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491A - Apparatus for Supporting Walking Trainee and Apparatus for Training Walk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upporting Walking Trainee and Apparatus for Training Walk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491A
KR20160063491A KR1020140166528A KR20140166528A KR20160063491A KR 20160063491 A KR20160063491 A KR 20160063491A KR 1020140166528 A KR1020140166528 A KR 1020140166528A KR 20140166528 A KR20140166528 A KR 20140166528A KR 20160063491 A KR20160063491 A KR 20160063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supporting
coupled
gait
train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5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6449B1 (en
Inventor
최진혁
김영환
한정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6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449B1/en
Publication of KR20160063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4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4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80W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upporting a walking trainee, comprising: a seat unit for supporting a pelvis unit of a walking trainee; a main body rotationally coupled to the seat unit; a connection unit for coupling one side to the main body to be movable and rotatable; and an upper body supporting unit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unit,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walking trainee to disperse the load of the walking trainee boarding on the seat unit, and adjusting a position through the connection unit.

Description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 훈련 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Walking Trainee and Apparatus for Training Walk Comprising the same}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nd a walking training apparatus including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보행 훈련을 하기 위한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walking training and a gait trai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있어서 보행은 일상 생활에서 가장 기초적이면서 필수적인 동작이다. 그러므로, 질병이나 사고로 인하여 신경 기능의 손상을 입거나 근육의 불균형 발달로 인하여 제대로 걷지 못하는 환자들에게 보행 훈련을 실시하는 것은, 그 환자가 일상 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첫번째 관문이 된다. 하지만, 척추에 손상을 입거나, 관절이 약해진 사람들의 경우 보행 훈련에 많은 제약이 존재한다. 즉, 몸을 움직일 때마다 척추나 관절에 극심한 통증이 발생되기 때문에 오랜 시간 보행 훈련을 지속하는 것이 힘든 것은 물론, 보행 훈련 중 넘어짐 등의 사고를 당함으로써 제2의 상해를 입게 될 가능성도 높다.Generally, for a person, walking is the most fundamental and necessary action in everyday life. Therefore, performing gait training for patients who suffer from neurological damage due to illness or accident or who can not walk properly due to muscle imbalance develops to become the first gateway to return to their daily lives. However, for people with spinal injuries or weak joints,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gait training. In other words, every time you move your body, it causes extreme pain in your spine or joints, so it is not only difficult to maintain long-time gait training, but also it is very likely that you will suffer a second injury by falling down during walking training.

이러한 보행 훈련 장치 중에는 오버헤드 하네스 타입(Overhead Harness Type)의 보행 훈련 장치가 있다. 오버헤드 하네스 타입의 보행 훈련 장치는 보행 훈련자의 체중이 하지에 집중되는 것을 분산시키기 위해 보행 훈련자의 상체를 보행 훈련자의 머리 위에서 견인하여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오버헤드 하네스 타입의 보행 훈련 장치는 보행 훈련자가 하네스(Harness) 체결용 조끼를 착용해야 하므로 착용에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조끼의 하부가 보행 훈련자의 가랑이 사이에 위치하므로 체중이 집중되어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는 보행 훈련자가 앉아서 보행 훈련을 수행하도록 착석식 형태로 개발되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Among these gait training apparatuses, there is a gait training apparatus of an overhead harness type. The overhead harness type gait training device is a device for tracing the upper body of the gait trainer on the head of the gait trainer so as to disperse the weight of the gait trainer to the lower extremity so as to perform gait training. However, since the overhead harness type gait training apparatus requires a long time to wear since the walking trainer must wear a harness tightening vest, the lower part of the vest is positioned between the crotch of the walking trainee,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pain. In order to improve this, the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been developed as a sitting type in which the gait trainer performs sitting and walking training, however,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종래 기술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는 보행 훈련자의 체중이 가랑이 사이 또는 골반부 등 일부에만 집중되므로, 보행 훈련자가 오랜 시간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는 보행 훈련자에 대한 회복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First, since the weight of the walking trainee is concentrated only in the crotch part or the pelvis part, the walking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that the walking trainee can not perform the long time walking training.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akes a long time to recover from the gait trainee.

둘째, 종래 기술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는 키, 몸무게 등 보행 훈련자의 체격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인 크기로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는 보행 훈련자의 체격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낙상(落傷)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Second, the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was manufactured in a uniform size without considering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gait trainer such as height and weight. Accordingly, the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not suitable for the physique of the walking trainee, thereby causing a safety accident such as a fall injury.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보행 훈련자의 체중이 일부에만 집중되는 것을 분산시킬 수 있는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 훈련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it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nd a gait training apparatus including the gait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capable of dispersing the weight of a gait trainer only in a part thereof.

