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998A - Wear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Wear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998A
KR20160070998A KR1020140178146A KR20140178146A KR20160070998A KR 20160070998 A KR20160070998 A KR 20160070998A KR 1020140178146 A KR1020140178146 A KR 1020140178146A KR 20140178146 A KR20140178146 A KR 20140178146A KR 20160070998 A KR20160070998 A KR 20160070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band
magnet
guide
wear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1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춘
정윤택
이길재
길민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8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0998A/en
Publication of KR20160070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9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A wearable terminal comprises: a body; a first ban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a second band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dy; a first buckle which includes a first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first band and comprising a first magnet; and a second buckle which includes a second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second band and comprising a second magnet having a pole which is the opposite pole of the first magnet. The wearable device is easily attachable/detachable so that user convenience may be improved.

Description

웨어러블 단말기{WEARABLE TERMINAL}Wearable terminal {WEARABLE TERMINAL}

본 발명은 자석을 이용하여 손쉽게 사용자의 손목에 탈착 가능한 웨어러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terminal that can be easily detached from a user's wrist using a magnet.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A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terminal can be moved. The mobile terminal can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 mobile terminal.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functions of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re are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photographing and video shooting through a camera, voice recording, music file playback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outputting an image or video on a display unit. Some terminals are equipped with an electronic game play function or a multimedia player function. In particular, modern mobile terminals can receive multicast signals that provide visual content such as broadcast and video or television programs.

특히 최근에는 휴대의 편의성과 사용범위를 넓히기 위해 선글라스 타입, 와치 타입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웨어러블 단말기에서 와치타입은 손목에 착용하여 통상의 시계와 같이 사용가능하다. In recent years, a wearable terminal that can be worn on a user's body such as a sunglass type and a watch type has been emerging in order to expand the convenience of carrying and the range of use. Wearable type worn wearable wrist watch can be used like a normal watch.

본 발명은 웨어러블 단말기를 사용자의 신체에 손쉽게 탈착 가능하도록 버클에 자석을 구비하여 자력으로 탈착 가능한 웨어러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terminal having a magnet on a buckle and detachable by a magnetic force so that the wearable terminal can be easily detached from a wearer's body.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1 밴드; 상기 본체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2 밴드; 상기 제1 밴드에 결합하며 제1 자석을 구비한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버클; 및 상기 제2 밴드에 결합하며 상기 제1 자석과 반대극을 갖는 제2 자석을 구비한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버클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단말기를 제공한다. main body; A first ban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A second band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dy; A first buckle coupled to the first band and including a first engaging portion having a first magnet;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band and having a second magnet having an opposite polarity to the first magnet.

상기 제1 버클은, 상기 제1 밴드가 관통하는 밴드홀; 및 상기 밴드에 상기 제1 버클을 고정하는 고정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buckle includes a band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band passes; And a fixing structure for fixing the first buckle to the band.

상기 제1 버클은, 상기 제1 밴드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측버클; 상기 제1 밴드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측버클과 함께 상기 밴드홀을 형성하는 내측버클; 상기 외측버클과 상기 내측버클의 일측을 연결하는 힌지; 및 상기 외측버클과 상기 내측버클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내측버클과 상기 외측버클 사이의 각도가 변화시 탈착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buckle includes an outer buckle located outside the first band; An inner buckle located inside the first band and forming the band hole with the outer buckle; A hinge connecting the outer buckle and one side of the inner buckle; And a fastening portion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buckle and the inner buckle and detached when the angle between the inner buckle and the outer buckle is changed around the hinge.

상기 제1 밴드에 형성된 복수개의 길이조절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내측버클 또는 상기 외측버클 중 적어도 일측에 상기 제1 밴드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길이조정 홀에 상응하는 형상의 길이조절 돌기를 포함할 수 잇다. The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length-adjusting holes formed in the first band, wherein the fixing structure projects toward the first band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buckle or the outer buckle, And may include a length adjusting protrusion.

상기 길이조절 돌기는 상기 내측버클 또는 상기 외측버클에서 탈착 가능하며, 다른 형상의 길이조절 돌기로 교체 가능하다.The length adjusting protrusion is detachable from the inner buckle or the outer buckle and is replaceable by a length adjusting protrusion of another shape.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내측버클 또는 상기 외측버클 중 적어도 일측에 상기 제1 밴드를 향해 돌출된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버클과 상기 외측버클의 타측의 체결부가 결합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제1 밴드를 가압할 수 있다. Wherein the fixing structure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first ban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buckle or the outer buckle, and when the fasten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buckle and the outer buckle is engaged, One band can be pressed.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제1 결합부에 이격하여 배치된 제1 N극 자석과 제1 S극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2 결합부에 이격하여 배치된 제2 S극 자석과 제2 N극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N극 자석과 상기 제2 S극 자석이 체결되고, 상기 제1 S극 자석과 상기 제2 N극 자석이 체결될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magnet includes a first N pole magnet and a first S pole magnet disposed apart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the second magnet includes a second S pole magnet disposed apart from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N pole magnets, wherein the first N pole magnets and the second S pole magnets are engaged, and the first S pole magnets and the second N pole magnets are fastened together.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상기 제2 결합부 중 일측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 및A guide protrusion protruded to one sid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or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d

상기 제2 결합부 또는 상기 제1 결합부 중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의 형상에 상응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or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guide protrusion.

상기 제1 자석은 한 쌍이 상기 제1 결합부에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2 결합부에 제1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홈은 한 쌍이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magnet is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first engaging portion, the second magnet is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magnet is disposed in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and the guide groove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가이드 돌기는 한 쌍이 제2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가이드 돌기에 상응하는 위치에 제2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홈 중 하나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크기보다 상기 제2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Wherein the guide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the guide groov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econd dir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trusions, It can be formed long in two directions.

상기 제1 버클의 측면에서 상기 제1 밴드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거나, 상기 제2 버클의 측면에서 상기 제2 밴드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가이드 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guide wall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band at the side of the first buckle or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band at the side of the second buckle.

