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5589A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rection of display devic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rection of display devic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5589A
KR20160065589A KR1020140169771A KR20140169771A KR20160065589A KR 20160065589 A KR20160065589 A KR 20160065589A KR 1020140169771 A KR1020140169771 A KR 1020140169771A KR 20140169771 A KR20140169771 A KR 20140169771A KR 20160065589 A KR20160065589 A KR 20160065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vehicle
passenger
seat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7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32055B1 (en
Inventor
김태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9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055B1/en
Publication of KR20160065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5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0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assenger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oriented direction of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The system for controlling the oriented direction of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comprises a sensor part, an operation control part, an operation determination part, an operation drive part and an operation maintaining part. The sensor part includes multiple sensors arranged on the interior of a vehicle and detects whether a passenger exists and his/her motion to generate a detection signal. The operation control part receives and analyzes the detection signal at normal times to determine whether the oriented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n the vehicle is controlled. The operation determination part determines the oriented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analyzed result of the detection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riented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controlled by the operation control part. The operation drive part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and rotates the oriented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to be an oriented direction determined by the operation determination part. The operation maintaining part determines whether the oriented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changed depending on the drive state of the vehicle, the state of the passenger and an application executed by an audio video navigation system (AVN) outputting an image to the display device.

Description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RECTION OF DISPLAY DEVICE FOR VEHICLE}[000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RECTION OF DISPLAY DEVICE FOR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탑승자의 상태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조절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rection of a vehicl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rection of a vehicle display device that automatically detects a condition of a vehicle occupant and adjusts a direction of a display device.

현재 출시되는 차량은 대부분 단순히 운송 수단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를 위한 각종 편의 기능을 함께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경우가 많다.Most of the currently released vehicles are provided with not only a function as a transportation means but also various convenience functions for a passenger including a driver, and a display device is often provided for this purpose.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의 AVN(Audio Video Navigation)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되어 차량의 각종 상태나 차량의 운전 경로를 탑승자에게 표시하거나,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같은 각종 멀티미이어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에는 단순히 영상 표시 수단으로서만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터치스크린이나 터치 패널과 같이 사용자 명령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 명령 입력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An existing display device is used as a user interface of an AVN (Audio Video Navigation) of a vehicle to display various statuses of a vehicle or a driving route of a vehicle to a passenger, and to display various multimedia contents such as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Especially in recent years, it is mostly used not only as a video display means but also as a user command input means such as a touch screen or a touch panel, and can function as a user command input means.

그러나 차량 내에서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편의 기능이 증가됨에 따라, 주행 중 운전자가 차량 전방이 아닌 디스플레이 장치를 응시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하여 운전에 부주의해지게 된다. 이에 안전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되므로, 여러 매체를 통해 운전자를 계도하거나, 법률적으로 제제하고 있음에도 운전자가 이를 심각하게 여기지 않는 경우가 많아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However, as the user-friendly functions that can be provided in the vehicle are increased, the driver becomes careless during driving by staring at the display device rather than at the front of the vehicle, or by manipulating the display device. This causes serious problems in safety. Therefore, accident occurs because many drivers do not take it seriously, even though the driver is actively involved in the various media or legally regulated.

한국 공개 특허 제2011-0056572호에는 차량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장치의 메뉴 화면을 활성화하기 위한 근섭 센서를 구비하여 근접 센서가 근접을 감지하면 메뉴가 활성화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차량 AVN 시스템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터치스크린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 차량 주행 중 디스플레이 장치로 인한 사고 발생 위험을 낮추지는 못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0056572 has a near sensor for activating a menu screen of a touch screen device provided in a vehicle, so that when a proximity sensor detects proximity, a menu is activated so that a user can easily operate a vehicle AVN system . However, this simply improves the convenience of touch screen operation and does not lower the risk of accidents due to the display device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 탑승자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조절하여 안전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차량 모니터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rection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monitor capable of detecting a state of a passenger in a vehicle and adjusting a direc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sensed state,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 모니터 지향 방향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adjusting a direction of a vehicle monito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 모니터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은 차량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센서를 구비하여 탑승자의 존재 여부와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시 감지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여, 차량내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 조절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제어부; 상기 동작 제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시 감지 신호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결정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동작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지향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회전시키는 동작 구동부;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와 상기 탑승자의 상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을 출력하는 AVN이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의 변경 여부를 판별하는 동작 유지부; 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monitor-direction-oriented steering system including a sensor unit having a plurality of sensors disposed in a vehicle to detect presence or motion of a passenger and generate a sensed signal; An operation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analyzing the normal sensing sig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irection of the in-vehicle display device is adjusted or not; An operation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normal sensing signal if the operation control unit determines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An operation driver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for rotating a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n a direction of the direction determined by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And an operation mainta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the state of the occupant, and an application executed by an AVN outputting an image to the display device; .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 내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 내에 배치되어 상기 탑승자의 탑승 유무를 판별하는 탑승자 감지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되어 상기 탑승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unit includes a passenger detection sensor disposed in the seat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in the vehic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is boarded; And a motion detection sensor disposed on the display device and sensing an operation of the occupant; And a control unit.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조수석에 상기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조절되지 않도록 결정하고, 상기 조수석에 상기 탑승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운전석 및 상기 조수석의 상기 탑승자의 동작을 분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 조절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alyzes the detection signal and determines that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not adjusted if the passenger is determined not to exist in the passenger sea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enger is present in the passenger sea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adjusted by analyzing the operation of the occupant of the passenger seat.

