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640B1 - Method for setting customized vehicle environment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tting customized vehicle environ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640B1
KR101232640B1 KR1020110101038A KR20110101038A KR101232640B1 KR 101232640 B1 KR101232640 B1 KR 101232640B1 KR 1020110101038 A KR1020110101038 A KR 1020110101038A KR 20110101038 A KR20110101038 A KR 20110101038A KR 101232640 B1 KR101232640 B1 KR 101232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usim
sett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0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
Original Assignee
유비벨록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비벨록스(주) filed Critical 유비벨록스(주)
Priority to KR1020110101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6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6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setting up a customized vehicle environment is provided to automatically manage conditions of vehicle instruments in a vehicle and to automatically perform configuration. CONSTITUTION: A vehicle management server confirms that received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each user is defined for a per-vehicle instrument(S140).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stores a per-user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information after matching with configuration information(S150).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receives request of configuration from an arbitrary user's portable terminal.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reads out correspond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the stor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rbitrary user(S160).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read out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a vehicle terminal. The vehicle terminal applies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to the vehicle instrument managed by oneself(S170). [Reference numerals] (S110) Step of recognizing USIM information; (S120) Step of generating setting information on vehicle instruments; (S130) Step of transmitting the USIM information and the setting information; (S140) Step of implementing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the USIM information; (S150) Step of matching and storing USIM and setting information of each user; (S160) Step of reading out and transmitting setting information of a specific user; (S170) Step of applying the read out setting information to the vehicle instruments

Description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SETTING CUSTOMIZED VEHICLE ENVIRONMENT}How to set up your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METHOD FOR SETTING CUSTOMIZED VEHICLE ENVIRONMENT}

본 발명은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에 설치된 차량 기기를 사용자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도 차량 기기를 자동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tting a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setting a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for automatically setting a vehicle device without a direct contact of a vehicle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여러 개의 차량 기기들이 구비되고 있는데, 이러한 차량 기기들을 각각 조작하거나 구동시키기 위하여 전자적인 제어 또는 기계적인 제어가 가능한 환경으로 이루어져 있었다.In general,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hicle devices, in order to operate or drive each of the vehicle devices, an electronic control or a mechanical control is possible.

이에 더하여, 최근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IT 기술을 자동차에 접목하여 무선적으로 차량 기기의 일부를 원격 제어하려고 하는 시도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직접적인 핸들이나 브레이크 조작없이도, 차량 내에 있는 핸들 및 브레이크와 같은 차량 기기를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차량 외부에서 있는 차량 운전자가 차량 내의 핸들과 브레이크등을 원격으로 조정하고, 제어함으로써, 주차하고자 하는 위치에 자신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attempts are being made to remotely control a part of a vehicle device wirelessly by incorporating IT technology through a wireless network into a vehicle. For example, a vehicle driver outside the vehicle can remotely adjust and control steering wheels and brakes in a vehicle while the vehicle devices such as steering wheels and brakes in the vehicle are connected by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out direct steering or brake operation. In addition, they can park their vehicles at the location they want to park.

다른 예로서, 보편적으로 널리 알려진 차량 문을 개폐하기 위하여, 무선 키를 소유한 차량 운전자는 차량 외부에서 무선 신호를 차량 문으로 전송함으로써, 차량 문을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서도 차량 문을 자동적으로 개폐하게 되었다.As another example, in order to open and close a commonly known vehicle door, a vehicle driver possessing a wireless key transmits a radio signal to the vehicle door from outside the vehicle, thereby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vehicle door without directly touching the vehicle door. Was done.

위와 같은 예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다양한 형태의 무선 IT 기술이 차량 내의 차량 기기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데 활용되었으나, 이는 앞서 설명한 예와 같이 극히 제한된 경우에만 시도되었을 뿐, 아직까지는 미비한 수준에 불과하였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examples, various types of wireless IT technologies have been used to automatically control vehicle devices in a vehicle. However, this has been attempted only in extremely limited cases a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이러한 미비한 수준을 만회하기 위하여, 차량 내의 차량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차량 내에 제어 장치 또는 특유의 기능을 수행하고자 그에 맞는 장치를 차량내에 구비해 놓고, 그 장치(이하에서는 '차량 단말기'로 지칭되고 있음)들로 하여금 차량내의 각종 기기 또는 부품 상태(이하에서는 '차량 기기'로 지칭되고 있음)를 자동적으로 계측하고, 상태 관리하는 수준에서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제어 장치 또는 특유의 기능 수행을 위한 장치들은 스마트한 자동차를 실현하기 위하여 진일보한 기술을 실현하였으나 이는 무선 IT 기술을 접목하지 않고 있는 단점이 있었다.In order to make up for this insignificant level, in order to control vehicle devices in a vehicle, a control device or a device suitable f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is provided in the vehicle, and the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ehicle terminal') Have been developed to automatically measure and state-control the status of various devices or components in the vehi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vehicle devices'). Such control devices or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c functions have advanced technologies to realize a smart car, but this has a disadvantage of not using wireless IT technology.

이에 따라, IT 기술을 접목하면서도 스마트한 자동차를 실현하기 위한 여러 형태의 차량 기기에 대하여, 그에 맞는 환경 설정 구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various types of vehicle devices for realizing a smart car while incorporating IT technology are required to establish an environment setting corresponding thereto.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 인터넷 망 또는 근거리 통신, 예컨대 NFC 통신 기술을 차량 내의 차량 기기의 상태와 환경을 차량 외의 먼거리에서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ovides a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setting method for enabling wireless Internet network or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NFC communication technology, to set the state and environment of a vehicle device in a vehicle at a distance from a vehicle. The purpose is to provide.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와 서버를 구축하고, 이를 차량 내의 차량 기기들을 자동적으로 상태 관리하고, 환경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가 차량 내의 차량 기기들을 직접적인 조작없이도 상기 차량 기기에 맞는 차량 상태와 환경을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More specifically, a portable terminal and a server using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re built, and the vehicle devices in the vehicle can be automatically managed and configured so that the driver can fit the vehicle devices in the vehicle without direct manipulation. To provide a personalized vehicle configuration method that can automatically set the vehicle status and environment.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거리 통신, 예컨대 NFC 통신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와 차량내의 차량 단말기를 구축하고, 이를 차량 내의 차량 기기들을 자동적으로 상태 관리하고, 환경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차량 내의 차량 기기들을 직접적인 조작없이도 상기 차량 기기에 맞는 차량 상태와 환경을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more detail, a mobile terminal in a vehicle and a vehicle terminal in a vehicl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for example, NFC communication, may be constructed, and the vehicle devices in the vehicle may be automatically managed and configured in the driver's vehic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setting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a vehicle state and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vehicle device without direct manipulation.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차량의 차량 기기에 대하여 각 사용자마다 고유의 환경과 상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setting method for setting a unique environment and state for each user for a vehicle device of one vehicl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o perform the characteristic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a) USIM 메모리를 장착하여 상기 USIM 메모리에 저장된 USIM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식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 모델마다 설치된 차량 기기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상황에 맞는 환경과 상태를 수정한 결과로서 설정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USIM 정보와 설정 정보를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차량 관리 서버에서 사용자별로 상기 USIM 정보와 설정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USIM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의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별로 전송받은 설정 정보가 상기 차량 기기마다 정해진 정보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별 USIM 정보와 설정 정보를 일치시켜 저장하는 단계; (f) 임의의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설정 요청을 받으면 상기 임의의 사용자에 대응하여 상기 (e) 단계에서 저장된 정보 중 해당하는 설정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차량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설정 정보를 상기 차량 단말기에 의해 관리된 상기 차량 기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comprising: (a) mounting a USIM memory to recognize USIM information stored in the USIM memory in a portable terminal; (b) generating setting informa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as a result of modifying an environment and a state suitable for a user's situation by using state information of a vehicle device installed for each vehicle model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c) transmitting the USIM information and setting information to a vehicle management server; (d) receiving the USIM information and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from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and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the USIM information; (e)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step (d) is completed, confirming whether th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or each user is determined for each vehicle device, and storing the USIM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setting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ame; (f) when receiving a setting request from a portable terminal of an arbitrary user, reading corresponding setting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ep (e) and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setting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arbitrary user; And (g) applying th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to the vehicle device managed by the vehicle terminal.

