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586A - 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having sensor of biosignal - Google Patents

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having sensor of bio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586A
KR20150007586A KR1020130081750A KR20130081750A KR20150007586A KR 20150007586 A KR20150007586 A KR 20150007586A KR 1020130081750 A KR1020130081750 A KR 1020130081750A KR 20130081750 A KR20130081750 A KR 20130081750A KR 20150007586 A KR20150007586 A KR 20150007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mart watch
cradle
touch sensor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7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충희
이동수
박인석
이석재
Original Assignee
(주)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필스 filed Critical (주)필스
Priority to KR1020130081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7586A/en
Publication of KR20150007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5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44C5/0015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providing information, e.g. bracelets with calend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21/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by electric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lectric Clock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nd assembly for a smart watch which can monitor a body condition of a user in real time. The band assembly for a smart watch is joined with the smart watch and can include: a sound module which receives electric signals from the smart watch and generates sound; a cradle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sound module and holds the smart watch; a watch band which makes the cradle be worn on a wrist of a user; and a biosignal sensor which transmits electric signals, corresponding to biosignals from the wrist, to the smart watch.

Description

생체신호 감지센서를 갖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HAVING SENSOR OF BIOSIGNAL}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d-

본 발명은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검지할 수 있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watch band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watch band assembly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body condition.

대중화된 스마트 폰은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것이며, 큰 특징은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는 점이다.Popularized smart phone integrates data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schedule management and Internet access to mobile phone functions. Unlike conventional mobile phones, which have been released as finished products and have been used only for a given function, It can be installed, added or deleted as desired.

다만, 다양한 기능의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점차 높은 사양이 요구되고 있고, 스마트 폰의 크기나 무게가 상당해 지고 있다. However, increasingly high specifications are required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al applications, and the size and weight of smartphones are becoming significant.

반면에, 크기나 무게가 증가하는 만큼 이동성이나 편의성은 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경우, 실시간으로 사용하는 것도 어렵고, 메시지나 전화가 왔을 경우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크기가 커진 만큼 회의나 다른 사람의 눈을 피해야 하는 경우 이용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많다. On the other hand, as the size and weight increase, mobility and convenience are deteriorating. For example, in a bag or a pocket, it is difficult to use in real time, and the user may not be able to recognize a message or a phone call. In addition, as the size increases, it is often difficult to use when it is necessary to avoid meeting or eyes of another person.

이러한 연유로 최근에는 소형화되어 손목이나 와이셔츠의 소매 끝과 같이 접근성이 좋은 곳에 착용할 수 있는 시계 형태의 스마트 워치가 출시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smart watches have been introduced that can be worn in places where accessibility is good, such as the end of a wrist or the sleeve of a wrists.

이러한 스마트 워치는 시간 확인부터 간단한 전화나 메시지 수신 확인이나, 음성 재생과 같이 가장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기능은 스마트 워치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거나 스마트 폰과 연동되는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소 떨어진 스마트 폰의 이동성이나 편의성을 보완할 수 있는 기기로서 각광받고 있다. Such a smart watch can provide basic functions such as a simple phone call, confirmation of message reception, and voice reproduction from a time check, and the above functions are provided by smart watch itself or in a manner of being linked with a smart phone. Therefore, recently,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device that can complement the mobility and convenience of a somewhat deteriorated smartphone.

소니의 스마트 워치, 삼성의 갤럭시 워치 등 스마트 워치에 대한 제품의 정보가 지속적으로 제공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스마트 워치와 스마트폰 간의 기능에 관한 것에만 집중되어 있으며, 밴드를 이용한 기능의 확장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는 실정이다.Although the product information on smart watches such as Sony's Smart Watch and Samsung's Galaxy Watch is constantly being provided, it is concentrated mainly on functions between smart watch and smart phone. There is no men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실시간을 검지할 수 있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watch band assembly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body condition in real time.

본 발명은 스마트 워치의 음향 전달 능력을 개선한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watch band assembly that improves the sound transmission capability of a smart watch.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워치가 장착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는, 스마트 워치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을 생성하는 음향 모듈, 음향 모듈과 일체를 이루며, 상기 스마트 워치를 고정하는 크래들(cradle), 크래들을 손목에 결속하는 워치 밴드(watch band), 및 손목으로부터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스마트 워치로 송신하는 생체신호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watch band assembly to which a smart watch is mounted is integrated with a sound module, a sound module, which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from a smart watch to generate sound, A watch band for binding the cradle to the wrist, and a bio-signal detection sensor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io-signal from the wrist to the smart watch.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 워치라 함은, 시청각 수단인 스피커나 디스플레이, 그리고 디스플레이 상에 놓여져 피대상물(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끝이나 터치 펜) 의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기본적인 시계 및 알람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고, 자체적으로 전화 및 메시지 등과 같은 수신 기능을 포함하거나, 음성 및 동영상 재생 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스마트 폰과 연동하여 스마트 폰의 일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시계 형태의 기기를 두루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워치는 자체 배터리의 충전이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아웃풋 단자를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The smart watch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speaker or a display as an audiovisual means and touch sensors placed on the display and capable of sensing touch positions of an object (e.g., a user's fingertip or a touch pen) , A basic clock and alarm function, etc., and may itself include a reception function such as a telephone and a message, or may provid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reproduction. In some cases, it is possible to refer to a clock-shaped device capable of providing some functions of a smartphone in cooperation with a smartphone. In addition, the smart watch can basically include an input / output terminal for charging its own battery 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생체신호는 맥박, 심전도, 체액분비, 혈당, 및 체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생체신호 감지센서로 상기 언급된 생체신호를 검지할 수 있는 센서가 채택될 수 있다. The biological signal may include any one of pulse, electrocardiogram, body fluid secretion, blood glucose, and body temperature, and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above-mentioned biological signal by a biological signal detection sensor may be adopted.

생체신호 감지센서는 크래들의 내면 및 워치 밴드의 내면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에 배치되고, 생체신호 감지센서는 하나만 제공되어도 무관하지만 검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크래들 및 워치 밴드를 따라서 복수의 지점에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io-signal detection sensor is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radl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watch band. The bio-signal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ints along the cradle and the watch band .

