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0294A -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audio readable information based EMR system - Google Patents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audio readable information based EM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0294A
KR20150060294A KR1020130144535A KR20130144535A KR20150060294A KR 20150060294 A KR20150060294 A KR 20150060294A KR 1020130144535 A KR1020130144535 A KR 1020130144535A KR 20130144535 A KR20130144535 A KR 20130144535A KR 20150060294 A KR20150060294 A KR 20150060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oice
unit
recording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5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철희
김철호
황희
이기혁
유수영
윤종활
조은영
백현영
최기영
박효진
임준
이송국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Priority to KR1020130144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0294A/en
Publication of KR20150060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2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aging audio readable information which can perform audio readable information generation, registration, and management tasks based on an EMR system in real time and a method for managing the same. The apparatus for managing audio readable information based on an EM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adable information input unit which inputs basic information to generate audio readable information during the visual examination of tissue; an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readable information input unit and controls the formation of the audio readable information and management action; a patient information inquiry unit which inquires a patient medical record with the basic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readable information input unit and provides patient information; and voice recording unit which matches inspector voice according to the visual examination of the tissue with the patient information and records the same.

Description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 및 그 관리 방법{Manage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audio readable information based EMR syste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voice reading information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본 발명은 환자로부터 채취한 조직의 육안 검사 시, 음성으로 생성되는 음성판독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을 기반으로 음성 판독 정보의 생성, 등록, 관리 작업이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는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storing and managing voice-read information generated by a voice during a visual inspection of a tissue collected from a pati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storing, managing and managing voice-read information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To a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its management method that can be performed in real time.

일반적으로 전자의무기록(EMR-Electronic Medical Record)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8021호(2005.01.21.)등으로 다양하게 개시된 바와 같이, 기존 종이 차트로 관리되던 의무 기록 관리 방식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병원에서 발생하는 의료 정보를 전산화하는 의료정보시스템이며, 환자 개인별 병력, 투약상태, 검사결과 등 건강상태 정보를 쉽게 입력하고 저장하며, 사용자가 편리한 형태로 정보변경이 가능하다.In general,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is a system in which the medical record management method managed by an existing paper chart, as disclosed variously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08021 (January 21, 2005) It is a medical information system that computerizes medical information generated by hospitals by combining communication technology. It easily inputs and stores health status information such as patient history, medication condition, and test result, and can change information in a convenient form .

한편, 병리과는 환자로부터 채취된 조직 및 조직액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 분석하여 진단을 내리며, 임상 의상의 치료 방향에 초석을 제공한다. 병리과에 의뢰된 조직은 육안 검사를 통해 병변의 크기, 개수, 색깔, 출혈 및 괴사 여부, 주변 장기와의 관계 등이 파악되며, 슬라이스로 제작하는 중요 부위가 결정되고, 슬라이스된 조직을 현미경을 통해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며, 최종 진단에 이르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athology department diagnoses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tissues and tissue fluids collected from the patients and provides a basis for the treatment of the clinical wounds. The tissues commissioned by the pathology department are visualized, and the size, number, color, hemorrhage and necrosis of the lesion, the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organs, and the like are determined, and the important parts to be produced by the slice are determined. Observing morphological changes, leading to a final diagnosis.

이때, 육안 검사 시, 슬라이스 제작을 위해 조직을 여러 조작을 자르게 됨에 따라 조직의 본래 형체가 남지 않음에 따라 음성 판독으로 그 증거를 남기게 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종래에는 검사자의 음성을 테이프에 녹음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At this time, in the visual inspection, since the original shape of the tissue is not left as the tissue is cut through various operations for making the slice, the work of leaving the evidence by voice reading is performed. In the past, Method.

테이프에 검사자의 음성을 녹음 시, 하나의 테이프에 여러 환자의 육안 검사의 내용을 녹음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환자의 검사 기록이 바뀔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When recording the voice of the tester on the tape, the contents of the visual inspection of several patients on one tape are often recorded, so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atient's test record may be changed.

또한, 육안 검사 후, 음성 녹음된 자료를 전사 입력하는데 녹음 자료가 전산에 입력되기까지 대기 시간이 오래 소요되어 결과보고기간(TAT)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fter the visual inspection, the voice recording data is transferred to the recording medium, which takes a long waiting time until the recorded data is input to the computer,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result reporting period (TAT).

또한, 테이프에 육안 검사 내용을 녹음 시, 생성된 녹음 자료의 누락이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녹음된 테이프는 의무 기록 입력 후, 바로 삭제됨에 따라 , 추후 녹음된 자료를 손쉽게 조회하거나 추가로 편집하는 작업이 불가능하며, 이로인해 육안 검사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recording the contents of a visual inspection on a tape, the generated recording material may be missing or damaged. Since the recorded tape is deleted immediately after inputting the medical record, the recorded material can be easily viewed or further edited And it is difficult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visual inspection data.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10-2005-0008021A, 2005.01.21, 2쪽 내지 4쪽.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08021A, Jan. 21, 2005, pp. 2 to 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의 목적은, 조직 육안 검사 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의 환자 정보와 매칭되는 음성 녹음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nd generates and manages voice recording information.