상기 제1 버클은, 상기 제1 밴드의 내측에 제3 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The first buckle may include a third magnet inside the first band.

상기 제1 밴드 또는 상기 제2 밴드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가 결합시 변화하는 자력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 및 상기 홀센서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실장된 메인기판을 연결하는 플렉서블 기판을 더 포함하며,A magnetic sensor provided in the first band or the second band and sensing a magnetic force which is changed whe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 flexible substrate for connecting the hall sensor to a main board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상기 메인기판은 상기 자기 센서가 자력변화를 감지하면 상기 본체에 실장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제1 화면에서 제2 화면으로 변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main board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to change from the first screen to the second screen when the magnetic sensor detects a change in magnetic force.

상기 제1 버클은 상기 제1 밴드의 내측에 상기 제1 자석보다 자력이 약한 제3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기판은 상기 자기 센서에서 기준보다 큰 자력변화를 감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2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자기 센서에서 기준보다 작은 자력변화를 감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3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buckle includes a third magnet disposed inside the first band and having a magnetic force weaker than that of the first magnet, and the main board senses a magnetic force change greater than a reference by the magnetic sensor, And when the magnetic sensor senses a change in magnetic force smaller than the reference, the third screen is controlled to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상기 제1 버클은 상기 제1 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위치하며, 상기 밴드의 두께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e first buckles are loc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nd and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nd.

상기 제1 밴드의 바깥면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이 체결시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guide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and and projecting from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when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are fastened, have.

상기 제1 버클은 상기 제1 밴드에 상기 제1 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측면에 제1 자석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길이조절 홀이며, 상기 제2 버클은 상기 제2 밴드의 단부 내측면에 상기 길이조정 홈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자석과 반대극을 갖는 제2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first buckle is a plurality of length-adjusting holes formed in the first ba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nd and including a first magnet on the inner side, And a second magnet protruding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ength adjusting groove and having an opposite polarity to the first magnet.

상기 제1 결합부의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부와 함께 제1 밴드의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결합홀을 형성하는 커버버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클이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이 결합할 수 있다. Further comprising a cover buckle which is loc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forms a coupling hole that open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nd together with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magnet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제1 결합부에 상기 결합홀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에 상응하는 형상의 가이드 슬릿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 guide rail projec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engagement hole in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And a guide slit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in the second engaging portion.

상기 제2 버클 또는 상기 제2 밴드에 결합한 후크; 및 상기 제1 버클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후크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 hook coupled to the second buckle or the second band; And a hook hole formed in the first buckle and into which the hook is inserted.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단말기를 손쉽게 탈착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terminal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hereby increasing the usability.

또한, 사용자의 손목 둘레 크기에 맞추어 버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바뀌더라도 손쉽게 밴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position of the buck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rist circumference of the user, the size of the band can be easily adjusted even if the user changes.

또한, 버클의 결합 태양에 따라 본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어 손쉽게 사용 가능하다. Further, the screen of the main body display unit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buckles, so that it can be easily used.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의 일 예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어블 단말기의 밴드와 버클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의 제1 버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버클이 제1 밴드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의 제1 버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의 제2 버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의 버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의 제2 버클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의 버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의 제1 버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웨어러블 단말기의 사용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의 밴드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의 밴드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의 밴드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버클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wear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xample of a wear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one direc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nd and a buckle portion of a wear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irst buckle of a wear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irst buckle of Fig. 4 is coupled to the first b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buckle of the wear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econd buckle of a wear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uckle of a wear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second buckle of a wearable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ckle of the wear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buckle of the wear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12 and 1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wearable terminal of FIG.
FIG. 14 is a view illustrating a change of a display unit of a wear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nd portion of the wear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nd portion of the wear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nd portion of the wear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ectional view of the buckle portion of Fig.
1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ear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wear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웨어러블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웨어러블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The wearab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A are not essential for realizing a wearable terminal, so that the wearab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can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웨어러블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웨어러블 단말기(100)와 다른 웨어러블 단말기(100) 사이, 또는 웨어러블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mong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can communicate with the wearable terminal 100 and the wearable terminal 100, between the wearab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wearable terminal 100 and the wearable terminal 100, Lt; RTI ID = 0.0 > wireless < / RTI >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connect the wearable terminal 100 to one or more networks.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 (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1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 audio input unit,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 touch key, a mechanical key, and the like). The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by a user's control command.

센싱부(140)는 웨어러블 단말기 내 정보, 웨어러블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143, 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145, 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웨어러블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wearable terminal,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wearab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143, a magnetic sensor 145, sensor, a G-sensor, a gyroscope sensor, a motion sensor, an RGB sensor, an infrared sensor, a finger scan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optical sensor (see for example camera 121), a microphone (see microphone 122), a battery gauge, an environmental sensor (e.g., barometer, hygrometer, thermometer, A radioactive sensor, a thermal sensor, a gas sensor, etc.),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Meanwhile, the wearable terminal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sensors among these sensors.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125)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웨어러블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웨어러블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may generate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unit 152, a haptic-tip module, and a light output unit. The display unit 151 may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sensor 125 or may be integrally formed to realize a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functions as a user input unit 12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wearable terminal 100 and a user and can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wearable terminal 100 and a user.

인터페이스부(160)는 웨어러블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thway to various kind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wearab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60 is connected to a device having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 / O port, a video I / O port, and an earphone port. In the wearable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interface unit 160, it is possible to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또한, 메모리(170)는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웨어러블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웨어러블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웨어러블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by the wearable terminal 100, data for operation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wearable terminal 1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basic functions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e.g., phone call incoming, outgoing call, message reception, and origination functions).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is stored in the memory 170, installed on the wearable terminal 100, and can be driven by the controller 180 to perform the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wearable terminal.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 unit 180 may process or process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or may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to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1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FIG.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at least two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wearable terminal 100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for driving the application program.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웨어러블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to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wearable terminal 100.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which may be an internal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웨어러블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At least some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one another to implement a method of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of the wearab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wearab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wearab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일 예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실장되는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의 양단에 결합하는 웨어러블 단말기(100)로 구성된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xample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one direction. The wearable terminal 100 includes a main body 101 on which a display unit 151 is mounted and a wearable terminal 10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ain body 101.

