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732A -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732A
KR20150050732A KR1020130130981A KR20130130981A KR20150050732A KR 20150050732 A KR20150050732 A KR 20150050732A KR 1020130130981 A KR1020130130981 A KR 1020130130981A KR 20130130981 A KR20130130981 A KR 20130130981A KR 20150050732 A KR20150050732 A KR 20150050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biometric information
portable electronic
received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2955B1 (ko
Inventor
박광하
김도훈
안진호
오대일
이재인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0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955B1/ko
Priority to US14/514,767 priority patent/US9852277B2/en
Priority to EP14191134.7A priority patent/EP2869528B1/en
Publication of KR20150050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1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 A61B5/1172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using finger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1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 A61B5/1176Recognition of 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1Location-sensitive, e.g. geographical location,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wherein the security policies are location-dependent, e.g. entities privileges depend on current location or allowing specific operations only from locally connect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3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using wearable devices, e.g. using a smartwatch or smart-g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주변 전자장치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주변 전자장치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와 일정 거리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저장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저장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설정된 보안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형 전자장치{METHOD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S INFORMATI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형 전자장치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의 휴대형 전자장치는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장치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장치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휴대형 전자장치는 종래에 비해 강력한 컴퓨팅 파워를 가지게 되었으며, 휴대형 전자장치의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다양한 업체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결재/증권/인터넷 뱅킹, 웹 브라우징, SNS(Social Network Service), 게임, 일정관리, 위치 기반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휴대형 전자장치에서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반면, 위와 같이 다양한 서비스들이 휴대형 전자장치에서 제공됨에 따라 악성 코드, 스파이웨어(spyware) 등과 같은 악성 애플리케이션이 유입 및 개인 정보 유출 등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에 맞춰 휴대형 전자장치에 대한 보안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휴대형 전자장치의 락 스크린(lock screen)에 설정된 락을 해제하기 위해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방식, 비밀번호 또는 로그인 방식 등 다양한 보안 방식들이 활용되고 있으며, 개인 정보 보호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콘텐츠(예를 들어, 사진, 음악, 문서 등)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되는 링(ring) 형태, 손목 시계와 같이 손목에 착용하는 형태 또는 글라스(glass) 형태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는 형태의 웨어러블(wearable) 전자장치가 각광받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웨어러블 전자장치와 연계하여 휴대형 전자장치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위와 같은 휴대형 전자장치의 보안 방식은 기능 실행 시 마다 반복적으로 인증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웨어러블 전자장치와 연계하여 위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고,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형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주변 전자장치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주변 전자장치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와 일정 거리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저장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저장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설정된 보안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는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신호 및 생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주변 전자장치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주변 전자장치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저장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며, 상기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저장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설정된 보안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형 전자장치는 편리하게 사용자를 인증하고, 보안을 강화하도록 지원하여 뛰어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대형 전자장치의 락 스크린 해제에 따른 화면 출력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대형 전자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화면 출력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대형 전자장치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 앞서, '주변 전자장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휴대형 전자장치와 통신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기기로 보고 설명한다. 예를 들어, 주변 전자장치는 근거로 통신 모듈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와 페어링(pairing) 수행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wearable) 전자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전자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손가락에 끼우는 링(ring) 형태, 손목 시계와 같이 손목에 착용하는 형태 또는 글라스(glass) 형태, 사용자 목에 거는 목걸이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주변 전자장치는 생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 등을 포함하고, 이를 통해 생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주변 전자장치에서 수집되는 사용자의 지문, 손 무늬, 안면, 음성, 홍채, 망막, 정맥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인증된 터치 데이터'는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사용자 입력에 의한 터치 이벤트 정보가 결합되어 생성되는 데이터로 정의한다.
