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270A - Ball throwing training and strengthening device - Google Patents

Ball throwing training and strengthen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270A
KR20160085270A KR1020167012663A KR20167012663A KR20160085270A KR 20160085270 A KR20160085270 A KR 20160085270A KR 1020167012663 A KR1020167012663 A KR 1020167012663A KR 20167012663 A KR20167012663 A KR 20167012663A KR 20160085270 A KR20160085270 A KR 20160085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body portion
user
longitudinal body
train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26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33288B1 (en
Inventor
주니어 제시 카스틸로
Original Assignee
주니어 제시 카스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니어 제시 카스틸로 filed Critical 주니어 제시 카스틸로
Publication of KR20160085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2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2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91Balls fixed to a movable, tiltable or flexible ar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8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with means for improving visibility, e.g. special markings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79Balls tethered to a line or cord
    • A63B69/0086Balls tethered to a line or cord the line or cord being attached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p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대체로 사용자로 하여 공을 바르게 던지는 방법을 훈련시키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근육과 관절을 강화시키고 회복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훈련 치료, 물리 치료, 또는 작업 치료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training a method of throwing a ball correctly as a user, and more particularly, to training, physical therapy, or occupational therapy aids that can be used to strengthen and restore a user's muscles and joints. will be.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Description

투구 훈련 및 강화 장치{BALL THROWING TRAINING AND STRENGTHENING DEVICE}[0001] BALL THROWING TRAINING AND STRENGTHENING DEVICE [0002]

본 출원은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는, 2013년 11월 15일자로 미국 특허상표청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1/904,917호를 기초로 2014년 1월 16일자로 우선권주장출원한 "투구 훈련 및 강화 장치"에 대한 미국 특허출원 제14/157,203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the benefit of US Provisional Patent Application No. 61 / 904,917, filed on November 15, 2013,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Priority is claimed on U.S. Patent Application No. 14 / 157,203 to the filed "Helm Training and Enhancement Device".

본 발명은 대체로 사용자로 하여 공을 바르게 던지는 방법을 훈련시키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근육과 관절을 강화시키고 회복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훈련 치료, 물리 치료, 또는 작업 치료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training a method of throwing a ball correctly as a user, and more particularly, to training, physical therapy, or occupational therapy aids that can be used to strengthen and restore a user's muscles and joints. will be.

많은 사람들은 자신들의 공 던지는 방법을 교정해 주기를 바라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야구 경기에 있어서, 투수들이 공을 던질 때 좋지 못한 자세를 취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가장 흔한 부적절한 투구 방식 중의 하나는 "사이드 암(side arm)" 이라고 칭해진다. 반복적인 사이드 암 동작은, 이러한 유형의 부상으로 수술을 받은 최초의 야구 선수의 이름을 따서 애칭 형태로 명명된, 토미 존(Tommy John)으로 알려진, 팔꿈치 관절과 인대의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부상은 궁극적으로 팔꿈치 관절과 인대를 회복시키는 외과 수술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부상을 바로잡기 위해 요구되는 수술은 안쪽곁인대 복원술(ulnar collateral ligment reconstruction)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 수술이 성공적이지 않을 경우에는, 선수 생명이 끝날 수 있다.Many people have a desire to correct their ball throwing method. In baseball games it is common for pitchers to take a bad posture when throwing a ball. One of the most common improper pitching schemes is called the "side arm". Repetitive sidearm motion can lead to elbow joint and ligament deterioration, also known as Tommy John, nicknamed after the first baseball player who underwent surgery for this type of injury. These injuries ultimately require surgery to restore the elbow joints and ligaments. The surgery required to correct these injuries is known as ulnar collateral ligament reconstruction. If this surgery is not successful, the athlete's life can end.

어린 야구 선수가 부적절한 투구 방법으로 인해 이러한 부상을 입을 수 있다는 것도 문제가 된다. 성장판인, 안쪽 상완골 골단(medial epicondylar epiphysis)이 아직 열려 있는 경우, 사이드 암 방식으로 반복적으로 투구하면 과도한 힘을 성장판에 작용시켜서 안쪽곁인대(ulnar collateral ligment) 대신에 이 부분에 고장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부상은 보통 "리틀 리그 엘보우(Little League Elbow)"라고 알려져 있으며, 비록 안쪽곁인대의 복원을 요하지는 않지만, 이것은 여전히 어린 야구 선수가 입을 수 있는 매우 치명적인 부상이다. 하지만, 부적절한 투구 방법에 의해 초래되는 부상은 바른 투구 방법의 사용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It is also a problem for a young baseball player to suffer from such an injury due to improper pitching. If the medial epicondylar epiphysis, which is a growth plate, is still open, repetitive pitching in a side-arm fashion may cause excessive force on the growth plate, resulting in failure of this part instead of the ulnar collateral ligament . These injuries are commonly known as "Little League Elbow" and although it does not require restoration of the inner side ligament, it is still a very deadly injury that young baseball players can wear. However, injuries caused by improper throwing methods can be prevented by the use of correct throwing methods.

현재, 투구하는 동안 팔을 바르게 위치시키는 것을 도와주는 팔꿈치 버팀대(elbow brace)와 같은 유용한 장치가 있다. 팔 또는 어깨를 강화시키는데 유용한 장치도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공 또는 다른 물체를 멀리 던지는데 도움을 주는 유용한 장치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들은 사용자의 던지는 자세를 개선시키거나 바로잡도록, 또는 부상 후에 사용자의 팔이나 어깨를 강화시키도록 사용자를 훈련시키는데는 도움을 주지 못한다. 따라서, 사용하기가 쉽고 직관적인 투구 훈련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Currently, there are useful devices such as elbow braces that help to position the arm correctly during pitching. There are also devices that are useful for strengthening the arm or shoulder. Additionally, there are useful devices that help the user to throw balls or other objects away. However, these devices do not help to train the user to improve or correct the throwing posture of the user, or to strengthen the user's arm or shoulder after injury. Thus, there is a need for an easy to use and intuitive pitch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기존의 투구 훈련 장치와 관련된 결점, 불리한 점 및 바람직하지 않은 파라미터들 중의 몇 가지를 극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overcome some of the drawbacks, disadvantages and undesirable parameters associated with existing helm training devices.