생체 신호를 주기적 혹은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스마트 와치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는 스마트 와치 혹은 스마트 와치와 연동되는 스마트 폰 등을 통해서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위급한 상황에서는 사용자를 대신하여 스마트 와치나 연동된 스마트 폰에서 직접 외부로 알릴 수도 있다. By periodically or continuously detecting the biologica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smart watch, the user can check the result through the smart watch or the smart phone linked with the smart watch, and in case of emergency, It can also be advertised directly from a smartwatch or a linked smartphone.

또한, 워치 밴드 외면에는 사용자의 제1 밴드 접촉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사용자의 제2 밴드 접촉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제2 밴드 터치센서가 배치될 수 있는데,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는 각각 피대상물의 제1 밴드 접촉신호 및 제2 밴드 접촉신호를 감지하여 스마트 워치로 제1 및 제2 밴드 접촉신호의 조합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band touch sensor for sensing the first band contact signal of the user and a second band touch sensor for sensing the second band contact signal of the user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tch band.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sense the first band contact signal and the second band contact signal of the object and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and contact signals to the smart watch.

또한, 제1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공되면 무난하나, 바람직하게는 크래들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Also, the first and second band touch sensors may b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ut are preferably disposed with a cradle therebetween.

제1 밴드 접촉신호 및 제2 밴드 접촉신호는 각각 터치 유지, 원 터치, 반복 터치 및 스크롤 동작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할 수 있으며, 여기서, 터치 유지 동작은 일정한 시간 이상으로 피대상물이 제1 밴드 터치센서 상에 접촉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원 터치 동작은 특정 시간 이상으로 피대상물이 제1 밴드 터치센서 상에 접촉되었다 떨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반복 터치 동작은 원 터치 동작이 2회 이상 반복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롤 동작은 화면상에서 피대상물이 특정 구간 이상을 스치고 지나가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The first band contact signal and the second band contact signal may correspond to any one of a touch retention, a one touch, a repeated touch, and a scroll operation. Here, Touch operation may mean that the object touches and falls on the first band touch sensor at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the repetitive touch operation may be performed when the one-touch operation is repeated twice or more . ≪ / RTI > The scroll operation may mean an operation in which an object passes over a specific section on the screen.

스마트 워치는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데, 단순하게는 메시지나 전화 수신, 동영상 재생, 곡 선택 등이 될 수 있지만, 위급 상황 시에는 이를 알리는 신호를 외부로 보내는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The smart watch can implement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n electr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band touch sensor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The smart watch can be simply a message, a telephone call, a moving image reproduction, a song selec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function of sending a signal informing it to the outside.

크래들에는 스마트 워치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크래들에 장착된 스마트 워치는 크래들에 고정된다. 크래들에 스마트 워치를 고정하는 수단으로 억지 끼움 방식이나, 후크(hook) 구조, 클립 구조, 볼트 등이 두루 적용될 수 있다. A smart watch can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cradle, and a smart watch mounted on the cradle is secured to the cradle. As a means for fixing the smart watch to the cradle, an interference fit, a hook structure, a clip structure, a bolt, etc. can be applied.

또한, 크래들에는 음향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데, 음향 모듈은 전화나 메시지 수신 혹은 알람 동작 시 스마트 워치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 음향을 생성한다. 일반적인 스마트 워치라면 기본적인 스피커가 내장되겠지만, 내장된 스피커가 없는 경우에는 음향 모듈이 기본적인 스피커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내장된 스마트 워치 자체의 스피커가 있더라도 여기에서 발생하는 음량이 다소 부족한 경우에 음향 모듈이 이를 보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adle is equipped with a sound module, which receives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mart watch during a call, message reception, or alarm operation to generate sound. A typical SmartWatch will have a built-in speaker, but if you do not have a built-in speaker, the sound module can perform basic speaker functions, and in some cases even if the built-in SmartWatch has its own speaker, The sound module can compensate it.

음향 모듈은, 일 예로, 메인 압전 구동체, 메인 압전 구동체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진동판, 및 메인 압전 구동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위치한 일 고정점에서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진동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점을 중심으로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진동판의 외주가 자유단으로 진동할 수 있다. The acoustic module includes, for example, a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a diaphragm physically coupled to the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and at least one of the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and the diaphragm at a fixed point located inside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and the diaphragm can vibrate at a free end around the fixed point.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진동판은 일체로 결합되어 압전 구동체의 진동이 진동판을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압전 구동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위치한 고정점에서 지지부가 압전 구동체 또는 진동판을 지지한다. 종래의 압전 스피커에서 압전 세라믹의 외주를 고정하여서 그 용도가 제한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압전 구동체 및 진동판을 지지부가 외주가 아닌 중앙부 또는 그 주변에서 지지하고, 오히려 외주가 고정단이 아닌 자유단이 되도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압전 스피커보다 본 발명의 압전 구동체 및 진동판은 저역대 성능을 더 개선할 수 있으며, 기존의 자기회로방식의 스피커와 유사한 특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The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and the diaphragm are integrally coupled to transmit the vibration of the piezoelectric driving body through the diaphragm and the supporting part supports the piezoelectric driving body or the diaphragm at a fixing point located inside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ezoelectric driving bod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ezoelectric ceramics is fixed in the conventional piezoelectric loudspeaker.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ezoelectric driving body and the diaphragm are supported at the central portion or the periphery thereof rather than the outer periphery, . Therefore, the piezoelectric actuator and the diaphrag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the low-band performance and can obtain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ose of the conventional magnetic circuit type speaker,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iezoelectric speaker.

또한, 스마트 워치와 음향 모듈은 각각의 전기 단자를 통해서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크래들에 앞서 언급된 스마트 워치의 인/아웃풋 단자와 전기적으로 직접 접속될 수 있고, 음향 모듈과도 연결되어 있는 전기 단자를 마련하여, 크래들이 스마트 워치와 음향 모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매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mart watch and the sound module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electric terminal, 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terminal of the smart watch mentioned above in the cradle, So that the cradle can serve as an intermediar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mart watch and the acoustic module to each other.

