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541A - Beverage maker for all cartridge - Google Patents

Beverage maker for all cart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541A
KR20150017541A KR1020130093604A KR20130093604A KR20150017541A KR 20150017541 A KR20150017541 A KR 20150017541A KR 1020130093604 A KR1020130093604 A KR 1020130093604A KR 20130093604 A KR20130093604 A KR 20130093604A KR 20150017541 A KR20150017541 A KR 20150017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receptacle
pressing
elastic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72956B1 (en
Inventor
정우영
Original Assignee
컨벡스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벡스코리아(주) filed Critical 컨벡스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30093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956B1/en
Priority to PCT/KR2013/011323 priority patent/WO2014092406A1/en
Publication of KR20150017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5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9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47J31/0678Means to separate the cartridge from the bottom of the brewing chamber, e.g. grooves or protrus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47J31/0673Means to perforate the cartridge for creating the beverage out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8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aking beverages, which can have different cartridg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vice for making coffee which can have a cartridge like a pack type cartridge whose outside is covered with porous materials such as capsules or non-woven fabrics and enables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ater to spray the cartridge of coffee powders, thereby making coffee beverages like espres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omprises a receptacle with a fixing tool which has a pressurizing part to pressurize and fix each storage body to store a cartridge or another cartridge respectively; and an elastic part which assigns elasticity to the pressurizing part to pressurize the cartridge or the storage body in a main body to store all cartridges regardless of manufacturers.

Description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BEVERAGE MAKER FOR ALL CARTRIDGE}{BEVERAGE MAKER FOR ALL CARTRIDGE}

본 발명은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메이커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nk maker capable of mounting different types of cartridges,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 타입의 카트리지, 특히 커피 파우더가 내장된 카트리지에 고온·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에스프로세 동의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메이커에 있어서, 특히 제조사별로 크기가 다른 카트리지와 무관하게 이들이 모두 수용되는 본체에 카트리지 또는 이종의 카트리지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체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가 상기 카트리지 또는 상기 수용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리셉터클을 도입한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메이커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nk maker for producing an espresso coffee drink by spraying hot water and high-pressure water onto a cartridge of a pack type packed in a porous casing such as a capsule or a nonwoven fabric,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and fixing a receptor, which accommodates a cartridge or a different kind of cartridge, to a main body in which all of the cartridges are accommodat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artridge, and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cartridge or the receiving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nk maker capable of mounting different types of cartridges into which a receptacle including a fixing means made of elastic portions is provided.

음료 추출 장치, 특히 분쇄된 커피가 담긴 카트리지에 고안 및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메이커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Conventional techniques related to coffee makers designed to extract beverage, especially cartridges containing ground coffee, and to extract coffee by spraying high pressure water

특허등록 제10-0236856호(등록일자 1999년10월05일 [카트리지 추출용 장치 및 카트리지 홀더]가 있는데, 상기 등록 특허는 어떠한 에스프레소 기계에도 적합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추출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Patent Registration No. 10-0236856 (filed on October 5, 1999 [Cartridge Extraction Apparatus and Cartridge Holder]) is proposed to provide a cartridge extracting apparatus configured to be compatible with any espresso machine.

또 특허공개 제10-2010-0113447호(공개일자 2010년10월21일) [캡슐 센터링 기구를 구비한 1회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가 있는데, There is also an injection device for producing a beverage from a disposable capsule having a capsule centering mechanism, which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10-0113447 (published on October 21, 2010)

상기 공개특허는 1회용 캡슐로부터 음료 또는 기타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1회용 캡슐에 수용된 물질을 추출 혹은 희석함으로써 커피 또는 기타 뜨거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atent is directed to an injection device for producing a beverage or other food from a disposable capsule and to an injection device for producing coffee or other hot beverage by extracting or diluting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disposable capsule.

나아가 특허등록 제10-1067540호(등록일자 2011년09월19일)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있는데, Further, Patent Registration No. 10-1067540 (date of registration September 19, 201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everage]

상기 등록특허는 음료 전구 물질 액체는, 음료 카트리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제조 챔버의 폐쇄의 개시에 기초하여 공급될 수 있다. 뚜껑 제어 기구는 저장통으로의 접근을 막도록 제 위치에 저장통 뚜껑을 잠글 수 있고, 제조 챔버의 폐쇄에 응답하여 저장통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뚜껑을 해제할 수 있고, 저장통 뚜껑은 제조 챔버가 개방될 때 동시에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저장통 뚜껑은 저장통을 공압식으로 밀봉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저장통을 제조 챔버로 수력으로 가압되게 하고, 저장통 내의 물은, 예를 들어 히터로의 전력을 차단하는 열 차단 스위치의 개방에 기초하는, 물이 충분하게 가열되었다는 감지에 응답하여, 제조 챔버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patent discloses that the beverage precursor liquid may be supplied based on the onset of the closure of the production chamber configured to at least partially surround the beverage cartridge. The lid control mechanism can lock the reservoir lid in place to prevent access to the reservoir and release the lid to allow access to the reservoir in response to the closure of the production chamber, And the reservoir lid can pneumatically seal the reservoir, for example, causing the reservoir to be hydraulically pressed into the production chamber, and the water in the reservoir can, for example, block power to the heater In response to detection that the water has been sufficiently heated, based on the opening of the thermal shut-off switch.

아울러 특허공개 제10-2011-0122702호(공개일자 2011년11월10일) [음료 조제 기계]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음료 성분의 사전-포장 용기(prepackaged container)를 이용하는 유형의 음료 조제 기계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Patent Disclosure No. 10-2011-0122702 (November 10, 2011) discloses a beverage dispensing machine, which comprises a beverage dispensing machine of the type using a prepackaged container of beverage ingredient .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을 비롯한 종래 음료 메이커, 보다 한정하여 커피 메이커, 보다 더 한정하여 카트리지를 이용한 고온ㅇ고압 추출형 커피 메이커는 However, conventional high-pressure extraction type coffee makers using such conventional technologies as conventional drink makers, more limited coffee makers, and more specifically, cartridges,

캡슐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 타입의 카트리지가 제조사 마다 모두 다르고, 이에 따라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수용부재(receptacle)의 형상도 모두 달라 소비자가 다양한 커피를 마시려고 하는 경우 커피 메이커를 그에 맞게 다시 구매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과도한 구매 비용이 소요되며, 마음대로 원하는 커피제품을 맛 볼 수 없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Pack type cartridges packed in a porous casing such as a capsule or a non-woven fabric are different from one manufacturer to another, so that the shape of receptacles for accommodating the cartridges is also different. When a consumer tries to drink various kinds of coffe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purchase again, so that an excessive purchase cost is incur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sired coffee product can not be enjoyed at will.

또한 종래 기술은 동종의 카트리지를 사용할 경우에도 다수의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커피 추출을 행해야 할 경우, 음료 추출 시 열수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하여 리셉터클과 카트리지의 취급이 쉽지 않으며, 추출 후 남은 열수(잔수)로 인해 카트리지 교체 작업이 어려워 시간이 오래 걸리며, 잔수에 의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 in the prior art, when coffee is to be extracted using a plurality of cartridges even when using the same kind of cartridge, the temperature rises due to hot water during beverage extraction and handling of the receptacle and the cartridge is not easy, It takes a long time because the cartridge replacement operation is difficul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ay be burnt by the residual water.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하나의 리셉터클에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모두를 고정시켜 장착하여 음료 추출을 행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 또는 이종의 카트리지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체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가 상기 카트리지 또는 상기 수용체를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 pressurizing portion for pressing and fixing a receptacle in which a cartridge or a different kind of cartridge is accommodated so that beverage can be extracted by mounting all of different types of cartridges having different sizes to one receptacle, Or a receptacle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including an elastic portion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press the receptacl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rink maker capable of mounting different kinds of cartridges.

또 본 발명은 상기 고정수단이 서로 다른 크기의 카트리지 또는 수용체 모두를 각각 안정적으로 본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 또는 수용체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가압편으로 구성된 가압부와, 상기 가압편과 각각 연결되고 상호 힌지 결합된 한 쌍의 탄성편 및 상기 탄성편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편 각각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탄성부로 구성된 고정수단을 구비한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ans comprises a pressing portion composed of a pair of pressing pieces for pressing and fix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artridge or the receiver so that the cartridge or the receiving portion can be stably fixed to the main body, And a fixing means composed of a pair of elastic piece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inged to each other and an elastic part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pieces and including an elastic body that exert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pieces are mutually moved away from each o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verage maker capable of mounting different types of cartridges.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수용체의 양측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할 때, 특히 리셉터클 본체보다 직경이 작은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수용체를 사용할 경우 상기 가압편들을 통해 수용체의 좌우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용체의 전후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편에 수용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체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대응삽입홈이 구비되어 있는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ixing means presses and fixes both side outer surfaces of the receptacle, particularly when a receptacle containing a cartridg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receptacle body is used, the receptacle is prevented from flowing sideways through the pressing pieces And a fixing protrusion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receptor to the pressing piece so as to prevent the back and forth flow of the receptor, and the receptacle includes a cartridge mounting portion having a corresponding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ssible drink maker.

또한 본 발명은 음료 추출 후 카트리지의 교체를 쉽게 행할 수 있어, 다량의 음료 추출 시 추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화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가압부재를 가압하였을 때 상기 탄성편과 상기 가압편이 연동하여 작동함으로써, 카트리지가 본체 또는 수용체에서 이탈,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수단을 더 구비하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place the cartridge after extracting the beverage, thereby shortening the extraction time in extracting a large amount of beverage, and further,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ure member so as to prevent the image damage of the user, And a separating means for separating the cartridge from the main body or the receiver by operating the pressing piece in conjunction with the pressing piece, so that the cartridge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r the receiv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메이커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everage maker capable of mounting a different kind of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추출대상체가 내장되는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및A different type of cartridge in which the extraction object is embedded; And

상기 카트리지가 모두 수용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카트리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리셉터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And a receptacl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having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artridge,

상기 고정수단은The fixing means

상기 카트리지 또는 이종의 카트리지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체를 가압하여 본체에 고정시키는 가압부와,A pressing portion that presses the receptacle in which the cartridge or the different types of cartridges are respectively received,

상기 가압부가 상기 카트리지 또는 상기 수용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pressing portion includes an elastic portion for applying elastic force to press the cartridge or the receptacle.

또 본 발명에 따른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메이커에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카트리지 또는 상기 수용체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가압편으로 구성되고,In the beverage maker capable of mounting different kinds of cart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ortion is constituted by a pair of pressing pieces for pressing and fix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artridge or the receptacle,

상기 탄성부는 상기 가압편과 각각 연결되어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편 및 상기 탄성편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편 각각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elastic part includes a pair of elastic pieces connected to the haptic device by being hinged to each other, and an elastic body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pieces to exert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pieces move away from each other.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메이커에서 상기 가압편은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수용체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고,In the beverage maker capable of mounting different kinds of cart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iece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for preventing the receiver from flowing in the main body,

상기 수용체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대응삽입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receptacle is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메이커에서 상기 리셉터클 본체는 카트리지를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을 더 포함하고,In the beverage maker capable of mounting a different kind of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ptacle body further includes separating means for separating the cartridge,

상기 분리수단은The separating means

상기 탄성편과 결합되면서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And a pressing member hinged to the main body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elastic piece,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가압편이 승하강됨으로써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수용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pressing piece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by the urging of the pressing member so that the cartridge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r the receiver.

본 발명에 따른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메이커는 이종의 카트리지를 모두 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가압부와 탄성부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을 도입하여 하나의 리셉터클만으로 이종의 카트리지 모두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 교체가 매우 쉬워 이종(異種)의 카트리지에 대하여 매우 쉽고 빠르게 음료 추출을 행할 수 있다.
The beverage maker capable of mounting different kinds of cart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fixing unit composed of a pressing unit and an elastic unit capable of fixing all different types of cartridges to the main body so that all of the different cartridges can be used with only one receptacle Therefore, it is very easy to replace the cartridge,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beverage extraction very easily and quickly for different kinds of cartridg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메이커는 카트리지 또는 이종의 카트리지가 각각 수용된 수용체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가압편으로 구성된 가압부와, 상기 가압편과 각각 연결되고 상호 힌지 결합된 한 쌍의 탄성편 및 상기 탄성편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편 각각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탄성부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을 도입하여,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할 때 특히, 리셉터클보다 직경이 작은 카트리지가 수용된 수용체 장착 시 카트리지가 본체 중앙에 정확히 고정될 수 있어, 하나의 리셉터클과 음료 메이커를 이용함에도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모두에 대하여 안정되게 음료 추출을 행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everage maker capable of mounting different kinds of cartridges. The beverage maker includes a pressing portion composed of a pair of pressing pieces for pressing and fix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receivers respectively holding the cartridges or the different types of cartridges, A fixing means including a pair of elastic pieces connected and mutually hinged and an elastic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pieces and including an elastic body that exert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pieces are moved away from each other is introduced to mount the cartridge in the main body The cartridge can be accurately fixed to the center of the main body when the receiver accommodating the cartridg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receptacle is mounted. Therefore, even if one receptacle and the drink maker are used, the beverage can be stably extracted have.