상기 동작 결정부는 상기 동작 제어부에서 분석한 상기 탑승자의 동작이 상기 조수석 탑승자의 동작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조수석 방향으로 결정하고, 상기 탑승자의 동작이 상기 조수석 탑승자의 동작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운전석 방향으로 결정함과 더불어 상기 AVN에서 실행이 제약될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n the passenger seat direction if the operation of the passenger analyzed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is an operation of the passenger seat and if the operation of the passenger is the operation of the passenger in the passenger seat, The orientation direction is determined to be the direction of the driver's seat, and the application to be restricted from being executed in the AVN is determined.

상기 동작 유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상기 조수석 방향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제약을 해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지향 방향 변경 명령이 인가되면, 실행 중인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변경되지 않도록 상기 동작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operation holding unit releases the restriction on the application if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the passenger seat direction and if the direction change instruction to the display device is applied, And controls the operation driver so that the direction does not change.

상기 동작 유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상기 운전석 방향이면, 기지정된 설정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실행 또는 수행 기능이 제약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AVN으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지향 방향 변경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상기 조수석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동작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operation holding unit transmits, to the AVN, application information for limiting execution or performing functions among the applica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tting if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the driver's seat, And controls the operation driving unit so that the directing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adjusted to the passenger sea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 모니터 지향 방향 조절 방법은 센서부, 동작 제어부, 동작 결정부, 동작 구동부 및 동작 유지부를 포함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의 지향 방향 조절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AVN이 구동되면, 상기 센서부가 복수개의 센서를 통해 탑승자의 탑승 여부와 상기 탑승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작 제어부가 상기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 조절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상기 동작 결정부가 상기 감지 신호 분석 결과로부터 탑승자의 동작이 감지된 방향이 운전석 방향인지 조수석 방향인지 판별하여 디스플레이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구동부가 결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adjusting a direction of a vehicle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nsor unit, an operation control unit, an operation determining unit, an operation driver, When the AVN of the vehicle is driven, generating a sensing signal by sensing whether the passenger is boarding the passenger or the occupant through the plurality of sensors;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alyzes the sensing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adjusted or not; Determining wheth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occupant's motion is sensed is the driver's seat direction or the passenger's seat direction from the detection signal analysis result to determine the display direction if the operation control unit determines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 And adjusting an orientation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display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on driver is determined; .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지향 방향 조절 방법은 상기 동작 유지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상기 운전석 방향인지 판별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운전석 방향이면, 상기 동작 유지부가 상기 차량의 현재 상태가 주행 중인지 판별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현재 상태가 주행 중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을 출력하는 상기 AVN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약을 설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 명령으로 제약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operation holding unit determines that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the driver's seat direction;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is running if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the driver's seat direction; Setting a restriction on a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AVN that outputs an image to the display devi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is running; And outputting a warning to the display device when an execution command for the application constrained by the user command is applied; And further comprising: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지향 방향 조절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조수석 방향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약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명령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이 인가되면, 대응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명령으로 디스플레이 방향 전환 명령이 인가되면, 실행 중 인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전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동작 구동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canceling a restriction on the application if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the passenger seat direction; Executing a corresponding application when an execution command for the application is received in the user command; Determining whether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being executed when the display direction switching command is applied to the user command; And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hen the operation driver determines that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switched. And a control unit.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 탑승자를 감지하여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조절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지향 방향에 따라 서비스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제약하여 운전자가 운전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 발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Therefore, th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mproves the convenience of the occupant by sensing the vehicle occupant and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n the vehicle, So that the driver can concentrate on driving,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an accident.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모니터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2 는 도1 의 센서부의 센서 배치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3 은 차량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 방향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모니터 지향 방향 조절 방법을 나타낸다.
도5 는 도4 의 디스플레이 회전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1 shows a vehicle monitor oriented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n example of the sensor arrangement of the sensor unit in Fig.
3 shows an example of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disposed in the vehicle.
4 illustrates a method of adjusting a direction of a vehicle mon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display rotating step of FIG.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member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The terms "part", "unit", "module", "block",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a combination of software.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모니터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을 나타낸다.1 shows a vehicle monitor oriented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 모니터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은 센서부(10), 동작 제어부(20), 동작 결정부(30), 동작 구동부(50) 및 동작 유지부(6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the vehicle monitor-oriented direction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0, an operation control unit 20, an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0, an operation driving unit 50, and an operation holding unit 60 .

