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904A - A touch pen that has a function of NFC and a NFC chip module and a switching function of NFC on/off and a hole/ring to connect to a strap/ring and a function of folding - Google Patents

A touch pen that has a function of NFC and a NFC chip module and a switching function of NFC on/off and a hole/ring to connect to a strap/ring and a function of fo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904A
KR20140106904A KR1020130021167A KR20130021167A KR20140106904A KR 20140106904 A KR20140106904 A KR 20140106904A KR 1020130021167 A KR1020130021167 A KR 1020130021167A KR 20130021167 A KR20130021167 A KR 20130021167A KR 20140106904 A KR20140106904 A KR 20140106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c
touch pen
function
antenn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1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금철
Original Assignee
김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금철 filed Critical 김금철
Priority to KR1020130021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6904A/en
Publication of KR20140106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90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A touchscreen is a contact type display device, which executes an instruction when a user puts the hand or a special device to a specific instruction portion on a screen. Here, the device touching the touchscreen is called a touch pen. This touch pen is the representative device of a mobile device. And, the use of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function that is a non-contact type local communication method in ′NFC cards′, ′NFC business cards′, ′NFC accessories′, ′NFC characters′, etc. has been increasing. We need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a user in portability by integrating and simplifying the touch pen or an article having the NFC function to the maximum.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ive an NFC communication function that is a non-contact type local communication method consisting of an NFC antenna and an NFC chip to the touch pen in order to integrate and simplify the touch pen that is the representative device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article having the NFC function into one. To achieve the purpose, required is a technique of arranging the NFC chip and the NFC antenna, where a coil rotated in a wide range several times is arranged, in the touch pen having a thin, long and narrow space.

Description

엔에프씨 기능 내지 엔에프씨 칩 모듈 내장 기능 내지 엔에프씨 기능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는 기능 내지 연결끈 또는 링을 연결할 수 있는 구멍 또는 고리를 갖는 기능 내지 자체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접을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터치펜{A touch pen that has a function of NFC and a NFC chip module and a switching function of NFC on/off and a hole/ring to connect to a strap/ring and a function of folding}Function that can turn on or off the function of the NFC function or the NFC chip module or the function of the NFC function or the function that has the hole or the ring that can connect the connection cord or the ring, A touch pen that has a function of NFC and a switching function of NFC on / off and a hole / ring to connect to a strap /

전자기기 등에서 사용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위하여 사용되는 터치펜(touch pen)에 엔에프씨(NFC) 기능이 부여된 터치펜이다.(NFC) function is given to a touch pen used for a touch screen used in an electronic apparatus or the like.

사용자가 화면의 특정한 명령어 부분에 손이나 특수 장치를 갖다 대면 그 명령이 실행되도록 되어 있는 접촉식 디스플레이 장치인 터치스크린(Touch Screen)에서 터치스크린에 갖다 대는 장치를 터치펜(Touch Pen)이라 하는데 이러한 터치펜은 휴대장치의 대표장치이고, 그리고 비접촉 근거리 통신 방식인 엔에프씨(NFC, 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도 'NFC 카드'나 'NFC 명함'이나 'NFC 액세서리'나 'NFC 캐릭터' 등에서 사용이 늘고 있는데 위와 같은 터치펜이나 NFC 기능의 물품들을 최대한 통합 간소화하여 사용자에게 휴대의 편익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휴대장치의 대표격인 터치펜과 NFC 기능을 갖는 물품을 하나로 통합 간소화하기 위하여 터치펜에 NFC 안테나와 NFC 칩(Chip)으로 구성되는 비접촉 근거리 통신방식인 NFC 통신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가늘고 긴 협소한 공간의 터치펜에 NFC 칩과 넓게 여러 번 회전하는 코일(Coil)이 배치될 공간이 필요한 NFC 안테나를 구성하는 기술이 필요하다.A touch pen is a touch screen device that touches a touch screen, which is a contact type display device in which a command is executed when a user places a hand or a special device on a specific command portion of the screen. The touch pen is a representative device of a portable device, and the non-contact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is also increasingly used in an NFC card, an NFC business card, an NFC accessory, or an NFC character In order to simplify the integration of the touch pen, which is a representative of the portable device, and the article having the NFC function, in order to simplify the integration of the touch pen and the NFC function, This is to provide NFC communication function, which is a contactless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ystem composed of NFC antenna and NFC chip (Chip). A pen to touch one of the elongated narrow space NFC chip technology and widely constituting the NFC antenna coil (Coil) are in need of space be arranged to rotate several times, is necessary.

첫째 : 스마트폰과 동반하는 대표적인 휴대물품인 터치펜과 NFC 물품(NFC 카드, NFC 명함, NFC 액세서리, NFC 캐릭터 등)을 하나로 통합한 제품을 개발한다.First: Develop a product that integrates touch pen and NFC goods (NFC card, NFC business card, NFC accessory, NFC character, etc.), which is a typical handheld item accompanying smartphone.

둘째 : 가늘고 긴 협소한 공간의 터치펜에 NFC 기능을 부여한다.Second: It gives NFC function to touch pen with narrow and long space.

셋째 : 스마트폰과 동반 휴대되는 터치펜의 분실 방지와 휴대 편리성을 극대화 한다.Third: To prevent loss of touch pen and carry along with smart phone maximize convenience.

첫째 : 터치펜의 내부에 엔에프씨 칩과 엔에프씨 안테나를 내장하여 터치펜에 엔에프씨 기능을 부여한다.First: The touch pen is equipped with NF-C chip and NF-A antenna inside the touch pen to give the touch pen an NF-function.

둘째 : 터치펜에 엔에프씨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는 단자를 가진 '엔에프씨 칩 모듈'을 내장하고 엔에프씨 안테나 부분은 외부의 별도의 '엔에프씨 안테나 모듈'로 분리하여 좁고 긴 협소한 공간의 터치펜에 엔에프씨 기능을 부여한다.Second: The 'TNC chip module' with the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ENF antenna is built in the touch pen. The ENF antenna part is separated into the external 'ENF antenna module', which is narrow and long, The function of ENF is given.

터치펜에 NFC 기능을 부여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When the NFC function is assigned to the touch pe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첫째 : NFC 물품(NFC 카드, NFC 명함 등)의 기능을 터치펜에 하나로 통합하여 휴대First: By integrating the functions of NFC goods (NFC cards, NFC business cards, etc.) into one touch pen

물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       The number of items can be reduced.

둘째 : NFC 명함 기능이 있는 터치펜은 별도의 NFC 명함을 휴대하지 않고 터치펜Second: Touch pen with NFC business card function does not carry a separate NFC business card,

으로 NFC 명함을 대신할 수 있다.       Can substitute for NFC business cards.

셋째 : 터치펜은 분실할 경우가 많은데 NFC 칩에 사용자의 연락처를 저장해 놓으면Third: The touch pen is often lost. If you save your contact on the NFC chip

터치펜을 회수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retrieving the touch pen.

그리고 터치펜에 'NFC 칩 모듈'을 내장하고 NFC 안테나 부분은 외부의 별도의 NFCAnd 'NFC chip module' is built in the touch pen, and the NFC antenna part is a separate NFC

안테나 모듈로 분리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antenna modul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 터치펜은 가늘고 긴 협소한 공간이기 때문에 NFC 안테나를 구성하기에 매우 어렵고, 그렇다고 터치펜을 크게 하는 것은 전자기기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자기기의 공간을 줄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는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디자인이나 크기 측면에서 치명적인 약점이 될 수 있는데 본 발명과 같이 'NFC 칩 모듈'을 터치펜에 내장하고 'NFC 안테나 모듈'은 별도로 분리하면 터치펜에 NFC 기능을 부여하기가 매우 쉬워서 상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First, since the touch pen is a narrow and narrow space, it is very difficult to construct an NFC antenna. However, in order to mount the touch pen on an electronic devic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space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terminal may be a fatal weakness in terms of design and size. Since the 'NFC chip module' is embedded in the touch pen and the 'NFC antenna module' is separately provid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very easy to impart the NFC function to the touch pen, Can enjoy the effect of.