여기서, 본 일 형태에 따른 상기 (b) 단계는, 상기 차량의 차량 단말기로부터 차량 기기에 맞는 상태 정보를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하여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도록 한다.Here, in the step (b)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is provided with the st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device from the vehicle terminal of the vehicle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따르면, (a) USIM 메모리를 장착하여 상기 USIM 메모리에 저장된 USIM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USIM 정보를 NFC 통신하여 상기 USIM 정보를 차량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차량 단말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USIM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차량 단말기에서 관리하고 있는 복수 개의 차량 기기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상황에 맞는 환경과 상태를 수정한 결과로서 설정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생성하는 단계; 및 (f) 생성된 상기 설정 정보를 수신한 상기 차량 단말기에서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차량 기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comprising: (a) mounting a USIM memory to recognize USIM information stored in the USIM memory in a portable terminal; (b) NFC communicating the USIM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ransmit the USIM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c)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at the vehicle terminal using the USIM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d) collecting the stat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vehicle devices managed by the vehicle terminal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and transmitting the state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e) generating setting informa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as a result of modifying an environment and a state suitable for the situation by using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terminal; And (f) applying the setting information to the vehicle device in the vehicle terminal having received the generated setting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형태에 따르면, (a) USIM 메모리를 장착하여 상기 USIM 메모리에 저장된 USIM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USIM 정보를 NFC 통신하여 상기 USIM 정보를 차량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차량 단말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USIM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차량 단말기에서 관리하고 있는 차량 기기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환경과 상태를 수정한 결과로서 설정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생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차량 단말기에서 생성된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차량 기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erforming a storage device, comprising: (a) mounting a USIM memory to recognize USIM information stored in the USIM memory in a portable terminal; (b) NFC communicating the USIM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ransmit the USIM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c)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at the vehicle terminal using the USIM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d)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vice managed by the vehicle terminal is collected, and the setting information is stored as a result of modifying the environment and state suitable for the user's situation by using the state information. Generating at the terminal; And (f) applying the setting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vehicle terminal to the vehicle device.

이상의 각 일 형태에 따른 방법의 설정 정보는, 의자 간격, 룸미러 각도 조절, 백미러 각도 조절, 상기 차량 단말기의 환경 설정, 도어 언락, 도난 감지 상태, 전화번호부, 등록 목적지, 일정 관리, 인터넷 환경 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상태 정보를 대상으로 수정한 정보일 수 있다.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method 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 forms includes: chair interval, room mirror angle adjustment, rearview mirror angle adjustment, environment setting of the vehicle terminal, door unlock, theft detection state, phone book, registration destination, schedule management, Internet environmen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modified for the state information including vehicle state inform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차량에 대하여, 무선 인터넷망과 근거리 통신망, 예컨대 NFC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마다 각기 다른 차량 기기의 환경과 상태를 설정하고, 인증 과정을 수행하게 되어, 각 사용자마다 직접적인 차량 기기와의 접촉없이도 차량 기기의 환경과 상태를 편리하게 설정하면서도 개인별 보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nvironment and a state of different vehicle devices are set for each user by using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a local area network, for example, NFC communication, and an authentication process is performed for each vehicle. The effect of improving personal security is achieved while conveniently setting the environment and state of the vehicle device without contact with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내의 차량 기기의 상태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마다 각기 다른 환경과 상태를 담고 있는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복수 개의 휴대용 단말기와 그와 무선 인터넷 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서버를 통하여 각 사용자마다 고유의 설정 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인증과 일치 여부를 판단하게 됨으로써, 환경과 상태 설정에 보안성을 적용(향상)하고, 각 사용자마다 직접적인 차량 기기와의 접촉없이도 차량 기기의 환경과 상태를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편리성의 증대로 차량 및 시스템의 수요가 증가될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vice in the vehicle for each user through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for generating setting information containing different environments and states, and through the server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In order to manage unique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matched with authentication, thereby applying (improvement) security to the environment and state setting, and for each user, the environment and state of the vehicle device can be monitored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vehicle device. You can get the effect of convenient setting. This increased convenience will increase the demand for vehicles and system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내의 차량 기기의 상태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마다 각기 다른 환경과 상태를 담고 있는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임의의 휴대용 단말기와 그와 근거리 통신망, 예컨대 NFC 통신으로 간접 연결되어 있는 차량 단말기를 통하여 각 사용자마다 고유의 설정 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인증과 일치 여부를 판단하게 됨으로써, 환경과 상태 설정에 보안성을 적용(향상)하고, 각 사용자마다 직접적인 차량 기기와의 접촉없이도 차량 기기의 환경과 상태를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편리성의 증대로 차량 및 시스템의 수요가 증가될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portable terminal for genera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containing different environments and states for each user by utiliz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vice in the vehicle and indirectly connected with the local area network, for example, NFC communication. The vehic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match the authentication to manage the unique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thereby applying (improved) security to the environment and state settings, each vehicle user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vehicle device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set the environment and state of the. This increased convenience will increase the demand for vehicles and syste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과 다른 형태의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방법(S2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4와 다른 형태의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방법(S3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ersonalized vehicle configur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FIG. 2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setting method S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rsonalized vehicle configuration system different from that of FIG.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method for setting a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S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method for setting a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S300 different from that of FIG. 4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같은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ame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ersonalized vehicle configur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100), 차량 관리 서버(200) 및 차량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량 단말기(300)와 휴대용 단말기(100)는 도 1에서 하나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실제 복수 개로 무선 인터넷 망에 연결되어야 하나 편의상 하나로만 도시하였다.As shown in FIG. 1, the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sett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100, a vehicle management server 200, and a vehicle terminal 300. Although the vehicle terminal 30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are shown as one in FIG. 1, only one of the vehicle terminal 30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should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차량 단말기(300) 내에 있는 차량 기기들(310)의 환경과 상태를 자동적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기기로서, 이를 위하여 차량 모델마다 부여된 고유의 차량 모델 정보와 상기 차량 모델마다 설치된 차량 기기(310)들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First,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which is usefully used when the environment and the state of the vehicle devices 310 in the vehicle terminal 300 are to be set automatically. In order to store the unique vehicle model information provided for each vehicle model and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vices 310 installed for each vehicle model, it serves to display the state information at the request of the user.

