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912A - Apparatus for stylus pe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tylus p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912A
KR20160096912A KR1020150018577A KR20150018577A KR20160096912A KR 20160096912 A KR20160096912 A KR 20160096912A KR 1020150018577 A KR1020150018577 A KR 1020150018577A KR 20150018577 A KR20150018577 A KR 20150018577A KR 20160096912 A KR20160096912 A KR 20160096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lus pen
button
tag
unit
pe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5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이턴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이턴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이턴틴
Priority to KR1020150018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6912A/en
Priority to PCT/KR2016/001258 priority patent/WO2016126124A1/en
Publication of KR20160096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91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ylus pen apparatus and, more specifically, to a stylus pen apparatus, sending a signal by a passive method or an active method using nonutility genera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ylus pen apparatus includes: a tag unit disposed inside a housing of a stylus pen and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a button unit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and turned on/off, and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펜 장치{APPARATUS FOR STYLUS PEN}[0001] APPARATUS FOR STYLUS PEN [0002]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시브 방식 또는 자가 발전을 이용한 액티브 방식으로 신호를 발신하는 스타일러스 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ylus pe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ylus pen device that emits a signal in an active mode using a passive method or a self-generating method.

디지타이저(Digitizer)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사용되는 입력 장치의 한 종류로서, 매트릭스 형태의 전극 구조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펜 또는 커서를 움직이면 매트릭스 상의 X, Y 좌표를 읽어 입력 장치의 위치 신호를 전달하고, 그에 해당되는 명령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A digitizer is a type of input device used in a display device and includes a matrix electrode structure. When a user moves a pen or a cursor, it reads X and Y coordinates on a matrix to transmit a position signal of the input device, And executes the corresponding command.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타이저는 단순히 입력 신호를 인가 받아 선을 긋는 기능 이상의 다양한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으로 하버링을 이용한 예비 입력 기능을 내장하고 있다. The digitiz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merely inputting an input signal and drawing a line, and typically includes a preliminary input function using a harbor ring.

하버링을 이용한 예비 입력 기능은 펜을 디지타이저 화면 상에 터치하지 않고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펜의 근접을 인식하고 있다가 펜의 버튼이 눌러지는 경우 화면 상에 메뉴 화면을 현출하여, 입력을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The preliminary input function using the harbor ring recognizes the proximity of the pen while the pen is not touched on the digitizer screen, and when the button of the pen is pressed, the menu screen is displayed on the screen, .

기존의 EMR 방식의 디지타이저에서는 펜의 버튼을 눌렀을 때, 펜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킴으로써 공진 파형에 변화를 주고, 이를 휴대 단말의 EMR 센서가 감지하여 펜의 버튼이 눌러졌음을 인식하는 구조로 동작한다. In the conventional EMR type digitizer, when the button of the pen is pressed, the resonance waveform is changed by changing the impedance of the pen, and the EMR sensor of the portable terminal senses that the button of the pen is pressed.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EMR 센서가 반드시 형성되어 있어야만 동작이 가능하며, 다른 형태의 디지타이저, 특히 전원이 들어가지 않는 Passive 형 디지타이저에서는 휴대 단말 쪽으로 펜의 버튼이 눌러졌음을 알려 줄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다.
However, this method can be operated only when the EMR sensor is formed. Another type of digitizer, in particular, a passive type digitizer that does not receive power, has a separate means for indicating that the pen button is pressed toward the portable terminal need.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에 대한 버튼 입력을 이용하여 패시브 방식 또는 자가 발전을 이용한 액티브 방식으로 신호를 발신하는 것이 가능한 스타일러스 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ylus pen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 signal in an active manner using a passive method or a self-generating method using a button input to the stylus pen.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 장치는 스타일러스 펜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개폐부를 포함하는 태그부 및 하우징 외면에 배치되어 온(On)/오프(Off)되고, 이에 따라 개폐부를 개폐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tylus pe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side a housing of a stylus pen and includes a tag portion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nd a button portion that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is turned on and off, .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 장치는 스타일러스 펜의 하우징 외면에 배치되어 온(On)/오프(Off)되는 버튼부 및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버튼부를 온 시키는 외력을 전달 받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를 이용하여 태그 신호를 전송하는 태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ylus pen device including a button portion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a housing of a stylus pen and turned on / off, And a tag unit for transmitting the tag signal using the converted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 장치는 버튼 입력을 통하여 코일 안테나에 대한 개폐를 수행하여, 별도의 전원이 들어가지 않는 패시브형 디지타이저에 있어서 스타일러스 펜의 버튼 입력 상태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The stylus pe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sive type digitizer which performs opening and closing of a coil antenna through a button input and does not include a separate power source, thereby enabling various functions to be implemented according to a button input state of the stylus pen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타일러스 펜 장치에 배치된 버튼 입력을 이용하여 자가 발전을 수행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태그에서 송신하는 신호의 크기를 단말이 인식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self-power generation is performed by using the button input disposed in the stylus pen device, thereby ensuring that the size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ag of the stylus pen is large enough for the terminal to recognize .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기장 변화를 이용한 NFC 기능 구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부와 단말 간의 통신 방식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압전 소자를 적용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NFC function implementation using a magnetic field chang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tag unit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tylus pe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tylus pe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tylus pe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to which the piezoelectric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hereof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Quot;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 as used herein, unless the reci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 / Or added.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자기장 변화를 이용한 NFC 기능을 설명한다.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NFC function using the magnetic field chan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최근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는 자체적으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장착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NFC 안테나를 내장하고 있다. Recently,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re equipped with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function and have built-in NFC antenna.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측은 Active로 동작하는 Reader/Writer(리더기)와 코일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태그(Tag)는 Passive로 동작하는 코일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general,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reader / writer (reader) that operates as an active unit and a coil antenna, and a tag includes a coil antenna that operates in a passive manner.