본 발명은 다양한 보행 훈련자의 체격에 맞도록 구현됨으로써, 보행 훈련자에 대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 훈련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gait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nd a gait training apparatus including the gait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which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to a gait trainer by being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physique of various gait trainees.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는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부; 상기 시트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일측이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시트부에 탑승한 보행 훈련자의 하중이 분산되도록 상기 보행 훈련자의 상반신을 지지하며 상기 연결부를 통해 위치가 조절되는 상반신지지부를 포함한다.A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portion for supporting a pelvis of a walking trainee; A body in which the seat portion is rotatably engaged; A connecting portion to which one side of the body is movably and rotatably coupled; And an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walking trainer so that the load of the walking trainee aboard the seat portion is dispersed, and the position being adjusted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반신지지부는 상기 보행 훈련자의 체격에 따라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본체로부터 이격되는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gait trainer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that the upper body half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hysique of the walking trainee.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반신지지부는 상기 시트부가 위치한 하측에 반대되는 상측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보행 훈련자의 체격에 따라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pposite to the lower side where the seat portion is located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height is adjusted by rotating around the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hysique of the walking trainer .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는 보행 훈련자의 안전을 위해 상기 상반신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좌측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본체의 우측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핸들부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시트부가 위치한 하측에서 상기 상반신지지부가 위치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portion including a first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for safety of the walking trainee do.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reduced as the handle portion moves from the lower side where the seat portion is located to the upper side where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is located.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는 보행 훈련자의 발을 지지하고 이동시키기 위한 보행부, 상기 보행부가 결합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에 중력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지지부, 상기 제2지지부에 일측이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보행 훈련자를 지지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4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lking part for supporting and moving the foot of a walking trainee, a first support part for coupling the walking part, a second support part for coupling to the first support part in the gravity direction, And a gait trainer support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for supporting the gait trainer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do.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는 보행 훈련자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높이조절부에 설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height adjusting unit for measuring the weight of a walking traine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보행 훈련자의 체중이 일부에만 집중되는 것을 분산시키도록 구현됨으로써, 보행 훈련 시간을 증가시켜 보행 훈련자의 회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as to disperse the weight of the walking trainee only to a part of the body, thereby shortening the recovery period of the walking trainee by increasing the walking training time.

본 발명은 다양한 보행 훈련자의 체격에 맞도록 구현됨으로써, 보행 훈련 간에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보행 훈련자에 대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physique of various walking trainees,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caused between the walking exercises,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from occurring to the walking traine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에서 상반신지지부가 본체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에서 상반신지지부가 회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에서 핸들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에서 핸들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distance that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body in the walking trainer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rotation of the upper half body support portion in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handle portion in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front view for explaining a handle portion in a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에서 상반신지지부가 본체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에서 상반신지지부가 회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에서 핸들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에서 핸들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how the distance of the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from the body is adjusted in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handle portion of a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handle portion of a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handle portion in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보행 훈련자가 앉은 상태에서 보행 훈련을 수행하도록 구현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보행 훈련자의 체중을 분산시키도록 구현됨으로써, 보행 훈련 시간을 증가시켜 보행할 수 있는 회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보행 훈련자의 체격에 맞도록 위치 조절이 가능하므로 보행 훈련자에 대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 훈련자에 대한 적합한 보행 훈련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erform walking training while the walking trainee is seated. In particular, since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as to disperse the weight of the walking traine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recovery time for walking by increasing the walking training time.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to match the physique of the walking traine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from occurring to the walking trainee, Environment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부(110), 상기 시트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120), 상기 본체에 일측이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130),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보행 훈련자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상반신지지부(140)를 포함한다.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 portion 110 for supporting a pelvis of a walking trainee, a main body 120 to which the seat portion is rotatably engaged, And an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140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walking trainee.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시트부(110)에 탑승한 보행 훈련자의 체중이 분산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위치가 조절된다. 예컨대,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보행 훈련자의 흉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시트부(110)에 집중되는 체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본체(1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본체(120)와 이격된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본체(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부(13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의 상반신을 지지할 수 있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140 functions to disperse the weight of the walking trainee on the seat portion 110 and is adjusted in position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130. For example,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140 may disperse the body weight concentrated on the seat portion 110 by supporting the chest of the walking trainee. The upper body half portion 14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120 through a connection portion 130 mov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20. The height of the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140 can be adjusted by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walking trainer by rotating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portion 130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12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operational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상기 상반신지지부(140)가 보행 훈련자의 상반신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시트부(110)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상기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가 부담하는 하중을 감소시킴으로써, 보행 훈련 시간을 증가시켜 보행할 수 있는 회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First, in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ody half portion 140 supports the upper body of the walking trainee, so that the load concentrated on the seat portion 110 can be dispersed. Accordingly,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load imposed on the pelvis of the walking trainee, thereby shortening the recovery time for walking by increasing the walking training time.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상기 상반신지지부(140)가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본체(120)로부터 이격된 이격 거리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현됨으로써, 보행 훈련자의 체격에 맞도록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보행 훈련자가 편안하고 안전하게 보행 훈련할 수 있으므로 낙상(落傷)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and the height of the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140 can be adjust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120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130, Position can be adjusted to match the physique. Accordingly,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fall because the walking trainee can walk comfortably and securely.