다른 목적은, 판독정보 입력부를 포함하여, 환자 정보와 매칭되는 음성 녹음 파일 생성을 위해 판독 기본 정보를 입력하고, 환자와 관련된 의무 기록 조회를 요청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is to input read basic information for generating a voice recording file, which includes a read information input unit, to match a patient information, and to request a medical record inquiry related to the patient.

또 다른 목적은, 음성녹음부를 포함하여, 환자와 매칭된 음성 녹음 파일을 생성하고, 육안 검사 시 현장에서 검사자의 음성을 녹음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is to create a voice recording file matched with a patient, including a voice recording section, and to record the voice of the inspector at the time of visual inspection.

또 다른 목적은, 판독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음성 판독 정보 생성을 위한 입력항목 및 판독 정보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is to further include a readout information display unit to display an input item and a readout information state for generating audio readout information on the outside.

또 다른 목적은, 리스트 편집부를 더 포함하여, 음성 판독 파일에 관한 추가 녹음, 저장, 삭제, 일괄 동작과 같은 편집 작업을 실행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is to further perform editing operations such as additional recording, storing, deleting, and batch operation relating to a voice reading file, including a list editing unit.

또 다른 목적은, 판독내용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음성 녹음 파일로부터 판독 내용을 전사 입력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include a readout content input section to transcribe the readout content from the audio record file.

또 다른 목적은, 부가기능 선택부를 더 포함하여, 음성 판독 정보와 연계된 부가기능을 실행하는데 있다.
Still another object is to execute an additional function associated with voice reading information, further including an additional function selecting section.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로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관리 방법의 목적은, 조직 육안 검사 시, 환자 정보와 매칭되는 음성 녹음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 voice recording file matching with patient information at the time of tissue visual inspection.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는 조직의 육안 검사 시, 음성 판독 정보 생성을 위한 기본 정보를 입력하는 판독정보 입력부, 상기 판독정보 입력부와 연결되어, 음성 판독 정보의 생성 및 관리 동작을 제어하는 정보관리 제어부, 상기 판독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기본 정보로 환자의 의무 기록을 조회하여, 환자 정보를 제공하는 환자정보 조회부 및 조직의 육안 검사에 따른 검사자의 음성을 상기 환자 정보와 매칭하여 녹음하는 음성녹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ad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basic information for generating voice read information at the time of visual inspection of an organization, A patient information inquiry unit for inquiring patient's medical records with the basic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read information input unit and providing patient information, and an auditor's voice according to a visual inspection of the organization, And a voice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the patient information by matching with the patient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판독정보 입력부는 환자의 병리번호, 음성 판독 정보의 등록번호, 환자의 기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기본정보 입력부 및 환자의 의무기록, 병리 영상 정보, 검사 정보, 검사 영상 정보, 오더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 조회를 선택 입력하는 조회 항목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dout information input unit may include a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at least one of the pathology number of the patient, the registration number of the voice reading information, And an inquiry item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d inputting an inquiry of at least one of a medical record of the patient, pathological image information, inspection information, inspection image information, and order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는 음성녹음부는 환자정보와 매칭된 음성 녹음 파일을 생성하고, 검사자의 음성의 녹음 동작을 입력하고, 녹음된 음성 정보를 재생하는 녹음정보 등록부 및 상기 녹음정보 등록부와 연동되어, 검사자의 음성 녹음 동작을 육안 검사 현장에서 입력하는 녹음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recording section generates a voice recording file matched with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s the recording operation of the voice of the inspector, reproduces the recorded voice information And a recorder unit interlocked with the record information registering unit and the record information registering unit to input the voice recording operation of the inspector at the visual inspection si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는 정보관리 제어부와 연결되어, 다수의 음성 판독 정보 리스트에서 특정 음성 판독 파일을 선택하여, 추가 녹음, 저장, 삭제, 일괄 입력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실행하는 리스트 편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 unit to select a specific voice reading file from a plurality of voice reading information lists and perform additional recording, And a list editing unit that executes any one of the operations of the list editing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는 정보관리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음성녹음부에서 생성된 음성 녹음 파일로부터 판독 내용을 전사 입력하는 판독내용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ad-out content input unit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 unit for transcribing the read-out contents from the voice recording file generated by the voice recording unit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는 정보관리 제어부와 연결되어, 음성 판독 정보 조회 및 관리에 연계된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부가기능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function selection unit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 unit and executing an additional function associated with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nd management .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방법은 (a) 판독정보 입력부를 이용하여, 음성 판독 정보의 생성을 위한 판독 기본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b) 환자정보 조회부를 이용하여, 환자의 의무 기록 정보를 조회하여, 제공하는 단계, (c) 음성녹음부를 이용하여, 환자 정보와 매칭되는 음성 녹음 파일을 생성하여, 검사자의 조직 육안 검사에 따른 음성을 녹음하는 단계 및 (d) 판독정보 저장부를 이용하여, 상기 (c) 단계에서 녹음된 음성 녹음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for managing voice reading information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inputting basic information for generation of voice reading information using a reading information input unit; (b) (C) generating a voice recording file matched with the patient information by using the voice recording unit and recording voice according to the visual inspection of the examiner's body; and (d) ) Storing the voice recording file recorded in the step (c) using the read information storage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방법은 (d) 단계 이후에, (e) 판독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 녹음 파일을 조회하여, 리스트로 표시하는 단계 및 (f) 판독내용 입력부를 이용하여, 특정한 음성 녹음 파일을 선택하여, 녹음된 음성 정보의 판독 내용을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e) retrieving a voice recording file stored in the reading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displaying the voice recording file in a list; and (f)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lecting a specific audio recording file by using the readout content inputting section and inputting the readout contents of the recorded audio inform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는 조직 육안 검사 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의 환자 정보와 매칭되는 음성 녹음 정보를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조직 검사에 따른 음성 판독 정보 관리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voice recording information that matches with patient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t the time of tissue visual inspection, stores it in real time, Since the information can be permanently stor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management of the voice rea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issue examination.