즉, 리더기와 태그는 각각 코일형 안테나를 내장하고 있으며, 리더기 안테나와 태그 안테나가 근접했을 때, 리더기에 내장된 코일과 태그의 코일간에 자기장에 의한 유도성 결합이 형성되어, 자기장 변화를 통해 근접한 두 기기간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That is, the reader and the tag each include a coil antenna. When the reader antenna and the tag antenna are close to each other, an inductive coupling due to a magnet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coils embedded in the reader and the tag, And performs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devices.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의 특성 ID를 내장한 태그(110)를 스타일러스 펜 장치 내에 구현함으로써, 휴대 단말(300)과 통신을 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NFC를 신호 전송 수단의 일례로 제시하나, 블루투스 등 휴대폰에 내장된 다양한 무선통신 기술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며, NFC의 범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300 by implementing the tag 110 having the characteristic ID of the stylus pen in the stylus pen devic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NFC is shown as an example of signal transmission means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ose skilled in the art, but it is possible to apply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built in mobile phones such as Bluetooth and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tylus pe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 장치는 스타일러스 펜의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고, 개폐부를 포함하는 태그부(110) 및 하우징(10) 외면에 배치되어 온(On)/오프(Off)되고, 이에 따라 개폐부를 개폐시키는 버튼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tylus pe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of the stylus pen and includes a tag 110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an on / And a button unit 120 for opening / closing the opening / closing unit.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 장치는 Passive NFC 방식의 신호 발신을 수행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NFC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휴대 단말에 내장된 다양한 무선통신 기술 중 하나에 해당할 뿐, 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stylus pe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signal transmission of a passive NFC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NFC corresponds to one of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built in a mobile terminal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그부(110)는 코일 안테나(112)를 포함하고, 코일 안테나(112)는 개폐부의 개방 및 폐쇄에 따라 오픈 및 클로징 된다. 3, the tag unit 1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il antenna 112, and the coil antenna 112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NFC를 이용한 통신이 수행되기 위하여, 태그부(110)에 포함되는 코일 안테나(112)는 폐곡선을 형성하여야 한다. In order to perform communication using NFC, the coil antenna 112 included in the tag unit 110 must form a closed curv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일 안테나(112)는 closed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하우징(10) 내에 배치되며, 스타일러스 펜의 버튼부(120)에 대한 입력에 따라 폐쇄되는 개폐부에 의하여, 완전한 클로즈드 안테나를 구성하여, 휴대 단말의 리더기와 커플링(coupling)되는 것이다. The coil antenna 11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housing 10 in a state where it is not closed an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closed according to the input to the button part 120 of the stylus pen, And the antenna is configured to be coupled with the reader of the portable terminal.

즉, 버튼부(120)는 누름 또는 슬라이딩 방식에 따라 온/오프 되고, 버튼부(120)가 온 되는 경우, 태그부(110)의 개폐부는 폐쇄되어 코일 안테나(112)를 폐곡선으로 형성한다. That is, when the button unit 120 is turned on, the button unit 120 is turned on / off according to a pushing or sliding manner, and the opening / closing unit of the tag unit 110 is closed to form the coil antenna 112 as a closed curve.

