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4718A -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media device with driving circumstances of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media device with driving circumstances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4718A
KR20140014718A KR1020120081419A KR20120081419A KR20140014718A KR 20140014718 A KR20140014718 A KR 20140014718A KR 1020120081419 A KR1020120081419 A KR 1020120081419A KR 20120081419 A KR20120081419 A KR 20120081419A KR 20140014718 A KR20140014718 A KR 20140014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multimedia
driv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4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4718A/en
Publication of KR20140014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7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2Limiting control by the driver depending on vehicle state, e.g. interlocking means for the control input for preventing unsaf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0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of a vehicle, which is capable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risk during driving by respectively considering various driving conditions of a driving vehicle and the control frequency of a driver for the multimedia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warning the driver and restricting the control of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egree of risk. To this end,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sensor for detecting the driving characteristics information occurring dur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an electronic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driving conditions, based on the driving characteristics information detected from at least one sensor, determining the degree of control of a driver for a multimedia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calculating the degree of risk for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resulting value of a comprehensive diagnosis of the determined driving conditions and the degree of control of the driver for the multimedia device, thereby controlling the output of a warning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risk and restricting the control of the multimedia device; and the multimedia device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control unit with a device control event occurring according to the device control of the driver, and restricting the device control of the driver under the control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risk diagnosis result obtained through the electronic control unit. [Reference numerals] (10) Steering Sensor; (102) Key input unit; (104) Remote control; (106) Multimedia control unit; (108) Information port; (110) External signal input unit; (112) Audio output unit; (114) Video output unit; (12) Gyro sensor; (14) Vehicle speed sensor; (16) ABS sensor; (20) Memory; (22) Driving conditions determination unit; (24) Multimedia determination unit; (26) Diagnosis unit; (28) Restriction command execution unit; (32) Display unit

Description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media Device with Driving Circumstances of Vehicle}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media Device with Driving Circumstance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환경을 감시하여 위험 주행 상태에서 운전자가 멀티미디어 기기를 무분별하게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함에 의해, 사고의 위험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 driving environment of a vehicl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by monitoring a driving environment of a vehicle to prevent a driver from indiscriminately operating a multimedia device in a dangerous driving st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media devi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driving environment of a vehicle which can be minimized.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의 주행중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다양한 시스템, 기기들이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바, 차량 주행 상태에서 운전자에게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기기들이 설치되어 있다. In general, a variety of systems and devices are additionally installed in a vehicle to improve convenience while driving, and various kinds of multimedia devices are provided to provide multimedia information to a driver in a vehicle driving state.

이러한 차량의 멀티미디어 기기로는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오디오 컴팩트 디스크, MP3 저장 장치 등과 같은 오디오 정보 기록 매체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와, 지상파 방송 또는 위성 방송의 DMB 신호를 수신받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DMB 방송 재생 기기, 전자 지도 데이터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위성 신호에 의한 위치 정보를 근거로 차량의 최종 목적지까지의 운행 경로 정보를 가시적, 가청적으로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기기 등이 대표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The multimedia device of such a vehicle can receive and listen to radio broadcasts, receive audio playback devices for playing audio information recording media such as audio compact discs and MP3 storage devices, and receive DMB signals of terrestrial or satellite broadcasts. Typical DMB broadcast playback devices for viewing and navigation devices that provide visual and audible navigational route information to the vehicle's final destin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from electronic map data and GPS satellite signals received from GPS satellites. Is being applied.

한편,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는 차량을 장시간 운전하는 운전자와 동승한 탑승자의 지루함 및 피로도를 경감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운전자에게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such a multimedia device has a number of advantages in that it can reduce the boredom and fatigue of a passenger who rides the vehicle for a long time and can provide the driver with accurate information on the driving route to the destination. Have.

관련 기술로는 국내공개특허 제2011-0064899호(차종별 운전 편의 장치의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2011.06.15)가 있다.Related technologies includ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64899 (Automatic setting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convenience device for each vehicle type) (2011.06.15).

