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127A - Method for controlling car black box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car black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127A
KR20150114127A KR1020140038086A KR20140038086A KR20150114127A KR 20150114127 A KR20150114127 A KR 20150114127A KR 1020140038086 A KR1020140038086 A KR 1020140038086A KR 20140038086 A KR20140038086 A KR 20140038086A KR 20150114127 A KR20150114127 A KR 20150114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unit
mode
black box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0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4529B1 (en
Inventor
민정동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8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529B1/en
Publication of KR20150114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1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5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7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vehicle security, e.g. parked vehicle surveillance, burglar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 black box for a vehicle.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black box comprises: a step of switching the black box over to a parking mode by a control unit; a step of changing each operation set of a camera unit and the control unit on the parking mode and switching the black box over to a standby mode by a control unit; a step of storing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in a temporary memory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operation set by the control unit; a step of waking up the control unit in the standby mode when an impact is detected by the black box; and a step of switching the black box over to a drive mode by the awakened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black box,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black box on the parking mode is directly stored in a direct memory access (DMA),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Description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CAR BLACK BOX}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black box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블랙박스의 주차모드 시 소모 전력을 절감하여 차량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black box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method of a black box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reduce a consumed electric power in a parking mode of a black box for a vehicle, will be.

일반적으로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주행 중 사고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사고가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하기 위하여 차량 주행 중 전방 및 주변 영상을 촬영 저장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를 상시녹화 모드(또는 주차모드)로 설정하여 주차 상태에서 발생되는 차량의 소손을 감시하기 위한 용도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Generally, a vehicle black box is a device for shooting and storing front and surround images during driving to determine how an accident occurred when an accident occurs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In recent years, however, the black box for vehicles has been set to a normal recording mode (or a parking mode), and is used for monitoring burn-out of a vehicle generated in a parking state.

상기와 같이 차량용 블랙박스를 상시녹화 모드(또는 주차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차량용 배터리를 전원소스로 사용하여야 한다. In order to operate the vehicle black box in the normal recording mode (or the parking mode), the vehicle battery should be used as a power source.