또 본 발명에 따른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는 수용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돌기를 갖는 가압편과,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대응삽입홈이 구비된 수용체를 도입하여, 상기 본체보다 직경이 작은 카트리지의 장착 시 본체 내에서 수용체가 가압편의 가압방향과 직교되는 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에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해진다.
A beverage maker capable of mounting a different type of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e piece having a fixing protrusion for preventing a flow of a receiver and a receiver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ceiver from flow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member in the main body when the cartridge with a smaller diameter is mounted, thereby allowing the cartridge to be mounted at a more accurate posi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는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도입하여, 카트리지의 교체가 쉬우며, 교체 작업 시 고온의 물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해를 입지 않으며,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분리수단과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분리수단과 고정수단의 구성을 매우 쉽게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apable of mounting different kinds of cartridges, introduces the cartridge separating means to easily replace the cartridges, the user is not injured by hot water at the time of replacement, The separating means and the fixing means can be constructed very easi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메이커의 외관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메이커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메이커에서 이종(異種)의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리셉터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메이커의 리셉터클의 분리수단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메이커에서 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메이커에서 거품발생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메이커의 장착부재 설명을 위한 사진도.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rink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exploded view of a drink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receptacle in which a different kind of cartridge is mounted in a drink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a receptacle separating means of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rtridge in a drink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bubble generating means in a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hotograph for explaining a mounting member of a drink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7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한다.
In describing a beverage maker capable of mounting different kinds of cart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specified by reference to FIGS. 1 and 7 that the direction of gravity is not rigid for convenience,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are determined as they ar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 beverage maker capable of mounting different types of cart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종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는 First, as shown in Figs. 1 to 14, a beverage maker capable of mounting different types of cartrid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추출대상체가 내장되는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및A different type of cartridge in which the extraction object is embedded; And

상기 카트리지가 모두 수용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카트리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리셉터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d a receptacle having a main body to which all of the cartridges can be accommodated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artridges to the main body.

상기 카트리지(C)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Ca)와 플렌지(Cb)를 구비한 바디, 추출대상체(P)가 상기 바디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의 플렌지(Cb)에 결합되어 개구부(Ca)를 덮는 커버시트(C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2, the cartridge C includes a body having an opening Ca and a flange Cb, a body to be extracted P coupled to the flange Cb of the body in a state where the body P is embedded in the body, And a cover sheet C1 covering the opening Ca.

미설명 부호인 53B와 57은 카트리지에 바디에 내장되어 커피 추출 시 크레마 향상을 위한 거품발생수단 등이 더 구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reference numerals 53B and 57 denote that the cartridges are incorporated in the body and may further include a foam generating means for improving crema at the time of extracting coffee.

상기 카트리지(C)에서 상기 개구부(Ca) 즉, 바디의 크기는 제조사별로 다르므로 본 발명은 제조사별로 다양한 카트리지(C)를 수용할 수 있는 리셉터클(30)을 다수 구비하고,Since the size of the opening Ca in the cartridge C differs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ceptacles 30 that can accommodate various cartridges C for each manufacturer,

상기 리셉터클(30)들을 음료 추출부(11)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카트리지(C)의 종류에 따라 리셉터클(3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receptacles 3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everage extracting unit 11 so that the receptacle 30 may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artridge C. [

이를 위하여 음료추출부(11)와 음료 추출용 노즐(미도시) 등이 구비된 전단부를 제외한 상부에 이종의 리셉터클(30)들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부(11A)가 형성된다.For this purpose, a storage portion 11A capable of storing different types of receptacles 3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except the front end portion provided with the beverage extraction portion 11 and the beverage extraction nozzle (not shown).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보관부(11A)와 상기 음료추출부(11)를 개폐할 수 있는 제1커버덮개(15A)를 구비하여 리셉터클(30)의 보관 및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orage cover 11A and a first cover cover 15A that can open and close the beverage extracting unit 11 so that the receptacle 30 can be easily stored and replaced.

본 발명은 상기 보관부를 개폐하는 제1커버덮개(15A)와 이 제1커버덮개(15A)에서 상기 음료추출부(11)만을 개폐할 수 있는 제2커버덮개(11B)를 구비함으로써, 리셉터클(30)의 교체 없이 카트리지(C)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경우 리셉터클(30)의 탈착을 용이하도록 하고, 음료 메이커의 구성부를 손쉽게 청소하여 유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irst cover cover 15A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portion and the second cover cover 11B for opening and closing only the beverage extraction portion 11 from the first cover cover 15A, 30, the receptacle 30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and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drink maker can be easily cleaned and maintained.

본 발명의 음료 메이커를 이루는 하우징(10)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수용부(10A)가 마치 동물이 입을 벌리고 있는 것과 같이 전방으로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저면에는 커피 등의 잔액이 떨어져 수용되는 잔액트레이(19)가 구비되어 있으며, 분리가능한 그릴(19a)이 잔액트레이(19)의 저장 공간 상부에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ousing 10 of the beverag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in which the beverage receiving portion 10A is opened forward as if the animal is opening its mouth, And a detachable grill 19a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space of the balance tray 19. [

상부에는 상기 음료추출부(11)와 리셉터클(30) 보관부(11A)가 구비되어 상기 제1커버덮개(15A)와 상기 제2커버덮개(11B)에 의하여 덮여 있다.The beverage extracting unit 11 and the receptacle 30 storing unit 11A are provided on the upper part and are covered by the first cover cover 15A and the second cover cover 11B.

또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음료수용부(10A) 상부 위치에 해당하는 음료 추출부(11)의 하면에는 추출 음료 배출 노즐이 구비되어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 extractive drink discharge nozzle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everage extracting unit 11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sition of the beverage storing unit 10A.

그리고 본 발명은 열수 공급을 위하여, 또 휴대성을 위하여 물탱크가 후면에 장착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tank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for hot water supply and portability.

물탱크의 본질은 '추출용매 공급수단'이며, 음료의 본질상 수도시설에서 공급되는 물이나 생수 등 자연상태에서 획득할 수 있는 100% 물이거나, 음용 가능한 다양한 성분을 혼합한 물일 수 있으며, 이를 대표하여 '추출용매'라 할 수 있고, The essence of the water tank is the 'extraction solvent supply means', which can be 100% water that can be obtained in a natural state, such as water or living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facility in the essence of a drink, or water mixed with various drinking- Typically, it can be referred to as an 'extraction solvent'

따라서 하우징(10)에 장착되는 물탱크 뿐 아니라 수도꼭지, 정수기, 냉온수기 등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모든 물 함유 용매 공급수단일 수 있다.Therefore, it may be any water-containing solvent supplying means connected to a faucet, a water purifier, a cold / hot water heater, etc. in addition to a water tank mounted on the housing 10.

또 상기 하우징(10)의 기둥부(잔액트레이(19)가 구비된 베이스와 음료 추출부(11)를 연결하는 부분)에는 통상의 커피 메이커와 같이 고온ㅇ고압의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 보일러 및 펌프, 이의 제어 및 안전성 보장을 위한 각종 센서 및 컨트롤러 역할을 하는 마이컴 등이 구비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핵심을 집중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도면 및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In order to spray hot water and high-pressure water, such as a typical coffee maker, the boiler and the pump (not shown) are connected to the column portion of the housing 10 (the portion connecting the base provided with the balance tray 19 and the beverage extracting portion 11) And a microcomputer serving as various sensors and controllers for assuring its control and safety. In order to explain the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도시된 형태는 음료 메이커 중 커피 추출형 커피 메이커이나, 본 발명의 개념은 다양한 용기형 캡슐(capsule)(또는 용기(pod))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 타입의 카트리지(C) 형태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카트리지(C)에 포장 제공될 수 있는 추출대상체(P)는 커피뿐 아니라 홍차, 녹차 등일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음료 제공을 위한 카트리지(C) 추출용 음료 메이커에까지 보호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illustrated form is a coffee-extracting coffee maker in a beverage maker or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ckaged type cartridge (C) packaged in a porous casing such as a variety of container type capsules (or pods) The object to be extracted P which can be packaged in the cartridge C can be not only coffee but also black tea, green tea, etc.,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drink maker for extracting a cartridge C for providing various drinks The scope of protection shall be construed as being.

또 상기 하우징(10)의 '음료수용부'는 컵이 수용될 수 있도록 전방 개구된 형태를 갖는데, 이는 단지 추출된 음료가 배출되는 부분을 대표하여 도시한 것으로, 단순히(또는 악위적으로) 통상의 컵 외에 병이나 다른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구조의 것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beverage receptacle' of the housing 10 has a front opening shape for accommodating the cup, which is merely representative of the portion where the extracted beverage is discharged, and simply (or maliciously) A structure for accommodating a bottle or other container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나아가 본 발명에서 '음료수용부'는 추출 음료를 공급하는 배출 노즐(도시된 구조 외에 비노출형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로부터 호스나 튜브를 통하여 다른 장소로 추출된 음료를 이송하여 컵, 병, 보온용기 등 다양한 용기에 담는 방식을 취하는 것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receptacle' may transfer the beverage extracted from the discharge nozzle (which may have various structures such as unexposed form) to another place through a hose or a tube, , And a method of putting it in various containers such as a warming container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어서 근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그에 맞는 다양한 종류의 커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많은 제조사가 많은 종류의 카트리지를 출시하고 있고, 이에 따라 제조사별로 카트리지의 크기 또는 형태가 매우 다양하게 형성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교체 가능한 복수개의 리셉터클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수많은 카트리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음료 메이커를 제공하는 데에는 그 한계가 있다.Since many kinds of cartridges have been introduced by many manufacturers according to the demand of various types of coffee according to user's preferences in recent year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artridges ar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manufacturers, Even if a plurality of replaceable receptacles are used, there are limitations in providing a drink maker that can use a large number of cartridges.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리셉터클에 다양한 크기의 카트리지 즉,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모두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도입하여 상술한 리셉터클들의 교체를 통해 이종(異種)의 다양한 카트리지에서 음료 추출을 행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리셉터클을 이용하여 이종의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한계를 극복하여 모든 종류의 카트리지를 하나의 음료 메이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fixing means capable of fixing all of the cartridges of various sizes, that is, different types of cartridges, to the receptacle, so that the beverage is extracted from various cartridges of different kinds through the replacement of the receptacles In addition, by using a single receptacle to use different types of cartridges, the above-mentioned limitations are overcome so that all types of cartridges can be used as one drink maker.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고정수단(110)은 카트리지(C)를 가압하여 본체(30')의 끼움부(30A)에 고정시키는 가압부(111)와, 상기 가압부(111)가 상기 카트리지(C)를 가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xing means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ing portion 111 for pressing the cartridge C and fixing the cartridge C to the fitting portion 30A of the main body 30 ' And an elastic portion 114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so as to be able to apply pressure.

상기 가압부(111)는 상기 본체(30')의 끼움부(30A)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114)의 탄성력에 의하여 끼움부(30A) 중앙 방향을 향하여 카트리지(C)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111 is provided around the fitting portion 30A of the main body 30 'and is pressed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 cartridge C toward the center of the fitting portion 30A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114 It can be pressed and fixed.

상기 고정수단(11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형태만이 아니라, 본체(30') 내부에 가압부가 구비되고, 본체(30') 내벽과 상기 가압부 사이에 탄성체를 구비하여 가압부(111)가 본체(30') 내측을 향하여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직경이 다른 이종의 카트리지를 본체(30')의 끼움부(30A)에 각각 삽입하여 장착할 경우 탄성력에 의하여 카트리지(C)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3 to 5 but also includes a pressing part inside the main body 30 'and an elastic body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30' and the pressing part, When the different types of cartridges of different diameters are inserted into the fitting portion 30A of the main body 30 'so as to exert an elastic force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0' So that it can be fixed.

다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111)는 본체(30') 내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으므로, 카트리지(C)가 끼움부(30A)에 끼워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가압부(111)가 본체(30')의 내벽과 소정 간격 내측방향으로 이격하여 구비되고,3 to 5, since the pressing portion 111 is resiliently supported inside the main body 30 ', when the cartridge C is not caught in the fitting portion 30A, (111)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30 ')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inward direction,

이후 카트리지(C)가 끼움부(30A)에 삽입되면, 상기 가압부(111)는 카트리지(C)의 직경에 맞춰 본체(30') 외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카트리지(C)가 삽입되고,Thereafter, when the cartridge C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portion 30A, the pressing portion 111 is inserted into the cartridge C while being pushed outwardly of the main body 30 'in accordance with the diameter of the cartridge C,

삽입이 완료되면 가압부(111)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카트리지(C)를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When the insertion is completed, the pressing portion 111 can use the elastic force to fix the cartridge C in the correct position.

