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246B1 - Table tennis Racket for practice - Google Patents

Table tennis Racket for pract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246B1
KR101769246B1 KR1020160045207A KR20160045207A KR101769246B1 KR 101769246 B1 KR101769246 B1 KR 101769246B1 KR 1020160045207 A KR1020160045207 A KR 1020160045207A KR 20160045207 A KR20160045207 A KR 20160045207A KR 101769246 B1 KR101769246 B1 KR 101769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 tennis
swing
elastic body
practice
tennis 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2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07129A (en
Inventor
심교황
Original Assignee
심교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교황 filed Critical 심교황
Priority to KR1020160045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246B1/en
Publication of KR20160107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1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2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40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 A63B59/48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with perforated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40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 A63B59/42Rackets or the like with flat striking surface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table tennis with solid surfaces
    • A63B59/45Rubbe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bonding between a rubber part and the racket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8Baseball, rounders or similar g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탁구라켓의 그립부와 블레이드부에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한다. 다수개의 구멍 중 하나의 구멍에 탄성체를 연결하고 나머지 한쪽 끝 을 고정하고 그 연결된 탁구라켓을 잡고 탁구의 스윙동작을 탄성체를 당기며 연습하므로 탁구의 정확한 스윙 자세을 익히고 스윙자세 교정, 스윙속도, 타구력 향상 및 탁구를 하는데 필요한 근력과 순발력을 강화하고 과도한 스윙으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 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lurality of holes in the grip portion and the blade portion of the table tennis racket. It connects the elastic body to one hole of a plurality of holes, fixes the other end, holds the connected table tennis racket, and pulls out the swinging action of the table tennis to practice the elastic body, thereby learning the accurate swing posture of the table tennis, swing posture correction, swing speed, Enhances the strength and the quick-acting force necessary for improving the ping-pong, and prevents the injury due to the excessive swing.

Figure 112017074535455-pat00010
Figure 112017074535455-pat00010

Description

연습용 탁구라켓{Table tennis Racket for practice}Table tennis Racket for practice

본 발명은 연습용 탁구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탁구라켓의 그립부와 블레이드부에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한다. 다수개의 구멍 중 하나의 구멍에 탄성체를 연결하고 나머지 한쪽 끝을 고정하고 그 연결된 탁구라켓을 잡고 탁구의 스윙동작을 탄성체를 당기며 연습하므로 탁구의 스윙자세 교정, 스윙속도, 타구력 향상 및 탁구를 하는데 필요한 근력과 순발력을 강화하고 과도한 스윙으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 오는 연습용 탁구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ining table tennis rack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ip portion and a blade portion of a table tennis racket. By attaching the elastic body to one hole of a plurality of holes and fixing the other end and holding the connected table tennis racket and pulling the swinging action of the table tennis ball and practicing the elastic body, the swing posture correction of the table tennis, the swing spe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table tennis racket that enhances muscle strength and power required to prevent an injury caused by an excessive swing.