또한, 스마트 워치는 일반적인 핸드폰이나 스마트 폰에서 제공하는 진동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스마트 워치 자체에서 발생하는 진동만으로 사용자가 인지하기 곤란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별도의 진동 모듈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진동 모듈은 크래들과 일체로 제공될 수 있고, 진동 모듈은 스마트 워치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스마트 워치의 진동 기능이 제공되겠지만, 제품의 경량화나 소형화를 위해서 누락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밴드 조립체에서 진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mart watch has a vibration function provided by a general mobile phone or a smart phone, but it may be difficult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 vibration only by the vibration occurring in the smart watch itself.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vibration module may be further provided to compensate for this. The vibration module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cradle, and the vibration module may receive electrical signals from the smart watch to generate vibration. In general, the vibration function of the smart watch will be provided. However, in some cases, the vibration function may be provided in the band assembly, though it may be omitted for weight reduction or miniaturization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는 결속대상과 접촉하여 스마트 워치에서 생성되는 진동을 결속대상에 증폭시켜 전달하는 진동 전달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전달 구조체는 워치 밴드 내면에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돌기는 복수개의 반구 형상이나 라인 형상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ibration transmission structure that vibrates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smart watch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bound, and transmits the amplified vibration to the object to be bound. For example, the vibration transmitting structure may include protrusion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tchband, and the protrusions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shapes, line shapes, and the like.

스마트 워치 및 크래들은 워치 밴드에 의해서 결속대상에 결속될 수 있는데, 결속대상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손목이 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술한 진동 전달 구조체에 직접 접촉되는 손목을 통해서 스마트 워치 또는 크래들에 마련된 진동 모듈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The smart watch and the cradle can be bound to a binding object by a watch band, which can generally be the wrist of a user, and a user can be placed on the smart watch or cradle through the wrist, whic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above-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vibration module can be easily recognized.

본 발명의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는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실시간을 검지할 수 있고, 스마트 워치는 이를 통해서 위급 상황을 사용자 또는 외부에 알릴 수 있다.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a user's body condition in real time using a detec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living body signal, and the smart watch can inform the user or outside of the emergency through the detection.

또한,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를 워치 밴드 상에 배치하여 여기서 수신한 전기적 신호 중 일반적이지 않은 특정 신호를 112 또는 119와 같은 비상 전화로 바로 연결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band touch sensor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may be arranged on the watch band, and a specific signal among the received electric signals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emergency phone such as 112 or 119.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는 스마트 워치가 간단하게 탈/부착되는 크래들 및 워치 밴드에 의해서 용이하게 결속대상에 결속될 수 있다. Further,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bound to the binding object by the cradle and the watch band in which the smart watch is simply detached / attached.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는 전화나 메시지 수신 혹은 알람 동작 시 스마트 워치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음향을 생성하는 음향 모듈을 통해서 다소 부족한 스마트 워치 자체의 스피커 음량을 보완할 수 있다. 일반적인 스마트 워치라면 기본적인 스피커가 내장되겠지만, 내장된 스피커가 없는 경우에는 음향 모듈이 기본적인 스피커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ement the speaker volume of the smart watch itself, which is somewhat lacking, through an acoustic module that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from a smart watch in response to a phone call, message reception or an alarm operation. A typical SmartWatch will have a built-in speaker, but if the built-in speaker is not available, the sound module may perform the basic speaker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는 스마트 워치와 별도의 진동 모듈을 제공하여 스마트 워치 자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의 경량화나 소형화를 위해서 스마트 와치에 진동 기능이 누락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밴드 조립체에서 진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bration module separate from the smart watch,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perceiving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smart watch itself.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and miniaturization of the product, In some cases, the vibration function may be missed, but in this case, the band assembly can provide a vibration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는 진동 전달 구조체를 통해서 사용자가 스마트 워치의 진동 혹은 크래들에 장착된 진동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진동 전달 능력을 개선한다. In addition,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vibration transmitting ability through the vibration transmission structur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vibration of the smart watch or the vibration module mounted on the cradle.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의 음향 모듈은 기존의 압전 스피커가 재생 가능한 주파수를 극복하여 고음과 중저음에서도 재생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coustic module of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reproducible frequency of a conventional piezoelectric speaker, and can be reproduced even in high and middle ba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및 상기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에 장착되는 스마트 워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및 상기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에 장착되는 스마트 워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의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의 워치 밴드 내면에 제공될 수 있는 서로 다른 진동 전달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중 워치 밴드의 결속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및 상기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에 장착되는 스마트 워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는 음향 모듈의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watch ban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mart watch mounted on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watch band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mart watch mounted on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a first band touch sensor and a second band touch sensor of a smart watch band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different vibration transmission structures that can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a watch band of a smart watch ban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a binding process of a watch band among the smart watch band assembli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watch band assembly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mart watch mounted on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und module that can be applied to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For reference, the same numbers in this description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other drawings under these rules, and the contents which are judged to be obvious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repeated can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및 상기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에 장착되는 스마트 워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watch ban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mart watch mounted on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도 1을 참고하면,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100)는 기본적으로 스마트 워치(20)를 사용자의 손목(10)과 같은 결속대상에 결속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며, 스마트 워치(20) 자체의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음량을 보완하거나 스마트 워치(20)에 스피커가 누락된 경우는 음량을 단독으로 제공할 수 있다. 1,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100 is basically provided to bind the smart watch 20 to a binding object such as the user's wrist 10, and is connected to the speaker of the smart watch 20 itself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generated volume or to provide the volume alone when the smart watch 20 is missing a speaker.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 워치라 함은, 시청각 수단인 스피커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기본적인 시계 및 알람 기능 등을 제공하는 기기로서, 자체적으로 전화 및 메시지 등과 같은 수신 기능을 갖출 수 있으며, 음성 및 동영상 재생 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폰과 연동되어 스마트 폰의 일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시계 형태의 기기를 두루 지칭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smart watch refers to a device that provides a basic clock and alarm function, including a speaker or a display, which is an audiovisual means, and can have a receiving function such as a telephone and a message itself, It may also provide the same functionali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fer to a clock-shaped device capable of interfacing with a smartphone and providing some functions of the smartphone.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20)는 자체 배터리의 충전이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아웃풋 단자(22)를 포함한다. The smart watch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put / output terminal 22 for charging its own battery 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상술한 스마트 워치(20)가 고정될 수 있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100)는 음향 모듈(110), 크래들(120), 워치 밴드(130), 및 생체신호 감지센서(180)를 포함한다.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100 to which the smart watch 20 described above can be fixed includes a sound module 110, a cradle 120, a watch band 130, and a bio-signal detection sensor 180.