때로는, 상태 정보를 근거리 통신, 예컨대 NFC 통신 또는 유선 연결을 통하여 여러 차량 기기들(310)들을 제어하는 차량 단말기(30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표시될 수도 있다. At times, the state information may be received and stored from the vehicle terminal 300 that controls the various vehicle devices 310 through short range communication such as NFC communication or wired connection, and displaye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여기서, 상태 정보라 함은 의자의 차량 기기에 대하여 의자 전, 후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의자 간격 정보, 룸미러 차량 기기에 대하여 좌,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룸미러 각도 조절 정보, 여러 차량 기기들을 제어하도록 차량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차량 단말기의 환경 설정 정보, 차량 문(도어,door)의 개폐를 조절하는 도어 언락(door unlock) 정보, 경보 장치를 이용하여 도난 방지를 위한 도난 감지 상태 정보와 차량 단말기 내에 있는 전화번호부 정보, 차등록 목적지 및 일정 관리 정보, 인터넷 환경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단말(300)기가 관리 제어할 수 있는 차량 내의 여러 전자적인 기기와 기계적인 기기의 차량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상태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ate information refers to the chair spacing information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spacing of the chair with respect to the vehicle equipment of the chair, the room mirror angle adjustment information for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angles with respect to the room mirror vehicle equipment, and various vehicle devices.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driven by the vehicle terminal to control, door unlock information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door), theft detection status information to prevent theft using an alarm device and vehicle terminal Telephone directory information, car registration destination and schedule management information, Internet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vehicle terminal 300 may further include vehicle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a vehicle state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mechanical devices in the vehicle that can be managed and controlled by the vehicle terminal 300.

위와 같이 설명된 상태 정보가 휴대용 단말기(100)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어지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태 정보를 불러와 휴대용 단말기(100)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어지고,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된 상태 정보를 본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변경하고자 한다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되거나, 수정된 내용을 받아들여 해당 차량 내의 차량 기기들이 갖고 있는 고유의 셋팅 값으로 새로이 변경되어질 수 있으며, 이 결과로서 설정 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status information described abov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status information is called up by the user's request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statu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f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ccepts the changed or modified contents by the user and the vehicle devices in the vehicle have This can be changed to a unique setting value, which results in the generation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이때의 설정 정보는 차량 기기들(310)마다 갖고 있는 상태 정보로부터 각 사용자가 원하는 고유의 셋팅 값으로 변형된 결과를 담고 있음은 당업자라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차량에 있는 차량 기기의 상태 정보를 제1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형시켜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일례로서 설명한다.At this tim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a result of transforming the setting information into a unique setting value desired by each user from the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vehicle devices 310. For example, a process of generating setting information by modify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vice in the first vehicl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first us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즉, 제1 차량내에 있는 룸미러의 차량 기기가 35°의 상태 정보로 설정되어 있다면, 제1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룸미러의 차량 기기를 45°로 변경하고자 한다면, 변경된 45°룸미러 셋팅 값을 룸미러 설정 정보 값으로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if the vehicle device of the room mirror in the first vehicle is set to 35 ° state information, and if the vehicle device of the room mirror is to be changed to 45 ° at the request of the first user, the changed 45 ° room mirror setting value Will be generated as the room mirror setting information value.

이와 같이, 제1 차량의 룸미러 차량 기기를 대상으로 제1 사용자가 원하는 셋팅 값으로 설정 정보로서 설정하였다면, 다른 사용자, 예컨대 제1 차량의 룸미러 차량 기기를 대상으로 제1 사용자에 의해 셋팅된 45°의 설정 정보와 다르게 다른 값의 설정 정보로 변경될 수도 있다.In this way, if the first user's room mirror vehicle device of the first vehicle is set as the setting information desired by the first user, another user, for example, is set by the first user for the room mirror vehicle device of the first vehicle. Unlike the setting information of 45 °, it may be changed to setting information of another value.

이상에서는 룸미러 차량 기기에 대해서만 일례로서 설명하였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다른 차량 기기들의 상태 정보를 대상으로 각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설정 정보가 변경되어질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room mirror vehicle device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setting information may be changed in a form desired by each user for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devices as described above.

아울러,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100)는 USIM 메모리(110)를 장착하여 USIM 메모리에 저장된 USIM 정보를 인식하는 메카니즘을 갖고 있다. 이때, USIM 메모리(110)의 장착 형태는 내부에 꽂힌 상태로 존재하는 내장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외장형일 수도 있다. 따라서, 여러 장착 형태를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채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chanism for recognizing USIM information stored in the USIM memory by mounting the USIM memory 110. At this time, the mounting form of the USIM memory 110 is preferably an internal type that is present in the inserted state, but may be an external type. Therefore, various mounting forms can be employed in this first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차량 관리 서버(200)는 무선 인터넷 망을 경유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USIM 정보와 설정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USIM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전송받은 상기 설정 정보를 근거로 기설정된(정해진) 차량내의 차량 기기들(310)의 설정 가능한 정보인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USIM 정보와 설정 정보를 일치시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소유한 사용자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Next,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USIM information and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via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the USIM information, and when th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It checks whether or not the settab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vices 310 in the predetermined vehicle (set) based on the received setting information, and owns the portable terminal 100 by matching USIM information and setting information Function to match and save with one user.

결국, 본 발명의 차량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별로 USIM 정보와 설정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USIM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인증이 완료되면, 각 사용자별로 전송받은 설정 정보를 근거로 차량 기기마다 정해진 정보인지를 확인하며, 상기 사용자별로 USIM 정보와 설정 정보를 일치시켜 저장하고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As a result,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USIM information and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the USIM information. When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200 is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or each user. Of cours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formation is determined for each device, and the USIM information and the setting information are stored for each user.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 관리 서버(200)는 차량 단말기들(300)에 의해 관리되는 차량 기기들(310)의 상태 정보 종류 및 설정 범위 등을 무선 인터넷 망을 경유하여 미리 차량 단말기(300)로부터 제공받아 기저장하고 있다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인증과 사용자 구별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order to perform the above functions,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registers the type and setting range of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vices 310 managed by the vehicle terminals 300 via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fter being received from the vehicle terminal 300 and stored in advance, the vehicle terminal 300 may be used for authentication and user discrimination as described above.

