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838A -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of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of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838A
KR20150050838A KR1020130131990A KR20130131990A KR20150050838A KR 20150050838 A KR20150050838 A KR 20150050838A KR 1020130131990 A KR1020130131990 A KR 1020130131990A KR 20130131990 A KR20130131990 A KR 20130131990A KR 20150050838 A KR20150050838 A KR 20150050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bile
usim
termi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9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영수
이상모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1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0838A/en
Publication of KR20150050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8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2Mutual synchron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system via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synchroniz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mobile terminal. More specifically, a USIM of a user is respectively provided in a mobile terminal and a vehicle system of the user, and information is shared and provid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vehicle system, thus enabling the use of data, which is saved in the mobile terminal, in the vehicle system, and the use of data, which is saved in the vehicle system, in the mobile terminal. The method for operating the vehicle system via USIM synchroniz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rries a technological significance in that the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tep, wherein a first USIM unit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a second USIM unit in the mobile terminal mutually authenticate via wireless communications; a second step, wherein vehicle data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mobile data in the mobile terminal are mutually synchronized upon completion of the mutual authentication; a third step, wherein the mobile data transmitted to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generates a mobile POI; and a fourth step wherein the extracted mobile POI is saved in a mobile POI storage unit with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Description

차량정보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 운영방법{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of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rmation terminal}[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between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차량과 모바일 단말기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각각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및 차량 시스템에 구비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와 차량 시스템 간에 정보 공유 및 제공을 수행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차량 시스템에서 사용하거나, 차량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과 모바일 단말기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system using a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of a vehicle and a mobile terminal by using data stored in a mobile terminal in a vehicle system or by using data stored in a vehicle system by performing information sharing and provision among systems .

최근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IT 기술을 차량에 접목하여 무선으로 차량 기기의 일부를 원격 제어하는 기술이 본격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원격(근거리)에서 차량의 도어 잠금 여부, 블랙박스의 영상, 차량 위치 등의 정보를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수신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recent years, technologies for remotely controlling part of a vehicle device by wirelessly connecting IT technology through a wireless network to a vehicle have been developed in earnest.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whether a vehicle is locked in a remote location (near), an image of a black box, a vehicle position, and the like is received at a portable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and control the information.

종래기술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32640호(2013.02.06 등록)인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은 차량 내에 설치된 차량 기기를 사용자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도 차량 기기를 자동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차량 환경 설정 방법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A "method for setting a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 which is a prior art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32640 (registered on Mar. 23, 2013), is a vehicle environment in which a vehicle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is automatically set to a vehicle environment Discloses a technique relating to a setting method.

이러한 종래기술은 근거리 통신망 또는 유선망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 차량 단말기, 차량 기기를 구비함으로써 차량 내에 있는 복수 개의 차량 기기의 상태와 환경을 각각의 차량 사용자마다 다르게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In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a portable terminal, a vehicle terminal, and a vehicle device are provided using a local area network or a wired network, so that the state and environment of a plurality of vehicle devices in the vehicle are set differently for each vehicle user.

그러나, 차량과 휴대단말기와의 통신은 근거리 통신(NFC)에 한정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원거리에서의 차량 제어가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본격적인 차량 환경 설정을 위한 기술이라 할 수 없다.Howeve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limited to the NFC, an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hicle control is not performed at a long distance.

또한, 종래기술은 사용자 인증을 위한 기술로써,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정보를 차량 단말기로 전송하고, 전송된 USIM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 및 인증된 사용자의 정보를 로딩(loading)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써, 사용자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가 차량에 저장되어 있으며, USIM 정보는 단지 사용자를 인식하는 수단으로만 이용되기 때문에 차량 내에 설정 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사용자는 해당 차량의 차량 기기를 제어하거나 사용자 설정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As a technology for user authentication, the related art transmits information of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provided in a mobile terminal to a vehicle terminal, authenticates a user using the transmitted USIM information, Since the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s stored in the vehicle and the USIM information is used only as means for recognizing the us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control the vehicle device or perform user setting.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차량정보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 각각에 동일한 사용자의 USIM 카드를 삽입하고, 차량정보 단말기에 구비된 USIM 카드와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된 USIM 카드가 상호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inserting a USIM card of the same user into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The purpose of the card is to perform mutual authentication.

또한, 본 발명은 차량정보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에 각각 구비된 USIM 카드가 상호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모바일 데이터를 차량정보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차량정보 단말기가 모바일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IM card provided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performs mutual authent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mobile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to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so that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can use the mobile data There is another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차량정보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에 각각 구비된 USIM 카드가 상호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차량정보 단말기에 저장된 차량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가 차량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vehicle data stored in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to a mobile terminal when a USIM card provided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performs mutual authentication, There is another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검색어, 주소록, SNS 등을 이용한 히스토리가 모바일 데이터에 저장되며, 모바일 데이터가 차량정보 단말기로 전송되는 경우, 해당 히스토리에서 POI를 추출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extracting a POI from a history when a mobile terminal stores a history of a search word, an address book, an SNS retrieved by a user in the mobile terminal, .

또한, 본 발명은 차량정보 단말기에 전송된 모바일 데이터에서 추출된 POI를 모바일 POI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경로 등의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모바일 POI를 포함하여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ets a POI extracted from mobile data transmitted to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to a mobile POI so that when the user performs a search such as a route using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the search includes the corresponding mobile POI There is another purpose to do this.

또한, 본 발명은 차량정보 단말기가 모바일 단말기와 데이터를 동기화함에 따라 수신한 금융정보를 이용하여 금융거래를 수행하되, 금융기관 서버에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수단을 차량정보 단말기 내에 포함된 USIM 카드를 사용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synchronizes data with a mobile terminal and performs a financial transaction using the received financial information, wherein the means for authenticating a user at a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comprises a USIM card There is another purpose to use.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제어 데이터를 차량정보 단말기가 수신하여, 차량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llow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to receive the vehicle control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perform vehicle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control data.