생체신호는 맥박, 심전도, 체액분비, 혈당, 및 체온 등이 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생체신호 감지센서(180)로는 상기 언급된 생체신호를 검지할 수 있는 센서가 채택될 수 있다. The living body signal may be a pulse, an electrocardiogram, a body fluid, a blood sugar, a body temperature, and the like. In this embodiment,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above-mentioned living body signal can be adopted as the living body signal detecting sensor 180.

생체신호 감지센서는 제1 밴드(132) 및 제2 밴드(136)의 내면에 하나씩 배치된다. 생체 신호를 주기적 혹은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스마트 와치(20)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는 스마트 와치(20) 혹은 스마트 와치와 연동되는 스마트 폰 등을 통해서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위급한 상황에서는 사용자를 대신하여 스마트 와치나 연동된 스마트 폰에서 직접 외부로 알릴 수도 있다. The bio-signal detection sensors are disposed on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and 132 and the second band 136, respectively. By periodically or continuously sensing the bio-signals and transmitting the electrical signals to the smart watch 20, the user can confirm the results through the smart watch 20 or a smart phone interlocked with the smart watch, In case of the situation, it is possible to announce directly to the user from the smart watch or the associated smart phone on behalf of the user.

음향 모듈(110)은 스마트 워치(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마트 워치(20)로부터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서 음향을 생성하며, 스마트 워치(20)의 스피커 음량을 보완할 수 있다. 음향 모듈(110)의 구조에 의해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주파수 재생용 또는 고음재생용으로만 사용될 수 있는 종래의 압전 스피커를 개량한 음향 모듈을 제시하며, 음향 모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추후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The sound module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mart watch 20 to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smart watch 20 to generate sound and supplement the speaker volume of the smart watch 20. [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tructure of the acoustic module 110, the present embodiment suggests an acoustic module in which a conventional piezoelectric speaker can be used only for reproducing a specific frequency or reproducing high-frequency sou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음향 모듈(110)은 스마트 워치(20)가 장착되는 크래들(120)에 내장되어 크래들(120)과 일체로 제공되며, 스마트 워치(20)는 크래들(120)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음향 모듈(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향 모듈 자체에 별도의 전기단자가 마련되어 스마트 워치의 인/아웃풋 단자와 상호 직접 접촉될 수도 있겠으나, 본 실시예에서 크래들(120)에는 음향 모듈(110)과 연결된 별도의 전기 단자(122)가 마련되어 있어 음향 모듈(110)은 상기 전기 단자(122)를 통해서 스마트 워치(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acoustic module 110 is embedded in the cradle 120 in which the smart watch 20 is mounted and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cradle 120. The smart watch 20 is inserted into the cradle 120, As shown in FI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radle 12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electric terminal (not shown) connected to the sound module 110. In this case, And the sound module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mart watch 20 through the electrical terminal 122. [

한편, 스마트 워치(20)를 수용하는 크래들(120)의 그루브(groove) 주변은 탄성 재질의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제공되어 스마트 워치(20)가 장착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스마트 워치(20) 상면 외주를 감쌀 수 있도록 제공된다. 물론, 스마트 워치와 크래들 간의 결합 구조는 여타의 다른 수용, 억지 끼움, 후크 구조, 클립 구조, 볼트 등이 두루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구조에 의해서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 The periphery of the groove of the cradle 120 accommodating the smart watch 2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so that the smart watch 20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mart watch 20, . Of course,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smart watch and the cradle can be applied to other receptions, interference fit, hook structure, clip structure, bolt, etc.,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upling structure.

스마트 워치(20)가 결속되는 크래들(120)에는 워치 밴드(130)가 장착되어 있어 크래들(120)을 손목과 같은 결속대상에 결속시킬 수 있다. The watchband 130 is attached to the cradle 120 to which the smart watch 20 is bound so that the cradle 120 can be bound to a binding object such as a wrist.

워치 밴드(130)는 크래들(120)과 일체로 사출과 같은 공정을 통해서 제공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성품으로 제공되어 크래들에 조립될 수도 있다. 또한, 워치 밴드는 플렉시블한 가죽이나 고무, 우레탄 소재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형상이 대체로 유지되나 손목에 넣을 수 있는 개구를 가진 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워치 밴드(130)는 일반적인 가죽 재질의 제1 및 제2 밴드(132, 136)를 포함하며, 양 단에는 서로 결속될 수 있도록 홀과 상기 홀에 끼워지는 스틱을 포함하는 결속 수단을 갖는다. The watchband 13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cradle 120 through a process such as injection, or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component and assembled to the cradle. Further, the watch band may be provided using a flexible leather, rubber, or urethane material,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ing with an opening that can be put on the wrist, although the shape is generally maintained. In this embodiment, the watch band 130 includes first and second bands 132 and 136 of a general leather material, and both ends thereof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binding means Respectively.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및 상기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에 장착되는 스마트 워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watch band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mart watch mounted on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도 2에 개시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200)는 음향 모듈(210), 크래들(220), 워치 밴드(230), 제1 밴드 터치센서(260), 제2 밴드 터치센서(270), 및 생체신호 감지센서(280)를 포함한다. 음향 모듈(210), 크래들(220), 워치 밴드(230), 및 생체신호 감지센서(280)는 앞선 실시예를 참고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밴드 터치센서(26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27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2 includes a sound module 210, a cradle 220, a watchband 230, a first band touch sensor 260, a second band touch sensor 270, And a biological signal detection sensor 280. The sound module 210, the cradle 220, the watch band 230, and the biological signal detection sensor 280 may b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band touch sensor 260 and the second band The touch sensor 270 will be mainly described.

