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952B1 - Receptacle for beverage - Google Patents

Receptacle for bever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952B1
KR101572952B1 KR1020130138908A KR20130138908A KR101572952B1 KR 101572952 B1 KR101572952 B1 KR 101572952B1 KR 1020130138908 A KR1020130138908 A KR 1020130138908A KR 20130138908 A KR20130138908 A KR 20130138908A KR 101572952 B1 KR101572952 B1 KR 101572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artridge
receptacle
separating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9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56210A (en
Inventor
정우영
Original Assignee
컨벡스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벡스코리아(주) filed Critical 컨벡스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30138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952B1/en
Priority to PCT/KR2013/011323 priority patent/WO2014092406A1/en
Publication of KR20150056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2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9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47J31/0678Means to separate the cartridge from the bottom of the brewing chamber, e.g. grooves or protrus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8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 커피 등의 추출대상체가 담긴 카트리지 또는 분말 커피를 직접 수용하고 여기에 열수를 분사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경우, 특히 플렌지 등이 구비되지 않는 알루미늄 재질의 하드 팩 타입의 카트리지를 사용할 때 음료 추출 후 리셉터클의 거름망에서 카트리지를 쉽게 분리시켜 리셉터클에 남은 잔수에 의한 화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거름망에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은 제1 및 제2장착부를 갖고, 하방 배출공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제1장착부에 안치되고, 음료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복수의 추출공을 갖는 거름망; 상기 본체의 제2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거름망의 개구부를 열고 닫으며, 추출 열수 주입공을 갖는 덮개; 및 상기 거름망에 구비되어 음료 추출 후 음료 카트리지를 거름망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for beverage extrac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extracting beverage by directly receiving a cartridge or powdered coffee containing an extraction object such as powdered coffee and spraying hot water thereto, particularly when using a hard pack type cartridge made of aluminu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for extracting beverages, which is provided with a cartridge separating means in a filtering net so that the cartridg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a squeezing net of a receptacle after extracting a beverage, thereby preventing an image due to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recepta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ceptacle for extracting beverages,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s and having a downward discharge hole; A receiving portion which is seated in a first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in which the beverage cartridge is accommodated, and a filter having a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A cover coupled 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of the body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filtering net, the cap having an extraction hot water injection hole; And separating means provided in the filtering net to separate the beverage cartridge from the filtering net after extracting the beverage.

Description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RECEPTACLE FOR BEVERAGE}{RECEPTACLE FOR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for beverage extraction,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 커피 등의 추출대상체가 담긴 카트리지 또는 분말 커피를 직접 수용하고 여기에 열수를 분사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경우, 특히 플렌지 등이 구비되지 않는 알루미늄 재질의 하드 팩 타입의 카트리지를 사용할 때 음료 추출 후 리셉터클의 거름망에서 카트리지를 쉽게 분리시켜 리셉터클에 남은 잔수에 의한 화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거름망에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extracting beverage by directly receiving a cartridge or powdered coffee containing an extraction object such as powdered coffee and spraying hot water thereto, particularly when using a hard pack type cartridge made of aluminu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for extracting beverages, which is provided with a cartridge separating means in a filtering net so that the cartridg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a squeezing net of a receptacle after extracting a beverage, thereby preventing an image due to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receptacle.

음료 추출 장치, 특히 분쇄된 커피가 담긴 카트리지에 고온 및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메이커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Prior art related to a coffee maker for extracting coffee by spraying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ater onto a beverage extraction device, particularly a cartridge containing ground coffee,

특허등록 제10-0236856호(등록일자 1999년10월05일 [카트리지 추출용 장치 및 카트리지 홀더]가 있는데, 상기 등록 특허는 어떠한 에스프레소 기계에도 적합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추출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Patent Registration No. 10-0236856 (filed on October 5, 1999 [Cartridge Extraction Apparatus and Cartridge Holder]) is proposed to provide a cartridge extracting apparatus configured to be compatible with any espresso machine.

또 특허공개 제10-2010-0113447호(공개일자 2010년10월21일) [캡슐 센터링 기구를 구비한 1회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가 있는데, There is also an injection device for producing a beverage from a disposable capsule having a capsule centering mechanism, which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10-0113447 (published on October 21, 2010)

상기 공개특허는 1회용 캡슐로부터 음료 또는 기타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1회용 캡슐에 수용된 물질을 추출 혹은 희석함으로써 커피 또는 기타 뜨거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atent is directed to an injection device for producing a beverage or other food from a disposable capsule and to an injection device for producing coffee or other hot beverage by extracting or diluting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disposable capsule.

나아가 특허등록 제10-1067540호(등록일자 2011년09월19일)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있는데, Further, Patent Registration No. 10-1067540 (date of registration September 19, 201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everage]

상기 등록특허는 음료 전구 물질 액체는, 음료 카트리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제조 챔버의 폐쇄의 개시에 기초하여 공급될 수 있다. 뚜껑 제어 기구는 저장통으로의 접근을 막도록 제 위치에 저장통 뚜껑을 잠글 수 있고, 제조 챔버의 폐쇄에 응답하여 저장통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뚜껑을 해제할 수 있고, 저장통 뚜껑은 제조 챔버가 개방될 때 동시에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저장통 뚜껑은 저장통을 공압식으로 밀봉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저장통을 제조 챔버로 수력으로 가압되게 하고, 저장통 내의 물은, 예를 들어 히터로의 전력을 차단하는 열 차단 스위치의 개방에 기초하는, 물이 충분하게 가열되었다는 감지에 응답하여, 제조 챔버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patent discloses that the beverage precursor liquid may be supplied based on the onset of the closure of the production chamber configured to at least partially surround the beverage cartridge. The lid control mechanism can lock the reservoir lid in place to prevent access to the reservoir and release the lid to allow access to the reservoir in response to the closure of the production chamber, And the reservoir lid can pneumatically seal the reservoir, for example, causing the reservoir to be hydraulically pressed into the production chamber, and the water in the reservoir can, for example, block power to the heater In response to detection that the water has been sufficiently heated, based on the opening of the thermal shut-off switch.

아울러 특허공개 제10-2011-0122702호(공개일자 2011년11월10일) [음료 조제 기계]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음료 성분의 사전-포장 용기(prepackaged container)를 이용하는 유형의 음료 조제 기계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Patent Disclosure No. 10-2011-0122702 (November 10, 2011) discloses a beverage dispensing machine, which comprises a beverage dispensing machine of the type using a prepackaged container of beverage ingredient .

그러나 이들 종래 기술을 비롯한 종래 음료 메이커, 보다 한정하여 커피 메이커, 보다 더 한정하여 카트리지를 이용한 고온ㅇ고압 추출형 커피 메이커는 However, conventional high-pressure extraction type coffee makers using such conventional technologies as conventional drink makers, more limited coffee makers, and more specifically, cartridges,

다수의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커피 추출을 행해야 할 경우 음료 추출 시 열수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되어 리셉터클의 거름망과 카트리지의 취급이 쉽지 않으며, 추출 후 남은 열수(잔수)로 인해 카트리지 교체 작업이 어려워 시간이 오래 걸리며, 잔수에 의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When a large number of cartridges are used to extract coffee,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is increased by the hot water during the extraction of the beverag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handle the receptacle of the receptacle and the handling of the cartridge, and it is difficult to replace the cartridge due to the hot wat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ay be burnt by the residual water.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음료 추출 후 카트리지의 교체를 쉽게 행할 수 있어, 다량의 음료 추출 시 추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화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거름망에 카트리지 분리수단이 구비된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re is provided a beverage extracting receptacle provided with a cartridge separating means in a filtering net so as to be able to easily replace the cartridge after extracting the beverage and to shorten the extraction time when extracting a large amount of beverage and further to prevent damage to the user's image .