본체(101)는 내부에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전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장부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결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main body 101 includes a full-length portion in which an electronic component is mounted, and the full-length portion can be formed by coupling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one case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the internal space, so that a mobile terminal 100 of a unibody may be implemented.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를 전장부에 구비할 수 있으며,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wearable terminal 100 may have an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its entirety, and the antenna can expand its performance using a case. For example, a case including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with the antenna to extend the ground or radiating area.

본체(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는 제1 케이스(1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1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A display unit 151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to output information, and a touch sensor may be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151 to realize a touch screen. As shown in the figure, the window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mounted on the first case 101a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ogether with the first case 101a.

본체(101)에는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마이크로폰(122), 사용자 입력부(1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The main body 101 may include an audio output unit 152, a camera 121, a microphone 122, a user input unit 123, and the like. When the display unit 151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so that the main unit 101 may not have a separate key.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1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102)는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wearable terminal 100 is worn on the wrist so as to surround the wrist, and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be easily worn. As an example, the band 102 may be formed of leather, rubber, silicone, synthetic resin, or the like. In addition, the band 102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101, and may be configured to be replaceable by various types of bands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한편, 밴드(1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nd 102 can be used to extend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For example, the band may include a ground extension (not shown)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tenna and extends the ground region.

밴드(102)에는 버클(buckle; 200)이 구비될 수 있다. 버클(200)은 본체(101)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한 한 쌍의 밴드의 단부를 연결하여 밴드 및 본체(101)와 함께 링형상을 형성한다. 버클(200)을 이용하여 한 쌍의 밴드를 분리하고, 버클(200)을 체결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고정한다. The band 102 may be provided with a buckle 200. The buckle 200 forms a ring shape together with the band and the main body 101 by connecting ends of a pair of bands coupl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1. The pair of bands are separated using the buckle 200 and the buckle 200 is fastened to fix the wearable terminal 100 to the user's wrist.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어블 단말기의 웨어러블 단말기(100)와 버클(200)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버클(200)은 자석을 이용하여 손쉽게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밴드(102a)에 결합하는 제1 버클(210)과 제2 밴드(102b)에 결합하는 제2 버클(250)로 구성되며 제1 버클(210)과 제2 버클(250)은 각각 반대극의 자석(241, 242)을 구비한 결합부(252, 222)를 포함한다.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earable terminal 100 and a buckle 200 of a wear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ckl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removable using a magnet. A first buckle 210 coupled to the first band 102a and a second buckle 250 coupled to the second band 102b and the first buckle 210 and the second buckle 250 are opposite And includes engaging portions 252, 222 having magnets 241, 242 of the polarity.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제1 버클(2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 버클(210)이 제1 밴드(102a)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first buckle 210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buckle 210 of FIG. Fig.

제1 버클(210)은 제1 밴드(102a)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밴드(102a)가 삽입되는 밴드홀(215)을 포함한다. 상기 밴드홀(215)에 상기 제1 밴드(102a)를 쉽게 넣을 수 있도록 제1 버클(210)은 외측버클(220)과 내측버클(230)로 분리될 수 있다. The first buckle 210 includes a band hole 215 into which the first band 102a is inserted so that it can move along the first band 102a. The first buckle 210 can be separated into the outer buckle 220 and the inner buckle 230 so that the first band 102a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band hole 215. [

외측버클(220)과 내측버클(230)은 일측이 힌지결합하여 외측버클(220)과 내측버클(230) 사이의 각도가 변화하며 상기 밴드홀(215)이 넓어진다. 도 5와 같이 밴드홀(215)로 삽입된 제1 밴드(102a)는 적당한 위치에 제1 버클(210)이 위치하면 외측버클(220)과 내측버클(230) 사이의 힌지(228)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밴드홀(215)의 크기를 줄인다. The outer buckle 220 and the inner buckle 230 are hinged at one side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outer buckle 220 and the inner buckle 230 changes and the band hole 215 is widened. The first band 102a inserted into the band hole 215 as shown in Figure 5 has the hinge 228 between the outer buckle 220 and the inner buckle 230 as the center of the first buckle 210, So as to reduce the size of the band hole 215.

이때, 제1 밴드(102a)에 제1 버클(210)이 고정되도록 내측버클(230) 또는 외측버클(220)에 길이조정 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길이조절 돌기(235)는 제1 밴드(102a)에 형성된 길이조절 홀(1025)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밴드(102a)와 상기 제1 버클(210)이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ner buckle 230 or the outer buckle 220 is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ing protrusion so that the first buckle 210 is fixed to the first band 102a. The length adjusting protrusion 235 may be inserted into the length adjusting hole 1025 formed in the first band 102a so that the first band 102a and the first buckle 210 may be fixed.

이때, 상기 길이조절 돌기(235)는 상기 제1 버클(210)에서 탈착 가능하여 다른 형상의 길이조절 돌기(235)로 교체할 수 있다. 제1 밴드(102a)에 형성된 길이조절 홀(1025)의 형상에 상응하는 길이조절 돌기(235)로 교체하여 다른 형상의 길이조절 홀(1025)을 갖는 밴드에도 본 발명의 버클(200)을 이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ength adjusting protrusion 235 can be detached from the first buckle 210 and can be replaced with another length adjusting protrusion 235. The buckl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used for a band having a length adjusting hole 1025 of another shape by replacing the length adjusting protrusion 235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ength adjusting hole 1025 formed in the first band 102a .