이때 카트리지(C)의 크기, 즉 직경이 본체(30')의 끼움부(30A)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본체(30') 끼움부(30A)의 직경보다 다소 작을 때에는 끼움부(30A)에 내장되는 고정수단(110)을 통해 카트리지(C)의 고정이 용이하나, At this time, when the size of the cartridge C, that is, the diameter thereof is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fitting portion 30A of the main body 30 'or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tting portion 30A of the main body 30' The fixing of the cartridge C through the fixing means 110 is easy,

도 6에 도시된 카트리지(C)와 같이, 카트리지(C)의 직경과 본체(30') 끼움부(30A)의 직경의 차이가 클 경우,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ameter of the cartridge C and the diameter of the fitting portion 30A of the main body 30 'is large as in the cartridge C shown in Fig. 6,

상기 가압부(111)는 끼움부(30A)와 카트리지(C)의 직경 차이만큼 내측에 위치하여야 하므로, 이는 가압부(111)가 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 확보를 위하여 가압부(111)의 크기 또는 형상이 작아질 수밖에 없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카트리지(C)의 경우 안정되게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111 must be positioned inside by a difference in diameter between the fitting portion 30A and the cartridge C and therefore the pressing portion 111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111 for securing a distance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 111 can move inward and outward, The size or shape of the cartridge C can not be stably fixed in the case of the cartridge C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이에 본 발명은 이종(異種)의 카트리지(C)가 각각 수용될 수 있는 끼움부(30A)를 갖는 수용체(31)를 도입하여 상기 수용체(31)가 본체(30')의 끼움부(30A)에 장착되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the receptacle 31 having the fitting portion 30A into which the different types of cartridges C can be respectively received so that the receptacle 31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portion 30A of the main body 30 ' Respectively.

즉, 상기 수용체(31)를 이용할 경우 상기 본체(30')의 끼움부(30A)는 수용체(31) 장착부로써 기능하고, 카트리지(C)가 끼워지는 수용체(31)의 내부공간이 카트리지 끼움부(30A)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receptacle 31 is used, the fitting portion 30A of the main body 30 'functions as a mounting portion of the receptacle 31, and the inner space of the receptacle 31, in which the cartridge C is fitted, (30A).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수용체(31)를 카트리지(C)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다수 확보하고, 상기 카트리지(C) 보관부를 활용하여 상기 수용체(31)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기호에 맞게 다양한 카트리지(C)를 선택하여 음료 추출을 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number of the receivers 31 are secur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artridges C, and the receivers 31 can be stored by utilizing the cartridge C storage section, (C) is selected so that the beverage can be extracted.

본 발명은 복수개의 리셉터클(30)과 이 리셉터클(30)에 수용될 수 있는 다수의 수용체(31)를 도입함으로써, 리셉터클(30)과 수용체(31)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이종의 카트리지(C) 모두를 하나의 음료 메이커만을 사용하여 음료 추출을 수행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 멀티 음료 메이커의 제공이 가능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cartridges C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the receptacle 30 and the receptors 31 by introducing a plurality of receptacles 30 and a plurality of receptors 31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ptacles 30,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beverage extraction using only one beverage maker and ultimately to provide a multi-beverage maker.

그리고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10)의 가압부(111)를 상기 카트리지(C) 또는 상기 수용체(31)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가압편(112)으로 구성되도록 하고,3 to 5, the pressing portion 111 of the fixing means 110 is provided with a pair of pressing portions 111 for pressing and fix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artridge C or the receiving portion 31, And the pressing piece 112,

상기 고정수단(110)의 탄성부(114)를 상기 가압편(112)과 각각 연결되어 힌지 결합된 한 쌍의 탄성편(115) 및 상기 탄성편(115)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편(115) 각각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체(1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함으로써,The elastic part 114 of the fixing means 110 is connected to the elastic piece 115 by a pair of elastic pieces 115 hingedly connected to the pressing piece 112 and between the elastic pieces 115, And an elastic body (116) exert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re mutually moved away from each other,

카트리지(C) 또는 수용체(31)를 보다 안정되고 정확한 위치에 본체(30')에 장착되어 고정되도록 하였다.So that the cartridge C or the receptor 31 is mounted and fixed to the main body 30 'at a more stable and precise position.

한 쌍의 가압편(112)과 탄성편(115)으로 구성되는 고정수단(11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115)의 힌지 결합부(115A)를 중심으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스윙되고(즉, 흡사 가위와 같이)3 to 5, the fixing means 110 constituted by the pair of pressing pieces 112 and the elastic piece 115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115A of the elastic piece 115 Swing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i.e., like scissors)

따라서 탄성편(115) 사이에 구비된 탄성체(116)가 탄성편(115)들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게 되므로,Accordingly, the elastic body 116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pieces 115 exert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pieces 115 are moved away from each other,

가압편(112)은 카트리지(C) 또는 수용체(31)가 본체(30')에 장착되지 않을 때에는 가압편(112)이 본체(30') 내측 방향으로 스윙된 상태가 되고(즉, 가압편(112)의 말단부가 서로 근접하여 이동한 상태)The pressing piece 112 is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piece 112 is swung inwardly of the main body 30 'when the cartridge C or the receiver 31 is not mounted on the main body 30' (that is, (The state in which the distal end portions of the distal end portions 112 are moved close to each other)

카트리지(C) 또는 수용체(31)를 본체(30')에 장착하게 되면 가압편(112)이 벌어지면서 탄성체(116)의 탄성력에 의하여 벌어지는 반대 방향으로 카트리지(C) 또는 수용체(31)를 가압하여 안정된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cartridge C or the receptor 31 is mounted on the main body 30 ', the pressing piece 112 is opened and the cartridge C or the receptor 31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16 So that stable fixing can be performed.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C)의 직경과 본체(30')의 끼움부(30A)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비슷할 경우(즉, 별도의 수용체(31)를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종래 커피 메이커를 사용할 때와 같이, 카트리지(C)만을 본체(30')의 끼움부(30A)에 삽입하여 음료 추출을 행하고,(이때 수용체(31)들은 상기 보관부에 보관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3, when the diameter of the cartridge C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fitting portion 30A of the main body 30 '(that is, when the separate receptacle 31 is not required The user inserts only the cartridge C into the fitting portion 30A of the main body 30 'so as to extract the beverage (at this time, the receivers 31 are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카트리지(C)를 사용할 경우 각 카트리지(C)에 맞는 수용체(31)를 선택하여 카트리지(C)를 수용체(31)의 끼움부(30A)에 끼운 후 수용체(31)를 리셉터클(30)에 장착하여 음료 추출을 행할 수 있다.4 and 5, when the cartridge C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is used as compared with the main body 30 ',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receptors 31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artridges C, The receptacle 30 can be attached to the fitting portion 30A of the receptacle 31 and then the receptacle 30 can be attached to the receptacle 30 to extract the beverage.

상기 탄성체(116)는 공지의 코일 스프링, 판스프링 등으로 활용 가능하며, 본 발명은 유사 'ㄷ'자 형상의 핀스프링을 활용하여 고정수단(110)을 통한 카트리지(C) 또는 수용체(31)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rtridge (C) or a receptor (31) through a fixing means (110) by utilizing a pin spring of a similar ' So that it can be easily fixed.

상기 핀스프링 형태의 탄성체(116)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연결부(116a)와, 상기 탄성연결부 양측 말단에서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절곡된 탄성절곡부(116b) 및 이 탄성절곡부의 말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가압편(112)에 형성된 결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탄성결합부(116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to 5, the pin-spring-shaped elastic body 116 includes an elastic connecting portion 116a, an elastic bending portion 116b bent at both ends of the elastic connecting portion so as to exert an elastic force in an inward direction, And an elastic coupling part 116c that is bent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distal end of the elastic bending part an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formed on the pressing piece 112 and is engaged.

상기 탄성편(115) 및 상기 가압편(112)은 상기 탄성체(116)의 탄성절곡부와 탄성결합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12a)이 구비되어 있다.The elastic piece 115 and the pressing piece 112 are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112a into which the elastic bending portion and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of the elastic body 116 are inserted.

상기 탄성체(116)는 탄성절곡부가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므로 탄성편(115)들에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 힌지결합부(115A)를 축으로 가압편(112)이 내측방향으로 오므라지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elastic bending portion exerts elastic force in the inward direction, the elastic bending portion is formed in the elastic pieces 115 and is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piece 112 is pinched inward by the mutually coupled hinge engaging portions 115A .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30) 본체(30')는 상기 탄성편(115)들이 내장되는 수용공간(39C)을 갖는 손잡이(39)를 구비하여 후술하는 분리수단으로써의 가압부재와 함께 탄성편(115)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30 'of the receptacle 30 is provided with a handle 39 having a receiving space 39C in which the elastic pieces 115 are accommodated. The elastic piece 115, together with a pressing member, It is preferable to use the handle as a handle that the user can grasp and use.

이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고정수단(110)의 가압편(112) 말단부에 고정돌기(113)를 도입하여 수용체(31)의 전후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였다.4 and 5, the fixing protrusion 113 is introduced in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112 of the fixing means 110 to prevent the backward flow of the receptor 31. As shown in FIGS.

즉 도 3과 같이, 카트리지(C)를 리셉터클(30) 본체(30')에 직접 끼워 사용할 경우 직경이 서로 동일하거나 비슷하므로 가압편(112)의 가압만으로 전후좌우 안정된 고정이 가능하나,3, when the cartridge C is directly inserted into the main body 30 'of the receptacle 30, since the diameters of the cartridge C are the same or similar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securely fix the cartridge C longitudinally,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체(31)의 직경이 본체(30')의 직경이 다를 경우(특히 도 5와 같이, 수용체의 직경이 많이 작을 경우)As shown in FIGS. 4 and 5, when the diameter of the receiver 31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in body 30 '(particularly when the diameter of the receiver is small as in FIG. 5)

상기 수용체(31)와 상기 본체(30')의 내벽 사이에 소정 간격 이격될 수밖에 없고,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receptacle 31 and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30 '

따라서 상기 한 쌍의 가압편(112)이 수용체(31)의 양쪽 외측면을 가압하면, 손잡이가 형성된 방향을 전방으로 하였을 때, 수용체(31)가 본체(30')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으나, 가압편(112)의 가압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이격공간이 형성되므로 수용체(31)가 전후 유동하여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air of pressing pieces 112 press the outer side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receptacle 31,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abs are formed is forward, the receptors 31 move in the left- However, since the spacing space is form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piece 112, that i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receiver 31 may flow back and forth and may not be fixed at the correct position.

따라서 본 발명은 가압편(112)의 말단부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113)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체(31)들 각각에 상기 고정돌기(113)가 삽입될 수 있은 대응삽입홈(31B)을 구비하여 고정돌기(113)에 의하여 수용체(31)가 전후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하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113 protruding upward from the distal end of the pressing piece 112, and each of the receiving members 31 has a corresponding insertion groove 31B,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113 can be inserted, So that the receiver 31 is prevented from flow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the fixing protrusion 113.

상기 고정돌기(113)는 후술하는 카트리지(C) 분리수단으로 활용되며, 이에 관하여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The fixing protrusion 113 is utilized as a cartridge separating mean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이어서 본 발명의 리셉터클(30)은 본체(30')의 내부공간에 내장되는 받침부재(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receptacl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131 embed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30 '.

상기 받침부재(131)는 상기 음료 추출이 행해진 후 카트리지(C)로부터 배출되는 음료를 리셉터클(30) 저면에 구비된 배출공?(미도시)으로 안내하여 음료가 음료추출부의 배출노즐로 원활하게 배출되는 기능을 갖는다.The support member 131 guides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cartridge C to the discharge hole (not shown)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ptacle 30 after the beverage extrac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beverage smoothly flows to the discharge nozzle of the beverage extracting unit And has a function of being discharged.

상기 받침부재(131)는 접시형상으로 중앙에 음료 안내공(131A)이 구비되어 있으며, 외벽에서 안내공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The receiving member 131 is formed in a dish shape and has a beverage guide hole 131A at its center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er wall toward the guide hol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30)은 상기 본체(30') 또는 상기 수용체(31)의 끼움부(30A)에서 상기 카트리지(C)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수단(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receptacl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eparating means 120 for separating the cartridge C from the main body 30 'or the fitting portion 30A of the receptacle 31.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탄성편(115)과 결합되면서 상기 본체(30')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가압부재(121)로 구성된다.The separating means comprises a pressing member 121 hinged to the main body 30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elastic piece 115.

상기 가압부재(121)는 회동결합부(123)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30')의 손잡이(39)에 힌지축(123a)으로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스윙 회동을 하도록 형성된다.The pressing member 121 is provided with a pivotal coupling portion 123 and is coupled to the handle 39 of the main body 30 'by a hinge shaft 123a so as to swing upward and downward.

