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417B1 - 데이터 공유 방법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데이터 공유 방법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417B1
KR102182417B1 KR1020197009683A KR20197009683A KR102182417B1 KR 102182417 B1 KR102182417 B1 KR 102182417B1 KR 1020197009683 A KR1020197009683 A KR 1020197009683A KR 20197009683 A KR20197009683 A KR 20197009683A KR 102182417 B1 KR102182417 B1 KR 102182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application
user
transmiss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9801A (ko
Inventor
멍쉐 장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49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9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for achieving mutual authentication
    • H04W12/0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수의 지능형 단말기 간에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 데이터 공유 방법에서, 제1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하고 -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데이터가 제2 단말기와 공유되는 애플리케이션임 -; 제2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표시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한다. 이렇게 하면, 복수의 지능형 단말기 간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공유를 구현하고, 사용자가 빈번하게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또한 사용자의 시간을 절약한다.

Description

데이터 공유 방법 및 단말기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수의 지능형 단말기 간에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지능형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및 웨어러블 장치)가 사람들의 삶에서 점점 더 대중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동시에 2개 이상의 지능형 단말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시나리오에서, 사용자가 지능형 단말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후, 사용자는 또한 다른 지능형 단말기 상에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를 원한다. 이때, 사용자가 다른 지능형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의 대응하는 계정과 패스워드를 추가로 입력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 다수의 지능형 단말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설치 패키지를 각각의 지능형 단말기에 다운로드한 후에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동안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마다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계정 및 패스워드를 입력할 필요가 있고, 사용자는 계정 및 패스워드를 입력할 때 종종 부정확한 계정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며 심지어는 계정 및 패스워드도 잊어버린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계정 및 패스워드를 자주 입력하게 되어 불편하고 또한 사용자 경험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데이터 공유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지능형 단말기 간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공유를 구현하고, 사용자가 빈번하게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계정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데이터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공유 방법은,
제1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 동작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데이터가 제2 단말기와 공유되는 애플리케이션임 -; 제1 단말기가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near-field wireless transmission mode)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2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표시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할 수 있도록,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는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계정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정보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는 블루투스 전송 모드,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전송 모드, 또는 적외선 전송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한 후, 제2 단말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때 사용자가 더 이상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도록, 제1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복수의 지능형 단말기 간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공유가 구현되고, 사용자가 빈번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방지되며, 사용자 경험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시간이 절약된다.
앞에서 제공된 데이터 공유 방법은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비-근거리장 전송에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가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의 근거리장-무선-전송-모드 선택 모드(near-field-wireless-transmission-mode selection mode)를 활성화하는 단계; 사용자가 제1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무선 전송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제1 단말기가 수신된 선택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데이터 공유 방법은,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제1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였다면, 제2 단말기가 동일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한 후에,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데이터 공유 방법은,
제1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지 않으면, 제1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제2 단말기가 동일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한 후에,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데이터 공유 방법은,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보안 인증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보안 인증 모드에서,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였다면,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에 속한 클라우드 계정에 대한 보안 인증을 수행하여 데이터 전송 중에 데이터 보안을 보장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데이터 공유 방법은,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지 않으면, 제1 단말기가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 프롬프트 정보는 제2 단말기가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할 수 있게 하는 데 사용됨 -; 및
제2 단말기가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한 후에,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데이터 공유 방법은,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보안 인증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보안 인증 모드에서, 제1 단말기가 사용자의 제1 사용자 특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1 단말기가, 제1 사용자 특징 정보가 저장된 제2 사용자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제1 사용자 특징 정보가 제2 사용자 특징 정보와 매칭되면,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특징 정보는 사용자의 얼굴 특징 정보, 또는 사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 또는 사용자의 망막 특징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1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특징 정보에 대해 보안 인증을 수행하여 데이터 전송 중에 데이터 보안을 보장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데이터 공유 방법은,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속성을 설정하는 단계; 및
제1 단말기가 설정 결과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단말기가 전송 속성을 설정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또한 반복적인 전송을 방지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른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 간의 근거리장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 동작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데이터가 다른 단말기와 공유되는 애플리케이션임 -;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다른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표시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의 근거리장-무선-전송-모드 선택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 유닛은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선택 동작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 여기서, 선택 동작 명령은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임 -;
상기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선택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1 판정 유닛; 및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였다면, 다른 단말기가 동일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한 후에, 다른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구축 유닛을 더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지 않으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1 활성화 유닛(enabling unit)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구축 유닛은 추가적으로, 다른 단말기가 동일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한 후에 다른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보안 인증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2 활성화 유닛; 및
보안 인증 모드에서, 다른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2 판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송신 유닛은 추가적으로, 다른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였다면,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다른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지 않으면,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 - 프롬프트 정보는 다른 단말기가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할 수 있게 하는 데 사용됨 -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유닛은 추가적으로, 다른 단말기가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한 후에,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보안 인증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3 활성화 유닛;
보안 인증 모드에서, 사용자의 제1 사용자 특징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 및
제1 사용자 특징 정보가 저장된 제2 사용자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3 판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유닛은 추가적으로, 제1 사용자 특징 정보가 제2 사용자 특징 정보와 매칭되면,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속성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송신 유닛은 추가적으로, 설정 결과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단말기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은 전술한 양태를 실행하기 위해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에서 제공된 해결책은 복수의 단말기 상에 어플리케이션의 반복 설치 및 사용자의 반복 입력으로 인한 입력 오류를 방지하고, 복수의 지능형 단말기 간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공유하게 하며, 빈번한 사용자 동작을 단순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며, 사용자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수행하는 제스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장-무선-전송-모드 선택 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도 4e, 및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기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인증 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계정 보안 인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특징 정보의 보안 인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데이터 공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하드웨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책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히,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일 뿐이다. 창작적인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의해 획득되는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공유 방법, 및 데이터 공유 방법에 기반한 단말기를 제공한다. 제1 단말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제2 단말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더 사용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단말기의 표시 화면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스처 동작을 수행한다. 표시 화면은 구체적으로 터치 표시 화면일 수 있다. 제1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 동작 명령을 수신하고; 제1 단말기가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하며;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고; 제2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표시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렇게 하면, 복수의 지능형 단말기 간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공유가 구현되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빈번하게 설치하고 계정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것이 방지되며, 사용자 경험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시간이 절약된다.