그러나, 종래 차량에 장착되는 대부분의 멀티미디어 기기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운전석에서 조작하기가 용이하도록 운전자 조작 중심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차량을 주행하는 중에 멀티미디어 기기를 동작시키거나 동작 상태를 변경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주행로의 도로 상태나 차량의 주행 속도 등과 같은 주행 환경과는 무관하게 운전자가 직접 기기 조작을 수행해야 하므로, 운전중 시야 확보가 어렵게 되어 차량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most multimedia devices mounted in a conventional vehicle are installed at a driver operation center so as to be easily operated by a driver's seat, the need for operating the multimedia device or changing the operating state while driving the vehicle is required. In this case, the driver must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device regardless of the driving conditions such as the road condition of the driving road or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obtain a vision while driving, which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a vehicle accident.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주행 차량의 다양한 주행 환경과, 차량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기기의 운전자 조작 빈도를 각각 감안하여 주행중 위험도를 판단하고, 위험도에 따라 경고 및 멀티미디어 기기의 조작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determines the risk of driving in consideration of various driving environments of the driving vehicle and the frequency of driver operation of the multimedia apparatus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according to the risk, warning and multimedia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 driving environment of a vehicle, which can limit the operation of the device.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는,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되는 주행 특성의 정보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주행 특성의 정보에 근거하여 주행 환경을 판단하고, 차량내 설치된 멀티미디어 기기의 운전자 조작 정도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주행 환경과 기기의 운전자 조작 정도를 종합적으로 진단한 결과치에 따라 차량의 위험도를 산출하여, 위험도에 대응하는 경고 메시지 출력 및 멀티미디어 기기의 조작 제한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 제어 유니트 및, 운전자의 기기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기기 조작 이벤트를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에 제공하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의 위험도 진단 결과에 따른 기기 조작 제한 제어를 받아서 운전자의 기기 조작을 제한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 driving environment of a vehicle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detecting information of a driving characteristic generated while the vehicle is driven, and information on the driving characteristic detected from the at least one sensor. The driving environment is judged on the basis of the driving conditions, the driver operation degree of the multimedia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is determined, and the risk of the vehicl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rehensive diagnosis of the determined driving environment and the driver operation degree of the device. An electronic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warning message and controlling operation limitation of a multimedia device, and providing a device operation event generated according to a driver's device operation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the device according to a risk diagnosis result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The operator's equipment can be adjusted Limiting the features that it comprises a multimedia device.

본 발명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는 조향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조향 센서와, 자이로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자이로 센서, 차속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차속 센서, ABS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ABS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at least one sensor includes a steering sensor for generating a steering detection signal, a gyro sensor for generating a gyro detection signal, a vehicle speed sensor for generating a vehicle speed detection signal, and an ABS sensor for generating an ABS detection signal. It features.

또한,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주행 특성 정보를 각각 입력받아서, 각 센서의 감지 정보 별로 각기 다른 가중치를 가지고 차량의 주행 환경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주행 환경 판단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 무선 또는 유선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따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기기 조작 이벤트 정보를 입력받아서 운전자의 기기 조작 정도를 판단하는 멀티미디어 판단부, 상기 주행 환경 판단부의 주행 환경 판단 결과와, 상기 멀티미디어 판단부의 기기 조작 정도 판단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적인 진단 레벨을 부여하고, 그 진단 레벨에 따라 도출되는 위험도 레벨을 생성하는 진단부 및, 상기 진단부로부터 생성되는 위험도 레벨에 대응하여 경고 메시지 발생 및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강제적인 조작 제한 명령 신호를 발생하는 제한 명령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receives the driv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at least one sensor, respectively,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unit for comprehensively determ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having a different weight for each sensor information, the multimedia Multimedia determination unit connected to th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method, and receives the device operation ev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to determine the driver's device operation degree, the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of the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unit A diagnosis unit which gives a final diagnosis level by combining the result and the device operation degree judgment result of the multimedia determination unit, and generates a risk level derived according to the diagnosis level, and corresponding to the risk level generated from the diagnosis unit. Warning message and remind And a restriction command execution unit for generating a forced operation restriction command signal of the media device.

또, 상기 주행 환경 판단부는, 각기 다른 가중치가 적용된 각 센서의 감지 정보별로 점수를 환산하여, 환산된 점수에 따라 주행 환경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판단부는, 기기 조작 이벤트 정보의 발생 횟수와, 기기 조작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르게 설정된 설정 변수에 따라 점수를 환산하고, 환산된 점수에 따라 조작 결과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unit converts a score for each sensing information of each sensor to which different weights are applied, and determines a driving environment level according to the converted score, and the multimedia determination unit may include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device operation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evice operation ev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core is converted according to the set variable, and the operation result leve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verted score.

그리고, 상기 제한 명령 실행부는 위험도 레벨에 따른 경고 메시지를 차량의 별도 스피커 및 표시부를 통한 음성 출력 및 화면 출력이나,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오디오 출력부 및 비디오 출력부를 통한 음성 출력 및 화면 출력 중에서 어느 하나에 의해 메시지 출력 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imit command execution unit outputs a warning message according to a risk level to one of a voice output and a screen output through a separate speaker and a display unit of the vehicle, or a voice output and a screen output through an audio output unit and a video output unit of the multimedia apparatus. It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e message output method.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 상태에서 다양한 운행 정보를 감지하는 각종 센서로부터의 감지 정보를 종합적으로 취합하여 차량 주행 환경을 판단하고, 차량내 멀티미디어 기기의 운전자에 의한 조작 정도를 판단하여, 주행 위험도에 대한 점수를 환산함에 의해, 위험도 점수에 대응하는 경고 정보 제공 및 멀티미디어 기기의 강제적인 사용 제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운전자의 차량 운전중 멀티미디어 기기의 무분별한 조작을 미연에 차단하여 사고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sensing information from various sensors for detecting various driving information in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is collectively determined to determine the vehicle driving environment, and the degree of operation by the driver of the in-vehicle multimedia device is determined. By judging and converting the score for driving risk, it is possible to provide warn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isk score and to restrict the forced use of the multimedia device, thereby inadvertently operating the multimedia device while the driver is driving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by blocking them.