또 본 발명은 하드 팩 타입의 카트리지를 쉽게 분리시킴과 동시에 추출대상체 분말을 직접 거름망에 수용시킨 후 음료 추출을 행하더라도 음료 추출이 방해받지 않도록 일측이 거름망의 저면에 결합된 카트리지 분리용 와이어,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tridge separating wire in which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a sieve so that the extraction of the beverage is easily prevented even when the beverage extraction is performed after the powder of the extraction target body is directly received in the sieve,

또는 거름망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에 의하여 승하강이 이루어져 상기 거름망에 수용된 카트리지의 하면을 상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탈시키는 이탈부를 포함하는 분리용 레버로 구성되는 분리수단을 구비한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d separating means comprising a separating lever comprising a pressing portion hinged to the filtering net and a separating portion for pressing and releas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artridge accommodated in the filtration net by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by the pressing portion, And to provide a receptacle for extracting beverages.

나아가 본 발명은 음료 추출 후 추출대상체 분말이 본체의 하방 배출공으로 유입되어 배출공을 막아 음료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통공을 구비한 메시망이 거름망과 본체의 제1장착부 사이에 게재되어 있는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prevent the extracted object powder from entering the lower discharge hole of the main body after the beverage extraction and blocking the discharge hole from extracting the beverage, a mesh network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provided between the sieve filter and the first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eptacle for extracting beverages which has been put on the market.

또한 본 발명은 카트리지로 포장된 추출대상체가 아닌 추출대상체 분말을 직접 수용하고 여기에 열수를 분사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경우 분말커피가 커피메이커의 열수 분사노즐 주변부에 부착되어 지저분해지고 청소하기도 쉽지 않았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리셉터클 본체에 직접 결합되어 거름망의 개구부를 열고 닫을 수 있게 구성한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process for preparing a coffee beverage, comprising the steps of: (a) preparing a coffee beverage by mixing a coffee bean with a coffee bean;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eceptacle body so as to solve the problem, an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sieve.

또 본 발명은 상기 덮개는 경질 소재로 구성되거나, 필요에 따라 합성고무와 같은 엘라스토머나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져 가요성 특성, 연질특성을 갖는 경우 가압되어 공급되는 추출 열수가 덮개의 주입공을 통해 유입되고 거름망의 추출공으로만 배출되도록 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덮개의 요입홈 구조와 거름망의 플렌지 및 지지턱 구조를 도입한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cover may be made of a hard material or, if necessary, made of an elastomer such as a synthetic rubber or a silicone material. When the flexible cover has flexibility and softness characteristics, the extracted hot water supplied through the cover is introduced through the filling hole of the cove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eptacle for extracting beverages which incorporates a catching groove structure and a flange and a supporting jaw structure of a filtering net so as to improve the hermeticity by discharging only the extracting hole of the filtering net.

나아가 본 발명은 커피 추출용 열수가 거름망에 내장된 분말커피와 충분히 접촉한 후 추출·배출될 수 있도록 덮개의 주입공과 거름망의 추출공이 어긋난 위치에 배열되도록 한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eptacle for extracting beverages, in which hot water for extracting coffee is sufficiently placed in contact with powder coffee contained in a sieve, do.

아울러 본 발명은 커피의 거품, 즉 크레마(Crema)를 증가시켜 에스프레소 특유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eptacle for extracting beverages which is capable of increasing bubbles of coffee, that is, crema, to improve flavor peculiar to espress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everage extracting recep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제1 및 제2장착부를 갖고, 하방 배출공을 갖는 본체;A body having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s and having a downward discharge hole;

상기 본체의 제1장착부에 안치되고, 음료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복수의 추출공을 갖는 거름망; A receiving portion which is seated in a first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in which the beverage cartridge is accommodated, and a filter having a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상기 본체의 제2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거름망의 개구부를 열고 닫으며, 추출 열수 주입공을 갖는 덮개; 및A cover coupled 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of the body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filtering net, the cap having an extraction hot water injection hole; And

상기 거름망에 구비되어 음료 추출 후 음료 카트리지를 거름망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separating means provided in the filtering net to separate the beverage cartridge from the filtering net after extracting the beverage.

또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에서 상기 분리수단은 일측 단부가 상기 거름망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는 카트리지 분리용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eceptacle for extracting bever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ng means is constituted by a cartridge separating wir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ing net.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에서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거름망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에 의하여 시소운동이 이루어져 상기 거름망에 수용된 카트리지의 상측방향으로 가압하여 분리시키는 이탈부를 포함하는 분리용 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receptacle for extracting bever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ng means includes a pressing portion hinged to the filtering net, and a separating portion for pressurizing and separating the cartridge accommodated in the filtering net by seesaw movement by the pressing portion, And a separating lever which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은 상기 거름망과 상기 본체의 제1장착부 사이에는 다수의 통공을 구비한 메시망이 게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ceptacle for extracting bever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mesh net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placed between the filter net and the first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은 추출대상체가 포장된 패 타입의 카트리지뿐만 아니라 추출대상체 분말을 직접 수용하고, 여기에 열수를 분사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경우 분말커피가 커피메이커의 열수 분사노즐 주변부에 부착되어 지저분해지고 청소하기도 쉽지 않았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리셉터클 본체에 직접 결합되어 거름망의 개구부를 열고 닫을 수 있게 구성하며, 또 덮개의 요입홈 구조와 거름망의 플렌지 및 지지턱 구조를 도입하여 상기 덮개가 합성고무와 같은 엘라스토머나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져 가요성 특성, 연질특성을 갖는 경우에도 가압되어 공급되는 추출 열수가 덮개의 주입공을 통해 유입되고 거름망의 추출공으로만 배출되도록 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덮개의 주입공과 거름망의 추출공이 어긋난 위치에 배열하여 커피 추출용 열수가 거름망에 내장된 분말커피와 충분히 접촉한 후 추출·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거품증가체를 도입하여 커피의 거품, 즉 크레마(Crema)를 증가시켜 에스프레소 특유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receptacle for extracting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xtracting object powder is directly received not only in the cartridge of the L type packaged with the extraction object but also in the case of extracting the coffee by spraying hot water thereto, The opening of the filtering ne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receptacle main body to solve the problem that it is dirty and not easily cleaned by attaching the flange and the supporting jaw structure of the filtering ne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ermeticity by supplying the extracted hot water which is pressurized and suppli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of the lid and is discharged only to the extraction hole of the filtering net even when it is made of an elastomer such as synthetic rubber or a silicone material, Furthermore, the injection hole of the cover and the extraction hole of the filter screen are shifted And the hot water for extracting coffee is sufficiently contacted with the powdered coffee contained in the sieve, so that it can be extracted and discharged. In addition, by introducing the foam increasing body, the foam of coffee, that is, crema is increased, The flavor can be improved.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은 카트리지 분리수단을 도입하여 플렌지 등이 구비되지 않아 사용자가 취급하기 어려운 알루미늄 재질의 하드 팩 타입의 카트리지를 사용할 때에도 카트리지의 교체가 매우 쉬어 다량의 음료 추출 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Further, the receptacle for extracting bever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the cartridge separating means to prevent the replacement of the cartridges even when using a hard pack type cartridge made of aluminum hardly handled by the user due to the absence of a flange or the like, Can be shortened.