제1 밴드(232) 및 제2 밴드(236)의 외면에는 각각 사용자의 제1 밴드 접촉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제1 밴드 터치센서(260) 및 사용자의 제2 밴드 접촉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제2 밴드 터치센서(270)가 배치될 수 있는데, 제1 밴드 터치센서(26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270)는 각각 피대상물의 제1 밴드 접촉신호 및 제2 밴드 접촉신호를 감지하여 스마트 워치(20)로 제1 및 제2 밴드 접촉신호의 조합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The first band 232 and the second band 236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s thereof with a first band touch sensor 260 for sensing a user's first band contact signal and a second band touch sensor 260 for sensing a user's second band contact signal, The first band touch sensor 260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270 sense the first band contact signal and the second band contact signal of the object and output the first band contact signal and the second band contact signal,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and contact signals to the first and second band contact signals.

또한, 제1 및 제2 밴드 터치센서(260, 27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공되면 무난하나, 바람직하게는 크래들(22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band touch sensors 260 and 270 may b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ut are preferably disposed with the cradle 220 therebetween.

제1 밴드 접촉신호 및 제2 밴드 접촉신호는 각각 터치 유지, 원 터치, 반복 터치 및 스크롤 동작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The first band contact signal and the second band contact signal may correspond to any one of a touch retention, a one touch, a repeated touch, and a scroll operation.

스마트 워치(20)는 제1 밴드 터치센서(26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270)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데, 단순하게는 메시지나 전화 수신, 동영상 재생, 곡 선택 등이 될 수 있지만, 위급 상황 시에는 이를 알리는 신호를 외부로 보내는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The smart watch 20 may implement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al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band touch sensor 260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270. The smart watch 20 may simply include a message, , But in case of an emergency, it may be possible to implement a function of sending a signal informing it to the outside.

예를 들어, 상기 제1 밴드 터치센서(26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270)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는 제1 밴드 터치센서의 터치 유지, 원 터치, 반복 터치, 및 스크롤 동작 중 어느 하나 및 제2 밴드 터치센서의 터치 유지, 원 터치, 반복 터치, 및 스크롤 동작 중 어느 하나의 조합에 대응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band touch sensor 260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270 may be any one of the touch retention, the one touch, the repeated touch, and the scroll operation of the first band touch sensor, The touch of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the one touch, the repeated touch, and the scroll operation.

특히,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는 제1 밴드 터치센서의 터치 유지 및 제2 밴드 터치센서의 스크롤 동작의 조합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일반적인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기가 매우 수월해진다. In particular,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band touch sensor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can correspond to a combination of the touch operation of the first band touch sensor and the scroll operation of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thereby performing a general drag operation It becomes very easy to do.

또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밴드 터치센서(26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270)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는 제1 밴드 터치센서(26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270)의 터치 유지의 조합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조합은 일반적이지 않은 조합으로 112 또는 119와 같은 비상 전화로 바로 연결되도록 스마트 워치(20)가 구동할 수 있다. 3, the electrical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band touch sensor 260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270 are transmitted to the first band touch sensor 260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270, The touch can be handled in combination. Such a combination may be driven by smartwatch 20 to connect directly to an emergency telephone, such as 112 or 119, in a non-nontrivial combination.

참고로, 앞서 언급되는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는 워치 밴드 내측으로 제공되는 연결선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스마트 와치의 제어모듈과 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여기서,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제2 밴드 터치센서는 크래들 내의 제어모듈과 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어모듈이라 함은, 밴드 조립체에 마련된 다른 전기적 구성요소(예를 들면, 밴드 터치센서, 음향 모듈, 진동 모듈 등)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의미할 수 있고, 제어모듈은 스마트 와치와 연동되는 스마트 폰과도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은 크래들의 전기 단자를 통해서 스마트 와치의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얹어지는 터치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band touch sensor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of the smart watch through a connection line provided inside the watch band. Here, the first band touch sensor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The two-band touch sensor may be coupled to a control module in the cradle, wherein the control module is a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other electrical components (e.g., band touch sensor, acoustic module, vibration module, etc.) Device, and the control module can be interlocked with a smartphone interlocked with the SmartWatch.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of the SmartWatch through the electrical terminal of the cradle or a touch sensor mounted on the display.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의 워치 밴드 내면에 제공될 수 있는 서로 다른 진동 전달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different vibration transmission structures that can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a watch band of a smart watch ban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에는 워치 밴드(130, 130´)의 내면에 제공되는 서로 다른 진동 전달 구조체(140, 140´)가 도시된다. 4 and 5 show different vibration transmitting structures 140 and 140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watch bands 130 and 130'.

스마트 워치(20)에서 전화나 메시가 수신되면 진동하여 수신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진동 전달 구조체(140, 140´)는 스마트 워치(2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보다 강하게 사용자의 손목에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돌기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When the smart watch 20 receives a call or a message, it can vibrate to notify the user of the reception. The vibration transmitting structures 140 and 140 'provide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smart watch 20 more strongly to the wrist of the user and can be provided in a protruding shape.

먼저, 도 4을 참조하면, 진동 전달 구조체(140)는 워치 밴드(130)의 내면과 크래들(120)의 내면에 복수개의 반구 형상의 돌기로 제공된다. 도 4의 진동 전달 구조체(140)는 워치 밴드(130)와 크래들(120) 내면 양 측에 모두 제공되나, 경우에 따라서, 어느 일 측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4, the vibration transmitting structure 1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protrusion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tchband 13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radle 120. As shown in FIG. The vibration transmission structure 140 of FIG. 4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watchband 130 and the cradle 120, but may be provided on either side, as the case may be.

또한, 도 5에서 진동 전달 구조체(140´)는 워치 밴드(130´) 및 크래들(120´) 내면에 라인 형상의 돌기로 제공된다. 라인 형상의 돌기는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역시 라인 형상의 돌기는 워치 밴드나 크래들 어느 일 측에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FIG. 5, the vibration transmitting structure 140 'is provided as a line-shaped proj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tchband 130' and the cradle 120 '. A plurality of line-shaped projection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projection in a line shape is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watch band or the cradle.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중 워치 밴드의 결속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a binding process of a watch band among the smart watch band assembli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는 음향 모듈, 크래들(320), 워치 밴드(330), 제1 밴드 터치센서(360), 제2 밴드 터치센서(370), 및 생체신호 감지센서(380)를 포함한다. 음향 모듈, 크래들(320), 워치 밴드(330), 제1 밴드 터치센서(360), 제2 밴드 터치센서(370), 및 생체신호 감지센서(380)는 앞선 실시예를 참고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워치 밴드의 결속 과정을 주로 설명한다. 6 and 7,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includes a sound module, a cradle 320, a watch band 330, a first band touch sensor 360, a second band touch sensor 370, And a sensing sensor 380. The sound module, the cradle 320, the watch band 330, the first band touch sensor 360,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370, and the bio-signal detection sensor 380 may refer to the above- In the embodiment, the binding process of the watch band will be mainly described.