또한, 차량 주행 위험도의 환산과, 경고 정보 제공 및 멀티미디어 기기의 사용 제한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장치 기능을 차량 하드웨어의 대폭적인 개조 또는 교체없이도, 이미 존재하는 하드웨어 장치를 활용한 소프웨어적인 방식을 통한 운용이 가능함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를 차량에 구현하는데 필요한 비용 지출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devic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performs the function of converting a vehicle driving risk, providing warning information, and restricting use of a multimedia device, can be implemented using a software method that utilizes an existing hardware device without a significant modification or replacement of the vehicle hardware. By enabling the operation through,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st required to implement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에 대한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에서 위험도 레벨에 따른 경고 메시지의 표시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multimedia devi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driving environmen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 driving environmen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isplay state of a warning message according to a risk level in a multimedia devi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driving environmen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에 대한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multimedia devi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driving environmen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는, 조향 센서(10)와, 자이로 센서(12), 차속 센서(14), ABS 센서(16), 전자 제어 유니트(18), 메모리(20), 스피커(30), 표시부(32), 멀티미디어 기기(1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 driving environment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ring sensor 10, a gyro sensor 12, a vehicle speed sensor 14, an ABS sensor 16, and an electronic device. The control unit 18, the memory 20, the speaker 30, the display unit 32, and the multimedia apparatus 100 are included.

상기 조향 센서(10)는 차량의 주행중 조향 핸들의 운전자 조작 상태를 감지하고, 그에 다른 조향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The steering sensor 10 detects a driver manipulation state of the steering wheel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and generates another steering detection signal thereto.

본 발명에서 상기 조향 센서(10)로부터의 조향 감지 신호를 적용하는 것은, 차량의 운전 안정성 판단을 위한 주요 차량 특성 정보로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of the steering detection signal from the steering sensor 10 is to be utilized as main vehicl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driving stability of the vehicle.

상기 자이로 센서(12)는 자이로스코프(Gyloscope)의 형태로 구비되고서, 차량의 주행중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의 주행 각도 변환 상태 및 각도 변환 속도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자이로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The gyro sensor 12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gyroscope, and detects an up / down direction, a driving angle conversion state and an angle conversion speed in a left / right direction while driving the vehicle, and thus detects a gyro Generate a signal.

본 발명에서 상기 자이로 센서(12)로부터의 자이로 감지 신호를 적용하는 것은, 차량의 주행에 따른 차체의 흔들림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주요 차량 특성 정보로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of the gyro detection signal from the gyro sensor 12 is to be utilized as main vehicl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shaking of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상기 차속 센서(14)는 차량의 휠에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에 따른 차륜의 회전 속도 감지에 따른 차속 감지를 수행하고, 그에 따른 차속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The vehicle speed sensor 14 is mounted on the wheel of the vehicle to detect the vehicle spe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heel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and generates a vehicle speed detection signal accordingly.

본 발명에서 상기 차속 센서(14)로부터의 차속 감지 신호를 적용하는 것은, 차량의 주행 차속 변화 정도를 판단하는데 따른 운전 안정성 판단의 주요 차량 특성 정보로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of the vehicle speed detection signal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14 is to be utilized as main vehicl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driving stability determination in determining the degree of change in the traveling vehicle speed of the vehicle.

상기 ABS 센서(16)는 주행 차량의 차속 감소 및 신호 대기를 위한 정차 등과 같은 주행 제동시에 작동되는 ABS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ABS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The ABS sensor 16 detects a driving state of the ABS operated when driving braking such as a vehicle speed reduction of a traveling vehicle and a stop for waiting for a signal, and generates an ABS detection signal accordingly.

