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8026A - Method for setting alarm in the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tting alarm in the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8026A
KR20140058026A KR1020120124498A KR20120124498A KR20140058026A KR 20140058026 A KR20140058026 A KR 20140058026A KR 1020120124498 A KR1020120124498 A KR 1020120124498A KR 20120124498 A KR20120124498 A KR 20120124498A KR 20140058026 A KR20140058026 A KR 20140058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portable terminal
time
vibration mode
ss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4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55843B1 (en
Inventor
조유림
Original Assignee
조유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유림 filed Critical 조유림
Priority to KR1020120124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843B1/en
Publication of KR20140058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0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8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setting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as follows: an application with an automatic vibration mode alarm function is installed; a time for executing the automatic vibration mode alarm function in alarm situations corresponding to cal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schedule management, an alarm, and a morning call is preset; an alarm situation, where a bell sound of the terminal is actuated, is verified; when the alarm situation is verified, it is checked whether the current time matches the preset time; when the time matches the preset time, the portable terminal performs an alarm function in a vibration mode. Thus, user convenience is enhanced by alleviating the inconvenience caused by forcing a user to preset the alarm function whenever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hanged.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of the portable terminal, which is set to a bell mode, and an SSID, which is set to current time, are used to automatically switch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vibration mode when the preset time arrives.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설정 방법{Method for setting alarm in the mobile phon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tting an alarm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알람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에 설정한 시간정보 또는 접속된 와이파이의 종류에 따른 알람기능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sett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larm sett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convenience to a user by performing an alarm function according to time information set in a portable terminal or a type of a connected WiFi.

정보 통신 기기의 보급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휴대폰 및 PDA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많아지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또한 다양해졌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특정시간이 되면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기 설정된 소리 및 진동과 같은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화 수신, 메시지 수신, 일정 관리, 알람(alarm) 및 모닝콜(morning call) 기능도 이미 구비하고 있다.With the sprea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many people carry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As the number of users using the portable terminal increases,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have also diversified. Such a portable terminal has a function of receiving a phone call, receiving a message, scheduling, an alarm, and a morning call function for generating a signal such as a preset sound and vibration that a user can recognize at a predetermined time preset by a user .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벨소리 또는 메시지 수신음이 특정 공공 장소에서는 소음 공해를 일으키고, 이 소음 공해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를 벨 모드가 아닌 진동이나 램프 모드로 설정해 두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진동 모드로 설정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으면, 통화 착신 여부 및 알람 등을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진동을 통해 알 수 있다.In many cases, a ringing tone or a message reception tone of the portable terminal causes noise pollution in a specific public place,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set to a vibration mode or a lamp mode instead of a bell mode due to the noise pollution. If the portable terminal set in the vibration mode is carri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or not a call is received, and an alarm through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이러한 경우 특히 사무실, 강의실, 지하철, 열차 내부 등의 공공장소에서 진동모드로 전환하지 않아 벨소리가 발음되어 주변인에게 피해를 주거나, 상기와 같은 장소에서 사용자가 직접 메뉴 설정을 통해 수동으로 진동 모드나 램프 모드로 전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such a case, the ring tone is pronounced and the surrounding person is harmed by not switching to the vibration mode in a public place such as an office, a lecture room, a subway, a train, etc., or the user manually sets a vibration mode or a lamp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switch to the mode.

상기와 같은 알람설정 및 출력과정에 있어서, 사용자 개인의 특성에 맞게 알람이 울리는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면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larm setting and output process as described above, if the alarming method can be set according to the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 more convenient function for the user can be provided.