본 발명은 독특한 투구 훈련 장치이다. 상기 투구 훈련 장치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길이방향의 몸체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투구 훈련 장치는 또한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의 원위 단부에 결합된 제1 공형상의 물체도 가지고 있다. 상기 투구 훈련 장치의 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가 비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비가요성 재료는 유리섬유, 금속, 플라스틱 또는 목재가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는 가변 크기의 두 개의 이상의 길이방향의 몸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변 크기의 두 개의 이상의 길이방향의 몸체부는 임의의 수단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는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의 원위 단부에 인접해 있는 움직이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움직이는 부분은 피벗 조인트, 가요성 부분, 또는 스프링 기구가 될 수 있다. 상기 움직이는 부분은 또한 상기 움직이는 부분이 움직이거나 굴곡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기구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공형상의 물체는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의 원위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계적인 수단은 나사, 못, 클립, 스냅, 볼 조인트, 또는 접착제가 될 수 있다. 제1 공형상의 물체가 임의의 크기로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공형상의 물체는, 예를 들면, 야구공, 소프트볼공, 테니스공, 또는 축구공과 같은 공이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투구 훈련 장치는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 제2 공형상의 물체를 가질 수 있다. 제2 공형상의 물체는 임의의 크기로 될 수 있다. 제2 공형상의 물체는 공이 될 수 있고, 제2 공형상의 물체는 야구공, 소프트볼공, 테니스공, 또는 축구공이 될 수 있다. 제2 공형상의 물체는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의 근위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계적인 수단은 나사, 못, 클립, 스냅, 볼 조인트, 또는 접착제가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트랩이 상기 투구 훈련 장치와 사용자에 결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unique helm training device. The pitching training device has a longitudinal body portion including a proximal end and a distal end. The helmet training device also has a first ball-shaped object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helmet training apparatus,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is made of an incompatible material. The non-rigid material may be glass fiber, metal, plastic or wood.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may comprise two or more longitudinal body portions of varying size. The two or more longitudinal body portions of the variable size may be joined together by any means. Optionally,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may have a moving portion adjacent the distal end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The moving part may be a pivot joint, a flexible part, or a spring mechanism. The moving part may also have a locking mechanism to prevent the moving part from moving or bending. The first conical object can be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by mechanical means. The mechanical means may be a screw, a nail, a clip, a snap, a ball joint, or an adhesive. The first spherical object can be of any size. Alternatively, the first ball-shaped object may be a ball, such as, for example, a baseball, softball, tennis ball, or soccer ball. Optionally, the pitcher training device may have a second conical object coupled to the proximal end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The second spherical object may be of any size. The second ball-shaped object may be a ball, and the second ball-shaped object may be a baseball, softball, tennis ball, or soccer ball. The second ball-shaped object can be coupled to the proximal end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by mechanical means. The mechanical means may be a screw, a nail, a clip, a snap, a ball joint, or an adhesive. Optionally, a strap may be associated with the pitcher training device and the user.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투구 훈련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상기 투구 훈련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은 먼저 사용자의 손으로 제1 공형상의 물체를 쥐는 단계,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를 사용자의 옆구리에 붙여서 사용자의 팔 아래에 위치시키는 단계, 그 다음에 제1 공형상의 물체를 쥐고 있는 사용자의 손이 어깨 높이보다 위에 있도록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의 근위 단부를 사용자의 등 아래 부분에 붙여서 위치시키는 단계, 그리고 제1 공형상의 물체를 쥐고 있는 사용자의 손이 사용자의 어깨 위로부터 사용자의 어깨 아래로 회전하도록 사용자의 팔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의 팔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의 근위 단부가 들어 올려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 method of using the helmet training apparatus. The method of using the helmet training device includes: grasping a first ball-shaped object with the user's hand; placing the body-lik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user and under the user's arm; Placing the proximal end of the body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back portion of the user so that the hand of the user holding the object is above the shoulder height and placing the user's hand holding the first, And rotating the user's arm forward so as to rotate down the shoulder of the user. The proximal end of the body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ifted by rotating the user's arm forward.

본 발명은 팔과 어깨 강화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강화 장치는 길이방향의 몸체부와 제1 공형상의 물체를 가지고 있다.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가지고 있고 제1 공형상의 물체는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의 원위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는 가변 크기의 두 개의 이상의 길이방향의 몸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팔 강화 장치는 또한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 제2 공형상의 물체를 가질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스트랩이 상기 장치와 사용자에 결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used as an arm and shoulder strengthening device. The reinforcing device has a body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object in the first conical shape. The body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s a proximal end portion and a distal end portion, and the first coplanar body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Optionally,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may comprise two or more longitudinal body portions of varying size. The arm reinforcing device may also have a second conical object coupled to the proximal end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Optionally, a strap can be coupled to the device and the user.

본 발명의 상기 특징, 실시형태 및 장점과 다른 특징, 실시형태 및 장점은 아래의 설명, 첨부된 청구범위 그리고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투구 훈련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기계적인 수단의 한 예의 개략도로서, 상기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제1 공형상의 물체가 투구 훈련 장치의 스틱 부분의 원위 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도 3A, 도 3B 및 도 3C는 원위 단부에 가요성 부분을 가진 투구 훈련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투구 훈련 장치의 가요성 부분의 개략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투구 훈련 장치의 가요성 부분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6은 투구 훈련 장치의 가요성 부분의 개략도이고;
도 7A, 도 7B 및 도 7C는 투구 훈련 장치의 가요성 부분의 한 예의 개략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사용시의 투구 훈련 장치의 개략도이고; 그리고
도 9A 및 도 9B는 투구 훈련 장치에 부착된 하니스의 개략도이다.
These and other features, asp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appended claims and accompanying drawings.
Figures 1A and 1B are schematic diagrams of a pitching training device;
Figures 2A and 2B are schematic diagrams of one example of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first coplanar object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stick portion of the pitch training device by the mechanical means;
Figures 3A, 3B and 3C are schematic views of a pitching training device having a flexible portion at the distal end;
Figures 4A, 4B, 4C and 4D are schematic views of the flexible part of the pitcher training device;
Figures 5A and 5B are schematic diagrams illustrating movement of the flexible portion of the pitcher training device;
6 is a schematic view of the flexible part of the pitch training device;
Figures 7A, 7B and 7C are schematic views of an example of a flexible portion of a pitch training device;
Figures 8A and 8B are schematic views of a helmet training device in use; And
9A and 9B are schematic diagrams of a harness attached to a pitcher training device.

정의Justice

본 명세서에 사용되어 있는 것과 같이, 아래의 용어와 그것의 변형형태는, 그 용어가 사용되어 있는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면, 아래의 주어진 의미를 가진다.As used herein, the following terms and variations thereof have the meanings given below unless the term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context in which they are used.

본 명세서에 사용된 "하나의", "어떤", "상기" 같은 용어와 유사한 지시대상은 문맥상 다른 것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면, 단수 형태와 복수 형태의 양자 모두를 포함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s "a", "an" and "an" are to be construed to cover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 사용되어 있는 것과 같이, "포함한다" 라는 표현과 "포함하는"과 "포함하고 있고"와 같은 상기 표현의 변형형태는 다른 첨가물, 구성요소, 정수, 성분 또는 단계를 배제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the expressions "comprises" and variations such as " comprising "and" including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in a manner that is intended to exclude other additives, components, integers, It is not.

아래의 설명은 본 발명의 한 실시례와 상기 실시례의 여러 변형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지만, 이 설명은 본 발명을 이러한 특정 실시례로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당업자는 다수의 다른 실시례도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a detailed descrip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above embodiment. However, this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invention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Numerous other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투구 훈련 장치Helm training device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장치는 공을 바르게 던지도록 사용자를 훈련시키는데 사용되는 투구 훈련 장치로, 또는 팔과 어깨 강화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또한 사용자의 팔과 어깨를 강화시키는 보조구로서 물리 치료나 작업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다. 사용시에, 상기 장치는, 예를 들면, 전완 굴근(forearm flex muscle), 전완 신근(forearm extensor muscle), 이두박근, 삼두박근, 삼각근, 가슴 근육, 측면 근육, 그리고 승모근과 같은, 사용자의 팔 근육, 어깨 근육, 목 근육 및 몸통 근육과 결합된다. 임의의 크기의 어른과 아이가 상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e apparatus described herein can be used as a pitching training device used to train the user to throw the ball correctly, or as an arm and shoulder tightening device. The device may also be used in physical therapy or occupational therapy as a supplementary device for strengthening the user's arms and shoulders. In use, the device may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a user's arm muscles, such as forearm flex muscle, forearm extensor muscle, biceps, triceps, deltoid, chest muscle, lateral muscle, Shoulder muscles, neck muscles, and torso muscles. It is believed that adults and children of any size can use the device.