태그부(110)의 코일 안테나(112)가 폐곡선으로 형성되여 NFC 통신을 위하여 준비되는 것과 같이, 이에 매칭되는 휴대 단말의 리더기도 NFC 통신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The coil antenna 112 of the tag unit 110 is formed as a closed curve and is prepared for NFC communication, so that the reader of the portable terminal matched with the coil antenna 112 must also activate the NFC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의 리더기는 스타일러스 펜이 휴대 단말의 삽입홈으로부터 탈거되는 경우 또는 휴대 단말에 대한 펜 사용 모드 선택에 따라 활성화됨에 따라 NFC 통신이 활성화되어, 폐곡선을 형성한 코일 안테나(112)와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ylus pen is detached from the insertion groove of the portable terminal or activa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pen use mode for the portable terminal, the reader of the portable terminal activates NFC communication to form a closed curve And performs communication with one coil antenna 112.

이 때, 태그부(110)는 자신의 ID등이 포함된 정보를 휴대 단말 측으로 발신하게 되고, 휴대 단말은 이러한 신호를 수신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버튼부(120)에 대한 입력이 이루어졌음을 인지하고, 관련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tag unit 110 transmits information including its ID and the like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s such a signal and recognizes that the input to the button unit 120 of the stylus pen has been performed , And perform related functions.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부(120)는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하고, 기설정된 매칭에 따른 각 버튼의 온/오프에 의하여 코일 안테나(112)의 개폐 및 태그부(110)에 포함된 IC의 인덱스 핀에 대한 온/오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and by opening / closing the coil antenna 112 by turning on / off each button according to predetermined matching, It is preferable to perform on / off of the IC included in the index pin.

이에 따라, 각 버튼이 눌릴 때 태그부(110)의 코일 안테나(112)가 클로즈드 되어 폐곡선을 형성하고, 각 버튼에 따른 서로 다른 ID값이 송출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각 버튼에 다양한 기능을 부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ly, when each button is pressed, the coil antenna 112 of the tag unit 110 is closed to form a closed curve, and different ID values according to the respective buttons can be transmitted. Therefore, It is possible.

휴대 단말의 NFC 시스템의 송수신 전력이 약하거나, 스타일러스 펜의 구조적 한계(예: 길이, 둘레 등)에 따라 내부의 NFC 안테나 크기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없는 경우, 휴대 단말 측과 스타일러스 펜의 각 코일 간에 커플링이 발생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커플링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스타일러스 펜의 태그에서 발신하는 신호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휴대 단말 측에서 태그를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Wh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wer of the NFC system of the portable terminal is weak, or the internal NFC antenna size can not be made sufficiently large according to the structural limitations (e.g., length, circumference, etc.) of the stylus pen, There is a problem that coupling does not occur, and even if coupling occurs, if the size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tylus pen is too small, the portable terminal can not recognize the tag.

이러한 경우에는 스타일러스 펜의 태그에서 송신하는 발신 신호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해주어야 한다. In this case, the size of the transmiss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ag of the stylus pen should be sufficiently large.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 장치는 기본적으로 패시브 형태이므로, 신호 발신을 위한 별도의 전원은 사용하지 않음이 원칙이다. However, since the stylus pe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passive type, a separate power source for signal transmission is not used.

따라서, 전원 공급을 위하여는 별도의 자가 발전 전원을 사용하며, 이에 대하여는 아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refore, a separate self-generated power source is used for power supply,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압전 소자를 적용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4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tylus pe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tylus pe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using the piezoelectr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 장치는 스타일스 펜의 하우징(10) 외면에 배치되어 온(On)/오프(Off)되는 버튼부(120) 및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버튼부(120)를 온 시키는 외력을 전달 받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를 이용하여 태그 신호를 전송하는 태그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4, the stylus pe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part 120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of the stylus pen and turned on / off, And a tag unit 110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tag unit 110 and converts an external force to turn on the button unit 120 into electrical energy and transmits the tag signal using the converted electrical energy.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을 휴대 단말의 화면 근처에 가져간 후, 누름 또는 슬라이딩 방식에 따라 버튼부(120)에 대하여 외력을 인가한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user brings the stylus pen near th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utton unit 120 according to the pushing or sliding manner.

버튼부(120)는 이러한 외력을 받아 태그부(110)로 전달하고, 전기 발생부(130)는 펜의 버튼을 누르는 힘 또는 버튼을 슬라이딩 시키는 힘을 이용하여 순간적인 에너지를 발생(Energy Generation, Energy Harvestion)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 내부의 NFC 안테나를 통해 태그 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The button unit 120 receives the external force and transmits the external force to the tag unit 110.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130 generates energy instantaneously using the force of pressing the button of the pen or the force of sliding the button, Energy Harvestion), and the tag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NFC antenna inside the stylus pe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발생부(130)는 외력을 전달 받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전기 에너지 발생부(131)와, 생성된 전류를 정류시키는 정류 회로 및 전류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정류 회로를 통하여 정류된 전류를 저장하고, 저장한 전류를 안테나로 전달하는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1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 energy generating unit 131 for receiving an external force and converting it into electric energy, a rectifying circuit for rectifying the generated current, And a capacitor for storing the rectified current through the rectifying circuit and transmitting the stored current to the antenna.