또한, 본 발명은 차량정보 단말기 내에 포함된 USIM 카드를 사용하여 스마트홈 서버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차량 내에서 댁내의 다양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스마트홈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home server, which generates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various devices in a home by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on a smart home server using a USIM card included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There is another purpos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은 차량정보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 운영방법에 있어서, 차량정보 단말기 내의 제1 USIM부와 모바일 단말기 내의 제2 USIM부가 무선통신에 의해 상호 인증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차량정보 단말기 내의 차량 데이터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 내의 모바일 데이터가 상호 동기화되는 제2 단계와 상기 차량정보 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모바일 데이터에서 모바일 POI를 생성하는 제3 단계 및 추출된 상기 모바일 POI를 상기 차량정보 단말기 내의 모바일 POI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정보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 운영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between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of mutually authenticating a first USIM unit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a second USIM unit in the mobile terminal by wireless communication; A second step in which vehicle data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mobile data in the mobile terminal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when th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a third step of creating a mobile POI from the mobile data transmitted to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storing the mobile POI in the mobile POI storage unit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chieved by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between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정보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의 차량정보 단말기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 또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 통신부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제2 모바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모바일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기 위한 제1 모바일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제1 모바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모바일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바일 POI를 생성하기 위한 POI 추출부와 상기 POI 추출부에서 생성한 모바일 POI를 저장하기 위한 모바일 POI 저장부와 상기 차량정보 단말기의 차량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차량 데이터 저장부와 USIM 카드를 삽입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USIM 카드와 상호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제1 USIM부와 상기 모바일 데이터 또는 상기 차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부 및 상기 차량정보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바일 단말기와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의 차량정보 단말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of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between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vehicle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mobile terminal or an external device; A first mobile data storing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mobile data stored in a storage unit, a POI extracting unit for creating a mobile POI using the mobile data stored in the first mobile data storing unit, A first POI storage unit for storing a mobile POI, a first vehicle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vehicle data of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a USIM card for performing mutual authentication with the USIM card of the mobile terminal, 1 USIM unit and the mobile data or the vehicle data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screen generated by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과 모바일 단말기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 운영방법은 차량정보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 각각에 동일한 사용자의 USIM 카드를 삽입하고, 차량정보 단말기에 구비된 USIM 카드와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된 USIM 카드가 상호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각각에 저장된 데이터를 동기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method of operating the vehicle system using the USIM synchronization of the vehicle and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the USIM card of the same user into each of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By performing the mutual authentication of the USIM card, the stored data can be synchronized.

또한, 본 발명은 차량정보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에 각각 구비된 USIM 카드가 상호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모바일 데이터를 차량정보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차량정보 단말기가 모바일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IM card provided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perform mutual authent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mobile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to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It is effective.

또한, 본 발명은 차량정보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에 각각 구비된 USIM 카드가 상호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차량정보 단말기에 저장된 차량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가 차량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vehicle data stored in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to a mobile terminal when a USIM card provided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performs mutual authentication, It is effective.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검색된 검색어, 주소록, SNS 등을 이용한 히스토리가 모바일 데이터에 저장되며, 모바일 데이터가 차량정보 단말기로 전송되는 경우, 해당 모바일 데이터의 히스토리에서 POI를 추출하여 모바일 POI를 생성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a history using a search word, an address book, an SNS retrieved by a user in a mobile terminal is stored in mobile data, and when mobile data is transmitted to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 POI is extracted from the history of the mobile data, There is another effect of generating a POI.

또한, 본 발명은 차량정보 단말기에 전송된 모바일 데이터에서 추출된 POI를 모바일 POI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경로 등의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모바일 POI를 포함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ets a POI extracted from mobile data transmitted to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to a mobile POI so that when the user performs a search such as a route using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the search includes the corresponding mobile POI There is another effect you can do.

또한, 본 발명은 차량정보 단말기가 금융기관 서버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차량정보 단말기 내에 포함된 USIM 카드를 사용함으로써, 차량정보 단말기가 모바일 단말기와 데이터를 동기화함에 따라 수신한 금융정보를 이용하여 금융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which uses the USIM card included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s means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at a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so that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synchronizes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There is another effect that can be used to perform financial transactions.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제어 데이터를 차량정보 단말기가 수신하여 차량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원격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차량 내의 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vehicl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in which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receives vehicle control data transmitted from a mobile terminal and performs vehicle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control data so that even when the user is located remotely from the vehicle, There is another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차량정보 단말기 내에 포함된 USIM 카드를 사용하여 스마트홈 서버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차량 내에서 댁내의 다양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스마트홈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에서 가정 내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on a smart home server using a USIM card included in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generates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various devices in the vehicle, and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to a smart home server, Another effect is that the user can control devices in the home from the outsi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이터의 주소록을 나타내기 위한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이터의 일정을 나타내기 위한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스템에서 동작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vehic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ddress book of mobil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n embodiment for indicating a schedule of mobil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차량정보 단말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vehicle information system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are configured to operate the vehicle system.

차량정보 단말기(100)에는 차량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통신 및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제1 USIM부(110), 차량정보 단말기(100)의 각각의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부(120), 모바일 단말기(200) 또는 외부기기(미도시) 등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 통신부(130), 차량 또는 차량정보 단말기(100)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차량 데이터 저장부(140), 모바일 단말기(200)와의 동기화에 의해 수신되는 모바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 모바일 데이터 저장부(150), 제1 모바일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된 모바일 데이터에서 모바일 POI를 추출하기 위한 POI 추출부(160) 및 POI 추출부에서 추출된 모바일 POI를 저장하기 위한 모바일 POI 저장부(170)를 포함한다.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USIM unit 110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and authentication according to information of a vehicle user, a first control unit 120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configurations of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A vehicle communication unit 130 for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200 or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a first vehicle data storage unit 140 for storing data generated by the vehicle or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A first mobile data storage unit 150 for storing mobile data received by synchronization with the terminal 200, a POI extracting unit 150 for extracting a mobile POI from mobile data stored in the first mobile data storage unit 150 And a mobile POI storage unit 170 for storing the mobile POI extracted by the POI extracting unit.