또한, '인증 모드'는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그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능이 수행되는 모드로 정의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블루투스 통신을 비롯하여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과 같이 기기 간의 접속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형 전자장치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handheld) PC, 웨어러블 PC 및 손목 시계폰(Wrist-Watch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100)는 통신부(110), 표시부(120), 입력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센서부(150), 저장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이동통신 네트워크 등)와 설정된 방식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음성 통신, 영상 통신 등의 무선 통신과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인터넷(internet) 등의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통신과 관련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고,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제어부(170) 제어 하에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채널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이동통신채널과 유선 인터넷 네트워크,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등과 같은 방식의 인터넷 통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모듈(111)을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111)은 제어부(170) 제어 하에 블루투스 모듈(111)을 포함하는 주변 전자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다양한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111)은 블루투스 안테나를 통해 주변 블루투스 장치와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111)은 블루투스 통신을 관장하는 호스트 스택, 통신 대상이 되는 외부 블루투스 장치의 기능 또는 조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블루투스 프로파일 및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111)은 페어링(pairing)된 주변 전자장치가 일정 거리 내에 접근하면,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주변 전자장치가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일정 거리 내에 접근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전자장치가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일정 거리 내에 접근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70)는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도록 블루투스 모듈(111)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주변 전자장치에서 수집되는 사용자의 지문, 손 무늬, 안면, 음성, 홍채, 망막, 정맥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다만, 생체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주변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수집되고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111)은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형 전자장치(100)는 블루투스 모듈(111)을 통해 주변 전자장치와 페어링을 위한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통신 연결 과정에서, 블루투스 모듈(111)은 주변 전자장치의 요청에 의해 블루투스 기기 검색을 위한 메시지, 다시 말해 조회 메시지(inquiry message)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블루투스 모듈(111)의 고유 주소(BD_ADDR) 등을 포함하는 신호를 주변 전자장치로 송신한다. 그리고, 블루투스 모듈(111)은 주변 전자장치의 인증을 위하여 사용자가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코드(code)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블루투스 모듈(111)은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코드(code) 및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하고, 제어부(170)가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인증된 것으로 판단하면, 코드 확인과 같은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 없이도 주변 전자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 즉, 페어링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100)는 주변 전자장치 인증을 위한 코드 확인 과정이 자동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없이 신속하게 전자장치와 페어링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휴대형 전자장치(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20)는 휴대형 전자장치(100) 운용에 필요한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20)는 터치 패널(121) 및 표시 패널(123)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21)은 표시 패널(123) 위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이나 표시 패널(123) 내에 삽입되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121)은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터치 이벤트를 발생하고, 터치 이벤트를 AD(Analog to Digital) 변환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121)은 손 제스처를 감지하는 손 터치 패널과 펜 제스처를 감지하는 펜 터치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복합 터치 패널(121)일 수 있다. 여기서 손 터치 패널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손 터치 패널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121)은 인증 모드 설정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모드는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그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능이 수행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터치 패널(121)은 이러한 인증 모드를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지, 애플리케이션 별로 적용할지,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락 스크린 해제에 적용할지 및 인증 모드에 이용되는 생체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21)은 인증 모드가 애플리케이션 별로 적용되도록 설정되면 인증 모드가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표시 패널(123)은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가 데이터를 처리(예를 들어, 디코딩(decoding))하여 버퍼에 저장하면 표시 패널(123)은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23)은 제어부(170) 제어 하에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된 생체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됨으로써, 설정된 보안이 해제되면 별도의 보안 설정 화면 출력을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23)은 제어부(170) 제어 하에 락 스크린 상태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되고,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락 스크린 해제를 위해 설정된 화면 예를 들어, 비밀 번호 입력란 등을 출력하지 않고, 곧바로 대기 화면이나 메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23)은 제어부(170) 제어 하에 애플리케이션 또는 콘텐츠에 대하여 보안 해제를 위해 설정된 화면 예를 들어,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출력하지 않고, 곧바로 애플리케이션 또는 콘텐츠 실행을 위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23)은 제어부(170) 제어 하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23)은 제어부(170) 제어 하에 휴대형 전자장치(100)에 설정된 락 스크린을 해제하고, 사용자 설정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아이콘 등의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23)은 제어부(170) 제어 하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아이콘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모드에서 사용자가 화면에 출력되는 사진 폴더를 터치하면 출력되도록 미리 설정된 사진들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23)은 인증 모드 설정을 위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23)은 제어부(170) 제어 하에 인증 모드를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지, 애플리케이션 별로 적용할지,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락 스크린 해제에 적용할지 및 인증 모드에 이용되는 생체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23)은 인증 모드가 애플리케이션 별로 적용되도록 설정되면 보안 설정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리스트 형태로 출력하고, 출력된 리스트에서 인증 모드를 적용할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 패널(123)(143)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PMOLED(Pass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플랙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다양한 숫자 및 문자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신호와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각 기능들의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30)는 입력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0)는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패드(touchpad), 일반적인 키 배열의 키패드(keypad) 및 퀴티(QWERTY) 방식의 키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리시버(RCV) 또는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오디오 처리부(140)는 제어부(170) 제어 하에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와 저장부(160)에 기저장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기능에 해당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부(140)는 휴대형 전자장치(100)가 락 스크린이 설정된 상태에서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와 저장부(160)에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가 일치하고, 휴대형 전자장치(100) 표시부(120)에 대한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입력되면 '락 스크린을 해제합니다'라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센서부(150)는 생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150)는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생체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 또는 감지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생체 정보 즉, 사용자의 지문, 손 무늬, 안면, 음성, 홍채, 망막, 정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센서부(150)는 제어부(170) 제어 하에 활성화되어 수신되는 생체 정보에 상응하는 생체 정보를 측정 또는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50)를 측정 또는 감지된 생체 정보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고, 제어부(170)는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 및 실시간으로 측정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50)는 생체 정보에 따라 지문인식 센서, 망막인식 센서, 홍채 인식 센서, 카메라 및 적외선 센서 등의 광센서, 감압 센서, 모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70)의 보조 기억 장치(secondary memory unit)로써, 디스크, 램(RAM) 및 플래쉬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70) 제어 하에 휴대형 전자장치(100)에서 생성되거나 통신부(110)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해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서버, 데스크 탑 PC 등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60)는 생체 정보 테이블(161)을 저장할 수 있다.