예를 들어, WiFi를 사용할 수 없는 실외 사용자가 태블릿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게임을 계속하기를 원한다. 이 경우, 앱스토어로부터 게임을 다운로드하기 위해 WiFi 환경을 기다릴 필요없이 그리고 게임을 설치하거나 사용자의 휴대폰 트래픽을 소비하여 WiFi 핫스팟을 설정할 필요 없이, 태블릿이 휴대폰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설치 파일, 계정과 암호, 및 게임 진행 상황 등을 직접 얻을 수 있다.
단말기들 간에는 애플리케이션 뿐만아니라 사진, 음악, 및 문서와 같은 데이터가 추가로 전송될 수 있다.
멀티 플레이어 게임을 구현하거나 또는 함께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복수의 사용자가 전송된 데이터를 추가로 공동 편집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해결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공유 방법의 흐름도이다. 데이터 공유 방법은 제1 단말기에 의해 실행된다. 단말기는 구체적으로 지능형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 또는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다. 데이터 공유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10: 제1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 동작 명령을 수신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데이터가 제2 단말기와 공유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제2 단말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를 원하면, 사용자는 제1 단말기 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제스처 동작을 수행한다. 표시 화면은 구체적으로 터치 표시 화면일 수 있다.
제1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 동작 명령을 수신한다. 일 예로서, 제스처 동작 명령은 사용자가 제1 단말기상의 애플리케이션을 터치하여 유지한 후에 애플리케이션을 슬라이딩하는 동작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는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수행하는 제스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스처 동작 명령이 대안적으로, 사용자가 제1 단말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짧게 탭하는 동작, 또는 사용자가 제1 단말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탭하는 동작, 또는 사용자가 제1 단말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터치하여 유지한 후 애플리케이션을 회전시키는 동작 등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제스처 동작 명령이 대안적으로, 다른 단말기가 지원하는 작동 방식, 예를 들어 버튼, 사운드 제어, 광 센싱, 모션 캡쳐(motion capture), 가속 센서, 또는 압력 감지형 터치 스크린 상의 상이한 힘 입력(force input)이나 플로팅 입력(floating input)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120: 제1 단말기가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 동작 명령을 수신한 후에, 제1 단말기가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의 근거리장-무선-전송-모드 선택 모드(near-field-wireless-transmission-mode selection mode)를 활성화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장-무선-전송-모드 선택 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무선 전송 모드는 근거리장 무선 기술이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모드이며, 주로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적외선,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초광대역 무선(Ultra Wideband, UWB), 전파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및 지그비(ZigBee)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표 1을 이용하여 무선 전송 모드를 설명한다.
(표 1) 무선 전송 모드의 비교
Figure 112019034650710-pct00001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블루투스, NFC, 및 적외선 무선 전송 모드가 근거리장 전송 시나리오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블루투스, NFC, 및 적외선 무선 전송 모드가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로서 선택된다.
도 3에서,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3개의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 즉 블루투스 전송 모드, NFC 전송 모드, 및 적외선 전송 모드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제1 단말기에 의해 제공되는 전술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대해 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단말기가 사용자의 선택 동작 명령을 수신한다. 여기서, 선택 동작 명령은 사용자가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 명령이다. 제1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일 예에서, 도 4a 내지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a 내지 도 4f는 제1 단말기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기와의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서, 제1 단말기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가 "블루투스 전송 모드"이다. 사용자가 "블루투스 전송 모드"를 선택하면, 제1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선택 동작 명령을 수신하고, "블루투스 전송 모드"를 표시하여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도 4c와 도 4d 및 도 4e와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대안적으로 "NFC 전송 모드" 또는 "적외선 전송 모드"를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로서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전술한 과정과 유사하다. 여기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130: 제2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표시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한 후에,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한다.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로의 구축된 무선 연결 링크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는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기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2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표시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복수의 지능형 단말기 간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공유를 구현한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빈번하게 조작을 수행하는 것이 방지되고, 사용자 환경이 개선되며, 사용자의 시간이 절약된다.
일 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에 전송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계정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일 수 있다. 제2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한 후에, 제2 단말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는 경우, 사용자가 더 이상 계정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하지 않을 수 있도록, 제1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의 계정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를 제2 단말기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할 때마다 반복되는 입력 및 반복된 입력으로 인한 입력 에러가 방지되고, 복수의 지능형 단말기 간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공유가 구현되며, 사용자가 계정과 패스워드를 빈번하게 입력하는 것이 방지되고, 사용자 경험이 향상되며, 사용자의 시간이 절약된다.