모바일 단말기(200)에는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통신 및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제2 USIM부(210), 모바일 단말기(200)의 각각의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제어부(220), 차량정보 단말기(100) 또는 외부기기(미도시) 등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통신부(230),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2 모바일 데이터 저장부(240) 및 차량정보 단말기(100)와의 동기화에 의해 수신되는 차량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2 차량 데이터 저장부(250)를 포함한다.The mobile terminal 200 includes a second USIM unit 210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and authentication according to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er, a second controller 220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configurations of the mobile terminal 200, A mobile communication unit 230 for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100 or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a second mobile data storage unit 240 for storing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terminal 200, And a second vehicle data storage unit 250 for storing the vehicle data received by synchronization with the vehicle data storage unit 100. [

차량정보 단말기(100)에 포함된 제1 USIM부(110)와 모바일 단말기(200)에 포함된 제2 USIM부(210)에 각각 삽입되는 USIM 카드는 동일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USIM 카드이며, 상호 동일한 사용자임을 인증할 수 있는 수단이 포함되어 있다.The USIM card inserted in the first USIM unit 110 included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and the second USIM unit 210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are USIM cards corresponding to the same user, And means for authenticating the user is included.

따라서, 차량정보 단말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는 각각 단말기에 구비되는 USIM 카드를 구비하는 제1 USIM부(110)와 제2 USIM부(210)의 상호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200)에 저장된 인증서(미도시) 등의 금융정보도 함께 동기화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can perform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the first USIM unit 110 and the second USIM unit 210, respectively, Financial information such as a certificate (not shown) stored in the terminal 200 may b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따라서 각각 USIM 카드를 구비하는 제1 USIM부(110)와 제2 USIM부(210)는 상호 인증을 수행한 이후, 각각의 제1 제어부(120) 및 제2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USIM 카드 내에 포함된 데이터를 동기화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USIM unit 110 and the second USIM unit 210, each having a USIM card, perform mutual authentication, and then, under the control of each of the first control unit 12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220, It can synchronize the data contained in the card or transmit the data.

차량 통신부(130)와 모바일 통신부(230)는 각각의 제1 USIM부(110) 및 제2 USIM부(210)의 인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 동기화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통신은 무선으로 수행되며, 전화망 또는 데이터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통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13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23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of the first USIM unit 110 and the second USIM unit 210 to perform data synchronization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he communication is performed wirelessly and is preferably performed through one or more communication networks of a telephone network or a data network.

제1 제어부(120) 및 제2 제어부(220)는 차량정보 단말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 간의 인증 수행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서로 간의 데이터를 동기화하거나 선택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동기화되는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 주소록, 일정, 명함정보, SNS 정보, 단문 문자메시지, 멀티미디어 문자메시지, 검색어 정보, GPS 위치정보,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음악, 동영상, 금융정보 또는 통화내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차량정보 단말기에 저장된 차량 위치 정보, 차량 상태 현황, 차량 정비 내역, 블랙박스/CCTV 영상 정보, 차량 설정 정보, 지도 정보, 경로탐색 정보, 멀티미디어 콘텐츠, 사용자 POI 정보 및 주행기록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first control unit 120 and the second control unit 220 synchronize data or transmit and receive selected data when the authentication betwee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is completed. The data to be synchronized may be any of a phone number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an address book, a schedule, business card information, SNS information, a short text message, a multimedia text message, search word information, GPS position information, application data, music,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the vehicle maintenance history, the black box / CCTV image information, the vehicle setting information, the map information, the route search information, the multimedia contents, the user POI information, and the driving record And < / RTI > information.

동기화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200)의 제2 모바일 데이터 저장부(240)에 저장된 모바일 데이터는 차량정보 단말기(100)의 제1 모바일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되며, 차량정보 단말기(100)의 제1 차량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된 차량 데이터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제2 차량 데이터 저장부(250)에 저장된다.The mobile data stored in the second mobile data storage unit 240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stored in the first mobile data storage unit 150 of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The vehicle data stored in the first vehicle data storage unit 140 is stored in the second vehicle data storage unit 250 of the mobile terminal 100.

차량정보 단말기(100)의 POI 추출부(160)는 제1 모바일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된 모바일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바일 POI를 추출한다. 모바일 POI의 추출은 차량정보 단말기(100)에서 경로탐색 등의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에 사용되기 위한 POI를 추출하는 것이며, 차량정보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차량 POI는 제1 차량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되며, 제1 모바일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된 모바일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출된 모바일 POI는 모바일 POI 저장부(170)에 저장된다.The POI extracting unit 160 of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extracts the mobile POI using the mobile data stored in the first mobile data storage unit 150. [ The extraction of the mobile POI is to extract a POI to be used in the case of performing a search such as a route search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The vehicle POI generated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vehicle data storage 140, and the mobile POI extracted using the mobile data stored in the first mobile data storage unit 150 is stored in the mobile POI storage unit 170.

모바일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모바일 POI는 모바일 데이터의 주소록(연락처) 내에 저장된 이름, 전화번호, 주소 등을 이용하여 이름을 기반으로 모바일 POI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모바일 POI 저장부(170)에 저장되며, 차량정보 단말기(100)에서 경로탐색을 위한 목적지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모바일 POI로 저장된 이름을 검색하면 관련된 이름의 주소에 대응하는 경로탐색을 위한 목적지가 설정되어 경로가 탐색된다.The mobile POI extracted from the mobile data can extract the mobile POI based on the name using the name, telephone number, address, etc. stored in the address book (contact) of the mobile data. Thereafter, when the destination search is performed for the route search in the mobile POI storage unit 170 and the name stored in the mobile POI is searched, the route search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of the related name is performed The destination is set and the route is searched.

