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621A -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미지 검색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미지 검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621A
KR20150106621A KR1020140028906A KR20140028906A KR20150106621A KR 20150106621 A KR20150106621 A KR 20150106621A KR 1020140028906 A KR1020140028906 A KR 1020140028906A KR 20140028906 A KR20140028906 A KR 20140028906A KR 20150106621 A KR20150106621 A KR 20150106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image
reference image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8172B1 (ko
Inventor
전혁준
신형철
장언동
전병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8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172B1/ko
Publication of KR20150106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2Query formulation, e.g. graphical que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미지 검색 시스템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촬영 대상에 대한 기준 이미지와 촬영 대상에 대한 카메라의 촬영 자세를 이용하여 촬영 대상에 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고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이미지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미지 검색 시스템{Terminal and service provid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and image searching system}
본 발명은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미지 검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영 대상에 대한 카메라의 촬영 자세를 이용하여 촬영 대상을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는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미지 검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자기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전자기기이다.
휴대 전자기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인터넷 연결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통신 기술의 발전 및 인터넷의 활성화로 인해 다양한 방식의 검색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은 자신이 알고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 직접 책을 찾아보거나 해당 정보에 박식한 타인에게 물어보는 것 이외에 인터넷을 이용한 검색에 의해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다.
즉, 사용자들은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에 접속한 후에 찾고자 하는 정보에 관련된 키워드를 입력하여 전송함으로써, 웹서버와 연동된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원하는 정보가 이미지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검색 서비스에 의하여 동일, 유사한 이미지를 검색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해당 이미지가 무엇인지 모르고 있을 때 해당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 사용자가 검색 대상에 해당하는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들을 제공받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07341호 [명칭: 동적 개체 모션 캡쳐 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촬영 대상에 대한 기준 이미지와 촬영 대상에 대한 카메라의 촬영 자세를 이용하여 촬영 대상에 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미지 검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발명은 촬영 대상과 유사한 이미지를 유사도 순으로 정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미지 검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발명은 검색 결과에 대한 사용자 회신에 기초하여 검색 데이터를 증가시키고, 검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미지 검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검색 요청 이미지 및 검색 기준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검색 요청 이미지 및 검색 기준 이미지에 기초하여 기울기 정보 및 방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검색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 데이터 관리부; 비교 데이터, 검색 기준 이미지 및 검색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검색부; 및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단말로부터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검색 기준 이미지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를 검색 요청 이미지로 설정하는 기준 이미지 관리부; 검색 기준 이미지 및 검색 요청 이미지에 기초하여 기울기 정보 및 방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검색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 데이터 관리부; 비교 데이터, 검색 기준 이미지 및 검색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검색부; 및 검색 결과를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기준 이미지 관리부는 검색 요청 대상의 특징부를 추출하고, 특징부가 포함된 이미지를 검색 기준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비교 데이터는 비교 기준 이미지 및 각 비교 기준 이미지의 비교 촬영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검색부는 검색 기준 이미지와 비교 기준 이미지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검색 촬영 데이터와 비교 촬영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검색부는 비교 결과 유사도가 높은 순으로 미리 설정된 수의 검색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통신부는 단말로부터 검색 결과에 대한 사용자 회신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비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저장부는 검색 기준 이미지, 검색 요청 이미지, 검색 촬영 데이터 및 사용자 회신에 기초하여 생성된 비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검색 결과는 대상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이미지 획득부를 통해 단말로부터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기준 이미지 관리부를 통해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검색 기준 이미지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를 검색 요청 이미지로 설정하는 단계; 촬영 데이터 관리부를 통해 검색 기준 이미지 및 검색 요청 이미지에 기초하여 기울기 정보 및 방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검색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검색부를 통해 비교 데이터, 검색 기준 이미지 및 검색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통신부를 통해 검색 결과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검색 시스템은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촬상하는 촬영부 및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송신하는 단말; 및 단말로부터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획득부,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검색 기준 이미지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를 검색 요청 이미지로 설정하는 기준 이미지 관리부, 검색 기준 이미지 및 검색 요청 이미지에 기초하여 기울기 정보 및 방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검색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 데이터 관리부, 비교 데이터, 검색 기준 이미지 및 검색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검색부 및 검색 결과를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촬영 대상에 대한 기준 이미지와 촬영 대상에 대한 촬영 자세를 이용하여 촬영 대상에 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촬영 대상과 유사한 이미지를 유사도 순으로 정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검색 결과에 대한 사용자 회신에 기초하여 검색 데이터를 증가시키고, 검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검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20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블록도이다.