본 발명에서 상기 ABS 센서(16)로부터의 ABS 감지 신호를 적용하는 것은, 차량의 주행 노면 상태를 확인하는 주요 차량 특성 정보로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of the ABS detection signal from the ABS sensor 16 is to be utilized as main vehicl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driving road condition of the vehicl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주행 특성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로서, 조향 센서(10)와, 자이로 센서(12), 차속 센서(14), ABS 센서(16)를 예시적으로 적용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것으로서 현재 날씨를 감지하는 센서나, 주행 시간대를 감지하는 센서, 전방 시야의 확보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의 센서를 추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sensor 10, the gyro sensor 12, the vehicle speed sensor 14, and the ABS sensor 16 are exemplarily described as sensors for collecting driv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vehic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ensors of various functions may be additionally applied, such as a sensor for detecting the current weather, a sensor for detecting a driving time,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degree of visibility of the front view.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8)는 차량의 각종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감지 신호를 취합하여 차량의 주행 환경을 판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운전자 조작 정도를 판단함에 의해, 주행 환경의 판단 결과 및 기기의 조작 정도 판단 결과를 종합하여 운전 위험도의 점수를 환산하고, 그 환산된 운전 위험도의 점수에 따라 경고 정보 제공 및 해당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강제적인 사용 제한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8 collects the detection signals detected by various sensors of the vehicle to determine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and determine the driver operation degree of the multimedia device 100, thereby determ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and the device. The result of the operation degree determination of the sum of the driving risk score is converted, and according to the converted score of the driving risk to provide a warning information and control to enforce the use restriction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multimedia device 100.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8)는 상기 조향 센서(10)로부터의 조향 감지 신호와, 상기 자이로 센서(12)로부터의 자이로 감지 신호, 상기 차속 센서(14)로부터의 차속 감지 신호, 상기 ABS 센서(16)로부터의 ABS 감지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서, 각 센서의 감지 정보 별로 각기 다른 가중치를 가지고 주행 환경 판단 알고리즘에 따라 차량의 주행 환경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주행 환경 판단부(22)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0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에 따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00)로부터 제공되는 기기 조작 이벤트 정보를 입력받아서 운전자의 기기 조작 정도를 판단하는 멀티미디어 판단부(24), 상기 주행 환경 판단부(22)의 주행 환경 판단 결과와, 상기 멀티미디어 판단부(24)의 기기 조작 정도 판단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적인 진단 레벨을 부여하고, 그 진단 레벨에 따라 도출되는 위험도 레벨을 생성하는 진단부(26), 상기 진단부(26)로부터 생성되는 위험도 레벨에 대응하여 경고 메시지 발생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강제적인 조작 제한 명령 신호를 발생하는 제한 명령 실행부(28)를 포함한다.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8 includes a steering detection signal from the steering sensor 10, a gyro detection signal from the gyro sensor 12, a vehicle speed detection signal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14, and the ABS sensor 16. And a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unit 22 for receiving the ABS detection signals from the respective devices, and comprehensively determ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algorithm with different weights for each sensing information of each sensor. 100 is connected according to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method and receives a device operation ev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100 to determine a driver's device operation degree, and the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unit. The final diagnosis level is given by comb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result of (22) and the device operation degre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ultimedia determination unit 24. The diagnostic unit 26 generates a risk level derived according to the diagnostic level, a warning message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risk level generated from the diagnostic unit 26, or a command signal for restricting operation of the multimedia apparatus 100. It includes a limit instruction execution unit 28 for generating a.

여기서, 상기 주행 환경 판단부(22)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주행 환경 판단치는, 각기 다른 가중치가 적용된 각 센서의 감지 정보별 환산 결과 점수에 따라 결정되는 주행 환경 레벨(예컨대, 최소 0점에서 최대 10점)에 해당된다. Here, the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value comprehensively determined by the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unit 22 is a driving environment level (eg, at least 0 points and at most 10, which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version result score for each sensor information to which different weights are applied). Dot).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판단부(24)에서 판단하는 운전자의 기기 조작 정도는, 기기 조작 이벤트 정보의 발생 횟수와, 기기 조작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르게 설정된 설정 변수를 적용한 점수를 각각 환산한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조작 결과 레벨(예컨대, 최소 0점에서 최대 10점)에 해당한다. In addition, the degree of device operation of the driver determined by the multimedia determination unit 24 is based on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device operation event information and the result of applying a setting variable that i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evice operation event. Corresponds to the determined operation result level (eg, minimum 0 to maximum 10 points).

또한, 상기 진단부(26)는 상기 주행 환경 판단부(22)로부터의 주행 환경 레벨과, 상기 멀티미디어 판단부(24)로부터의 조작 결과 레벨을 종합적으로 진단하여 자체적인 진단 레벨을 부여하고, 그 진단 레벨의 레벨 상태에 따라 구분적인 위험도 결정 근거로서, 경(Thin) 위험도, 중(Medium) 위험도, 고(Heavy) 위험도의 위험도 레벨을 도출한다. In addition, the diagnosis unit 26 comprehensively diagnoses the driving environment level from the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unit 22 and the operation result level from the multimedia determination unit 24 to give its own diagnosis level. Based on the level of diagnosis level, the risk level of light risk, medium risk and heavy risk is derived.