대표도는 전면 플러그(Plug) 단자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이 배면 접촉 형태의 'NFC 칩 모듈'을 내장한 터치펜과 접촉 또는 체결되어 스마트폰과 NFC 통신하는 것을 나타낸 구성도다.
도 1은 신용카드 형태의 NFC 태그(Tag)의 구성도다.
도 2는 전자기 유도 방식과 감압식과 정전방식의 터치펜들의 구성도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NFC 기능을 갖고 연결용 끈이나 링을 연결할 수 있는 구멍이나 고리를 갖는 터치펜의 구성도다.
도 4는 NFC 기능을 갖고 구멍이 있는 터치펜을 연결용 끈이나 링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에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구성도다.
도 5a는 PCB(Printed Circuit Board) 위에 외부 NFC 안테나 또는 NFC 안테나 모듈과 연결하기 위한 잭(Jack)들과 그리고 이들 잭들과 연결된 NFC 칩으로 구성된 잭 연결 형태의 'NFC 칩(Chip) 모듈(Module)'에 대한 평면도와 측면도와 정면도다.
도 5b는 외부 NFC 안테나 또는 NFC 안테나 모듈과 접촉하기 위한 측면 패드(PAD)들이 있는 PCB 기판 위에 NFC 칩을 부착하고 이들 측면 패드들을 NFC 칩과 연결한 측면 접촉 형태의 'NFC 칩(Chip) 모듈(Module)'에 대한 평면도와 측면도와 정면도다.
도 5c는 외부 NFC 안테나 또는 NFC 안테나 모듈과 접촉하기 위한 배면 패드(PAD)들이 있는 PCB 위에 NFC 칩을 부착하고 이들 배면 패드들을 NFC 칩과 연결한 배면 접촉 형태의 'NFC 칩(Chip) 모듈(Module)'에 대한 평면도와 측면도와 정면도다.
도 6a는 패턴(Pattern) 안테나가 형성된 PCB(Printed Circuit Board) 위에 'NFC 칩 모듈'과 연결 및 접촉할 플러그(Plug) 단자들을 패턴 안테나와 연결하고, 그리고 이들 플러그 단자들을 PCB의 측면 방향으로 고정한 것을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하우징 또는 몰딩한 것에 뚜껑을 적용한 뚜껑이 있는 측면 돌출 플러그 단자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의 평면도와 측면도와 정면도다.
도 6b는 패턴(Pattern) 안테나가 형성된 PCB(Printed Circuit Board) 위에 'NFC 칩 모듈'과 연결 및 접촉할 플러그(Plug) 단자들을 패턴 안테나와 연결하고 그리고 이들 플러그 단자들을 PCB의 전면 방향으로 고정한 것을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하우징 또는 몰딩한 전면 돌출 플러그 단자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의 평면도와 측면도와 정면도다.
도 6c는 하우징이나 몰딩 밖에 있으면서 'NFC 칩 모듈'과 연결 및 접촉할 피복이 있는 코일과 연결된 플러그 단자들을 하우징이나 몰딩 안에 있는 패턴(Pattern) 안테나가 형성된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연결한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의 구성도다.
도 7a는 잭 연결 형태의 'NFC 칩 모듈'을 내장한 터치펜과 측면 돌출 플러그 단자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의 체결을 나타내는 구성도다
도 7b는 전면 플러그(Plug) 단자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이 배면 접촉 형태의 'NFC 칩 모듈'을 내장한 터치펜과 접촉하여 스마트폰과 NFC 통신을 하는 것을 나타낸 구성도다.
도 8a 배면 접촉 형태의 'NFC 칩 모듈'을 내장하고 자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을 수 있는 전자기 유도 방식의 터치펜에 대한 펼쳤을 때의 형태와 접었을 때의 형태와 회전축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b NFC 기능을 갖고 자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을 수 있는 전자기 유도 방식의 터치펜에 대한 펼쳤을 때의 형태와 접었을 때의 형태와 회전축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와 NFC 칩과 코일 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다.
도 8c 엔에프씨 동작을 온(on)/오프(off) 할 수 있는 스위치나 버튼이 있는 NFC 기능을 갖고 자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을 수 있는 전자기 유도 방식의 터치펜에 대한 펼쳤을 때의 구성도다.
The representative drawing shows that the 'NFC antenna module' in the form of a front plug terminal is in contact with or connected to a touch pen having an 'NFC chip module' having a back contact type to perform NFC communication with a smartphone.
1 is a block diagram of a credit card type NFC tag.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the pressure sensitive type, and the electrostatic type.
Fig. 3 is a configuration of a touch pen having an NFC function and having a hole or a ring to which a connecting strap or ring can be conn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touch pen having an NFC function and having a hole is connected to a smartphone using a connection string or a ring.
5A shows an NFC chip module in the form of a jack connected with jacks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NFC antenna or an NFC antenna module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and an NFC chip connected to the jacks. 'And a front view.
5B is a side view of a 'NFC chip module (shown in FIG. 5B) in which an NFC chip is mounted on a PCB substrate having side pads (PADs) for contacting an external NFC antenna or an NFC antenna module and the side pads are connected to an NFC chip Module, "and the front view.
FIG. 5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NFC Chip Module' in which a NFC chip is mounted on a PCB having backside pads (PADs) for contacting an external NFC antenna or an NFC antenna module and the backside pads are connected to an NFC chip, ) &Apos;.< / RTI >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terminals to be connected to and contacting the 'NFC chip module' are connected to the pattern antenna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on which a pattern antenna is formed, A plan view, a side view, and a front view of an 'NFC antenna module' in the form of a side protruding plug terminal having a lid to which a lid is applied to a housing or a molded body made of plastic or the like.
6B shows a state in which plug terminals to be connected to and contacted with an 'NFC chip module' are connected to a pattern antenna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 pattern antenna is formed, and these plug terminals are fix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PCB A front view of a 'NFC antenna module' in the form of a housing or molded front protruding plug terminal made of plastic or the like.
6C shows a state in which plug terminals connected to a coil having a cover to be connected to and contacting the 'NFC chip module' are connected to a PCB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pattern antenna inside a housing or a molding. It is the configuration of 'NFC antenna module'.
7A is a view showing the fastening of a touch pen incorporating an 'NFC chip module' in the form of a jack connection and an 'NFC antenna module' in the form of a side projecting plug terminal
FIG. 7B is a diagram showing that an 'NFC antenna module' in the form of a front plug terminal is in contact with a touch pen having a built-in 'NFC chip module' in a back contact form to perform NFC communication with a smartphone.
8A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pe of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touch pen in which the 'NFC chip module' of the back contact type is built and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touch pen which can be rotated and rotated about its own rotation axis, .
Fig. 8b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pe of the unfolded shape, the shape of the folded shape and the rotation axis,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NFC chip and the coil antenna with respect to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touch pen having the NFC function and capable of being folded about its own rotation axis. It is also composed.
FIG. 8C shows an arrangement of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touch pen having an NFC function with a switch or a button for turning on / off the FPC operation and folding the rotation shaft around its own axis .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터치스크린용 터치 펜에 엔에프씨 기능을 부여하여 사용자에게 편익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의 내용으로 되어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pen for a touch screen, which is used in an electronic device, to provide a user with an NF-C function and has the following contents.

도 1은 카드 형태의 NFC 태그(101)의 구성도로 얇은 필름(102)과 NFC 칩(103)과 패턴 안테나(106, NFC 안테나, 코일 안테나)와 패턴 안테나(106)와 NFC 칩(103)을 연결하기 위한 NFC 칩(103) 위의 패드들(104, 105)로 구성된다. NFC 태그는 자체적인 전원은 가지고 있지않고 스마트폰과 같은 NFC 기기로부터 패턴 안테나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통신을 한다. NFC 태그와 스마트폰과 같은 NFC 기기 사이의 전원공급량과 통신거리는 패턴 안테나가 형성하는 루프(Loop)의 면적과 패턴의 회전수에 의하여 결정이 된다. NFC 통신은 10 센티미터 내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것이지만 패턴 안테나가 형성하는 면적이 작으면 통신 거리가 매우 짧아지거나 통신이 안 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면적을 형성해야 하는데 이러한 점이 터치펜에 NFC 기능을 부여함에 있어서 극복해야 할 점이다. 얇은 필름(102)는 절연 특성을 갖는 얇은 플라스틱류의 필름이고, NFC 칩(103)은 전자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전자분야의 반도체 IC(Integrated Circuit)로 패턴 안테나(106, NFC 안테나, 코일 안테나)를 통하여 전원 수급과 통신을 하며, 패턴 안테나(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패드들(104, 105)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패턴 안테나(106)는 얇은 필름(102) 위에 에칭(Etching) 등의 방법으로 여러 번 회전되는 형태로 얇게 형성된 패턴(Pattern)으로 NFC 칩(103) 위의 패드들(104, 1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패턴 안테나(NFC 안테나)와 NFC 칩의 패드들을 연결하는 방법은 패턴 안테나와 NFC 칩의 패드들 사이에 전도성 물질을 넣고 압착하여 연결하거나 반도체 조립 공정의 와이어(Wire) 본딩(Bonding)으로 연결한다. '도 1'에서 패턴 안테나(106)를 점선으로 표시한 것은 패턴 안테나(106)를 다른 것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로는 연속된 전도성 패턴이고 본 명세서에서는 계속하여 점선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얇은 필름(102)는 FPCB나 PCB로 대체될 수 있고, 그리고 패턴 안테나(106)는 가는 코일(Coil) 등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그리고 FPCB나 PCB 위에 부착된 NFC 칩과 패턴 안테나와의 연결을 보호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전체 또는 부분을 감싸는 몰딩(Molding)을 할 수 있다. 얇은 필름으로 만들어진 NFC 태그는 얇은 NFC 명함 등에서 윗면과 아랫면 사이에 넣어 합체되는 방식으로 사용되면 PCB로 만들어진 NFC 태그는 플라스틱 하우징 안에 부착되거나 전체를 플라스틱 소재 등으로 몰딩한다.
1 shows a structure of a card-shaped NFC tag 101 and a thin film 102, an NFC chip 103, a pattern antenna 106 (NFC antenna, coil antenna), a pattern antenna 106 and an NFC chip 103 And pads 104 and 105 on the NFC chip 103 for connection. An NFC tag does not have its own power supply but receives power from a NF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through a pattern antenna. The power supply amount and the communication distance between the NFC tag and the NFC device such as the smart phone are determined by the area of the loop formed by the pattern antenna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pattern. NFC communication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in 10 centimeters. However, if the area formed by the pattern antenna is small, the communication distance may be shortened or communication may not be performed. Therefore, an area should be formed to some extent. It is a point to overcome. The NFC chip 103 is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IC) in the field of electronic information capable of storing electronic information, such as a pattern antenna 106, an NFC antenna, and a coil antenna. The thin film 102 is a thin plastic film having insulation properties. And the pattern antenna 106 has a plurality of pads 104 and 105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ttern antenna 106. The pattern antenna 106 is formed on the thin film 102 by etching or the lik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ds 104 and 105 on the NFC chip 103 with a pattern formed thinly in a manner rotated several times.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pattern antenna (NFC antenna) and the pads of the NFC chip is to connect the conductive material between the pads of the pattern antenna and the NFC chip, and to connect them by bonding or wire bonding of the semiconductor assembly process . In FIG. 1, the pattern antenna 106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order to distinguish the pattern antenna 106 from the other pattern. In reality, the pattern antenna 106 is a continuous conductive pattern, and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otted line. The thin film 102 may be replaced with an FPCB or a PCB and the pattern antenna 106 may be replaced with a thin coil or the like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NFC chip attached to the FPCB or the PCB and the pattern antenna It is possible to mold all or a part of the mold by using a material such as plastic. When NFC tags made of thin film are used in a thin NFC business card or the like between the top and bottom sides, the NFC tags made of PCB are attached to the plastic housing or entirely molded with plastic material.