생체신호 감지센서(380)는 크래들(320)의 내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직접 접촉할 수 있고, 분비되는 땀을 통해서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하거나, 여타의 다른 생체신호들을 감지해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의 감지대상은 제한적이지 않다. The biological signal detection sensor 38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radle 320 so as to directly contact the wrist of the user and sense the user's condition through secreted perspiration or detect other biological signal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to be sensed by the sensor is not limited.

앞선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시계와 유사하게 워치 밴드의 양 단이 결속될 수 있도록 홀과 상기 홀에 끼워지는 스틱을 포함하는 결속 수단을 제시하였다. In the foregoing embodiment, a binding means including a hole and a stick that fits in the hole is provided so that both ends of the watch band can be bound together, similar to a general clock.

본 실시예의 워치 밴드(330) 역시 제1 및 제2 밴드(332, 336)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밴드(332, 336)의 일 단은 각각 크래들(320)의 대향하는 양 단부에 결속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밴드(332, 336) 각각의 타단에는 USB 단자(333) 및 USB 단자(333)가 결합되는 결합부(337)가 배치된다. The watch band 330 of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first and second bands 332 and 336 and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bands 332 and 336 are connected to opposite ends of the cradle 320, Lt; / RTI >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ands 332 and 336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337 to which the USB terminal 333 and the USB terminal 333 are coupled.

결합부(337)는 USB 단자(333)가 끼워져 결합되는 수용부(338)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격한 운동을 할 경우, USB 단자(333)가 수용부(338)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훅 구조물(339)을 더 포함한다. The engaging portion 337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338 to which the USB terminal 333 is fitted so that the USB terminal 333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338 (Not show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및 상기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에 장착되는 스마트 워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watch band assembly 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mart watch mounted on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400)는 음향 모듈(410), 크래들(420), 워치 밴드(430), 진동 모듈(450), 및 제1 밴드 터치센서(46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470)를 포함한다. 8,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ound module 410, a cradle 420, a watch band 430, a vibration module 450, and a first band touch sensor 460 and a second band touch sensor 470.

본 실시예의 음향 모듈(410), 크래들(420), 워치 밴드(430), 제1 밴드 터치센서(460), 및 제2 밴드 터치센서(470)에 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를 참고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에 개시되지 않는 진동 모듈(45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The sound module 410, the cradle 420, the watch band 430, the first band touch sensor 460,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47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 embodiments, In this embodiment, the vibration module 450, which is not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스마트 워치(20)는 일반적으로 핸드폰이나 스마트 폰에서 되는 것처럼 진동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스마트 워치(20) 자체에서 발생하는 진동만으로 사용자가 인지하기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별도의 진동 모듈(450)을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400)에 더 제공하며, 진동 모듈(450)은 크래들(420)과 일체로 제공된다. 진동 모듈(450)은 스마트 워치(2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The smart watch 20 generally has a vibration function as it is in a mobile phone or a smartphone, but it may be difficult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 vibration only by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smart watch 20 itself.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eparate vibration module 450 is further provided in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400 to complement the vibration module 450, and the vibration module 450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cradle 420. Vibration module 450 may receive electrical signals from smartwatch 20 to generate vibration.

스마트 워치(20)는 크래들(420)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진동 모듈(4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모듈 자체에 별도의 전기단자가 마련되어 스마트 워치의 인/아웃풋 단자와 상호 직접 접촉될 수도 있고, 크래들에 진동 모듈과 연결된 별도의 전기 단자를 마련하여 상기 전기 단자와 스마트 워치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스마트 워치와 진동 모듈 간의 전기적 접속 방법은 제한적이지 않으며, 단자에 의한 직접 연결방법 외에도 무선 방식도 배제하지는 않는다. The smart watch 20 may be coupled to the vibration module 450 while being coupled to the cradle 420. Specifically, the vibration module itself may have a separate electric terminal to directly contact the input / output terminal of the smart watch, or a separate electric terminal connected to the vibration module may be provided on the cradl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ic terminal and the smart watch. It can also be connected. The electrical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smart watch and the vibration module is not limited, and the wireless connection method is not excluded in addition to the direct connection method using the terminal.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도 진동 모듈(450)에서 생성되는 진동을 결속대상에 증폭시켜 전달할 수 있는 진동 전달 구조체를 추가할 수도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add a vibration transmitting structure capable of amplifying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vibration module 450 to a binding object and transmitting the same.

도 9는 본 발명의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에 적용될 수 있는 음향 모듈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und module that can be applied to the smart watch band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크래들(520)에 장착되는 음향 모듈(510)은 전화나 메시지 수신 혹은 알람 동작 시 스마트 워치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 음향을 생성한다. 따라서, 스마트 워치 자체의 스피커에서 발생하는 부족한 음량을 보충할 수 있다. The sound module 510 mounted on the cradle 520 generates sound by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a smart watch when receiving a telephone call, message reception, or an alarm oper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insufficient volume generated in the speaker of the smart watch itself.

음향 모듈(510)은 메인 압전 구동체(511), 진동판(512), 및 지지부(514)를 포함하며, 고정점(513)을 중심으로 메인 압전 구동체(511) 및 진동판(512)의 외주가 자유단으로 진동할 수 있다. 도 9에서 점선으로 표시되는 하우징(515)은 음향 모듈(510)의 하우징(515)이며, 하우징(515)은 크래들(520)에 설치될 수 있다. 자명한 사항이지만, 메인 압전 구동체나 진동판은 음향 모듈의 자체의 전기 단자를 통해서 스마트 워치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거나, 음향 모듈과 연결되되 크래들에 설치되는 별도의 전기 단자를 통해서 스마트 워치의 제어모듈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acoustic module 510 includes a main piezoelectric drive body 511, a diaphragm 512 and a support portion 514. The acoustic module 510 includes the main piezoelectric drive body 511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aphragm 512, Can oscillate with free ends. The housing 515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9 may be a housing 515 of the sound module 510 and the housing 515 may be installed in the cradle 520. Obviously, the main piezoelectric actuator or diaphragm receives electric signals from the smart watch through its own electrical terminal of the acoustic module, or from a control module of the smart watch through a separate electrical terminal, which is connected to the acoustic module, It is possible to receive an electric signal.