이하에서는 상기 시트부(110), 상기 본체(120), 상기 연결부(130), 및 상기 상반신지지부(140)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eat portion 110, the main body 120, the connection portion 130, and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1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시트부(110)는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를 지지한다. 상기 시트부(110)는 상기 본체(120)에 결합되고, 보행 훈련자가 상기 시트부(110)에 탑승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시트부(110)는 자전거나 오토바이의 안장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원형이나 타원형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시트부(110)는 상기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가 서서 보행 훈련을 수행할 경우에 비해 상기 보행 훈련자의 하반신이 부담하는 하중을 완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트부(110)는 편마비가 발생한 보행 훈련자뿐만 아니라, 뇌나 신경 손상으로 보행이 자유롭지 못한 보행 훈련자들처럼 자신의 체중을 전부 지지할 수 없는 보행 훈련자들이 지지해야 하는 체중을 완화함으로써 보행 훈련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110)는 상기 본체(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행 훈련자는 골반부가 상기 시트부(110)에 접촉된 상태에서도 상기 시트부(110)가 좌우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시트부(110)가 고정되었을 경우에 비해 골반부의 움직임을 더 자연스럽게 하여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eat portion 110 supports the pelvis of a walking trainee. The seat portion 11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20, and a walking trainee can ride on the seat portion 110 to support the pelvis of the walking trainee. The seat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as a saddle of a bicycle or a motorcyc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such as a circular shape or an elliptical shape in a form capable of supporting the pelvis of the walking trainee. By supporting the pelvis of the walking trainee, the seat portion 110 can alleviate the load imposed on the lower body of the walking traine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walking trainee performs the standing and walking training. Accordingly, the seat portion 110 alleviates the weight of the walking trainee who can not fully support his / her weight, such as the walking trainee who is not free to walk because of brain or nerve damage, Training can be easily performed. The seat portion 1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20. Accordingly, the walking trainer rotates the seat portion 110 left and right even when the pelvis is in contact with the seat portion 110, so that the movement of the pelvis is more natural than the case where the seat portion 110 is fixed So that walking training can be performed.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본체(120)는 상기 보행 훈련자들이 앉은 상태에서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형태가 'L'자로 형성된다. 상기 시트부(110)는 상기 본체(120)에서 중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행 훈련자는 상기 시트부(110)에 골반부가 접촉됨으로써, 탈부하 상태에서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본체(120)에서 시트부(110)가 결합된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는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상반신지지부(14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120)는 상기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 및 상기 보행 훈련자의 상반신을 지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main body 120 is formed in an 'L' shape so that the gait trainees can perform gait training while they are seated. The seat portion 110 may be coupled to a position formed in the body 1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avity direction. Accordingly, the gait trainer can perform the gait training in the unloaded state by contacting the pelvis with the seat portion 110. The upper body supporting part 140 may be coupled to the body part 120 at a position higher than a position where the seat part 110 is coupled. Accordingly, the main body 120 can support the pelvis of the walking trainee and the upper body of the walking trainee.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본체(120)에 일측이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130)의 타측에는 상기 상반신지지부(140)가 결합된다.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시트부(110)가 위치한 하측과 반대되는 상측이 상기 연결부(130)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본체(120)를 관통하여 일측에는 너트 혹은 볼트 머리가 위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상반신지지부(14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는 볼트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본체(120)와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를 연결하고 상기 본체(120)로부터 이동 및 회전 가능한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시트부(110)와 평행하도록 중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본체(120)에 결합될 수 있다.2 and 3, the connection unit 13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20 such that one side thereof is movable and rotatable. The upper body half portion 14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130.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140 opposite to the lower side where the seat portion 110 is located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30. The connection unit 130 may include a nut or a bolt head through one side of the main body 120 and the upper side support unit 140 on the other side. The connection part 130 may be formed of a bol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nection part 130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as long as the body 120 and the upper body support part 1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ave. The connection part 13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avity direction so as to be parallel to the seat part 110.