도 2는 기존의 전자기 유도식 터치펜(201)과 감압식 터치펜(206)과 정전식 터치펜(209)의 대략적인 구성도이다. 전자기 유도식 터치펜(201)은 플라스틱과 같은 것으로 만들어져 사람이 손으로 잡는 부분에 해당하는 몸체(202)와 전자기를 유도하는 전자부품들로 이뤄진 회로부(203)와 회로부와 연결된 버튼(204)과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접촉부(205)로 구성되고, 감압식 터치펜(206)은 플라스틱과 같은 것으로 만들어져 사람이 손으로 잡는 부분에 해당하는 몸체(207)와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접촉부(208)로 구성되며, 정전식 터치펜(209)은 플라스틱과 같은 것으로 만들어져 사람이 손으로 잡는 부분에 해당하는 몸체(210)와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정전패드(212)와 정전패드가 끼워지는 연결부(211)로 구성된다. 터치펜들은 스마트폰과 같이 사용되기 때문에 휴대성을 높이기 위하여 터치펜을 스마트폰의 몸체에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늘고 길게 만들어지는 경향이 있다.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touch pen 201, a pressure-sensitive type touch pen 206, and an electrostatic type touch pen 209. As shown in FIG.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touch pen 201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includes a body 202 corresponding to a part held by a hand, a button part 204 connected to the circuit part 203, And the pressure sensitive type touch pen 206 is made of a plastic and is made up of a body 207 corresponding to a part held by a hand and a contact portion 208 contacting the touch screen The electrostatic touch pen 209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is composed of a body 210 corresponding to a part held by a hand, a electrostatic pad 212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and a connection part 211 in which the electrostatic pad is inserted . Since the touch pens are used like a smart phone, they tend to be made elongated in order to attach and detach the touch pen to the body of the smart phone in order to increase portability.

도 3은 NFC 태그(302)를 내장한 전자기 유도식 터치펜(301)과 NFC 태그(306)를 내장한 감압식 터치펜(305)과 NFC 태그(310)를 내장한 정전식 터치펜(309)에 대한 대략적인 구성도로 위와 같은 터치펜에 NFC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터치펜의 몸체 안의 좁은 공간에서 NFC 태그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것이 관건인데, 터치펜 안의 NFC 태그의 패턴 안테나(NFC 안테나, 코일 안테나)가 형성하는 루프의 면적은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패턴(코일)의 회전수를 늘리는 방법으로 해결하는데, 그런데 이러한 방법이 여의치 않을 경우 터치펜을 약간 크게 하여 패턴 안테나가 형성하는 루프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적으로는 패턴의 회전수를 늘리면서 터치펜의 약간 키울 수밖에 없다. 그리고 터치펜이 길기 때문에 NFC 태그를 길게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데 이는 스마트폰의 패턴 안테나(NFC 안테나)가 일반적으로 신용카드 형태의 직사각형의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터치펜을 크게 하는 경우 터치펜을 스마트폰의 몸체에 착탈하는 방식이 아닌 연결용 끈 등을 이용하여 동반 휴대하는 방식으로 하는 것이 좋은데 이를 위하여 연결용 끈(304, 308, 312)이나 링을 연결할 수 있는 작은구멍(3030, 307)이나 고리(311)를 적용한다.
3 shows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touch pen 301 incorporating an NFC tag 302 and a pressure sensitive type touch pen 305 incorporating an NFC tag 306 and a capacitive touch pen 309 incorporating an NFC tag 310. [ In order to impart the NFC function to the touch pen, it is important to allow the NFC tag to operate normally in a narrow space in the body of the touch pen. The pattern antenna of the NFC tag in the touch pen (the NFC antenna, Antenna) is very limited, it is solv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pattern (coil). However, if this method is not available, the touch pen may be slightly enlarged to increase the area of the loop formed by the pattern antenna can do. In practice, however, you have to increas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pattern and raise the touch pen slightly. And because the touch pen is long, it is not desirable to lengthen the NFC tag because the pattern antenna (NFC antenna) of the smartphone usually has the shape of a rectangle in the form of a credit card. 308 and 312 or the small holes 3030 and 307 to which the ring can be connected, it is preferable to use a connecting cord such as a connecting strap, Or the ring 311 is applied.

도 4는 스마트폰(401)과 NFC 기능이 있는 터치펜(408)을 동반 휴대하는 것을 이해하기 위한 구성도로 스마트폰의 고정용 핀(402)에 연결이 된 연결용 끈(403)과 그리고 이러한 연결용 끈(403)에 연결이 된 후크(405, hook)가 있는 링(404)에 터치펜의 구멍(407)에 연결이 된 연결용 끈(406)을 연결하여 휴대하다가 사용하고자 할 때는 후크(405)를 제쳐서 연결용 끈(406)을 분리하여 사용한다. 링(409)은 연결용 끈(406)을 대체하여 터치펜의 작은 구멍이나 고리에 연결될 수 있다.
4 shows a configuration for understanding the portable carrying of the smartphone 401 and the touch pen 408 having the NFC function, a connection cord 403 connected to the fixing pin 402 of the smart phone, A hook 405 connected to a connecting strap 403 is connected to a ring 404 having a hook 405 and a connecting strap 406 connected to a hole 407 of the touch pen. (405) to separate the connecting strap (406). The ring 409 may be connected to a small hole or loop of the touch pen in place of the connecting strap 406.

그리고 터치펜에 NFC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터치펜의 내부에 NFC 태그를 내장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작업이고, 터치펜의 내부에 내장된 NFC 태그가 정상적으로 동작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패턴 안테나의 회전수를 늘리면서 터치펜의 크기를 키우는 방법이 채택될 수밖에 없는데 이것은 스마트폰의 디자인을 심각하게 훼손할 가능성이 커서 터치펜에 연결용 끈이나 링을 연결할 작은 구멍이나 고리를 적용하는 것을 대안으로 할 수 있지만 가장 좋은 것은 터치펜을 스마트폰의 디자인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스마트폰에 착탈할 수 있는 크기로 만드는 것인데 이를 위하여 터치폰에 NFC 태그를 적용하는 것이 아니고 'NFC 칩 모듈'을 적용하는 것으로 'NFC 칩 모듈'에 대하여 도 5a 내지 도 5c에서 설명한다.
In order to provide the NFC function to the touch pen, it is very difficult to embed the NFC tag inside the touch pen. In order to operate the NFC tag built in the touch pen normally, One way to increase the size of the pen is to adopt it, which can seriously undermine the design of the smartphone, so instead of applying a tiny hole or loop to connect the tether or ring to the touch pen, The touch pen is designed so that it can be detached from the smartphone without damaging the design of the smart phone. To do so, the NFC tag is not applied to the touch phone but the NFC chip module is applied to the touch phon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C.