또한, 모바일 POI 저장부(170)에는 모바일 단말기(200)에 저장된 일정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된 모바일 POI가 저장되어 있다. 일정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된 모바일 POI는 해당 일정 정보에 포함된 약속장소 또는 일정 내용을 추출하여 POI로 생성한 것으로, 일정 정보 내의 위치 또는 상대방 이름 등을 추출하여 모바일 POI로 설정된다.In addition, the mobile POI storage unit 170 stores the mobile POI extracted using the schedule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 The mobile POI extracted by using the schedule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appointment place or schedule contents included in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generated by the POI. The mobile POI is extracted by extracting the location or the name of the other party in the schedule information.

한편, 차량정보 단말기(100)에 구비된 제1 제어부(120)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모바일 데이터에서 일정 또는 이메일 등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일정이나 이메일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차량정보 단말기(100)의 제1 차량 데이터 저장부(140)는 관련된 모바일 데이터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ntroller 120 provided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outputs a schedule or e-mail from the mobile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schedule, e-mail, , And the first vehicle data storage unit 140 of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rogram capable of executing related mobile data.

또한, 차량정보 단말기(100)의 제1 제어부(120)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모바일 데이터 내의 금융정보를 이용하여 금융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부(120)는 제1 USIM부(110)에 삽입된 사용자의 USIM 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the first controller 120 of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can perform financial transactions using the financial information in the mobile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 unit 120 preferably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using the USIM card inserted into the first USIM unit 110.

또한, 제1 제어부(12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차량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를 수행한다. 차량 제어는 모바일 단말기(200) 내의 제2 USIM부(210)에 삽입된 USIM 카드의 인증정보가 차량정보 단말기(100) 내의 제1 USIM(110)부에 삽입된 USIM 카드와 상호 인증된 경우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control unit 120 receives the vehicle control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the first control unit 120 performs vehicle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control data. Vehicle control is performed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IM card inserted in the second USIM unit 210 in the mobile terminal 200 is mutually authenticated with the USIM card inserted in the first USIM 110 unit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

이때, 차량 제어 데이터는 차량의 시동을 ON/OFF 할 수 있는 데이터, 차량의 문을 OPEN/CLOSE 할 수 있는 데이터, 차량 및 시트 등의 냉난방 기기를 ON/OFF 할 수 있는 데이터, 차량 조명장치를 ON/OFF 할 수 있는 데이터 및 차량 도난방지장치를 ON/OFF 할 수 있는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ehicle control data includes data that can turn ON / OFF the vehicle, data that can open / close the door of the vehicle, data that can turn ON / OFF the heating and heating devices such as vehicle and seat, Data that can be turned ON / OFF, data that can turn on / off the vehicle anti-theft device, and the like.

또한, 제1 제어부(120)는 차량정보 단말기(100) 내의 제1 USIM부(110)에 삽입된 USIM 카드를 사용하여 스마트홈 서버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에 따라 스마트홈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으며, 차량정보 단말기(100)가 스마트홈 서버에 연결되는 경우, 댁내 주차장 출입문의 OPEN/CLOSE 할 수 있는 데이터, 댁내 냉난방기기의 ON/OFF를 할 수 있는 데이터 및 댁내 조명장치의 ON/OFF를 할 수 있는 데이터 등을 전송한다. 이때, 각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마트홈 서버는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120 can be connected to the smart home network by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on the smart home server using the USIM card inserted in the first USIM unit 110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When the information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smart home server, data that can be opened / closed at the entrance / exit of the parking lot of the premises, data capable of turning on / off the home heating / cooling apparatus, Data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smart home server receiving each data can perform corresponding control.

이러한 모바일 POI를 설정하기 위한 주소록 또는 일정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An address book or schedule for setting such a mobile POI can be shown as shown in FIGS. 3 and 4.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이터의 주소록을 나타내기 위한 실시예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이터의 일정을 나타내기 위한 실시예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200)에 저장된 주소록(연락처)에는 이름, 회사명, 휴대전화번호, 전화번호, 우편번호 및 주소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정보에서 이름, 회사명, 주소 등을 추출하여 모바일 POI를 생성한다.FIG. 3 is an embodiment for showing an address book of mobil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mbodiment for showing a schedule of mobil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nformation such as a name, a company name, a mobile phone number, a telephone number, a postal code, and an address is stored in the address book (contact)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Name, address, and so on to generate a mobile POI.

예를 들어, 도 3의 주소록을 이용하여 모바일 POI를 생성한 후, 차량정보 단말기(100)에서 경로탐색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지를 검색하는 경우, '홍길동'이란 사람의 이름을 입력하는 경우, 대응하는 '서울시 중구 신당동 1111-111'이 목적지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가나다전자'라는 회사명을 입력하는 경우, 대응하는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777-77'이 목적지로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searching for a destination for performing a route search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after generating a mobile POI using the address book of FIG. 3, when a name of a person named 'Hong Gil Dong' 'Shinseangdong 1111-111, Jung-gu, Jung-gu, Seoul' may be set as a destination, and when the company name 'Ganada Electronics' is input, the corresponding '777-77 Yeoksam-dong, Gangnam-gu, Seoul' may be set as a destination.

한편, '가나다전자'라는 회사명을 입력하는 경우, 생성된 모바일 POI에서 검색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차량정보 단말기(100)의 제1 차량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된 차량 POI에서도 검색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entering the company name 'Ganada Electronics', it is possible to derive the search result from the generated mobile POI, and also the search result from the vehicle POI stored in the first vehicle data storage unit 140 of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Can be derived.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200)에 저장된 일정 정보에는 날짜, 시간, 장소, 내용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정보에서 날짜, 시간, 장소, 내용 등을 추출하여 모바일 POI를 생성한다.4, information such as date, time, place, and content is stored in the schedule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date, time, place, and contents are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Create a POI.