다른 예에서, 대안적으로,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에 전송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정보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일 수 있다.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한 후에, 제1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획득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에 송신한다. 데이터 획득 요청은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을 포함한다. 클라우드 서버는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에 기초하여 로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정보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획득한다. 클라우드 서버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획득 응답을 제1 단말기에 피드백한다. 데이터 획득 응답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정보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제1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설치 정보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제2 단말기에 직접 전송한다. 사용자는 제2 단말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이때, 제1 단말기로의 핫스폿 연결을 구축할 필요가 없이, 제2 단말기는 와이파이 연결을 활성화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이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서로 다른 단말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빈번한 설치가 방지되고, 복수의 지능형 단말기 간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공유가 구현되며, 사용자 경험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시간이 절약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이 제2 단말기 상에 설치된 후에, 제2 단말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할 때 사용자가 더 이상 계정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하지 않을 수 있도록, 제1 단말기는 추가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계정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를 제2 단말기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할 때마다 반복되는 입력 및 반복되는 입력으로 인한 입력 에러가 방지된다.
제1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의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설치 정보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저장하였다면, 제1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의 메모리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관련 파일을 결정하고, 애플리케이션의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설치 정보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관련 파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다음, 제1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설치 정보와 애플리케이션 설정 정보를 제2 단말기에 직접 전송한다. 사용자는 제2 단말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는 설치 과정에서 애플리케이션의 관련 파일을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또는 로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관련 파일을 결정할 수 있거나 ,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일상 활동을 모니터링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관련 파일을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단계 120 이후에, 데이터 공유 방법은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판정하고 제2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였다면, 제2 단말기가 동일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한 후에,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한다. 제1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지 않으면, 제1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고; 제2 단말기가 동일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한 후에,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였다고 결정한 후에, 제1 단말기는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프롬프트 정보는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가 제2 단말기 상에서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는 데 사용된다. 제2 단말기에 의해 활성화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가 제1 단말기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와 동일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지 않았다고 결정한 후에, 제1 단말기는 프롬프트 정보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도록, 프롬프트 정보는 제1 단말기 자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였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고,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가 제2 단말기 상에서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는 데 사용된다.
그 예가 도 4a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서, 제1 단말기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가 "블루투스 전송 모드"이다. 제1 단말기는 "블루투스 전송 모드"를 표시하여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제1 단말기는 제1 단말기가 "블루투스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 단말기가 "블루투스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였으면, 제1 단말기는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한다. 프롬프트 정보는 "블루투스 전송 모드"가 제2 단말기 상에서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는 데 사용된다. 제2 단말기가 또한 "블루투스 전송 모드"를 활성화한 후에,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한다.
도 4b에서, 제1 단말기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가 "블루투스 전송 모드"이다. 제1 단말기는 "블루투스 전송 모드"를 표시하여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제1 단말기는 제1 단말기가 "블루투스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지 않으면, 제1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고,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한다. 프롬프트 정보는 제1 단말기 자체가 "블루투스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였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고, 제2 단말기 상에서 "블루투스 전송 모드"가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는 데 사용된다. 제2 단말기가 또한 "블루투스 전송 모드"를 활성화한 후에,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한다.
도 4c와 도 4d 및 도 4e와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가 "NFC 전송 모드" 또는 "적외선 전송 모드"인 경우, 제1 단말기는 또한 대응하는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가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고 제2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과정은 전술한 과정과 유사하다. 여기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2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경우, 제1 단말기는 선택되는 상이한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연결 매칭을 수행한다. 연결 매칭 과정은 공지된 기술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의 단계 130 이전에, 데이터 공유 방법은, 단말기가 단말기 또는 사용자 특징 정보에 바인딩된 클라우드 계정에 대해 보안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단계로, 데이터 전송 중에 데이터 보안이 보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는 제1 단말기의 보안 인증 모드를 활성화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인증 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보안 인증 모드에서,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였다면,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한다.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지 않으면, 제1 단말기는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프롬프트 정보는 제2 단말기가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할 수 있게 하는 데 사용되고, 즉 제2 단말기 상에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도록 사용자를 프롬프트 하는 데 사용되고; 제2 단말기가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 한 후에,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한다.
제1 단말기가 보안 인증을 수행하기 전에, 제1 단말기는 제1 단말기에 바인딩된 클라우드 계정(예를 들어, 메일박스 또는 휴대폰 번호)에 대해 자동 테스트를 수행한다. 구체적인 자동 테스트 과정은, 제1 단말기가 자동 테스트 메시지를 클라우드 서버에 송신하는 것이다. 여기서, 자동 테스트 메시지는 제1 단말기에 바인딩된 클라우드 계정을 포함한다. 클라우드 서버는, 제1 단말기에 바인딩된 클라우드 계정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 장치가 클라우드 계정에 바인딩되어 있고 또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였는지 여부를 클라우드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질의한다. 클라우드 서버는 질의 결과를 제1 단말기에 피드백한다. 제1 단말기는 질의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일 예에서, 클라우드 계정은 구체적으로, "*******@xx.com"일 수 있다. 제1 단말기는 클라우드 서버에 의해 송신된 질의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지 않으면, 제1 단말기는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고 - 여기서, 프롬프트 정보는 제2 단말기 상에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도록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는 데 사용됨 -; 제2 단말기가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한 후에,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한다.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였다면, 제1 단말기가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프롬프트 정보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모두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였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는 데 사용된다.
제1 단말기가 초기에,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였다고 결정하면,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제1 단말기가 그 후에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추가로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1 단말기는 더 이상 단계 120 및 보안 인증 단계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기는 단계 110과 단계 130을 수행할 뿐이다.