또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은 카트리지 분리수단으로써, 분리용 와이어 또는 분리용 레버를 도입하여, 카트리지를 사용한 음료 추출이 쉬울 뿐만 아니라, 추출대상체 분말을 거름망에 직접 수용하여 음료를 추출하더라도 사용에 불편함이 없다.
In addition, the receptacle for extracting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easy to extract beverage using a cartridge by introducing a separating wire or a separating lever as a cartridge separating means, There is no inconvenienc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은 분리 수단을 통하여 카트리지의 교체가 이루어지므로 교체 작업 중에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the receptacle for extracting bever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user from burning during the replacement operation because the cartridge is replaced through the separating means.

또한 본 발명에 따름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은 거름망과 본체의 제1장착부 사이에 다수의 통공을 갖는 메시망을 도입하여, 추출대상체 분말이 본체의 하방 배출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막힘에 의한 음료 미추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The receptacle for extracting bever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mesh net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between the filter net and the first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to prevent the extraction target powder from flowing into the lower discharge hole of the main body, Extraction problems can be prevented.

도 1은 추출대상체가 포장된 하드 팩 타입의 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거름망 관련 도면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hard pack type cartridge packaged with an extraction object.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ceptacle for extracting bever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receptacle for extracting bever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views related to the drawing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receptacle for extracting bever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특정하면,In describing the receptacle for extracting beve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specifi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The direction is specified in accordance with this standar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relating to the other drawings.

도 2 및 도 3의 각 [A]는 상부방향에서 관찰하는 경우의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의 각 [B]는 하부방향에서 관찰하는 경우의 도면인데,[A] in Figs. 2 and 3 is a view in the upper direction, and [B] in Fig. 2 and Fig. 3 is a view in the case of observing in the lower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R)은 크게 본체(10), 거름망(20), 덮개(30), 그리고 본체와 거름망 사이에 배열되는 거품증가체(40)로 구성된다.The receptacle R for beverage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comprises a main body 10, a sieve 20, a lid 30, and a foam increasing body 40 arrang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ieve.

또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R)은 서랍형으로 음료메이커(미도시 됨)에 결합되는 것이며, 전동 펌프에 의하여 가압되는 열수는 거름망(20)에 담긴 추출대상체를 추출하여 에스프레소 음료 등의 음료를 제조하게 된다. The receptacle R for drinking beverage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drink maker (not shown) in a drawer type. The hot water, which is pressurized by the electric pump, is extracted by extracting the object to be extracted contained in the sieve 20, Of the beverage.

그러나 리셉터클(R) 본체(10)의 구체 형상 및 음료메이커의 결합방식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However, the shape of the receptacle (R) body 10 and the manner of coupling the beverage maker can be variously modified as needed.

또 본 발명에서 리셉터클의 거름망 수용부(20a)에 담기는 음료는 추출대상체 자체일 수 있으나,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sieve receiving portion 20a of the receptacle may be the extraction target itself,

필요에 따라 시중에서 판매되는 캡슐 타입 카트리지와 같이 내부에 추출에 따라 음료가 캡슐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필터가 내장된 타입의 것이 아닌,A capsule type cartridge which is sold in the market as required, and a type of filter which does not have a filter for preventing the beverage from leaking out of the capsule according to the extraction,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외피로 포장된 팩 타입(또는 파드(pod) 타입) 음료 카트리지나, 심지어는 필터 비구비 캡슐 타입 음료 카트리지의 추출을 위한 리셉터클에도 본 발명의 개념 및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The concept an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pack type (or pod type) beverage cartridge packaged in a porous casing such as a nonwoven fabric, or even a receptacle for extraction of a capsule type beverage cartridge with a non-filter.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재질의 외피로 추출대상체가 포장된 하드 팩 타입의 카트리지(C)에도 본 발명의 개념 및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 the concept an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rtridge C of a hard pack type in which an object of extraction is packaged with an aluminum shell.

따라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이라는 용어는 상징적으로 본 발명의 특징을 강조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이로 인하여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Accordingly, the term " beverage " receptac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is intended to emphasiz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ymbolical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수용된 음료 추출 과정에서 추출대상체가 누출되고 원하지 않는 부위에 붙게 되어 리셉터클 및 음료메이커의 각 부위를 오염시키고 지저분해지는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 각종 카트리지에 대하여 대처할 수 있는 리셉터클의 개념을 보호받고자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the concept of receptacle capable of coping with various kinds of cartridges that cause leakage of the extraction object and sticking to an undesired portion in the accommodated beverage extraction process causes contamination of each part of the receptacle and the beverage maker and causes dirtiness .

상기 본체(10)는 도 3 [A]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추출 완료된 음료, 즉 에스프레스 커피 등의 음료가 최종 배출되는 하방 배출공(15)이 구비된 제1장착부(11)가 요입 형성되어 있고, 본 발명의 핵심 중 하나인 덮개(30)의 결합을 위한 제2장착부(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서랍식으로 음료메이커에 결합되는 경우 활용되는 파지부(17)가 우측에 구비되어 있고, 덮개(30)의 손잡이(37) 및 보강돌기(39)와 상호 작용하는 들뜸방지부를 구성하는 상부돌기(19) 2개가 좌측에 상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3 (A), the main body 10 has a first mounting portion 11 (see FIG. 3 (A)) provided with a downward discharge hole 15 through which a beverage, such as an espresso coffee,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13 for joining the lid 30, which is one of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nd the grip portion 17, which is used when being coupled to the drink maker in a drawer style, And two upper protrusions 19 constituting lift preventing portions that interact with the tab 37 and the reinforcing protrusion 39 of the lid 30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on the left side.

다음으로 거름망(20)은 상기 본체의 제1장착부에 밀착 안치되는데, 거름망과 본체의 제1장착부 사이에는 먼저 거품증가체(40)가 개재된다.Next, the filter 20 is closely attached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foam increasing member 40 is first interposed between the filter net and the first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거품증가체는 합성고무 등의 엘라스토머나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져 가요성 특성, 연질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고온·고압의 열수에 대해서도 변형되지 않고 유해물질(특히 환경호르몬)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소재인 것이 것이 바람직하다.The foam increasing body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omer such as synthetic rubber or a silicone material and has flexibility and softness. Especi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foam increasing body is made of a material that prevents harmful substances (especially, environmental hormones) .

도 3 [A]에서 거품증가체(40)의 상면에는 열수에 의하여 추출된 음료가 중공인 거품증가부(41)로 안내되면서도 지체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된 안내돌기(43)와 안내돌기(43)와 연결된 체류돌기(45)가 형성되어 있어, 거품 또는 크레마(Crema, 조밀한 황금빛 갈색의 거품으로 에스프레소(Espresso) 샷을 덮는다)가 1차적으로 증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 (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am increasing body 40, a radially formed guide protrusion 43 and a guide protrusion 43 (see FIG. 3A) are formed so that the beverage extracted by the hot water is guided to the hollow foam increasing portion 41, And a retention protrusion 45 connected to the retention protrusion 45 is formed so that the foam or crema (covering an espresso shot with a dense golden brown foam) can be primarily increased.