예를 들어, 도 4의 일정을 이용하여 모바일 POI를 생성한 후, 차량정보 단말기(100)에서 경로탐색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지를 검색하는 경우, 검색어로 '날짜(2013.10.2)'를 입력하면, 2013년 10월 2일에 대응하는 일정인 GS타워 및 종로 보신각이 검출되고, 검출된 항목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항목을 목적지로 설정하여 경로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mobile information terminal 100 searches for a destination for performing a route search after generating the mobile POI using the schedule shown in FIG. 4, if the 'date 2013.10.2' is input as a search term , GS tower and Jongno bosung angle corresponding to October 2, 2013 are detected, and the route search can be performed by setting an item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detected items as a destination.

한편, 검색어로 시간 POI를 입력하는 경우(일정에 대응하는 시간을 입력할 수 있으며, 오후 3시부터 오후 5시까지 등의 시간범위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시간(14:00)'에 따라 '일산 킨텍스'가 목적지로 설정되어 경로가 탐색되며, 시간범위 POI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시간범위(18:00~20:00)'에 따라 '종로 보신각' 및 '용산역 영화관'이 검출되고, 검출된 항목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항목을 목적지로 설정하여 경로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time POI is input as a search term (a time corresponding to a schedule can be input and a time range from 3:00 pm to 5:00 pm can be input) ',' Ilsan Kintex 'is set as the destination and the route is searched. When the time range POI is inputted,' Jongno Boseonggak 'and' Yongsan Station Cinema 'according to the inputted' time range (18: 00 ~ 20: 00) And the path search can be performed by setting an item selected by the user as a destination among the detected items.

또한, 검색어로 일정내용을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여행'에 따라 '설악산'이 목적지로 설정되어 경로가 탐색된다.In addition, when the contents of a schedule are inputted by a search word, 'Mt. Seolak' is set as a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inputted 'travel', and the route is searched.

이러한 모바일 POI에 의한 POI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 검색된 모바일 POI를 목적지로 설정하여 경로탐색을 바로 수행할 수 있으며, 검색된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고, 사용자의 목적지 설정 명령입력에 따라 선택된 모바일 POI를 목적지로 설정하여 경로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the POI search by the mobile POI, the retrieved mobile POI can be set as a destination and the route search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The retrieved result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selected mobile POI is transmitted to the destination The path search can be performed.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모바일 데이터에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200)에서 검색을 위해 입력한 검색어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검색어 리스트에서 모바일 POI가 추출되어 모바일 POI 저장부(170)에 저장된다. 검색어에 따른 모바일 POI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200)를 사용하여 검색한 여행지, 맛집, 랜드마크 등에 의해 추출되며, 해당 여행지, 맛집, 랜드마크 등을 검색하는 경우에는 검색어 리스트를 이용하여 생성된 모바일 POI가 검색 결과로 도출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obile data includes a list of search terms that the user has input for search in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mobile POI is extracted from the search word list and stored in the mobile POI storage unit 170. The mobile POI according to a search term is extracted by a travel destination, a restaurant, a landmark, etc., which the user has searched for using the mobile terminal 200, and when searching for a travel destination, a restaurant, a landmark, The POI can be derived as a search result.

추가적으로 모바일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음악, 동양상)는 차량정보 단말기(100)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인증서 등을 포함하는 금융정보에 따라 차량 운행에 따른 통행요금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media contents stored in the mobile data storage unit 150 may be executed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and may be settled according to the financial information including the certificate and the like .

통행요금 결제는 차량정보 단말기(100)에 구비된 제1 USIM부(110)와 제1 모바일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된 금융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된다.The toll payment is settled using the financial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USIM unit 110 and the first mobile data storage unit 150 provided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실행 또는 자동 실행에 따라 차량정보 단말기(100)의 제1 USIM부(110) 및 모바일 단말기(200)의 제2 USIM부(210)에 각각 삽입된 USIM 카드에 의해 차량정보 단말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가 상호 인증을 수행한다(S105).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IM card inserted in the first USIM unit 110 of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and the second USIM unit 210 of the mobil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execution or automatic execution of the user,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perform mutual authentication (S105).

상호 인증은 사용자가 인증코드 또는 패스워드 등의 식별자를 입력하고, 입력된 식별자를 상호 확인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제1 USIM부(110) 및 제2 USIM부(210)의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mutual authentication, a user inputs an identifier such as an authentication code or a password, verifies mutually the identifiers inputted, and performs authentication. In the mutual authentication, the first USIM unit 110 and the second USIM unit 210 So that the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이때, 제1 USIM부(110) 및 제2 USIM부(210)에 각각 삽입된 USIM 카드가 동일한 사용자의 것이 아닌 경우, 동일한 사용자의 것이지만 상호 인증을 위한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인증이 수행되지 않는다.At this time, if the USIM card inserted in the first USIM unit 110 and the second USIM unit 210 are not the same user, if they are the same user but are not set for mutual authentication, the authentication is not performed Do not.

한편, 해당 사용자가 아닌, 타 사용자가 보유한 상호 인증을 위한 설정이 완료된 각각의 USIM 카드를 제1 USIM부(110)와 제2 USIM부(210)에 각각 삽입되는 경우, 해당 타 사용자에 대응하여 인증을 수행한다.Meanwhile, when each USIM card that has been set up for mutual authentication held by another user but not the us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USIM unit 110 and the second USIM unit 210, Authentication is performed.

따라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차량의 경우, 차량 사용자에 대응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USIM 카드와 이에 매칭하는 차량 USIM 카드를 이용하여 차량정보 단말기(100)를 사용할 수 있으나, 해당 USIM 카드에 대응하여 동기화되거나 저장된 차량 데이터 및 모바일 데이터에만 접근이 가능하며, 타 사용자의 USIM 카드 인증에 따라 동기화되거나 저장된 차량 데이터 및 모바일 데이터에는 접근이 불가능하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a publicly used vehicle,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can be used by using the USIM card of the mobi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user and the vehicle USIM card matching therewith, but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can be synchronized or stored Only vehicle data and mobile data can be accessed, and access to synchronized or stored vehicle data and mobile data is impossible according to USIM card authentication of other users.