센서부(10)는 차량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센서를 구비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동작 제어부(20)로 전송한다. 센서부(10)는 복수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내 탑승자의 존재 여부와 탑승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The sensor unit 1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in the vehicle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and transmits the sensing signal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 The sensor unit 10 senses the presence of a passenger in the vehicle and the operation of the passenger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본 발명의 차량 모니터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시스템으로써, 탑승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편안한 자세에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 모니터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은 우선 탑승자가 탑승한 위치를 판별할 필요성이 있다. 더불어 차량내 AVN과 같은 편의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더욱 높이고, 안전 운전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필요성이 있다The vehicle monitor-oriented direction adjust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so that the orientation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changed so that the occupant can view the display device in a comfortable pos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vehicle monitor-oriented direction control system to first determine the position on which the passenger is boarde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further increase the usability of convenience devices such as AVN in the vehicle, and to detect the user's operation so as to enable safe operation

이에 센서부(10)는 차량 내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 내에 배치되어 탑승자의 탑승 유무를 판별하는 탑승자 감지 센서와,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위에 배치되어 탑승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탑승자 감지 센서는 일반적으로 운전석 및 조수석에 구비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의 다른 좌석에도 구비될 수 있다. 탑승자 감지 센서는 일예로 무게 감지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동작 감지 센서는 근접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0)는 이외에 탑승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0 includes a passenger detection sensor disposed in a seat of a driver's seat and a front passenger seat to discriminate whether or not a passenger is boarded, and a motion detection sensor disposed around the display device or the display device, can do.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is generally provided in the driver's seat and the front passenger seat, but may be provided in other seats of the vehicle in some cases. For example,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may be implemented by a weight detection sensor or the like, and the motion detection sensor may be implemented by a proximity sensor or the like. In addition, the sensor unit 10 may further include various sensors capable of sensing the condition of the occupant.

동작 제어부(20)는 센서부(10)에서 인가되는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 조절 여부를 결정한다. 동작 제어부(20)는 우선 탑승자 감지 센서에서 인가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운전석 및 조수석 탑승자의 존재 여부를 판별한다. 동작 제어부(20)는 특히 조수석 탑승자의 존재 여부를 판별하여, 조수석에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기존과 동일하게 차량 중앙을 지향하도록 결정하거나, 운전석 방향을 지향하도록 결정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가 조수석 ??향을 지향하지 않도록 한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analyzes the sensing signal applied from the sensor unit 10 to determine whether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First,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occupant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is present using the sensing signal applied from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occupant is present in the passenger seat and determines that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oriented toward the center of the vehicle as in the conventional case, . That is, the display device is not directed toward the passenger seat.

그러나 조수석에 탑승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별되면, 동작 감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만일 조수석 탑승자가 존재한 것으로 판별된 상태에서 동작 감지 센서에서 탑승자의 동작이 감지되면, 동작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동작 결정부(30)로 방향 결정 요청 신호와 함께 감지 신호 분석 결과를 전송한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is aboard the passenger seat, the operation of the user is detected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ccupant of the passenger seat is present,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transmits a direction determination request signal to the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0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Transmit the detection signal analysis result.

동작 결정부(30)는 방향 결정 요청 신호와 함께 감지 신호 분석 결과가 인가되면 감지 신호 분석 결과로부터 탑승자의 동작이 감지된 방향이 운전석 방향인지 조수석 방향인지 판별하여 지향 방향 신호를 동작 구동부(40)로 전송한다. 만일 동작이 감지된 방향이 조수석 방향이라면, 동작 결정부(3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조수석 방향으로 결정한다. 그러나 동작이 감지된 방향이 운전석 방향이라면, 동작 결정부(3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운전석 방향으로 결정함과 더불어 제약될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When the result of the detection signal analysis is applied together with the direction determination request signal, the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0 determines wheth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occupant's motion is detected from the detection signal analysis result is the driver's seat direction or the assistant driver's seat direction, Lt; / RTI > If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on is detected is the passenger's seat direction,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n the direction of the assistant driver's seat. However, if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on is detected is the driver's seat direction,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determines the orientation of the display device in the driver's seat direction and determines the application to be restricted.