따라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용량과 상태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통상적으로 상기 블랙박스를 상시녹화 모드로 동작시킬 경우, 상기 차량용 배터리는 수 시간에서 수십 시간 이내에 완전 방전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refore, when the black box is operated in the normal recording mo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hicle battery is completely discharged within several hours to several tens of hours, though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capacity and the state of the vehicle battery.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 블랙박스의 상시 동작으로 인한 차량용 배터리의 완전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블랙박스용 보조배터리가 출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 보조배터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추가비용이 발생하며 차량 내부에 충분한 설치 공간의 여유가 없기 때문에 차량 내부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the full discharge of the vehicle battery due to the normal operation of the black box, an auxiliary battery for a black box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However, additional cost is incurred in using the auxiliary battery, and there is no room in the vehicle for a sufficient installation space, and therefore,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s complicated.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87735호(2011.08.03.공개, 차량 블랙박스 시스템의 배터리 저전원 보호장치 및 그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87735 (published on Mar. 23, 2011, Vehicle Black Box System Battery Low Power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주차모드 시 촬영된 영상을 인코딩하지 않고 로(RAW) 데이터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소모 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black box which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storing images photographed in a parking mode of a vehicle black box device in a RAW data format, And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the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주차모드 시 촬영된 영상을 직접 메모리 액세스(DMA : Direct Memory Access)를 통해 저장함으로써 소모 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black box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storing images photographed in a parking mode of a black box device for a vehicle through direct memory access (DMA) have.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주차모드 시 촬영된 영상을 해상도와 프레임수를 낮추어 저장함으로써 소모 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a black box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storing an image captured in a parking mode of a vehicle black box device at a reduced resolution and a lower frame numb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주차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주차모드에서 상기 제어부가 카메라부와 제어부 자체의 동작 설정을 변경하고 대기모드로 전환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변경된 설정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임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충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대기모드에서 웨이크 업(Wake-up) 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크 업(Wake-up)된 제어부가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주행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black box device for a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changing a black box device for a vehicle to a parking mode; Changing the operation setting of the camera unit and the control unit itself and switching to the standby mode in the parking mode; Storing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in the temporary memory according to the changed setting; Waking up the control unit in a standby mode when an impact is detected in the vehicle black box device; And changing the wake-up control unit to the driving mode of the vehicle black box devic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행모드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제어부 자체의 동작 설정을 본래대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변경된 설정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영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raveling mode, the control unit changes an operation setting of the camera unit and the control unit itself as it is; And storing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in the permanent memory according to the changed sett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차모드에서 상기 제어부가 카메라부와 제어부 자체의 동작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해상도와 프레임수를 하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changing the operation setting of the camera unit and the control unit itself in the parking mode,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resolution and the frame number of the camera unit downwar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어부 자체의 동작모드를 DMA(Direct Memory Access)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제어부의 코어부 대신 DMA부 또는 DMA제어기를 통해 임시 메모리를 직접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unit itself to a DMA (Direct Memory Access) mode, and directly accesses the temporary memory through a DMA unit or a DMA controller instead of the core unit of the control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MA부 또는 DMA제어기는,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지정된 일정시간 단위로 임시 메모리에 직접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MA unit or the DMA controller directly stores the video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into the temporary memory at a predetermined fixed time uni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DMA부 또는 DMA제어기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인코딩하지 않은 로(RAW) 데이터 형태로 상기 임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MA unit or the DMA controller stores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in the temporary memory in the form of RAW data that is not encod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웨이크 업(Wake-up) 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충격감지 센서를 통해 충격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충격신호 감지 시 인터럽트부에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웨이크 업(Wake-up)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waking up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senses an impact signal through the impact sensor, generates an interrupt signal in the interrupt unit when the impact signal is sensed, And is woken up by the us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차모드에서 상기 충격감지 센서의 충격감지 감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shock detection sensitivity of the impact detection sensor in the parking mod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행모드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제어부 자체의 동작 설정을 본래대로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모드에서 설정 변경되기 전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해상도와 프레임수를 상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changing the operation setting of the camera unit and the control unit itself, the control unit may change the resolution and the frame number of the camera unit before the setting change in the parking mode Up.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행모드에 설정된 동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영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모드로 변경되기 직전에 임시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영구 메모리에 옮겨 저장하고, 이후 상기 카메라부에서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영구 메모리에 연속해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storing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t in the traveling mode in the permanent memory, the control unit may store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temporary memory immediately before changing to the traveling mode, And then stores the image data received by the camera unit in the permanent memory continuously.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주차모드 시 촬영된 영상을 인코딩하지 않고 로(RAW)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거나, 직접 메모리 액세스(DMA)를 통해 저장하거나, 또는 해상도와 프레임수를 낮추어 저장함으로써 소모 전력을 절감하여 차량 배터리의 사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ack-box device for a vehicle, which stores an image photographed in a parking mode without storing it in RAW data format, a direct memory access (DMA) So that the use time of the vehicle battery can be prolong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개략적인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lack box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chematic control operation of a black box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black box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vehicle black box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카메라부(110), 제어부(120), 충격감지 센서(130), 임시 메모리(140) 및 영구 메모리(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는 인코딩부(121), 디엠에이(DMA)부(122), 인터럽트부(123) 및 코어(Core)부(124)를 포함한다.1, a black box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n impact sensor 130, a temporary memory 140, and a permanent memory 150 ). The control unit 120 includes an encoding unit 121, a DMA (DMA) unit 122, an interrupt unit 123, and a core unit 124.

상기 카메라부(110)는 실시간으로 영상을 촬영하여 차량 주변의 영상데이터를 제공한다. The camera unit 110 captures an image in real time and provides image data around the vehicle.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카메라부(11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임시 메모리(140) 또는 영구 메모리(150)에 저장한다.The control unit 120 stores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110 in the temporary memory 140 or the permanent memory 150. [

상기 충격감지 센서(130)(또는 동작감지 센서)는 일종의 가속도 센서로 구성가능하며, 순간적인 충격속도에 기초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The impact sensor 130 (or motion sensor) may be a kind of acceleration sensor,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based on an instantaneous impact velocity.

상기 임시 메모리(140)는 램(RAM)과 같은 일종의 휘발성 메모리로서, 내장 메모리 타입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임시 메모리(140)는 휘발성 메모리이므로 전원 차단 등으로 하드 리셋이 수행될 경우에 저장하고 있던 모든 데이터를 소실하게 되는 반면 저 전력으로도 빠른 메모리 액세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temporary memory 140 is a kind of volatile memory such as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can be installed as an internal memory type. Since the temporary memory 140 is a volatile memory, all the data stored when the hard reset is performed due to the power-off or the like is lost, and the memory can be accessed quickly even at low power.