도 4는 검색 요청 이미지, 검색 기준 이미지, 검색 촬영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비교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비교 데이터에 구비된 복수의 비교 기준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 1 검색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비교 기준 이미지에 속하는 복수의 비교 촬영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 2 검색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단말에서 표시되는 검색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단말은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핸드헬드 방식의 단말은 물론,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탑 PC 등 사용자의 명령어를 입력받아 선정된 작업을 수행하는 모든 종류의 단말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단말로부터 요구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단말이 구비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지원하는 모든 종류의 전자장치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검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검색 시스템은 단말(200), 서비스 제공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이미지 검색 시스템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이미지 검색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이미지 검색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200)은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100)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제 1 이미지, 제 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200)은 획득된 복수의 이미지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검색 기준 이미지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를 검색 요청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기준 이미지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구비된 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이미지이다. 검색 기준 이미지는 검색 대상의 특징부가 잘 나타나 있는 이미지일 수 있다. 또는 검색 기준 이미지는 검색 대상의 정면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색 기준 이미지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검색 요청 이미지, 검색 기준 이미지에 기초하여 검색 촬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검색 촬영 데이터는, 검색 기준 이미지를 촬상한 경우의 촬상 장치의 기울기, 방위를 기준으로 했을 때, 검색 요청 이미지를 촬상한 경우의 촬상 장치의 기울기, 방위를 의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미리 구비된 비교 데이터, 검색 기준 이미지, 검색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색 요청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획득된 검색 결과를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200)에 표시되는 검색 결과를 통하여 검색 요청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검색 대상의 이름을 모를 경우, 사용자는 단말(200)에 표시된 검색 결과를 통하여 검색 대상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200)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200)은 촬영부(210), 송신부(220), 수신부(230), 디스플레이부(240), 사용자 입력부(250), 감지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단말(2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단말(200)이 구현될 수 있다.
촬영부(210)는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100)의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다. 한편, 촬영부(210)는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100)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예컨대, 제 1 이미지, 제 2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다. 예컨대, 촬영부(210)는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100)에 대한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사시도 등의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촬영부(210)가 검색 대상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경우, 검색 대상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디스플레이부(240)는 검색 요청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감지부(260)는 단말(200)의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한 기울기 센서, 단말(200)의 방위를 측정하기 위한 방위 감지 센서 등을 구비하여, 단말의 기울기, 방위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의 감지부(260)는 단말이 기울어진 정도, 단말이 바라보고 있는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또, 촬영부(210)가 검색 대상을 촬상하여 제 1 이미지,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경우, 감지부(260)에서 측정된 단말의 기울기 정보, 방위 정보가 제 1 이미지, 제 2 이미지에 부가될 있다.
사용자 입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송신부(220)는 단말(2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송신부(220)는 촬영부(210)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서비스 제공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수신부(230)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부(230)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이미지 획득부(310), 기준 이미지 관리부(320), 촬영 데이터 관리부(330), 검색부(340), 저장부(350), 통신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서비스 제공 장치(3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서비스 제공 장치(3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획득부(310)는 단말로부터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기준 이미지 관리부(320)는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검색 기준 이미지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를 검색 요청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기준 이미지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구비된 데이터와 비교하는데 사용되는 이미지이다.
검색 기준 이미지는 검색 대상의 특징부가 잘 나타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여기서, 검색 요청 이미지의 특징부는 검색 대상을 명확하게 나타내는 부분으로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 검색 기준 이미지는 검색 대상의 정면도일 수 있다.
검색 기준 이미지의 설정 방법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검색 요청 이미지는 검색 결과에 표현되는 객체의 형태(자세)를 나타내는 이미지일 수 있다.
또, 사용자 입력에 의거하여 검색 기준 이미지와 검색 요청 이미지가 설정될 수도 있다.