AVN을 통해 각각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중 일부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안전 운전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BM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운전차의 안전 운전을 저해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분류된다. 또한 네이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운전자의 운전 편의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 차량에 구비되지만, 주행 중 운전자가 목적지 입력이나 주변 정보 확인과 같은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Some of the various applications that provide services via AVN can have a serious impact on safe oper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application such as DBM, it is classified as an application that hinders safe driving of a driving vehicl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navigation application, it is basically provided in the vehicle to improve the driving convenience of the driver, but it can cause an accident when the driver performs an operation such as inputting a destination or checking surrounding information during driving.

이에 동작 결정부(3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운전석 방향을 지향할 때, 제약될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지정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운전석 방향으로 결정되면, 지향 방향 신호를 동작 구동부(40)로 전송하고, 동시에 AVN으로 제약될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전송하여, AVN이 제약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거나, 실행하더라도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약하도록 한다.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stores an application to be restricted when the display device is oriented toward the driver's seat. When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determined to be the direction of the driver's seat, a directional dir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driver 40, and at the same time, application information to be restricted to the AVN is transmitted so that the AVN does not execute the constrained application, Thereby limiting the function.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운전석을 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운전자가 주행 중 네비게이션을 조작하고자 사용자 명령을 입력한다면, 동작 결정부(3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경고를 표시하고, AVN으로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ANV이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navigation application, it is preferable to orient the driver's seat basically. However, if the driver inputs a user command to manipulate navigation during driving,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displays a warning through the display device, transmit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AVN, and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command Can be controlled.

동작 구동부(40)는 차량 내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가변한다. 동작 구동부(40)는 모터 및 기어 등을 포함하는 같은 구동 수단으로 구현되어 동작 결정부(30)가 결정한 지향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조절한다.The operation driving unit 40 is connected to a display device in the vehicl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The operation driving unit 40 is implemented by the same driving means including a motor and a gear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direction determined by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

동작 유지부(5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과 차량 상태 및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디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현재 상태로 유지할지 또는 변경할지 여부를 판별한다.The operation holding unit 50 determines whether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the vehicle state, and the application information are to be maintained or changed in the current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재 지향 방향이 운전석 방향인 상태에서 조수석 방향으로 변경되는 경우, 대부분 차량 안전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반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재 지향 방향이 조수석 방향인 상태에서 운전석 방향으로 변경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일부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 안전 운전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 유지부(5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조수석 방향을 지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 방향으로 지향 방향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별한다.Generally, when the current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changed from the driver's seat direction to the passenger's seat direction, the safety of the vehicle is not a problem in most cases. Conversely, if the current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changed from the passenger seat direction to the driver's seat direction, it may act as an obstacle to safe driving in the case of some applications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operation holding unit 50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driv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oriented toward the passenger seat.

동작 유지부(50)는 동작 구동부(40)에 의해 조절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과 차량의 주행 상태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의 유지 여부를 결정한다.The operation holding unit 50 determines whether to maintain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controlled by the operation driving unit 40,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and the type of application being executed.

상기한 바와 같이, 조수석에 탑승자가 존재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수석 방향인 상태에서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약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조수석 탑승자는 DMB를 시청하거나 네비게이션을 조작할 수 있다. 다만 일부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면 DMB가 실행되고 있는 중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전석 방향으로 지향 방향이 가변되어서는 안된다. 그러나 또 다른 일부 어플리케이션, 네비게이션의 경우, 조수석 탑승자가 네비게이션을 조작하여 목적지를 입력한 이후, 네비게이션 정보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지향 방향을 운전석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닌 정차 중인 경우에는 운전석에서도 네비게이션이나 DMB와 같은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application in the state that the passenger is present in the passenger seat and the current direction of the passenger seat of the display device is. Therefore, the passenger in the passenger seat can watch the DMB or manipulate the navigation. However, when some applications, for example, DMB, are being executed,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should not be changed toward the driver's seat. However, in the case of some other applications and navigation systems, after the passenger of the passenger seat enters the destination by operating the navigation device, the display direction should be adjusted to the driver's seat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confirm the navig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s stopped while not traveling,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navigation and DMB can be used without restriction in the driver's seat.