제1 단말기가 초기에,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제2 단말기가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 한 후에,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한다. 제1 단말기가 그 후에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더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1 단말기는 여전히 단계 120 및 보안 인증 단계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단계 130 이전에, 데이터 공유 방법은, 보안 인증을 구현하기 위해,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 사용자 특징 정보 및 저장된 제2 사용자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단계로, 데이터 전송 중에 데이터 보안이 보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는 제1 단말기의 보안 인증 모드를 활성화한다. 보안 인증 모드에서, 제1 단말기는 사용자의 제1 사용자 특징 정보를 획득한다. 제1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1 사용자 특징 정보가 저장된 제2 사용자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 사용자 특징 정보가 제2 사용자 특징 정보와 매칭되면, 제1 단말기는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한다. 제1 사용자 특징 정보가 제2 사용자 특징 정보와 매칭되지 않으면, 제1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지 않는다. 즉, 제1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와 공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특징 정보는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얼굴 특징 정보, 또는 사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 또는 사용자의 망막 특징 정보(retina characteristic information)일 수 있다.
제2 사용자 특징 정보가 제1 단말기에 의해 제1 단말기의 메모리에 기록되고 미리 저장된다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단말기는 이미지 수집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특징 정보를 수집하거나, 지문 센서 또는 지문 인식 기능을 갖는 표시화면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를 수집하고; 망막 인식부(retina recognizer)를 통해 사용자의 망막 특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지문 센서와 망막 인식부는 제1 단말기의 외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사용자 특징 정보는 사용자의 얼굴 특징 정보이다. 제1 단말기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얼굴 특징 정보, 즉 제1 사용자 특징 정보를 수집한다. 제1 단말기는 제1 사용자 특징 정보가 저장된 제2 사용자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특징 정보가 제2 사용자 특징 정보와 매칭된다는 것은 제1 사용자 특징 정보가 제2 사용자 특징 정보와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사용자 특징 정보가 제2 사용자 특징 정보와 매칭되면,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한다. 제1 사용자 특징 정보가 제2 사용자 특징 정보와 매칭되지 않으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지 않는다. 즉, 제1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와 공유하지 않는다.
도 9b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특징 정보가 대안적으로 "사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 또는 "사용자의 망막 특징 정보"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와 사용자의 망막 특징 정보의 구체적인 인증 과정은 전술한 인증 과정과 유사하다. 여기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제2 단말기에 전송되는 단계 130 이전에, 데이터 공유 방법은 단말기가 전송 속성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단계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고, 반복 전송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는 제1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전송 속성을 설정하고; 제1 단말기는 설정 결과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한다.
일 예에서, 전송 속성은 구체적으로 전송의 유효 시간, 또는 전송의 유효 횟수, 또는 전송의 유효 상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중에, 제1 단말기의 전송 시간이 사전 설정된 시간 임계치를 초과한다. 이 경우, 제1 단말기의 전송이 유효하지 않다. 제1 단말기는 현재 상태에 기초하여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송 중에, 제1 단말기의 송신 시간의 양이 사전 설정된 양 임계치를 초과한다. 이때, 제1 단말기의 전송이 유효하지 않다. 제1 단말기는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송 중에, 제1 단말기 또는 제2 단말기가 검은 화면 상태에 있으면, 제1 단말기의 전송이 유효하지 않다. 제1 단말기는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대안적으로, 전송 속성은 구체적으로 제2 단말기 상에서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사용 상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기는 제1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계정 및 패스워드)를 수신한다. 제2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에 한 번 로그인 한 후에, 제1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유효하지 않게 된다. 제2 단말기가 그 후에 애플리케이션에 재로그인하면, 제2 단말기는 재전송을 수행하도록 제1 단말기에 요청할 필요가 있다. 대안적으로, 제2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다. 제2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고 종료한 후에, 제1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유효하지 않게 된다. 제2 단말기가 그 후에 애플리케이션에 재로그인하면, 제2 단말기는 재전송을 수행하도록 제1 단말기에 요청할 필요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데이터 공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에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가 계정 및 패스워드인 예가 설명에 사용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과정이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여기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데이터 공유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공된 데이터 공유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단말기를 추가로 제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수신 유닛(1100), 결정 유닛(1110), 및 송신 유닛(1120)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1100)은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 동작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데이터가 다른 단말기와 공유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결정 유닛(1110)은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표시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송신 유닛(1120)은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결정 유닛(1110)은 구체적으로,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근거리장-무선-전송-모드 선택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유닛(1100)은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선택 동작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선택 동작 명령은 사용자가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이다.
결정 유닛(1110)은 구체적으로, 선택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단말기는,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1 판정 유닛(1130); 및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였다면, 다른 단말기가 동일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한 후에, 다른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구축 유닛(1140)을 더 포함한다.
또한, 단말기는,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지 않으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1 활성화 유닛(1150)을 더 포함한다.
구축 유닛(1140)은 추가적으로, 다른 단말기가 동일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한 후에 다른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를 구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단말기는, 단말기의 보안 인증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2 활성화 유닛(1160); 및
보안 인증 모드에서, 다른 단말기와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2 판정 유닛(1170)을 더 포함한다.
송신 유닛(1120)은 추가적으로, 단말기 및 다른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였으면,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단말기는, 단말기 및 다른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지 않았다면,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118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프롬프트 정보는 다른 단말기가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할 수 있게 하는 데 사용된다.