도 3 [B]의 일점 쇄선 원 내 단면 확대도로 과장되게 도시한 바와 같이, 통공 형태인 거품증가부(41)는 제1통과부(41a), 제1체류부(41b), 제2통과부(41c), 제2체류부(41d), 제3통과부(41e)가 상부에서 하부로 연속 형성된 구조이며,As shown in th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n the one-dot chain line circle in Fig. 3 [B], the bubble increasing portion 41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has a first passing portion 41a, a first holding portion 41b, (41c), a second retention part (41d), and a third passage part (41e) are continuously form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열수가 펌프에 의하여 가압 공급되면서 추출대상체를 추출하여 제조된 에스프레소가 특유의 배출압력에 의하여 거품증가부(41)를 통과하게 되고, The hot water is pressurized and supplied by the pump, the espresso produced by extracting the extraction object passes through the bubble increasing part 41 by the specific discharge pressure,

음료메이커의 펌프를 가동하는 모터에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하여 연질·가요성 거품증가체(40)가 진동하면서The flexible flexible foam increasing body 40 vibrates due to th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motor that operates the pump of the drink maker

액상 에스프레소는 좁은 제1통과부(41a), 확장된 제1체류부(41b), 다시 좁은 제2통과부(41c), 확장된 제2체류부(41d), 좁은 제3통과부(41e)를 통과하면서 거품이 증가하게 된다.The liquid espresso has a narrow first passage portion 41a, an extended first stay portion 41b, a narrow second passage portion 41c, an extended second stay portion 41d, a narrow third passage portion 41e, And the bubbles increase.

그 상대적인 단면적의 크기는The size of the relative cross-

[ 제2통과부(41c) > 제1통과부(41a) ≥ 제3통과부(41e) > 제1체류부(41b) ≥ 제3통과부(41e) ] 또는 (The second passing portion 41c, the first passing portion 41a, the third passing portion 41e, the first staying portion 41b, the third passing portion 41e)

[ 제2통과부(41c) > 제3통과부(41e) ≥ 제1통과부(41a) > 제3통과부(41e) ≥ 제1체류부(41b) ]인 것이 (The second passing portion 41c> the third passing portion 41e? The first passing portion 41a> the third passing portion 41e? The first staying portion 41b)

크레마가 가장 풍부하게 생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Crema was found to be the most abundant.

다음으로 거름망(20)은 추출대상체 수용부(20a)를 갖고, 상부 외측에 플렌지(23)와, 그 내측에 지지턱(25)을 갖고, 추출공(21)이 형성되어 있는데, 특히 복수의 추출공(21)이 바닥면 외곽 부위에 배열되어 있어 덮개(30)의 중앙 부위 열수 주입공(31)에 대하여 어긋난 위치에 배열되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가능한 먼 거리에 배열되어 충분히, 그리고 골고루 열수가 추출대상체와 접촉한 후 최대한 에스프레소가 추출·형성되도록 되어 있다.Next, the screen 20 has an extraction object accommodating portion 20a, a flange 23 at the upper outer side, a support tab 25 at the inner side thereof, and an extraction hole 21, The extraction holes 21 are arranged at the outsides of the bottom surface and arranged at positions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hot water injection hole 31 of the lid 30 and more preferably arranged at the greatest possible distance, The espresso is extracted and formed as much as possible after contact with the extraction object.

특히 추출공(21)은 금속, 특히 부식 방지를 위하여 SUS 소재로 구성된 거름망의 바닥면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상향돌기(21A)를 형성하고, 이 상향돌기의 정점을 연마 가공하여 추출공(21)을 형성함으로써 추출공을 가능한 작게 형성하면서도, In particular, the extraction hole 21 is formed by pressing a bottom surface of a sieve material made of SUS material to prevent corrosion, in particular by forming a top projection 21A. The vertex of the upward projection is polished to form an extraction hole 21, The extraction hole is formed as small as possible,

상향돌기(21A) 정점에 형성된 추출공(21)이 추출대상체에 의하여 잘 막히지 않게 된다(왜냐하면 상향돌기(21A)의 점점에 열수에 의하여 유동되는 추출대상체가 머물지 못하고 상향돌기를 따라 미끄러지기 때문으로, 그만큼 추출대상체 입자와 추출공의 직접적인 접촉시간이 짧다).The extraction object 21 formed at the vertex of the upward projection 21A is not clogged by the object to be extracted (because the extraction object moving due to the hot water in the upward projection 21A does not stay and slides along the upward projection , So that the direct contact time between the extraction target particle and the extraction hole is short).

또 상향돌기(21A)로 인하여 그 반대 부위인 거름망(20)의 바닥면에서는 요홈(21a)(도 3 [B] 참조)이 형성되는데, 청소시, 거름망(20)의 바닥면에서 흐르는 물을 접촉하면 혹 추출공(21)에 끼인 음료 입자도 쉽게 분리·제거될 수 있다.3 (B))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ieve 20,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sieve 20 due to the upward protrusion 21A. When the sieve 21a is cleaned, water flow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ieve 20 The beverage particles trapped in the lump extraction hole 21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moved.

아울러 외곽 부위 상향돌기(21A)의 내측에는 저항돌기(24)가 돌출되어 있는데, 이 역시 프레스 가공으로 가압 형성된 것이어서 그 반대면에는 요홈(24a)(도 3 [B]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resistance protrusion 24 protrudes on the inside of the outer protrusion 21A on the outer side, which is also press-formed by press working, and a groove 24a (see FIG. 3B)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상기 저항돌기(24)는 열수에 의하여 유동하는 음료 입자와 접촉하여 음료입자 유동특성을 불규칙하고 복잡하게 하여 추출 성능을 증가시키게 되며,The resistance protrusions 24 are in contact with beverage particles flowing by hot water to irregularly and complicate beverage particle flow characteristics to increase extraction performance,

그 바닥면의 요홈(24a)은 거품증가체(40) 상면과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The groove 24a on the bottom surface forms a spac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oam increasing body 40,

거품증가체의 안내돌기(43)와 체류돌기(45)가 수행하는 크레마의 1차적으로 증가기능을 보강하여 크레마의 증대 효과를 배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 primary increase function of the crease performed by the guide projection 43 and the retention projection 45 of the foam increasing body is reinforced so tha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rema can be doubled.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거름망(20)은 추출대상체 분말이 수용되는 경우만 아니라, 캡슐 또는 부직포 등의 팩 타입 카트리지, 특히 도 1에 도시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잡을 수 있는 별도의 플렌지를 구비하지 않은 하드 팩 타입의 카트리지(C)를 수용한 후 음료 추출을 행할 수 있다.Further, as described above, the screen 20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extraction target powder is accommodated, but also a pack type cartridge such as a capsule or a nonwoven fabric, particularly, the aluminum material shown in FIG. 1,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beverage extraction after accommodating the hard pack type cartridge C not having the flange of the hard pack type.

카트리지(C)가 사용되는 경우 열수를 카트리지(C) 내로 분사하고, 추출 음료가 카트리지(C) 외부로 배출되기 위하여, 카트리지 상하부의 천공을 위한 파괴수단이 필수적인데, A breaking means for punctur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artridge is necessary so that the hot water is jetted into the cartridge C when the cartridge C is used and the extracted beverage is discharged out of the cartridge C,

상부 파괴수단의 경우 승강체와 함께 승하강하여 움직이는 열수 분출 노즐이 카트리지(C) 상부를 천공하도록 구비된다.In the case of the upper breaking means, a hot water jetting nozzle moving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lifting body is provided to puncture the upper portion of the cartridge C.