생체 정보 테이블(161)은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테이블(161)은 인증 모드가 적용되는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락 스크린 기능, 애플리케이션 및 콘텐츠 기능을 리스트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 테이블(161)은 생체 정보에 따라 인증이 수행되는 기능이 설정된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정보 테이블(161)은 사용자의 지문 정보는 락 스크린 해제 기능을, 사용자의 홍채 정보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 및 콘텐츠에 설정된 인증이 해제되도록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생체 정보 테이블(161)은 생체 정보마다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기능이 설정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기능마다 적용될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가 설정되는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휴대형 전자장치(100)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비롯하여,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를 들어, 소리 재생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방송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및 통신 시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60)는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프로그램은 인증 모드가 적용될 기능을 설정하는 루틴, 주변 전자장치가 휴대형 전자장치(100)에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는지 결정하는 루틴,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를 분석하는 루틴, 분석된 생체 정보와 기저장된 생체 정보 또는 센서부(150)로부터 측정(또는 감지)된 생체 정보와 비교하는 루틴, 분석된 생체 정보와 기저장 또는 센서부(150)로부터 측정(또는 감지)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면 보안 해제 및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석된 생체 정보와 기저장 또는 센서부(150)로부터 측정(또는 감지)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면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루틴은 서브루틴으로서 일치하는 생체 정보 및 터치 이벤트 정보를 결합하여 인증된 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루틴을 서브 루틴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인증된 터치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된 터치 데이터 생성부는 인증된 터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체 정보와 저장부(160)에 기저장된 생체 정보 또는 센서부(150)로부터 감지되는 생체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제어부(170)는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와 기저장되거나 감지되는 생체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인증된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 인증 정보 및 터치 패널(121)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이벤트 정보를 결합하여 인증된 터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된 터치 데이터 생성부는 도 1에서와 같이 제어부(170)에 포함될 수 있지만, 별도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인증된 터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안이 설정된 기능 예를 들어, 락 스크린, 애플리케이션에 설정된 보안이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170)는 인증된 터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터치 이벤트 정보에 상응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보안이 설정된 사진 폴더에 대한 선택 터치가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사진 폴더에 설정된 보안을 해제하고, 선택된 사진 폴더 내에 포함되는 사진들을 출력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락 스크린이 설정된 휴대형 전자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설정된 락 스크린을 해제하고, 대기화면 및 메뉴 화면을 출력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화면을 출력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인증된 터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휴대형 전자장치(100)에 설정된 락 스크린을 해제하고, 사용자 설정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아이콘 등의 객체를 출력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아이콘 선택을 위한 터치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된 터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실행 화면을 출력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과정 201에서 제어부(170)는 페어링(pairing)된 주변 전자장치가 휴대형 전자장치(100)에 일정 거리 내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블루투스 모듈(111)을 통해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블루투스 모듈(111)은 예시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안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블루투스 모듈(111)뿐만 아니라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통신과 같이 기기 간의 접속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이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블루투스 모듈(111)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의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주변 전자장치가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일정 거리 내에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과정 201에서 페어링된 주변 전자장치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과정 203에서 제어부(170)는 블루투스 모듈(111)을 통해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주변 전자장치에서 수집되는 사용자의 지문, 손 무늬, 안면, 음성, 홍채, 망막, 정맥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다만, 생체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주변 전자장치를 이용하여 수집되고,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과정 205에서 제어부(170)는 터치 패널(121)로부터 기능 실행을 위한 터치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휴대형 전자장치(100)에 설정된 락 스크린을 해제하기 위한 터치 이벤트를 비롯하여 애플리케이션 실행 입력을 위한 터치 이벤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과정 205은 과정 203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변 