외측버클(220)과 내측버클(230)의 타측에는 상기 밴드홀(215)의 크기를 고정하기 위해 체결부(221, 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221, 231)는 상기 내측버클(230)과 외측버클(220)이 끼움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이ㄹ측이 약간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other side of the outer buckle 220 and the inner buckle 230 may include fastening portions 221 and 231 to fix the size of the band hole 215. The fastening portions 221 and 231 may have a slightly protruded shape so that the inner buckle 230 and the outer buckle 2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a fitting manner.

제1 밴드에서 제1 버클을 분리하기 위해 내측버클의 타측을 당겨 상기 힌지(228)를 벌릴 때, 내측버클(230)을 잡아당기기 쉽게 내측버클(230)의 타단부에 홈(2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23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A groove 233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ner buckle 230 so as to easily pull the inner buckle 230 when the hinge 228 is pulled by pulling the other side of the inner buckle to separate the first buckle from the first band . The groove 233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as shown in FIG.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제1 버클(2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고정구조는 길이조절 돌기(235)와 길이조절 홀(1025) 이외에 제1 밴드(102a)방향으로 돌출된 톱니형상의 고정돌기(2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버클(230) 또는 외측버클(22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버클(230)과 외측버클(220)의 결합부가 체결시 고정돌기(234)는 상기 제1 밴드(102a)를 가압하여 제1 밴드(102a)가 밴드홀(21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buckle 210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structure may include a serration fixing protrusion 234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and 102a in addition to the length adjusting protrusion 235 and the length adjusting hole 1025. The fixing protrusion 234 may be formed on the inner buckle 230 or the outer buckle 220. When the inner buckle 230 and the outer buckle 2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one band 102a is fixed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band hole 215. [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제2 버클(25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제2 버클(250)은 제2 밴드(102b)에 결합하며, 제2 밴드(102b)와 힌지 결합하여 제1 버클(210)과 결합 분리를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다.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second buckle 250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uckle 250 is coupled to the second band 102b and is hinged to the second band 102b to facilitate separation of the first buckle 210 from the first buckle 210. [

외측버클(220)에는 제1 자석(241)이 구비된 제1 결합면(2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자석(24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을 구비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자석(241a, 241b)은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2 버클(250)의 상기 제1 버클(210)과 마주하는 면에는 제1 버클(210)의 제1 결합면(222)에 배치된 제1 자석(241)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2 자석(242)이 구비된 제2 결합면(252)를 구비할 수 있다. The outer buckle 220 includes a first mating surface 222 having a first magnet 241. As shown in FIG. 5, the first magnet 241 may include a pair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The first pair of magnets 241a and 241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mating surface 222 of the first buckle 210 is disposed on a surface of the second buckle 250 facing the first buckle 210 And a second engaging surface 252 provided with a second magnet 242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magnet 241 disposed at the second engaging surface 252. [

제1 결합면(222)에 배치된 제1 자석(241)과 제2 결합면(252)에 배치된 제2 자석(242)은 서로 반대되는 극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버클(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 자석(241)과 제2 자석(242)이 결합한다. 제1 자석(241)이 S극이면 제2 자석(242)은 N극이고 제1 자석(241)이 N극이면 제2 자석(242)은 S극이다. The first magnet 241 disposed on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222 and the second magnet 242 disposed on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252 may have opposite poles.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buckle 200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irst magnet 241 and the second magnet 242 are engaged. If the first magnet 241 is an S pole, the second magnet 242 is an N pole and the first magnet 241 is an N pole, then the second magnet 242 is an S pole.

한 쌍의 제1 자석(241)은 서로 다른 극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 면 하나의 제1 자석(241a)이 S극이면 다른 하나의 제1 자석(241b)는 N극일 수 있다. 한 쌍의 제1 자석(241)이 서로 다른 극이면 한 쌍의 제2 자석(242) 또한 서로 다른 극으로 구성된다. The pair of first magnets 241 may have different poles. For example, if one first magnet 241a is an S pole, the other first magnet 241b may be an N pole. If the pair of first magnets 241 are different polarities, the pair of second magnets 242 are also composed of different poles.

한 쌍의 자석이 서로 반대되는 극이 마주보는 경우 마주하는 방향으로 강한 자력이 형성되나 그에 수직 방향으로는 자력이 약하여 측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한 쌍의 제1 자석(241)을 다른 극으로 구성한다. 한 쌍의 제1 자석(241)이 서로 다른 극으로 구성하는 경우 측방향으로 밀리는 힘에 대해 저항할 수 있어 제1 버클(210)과 제2 버클(250)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When a pair of magnets are opposed to each other, a strong 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but the magnetic force is weak in the vertical direction, causing a phenomenon that the pair of magnets is pushed in the lateral direction. It is composed of poles. When the pair of first magnets 241 are constituted by mutually different poles, it is possible to resist a force to be pushed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first buckle 210 and the second buckle 250 can be increased.

다만 한 쌍의 자석이 배치된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는 여전히 측방향 밀림현상이 나타나는 바, 상기 측방향으로 밀리는 힘을 저지하기 위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256)와 가이드 홈(226)을 형성할 수 있다.Howeve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magnets are arranged, the lateral protrusion still occurs, and in order to prevent the force to be push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guide protrusions 256 And the guide groove 226 can be formed.

가이드 돌기(256)는 제1 버클(210)의 결합면 또는 제2 버클(250)의 결합면 중 일측에서 돌출되고, 가이드 홈(226)은 제1 버클(210)의 결합면 또는 제2 버클(250)의 결합면 타측에 형성된다. The guide protrusion 256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engaging surface of the first buckle 210 or the engaging surface of the second buckle 250 and the guide groove 226 protrudes from the engaging surface of the first buckle 210, (250).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제2 버클(250)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도로서, 상기 가이드 돌기(256)와 가이드 홈(226)이 복수 개 구비될 때에 한 쌍의 제1 자석(241) 또는 제2 자석(242)이 배치된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배치하여 제1 방향과 제2 방향의 측방향 밀림을 모두 방지할 수 있다. 9 is a bottom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second buckle 250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the guide protrusions 256 and the guide grooves 226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arrange both the first magnet 241 and the second magnet 242 in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both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from being sideways.