도 1A 및 도 1B는 투구 훈련 장치(100)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투구 훈련 장치는 길이방향의 몸체부(114)와 이 길이방향의 몸체부에 결합된 제1 공형상의 물체(102)를 가지고 있다. 머리 부분(110)이 제1 공형상의 물체를 길이방향의 몸체부(114)에 결합시킨다. 길이방향의 몸체부(114)의 길이는 상이한 크기와 생리기능(physiology)의 사용자에 맞추기 위해서 연장되거나 단축될 수 있다. 길이방향의 몸체부(114)는 한 개의 몸체부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길이방향의 몸체부(114)가 분절되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104), 제2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106), 그리고 제3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108)의 상이한 크기의 길이방향의 몸체부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이한 크기의 제1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 제2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 및 제3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104, 106, 108)는 길이방향의 몸체부(114)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의 크기와 갯수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B는 제1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 제2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 및 제3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104, 106, 108)가 제1 공형상의 물체(102)를 포함하는 머리 부분(110)에 결합될 수 있는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s 1A and 1B show a schematic diagram of a pitcher training device 100. [ The pitcher training device has a body portion 11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rst conical body portion 102 coupled to the body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ead portion 110 couples an object in the first configuration to the body portion 11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114 may be extended or shortened to accommodate different sizes and physiological users.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114 may be a single body portion or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104, a second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104, A two-sided longitudinal body portion 106, and a third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108. In one embodiment, A first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of a different size, a second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and a third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104, 106, 108) form a longitudinal body portion (114) To be combined together. The size and number of the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s can be combined as desired by the user. 1B shows a first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a second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and a third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104, 106, 108 including a first spherical shaped object 102 Which can be coupled to the head portion 110, which is shown in FIG.

한 가지 예로서, 33인치 길이의 투구 장치에 대해서, 제1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104)는 길이가 14인치로 될 수 있고, 제2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106)는 길이가 12인치로 될 수 있고, 제3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108)는 길이가 4인치로 될 수 있고, 그리고 머리 부분(110)은 길이가 3인치로 될 수 있다. As an example, for a 33 inch long pitching device, the first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104 can be 14 inches long, and the second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106 can have a length The third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108 can be 4 inches long, and the head portion 110 can be 3 inches long.

길이방향의 몸체부(114)는 길이방향의 몸체부(114)의 근위 단부가 사용자의 등 아래 부분에 놓여 있는 동안 투구 훈련 장치(100)의 사용자가 제1 공형상의 물체(102)를 편안하게 쥘 수 있도록 필요한 임의의 크기로 될 수 있다. 길이방향의 몸체부(114)는 사용자의 키에 맞도록 조정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선택적으로, 길이방향의 몸체부(114)는 제1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 제2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 및 제3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104, 106, 108)와 머리 부분(110)이 서로 접혀서, 상기 투구 훈련 장치의 운반을 매우 쉽게 하도록 망원경통 형태(telescoping form)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114 allows the user of the pitcher training device 100 to comfortably position the first coplanar body 102 while the proximal end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114 lies in the lower back portion of the user It can be of any size needed to hold it. It is contemplated that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114 can be adjusted to fit the key of the user. Optionally,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114 includes a first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a second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and a third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104, 106, 108, The portions 110 may be folded together to form a telescoping form to facilitate transport of the pitcher training device.

길이방향의 몸체부(114), 제1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 제2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 및 제3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104, 106, 108), 그리고 머리 부분(110)은, 예를 들면, 유리섬유, 금속, 플라스틱, 목재, 알루미늄, 강, 탄소 섬유, 강 합금, 구리관, 대나무, 종이, 아교, 고무, 유리, 주석, 가죽 또는 황동과 같은 임의의 비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A first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a second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and a third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104, 106, 108, and a head portion (not shown) 110 may be made of any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glass fiber, metal, plastic, wood, aluminum, steel, carbon fiber, steel alloy, copper tube, bamboo, paper, glue, rubber, glass, tin, leather or brass It can be made of rheological material.

제1 공형상의 물체(102)는 임의의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공형상의 물체(102)는 발포고무(foam), 금속, 플라스틱, 고무, 유리, 가죽, 알루미늄, 주석, 목재, 또는 황동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공형상의 물체(102)는, 예를 들면, 야구, 축구, 테니스, 소프트볼, 골프, 농구, 배구, 그리고 라켓볼과 같은 스포츠 경기에 사용되는 공의 형태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제1 공형상의 물체(102)는 스퀴즈 볼(squeeze ball), 야광 공(glow in the dark ball), 구슬(marble), 또는 웨이티브 볼(weighted ball)이 될 수도 있다. The first coplanar body 102 can be made of any material. For example, the first spherical shaped object 102 may be made of foam, metal, plastic, rubber, glass, leather, aluminum, tin, wood, or brass. The first ball-shaped object 102 would be in the form of a ball used in a sporting event such as, for example, baseball, soccer, tennis, softball, golf, basketball, volleyball, and racquetball. The first ball-shaped object 102 may be a squeeze ball, a glow in the dark ball, a marble, or a weighted ball.

투구 훈련 장치(100)의 한 실시례에서는, 제1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104)의 근위 단부가 제2 공형상의 물체(112)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공형상의 물체(112)는, 예를 들면, 발포고무, 금속, 플라스틱, 고무, 유리, 가죽, 알루미늄, 주석, 목재, 또는 황동과 같은 임의의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가장 흔한 제2 공형상의 물체(112)는, 예를 들면, 야구, 축구, 테니스, 소프트볼, 골프, 농구, 배구, 그리고 라켓볼과 같은 스포츠 경기에 사용되는 공의 형태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제2 공형상의 물체(112)는 스퀴즈 볼, 야광 공, 구슬, 또는 웨이티브 볼이 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itcher training device 100, the proximal end of the first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104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second coplanar object 112. The second spherical shaped object 112 may be made of any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foam rubber, metal, plastic, rubber, glass, leather, aluminum, tin, wood, or brass. The most common second ball shaped object 112 would be in the form of a ball used in a sporting event such as baseball, football, tennis, softball, golf, basketball, volleyball, and racquetball. The second ball-shaped object 112 may be a squeeze ball, a luminous ball, a ball, or a weighted ball.