상기 가압부재(121)는 도 3의 일점쇄선 원내 확대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편(115)에 형성된 힌지결합부(115A)에 구비된 결합공에 결합되는 연동돌기(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가압부재에 의하여 탄성편(115) 및 가압편(112)이 연동하여 시소운동을 하게 된다.The pressing member 121 includes an interlocking projection 126 which is engaged with a coupling hole provided in the hinge coupling portion 115A formed in the elastic piece 115 as shown in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n a one- And the resilient piece 115 and the pressing piece 112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the pressing member to perform a seesaw motion.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121)를 가압할 경우 상기 가압부재(121)와 연동되도록 결합된 탄성편(115) 역시 하강 스윙 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탄성편(115)의 스윙에 의하여 상기 가압편(112)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게 되어 승강 스윙되면서 상기 고정돌기(113)가 상기 본체(30')의 측벽상부 또는 상기 수용체(31)의 플렌지에 얹어진 카트리지(C)의 플렌지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카트리지(C)를 본체(30') 또는 수용체(31)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ressing member 121 is pressed, the elastic piece 115 coupled with the pressing member 121 also performs a downward swing motion, and by the swing of the elastic piece 115, the pressing piece 112 And the fixing protrusion 113 is positioned above the sidewall of the main body 30 'or the lower portion of the flange of the cartridge C mounted on the flange of the receptor 31, So that the cartridge C can be released from the main body 30 'or the receiver 31. [

상기 가압부재(121)는 리셉터클 본체의 측벽상부 일부를 형성하는 측벽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The pressing member 121 includes a side wall part 122 forming a part of the upper side wall of the receptacle body,

저면에는 가압 후 복귀를 위한 코일스프링(124)이 결합되는 결합부(12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39)에는 코일스프링 안치부(38b)가 형성되어 있다.And an engaging portion 125 to which a coil spring 124 for returning after pressurization is coupled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40. A coil spring holding portion 38b is formed on the handle 39. [

또 상기 손잡이는 상기 가압부재(121)가 하강 스윙되었을 때 하측으로 돌출된 연동돌기(126)에 의하여 스윙 운동이 간섭받지 않도록 하는 돌기홈(39c)가 구비된다.The handle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groove 39c for preventing the swing motion from being interfered by the cooperating protrusion 126 protruding downward when the pressing member 121 is swung downward.

또 상기 수용체(31)의 플렌지(31a)는 상기 가압부재(121)에 의한 가압편(112)의 승강을 위하여 대응삽입홈(31B)을 기준으로 전, 후의 두께가 달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lange 31a of the receiver 31 is formed differently in thickness before and after the corresponding insertion groove 31B in order to raise and lower the pressing piece 112 by the pressing member 121. [

다음으로 상기 본체(30')에는 상기 음료추출부(11)에 장착을 위한 암 또는 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음료추출부(11)에는 상기 암 또는 수 결합부에 대응하는 대응결합부가 형성된다.
Next, the main body 30 'is provided with an arm or a male engaging portion for attaching to the beverage extracting portion 11, and a corresponding engag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emale or male engaging portion is formed on the beverage extracting portion 11 .

이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가능하다.The separating means can then be deformed as shown in Figs. 6 to 10.

이하에서는 상기 분리수단의 여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separating mea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분리수단은 제1실시예로써,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 6a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천공디스크(55)를 포함하는 수용체(31)에 관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는 상기 수용체(31)가 리셉터클(30) 본체(30')에 내장되었기 때문이며, 도 6a의 좌측 상부 일점 쇄선 원내 평면도에서 그 구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도면부호 미표기) 이에 관한 상세한 구성은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The separating means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A, the structure of the receptor 31 including the perforated disk 55 shown in FIGS. 7 to 10 is shown in FIG. 6A This is because the receptor 31 is embedded in the main body 30 'of the receptacle 30, 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can be confirmed in the plan view in the left upper dashed line in FIG. 6A (not show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drawings.)

가압부재와 이탈체로 대별되는 제1분리부재로 구현할 수 있는데,The first separating member may be divided into a pressing member and a separating member,

상기 제1분리부재(33)는 상기 카트리지(C)의 플렌지(Cb)가 지지되는 리셉터클(30) 본체(30')의 상부측벽(30'a)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분리홀(34)에 인출입되는 제1분리부(33D)와,The first separating member 33 includes a separating hole 34 formed in an upper side wall 30'a of the main body 30 'of the receptacle 30 in which the flange Cb of the cartridge C is supported, A first separating portion 33D which is drawn in and out,

상기 제1분리부(33D)와 연결되고 승강축(33C)을 구비한 제1연동부(33B)와, 상기 제1연동부(33B)와 연결된 제1작동부(33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first interlocking portion 33B connected to the first separating portion 33D and having an elevating shaft 33C and a first actuating portion 33A connected to the first interlocking portion 33B.

상기 제1연동부(33B)와 상기 제1작동부(33A)의 연결부에는 승강축(33C)이 구비되어 있으며,An elevating shaft 33C is provided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interlocking portion 33B and the first actuating portion 33A,

상기 승강축(33C)은 상기 본체(30')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30')의 상부측벽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축설부(35)에 힌지 결합되어,The lifting shaft 33C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30 ', more specifically, a shank 35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ide wall of the main body 30'

상기 제1작동부(33A)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승강축을 축으로 시소운동이 되면서 상기 제1연동부(33B)가 승강되면서 상기 제1분리부(33D)가 상기 분리홀(34) 상측으로 승강하여 인출되고,As the first operating portion 33A is pressed downward, the first interlocking portion 33B is lifted and lowered while the seesaw motion is performed around the lifting shaft, so that the first separating portion 33D is moved to the separation hole 34, And is lifted and drawn upward,

따라서 결국에는 상기 본체(30')의 상부측벽(30'a)에 지지되는 카트리지(C)의 플렌지(Cb)가 상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밀리게 됨으로써,Therefore, the flange Cb of the cartridge C, which is supported by the upper sidewall 30'a of the main body 30 ', is pressed and pushed upward,

카트리지(C)를 리셉터클(3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The cartridge C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receptacle 30.

상기 제1분리부재(33)가 상기 승강축(33C)을 통해 상기 본체(30')의 축설부에만 힌지 결합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제1연동부(33B)는 자중에 의하여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여, 결국에는 상기 제1분리부(33D)가 상기 분리홀(34)에서 이탈될 수 있다.When the first separating member 33 is hinged to only the shank portion of the main body 30 'through the lifting shaft 33C, the first interlocking portion 33B descends downward due to its own weight The first separator 33D may be detached from the separation hole 34. As a result,

따라서 종국적으로 상기 분리홀(34)에서 상기 제1분리부(33D)가 이탈할 경우, 별도의 가이드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1작동부(33A)를 가압하였을 때 상기 제1분리부(33D)가 상기 분리홀(34)로 정확하게 인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Therefore, when the first separating part 33D is detached from the separating hole 34, there is no separate guiding means. Therefore, when the first operating part 33A is pressed, 33D may not be drawn out to the separation hole 34 correctly.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본체(30') 둘레에 상기 제1연동부(33B)를 지지하는 받침부(30'b)를 구비하여 상기 제1분리부(33D)의 상측 일부가 상기 분리홀(34)에 이탈되지 않고 구속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portion 30'b for supporting the first interlocking portion 33B is provided around the main body 30 'so that an upper part of the first separation portion 33D is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hole 34 So that the above-described problem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제2실시예로써, 가압부재와 이탈체로 대별되는 제2분리부재(37)로 구현할 수 있는데, As a second embodiment, the separating means may be realized by a second separating member 37, which is divided into a pressing member and an escape member.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분리부재(37)는 상기 카트리지(C)의 플렌지(Cb)가 지지되고, 상기 수용체(31)를 둘러싸는 본체(30')의 상부측벽(30'a) 일부에 구속되어 승하강되는 제2분리부(37A)와,7, the second separating member 37 is supported on the upper side wall 30 'of the main body 30' surrounding the receptacle 31, with the flange Cb of the cartridge C being supported thereon, a) a second separating portion 37A which is constrained to a part and is lifted and lowered,

상기 제2분리부(37A)와 연결되어 본체(30')에 구비된 손잡이(39)와 접하면서 제2분리부(37A)의 회전을 유도하는 제2작동부(37B)와,A second operating portion 37B connected to the second separating portion 37A and contacting the handle 39 provided on the main body 30 'to induce rotation of the second separating portion 37A,

상기 손잡이(39) 상면에 상기 제2작동부(37B)의 회전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사면부(39A)로 구성된다.And a slope 39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nob 39 so as to be inclined upward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37B.

상기 제2분리부(37A)와 상기 제2작동부(37B)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30A)(31A) 둘레의 상부측벽(30'a)에 회전하면서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되고,The second separating portion 37A and the second actuating portion 37B are integrally formed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wall 30'a around the fitting portions 30A and 31A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상기 제2작동부(37B)는 상기 손잡이(39)의 상면에 형성된 함몰된 형태의 사면부(39A)와 접촉하면서 회전하여 제2분리부(37A)를 회전시킨다.The second actuating part 37B rotates while contacting the slope 39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39 to rotate the second separating part 37A.

이때 상기 손잡이(39)의 상면은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사면부(39A)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작동부(37B)가 일측 저부(39Aa)에서 타측 고부(39Ab)로 상기 사면부(39A)를 타고 회전하게 되면,The upper surface of the knob 39 is formed to have a slope 39A so as to be inclined upwar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second operation portion 37B is moved from one side bottom 39Aa to the other side 39Ab, 39A,

사면부(39A)의 높이 변위에 의하여 상기 제2분리부(37A)는 상부측벽(30'a)을 타고 회전하면서 승강되어 떼어낸 카트리지(C)를 리셉터클(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The second separating portion 37A can be lifted and rotated while being rotated on the upper side wall 30'a by the height displacement of the inclined portion 39A to separate the detached cartridge C from the receptacle 30. [

따라서 상기 사면부(39A)의 저부(39Aa)는 상기 제2분리부재(37)의 락킹위치를 의미하고, 상기 사면부(39A)의 고부(39Ab)는 제2분리부재(37)의 개방위치를 의미한다.Therefore, the bottom 39Aa of the slope 39A means the locking position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er 37, and the high 39Ab of the slope 39A means the opening position of the second separation member 37 do.

즉, 카트리지(C) 수용 시 상기 제2작동부(37B)를 일측 저부(39Aa)에 위치한 상태에서 카트리지(C)를 리셉터클(30)의 끼움부(30A)(31A)에 끼운 후 리셉터클(30)을 음료 추출부(11)에 장착하여 음료를 추출하고,That is, when the cartridge C is received, the cartridge C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portion 30A of the receptacle 30 while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37B is located at the one bottom portion 39Aa, and then the receptacle 30 ) To the beverage extracting section (11) to extract the beverage,

카트리지(C) 교체가 필요할 경우 리셉터클(30)을 음료 추출부(11)에서 빼낸 후 상기 제2작동부(37B)를 회전시켜 카트리지(C)를 리셉터클(30)로부터 분리시킨 후 사용자는 카트리지(C)의 플렌지(Cb)를 파지하여 잡아당김으로써 카트리지(C)의 완전 분리를 쉽게 행할 수 있다.
When the cartridge C needs to be replaced, the receptacle 30 is taken out of the beverage extracting section 11 and then the second operating section 37B is rotated to separate the cartridge C from the receptacle 30. Then, The cartridge C can be easily separated completely by gripping and pulling the flange Cb of the cartridge C.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단의 제3실시예로써, 가압부재와 이탈체로 대별되는 제3분리부재(38)로 구현할 수 있는데,Next,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separa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eparating member 38 may be realized as the pressing member and the separator.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분리부재는 상기 카트리지(C)가 지지되고, 상기 수용체(31)를 둘러싸는 본체(30')의 상부측벽(30'a) 일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리셉터클(30)에 힌지 결합된 제3분리부(38)와,8 and 9, the third separating member forms part of the upper sidewall 30'a of the body 30 'which is supported by the cartridge C and surrounds the receptacle 31, A third separator 38 hinged to the receptacle 30,

상기 제3분리부(38A)와 연결되어 하측으로 가압 시 상기 제3분리부(38A)가 회동축(38C)을 축으로 승강되도록 하는 제3작동부(38B)로 구성된다.And a third actuating part 38B connected to the third separating part 38A and configured to move the third separating part 38A up and down the pivoting shaft 38C when pressed downward.