상기 메모리(20)는 주행 환경 판단을 위한 가중치 정보 및 각 가중치별 점수 산정 기준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멀티미디어 기기의 운전자 사용 정도 판단을 위한 이벤트 종류에 따른 변수 정보 및 각 이벤트별 점수 산정 기준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진단 레벨에 따라 구분되는 위험도 레벨별 경고 메시지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The memory 20 stores weight information for determining a driving environment and score calculation reference information for each weight, and variable information according to event types for determining driver usage of a multimedia device and score calculation reference information for each event are stored. The warning message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for each risk level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agnostic level are stored.

상기 스피커(30)는 상기 제한 명령 실행부(28)로부터 제공되는 경고 메시지의 음성 출력을 수행하고, 상기 표시부(32)는 상기 제한 명령 실행부(28)로부터 제공되는 경고 메시지의 표시 정보를 화면 출력한다. The speaker 30 performs voice output of the warning message provided from the restriction command execution unit 28, and the display unit 32 displays the display information of the warning message provided from the restriction command execution unit 28. Output

여기서, 상기 제한 명령 실행부(28)는 각 위험도 레벨에 따른 경고 메시지를 상기 스피커(30) 및 표시부(3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상기 경고 메시지를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00)에 제공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기기(100)를 통해서 음성 출력 및 화면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the limit command execution unit 28 may output a warning message according to each risk level through the speaker 30 and the display unit 32, but provide the warning message to the multimedia apparatus 100. It is also possible to enable the audio output and screen output through the multimedia device 100.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기기 본체에 설치된 키입력부(102)와 리모컨(104)의 운전자 조작에 따른 기기 조작 이벤트를 처리하고, 해당 기기 조작 이벤트 정보를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8)의 멀티미디어 판단부(24)에 제공하며, 위험도 레벨의 도출 결과에 따라 상기 제한 명령 실행부(28)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명령 신호에 따라 기기의 운전자 조작을 제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The multimedia apparatus 100 processes a device operation event according to a driver operation of the key input unit 102 and the remote controller 104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device,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evice operation event information to the multimedia determination unit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8. And to control the driver's operation of the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command signal provided from the limit command execution unit 28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erivation of the risk level.

여기서,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멀티미디어 정보의 다양한 실행 기능에 필요한 다수의 키버튼을 갖추고서, 원하는 기능 실행을 위한 운전자의 키입력이 이루어지는 키입력부(102)와, 상기 키입력부(102)에 갖추어진 키버튼의 기능 중에서 중요 기능만을선별적으로 실행 할 수 있는 관련 키버튼을 갖추고서, 기능 실행을 위한 운전자의 키입력에 따른 무선 리모컨 신호를 발생하는 리모컨(104), 상기 키입력부(102)와 상기 리모컨(104)의 키입력에 따른 관련 멀티미디어 실행 기능을 수행 제어하고, 기능 실행에 따른 기기 조작 이벤트 정보를 정보 포트(108)를 통해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8)의 멀티미디어 판단부(24)에 제공하며, 외부 신호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8)로부터의 기기 조작 제한 명령에 따라 운전자에 의한 기기 조작 기능을 제한하는 멀티미디어 제어부(106),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8)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멀티미디어 제어부(106)로부터의 기기 조작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포트(108),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8)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한 명령 실행부(28)로부터의 기기 조작 제한 명령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멀티미디어 제어부(106)에 제공하는 외부신호 입력부(110), 멀티미디어 기능의 실행을 위한 관련 오디오 정보를 음성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112), 멀티미디어 기능의 실행을 위한 관련 비디오 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부(114)를 포함한다. Here, the multimedia apparatus 100 includes a plurality of key buttons necessary for various execution functions of the multimedia information, and is provided to the key input unit 102 and the key input unit 102 through which a driver's key input is performed for executing a desired function. Remote control 104, the key input unit 102 to generate a wireless remot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river's key input for executing the function, having a key button that can selectively execute only important functions from among the functions of the key button And the related multimedia execu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key input of the remote controller 104, and the device operation ev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execution through the information port 108. The multimedia determination unit 24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8 Device operation by the driver according to the device operation restriction command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8 inputted through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10. Multimedia control unit 106 for limiting capability, information port 108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8 in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to provide device operation event information from the multimedia control unit 106, and the electronic control.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10, which is connected to the unit 18 by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receives the device operation restriction command signal from the restriction command execution unit 28 and provides it to the multimedia control unit 106. And an audio output unit 112 for audio outputting relevant audio information for execution, and a video output unit 114 for outputting related video information for executing a multimedia function.

한편,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00)는 현재 차량에 장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로서, 오디오 재생 기기, DMB 방송 재생 기기, 네비게이션 기기 등이 모두 해당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ultimedia device 100 is a device that performs a multimedia function that can be mounted on the current vehicle, audio playback device, DMB broadcast playback device, navigation device, etc. are all applicable.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에 대한 동작을 도 2의 플로우차트와, 도 3a 내지 도 3c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multimedia apparatus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2 and the drawings of FIGS. 3A to 3C.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에서 위험도 레벨에 따른 경고 메시지의 표시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 driving environmen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A to 3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riving environmen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media devi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state of a warning message according to a risk level is shown.