탁구의 스윙은 공이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몸동작으로 라켓을 휘두르는 동작이고 타구는 휘둘러서 생긴 에너지를 공에 전달하는 행위이다. 탁구의 스윙에는 스트로크 쇼트 블로킹 스매시 푸시 로빙 드라이브 커트 백스매시 백드라이브 백쇼트 백푸쉬 플릭 등이 있다. 타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당한 정도의 안정성이 요구된다. 발 다리 허리 손목 팔 어깨 등이 유기적으로 움직이며 리듬을 타야 부드럽고 정확한 스윙자세를 만들 수 있다. 탁구를 처음 배우는 초급자들은 5분에서 20분 정도 레슨을 받고 개인적으로 거울을 보며 스윙자세를 연습하게 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라켓을 사용하거나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일반라켓보다 2배 정도 무거운 연습용 탁구라켓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스윙자세를 연습하게 되면 레슨을 받을 때의 정확한 자세가 처음에는 유지되지만 스윙의 횟수가 증가 될수록 스윙자세가 흩으러 지게 된다. 결국 발 다리 허리 손목 팔 어깨등을 유기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팔과 어깨만 사용하여 스윙연습을 하게 된다. 정확한 스윙자세를 형성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며 탁구에 흥미를 잃게 된다. 또한 스윙연습을 통하여 근력을 강화하여 스윙속도와 타구력 순발력등의 향상을 이루어야 하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효과를 거두기는 힘들기도 하고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중급 이상의 실력을 갖춘 사람도 탁구 게임을 할 때 자신의 근력보다 더 강한 힘으로 스윙을 하게 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결국 부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The swing of the table tennis is the act of waving the racket with the gesture made in the state without the ball, and the batting is the act of transmitting the energy generated by the swinging to the ball. The swing of table tennis includes stroke short blocking smash push roving drive cut back smashback drive back short back push fly. A considerable degree of stability is requir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ball. Foot legs waist, wrist arm, shoulders, etc., move organically, and you have to beat the rhythm to create a smooth and accurate swing posture. For beginners who are learning ping pong, they will take lessons from 5 to 20 minutes and practice the swing posture personally while watching the mirror. Use a racket you are currently using or a practice table tennis racket that is twice as heavy as a regular racket on the market. In this way, when you practice swing posture, the correct posture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lesson will be retained at first, but as the number of swing increases, the swing posture becomes scattered. In the end, you can not use your feet, legs, wrists, arms, and shoulders organically and use your arms and shoulders to practice your swing. It takes a lot of time to form an accurate swing posture and you lose interest in table tennis. Al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wing speed and the power to improve the swing speed by strengthening the muscular strength through the swing practice, and it is difficult and time consuming to get the effect in this way. In addition, a person with a middle or higher level of skill may have a stronger force than the strength of his or her swing when playing a table tennis game. Eventually, it often leads to injuries.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스윙연습은 스윙의 시작점과 종착점을 정확히 인식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매 스윙마다 스윙의 궤적이 다르다. 탁구의 정확한 스윙자세를 개인적으로 연습함에 있어서 스윙의 횟수가 증가하여도 처음의 자세를 인식할 수 있는 시작점과 종착점까지의 스윙 궤도를 잡아주어 자세가 흩으러지지 않게 스윙연습을 할 수 있다. 또한 스윙연습을 통하여 근력을 강화하여 스윙속도와 타구력 순발력등의 향상과 과도한 스윙으로 인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연습용 탁구라켓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curately recognize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ing point of the swing in the conventional swing practice. Therefore, the trajectory of each swing is different. In practicing the exact swing posture of the table tennis personally, the swing trajectory to the starting point and the final point which can recognize the first posture can be performed even if the number of swings increases, and the swing practice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posture is not scattered. It is also intended to provide an exercise table tennis racket capable of enhancing the swing speed, the power of the swing force, and the injury caused by the excessive swing by strengthening the muscle strength through the swing pract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연습용 탁구라켓에 있어서 그립부의 끝 부분에 구멍을 형성하고 블레이드부에도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하여 다수개의 구멍 중 하나의 구멍에 탄성체를 연결하여 나머지 한쪽을 고정하고 그 연결된 탁구라켓을 잡고 탄성체를 당기며 탁구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는 연습용 탁구라켓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able tennis racket for practice, in which a hole is formed at an end portion of a grip portion and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a blade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practice table tennis racket capable of holding a connected table tennis racket, pulling an elastic body, and practicing a swinging motion of the table tennis.