도 5a는 잭(Jack) 연결 형태의 'NFC 칩 모듈'의 평면도(501)와 측면도(510)와 정면도(515)에 대한 그림으로 잭 연결 형태의 'NFC 칩 모듈'은 NFC 칩(503)의 패드들(506, 507)과 연결할 패드들(508, 509)이 있는 PCB(502)에 잭들(502, 505)이 부착된 구조로 되어있고, 이러한 'NFC 칩 모듈'은 크기를 매우 작게 할 수 있어서 공간이 협소한 제품에 NFC 기능을 부여할 때 매우 유리한데, 그런데 'NFC 칩 모듈'을 제품에 적용할 때는 'NFC 칩 모듈'의 잭들을 'NFC 안테나'와 체결하기 쉬운 구조로 적용해야한다. NFC 칩(503)의 패드들(506, 507)과 PCB 상의 패드들(508, 509)의 연결은 일반적으로 중간에 전도성 접착제를 넣고 압착하여 연결하거나 와이어(Wire) 본딩(Bonding) 방식으로 연결한다. 측면도(510)에서 PCB(502)와 PCB 상의 패드들(508, 509)과 NFC 칩(503)의 패드들(506, 507)과 NFC 칩(503)의 관계는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실제로는 이들 사이에는 공간이 없이 모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NFC 칩(503)과 패드들(506, 507, 508, 509)의 연결과 부착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것들을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부분 몰딩(513)을 하거나 전체 몰딩(514)을 한다. 부분 몰딩(513)과 전체 몰딩(514)을 점선으로 표시한 것은 상황에 따라서 다르게 적용할 수 있어서 점선으로 표시했고 평면도(501)에서는 나타내지 않았다. 측면도(510)의 잭들(504, 505)에 있는 원들(511, 512)은 'NFC 안테나'와 연결된 플러그(Plug)들이 체결되는 입구이다. 그리고 터치펜에 NFC 기능을 부여함에 있어서 NFC 태그 대신에 위와 같은 'NFC 칩 모듈'을 적용하면 터치펜을 스마트폰에 착탈할 수 있는 크기로 만들 수 있다.
5A is a plan view 501, a side view 510 and a front view 515 of an 'NFC chip module' in the form of a jack connection. The 'NFC chip module' 505 are attached to the PCB 502 having the pads 508 and 509 to be connected with the pads 506 and 507 of the NFC module 507. The 'NFC chip module' When NFC chip module is applied to products, it is necessary to apply 'NFC chip module' jacks with 'NFC antenna' so that they can be easily connected with NFC antenna. do. The pads 506 and 507 of the NFC chip 503 and the pads 508 and 509 on the PCB are gene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inserting a conductive adhesive in the middle and pressing them together or connecting them by a wire bonding method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CB 502 and the pads 508 and 509 on the PCB and the pads 506 and 507 of the NFC chip 503 and the NFC chip 503 in the side view 510 is shown in an enlarged scale. Are all connected without space. In order to protect the connection and attachment of the NFC chip 503 and the pads 506, 507, 508, and 509, they are partially or entirely molded 513 by a material such as plastic. The partial moldings 513 and the entire moldings 514 are indicated by dotted lines, which can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are not shown in the plan view 501. The circles 511 and 512 in the jacks 504 and 505 of the side view 510 are the entrances to which the plugs connected with the 'NFC antenna' are fastened. In addition, when the NFC function is given to the touch pen, the 'NFC chip module' instead of the NFC tag can be applied to the touch pen so that the touch pen can be attached to or removed from the smartphone.

도 5b는 측면 접촉 형태의 'NFC 칩 모듈'에 대한 평면도(520)와 측면도(531)와 정면도(534)에 대한 그림으로 이러한 측면 접촉 형태의 'NFC 칩 모듈'은 NFC 칩(522)의 패드들(525, 526)과 연결될 PCB 상의 패드들(527, 528)이 있는 PCB(521)의 측면에 외부 NFC 안테나 단자들과 접촉될 패드들(523, 524)로 구성되는데 PCB 측면에 있는 패드들(523, 524)은 외부의 NFC 안테나 단자들과 접촉되기 쉬운 구조로 적용되고 또한 NFC 칩(522)과 관련 패드들(525, 526, 527, 528)을 보호하기 위하여 부분 몰딩(532) 또는 전체 몰딩(533)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NFC 칩 모듈'은 터치펜에 NFC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5B is a plan view 520, a side view 531 and a front view 534 of the 'NFC chip module' of the side contact type. The 'NFC chip module' 524 to be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NFC antenna terminals on the side of the PCB 521 having the pads 527 and 528 on the PCB to be connected to the pads 525 and 526, 523 and 524 are applied in a structure that is easy to contact with external NFC antenna terminals and are also used as part molds 532 or 532 to protect NFC chip 522 and associated pads 525, 526, 527, The entire molding 533 can be performed. This 'NFC chip module' can be very usefully used to impart the NFC function to the touch pen.

도 5c는 배면 접촉 형태의 'NFC 칩 모듈'에 대한 평면도(540)와 측면도(551)와 정면도(554)에 대한 그림으로 이러한 배면 접촉 형태의 'NFC 칩 모듈'은 NFC 칩(542)의 패드들(545, 546)과 연결될 PCB 상의 패드들(547, 548)이 있는 PCB(541)의 배면에 외부 NFC 안테나 단자들과 접촉될 패드들(543, 544)로 구성되는데 PCB 배면에 있는 패드들(543, 544)은 외부의 NFC 안테나 단자들과 접촉되기 쉬운 구조로 적용되고 또한 NFC 칩(542)과 관련 패드들(545, 546, 547, 548)을 보호하기 위하여 부분 몰딩(542) 또는 전체 몰딩(543)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NFC 칩 모듈'은 터치펜에 NFC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배면에 있는 패드들(543, 544)은 길거나 커다랗게 만들면 'NFC 안테나'의 단자들을 접촉하기가 쉬워진다.
5C is a plan view 540, a side view 551 and a front view 554 of the 'NFC chip module' of the back contact type. The 'NFC chip module' 544 to be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NFC antenna terminals on the back side of the PCB 541 having the pads 547 and 548 on the PCB to be connected to the pads 545 and 546, 543 and 544 are applied in a structure that is easy to contact with external NFC antenna terminals and may also be used as part mold 542 or 544 to protect NFC chip 542 and associated pads 545, 546, 547, The entire molding 543 can be performed. This 'NFC chip module' can be very usefully used to impart the NFC function to the touch pen. If the pads 543 and 544 on the back face are made long or large, it is easy to contact the terminals of the 'NFC antenna'.

그리고 위와 같은 'NFC 칩 모듈'은 제품에 적용하고 그리고 이와 연결될 NFC 안테나는 모듈로 만들어서 휴대하면 NFC 안테나 모듈을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은 있지만 제품의 NFC 기능이 주는 편익은 이를 상쇄시키고도 남을 것이며, 그리고 이러한 사용자 환경이 대중화되면 'NFC 안테나 모듈'은 사용자의 주변에 널리 퍼져있어서 제품의 NFC 기능을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없을 것이다. 만일 'NFC 안테나 모듈'이 없으면 전선을 나선형으로 회전시킨 다음에 NFC 칩 모듈의 단자들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회사의 접견실 등에는 상시로 비치할 수도 있어서 'NFC 안테나 모듈'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은 거의 없어질 정도의 상황도 충분히 가능하다. 하기에는 이러한 'NFC 안테나 모듈'에 대하여 '도 6a' 내지 '도 6c'에서 설명한다.
Also, while the above-mentioned 'NFC chip module' is applied to the product and the NFC antenna connected to the NFC antenna is made as a module, it is inconvenient to carry the NFC antenna module, but the benefit of the NFC function of the product will be offset, And, when such user environment becomes popular, 'NFC antenna module' is widely spread around the user, so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use the NFC function of the product. If there is no 'NFC antenna module', the wire can be spirally rotated and then connected to the terminals of the NFC chip module. Also, since it can be provided at the company's reception room at all times, It is quite possible that there are almost no cases. Hereinafter, the 'NFC antenna modu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C.