동작 유지부(5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조수석을 지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명령으로 어플리케이션 조작 명령이 인가되면,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조작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이 AVN에서 수행된 후, 지향 방향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지향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 명령이 인가된 경우에는 지향 방향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DMB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 인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조작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더라도 지향 방향 선택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다. 즉 지향 방향을 변경할 수 없도록 한다.When an application operation command is given by a user command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device is oriented to the passenger seat, the operation holding unit 50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operation command in the AV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pplication, The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direction of orientation. For example, when an operation command for a navigation application is applied, a directional direction selection scree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However, when an application such as a DMB is being executed, the orientation direction selection screen is not displayed even if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operation command is performed. That is, the direction of orientation can not be changed.

뿐만 아니라 동작 유지부(5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운전석 방향인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잠금 신호를 AVN으로 전송하여, 운전자가 어플리케이션 조작 명령을 인가하더라도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경고를 표시하여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the driver's seat direction, the operation holding unit 50 transmits an application lock signal to the AVN so that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even if the driver applies the application operation command. Also display a warning on the display device to alert the driver.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운전석 방향일지라도 차량 상태가 주행 상태가 아니라면, 동작 유지부(5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조수석 방향인 경우와 동일하게 동작한다.However, even if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the driver seat, if the vehicle state is not the driving state, the operation holding unit 50 operates in the same manner as the case where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the front passenger seat.

도2 는 도1 의 센서부의 센서 배치의 일예를 나타낸다.Fig. 2 shows an example of the sensor arrangement of the sensor unit in Fig.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모니터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에서 센서부(10)는 차량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탑승자 감지 센서의 경우, 차량 내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 내에 배치되어 탑승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동작 감지 센서의 경우에는 차량 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도2 에서는 일예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측에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vehicle monitor-oriented stee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in the vehicle. In the case of the occupant detec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is boarded by being disposed in the seat of the driver's seat and the front passenger's seat in the vehicle. However, in the case of the motion detection sensor, the sensors may be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in the vehicle, but in FIG. 2, the sensor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차량 모니터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이 실제로 탑승자의 모든 동작을 감지할 필요는 없다. 실제 차량 모니터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은 AVN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탑승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hicle monitor-oriented stee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actually sense all the movements of the occupant. The actual vehicle monitor orientation control system preferably senses the operation of the passenger to operate the AVN or display device.

그리고 현재 대부분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사용자 명령 입력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도2 에서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시스템은 AVN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탑승자의 동작을 감지하기 용이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측에 동작 감지 센서를 배치하였다.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display devices are currently capable of performing a function as a user command input means such as a touch screen, it is assumed in FIG. 2 that the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A motion detection sensor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a display device that is easy to sense the motion of the occupant.

동작 감지 센서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측에 2개로 배치된 이유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동작을 용이하게 구분하여 감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2 에서는 동작 감지 센서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측 가운데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단순한 일 예로서, 동작 감지 센서의 위치는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이동되어 배치되어도 무방하다.The reason why the motion detection sensor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device is that the operation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s seat are easily distinguished. In FIG. 2, the movement detection sensor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device. However, the movement detection sensors may be disposed to move upward or downward.

도3 은 차량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 방향의 일예를 나타낸다.3 shows an example of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disposed in the vehicl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DP)는 동작 구동부(40)에 연결되어, 동작 구동부(40)에 의해 운전석 방향 또는 조수석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조절 될 수 있다.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운전석 방향으로 조절된다함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 중앙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운전석 방향으로 회전하여 표시되는 것을 의미하며, 조수석석 방향으로 조절된다함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조수석 방향으로 회전하여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apparatus D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driving unit 40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adjusted by the operation driving unit 40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r's seat or the front passenger's seat. 3,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adjusted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r's seat, which means that an image output from the display device is rotated and displayed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r's seat about the rotation axis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device, This means that the image output from the display device is rotated and displayed in the passenger seat direction.

도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모니터 지향 방향 조절 방법을 나타낸다.4 illustrates a method of adjusting a direction of a vehicle moni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내지 도3 을 참조하여 도4 의 차량 모니터 지향 방향 조절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차량의 AVN이 구동된다(S100). AVN은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함께 구동되거나,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구동될 수 있다. AVN이 구동되면, 동작 제어부(2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 기능을 사용할지 여부를 판별한다(S200).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 기능 사용 여부는 AVN을 통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하드웨어 스위치나 버튼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the method of adjusting the orientation of the vehicle monitor according to FIG. 4 will be described. First, the AVN of the vehicle is driven (S100). The AVN may be driven together when the vehicle is turned on, or may be driven in response to a user command. When the AVN is driv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determines whether to use the rotation function of the display device (S200). Whether or not the rotation fun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used can be preset by the user through the AVN, or may be implemented by providing a separate hardware switch or button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select the function.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 기능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센서부(10)가 복수개의 센서를 통해 탑승자의 탑승 여부와 함께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동작 제어부(20)로 전송한다(S30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otation fun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to be used, the sensor unit 10 senses the operation of the occupant along with the boarding of the occupant through the plurality of sensors, generates a sensing signal, and transmits the sensing signal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S300) .