본 발명은 상기한 사안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벨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SSID 및 현재시간이 설정된 SSID 및 시간에 해당하면 자동으로 진동 모드로 알람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method of automatically performing an alarm function in a vibration mode when the SSID of the portable terminal set in the bell mode and the SSID and time set in the current time are set .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설정 방법에 있어서, 자동 진동모드 알람기능을 갖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전화수신, 메시지수신, 일정관리, 알람 및 모닝콜에 해당하는 알림상황에 대해 상기 자동 진동모드 알람기능을 수행할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단말기의 벨소리가 울릴 알림 상황인지 확인하는 단계; 이후 상기 단말기의 벨소리가 울릴 알림 상황이면 현재시간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시간에 해당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이후 상기 설정된 시간에 해당되면 휴대용 단말기가 진동 모드로 알람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etting an alarm of a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installing an application having an automatic vibration mode alarm function; Setting a time to perform the automatic vibration mode alarm function for a notification state corresponding to a call reception, a message reception, a schedule management, an alarm, and a morning call in the application;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terminal is ringing a ringing tone;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time corresponds to a time set in the application if the terminal is in a notification state that a ringing tone is to be sounded; Performing an alarm function in a vibration mode when the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And a control unit.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설정 방법에 있어서, 자동 진동모드 알람기능을 갖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전화수신, 메시지수신, 일정관리, 알람 및 모닝콜에 해당하는 알림상황에 대해 상기 자동 진동모드 알람기능을 수행할 SSID 및 SSID에 따른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단말기의 벨소리가 울릴 알림 상황인지 확인하는 단계; 이후 상기 단말기의 벨소리가 울릴 알림 상황이면 현재시간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SSID에 해당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이후 상기 설정된 SSID에 해당되면 현재시간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SSID에 따른 시간에 해당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이후 상기 설정된 시간에 해당되면 휴대용 단말기가 진동 모드로 알람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etting an alarm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installing an application having an automatic vibration mode alarm function; Setting a time according to the SSID and the SSID to perform the automatic vibration mode alarm function for a notification state corresponding to a call reception, a message reception, a schedule management, an alarm, and a morning call to the application;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terminal is ringing a ringing tone;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time corresponds to the SSID set in the application if the terminal is in a notification state that a ring tone is to be sounded;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time corresponds to a time according to the SSID set in the application, if the SSID is the set SSID; Performing an alarm function in a vibration mode when the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And a control unit.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설정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in the alarm sett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사전에 설정해 놓은 장소나 시간대에 예기치 못하게 휴대용 단말기에서 알람이 울리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larm from being unexpectedly made on the portabl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place or time zone.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현위치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시간별로 사용자가 알람기능 설정하는 불편함을 덜어 편의를 증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setting the alarm function for each time when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hanged, thereby enhancing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설정된 시간별 알람기능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설정된 SSID 및 시간별 알람기능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edetermined time-based alarm function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SSID and a time-based alarm function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urther,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단말기를 휴대용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공공장소에서 발음되는 모든 종류의 단말기에 적용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terminal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applicable to all kinds of terminals pronounced in public places.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는 발음 기능을 갖는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3G 단말기 예를 들어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및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Therefore,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having a pronunciation function, and preferab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Such as an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terminal, a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erminal,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 GPRS) terminal,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It will be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and multimedia devices and applications thereof.

여기서 상기 "메시지" 또는 "메일"은 SMS(short message service), EMS(e-mail service), MMS(multimedia mail service)등과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모드 메시지 전송 기능을 포함하는 용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메시지를 SMS 메시지라 칭하고, 메일은 이메일이라 칭하기로 한다. The term " message "or" mail "means a term including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n e-mail service (EMS), a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and a mode message transmission function capable of transmitting a text messag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message is referred to as an SMS message, and the mail is referred to as an e-mail.

또한, "알람기능"은 전화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이메일 수신음, 일정 관리, 알람(alarm) 및 모닝콜(morning call) 등 발음이나 진동, 램프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칭하기로 한다.The "alarm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that allows a user to recognize a user through pronunciation, vibration, or lamp such as a telephone reception tone, a message reception tone, an e-mail reception tone, a schedule management, an alarm, and a morning call.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설정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100)로 상기 단말기(100)는 통화송수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제어부(160), 오디오처리부(170), 메모리(150) 및 근거리통신부(180)로 구성되어 있다. 1, a method for setting an alarm of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100. The terminal 100 includes a cal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display unit 130, a controller 160, An audio processing unit 170, a memory 150, 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80.