또 도 3의 좌측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파괴수단은 상기 저항돌기(24)들의 외측 둘레에 거름망(20)의 바닥면에서 상향 돌출 형성되는 천공핀(24A)들로 구성되어 거름망(20)에 수용된 후 승강체의 가압에 의하여 카트리지(C)가 하측 방향으로 압력을 받으면서 상부가 파괴되는 동시에 상기 천공핀(24A)이 카트리지(C)의 하부를 파괴하도록 구비된다.As shown in the enlarged left side view of FIG. 3, the lower breaking means comprises perforation pins 24A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ieve 20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sistance protrusions 24, The cartridge C is pressed downward by the pressure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and the upper portion is broken while the perforation pin 24A destroys the lower portion of the cartridge C.

상기 천공핀(24A)은 유사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상측 단부가 하측보다 폭이 좁은 첨단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카트리지(C) 하부면의 천공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perforation pin 24A is formed in a pseudo-triangular shape and has an upper end portion having a narrower width than the lower end,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cartridge C can be easily perforated.

상기 천공핀(24A)은 거름망(20)의 바닥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상향 돌출되어 있는데, 제작 용이성 확보를 위하여 거름망(20)의 바닥면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된 부분을 상향 돌출시키면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erforation pin 24A protrudes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ieve 20 and is preferably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ieve 20 to protrude upward in order to secure easiness of fabrication Do.

즉, 본 발명의 리셉터클 제작 시 상기 천공핀(24A)을 별도의 구성을 통해 거름망(20)의 바닥면에 결합시키지 않고, 바닥면 일부를 절개한 상태에서 절개된 부분을 상측 방향으로 들어올려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recepta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the cut-out pin 24A is not joi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creen 20 through a separate structure, .

상기한 방식으로 천공핀(24A)이 제작될 경우 상기 천공핀(24A)은 유사 삼각형 형태로 끝단부에 첨단부가 구비되며, 절개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향 돌출된 천공핀(24A)이 형성된다. When the perforated pin 24A is manufactur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the perforated pin 24A has a piercing pin 24A at its end portion in the form of a pseudo triangle, and the perforated pin 24A protruding upward from both sides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cut- .

상기 천공핀(24A)의 모양 및 크기는 카트리지(C)의 제조사별 종류, 소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유사 삼각형 형태 또는 삼각뿔 형태의 천공핀(24A)뿐만 아니라, 유사 사다리꼴 형태, 또는 유사 직사각형 형태 등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한 통상의 기술자(이하 당업자라 칭함)에 의하여 충분이 예측하여 수정, 변형, 치환되어 재현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인하여 본 발명의 권리 해석에 제한이 있어서는 안 될 것이다.The shape and size of the perforation pin 24A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material, and the like of the manufacturer of the cartridge C. The shape and size of the perforation pin 24A are not limited to the pseudo triangular or triangular pyramidal perforation pin 24A, Or a similar rectangular shape, and the like, which can be sufficiently predicted, corrected, modified, or substitu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illustrated form should not limit the interpretation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천공핀(24A)에 의한 카트리지(C) 하부의 천공은 알루미늄 재질의 특성에 의하여 천공 시 비정형으로 파괴되면서 구멍이 형성되고 따라서 추출된 음료의 일부는 상기 비정형 구멍을 통해 거름망(20)으로 직접 배출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천공핀(24A)이 제작되면서 거름망(20) 바닥면에 천공된 구멍(24b)을 통해 후술하는 거품증가체로 직접 배출될 수 있다.The perfora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artridge C by the perforation pin 24A is broken at an irregular shape during the perfora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luminum material and thus a hole is formed and thus a part of the extracted beverage is directly passed through the non- And the other part can be directly discharged to the foam increasing body described later through the hole 24b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ing net 20 while the perforating pin 24A is being manufactured.

이어서 본 발명은 음료 추출 후 거름망(20)으로부터 카트리지(C)의 취출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상기 거름망(20)에 분리수단(26)을 도입하였다.The separating means 26 is introduced into the screen 20 so that the cartridge C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screen 20 after extracting the beverage.

상기 분리수단(26)은 거름망(20) 내부, 특히 거름망(20) 바닥면 등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카트리지(C)가 분리되도록 해야는데, 추출대상체 분말 자체가 수용되는 경우에 분리수단(26)이 음료 추출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비되어야 한다.The separating means 26 is provided inside the filter 20 and particular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20 so that the cartridge C is sepa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26) should not interfere with the beverage extraction.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분리수단(26)의 제1실시예로써 상기 분리수단(26)은 상기 거름망(20)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있는 카트리지 분리용 와이어(27)로 구성된다.To this end,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separating means 26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ng means 26 comprises a cartridge separating wire 27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creen 20.

상기 와이어(27)는 합성 고무 등의 실리콘 소재나, 면직물 소재로 이루어져 가요성 특성, 특히 연질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고온·고압의 열수에 대해서도 손상되지 않고 유해물질(특히 환경호르몬)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wire 27 is preferably made of a silicone material such as synthetic rubber or a cotton material and has flexibility, particularly softness. Especially, harmful substances (especially environmental hormones) are not damaged It is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is a material which does not flow out.

상기 와이어(27)로 사용될 수 있는 소재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나일론(nylon),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실크(silk), 금, 스테인레스 및 폴리디아소논(polydiaxonone) 등의 재질도 포함하며, 일례로 상표명 Vicryl(polyglactin 910 계열)이 사용될 수 있다.The material that can be used for the wire 27 includes materials such as polypropylene, nylon, polyester, silk, gold, stainless steel, and polydiaxonone, For example, the trade name Vicryl (polyglactin 910 series) may be used.

특히 상기 와이어(27)가 면직물 소재일 경우 추출대상체 분말이 직접 거름망(20)에 수용될 경우 와이어(27)의 실타래 등이 음료에 섞인 상태로 추출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소재가 선택되어짐은 당연하다.Particularly, when the wire 27 is a cotton fabric material, when the extraction target powder is directly received in the sifter 20, the thread 27 of the wire 27 can be extracted in a state mixed with the beverage. Of course.

상기 와이어(27)는 연질의 와이어(27)(실)을 지칭하는 대표적인 의미로 사용한 단어일 뿐이며, 본 발명의 와이어(27)의 본질적인 기능과 같은 모든 실, 줄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써,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서 지칭하는 용어에 의하여 문리적으로만 해석되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The wire 27 is only a word used in a representative meaning of a soft wire 27 and is a concept including all strings and strings such as the essential function of the wire 27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only those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와이어(27)는 일측 단부(27a)가 거름망(20)의 바닥면 일측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 단부(27b)는 거름망(20)의 플렌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The wire 27 is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portion 27a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ieve 20 and the other end portion 27b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lange of the sieve 20.

상기 와이어(27)는 제작 용이성 확보 및 안정적이 카트리지의 분리를 위하여 거름망의 바닥면 중앙에 구멍을 천공한 후 와이어의 일측 단부(27a)가 상기 구멍에 고정되도록 한다.The wire 27 is pierc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ieve mesh for securing ease of manufacture and stable separation of the cartridge, and then one end portion 27a of the wire is fixed to the hole.

특히 상기 와이어(27)의 길이는 도 1의 카트리지(C)가 거름망(20)에 수용될 때, 카트리지(C)의 크기 또는 형상에 의하여 와이어(27)가 거름망(20)의 바닥면과 내벽에 자연스럽게 밀착된 상태에서도 타측 단부(27b)가 거름망(20)의 플렌지(23) 외부로 노출될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the length of the wire 27 is determined by the size or shape of the cartridge C when the cartridge C of Fig. 1 is received in the sieve 20, So that the other end portion 27b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lange 23 of the sieve 20.