도면에서는 상기 상부측벽이 본체(30')와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수용체(31)의 결합관계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순서로 도시한 것이며, 상기 상부측벽(30'a)과 상기 본체(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upper sidewall is shown as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30 'in the figure, it is shown in ord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f the coupling relation of the receptacle 31, and the upper sidewall 30'a and the main body 30' (30 ')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제3분리부(38A)는 끼움부(30A)(31A) 둘레의 본체(30') 상부측벽(30'a)으로써 카트리지(C)의 플렌지(Cb)가 상면에 지지되고, 이후 제3분리부(38A)의 승강에 의하여 카트리지(C)의 분리가 완료되는 것은 상기 제1실시예와 같으나, The third separator 38A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Cb of the cartridge C by the upper side wall 30'a of the main body 30 'around the fitting portions 30A and 31A, The separation of the cartridge C by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separating section 38A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제3분리부(38A)는 상기 제2분리부(37A)와 달리, 상기 끼움부(30A)(31A) 둘레의 상부측벽(30'a) 중 일부를 형성하고 있고,The third separator 38A forms a part of the upper sidewall 30'a around the fitting part 30A and 31A unlike the second separator 37A,

회동축(38C)을 통해 상기 제3작동부(38B)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3분리부(38A)가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카트리지(C)를 리셉터클(30)로부터 분리시킨다.The third separating portion 38A is lifted upward to separate the cartridge C from the receptacle 30 when the third actuating portion 38B is pressed downward through the pivot 38C.

이때 상기 제3작동부(38B)와 제3분리부(38A)로 구성되는 제3분리부재(38)는 시소운동에 의하여 회동축(38C)에 구속된 상태로 제3분리부(38A)가 승강되며 따라서 제3분리부(38A)의 말단부는 호선 형태의 궤적을 이룬다. At this time, the third separating member 38 composed of the third operating portion 38B and the third separating portion 38A is separated from the rotating shaft 38C by the seesaw motion and the third separating portion 38A So th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third separation portion 38A forms an arc-shaped trajectory.

이에 반해 상기 카트리지(C)는 상기 끼움부(30A)(31A)에 구속되어 있으므로 수직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승하강될 수밖에 없으므로,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artridge C is restrained by the fitting portions 30A and 31A, it is forced to ascend and descend linearly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3분리부(38A)는 상기 상부측벽(30'a)의 일부만을 대체하도록 형성되어 제3작동부(38B)의 작동 시 카트리지(C) 플렌지(Cb) 저면 일부에 접촉하는 제3분리부(38A)의 말단부에 힘이 집중되면서 상승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카트리지(C)의 분리가 가능하다.The third separating portion 38A is formed to replace only a part of the upper sidewall 30'a so that the third separating portion 38A can be separated from the third separating portion 38B by the third separating portion 38A contact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cartridge C flange Cb during operation of the third operating portion 38B. The cartridge C is lifted while the force is concentrated on the distal end of the portion 38A, so that the cartridge C can be separated even with a small force.

또 카트리지(C) 분리 시 상기 플렌지(Cb)와 상기 상부측벽(30'a) 사이에는 이격부가 형성되고,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이격부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C)의 플렌지(Cb)를 보다 쉽게 파지하여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when the cartridge C is detached, a spac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flange Cb and the upper sidewall 30'a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flange Cb of the cartridge C more easily through the spacing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separating.

도 9에 도시된 제3분리부재는 도 8에 도시된 제3분리부재와 그 작동 원리가 동일하며, 그 구체적 구성만이 약간 다를 뿐이고,The third separating member shown in Fig. 9 has the same operation principle as the third separating member shown in Fig. 8, and only the specific configuration thereof is slightly different,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분리수단은 시소운동을 통한 카트리지(C) 분리라는 점에서 그 본질이 같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해석이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The separation means shown in FIG. 8 or 9 is essentially the same in terms of separation of the cartridge C through seesaw motion, so the right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그리고 상기 제3분리부재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축(38C)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38D)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1, the third separa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38D which is provided on the rotation axis 38C and exerts an elastic force.

도 11에서는 도 9에 도시된 형태의 분리수단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8의 형태에도 상기 탄성부재(38D)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당업자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재현할 수 있을 것이다.In FIG. 11, the separating means shown in FIG. 9 is shown to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lastic member 38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FIG. 8, You can do it.

상기 탄성부재(38D)를 통해 제3분리부(38A)가 탄성, 지지되므로 사용자가 제3작동부(38B)의 가압을 해제하면 상기 제3분리부(38A)는 원상 복귀하여 상기 상부측벽(30'a)을 구성하게 되므로 다른 카트리지(C)를 끼움부(30A)(31A)에 끼울 때 사용자는 고온으로 상승된 제3분리부(38A)를 가압하여 제자리 위치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화상 역시 방지할 수 있다.The third separating portion 38A is resiliently supported through the elastic member 38D so that when the user releases the pressing of the third actuating portion 38B, the third separating portion 38A returns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other cartridge C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portions 30A and 31A, the user must press the third separating portion 38A raised to a high temperature, Can be reduced, and the image can also be prevented.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실시예에도 적용 가능하다.
The elastic member is also applicable to the first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리셉터클(30) 수용체(31)를 본체(30')에 탈착시키기 쉬우면서 체결 후 그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후술하는 거품증가수단을 통한 크레마 향상을 유도한다.Next, the receptacle (30) receptacle (31) of the receptacle (30) is easily detachable to the main body (30 ') and stably maintains its state after fastening to induce improvement of crema through the bubble increasing means described later.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30)의 수용체(31) 둘레에 복수개의 결합돌기(301)가 구비되며, To this end, as shown in FIG. 7,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301 are provided around the receptacle 31 of the receptacle 30,

상기 결합돌기(301)가 상기 본체(30') 상부측벽(30'a)에 형성된 결합홈(302)에 구속된 상태로 회전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301 is rotated and coupled while being restrained in the coupling groove 302 formed in the side wall 30'a of the main body 30 '.

상기 결합돌기(301)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결합홈(302)은 리셉터클(30)의 최초 장착 시 결합돌기(301)가 쉽게 결합홈(302)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부측벽(30'a) 일부가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수직절개부(302A)를 갖고,The coupling groove 302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301 is inserted and guided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upper side wall 30'a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301 can easily enter into the coupling groove 302 when the receptacle 30 is initially mounted Has a vertical cut-out portion 302A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수직절개부(302A)에 삽입 완료 시 상기 결합돌기(301)가 상기 수직절개부(302A)와 수평된 방향 일측, 또는 타측 회전하여 견고한 체결력을 갖도록 하는 수평절개부(302B)를 갖는다.And a horizontal cut-out portion 302B for allowing the coupling protrusion 301 to rotate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ut-out portion 302A when the insertion into the vertical cut-out portion 302A is completed.

상기 수직, 수평절개부(302A)(302B)를 통해 리셉터클(30)의 수용체(31) 장착이 이루어지므로 본체(30')와 수용체(31)를 분리하여 청소하기 쉽고, 리셉터클(30) 저면부에 형성되는 거품발생수단 등 다양한 구성부 또한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다.Since the receptacle 31 of the receptacle 30 is mounted throug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utouts 302A and 302B, the main body 30 'and the receptacle 31 can be easily separated and cleaned, Such as a bubble generating means, can be separated and cleaned.

도 6,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으로 구성되는 결합수단이 도 6, 도 8 내지 도 10의 리셉터클(3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6 and 8 to 10,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ngaging means composed of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engaging groove can be applied to the receptacle 30 of Figs. 6 and 8 to 10.

또한 본 발명은 음료 추출부(11)에 상기 리셉터클(30)이 직접 장착되어 음료 추출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capable of extracting beverage by mounting the receptacle (30) directly to the beverage extracting section (11)

도 6a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30)을 사용자가 손쉽게 취급하여 음료 추출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부재(3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6A and 14, the receptacle 30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member 320 for allowing a user to easily handle the receptacle 30 to extract the beverage.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리셉터클(30)이 음료 추출부에 직접 장착된 후 음료 추출이 행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1 and 2 show that the beverage extraction is performed after the receptacle 30 is mounted directly on the beverage extracting unit,

도 6에 도시된 장착부재(320)를 도입하여 리셉터클(30)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면서 카트리지(C)의 교체 시 장착부재(320)를 통해 리셉터클(30)을 손쉽게 취급한 상태에서 카트리지(C)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보장할 수 있다.When the cartridge C is replaced while the receptacle 30 is easily handled through the mounting member 320 while facilitating the use of the receptacle 30 by introducing the mounting member 320 shown in Fig.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ensured.

이를 위하여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재(32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330)을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30)이 장착되는 장착부(321A)를 갖는 홀더(3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6A, the mounting member 320 has a handle 330 capable of being held by a user and includes a holder 321 having a mounting portion 321A on which the receptacle 30 is mounted, .

이러한 장착부재를 통한 리셉터클(30)의 음료 추출은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에 주로 이용되는 것으로써, 상기 홀더의 저면에는 추출된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노즐이 구비된다.The beverage extraction of the receptacle 30 through such a mounting member is mainly used for an espresso coffee machine, and a discharge nozzle for discharging the extracted beverage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holder.

상기 홀더(321)는 상측 외주면에 돌출된 장착돌기(322)를 통해 상기 음료추출부에 장착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음료추출부(11) 하측에 구비되는 열수 공급 노즐을 상기 홀더(321)의 장착부(321A)가 덮으면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holder 321 is attached to the beverage extracting unit through a mounting protrusion 322 protruding from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ore specifically, the holder 321 is provided with a hot water supply nozzle provided below the beverage extracting unit 11, The mounting portion 321A of the mounting portion 321A can be mounted while being covered.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장착부재(320)가 음료추출부 하부에 장착될 경우 상기 음료 추출부는 열수가 유통되는 유통수단만이 구비되어 열수 공급 노즐을 통해 장착부재(320)에 결합된 리셉터클(30)에 직접 열수 분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mounting member 320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everage extracting unit, the beverage extracting unit includes only a flow-through means through which hot water flows, and the receptacle 30 ).

이때 상기 음료추출부는 열수 공급 노즐 주변에 상기 장착부재(320)의 장착돌기(322)가 삽입될 수 있는 장착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장착부재(320)를 상기 배출 노즐을 덮도록 한 후 핸들(330)을 회전시켜 장착돌기(322)가 장착홈에 삽입되면서 리셉터클(30) 상부가 밀폐되도록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beverage extracting unit has a mounting groove (not shown) in which a mounting protrusion 322 of the mounting member 320 can be inserted in the vicinity of the hot water supply nozzle, and the mounting member 320 covers the discharge nozzle The rear handle 330 is rotated so that the mounting protrusion 322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ptacle 30 is closed.

핸들(330)을 갖는 장착부재(320)를 통해 리셉터클(30)의 장착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제2커버덮개(15B)를 일일이 개폐하여 카트리지(C) 교체를 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The receptacle 30 is mounted through the mounting member 320 having the handle 330 so that the user can reduce the inconvenience of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cover 15B and replacing the cartridge C.

또 본 발명은 이종의 리셉터클(30)을 구비하여 다양한 카트리지(C)를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different types of receptacles 30 so that various cartridges C can be used,

상기 장착부재(320)에 상기 리셉터클(30) 결합수단을 차용한 장착수단을 도입하여, 하나의 장착부재(320)만으로 다수의 리셉터클(3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A mounting means for boring the coupling means of the receptacle 30 is introduced into the mounting member 320 so that a plurality of receptacles 30 can be used by only one mounting member 320. [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321)는 상기 장착부(321A)를 형성하는 측벽이 절개된 형태의 고정홈(323)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323)에 상기 리셉터클(30)의 제1작동부(33A)가 삽입, 결합된다.6A, the holder 321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323 in which a side wall forming the mounting portion 321A is cut, and the fixing groove 323 is formed in the fixing groove 323, The first actuating portion 33A is inserted and engaged.

상기 고정홈(323)은 홀더(321)의 측벽 상측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수직절개홈(323A)과, 이 수직절개홈(323A)의 하측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개된 수평절개홈(323B)으로 구성된다.The fixing groove 323 includes a vertical cutting groove 323A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holder 321 and a horizontal cutting groove 323B c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cutting groove 323A. ).

상기 수평절개홈(323B)은 상하 소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작동부가 상기 승강축을 축으로 하여 승하강 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rizontal cutout groove 323B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vertical interval to secure a clearance space in which the first operating portion can be moved up and down about the lifting axis.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30)은 제1작동부(33A)가 형성된 반대 방향에 상기 결합돌기와 같은 형상의 고정돌기(113)(301)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홀더(321)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돌기(113)가 걸리는 걸림홈(미도시)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receptacle 30 may be provided with fixing protrusions 113 and 301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coupling protrusi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ctuating part 33A is formed an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er 321, (Not shown)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리셉터클(30)의 고정돌기(113)를 상기 걸림홈에 끼운 후 상기 제1작동부를 상기 수직절개홈(323A)으로 삽입하여 끼운 다음,Accordingly, the user inserts the fixing protrusion 113 of the receptacle 30 into the locking groove, inserts the first operating portion into the vertical cutting groove 323A,

제1작동부를 회전시켜 수평절개홈(323B)에 손잡이(39)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리셉터클(30)을 상기 홀더(321)의 장착부에 장착할 수 있다.The receptacle 30 can be attached 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holder 321 by rotating the first actuating portion to engage the knob 39 with the horizontal cutout groove 323B.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지 수평절개홈(323B)에는 상기 제1작동부(33A)가 결합 시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체결돌기 또는 체결홈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39)에는 이에 대응하는 대응돌기 또는 대응홈이 더 구비될 수 있고,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upper horizontal cutout groove 323B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rotrusion or a fastening groove that maintains the fastened state when the first actuating portion 33A is engaged. A corresponding projection or a corresponding groove may be further provided,

돌기와 홈의 형태뿐만 아니라,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체결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not only the shape of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but also the fastening means capable of maintaining or releasing the fastened state by the one-touch method.