먼저,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S10), 전자 제어 유니트(18)의 주행 환경 판단부(22)는 상기 조향 센서(10)와, 자이로 센서(12), 차속 센서(14), ABS 센서(16)가 각각 감지 동작을 수행한 결과에 따른 조향 감지 신호와, 자이로 감지 신호, 차속 감지 신호, ABS 감지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수집하는 과정을 진행한다(S11).First,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S10), the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unit 22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8 is the steering sensor 10, gyro sensor 12, vehicle speed sensor 14, ABS sensor In operation S11, the controller 16 receives a steering detection signal, a gyro detection signal, a vehicle speed detection signal, and an ABS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ensing operation, respectively (S11).

그 상태에서, 상기 주행 환경 판단부(22)는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된 가중치 정보 및 각 가중치별 점수 산정 기준 정보에 의거하여 각 센서의 감지 정보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하고, 부여된 가중치에 따라 점수를 환산하게 되고(S12), 상기 환산된 점수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주행 환경 레벨을 판단한다(S13).In this state, the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unit 22 weights the sensing information of each sensor based on the weight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0 and the score calculation reference information for each weight, and according to the assigned weight. The score is converted (S12), and the driving environment level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verted score result is determined (S13).

한편,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8)의 멀티미디어 판단부(24)는 해당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100)로부터 운전자의 기기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기기 조작 이벤트 정보를 입력받아 수집하게 되고(S14),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된 이벤트 종류에 따른 변수 정보 및 각 이벤트별 점수 산정 기준 정보에 의거하여 점수를 환산하게 되고(S15), 상기 환산된 점수에 따라 결정되는 조작 결과 레벨을 도출함에 의해 운전자의 기기 조작 상태를 판단한다(S16). Meanwhile, the multimedia determination unit 24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8 receives and collects device operation event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driver's device operation from the multimedia device 100 installed in the vehicle (S14). The score is converted based on the variab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vent type stored in the memory 20 and the score calculation reference information for each event (S15), and the driver is derived by deriving an operation result level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verted score. The apparatus operation state is determined (S16).

그 다음에,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18)의 진단부(26)는 상기 주행 환경 판단부(22)로부터의 주행 환경 레벨과, 상기 멀티미디어 판단부(24)로부터의 조작 결과 레벨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자체적인 진단 레벨을 부여하게 되는데(S17), 상기 진단 레벨이 위험 주행의 범위에 포함되는 레벨값을 갖는 지를 판단한다(S18).Then, the diagnosis unit 26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8 comprehensively diagnoses the driving environment level from the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unit 22 and the operation result level from the multimedia determination unit 24. The diagnostic level is assigned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0 (S17).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agnostic level has a level value included in the range of dangerous driving (S18).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진단부(26)는 현재 부여된 진단 레벨이 위험 주행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레벨값이라고 판단한다면, 별다른 정보 처리를 진행하지 않게 되지만, 상기 진단 레벨이 위험 주행의 범위에 포함되는 레벨값이라고 판단되면, 해당 위험 주행의 정도 즉, 위험도에 대응하는 진단 레벨의 실행 명령을 상기 제한 명령 실행부(28)에 출력한다(S19).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diagnosis unit 26 determines that the currently provided diagnosis level is a level value that is not included in the range of dangerous driving, no further inform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but the diagnosis level is included in the range of dangerous driving.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evel value is, the execution command of the diagnostic level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dangerous driving, that is, the risk level, is output to the limit instruction execution unit 28 (S19).

따라서, 상기 제한 명령 실행부(28)는 상기 진단부(26)로부터의 진단 레벨의 실행 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된 각 위험도 레벨별 경고 메시지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에 근거하여 경고 메시지가 스피커(30) 및 표시부(32)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오디오 출력부(112) 및 비디오 출력부(114)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거나,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00)에 기기 사용 제한을 위한 제어 명령 신호를 출력한다(S20). Therefore, the limit command execution unit 28 according to the execution command of the diagnostic level from the diagnosis unit 26, based on the warning message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for each risk level stored in the memory 20, the warning message Control to output the speaker 30 and the display unit 32 or the audio output unit 112 and the video output unit 114 of the multimedia apparatus 100 or limit the use of the device to the multimedia apparatus 100. The command signal is output (S20).

그에 따라, 상기 위험도 레벨이 경 위험도인 경우에,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운전중 기기 사용은 안전에 위험이 될 수 있습니다"와 같은 경고 메시지를 음성 및 화면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기기의 조작 제한을 위한 제어는 수행하지 않는다. Accordingly, in the case where the risk level is a mild risk, as shown in FIG. 3A, a warning message such as “use of the device while driving may be a safety hazard” may be outputted as voice and screen, Control to limit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is not performed.