도 6a는 덮개가 있는 측면 플러그(Plug)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의 평면도(601)와 측면도(610)와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의 단면도(611)에 대한 그림이다. 'NFC 안테나 모듈(601)'은 플라스틱 하우징(602) 또는 플라스틱 몰드물(602) 안에 여려 번 돌려진 구리 패턴(Pattern)으로 형성된 'NFC 안테나(606)'가 있는 PCB(603, Printed Circuit Board)에 'NFC 칩 모듈'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들(604, 605)을 부착한 구조로 되어있고 이들 단자들(604, 605)은 PCB상의 돌려진 구리 패턴으로 형성된 'NFC 안테나(606)'와 연결되어 있다. 'NFC 안테나 모듈(601)'의 단자들(604, 605)은 도 5a의 단자들(504, 505)과 같은 작은 잭에 연결될 수 있는 크기의 플러그(Plug) 형태이거나, 전도성 물질이 도금된 반구형의 단자이거나 다양한 형태와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 6a의 단자들(604, 605)와 같이 도출된 플러그(Plug) 형태일 때는 플러그를 보호하기 위하여 덮개(609)를 사용할 수 있다.6A is a plan view 601 and a side view 610 of a side plug type NFC antenna module with a cover and a sectional view 611 of a portion indicated by an arrow. The NFC antenna module 601 includes a PCB 603 having a plastic housing 602 or an NFC antenna 606 formed of a copper pattern rotated in a plastic mold 602, The terminals 604 and 605 are connected to an NFC antenna 606 formed of a copper pattern rotated on the PCB, . The terminals 604 and 605 of the NFC antenna module 601 may be plugs of a size large enough to be connected to a small jack such as the terminals 504 and 505 of FIG. 5A, Or a cover 609 may be used to protect the plug when the plug is formed as the terminals 604 and 605 of FIG. 6A.

'NFC 안테나 모듈(601)'의 단자들(604, 605)과 'NFC 칩 모듈'의 단자들(504, 505)이 체결되면 'NFC 안테나(606)'와 'NFC 칩(503)'은 루프를 형성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NFC 기기'로부터 유도전력을 전달받아 'NFC 칩(503)'이 구동되어 'NFC 기기'와 NFC 통신을 하여 정보를 교환한다. 'NFC 안테나 모듈(601)'은 'NFC 칩 모듈'에 체결만 되면 되므로 사용자가 여러 개의 'NFC 칩 모듈'을 가지고 있어도 'NFC 칩 모듈'의 수만큼 필요하지는 않고, 그리고 'NFC 태그'가 'NFC 칩 모듈'과 'NFC 안테나 모듈'로 구분되어 사용되는 것이 대중화되면 단자들(604, 605)의 간격이 자연스럽게 몇 가지 형태(2.5mm 또는 5mm 또는 10mm)로 구분이 되거나 유연한 체결 방법이 개발되면서 하나 정도로도 충분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무리 중에서 한 사람만 가지고 있거나, 회사의 접견실 등에는 상시 비치하여 사용자는 휴대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NFC 기능이 스마트폰과 같이 사용되기 때문에 'NFC 안테나 모듈(601)'의 휴대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NFC 안테나 모듈(601)'에 연결용 끈(608)이나 링을 연결할 수 있는 작은 구멍(607)을 적용했다.
When the terminals 604 and 605 of the NFC antenna module 601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s 504 and 505 of the NFC chip module, the NFC antenna 606 and the NFC chip 503 are connected And receives the inductive power from the 'NF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the 'NFC chip 503' is driven to exchange information by performing NFC communication with the 'NFC device'. Since the 'NFC antenna module 601' only needs to be connected to the 'NFC chip module', it is not required for the number of 'NFC chip modules' even if the user has a plurality of 'NFC chip modules' NFC module 'and' NFC antenna module ', the spacing between the terminals 604 and 605 is naturally divided into several types (2.5 mm or 5 mm or 10 mm) or a flexible fastening method is developed One may be sufficient, or even one person among the crowd, or the user may not need to carry it at all times in the company's reception room. In order to improve the portability of the 'NFC antenna module 601', the 'NFC antenna module 601'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cord 608 or a small hole (607).

도 6b는 전면 플러그(Plug)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620)'의 평면도(621)와 단면위치1의 측면의 단면도(629)와 단면위치2의 정면의 단면도(630)에 대한 그림으로 'NFC 안테나 모듈(620)'은 플라스틱 하우징(621) 또는 플라스틱 몰드물(621) 안에 여려 번 돌려진 구리 패턴(Pattern)으로 형성된 'NFC 안테나(626)'가 있는 PCB(623, Printed Circuit Board)에 'NFC 칩 모듈'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들(624, 625)을 부착한 구조로 되어있고 이들 단자들(624, 625)은 PCB상의 돌려진 구리 패턴으로 형성된 'NFC 안테나(626)'와 연결되어 있고 전면의 사각형(622)은 'NFC 칩 모듈'이 놓이는 위치로 주변보다 낮게 되어 있어서 'NFC 칩 모듈'을 안정되게 놓이도록 하고 그리고 평소에는 단자들(624, 625)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단자들(624, 625)의 간격은 2.5mm 또는 5mm 또는 10mm 정도가 일반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때로는 'NFC 칩 모듈'의 단자들의 몇 가지 간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단자들(624, 625) 중에서 하나는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만들 수도 있고 그리고 단자들(624, 625)의 내부에 스프링 등을 넣어서 텐션(Tension)을 줄 수도 있다.
6B is a plan view 621 of the 'NFC antenna module 620' in the form of a front plug, a sectional view 629 of the side surface of the end surface position 1 and a sectional view 630 of the front surface of the end surface position 2, The NFC antenna module 620 is connected to a PCB 623 having a plastic housing 621 or an NFC antenna 626 formed of a copper pattern rotated in a plastic mold 621 625 are connected to an 'NFC chip module' and these terminals 624 and 625 are connected to an 'NFC antenna 626' formed of a copper pattern rotated on the PCB And the rectangle 622 on the front surface is lower than the surrounding area to the position where the 'NFC chip module' is placed so as to stably place the 'NFC chip module' and also protects the terminals 624 and 625. The spacing of the terminals 624 and 625 is likely to be generalized to about 2.5 mm or 5 mm or 10 mm, and one of the terminals 624 and 625 may correspond to some spacing of terminals of the 'NFC chip module' And a spring or the like may be inserted into the terminals 624 and 625 to provide a tension.

도 6c는 케이블(Cable)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640)'의 평면도(621)에 대한 그림으로 'NFC 안테나 모듈(640)'은 플라스틱 하우징(641) 또는 플라스틱 몰드물(641) 안에 여려 번 돌려진 구리 패턴(Pattern)으로 형성된 'NFC 안테나(645)'가 있는 PCB(642, Printed Circuit Board)와 그리고 PCB(642)의 'NFC 안테나(645)'와 연결되는 단자들(643, 644)이 달려있는 케이블들(648, 649)을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들(646, 647)로 구성이 되며 그리고 단자들(643, 644)은 평소에는 기구물(641)의 윗면에 있는 단자들의 집(650, 651)에 넣어져 있다가 사용될 때는 'NFC 칩 모듈'의 단자들과 체결 또는 접촉이 되어 사용된다. 케이블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은 'NFC 칩 모듈'의 단자 간격에 모두 대응할 수 있어서 편리한데 'NFC 칩 모듈'과의 체결 및 접촉을 손으로 고정하는 과정이 불편할 수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을 플라스틱 구조물(641) 안으로 넣고 단자들(643, 644)에 밑 부분에 홈을 내서 플라스틱 구조물에 끼우고 그림의 세로 방향으로 유동적으로 하면 불편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다.
6C is a plan view 621 of a 'NFC antenna module 640' in the form of a cable. Referring to FIG. 6C, the 'NFC antenna module 640' is inserted into the plastic housing 641 or the plastic mold material 641 A printed circuit board 642 having an NFC antenna 645 formed of a copper pattern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643 and 644 connected to an NFC antenna 645 of the PCB 642, 646 for securing the attached cables 648, 649 and the terminals 643, 644 are normally made of a housing 650 of the terminals on the top surface of the appliance 641, 651) and when it is used, it is used by tightening or contacting with the terminals of 'NFC chip module'. The 'NFC antenna module' in the form of a cable is convenient because it can correspond to the terminal interval of the 'NFC chip module', and it may be inconvenient to fix the connection and contact with the 'NFC chip module' by hand. 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to some degree by inserting the cable into the plastic structure 641, inserting the cable at the bottom of the terminals 643 and 644, inserting it into the plastic structure, .

도 7a는 측면 플러그(Plug)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701)'과 'NFC 칩 모듈(703)'을 내장한 전자기 유도식 터치펜(702)의 체결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NFC 안테나 모듈(701)'의 플러그들(704, 705 plug)은 'NFC 칩 모듈(703)'의 점선으로 표시된 잭과 체결이 되며, 이와 같이 체결된 상태에서 'NFC 안테나 모듈(701)'부분을 스마트폰의 'NFC 안테나'에 근접시키면 스마트폰이 터치펜(702)에 내장된 'NFC 칩 모듈'의 정보를 읽어서 스마트폰의 화면에 보여준다. 위와 같은 터치펜(702)을 분실시 습득자가 위와 같이 하여 'NFC 칩 모듈(703)'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서 터치펜(702)의 소유자의 전화번호가 있으면 터치펜(702)의 원소유자에게 전화하여 돌려줄 수 있으며 만일 스마트폰에 끼워진 상태로 분실시에는 스마트폰까지 돌려받을 가능성이 있다.
7A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of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touch pen 702 incorporating a side plug type NFC antenna module 701 and an NFC chip module 703. FIG. The plugs 704 and 705 plugs of the NFC antenna module 701 are fastened to the jack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s of the NFC chip module 703 and the NFC antenna module 701, The smartphone reads the information of the 'NFC chip module' built in the touch pen 702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When the user loses the touch pen 702 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chip module 703' is read as described above. If the owner of the touch pen 702 has a phone number, the original owner of the touch pen 702 is called If you lose your smartphone, you may be able to get your smartphone back.