상기 영구 메모리(150)는 플래쉬 롬(Flash ROM)과 같은 일종의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내장 메모리 타입 또는 외장 메모리 타입(예 : MMC형, SD형, CF형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영구 메모리(150)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므로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한번 저장한 데이터가 소실되지 않지만, 상기 임시 메모리(14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메모리 액세스가 느리고 전력 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다. 상기 영구 메모리(150)에는 제어프로그램과 영상데이터가 저장된다.The permanent memory 150 is a kind of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flash ROM and can be installed in an internal memory type or an external memory type (for example, MMC type, SD type, CF type, etc.). Since the permanent memory 150 is a nonvolatile memor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memory access is relatively slow and power consumption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temporary memory 140 although data once stored is not lost even if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In the permanent memory 150, a control program and image data are stored.

상기 제어부(120)는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일종의 응용 프로세서(AP : Application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pparatus. The controller 120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processor (AP).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카메라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임시 메모리(140)에 임시로 저장하고,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임시 메모리(14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영구 메모리(150)에 옮겨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카메라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영구 메모리(150)에 연속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The control unit 120 temporarily stores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110 in the temporary memory 140 and the control unit 120 stores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temporary memory 140 in the permanent memory 140. [ (15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inuously store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110 in the permanent memory 150.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영구 메모리(150)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저장영역(예 : 임시 데이터 저장영역, 영구 데이터 저장영역 등)으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임시 데이터 저장영역에는 메모리의 용량 상태(예 : Full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삭제할 수 있는 영상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영구 데이터 저장영역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만 삭제할 수 있는 영상데이터(예 : 사고 영상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20 may divide the permanent memory 150 into at least two storage areas (for example, a temporary data storage area and a permanent data storage area). For example, in the temporary data storage area, image data that can be automatically deleted according to the capacity state (e.g., Full state) of the memory is stored. In the permanent data storage area, image data that can be manually deleted only by the user Accident video data) can be stored.

상기 제어부(120)는 적어도 두 가지 모드(예 : 주행모드, 주차모드)로 상기 영상데이터의 저장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행모드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은 차량이 시동된 상태에서 전력을 공급받기 때문에 소모 전력을 절감할 필요성이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주행모드에서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대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차모드에서 영상데이터(즉, 카메라 영상)를 저장하는 방법을 위주로 설명한다.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method of storing the image data in at least two modes (e.g., driving mode and parking mode). At this time, the method of storing image data in the traveling mode does not ne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ecause the vehicle is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when the vehicle is started.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method of storing image data in the traveling mode will be omitted. Instead, in this embodiment, a method of storing image data (i.e., a camera image) in the parking mode will be mainly described.

상기 제어부(120)는 주차모드 또는 주행모드로 진입할 때 상기 카메라부(110)의 옵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20)는 주차모드 진입 시 상기 카메라부(110)의 해상도와 프레임수를 하향 조정할 수 있고, 주행모드 진입 시 상기 카메라부(110)의 해상도와 프레임수를 다시 상향 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may change the option setting of the camera unit 110 when entering the parking mode or the traveling mod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adjust the resolution and the frame number of the camera unit 110 when entering the parking mode, and may upwardly adjust the resolution and the frame number of the camera unit 110 when entering the driving mode.

상기 인코딩부(121)는, 상기 코어부(124)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1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지정된 영상포맷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The encoding unit 121 may encode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110 into a designated image format under the control of the core unit 124.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부(124)는 주차모드 진입 시 상기 카메라부(11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의 인코딩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코어부(124)는 주차모드 진입 시 상기 인코딩부(121)에서 인코딩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re unit 124 may restrict the encoding of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110 when the parking mode is entered. That is, the core unit 124 may control the encoding unit 121 not to perform encoding when entering the parking mode.

상기 코어부(124)는 주차모드 진입 시 대기모드(Stand-by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코어부(124)는 액티브모드(Active Mode)에서 대기모드(Stand-by Mode)로 전환 시 디엠에이(DMA)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코어부(124) 대신에 상기 DMA부(122)(또는 DMA제어기)를 통해 직접 메모리 액세스(Direct Memory Access)를 수행하는 것이다.The core unit 124 may switch to a stand-by mode when entering the parking mode. The core unit 124 may set a DMA when switching from an active mode to a stand-by mode. That is, in the standby mode, direct memory access is performed in place of the core unit 124 through the DMA unit 122 (or the DMA controller).