송신 유닛(1130)은 추가적으로, 다른 단말기가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한 후에,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설정 유닛(1190)은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속성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유닛(1120)은 추가적으로, 설정 결과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데이터 공유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다른 단말기를 추가로 제공한다. 전술한 단말기에서 설명된 수신 유닛(1100), 결정 유닛(1110), 송신 유닛(1120), 제1 판정 유닛(1130), 구축 유닛(1140), 제1 활성화 유닛(1150), 및 설정 유닛(1190) 외에, 단말기는,
단말기의 보안 인증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3 활성화 유닛(1210);
보안 인증 모드에서, 사용자의 제1 사용자 특징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1220); 및
제1 사용자 특징 정보가, 저장된 제2 사용자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3 판정 유닛(1230)을 더 포함한다.
송신 유닛(1130)은 추가적으로, 제1 사용자 특징 정보가 제2 사용자 특징 정보와 매칭되면,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는 블루투스 전송 모드,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전송 모드, 또는 적외선 전송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특징 정보는 사용자의 얼굴 특징 정보, 또는 사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 또는 사용자의 망막 특징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한 후에,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단말기는, 다른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 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더 이상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복수의 지능형 단말기 간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공유가 구현되고, 사용자가 빈번하게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방지되며, 사용자 경험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시간이 절약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의 데이터 공유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단말기를 추가로 제공한다. 단말기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 또는 웨어러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가 휴대폰인 예가 사용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폰(1300)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휴대폰(1300)은 송수신기 회로(1310), 메모리(1320), 다른 입력 장치(1330), 표시 화면(1340), 센서(1350), 오디오 주파수 회로(1360), I/O 서브시스템(1370), 프로세서(1380), 및 전원(1390)과 같은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도 13에 도시된 휴대폰 구조가 휴대폰에 에 대해 제한하지 않으며,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많은 수의 또는 적은 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구성 요소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일부 구성 요소가 분할되어 있을 수 있거나, 또는 구성 요소가 다른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당업자라면, 표시 화면(1340)이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에 속한다는 것, 그리고 휴대폰(1300)이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많은 수의 또는 적은 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휴대폰(1300)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해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송수신기 회로(1310)는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대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송수신기 회로(1310)는 구체적으로,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회로일 수 있다. 특히, 송수신기 회로(1310)는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1280)에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송수신기 회로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결합기(coupler),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및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송수신기 회로(1310)는 추가적으로, 무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일반 패킷 무선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이메일,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및 NFC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어떠한 통신 표준이나 프로토콜도 사용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카메라, 블루투스 모듈, 및 적외선 모듈 등이 휴대폰(13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설명하지 않는다.
메모리(1320)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380)는 메모리(13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휴대폰(1300)의 다양한 기능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메모리(1320)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체제, 및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를 들어, 사운드 재생 기능 및 이미지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은 휴대폰(1300)의 사용에 기초하여 생성된 데이터(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및 전화번호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2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다른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장치(volatile solid-state storage devic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입력 장치(1330)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휴대폰(1300)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입력 장치(1330)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볼륨 제어 버튼 또는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조이스틱, 및 광 마우스(광 마우스는 시각 출력을 표시하지 않는 터치 감지 표면이거나 터치 스크린에 의해 형성된 터치 감지 표면을 연장한 것임)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입력 장치(1330)는 I/O 서브 시스템(1370)의 다른 입력 장치 컨트롤러 (1371)에 연결되며, 다른 입력 장치 컨트롤러(1371)의 제어하에 프로세서(1380)와 신호 교환을 수행한다.
표시 화면(134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또는 사용자를 위해 제공된 정보, 및 휴대폰(1300)의 다양한 메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을 더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화면(1340)은 디스플레이 패널(1341)과 터치 패널(134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4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하는 터치 패널(1342)은 터치 패널(1342) 상에서 또는 터치 패널(1342) 부근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터치 또는 비터치 동작을 수집할 수 있다(예를 들어, 체성 감각 조작(somatosensory operation)이 더 포함될 수 있는 손가락 또는 임의의 적절한 물체 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1342) 상에서 또는 터치 패널(1342) 부근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이며, 이러한 조작은 단일점 제어 조작(single-point control operation) 또는 다중점 제어 조작(multi-point control operation)과 같은 조작을 포함하고 있음)을 수행하고, 사전 설정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연결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터치 패널(1342)은 2개의 부분, 즉 터치 검출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향과 제스처를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의한 신호를 검출하며, 터치 컨트롤러에 신호를 송신한다.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고,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한 후에 프로세서(1380)에 송신하며, 프로세서(1380)에 의해 송신된 명령을 수신하고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342)은 저항형, 용량형, 적외선형, 및 표면 탄성파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1342)은 어떤 미래의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패널(1342)은 디스플레이 패널(1341)을 덮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241)에 표시된 컨텐츠(표시된 컨텐츠는 소프트 키보드, 가상 마우스, 가상 버튼, 아이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341)을 덮는 터치 패널(1342) 상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패널(1342) 상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조작을 검출한 후에, 터치 패널(1342)은 I/O 서브 시스템(1370)을 이용하여 조작을 프로세서(1380)에 전송하여 사용자 입력을 결정한다. 그런 다음, 프로세서(1380)는 I/O 서브 시스템(1370)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341) 상에 대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터치 패널(1342)과 디스플레이 패널(1341)은 도 1의 휴대폰(1300)의 입출력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2개의 개별 구성 요소로서 사용된다. 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1342)과 디스플레이 패널(1341)은 휴대폰(1300)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통합되어 있을 수 있다.