본 발명에 따른 연습용 탁구라켓에 탄성체를 연결하여 탁구의 스윙연습을 하므로 얻어지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탁구는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생활체육의 한 종목이다. 우리나라의 생활체육이 활성화되고 발전하면서 탁구를 즐기는 인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어느 정도 기본기만 배우면 즐길 수는 있지만 실력향상은 쉽게 되지 않는 운동이기도 하다. 탁구는 가벼운 공을 다루는 운동이므로 무엇보다 정확한 자세가 중요하다. 처음부터 공을 치는 스윙을 하게 되면 정확한 자세를 잡기가 힘들다. 먼저 정확한 자세를 연습하여 몸에 익히고 난 뒤 공을 치는 것이 탁구를 하는데 있어서 올바른 방법이다. 그런 의미에서 종래의 연습용 탁구라켓만을 들고 스윙연습을 하는 것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습용 탁구라켓에 탄성체를 연결하여 스윙연습을 하므로 탄성체가 스윙의 궤적을 잡아주므로 정확한 스윙동작을 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다. 또한 탄성체를 당기는 동작을 반복하므로 스윙에 필요한 근력이 향상되고 순발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피가 작고 가벼워서 가지고 다니면서 장소에 제한 없이 언제 어디서라도 스윙연습을 할 수 있다. 탁구는 한쪽 방향으로의 스윙이 많은 운동이다. 탄성체를 연결하여 사용하므로 스윙의 궤도를 잡아줌으로 사용하지 않는 팔도 용이하게 스윙연습을 할 수 있으므로 신체의 불균형을 예방하고 부상도 예방할 수 있다. 라켓을 움직여서 하는 운동은 타이밍이 중요하므로 라켓에 탄성체를 연결하여 스윙연습을 하게 되면 근력 증가에도 효과적이지만 근력을 발휘하게 하는 타이밍을 위한 연습에도 효과적이다. 스윙이 흔들리거나 팔의 움직임이 많은 사람의 스윙을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해준다. 탄성체에 연결된 라켓을 들고 탁구의 스윙동작을 똑같이 하기 때문에 몸의 회전력이 향상되고 움직임이 가벼워져서 볼을 치는 파워가 향상된다. 탁구의 스윙자세 교정, 스윙속도, 타격력 향상 및 탁구를 하는데 필요한 근력과 순발력이 향상되고 과도한 스윙으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져 오는 연습용 탁구라켓이다. The effect of swinging a table tennis ball by connecting an elastic body to a training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Table tenni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ports for everyday life for all ages. As the life sports of our country is activated and developed, the population of enjoying table tennis is increasing more and more. It is a movement that can not be easy to improve the skill although it can be enjoyed only to some extent basic learning. Ping pong is a lightweight ball so it is important to have a correct posture. It is hard to get the correct posture if you swing the ball from the beginning. Practicing the correct postures first and then playing the ball after getting into the body is the right way to play table tennis. In this sense, rather than performing a swing practice with only a conventional practice table tennis racket, an elastic body is connected to an exercise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actice a swing, so that the elastic body catches the swing trajectory, so that the swing operation can be learned easily and quickly.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of pulling the elastic body is repeated, the muscle force required for the swing is improved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instantaneous power can be obtained. It is small and light, so you can practice swing anytime and anywhere without having to carry anywhere with you. Table tennis is a swing movement in one direction. By connecting the elastic body, the swing can be traced and the unused arm can be swinged easily, so that the body can be prevented from unbalance and injuries can be prevented. Since the timing of the movement of the racket is important, it is also effective to practice the swing practice by connecting the elastic body to the racket. It can be used to fix the swing of the swing or the swing of the person who has many movements of the arm. By holding the racket connected to the elastic body, the swinging motion of the table tennis is the same, so the body rotatory power is improved and the movement is lighter and the power of hitting the ball is improved. It is a practice table tennis racket that improves the swing posture correction of the table tennis, the swing speed, the improvement of the hitting power and the strength and the quickness necessary for the table tennis and prevents the injury caused by the excessive swing.