이로써, 본 발명의 차량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되어진 설정 정보를 무선 인터넷 망을 경유하여 실제 해당하는 차량 단말기(300)에서 관리되어진 해당하는 차량 기기들(310)의 상태를 상기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devices 310 managed in the vehicle terminal 300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changed by the user via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It is based on information.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차량 단말기(300)는 여러 차량 기기들(310)의 제어하는 고유 기능뿐만 아니라 차량 기기들(310)의 고유 특성에 맞게 상태를 관리하는 단말을 지칭한 것으로서, 차량 기기들(310)의 상태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휴대용 단말기(100) 및 차량 관리 서버(200)에서 처리되거나 관리되어져 변경된 설정 정보를 제공받고, 변경된 상기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각각의 차량 기기(310)에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각각의 차량 기기들(310)의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적용이 완료될 수 있다.Lastly, the vehicle terminal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terminal that manages a state according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devices 310 as well as the uniqu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various vehicle devices 310. Manag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310, and is processed or manag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200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to receive the changed setting information, based on the changed setting information To be applied to the respective vehicle devices 310. Specifically, the application may be completed by changing the states of the respective vehicle devices 310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게다가, 본 발명의 차량 단말기(300)는 새로이 추가되는 차량 기기들(310)의 상태를 더 관리할 수 있으며, 관리된 상태 정보를 가입되어진 차량 단말기(300) 및/또는 휴대용 단말기(100)로 수시로 보내어 각 차량 단말기(300) 및/또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활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차량 단말기(300) 및/또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활용의 의미는 새로이 추가된 차량 기기들(310)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각 사용자마다 원하는 형태로 설정 정보를 변경하는데 사용됨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terminal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manage the state of the newly added vehicle devices 310, and the managed state information is subscribed to the registered vehicle terminal 300 and / or the portable terminal 100. It may be sent from time to time to help in utilizing each vehicle terminal 300 and / or portable terminal 100. The use of the vehicle terminal 300 and / or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used to change setting information in a desired form for each user based on state information of newly added vehicle devices 310.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차량 단말기(300)와 휴대용 단말기(100)의 사이, 차량 단말기(300)와 차량 관리 서버(200)의 사이 및 휴대용 단말기(100)와 차량 관리 서버(200)의 사이에는 무선 인터넷 망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해당하는 차량내에 설치된 차량 단말기(300)와 차량 내에서 고유 기능을 갖는 차량 기기들(310)의 사이에는 유선 환경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도 않는다.Meanwhil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30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300 and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200, an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200. ) Is preferably interconnected by a wireless Internet network,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vehicle terminal 300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the vehicle devices 310 having unique functions in the vehicle are preferably connected in a wired environment,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이하의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 1에서 설명된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시스템을 통한 실제 수행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In the following FIG. 2, a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setting method that can be actually performed through the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setting system described in FIG.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방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방법(S100)은 도 1의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시스템에 근거하고 있으므로 도 1에서 설명과 중복되는 것은 되도록이면 생략하고자 하나, 그 설명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함을 미리 밝혀둔다.FIG. 2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setting method S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setting method S100 is based on the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setting system of FIG. 1, the overlapping description of FIG. 1 will be omitted as much as possible, but includes the description, and should be interpreted in advance. Reveal.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방법(S100)은 USIM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S110), 차량 기기(310)의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 기기(310)에 대한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20), USIM 정보와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130), 전송받은 USIM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140), 사용자별 USIM과 설정 정보를 매치시키고, 매칭된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S150), 특정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설정 정보를 독출하여 전송하는 단계(S160) 및 독출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차량 기기(310)에 적용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2, in step S100, a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ing USIM information (S110) and based on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vice 310. Step (S120) of generating setting information about the USS information and setting information (S130),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USIM information (S140), and USIM and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Matching and storing the matched result (S150), reading and transmi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changed by the specific user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specific user (S160) and the corresponding vehicle device 310 using the read setting information. Is applied to step S170).

먼저, 본 발명의 S110 단계에서는 USIM 메모리를 장착하여 상기 USIM 메모리에 저장된 USIM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인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USIM 정보라 함은 통상적인 USIM 메모리를 통한 개인 인증에 필요한 공인된 여러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사용자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본 발명과 관련하거나 관련되지 않는 모든 전자 결제에 필요한 서비스 가입 아이디, 통장 번호, 공인 번호 등을 포함하는 보다 넓은 개념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First, in step S1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recognizes USIM information stored in the USIM memory by mounting a USIM memory. In this case, the USIM information includes a variety of authorized information required for personal authentication through a conventional USIM memory, for example, a user name, social security number, address, and all electronic payments not related to o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broader concept including service subscription ID, bank account number, authorized number, etc.

이후, 본 발명의 S120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 모델마다 설치된 차량 기기(310)들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상황에 맞는 환경과 상태를 수정한 결과로서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설정 정보의 생성은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행해진다. 상기 설정 정보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차량 기기(310)들의 상태를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변경하여 셋팅된 정보인 것을 의미한다.Subsequently, in step S120 of the present invention, setting information is generated as a result of modifying an environment and a state suitable for a user's situation by using state information of vehicle devices 310 installed for each vehicle model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 The generation of such setting information is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setting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set by changing the state of any vehicle devices 310 desi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이후, 본 발명의 S130 단계에서는 상기 S110 단계와 S120 단계에 의해서 처리(수행된) USIM 정보와 설정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차량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설정 정보의 전송은 휴대용 단말기(100)와 차량 관리 서버(200)의 사이에 형성된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in step S13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IM information and setting information (processed) processed by steps S110 and S120 are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200.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of the setting information is preferably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forme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200.

이후, 본 발명의 S140 단계에서는 사용자별로 갖춘 USIM 정보와 설정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USIM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 처리는 차량 관리 서버(200)에서 행해진다. 차량 관리 서버(200)에서 행해지는 인증 처리는 미리 등록된 서비스 대상자(사용자)를 설정해 놓고, 해당하는 사용자로부터 USIM 정보와 설정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확인 후, 바로 상기 USIM 정보와 기등록된 가입자 정보(USIM 정보와 대비되는 정보)간의 비교를 통하여 인증 처리가 행해진다.Subsequently, in step S14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IM information and setting information provided for each user are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perform a user authentication process based on the USIM information. This user authentication process is performed in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200. The authentication process performed by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200 sets up a pre-registered service subject (user), and after confirming that USIM information and setting information have been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user, immediately after the USIM information and the registered subscriber information. Authentic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through comparison between (in contrast to USIM information).

때로는, 인증 처리를 위하여 사용자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것이 아닌, 공인 인증이 필요한 서버, 예컨대 해당하는 전자 결제 서버등과의 별도 처리 과정을 통하여 USIM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이 완료될 수도 있다.Sometimes, user authentication may be completed by comparing the USIM information through a separate process with a server that requires an authorized authentication, such as a corresponding electronic payment server, rather than storing user information in advance for authentication processing.

이후, 본 발명의 S150 단계에서는 S140 단계에 의해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별로 전송받은 설정 정보가 해당하는 차량 기기들마다 정해진 정보인지를 확인하고, 사용자별로 USIM 정보와 설정 정보를 일치시켜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처리 과정은 차량 관리 서버(200)에서 행해지고 있음은 물론이다.Subsequently, in step S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uthentication is completed by step S140, checking whether th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or each user is determined for each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devices, and storing the USIM information and the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Do this. This process is of course performed in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200.

이후, 본 발명의 S160 단계에서는 임의의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차량 기기(310)들의 상태 변경에 따른 설정 요청을 받으면, 임의의 사용자에 대응하여 S150 단계에서 저장된 정보 중 해당하는 설정 정보를 독출하고, 차량 단말기(300)로 무선 인터넷 망을 경유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처리 과정은 차량 관리 서버(200)에서 행해진다.Subsequently, in step S16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ceiving a setting request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of the vehicle devices 310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of any user, corresponding setting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stored in step S150 is corresponding to any user. It reads and transmits to the vehicle terminal 300 via a wireless internet network. This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200.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S170 단계에서는 차량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해당된 설정 정보를 차량 단말기(300)에 의해 관리된 차량 기기(310)에 적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차량 단말기(300)에 의해 관리된 차량 기기(310)의 상태 정보가 임의의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 환경과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의미하며, 그 과정을 통하여 설정 정보가 차량 기기(310)에 적용된다라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Finally, in step S17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process of applying the corresponding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200 to the vehicle device 310 managed by the vehicle terminal 300. More specifically,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vice 310 managed by the vehicle terminal 300 means that the setting environment and state have been changed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requested from any user, and the setting is performed through the proces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forma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device 310.