참고로, 상기 DMA(Direct Memory Access)는 직접 메모리 접근의 의미로서, 주변기기가 CPU(Control Processing Unit)를 거치지 않고 바로 메모리에 접근해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이다. For reference, the direct memory access (DMA) refers to a direct memory access, in which a peripheral accesses the memory and processes data without going through a CPU (Control Processing Unit).

상기 제어부(120)는 주차모드 진입 시 지정된 일정시간(예 : 15초) 단위로 상기 영상데이터를 인코딩하지 않고 로(RAW) 데이터 형태로 직접 임시 메모리(140)에 저장함으로써 소모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saves the image data in the RAW data format directly in the temporary memory 140 instead of encoding the image data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15 seconds) have.

상기 제어부(120)(또는 코어부)는 동작모드(예 : 주행모드, 주차모드)에 따라 상기 충격감지 센서(130)의 충격감지 감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즉, 더 민감하게 조정하거나 덜 민감하게 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20 (or the core unit) may adjust the shock detection sensitivity of the impact sensor 130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e.g., a driving mode or a parking mode). That is, it can be adjusted more sensitively or less sensitively.

예컨대 상기 충격감지 센서(130)의 감도가 민감할 경우 사고 감지 횟수가 증가하게 되고, 사고 영상데이터를 더 자주 영구 메모리(150)에 저장해야 되므로 결국 소모 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주차모드에서는 소모 전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상기 충격감지 센서(130)의 감도를 덜 민감하게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충격감지 센서(130)의 감도를 오히려 더 민감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nsitivity of the impact sensor 130 is sensitive, the number of times of detection of the accident is increased and the accident image data is stored in the permanent memory 150 more frequently. Therefore, in the parking mode,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sensitivity of the impact sensor 130 to be less sensitive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However,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user, the sensitivity of the impact sensor 130 may be adjusted more sensitively.

상기 제어부(120)는 차량의 시동이 정지되면 주차모드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20)는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가 설정되면 주차모드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주차모드로 변경된 제어부(120)(또는 코어부)는 상기 충격감지 센서(130)를 통해 충격이 감지될 경우 다시 주행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may change the setting to the parking mode when the start of the vehicle is stopped.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20 may change to the parking mode when the parking brake of the vehicle is set. Also, the control unit 120 (or the core unit) changed to the parking mode may be changed to the driving mode again when an impact is detected through the impact detection sensor 130. [

상기 인터럽트부(123)는 상기 충격감지 센서(130)를 통해 충격이 감지되면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한 상기 코어부(124)는 대기모드(즉 주차모드)에서 깨어나 액티브모드(즉 주행모드)로 변경된다.The interrupt unit 123 outputs an interrupt signal when an impact is detected through the impact sensor 130. [ Upon receiving the interrupt signal, the core unit 124 awakes from an idle mode (i.e., a parking mode) and changes to an active mode (i.e., a driving mode).

상기 제어부(120)는 주차모드에서 주행모드로 진입 시, 상기 카메라부(110)의 해상도와 프레임수를 다시 상향 조정하고, 상기 주행모드 진입 바로 직전에 상기 임시 메모리(14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영구 메모리(150)에 옮겨 저장한다. 이후 일반적인 주행모드에서의 영상데이터 저장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110)에서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영구 메모리(150)에 연속해서 저장한다.The control unit 120 adjusts the resolution and the frame number of the camera unit 110 again when the vehicle enters the driving mode in the parking mode and displays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temporary memory 140 immediately before entering the driving mode And stores it in the permanent memory 150. Then, the image data received by the camera unit 110 is continuously stored in the permanent memory 150 using a method of storing image data in a general driving mod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vehicle black box apparatu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개략적인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schematic control operation of a black box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부(120)는 차량의 시동이 온(On)되면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주행모드로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20)는 주행모드에서의 일반적인 영상데이터 저장 방법을 이용하여 카메라 영상을 저장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력 절감의 필요성이 없는 주행모드에서의 영상데이터 저장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ontrol unit 120 of the black box device for a vehicle controls the black box device for a vehicle in a running mode when the vehicle is turned on. That is, the controller 120 stores the camera image using the general image data storing method in the traveling mode.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escription of a method of storing image data in a traveling mode in which there is no need for power saving is omitted.