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연결부(130)가 이동 및 회전함에 따라 함께 이동 및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결부(130)가 상기 본체(120)로부터 상기 시트부(11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본체(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시트부(110)와 상기 상반신지지부(140)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어린이 혹은 여성 등 체격이 작은 보행 훈련자가 보행 훈련하기에 적합한 위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결부(130)가 상기 본체(120)로부터 상기 시트부(110)가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본체(12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시트부(110)와 상기 상반신지지부(140)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남성과 같이 체격이 큰 보행 훈련자가 보행 훈련하기에 적합한 위치가 될 수 있다.The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140 can move and rotate together as the connection portion 130 moves and rotates. For example, when the connection part 130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at part 110 is positioned from the main body 120, the upper body support part 140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120. In this cas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seat portion 110 and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140 is short, a walking trainee with a small physique such as a child or a woman can be a position suitable for gait training. For example, when the connection part 130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at part 110 is positioned from the main body 120, the upper body supporting part 140 moves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main body 120 . In this cas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seat portion 110 and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140 is increased, a walking trainer having a large body like a man can be a position suitable for gait training.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보행 훈련자의 상반신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본체(120)의 전체적인 'L'자 형태에서 'l'부분에 결합된다.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연결부(130)를 통해 상기 본체(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보행 훈련자의 상반신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시트부(110)가 지지하는 보행 훈련자의 체중을 분산시킨다. 예컨대,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보행 훈련자가 상기 시트부(110)에 앉은 상태에서 상반신을 상기 본체(12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기울일 경우, 상기 보행 훈련자의 흉부 또는 배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시트부(110)가 지지하는 체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에만 체중이 집중될 경우 보행 훈련자의 하반신이 저리거나 마비되는 등 오랜 시간 보행 훈련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보행 훈련자의 보행 훈련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보행 가능한 상태로의 회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3 and 4,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140 supports the upper body of the walking trainee. To this end, the upper body support 140 is coupled to the 'l' portion of the body 120 in its entire 'L' shape. The upper body support part 14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20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30. The upper body support part 140 supports the upper body of the walking trainee to disperse the weight of the walking trainee supported by the seat part 110. [ For example, when the upper body is til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ain body 120 is positioned while the gait trainee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110,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140 supports the thorax or the abdomen of the gait trainee, The body weight supported by the body 110 can be dispersed. Accordingly,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walking trainee from being unable to perform the walking training for a long time such as lowering or paralysis of the lower body of the walking trainer when the weight is concentrated only on the pelvis of the walking trainee. Therefore,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rten the recovery period to a state in which the user can walk, by increasing the walking training time of the walking trainee.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높이가 조절된다.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연결부(130)가 제1방향(R1, 도 4에 도시됨)으로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의 상반신을 지지하는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하기 전인 제1위치에 위치될 경우 높이가 낮아진다. 이 경우, 상기 시트부(110)와 상기 상반신지지부(140)의 거리가 가까워지므로 어린이 또는 여성과 같이 키가 작아 상반신의 높이가 낮은 보행 훈련자가 보행 훈련하기에 적합한 위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는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한 후인 제2위치에 위치될 경우 높이가 높아진다. 이 경우, 상기 시트부(110)와 상기 상반신지지부(140)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남성과 같이 키가 커서 상반신의 높이가 높은 보행 훈련자가 보행 훈련하기에 적합한 위치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상기 상반신지지부(140)가 보행 훈련자의 체격 또는 키에 맞도록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현됨으로써, 보행 훈련 간에 불편함 없이 자유롭게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140 is adjusted. The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140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portion 130 as it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R1 (shown in FIG. 4) so that the height of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walking trainee can be increased. For example, when the upper body support 140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before rotation in the first direction, the height is lowered. In this cas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seat portion 110 and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140 is short, a low-height gait trainer such as a child or a woman can be a suitable position for gait training. For example, when the upper body half 140 is positioned at a second position after being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height increases. In this cas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seat portion 110 and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140 is long, a gait trainer having a height as high as that of a male can be a position suitable for gait training. Accordingly,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140 is adjusted so as to match the physique or the height of the walking trainee, thereby allowing the walking training to be performed freely without inconvenience between the walking exercises .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핸들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andle portion 150.