도 9의 (a) 및 (b)에서 제1 방향은 도면상 상하 방향이고, 제2 방향은 좌우방향이며, 도 9의 (c)에서 제1 방향은 도면상 좌우 방향이고 제2 방향은 도면상 상하방향이다.9 (a) and 9 (b), the first direction is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drawing, the second direction is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rst direction in FIG. 9 (c) Up and down.

이때, 한 쌍의 가이드 홈(226) 중 하나(256a)는 한 쌍의 가이드 홈(226)이 배치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더 긴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가이드 홈(226)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하여 가이드 돌기(256)가 가이드 홈(226)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of the pair of guide grooves 226 may be formed in a longer oval shape in the second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guide grooves 226 are arranged. The size of one guide groove 226 may be formed differently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256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26.

제1 버클(210)과 제2 버클(250)의 결합력을 더 제고하기 위해 제2 버클(250) 또는 제2 밴드(102b)와 결합한 힌지 부분에 후크(255)를 더 구비할 수 있다(도 7 참고). 상기 후크(255)는 제1 버클(210)의 외측버클(220)에 형성된 후크 홀(225)에 삽입한 후에 상기 제1 자석(241)과 제2 자석(242)을 결합시켜 제1 버클(210)과 제2 버클(250)을 고정할 수 있다. 후크(255)는 측방향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제1 버클(210)과 제2 버클(250)이 마주하는 결합면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결합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A hook 255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hinge portion coupled with the second buckle 250 or the second band 102b to further enhanc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rst buckle 210 and the second buckle 250 7). The hook 255 is inserted into the hook hole 225 formed in the outer buckle 220 of the first buckle 210 and then the first magnet 241 and the second magnet 24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210 and the second buckle 250 can be fixed. The hook 255 can improve not only the movement in the lateral direction, but also the coupling forc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ngagement surface where the first buckle 210 and the second buckle 250 face each other.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버클(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가이드 돌기(256)와 가이드 홈(226)이 없는 대신에 제2 버클(250)의 양 측면에서 제2 밴드(102b)의 내측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벽(25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벽(257)은 제1 버클(210)과 제2 버클(250)이 체결 시에 제1 버클(210)의 양 측면을 감싸면서 좌우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ckle 200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rotrusion 256 and the guide groove 226 are not provided unlike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and the guide wall 256 is provided on the guide wall 256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second buckle 25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ner side face of the second band 102b faces. (257). The guide wall 257 covers both sides of the first buckle 210 when the first buckle 210 and the second buckle 250 are fastened, and limits the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때, 가이드 벽(257)의 내측면에 요철(257')이 형성되고 제1 버클(210)의 양 측면에 상기 가이드 벽(257) 내측면의 요철(257')에 상응하는 요철(227')을 형성하여 밴드의 길이방향의 움직임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0과 반대로 가이드 벽(257)은 제1 버클(210)의 양 측면에서 제1 밴드(102a)의 외측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버클(250)의 측면을 감싸면서 결합할 수 있다. At this tim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257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guide wall 257 and concave and convex portions 227'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257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guide wall 257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uckle 210, So that the movement of the b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controlled. 10, the guide wall 257 exte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and 102a faces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buckle 210 so as to surround the side of the second buckle 250, .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제1 버클(21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제1 버클(210)의 제1 결합면(222)은 외측버클(220)과 내측버클(230)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외측버클(220)에 형성된 제1 결합면(222)에 구비된 한 쌍의 제1 자석(241)의 배치에 상응하게 내측버클(230)에 형성된 제3 결합면(232)에 구비된 한 쌍의 제3 자석(243)이 배치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제1 자석(241a)이 S극이고, 우측의 제1 자석(241b)이 N극이면, 좌측의 제3 자석(243a)은 S극이고 우측의 제3 자석(243b)는 N극이 배치된다.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buckle 210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222 of the first buckle 21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buckle 220 and the inner buckle 230. The pair of first magnets 241 provided on the first engaging surface 222 formed on the outer buckle 220 and the pair of second engaging surfaces 232 provided on the third engaging surface 232 formed on the inner buckle 230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the pair of first magnets 241 provided on the first engaging surface 222 formed on the outer buckle 220 The third magnet 243 is disposed. 11, when the left first magnet 241a is the S pole and the right first magnet 241b is the N pole, the left third magnet 243a is the S pole, And the N-pole is disposed in the three-magnet 243b.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사용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S. 12 and 1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of FIG. 11, and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of the display unit 151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시 제1 밴드(102a) 단부의 외측면과 제2 밴드(102b) 단부의 내측면이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제1 버클(210)의 제1 결합면(222)과 제2 버클(250)의 제2 결합면(252)이 체결된다. 12,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of the first band 102a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second band 102b face each other when the wrist is worn on the wearer's wrist, The surface 222 and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252 of the second buckle 250 are engaged.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에 착용하지 않고 거치시에 제2 밴드(102b)가 고정되어야 도 13과 같은 각도로 본체(101)가 세워질 수 있다. 제2 밴드(102b)가 밀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제2 버클(250)의 제2 결합면(252)과 제1 버클(210)의 제3 결합면(232)이 마주하도록 배치하여 제2 자석(242)과 제3 자석(243)이 자력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3, when the second band 102b is fixed at the time of mounting without wearing it on the wrist, the body 101 can be raised at an angle as shown in FIG. The second engaging surface 252 of the second buckle 250 and the third engaging surface 232 of the first buckle 210 face each other to fix the second band 102b so as not to be pushed, 242 and the third magnet 243 can be fastened by magnetic force.