S105 단계에서 차량정보 단말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 간의 상호 인증이 완료된 경우(S110), 차량정보 단말기(100)의 제1 차량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된 차량 데이터와 모바일 단말기(200)의 제2 모바일 데이터 저장부(240)에 저장된 모바일 데이터가 상호 동기화 또는 데이터를 전송한다(S115).When the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is completed in step S105 (S110), the vehicle data stored in the first vehicle data storage unit 140 of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data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The mobile data stored in the second mobile data storage unit 240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synchronizes or transmits data (S115).

이후, 모바일 단말기(200)의 제2 모바일 데이터 저장부(240)에 저장된 모바일 데이터가 차량정보 단말기(100)의 제1 모바일 데이터 저장부(140)에 동기화 또는 저장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S120).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obile data stored in the second mobile data storage unit 240 of the mobile terminal 200 has been synchronized or stored in the first mobile data storage unit 140 of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S120) .

S120 단계에서 모바일 데이터의 동기화 또는 전송이 완료된 경우, 차량정보 단말기(100)의 POI 추출부(160)는 모바일 데이터가 저장된 제1 모바일 데이터 저장부(140)에 저장된 모바일 데이터에서 모바일 POI를 추출하고(S125), 추출된 모바일 POI는 모바일 POI 저장부(170)에 저장한다(S130).When synchronization or transmission of the mobile data is completed in step 120, the POI extracting unit 160 of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extracts the mobile POI from the mobile data stored in the first mobile data storage unit 140 storing the mobile data (S125), and stores the extracted mobile POI in the mobile POI storage unit 170 (S130).

다음으로 차량정보 단말기(100)에서 경로탐색 또는 정보 검색을 위해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모바일 POI 저장부(170)에 저장된 모바일 POI를 포함하여 검색을 수행하며(S140), 입력된 검색어에 매칭하는 모바일 POI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모바일 POI가 경로탐색일 경우에는 목적지로 설정되며, 정보 검색인 경우에는 관련 정보를 출력한다(S145).Next, when a search word is input for the path search or the information search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the search is performed including the mobile POI stored in the corresponding mobile POI storage unit 170 (S140) If the mobile POI exists, the mobile POI is set as a destination when the mobile POI is a route search, and the related information is output when the mobile POI is an information search (S145).

S145 단계에서 모바일 POI가 목적지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모바일 POI로의 경로안내를 수행한다.If the mobile POI is set as the destination in step S145, the route guide to the mobile POI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스템에서 동작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정보 단말기(100)는 외부기기인 모바일 단말기(200), 스마트홈 서버(300), 금융기관 서버(400) 등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연결은 차량정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 제1 USIM부(110)에 삽입된 USIM 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ehic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mobile terminal 200, a smart home server 300, a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400, and the like, 100 by using the USIM card inserted in the first USIM unit 110.

특히, 차량정보 단말기(100)가 모바일 단말기(200)와 연결되는 경우, 연결을 위한 사용자 인증은 차량정보 단말기(100)의 제1 USIM부(110)에 삽입된 USIM 카드와 모바일 단말기(200)의 제2 USIM부(210)에 삽입된 USIM 카드가 상호 인증을 수행하여 동일한 사용자임이 확인됨에 따라 인증이 완료되는 특징이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user authentication for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USIM card inserted in the first USIM unit 110 of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The USIM card inserted in the second USIM unit 210 of the first SIM card 210 performs mutual authentication and is confirmed to be the same user.

한편, 차량정보 단말기(100)와 모바일 단말기(200)의 상호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차량정보 단말기(100)에 저장된 차량 데이터와 모바일 단말기(200)에 저장된 모바일 데이터는 상호 전송되거나 동기화되어, 각각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when mutual authentication of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is completed, the vehicle data stored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and the mobile data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are transmitted or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Can be used.

이때,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는 금융정보가 포함되며, 차량정보 단말기(100)는 수신한 금융정보를 이용하여 금융거래를 수행하되, 사용자 인증은 차량정보 단말기(100)의 제1 USIM부(110)에 삽입된 USIM 카드를 이용한다.At this time,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includes financial informatio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carries out a financial transaction using the received financial information, The USIM card inserted in the USIM unit 110 is used.

또한, 차량정보 단말기(100)는 인증이 완료된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차량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를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receives the vehicle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vehicle from the authenticated mobile terminal 200,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performs vehicle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control data.

또한, 차량정보 단말기(100)는 차량 통신부(130)를 이용하여 스마트홈 서버(300)에 연결할 수 있으며, 스마트홈 서버(300)에 연결되기 위한 사용자 인증은 차량정보 단말기(100)의 제1 USIM부(110)에 삽입된 USIM 카드를 이용한다.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smart home server 300 using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130 and the user authentication to be connected to the smart home server 300 may be performed by the first The USIM card inserted in the USIM unit 110 is used.

차량정보 단말기(100)와 스마트홈 서버(300)가 상호 인증되어 연결되는 경우, 차량정보 단말기(100) 내의 제1 제어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댁내 주차장 출입문의 OPEN/CLOSE, 댁내 냉난방기기의 ON/OFF 및 댁내 조명장치의 ON/OFF 등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스마트홈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스마트홈 서버(300)는 해당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에 맞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and the smart home server 300 are mutually authenticat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control unit 120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can open / close the entrance / The smart home server 300 can generate control data such as ON / OFF of the home lighting device and ON / OFF of the home lighting device, and transmit the control data to the smart home server 300. The smart home server 300 can receive the control data, have.