탁구에 자주 쓰이는 부위별 근육 명칭과 역할은 다음과 같다. 기본자세에서 엄지발가락에 힘을 주면서 힘이 시작되는데, 좌우 앞뒤 스텝일 때 비복근이 중요하고 기본 스트로크부터 드라이브까지 엄지발가락을 시작으로 대퇴근까지 다리의 근육이 지탱을 해주어야 안전하고 탄탄한 스윙이 될 수 있다. 상체는 기본 스트로크부터 드라이브까지 어깨와 상완근이 많이 쓰이고 플릭일 때는 전완근을 주로 사용한다. 백스매싱과 백드라이브일 때는 복근의 힘으로 스윙을 해야하는데 이때 복근과 등쪽 근육이 안정되어야 탄탄한 백쪽 스윙들이 위력을 발휘한다. The following are the names and roles of the muscles that are commonly used in table tennis. In the basic posture, the force starts to give strength to the big toe. When the back and forth steps are important, the stomach is important and the leg muscles must be supported from the basic stroke to the drive starting from the big toe to the femoral head. . The upper body is the shoulder and upper arm from the basic stroke to the drive, and the forehead is mainly used when it is flick. When back-smashing and back-driving, you should swing with the power of your abdominal muscles.

탄성체가 연결되는 구멍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탁구의 스윙연습을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부위별 근력이 향상되어 진다. 도1에서 201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 스매시, 드라이브등을 연습할 수 있다. 특히 탁구에 처음 입문하는 초보자가 스윙의 동작을 익히기에 적합하다. 도1에서 202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 스매시, 드라이브,백쇼트, 백푸쉬,백드라이브 커트,플릭등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다. 연습용 탁구라켓을 잡고 탄성체를 당기며 스윙할 때 무게중심이 손바닥 아래쪽에 형성되기 때문에 손목과 블레이드를 받치고 있는 검지손가락이 자유로워 공이 맞는 타이밍에 라켓의 끝을 순간적으로 감아 줌으로 공의 회전을 더 많이 주고 더 빠르게 타구할 수 있는 연습을 할 수 있다. 도1에서 203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 스매시, 드라이브,백쇼트, 백푸쉬,백드라이브등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다. 검지손가락에 힘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검지손가락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1에서 204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 스매시, 드라이브등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다.검지손가락과 손목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1에서 205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스매시 드라이브등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다. 검지손가락과 손목,전완근,상완근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1에서 204보다 더 많은 힘이 필요하다. 도1에서 206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스매시 드라이브등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다. 검지손가락과 손목, 전완근, 상완근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1에서 205보다 더 많은 힘이 필요하다. 스윙연습을 통하여 자세가 갖춰지고 익숙해지면 스윙동작과 함께 탁구의 스텝을 밟으며 더 역동적으로 다리운동과 스윙연습을 할 수 있다. 유산소 운동을 하면서 근력 운동을 함께할 수 있으며 탁구의 실력을 빠른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hole where the elastic body is connected, various table tennis swing exercises can be performed, and the muscle strength of each part is improved accordingly. Connecting to 201 in FIG. 1 allows forehand strokes, smashes, and drives to be practiced. Especially for beginners who are new to table tennis, it is suitable to learn swing motion. In FIG. 1, when connected to 202, a forehand stroke, a smash, a drive, a back shot, a back push, a back drive cut, and a flick can be practiced. Because the center of gravity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alm when the player holds the paddle racket for practice and pulls the elastic body, the index finger supporting the wrist and the blade is free so that the ball rotates the tip of the racket instantaneously You can do lots of exercises that you can give faster and faster. In FIG. 1, when connected to 203, a forehand stroke, a smash, a drive, a back shot, a back push, and a back drive can be practiced. Since the index finger has a lot of force, the strength of the index finger can be strengthened. 1 to 204, it is possible to practice a forehand stroke, a smash, a swing motion of a drive, etc. The strength of the index finger and the wrist can be enhanced. By connecting to 205 in FIG. 1, a forehand stroke, a smashing drive and the like can be practiced. The strength of the index finger and wrist, frontal muscles, and brachial muscles can be strengthened. More force is required than 204 in Fig. 1, a swing operation such as a forehand stroke, a smashing drive, or the like can be practiced. The strength of the index finger and wrist, frontal muscles, and brachial muscles can be strengthened. In Fig. 1, more force is required than 205. Swing practice allows you to practice your swing exercises more swiftly by stepping on the steps of the table tennis with your swing motion. The aerobic exercise can be performed together with the strength exercise and the skill of the table tennis can be improved effectively in a short ti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와 블레이드부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탁구스윙의 종류에 따라 201에 탄성체를 통과하고 207과 208에 탄성체를 통과시켜 탄성체를 연결한 연습용탁구라켓을 오른손으로 잡았을 때 뒷면을 도시한 연습용 탁구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와 블레이드부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탁구스윙의 종류에 따라 201에 탄성체를 통과하고 207과208에 탄성체를 통과시켜 탄성체를 연결한 연습용탁구라켓을 오른손으로 잡았을 때 앞면을 도시한 연습용 탁구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습용 탁구라켓에 탄성체를 연결하여 스윙자세를 취한 모습과 연결된 탄성체가 최소한의 탄력이 유지된 스윙의 시작점을 도시한 것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a grip portion and a blad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an athletic table tennis racket having an elastic body passed through an elastic body 201 and passing an elastic body through 207 and 208 And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actice table tennis racket showing the rear sid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when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grip portion and the blad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lastic tennis racket passes through an elastic body 201 and passes an elastic body through 207 and 208, And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actice table tennis racket showing the front side thereof. FIG. 3 shows a starting point of a swing in which an elastic body connected to a swing posture by connecting an elastic body to a training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minimum elasticity.