도 2를 참고하면, 제1 공형상의 물체(102)가 머리 부분(110)에 대해 일정 각도로 머리 부분(110)에 결합되는, 투구 훈련 장치(100)의 한 실시례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 공형상의 물체(102)의 머리 부분(110)에 대한 결합 각도는 임의의 각도가 될 수 있다. 도 2는 대략 90도 각도로 머리 부분(110)의 원위 단부에 결합되는 부착용 기계적인 수단(202)과 함께 머리 부분(110)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부착용 기계적인 수단(202)은 제1 공형상의 물체(102)의 수용부(204)를 통하여 제1 공형상의 물체(102)에 결합된다. 상기 기계적인 수단(202)은, 예를 들면, 나사, 못, 클립, 스냅(snap), 볼 조인트, 또는 접착제와 같은, 머리 부분(110)을 제1 공형상의 물체(102)에 부착시키는 임의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re is shown a schematic view of one embodiment of a pitcher training device 100 in which a first ball-shaped object 102 is coupled to the head portion 110 at an angle to the head portion 110 . The coupling angle of the first coaxial object 102 to the head portion 110 may be any angle. Figure 2 shows the head portion 110 with attachment mechanical means 202 that engages the distal end of the head portion 110 at an approximately 90 degree angle. The attachment mechanical means 202 is coupled to the first coplanar object 102 through the receiving portion 204 of the first coplanar object 102. The mechanical means 202 may be any suitable means for attaching the head portion 110 to the first conformal object 102, such as, for example, a screw, nail, clip, snap, ball joint, Lt; / RTI >

추가적으로, 제1 공형상의 물체(102)는 부착용 기계적인 수단(202)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거나,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투구 훈련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가 자신의 손목을 회전시킬 때 제1 공형상의 물체(102)가 기계적인 수단(202)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irst ball-shaped object 102 may be held stationary to the attachment mechanical means 202 or may be held in place by a user during use of the pitching training device,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The first coplanar object 102 may be rotated relative to the mechanical means 202 when the wrist of the first coin is rotated.

투구 훈련 장치(100)의 한 실시례에서, 머리 부분(110)은 머리 부분(110)의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해서 머리 부분에 부가된 스페이서(208)를 가질 수 있다. 이것은 투구 훈련 장치(100)를 키가 변하는 사용자에게 맞게 변경시킬 수 있다. 도 2A는 상부 부분(210)에 결합되는 스페이서(208)에 결합된 하부 부분(206)을 포함하는 머리 부분(110)을 나타내고 있다. 머리 부분(110)의 여러 부분은, 예를 들면, 나사, 못, 클립, 스냅, 볼 조인트 또는 접착제와 같은 임의의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2B는 스페이서(208)가 없는 머리 부분(110)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하부 부분(206)이 상부 부분(210)에 직접 결합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머리 부분(110)이 피벗 조인트(302)(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피벗 조인트)에 결합될 수 있거나, 머리 부분(110)이 길이방향의 몸체부(114)(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길이방향의 몸체부)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itch training device 100, the head portion 110 may have a spacer 208 attached to the head portion to extend the length of the head portion 110. [ This may change the pitch training device 100 to suit the user who is changing the key. 2A shows a head portion 110 that includes a lower portion 206 coupled to a spacer 208 that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210. Various portions of the head portion 110 may be joined by any means, such as, for example, screws, nails, clips, snaps, ball joints or adhesives. 2B shows the head portion 110 without the spacer 208, so that the lower portion 206 is direct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210. As shown in Fig. Alternatively, the head portion 110 may be coupled to the pivot joint 302 (the pivot joint as shown in FIG. 3), or the head portion 110 may be coupled to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114 The body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피벗 조인트를 가진 투구 훈련 장치A helmet training device with a pivot joint

본 발명의 투구 훈련 장치가 길이방향의 몸체부(114)의 원위 단부에 인접해 있는 움직이는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상기 움직이는 부분은 길이방향의 몸체부(114)의 원위 부분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움직이는 부분을 가진 투구 훈련 장치의 한 실시례인, 피벗 조인트(300)를 가진 투구 훈련 장치에서, 길이방향의 몸체부(114)가 피벗 조인트(302)에 결합되어 있다(도 3). 피벗 조인트(302)는 이 피벗 조인트가 결합되어 있는 길이방향의 몸체부(114)의 양 측이 피벗 조인트(302)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It is contemplated that the pitching trai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moving portion adjacent the distal end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114. [ The moving portion may be any means that allows the distal portion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114 to move. In a pitching training device with a pivot joint 300, which is an example of a pitching training device with a moving part, a longitudinal body portion 114 is coupled to the pivot joint 302 (FIG. 3). The pivot joint 302 allows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114 to which the pivot joint is coupled to rotate relative to the pivot joint 302.

위에서 설명하였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투구 훈련 장치와 마찬가지로, 상이한 키의 사용자에게 맞추기 위해서 길이방향의 몸체부(114)는 제1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 제2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 및 제3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104, 106, 108) 중의 임의의 갯수의 사용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도 3A 및 도 3B). 도 3C는 길이방향의 몸체부(144)에 부가될 수 있는 제4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304)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의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들은, 예를 들면, 나사, 못, 클립, 스냅, 볼 조인트 또는 접착제와 같은 임의의 기계적인 수단을 통하여 임의의 순서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Similar to the helmet train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Figures 1 and 2, to fit a different key user,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114 includes a first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a second segmented longitudinal direction 106 and 108 of the third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Figs. 3A and 3B). Figure 3C shows a fourth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304 that may be added to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144. [ The segmented lengthwise bodies may be joined together in any order through any mechanical means such as, for example, screws, nails, clips, snaps, ball joints or adhesives.

길이방향의 몸체부(114), 제1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 제2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 제3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 및 제4 분절된 길이방향의 몸체부(104, 106, 108, 304)와 머리 부분(110)은, 예를 들면, 유리섬유, 금속, 플라스틱, 목재, 알루미늄, 강, 탄소 섬유, 강 합금, 구리관, 대나무, 종이, 아교, 고무, 유리, 주석, 가죽 또는 황동과 같은 임의의 비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A first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a second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a third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and a fourth segmented longitudinal body portion 104 106, 108, and 304 and the head portion 110 may be formed of any suitable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glass fiber, metal, plastic, wood, aluminum, steel, carbon fiber, steel alloy, copper tube, bamboo, paper, , Tin, leather, or brass. ≪ RTI ID = 0.0 >

상기한 투구 훈련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피벗 조인트(300)를 가진 투구 훈련 장치는 길이방향의 몸체부(114)의 원위 단부에 결합된 제1 공형상의 물체(102)를 가질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제2 공형상의 물체(112)가 길이방향의 몸체부(114)의 근위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As with the above-described helmet training apparatus 100, the helmet training apparatus having the pivot joint 300 may have a first ball-shaped object 102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114, The second convex object 112 can be coupled to the proximal end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114. [