더욱이 차량정보 단말기(100)는 모바일 단말기(200), 스마트홈 서버(300), 금융기관 서버(400) 이외에도 다른 외부기기에 연결되어, 모바일 단말기(200)와 동기화된 모바일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명령을 수행할 수 있으며, 차량정보 단말기(100) 내의 차량 데이터 등을 전송하여, 외부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other external devices in addition to the mobile terminal 200, the smart home server 300, and the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400, and transmits a user command using mobile data synchronized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And may transmit vehicle data or the like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00 to perform a user command using an external device.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100 : 차량정보 단말기 110 : 제1 USIM부
120 : 제1 제어부 130 : 차량 통신부
140 : 제1 차량 데이터 저장부 150 : 제1 모바일 데이터 저장부
160 : POI 추출부 170 : 모바일 POI 저장부
200 : 모바일 단말기 210 : 제2 USIM부
220 : 제2 제어부 230 : 모바일 통신부
240 : 제2 모바일 데이터 저장부 250 : 제2 차량 데이터 저장부
300 : 스마트홈 서버 400 : 금융기관 서버
100: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110: first USIM section
120: first control unit 130:
140: first vehicle data storage unit 150: first mobile data storage unit
160: POI extracting unit 170: Mobile POI storing unit
200: mobile terminal 210: second USIM section
220: second control unit 230: mobile communication unit
240: second mobile data storage unit 250: second vehicle data storage unit
300: smart home server 400: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Claims (15)

차량정보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 운영방법에 있어서,
차량정보 단말기 내의 제1 USIM부와 모바일 단말기 내의 제2 USIM부가 무선통신에 의해 상호 인증하는 제1 단계;
상기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차량정보 단말기 내의 차량 데이터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 내의 모바일 데이터가 상호 동기화되는 제2 단계;
상기 차량정보 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모바일 데이터에서 모바일 POI를 생성하는 제3 단계; 및
추출된 상기 모바일 POI를 상기 차량정보 단말기 내의 모바일 POI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정보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 운영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between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A first step of mutually authenticating a first USIM part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a second USIM part in the mobile terminal by wireless communication;
A second step of synchronizing the vehicle data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data in the mobile terminal with each other when th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A third step of generating a mobile POI from the mobile data transmitted to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And storing the extracted mobile POI in a mobile POI storage unit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 USIM synchronized with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 단말기에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차량정보 단말기 내의 상기 모바일 POI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POI를 포함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 운영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fth step of performing a search including the POI stored in the mobile POI storage unit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when the search word is input to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데이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된 주소록, 일정, 명함정보, SNS 정보, 단문 문자메시지, 멀티미디어 문자메시지, 검색어 정보, GPS 위치정보,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음악, 동영상, 금융정보 또는 통화내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 운영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ddress book, a schedule, business card information, SNS information, a short text message, a multimedia text message, search word information, GPS position information, application data, music, video, financial information,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POI는 상기 제1 USIM부 또는 상기 제2 USIM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USIM 식별자를 상기 모바일 POI의 POI 식별자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 운영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bile POI sets the USIM identifier of the first USIM unit or the second USIM unit as the POI identifier of the mobile POI in the third step, A method of operating a used vehicle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POI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기 모바일 POI는 상기 모바일 POI의 POI 식별자와 상기 제1 USIM부와 상기 제2 USIM부의 USIM 식별자를 비교하여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에만 사용되며, 이외의 USIM부가 삽입되어 상기 POI 식별자와 상기 USIM 식별자가 인증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POI로의 접근이 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 운영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obile POI stored in the mobile POI storage unit is used only when authentication is completed by comparing the POI identifier of the mobile POI with the USIM identifier of the first USIM unit and the USIM identifier of the second USIM unit, Wherein the access to the mobile POI is controlled when the POI identifier and the USIM identifier are not authentic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모바일 데이터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1 차량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정보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 운영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step further comprises extracting multimedia contents from the mobile data and storing the extracted multimedia contents in a first vehicle data storage unit, and using the USIM synchroniz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차량정보 단말기와 모바일 단말기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의 차량정보 단말기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 또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 통신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제2 모바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모바일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기 위한 제1 모바일 데이터 저장부;
상기 제1 모바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모바일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바일 POI를 생성하기 위한 POI 추출부;
상기 POI 추출부에서 생성한 모바일 POI를 저장하기 위한 모바일 POI 저장부;
상기 차량정보 단말기의 차량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차량 데이터 저장부;
USIM 카드를 삽입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USIM 카드와 상호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제1 USIM부;
상기 모바일 데이터 또는 상기 차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부; 및
상기 차량정보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바일 단말기와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의 차량정보 단말기.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of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between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A vehicle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mobile terminal or an external device;
A first mobile data store for receiving and storing mobile data stored in a second mobile data store of the mobile terminal;
A POI extraction unit for generating a mobile POI using the mobile data stored in the first mobile data storage unit;
A mobile POI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obile POI generated by the POI extraction unit;
A first vehicle data storage for storing vehicle data of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 first USIM unit for inserting a USIM card and performing mutual authentication with the USIM card of the mobile terminal;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using the mobile data or the vehicle data;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screen generated by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Where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is a USIM synchronized with the mobile termin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SIM부에 삽입된 USIM 카드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제2 USIM부에 삽입된 USIM 카드가 상호 인증하여, 동일한 사용자의 USIM 카드가 확인되면, 상기 차량정보 단말기의 차량 데이터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모바일 데이터를 상호 전송 또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와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의 차량정보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USIM card inserted into the first USIM unit and the USIM card inserted into the second USIM unit of the mobile terminal mutually authenticate and the USIM card of the same user is confirmed, And synchronizing the mobile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데이터는 차량 위치 정보, 차량 상태 현황, 차량 정비 내역, 블랙박스/CCTV 영상 정보, 차량 설정 정보, 지도 정보, 경로탐색 정보, 멀티미디어 콘텐츠, 사용자 POI 정보 또는 주행기록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데이터는 주소록, 일정, 이메일, 명함정보, SNS 정보, 단문 문자메시지, 멀티미디어 문자메시지, 검색어 정보, GPS 위치정보,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음악, 동영상, 금융정보 또는 통화내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와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의 차량정보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vehicle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vehicle condition information, vehicle maintenance information, black box / CCTV image information, vehicle setting information, map information, route search information, multimedia contents, user POI information, And the mobile data is at least one of an address book, a schedule, an e-mail, business card information, SNS information, a short text message, a multimedia text message, search word information, GPS position information, application data, music,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of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with a mobile termi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 단말기의 상기 제1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모바일 데이터의 상기 일정 또는 상기 이메일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와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의 차량정보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of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outputs the schedule or the e-mail of the received mobile data to the display unit using the USIM synchroniz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 단말기의 상기 제1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모바일 데이터의 금융정보를 이용하여 금융거래를 수행하되, 상기 제1 USIM부에 삽입된 USIM 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와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의 차량정보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controller of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performs a financial transaction using financial information of the received mobile data and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using a USIM card inserted in the first USIM unit.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of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with termi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 단말기의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차량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와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의 차량정보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of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receives vehicle control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performs vehicle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control dat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는 상기 차량 제어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 내의 제2 USIM부에 삽입된 USIM 카드와 상기 차량정보 단말기 내의 상기 제1 USIM부에 삽입된 USIM 카드가 상호 인증된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와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의 차량정보 단말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vehicle control is performed when the USIM card inserted in the second USIM unit 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USIM card inserted in the first USIM unit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included in the vehicle control data are mutually authenticated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of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with a mobile termina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데이터는 차량의 시동 ON/OFF, 차문 OPEN/CLOSE, 차량 및 시트의 냉난방 ON/OFF, 차량 조명장치 ON/OFF 또는 차량 도난방지장치 ON/OFF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와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의 차량정보 단말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vehicle control dat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control data is for performing at least one of ON / OFF of the vehicle, ON / OFF of the vehicle door, cooling / heating ON / OFF of the vehicle and seat, ON / OFF of the vehicle lighting device, A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of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with a mobile termin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차량정보 단말기 내의 상기 제1 USIM부에 삽입된 USIM 카드를 사용하여 스마트홈 서버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에 따라 스마트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댁내 주차장 출입문의 OPEN/CLOSE, 댁내 냉난방기기의 ON/OFF 또는 조명장치의 ON/OFF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스마트홈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홈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와의 USIM 동기화를 이용한 차량 시스템의 차량정보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control unit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to the smart home server using the USIM card inserted in the first USIM unit in th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thereby being connected to the smart home network to open / close the indoor parking lot door, Wherein the smart home control data is transmitted to the smart home server, the smart home control data being used to perform at least one of ON / OFF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N / OFF of the illumination device, .
KR1020130131990A 2013-11-01 2013-11-01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of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KR2015005083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990A KR20150050838A (en) 2013-11-01 2013-11-01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of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990A KR20150050838A (en) 2013-11-01 2013-11-01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of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838A true KR20150050838A (en) 2015-05-11