또한, 판독 기본 정보를 입력하고, 환자와 관련된 의무 기록 조회를 요청함으로써, 환자 정보와 매칭되는 일대일 음성 판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re is an effect that one-to-one voice reading information matching the patient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by inputting the reading basic information and requesting the medical record inquiry related to the patient.

또한, 검사자의 음성을 녹음하는 음성녹음부를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상에 임베디드 형태로 구현하여, 녹음 동작 및 녹음 파일 재생 및 편집동작을 쉽게 컨트롤 할 수 있으며, 환자 정보가 혼동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voice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the voice of the inspector is implemented in an embedded form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so that the recording operation and the reproduction and editing operation of the recorded file can be easily controlled and the problem of confusing the patient information can be prevent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또한, 음성 판독 정보 생성을 위한 입력항목 및 판독 정보 상태를 외부에 표시함으로써, 음성 판독 정보의 생성 상황 및 음성 판독 정보의 조회 결과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displaying an input item and a read information state for generating voice read information externally,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confirm the generation situation of voice read information and the inquiry result of voice read information.

또한, 음성 녹음 파일에 관한 추가 녹음, 저장, 삭제, 일괄 동작과 같은 편집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음성 녹음 파일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performing editing operations such as additional recording, storing, deletion, and batch operation on the voice recording file, the convenience of management of the voice recording file can be improved.

또한, 음성 판독 정보와 연계된 부가기능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by executing the additional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voice reading information,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관리 방법은, 조직 육안 검사 시, 환자 정보와 매칭되는 음성 녹음 파일을 생성하여,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상에서 음성 판독 정보를 실시간 저장,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voice reading management method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voice recording file that matches with patient information at the time of tissue visual inspection and saves the voice reading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in real time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판독정보 입력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판독정보 입력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환자 오더 정보의 조회 결과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오더 변경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음성녹음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녹음정보 등록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녹음장치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판독정보 표시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readout information input unit in a voice readout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adout information input unit in a voice readout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mbodiment of a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inquiry result of patient order information.
FIG. 5 is an embodiment showing an order change in the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voice recording unit in a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corded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in a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cording device unit in a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adout information display unit in a voice readout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showing an overall flow of a method for managing voice reading information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 및 그 관리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nd a management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판독정보 입력부(10), 정보관리 제어부(20), 환자정보 조회부(30), 판독정보 표시부(40), 음성녹음부(50), 판독정보 저장부(60), 리스트 편집부(70), 판독내용 입력부(80) 및 부가기능 선택부(90)을 포함한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read information input section 10, an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 section 20, a patient information inquiry section 30, A list recording unit 70, a readout content input unit 80 and an additional function selection unit 90. The display unit 40 includes a display unit 40, a voice recording unit 50, a readout information storage unit 60,

상기 판독정보 입력부(10)는 조직의 육안 검사 시, 음성 판독 정보 생성을 위한 기본 정보를 입력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독정보 입력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정보 입력부(11) 및 조회항목 선택부(1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readout information inputting unit 10 inputs basic information for generating audio readout information at the time of visual inspection of the tissu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dout information inputting unit 10, (11) and an inquiry item selection unit (12).