상기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알람을 설정하고, 설정된 알람 시간에 상기 단말기(100)의 진동이나 벨 등을 이용하여 알람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알람기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Sets an alarm using the terminal 100, and performs an alarm function using the vibration or bell of the terminal 100 at a predetermined alarm time. Accordingly, the user of the terminal 100 can be provided with an alarm function from the terminal 100.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입력부(120)는 입력정보를 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알람기능 설정 및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정보는 알람형태(벨, 진동, 벨&진동, 벨 종류)를 포함한다.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keys and function keys for receiving input information and setting various functions. The function key may include a direction key, a side key, and an accelerator key set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Also, the input unit 120 transmits a key signal to the controller 160 in connection with user setting and alarm function setting and control. Here, the input information includes an alarm type (bell, vibration, bell & vibration, bell type).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알람기능의 설정을 위한 메뉴 화면 및 알람 설정 화면 등을 제공한다. 상기 알람 설정 화면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알람 설정을 위한 화면으로서 년, 월, 시간을 지정할 수 있는 화면과, 알람반복 횟수 등을 지정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알람 설정 화면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기타 기능을 연계하여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가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하며, MP3 재생 기능이 가능한 단말기인 경우, 상기 알람 설정 화면은 상기 알람 설정에 따른 알람 시간에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활성화 및 상기 MP3 활성화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 사용자는 상기 알람 설정 화면을 통하여, 기상하고자 하는 알람 시간과,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를 선택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30 provides a menu screen and an alarm setting screen for setting the alarm function. The alarm setting screen is a screen for setting the alarm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provides a screen for designating the year, month, and time, and a screen for designating the number of times the alarm is repeated. The alarm setting screen may provide a screen capable of providing an alarm in conjunction with other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capable of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and is capable of MP3 playback, the alarm setting screen displays the activation of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the MP3 activation at the alarm time according to the alarm sett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creen which can be selected. Accordingly,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selectively operate various devices capable of providing an alarm time and an alarm through the alarm setting screen.

한편, 상기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하기로 한다)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30)는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표시부(130)는 화상 통화 목록을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when the LCD is formed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30 May be included in the input means. The display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the video call list in various forms.

상기 메모리(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화상 통화 시 생성되는 영상을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며, 화상 통화 중 송수신되는 신호를 지정된 크기만큼 버퍼링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상기 메모리(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50 temporarily stores an image generated during a video call, semi-permanently stores an application program required for a func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uffers a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during a video call to a predetermined size I am responsible. The memory 150 may include a program area and a data area.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용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휴대용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알람 재생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The program area includes an operating system (OS) for boot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an application program necessary for reproducing multimedia content, and other options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such as a camera function, a sound playback function, An application program necessary for a video playback function, an application program for alarm playback, and the like.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용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기타 다양한 옵션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데이터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카메라 기능에 의한 촬영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폰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및 해당 콘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data area is an area in which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stored. The data area includes user data related to the various other optional functions, for example, a photographed image or moving image by the camera function, Data 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r user data.

상기 오디오처리부(17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설정을 통하여 발음이나 진동, 램프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람을 인식하게 한다.The audio processing unit 170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the alarm through pronunciation, vibration, lamp, or the like through the setting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상기 통화송수신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화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전화의 송수신 시 상기 오디오처리부(17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한다.The cal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00 provides an alarm to the user through the audio processing unit 170 when transmitting / receiving a telephone by allow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send / receive a telephone call.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각 구성을 제어하고, 각 구성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휴대용 단말기(100) 사용자의 알람 설정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 및 알람 설정을 위한 키입력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알람 설정이 오디오 신호 재생으로 설정된 경우, MP3 재생 기능 또는 벨소리 재생 기능을 활성화 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설정된 시간동안 진동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controls each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controls the signal flow between the configurations.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a key input signal for activating an application program and setting an alarm for setting an alarm of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MP3 playback function or the ringtone playback function to be activated when the alarm setting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set to audio signal playback.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determine whether to switch to the vibration mode for a set time.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알람 시간에 상기 근거리통신부(180)를 활성화하여 주변을 검색하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와이파이를 검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와이파이 AP(Access point)가 주변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접속된 와이파이 SSID를 설정된 알람과 비교하고, 알람 설정에 와이파이 SSI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설정된 시간동안 진동 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와이파이 접속의 운용은 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controller 160 activates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180 at the alarm time to search for a nearby area and search for a WiFi for Internet access. Accordingly,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or not a Wi-Fi access poi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nearby, compares the connected Wi-Fi SSID with a preset alarm, and if the Wi-Fi SSID is included in the alarm setting The controller 160 may determine whether to switch to the vibration mod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operation of the Wi-Fi conne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상기 SSID는 Service Set Identifierd 의 약어로 서비스 세트 식별자라고 한다. 이 서비스 세트 식별자는 무선랜을 통해 전송되는 모든 패킷의 헤더에 존재하는 고유 식별자이다. 무선랜 클라이언트가 와이파이에 접속할 때 각 무선랜을 다른 무선랜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SSID is an abbreviation of Service Set Identifier and is called a service set identifier. The service set identifier is a unique identifier existing in the header of all packet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LAN. When a wireless LAN client connects to WiFi, it is used to distinguish each wireless LAN from other wireless LAN.