상기 핸들부(150)는 보행 훈련자의 안전을 위해 설치된다. 상기 핸들부(150)는 상기 본체(120)의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부(110)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핸들부(150)는 보행 훈련자가 보행 훈련을 시작하기 전에 손으로 잡고 앉을 수 있는 손잡이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보행 훈련 중에 팔을 걸쳐 보행 훈련자가 부담하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능도 가진다. 상기 핸들부(150)는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120)의 좌측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151) 및 상기 본체(120)의 우측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152)를 더 포함한다.The handle portion 150 is provided for the safety of a walking trainee. The handle portion 150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20 and protrudes toward the seat portion 110. The handle portion 150 not only has a knob function that allows the gait trainer to sit while holding the gait before starting the gait training, but also has the function of reducing the load burdened by the gait trainer during the gait training. The handle portion 150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151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main body 120 with respect to the upper side support portion 140 and a second support member 152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120 ).

상기 제1지지부재(151)는 전체적인 형태가 'ㄷ'자로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부재(151)는 파이프와 같은 관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보행 훈련자가 손으로 잡기 편하거나 팔을 걸치기 편한 형태이면 직방체 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151)는 보행 훈련자의 손이나 팔이 접촉하여도 잘 미끄러지지 않는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가 보행 훈련 간에 낙상하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ing member 151 is formed in a 'c' shape as a whole. The first support member 151 may be formed as a pi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support member 15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long as the walking trainee is easy to grip with his / her hand or easily walked with an arm. The first support member 151 is formed of a material which does not slide smoothly even when the hands or arms of the walking traine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the walking trainee from falling or falling down during the walking training.

상기 제2지지부재(152)도 상기 제1지지부재(151)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인 형태가 'ㄷ'자로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152)는 상기 상반신지지부(140)를 기준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151)와 대칭되게 상기 본체(120)의 우측에 결합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152)는 파이프와 같은 관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보행 훈련자가 손으로 잡기 편하거나 팔을 걸치기 편한 형태이면 직방체 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152)는 보행 훈련자의 손이나 팔이 접촉하여도 잘 미끄러지지 않는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가 보행 훈련 간에 낙상하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Like the first support member 151, the second support member 152 is formed in a 'c' shape as a whole. The second support member 152 is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120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member 151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support 140. The second support member 152 may be formed as a pi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support member 152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long as the gait trainer is easy to grasp by a hand or easily worn by an arm. The second support member 152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does not slip smoothly even when the hands or arms of the walking traine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the walking trainee from falling or falling down during the gait training.

상기 핸들부(150)는 상기 시트부(110)가 위치한 하측에서 상기 상반신지지부(140)가 위치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지지부재(151) 및 상기 제2지지부재(152)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게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핸들부(150)는 상측이 상기 보행 훈련자의 어깨 폭에 맞거나 더 좁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행 훈련자가 쉽게 상기 핸들부(150)에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는 보행 훈련 간에 상기 보행 훈련자가 낙상하거나 넘어지는 것을 더 방지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151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152 decreases as the handle portion 150 moves from the lower side where the seat portion 110 is located to the upper side where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140 is located, . In this case,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150 is formed to be narrower or narrower than the shoulder width of the walking traine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lking trainer from being easily deviated to the left or right, And can be supported by the handle portion 150. Accordingly,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prevent the walking trainee from falling or falling down during the walking training, thereby further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from occurr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gai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200)는 질병이나 사고로 인하여 신경 기능의 손상을 입거나 근육의 불균형 발달로 인하여 제대로 걷지 못하는 환자들이 보행 훈련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7, the gait train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erform gait training for patients who are injured by diseases or accidents and suffer nerve function or can not walk properly due to unbalanced development of muscles.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200)는 보행 훈련자의 발을 지지하고 이동시키기 위한 보행부(210), 상기 보행부가 결합되는 제1지지부(220), 상기 제1지지부에 중력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지지부(230), 상기 제2지지부에 일측이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부(240)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를 포함한다.The walking and train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lking part 210 for supporting and moving a foot of a walking trainee, a first support part 220 coupled to the walking part, a second support part 220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art in the gravity direction, 2 supporting portion 230, a height adjusting portion 240 whose one side is adjustably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and a walking trainer supporting device 100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보행 훈련 장치(200)는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보행 훈련자의 체중을 일부 지지해줌으로써, 보행 훈련자가 부담하는 하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The gait train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artially alleviate the load imposed on the gait trainer by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gait trainer using the gait trainer support apparatus 100. [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보행부(210)는 보행 훈련자의 발을 지지한다. 상기 보행부(210)는 상기 보행 훈련자가 상기 보행부(210)에 탑승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보행부(210)는 편마비가 발생한 보행 훈련자나 노약자 등 쇠약한 보행 훈련자가 용이하게 올라설 수 있도록 낮은 위치에 위치된다. 상기 보행부(210)는 전체적으로 사각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들이 발을 올리고 안정적으로 중심을 잡고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보행부(210)는 상기 제1지지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보행부(210)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들이 보행에 필요한 근육들을 반복적으로 수축, 이완시킴으로써 보행 훈련자들이 근육을 강화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보행부(210)는 상기 보행 훈련자가 보행에 필요한 신체균형을 유지하려는 반사작용 등 뇌, 신경과 관련된 부분도 훈련되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수동적인 반복 행위를 통하여 보행 훈련자는 보행에 필요한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보행부(210)는 좌우가 상반되게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보행부(210)는 좌우가 동시에 앞뒤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행 훈련자는 양발이 각각 움직이거나 동시에 움직이는 등 다양한 상황에 맞는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walking unit 210 supports the feet of a walking trainee. The walking unit 210 can support the feet of the walking trainee by boarding the walking unit 210. The walking unit 210 is positioned at a low position such that a weak walking trainee such as a walking trainer or a senior citizen who has hemiplegia can easily ascend. The walking unit 210 is formed as a rectangular plate as a whole, so that the walking trainees can lift their feet and stably center the walking exercises. The walking unit 21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unit 220 and rotated. The gait section 210 rotates so that the gait trainees repeatedly contract and relax the muscles required for gait, thereby enhancing the muscles of the gait trainees. In addition, the gait unit 210 also functions to train a part related to the brain or nervous system, such as a reflection function, in which the gait trainer needs to maintain the body balance required for the gait. Through this passive repetition, the walking trainee can obtain the learning effect necessary for walking. Although not shown, the walking unit 210 can move back and forth in opposite directions. The walking unit 210 may be moved back and forth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 gait trainer can strengthen muscles suitable for various situations, for example, the two feet move or simultaneously move.