전자장치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생체 정보 수신한 후, 사용자 터치 입력에 의한 터치 이벤트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휴대형 전자장치(100)에 대한 터치 입력과 동시에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과정 207에서 제어부(170)는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된 생체 정보가 기저장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수신된 생체 정보 및 생체 정보 테이블(161)에 저장된 생체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비교 결과, 수신되는 생체 정보 및 생체 정보 테이블(161)에 저장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인증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과정 207에서 제어부(170)가 수신되는 생체 정보 및 생체 정보 테이블(161)에 저장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여 사용자가 인증된 것으로 결정되면 과정 209에서 제어부(170)는 인증된 터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인증된 것으로 결정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 및 터치 패널(121)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이벤트 정보를 결합하여 인증된 터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과정 209에서 제어부(170)는 인증된 터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안이 설정된 기능에 대하여, 설정된 보안을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휴대형 전자장치(100)에 보안이 설정된 모든 기능에 대하여 설정된 보안이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인증된 터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락 스크린, 비밀 번호가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이 보안이 설정된 모든 기능에 대하여 보안이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보안이 설정된 일부 기능에 대하여 보안이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인증된 터치 데이터에 포함되는 터치 이벤트 정보를 분석하여, 터치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하고, 확인된 애플리케이션이 생체 정보 테이블(161)에 인증 모드가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에만 설정된 보안이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인증된 터치 데이터 기초하여 기능들에 설정된 보안을 해제하기 위해 인증 과정을 생략하거나, 해당하는 보안을 해제하기 위한 입력이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형 전자장치(100)에 락 스크린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170)는 인증된 터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락 스크린을 해제하는 과정 예를 들어, 비밀번호 확인, 패턴 확인 등을 생략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비밀번호 또는 패턴이 자동적으로 입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과정 207에서 제어부(170)가 수신되는 생체 정보 및 생체 정보 테이블(161)에 저장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여 사용자가 인증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과정 211에서 제어부(170)는 해당 기능 예를 들어, 휴대형 전자장치(100)에 락 스크린이 설정되는 경우, 설정된 락 스크린을 해제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과정 215에서 제어부(170)는 인증된 터치 데이터에 상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인증된 터치 데이터에 포함된 터치 이벤트 정보를 분석하여 상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사진 폴더 선택하면, 사진 폴더에 포함된 사진들을 출력하도록 표시부(120)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음악 콘텐츠 아이콘을 터치하면 음악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화면을 출력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인증된 터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휴대형 전자장치(100)에 설정된 락 스크린을 해제하고, 사용자 설정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아이콘 등의 객체를 출력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아이콘 선택을 위한 터치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된 터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실행 화면을 출력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70)는 블루투스 모듈(111)을 통해 주변 전자장치와 페어링을 과정을 간소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통신 연결 과정에서, 블루투스 모듈(111)은 주변 전자장치의 요청에 의해 블루투스 기기 검색을 위한 메시지, 다시 말해 조회 메시지(inquiry message)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블루투스 모듈(111)의 고유 주소(BD_ADDR) 등을 포함하는 신호를 주변 전자장치로 송신한다. 그리고, 블루투스 모듈(111)은 주변 전자장치의 인증을 위하여 사용자가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코드(code)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블루투스 모듈(111)을 통해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코드(code) 및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체 정보가 기저장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코드가 자동 확인되는 것으로 하여, 주변 전자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 즉, 페어링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페어링 과정에서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생체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과정 203의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과정 207의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 및 기저장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70)는 과정 205로부터 기능 실행을 위한 터치 이벤트가 수신되면, 곧바로 과정 209에서 사용자 인증 정보 및 터치 이벤트 정보를 결합하여 인증된 터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과정 301에서 제어부(170)는 페어링(pairing)된 주변 전자장치가 휴대형 전자장치(100)에 일정 거리 내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과정 301에서 페어링된 주변 전자장치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과정 303에서 제어부(170)는 블루투스 모듈(111)을 통해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305에서 제어부(170)는 터치 패널(121)로부터 기능 실행을 위한 터치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과정 301 내지 과정 305는 도 2의 과정 201 내지 과정 205와 동일할 수 있다.