상기 기본정보 입력부(11)는 환자의 병리번호, 음성 판독 정보의 등록번호, 환자의 기본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판독정보 표시부(40)에 병리번호, 등록번호, 기본정보를 각각 입력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였다.The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11 preferably inputs at least one or more information of the pathology number of the patient, the registration number of the voice reading information, and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patien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athology number, the registration number, and the basic information, respectively.

상기 조회항목 선택부(12)는 환자의 의무기록, 병리 영상 정보, 검사 정보, 검사 영상 정보, 오더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 조회를 선택 입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회 항목을 입력 버튼으로 나열하도록 하였으며, 각 입력버튼은 개별 색상을 다르게 구별하거나 각 버튼의 기능을 상징하는 아이콘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쉽게 조회 항목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quiry item selection unit 12 selects and inputs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a medical record of a patient, pathological image information, inspection information, inspection image information, and order informa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input button is preferably arranged to distinguish different colors individually or to form icons representing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button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nput the item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회항목 선택부(12)에서 오더 정보 버튼을 실행한 화면 실시예로 해당 환자의 오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정 오더 정보를 활성화하고, 변경 버튼을 실행하면 도 5와 같이, 오더 내용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rder information button executed by the inquiry item selecting unit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rder information is activated and the change button is executed, , The contents of the order can be changed.

즉,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을 기반으로 함에 따라 상기 판독정보 입력부(10)에서 입력된 판독 정보를 환자 정보와 매칭할 수 있으며, 환자와 관련된 의무 기록 정보를 손쉽게 조회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tch the read information input from the read information input unit 10 with the patient information based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nd can easily record the medical recor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atient You can ask for inquiries.

상기 정보관리 제어부(20)는 상기 판독정보 입력부(10)와 연결되어, 음성 판독 정보의 생성 및 관리 동작을 제어한다.The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 unit 20 is connected to the read information input unit 10 to control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voice read information.

상기 환자정보 조회부(30)는 상기 정보관리 제어부(20)와 연결되어, 상기 판독정보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환자 정보 및 환자와 관련된 정보를 조회하여, 제공한다.The patient information inquiry unit 30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 unit 20 to inquire and provide patient information and patient related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read information input unit 10. [

상기 판독정보 표시부(40)는 상기 정보관리 제어부(20)와 연결되어, 상기 판독정보 입력부(10)에서 입력된 항목 정보, 상기 음성녹음부에서 생성된 음성 녹음 정보를 표시하고, 조회된 환자 정보와 음성 판독 정보를 표시한다.
The read information display unit 40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 unit 20 to display the item information input from the read information input unit 10 and the voice recording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voice recording unit, And voice reading information.

상기 음성녹음부(50)는 조직의 육안 검사에 따른 검사자의 음성을 상기 환자 정보와 매칭하여 녹음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음성녹음부(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음정보 등록부(51) 및 녹음장치부(52)를 포함한다.6, the voice recording unit 50 records the voice of the tester according to the visual inspection of the tissue by matching with the patient information. The voice recording uni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1) and a recording unit (52).

상기 녹음정보 등록부(51)는 환자정보와 매칭된 음성 녹음 파일을 생성하고, 검사자의 음성의 녹음 동작을 입력하고, 녹음된 음성 정보를 재생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녹음정보 등록부(51)는 도 7에 도시된 같이, 녹음 상황, 녹음 시간, 재생 상황을 표시하고, 녹음 시작과 종료, 녹음 파일을 재생과 종료, 빨리감기와 되감기 등을 제어하는 버튼이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도록 하였다.The recording information registering unit 51 generates a voice recording file matched with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s a recording operation of the voice of the inspector, reproduces the recorded voice information,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information registering unit 51 ) Displays a recording condition, a recording time, and a reproduction status, and displays a button for controlling start and end of recording, playback and termination of a recording file, and fast forwarding and rewinding, as shown in FIG. 7, Respectively.

또한, 상기 녹음장치부(52)는 상기 녹음정보 등록부(51)와 연동되어, 검사자의 음성 녹음 동작을 육안 검사 현장에서 입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녹음장치부(5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부(521) 및 입력버튼부(522)로 구성하였다.In addition, the recording device 52 inputs the voice recording operation of the inspector at the visual inspection site in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51.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device unit 52, A microphone unit 521 and an input button unit 522 as shown in FIG.