상기 제1지지부(220)에는 상기 보행부(210)가 결합된다. 상기 보행부(210)는 상기 제1지지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쳇바퀴 형태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220)는 상기 보행부(21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바닥에 지지된다. 상기 제1지지부(220)에는 상기 제2지지부(230), 상기 높이조절부(240) 및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도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220)는 상기 제2지지부(230), 상기 높이조절부(240) 및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도 지지할 수 있다.The walking unit 210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unit 220. The gait unit 21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unit 220 and may rotate in the form of a wheel. The first support part 220 is supported on the floor so that the gait part 210 can be stably rotate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30,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240, and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device 100 are also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220. 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part 220 can also support the second support part 230, the height adjuster 240, and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device 100.

상기 제2지지부(230)는 상기 제1지지부(220)에 중력 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2지지부(230)는 일측이 상기 제1지지부(220)에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보행부(2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제1지지부(220)에 결합된다. 상기 제2지지부(230)의 타측에는 상기 높이조절부(240) 및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보행 훈련자가 보행 훈련을 수행할 경우, 상반신을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에 안정적으로 지지시키면서 보행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230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220 in the gravity direction. The second support part 230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art 220 such that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part 23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upport part 220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part 230 is positioned apart from the walking part 210. The height adjuster 240 and the gait trainer supporting device 100 ar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part 230. Accordingly, when the gait trainer performs the gait training, the gait training can be performed while stably supporting the upper body to the gait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100. [

상기 높이조절부(240)는 전체적인 형태가 'ㄱ'자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보행 훈련자가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에 탑승해서 보행 훈련을 수행할 경우에도 양다리 및 무릎이 상기 높이조절부(240)에 충돌하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240)는 일측이 상기 제2지지부(230)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높이조절부(240)의 타측에는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가 결합된다. 상기 높이조절부(240)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실린더방식, 모터와 볼스크류 등을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모터와 랙기어와 피니언기어 등을 이용한 기어방식, 모터와 풀리와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방식, 코일과 영구자석 등을 이용한 리니어모터 등을 이용하여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높이조절부(240)는 상기 보행 훈련자의 키가 클 경우 상기 보행부(2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올라감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 및 상반신이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높이조절부(240)는 상기 보행 훈련자의 키가 작을 경우 상기 보행부(2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내려감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 및 상반신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240)는 상기 제2지지부(230)에 고정될 수 있지만, 상기 보행 훈련자가 훈련하는 동안 승하강함으로써 상기 보행 훈련자의 보행 훈련을 도울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높이조절부(240)에는 보행 훈련자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에 상기 보행 훈련자가 탑승하면 상기 보행 훈련자가 부담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보행 훈련자가 부담하는 하중을 측정한 후 유선 또는 무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높이조절부(24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행 훈련자가 부담하는 하중 정보를 수신한 높이조절부(240)는 상기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100)의 승하강 위치와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The height adjuster 240 is formed in a shape of 'A' as a whole. Therefore, even when the gait trainer performs the gait training aboard the gait trainer support apparatus 100, both legs and knees can be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the height adjuster 240 and being injured. One end of the height adjuster 240 is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230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10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height adjusting unit 240. The height adjuster 240 may be a cylinder type using a hydraulic cylinder or a pneumatic cylinder, a ball screw type using a motor and a ball screw, a gear type using a motor, a rack gear and a pinion gear, a motor, a pulley, A belt motor, a belt motor, a linear motor using a coil and a permanent magnet, etc., can be used to move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device 100 up and down. For example, when the height of the gait trainer is large, the height adjuster 240 ascen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ait 210, so that the pelvis and upper body of the gait trainee are supported on the gait trainer support apparatus 100 . For example, when the height of the gait trainer is small, the height adjuster 240 can support the pelvis and the upper body of the gait trainer by going down toward the gait 210. The height adjuster 240 may be fixed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230, but the gait trainer may also assist the gait trainer by walking up and down during the training. To this end, the height adjuster 240 is provided with a sensor unit (not shown)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walking trainee. The sensor unit can measure the load imposed on the walking trainee when the walking trainee is loaded on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100. The sensor unit may measure a load to be borne by the walking trainee, and then transmit the weight to the height adjusting unit 240 using at least one of wire or wireless. Accordingly, the height adjuster 240, which receives the load information to be borne by the walking trainee, can adjust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position and time of the walking trainer supporting apparatus 100.