따라서 음료 추출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카트리지(C)를 분리할 때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27)의 타측 단부를 손으로 잡아 들어올리면, 와이어(27)가 카트리지(C)의 하면 및 옆면을 들어올려 카트리지(C)를 분리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removes the cartridge C after the beverage extraction is completed, the other end of the wire 27 exposed to the outside is lifted by hand, and the wire 27 lifts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artridge C The cartridge C can be separated.

또한 분리용 와이어(27)를 분리수단(26)으로 도입함으로써, 추출대상체 분말을 직접 거름망(20)에 수용하더라도 음료 추출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
Further, by introducing the separating wire 27 into the separating means 26, even if the extraction target powder is directly accommodated in the filtering net 20, the beverage extraction is not interrupted.

다음 본 발명의 분리수단(26)의 제2실시예로써,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수단(26)은 상기 거름망(20)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가압부(28a)와, 상기 가압부(28a)에 의하여 시소운동이 이루어져 상기 거름망(20)에 수용된 카트리지(C)를 상측방향으로 가압하여 분리시키는 이탈부(28b)를 포함하는 분리용 레버(28)로 구성될 수 있다.4 and 5, the separating means 26 includes a pressing portion 28a hinged to the screen 20 and a pressing portion 28a hinged to the screen 20, And a separating lever 28 which includes a separating portion 28b for seeping motion by the pressing portion 28a and pressing and separating the cartridge C accommodated in the screening die 20 in the upward direction have.

상기 레버(2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름망(20)의 플렌지(23)에 힌지축(28d)을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가압부(28a)와, 상기 가압부(28a) 내측과 연결되고 하향 절곡되면서 거름망(20)의 내벽에 밀착되며 하측 단부가 거름망(20)의 바닥면까지 연장 형성된 연결부(28c)와, 상기 연결부(28c)의 하측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곡하여 연결되어 거름망(20)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이탈부(28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4, the lever 28 includes a pressing portion 28a rotatably coupled to the flange 23 of the screen 20 through a hinge shaft 28d, A connection portion 28c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28c and bent downwar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sieve 20 and having a lower end exte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ieve 20, And a separation part 28b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ieve 20.

상기 레버(28)의 연결부(28c) 및 이탈부(28b)는 상기 거름망(20)과 최대한 밀착 형성되어 카트리지(C)가 거름망(20) 수용부에 안정되게 수용되도록 하며,The connecting portion 28c and the detaching portion 28b of the lever 28 are form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squeezing mesh 20 so that the cartridge C is stably receiv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sieve 20,

특히, 상기 이탈부(28b)의 끝단부는 카트리지(C)의 하부 천공 및 추출된 음료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상기 천공핀(24A)을 덮지 않는 위치까지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portion of the separating portion 28b is formed so as not to cover the perforation pin 24A in order to smoothly discharge the lower perforation of the cartridge C and the extracted beverage.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가압부(28a)를 누르면 힌지축(28d)을 축으로 상기 연결부(28c)와 이탈부(28b)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서 카트리지를 상측방향으로 밀어서 카트리지를 분리시키게 되고, 사용자는 분리된 카트리지를 손으로 쉽게 잡아서 교체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28a, the connecting portion 28c and the separating portion 28b are lifted upwards with the hinge shaft 28d as an axis, thereby pushing the cartridge upward to separate the cartridge. Separate cartridges can easily be replaced by hand.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단(26)으로써 제2실시예의 변형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Next, as a separating means 2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s shown in Fig.

도 5에 도시된 카트리지 분리용 레버(28')는 상기 거름망(20)의 플렌지(23)에 힌지축(28d')을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가압부(28a')와, 상기 가압부(28a')의 내측과 연결되어 거름망(20)의 내벽을 따라 양측으로 나누어지면서 형성되어 카트리지(C)의 외벽을 가압하여 파지하며 상기 가압부(28a')에 의하여 시소운동이 이루어져 카트리지(C)를 거름망(2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한 쌍의 이탈부(28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artridge separating lever 28 'shown in FIG. 5 includes a pressing portion 28a' coupled to the flange 23 of the screen 20 via a hinge shaft 28d 'so as to be rotatable, 28a 'so as to be divided on both side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ieve 20 to pressurize and grip the outer wall of the cartridge C and perform a seesaw motion by the pressing portion 28a' And a pair of separating portions 28b 'for separating the water from the sieve 20.

상기 한 쌍의 이탈부(28b')는 내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거름망의 내벽에서 소정 간격 이격하여 구비되어 카트리지(C)를 거름망(20)에 수용할 때 상기 이탈부(28b)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수용되고, 수용된 후에는 탄성력에 의하여 카트리지(C)의 외벽을 가압하여 파지되도록 한다.The pair of separating portions 28b 'ar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filtering net so as to have an elastic force in the inward direction so that when the cartridge C is received in the filtering net 20, And after being accommodated, the outer wall of the cartridge C is pressed and held by the elastic force.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가압부(28a)를 가압하여 누르면 상기 한 쌍의 이탈부(28b)는 카트리지(C)를 파지한 상태에서 힌지축(28d')을 축으로 시소운동을 통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서 카트리지(C)를 분리시키게 되고, 사용자는 분리된 카트리지를 손으로 쉽게 잡아서 교체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presses and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28a, the pair of separating portions 28b lift up the hinge shaft 28d 'through the seesaw motion upward while holding the cartridge C, The cartridge C is detached, and the user can easily grasp and replace the separated cartridge by hand.

한편 본 발명에 따를 리셉터클은 상기 거름망(20)과 상기 본체(10)의 제1장착부(11) 사이에 다수의 통공(29a)을 갖는 메시망(29)이 게재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The recep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esh net 29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9a between the squeezing mesh 20 and the first mounting portion 11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detachable.

상기 메시망(29)은 SUS 등의 메탈 소재로써 다수의 미세 통공(29a)이 천공되어 형성되어 추출된 음료만이 상기 통공(29a)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음료 추출 중에 음료와 함께 카트리지 외부로 배출되는 추출대상체 분말이 상기 통공(29a)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지도록 함으로써, 거품증가부(41) 또는 배출공(15)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The mesh net 29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US and is formed by perforating a plurality of fine holes 29a so that only the extracted beverage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through holes 29a, The extraction target powder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prevented from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9a so as to be filtered, thereby preventing the bubble increasing portion 41 or the discharge hole 15 from being clogged.

즉, 추출대상체가 커피일 경우에 사용자가 커피 원두를 직접 로스팅하여 본 발명의 거름망(20)에 수용한 다음 커피 추출을 행하는 경우와 달리, 카트리지(C)를 사용하는 경우 추출에 따른 커피의 질적 향상 및 카트리지 타입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카트리지에 내장되는 커피 즉, 추출대상체의 분말이 매우 고운 상태로 출시되는 것이 보통이어서, 본 발명의 리셉터클이 구비된 음료메이커에 카트리지를 사용하게 되면 고운 입자 상태의 추출대상체 분말이 음료와 함께 카트리지 외부로 배출되어 거품증가부(41) 또는 배출공(15)을 막을 위험이 크다.That is, unlike the case where the user extracts the coffee beans directly from the roasting scree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extracts the coffee when the extraction subject is coffee, when the cartridge C is used, It is usual that the coffee contained in the cartridge, that is, the powder of the extraction object, is released in a very fine state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tridge type. Therefore, when the cartridge is used in the beverage maker equipped with the recepta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great risk that the powder of the objec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rtridge together with the beverage to block the bubble increasing portion 41 or the discharge hole 15.