상기 마이크부(521)는 조직 육안 검사자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스탠드 형태로 배치할 수 있지만 검사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헤드셋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입력버튼부(522)는 검사자의 발로 구동할 수 있도록 발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버튼(①, ②, ③)을 형성하여, 각 입력 버튼의 구동에 따라 녹음 동작을 제거하거나 녹음된 파일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녹음정보 등록부(51)는 상기 입력버튼부(522)의 구동 상태에 따라 녹음 상태 확인할 수 있는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icrophone 521 may be disposed in the form of a stand with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isual inspection person, but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eadset that can be worn on the head of the examiner. And at least one input button (1, 2, 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recording operation can be removed or the recorded file can be reproduc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each input button. . At this time, the recording information register 51 may further include display means for checking the recording state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input button unit 522. [

상기 판독정보 저장부(60)는 상기 정보관리 제어부(20)와 연결되어, 상기 음성녹음부(50)에서 생성된 음성 녹음 파일을 포함한 음성 판독 정보 이력, 검사자 정보, 판독 내용 입력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 관리하며, 이러한 상기 판독정보 저장부(60)를 통해 기존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을 기반으로 환자정보와 일대일로 매칭된 음성 녹음 파일을 생성 및 관리하여, 환자 정보의 매칭 오류가 발생하거나 음성 녹음 파일의 누락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readout information storage unit 60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 unit 20 and stores any one of a voice reading information history including the voice recording file generated by the voice recording unit 50, And generates and manages a voice recording file matched to the patient information on a one-to-one basis based on the existing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through the read-out information storage unit 60 to detect a matching error of the patien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such as a missing recording file from occurring.

상기 리스트 편집부(70)는 상기 정보관리 제어부(20)와 연결되어, 다수의 음성 판독 정보 리스트에서 특정 음성 녹음 파일을 선택하여, 추가 녹음, 저장, 삭제, 일괄 입력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실행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리스트 편집부(70)를 통해 음성 녹음 파일의 편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다수의 음성 녹음 파일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The list editing unit 70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 unit 20 to select a specific voice recording file from a plurality of voice reading information lists and perform any one of additional recording, The user can easily edit a voice recording file through the list editing unit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manage a plurality of voice recording files in a lump.

상기 판독내용 입력부(80)는 상기 정보관리 제어부(20)와 연결되어, 상기 음성녹음부(50)에서 생성된 음성 녹음 파일로부터 판독 내용을 전사 입력하며, 이때, 병리검사에 관한 정보와 함께 음성 녹음 파일 재생으로 판독된 육안 소견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각 음성 녹음 파일별로 음성 판독 내용이 입력되어, 특정 음성 녹음 파일을 선택 시, 상기 판독정보 표시부(40)를 통해 상기 음성 판독 내용이 표시되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e readout content input unit 80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 unit 20 to transfer the readout content from the voice recording file generated by the voice recording unit 50. At this time, The voice reading information is input for each voice recording file, and when the voice recording file is selected, the voice reading contents are displayed through the reading information display unit 40 .

상기 부가기능 선택부(90)는 상기 정보관리 제어부(20)와 연결되어, 음성 판독 정보 조회 및 관리에 연계된 부가 기능을 실행하며, 본 발명에 따른 부가 기능은 음성 판독 파일의 고유 바코드, 수술스케쥴 조회, 임상연락, 검체조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음성 판독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육안 검사와 관련된 정보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관련 의료진과의 연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additional function selection unit 90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 unit 20 to execute additional functions associated with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nd management. The additional fun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unique bar code of a voice reading fil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one of schedule inquiry, clinical contact, and sample inquiry,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ore conveniently manage voice read information, facilitate information search related to visual inspection, It is possible to greatly facilitat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독정보 표시부(40)의 일실시예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판독정보 입력부(10), 음성녹음부(50), 리스트 편집부(70)과 음성 판독 내용이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내에서 하나의 화면에 구현되어, 음성 판독 정보의 생성 및 조회 상태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9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of an embodiment of the read information display unit 40 in the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d information input unit 10, the voice recording unit 50), the list editing unit 70 and the voice reading contents are implemented in one screen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confirm the generation and inquiry status of the voice reading inform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를 적용하면 조직 육안 검사 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의 환자 정보와 매칭되는 음성 녹음 정보를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직 검사에 따른 음성 판독 정보 관리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voice recording information matching with patient information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is generated and stored in real time , It is possible to permanently store the stored information,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managing the voice rea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issue inspec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를 이용한 음성 판독 정보 관리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 판독정보 입력부를 이용하여, 음성 판독 정보의 생성을 위한 판독 기본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0)를 수행하며, 상기 S10 단계는 기본정보 입력부(11)를 이용하여, 환자의 병리번호, 음성 판독 정보의 등록번호, 환자의 기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단계이며, 추가로 상기 조회항목 선택부(12)를 이용하여, 환자의 의무기록, 병리 영상 정보, 검사 정보, 검사 영상 정보, 오더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 조회를 선택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IG. 10 is a flowchart showing an overall flow of a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a reading information input section is used, (S10) of inputting the basic information of reading, and in the step S10, any one or more of the pathology number of the patient, the registration number of the voice reading information, and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patient are inputt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lecting and inputting any one or more of the patient's medical record, pathological image information, inspection information, inspection image information, and order information using the inquiry item selection unit 12 can do.