한편 상기 주행하던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면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부(120)는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주차모드로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unning vehicle is turned off, the control unit 120 of the vehicle black box device controls the vehicle black box device to the parking mode.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20)는 차량의 주차가 검출될 경우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주차모드로 변경한다(S101).That is, as shown in FIG. 2, when the parking of the vehicle is detected, the controller 120 changes the black box device for the vehicle to the parking mode (S101).

여기서 상기 주차모드란,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상시녹화 모드로 동작시키는 모드이다.Here, the parking mode is a mode in which the vehicle black box device is operated in the normal recording mode using the battery power of the vehicle.

상기 제어부(120)는 주차모드 진입 시 상기 카메라부(110)와 상기 제어부(120) 자체의 동작(옵션) 설정을 변경한다(S102).The control unit 120 changes the operation (option) setting of the camera unit 110 and the control unit 120 itself when entering the parking mode (S102).

이 후 상기 제어부(120)는 대기모드(Stand-by Mode)로 전환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20 is switched to a stand-by mode.

그리고 상기 주차모드에 설정된 방법으로 카메라 영상(즉,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을 상기 임시 메모리(140)에 저장한다(S103).Then, the camera image (i.e.,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is stored in the temporary memory 140 by the method set in the parking mode (S103).

예컨대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카메라부(110)의 해상도와 프레임수를 하향 조정한다. 가령 상기 카메라부(110)의 해상도가 본래 HD(1920*1080)라고 가정하면 VGA(640*48) 또는 CGA(320*240) 등으로 하향 변경하고, 상기 프레임수가 본래 30FPS(Frame Per Sec)라고 가정하면 24FPS, 20FPS 등으로 하향 변경한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adjusts the resolution and the frame number of the camera unit 110 downward.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resolution of the camera unit 110 is originally HD (1920 * 1080), it is changed to VGA (640 * 48) or CGA (320 * 240) and the number of frames is originally 30 frames per second If the assumption is made, change it down to 24FPS, 20FPS, and so on.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자체의 동작모드를 DMA모드로 변경한다. Also, the control unit 120 changes its operation mode to the DMA mode.

여기서 상기 DMA모드는 상기 코어부(124)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DMA부(또는 DMA제어기)(122)를 통해 메모리(임시 메모리)를 직접 액세스하는 모드이다. 상기 DMA모드에서는 상기 DMA부(또는 DMA제어기)(122)가 직접 상기 카메라부(11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지정된 일정시간 단위(예 : 15초)로 상기 임시 메모리(140)에 저장한다.The DMA mode is a mode for directly accessing a memory (temporary memory) through the DMA unit (or the DMA controller) 122 without using the core unit 124. In the DMA mode, the DMA unit (or the DMA controller) 122 directly stores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110 in the temporary memory 140 in a predetermined unit of time (for example, 15 seconds).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인코딩부(121)의 기능을 제한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0 restricts the function of the encoding unit 121.

이에 따라 상기 DMA부(또는 DMA제어기)(122)는 상기 카메라부(11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인코딩하지 않은 상태인 로(RAW) 데이터 형태로 직접 상기 임시 메모리(140)에 저장한다.Accordingly, the DMA unit (or the DMA controller) 122 directly stores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110 in the temporary memory 140 in the RAW data format that is not encoded.

따라서 상기와 같이 주차모드에서는 소모 전력이 최소화된다.Therefore, the consumption power is minimized in the parking mode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또는 코어부)는 충격을 감지한다(S104).The control unit 120 (or the core unit) senses an impact (S104).

만약 상기 제어부(120)가 충격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S104의 아니오) 상기 주차모드는 계속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120)가 충격을 감지할 경우(S104의 예) 상기 제어부(120)(또는 코어부)는 웨이크 업(Wake-up)된다(S105).If the control unit 120 does not detect an impact (NO in S104), the parking mode is maintained. However, when the controller 120 detects an impact (S104), the controller 120 (or the core unit) wakes up (S105).

예컨대 상기 인터럽트부(123)는 상기 충격감지 센서(130)를 통해 충격이 감지될 경우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또는 코어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웨이크 업(Wake-up)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interruption unit 123 generates an interrupt signal when an impact is detected through the impact detection sensor 130. The control unit 120 (or the core unit) is substantially woken up by the interrupt signal.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주차모드 진입 시 상기 충격감지 센서(130)의 충격감지 감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20 may adjust the shock detection sensitivity of the shock sensor 130 when entering the parking mode.