또한, 상기 위험도 레벨이 중 위험도인 경우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안전 운전을 위해 핸드 리모컨 사용을 권장해 드립니다"와 같이 보다 적를적인 권고 사항의 내용이 포함된 경고 메시지를 음성 및 화면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기기의 조작 제한을 위한 제어는 수행하지 않는다. In addition, when the risk level is a medium risk, as shown in FIG. 3B, a warning message including a content of a lesser recommendation, for example, "We recommend using a hand remote control for safe driving," is voiced. And screen output, and control for restricting operation of the device is not performed.

하지만, 상기 위험도 레벨이 고 위험도인 경우에,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안전 운전을 위해 기기 본체의 전원 및 볼륨을 제외한 키버튼은 리모컨 키로만 동작합니다"와 같은 기기 조작 제한 사항의 내용을 통보하는 경고 메시지를 음성 및 화면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사용에 대한 조작 제한의 제어 명령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However, when the risk level is a high risk, as shown in FIG. 3C, for example, the key button except for the power and volume of the main body of the device operates only as a remote controller key for safe driving. A warning message for notifying the contents can be outputted as a voice and a screen, and a control command signal for limiting the operation of the multimedia apparatus 100 is generated.

이에,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00)의 멀티미디어 제어부(106)는 상기 키입력부(102)의 일부 키버튼 입력을 제외한 나머지 키버튼의 입력에 대한 기능 실행을 제한하고, 상기 리모컨(104)으로부터의 무선 리모컨 신호에만 반응하여 기능 실행을 제어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multimedia controller 106 of the multimedia apparatus 100 restricts the execution of functions for the input of the remaining key buttons except for the input of some key buttons of the key input unit 102, and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4. Only in response to the signal will the function execution be controll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조향 센서 12:자이로 센서
14:차속 센서 16:ABS 센서
18:전자 제어 유니트 20:메모리
22:주행 환경 판단부 24:멀티미디어 판단부
26:진단부 28:제한 명령 실행부
30:스피커 32:표시부
100:멀티미디어 기기
10: steering sensor 12: gyro sensor
14: Vehicle speed sensor 16: ABS sensor
18: Electronic control unit 20: Memory
22: driving environment judgment unit 24: multimedia determination unit
26: diagnosis unit 28: restriction command execution unit
30: speaker 32: display unit
100: Multimedia device

Claims (5)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되는 주행 특성의 정보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주행 특성의 정보에 근거하여 주행 환경을 판단하고, 차량내 설치된 멀티미디어 기기의 운전자 조작 정도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주행 환경과 기기의 운전자 조작 정도를 종합적으로 진단한 결과치에 따라 차량의 위험도를 산출하여, 위험도에 대응하는 경고 메시지 출력 및 멀티미디어 기기의 조작 제한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 제어 유니트; 및
운전자의 기기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기기 조작 이벤트를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에 제공하고,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의 위험도 진단 결과에 따른 기기 조작 제한 제어를 받아서 운전자의 기기 조작을 제한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
At least one sensor for detecting information of a driving characteristic generated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The driving environment is determined based on the driv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detected by the at least one sensor, the driver operation degree of the multimedia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is determined, and the driving environment and the driver operation degree of the device are comprehensively diagnosed. An electronic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 risk level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result value, outputting a warning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risk level, and controlling operation restriction of the multimedia apparatus; And
And a multimedia device that provides a device operation event generated according to a driver's device operation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nd receives a device operation restriction control according to a risk diagnosis result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to limit the driver's device operation. Multimedia devi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는 조향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조향 센서와, 자이로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자이로 센서, 차속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차속 센서, ABS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ABS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sensor includes a steering sensor for generating a steering detection signal, a gyro sensor for generating a gyro detection signal, a vehicle speed sensor for generating a vehicle speed detection signal, and an ABS sensor for generating an ABS detection signal. Multi-devic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니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주행 특성 정보를 각각 입력받아서, 각 센서의 감지 정보 별로 각기 다른 가중치를 가지고 차량의 주행 환경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주행 환경 판단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 무선 또는 유선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따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기기 조작 이벤트 정보를 입력받아서 운전자의 기기 조작 정도를 판단하는 멀티미디어 판단부,
상기 주행 환경 판단부의 주행 환경 판단 결과와, 상기 멀티미디어 판단부의 기기 조작 정도 판단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적인 진단 레벨을 부여하고, 그 진단 레벨에 따라 도출되는 위험도 레벨을 생성하는 진단부 및,
상기 진단부로부터 생성되는 위험도 레벨에 대응하여 경고 메시지 발생 및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강제적인 조작 제한 명령 신호를 발생하는 제한 명령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nic control unit receives the driv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detected by the at least one sensor, respectively,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unit for comprehensively determ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having a different weight for each sensor information,
A multimedia determination unit connected to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wireless and wired communication methods, and determining device operation degree of a driver by receiving device operation ev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A diagnosis unit configured to give a final diagnosis level by combining the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unit with a device operation degre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ultimedia determination unit, and to generate a risk level derived according to the diagnosis level;
And a limit command execu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warning message and generate a forced operation limit command signal of the multimedia device in response to the risk level generated from the diagnosis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환경 판단부는, 각기 다른 가중치가 적용된 각 센서의 감지 정보별로 점수를 환산하여, 환산된 점수에 따라 주행 환경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판단부는, 기기 조작 이벤트 정보의 발생 횟수와, 기기 조작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르게 설정된 설정 변수에 따라 점수를 환산하고, 환산된 점수에 따라 조작 결과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riving environment determination unit, by converting a score for each detection information of each sensor to which different weights are applied, determines the driving environment level according to the converted score,
The multimedia determining unit may convert the score according to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device operation event information and the setting variabl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evice operation event, and determine the operation result level according to the converted score. Multimedia devic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명령 실행부는 위험도 레벨에 따른 경고 메시지를 차량의 별도 스피커 및 표시부를 통한 음성 출력 및 화면 출력이나,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오디오 출력부 및 비디오 출력부를 통한 음성 출력 및 화면 출력 중에서 어느 하나에 의해 메시지 출력 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imit command execution unit may output a warning message according to a risk level by one of a voice output and a screen output through a separate speaker and a display unit of the vehicle, or a voice output and a screen output through an audio output unit and a video output unit of the multimedia apparatus. Multimedia devi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output method.