다음으로, 상기 환자정보 조회부(30)를 이용하여, 환자의 의무 기록 정보를 조회하여, 제공하는 단계(S20)를 수행하며, 상기 음성녹음부(50)를 이용하여, 환자 정보와 매칭되는 음성 녹음 파일을 생성하여, 검사자의 조직 육안 검사에 따른 음성을 녹음하고, 상기 판독정보 저장부(60)를 이용하여, 녹음된 음성 녹음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S30)를 수행한다.Next, the patient information inquiry unit 30 is used to inquire and provide the patient's medical record information (S20), and the voice recorder A voice recording file is created, voice is recorded according to the visual inspection of the inspector's body, and the recorded voice recording file is stored using the readout information storage unit 60 (S30).

상기 S30 단계는 상기 S20 단계에서 조회된 환자정보와 매칭된 음성 녹음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녹음장치부(52)를 이용하여, 검사자의 음성 녹음 동작을 육안 검사 현장에서 입력하고, 녹음된 음성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말한다.
In step S30, a voice recording file matched with the patient information searched in step S20 is generated. The voice recording operation of the inspector is input at the visual inspection site using the recording device 52, . ≪ / RTI >

다음으로, 상기 판독정보 저장부(40)에 저장된 음성 녹음 파일을 조회하여, 리스트로 표시하는 단계(S40)를 수행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40 단계는 상기 리스트 편집부(70)를 이용하여, 리스트로 나열된 음성 녹음 파일에서 특정 음성 녹음 파일의 추가 녹음, 저장, 삭제, 일괄 입력 동작 중 어느 하나의 편집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step S40 of inquiring the voice recording file stored in the reading information storage unit 40 and displaying the voice recording file in a list is per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peration S40, the list editing unit 70 , And performing an editing operation of any one of addition recording, storing, deleting, and batch input of a specific voice recording file from the voice recording file listed in the list.

다음으로, 상기 판독내용 입력부(80)를 이용하여, 특정한 음성 녹음 파일을 선택하여, 녹음된 음성 정보의 판독 내용을 입력하는 단계(S50)를 수행하며, 입력된 음성 판독 내용을 상기 판독정보 저장부(60)에 저장하는 단계(S60)를 수행한다.Next, a step S50 of selecting a specific voice recording file by using the read-out content input unit 80 and inputting the read-out contents of the recorded voice information is performed, (S60) of storing the data in the storage unit (60).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60 단계 이후에 부가기능 선택부(90)를 이용하여, 음성 판독 파일의 바코드 발생, 수술 스케쥴 조회, 임상연락, 검체조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가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of barcode generation of a voice reading file, operation schedule inquiry, clinical contact, and sample inquiry is executed using the additional function selection unit 90 after step S60 As shown in FI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관리 방법은 조직 육안 검사 시, 환자 정보와 매칭되는 음성 녹음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상에서 음성 판독 정보를 실시간 저장,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oice reading management method based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voice recording files matching with patient information at the time of tissue visual inspection, There are advantages to manag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 및 그 관리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

10 : 판독정보 입력부
11 : 기본정보 입력부
12 : 조회항목 선택부
20 : 정보관리 제어부
30 : 환자정보 조회부
34 : 이전 기록 뷰어
40 : 판독정보 표시부
50 : 음성녹음부
51 : 녹음정보 등록부
52 : 녹음장치부
60 : 판독정보 저장부
70 : 리스트 편집부
80 : 판독내용 입력부
81 : 음성판독내용 표시창
90 : 부가기능 선택부
100 :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
521 : 마이크부
522 : 버튼입력부
10: Read information input section
11: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12: inquiry item selection part
20: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 unit
30: Patient information inquiry unit
34: Historical Viewer
40: Read information display section
50:
51: Record information registration part
52:
60: Read information storage section
70: List editor
80:
81: Voice reading contents display window
90: Additional function selection unit
100: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521: Microphone part
522: button input section

Claims (17)