도 12의 경우 사용자가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팔을 움직이면 손목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제1 자석(241)은 강한 자력을 갖는 자석을 이용할 수 있고, 도 13과 같이 거치하는 경우에는 본체(101)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힘만 제공하면 되는 바, 약한 자력을 갖는 자석을 이용할 수 있다. 12, when the user wears the wearable terminal 100, the first magnet 241 can be separated from the wrist when the arm is moved. Therefore, the magnet having strong magnetic force can be used, Only a force sufficient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main body 101 can be provided, and a magnet having a weak magnetic force can be used.

이때, 제2 밴드(102b)에 자력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145)를 구비하여 제2 자석(242)에 결합된 자석이 제1 자석(241)인지 제3 자석(243)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강한 자력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손목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도 14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초기 화면(1511)이 제공될 수 있다. The second band 102b may include a magnetic sensor 145 for sensing a magnetic force to distinguish whether the magnet coupled to the second magnet 242 is a first magnet 241 or a third magnet 243. [ . If a strong magnetic force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er wears the wrist, and an initial screen 1511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151 as shown in FIG. 14 (a).

약한 자력이 감지되면 도 14의 (b)와 같이 시계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탁상시계로 이용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 화면(1512)을 변경한다. 제1 자석(241) 또는 제3 자석(243)이 모두 결합되지 않은 때에는, 즉 자기센서(145)가 자력변화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꺼진 디스플레이부(151)에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If a weak magnetic force is detected, a clock screen is provided as shown in FIG. 14 (b) to change the screen 1512 of the display unit 151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clock as a desk clock. When the first magnet 241 or the third magnet 243 is not coupled, that is, when the magnetic sensor 145 does not detect a change in the magnetic force, it is determined that the wearable terminal 100 is not used, 151 as shown in FIG.

즉, 제어부(180)는 자력의 세기에 따라 다른 화면을 제공하며, 도 14의 버클(200)의 결합 상태(자력의 세기)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 제공되는 화면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 unit 180 provides a different screen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and the screen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151 according to the coupled state of the buckle 200 (intensity of the magnetic force) Can be changed.

자기센서(145)와 메인기판을 연결하기 위해 플렉서블 기판(188)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188)은 연성재질이어서 밴드(102)의 형상 변화에 따라 함께 변화될 수 있다. A flexible substrate 188 can be used to connect the magnetic sensor 145 to the main substrate. The flexible substrate 188 is flexible and can be changed together with changes in the shape of the band 102.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밴드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제1 밴드(102a)에 끼워지는 밴드홀(215)을 구비한 형상이 아닌, 제1 밴드(102a)의 길이조절 홀(1025)에 끼워진 복수개의 제1 자석(241)으로 이루어진다. 1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nd portion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magnets 241 sandwiched between the length adjustment holes 1025 of the first band 102a and not the band holes 215 fitted in the first band 102a of the present embodiment.

이때, 상기 제1 자석(241)은 제1 밴드(102a)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다. 이때, 제2 버클(250)에도 상기 제1 자석(241)이 형성된 위치에 상응하게 제2 자석(24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자석(242)은 1개 이상이 밴드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복수개가 배치되는 경우 제1 자석(241)의 이격간격에 상응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magnets 241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nd 102a. At this time, the second magnet 242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buckle 250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magnet 241 is formed. At this time, one or more of the second magnets 242 ar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d, and when a plurality of the second magnets 242 are disposed, the second magnets 242 are dispose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spacing of the first magnets 241.

제1 자석(241)은 모두 같은 극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15와 같이 제2 자석(242)이 복수개가 배치되면 다른 극이 번갈아 가면서 배치될 수 있다. 즉, S극과 N극이 교번적으로 제1 밴드(102a)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2 버클(250)에 제2 자석(242)은 S극과 N극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이한 극을 갖는 복수개의 자석이 배치되면 배치된 방향의 측방향 힘에 대해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밴드의 길이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대해 저항할 수 있다. The first magnets 241 may all be of the same polarity, or alternatively, if the second magnets 242 are arranged as shown in FIG. 15, the other poles may be alternately arranged. That is, the S pole and the N pole are arranged alternat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nd 102a, and the S pole and the N pole are respectively arranged in the second magnet 242 in the second buckle 250 . As described above, when a plurality of magnets having different poles are disposed, the coupling force can be improved with respect to the lateral force in the arranged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sist th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d.

버클(200)의 체결력을 보강하기 위해 위해 제1 밴드(102a)에 복수개의 가이드 홀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고 제2 버틀의 결합면에 상기 가이드 홀에 상응하는 가이드 돌기(256)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밴드의 너비방향으로의 체결력을 더욱 보강하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해 너비방향으로 한상의 가이드 홀을 형성할 수 있다. In order to reinforce the fastening force of the buckle 200, a plurality of guide holes may be formed in the first band 102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guide protrusion 256 corresponding to the guide hole may be formed on the coupling surface of the second bottle. hav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5, one-way guide holes can b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for reinforcing the fastening forc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nd.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밴드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실시예의 제1 버클(210)은 제1 밴드(102a)에 형성된 복수개의 길이조절 홀(1025)과 상기 길이조절 홀(1025)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 자석(241)을 포함한다. 제2 버클(250)은 단부에 돌출된 제2 자석(242)을 포함한다. 1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nd portion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uckle 2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holes 1025 formed in the first band 102a And a first magnet 24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ength-adjusting hole 1025. The second buckle 250 includes a second magnet 242 protruding from the end.