휴대폰(130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1350), 예를 들어 광센서, 모션 센서, 또는 다른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발광 센서와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센서는 주변광의 밝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341)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휴대폰(1300)이 귀로 이동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1341) 및/또는 백라이트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모션 센서의 하나의 형태로서, 가속도 센서가 각각의 방향(일반적으로, 3축이 가능함)에서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 상태에서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휴대폰의 자세 인식 애플리케이션(예를 들면, 풍경 모드와 인물 모드의 화면 전환, 또는 관련 게임, 또는 자력계 자세 교정), 및 진동 인식 관련 기능(예를 들면 만보계 및 탭핑) 등을 포함한다. 휴대폰(1300)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는 다른 센서, 예컨대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또는 적외선 센서의 경우,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사항에 대해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센서(1350)는 구체적으로 지문 센서 또는 망막 인식부(retina recognizer)이다. 지문 센서는 사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를 수집하고, I/O 서브 시스템(1370)을 이용하여 수집 결과를 프로세서(138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런 다음, 프로세서(1380)는 I/O 서브 시스템(1370)을 이용하여, 수집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341) 상에 대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망막 인식부는 사용자의 망막 특성 정보를 수집하고, I/O 서브 시스템(1370)을 이용하여 수집 결과를 프로세서(138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런 다음, 프로세서(1380)는 I/O 서브 시스템(1370)을 이용하여 수집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341) 상에 대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오디오 주파수 회로(1360), 스피커(1361), 및 마이크(1362)는 사용자와 휴대폰(1300) 간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주파수 회로(1360)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변환된 신호를 스피커(1361)에 전송할 수 있고, 스피커(1361)는 이 신호를 출력을 위한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마이크(1362)는 수집된 사운드 신호를 신호로 변환하고, 오디오 주파수 회로(1360)는 이 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 후 오디오 데이터를 RF 회로(1310)에 출력함으로써,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를 다른 이동 전화에 전송하거나, 또는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오디오 데이터를 메모리(1320)에 출력한다.
I/O 서브 시스템(1370)은 외부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다른 입력 장치 컨트롤러(1371), 센서 컨트롤러(1372),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373)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입력 장치 컨트롤러(1371)는 다른 입력 장치(133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다른 입력 장치(1330)에 신호를 송신한다. 다른 입력 장치(1330)는 물리적 버튼(누름 버튼 및 로커 버튼(rocker button) 등), 다이얼 패드, 슬라이드 스위치, 조이스틱, 클릭 스크롤 휠, 및 광 마우스(광 마우스는 시각적 출력을 표시하지 않는 터치 감지 표면이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형성된 터치 감지 표면의 연장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입력 장치 컨트롤러(1371)가 전술한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I/O 서브 시스템(1370) 내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373)는 표시 화면 (134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표시 화면(1340)에 신호를 전송한다. 표시 화면(1340)이 사용자 입력을 검출한 후에,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1373)는 검출된 사용자 입력을 표시 화면(1340) 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와의 상호 작용으로 변환하는데, 즉 인간-기계 상호 작용을 구현한다. 센서 컨트롤러(1372)는 하나 이상의 센서(135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센서(1350)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80)는 휴대폰(1300)의 제어 센터이고, 모든 유형의 인터페이스와 휴대폰 전체의 모든 구성 요소에 회선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수행하고 또한 메모리(1320)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휴대폰 상에서의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380)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가 프로세서(1380)에 통합되어 있을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응용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모뎀 프로세서가 프로세서(1380)에 통합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휴대폰(1300)은 각각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1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시스템이 충전 관리,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비 관리와 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전력 공급 장치가 전력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프로세서(1380)에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표시 화면(1340)은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 동작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데이터가 다른 단말기와 공유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프로세서(1380)는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표시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송수신기 회로(1310)는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1380)는 구체적으로,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근거리장-무선-전송-모드 선택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표시 화면(1340)은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선택 동작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선택 동작 명령은 사용자가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이다.
프로세서(1380)는 구체적으로, 선택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1380)는 구체적으로,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면, 다른 단말기가 동일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한 후에, 다른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이 송수신기 회로(1310)를 이용하여 구축된다.
또한, 프로세서(1380)는 구체적으로,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지 않으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고;
다른 단말기가 동일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한 후에, 송수신기 회로(1310)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1380)은 구체적으로 단말기의 보안 인증 모드를 활성화하고;
보안 인증 모드에서, 제1 단말기와 다른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며;
다른 단말기와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였으면, 송수신기 회로(1310)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1380)는 구체적으로, 다른 단말기와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지 않았다면, 표시 화면(1340)을 이용하여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고 - 여기서 프롬프트 정보는 다른 단말기가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할 수 있게 하는 데 사용됨 -;
다른 단말기가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한 후에, 송수신기 회로(1310)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1380)는 구체적으로 단말기의 보안 인증 모드를 활성화하고;
보안 인증 모드에서, 카메라 또는 센서(135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1 사용자 특징 정보를 획득하며;
제1 사용자 특징 정보가, 저장된 제2 사용자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제1 사용자 특징 정보가 제2 사용자 특징 정보와 매칭되면, 송수신기 회로(1310)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서(1380)는 추가적으로,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속성을 설정하고;
송수신기 회로(1310)를 이용하여, 설정 결과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는 블루투스 전송 모드,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전송 모드, 또는 적외선 전송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특징 정보는 사용자의 얼굴 특징 정보, 또는 사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 또는 사용자의 망막 특징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한 후에, 다른 단말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더 이상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복수의 지능형 단말기 간에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공유가 구현되고, 사용자가 빈번하게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방지되며, 사용자 경험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시간이 절약된다.