도 4는 움직이는 피벗 조인트(302)의 분해도를 나타내고 있다. 움직이는 피벗 조인트(302)는 상부 부분(402)과 하부 부분(406)을 포함하고 있다. 도 4A는 움직이는 피벗 조인트(302)의 피벗 핀(404)을 가진 상부 부분(402)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4B는 상부 부분(402)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C는 피벗 핀(404)을 가진 하부 부분(406)의 평면도이고 도 4D는 하부 부분(406)의 측면도이다. 피벗 핀(404)은 상부 부분(402)과 하부 부분(406)을 함께 유지시킨다. 상부 부분(402)은 피벗 핀(404)을 통과하게 하기 위한 제1 구멍(408)을 가지고 있다. 하부 부분(406)은 피벗 핀(404)을 통과하게 하기 위한 제2 구멍(410)을 가지고 있다. 상부 부분(402)은 하부 부분(406)의 두 개의 연장부(414) 사이에 끼워맞추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는 기다란 부분(412)을 가지고 있다. 상부 부분(402)의 기다란 부분(412)이 하부 부분(406)의 두 개의 연장부(414) 사이에 끼워지면, 제1 구멍(408)과 제2 구멍(410)이 정렬되고, 피벗 핀(404)이 통과하여 움직이는 피벗 조인트(302)를 만든다. 선택적으로, 움직이는 피벗 조인트(302)는,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피벗 조인트를 고정시켜서, 피벗 조인트를 움직일 수 없게 하는 수단을 가질 수 있다.Figure 4 shows an exploded view of a moving pivot joint 302. The moving pivot joint 302 includes a top portion 402 and a bottom portion 406. Figure 4A shows a top view of the upper portion 402 with the pivot pin 404 of the moving pivot joint 302 and Figure 4B shows a side view of the upper portion 402. [ 4C is a top plan view of bottom portion 406 with pivot pin 404 and FIG. 4D is a side view of bottom portion 406. FIG. The pivot pin 404 holds the upper portion 402 and the lower portion 406 together. The upper portion 402 has a first hole 408 for passing the pivot pin 404 therethrough. The lower portion 406 has a second hole 410 for passing the pivot pin 404 therethrough. The upper portion 402 has an elongated portion 412 that is designed to fit between the two extensions 414 of the lower portion 406. When the elongated portion 412 of the upper portion 402 is sandwiched between the two extensions 414 of the lower portion 406 the first hole 408 and the second hole 410 are aligned and the pivot pin 404 are passed to create a pivot joint 302 that moves. Alternatively, the moving pivot joint 302 may have means for securing the pivot joint, such that the pivot joint is immovable,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5는 움직이는 피벗 조인트(302)가 피벗 조인트(300)를 가진 투구 훈련 장치를 제공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5A는 사용자에 의해 움직이는 피벗 조인트(302)가 피벗운동되기 전의 움직이는 피벗 조인트(302)를 나타내고 있다. 도 5B는 피벗운동된 위치에 있는 움직이는 피벗 조인트(302)를 나타내고 있다. 머리 부분(110)과, 머리 부분(110)의 원위 단부에 부착된 제1 공형상의 물체(102)가 원하는 위치로 피벗운동하는 동안 길이방향의 몸체부(114)는 고정된 상태로 있다.Figure 5 illustrates the operation in which the moving pivot joint 302 provides a pitch training device with a pivot joint 300. [ FIG. 5A shows the moving pivot joint 302 before the pivot joint 302 moved by the user is pivotally moved. Figure 5B shows the moving pivot joint 302 in the pivoted position. The body portion 11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 a fixed state while the head portion 110 and the first ball-shaped body 102 attached 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110 pivot to a desired position.

도 6을 참고하면, 피벗 조인트(302)를 곧은 자세로 고정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는 잠금 기구(602)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잠금 기구(602)는 피벗 조인트(302)의 위와 둘레로 슬라이딩이동하여, 피벗 조인트(302)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슬리브의 형태로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잠금 기구(602)는 편리한 사용을 제공하도록 장전된 스프링으로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schematic diagram of a locking mechanism 602 designed to secure the pivot joint 302 in a straight posture is shown. The locking mechanism 602 may be in the form of a sleeve that slides over and around the pivot joint 302 to prevent the pivot joint 302 from moving. Optionally, the locking mechanism 602 can be a loaded spring to provide for convenient use.

선택적으로, 잠금 기구(602)는 제1 개구(606)와 제2 개구(608)를 포함할 수 있다. 피벗 조인트(302)의 하부 부분(406)에 배치될 수 있는 버튼(604)이 있을 수도 있다. 버튼(604)은 편리한 사용을 위해 장전된 스프링으로 될 수 있다. 잠금 기구(602)가 "잠금해제(unlocked)" 위치에 있을 때, 잠금 기구(602)는 피벗 조인트(302)의 아래에 있고, 버튼(604)은 잠금 기구(602)의 제2 개구(608)를 통하여 위로 뻗어 있다. 잠금 기구(602)를 작동시켜서 잠금 기구(602)를 "잠금(locked)"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제2 개구(608) 외측의 버튼(604)을 누르고, 잠금 기구(602)를 위쪽으로 피벗 조인트를 덮도록 슬라이딩이동시켜서, 버튼(604)을 잠금 기구(602)의 제1 개구(606)를 통하여 위로 뻗을 수 있게 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잠금 기구(602)가 피벗 조인트(302)를 벗어나서 슬라이딩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잠금 기구(602)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제1 개구(606) 외측의 버튼(604)을 누르고, 잠금 기구(602)를 아래쪽으로 피벗 조인트(302)를 벗어나게 슬라이딩이동시켜서, 버튼(604)을 제2 개구(608)를 통하여 위로 뻗을 수 있게 하여야 한다. Alternatively, the locking mechanism 602 may include a first opening 606 and a second opening 608. [ There may be a button 604 that may be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406 of the pivot joint 302. Button 604 may be a spring loaded for convenient use. When the locking mechanism 602 is in the "unlocked" position, the locking mechanism 602 is under the pivot joint 302 and the button 604 is in the second opening 608 of the locking mechanism 602 ). To move the locking mechanism 602 to the "locked" position by actuating the locking mechanism 602, the user presses the button 604 outside the second opening 608 and moves the locking mechanism 602 upward So that the button 604 can be extended up through the first opening 606 of the locking mechanism 602 so that the locking mechanism 602 can be pivoted to the pivot joint 302 It is prevented from sliding out. To release the locking mechanism 602, the user presses the button 604 outside the first opening 606 and slides the locking mechanism 602 downwardly away from the pivot joint 302, Should be able to extend upward through the second opening (608).

가요성Flexibility 부분을 가진 투구 훈련 장치 Helmet training device with part

상기 움직이는 부분이 가요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도 7을 참고하면, 투구 훈련 장치(100)의 한 실시례에서, 길이방향의 몸체부(114)가 가요성 부분(704)에 결합되어 있다. 가요성 부분(704)은 가요성 부분(704)의 근위 단부에 제1 연결기(702)를 가지고 있다. 제1 연결기(702)는 길이방향의 몸체부(114)의 원위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가요성 부분(704)은 또한 가요성 부분(704)의 원위 단부에 부착된 제2 연결기(706)를 가지고 있다. 제2 연결기(706)는 머리 부분(110)의 근위 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머리 부분(110)의 원위 단부는 제1 공형상의 물체(102)에 결합되는 기계적인 수단(202)을 가지고 있다. It is contemplated that the moving part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Referring to FIG. 7, in one embodiment of the pitcher training device 100, a longitudinal body portion 114 is coupled to the flexible portion 704. The flexible portion 704 has a first connector 702 at the proximal end of the flexible portion 704. The first coupler 702 may be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114. The flexible portion 704 also has a second connector 706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flexible portion 704. The second connector 706 is coupled to the proximal end of the head portion 110. The distal end of the head portion 110 has a mechanical means 202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coplanar object 102.

가요성 부분(704)은 매우 작은 노력으로 원하는 위치결정을 달성하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종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부상으로부터 아직 회복중인 사용자의 용이한 적응을 가능하게 한다. 부상으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투구 자세를 취하지 못할 수 있다. The flexible portion 704 is designed to be freely manipulated in any direction by the user to achieve desired positioning with very little effort. This configuration enables easy adaptation of the user who is still recovering from the injury. Due to injuries, the user may not be able to take a desired pitching posture.