메인 압전 구동체(511) 및 진동판(512)은 일체로 결합되어 압전 구동체(511)의 진동이 진동판(512)을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압전 구동체(511)의 외주보다 내측에 위치한 고정점(513)에서 지지부(514)가 압전 구동체(511) 또는 진동판(512)을 지지한다. 종래의 압전 스피커에서 압전 세라믹의 외주를 고정하여서 그 용도가 제한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압전 구동체(511) 및 진동판(512)을 지지부(514)가 외주가 아닌 중앙부 또는 그 주변에서 지지하고, 오히려 외주가 고정단이 아닌 자유단이 되도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압전 스피커보다 본 발명의 압전 구동체(511) 및 진동판(512)은 저역대 성능을 더 개선할 수 있으며, 기존의 자기회로방식의 스피커와 유사한 특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The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511 and the diaphragm 512 are integrally coupled and the vibration of the piezoelectric driving body 511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diaphragm 512. The vibration of the piezoelectric driving body 511 is fixed At the point 513, the supporting portion 514 supports the piezoelectric driving body 511 or the diaphragm 512. The piezoelectric actuator 511 and the diaphragm 512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514 not at the outer periphery but at the periphery thereof or at the periphery thereof, So that the outer periphery can be a free end rather than a fixed end. Therefore, the piezoelectric actuator 511 and the diaphragm 512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the low-band performance and can acquire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ose of the conventional magnetic speaker system.

메인 압전 구동체(511)로는 PbO, ZrO2, TiO2를 배합한 PZT계열 또는 PMN-PT(압전단결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압전 효과를 이용한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메인 압전 구동체(511)는 평판 형상 또는 기타 플렉시블한 입체 형상으로 제공될 수가 있다. As the main piezoelectric actuator 511, PZT series or PMN-PT (piezoelectric single crystal) in which PbO, ZrO 2 , and TiO 2 are mixed may be used, and various materials using piezoelectric effects may also be used. The main piezoelectric actuator 511 may be provided in a flat plate shape or other flexible three-dimensional shape.

메인 압전 구동체(511)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진동판(512)은 메인 압전 구동체(511)의 진동을 전달 받아 공기 중으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진동판(512)은 단순한 판 형상 외에도 원추형 또는 나팔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메인 압전 구동체(511)와 면접하는 것 외에도 점이나 선으로 접촉하는 것도 물리적 결합으로 이해할 수 있다. 진동판(512)은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 종이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인 경우 황동, 알루미늄, 스테인리스스틸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diaphragm 512 physically coupled to the main piezoelectric actuator 511 can transmit energy to the air by receiving the vibration of the main piezoelectric actuator 511. The diaphragm 512 may be formed in a conical shape or a trumpet shape in addition to a simple plate shape. In addition to being in contact with the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511, The diaphragm 512 may be formed using a metal plate, a synthetic resin, paper, or the like, and in the case of metal, brass, aluminum, stainless steel, or an alloy thereof may be used.

지지부(514)는 고정점(513)을 통해서 메인 압전 구동체(511) 및 진동판(512)과 연결된다. 따라서 메인 압전 구동체(511) 및 진동판(512)은 지지부(514)에 의해서 고정되며, 음향 전기신호에 대응하여 고정점(513)을 중심으로 진동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점(513)은 메인 압전 구동체(511)의 중앙부, 즉 외주가 아닌 그 내측의 일 지점에 정의될 수 있다. 음향 전기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지지부(514)에 대해서 고정점(513)은 정지하며, 메인 압전 구동체(511) 및 진동판(512)의 외주 부분은 자유단으로서 위아래로 진동할 수 있다. 메인 압전 구동체(511)의 진동은 진동판(512)으로 전달되어 소리 에너지를 공기로 전달한다. The supporting portion 514 is connected to the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511 and the diaphragm 512 through the fixing point 513. [ The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511 and the vibration plate 512 are fixed by the supporting portion 514 and can oscillate around the fixed point 513 in response to the acoustic electrical signal. Here, the fixed point 513 may be defined at the center of the main piezoelectric actuator 511, that is, at one point inside the outer periphery thereof. As the acoustic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he fixing point 513 stops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portion 514, a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511 and the diaphragm 512 can vibrate up and down as free ends. The vibration of the main piezoelectric drive body 511 is transmitted to the diaphragm 512 to transmit sound energy to the ai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20:스마트 워치 22:인/아웃풋 단자
100: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110:음향 모듈
130:워치 밴드 132:제2 밴드
136:제2 밴드 140:진동 전달 구조체
450:진동 모듈 511:메인 압전 구동체
512:진동판 513:고정점
514:지지부 520:크래들
20: Smart Watch 22: In / Out
100: Smart watch band assembly 110: Acoustic module
130: watch band 132: second band
136: second band 140: vibration transmission structure
450: Vibration module 511: main piezoelectric actuator
512: diaphragm 513: fixed point
514: Support part 520: Cradle

Claims (11)