Family

ID=53388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990A KR20150050838A (en) 2013-11-01 2013-11-01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of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083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230A1 (en) * 2015-05-13 2016-11-17 Lg Electronics In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189877A1 (en) * 2019-03-21 2020-09-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oving vehicle control method and device utilizing identification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0049A (en) * 2005-02-07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haring sim car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00062699A (en) * 2008-12-02 2010-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Wireless sharing apparatus for car
KR20120053895A (en) * 2010-11-18 2012-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ultimedia system of vehicle using portable terminal equipment
KR20120082980A (en) * 2011-01-17 2012-07-25 크로시스(주) Method of synchronizing a personal information for different types terminal and sever system thereof
KR101232640B1 (en) * 2011-10-05 2013-02-13 유비벨록스(주) Method for setting customized vehicle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0049A (en) * 2005-02-07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haring sim car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00062699A (en) * 2008-12-02 2010-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Wireless sharing apparatus for car
KR20120053895A (en) * 2010-11-18 2012-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ultimedia system of vehicle using portable terminal equipment
KR20120082980A (en) * 2011-01-17 2012-07-25 크로시스(주) Method of synchronizing a personal information for different types terminal and sever system thereof
KR101232640B1 (en) * 2011-10-05 2013-02-13 유비벨록스(주) Method for setting customized vehicle environ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230A1 (en) * 2015-05-13 2016-11-17 Lg Electronics In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01034B2 (en) 2015-05-13 2017-10-24 Lg Electronics In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189877A1 (en) * 2019-03-21 2020-09-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oving vehicle control method and device utilizing identific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2706B2 (en) Secure NFC data authentication
EP2765807B1 (en) Undesired NFC pairing
US20180174384A1 (en) Time-Limit Door Access Control Management System With Guest Authentication, And Method Thereof
US98200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sharing
US10891599B2 (en) Use of state objects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ransactions
US1055515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secure data package to a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location
AU20133066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transaction request from device
CN104050510A (en) Intelligent room reservation system based on mobile terminal
CN105592146A (en) Equipment control method, device and terminal
CN103984579A (en) Method for multiple equipment rooms to share current application program real-time running state
CN107038490B (en) Self-service booking system based on third-party Internet platform and working method thereof
EP3139319A1 (en) Service providing device for cancelling ticket, ticket cancel guide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CN103914772A (en) Wireless authenticatio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mobile payment
Saparkhojayev et al. NFC-enabled access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JP2010033193A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server device
KR101660674B1 (en) an NFC mobile phone ID card certification system by the using of HCE function
CN108282471B (en) Electronic certificate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CN104200410A (e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hotel room card system and use method thereof
US20200128395A1 (en) Reader device with sensor streaming data and methods
CN106856585A (en) Set up the method and device of short-distance wireless passage
US9769656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50050838A (en)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of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KR102652762B1 (en) Method for Providing Simple Registration by using Banking Application Linked by Page
JP2023139245A (en) Radio connection system,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device and radio connection method
KR102001607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ity service using position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