상기 제2 자석(242)은 길이조절 홀(1025)의 크기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길이조절 홀(1025)에 삽입시 제1 자석(241)과 자력에 의해 결합하며 체결된다. 제2 자석(242)은 길이조절 홀(1025)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단부에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 15에 실시된 실시예에서, 제1 자석(241)과 가이드 홀을 결합한 형태라 할 수 있다.The second magnet 242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length adjusting hole 1025 and is coupled with the first magnet 241 by the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magnet 242 is inserted into the length adjusting hole 1025. The second magnet 242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at an end thereof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length-adjusting hole 1025.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magnet 241 and the guide hol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밴드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버클(200)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버클(210)은 제2 버클(250)과의 체결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면(222)의 상면에 위치하는 커버버클(2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버클(218)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버클(250)이 결합홀(217)에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 하기 위해 제1 버클(21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216)의 형상에 상응하는 가이드 홈(미도시)을 제2 버클(250)에 형성할 수 있다. 1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nd portion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sectional view of the buckle 200 portion of Fig. 17, the first buckle 21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222 as shown in FIGS. 17 and 18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fastening force with the second buckle 250 And may further include a cover buckle 218. The cover buckle 218 may be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FIGS. 17 and 18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buckle 210 to guide the second buckle 250 into the engagement hole 217 A guide groov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guide rail and the guide rail 216 may be formed in the second buckle 250.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블라킹 폴드오버 클래스프(double locking foldover clasp) 버클(200)에도 본 발명의 자석을 포함하는 버클(200)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FIG. 1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earab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ckle 200 structure including the magn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double locking foldover clasp buckle 200 as shown in FIG.

더블라킹 폴드오버 클래스프 버클(200)은 제1 버클(210)과 제2 버클(250) 사이를 연결하는 제3 버클(260)을 더 포함하며,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버클(260)은 제1 버클(210)에 결합된 부분과, 제2 버클(250)에 결합된 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한다. 제3 버클(260)은 제1 버클(210)과 제2 버클(250)을 결합하면 도 19의 (b)와 같이 힌지를 중심으로 하는 2개 부분의 각도가 작아지면서 제2 밴드(102b)의 내측면 부분에 위치한다. The double locking folding clasp buckle 200 further includes a third buckle 260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buckle 210 and the second buckle 250. As shown in Figure 19 (a) The third buckle 260 includes a hinge connecting a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buckle 210 and a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buckle 250. When the first buckle 210 and the second buckle 25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third buckle 260 reduces the angle of the two portions around the hinge as shown in FIG. 19 (b) As shown in Fig.

도 19의 (c)와 같이 더블라킹 폴드오버 클래스프를 마주보도록 2개를 구비하여 버터플라이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It may be formed in a butterfly shape by providing two so as to face the double locking fold-over class as shown in FIG. 19 (c).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손쉽게 탈착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목 둘레 크기에 맞추어 버클(2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바뀌더라도 손쉽게 밴드(10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버클(200)의 결합 태양에 따라 본체(101)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어 손쉽게 사용 가능하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terminal 100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hereby enhancing ease of use.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buckle 20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rist circumference of the user, so that the length of the band 102 can be easily adjusted even if the user changes. Also,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1 of the main body 101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anner in which the buckle 200 is coupled, so that it can be easily used.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웨어러블 단말기 101: 본체
102: 밴드 102a: 제1 밴드
102b: 제2 밴드 1025: 길이조절 홀
200: 버클 210: 제1 버클
216: 가이드 돌기 250: 제2 버클
215: 밴드홀 220: 외측버클
221: 체결부 222: 제1 결합면
225: 후크 홀 226: 가이드 홈
227': 요철 228: 힌지
230: 내측버클 232: 제3 결합면
235: 길이조절 돌기 241: 제1 자석
242: 제2 자석 243: 제3 자석
250: 제2 버클 252: 제2 결합면
255: 후크 256: 가이드 돌기
257: 가이드 벽 257': 요철
100: Wearable terminal 101: Body
102: band 102a: first band
102b: second band 1025: length adjustment hole
200: buckle 210: first buckle
216: guide protrusion 250: second buckle
215: Band hole 220: Outer buckle
221: fastening part 222: first coupling surface
225: hook hole 226: guide groove
227 ': concave / convex 228: hinge
230: inner buckle 232: third engagement surface
235: length adjusting projection 241: first magnet
242: second magnet 243: third magnet
250: second buckle 252: second coupling surface
255: hook 256: guide projection
257: guide wall 257 ': concave / convex