스트랩Strap 또는  or 하니스를Harness 가진 투구 훈련 장치 A helmet training device

투구 훈련 장치(100)가 투구 훈련 장치(100)를 사용자에게 부착시키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하니스(harness)를 가진 한 실시례에서, 길이방향의 몸체부(104)의 근위 단부가 투구 훈련 장치(100)를 바른 자세로 사용자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허리 벨트 또는 하니스에 결합될 수 있다. 하니스(900)의 사용법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하니스(900)는 제1 벨트(910)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에 부착된다. 상기 하니스는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등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제1 벨트(910)로부터 뻗어 있으며 제2 벨트(918)에 의해 사용자 가슴과 등 위쪽 부분 둘레로 고정되어 있는 스트랩(916)을 가질 수 있다. 제2 공형상의 물체(112)가 탄성 스트랩 또는 리트랙터블 코드(retractable cord)와 같은 제1 가요성 수단(914)에 의해 사용자의 등 아래쪽 부분의 중심 위치(912)에서 제1 벨트(910)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하니스는 탄성 스트랩 또는 리트랙터블 코드와 같은 제2 가요성 수단(920)에 의해 제2 벨트(918)에 부착될 수도 있다.It is contemplated that the helmet training device 100 may include means for attaching the helmet training device 100 to a user. In one embodiment with a harness, the proximal end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104 may be coupled to the waist belt or harness to secure the helmet training device 100 to the user in a correct posture. The usage of the harness 900 is shown in Fig. The harness 900 is attached to the waist of the user by the first belt 910. The harness may optionally have a strap 916 extending from a first belt 910 horizontally traversing the user's back and secured by a second belt 918 around the upper back portion of the user's chest. The second conical object 112 is moved by the first flexible means 914 such as an elastic strap or a retractable cord to the first belt 910 at the center position 912 of the back portion of the user's lower back, Respectively. The harness may be attached to the second belt 918 by a second flexible means 920 such as an elastic strap or a retractable cord.

투구 훈련 장치(100)의 다른 실시례에서는, 투구 훈련 장치(100)를 바른 자세(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사용자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제1 길이방향의 몸체부(114)의 근위 단부가 사용자의 팔에 스트랩으로 묶일 수 있다. 스트랩은 사용자의 손목과 이두박근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itcher training device 100, the proximal end of the body portion 114 in the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is positioned on the user's arm (not shown) to secure the pitcher training device 100 to the user in a correct posture To be strapped. The strap can be placed around the user's wrist and biceps.

하니스(900) 또는 스트랩이 피벗 조인트(300) 또는 가요성 부분(704)을 가진 투구 훈련 장치에 사용될 수도 있다. A harness 900 or a strap may be used in a pitching training device having a pivot joint 300 or a flexible portion 704. [

투구 훈련 장치의 사용법How to use a helmet training device

도 8은 투구 훈련 장치(100)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투구 훈련 장치(100)의 배치와 투구 훈련 장치(100)에 의해서 허용된 움직임은 부적절한 투구 동작인 손상을 일으키는 사이드 아암 동작을 피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자세를 바로잡고, 사용자의 팔꿈치를 적절하게 정렬시킨다. 사용자는 길이방향의 몸체부(114)가 사용자의 등을 따라서 뻗고, 사용자의 옆구리에 붙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팔 아래로 그리고 사용자의 팔뚝을 따라서 뻗어 있도록, 제1 공형상의 물체(102)를 손으로 쥐고, 길이방향의 몸체부(114)의 근위 단부나 제2 공형상의 물체(112)를 자신의 등 아래 부분에 닿도록 위치시킨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자신의 손과 팔을 이상적으로는 어깨 높이보다 위에 있는 바람직한 시작 위치까지 들어올린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제1 공형상의 물체를 시작 위치보다 낮은 제2 종료 위치로 이동시킨다. 사용자는 상기 종료 위치가 사용자의 어깨 아래에 있도록 자신의 팔을 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공형상의 물체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전방으로의 회전은 손목을 전방으로 약간 회전시키는 것도 수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제1 공형상의 물체를 머리 부분(110)에서 회전시키고, 길이방향의 몸체부의 근위 단부를 사용자의 등 아래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킬 것이다. 하지만,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는 여전히 사용자의 옆구리에 닿아 있을 것이다. 8 shows a method of using the helmet training device 100. In FIG. The placement of the pitcher training device 100 and the motion allowed by the pitcher training device 100 corrects the user's posture and aligns the user's elbows appropriately to avoid side arm motion that causes damage, which is an improper pitching action. The user may place the first globular object 102 in the hand such that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114 extends along the back of the user and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user and extends below the user's arm and along the forearm of the user. And places the proximal end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114 or the second conical object 112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 of the body. The user then lifts his or her hands and arms to the desired starting position, ideally above the shoulder height. The user then moves the first ball-shaped object to a second end position that is lower than the start position. The user moves the first coplanar object by rotating its arm forward so that the end position is below the shoulder of the user. This forward rotation may also involve slightly rotating the wrist forward slightly. This movement will rotate the first ball-shaped object in the head portion 110 and move the proximal end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away from the back portion of the user's back. However,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will still touch the side of the user.

피벗 조인트(300)를 가진 투구 훈련 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투구 훈련 장치가 투구 훈련 장치(100)에 대해서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시작 위치에서 시작한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자신의 팔을 전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시작 위치보다 낮은 종료 위치로 제1 공형상의 물체를 이동시킨다. 사용시에, 제1 공형상의 물체는 머리 부분(11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움직이는 피벗 조인트(302)만 사용하는 동안 움직인다. 도 5A는 시작 위치의 움직이는 피벗 조인트(302)를 나타내고 있다. 도 5B는 종료 위치의 움직이는 피벗 조인트(302)를 나타내고 있다.In the case of a pitching training apparatus having a pivot joint 300, the pitching training apparatus starts at the same starting position as that described above for the pitching training apparatus 100. The user then moves his or her arm forward to move the first coplanar object to a lower end position than the start position. In use, the first ball-shaped object is fixed relative to the head portion 110 and moves while only the moving pivot joint 302 is in use. Figure 5A shows the moving pivot joint 302 in the starting position. Figure 5B shows the moving pivot joint 302 at the end position.

마찬가지로, 가요성 부분(704)을 가진 투구 훈련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투구 훈련 장치를 상기 시작 위치에 유지시킨다. 그 다음에 사용자는 시작 위치보다 낮은 종료 위치로 제1 공형상의 물체를 이동시킨다. 사용시에, 제1 공형상의 물체는 머리 부분(11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움직이는 가요성 부분(704)만 사용하는 동안 움직이고, 자동적으로 시작 위치로 복귀한다. Similarly, in a pitching training device having a flexible portion 704, a user holds the pitching training device in the starting position. The user then moves the first ball-shaped object to an end position that is lower than the start position. In use, the first ball-shaped object is fixed relative to the head portion 110 and moves while using only the moving flexible portion 704 and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starting position.

하니스(900)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1 벨트(910)와 선택적인 제2 벨트(918)에 의해 하니스(900)를 부착한다. 제2 공형상의 물체(112)가 사용자의 등 아래 부분의 중심 위치(912)에서 탄성 스트랩 또는 리트랙터블 코드(retractable cord)와 같은 제1 가요성 수단(914)에 의해 제1 벨트(910)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하니스는 또한 탄성 스트랩 또는 리트랙터블 코드와 같은 제2 가요성 수단(920)에 의해 제2 벨트(918)에 부착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1 시작 위치에서 제1 공형상의 물체(102)를 쥐고 이것을 종료 위치로 이동시킨다. 제1 공형상의 물체(102)가 제1 시작 위치에서 종료 위치로 이동될 때 제2 공형상의 물체(112)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제1 가요성 수단(914)과 결합된 하니스는 사용자의 근육에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When used with the harness 900, the user attaches the harness 900 by means of the first belt 910 and the optional second belt 918. The second ball-shaped object 112 is moved by the first belt 910 by a first flexible means 914, such as an elastic strap or a retractable cord, at a central position 912 of the lower back portion of the user. Respectively. The harness may also be attached to the second belt 918 by a second flexible means 920 such as an elastic strap or retractable cord. The user grasps the first ball-shaped object 102 at the first starting position and moves it to the end position. When the first coplanar object 102 is moved from the first start position to the end position, the second coplanar object 112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harness combined with the first flexible means 914 can provide resistance to the user's muscles.