도 4는 검색 요청 이미지, 검색 기준 이미지, 검색 촬영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검색 요청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b)는 검색 기준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일 예로, 기준 이미지 관리부(320)는 제 1 이미지('검색 대상'에 대한 사시도) 및 제 2 이미지('검색 대상'에 대한 정면도) 중 제 2 이미지('검색 대상'에 대한 정면도)를 검색 대상의 특징부로 추출하고, 제 2 이미지를 검색 기준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이미지 관리부(320)는 제 1 이미지('검색 대상'에 대한 사시도)를 검색 요청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검색 요청 이미지와 검색 기준 이미지가 설정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제 2 이미지('검색 대상'에 대한 정면도)에 의하여 비교 데이터 군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제 1 이미지('검색 대상'에 대한 사시도)에 의하여 검색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검색 대상에 대한 사시도 형태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촬영 데이터 관리부(330)는 검색 요청 이미지 및 검색 기준 이미지에 기초하여 검색 촬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촬영 데이터는, 검색 기준 이미지를 촬상하는 경우의 촬상 장치의 기울기 정보, 방위 정보를 기준으로 했을 때, 검색 요청 이미지를 촬상하는 경우의 촬상 장치의 기울기 정보, 방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c)는 검색 촬영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촬영 데이터는 기울기 정보, 방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촬영 데이터 관리부(330)는 도 4(b)에 도시된 검색 기준 이미지가 촬상된 경우의 촬상 장치의 기울기 정보, 방위 정보와 도 4(a)에 도시된 검색 요청 이미지가 촬상된 경우의 촬상 장치의 기울기 정보, 방위 정보를 비교하여 검색 촬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저장부(350)는 비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비교 데이터는 검색 대상과 유사한 이미지를 검색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검색 기준 이미지 및 비교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는데 사용되는 이미지를 구비할 수 있다.
비교 데이터는 비교 기준 이미지 및 각 비교 기준 이미지의 비교 촬영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비교 기준 이미지는 검색 기준 이미지와 비교 대상이 되는 이미지를 의미한다.
또, 비교 촬영 데이터는 검색 촬영 데이터와 비교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도 5는 비교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 데이터는 복수의 비교 기준 이미지(510-1, 510-2)를 구비할 수 있다.
또, 각 비교 기준 이미지(510-1)마다 복수의 비교 촬영 데이터(520-1, 520-2, 520-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비교 데이터는 비교 기준 이미지 및 각 비교 기준 이미지의 비교 촬영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비교 데이터에 구비된 복수의 비교 기준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 데이터는 각각 상이한 객체에 대한 비교 기준 이미지(512, 514, 516, 518)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각 비교 기준 이미지(512, 514, 516, 518)는 대상 식별 정보(513, 515, 517, 519)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부(340)는 비교 데이터, 검색 기준 이미지, 검색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검색부(340)는 기준 이미지 관리부(320)에서 획득된 검색 기준 이미지와 비교 데이터에 구비된 비교 기준 이미지를 비교하여 제 1 검색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검색부(340)는 도 4(b)에 도시된 검색 기준 이미지와 도 6에 도시된 비교 기준 이미지를 비교하여 검색 기준 이미지와 각 비교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제 1 검색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검색부(340)는 검색 기준 이미지와 각 비교 기준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검색부(340)는 검색 결과(530) 중 유사도가 높은 순으로 미리 설정된 비교 기준 이미지를 선택하여, 선택된 비교 기준 이미지의 비교 촬영 데이터와 검색 촬영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도 6, 7을 참조하면, 비교 기준 이미지(512)와 검색 기준 이미지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검색부(340)는 비교 기준 이미지(512)를 선택하여, 비교 기준 이미지(512)에 속하는 비교 촬영 데이터와 검색 촬영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도 8은 일 비교 기준 이미지에 속하는 복수의 비교 촬영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비교 촬영 데이터(612, 614, 616, 618)는 해당 이미지, 대상 식별 정보(613, 615, 617, 619), 기울기 정보 및 방위 정보(622, 624, 626, 628)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검색부(340)는 제 1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선택된 비교 기준 이미지에 속하는 비교 촬영 데이터(612, 614, 616, 618)와 검색 촬영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 2 검색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검색부(340)는 도 4(c)에 도시된 검색 촬영 데이터와 도 8에 도시된 비교 촬영 데이터를 비교하여 검색 촬영 데이터와 각 비교 촬영 데이터간의 유사도를 획득할 수 있다.