KR1020120081419A 2012-07-25 2012-07-25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media device with driving circumstances of vehicle KR201400147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19A KR20140014718A (en) 2012-07-25 2012-07-25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media device with driving circumstances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19A KR20140014718A (en) 2012-07-25 2012-07-25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media device with driving circumstances of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718A true KR20140014718A (en) 2014-02-06

Family

ID=50264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419A KR20140014718A (en) 2012-07-25 2012-07-25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media device with driving circumstances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4718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8145B2 (en) 2014-12-09 2017-06-27 Hyundai Motor Company Terminal,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854085B2 (en) 2015-08-21 2017-12-2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CN108216264A (en) * 2016-12-21 2018-06-29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For providing the device and method of vehicle drive information
CN110834640A (en) * 2018-08-10 2020-02-25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Safe driving reminding method, vehicle machine and vehicle
CN114521269A (en) * 2019-07-24 2022-05-20 C2A安全有限公司 Intrusion anomaly monitoring in a vehicle environmen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8145B2 (en) 2014-12-09 2017-06-27 Hyundai Motor Company Terminal,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854085B2 (en) 2015-08-21 2017-12-2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CN108216264A (en) * 2016-12-21 2018-06-29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For providing the device and method of vehicle drive information
CN108216264B (en) * 2016-12-21 2022-11-04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vehicl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vehicle
CN110834640A (en) * 2018-08-10 2020-02-25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Safe driving reminding method, vehicle machine and vehicle
CN110834640B (en) * 2018-08-10 2022-05-03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Safe driving reminding method, vehicle machine and vehicle
CN114521269A (en) * 2019-07-24 2022-05-20 C2A安全有限公司 Intrusion anomaly monitoring in a vehicle environ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2886B (en) On-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US7382240B2 (en) Warning device in a vehicle
US201503657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luding sound from an external environment into a vehicle audio system
EP2947423A1 (en) Navigation device, route guidance control method in navigation device, and program
US84578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safe operation of a vehicle based electronic device while the vehicle is in motion
WO2013121690A1 (en) Vehicle-use display control apparatus
KR20140014718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media device with driving circumstances of vehicle
JPH10122892A (en) Device and method for allowing fellow passenger to make access to on-vehicle navigator
JP6098419B2 (en) Traffic information guidance system, traffic information guidance device, traffic information guidan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14119408A1 (e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for vehicle
JP5501001B2 (en) Vehicle navigation device having a safe driving support function
JP4877650B2 (en) Car navigation system
WO2013121824A1 (en) Vehicle-us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WO2014006835A1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driving assistance program product
JP2012153329A (en) Vehicle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2008261703A (en) System for explaining functions of on-vehicle equipment
JP2009251814A (en) In-vehicle driving evaluation device and method of evaluating driving
WO2014020889A1 (en)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operation control program
JP2008070128A (en) Driving history recording device and program used for the same
WO2013145146A1 (en) Navigation device, navigation method and navigation program
JP5074714B2 (en) Car navigation system
KR102035314B1 (en) Vehicle infotain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1095993A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program
JP2008239051A (en) On-vehicle alarm device
KR20070091944A (en) Vehicles safety control system and the method to use navig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