스마트 워치가 장착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워치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을 생성하는 음향 모듈;
상기 음향 모듈과 일체를 이루며, 상기 스마트 워치를 고정하는 크래들(cradle);
상기 크래들을 손목에 결속하는 워치 밴드(watch band); 및
손목으로부터 상기 생체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스마트 워치로 송신하는 생체신호 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A smart watch band assembly to which a smart watch is attached,
An acoustic module for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smart watch and generating sound;
A cradle integrated with the sound module, the cradle fixing the smart watch;
A watch band for binding the cradle to the wrist; And
A biological signal detection sensor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iological signal from the wrist to the smart watch;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는 맥박, 심전도, 체액분비, 혈당, 및 체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o-signal includes one of pulse, electrocardiogram, body fluid, blood sugar, and body tempera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감지센서는 상기 크래들의 내면 및 상기 워치 밴드의 내면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o-signal detection sensor is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radl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watch b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감지센서는 상기 크래들 및 상기 워치 밴드를 따라서 하나 또는 복수의 지점에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o-signal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at one or more points along the cradle and the watch b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치 밴드 외면에 사용자의 제1 밴드 접촉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사용자의 제2 밴드 접촉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제2 밴드 터치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상기 제2 밴드 터치센서는 각각 피대상물의 상기 제1 밴드 접촉신호 및 상기 제2 밴드 접촉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스마트 워치로 상기 제1 및 제2 밴드 접촉신호의 조합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band touch sensor for sensing a first band contact signal of the us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tchband and a second band touch sensor for sensing a second band contact signal of the user,
Wherein the first band touch sensor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detect the first band contact signal and the second band contact signal of the object and output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and contact signals to the smart watch And transmits a corresponding electrical sig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 터치센서 및 상기 제2 밴드 터치센서는 상기 크래들을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band touch sensor and the second band touch sensor are disposed with the cradle therebetwee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 접촉신호 및 상기 제2 밴드 접촉신호는 각각 터치 유지, 원 터치, 반복 터치 및 스크롤 동작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band contact signal and the second band contact signal correspond to one of a touch retention, a one touch, a repeated touch, and a scroll operation,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모듈은,
메인 압전 구동체;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진동판; 및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의 외주보다 내측에 위치한 일 고정점에서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상기 진동판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점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압전 구동체 및 상기 진동판의 외주가 자유단으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und module includes:
A main piezoelectric actuator;
A diaphragm physically coupled to the main piezoelectric actuator; And
A supporting part for supporting at least one of the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and the diaphragm at a fixed point located inside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Where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piezoelectric driving body and the diaphragm are free to vibrate around the fixed p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과 일체를 이루며,
상기 스마트 워치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radle,
Further comprising a vibration module for receiving electrical signals from the smart watch to generate vibration. ≪ RTI ID = 0.0 > 11.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대상과 접촉하여 상기 스마트 워치에서 생성되는 진동을 상기 결속대상에 증폭시켜 전달하는 진동 전달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vibration transmitting structure for contacting the binding object and amplifying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smart watch to the binding objec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 구조체는 상기 워치 밴드 및 상기 크래들 내면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에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vibration transmitting structure includes protrusion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watchba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radle.
KR1020130081750A 2013-07-11 2013-07-11 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having sensor of biosignal KR201500075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750A KR20150007586A (en) 2013-07-11 2013-07-11 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having sensor of bio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750A KR20150007586A (en) 2013-07-11 2013-07-11 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having sensor of biosig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586A true KR20150007586A (en) 2015-01-21

Family

ID=52570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750A KR20150007586A (en) 2013-07-11 2013-07-11 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having sensor of bio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7586A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370A1 (en) * 2015-05-14 2016-11-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Wearable quantum dot display device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20160134524A (en) 2015-05-14 2016-11-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Wearable quantum dot display device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08549206A (en) * 2018-07-12 2018-09-18 深圳傲智天下信息科技有限公司 A kind of band has the smartwatch of voice interactive function earphone
KR20200041537A (en) * 2018-10-12 2020-04-22 주식회사 아모센스 Apparatus for measuring ecg using smart watch
KR20200042710A (en) 2018-10-16 2020-04-24 (주)파트론 Wearable band type apparatus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KR20200122832A (en) * 2019-04-19 2020-10-28 (주)파트론 A cradle
US10971938B2 (en) 2017-01-26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iosens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30037762A (en) 2021-09-09 2023-03-17 (주)파트론 Apparatus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100835A (en) 2021-12-28 2023-07-06 주식회사 씨에이네트웍스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wer and data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WO2024063399A1 (en) * 2022-09-21 2024-03-28 장광현 Smart deep breathing meditation devic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2370A1 (en) * 2015-05-14 2016-11-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Wearable quantum dot display device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20160134524A (en) 2015-05-14 2016-11-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Wearable quantum dot display device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0971938B2 (en) 2017-01-26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iosens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8549206A (en) * 2018-07-12 2018-09-18 深圳傲智天下信息科技有限公司 A kind of band has the smartwatch of voice interactive function earphone
KR20200041537A (en) * 2018-10-12 2020-04-22 주식회사 아모센스 Apparatus for measuring ecg using smart watch
KR20200042710A (en) 2018-10-16 2020-04-24 (주)파트론 Wearable band type apparatus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KR20200122832A (en) * 2019-04-19 2020-10-28 (주)파트론 A cradle
KR20230037762A (en) 2021-09-09 2023-03-17 (주)파트론 Apparatus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100835A (en) 2021-12-28 2023-07-06 주식회사 씨에이네트웍스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wer and data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WO2024063399A1 (en) * 2022-09-21 2024-03-28 장광현 Smart deep breathing medit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7586A (en) 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having sensor of biosignal
KR101544168B1 (en) Smart watch having sensor of biosignal
US10754437B2 (en) Wrist-wor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therefor
WO2015060230A1 (en) Bracelet-type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and bracelet-type notification device
JP6403397B2 (en) Applic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earphone device and application control system
KR102497528B1 (en) Watch type terminal
JP6298641B2 (en) Notification device
JP6315434B2 (en) Transmitter / receiver
US9107014B2 (en) Multifunctional earphone
KR101536229B1 (en) Smart watch having band touch sensor
JP2006333058A (en) Bone conduction mobile phone
KR20150111198A (en) Mobile terminal
EP2894875A1 (en) Headphone
JP2015531188A (en)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KR101637368B1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US20210211811A1 (en) Multi-part eardrum-contact hearing aid placed deep in the ear canal
KR20170047771A (en) Wearable terminal
US7353043B2 (en) Mobile communication peripheral device
US7266392B2 (en) Reconfigurable peripheral device for use with wireless apparatus
KR20150007583A (en) Smart watch including audio module
JP6305025B2 (en) Reception method and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KR20150007588A (en) 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with sound film
KR20150007584A (en) 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having band touch sensor
KR20150007591A (en) Smart watch including piezo ceramic element
KR20150007590A (en) Band assembly for smart watch with piezo ceramic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