본 발명은 국제탁구연맹의 탁구라켓에 관한 규정 중 2.4.1(탁구라켓의 크기 모양 무게는 상관없지만 판은 평평하고 단단해야한다)의 정의하는 내용 중 탁구라켓의 크기 모양 무게는 상관없지만 만을 따른다. 하지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탁구라켓인 쉐이크핸드형 탁구라켓을 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탁구라켓의 그립부와 블레이드부에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한다. 스윙연습용으로 이용되는 바 라켓의 모양만 형성되면 되기 때문에 나무 플라스틱 금속 등과 같이 그 재질에 관계없이 다양한 재료로 제작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table tennis racket of the International Table Tennis Federation in the definition of 2.4.1 (the size of the table tennis racket does not matter, but the plate should be flat and rigid) . However, in the concrete content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a shake hand type table tennis racket, which is a commonly used table tennis racket, is exemplified in detail.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grip portion and the blade portion of the table tennis racket. Since the shape of the bar rack used for swing practice is only formed, it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regardless of the material such as wooden plastic met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연습용 탁구라켓의 사시도이다. 구멍의 크기와 모양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탄성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멍의 위치는 도1에서 201은 블레이드부의 가운데 형성한다. 도1에서 202는 그립부의 하단에 가장자리로부터 10mm 정도 안쪽으로 형성한다. 도1에서 203은 라켓을 파지하였을 때 검지손가락 둘째 마디 아랫부분에 가장자리로부터 10mm 정도 안쪽으로 형성한다. 도1에서 204는 라켓을 파지하였을때 검지손가락 손톱 아랫부분에 가장자리로 부터 10mm 정도 안쪽으로 형성한다. 도1에서 205는 블레이드부의 2분의1지점 오른쪽 끝부분에 가장자리로부터 10mm정도안쪽으로 형성한다. 도1에서 206은 12시방향 끝부분에 가장자리로 부터 10mm정도 안쪽으로 형성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rality of perforated training table tennis rack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and shape of the hole are formed so that the elastic body used by the user can pass through. In Fig. 1, the position of the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lade portion. In Fig. 1, reference numeral 202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grip portion, about 10 mm inward from the edge. In FIG. 1, when the racket is gripped, it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index finger at a distance of about 10 mm from the edge. In FIG. 1, when the racket is gripped, it is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index fingernails of the index finger about 10 mm inward from the edge. In Fig. 1, 205 is formed at the right end portion of the blade portion at a half point, and about 10 mm inward from the edge. In Fig. 1, 206 is formed at an end portion at 12 o'clock direction and 10 mm inward from the edge.