이에 동작 제어부(20)는 센서부(10)에서 인가되는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 조절 여부를 결정하여 방향 결정 요청 신호와 함께 감지 신호 분석 결과를 동작 결정부(30)로 전송한다. 그리고 동작 결정부(30)는 방향 결정 요청 신호와 함께 감지 신호 분석 결과가 인가되면 감지 신호 분석 결과로부터 탑승자의 동작이 감지된 방향이 운전석 방향인지 조수석 방향인지 판별하여 디스플레이 방향을 결정하고, 지향 방향 신호를 동작 구동부(40)로 전송한다(S400). 이때 동작 결정부(30)는 제약될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결정하여 AVN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operation control unit 20 analyzes the detection signal applied from the sensor unit 10 to determine whether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adjusted or not,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analysis result to the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0 together with the direction determination request signal . When the result of the detection signal analysis is applied together with the direction determination request signal, the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0 determines the display direction by determining wheth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occupant's motion is detected is the driver's seat direction or the assistant driver's seat,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operation driver 40 (S400). At this time,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can determine the applications to be restricted together and transmit them to the AVN.

동작 구동부(40)는 지향 방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지향 방향 신호의 지향 방향이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과 동일한지 판별한다(500). 만일 지향 방향 신호의 지향 방향이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과 동일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회전 시키지 않는 반면, 지향 방향 신호의 지향 방향이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과 동일하지 않으면, 지향 방향 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회전하여 지향 방향을 조절한다(S600).The operation driver 40 receives the directional direction signal and determines whether the direction of the received directional signal is the same as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display device (500). If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al signal is not the same as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display device, while the directional direction of the directional signal is the same as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is rotated to adjust the orientation (S600).

도5 는 도4 의 디스플레이 회전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display rotating step of FIG.

디스플레이 회전 단계(600)는 우선 동작 구동부(40)가 지향 방향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 결정부(30)에서 분석하여 결정한 회전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회전시킨다(S611). 그리고 회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운전석 방향인지 판별한다(S612). 만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운전석 방향이 아니면, 동작 결정부(30)에 의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약을 해제하도록 AVN에 통지한다(S613). 이후 동작 유지부(50)는 사용자 명령으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인가되는지 판별한다(S614).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인가되면 대응하는 AVN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한다(S615).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이 필요한지 판별한다(S616).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은 디스플레이 방향 전환 명령이 인가된 경우에 방향 변경이 필요할 수 있다. 이때 동작 유지부(50)는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방향 변경 필요성을 다르게 판별할 수 있다.In the display rotation step (600), the operation driving unit (40) rotates the display device in the rotation direction decided by analyzing in the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30) in response to the direction direction signal (S611).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rientation of the rotated display device is the driver's seat direction (S612). If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not the driver's seat direction, the AVN is informed to release the restriction on the application specified by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S613). Thereafter, the operation holding unit 50 determines whether an application execution command is applied by a user command (S614). When the application execution command is input,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rough the corresponding AVN (S615).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display direction change is necessary during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S616). Changing the display direction may require changing direction when the display direction switching command is applied. At this time, the operation holding unit 50 can analyze the application being executed and discriminate the necessity of changing the display direction differently.

동작 유지부(50)는 디스플레이 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동작 결정부(30)로 지향 방향 신호 생성 요청을 전송하여 지향 방향을 결정하도록하고, 이에 동작 구동부(30)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변경한다(S617). 그러나 동작 유지부(50)는 분석된 어플리케이션이 지향 방향을 변경해서는 안되는 DMB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인 것으로 판별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변경되지 않도록 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direction needs to be changed, the operation maintaining unit 50 transmits a request for generating a direction direction signal to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30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The direction is changed (S617).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nalyzed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such as a DMB that should not change the direction, the operation maintaining unit 50 does not change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그리고 차량의 시동이 꺼지거나 AVN 비활성화 명령이 인가는지 판별한다(S618). 만일 차량의 시동이 꺼지거나 AVN 비활성화 명령이 인가되면, 차량 모니터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도 함께 종료한다.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art of the vehicle is turned off or the AVN deactivation command is issued (S618). If the vehicle is turned off or an AVN deactivation command is issued, the vehicle monitor orientation control system also ends.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 판별 결과(S612), 운전석 방향인 것으로 판별되면, 차량의 상태가 현재 주행 중인지를 판별한다(S619). 만일 차량이 주행 중이 아니라면, 운전자도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제약을 해제한다(S613). 그러나 차량의 상태가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석 방향에서의 조작에 대해서 회전 방향을 유지하거나 DMB 등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제약한다(S620).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the driver's seat direction (S61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is currently traveling (S619). If the vehicle is not traveling, the driver also releases the application restriction so that various applications can be used (S613).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vehicle is running, the rotation direction is restricted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in the driver's seat direction or the application such as DMB is restricted (S620).