도 7b는 전면 플러그(Plug)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706)'과 'NFC 칩 모듈(703)'이 내장된 터치펜(710)'의 접촉과 그리고 '스마트폰(709)'과의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NFC 안테나 모듈(706)'의 플러그들(707, 708)이 'NFC 칩 모듈(703)'의 단자들(704, 705)과 접촉 내지 체결이 된 상태에서 그림과 같이 'NFC 안테나 모듈(706)'을 스마트폰의 'NFC 안테나'에 근접시키면 스마트폰(709)과 터치펜(710)은 NFC 통신을 하여 'NFC 칩 모듈(703)'에 내장된 정보가 스마트폰의 화면에 나타난다.
7B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act between the 'NFC antenna module 706' in the form of a front plug and the touch pen 710 in which the 'NFC chip module 703' is embedded, Fig. The plugs 707 and 708 of the NFC antenna module 706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or fastened to the terminals 704 and 705 of the NFC chip module 703 so that the NFC antenna module 706 Is brought close to the 'NFC antenna' of the smartphone, the smartphone 709 and the touch pen 710 perform NFC communication, and the information embedded in the 'NFC chip module 703' appears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도 8a는 'NFC 칩 모듈(802)'을 내장하고 있고 자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을 수 있는 '폴더형 터치펜'의 펼쳐진 평면도(801)와 접혀진 평면도(810)와 회전축(806)을 갖는 윗부분의 화살표 위치에서의 단면도(803)와 회전축이 끼워지는 회전구멍(809)을 갖는 아랫부분의 화살표 위치에서의 단면도(807)에 대한 그림이다. 일반적으로 터치펜은 스마트폰에 끼워질 수 있는 작고 가느다란 크기로 만들어지는데, 이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에는 불편하고 NFC 기능을 부여하기에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터치펜의 크기와 굵기를 볼펜 정도로 만들면 스마트폰과 동반 휴대하기 불편한 측면이 발생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도 8a'와 같이 자체 회전축(806)을 중심으로 윗부분(803)과 아랫부분(807)을 접을 수 있도록 하여 평소에는 아랫부분(807)이 윗부분(803)의 안쪽으로 접혀있다가 사용할 때는 펼쳐진 평면도(801)와 같이 아랫부분(807)을 펼쳐서 사용하면 되고, 그리고 이와 같은 굵기와 크기의 터치펜을 스마트폰에 끼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연결용 끈이나 링을 연결할 수 있는 작은 구멍(811)에 연결용 끈을 연결하여 터치펜을 '도 4'의 예시처럼 스마트폰의 연결용 핀(pin)에 연결하여 휴대하다가 사용할 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윗부분의 회전축(806)은 아랫부분의 회전 구멍(809)에 끼워져서 회전축(806)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이다.
8A shows an expanded plan view 801, a folded plan view 810, and a rotation axis 806 of a 'foldable touch pen' having a built-in 'NFC chip module 802' Sectional view 807 at the position of the arrow at the bottom with the section 803 at the upper arrow position and the rotation hole 809 at which the rotation shaft is inserted. Generally, the touch pen is made in a small and slim size that can be inserted into a smart phone. This is inconvenient for a user to hold by hand, and since space is narrow to give an NFC function,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touch pen The upper portion 803 and the lower portion 807 can be folded around the self-rotating shaft 806 as shown in FIG. 8A, so that it is possible to fold When the lower portion 807 is folded inwardly of the upper portion 803, the lower portion 807 may be used as shown in the expanded plan view 801. When the lower portion 807 is used, It is not preferable to connect the connecting cord to the small hole 811 to which the connecting strap or ring can be connected, While cell by connecting to the pin (pin) for connection of teupon may be separated when used. The upper rotary shaft 806 is fitted in the lower rotary hole 809 and rotates around the rotary shaft 806.

도 8b는 'NFC 태그(813)'를 내장하고 있고 자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을 수 있는 '폴더형 터치펜'의 펼쳐진 평면도(812)와 접혀진 평면도(824)와 회전축(820)을 갖는 윗부분의 화살표 위치에서의 단면도(818)와 회전축이 끼워지는 회전구멍(823)을 갖는 아랫부분의 화살표 위치에서의 단면도(821)에 대한 그림이다. 'NFC 칩'이 있는 PCB(814)와 'NFC 안테나(817)'와 연결용 패드들(815, 816)으로 구성된 'NFC 태그'가 터치펜의 윗부분에 내장되는데 굵은 점선으로 표시한 'NFC 안테나(817)'는 펼쳐진 '평면도(812)'처럼 윗부분의 기구 구조물을 따라서 배치가 되는데 일부 'NFC 안테나'는 회전축(820)의 공간으로 지나가게 된다.
8B shows an expanded plan view 812 of a 'foldable touch pen' having a built-in 'NFC tag 813' and a foldable rotation about its own rotation axis, a plan view 824 folded and a rotation axis 820, Sectional view 821 at a lower arrow position with a cross-sectional view 818 at the arrowed position and a rotation hole 823 with the rotation axis interposed therebetween. An NFC tag composed of a PCB 814 having an 'NFC chip', an 'NFC antenna 817' and connection pads 815 and 816 is embedded in the upper part of the touch pen. The 'NFC antenna' The NFC antenna 817 is arranged along the upper mechanism structure like the expanded planar view 812 and some NFC antennas are passed to the space of the rotation axis 820. [

도 8c는 'NFC 기능'을 온(on) 내지 오프(off)하는 스위칭 기능을 위한 버튼(827)이 있는 'NFC 태그'를 내장하고 자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을 수 있는 폴더형 터치펜의 펼쳐진 평면도(826)이다. 'NFC 기능'이 있는 터치펜을 스마트폰과 동반 휴대할 때 사용자가 원치 않는 동작을 하는 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평소에는 'NFC 안테나'의 루프(Loop)를 오프(off)하고 있다가 원할 때만 버튼(827)을 누르면 루프(Loop)가 형성되어 'NFC 기능'을 한다.8C shows a folder type touch pen having a built-in 'NFC tag' having a button 827 for switching function to turn the 'NFC function' on and off, And an expanded plan view 826. In order to prevent users from having unwanted movements when carrying a touch pen with 'NFC function' with a smartphone, the 'Loop' of 'NFC antenna' is normally turned off When the button 827 is pressed only when desired, a loop is formed and the NFC function is performed.