도 3는 연습용 탁구라켓에 탄성체를 연결하여 스윙연습을 하는 시작점을 도시한 것이다. 연습용 탁구라켓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 중 하나의 구멍에 탄성체를 연결하고 한쪽 끝을 사용자의 무릎에서 허리의 높이 사이의 고정체에 고정한다. 사용자는 탄성체의 한쪽 끝을 고정 시킨 곳을 기준으로 하여 그 기준을 오른쪽 뒤에 두고 9시~11시 방향에서 스윙자세를 잡는다. 연습하고자 하는 스윙의 종류에 따라 탄성체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사용자에 의해 적당한 길이로 조절된 (45cm~100cm) 탄성체에 연결된 연습용 탁구라켓을 잡고 탁구의 스윙동작을 탄성체를 당기며 연습한다. 탄성체와 라켓의 연결은 라켓의 구멍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탄성체를 넣고 당겨 그립부와 함께 잡는다. 다른 방법으로는 매듭을 지어 고정할 수도 있고 인접한 구멍 3개를 이용하여 첫번째 구멍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넣고 두번째 구멍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넣고 세번째 구멍 바깥쪽 에서 안쪽으로 넣고 당겨 주어 고정한다. 스윙동작중 라켓을 뒤로 뺏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탄성체가 최소의 탄력을 유지하도록 한다.(도 3의 302) 최소의 탄력이 유지된 곳이 스윙의 시작점이며 기준점이 된다. 기준점에서 스윙을 하게 되면 탄성체가 각 스윙별로 종착점까지 스윙의 궤도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탄성체로 인해 일정한 스윙의 각도를 유지하게 되고 스윙의 시작점을 최소한의 탄력이 유지된 탄성체로 설정함으로 인해 스윙의 시작점을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서 올바른 스윙자세을 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다. 또한 탄성체를 당길 때의 저항하는 탄력으로 인해 과도한 스윙이 방지되고 탁구에 필요한 근력이 강화 되어진다. 그립과 함께 잡은 탄성체로 인해 그립을 쥐는 손아귀의 힘과 손목의 근력도 강화되며 블레이드 부를 받치는 검지 손가락의 힘도 강화 된다. 근력 증가에도 효과적이지만 근력을 발휘하는 타이밍을 위한 연습에도 효과적이다. Fig. 3 shows a starting point for practicing swing by connecting an elastic body to a training table tennis racket. An elastic body is connected to one hole of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training table tennis racket and one end is fixed to the fixing body between the user's knee and the waist height. The user takes the swing posture from 9 o'clock to 11 o'clock position with the reference to the right rear, based on where the one end of the elastic body is fixed. Adjust the length of the elastic body according to the type of swing you want to practice. Hold the practice table tennis racket connected to the elastic body (45cm ~ 100cm) adjusted to the proper length by the user, and practice the swing action of the table tennis by pulling the elastic body.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astic body and the racquet is made by pulling the elastic body inward from the hole of the racquet and pulling it together with the grip. Alternatively, you can fix it with a knot, using three adjacent holes to insert it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hole inward,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hole, inward from the outside of the third hole, and pull. The minimum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is maintained based on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racket during swing operation (302 in FIG. 3). The minimum elasticity is maintained at the starting point and the reference point of the swing. When you swing at the reference point, the elastic body plays the role of orbiting the swing to the end point of each swing. The swing angle is maintained by the elastic body, and the starting point of the swing is set as the elastic body having the minimum elasticity. Therefore, the starting point of the swing can be objectively recognized, so that the correct swing posture can be learned easily and quickly. In addition, the excessive swing is prevented by the resilient elasticity when the elastic body is pulled, and the muscle strength required for the table tennis is strengthened. The elasticity of the grip with the grip also strengthens the power of the hand gripping the grip and the strength of the wrist, as well as the strength of the index finger supporting the blade. It is also effective for increasing muscle strength, but it is also effective for exercising for timing that shows strength.