이로써,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차량 단말기(300) 내에 있는 차량 기기들(310)의 상태와 환경을 각 사용자마다 다르게 변경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각 사용자가 차량 단말기(300)에 탑승하여 수작업으로 자신이 원하는 차량 기기들(310)의 상태와 환경 변경을 하는 수고로움을 덜 수 있으며, 차량 관리 서버(200)에 의한 인증 처리 과정이 차량 기기들(310)의 변경에도 활용될 수 있음이 큰 잇점으로 작용하게 된다.Thu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and environment of the vehicle devices 310 in one vehicle terminal 300 can be changed differently for each user, so that each user boards the vehicle terminal 30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ffort of changing the state and environment of the vehicle devices 310 desired by hand, and the authentication process by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200 may be used to change the vehicle devices 310. This is a great advantag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1과 다른 형태의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시스템은 도 1의 시스템에 비하여 차량 관리 서버가 배제되어 있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rsonalized vehicle configuration system different from that of FIG.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ersonalized vehicle configu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is excluded as compared to the system of FIG.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400), 차량 단말기(500) 및 복수 개의 차량 기기(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sett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400, a vehicle terminal 500, and a plurality of vehicle devices 600.

먼저,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400)는 USIM 메모리(410)를 장착하여 상기 USIM 메모리(410)에 저장된 USIM 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근거리 통신(420), 예컨대 NFC 통신하여 차량 단말기(5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USIM 메모리(110)의 장착 형태는 내부에 꽂힌 상태로 존재하는 내장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외장형일 수도 있다. 따라서, 여러 장착 형태를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채용할 수 있다.First, the portable terminal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USIM memory 410 to recognize the USIM information stored in the USIM memory 410,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420, such as NFC communic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500 It serves to transmit. The mounting form of the USIM memory 110 is preferably an internal type that is inserted in the internal state, but may be an external type. Therefore, various mounting forms can be employed in this second embodiment.

위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400)는 이후에 설명될 차량 단말기(500)에서 제어, 관리하고 있는 복수 개의 차량 기기(600)의 상태와 환경을 자동 설정하는데 필요한 인증 요소인 USIM 정보를 인식하고 있는데서 큰 잇점이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바라보면 앞서 설명한 도 1의 휴대용 단말기(100)와는 다름을 알 수 있는 것이다.The portable terminal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recognizes USIM information that is an authentication element necessary for automatically setting the state and environment of the plurality of vehicle devices 600 controlled and managed by the vehicle terminal 500 to be described later. There is a great advantage in that,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seen that different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of FIG.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400)는 복수 개의 차량 기기(600)의 상태와 환경을 자동 설정하기 위하여 차량 기기(600)의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설정 정보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는 이후에 설명될 차량 단말기(500)의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400 generates the setting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vice 600 in order to automatically set the state and the environment of the plurality of vehicle devices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easi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차량 단말기(500)는 휴대용 단말기(400)로부터 근거리 통신, 예컨대 NFC 통신하여 수신한 USIM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증은 휴대용 단말기(400)로부터 제공받은 USIM 정보와 가입시 받아들여 기저장된 가입자 정보간에 상호 비교를 통하여 인증을 수행하게 되며, 때로는 전자 결제를 위한 서버와 통신하여 그로부터 가입자 정보와 같은 공인 인증과 관련한 사용자 정보를 제공받아 USIM 정보와 비교를 통하여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Next, the vehicle terminal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by using the USIM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NFC communic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400. The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through mutual comparison between USIM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obile terminal 400 and subscriber information stored at the time of subscription, and stored in advance. Sometimes, the user authentication is communicated with a server for electronic payment, and relat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such as subscriber information therefrom. The authentic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by receiving the user information and comparing with the USIM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차량 단말기(500)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복수 개의 차량 기기(600)의 상태 정보를 근거리 통신, 예컨대 NFC 통신 또는 유선 연결을 통하여 수집하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vehicle terminal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erforms a role of collec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vehicle devices 600 managed by the local communication, such as NFC communication or wired connection.

여기서, 상태 정보라 함은 의자의 차량 기기(600)에 대하여 의자 전,후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의자 간격 정보, 룸미러 차량 기기에 대하여 좌,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룸미러 각도 조절 정보, 여러 차량 기기들을 제어하도록 차량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차량 단말기(500)의 환경 설정 정보, 차량 문(도어,door)의 개폐를 조절하는 도어 언락(door unlock) 정보, 경보 장치를 이용하여 도난 방지를 위한 도난 감지 상태 정보와 차량 단말기 내에 있는 전화번호부 정보, 차등록 목적지 및 일정 관리 정보, 인터넷 환경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단말(300)기가 관리 제어할 수 있는 차량 내의 여러 전자적인 기기와 기계적인 기기의 차량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상태 정보 등을 더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사용되었다.Here, the state information refers to the chair spacing information for adjusting the front and rear spacing of the chair with respect to the vehicle device 600 of the chair, the room mirror angle control information for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angles for the room mirror vehicle device, Anti-theft using th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500 driven by the vehicle terminal to control the vehicle devices, the door unlock information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door), the alarm device It may include the detection status information, the phone book information in the vehicle terminal, the car registration destination and schedule management information, the Internet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vehicle terminal 300 has been used as a concept that further includes vehicle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the vehicle status of the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mechanical devices in the vehicle that can be managed and controlled.

수집 완료된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요청(의도)에 따라 차량 단말기(500)에서 휴대용 단말기(400)로 전송된다.The collected st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500 to the portable terminal 400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ntention).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400)는 차량 단말기(500)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상황에 맞는 환경과 상태를 수정한 결과로서 설정 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의 설정 정보는 차량 기기들(600)마다 갖고 있는 상태 정보로부터 각 사용자가 원하는 고유의 셋팅 값으로 변형된 결과를 담고 있는 정보를 가리키며, 예를 들어, 제2 차량에 있는 차량 기기들(600)의 상태 정보를 제2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형하여 설정 정보로 생성하는 과정을 일례로서 설명한다.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terminal 500 to generate setting information as a result of modifying an environment and a state suitable for its own situation. In this case, the setting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containing a result of transformation from state information of each vehicle device 600 to a unique setting value desired by each user. For example, the vehicle devices 600 of the second vehicle may be used. As an example, a process of modifying the state information of) into the setting information by modifying it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second user will be described.

즉, 제2 차량 내에 있는 차량 의자의 차량 기기(600)가 통상 고정된 중심에서 뒤로 5cm의 상태 정보로 이미 설정되어 있다면, 제2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차량 의자의 차량 기기를 통상 고정된 중심에서 앞으로 5cm의 상태 정보로 변경하고자 한다면, 전방 5cm의 셋팅 값을 차량 의자의 설정 정보 값으로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if the vehicle device 600 of the vehicle chair in the second vehicle is already set to the state information of 5 cm from the fixed center to the back, the vehicle device of the vehicle chair is normally fixed at the fixed center at the request of the second user. If you want to change the state information of 5cm in the future, the setting value of the front 5cm is generated as the setting information value of the vehicle chair.

이와 같이, 제2 차량의 차량 의자의 차량 기기를 대상으로 제2 사용자가 원하는 셋팅 값으로 설정 정보로서 변경, 설정하였다면, 다른 사용자, 예컨대 제2 사용자에 의해 차량 의자의 셋팅된 전방 5cm의 설정 정보와는 다르게 다른 사용자에 의해 상기 차량 의자의 다른 셋팅 값의 설정 정보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if the second user changes and sets the setting information to the desired setting value for the vehicle device of the vehicle chair of the second vehicle,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front 5 cm set by the other user, for example, the second user. Differently from other users, it may be changed to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other setting value of the vehicle chair.