과정 307에서 제어부(170)는 과정 303에서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생체 정보가 수신되거나 또는 실시예에 따라 과정 305에서 터치 패널(121)로부터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면, 센서부(150)를 활성화하여 센서부(150)로부터 감지되는 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는 제어부(170)가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와 기저장된 생체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의 미리 등록된 지문 정보 등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과정 307에서는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한 후, 센서부(150)를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센서부(150)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된 지문인식 센서, 망막인식 센서, 홍채 인식 센서, 카메라 및 적외선 센서 등의 광센서, 감압 센서, 모션 센서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생체 정보 즉, 사용자의 지문, 손 무늬, 안면, 음성, 홍채, 망막, 정맥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 또는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70)는 센서부(150)로부터 측정 또는 감지된 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과정 309에서 제어부(170)는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된 생체 정보와 과정 307에서 센서부(150)를 통해 측정 또는 감지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과정 309에서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된 생체 정보와 센서부(150)로부터 수신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면, 과정 311에서 제어부(170)는 인증된 터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과정 309에서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된 생체 정보와 센서부(150)로부터 수신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과정 313에서 제어부(170)는 터치 이벤트에 상응하는 해당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과정 315에서 제어부(170)는 인증된 터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안이 설정된 기능에 대하여 설정된 보안을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과정 317에서 제어부(170)는 인증된 터치 데이터에 상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다만,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설정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생체 정보와 휴대형 전자장치(100)에 저장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여 사용자가 인증되면 휴대형 전자장치(100)에 설정된 모든 보안이 해제되는 것으로 설계자에 의도에 의해 설계되는 경우에는 도 4의 인증 설정이 생략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과정 401에서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인증 모드 설정을 위한 입력을 수신하여, 이에 대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모드는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그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능이 수행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증 모드 설정을 위해 출력된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어부(170)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지 여부, 애플리케이션 별로 적용할지 여부,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락 스크린 해제에 적용할지 여부 또는 적용될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화면 출력은 예시이며, 인증 모드 설정을 위한 다양한 화면 출력이 가능하다.
과정 401에서 인증 모드 설정을 위한 화면이 출력되면, 과정 403에서 제어부(170)는 인증 모드에 적용되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여, 선택된 입력에 상응하는 기능에 대하여 인증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인증 모드를 적용하기 위한 선택을 입력하면, 제어부(170)는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와 기저장되거나 또는 센서부(150)로부터 감지되는 생체 정보가 일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인증되면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설정된 보안이 해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별로 인증 모드를 적용하기 위한 선택을 입력하면, 제어부(170)는 인증 모드가 적용될 애플리케이션 선택을 위한 화면이 출력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보안 설정이 애플리케이션이 리스트 형태로 출력되도록 표시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인증 모드가 적용될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이에 따른 인증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과정 405에서 제어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인증 모드에 적용되는 생체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된 입력에 상응하는 인증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체 정보 즉, 사용자의 지문, 손 무늬, 안면, 음성, 홍채, 망막, 정맥 중에서 사용자의 지문, 홍채가 인증 모드에 적용될 생체 정보로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생체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인증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에 대하여 락 스크린이 해제되고, 사용자의 홍채 정보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 및 콘텐츠에 설정된 보안이 해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락 스크린 해제에 따른 화면 출력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은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락(lock) 스크린이 설정된 상태를 출력하는 화면(500)을 도시하고 있다. 501에서 화면(500)은 비밀번호 입력을 지시하는 영역(510), 비밀번호 입력란(520), 소프트 키 형태의 키패드(530)를 출력하고 있다. 사용자가 손에 끼우는 링 형태의 주변 전자장치(200) 또는 손목에 차는 형태의 주변 전자장치(210)를 착용한 상태에서, 휴대형 전자장치(100)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접근하면,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손에 끼우는 링 형태의 주변 전자장치(200) 및 손목에 차는 형태의 주변 전자장치(21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전자장치(200, 210)가 일정 거리 내에 접근하는지 여부는 주변 전자장치(200, 210)의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블루투스 모듈(111)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가 일정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20)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입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휴대형 전자장치(100)에 락 스크린이 설정된 경우 화면(500)의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거나, 락 스크린 해제를 위하여 설정된 특정 영역을 터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화면(500)에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수신된 생체 정보와 휴대형 전자장치(100)에 기저장된 생체 정보를 비교하거나,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생체 정보 수신 후 센서부(150)로부터 측정 또는 감지된 생체 정보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인증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503은 수신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인증되는 경우 출력되는 화면(500)을 도시하고 있다. 503은 501에서 출력된 비밀번호 입력란(520)이 사라지고, 락 스크린에 설정된 락이 해제됨에 따라 대기 화면(500)을 출력하고 있다. 