도 9는 제 2 검색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검색부(340)는 검색 촬영 데이터와 각 비교 촬영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의 검색부(340)는 비교 결과 유사도가 높은 순으로 미리 설정된 수의 검색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360)는 검색부(340)에 의하여 획득된 검색 결과를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단말로부터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110).
또,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검색 기준 이미지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를 검색 요청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S120).
또,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설정된 검색 요청 이미지 및 검색 기준 이미지에 기초하여 검색 촬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130).
또, 서비스 제공 장치는 미리 설정된 비교 데이터, 획득된 검색 기준 이미지 및 획득된 검색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S140).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검색 기준 이미지와 비교 데이터에 구비된 비교 기준 이미지를 비교하여 제 1 검색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또,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제 1 검색 결과에 해당하는 비교 기준 이미지에 속하는 비교 촬영 데이터와 검색 촬영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 2 검색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검색 결과 획득 과정을 통하여, 검색 대상군이 구체적으로 한정될 수 있으므로, 대상 검색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또, 기준 이미지를 통하여 검색이 이루어지므로 검색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제 2 검색 결과 획득 과정을 통하여, 검색 대상 촬영 각도와 유사한 촬영 각도에서 촬상된 이미지가 검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 서비스 제공 장치는 획득된 검색 결과를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S150).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한 단말은 수신된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단말에 표시되는 검색 결과는 검색 요청 이미지와 유사한 촬영 각도에서 획득된 이미지일 수 있다.
또, 검색 결과는 대상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단말에서 표시되는 검색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결과는 대상 식별 정보(613, 61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상 식별 정보를 통하여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에 관한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또, 단말은 표시된 검색 결과 중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를 나타내는 사용자 회신을 송신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단말로부터 검색 결과에 대한 사용자 회신을 수신할 수 있다(S160).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는 검색 기준 이미지, 검색 요청 이미지, 검색 촬영 데이터, 사용자 회신에 기초하여 비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저장부는 생성된 비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는 검색 기준 이미지, 검색 요청 이미지, 검색 촬영 데이터, 사용자 회신에 의하여 선택되는 대상 식별 정보를 비교 데이터에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검색 결과에 의하여 비교 데이터가 축적될 수 있으므로, 검색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앞에서는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하여 유사 이미지가 검색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서비스 제공 장치에 구비된 구성이 단말에 구비되는 경우, 단말에 의하여 이미지 검색 방법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제휴사 서버 등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촬영 대상에 대한 기준 이미지와 촬영 대상에 대한 카메라의 촬영 자세를 이용하여 촬영 대상에 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고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이미지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전자상거래 분야, 마케팅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200: 단말 210: 촬영부
220: 송신부 230: 수신부
240: 디스플레이부 250: 사용자 입력부
260: 감지부
300: 서비스 제공 장치 310: 이미지 획득부
320: 기준 이미지 관리부 330: 촬영 데이터 관리부
340: 검색부 350: 저장부
360: 통신부

Claims (13)

  1. 검색 요청 이미지 및 검색 기준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상기 검색 요청 이미지 및 상기 검색 기준 이미지에 기초하여 기울기 정보 및 방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검색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 데이터 관리부;
    비교 데이터, 상기 검색 기준 이미지 및 상기 검색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단말.
  2. 단말로부터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검색 기준 이미지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를 검색 요청 이미지로 설정하는 기준 이미지 관리부;
    상기 검색 기준 이미지 및 상기 검색 요청 이미지에 기초하여 기울기 정보 및 방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검색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 데이터 관리부;
    비교 데이터, 상기 검색 기준 이미지 및 상기 검색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이미지 관리부는 상기 검색 요청 대상의 특징부를 추출하고, 상기 특징부가 포함된 이미지를 검색 기준 이미지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데이터는 비교 기준 이미지 및 각 비교 기준 이미지의 비교 촬영 데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검색 기준 이미지와 상기 비교 기준 이미지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촬영 데이터와 상기 비교 촬영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비교 결과 유사도가 높은 순으로 미리 설정된 수의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검색 결과에 대한 사용자 회신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검색 기준 이미지, 상기 검색 요청 이미지, 상기 검색 촬영 데이터 및 사용자 회신에 기초하여 생성된 비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는 대상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11. 이미지 획득부를 통해 단말로부터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기준 이미지 관리부를 통해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검색 기준 이미지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를 검색 요청 이미지로 설정하는 단계;
    촬영 데이터 관리부를 통해 상기 검색 기준 이미지 및 상기 검색 요청 이미지에 기초하여 기울기 정보 및 방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검색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검색부를 통해 비교 데이터, 상기 검색 기준 이미지 및 상기 검색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1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13.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촬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를 송신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획득부,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검색 기준 이미지로 설정하고, 다른 하나를 검색 요청 이미지로 설정하는 기준 이미지 관리부, 상기 검색 기준 이미지 및 상기 검색 요청 이미지에 기초하여 기울기 정보 및 방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 검색 촬영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 데이터 관리부, 비교 데이터, 상기 검색 기준 이미지 및 상기 검색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이미지 검색 시스템.