이상에서는 차량 의자의 차량 기기에 대해서만 일례로서 설명하였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다른 차량 기기들의 상태 정보를 대상으로 각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설정 정보가 위와 같은 원리로 변경되어질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400)는 설정 변경하여 생성된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음 차량 단말기(500)로 전송하게 된다.In the above, only the vehicle device of the vehicle chai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bove principle in a form desired by each user for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device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set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changing the setting and transmits the setting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500.

상기 설정 정보가 차량 단말기(500)로 전송되면, 본 발명의 차량 단말기(500)는 비로소 자신이 제어, 관리하고 있는 차량 기기들(410) 중 해당하는 차량 기기에 대하여 변경되어진 설정 정보를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set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terminal 500, the vehicle terminal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pply the chang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vehicle device among the vehicle devices 410 that are controlled and managed by the vehicle terminal 500. Will be.

처음, 차량 단말기(300)에 의해 관리된 차량 기기(310)의 상태 정보가 임의의 사용자로부터 의도에 따라 요청된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 환경과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의미하며, 그 과정을 통하여 설정 정보가 해당하는 차량 기기(310)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First,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vice 310 managed by the vehicle terminal 300 means that the setting environment and the state have been changed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requested by an arbitrary user according to the intention, and through the process May be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vehicle device 310.

이하의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도 3에서 설명한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시스템을 통해 실제로 수행되는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In FIG. 4, a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setting method that is actually performed through the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setting system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방법(S2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method for setting a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S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방법(S200)은 USIM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S210), USIM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220), USIM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230), 복수 개의 차량 기기(6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 전송하는 단계(S240), 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50) 및 설정 정보를 차량 기기(600)에 적용하는 단계(S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4, the method for setting a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200) includes recognizing USIM information (S210), transmitting USIM information (S220), and USIM information.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on the basis of the user authentication (S230), collecting and transmitting state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vehicle devices 600 (S240), generating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S250), and setting informa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device 600 (S260).

먼저, 본 발명의 S210 단계에서는 USIM 메모리(410)를 장착하여 상기 USIM 메모리(410)에 저장된 USIM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400)에서 인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USIM 정보라 함은 통상적인 USIM 메모리를 통한 개인 인증에 필요한 공인된 여러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사용자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본 발명과 관련하거나 관련되지 않는 모든 전자 결제에 필요한 서비스 가입 아이디, 통장 번호 및 공인 번호 등을 포함하는 보다 넓은 개념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First, in step S2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IM memory 410 is mounted to perform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USIM information stored in the USIM memory 410 in the portable terminal 400. In this case, the USIM information includes a variety of authorized information required for personal authentication through a conventional USIM memory, for example, a user name, social security number, address, and all electronic payments not related to o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broader concept that includes a service subscription ID, bank account number and authorized number.

이후, 본 발명의 S220 단계에서는 휴대용 단말기(400)의 USIM 정보를 NFC 통신하여 상기 USIM 정보를 차량 단말기(500)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USIM 정보의 전송은 휴대용 단말기(400)와 차량 단말기(500)의 사이에 형성된 근거리 통신, 바람직하게는 NFC 통신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Then, in step S220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process of transmitting the USIM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500 by NFC communication of the USIM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400. In this case, the USIM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preferably NFC communication, forme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400 and the vehicle terminal 500.

이후, 본 발명의 S230 단계에서는 휴대용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한 USIM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 처리는 차량 단말기(500)에서 행해진다. 차량 단말기(500)에서 행해지는 인증 처리는 미리 등록된 서비스 대상자(사용자)를 설정해 놓고, 해당하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400)로부터 USIM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확인 후, 바로 상기 USIM 정보와 기등록된 가입자 정보(USIM 정보와 대비되는 정보)간의 비교를 통하여 인증 처리가 행해진다.Thereafter, in step S230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processing user authentication is performed using USIM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400. This user authentication process is performed in the vehicle terminal 500. The authentication process performed in the vehicle terminal 500 sets a service subject (user) registered in advance, and after confirming that the USIM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400 of the corresponding user, the USIM information and the pre-registered immediately. Authentic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through comparison between subscriber information (in contrast with USIM information).

때로는, 인증 처리를 위하여 사용자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것이 아닌, 공인 인증이 필요한 서버, 예컨대 해당하는 전자 결제 서버 등과의 별도 처리 과정을 통하여 USIM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처리할 수도 있다.Sometimes, user authentication may be processed by comparing the USIM information through a separate process with a server that requires public authentication, such as a corresponding electronic payment server, rather than storing user information in advance for authentication processing.

이후, 본 발명의 S240 단계에서는 S230 단계에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차량 단말기(500)에서 관리하고 있는 복수 개의 차량 기기(600)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400)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처리 과정은 차량 단말기(500)에서 행해진다. 그리고, 상태 정보의 의미는 도 3에서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생략한다.Subsequently, in step S24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in step S230, stat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vehicle devices 600 managed by the vehicle terminal 500 is collected, and the state information is portabl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 process of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400 is performed. This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vehicle terminal 500. The meaning of the state information is omitted since it has been sufficiently described in FIG.

이후, 본 발명의 S250 단계에서는 차량 단말기(500)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상황에 맞는 환경과 상태를 수정한 결과로서 설정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400)에서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설정 정보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차량 기기(600)들의 상태를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변경하여 셋팅된 정보인 것을 의미한다.Subsequently, in step S25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400 generates setting information as a result of modifying an environment and a state suitable for its own situation using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terminal 500. The setting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set by changing the state of any vehicle devices 600 desir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S260 단계에서는 S250 단계에 의해 생성된 설정 정보를 수신한 차량 단말기(500)에서 상기 설정 정보를 가지고, 차량 기기(600)에 적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Finally, in step S26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terminal 500 that has received the set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step S250 has the setting information and performs a process of applying the setting information to the vehicle device 60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차량 단말기(500)에 의해 관리된 차량 기기들(600)의 상태 정보가 임의의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 환경과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의미하며, 그 과정을 통하여 설정 정보가 차량 기기(600)에 적용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vices 600 managed by the vehicle terminal 500 means that the setting environment and the state are changed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requested from any user, and through the process The setting informa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device 60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1 실시예와는 다른 관점에서 하나의 차량 단말기(500) 내에 있는 차량 기기들(600)의 상태와 환경을 각 사용자마다 다르게 변경 메카니즘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각 사용자가 차량 단말기(500)에 탑승하여 수작업으로 자신이 원하는 차량 기기들(600)의 상태와 환경을 변경하는 수고로움을 없앨 수 있으며, 도 1과 같은 차량 관리 서버(200)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휴대용 단말기(400)와 차량 단말기(500)의 구성을 이용하여 본 목적에 적용되는 인증이 수행되고 있음을 큰 장점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chanism for changing the state and environment of the vehicle devices 600 in one vehicle terminal 500 differently from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By being provided, each user boards the vehicle terminal 500 to eliminate the trouble of manually changing the state and environment of the desired vehicle devices 600,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200 as shown in FIG. Without the us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400 and the vehicle terminal 500 is a big advantage that the authentication applied to this purpose is performed.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 4와 다른 형태의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방법(S3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method for setting a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S300 different from that of FIG. 4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방법(S300)은 도 3에서 설명한 휴대용 단말기(400), USIM 메모리(410), 차량 단말기(500) 및 차량 기기(600)와 동일한 구성 형태를 이용 관계로서 적용할 수 있으나, 각 구성에서 실시되는 기능과는 다소 다른 형태가 적용된다. 그러나, 도 3에서 개시된 도면 부호를 그대로 채용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방법에서 적용하기로 한다.The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setting method S300 may us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ortable terminal 400, the USIM memory 410, the vehicle terminal 500, and the vehicle device 6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However, a somewhat different form applies to the functions implemented in each configuration. However, the reference numerals disclosed in FIG. 3 are used as they are and are applied in the method to be described below.