즉, 버튼부(120)에 대한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이를 통하여 발생되는 전류는 정류되고, 획득된 전류는 캐패시터에 저장된 후, 또는 캐패시터를 거치지 아니하고 태그부(110)의 안테나에 전달되어 안테나가 구동된다. That i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utton unit 120, the current generated through the button unit 120 is rectified, and the obtained current is transmitted to the antenna of the tag unit 110 after being stored in the capacitor or through the capacitor, .

버튼 입력을 통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방식의 일례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전기 에너지 발생부(131)는 외력에 따른 압력에 의하여 전압을 발생시키는 소형 압전 소자(piezo, 132)를 사용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electric energy generating unit 131 uses a small piezo-electric element (piezo) 132 for generating a voltage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이 때 발생되는 전원으로 의하여, 스타일러스 펜은 액티브 하게 신호를 발생시킨다.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과 휴대 단말의 NFC 안테나 사이의 거리는 통상 10cm 이내가 되므로, 스타일러스 펜의 신호 발신을 위한 전원의 크기는 그다지 크지 않더라도 그 구현이 가능하다. With the power generated at this time, the stylus pen actively generates a signal. When the user uses the stylus p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ylus pen and the NFC antenna of the portable terminal is usually within 10 cm, so that the size of the power source for signal transmission of the stylus pen is not so large.

즉, 스타일러스 펜의 버튼부(120)에 대한 압력을 전원으로 순간적으로 전환함으로써, 순간적인 액티브 송신 동작을 일으키는 것이 가능하다. That is, by momentarily switching the pressure on the button portion 120 of the stylus pen to the power source, it is possible to cause an instantaneous active transmission opera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 장치는 외견상으로는 패시브 방식의 펜이나, 자가 발전 방식을 통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신호를 휴대 단말 측으로 전송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The stylus pe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a signal of the stylus pen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passive type pen or the self generation method apparently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식은 NFC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RF 통신 방식이 적용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순간적으로 휴대 단말의 리더기와 스타일러스 펜에 내장된 태그부 사이를 액티브-액티브 통신으로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FC, but a general RF communication method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stantaneously drive between the reader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tag unit incorporated in the stylus pen by active-active communication.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스타일러스 펜 하우징 110: 태그부
111: IC 112: 코일 안테나
120: 버튼부 130: 전기 발생부
131: 전기 에너지 발생부 132: 압전 소자
300: 휴대 단말
10: stylus pen housing 110: tag portion
111: IC 112: coil antenna
120: Button part 130: Electric generating part
131: electric energy generating part 132: piezoelectric element
300:

Claims (10)