Claims (20)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1 밴드;
상기 본체의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2 밴드;
상기 제1 밴드에 결합하며 제1 자석을 구비한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버클; 및
상기 제2 밴드에 결합하며 상기 제1 자석과 반대극을 갖는 제2 자석을 구비한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버클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main body;
A first ban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A second band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dy;
A first buckle coupled to the first band and including a first engaging portion having a first magnet; And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band and having a second magnet having an opposite polarity to the first mag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클은,
상기 제1 밴드가 관통하는 밴드홀; 및
상기 밴드에 상기 제1 버클을 고정하는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uckle includes:
A band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band passes; And
And a fixing structure for fixing the first buckle to the ban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클은,
상기 제1 밴드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측버클;
상기 제1 밴드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측버클과 함께 상기 밴드홀을 형성하는 내측버클;
상기 외측버클과 상기 내측버클의 일측을 연결하는 힌지; 및
상기 외측버클과 상기 내측버클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내측버클과 상기 외측버클 사이의 각도가 변화시 탈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buckle includes:
An outer buckle located outside said first band;
An inner buckle located inside the first band and forming the band hole with the outer buckle;
A hinge connecting the outer buckle and one side of the inner buckle; And
And a fastening part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buckle and the inner buckle and being detached when the angle between the inner buckle and the outer buckle is changed around the hin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에 형성된 복수개의 길이조절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내측버클 또는 상기 외측버클 중 적어도 일측에 상기 제1 밴드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길이조정 홀에 상응하는 형상의 길이조절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holes formed in the first band,
In the fixing structure,
And a length adjust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first ban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buckle or the outer buckle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adjusting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 돌기는
상기 내측버클 또는 상기 외측버클에서 탈착 가능하며,
다른 형상의 길이조절 돌기로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length-
A detachable buckle on the inner or outer buckle,
Wherein the wearable terminal is replaceable with a length-adjusting projection of another sha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내측버클 또는 상기 외측버클 중 적어도 일측에 상기 제1 밴드를 향해 돌출된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버클과 상기 외측버클의 타측의 체결부가 결합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제1 밴드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fixing structure,
And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first ban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buckle or the outer buckle,
And the fixing protrusion presses the first band when the fastening part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buckle and the outer buckle is enga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제1 결합부에 이격하여 배치된 제1 N극 자석과 제1 S극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2 결합부에 이격하여 배치된 제2 S극 자석과 제2 N극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N극 자석과 상기 제2 S극 자석이 체결되고, 상기 제1 S극 자석과 상기 제2 N극 자석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agnet includes a first N pole magnet and a first S pole magnet disposed apart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The second magnet includes a second S pole magnet and a second N pole magnet disposed apart from the second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N pole magnet and the second S pole magnet are fastened together and the first S pole magnet and the second N pole magnet are fastened toge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상기 제2 결합부 중 일측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 및
상기 제2 결합부 또는 상기 제1 결합부 중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의 형상에 상응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guide protrusion protruded to one sid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or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engaging part or the first engaging part a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guide protrus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은 한 쌍이 상기 제1 결합부에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2 결합부에 제1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홈은 한 쌍이 이격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magnet is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first engaging portion, the second magnet is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pair of guide protrusions and the guide groov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한 쌍이 제2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가이드 돌기에 상응하는 위치에 제2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홈 중 하나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크기보다 상기 제2 방향으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air of guide projec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Wherein the guide groove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jection in a second direction,
Wherein one of the guide grooves is longer in the second direction than a size of the guide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클의 측면에서 상기 제1 밴드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거나, 상기 제2 버클의 측면에서 상기 제2 밴드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가이드 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uide wall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band at the side of the first buckle or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band at the side of the second buck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클은,
상기 제1 밴드의 내측에 제3 자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uckle includes:
And a third magnet disposed inside the first b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 또는 상기 제2 밴드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밴드와 상기 제2 밴드가 결합시 변화하는 자력을 감지하는 자기 센서; 및
상기 홀센서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실장된 메인기판을 연결하는 플렉서블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판은 상기 자기 센서가 자력변화를 감지하면 상기 본체에 실장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제1 화면에서 제2 화면으로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gnetic sensor provided in the first band or the second band and sensing a magnetic force which is changed when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nd a flexible substrate for connecting the hall sensor to a main board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Wherein the main board controls to change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from the first screen to the second screen when the magnetic sensor detects a change in the magnetic for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클은 상기 제1 밴드의 내측에 상기 제1 자석보다 자력이 약한 제3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기판은
상기 자기 센서에서 기준보다 큰 자력변화를 감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2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자기 센서에서 기준보다 작은 자력변화를 감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3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buckle includes a third magnet disposed inside the first band and having a magnetic force weaker than that of the first magnet,
The main board
And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output a second screen when the magnetic sensor senses a magnetic force change greater than a referenc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output a third screen when the magnetic sensor detects a change in magnetic force smaller than a refere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클은 상기 제1 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위치하며,
상기 밴드의 두께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uckle is locat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nd,
Wherein the wearable terminal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n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의 바깥면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이 체결시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guide hol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and,
And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when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클은 상기 제1 밴드에 상기 제1 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측면에 제1 자석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길이조절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클은 상기 제2 밴드의 단부 내측면에 상기 길이조정 홈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자석과 반대극을 갖는 제2 자석을 포함하는 길이조절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buckle includes a plurality of length-adjusting holes formed in the first ba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nd and including a first magnet on the inner side,
And the second buckle includes a length adjusting protrusion protruding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ength adjusting groo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second band and including a second magnet having an opposite polarity to the first magne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의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부와 함께 제1 밴드의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결합홀을 형성하는 커버버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클이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ver buckle loc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forming a coupling hole ope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nd together with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buckl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to couple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에 상기 결합홀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에 상응하는 형상의 가이드 슬릿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A guide rail projec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engagement hole in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And
Wherein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further comprises a guide slit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클 또는 상기 제2 밴드에 결합한 후크; 및
상기 제1 버클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후크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ook coupled to the second buckle or the second band; And
And a hook hole formed in the first buckle and into which the hook is inserted.
KR1020140178146A 2014-12-11 2014-12-11 Wearable terminal KR201600709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146A KR20160070998A (en) 2014-12-11 2014-12-11 Wear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146A KR20160070998A (en) 2014-12-11 2014-12-11 Wearab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998A true KR20160070998A (en) 2016-06-21

Family

ID=56353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146A KR20160070998A (en) 2014-12-11 2014-12-11 Wear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099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414A1 (en) * 2021-10-26 2023-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ing member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WO2023224245A1 (en) * 2022-05-17 2023-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Wearabl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strap fasten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414A1 (en) * 2021-10-26 2023-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Wearing member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WO2023224245A1 (en) * 2022-05-17 2023-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Wearabl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strap fasten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7119B2 (en) Watch type terminal
US9979426B2 (en) Watch-type mobile terminal including antenna
KR102451371B1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EP2891942B1 (en) Wearable terminal
CN106210185B (en) Mobile terminal
KR101587138B1 (en) Mobile terminal
KR102218913B1 (en) Smart bracelet
KR102497528B1 (en) Watch type terminal
KR101759950B1 (en) Mobile terminal
US20150268475A1 (en) Glass type terminal
EP2947539B1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system having the same
KR101637368B1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KR20160002190A (en) Glass type terminal
KR20170062864A (en) Smart watch
KR20160012436A (en) Wearable device
KR20170047771A (en) Wearable terminal
US9894191B2 (en) Mobile terminal
KR101659030B1 (en) Terminal of watch type and mobile terminal assembly
KR20160070998A (en) Wearable terminal
KR20160100774A (en) Wearable smart device
KR102166834B1 (en) Mobile terminal
KR20170017081A (en) Mobile terminal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20160064489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60094053A (en) Accessory type watch device
KR20190037967A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