또한, 505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입력에 의한 비밀번호 입력과 달리, 인증 모드가 설정되고, 사용자 인증된 경우에는 503과 달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05의 화면(500)에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아이콘들(540)이 출력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대형 전자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화면 출력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1은 보안이 설정된 사진 폴더(620)를 비롯하여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들(610)이 출력되는 메뉴 화면(600)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손에 끼우는 링 형태의 주변 전자장치(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휴대형 전자장치(100)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접근하면, 제어부(170)는 주변 전자장치(200)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진 폴더 아이콘(620)에 대한 터치를 입력하고, 주변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증되면, 별도의 보안 설정 해제 없이 603의 사진 폴더의 하위 메뉴에 해당되는 아이콘들(630, 640, 650)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 603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SECRET' 폴더(650)가 선택되면 605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사진들(670)을 추가로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 사진들(660)을 출력하고,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면 추가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사진들(670)이 추가로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변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증되면 자동으로 보안이 해제되고, 사용자 설정에 의해 미리 설정된 추가적인 사진(670) 출력 등과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휴대형 전자장치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1은 인증 모드 설정을 위해 출력되는 화면(700)을 도시하고 있다. 701은 인증 모드 설정 지시를 위한 창(710)을 비롯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증 모드가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지 선택하기 위한 창(720), 애플리케이션 별로 적용할지 선택하기 위한 창(730),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락 스크린 해제(740)에 적용할지 선택하기 위한 창 또는 인증 모드에 적용될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창(750)을 포함하는 화면(700)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화면 출력은 예시이며, 인증 모드 설정을 위한 다양한 화면 출력이 가능하다.
703은 701에서 인증 모드가 애플리케이션 별로 적용하도록 선택될 때 출력되는 화면(700)을 나타낸다. 703에서는 인증 모드가 적용될 애플리케이션 설정 지시를 위한 창(770)을 비롯하여, 보안 설정 가능한 애플리케이션들이 리스트 형태로 출력되고 리스트에 출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마다 선택을 위한 창(771, 773, 775, 777, 779)을 출력하고 있다. 703에서 사용자는 사진 폴더 기능 및 메모 기능에 대하여 인증 모드가 적용되도록 사진 폴더 기능 선택란(771) 및 메모 기능 선택란(773)에 대한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선택 입력을 한 후 설정을 확인하는 버튼을 입력하면 인증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형 전자장치는 편리하게 사용자를 인증하고, 보안을 강화하도록 지원하여 뛰어난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휴대형 전자장치(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100)의 유선통신 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형 전자장치(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형 전자장치 110 : 통신부
111 : 블루투스 모듈 120 : 표시부
121 : 터치 패널 123 : 표시 패널
130 : 입력부 140 : 오디오 처리부
150 : 센서부 160 : 저장부
170 : 제어부

Claims (20)

  1. 휴대형 전자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에 있어서,
    주변 전자장치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주변 전자장치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와 일정 거리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저장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저장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설정된 보안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전자장치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지문, 손 무늬, 안면, 음성, 홍채, 망막, 정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의 기능 실행을 위한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저장된 생체 정보가 일치되는 것을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터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결합하여 인증된 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인증된 터치 데이터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된 터치 데이터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미리 설정된 객체를 출력하는 과정 및 미리 설정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설정된 보안을 해제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설정된 락 스크린(lock screen)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설정된 보안을 해제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보안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전체에 대하여 보안을 해제하는 과정 또는 상기 보안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일부에 대하여 보안을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설정된 보안을 해제하는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생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락 스크린 및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설정된 보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저장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의 센서부를 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활성화된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전자장치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가 상기 주변 전자장치와 페어링(pairing)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변 전자장치와 페어링하는 과정은,
    상기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 및 상기 주변 전자장치와 통신 연결을 위한 코드(code)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된 생체 정보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저장된 상기 생체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된 생체 정보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저장된 상기 생체 정보가 일치하면 상기 코드가 확인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형 전자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