조직의 육안 검사 시, 음성 판독 정보 생성을 위한 기본 정보를 입력하는 판독정보 입력부;
상기 판독정보 입력부와 연결되어, 음성 판독 정보의 생성 및 관리 동작을 제어하는 정보관리 제어부;
상기 판독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기본 정보로 환자의 의무 기록을 조회하여, 환자 정보를 제공하는 환자정보 조회부 및
조직의 육안 검사에 따른 검사자의 음성을 상기 환자 정보와 매칭하여 녹음하는 음성녹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
A readout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basic information for generating voice readout information at the time of visual inspection of the tissue;
An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read information input unit, for controllin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voice read information;
A patient information inquiry unit for inquiring the patient's medical record with the basic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readout information input unit and providing patient information,
And a voice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the voice of the tester according to the visual inspection of the tissue with the patient information and recording the voic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정보 입력부는,
환자의 병리번호, 음성 판독 정보의 등록번호, 환자의 기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기본정보 입력부 및
환자의 의무기록, 병리 영상 정보, 검사 정보, 검사 영상 정보, 오더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 조회를 선택 입력하는 조회항목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d-
A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at least one of a pathology number of a patient, a registration number of voice reading information, and basic information of a patient,
And an inquiry item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d inputting an inquiry of at least one of a medical record of a patient, pathological image information, inspection information, inspection image information, and order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녹음부는,
환자정보와 매칭된 음성 녹음 파일을 생성하고, 검사자의 음성의 녹음 동작을 입력하고, 녹음된 음성 정보를 재생하는 녹음정보 등록부 및
상기 녹음정보 등록부와 연동되어, 검사자의 음성 녹음 동작을 육안 검사 현장에서 입력하는 녹음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oice recording unit comprises:
A recording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for generating a voice recording file matched with the patient information, inputting the recording operation of the voice of the examiner, and reproducing the recorded voice information,
And a recording unit for interfacing with the recording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and inputting a voice recording operation of the tester at a visual inspection si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장치부는,
육안 검사 현장에서 검사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부 및
검사자의 음성 녹음 동작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버튼부는 발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버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cording device comprises:
A microphone unit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of a tester at a visual inspection site, and
And an input button unit for inputting a voice recording operation signal of the inspector,
Wherein the input button unit is formed in a stepped shape, and at least one input butt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input butt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판독정보 입력부의 입력 항목 정보, 상기 음성녹음부에서 생성된 음성 녹음 정보를 표시하고, 조회된 환자 정보와 음성 판독 정보를 표시하는 판독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ad information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 unit for displaying input item information of the read information input unit and voice recor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voice recording unit and displaying the inquired patient information and voice read information And a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based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 제어부와 연결되어, 다수의 음성 판독 정보 리스트에서 특정 음성 판독 파일을 선택하여, 추가 녹음, 저장, 삭제, 일괄 입력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실행하는 리스트 편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ist editing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 unit to select a specific voice reading file from a plurality of voice reading information lists and perform any one of the additional recording, storing, deleting and batch input operations. A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음성녹음부에서 생성된 음성 녹음 파일을 포함한 음성 판독 정보 이력을 저장 관리하는 판독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ad information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 unit for storing and managing a voice read information history including the voice record file generated by the voice record uni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음성녹음부에서 생성된 음성 녹음 파일로부터 판독 내용을 전사 입력하는 판독내용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adout content input unit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 unit for transferring the readout content from the voice recording file generated by the voice record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관리 제어부와 연결되어, 음성 판독 정보 조회 및 관리에 연계된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부가기능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dditional function selection unit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 unit for executing an additional function associated with voice reading information management and managemen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기능 선택부는,
음성 판독 파일의 고유 바코드, 수술스케쥴 조회, 임상연락, 검체조회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부가 기능을 선택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additional function selection unit comprises:
Wherein th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of at least one of a unique bar code of a voice reading file, a surgery schedule inquiry, a clinical contact, and a sample inquiry is selected and executed.
(a) 판독정보 입력부를 이용하여, 음성 판독 정보의 생성을 위한 판독 기본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b) 환자정보 조회부를 이용하여, 환자의 의무 기록 정보를 조회하여, 제공하는 단계;
(c) 음성녹음부를 이용하여, 환자 정보와 매칭되는 음성 녹음 파일을 생성하여, 검사자의 조직 육안 검사에 따른 음성을 녹음하는 단계 및
(d) 판독정보 저장부를 이용하여, 상기 (c) 단계에서 녹음된 음성 녹음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방법.
(a) inputting read basic information for generation of audio readout information using a readout information input unit;
(b) retrieving and providing medical record information of the patient using the patient information inquiry unit;
(c) generating a voice recording file matching the patient information by using the voice recording unit and recording voice according to the visual inspection of the examiner's body; and
(d) storing the voice recording file recorded in the step (c) using the read information storage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기본정보 입력부를 이용하여, 환자의 병리번호, 음성 판독 정보의 등록번호, 환자의 기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a)
(a-1) inputting at least one of a pathology number of a patient, a registration number of voice reading information, and basic information of a patient using a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Rea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 이후에,
(a-2) 조회항목 선택부를 이용하여, 환자의 의무기록, 병리 영상 정보, 검사 정보, 검사 영상 정보, 오더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 조회를 선택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fter the step (a-1)
(a-2) selecting and inputting at least one of the patient's medical record, pathological image information, inspection information, inspection image information, and order information using an inquiry item selection unit (Method for managing voice reading information based on medical record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환자정보와 매칭된 음성 녹음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c-2) 녹음장치부를 이용하여, 검사자의 음성 녹음 동작을 육안 검사 현장에서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c)
(c-1) generating a voice recording file matched with patient information and
(c-2) inputting a voice recording operation of an inspector at a visual inspection site using a recording device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e) 판독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 녹음 파일을 조회하여, 리스트로 표시하는 단계 및
(f) 판독내용 입력부를 이용하여, 특정한 음성 녹음 파일을 선택하여, 녹음된 음성 정보의 판독 내용을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fter the step (d)
(e) retrieving a voice recording file stored in the read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displaying the voice recording file in a list, and
(f) selecting a specific voice recording file by using the readout content input unit and inputting the readout contents of the recorded voice informa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리스트 편집부를 이용하여, 리스트로 나열된 음성 녹음 파일에서 특정 음성 녹음 파일의 추가 녹음, 저장, 삭제, 일괄 입력 동작 중 어느 하나의 편집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tep (e)
(e-1) further performing a step of performing an editing operation of additionally recording, storing, deleting, or collectively inputting a specific voice recording file in the voice recording file listed in the list by using the list editing unit A method of managing voice reading information based on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g) 부가기능 선택부를 이용하여, 음성 판독 파일의 바코드 발생, 수술 스케쥴 조회, 임상연락, 검체조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가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기반의 음성 판독 정보 관리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After the step (e)
(g) executing an additional function of at least one of barcode generation of a voice reading file, inquiry of a surgical schedule, clinical contact, and sample inquiry using an additional function selection unit Of the voice reading information.
KR1020130144535A 2013-11-26 2013-11-26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audio readable information based EMR system KR201500602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535A KR20150060294A (en) 2013-11-26 2013-11-26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audio readable information based EM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535A KR20150060294A (en) 2013-11-26 2013-11-26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audio readable information based EM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294A true KR20150060294A (en) 2015-06-03