도1의 201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 스매시, 드라이브등을 연습할 수 있다. 특히 탁구에 처음 입문하는 초보자가 스윙의 동작을 익히기에 적합하다. 도1의 202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 스매시, 드라이브,백쇼트, 백푸쉬,백드라이브 커트,플릭등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다. 연습용 탁구라켓을 잡고 탄성체를 당기며 스윙할 때 무게중심이 손바닥 아래쪽에 형성되기 때문에 손목과 블레이드를 받치고 있는 검지손가락이 자유로워 공이 맞는 타이밍에 라켓의 끝을 순간적으로 감아채 줌으로 공의 회전을 더 많이 주고 더 빠르게 타구할 수 있는 연습을 할 수 있다. 도1의 203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 스매시, 드라이브,백쇼트, 백푸쉬,백드라이브등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다. 검지손가락에 힘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검지손가락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1의 204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 스매시, 드라이브등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다.검지손가락과 손목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1의 205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스매시 드라이브등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다. 검지손가락과 손목,전완근,상완근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1의 204보다 더 많은 힘이 필요하다. 도1의 206에 연결하면 포핸드 스트로크,스매시 드라이브등의 스윙동작을 연습할 수 있다. 검지손가락과 손목, 전완근, 상완근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1의 205보다 더 많은 힘이 필요하다. By connecting to 201 of FIG. 1, it is possible to practice forehand strokes, smashes, drives, and the like. Especially for beginners who are new to table tennis, it is suitable to learn swing motion. By connecting to 202 of FIG. 1, it is possible to practice forehand stroke, smash, drive, back shot, back push, back drive cut, flick, etc. swing motion. The center of gravity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palm when swinging the swinging paddle by holding the table tennis racket for practice, so the index fingers supporting the wrist and the blade are freely free to rotate the ball by momentarily wrapping the end of the racket at the correct timing You can do more exercises to give more and hit faster. When connected to 203 of FIG. 1, it is possible to practice the swing motion such as forehand stroke, smash, drive, back shot, back push, and back drive. Since the index finger has a lot of force, the strength of the index finger can be strengthened. By connecting to 204 of FIG. 1, it is possible to practice forehand strokes, smashes, swings such as drives, etc. The muscles of the index finger and the wrist can be strengthened. By connecting to 205 of FIG. 1, it is possible to practice the swing motion of a forehand stroke, a smashing drive, and the like. The strength of the index finger and wrist, frontal muscles, and brachial muscles can be strengthened. More force is required than 204 of Fig. By connecting to 206 of FIG. 1, it is possible to practice the swing motion of a forehand stroke, a smashing drive, and the like. The strength of the index finger and wrist, frontal muscles, and brachial muscles can be strengthened. More force is required than 205 of FIG.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따라 탄성체의 세기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연습용 탁구라켓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세기를 늘리면서 자신의 근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Depending on the user's athletic performance, various strengths of the elastic body can be selected and connected to the practice table tennis racket. You can also see that your strength has improved as you increase your strength.

탄성체(고무밴드)의 종류별 세기(스포밴드제공)Strength by elastic type (rubber band) 밴드명Name of the band 신장율50%kgElongation rate 50% kg 신장율100%kgElongation rate 100% kg 추천대상Recommended for 2020 1.61.6 4.74.7 어린이 노인 환자A child elderly patient 2525 2.02.0 5.35.3 성인여성Adult woman 3030 2.62.6 6.36.3 성인여성 남성Adult female male 3535 2.82.8 7.77.7 성인남성Adult male 4545 3.73.7 8.08.0 성인남성Adult male 5555 4.24.2 10.310.3 운동선수 전문가Athlete expert