예컨대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충격감지 센서(130)의 충격감지 감도를 더 민감하게 조정하거나 덜 민감하게 조정함으로써 웨이크 업(Wake-up) 조건을 조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충격감지 센서(130)의 감도가 민감할 경우 자주 웨이크 업(Wake-up)될 수 있고, 상기 충격감지 센서(130)의 감도가 덜 민감할 경우 더 적게 웨이크 업(Wake-up)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adjust the wake-up condition by more sensitively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the shock sensor 130 or by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the shock sensor 130 less sensitively. If the sensitivity of the impact sensor 130 is sensitive, it can be frequently woken up. If the sensitivity of the impact sensor 130 is less sensitive, it is woken up less .

상기 제어부(120)(또는 코어부)가 웨이크 업(Wake-up)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주행모드로 변경한다(S106).When the control unit 120 (or the core unit) wakes up, the control unit 120 changes the driving black box device to the driving mode (S106).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는 주행모드 진입 시 상기 카메라부(110)와 상기 제어부(120) 자체의 동작(옵션) 설정을 본래대로 변경한다(S107). 즉, 상기 주차모드 진입 시 변경된 동작(옵션) 설정을 본래대로 변경한다. The controller 120 changes the operation (option) setting of the camera unit 110 and the controller 120 itself when the vehicle enters the driving mode (S107). That is, the setting of the changed operation (option) upon entering the parking mode is changed as it is.

예컨대 상기 카메라부(110)의 해상도와 프레임수를 다시 상향 조정한다.For example, the resolution and the frame number of the camera unit 110 are adjusted upward.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주행모드에 설정된 방법으로 카메라 영상(즉,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을 상기 영구 메모리(150)에 저장한다(S108).The control unit 120 stores the camera image (i.e.,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in the permanent memory 150 in a manner set in the traveling mode (S108).

예컨대 상기 주행모드 변경 바로 직전에 상기 임시 메모리(14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영구 메모리(150)에 옮겨 저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20)는 일반적인 주행모드에서의 영상데이터 저장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110)에서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영구 메모리(150)에 연속해서 저장한다.For example, image data stored in the temporary memory 140 is transferred to the permanent memory 150 immediately before the driving mode change. Then, the control unit 120 continuously stores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110 in the permanent memory 150 using a method of storing image data in a general driving mode.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 will understand the point.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10 : 카메라부 120 : 제어부
121 : 인코딩부 122 : DMA부
123 : 인터럽트부 124 : 코어부
130 : 충격감지 센서 140 : 임시 메모리
150 : 영구 메모리
110: camera unit 120:
121: encoding section 122: DMA section
123: interrupt unit 124: core unit
130: Shock sensor 140: Temporary memory
150: permanent memory

Claims (10)

제어부가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주차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주차모드에서 상기 제어부가 카메라부와 제어부 자체의 동작 설정을 변경하고 대기모드로 전환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변경된 설정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임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충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대기모드에서 웨이크 업(Wake-up) 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크 업(Wake-up)된 제어부가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주행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
Changing the vehicle black box device to the parking mode;
Changing the operation setting of the camera unit and the control unit itself and switching to the standby mode in the parking mode;
Storing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in the temporary memory according to the changed setting;
Waking up the control unit in a standby mode when an impact is detected in the vehicle black box device; And
And changing the wake-up control unit to the driving mode of the vehicle black box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모드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제어부 자체의 동작 설정을 본래대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변경된 설정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영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nging the operation settings of the camera unit and the control unit itself in the running mode; And
And storing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in the permanent memory according to the changed sett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모드에서 상기 제어부가 카메라부와 제어부 자체의 동작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해상도와 프레임수를 하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step of changing the operation setting of the camera unit and the control unit itself in the parking mode,
Wherein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resolution and the frame number of the camera unit to a lower leve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어부 자체의 동작모드를 DMA(Direct Memory Access)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제어부의 코어부 대신 DMA부 또는 DMA제어기를 통해 임시 메모리를 직접 액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
The apparatus of claim 3,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unit itself is changed to a DMA (Direct Memory Access) mode,
Wherein the temporary memory is directly accessed through a DMA unit or a DMA controller instead of the core unit of the control uni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DMA부 또는 DMA제어기는,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지정된 일정시간 단위로 임시 메모리에 직접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
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DMA unit or DMA controller comprises:
And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is directly stored in the temporary memory in a predetermined unit of tim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DMA부 또는 DMA제어기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인코딩하지 않은 로(RAW) 데이터 형태로 상기 임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
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DMA unit or DMA controller comprises:
And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is stored in the temporary memory in a RAW data format that is not enco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웨이크 업(Wake-up) 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충격감지 센서를 통해 충격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충격신호 감지 시 인터럽트부에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웨이크 업(Wake-up)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step of waking up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senses an impact signal through an impact sensor and generates an interrupt signal at an interrupt unit when the impact signal is sensed and is woken up by the interrupt signal. Control metho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차모드에서 상기 충격감지 센서의 충격감지 감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shock detection sensitivity of the shock detection sensor is adjusted in the parking mod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모드에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제어부 자체의 동작 설정을 본래대로 변경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모드에서 설정 변경되기 전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해상도와 프레임수를 상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in the driving mode,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operation settings of the camera unit and the control unit itself,
Wherein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resolution and the frame number of the camera unit before the setting change in the parking mod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모드에 설정된 동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를 영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모드로 변경되기 직전에 임시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영구 메모리에 옮겨 저장하고, 이후 상기 카메라부에서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영구 메모리에 연속해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제어 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in the step of storing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in the permanent memory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t in the traveling mode,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fers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temporary memory to the permanent memory immediately before changing to the driving mode and then stores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camera unit in the permanent memory continuously. A method of controlling a device.
KR1020140038086A 2014-03-31 2014-03-31 Method for controlling car black box KR1021745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086A KR102174529B1 (en) 2014-03-31 2014-03-31 Method for controlling car black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086A KR102174529B1 (en) 2014-03-31 2014-03-31 Method for controlling car black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127A true KR20150114127A (en) 2015-10-12
KR102174529B1 KR102174529B1 (en) 2020-11-06