사용자는 리셉터클(30)을 상기 홀더에 체결한 후 리셉터클(30) 끼움부(30A)(31A)에 카트리지(C)를 끼우고 장착부재(320)를 상기 음료추출부에 장착한 후 음료 추출을 행한다.The user inserts the cartridge C into the fitting portion 30A or 31A of the receptacle 30 after attaching the receptacle 30 to the holder and attaches the mounting member 320 to the beverage extracting portion, I do.

음료 추출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장착부재(320)를 음료추출부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리셉터클(30)에 구비된 분리수단(도 6a 내지 도 10에 도시된)을 통해 카트리지(C)를 교체하여 음료추출을 반복적으로 행할 수 있다.After the beverage extraction is completed, the user removes the mounting member 320 from the beverage extracting unit, and then replaces the cartridge C through the separating means (shown in FIGS. 6A to 10) provided on the receptacle 30, Extraction can be repeatedly performed.

또 이종의 카트리지(C)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리셉터클(30)의 고정과 반대방향으로 손잡이를 돌려 홀더로부터 리셉터클(30)을 분리시키고 다른 리셉터클(30)을 다시 고정한 후 카트리지(C)를 교체하여 다른 음료의 추출을 행할 수 있다.When the cartridge C of a different type is used, the user rotates the hand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xing of the receptacle 30 to detach the receptacle 30 from the holder, fix the other receptacle 30 again, So that other beverage can be extracted.

본 발명은 도 6a에 도시된 형태의 리셉터클(30) 뿐만 아니라,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리셉터클(30)을 모두 상기 장착부재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는 도 6a에서 설명한 장착수단을 통해 통상의 기술자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변형, 치환, 수정하여 재현할 수 있을 것이다.(도 6b 에서는 도 9의 리셉터클(30)을 변형하여 상기 장착부재에 결합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with the receptacle 30 of the type shown in Fig. 6A but also with the receptacle 30 shown in Figs. 7 to 10 attached to the mounting member, (Fig. 6 (b) shows that the receptacle 30 of Fig. 9 can be deformed to be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나아가 본 발명은 카트리지(C) 교체 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핸들(330)에 힌지 결합되어 리셉터클(30)의 측벽을 파지, 고정할 수 있는 파지부재(331)를 더 포함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ripping member 331 hinged to the handle 330 for the sake of user's convenience when the cartridge C is replaced to grasp and fix the side wall of the receptacle 30.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재(331)는 회동 가능하도록 핸들(330)에 구비되어 있어, 음료추출 시에는 핸들(330)에 접은 상태로 음료 추출을 행하고,As shown in FIG. 14, the gripping member 331 is provided on the handle 330 so as to be rotatable. When the beverage is extracted, the beverage is extracted in a state folded on the handle 330,

음료 추출 후 카트리지(C) 교체가 필요할 경우, 상기 파지부재(331)를 회동 시켜 파지부재(331)의 말단부가 리셉터클(30)의 측벽을 가압, 파지하도록 한 후, 그 상태에서 쓰레키통 등의 수거통에 장착부재(320)를 털어내는 것만으로 카트리지(C)의 분리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였다.When the cartridge C needs to be replaced after the beverage is extracted, the gripping member 331 is rotated to allow the distal end of the gripping member 331 to press and grip the side wall of the receptacle 30,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cartridge C only by removing the mounting member 320 from the receptacle,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the user wearing the cartridge.

즉, 음료 추출 후 카트리지(C) 교체 시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재(331)를 펼친 상태에서 리셉터클(30)을 고정시킨 후, 상기 분리수단을 통해 카트리지(C)를 분리시키고, 장착부재(320)를 기울여 털어내는 동작만으로 카트리지(C)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켰다.That is, when replacing the cartridge C after the beverage is extracted, the user fixes the receptacle 30 in a state in which the gripping member 331 is extended, separates the cartridge C through the separating means, The cartridge C can be detached only by tilting the cartridge C, thereby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본 발명은 결합돌기(301; 도 7 참고)를 통해 리셉터클(30) 본체(30')(31)가 수용체(31)(30')에 결합되어 있으나, 장착부재(320)를 흔들어 털면서 카트리지(C)를 제거할 경우,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므로 상기 파지부재(331)를 이용하여 리셉터클(30)이 분리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30 ', 31 of the receptacle 30 is coupled to the receptors 31, 30' through the coupling protrusion 301 (see FIG. 7)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ceptacle 30 from being detached by using the holding member 331 because the coupling protrusion can be detached from the coupling groove.

이는 캡슐형 카트리지(C)뿐만 아니라 부직포 또는 분말 형태의 추출대상체를 도 10의 리셉터클(30)을 이용하여 음료 추출을 행할 때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증대되는데,10, when the beverage extraction is performed using the receptacle 30 of FIG. 10 as well as the non-woven fabric or the powdery extraction object as well as the capsule type cartridge C,

즉, 도 10의 리셉터클(30)에서 부직포나 분말 형태 등의 추출대상체가 거름망(20)에 수용될 경우 교체 시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추출대상체를 제거하면 고온에 의하여 화상의 위험이 있고, 제거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므로,That is, when the extracting object such as a nonwoven fabric or a powder form is accommodated in the sieve 20 in the receptacle 30 of FIG. 10, there is a risk of burning due to high temperature when the user removes the extraction object by hand, This is very cumbersome,

상기 파지부재(331)를 회전시켜 거름망을 리셉터클(30)에 단단히 고정시킨 후 그 상태에서 장착부재(320)를 쓰레기통 등에 털어내는 것만으로 추출대상체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The extraction object is removed only by rotating the grasping member 331 to firmly fix the filtering net to the receptacle 30 and then shaking the mounting member 320 to the trash receptacle or the like.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리셉터클(30)에 수용되는 용기(pod)형 카트리지(C)는 바디 저면의 천공이 필수적이어서, Next, the pod type cartridge C accommodated in the receptacle 30 shown in Figs. 7 to 9 and 12 is required to be punch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천공돌기(55a)를 본질로 하는 천공디스크(55)로 구성된 하부 파괴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And a piercing disk 55 having a perforation projection 55a as its essence.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커버시트(C1)를 천공하여 열수를 공급하는 상부 파괴수단이 구비됨은 당연하다. Although it is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n upper breaking means for piercing the cover sheet C1 to supply hot water is provided.

그러나 카트리지(C)의 파괴, 천공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이를 포괄하여 추출용매 '유통수단'으로 지칭하고 있다.However, destruction and perforation of the cartridge C are not essential, so they are referred to as an extraction solvent 'distribution means'.

도시된 용기(pod)형 카트리지(C)의 바디 하면은The bottom surface of the illustrated pod type cartridge C

카트리지(C)의 리셉터클(30) 수용체(31) 끼움부(30A)(31A) 장착 즉시, Immediately after the fitting portion 30A (31A) of the receptacle (30) receptacle (31) of the cartridge (C)

또는 상부 파괴수단을 통한 고온ㅇ고압의 추출용 물 공급으로 수압에 의하여 카트리지(C) 바디 저면이 변형 하강시Or the supply of water at a high temperature and a high pressure through the upper breaking means, the water level of the body bottom of the cartridge (C)

천공디스크(55)의 천공돌기(55a)와 접촉하여 천공, 파괴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piercing protrusion 55a of the piercing disc 55 may be contacted with the piercing hole to be punctured or broken.

상기 천공디스크(55) 하부에는 거품디스크(59)가 배열되어 있다.A bubble disk 59 is arranged below the perforated disk 55.

상기 거품디스크는 열에 강하고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이 적은 실리콘 소재나 기타 안전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The foam disk is preferably made of a silicone or other safety material that is heat-resistant and low in the risk of exposure to environmental hormones,

도 7 내지 도 9에서 천공디스크(55) 중앙에 치우친 추출 음료 통과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추출음료가 방사상으로 배열된 안내로를 따라 거품디스크(59) 외곽으로 퍼진 후, 7 to 9, after the extracted beverage discharged through the extract beverage passing portion, which is centered on the perforated disk 55, is spread out along the radially arranged guide path to the outside of the bubble disk 59,

각 안내로 끝의 통공을 통과하면서 체류시간의 증대로 커피, 특히 에스프레스 특유의 풍미를 향상시키는 거품 또는 크레마(Crema, 조밀한 황금빛 갈색의 거품으로 에스프레소(Espresso) 샷을 덮는다)를 증가시킨다.Increasing the residence time by passing through the holes at the end of each guide increases the coffee, especially the foam or crema (which covers the espresso shot with a dense golden brown foam) that improves the flavor peculiar to the espress.

그리고 본 발명의 리셉터클(30)은 크레마 향상을 위하여 거품발생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Further, the receptacl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am generating means for improving the crema,

먼저, 제1거품발생수단(60A)과 관련하여 도 13의 [A]의 결합사시도(그 외 다른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12 참조)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First, as can be seen from the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 13A (other components are shown in Figs. 1 to 12) with respect to the first foam generating means 60A,

추출대상체(P), 특히 커피(P)가 내장된 카트리지(C)를 수용하는 끼움부(30A)(31A)를 갖고, 추출액 소통로가 형성된 수용체(31)를 구비한 리셉터클(30)에 배열되며, 소통로와 연통되는 형태로 장착된다.(30A, 31A) for accommodating the extraction object P, in particular, the cartridge (C) in which the coffee (P) is embedded, is arranged in the receptacle (30) provided with the receptacle (31) And is mounted in a manner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path.

이러한 제1거품발생수단(60A)은 고정력 보장을 위하여 별도의 패널부재를 도입하고, 이 패널부재 역시 리셉터클(30) 수용체(31)의 소통로와 연통되는 통과부를 갖는다.The first foam generating means 60A introduces a separate panel member for ensuring the fixing force, and the panel member also has a pass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passage of the receptacle 30 receptacle 31. [

특히 제1거품발생수단을 리셉터클(30) 수용체(31)에 고정하기 위한 패널부재(F)는 원소스 멀티유즈(One-source Multi-use 또는 One-source Multi-tasking) 경향에 맞게 천공디스크(55)가 기능하며, Particularly, the panel member F for fixing the first foam generating means to the receptor 31 of the receptacle 30 is provided with a perforated disc 55 (see FIG. 1) in accordance with one-source multi-use or one-source multi- ) Function,

패널부재의 통과부는 천공디스크(55)의 통과부(55b)가 기능하게 된다. 천공돌기(55a)를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 세 통과부(55b)에 대응되게 상기 제1거품발생수단은 연통이 가능한 세 배출부(61b)를 구비하고 있다.And the passing portion of the panel member functions as the passing portion 55b of the perforating disk 55. [ The first foam generating means is provided with three discharge portions 61b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three passage portions 55b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perforation projection 55a.

이러한 제1거품발생수단(60A)의 핵심은 통과부(55b)를 부분적으로 가리는 가요성 차폐부(61a)이다. The core of the first foam generating means 60A is a flexible shielding portion 61a that partially covers the passing portion 55b.

보다 본질적으로는 패널부재와 무관하게 제1거품발생수단(60A)의 핵심은 상기 리셉터클(30) 수용체(31), 특히 저면부(37)의 소통로와 연결되는 추출액 배출부(61b)와, 상기 배출부 둘레에 구비된 가요성 차폐부(61b)라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충분히 가요성 차폐부(61b)가 진동하고, 이에 의하여 낙하, 배출되는 추출액에 충격을 가하면서 거품 또는 크레마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core of the first foam generating means 60A is essentially composed of an extract liquid discharge portion 61b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ath of the receptor 31 of the receptacle 30, particularly the bottom surface portion 37, And a flexible shielding portion 61b provided around the discharge portion. In this case as well, the flexible shielding portion 61b is sufficiently vibrated, whereby the amount of foam or crema can be increased while impacting the extract liquid dropped and discharged.

여기에 더해 패널부재(F) 또는 천공디스크(55)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패널부재(F) 또는 천공디스크(55)의 통과부로 인하여 가요성 차폐부(61b)가 자유단 형태로 노출되고, 추출액은 추출액 통과부(55b)를 거쳐 배출되므로 추출액은 보다 집중적으로 가요성 차폐부(61b)와 접촉, 충돌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panel member F or the perforated disk 55 is introduced, the flexible shielding portion 61b is exposed in the free end form due to the passage of the panel member F or the perforated disk 55, Is discharged through the liquid passing portion (55b), so that the liquid is contacted and collided with the flexible shield (61b) more intensively.