즉, 도 3에서 설명된 각 구성과의 기능면에서 다르다는 것은 이하의 방법을 통하여 설명될 내용으로부터 충분히 예측 가능한 것이므로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을 포함한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시스템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at is, since the difference in function from each of the components described in FIG. 3 is sufficiently predictable from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through the following method, the description of the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setting system including each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omitted. Let's do it.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 설정 방법(S300)은 USIM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S310), USIM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320), USIM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S330), 복수 개의 차량 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상태 정보로부터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40) 및 설정 정보를 차량 기기에 적용하는 단계(S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5, the method for setting a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300) may include recognizing USIM information (S310), transmitting USIM information (S320), and USIM information.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S330), collecting stat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vehicle devices, generating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tate information (S340), and applying setting information to the vehicle device (S350). It is done by

먼저, 본 발명의 S310 단계 내지 S330 단계의 처리 과정은 앞서 설명한 도 4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First, since the process of steps S310 to S3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in FIG. 4 described abo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후, 본 발명의 S340 단계에서는 S330 단계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차량 단말기(500)에서 관리하고 있는 차량 기기들(600)의 상태 정보를 차량 단말기(500)로부터 수집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각 차량 기기(600)에 대한 환경과 상태를 수정한 결과로서 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태 정보의 수집과 설정 정보의 생성은 휴대용 단말기(400)에서 실시된다. 여기서, 생성된 설정 정보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차량 기기(600)들의 상태가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변경되어 셋팅된 정보인 것을 의미한다.Subsequently, in step S34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in step S330,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vices 600 managed by the vehicle terminal 500 is collec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500, and the state information is collected. On the basis of the state information (using the state informatio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setting information as a result of modifying the environment and state for each vehicle device 600 according to the user's situation is performed. Collection of such state information and generation of setting information are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400. Here, the generated setting information means that the state of any vehicle devices 600 desired by the user is changed and set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S350 단계에서는 S340 단계에 의해 생성된 설정 정보를 수신한 차량 단말기(500)에서 상기 설정 정보를 가지고, 차량 기기(600)에 적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Finally, in step S35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terminal 500 receiving the set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step S340 has the setting information and performs the process of applying the setting information to the vehicle device 60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차량 단말기(500)에 의해 관리된 차량 기기들(600)의 상태 정보가 임의의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설정 환경과 상태가 변경되었음을 의미하며, 그 과정을 통하여 설정 정보가 차량 기기(600)에 적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S350 단계는 앞서 설명한 도 4의 S260 단계와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vices 600 managed by the vehicle terminal 500 means that the setting environment and the state are changed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requested from any user, and through the process The setting information is applied to the vehicle device 600. Such an operation S350 may be confirmed to be the same as operation S260 of FIG. 4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본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는 다른 관점에서 하나의 차량 단말기(500) 내에 있는 차량 기기들(600)의 상태와 환경을 각 사용자마다 다르게 변경 메카니즘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각 사용자가 차량 단말기(500)에 탑승하여 수작업으로 자신이 원하는 차량 기기들(600)의 상태와 환경을 변경하는 수고로움을 없앨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 mechanism for changing the state and environment of the vehicle devices 600 in one vehicle terminal 500 is different for each user from a viewpoint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By providing, each user has the advantage of eliminating the trouble of boarding the vehicle terminal 500 by manually changing the state and environment of the vehicle devices 600 desired by the user.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r constructions. You can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herefo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0 : 휴대용 단말기 110 : USIM 메모리
200 : 차량 관리 서버 300 : 차량 단말기
310 : 차량 기기 400 : 휴대용 단말기
410 : USIM 메모리 420 : 근거리 통신
500 : 차량 단말기 600 : 차량 기기
100: portable terminal 110: USIM memory
200: vehicle management server 300: vehicle terminal
310: vehicle device 400: portable terminal
410: USIM memory 420: near field communication
500: vehicle terminal 600: vehicle equipment

Claims (7)