본 명세서에서 공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예와 함께, 유닛과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앞에서는 일반적으로 기능에 기초하여 각각의 예의 구성 및 단계가 설명되었다. 기능이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여부는 구체적인 적용 및 기술적 해결방안의 설계 제한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당업자는 각각의 구체적인 적용을 위해 설명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가 하드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램 가능한 롬(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씨디롬(CD-ROM), 또는 당해 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어느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전술한 구체적인 구현에서,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책, 및 이점이 더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일 뿐미여,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고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 및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진 어떠한 수정, 동등한 대체, 또는 개선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할 것이다.

Claims (17)

  1.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근거리장 전송(near-field transmission)에 사용되는 데이터 공유 방법으로서,
    제1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 동작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데이터가 제2 단말기와 공유되는 애플리케이션임 -;
    제1 단말기가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2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표시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할 수 있도록,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의 계정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근거리장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공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단말기가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제1 단말기의 근거리장-무선-전송-모드 선택 모드(near-field-wireless-transmission-mode selection mode)를 활성화하는 단계;
    제1 단말기가 사용자의 선택 동작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 선택 동작 명령은 사용자가 제1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임 -; 및
    제1 단말기가 선택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근거리장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공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근거리장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공유 방법이,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제1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였다면, 제2 단말기가 동일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한 후에,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근거리장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공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근거리장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공유 방법이,
    제1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지 않으면, 제1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제2 단말기가 동일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한 후에,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근거리장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공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근거리장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공유 방법이,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보안 인증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보안 인증 모드에서,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였다면,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근거리장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공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근거리장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공유 방법이,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지 않으면, 제1 단말기가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 프롬프트 정보는 제2 단말기가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할 수 있게 하는 데 사용됨 -; 및
    제2 단말기가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한 후에,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근거리장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공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근거리장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공유 방법이,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의 보안 인증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보안 인증 모드에서, 제1 단말기가 사용자의 제1 사용자 특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1 단말기가, 제1 사용자 특징 정보가 저장된 제2 사용자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제1 사용자 특징 정보가 제2 사용자 특징 정보와 매칭되면, 제1 단말기가, 제2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근거리장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공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근거리장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공유 방법이,
    제1 단말기가, 제1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속성을 설정하는 단계; 및
    제1 단말기가 설정 결과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제2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근거리장 전송에 사용되는 데이터 공유 방법.
  9. 단말기로서,
    상기 단말기는 다른 단말기와의 근거리장 전송(near-field transmission)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 동작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데이터가 다른 단말기와 공유되는 애플리케이션임 -;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다른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표시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의 계정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스처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근거리장-무선-전송-모드 선택 모드(near-field-wireless-transmission-mode selection mode)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 유닛은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선택 동작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 여기서, 선택 동작 명령은 사용자가 단말기에 의해 표시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임 -;
    상기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선택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1 판정 유닛; 및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였다면, 다른 단말기가 동일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한 후에, 다른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구축 유닛
    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지 않으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1 활성화 유닛(enabling unit)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축 유닛은 추가적으로, 다른 단말기가 동일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를 활성화한 후에 다른 단말기로의 무선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단말기.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의 보안 인증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2 활성화 유닛; 및
    보안 인증 모드에서, 다른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2 판정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유닛은 추가적으로, 단말기 및 다른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였다면,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다른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가 동일한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하지 않으면,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 - 프롬프트 정보는 다른 단말기가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할 수 있게 하는 데 사용됨 -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유닛은 추가적으로, 다른 단말기가 클라우드 계정에 로그인한 후에,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단말기.
  15.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의 보안 인증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제3 활성화 유닛;
    보안 인증 모드에서, 사용자의 제1 사용자 특징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 및
    제1 사용자 특징 정보가, 저장된 제2 사용자 특징 정보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3 판정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유닛은 추가적으로, 제1 사용자 특징 정보가 제2 사용자 특징 정보와 매칭되면,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결정된 근거리장 무선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단말기.
  16.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속성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유닛은 추가적으로, 설정 결과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단말기.