팔과 어깨 강화 장치로서의 상기 투구 훈련 장치의 사용법How to use the helmet training device as an arm and shoulder tightening device

상기한 투구 훈련 장치들 중의 임의의 장치가 팔과 어깨 강화 장치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상기한 움직임은 팔과 어깨의 여러 부분을 강화시킬 수 있다. 사용시에, 상기 장치는, 예를 들면, 전완 굴근(forearm flex muscle), 전완 신근(forearm extensor muscle), 이두박근, 삼두박근, 삼각근, 가슴 근육, 측면 근육, 그리고 승모근과 같은, 사용자의 팔 근육, 어깨 근육, 목 근육 및 몸통 근육과 결합된다.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팔, 어깨, 그리고 몸통 근육을 강화시키는 보조구로서 물리 치료나 작업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It is contemplated that any of the above-described helmet training devices may be used as an arm and shoulder enhancing device. The above movement can strengthen various parts of the arm and shoulder. In use, the device may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a user's arm muscles, such as forearm flex muscle, forearm extensor muscle, biceps, triceps, deltoid, chest muscle, lateral muscle, Shoulder muscles, neck muscles, and torso muscles. The device can be used for physical therapy or occupational therapy as a supplement to strengthen the user's arm, shoulder, and torso muscles.

비록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례와 관련하여 상당히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례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해 개시된 단계들은 제한적인 것도 아니고 각각의 단계가 상기 방법에 반드시 본질적인 것을 나타내는 것도 아니며, 단지 예시적인 단계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 바람직한 실시례의 설명으로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은 그 전체 내용이 참고로 포함되어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siderable detail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or example, the steps disclosed for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and not to imply that each step is necessarily essential to the method, and is merely an exemplary step.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contained herein. All references cited herein are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Claims (25)

투구 훈련 장치로서,
a.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길이방향의 몸체부; 그리고
b.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의 원위 단부에 결합되는 제1 공형상의 물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 훈련 장치.
As a helmet training device,
a. A longitudinal body portion including a proximal end and a distal end; And
b. A first coplanar object coupled to a distal end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Wherein the pitching training device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가 비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 훈련 장치.The helme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made of an irreversible materi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요성 재료가 유리섬유, 금속, 플라스틱 또는 목재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 훈련 장치.3. A helme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said non-rigid materia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mprising glass fiber, metal, plastic or wo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가 가변 크기의 두 개의 이상의 길이방향의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 훈련 장치.The helme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includes two or more longitudinal body portions of variable siz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크기의 두 개의 이상의 길이방향의 몸체부가 임의의 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 훈련 장치.5. A pitching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two or more longitudinal body portions of variable siz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ny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의 원위 단부에 근접해 있는 움직이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 훈련 장치.The helmet training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oving portion proximate a distal end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이는 부분이 상기 움직이는 부분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 훈련 장치.The helme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the moving part from moving the moving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이는 부분이 피벗 조인트, 가요성 부분, 또는 스프링 기구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 훈련 장치.7. A pitcher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said moving par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mprising a pivot joint, a flexible part, or a spring mechanism. 제1항에 있어서, 제1 공형상의 물체가 기계적인 수단을 통하여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의 원위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 훈련 장치.2. The pitchin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all-shaped object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via mechanical mean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인 수단이 나사, 못, 클립, 스냅, 볼 조인트, 또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 훈련 장치.10.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mechanical means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crews, nails, clips, snaps, ball joints, or adhesives. 제1항에 있어서, 제1 공형상의 물체가 임의의 크기로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 훈련 장치.The helme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planar object can be of any size. 제1항에 있어서, 제1 공형상의 물체가 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 훈련 장치.The helme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all-shaped object is a ball. 제1항에 있어서, 제1 공형상의 물체가 야구공, 소프트볼공, 테니스공, 또는 축구공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 훈련 장치.The helme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all-shaped objec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mprising a baseball, softball, tennis ball, or soccer b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 제2 공형상의 물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 훈련 장치.The helme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all-shaped object coupled to the proximal end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제14항에 있어서, 제2 공형상의 물체가 임의의 크기로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 훈련 장치.15. A pitching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second ball-shaped object can be of any size. 제14항에 있어서, 제2 공형상의 물체가 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 훈련 장치.15. The helme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second ball-shaped object is a ball. 제14항에 있어서, 제2 공형상의 물체가 야구공, 소프트볼골, 테니스공, 또는 축구공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 훈련 장치.15. The helme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second ball-shaped objec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mprising a baseball, a softball, a tennis ball, or a soccer ball. 제14항에 있어서, 제2 공형상의 물체가 기계적인 수단을 통하여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의 근위 단부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 훈련 장치.15. A pitcher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second ball-shaped object can be coupled to the proximal end of the longitudinal body part via mechanical means.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인 수단이 나사, 못, 클립, 스냅, 볼 조인트, 또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 훈련 장치.19. A helme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mechanical means can include screws, nails, clips, snaps, ball joints, or adhesiv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에 결합된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 훈련 장치.The pitcher training devic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rap coupled to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제1항에 따른 투구 훈련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손으로 제1 공형상의 물체를 쥐는 단계;
b.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를 사용자의 옆구리에 붙여서 사용자의 팔 아래에 위치시키는 단계;
c. 제1 공형상의 물체를 쥐고 있는 사용자의 손이 어깨 높이보다 위에 있도록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의 근위 단부를 사용자의 등 아래 부분에 붙여서 위치시키는 단계; 그리고
d. 제1 공형상의 물체를 쥐고 있는 사용자의 손이 사용자의 어깨 위로부터 사용자의 어깨 아래로 회전하도록 사용자의 팔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있고,
사용자의 팔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의 근위 단부가 들어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method of using a helme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Grasping a first ball-like object with the user's hand;
b. Attaching th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 side of a user and positioning the body under a user's arm;
c. Positioning the proximal end of the body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ttaching the proximal end of the body portion to the back of the user so that the user's hand holding the first ball-shaped object is above the shoulder height; And
d. Rotating the user's arm forward to rotate the user's hand holding the first ball-shaped object from below the user's shoulder to below the user's shoulder;
And,
Wherein the proximal end of the body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ifted by rotating the user's arm forward.
팔 강화 장치로서,
a.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길이방향의 몸체부; 그리고
b.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의 원위 단부에 결합되는 제1 공형상의 물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강화 장치.
As an arm strengthening device,
a. A longitudinal body portion including a proximal end and a distal end; And
b. A first coplanar object coupled to a distal end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Wherein the arm reinforcing device comprises: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가 가변 크기의 두 개의 이상의 길이방향의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강화 장치.23. The arm reinforcing device of claim 22, wherein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comprises two or more longitudinal body portions of varying siz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 제2 공형상의 물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강화 장치.23. The arm reinforcing device of claim 22,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nformal object coupled to the proximal end of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의 몸체부에 결합된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강화 장치.23. The arm reinforcing device of claim 22, further comprising a strap coupled to the longitudinal body portion.
KR1020167012663A 2013-11-15 2014-11-14 Ball throwing training and strengthening device KR10233328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904917P 2013-11-15 2013-11-15
US61/904,917 2013-11-15
US14/157,203 US20150141171A1 (en) 2013-11-15 2014-01-16 Ball throwing training and strengthening device
US14/157,203 2014-01-16
PCT/US2014/065843 WO2015073929A1 (en) 2013-11-15 2014-11-14 Ball throwing training and strengthen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270A true KR20160085270A (en) 2016-07-15
KR102333288B1 KR102333288B1 (en) 2021-12-01