100 :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
110 : 시트부 120 : 본체
130 : 연결부 140 : 상반신지지부
150 : 핸들부 200 : 보행 훈련 장치
210 : 보행부 220 : 제1지지부
230 : 제2지지부 240 : 높이조절부
100: Walking trainer support device
110: seat portion 120: main body
130: connection part 140: upper body support part
150: Handle part 200: Walking training device
210: walking part 220: first supporting part
230: second support part 240: height adjustment part

Claims (6)

보행 훈련자의 골반부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부;
상기 시트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일측이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시트부에 탑승한 보행 훈련자의 하중이 분산되도록 상기 보행 훈련자의 상반신을 지지하며 상기 연결부를 통해 위치가 조절되는 상반신지지부를 포함하는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
A seat portion for supporting the pelvis of the walking trainee;
A body in which the seat portion is rotatably engaged;
A connecting portion to which one side of the body is movably and rotatably coupled; And
And an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walking trainer so that a load of a walking trainee on the seat portion is dispersed, the position being adjusted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반신지지부는 상기 보행 훈련자의 체격에 따라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본체로부터 이격되는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body half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hysique of the walking train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반신지지부는 상기 시트부가 위치한 하측에 반대되는 상측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보행 훈련자의 체격에 따라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suppor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at an upper side opposite to a lower side where the seat portion is located, and the height is adjusted by rotating around the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a physique of the walking trainee.
제1항에 있어서,
보행 훈련자의 안전을 위해 상기 상반신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좌측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본체의 우측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상기 시트부가 위치한 하측에서 상기 상반신지지부가 위치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andle portion including a first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for the safety of a walking trainee,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is reduced as the handle portion moves from the lower side where the seat portion is located to the upper side where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is located.
보행 훈련자의 발을 지지하고 이동시키기 위한 보행부;
상기 보행부가 결합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에 중력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지지부;
상기 제2지지부에 일측이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높이조절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보행 훈련자를 지지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4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행 훈련자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훈련 장치.
A walking part for supporting and moving the feet of the walking trainee;
A first support part coupled to the walking part;
A second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in the gravity direction;
A height adjuster having a height adjus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And
The gait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ich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height adjuster and supports the gait trainee.
제5항에 있어서,
보행 훈련자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높이조절부에 설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훈련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sensor unit mounted on the height adjusting unit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walking trainee.
KR1020140166528A 2014-11-26 2014-11-26 Apparatus for Supporting Walking Trainee and Apparatus for Training Walk Comprising the same KR1022964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528A KR102296449B1 (en) 2014-11-26 2014-11-26 Apparatus for Supporting Walking Trainee and Apparatus for Training Walk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528A KR102296449B1 (en) 2014-11-26 2014-11-26 Apparatus for Supporting Walking Trainee and Apparatus for Training Walk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491A true KR20160063491A (en) 2016-06-07
KR102296449B1 KR102296449B1 (en) 2021-09-07