10 : 블레이드부 205 : 구멍5
20 : 그립부 206 : 구멍6
201 : 구멍1 207 : 구멍7
202 : 구멍2 208 : 구멍8
203 : 구멍3 209 : 구멍9
204 : 구멍4 301 : 최소한의 탄력이 유지된 탄성체
302 : 탄성체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체
10: blade portion 205: hole 5
20: grip portion 206: hole 6
201: hole 1 207: hole 7
202: hole 2 208: hole 8
203: hole 3 209: hole 9
204: hole 4 301: elastic with minimum elasticity
302: Fixture capable of fixing elastic body

Claims (1)

본 발명에 따른 연습용 탁구라켓은 탁구라켓의 그립부와 블레이드부에 각각의 탁구스윙에 적합한 다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연습하고자 하는 탁구스윙의 종류에 따라 하나의 구멍에 탄성체를 연결하고 탄성체의 나머지 한쪽 끝을 일정한 곳에 고정하고 탄성체가 연결된 탁구라켓을 잡고 탄성체를 당기며 혼자서 다양한 종류의 탁구스윙을 연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탁구스윙 연습용탁구라켓에 있어서 탁구라켓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중 탁구스윙의 종류에 따라 하나의 구멍에 탄성체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탁구스윙 연습용탁구라켓The training table tennis 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oles suitable for each table tennis swing are formed on the grip portion and the blade portion of the table tennis racket and the elastic body is connected to one hole according to the type of table tennis swing to be practiced, The swing of the table tennis paddle can be practiced by pulling the elastic body by holding the table tennis racket connected with the elastic body, and it is possible to exercise various kinds of table swing swing by oneself. In the table tennis swing training table tennis racket, And the elastic body is connected to one hole in accordance with the table tennis swing training table tennis racket
KR1020160045207A 2016-04-13 2016-04-13 Table tennis Racket for practice KR1017692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207A KR101769246B1 (en) 2016-04-13 2016-04-13 Table tennis Racket for pract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207A KR101769246B1 (en) 2016-04-13 2016-04-13 Table tennis Racket for pract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129A KR20160107129A (en) 2016-09-13
KR101769246B1 true KR101769246B1 (en) 2017-08-30

Family

ID=56946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207A KR101769246B1 (en) 2016-04-13 2016-04-13 Table tennis Racket for pract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24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615B1 (en) 2019-12-09 2021-04-15 서여민 Racket for handicapped pers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760B2 (en) 1998-03-02 2001-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200346018Y1 (en) * 2003-11-27 2004-03-26 하웅수 many purposes racket
JP2005095338A (en) 2003-09-24 2005-04-14 Ikunobu Tokuichi Swing practic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760B2 (en) 1998-03-02 2001-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JP2005095338A (en) 2003-09-24 2005-04-14 Ikunobu Tokuichi Swing practicing apparatus
KR200346018Y1 (en) * 2003-11-27 2004-03-26 하웅수 many purposes ra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129A (en)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0537B2 (en) Vibration-based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9056218B2 (en) Resistance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e
KR20070051323A (en) Multi-sport swing training apparatus
US8944942B2 (en) Apparatus suspension system
US20100105531A1 (en) Sports skills training device
US8852032B1 (en) Bat swing training machine
US20080132390A1 (en) In-Water Training and Rehabilitation Device
KR20160085270A (en) Ball throwing training and strengthening device
KR101769246B1 (en) Table tennis Racket for practice
US20210023418A1 (en) Device for improving form and function of sports people
US11534647B2 (en) Hip engagement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CN204543385U (en) Multifunctional body-building ball/rod
US20160089561A1 (en) Apparatus suspension system
US20170028286A1 (en) Training device for racquet sports
Alexander et al. Table tennis: a brief overview of biomechanical aspects of the game for coaches and players
JP3168586U (en) Exercise equipment
JP2007061408A (en) Exercise training tool
KR101102151B1 (en) Swing exerciser
JP6812528B1 (en) Exercise equipment
JP2008264493A (en) Swing training device
US8317639B1 (en) Soccer training device
JP3110296U (en) Exercise equipment
CN203264215U (en) Serving trainer
JP3075116U (en) Sports equipment
JP2004065959A (en) Sporting form correcting 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