가요성 차폐부(61b)가 추출액 통과부(55b)를 가리는 정도는 거품 또는 크레마 발생량과, 추출액 배출유량 등을 고려하여 조정될 수 있다.The extent to which the flexible shielding portion 61b covers the liquid extracting portion 55b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foam or crema generation amount, the liquid ejection flow rate, and the like.

한편, 제1거품발생수단(60A)은 도 13 [A] 및 [A]의 하부 일점 쇄선 원내 단독 사시도(그 외 다른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12 참조)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On the other hand, as can be seen from the single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one-dot chain line in the lower one-dot chain line of Figs. 13A and 13A (other components are shown in Figs. 1 to 12)

리셉터클(30) 수용체(31), 천공디스크(55), 이후 도 13 [B]와 관련하여 설명할 제2거품발생수단(60B) 사이의 밀폐성 확보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한 몸으로 성형될 수 있으나, The second foam generating means 60B to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3 [B], convenience of securing the hermeticity of the receptacle 30 receptacle 31, the perforating disk 55, However,

가요성 차폐부(61a)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가요성 합성수지나, 실리콘 시트(또는 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다.Only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lexible shielding portion 61a can be made of flexible synthetic resin or a silicon sheet (or film).

이 가요성 차폐부 또는 제1거품발생수단(나아가 제2거품발생수단까지)은 고온에서도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이 적은 실리콘 소재나 기타 안전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lexible shielding or first foam generating means (and further to the second foam generating means) is a silicone material or other safety material with a low risk of exposure to environmental hormones even at high temperatures.

'가요성'(可撓性) 차폐부(61a)는 배출되는 추출액의 압력 또는 충격이나, 펌프 등으로 인한 음료메이커 자체의 진동으로 인하여 미세하게 진동하여 추출액을 튕기는 역할을 하게 되어, 그만큼 거품 또는 크레마의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flexible' shielding portion 61a vibrates finely due to the pressure or impact of the extracted liquid to be discharged or the vibration of the beverage maker itself due to a pump or the like, Or the amount of generated crema can be increased.

패널부재(F) 또는 천공디스크(55)의 통과부 크기 및 수에 맞게 이러한 가요성 차폐부(61a) 및 추출액 배출부(61b)의 배열 위치, 크기, 수가 정해지며, Size, and number of the flexible shielding portions 61a and the ejection liquid ejecting portions 61b are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and number of the passage portions of the panel member F or the perforating disk 55,

이 가요성 차폐부(61a)(또는 제1거품발생수단(60A))의 두께는 진동특성 보장, 밀폐성 보장, 내구성 보장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The thickness of the flexible shielding portion 61a (or the first foam generating means 60A) i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ensuring vibration characteristics, ensuring airtightness, ensuring durability, and the like.

나아가 제2거품발생수단(60B)은 도 13 [B]의 분해 단면도(그 외 다른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12 참조)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Further, as can be seen from the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13B (other components are shown in Figs. 1 to 12), the second foam generating means 60B is formed,

리셉터클(30), 특히 수용체(31)에 수용되고, 상기 제1거품발생수단 하부에 배열되어, 추출액이 통과하는 소통공(63)을 갖고, The receptacle 30, particularly the receptacle 31, is arranged below the first foam generating means and has a communication hole 63 through which the extract liquid passes,

이 소통공은 상부의 패널부재(F) 또는 천공디스크(55)의 통과부, 제1거품발생수단(60A)의 배출부(61b)와 연결되고, This communication hole is connected to the passing portion of the upper panel member F or the perforating disk 55 and the discharge portion 61b of the first foam generating means 60A,

하부의 리셉터클(30) 수용체(31) 저면부의 소통로와 연결된다.And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ath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receptacle (30) receptacle (31) of the lower receptacle (30).

도 13 [B] 및 [B]의 하부 우측 일점 쇄선 원내 단독 확대 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As can be seen from a single enlarged perspective view in the lower right one-dot chain line of Figs. 13 [B] and [B]

추출액 소통공(63)은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지름이 가변되어, 협(狹)-광(廣)-협(狹) 크기를 갖는 제1 내지 제3 소통부(63a,63b,63c)로 구성되거나 ,The extract liquid communication hole 63 is constituted by first to third communicating portions 63a, 63b, 63c having a narrow-wide-narrow (狹) Or,

더 바람직하기로는 협(狹)-광(廣)-협(狹)-광(廣)-협(狹)를 갖는 제1 내지 제5 소통부(63a,63b,63c,63d,63e)로 구성되어 있어, 특유의 오리피스 구조로 거품 또는 크레마(Crema) 발생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first to fifth communication units 63a, 63b, 63c, 63d, and 63e having narrow (wide) - wide (narrow) - wide (wide) So that the amount of foam or crema can be further increased by the unique orifice structure.

또 실리콘, 기타 엘라스토머 소재나, 그 외 다양한 가요성 소재로 제2거품발생수단(60B)을 제조하는 경우, 1mm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소통공(63)이 막힐 수 있는데, 추출액의 압력에 의하여 소통공이 변형(하부로 쳐지는 형태로 변형됨)되는 경우 ,When the second foam generating means 60B is made of silicon, other elastomer material or various other flexible materials, the communication hole 63 having a size smaller than 1 mm may be clogged. When the ball is deformed (deformed into a downwardly deformed shape)

소통공의 광(廣)폭 부위인 제2 및 제4 소통부(63b)(63d)로 인하여 협(狹)폭 부위인 제1, 제3, 제5 소통부(63a)(63c)(63e)가 확장될 수 있어, 그만큼 소통공(63)이 막히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ird, and fifth communication portions 63a, 63c, 63e (63e, 63e, 63e, 63e, 63e, 63e, 63e, Can be enlarged, so that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ommunication hole 63 from clogging can be obtained.

또 제2거품발생수단(60B)의 소통공(63)은 도 13 [B] 및 [B]의 하부 우측 일점 쇄선 원내 단독 확대 사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The communicating hole 63 of the second foam generating means 60B can be seen in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right single-dot chain line in Figs. 13B and 13B,

제1소통부 보다 큰 제2소통부, 제2소통부 보다 작은 제3소통부, 제3소통부 보다 큰 제4소통부, 제4소통부 보다 작은 제5소통부가 상부에서 차례로 형성되어 있으며, A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having a larger size than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a third communication portion smaller than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a fourth communication portion larger than the third communication portion, and a fifth communication portion smaller than the fourth communication portion,

상세한 크기(각 소통부의 평단면도를 관찰했을 때, 각 단면적의 크기)는 The detailed size (the size of each cross-sectional area when viewing the flat cross-section of each traffic section)

제2소통부 ≒ 제4소통부 〉 제5소통부 〉제1소통부 〉제3소통부의 크기를 갖는다.The second communication portion? Fourth communication portion> the fifth communication portion>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the third communication portion.

그러나 제1소통부 ≒ 제3소통부 ≒ 제5소통부의 크기여도 무방하며, 가능한 제1 내지 3 또는 제1 내지 5의 소통부 크기라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소통부에서의 압력차이로 거품 또는 크레마의 양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first communication portion ≒ the third communication portion ≒ the fifth communication portion, and the sizes of the communication portions 1 through 3 or the first through fifth communication por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amount of foam or crema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in each communication part can be obtained.

필요에 따라 상기 소통공에서 지름이 가변되어 협(狹)폭과 광(廣)폭이 반복되는 소통부의 수는 더 증가될 수 있으며, 이때 박판 형태의 연결체(63A)에 형성된 소통부(63c)의 구조는 상호 이격된 형태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If necessary, the diameter of the communicating hole may be varied in the communication hole so that the number of communication parts in which the narrow width and the wide width are repeated may be further increased.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part 63c formed in the thin plate- May have a plurality of structur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나아가 패널부재(F) 또는 천공디스크(55)와, 제1거품발생수단(60A), 제2거품발생수단(60B)은 각각 가장자리에 중첩부 또는 테두리(55c)(61c)(65a)를 갖고, 이 부분에서 추출액 누설 방지를 위한 밀폐성 및 고정력을 얻으며, Further, the panel member F or the perforating disk 55 and the first foam generating means 60A and the second foam generating means 60B have overlapping portions or rims 55c, 61c and 65a, respectively, , The hermeticity and fixing force for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extractive fluid are obtained at this portion,

제1거품발생수단(60A) 및 제2거품발생수단(60B)은 상부의 패널부재(F) 또는 천공디스크(55)와 하부의 리셉터클(30) 수용체(31)의 저면부(37)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장착된다.The first foam generating means 60A and the second foam generating means 60B are disposed between the upper panel member F or the bottom surface portion 37 of the receptacle 30 receptacle 31 of the lower portion, And is mounted in an intervening form.

나아가 제2거품발생수단(60B)은 사발 형태와 유사하여, 제1거품발생수단(60A) 하부에 공간부(65)를 형성하게 되어 추출액의 체류 공간을 확보하고, 제1거품발생수단(60A)의 가요성 차폐부(61a)가 진동할 수 있는 공간을 보장하게 된다.
Further, the second foam generating means 60B is similar to the bowl shape, so that the space portion 65 is formed under the first foam generating means 60A, thereby securing the retention space of the extract liquid, and the first foam generating means 60A The flexible shielding portion 61a of the shielding portion 61a can vibrat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메이커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리셉터클(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beverag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dified receptacle 30 as shown in FIG.

도 10의 [A]는 상부방향에서 관찰하는 경우의 도면이고, 도 10의 각 [B]는 분해사시도와 함께 하부방향에서 관찰하는 경우의 도면인데,[A] in Fig. 10 is a view in the upper direction, and [B] in Fig. 10 is a view in the lower direction together with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추출대상체(P)가 내장되는 카트리지(C)는 캡슐 형태뿐만 아니라 부직포 또는 커피가루 형태로 가능하며, 이때 상기 리셉터클(30)은 상기 본체(30')에 결합되는 상기 카트리지(C)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갖는 거름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cartridge C in which the extraction target body P is embed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not only in the form of a capsule but also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or a coffee powder, And a sieve having a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cartridge (C) to be engaged is received.

상기 거름망(20)은 상기 리셉터클(30)을 구성하는 본체(30')와 그 형태를 달리하고 추출대상체(P)가 직접 수용되어 음료 추출이 행해진다.The extracting target body P is directly accommodated in the sieve 20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in body 30 'constituting the receptacle 30, so that the beverage is extracted.

상기 거름망(20)은 리셉터클(30) 본체(30')의 제1장착부에 밀착 안치되는데, 거름망(20)과 본체(30')의 제1장착부 사이에는 거품증가체(40)가 개재된다.The sieve 20 is closely attached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of the receptacle 30 main body 30 'and the foam increasing member 40 is interposed between the sieve 20 and the first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30'.

거품증가체는 합성고무 등의 엘라스토머나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져 가요성 특성, 연질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고온ㅇ고압의 열수에 대해서도 변형되지 않고 유해물질(특히 환경호르몬)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oam increasing body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omer such as synthetic rubber or a silicone material and has flexibility and softness. Especially,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which prevents the harmful substance (especially, the environmental hormone) .

도 10 [B]에서 거품증가체(40)의 상면에는 열수에 의하여 추출된 커피가 중공인 거품증가부(41)로 안내되면서도 지체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된 안내돌기(43)와 안내돌기(43)와 연결된 체류돌기(45)가 형성되어 있어, 거품 또는 크레마(Crema, 조밀한 황금빛 갈색의 거품으로 에스프레소(Espresso) 샷을 덮는다)가 1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0 (B),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am increasing body 40, a guide projection 43 and a guide projection 43 (see FIG. 10) formed radially so that the coffee extracted by the hot water is guided to the hollow foam- And a retention protrusion 45 connected to the retention protrusion 45 is formed so that the foam or crema (covering an espresso shot with a dense golden brown foam) can be primarily increased.

도 10 [B]의 일점 쇄선 원 내 단면 확대도로 과장되게 도시한 바와 같이, 통공 형태인 거품증가부(41)는 제1통과부(41a), 제1체류부(41b), 제2통과부(41c), 제2체류부(41d), 제3통과부(41e)가 상부에서 하부로 연속 형성된 구조이며,As shown in an exaggerated sectional view in the one-dot chain line circles in Fig. 10B, the bubble increasing portion 41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has a first passing portion 41a, a first holding portion 41b, (41c), a second retention part (41d), and a third passage part (41e) are continuously form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열수가 펌프에 의하여 가압 공급되면서 분말커피를 추출하여 제조된 에스프레소가 특유의 배출압력에 의하여 거품증가부(41)를 통과하게 되고, The espresso produced by extracting the powdered coffee while the hot water is pressurized and supplied by the pump passes through the bubble increasing portion 41 by the specific discharge pressure,

커피메이커의 펌프를 가동하는 모터에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하여 연질ㅇ가요성 거품증가체(40)가 진동하면서The flexible foam expanding body 40 vibrates due to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motor that operates the pump of the coffee maker

액상 에스프레소는 좁은 제1통과부(41a), 확장된 제1체류부(41b), 다시 좁은 제2통과부(41c), 확장된 제2체류부(41d), 좁은 제3통과부(41e)를 통과하면서 거품이 증가하게 된다.The liquid espresso has a narrow first passage portion 41a, an extended first stay portion 41b, a narrow second passage portion 41c, an extended second stay portion 41d, a narrow third passage portion 41e, And the bubbles increase.