특히, 상기 거름망(20)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추출공(21)(천공핀(24)과 함께 형성되는 구멍 포함)은 거품증가부(41) 또는 배출공(15)과 달리 직경이 크므로 추출대상체 분말에 의한 막힘이 덜할 뿐만 아니라, 막히더라도 거름망(20)을 분리하여 세척하기 쉽지만, 상기 거품증가부(41) 또는 배출공(15)은 구조적인 특성상 구멍이 작기 때문에 분말에 의한 막힘이 발생하기 쉽고, 세척 또한 쉽지 않다.Particularly, since the extraction hole 21 (including the hole formed together with the perforation pin 24)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ieve 20 has a large diameter different from the bubble increasing portion 41 or the exhaust hole 15 The bubble increasing portion 41 or the discharge hole 15 is not easily clogged by the powder of the object to be extracted and is easily clogged by the powder because of the small hole due to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It is easy to occur, and washing is also not eas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메시망(29)을 통해 음료와 함께 배출되는 추출대상체 분말을 1차적으로 거르는 필터로 활용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방지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extraction target powder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beverage through the mesh net 29 as a filter for primarily filtering, thereby prevent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상기 메시망(29)은 필터 기능 강화를 위하여 상기 제1장착부(11)에 상응하는 원판 형태로 제작되며, 상면 일측에 별도의 파지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메시망(29)을 자유롭게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sh network 29 is formed in a disc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unting part 11 for enhancing the filter function and has a separate grip part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user can freely move the mesh mesh 29 It is preferable to be constructed so as to be detachable and usable.

또한 상기 메시망(29)은 원판에 다수의 미세 통공을 직접 천공하는 방식 또는 소정 길이를 갖는 메탈선이 다수가 그물처럼 중첩하여 미세 통공이 형성되는 방식 등으로 제작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mesh network 29 can be manufactured by directly drilling a plurality of fine holes in a disk or by forming a plurality of metal wire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net-like manner.

이어서 본 발명의 핵심 중 하나인 덮개(30)는 부식 문제가 없는 SUS 소재나, 기타 금속소재,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면에는 거름망에 대한 밀폐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패킹이 도입될 수 있다. 또 경질 덮개 바닥면에 도입되는 패킹과 함께, 또는 별도의 수밀성 증가수단(예: 패킹)이 거름망의 플렌지 또는 그 주변에 도입될 수도 있다.The lid 30, which is one of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of SUS material without any corrosion problem, other metal material, synthetic resin, and if necessary, a packing which can increase the hermeticity of the filter net is introduced . Alternatively, a separate watertightness enhancing means (e.g., a packing) may be introduced into or around the flange of the sieve net, together with the packing introduced into the hard cover bottom.

나아가 덮개(30)는 전체적으로 합성고무 등의 엘라스토머나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져 가요성 특성, 연질특성을 갖는 것도 밀폐성 확보에 문제가 없으므로 도입 가능하다. 이 경우 연질 덮개는 고온·고압의 열수에 대해서도 변형되지 않고 유해물질(특히 환경호르몬)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소재인 것이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lid 30 is made entirely of an elastomer such as synthetic rubber or a silicon material, and has flexibility and softness characteristics, since it has no problem in securing the hermeticity.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oft lid is a material which prevents the harmful substances (especially environmental hormones) from flowing out without being deformed by hot water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또 상기 덮개(30)는 거름망 상부 외곽의 플렌지(23)를 수용하는 요입홈(35)을 갖고, 이 요입홈(35)의 외측에는 하향 연장 형성된 스커트(35a)가 형성되어 있어, 이 스커트가 플렌지(23) 외측을 덮어 열수에 대한 밀폐성을 향상시키게 된다.The lid 30 has a concave groove 35 for receiving the flange 23 out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sieve and a skirt 35a extending downward is formed outside the concave groove 35, The outer side of the flange 23 is covered to improve the sealing performance against the hot water.

나아가 상기 거름망(20)의 플렌지(23) 내측에는 음료메이커의 열수 분출 노즐과 함께 움직이는 승강체(미도시됨)가 엇물림 형태로 결합되는 경우, 그 플렌지 내측 지지턱(25)에 의하여 연질·가요성 덮개 부위가 그 사이에 끼게 되므로, 열수에 대한 밀폐성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Further, when the lifting body (not shown) moving together with the hot water jetting nozzle of the beverage maker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flange 23 of the sieve 20 by the flange inner supporting jaw 25, Since the flexible lid portion is sandwiched therebetween, the hermeticity against the hot water is further increased.

또 상기 덮개의 주입공(31)에는 음료메이커의 열수 분출 노즐이 수용되는데, 이 주입공(31) 외측에는 밀폐돌기(31a)가 상향 돌출 형성되어 있고, In addition, a hot water jetting nozzle of the drink maker is accommodated in the injection hole 31 of the cover. A sealing projection 31a protrudes upward from the injection hole 31,

이 밀폐돌기(31a)는 음료메이커의 열수 분출 노즐과 엇물림 결합되게 되므로, 역시 열수가 거름망의 수용부와 덮개 사이에만 체류하며 Since the sealing projection 31a is interlocked with the hot water spouting nozzle of the beverage maker, the hot water also stays only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sieve and the cover

열수는 덮개의 주입공을 통해 유입되고 거름망의 추출공으로만 배출되게 된다.The hot water flows through the lid of the lid and is discharged only to the extraction hole of the ladle.

나아가 덮개(30)는 상기 거름망(20)의 개구부를 열고 닫는데, 그 편리성을 위하여 덮개 우측의 축돌기(33)가 전후로 대칭 배열되어 있고, 이 축돌기를 통하여 본체(10)의 제2장착부(13)에 결합되므로 In addition, the lid 30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screen 20. For convenience, the lid 33 is symmetrically arranged forward and backward, and through the lid 30, And is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13

덮개는 본체에 대하여 축설된 구조가 되어 쉽게 거름망의 개구부를 여닫고 또 특유의 연질 특성으로 인하여 축돌기(33)를 쉽게 본체의 제2장착부에서 분리하고 재결합할 수 있어 청소가 용이하다.The lid is structured to be shroud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the opening of the screen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Also, due to the unique soft characteristics, the lid 33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econd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reassembled.

아울러 덮개(30)는 축돌기 반대편, 우측에 손잡이(37)를 가져 거름망의 개구부를 여닫는 경우의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In addition, the lid 30 has a handle 37 on the right side opposite to the axial protrusion, thereby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filtering net.

또 이 손잡이(37)는 본체(10)의 두 상부돌기(19)로 구성된 들뜸방지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부돌기 사이의 끼임부(19a)에 뻑뻑하게 결합되므로 The handle 37 is tightly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19a between the upper protrusions constituting a part of the lifting preventing portion composed of the upper protrusion 19 of the main body 10

거름망의 수용부(20a)에 추출대상체를 투입하고 덮개(30)를 닫은 후, 리셉터클(R)을 음료메이커에 결합하는 경우 본체(10)의 파지부(17) 및 덮개의 출돌기(33) 반대편 덮개 부위가 음료메이커의 서랍홈과의 임의 접촉으로 덮개가 들리게 되고 음료가 쏟아지기까지 하는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그 외 추출 전후의 추출대상체가 담긴 리셉터클(R)의 부주의하고 의도치 않은 상황에서 리셉터클에 충격이 가해지고 전복되어도 추출대상체가 쏟아지고 누출되는 사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receptacle R is coupled to the beverage maker after the extraction object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20a of the filter net and the lid 30 is closed and the receptacle R is coupled to the beverage mak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problem that the opposite cover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rawer groove of the beverage maker due to the contact with the cover and the beverage tends to be poured and the inadvertent intent of the receptacle R containing the extraction object before and after the extra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ituation in which the object is poured and leaked even when the receptacle is impacted and rolled over.