  17.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실행되는 경우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데이터 공유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197009683A 2016-09-06 2016-09-06 데이터 공유 방법 및 단말기 KR102182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98201 WO2018045487A1 (zh) 2016-09-06 2016-09-06 数据共享的方法与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801A KR20190049801A (ko) 2019-05-09
KR102182417B1 true KR102182417B1 (ko) 2020-11-24

Family

ID=61561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683A KR102182417B1 (ko) 2016-09-06 2016-09-06 데이터 공유 방법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84754B2 (ko)
EP (1) EP3499918B1 (ko)
JP (1) JP6765004B2 (ko)
KR (1) KR102182417B1 (ko)
CN (1) CN109937583A (ko)
AU (1) AU2016422505B2 (ko)
WO (1) WO20180454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915B1 (ko) 2018-09-28 2023-05-26 애플 인크. 모바일 디바이스들 사이의 레인징
US10735900B1 (en) 2019-05-06 2020-08-04 Apple Inc. Ranging measurements for spatially-aware user interface of a mobile device
CN111212411B (zh) * 2019-12-31 2023-11-1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文件传输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终端
CN111447208A (zh) * 2020-03-24 2020-07-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共享方法及电子设备
CN111541922B (zh) * 2020-04-15 2022-12-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界面输入信息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083867A (zh) * 2020-07-29 2020-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跨设备的对象拖拽方法及设备
CN112188461B (zh) * 2020-10-20 2023-07-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近场通信装置的控制方法及装置、介质和电子设备
CN114844938A (zh) * 2021-02-02 2022-08-02 华为技术有限公司 统计终端设备的使用信息的方法及装置
CN113840235B (zh) * 2021-08-04 2024-05-07 杭州羿腾科技有限公司 一种近场范围内的精准信息互动方法、系统及终端
CN113784337B (zh) * 2021-10-20 2022-08-26 清华大学 数据传输方法及装置、数据传输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8707A1 (en) * 2012-01-23 2014-09-11 Douglas Denny Secure communications system for direct transfer between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37551C (zh) * 2003-10-28 2008-11-26 联想(新加坡)私人有限公司 使多个用户设备自动登录的方法和设备
WO2010041366A1 (ja) * 2008-10-06 2010-04-15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JP5200900B2 (ja) * 2008-12-08 2013-06-05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機器
US9020432B2 (en) * 2009-11-30 2015-04-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integrated circuit, and program
JP2013157969A (ja) * 2012-02-01 2013-08-15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携帯端末装置及び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
US9317240B2 (en) * 2012-02-15 2016-04-19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688263A1 (en) * 2012-07-17 2014-01-22 Tele2 Sverige AB System and method for delegated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KR101888650B1 (ko) 2012-09-07 2018-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CN103179281A (zh) 2013-03-25 2013-06-26 成都西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间快速实现资源共享的方法
KR20150026657A (ko) * 2013-09-03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들간의 연동에 따른 화면 설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3473376B (zh) 2013-09-29 2017-12-29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客户端
US20150143492A1 (en) * 2013-11-19 2015-05-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collaborators on a shared mobile device
JP6287104B2 (ja) * 2013-11-22 2018-03-0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無線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接続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信接続制御方法
KR20150060128A (ko) 2013-11-26 2015-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p2p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저장 매체 및 장치
KR20150070836A (ko) * 2013-12-17 2015-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172605B2 (en) * 2014-03-07 2015-10-27 Ubiquiti Networks, Inc. Cloud device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CN104270732B (zh) * 2014-10-23 2020-02-07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呼叫转移的配置方法和装置
CN105653013A (zh) * 2014-11-10 2016-06-08 安徽华米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播放多媒体的控制方法、装置及系统
JP6562660B2 (ja) * 2015-03-04 2019-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CN104768126A (zh) * 2015-05-05 2015-07-08 深圳市东方拓宇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之间实现数据共享的方法以及移动终端
US10419514B2 (en) * 2015-08-14 2019-09-17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Discovery of federated logins
CN105828274A (zh) 2015-09-18 2016-08-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的连接方法、第一终端及第二终端
US11868995B2 (en) * 2017-11-27 2024-01-09 Nok Nok Labs, Inc. Extending a secure key storage for transaction confirmation and cryptocurrenc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58707A1 (en) * 2012-01-23 2014-09-11 Douglas Denny Secure communications system for direct transfer between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9918B1 (en) 2022-02-23
KR20190049801A (ko) 2019-05-09
JP6765004B2 (ja) 2020-10-07
AU2016422505B2 (en) 2020-07-16
WO2018045487A1 (zh) 2018-03-15
US11184754B2 (en) 2021-11-23
US20190200203A1 (en) 2019-06-27
EP3499918A4 (en) 2019-08-07
EP3499918A1 (en) 2019-06-19
JP2019534598A (ja) 2019-11-28
CN109937583A (zh) 2019-06-25
AU2016422505A1 (en)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417B1 (ko) 데이터 공유 방법 및 단말기
US11860986B2 (en) Authent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WI663541B (zh) 行動終端、指紋識別控制方法及裝置、電腦可讀儲存媒體及電腦程式產品
US11227042B2 (en) Screen unlock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EP3525075B1 (en) Method for lighting up screen of double-screen terminal, and terminal
CN106778175B (zh) 一种界面锁定方法、装置和终端设备
TWI520043B (zh) 消息查看方法、裝置和移動終端
WO2014032611A1 (zh) 桌面管理方法和装置
WO2016119580A1 (zh) 一种开启终端的语音输入功能的方法、装置和终端
KR20150050732A (ko)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형 전자장치
WO2014012472A1 (zh) 一种用户界面的图标管理方法及触控设备
WO2014206143A1 (zh) 未读消息数目显示方法、装置和设备
CN106951143B (zh) 隐藏应用图标的方法及装置
WO2015010466A1 (zh) 信息显示方法、装置和移动终端
WO2015024372A1 (zh) 发起通信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WO2019085533A1 (zh) 用于终端设备的应用处理的方法和终端设备
WO2019071581A1 (zh) 一种应用启动的控制方法及用户终端
WO2015024393A1 (zh) 发送短信的方法、装置及终端
CN106934003B (zh) 一种文件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10719361B (zh) 信息发送方法、移动终端和存储介质
TW201516847A (zh) 執行操作的確認方法和裝置
WO2016191968A1 (zh) 一种左右手模式的确定方法、装置及终端设备
WO2016131180A1 (zh) 一种键盘的显示方法、装置及终端设备
WO2016119616A1 (zh) 一种用户终端的拨号方法以及用户终端
CN106657278B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