그 상대적인 단면적의 크기는The size of the relative cross-

[ 제2통과부(41c) > 제1통과부(41a) ≥ 제3통과부(41e) > 제1체류부(41b) ≥ 제3통과부(41e) ] 또는 (The second passing portion 41c, the first passing portion 41a, the third passing portion 41e, the first staying portion 41b, the third passing portion 41e)

[ 제2통과부(41c) > 제3통과부(41e) ≥ 제1통과부(41a) > 제3통과부(41e) ≥ 제1체류부(41b) ]인 것이 (The second passing portion 41c> the third passing portion 41e? The first passing portion 41a> the third passing portion 41e? The first staying portion 41b)

크레마가 가장 풍부하게 생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Crema was found to be the most abundant.

다음으로 거름망(20)은 분말커피 수용부(20a)를 갖고, 상부 외측에 플렌지(23)와, 그 내측에 지지턱(25)을 갖고, 추출공(21)이 형성되어 있는데, 특히 복수의 추출공(21)이 저면 외곽 부위에 배열되어 있어 밀폐커버(100)의 중앙 부위 열수 주입공(102)에 대하여 어긋난 위치에 배열되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가능한 먼 거리에 배열되어 충분히, 그리고 골고루 열수가 분말커피와 접촉한 후 최대한 에스프레소가 추출ㅇ형성되도록 되어 있다.Next, the screen 20 has a powdered coffee receiving portion 20a, a flange 23 on the outside of the upper portion thereof, a support tab 25 on the inside thereof, and an extraction hole 21, The extraction holes 21 are arranged at the outsides of the bottom surface and arranged at positions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hot water injection hole 102 of the sealing cover 100 and more preferably arranged at the greatest possible distance, Espresso is extracted as much as possible after contact with powdered coffee.

특히 추출공(21)은 금속, 특히 부식 방지를 위하여 SUS 소재로 구성된 거름망(20)의 저면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상향돌기(21A)를 형성하고, 이 상향돌기의 정점을 연마 가공하여 추출공(21)을 형성함으로써 추출공을 가능한 작게 형성하면서도, Especially, the extraction hole 21 presses the bottom surface of the sieve 20 made of SUS material to prevent corrosion of metal, in particular, to form an upward protrusion 21A. The vertex of the upward protrusion is polished, 21), the extraction hole is formed as small as possible,

상향돌기(21A) 정점에 형성된 추출공(21)이 분말커피에 의하여 잘 막히지 않게 된다(왜냐하면 상향돌기(21A)의 점점에 열수에 의하여 유동되는 분말커피가 머물지 못하고 상향돌기를 따라 미끄러지기 때문으로, 그만큼 분말커피 입자와 추출공의 직접적인 접촉시간이 짧다).The extraction hole 21 formed at the vertex of the upward protrusion 21A is not blocked by the powdered coffee (because the powder coffee flowing by the hot water in the upward protrusion 21A does not stay and slides along the upward projection) , So that the direct contact time between the powdered coffee particles and the extraction hole is short).

또 상향돌기(21A)로 인하여 그 반대 부위인 거름망(20)의 저면에서는 요홈(21a)이 형성되는데, 청소시, 거름망(20)의 저면에서 흐르는 물을 접촉하면 혹 추출공(21)에 끼인 커피 입자도 쉽게 분리ㅇ제거될 수 있다.In addition, a recess 21a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ieve 20,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sieve 21 due to the upward protrusion 21A. When water flowing from the bottom of the sieve 20 contacts the sieve 21, Coffee particles can also be easily separated and removed.

아울러 외곽 부위 상향돌기(21A)의 내측에는 저항돌기(27)가 돌출되어 있는데, 이 역시 프레스 가공으로 가압 형성된 것이어서 그 반대면에는 요홈(27a)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resistance protrusion 27 is protruded inside the upward protrusion 21A of the outer portion, which is also press-formed by press working, and a groove 27a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상기 저항돌기(27)는 열수에 의하여 유동하는 커피 입자와 접촉하여 커피입자 유동특성을 불규칙하고 복잡하게 하여 추출 성능을 증가시키게 되며,The resistance protrusions 27 are in contact with the coffee particles flowing by the hot water to make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coffee particles irregular and complicated to increase the extraction performance,

그 저면의 요홈(27a)은 거품증가체(40) 상면과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The groove 27a of the bottom surface forms a spac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oam increasing body 40,

거품증가체의 안내돌기(43)와 체류돌기(45)가 수행하는 크레마의 1차적으로 증가기능을 보강하여 크레마의 증대 효과를 배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 primary increase function of the crease performed by the guide projection 43 and the retention projection 45 of the foam increasing body is reinforced so tha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rema can be doubled.

다시 도 10에서 본 발명의 리셉터클(30) 본체(30')에 상기 거름망을 덮는 밀폐커버(100)가 힌지 결합되어, 거름망에 추출대상체를 넣은 후 밀폐커버를 덮은 후 음료 추출부에 장착하고 음료 추출을 행한다.10, the sealing cover 100 covering the filtering net is hinged to the main body 30 'of the receptacl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object to be extracted is placed in the filtering net, the sealing cover is covered, Extraction is performed.

도 10에 도시된 리셉터클(30)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리셉터클(30)과 달리 커버시트 천공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밀폐커버(100) 중앙에 천공수단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102)이 형성되며, 밀폐커버(100)를 여닫을 수 있는 파지부(101)가 일측에 구비된다.The receptacle 30 shown in FIG. 10 does not require a cover sheet perforation unlike the receptacle 30 shown in FIGS. 7 to 9, so that the through hole 102, through which the perforating means can pass, And a grip portion 10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ermetic cover 100 is provided on one side.

상기 밀폐커버(100)는 회동축(103)이 구비되고, 이 회동축이 도 8에서 손잡이에 구비되는 절개부(39B)에 결합됨으로써, 부직포 형태의 카트리지(C) 추출에 이용될 수 있다.
The sealing cover 100 is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103 and the rotating shaft is coupled to a cutout 39B provided on the handle in Fig. 8, so that the cartridge 100 can be used for extracting the cartridge C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이종의 카트리지(C)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Such modifications, alteration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construed a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 : 카트리지
10 : 하우징 20 : 거름망
30 : 리셉터클 30' : 본체
31 : 수용체 31A : 끼움부
33: 제1분리부재 33A : 제1작동부
33B : 제1연동부 33C : 승강축
33D : 제1분리부 34 : 분리홀
35 : 축설부
37 : 제2분리부재 37A : 제2분리부
37B : 제2작동부
38 : 제3분리부재 38A : 제3분리부
38B : 제3분리부
39 : 손잡이
110 : 고정수단 111 : 가압부
112 : 가압편 113 : 고정돌기
114 : 탄성부 115 : 탄성편
116 : 탄성체
120 : 분리수단 121 : 가압부재
122 : 측벽부 124 : 코일스프링
126 : 연동돌기
131 : 받침판
320 : 장착부재 321 : 홀더
323 : 고정홈 330 : 핸들
C: Cartridge
10: housing 20:
30: Receptacle 30 ': Body
31: Receptor 31A:
33: first separating member 33A: first operating part
33B: first interlocking portion 33C: elevating shaft
33D: first separator 34: separation hole
35: Axis
37: second separating member 37A: second separating member
37B: second operating portion
38: third separating member 38A: third separating member
38B: third separator
39: Handle
110: fixing means 111:
112: pressing piece 113: fixing projection
114: elastic part 115: elastic piece
116: elastomer
120: separating means 121: pressing member
122: side wall portion 124: coil spring
126: cooperating projection
131:
320: mounting member 321: holder
323: fixing groove 330: handle

Claims (4)

추출대상체가 내장되는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가 모두 수용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카트리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리셉터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카트리지 또는 이종의 카트리지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체를 가압하여 본체에 고정시키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가 상기 카트리지 또는 상기 수용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
A different type of cartridge in which the extraction object is embedded; And
And a receptacl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having fixing means for fixing the cartridge,
The fixing means
A pressing portion that presses the receptacle in which the cartridge or the different types of cartridges are respectively received,
Wherein the pressurizing portion includes an elastic portion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to press the cartridge or the recepta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카트리지 또는 상기 수용체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한 쌍의 가압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가압편과 각각 연결되어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편 및 상기 탄성편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편 각각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ing portion comprises a pair of pressing pieces for pressing and fix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artridge or the receptacle,
Wherein the elastic portion includes a pair of elastic pieces connected to and hinged to the pressing piece, and an elastic body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pieces to exert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piec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Can be equipped with cartridg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은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수용체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체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대응삽입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ssing piece is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for preventing the receiver from flowing in the main body,
Wherein the receptacle is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본체는 카트리지를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탄성편과 결합되면서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가압편이 승하강됨으로써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수용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異種)의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음료 메이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receptacle body further includes separating means for separating the cartridge,
The separating means
And a pressing member hinged to the main body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elastic piece,
Wherein the cartridge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or the receiver by pushing up and down the pressing piece by pressing of the pressing member.

KR1020130093604A 2012-12-10 2013-08-07 Beverage maker for all cartridge KR1015729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604A KR101572956B1 (en) 2013-08-07 2013-08-07 Beverage maker for all cartridge
PCT/KR2013/011323 WO2014092406A1 (en) 2012-12-10 2013-12-09 Universal beverag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604A KR101572956B1 (en) 2013-08-07 2013-08-07 Beverage maker for all cartrid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541A true KR20150017541A (en) 2015-02-17
KR101572956B1 KR101572956B1 (en) 2015-11-30

Family

ID=5304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604A KR101572956B1 (en) 2012-12-10 2013-08-07 Beverage maker for all cart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956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2695A1 (en) * 2020-12-15 2022-06-23 Sunbeam Products, Inc. Espresso easy release filter
KR20230168031A (en)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KR20230168029A (en)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KR20230168030A (en)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KR20230168033A (en)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68032A (en)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68028A (en)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KR20240020576A (en) 2022-08-08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1081A1 (en) * 2021-04-30 2022-11-03 (주)메디프레소 Capsule-type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KR102360341B1 (en) * 2021-06-02 2022-02-09 (주)메디프레소 Adapter for capsule and capsule-type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us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1853142T3 (en) * 2005-02-07 2009-09-30 Nestec Sa Device for preparing a drink from a capsule by injection of a pressurized fluid and capsule-holder adapted therefore
KR101351782B1 (en) * 2011-12-13 2014-01-15 컨벡스코리아(주)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equipped with bubble increasing mean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2695A1 (en) * 2020-12-15 2022-06-23 Sunbeam Products, Inc. Espresso easy release filter
KR20230168031A (en)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KR20230168029A (en)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KR20230168030A (en)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KR20230168033A (en)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68032A (en)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68028A (en)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KR20240020576A (en) 2022-08-08 2024-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Beverage machine using capsu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956B1 (en) 201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956B1 (en) Beverage maker for all cartridge
KR101351782B1 (en)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equipped with bubble increasing means
US9756974B2 (en) Beverage cartridge replacement for single-serving beverage brewers
CA2701826C (en) Infusible material capsule for brewing a beverage
CN105848535B (en) Beverage machine
RU2639093C1 (en) Machine for beverages preparation
US20210137302A1 (en) Brewing Material Container for a Beverage Brewer
KR101323361B1 (en)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equipped with universal cap
KR20140029718A (en) Water purifier with capsule coffee extractor
RU2477973C2 (en) System with cooking machine and portioned package holder
KR101448275B1 (en) Beverage maker equipped with separator cartridge
KR20150066189A (en) Receptacle universal beverage maker
KR101600563B1 (en)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equiped with receptacle storage
CN103860020A (en) Beverage maker equipped with cartridge separator
KR101581930B1 (en) Universal beverage maker
KR101572952B1 (en) Receptacle for beverage
JP6547383B2 (en) Beverage extractor
US20230284816A1 (en) Beverage preparation systems and processes, including portion holder with enhanced single portion
US20230210299A1 (en) Beverage preparation systems and processes, including portion holder with enhanced retention and operation
CN115734727A (en) Beverage preparation system and method including partial pod with enhanced sealing and closure
JP2014042667A (en) Beverage extr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