이러한 특성은 본체(10)의 두 상부돌기(19) 각 외측에 배열된 덮개(30)의 보강돌기(39)에 의하여 더 강화되며, This characteristic is further enhanced by the reinforcing projection 39 of the cover 30 arranged on each outer side of the two upper projections 19 of the body 10,

또 보강돌기는 바닥면에 걸림턱(39a) 구조를 갖고, 이 걸림턱이 거름망(20)의 플렌지(23)에 외측 결합되므로 덮개가 거름망을 닫고 있는 상태의 확고성은 더욱 증가된다.
Further, since the reinforcing protrusion has a structure of a latching protrusion 39a on the bottom surface, the engaging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flange 23 of the squeezing mesh 20 so as to further increase the firmness of the state in which the lid is closed.

이상의 설명에서 음료메이커의 작동원리, 열수의 구체적인 공급 구조 및 노즐의 형상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conventionally known techniques relating to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drink maker, the specific supply structure of hot water, and the shape of the nozzle are omitt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guess, deduce, and reproduce it.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invention.

R: 리셉터클 10: 본체
11: 제1장착부 13: 제2장착부
15: 배출공 17: 파지부
20: 거름망 21: 추출공
23: 플렌지 24 : 저항돌기
25: 지지턱 26 : 분리수단
27 : 분리용 와이어 28, 28' : 분리용 레버
29 : 메시망 30: 덮개
31: 주입공 33: 축돌기
35: 요입홈 37: 손잡이
39: 보강돌기
40: 거품증가체 41: 거품증가부
43: 안내돌기 45: 체류돌기
R: Receptacle 10: Body
11: first mounting portion 13: second mounting portion
15: Exhaust hole 17:
20: Filter wire 21: Extraction ball
23: Flange 24: Resistance projection
25: support jaw 26: separating means
27: separating wire 28, 28 ': separating lever
29: mesh network 30: cover
31: injection hole 33: shaft projection
35: Needle groove 37: Handle
39: reinforcing projection
40: foam increase body 41: foam increase section
43: guide projection 45: stay projection

Claims (4)

제1 및 제2장착부를 갖고, 하방 배출공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제1장착부에 안치되고, 음료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복수의 추출공을 갖는 거름망;
상기 본체의 제2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거름망의 개구부를 열고 닫으며, 추출 열수 주입공을 갖는 덮개; 및
상기 거름망에 구비되어 음료 추출 후 음료 카트리지를 거름망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거름망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에 의하여 시소운동이 이루어져 상기 거름망에 수용된 카트리지를 상측방향으로 가압하여 분리시키는 이탈부를 포함하는 분리용 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
A body having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s and having a downward discharge hole;
A receiving portion which is seated in a first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in which the beverage cartridge is accommodated, and a filter having a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A cover coupled 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of the body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filtering net, the cap having an extraction hot water injection hole; And
And a separating unit provided in the sieve and separating the beverage cartridge from the sieve after extracting the beverage,
The separating means
A pressing portion hinged to the drawing net,
And a separating lever including a separating portion for separating the cartridges accommodated in the squeezing net by pressurizing and separating the cartridges accommodated in the squeezing net by seesaw motion by the press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레버는
상기 가압부 내측과 연결되고 하향 절곡되면서 거름망의 내벽에 밀착되며 하측 단부가 거름망의 바닥면까지 연장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부는 상기 연결부의 하측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곡 하여 연결되어 거름망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ing lever
And a connecting part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pressurizing part and bent downwardl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wall of the filtering net and having a lower end extending to a bottom surface of the filtering net,
Wherein the separating portion is bent inward at a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to be close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ing ne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부의 끝단부는 상기 거름망의 바닥면에 형성된 천공핀을 덮지 않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n end of the detachment portion is formed to a position not covering a puncturing pi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iev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과 상기 본체의 제1장착부 사이에는 다수의 통공을 구비한 메시망이 게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추출용 리셉터클.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mesh net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disposed between the filter net and the first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KR1020130138908A 2012-12-10 2013-11-15 Receptacle for beverage KR1015729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908A KR101572952B1 (en) 2013-11-15 2013-11-15 Receptacle for beverage
PCT/KR2013/011323 WO2014092406A1 (en) 2012-12-10 2013-12-09 Universal beverag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908A KR101572952B1 (en) 2013-11-15 2013-11-15 Receptacle for bever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210A KR20150056210A (en) 2015-05-26
KR101572952B1 true KR101572952B1 (en) 2015-11-30

Family

ID=53391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908A KR101572952B1 (en) 2012-12-10 2013-11-15 Receptacle for bever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95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509A (en) * 2019-11-15 2021-05-25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Capsule holder and apparatus of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532B1 (en) * 2012-09-14 2012-12-26 이영식 Capsule for extracting beverage
KR101244376B1 (en) * 2012-06-22 2013-03-18 컨벡스코리아(주) Receptacle for coffee pow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376B1 (en) * 2012-06-22 2013-03-18 컨벡스코리아(주) Receptacle for coffee powder
KR101215532B1 (en) * 2012-09-14 2012-12-26 이영식 Capsule for extracting bever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509A (en) * 2019-11-15 2021-05-25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Capsule holder and apparatus of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KR102259986B1 (en) * 2019-11-15 2021-06-02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Capsule holder and apparatus of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210A (en) 201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956B1 (en) Beverage maker for all cartridge
CN110436060B (en) Capsule, method and device for brewing a beverage
CN109195489B (en) System for preparing an aromatic beverage with an optimal beverage discharg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system
JP6386529B2 (en) Method, apparatus and capsule for extracting beverages
RU2582005C2 (en) Programming adapter for capsules with beverage, capsules with beverage, and set of capsules and programming adapters
FI97858C (en) Device for extracting closed cartridges
DK2778098T3 (en) SYSTEM AND PROCEDURE FOR PREPARING A PRESCRIBED QUANTITY OF BEVERAGE
DK1700548T4 (en) Beverage Production System
EP1322208B1 (en) Coffee maker
US20120207895A1 (en) Single Serving Reusable Brewing Material Holder
KR20070119661A (en) Device and disposable capsule for producing liquid products, in particular beverages
CN105848535B (en) Beverage machine
CN102695442A (en) Coffee maker with multi and single cup modes
JP201750008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ching beverages
KR20130067206A (en)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US20210137302A1 (en) Brewing Material Container for a Beverage Brewer
KR101572952B1 (en) Receptacle for beverage
KR101323361B1 (en)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equipped with universal cap
KR101448275B1 (en) Beverage maker equipped with separator cartridge
KR101244376B1 (en) Receptacle for coffee powder
KR101600563B1 (en)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equiped with receptacle storage
KR101581930B1 (en) Universal beverage maker
CN114727714A (en) Beverage brewing device
KR20150106321A (en)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AU2021221503A1 (en) Apparatus for Preparing Bever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