주식회사 한국페이즈서비스 모바일 상품권 기반의 주문 대행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9076A (ko) 배달앱 주문 및 배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533199B1 (ko) 인터넷을 통하여 이용자가 선택한 식재료로 요리한 음식을 주문하는 방법
US9495701B2 (en) Retail venue ordering system and method
JP2014029643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4141395A1 (ja) 発注情報制御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
JP6277098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40118655A (ko) 전자 메뉴판을 이용한 전자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7631A (ko) 포인트 기부 시스템 및 기부 방법
WO2002073486A1 (fr) Systeme de commande sur internet
JP2019139671A (ja) プレゼント提供支援装置、プレゼント提供支援装置の管理サーバー、およびプレゼント提供方法
TWI687883B (zh) 網路購物的快速訂購方法及購物平台伺服器
KR101553336B1 (ko)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JP6113896B1 (ja) 販売支援システムおよび販売支援装置並びに販売支援方法
JP6362139B2 (ja) 来店時リクエスト受付システム及び来店時リクエスト受付方法
KR20160064302A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9179517A (ja) 配信システム、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258620A (ja) 売り切り商品の販売促進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87202A (ko) 사용자 위치기반 구매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80341449A1 (en) Display control method, order management method, display contro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JP2015026133A (ja) 情報処理装置、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022721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주문옵션 관리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7189295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170153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7204968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047140A1 (en) A stoc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