101 : 카드 형태의 엔에프씨(NFC) 태그(Tag)
102 : 카드 형태의 NFC 태그에 사용되는 얇은 필름 또는 FPCB 또는 PCB
103 : NFC 칩(Chip)
104, 105 : NFC 칩 위의 패드
106 : 패턴(Pattern) 안테나(Antenna)(=코일(Coil) 안테나 또는 NFC 안테나)
210 : 전자기 유도 방식의 터치펜(Touch Pen)
202 : 전자기 유도 방식의 터치펜의 몸체
203 : 전자기 유도 방식의 터치펜의 전자 회로부
204 : 전자기 유도 방식의 터치펜의 추가 기능을 위한 버튼(Button)
205 : 터치 스크린(Touch Screen)과 접촉되는 부분(펜촉)
206 : 감압식 터치펜
207 : 감압식 터치펜의 몸체
208 : 터치 스크린과 첩촉되는 부분(펜촉)
209 : 정전식 터치펜
210 : 정전식 터치펜의 몸체
211 : 정전식 터치펜의 정전패드가 끼워지는 부분(펜촉)
212 : 정정식 터치펜의 정전패드
301 : NFC 기능이 있는 전자기 유도 방식의 터치펜
302,306,310 : NFC 기능을 위하여 터치펜의 협소한 공간에 배치되도록 만들어진
NFC 태그
303,307 : 연결용 끈이나 링(Ring)을 연결할 수 있는 작은 구멍
304,308,312 : 연결용 끈
305 : NFC 기능이 있는 감압식 터치펜
309 : NFC 기능이 있는 정전식 터치펜
311 : 연결용 끈이나 링을 연결할 수 있는 원형의 고리
401 : NFC 기기의 대표인 스마트폰
402 : 스마트폰에 있는 연결용 끈을 거는 핀(Pin)
403,406 : 연결용 끈
404 : 훅크 기능이 있는 연결용 링
405 : 링의 훅크
407 : 연결용 끈이나 링을 연결할 수 있는 작은 구멍
408 : NFC 기능이 있는 전자기 유도 방식의 터치펜
409 : 연결용 링
501 : 잭(Jack) 연결 형태의 'NFC 칩(Chip) 모듈(Module)'의 평면도
502,521,541 : PCB(Printed Circuit Board)
503,522,542 : NFC 칩
504,505 : 잭(Jack)
506,507,525,526,545,546 : NFC 칩에 있는 연결용 패드
508,509,527,528,547,548 : PCB 상에 있는 연결용 패드
510 : 잭(Jack) 연결 형태의 'NFC 칩(Chip) 모듈(Module)'의 측면도
511,512 : 플러그가 연결되는 잭의 구멍
513,532,552 : NFC 칩과 연결용 패드들의 연결을 보호하기 위한 부분 몰딩
514,533,553 : NFC 칩과 연결용 패드들의 연결을 보호하기 위한 전체 몰딩
515 : 잭(Jack) 연결 형태의 'NFC 칩(Chip) 모듈(Module)'의 정면도
520 : 측면 접촉 형태의 'NFC 칩 모듈'의 정면도
523,524 : 'NFC 안테나 모듈'의 단자가 접촉되는 PCB 측면의 단자
529,530,549,550 : 연결용 패드(527,530)과 측면 단자들(523,524)를 연결하는
PCB상의 패턴
531 : 측면 접촉 형태의 'NFC 칩 모듈'의 측면도
534 : 측면 접촉 형태의 'NFC 칩 모듈'의 정면도
540 : 배편 접촉 형태의 'NFC 칩 모듈'의 평면도
543,544 : 'NFC 안테나 모듈'의 단자가 접촉되는 PCB 배면의 단자
551 : 배편 접촉 형태의 'NFC 칩 모듈'의 측면도
554 : 배편 접촉 형태의 'NFC 칩 모듈'의 정면도
601 : 덮개가 있는 측면 플러그(Plug)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의 평면도
602,621,641 : 플라스틱 하우징 또는 몰딩의 몸체
603,623,642 : PCB
604,605 : 측면에 부착된 플러그(Plug) 단자
606,626,645 : 패턴(Pattern) 안테나(Antenna)(=코일(Coil) 안테나 또는 NFC
안테나)
607,627 : 연결용 끈이나 링을 연결할 수 있는 작은 구멍
608,628 : 연결용 끈
609 : 플러그를 보호하기 위한 덮개
610 : 덮개가 있는 측면 플러그(Plug)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의 측면도
611 : 덮개가 있는 측면 플러그(Plug)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의 정면도
612 : 덮개의 정면도
620 : 전면 플러그(Plug)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의 평면도
622 : 'NFC 칩 모듈'이 접촉되기 쉽고 단자들(624,625)를 보호하기 위하여 안쪽
으로 들어간 부분
624,625 : 전면에 부착된 플러그(Plug)
629 : 전면 플러그(Plug)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의 측면도
630 : 전면 플러그(Plug)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의 정면도
640 : 케이블(Cable)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의 평면도
643,644 : 케이블(Cable)이 달린 'NFC 칩 모듈'과 접촉 또는 체결되는 플러그 단자
646,647 : 케이블(648,649)의 손상을 막기 위한 케이블 고정용 스톱퍼(Stopper)
648,649 : 패턴 안테나(645)와 단자(643,644)를 연결하는 케이블
650,651 : 단자(643,644)를 꽂아 넣을 수 있는 단자의 집
701 : 측면 플러그(Plug)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
702 : 잭 형태의 'NFC 칩 모듈'을 내장한 전자기 유도 방식의 터치펜
703 : 전자기 유도 방식의 터치펜에 내장된 'NFC 칩 모듈'
704,705 : 'NFC 칩 모듈'과 체결되는 'NFC 안테나 모듈'의 플러그 단자
710 : 배면 접촉 형태의 'NFC 칩 모듈'이 내장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터치펜
702 : NFC 칩
703 : PCB
704,705 : 전면 플러그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의 플러그 단자와 접촉되는 'NFC
칩 모듈'의 단자
706 : 전면 플러그 형태의 'NFC 안테나 모듈'의 단면도
707,708 : 배면 접촉 형태의 'NFC 칩 모듈'의 단자(704,705)와 접촉되는 'NFC 안
테나 모듈'의 플러그 단자
709 : 스마트폰
801 : 'NFC 칩 모듈'이 있고 자체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 회전하여 접히는 '폴더형
터치펜'의 펼쳐진 간략한 평면도
802 : 'NFC 칩 모듈'
803 : 'NFC 칩 모듈'을 내장한 '폴더형 터치펜'의 화살표 단면위치에서의 윗부분의
단면도
804 : 윗부분의 몸체
806 : 윗부분에 있는 회전축
807 : 'NFC 칩 모듈'을 내장한 '폴더형 터치펜'의 화살표 단면위치에서의 아랫부
분의 단면도
808 : 아랫부분의 몸체
809 : 윗부분의 회전축이 끼워지는 아랫부분의 회전축용 구멍
810 : 'NFC 칩 모듈'이 있고 자체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 회전하여 접히는 '폴더형
터치펜'의 접혀진 간략한 평면도
811 : 연결용 끈이나 링을 연결할 수 있는 작은 구멍
812 : 'NFC 태그'가 있고 자체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 회전하여 접히는 '폴더형
터치펜'의 펼쳐진 간략한 평면도
813 : 얇은 필름이 없는 'NFC 태그'
814 : NFC 칩이 부착된 PCB
815,816 : 코일 안테나(=NFC 안테나)와 NFC 칩을 연결하는 패드
817 : 코일(Coil)로 만들어진 NFC 안테나
818 : 'NFC 태그'를 내장한 '폴더형 터치펜'의 화살표 단면위치에서의 윗부분의
단면도
819 : 윗부분의 몸체
820 : 윗부분에 있는 주심이 비어있는 회전축
821 : 'NFC 태그'를 내장한 '폴더형 터치펜'의 화살표 단면위치에서의 아랫부분의
단면도
822 : 아랫부분의 몸체
823 : 윗부분의 회전축이 끼워지는 아랫부분의 회전축용 구멍
824 : 'NFC 태그'가 있고 자체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 회전하여 접히는 '폴더형
터치펜'의 접혀진 간략한 평면도
825,828 : 연결용 끈이나 링을 연결할 수 있는 작은 구멍
826 : 'NFC 기능'을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버튼이 있는 'NFC 태그'가 있는 폴
더형 터치펜의 펼쳐진 대략적인 구성도
827 : 'NFC 기능'을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버튼
101: Card type NFC tag (Tag)
102: Thin film or FPCB or PCB used for NFC tags in card form
103: NFC chip (Chip)
104, 105: Pad on the NFC chip
106: Pattern Antenna (= Coil antenna or NFC antenna)
210: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touch pen
202: Body of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touch pen
203: electronic circuit portion of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touch pen
204: Button for additional function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touch pen
205: Part touching touch screen (nib)
206: Pressure sensitive touch pen
207: Body of pressure-sensitive touch pen
208: Part touching the touch screen (nib)
209: Electrostatic touch pen
210: Body of the electrostatic touch pen
211: The portion of the electrostatic touch pen where the electrostatic pad is inserted (nib)
212: The static pen of the stationary touch pen
301: Electromagnetic induction touch pen with NFC function
302, 306, 310: designed to be placed in a narrow space of the touch pen for NFC functions
NFC tag
303,307: A small hole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strap or ring
304,308,312: Connection string
305: Pressure sensitive touch pen with NFC function
309: Electrostatic touch pen with NFC function
311: Circular loop to connect connecting strap or ring
401: Smartphones representing NFC devices
402: Pin for pin connection on smartphone
403,406: Lanyard for connection
404: Connecting ring with hook function
405: Hook of ring
407: A small hole to connect a connecting string or ring
408: Electromagnetic induction touch pen with NFC function
409: Ring for connection
501: Top view of 'NFC Chip Module' with jack connection
502, 521, 541: PCB (Printed Circuit Board)
503, 522, 542: NFC chip
504,505: Jack
506, 507, 525, 526, 545, 546: connection pads on the NFC chip
508, 509, 527, 528, 547, 548: connection pads on the PCB
510: Side view of 'NFC Chip Module' with Jack connection
511,512: Hole in the jack to which the plug is connected
513,532,552: Partial molding to protect the connection of NFC chip and connecting pads
514,533,553: An overall molding for protecting the connection of the NFC chip and connection pads
515: Front view of 'NFC Chip Module' with Jack connection
520: Front view of 'NFC chip module' in side contact form
523,524: Terminal on the side of the PCB where the terminal of the 'NFC antenna module' touches
529, 530, 549, 550: connecting the connection pads 527, 530 and the side terminals 523,
Pattern on PCB
531: Side view of 'NFC Chip Module' in side contact form
534: Front view of 'NFC chip module' in side contact form
540: Floor plan of 'NFC chip module'
543,544: Terminal on the back of the PCB where terminals of 'NFC antenna module' are contacted
551: Side view of 'NFC Chip Module' in shunt contact form
554: Front view of the 'NFC chip module'
601: Top view of 'NFC antenna module' with side cover plug
602,621,641: Body of plastic housing or molding
603,623,642: PCB
604,605: Plug terminal attached to the side
606,626,645: Pattern Antenna (= Coil antenna or NFC
antenna)
607,627: A small hole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strap or ring
608,628: connecting strap
609: Cover for protecting the plug
610: Side view of 'NFC Antenna Module' with side cover plug
611: Front view of 'NFC antenna module' with side cover plug
612: Front view of cover
620: Top view of 'NFC antenna module' in the form of front plug
622: The 'NFC chip module' is easy to contact and the inner
Part of
624,625: Plug attached to the front side
629: Side view of 'NFC Antenna Module' in the form of a front plug
630: Front view of 'NFC antenna module' in the form of a front plug
640: Top view of 'NFC antenna module' in cable form
643,644: Plug terminals to be contacted or fastened with 'NFC chip module' with cable
646,647: A cable stopper (stopper) for preventing the cables 648 and 649 from being damaged.
648, 649: a cable connecting the pattern antenna 645 and the terminals 643,
650,651: Terminal housing for plugging in terminal (643,644)
701: 'NFC Antenna Module in the form of a side plug'
702: Electromagnetic induction touch pen with built-in jack type NFC chip module
703: 'NFC chip module' embedded in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touch pen
704,705: Plug terminal of 'NFC antenna module' to be connected with 'NFC chip module'
710: Electromagnetic induction touch pen with built-in 'NFC chip module'
702: NFC chip
703: PCB
704,705: 'NFC'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plug terminal of the 'NFC antenna module'
Terminal of chip module '
706: Cross section of 'NFC antenna module' in the form of front plug
707,708: 'NFC module' in contact with the terminals 704 and 705 of the 'NFC chip module'
TENA module's plug terminal
709: Smartphone
801: 'NFC Chip Module', Folding type which is folded by half rotation around its own axis
A simple flat top view of the touch pen
802: 'NFC chip module'
803: 'Foldable touch pen' with built-in 'NFC chip module'
Cross-section
804: upper body
806: a rotating shaft
807: 'Foldable touch pen' with built-in 'NFC chip module'
Section of minute
808: Lower body
809: hole for rotating shaft of the lower part in which the rotating shaft of the upper part is fitted
810: 'NFC Chip Module', Folding type which is folded by half rotation around its own axis
Folded flat surface of 'touch pen'
811: A small hole to connect the connecting string or ring
812: Folding type with 'NFC tag' and folding by half rotation around its own axis
A simple flat top view of the touch pen
813: 'NFC tag without thin film'
814: PCB with NFC chip
815,816: Pad connecting coil antenna (= NFC antenna) and NFC chip
817: NFC antenna made of coil
818: 'Foldable touch pen' with built-in 'NFC tag'
Cross-section
819: upper body
820: A rotating shaft with an empty upper end
821: 'Foldable touch pen' with built-in 'NFC tag'
Cross-section
822: Lower body
823: hole for rotating shaft of the lower part in which the rotating shaft of the upper part is inserted
824: Folding type with 'NFC tag'
Folded flat surface of 'touch pen'
825,828: Small hole for connection cord or ring
826: Poll with 'NFC tag' with button to turn 'NFC function' on or off
An approximate unfolding diagram of the durable touch pen
827: button to turn 'NFC function' on or off