스타일러스 펜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개폐부를 포함하는 태그부; 및
상기 하우징 외면에 배치되어 온(On)/오프(Off)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개폐부를 개폐시키는 버튼부
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장치.
A tag portion disposed inside the housing of the stylus pen and including an opening / closing portion; And
And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is turned on / off so that the button porti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부는 코일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안테나는 상기 개폐부의 개방 및 폐쇄에 따라 오픈 및 클로징 되는 것
인 스타일러스 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ag portion includes a coil antenna, and the coil antenna is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n stylus pe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누름 또는 슬라이딩 방식에 따라 온/오프 되고, 상기 버튼부가 온 되는 경우, 상기 태그부의 개폐부는 폐쇄되어 상기 코일 안테나를 폐곡선으로 형성하는 것
인 스타일러스 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utton portion is turned on / off according to a pushing or sliding manner, and when the button portion is turned on,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of the tag portion is closed to form the coil antenna as a closed curve
In stylus pe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부는 상기 코일 안테나가 클로징되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휴대 단말의 삽입홈으로부터 탈거되는 경우 또는 상기 휴대 단말에 대한 펜 사용 모드 선택에 따라 활성화되는 상기 휴대 단말의 리더기와 통신하는 것
인 스타일러스 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ag unit may communicate with the reader of the portable terminal activated when the stylus pen is detached from the insertion groove of the portable terminal or when the pen use mode is selected for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coil antenna is closed
In stylus pe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복수 개의 버튼을 포함하고, 기설정된 매칭에 따른 각 버튼의 온/오프에 의하여 상기 코일 안테나의 개폐 및 상기 태그부에 포함된 IC의 인덱스 핀에 대한 온/오프를 수행하는 것
인 스타일러스 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utt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s, and the on / off of the coil antenna is performed by turning on / off each button according to predetermined matching, and on / off of the index pin of the IC included in the tag unit
In stylus pen device.
스타일러스 펜의 하우징 외면에 배치되어 온(On)/오프(Off)되는 버튼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부를 온 시키는 외력을 전달 받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를 이용하여 태그 신호를 전송하는 태그부
를 포함하는 스타일러스 펜 장치.
A button portion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stylus pen and turned on / off; And
A tag unit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receives an external force for turning on the button unit, converts the received external force into electric energy,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누름 또는 슬라이딩 방식에 따라 상기 외력을 받아 이를 상기 태그부로 전달하는 것
인 스타일러스 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button unit receives the external force according to a pushing or sliding method and transmits the external force to the tag unit
In stylus pen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부는 상기 외력을 전달 받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전기 에너지 발생부와, 생성된 전류를 정류시키는 정류 회로 및 상기 전류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
인 스타일러스 펜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ag unit includes an electric energy generating unit that receives the external force and converts it into electric energy, a rectifying circuit that rectifies the generated current, and an antenna that is driven by using the current
In stylus pen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에너지 발생부는 상기 외력에 따른 압력에 의하여 전압을 발생시키는 압전 소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lectric energy generating portion is a piezoelectric element generating a voltage by a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force
And the stylus pen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회로를 통하여 정류된 전류를 저장하고, 저장한 전류를 상기 안테나로 전달하는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스타일러스 펜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capacitor for storing the rectified current through the rectifying circuit and transmitting the stored current to the antenna
In stylus pen device.
KR1020150018577A 2015-02-06 2015-02-06 Apparatus for stylus pen KR2016009691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577A KR20160096912A (en) 2015-02-06 2015-02-06 Apparatus for stylus pen
PCT/KR2016/001258 WO2016126124A1 (en) 2015-02-06 2016-02-04 Stylus pe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577A KR20160096912A (en) 2015-02-06 2015-02-06 Apparatus for stylus p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912A true KR20160096912A (en) 2016-08-17

Family

ID=5656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577A KR20160096912A (en) 2015-02-06 2015-02-06 Apparatus for stylus pe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96912A (en)
WO (1) WO2016126124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1487B2 (en) 2018-12-28 2021-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pen input device with multiple input button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5115A1 (en) * 2001-11-22 2003-05-22 Taylor Brian Stylus input device utilizing a permanent magnet
KR20120092262A (en) * 2011-02-11 2012-08-21 하연태 Touch pen
KR102040857B1 (en) * 2012-07-17 2019-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Function Operation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Pen recognition panel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065703B1 (en) * 2013-02-07 2020-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A touch pen,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the touch pe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40106904A (en) * 2013-02-27 2014-09-04 김금철 A touch pen that has a function of NFC and a NFC chip module and a switching function of NFC on/off and a hole/ring to connect to a strap/ring and a function of fold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61487B2 (en) 2018-12-28 2021-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pen input device with multiple input button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6124A1 (en)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78900B (en) Wireless charging system, chip and wireless charging circuit
KR102369162B1 (en) Mobile device having transmitter for wireless charging of stylus pen
CN105474505A (en) Wireless charg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11490223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notification based on distance of remote input device
KR101789398B1 (en)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ly controlling a medical device
US20240168572A1 (en) Stylus and electronic device assembly
EP3035554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s (nfc)-based active stylus
KR20150049312A (en) Electronic Apparatus, Stylus Pen, Method for Providing of Tactile Feedback
WO20151034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devices
US10990200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en input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10349553A1 (en) Digital pen for charging battery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160096912A (en) Apparatus for stylus pen
EP3588241A1 (en) An add-on with wireless remote trigger for mobile computers
CN204102178U (en) A kind of NFC label with passive switch
KR20160096913A (en) Apparatus of digitizer
KR20140022305A (en) Stylus pen for mobile device
KR20210016900A (en) Stylus pen and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stylus pe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KR102348410B1 (en) Electromagnetic pen
WO2013132850A1 (en) Electrical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and server device for electrical appliance
US2024002814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tylus pen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20240097471A1 (en) Coexistence with Wireless Power System
KR102086857B1 (en) Affixal Device for One Time Code by using Sound
KR20210157722A (en) Electronic device wirelessly receiving pow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KR102059200B1 (en) Cutting type Touch Device
KR102059201B1 (en) Adhesive type Touch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