KR1020140028906A 2014-03-12 2014-03-12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미지 검색 시스템 KR102178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906A KR102178172B1 (ko) 2014-03-12 2014-03-12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미지 검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906A KR102178172B1 (ko) 2014-03-12 2014-03-12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미지 검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621A true KR20150106621A (ko) 2015-09-22
KR102178172B1 KR102178172B1 (ko) 2020-11-12

Family

ID=5424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906A KR102178172B1 (ko) 2014-03-12 2014-03-12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미지 검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1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599B1 (ko) * 2017-09-06 2019-01-17 오성호 고객 관리 방법 및 고객 관리 시스템
WO2019074203A1 (ko) * 2017-10-11 2019-04-18 주식회사 우디 이미지에 기초한 진품 판단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0666A (ja) * 1996-01-11 1997-07-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記録位置付き画像生成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2008311708A (ja) * 2007-06-12 2008-12-25 Nikon Corp 撮像装置
JP2012044251A (ja) * 2010-08-12 2012-03-01 Casio Comput Co Ltd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175194B1 (ko) * 2011-11-08 2012-08-20 (주)올라웍스 이미지 검색 방법, 장치, 서버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307341B1 (ko) 2009-12-18 2013-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적 개체 모션 캡쳐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0666A (ja) * 1996-01-11 1997-07-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記録位置付き画像生成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2008311708A (ja) * 2007-06-12 2008-12-25 Nikon Corp 撮像装置
KR101307341B1 (ko) 2009-12-18 2013-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적 개체 모션 캡쳐 방법 및 그 장치
JP2012044251A (ja) * 2010-08-12 2012-03-01 Casio Comput Co Ltd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175194B1 (ko) * 2011-11-08 2012-08-20 (주)올라웍스 이미지 검색 방법, 장치, 서버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599B1 (ko) * 2017-09-06 2019-01-17 오성호 고객 관리 방법 및 고객 관리 시스템
WO2019074203A1 (ko) * 2017-10-11 2019-04-18 주식회사 우디 이미지에 기초한 진품 판단 방법
KR20190040731A (ko) * 2017-10-11 2019-04-19 주식회사 우디 이미지에 기초한 진품 판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172B1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9037B2 (en) Re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in camera pose tracking process,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076069B2 (en) Registering metadata apparatus
CN110084153B (zh) 用于自动共享图片的智能相机
US20130201344A1 (en) Smart camera for taking pictures automatically
US20120086792A1 (en) Image identification and sharing on mobile devices
WO2016199662A1 (ja) 画像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80052002A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7871000B (zh) 音频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2893129A (zh) 终端位置确定系统、移动终端以及终端位置确定方法
US10095713B2 (en) Information device, server, recording medium with image file recorded thereon, image file generating method, image file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50063686A1 (en) Image recognition device, image recogni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EP34807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displaying images on basis of similarity of images
JP6607987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JP2017182628A (ja) 拡張現実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適用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180121273A (ko) 객체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3763480A (zh) 获取视频配音的方法及设备
CN109643455B (zh) 摄像头标定方法和终端
JP617166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50106621A (ko)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미지 검색 시스템
US20170193668A1 (en) Intelligent Equipment-Based Motion Sensing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Intelligent Equipment
US20180181772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5932107B2 (ja) 画像処理サーバ及び撮像装置
JP6591594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JP5651975B2 (ja) 画像閲覧装置およびカメラ
KR102178177B1 (ko)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그 제어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이미지 검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