그리고 사용자 명령으로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인가되면 인가된 어플리케이션이 제약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인지 판별한다(S621). 인가된 사용자 명령이 제약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인 것으로 판별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로 경고를 출력하고,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유지한다(S622). 반면, 제약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이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615).If the application execution command is inputted by the user comm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uthorized application is an execution command for the constrained application (S62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uthorized user command is an execution command for the restricted application, a warning is output to the display device and the current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maintained (S622).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straint application is not an execution command,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executed (S615).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via the Internet).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9)

차량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센서를 구비하여 탑승자의 존재 여부와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시 감지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여, 차량내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 조절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제어부;
상기 동작 제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시 감지 신호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결정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동작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지향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회전시키는 동작 구동부; 및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와 상기 탑승자의 상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을 출력하는 AVN이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의 변경 여부를 판별하는 동작 유지부; 를 포함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
A senso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disposed in a vehicle to detect presence or operation of a passenger and generate a detection signal;
An operation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d analyzing the normal sensing sig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irection of the in-vehicle display device is adjusted or not;
An operation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us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normal sensing signal if the operation control unit determines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An operation driver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for rotating a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n a direction of the direction determined by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And
An operation mainta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raveling state of the vehicle, the state of the occupant, and an application executed by an AVN that outputs an image to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directing direction adjustment system compris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 내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 내에 배치되어 상기 탑승자의 탑승 유무를 판별하는 탑승자 감지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배치되어 상기 탑승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nsor unit
An occupant detection sensor disposed in the seat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in the vehicle, for detecting presence or absence of the occupant; And
A motion detection sensor disposed on the display device and sensing an operation of the occupant; Where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directing direction adjustment system comprise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조수석에 상기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조절되지 않도록 결정하고, 상기 조수석에 상기 탑승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운전석 및 상기 조수석의 상기 탑승자의 동작을 분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 조절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orienta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not adjus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enger does not exist in the passenger seat by analyzing the detection signal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ssenger is present in the passenger seat,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adjusted by analyzing an operation of the occupan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결정부는
상기 동작 제어부에서 분석한 상기 탑승자의 동작이 상기 조수석 탑승자의 동작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조수석 방향으로 결정하고, 상기 탑승자의 동작이 상기 조수석 탑승자의 동작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운전석 방향으로 결정함과 더불어 상기 AVN에서 실행이 제약될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If the operation of the passenger analyzed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is an operation of the passenger of the passenger seat,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determined as the passenger seat direction, and if the operation of the passenger is the operation of the passenger seat, And determines an application to be restricted from being executed in the AV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유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상기 조수석 방향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약을 해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지향 방향 변경 명령이 인가되면, 실행 중인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변경되지 않도록 상기 동작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
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operation maintain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ancel the restriction on the application if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the passenger seat and to prevent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from being chang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being executed when the direction change direction command is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driving uni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유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상기 운전석 방향이면, 기지정된 설정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실행 또는 수행 기능이 제약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상기 AVN으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지향 방향 변경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상기 조수석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동작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
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operation maintaining unit
Wherein when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the driver's seat direction, application information for limiting execution or performing functions among the applications is transmitted to the AV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tting, and when a direction change instruction for the display device is applied, And controls the operation driving unit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adjusted to the passenger seat.
센서부, 동작 제어부, 동작 결정부, 동작 구동부 및 동작 유지부를 포함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의 지향 방향 조절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AVN이 구동되면, 상기 센서부가 복수개의 센서를 통해 탑승자의 탑승 여부와 상기 탑승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작 제어부가 상기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 조절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상기 동작 결정부가 상기 감지 신호 분석 결과로부터 탑승자의 동작이 감지된 방향이 운전석 방향인지 조수석 방향인지 판별하여 디스플레이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구동부가 결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방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지향 방향 조절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direction of a vehicle display apparatus directional control system including a sensor unit, an operation control unit, an operation determining unit, an operation driver, and an operation holding unit,
When the AVN of the vehicle is driven, generating a sensing signal by sensing whether the passenger is boarding the passenger or the occupant through the plurality of sensors;
Wherein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alyzes the sensing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adjusted or not;
Determining wheth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occupant's motion is sensed is the driver's seat direction or the passenger's seat direction from the detection signal analysis result to determine the display direction if the operation control unit determines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Adjusting a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display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on driver is determined; Where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is oriented towards the vehicl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지향 방향 조절 방법은
상기 동작 유지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상기 운전석 방향인지 판별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운전석 방향이면, 상기 동작 유지부가 상기 차량의 현재 상태가 주행 중인지 판별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현재 상태가 주행 중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을 출력하는 상기 AVN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약을 설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 명령으로 제약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지향 방향 조절 방법.
8.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7,
Determining whether the orienta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the driver's seat orient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is running if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the driver's seat direction;
Setting a restriction on a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AVN that outputs an image to the display devi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is running; And
Outputting a warning to the display device when an execution command for the application constrained by the user command is appli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djusting the orientation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지향 방향 조절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이 조수석 방향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약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명령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이 인가되면, 대응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명령으로 디스플레이 방향 전환 명령이 인가되면, 실행 중 인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전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동작 구동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향 방향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지향 방향 조절 방법.
9.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8, wherein the vehicle display device-
Releasing restrictions on the application if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the passenger seat direction;
Executing a corresponding application when an execution command for the application is received in the user command;
Determining whether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being executed when the display direction switching command is applied to the user command; And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hen the operation driver determines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And adjusting the orientation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KR1020140169771A 2014-12-01 2014-12-0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rection of display device for vehicle KR1023320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771A KR102332055B1 (en) 2014-12-01 2014-12-0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rection of display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771A KR102332055B1 (en) 2014-12-01 2014-12-0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rection of display device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589A true KR20160065589A (en) 2016-06-09
KR102332055B1 KR102332055B1 (en) 2021-11-29