(a) USIM 메모리를 장착하여 상기 USIM 메모리에 저장된 USIM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식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 모델마다 설치된 차량 기기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상황에 맞는 환경과 상태를 수정한 결과로서 설정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USIM 정보와 설정 정보를 차량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차량 관리 서버에서 사용자별로 상기 USIM 정보와 설정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USIM 정보를 근거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의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별로 전송받은 설정 정보가 상기 차량 기기마다 정해진 정보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별 USIM 정보와 설정 정보를 일치시켜 저장하는 단계;
(f) 임의의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설정 요청을 받으면 상기 임의의 사용자에 대응하여 상기 (e) 단계에서 저장된 정보 중 해당하는 설정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차량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g) 상기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설정 정보를 상기 차량 단말기에 의해 관리된 상기 차량 기기에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a) mounting a USIM memory to recognize USIM information stored in the USIM memory in a portable terminal;
(b) generating setting informa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as a result of modifying an environment and a state suitable for a user's situation by using state information of a vehicle device installed for each vehicle model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c) transmitting the USIM information and setting information to a vehicle management server;
(d) receiving the USIM information and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user from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and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the USIM information;
(e)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step (d) is completed, confirming whether th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or each user is determined for each vehicle device, and storing the USIM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setting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ame;
(f) when receiving a setting request from a portable terminal of an arbitrary user, reading corresponding setting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ep (e) and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setting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arbitrary user; And
(g) applying the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management server to the vehicle device managed by the vehicle terminal;
Method for setting a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의자 간격, 룸미러 각도 조절, 백미러 각도 조절, 상기 차량 단말기의 환경 설정, 도어 언락, 도난 감지 상태, 전화번호부, 등록 목적지, 일정 관리, 인터넷 환경 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상태 정보를 대상으로 수정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chair interval, room mirror angle adjustment, rearview mirror angle adjustment, environment setting of the vehicle terminal, door unlock, theft detection status, phone book, registration destination, schedule management, internet environment information, and vehicle status information Th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ified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차량의 차량 단말기로부터 차량 기기에 맞는 상태 정보를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하여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b)
And receiving the st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device from the vehicle terminal of the vehicle through a wireless internet network so as to be selected by the user.
(a) USIM 메모리를 장착하여 상기 USIM 메모리에 저장된 USIM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USIM 정보를 NFC 통신하여 상기 USIM 정보를 차량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차량 단말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USIM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차량 단말기에서 관리하고 있는 복수 개의 차량 기기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상황에 맞는 환경과 상태를 수정한 결과로서 설정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생성하는 단계; 및
(f) 생성된 상기 설정 정보를 수신한 상기 차량 단말기에서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차량 기기에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a) mounting a USIM memory to recognize USIM information stored in the USIM memory in a portable terminal;
(b) NFC communicating the USIM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ransmit the USIM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c)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at the vehicle terminal using the USIM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d) collecting the stat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vehicle devices managed by the vehicle terminal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and transmitting the state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e) generating setting informa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as a result of modifying an environment and a state suitable for the situation by using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terminal; And
(f) applying the setting information to the vehicle device at the vehicle terminal receiving the generated setting information;
Method for setting a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comprising a.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의자 간격, 룸미러 각도 조절, 백미러 각도 조절, 상기 차량 단말기의 환경 설정, 도어 언락, 도난 감지 상태, 전화번호부, 등록 목적지, 일정 관리, 인터넷 환경 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상태 정보를 대상으로 수정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chair interval, room mirror angle adjustment, rearview mirror angle adjustment, environment setting of the vehicle terminal, door unlock, theft detection status, phone book, registration destination, schedule management, internet environment information, and vehicle status information Th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ified information.
(a) USIM 메모리를 장착하여 상기 USIM 메모리에 저장된 USIM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USIM 정보를 NFC 통신하여 상기 USIM 정보를 차량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차량 단말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USIM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차량 단말기에서 관리하고 있는 차량 기기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환경과 상태를 수정한 결과로서 설정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생성된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차량 기기에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차량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a) mounting a USIM memory to recognize USIM information stored in the USIM memory in a portable terminal;
(b) NFC communicating the USIM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ransmit the USIM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c)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at the vehicle terminal using the USIM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d)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vice managed by the vehicle terminal is collected, and the setting information is stored as a result of modifying the environment and state suitable for the user's situation by using the state information. Generating at the terminal; And
(e) applying the setting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vehicle device;
Method for setting a personalized vehicle environment comprising a.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의자 간격, 룸미러 각도 조절, 백미러 각도 조절, 상기 차량 단말기의 환경 설정, 도어 언락, 도난 감지 상태, 전화번호부, 등록 목적지, 일정 관리, 인터넷 환경 정보 및 차량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상태 정보를 대상으로 수정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chair interval, room mirror angle adjustment, rearview mirror angle adjustment, environment setting of the vehicle terminal, door unlock, theft detection status, phone book, registration destination, schedule management, internet environment information, and vehicle status information Th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modified information.
KR1020110101038A 2011-10-05 2011-10-05 Method for setting customized vehicle environment KR1012326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038A KR101232640B1 (en) 2011-10-05 2011-10-05 Method for setting customized vehicle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038A KR101232640B1 (en) 2011-10-05 2011-10-05 Method for setting customized vehicle environ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2640B1 true KR101232640B1 (en) 2013-02-13

Family

ID=47899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038A KR101232640B1 (en) 2011-10-05 2011-10-05 Method for setting customized vehicle environ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640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899B1 (en) * 2013-07-09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river oriented control system for vehicle
KR20150050838A (en) * 2013-11-01 2015-05-11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of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KR20150085986A (en) * 2014-01-17 2015-07-2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Black box with NFC set-up function and set-up system thereof
KR101573766B1 (en) * 2013-08-05 2015-1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implification device of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sharing data, and the method thereof
KR20160049075A (en) * 2014-10-24 2016-05-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Apparatus for setting connected car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E102016114234A1 (en) 2015-10-07 2017-04-13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using a user terminal
KR20170041113A (en) * 2015-10-06 2017-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a vehicle operating environment
WO2018147596A1 (en) * 2017-02-13 2018-08-16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customized function by means of smart key for vehicles
WO2020189877A1 (en) * 2019-03-21 2020-09-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oving vehicle control method and device utilizing identification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7795A (en) * 2006-07-18 2008-01-23 주식회사 만도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of vehicle and method therefor
KR20100107148A (en) * 2009-03-25 2010-10-05 고구려엔지니어링(주) System and method of efficiency controlling a electric motion train
KR20110054856A (en) * 2009-11-18 2011-05-25 주식회사 엠테크 Integration connecting systems and methods of vehicles by using communication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7795A (en) * 2006-07-18 2008-01-23 주식회사 만도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of vehicle and method therefor
KR20100107148A (en) * 2009-03-25 2010-10-05 고구려엔지니어링(주) System and method of efficiency controlling a electric motion train
KR20110054856A (en) * 2009-11-18 2011-05-25 주식회사 엠테크 Integration connecting systems and methods of vehicles by using communication network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899B1 (en) * 2013-07-09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river oriented control system for vehicle
KR101573766B1 (en) * 2013-08-05 2015-1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implification device of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sharing data, and the method thereof
US9735838B2 (en) 2013-08-05 2017-08-15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implifying wireless connection and data sharing
KR20150050838A (en) * 2013-11-01 2015-05-11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system using usim synchronization of mobile terminal and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KR20150085986A (en) * 2014-01-17 2015-07-2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Black box with NFC set-up function and set-up system thereof
KR101595088B1 (en) 2014-01-17 2016-02-18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Black box with NFC set-up function and set-up system thereof
KR20160049075A (en) * 2014-10-24 2016-05-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Apparatus for setting connected car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46552B1 (en) * 2014-10-24 2016-08-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Apparatus for setting connected car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41113A (en) * 2015-10-06 2017-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a vehicle operating environment
KR102604285B1 (en) * 2015-10-06 202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a vehicle operating environment
DE102016114234A1 (en) 2015-10-07 2017-04-13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using a user terminal
US10257700B2 (en) 2015-10-07 2019-04-09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using user terminal
WO2018147596A1 (en) * 2017-02-13 2018-08-16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customized function by means of smart key for vehicles
US11381965B2 (en) 2017-02-13 2022-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customized function by means of smart key for vehicles
WO2020189877A1 (en) * 2019-03-21 2020-09-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oving vehicle control method and device utilizing identification device
CN113677569A (en) * 2019-03-21 2021-11-1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Moving object control method and device using identific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640B1 (en) Method for setting customized vehicle environment
US10665090B2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systems and methods
CN107689092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digital temporary vehicle keys
US9925954B2 (en) System for assigning a smartphone as a temporary key for a vehicle
CN105376293B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vehicle access enabled key fob base station
CN107547506B (en) Locking and unlocking system and method, portab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5278677B (en) Vehicle computing system in communication with wearable device
TWI238130B (en) Mobile instruction terminal, system for controlling machine to be controlle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instruction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machine to be controlle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for controlling mobile instruction
US20140129054A1 (en) Mobile device-activated vehicle functions
EP3498545B1 (en) Luggage management system and luggage management method
CN107182035B (en) Wireless vehicle charging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based services
JP2006193919A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vehicle with remote control device
JP2016016835A (en) Car sharing system
CN105644501A (en)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remote control of automobile
CN109961543B (en) Sound output device, sound output control method, vehicle, and locking/unlocking system
CN106154997B (en) Vehicle-mounted control device, terminal device, and vehicle control program updating method and system
CN103310518A (en) Method and system for opening vehicle door
CN102882921A (en) 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ehicular apparatus
JP6029613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settlement system
JP6898139B2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user authentication method
JP2019091221A (en) Valet key and valet key control method
JP2017144834A (en) Vehicle control system
WO2017134816A1 (en) Vehicle-mounted device and in-vehicle communication method
JP7206794B2 (en) mobile control system
JP2019091222A (en) Bullet key control system and bullet k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