  11.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신호 및 생체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주변 전자장치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주변 전자장치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와 휴대형 전자장치에 저장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며, 상기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저장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설정된 보안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전자장치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상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지문, 손 무늬, 안면, 음성, 홍채, 망막, 정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의 기능 실행을 위한 터치 이벤트를 전달하기 위한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저장된 생체 정보가 일치되는 것을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터치 패널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터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결합하여 인증된 터치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객체 및 미리 설정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인증된 터치 데이터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된 터치 데이터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미리 설정된 객체 및 미리 설정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 패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보안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설정된 락 스크린(lock screen)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보안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보안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전체에 대하여 보안을 해제하거나 또는 상기 보안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일부에 대하여 보안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생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생체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락 스크린 및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설정된 보안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저장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센서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센서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도록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며,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변 전자장치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상기 주변 전자장치와 페어링(pairing)하고, 상기 주변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생체 정보 및 상기 주변 전자장치와 통신 연결을 위한 코드(code)를 수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생체 정보와 상기 휴대형 전자장치에 저장된 상기 생체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생체 정보가 상기 저장된 생체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코드가 확인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KR1020130130981A 2013-10-31 2013-10-31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KR102162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981A KR102162955B1 (ko) 2013-10-31 2013-10-31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US14/514,767 US9852277B2 (en) 2013-10-31 2014-10-15 Method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s informati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14191134.7A EP2869528B1 (en) 2013-10-31 2014-10-30 Method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s informati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0981A KR102162955B1 (ko) 2013-10-31 2013-10-31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732A true KR20150050732A (ko) 2015-05-11
KR102162955B1 KR102162955B1 (ko) 2020-10-08

Family

ID=51897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981A KR102162955B1 (ko) 2013-10-31 2013-10-31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52277B2 (ko)
EP (1) EP2869528B1 (ko)
KR (1) KR1021629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766A1 (ko) * 2018-12-04 2020-06-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를 학습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예측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상기 모델을 적용한 전자 장치, 및 상기 모델을 적용하는 방법
KR20220002739A (ko) * 2016-07-29 2022-01-06 애플 인크. 터치 감응형 이차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들을 동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WO2022143136A1 (zh) * 2020-12-31 2022-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密码重置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11914419B2 (en) 2014-01-23 2024-02-2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mpting a log-in to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90589A (ja) * 2013-11-06 2015-05-11 ソニー株式会社 認証制御システム、認証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34662B2 (ja) * 2014-01-31 2017-05-24 株式会社 日立産業制御ソリューションズ 生体認証装置および生体認証方法
US20170017729A1 (en) * 2014-03-04 2017-01-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musical pieces
CN103942480A (zh) * 2014-04-14 2014-07-2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通过视网膜信息匹配实现移动终端屏幕解锁的方法及系统
US9977887B2 (en) * 2015-09-17 2018-05-22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validation of a trusted user
GB2544739A (en) * 2015-11-24 2017-05-3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setup
CN109241714A (zh) * 2016-01-06 2019-01-1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信息图像显示方法及装置
KR102465249B1 (ko) * 2016-02-19 2022-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01243B1 (ko) * 2016-04-12 2023-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18005274A (ja) * 2016-06-27 2018-01-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09979A (ko) 2016-07-20 2018-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치간 보안 동기화 및 페이링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80081380A (ko) * 2017-01-06 201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144627B2 (en) 2017-09-20 2021-10-12 Qualcomm Incorporated Peer assisted enhanced authentication
CN107678670B (zh) * 2017-09-29 2020-11-1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密码输入方法、设备计算机存储介质
US11366886B2 (en) 2018-10-10 2022-06-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henticating users of communal computing devices using a limited search scope