Family

ID=54346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086A KR102174529B1 (en) 2014-03-31 2014-03-31 Method for controlling car black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52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4261A4 (en) * 2020-01-21 2023-09-27 Calamp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 impact event in a parked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073B1 (en) * 2007-02-07 2008-06-09 에이치케이이카 주식회사 Video blackbox system for vehicle using conroller area network
KR20110015744A (en) * 2009-08-10 2011-02-17 주식회사 부성프리비아 Black box for vehicle, and power supply system for black box and monitoring system for vehicle using the same
KR20120045580A (en) * 2010-10-29 2012-05-09 (주)미르테크놀로지 4 channels blackbox apparatus and method using ecu of a car or external signal of a car
KR20130098005A (en) * 2012-02-27 2013-09-04 (주) 세인 Apparatus for video recoding of black box using car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073B1 (en) * 2007-02-07 2008-06-09 에이치케이이카 주식회사 Video blackbox system for vehicle using conroller area network
KR20110015744A (en) * 2009-08-10 2011-02-17 주식회사 부성프리비아 Black box for vehicle, and power supply system for black box and monitoring system for vehicle using the same
KR20120045580A (en) * 2010-10-29 2012-05-09 (주)미르테크놀로지 4 channels blackbox apparatus and method using ecu of a car or external signal of a car
KR20130098005A (en) * 2012-02-27 2013-09-04 (주) 세인 Apparatus for video recoding of black box using car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4261A4 (en) * 2020-01-21 2023-09-27 Calamp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 impact event in a parke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529B1 (en)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520B1 (en) Method for Saving of Moving Picture in Car Blackbox
KR1019254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leep mode in portable terminal
US77700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co-processor by switching to low power dedicated memory in which image data is periodically updated
KR101072346B1 (en) Video record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operation mode controlling method thereof
TW201617781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mage input device
US9038164B2 (e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300549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ooting electronic device based on use context
JP2011039864A (en) Drive recorder device
US933581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20079300A1 (en) Electronic apparatus
KR20150114127A (en) Method for controlling car black box
JP6485990B2 (en) Drive recorder
JP2000215100A (en) Power-saving memory management system
US20130229337A1 (e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15890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video in vehicle
KR101417186B1 (en) Video recording method and vehicle black box apparatus using the same method
KR20120046544A (en) System and method for watching vehicle's parking
KR2011008266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vehicle battery discharge for vehicle dvr
KR100942756B1 (en) Interfacing apparatus of vehicle device
JP2009247153A (en) Power supply relay controller and power supply relay control method
KR102417172B1 (en) Video recording system using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905341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figured to detect an abnormal controller state
KR1014270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
TW201902203A (en) Method of Activating Parking Recording and Driving Recorder
KR20130107102A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black box system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