Family

ID=56138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771A KR102332055B1 (en) 2014-12-01 2014-12-0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rection of display devic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05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6268B2 (en) 2016-09-28 2020-03-31 Lg Electronics Inc.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WO2020166736A1 (en) * 2019-02-13 2020-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111A (en) * 1999-04-13 2000-11-15 정몽규 TV monitor for automobile
JP2002240641A (en) * 2001-02-19 2002-08-28 Yazaki Corp Device for adjusting direction of monitor
JP2004149024A (en) * 2002-10-31 2004-05-27 Sony Corp On-vehicle picture display device
EP2762950A1 (en) * 2013-02-01 2014-08-06 Volvo Car Corporation Vehicle head-up display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111A (en) * 1999-04-13 2000-11-15 정몽규 TV monitor for automobile
JP2002240641A (en) * 2001-02-19 2002-08-28 Yazaki Corp Device for adjusting direction of monitor
JP2004149024A (en) * 2002-10-31 2004-05-27 Sony Corp On-vehicle picture display device
EP2762950A1 (en) * 2013-02-01 2014-08-06 Volvo Car Corporation Vehicle head-up display arrange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6268B2 (en) 2016-09-28 2020-03-31 Lg Electronics Inc.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WO2020166736A1 (en) * 2019-02-13 2020-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055B1 (en) 202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03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of a motor vehicle
JP3925421B2 (en) Control device for in-vehicle equipment
US20190272030A1 (en) Gaze Driven Interaction for a Vehicle
US84578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safe operation of a vehicle based electronic device while the vehicle is in motion
US80992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differentiating users of a device
CN107107841B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160039649A (en) Method for using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tor vehicle while autopilot is activated and motor vehicle
EP3007055B1 (en) Vehicle with a dual operational touch screen device
JP6464869B2 (en) Operation system
US20080133122A1 (en) Multiple visual display device and vehicle-mounted navigation system
JP6026011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system
KR20110074678A (en) Operation apparatus for on-board devices in automobile
EP1491406A1 (en) In-car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JP5703787B2 (en)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3580662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for vehicles
KR20160065589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rection of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2007302154A (en) On-vehicle input device
KR20140014718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media device with driving circumstances of vehicle
KR20220112851A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s with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automatic driving, and corresponding vehicles and storage media
JP5666066B2 (en) Car navigation system
JP2007145238A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4708889B2 (en) Navigation device
JP5191630B2 (en) In-vehicle device controller
US20210335045A1 (en)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operating a display device which can be worn on the head in a motor vehicle
JP2005156257A (en) Input devic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