Family

ID=56192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528A KR102296449B1 (en) 2014-11-26 2014-11-26 Apparatus for Supporting Walking Trainee and Apparatus for Training Walk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44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593A1 (en) * 2016-12-20 2018-06-28 큐렉소 주식회사 Gait training apparatus
KR102127011B1 (en) * 2019-02-11 2020-06-25 큐렉소 주식회사 Seating-type robot for gait trainer apparatus having improved approaching function
KR20220089921A (en) 2020-12-22 2022-06-29 광주과학기술원 A companion robot for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and gait train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2326B (en) * 2018-12-07 2022-03-23 Remedy Innovations Ltd A treadmill exercise apparatus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760A (en) * 2001-07-18 2002-01-31 박이순 physical treatment device for handicapped people
KR100391830B1 (en) * 2000-12-28 2003-07-12 대한민국 Welfare Robotic System for the Rehabilitation Training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for bipedal walking
KR20050041133A (en) 2003-10-30 2005-05-04 한국과학기술원 Walking training support robot with the distributed control of pneumatic actuator
KR20070036783A (en) * 2004-06-29 2007-04-03 리해빌리테이션 인스티튜트 오브 시카고 엔터프라이지즈 Walk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KR101093558B1 (en) * 2010-01-20 2011-12-13 김산 Whole body training device
US20120000496A1 (en) * 2010-07-02 2012-01-05 Eli Razon Sit down and stand up walker with seat assembly
KR20120042524A (en) 2010-10-25 2012-05-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Walking assisting device having user recognition function
KR101193404B1 (en) * 2012-04-05 2012-10-24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Chair with waist supporter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830B1 (en) * 2000-12-28 2003-07-12 대한민국 Welfare Robotic System for the Rehabilitation Training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for bipedal walking
KR20020008760A (en) * 2001-07-18 2002-01-31 박이순 physical treatment device for handicapped people
KR100459629B1 (en) * 2001-07-18 2004-12-03 박이순 physical treatment device for handicapped people
KR20050041133A (en) 2003-10-30 2005-05-04 한국과학기술원 Walking training support robot with the distributed control of pneumatic actuator
KR20070036783A (en) * 2004-06-29 2007-04-03 리해빌리테이션 인스티튜트 오브 시카고 엔터프라이지즈 Walking and balance exercise device
KR101093558B1 (en) * 2010-01-20 2011-12-13 김산 Whole body training device
US20120000496A1 (en) * 2010-07-02 2012-01-05 Eli Razon Sit down and stand up walker with seat assembly
KR20120042524A (en) 2010-10-25 2012-05-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Walking assisting device having user recognition function
KR101193404B1 (en) * 2012-04-05 2012-10-24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Chair with waist suppor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593A1 (en) * 2016-12-20 2018-06-28 큐렉소 주식회사 Gait training apparatus
KR102127011B1 (en) * 2019-02-11 2020-06-25 큐렉소 주식회사 Seating-type robot for gait trainer apparatus having improved approaching function
US11351082B2 (en) 2019-02-11 2022-06-07 Curexo, Inc. Seating-type gait rehabilitation robot improved in entry characteristics
KR20220089921A (en) 2020-12-22 2022-06-29 광주과학기술원 A companion robot for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and gait train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449B1 (en)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7163B2 (en) Leg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CN202355552U (en) Walk exercising rehabilitation device for cerebral palsy patients
US10894182B2 (en) Walking training apparatus
Baek et al. The effects of horse riding simulation training on stroke patients’ balance ability and abdominal muscle thickness changes
KR20160063491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Walking Trainee and Apparatus for Training Walk Comprising the same
KR101600858B1 (en) Muscle strengthening and rehabilitation of the upper limbs exercise device
US10363449B2 (en) Exercise devices and systems
US20180000682A1 (en) Physical therapy and walker apparatus
CN204246753U (en) A kind of abdominal muscle exercises device
JP2013116146A (en) Walker with arm swinging function
KR102022567B1 (en) Weight training device for disabled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US9808669B2 (en) Device for training abductors and/or adductors of the hip joint
KR102104262B1 (en) Riding Type Apparatus for Training Walk
CN214436235U (en) Suspension device for suspension therapy for child rehabilitation nursing
CN103949036A (en) Abdominal muscle exercise device
US20130226046A1 (en) J Walker Rehabilitation "Learn To Walk Again" System
CN203458748U (en) Exerciser for lumbo-abdominal strength
KR101527593B1 (en) Pre-gait training apparatus
KR101419187B1 (en) Arm exercising apparatus for rotator cuff
CN206285418U (en) A kind of health and fitness facilities for alleviating lumbar fatigue
KR20160095886A (en) Assistant harness for dispersion of weight installed Rehabilitation robot for walking
KR20200142921A (en) Walking Training Apparatus
WO2018117593A1 (en) Gait training apparatus
SU1326292A1 (en) Apparatus for training
US20100311554A1 (en) Upper torso exercis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