Family

ID=53058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663A KR102333288B1 (en) 2013-11-15 2014-11-14 Ball throwing training and strengthening device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50141171A1 (en)
JP (1) JP6470301B2 (en)
KR (1) KR102333288B1 (en)
CN (1) CN105722561B (en)
CA (1) CA2930073C (en)
MX (1) MX2016006304A (en)
TW (1) TWI648082B (en)
WO (1) WO201507392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09075S1 (en) * 2016-01-26 2018-01-30 Sure-Set Golf Limited Sports training aid
US20170252622A1 (en) * 2016-03-04 2017-09-07 Glenn Ross Player/thrower training device including ball supported and extensible inner tubular portion telescopically displaceable and biased within an outer tubular and grip-able and elongated and for instructing multi-positional throwing motions
RU2724361C1 (en) * 2020-02-03 2020-06-23 Максим Владимирович Пихоцкий Exerciser for muscular-ligamentous apparatus training during throwing grenade
US11969637B2 (en) 2022-02-22 2024-04-30 Robert Geoffrey Nadel Spherical cage pitch training device with spinning ball
US11439881B1 (en) 2022-02-22 2022-09-13 Nadel Richard Pitch train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2883A (en) * 1958-08-11 1960-06-28 William H Moore Baseball batting device
US3942790A (en) * 1974-07-22 1976-03-09 Max Rice Exercising device
US4565367A (en) * 1981-05-26 1986-01-21 Spymark, Inc. Hand held body engaging exercise device
US20070202968A1 (en) * 2006-02-24 2007-08-30 Joseph Zappel 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players in sport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14391A (en) * 1927-03-23 1929-05-21 Robert B Mcwhirter Exercise bar
US3152803A (en) * 1962-12-12 1964-10-13 Jr John F Sain Baseball pitching educational device
JPS5091441A (en) * 1973-12-18 1975-07-22
JPS5351256Y2 (en) * 1976-07-17 1978-12-07
US4561661A (en) * 1984-07-17 1985-12-31 Leo Walker Soccer training device especially for head and foot
US5230506A (en) * 1992-03-02 1993-07-27 Cipriano Ronald J Batting practice device
US5492321A (en) * 1992-03-02 1996-02-20 Funtec, Inc. Batting practice device
US5467979A (en) * 1993-08-23 1995-11-21 Zarate; Rene A. Baseball batting practice device
US5433435A (en) * 1993-12-21 1995-07-18 Bourie; George E. Batter timing practice apparatus
US5685788A (en) * 1996-04-25 1997-11-11 Shy; Haw-Yaw Shock-absorbable ball practice device
US5989137A (en) * 1998-02-24 1999-11-23 Krueger; Scott A. Ball mounted training device
JP4431735B2 (en) * 2000-02-10 2010-03-17 靖之 今任 Throwing practice tool
US6435989B1 (en) * 2000-05-26 2002-08-20 Joel Grubman Batting training device
WO2003080192A1 (en) * 2002-03-19 2003-10-02 Smith Gregory S Device and method for throwing motion training
US6837808B1 (en) * 2003-05-05 2005-01-04 Garland Hatch Sport training device
US20060014597A1 (en) * 2004-07-15 2006-01-19 Roger Cantu Bob stick
US20060035729A1 (en) * 2004-08-16 2006-02-16 Ling-Wan Wang Strike trainer
JP3121709U (en) * 2006-03-06 2006-05-25 株式会社山川製作所 Throwing form correction practice tool
TW200824758A (en) * 2006-08-10 2008-06-16 Chang-Ho Choi Baseball throwing training and exercise apparatus
US7374502B2 (en) * 2006-10-20 2008-05-20 Comello Jr Carlo J Pitching training method and device
CN201085901Y (en) * 2007-10-22 2008-07-16 王铁映 Recoverable basketball device
US20090227399A1 (en) * 2008-03-10 2009-09-10 Throwing Partner Llc Ball Throwing Device
US8323127B2 (en) * 2008-06-06 2012-12-04 Webb Dennis A Sports throwing training device
US20100304900A1 (en) * 2009-05-26 2010-12-02 Fan Gu Method and apparatus for hitting a ball
GB0919549D0 (en) * 2009-11-09 2009-12-23 Thorogood Francis Cricket ball throwing device
US8753233B2 (en) * 2011-02-24 2014-06-17 William Coleman Lay Swing trainer
US8932155B2 (en) * 2011-07-21 2015-01-13 Richard Moore Sports ball training assembly
US9084922B2 (en) * 2012-06-24 2015-07-21 Frank Lawrence DiMichele, JR. 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a throwing technique
KR20150125955A (en) * 2013-02-12 2015-11-10 스트라이크 테크 시스템, 엘엘씨 Batting practice apparatus
US20140287852A1 (en) * 2013-03-24 2014-09-25 Eric Clark Sports ball throwing training system and method
US20140329622A1 (en) * 2013-05-03 2014-11-06 Winston Christopher Marshall Tethered Ball Trainer
US9415286B2 (en) * 2013-07-09 2016-08-16 Brothers Innovative Solutions, LLC Training device
JP6180279B2 (en) * 2013-10-31 2017-08-16 崇仁 鈴木 Ball for ro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2883A (en) * 1958-08-11 1960-06-28 William H Moore Baseball batting device
US3942790A (en) * 1974-07-22 1976-03-09 Max Rice Exercising device
US4565367A (en) * 1981-05-26 1986-01-21 Spymark, Inc. Hand held body engaging exercise device
US20070202968A1 (en) * 2006-02-24 2007-08-30 Joseph Zappel 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players in spo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37174A (en) 2016-12-01
CN105722561A (en) 2016-06-29
MX2016006304A (en) 2016-07-26
US20150141171A1 (en) 2015-05-21
CA2930073A1 (en) 2015-05-21
JP6470301B2 (en) 2019-02-13
CN105722561B (en) 2018-09-28
TW201529122A (en) 2015-08-01
CA2930073C (en) 2020-12-15
KR102333288B1 (en) 2021-12-01
WO2015073929A1 (en) 2015-05-21
TWI648082B (en) 201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2192B2 (en) Multi-sport swing training apparatus
KR20160085270A (en) Ball throwing training and strengthening device
US20080081746A1 (en) Elastic exercise device
JP2012513244A (en) Golf practice equipment
US11583727B2 (en) Shoulder motio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e
JP2010246884A (en) Racket grip aid and grip
US9901800B2 (en) Ball throwing training and strengthening device
US7223218B2 (en) Muscle strengthening device
KR101769246B1 (en) Table tennis Racket for practice
US20170028286A1 (en) Training device for racquet sports
US10688365B2 (en) Sport (golf) hands
JP2007061408A (en) Exercise train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