Family

ID=53504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535A KR20150060294A (en) 2013-11-26 2013-11-26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audio readable information based EM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0294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2352A1 (en) * 2017-02-18 2018-08-23 Mmodal Ip Llc Computer-automated scribe tools
WO2019143064A1 (en) * 2018-01-19 2019-07-25 서울대학교병원 Integrated pathological imag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integrally managing all steps of pathological examination by using image information
WO2020084529A1 (en) * 2018-10-23 2020-04-30 Mmodal Ip Llc Applying machine learning to scribe input to improve data accuracy
CN111755089A (en) * 2020-06-24 2020-10-09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Safety checking system for ophthalmic surger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2352A1 (en) * 2017-02-18 2018-08-23 Mmodal Ip Llc Computer-automated scribe tools
WO2019143064A1 (en) * 2018-01-19 2019-07-25 서울대학교병원 Integrated pathological imag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integrally managing all steps of pathological examination by using image information
KR20190088663A (en) * 2018-01-19 2019-07-29 서울대학교병원 Integrated pathology imag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managing entire process of pathology examination by using image information
WO2020084529A1 (en) * 2018-10-23 2020-04-30 Mmodal Ip Llc Applying machine learning to scribe input to improve data accuracy
CN111755089A (en) * 2020-06-24 2020-10-09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Safety checking system for ophthalmic surg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1282B2 (en) Medical tool work support system, medical tool work support method, and medical tool work support program
JP3742549B2 (en) Medical image filing system
US20050226405A1 (en) Medical report creating apparatus, medical report referencing apparatus, medical report creating method, and medical report creation program recording medium
KR20150060294A (en)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audio readable information based EMR system
JP2007325742A (en) Medical image management method, medical imag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nd report preparation method
JP2010182018A (en) Medical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thereof
JP738055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10167373A1 (en) System for storing data of interventional procedure
JP2008259661A (en) Examin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examination information processor
JP2001161648A (en) System for medical treatment
JP2003263495A5 (en)
JP2004005565A5 (en)
US11779429B2 (en) Medical instrument displays and medical instrument display programs
KR102164452B1 (en) Integrated pathology imag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managing entire process of pathology examination by using image information
JPH06178A (en) Image display device
US20070083480A1 (en) Operation information analysis device and method for analyzing operation information
JP2001120499A (en) Display device of endoscope image
WO2002067170A1 (en) Information system for hospital
JP5120231B2 (en) Image display device
JP2005025361A (en) Medical examination support device
JP4350254B2 (en) Medical image filing device
JP6986989B2 (en) Medical report creation support device, medical report creation suppor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3825663B2 (en) Medical support device
JP6697896B2 (en) Surgical instrument set management system
US20110196701A1 (en) Medical Examination or Treat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