Claims (8)

엔에프씨(NFC) 칩(Chip)과 엔에프씨 안테나(Antenna)로 구성되어 엔에프씨 기능을 갖는 터치펜(Touch Pen)It is composed of an NFC chip and an antenna and has a touch pen with an NFC function. 걸이용 끈이나 링(Ring)을 연결할 수 있는 구멍이나 고리가 있는 전자기 유도 방식의 터치펜(Touch Pen)An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touch pen with a hole or a ring that can connect a hanging cord or ring, 스마트폰과 같은 엔에프씨(NFC) 기기와 통신하기 위하여 외부의 엔에프씨 안테나(Antenna) 또는 엔에프씨 안테나 모듈(Module)과 연결될 수 있는 단자들과 그리고 이들 단자들과 연결된 엔에프씨 칩(Chip)으로 구성된 '엔에프씨(NFC) 칩 모듈'을 내장한 터치펜(Touch Pen)In order to communicate with an NF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NFC antenna or an NFC antenna module and an NFC chip connected to these terminals Touch Pen with built-in 'NFC chip module' 스마트폰과 같은 엔에프씨(NFC) 기기와 통신하기 위하여 외부의 엔에프씨 안테나(Antenna) 또는 엔에프씨 안테나 모듈(Module)과 연결될 수 있는 단자들과 그리고 이들 단자들과 연결된 엔에프씨 칩(Chip)으로 구성된 '엔에프씨(NFC) 칩 모듈'을 내장하고 있고, 그리고 걸이용 끈이나 링(Ring)을 연결할 수 있는 구멍이나 고리가 있는 터치펜(Touch Pen)In order to communicate with an NF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NFC antenna or an NFC antenna module and an NFC chip connected to these terminals (NFC) chip module, and a touch pen with a hole or a hook that can connect a hanging string or a ring, 자체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 회전하여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폴더형 터치펜(Touch Pen)Foldable touch pen that can be folded and folded by half rotation about its own axis of rotation. 자체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 회전하여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폴더형 전자기 유도 방식의 터치펜(Touch Pen)A folding type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touch pen that can be folded and folded by half rotation about its own axis of rotation. 자체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 회전하여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고 그리고 연결용 끈이나 링을 연결할 수 있는 구멍이나 고리가 있는 폴더형 전자기 유도 방식의 터치펜(Touch Pen)A folding type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touch pen having a hole or a ring that can be folded and folded halfway around its own axis of rotation and connected to a connecting string or ring, 엔에프씨 기능을 온(on) 또는 오프(off)할 수 있는 스위칭 기능이 있는 터치펜(Touch Pen)A touch pen with switching function that can turn on / off the ENF function.
KR1020130021167A 2013-02-27 2013-02-27 A touch pen that has a function of NFC and a NFC chip module and a switching function of NFC on/off and a hole/ring to connect to a strap/ring and a function of folding KR201401069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167A KR20140106904A (en) 2013-02-27 2013-02-27 A touch pen that has a function of NFC and a NFC chip module and a switching function of NFC on/off and a hole/ring to connect to a strap/ring and a function of fo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167A KR20140106904A (en) 2013-02-27 2013-02-27 A touch pen that has a function of NFC and a NFC chip module and a switching function of NFC on/off and a hole/ring to connect to a strap/ring and a function of fol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904A true KR20140106904A (en) 2014-09-04

Family

ID=5175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167A KR20140106904A (en) 2013-02-27 2013-02-27 A touch pen that has a function of NFC and a NFC chip module and a switching function of NFC on/off and a hole/ring to connect to a strap/ring and a function of fo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6904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124A1 (en) * 2015-02-06 2016-08-11 주식회사 페이턴틴 Stylus pen apparatus
CN107016432A (en) * 2015-12-11 2017-08-04 三星电子株式会社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method that operates it for near-field communication
KR102404927B1 (en) 2020-12-31 2022-06-02 홍시연 Multifunction Touch Fan for Portable Termina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124A1 (en) * 2015-02-06 2016-08-11 주식회사 페이턴틴 Stylus pen apparatus
CN107016432A (en) * 2015-12-11 2017-08-04 三星电子株式会社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method that operates it for near-field communication
CN107016432B (en) * 2015-12-11 2021-03-09 三星电子株式会社 Semiconductor device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404927B1 (en) 2020-12-31 2022-06-02 홍시연 Multifunction Touch Fan for Portab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058Y1 (en) Cover Case For Portable Divice Having Support Function
US9760184B2 (en) Portable keyboard and speaker assembly
TWI557986B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nfc function
US8744529B2 (en) Enhanced mobile device having multiple housing configurations
TW201352112A (en) Back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6099311B (en) Communication equipment
US1000181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first body and separable second body
KR20140106904A (en) A touch pen that has a function of NFC and a NFC chip module and a switching function of NFC on/off and a hole/ring to connect to a strap/ring and a function of folding
KR20140110185A (en) A case of mobile phone and A case to protect a mobile phone and a sticker that has a NFC antena module for NFC communication.
JP3189286U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with built-in IC tag reader
JP541746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9965664B2 (en) Mobile data collector with keyboard
TW201427314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NFC antenna
WO2011134364A1 (en) Film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using the device
JP2003258972A5 (en)
JP2014016775A (en) Communication adapter
KR20140109202A (en) A Credit card and a check card and a debit card and a point card that has a NFC function.
KR20150101819A (en) Portable key-board
US8506311B2 (en) Communication device
KR101240230B1 (en) Strap for mobile device
KR20140114620A (en) Goods that has a NFC chip module
KR200474606Y1 (en)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101491951B1 (en) cover for protective moblie device with fixing member available as input means
JP5998766B2 (en) Communication method
TWM507620U (en) Electronic information sensing system of digital collection p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