US10938805B2 (en) 2018-10-10 2021-03-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gressive access to data and device functionality
US11399024B2 (en) 2018-10-10 2022-07-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ximity-based unlocking of communal computing devices
FR3111721B1 (fr) * 2020-06-17 2023-08-11 Idemia Identity & Security France Procédé d’authentification d’un utilisateur sur un équipement cli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29162A1 (en) * 2011-11-22 2013-05-23 Shian-Luen Cheng Method of Executing Software Functions Using Biometric Detection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
US8519906B2 (en) * 2007-11-15 2013-08-27 Loc8Tor Ltd. Locating system
JP2013187879A (ja) * 2012-03-12 2013-09-19 Sharp Corp 携帯端末、携帯端末のロック状態を解除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携帯端末のロック状態を解除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33942A1 (en) 1996-09-18 1998-03-26 Dew Engineering And Development Limited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 for providing secure access
US9646300B1 (en) * 2002-10-01 2017-05-09 World Award Academy, World Award Foundation, Amobilepa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application, wearable application, transactional messaging, calling, digital multimedia capture, payment transactions, and one touch service
US20050136851A1 (en) 2003-12-19 2005-06-23 Fujitsu Limite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KR100747446B1 (ko) 2005-03-07 2007-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지문인식 장치 및 방법
US8762733B2 (en) 2006-01-30 2014-06-24 Adidas Ag System and method for identity confirmation using physiologic biometrics to determine a physiologic fingerprint
US8782775B2 (en) 2007-09-24 2014-07-15 Apple Inc. Embedded authentication systems in an electronic device
KR101549556B1 (ko) * 2009-03-06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665061B2 (en) * 2009-08-05 2014-03-04 Electro Industries/Gauge Tech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having user-authenticating capabilities
US8811948B2 (en) * 2010-07-09 2014-08-19 Microsoft Corporation Above-lock camera access
US8610539B2 (en) * 2011-02-04 2013-12-17 Worthwhile Products Anti-identity theft and information security system
US20130061281A1 (en) 2011-09-02 2013-03-07 Barracuda Networks, Inc. System and Web Security Agent Method for Certificate Authority Reputation Enforcement
US20130283351A1 (en) * 2012-04-18 2013-10-2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services based on touch selection
WO2014089576A1 (en) 2012-12-07 2014-06-12 Chamtech Technologies Incorporated Techniques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of user of mobile device
US9998969B2 (en) * 2013-03-15 2018-06-12 Facebook, Inc. Portable platform for networked comput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9906B2 (en) * 2007-11-15 2013-08-27 Loc8Tor Ltd. Locating system
US20130129162A1 (en) * 2011-11-22 2013-05-23 Shian-Luen Cheng Method of Executing Software Functions Using Biometric Detection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
JP2013187879A (ja) * 2012-03-12 2013-09-19 Sharp Corp 携帯端末、携帯端末のロック状態を解除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携帯端末のロック状態を解除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4419B2 (en) 2014-01-23 2024-02-2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mpting a log-in to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KR20220002739A (ko) * 2016-07-29 2022-01-06 애플 인크. 터치 감응형 이차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들을 동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WO2020116766A1 (ko) * 2018-12-04 2020-06-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를 학습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예측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 상기 모델을 적용한 전자 장치, 및 상기 모델을 적용하는 방법
WO2022143136A1 (zh) * 2020-12-31 2022-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密码重置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52277B2 (en) 2017-12-26
EP2869528B1 (en) 2018-05-16
US20150121514A1 (en) 2015-04-30
KR102162955B1 (ko) 2020-10-08
EP2869528A1 (en)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955B1 (ko)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US11269981B2 (en)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for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ES2945065T3 (es) Método para abrir rápidamente una aplicación o función de la aplicación y terminal
CN108521494B (zh) 终端控制方法和装置、可读存储介质、终端
CN106778175B (zh) 一种界面锁定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09716854B (zh) 一种连接建立方法、设备、系统及介质
KR20180041532A (ko) 전자 장치들 간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2182417B1 (ko) 데이터 공유 방법 및 단말기
US10242167B2 (en)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WO2019196693A1 (zh) 应用控制方法和装置、可读存储介质、终端
US20180035296A1 (en) Screen unlock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1017066B2 (en) Method for associating application program with biometric feature,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KR102544488B1 (ko)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8094920A1 (zh) 一种ppg认证的方法和设备
AU2019211885B2 (en) Authentication window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WO2019071424A1 (zh) 应用功能的控制方法及终端
KR102305245B1 (ko) 스마트 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WO2018223402A1 (zh) 功能控制方法及终端
CN106447325B (zh) 一种基于nfc通信的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230002728A (ko) 정보 처리 방법 및 전자기기
WO2016023205A1 (zh) 一种指纹鉴权的方法,及电子设备
CN112863150A (zh) 提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