상기 근거리통신부(180)는 적외선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지그비 통신 모듈, 와이파이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80 may be various types of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Fi.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설정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단계별로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In the foregoing, each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an alarm sett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우선, 사용자는 정숙을 요하는 특정 장소에서 진동모드로 전환하지 못하여 주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하지만 수업시간표, 강의일정표처럼 스케쥴링 된 특정 시간동안만 진동모드로 전환하고자 한다면 미리 그 시간을 입력하여 특정 시간에는 사용자의 알람기능 설정의 조작이 없어도 자동으로 진동모드로 알람기능을 수행 할 수 있는 것이다.First, the user can not switch to the vibration mode at a certain place requiring quietness, and can damage the surrounding people. However, if the user wishes to switch to the vibration mode only for a specific scheduled time such as a class schedule or a lecture schedule, the user can input the time in advance and automatically perform the alarm function in the vibration mode even if there is no operation of setting the alarm function at a specific time .

상기와 같은 자동 진동모드 알람기능을 사용하기 위하여 이미 상기와 같은 기능이 설치된 단말기 또는 상기 기능이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아 설치하거나, 단말기의 업데이트 등을 통하여 이용 할 수 있을 것이다(S101).In order to use the automatic vibration mode alarm function as described above, a terminal equipped with the above-described function or an application including the function may be downloaded or installed, or may be used through updating of the terminal (S101).

사용자는 알람기능 설정을 수행하고자하면 입력부(120)를 통해 메뉴에서 스케쥴링 된 시간대로 알람설정모드를 선택하고,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입력부(120) 조작에 따라 상기 알람기능 설정모드로 진입하여, 알람기능 설정을 위한 설정화면을 단계별로 표시부(130)에 순차적으로 표시한다.The user selects an alarm setting mode at a scheduled time in the menu through the input unit 120, and the controller 160 enters the alarm function setting mod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s input unit 120 , And sequentially displays the setting screen for setting the alarm function on the display unit 130 step by step.

이어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알람기능 설정에 요구되는 입력정보를 사용자의 입력부(120) 조작을 통해 입력받는다(S102). 여기서 상기 입력정보는 스케쥴링 된 시간과 그 시간에 따른 알람형태(벨, 진동, 벨&진동, 벨 종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받은 입력정보를 메모리(150)에 설정한다.Then, the control unit 160 receives the input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alarm function setting through operation of the user's input unit 120 (S102). The input information includes a scheduled time and an alarm type (bell, vibration, bell & vibration, bell type) according to the tim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60 sets the inputted input information in the memory 150.

상기와 같이 시간을 설정한 후 상기 제어부(160)는 현재 벨소리가 울릴 수 있는 상황인지 지속적으로 체크를 한다. 즉 전화 수신 시 벨모드로 설정해 놓았다면 상기 제어부(160)에서 감지 할 수 있다(S103).After setting the tim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60 continuously checks whether the current ringing tone is available. That is, if the user sets a bell mode at the time of receiving a call, the control unit 160 can detect the bell mode (S103).

다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설정된 시간이 현재시간과 동일한지를 확인한다(S104). Next,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the set time is equal to the current time (S104).

상기 확인결과 현재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에 포함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진동 모드로 알람기능을 수행하여 정숙을 요하는 장소에서 주변인의 피해를 막을 수 있다(S106).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time is included in the set time, the terminal 100 may perform an alarm function in the vibration mode to prevent damage to the surrounding people in the place requiring quietness (S 106).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 설정된 시간을 이용하여 현재 시간과 설정된 시간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알람기능 설정을 변경하므로 시간에 따른 진동모드로 설정하는 불편함을 덜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urrent time and the set time are periodically checked using the time set in the portable terminal to change the alarm function sett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setting the vibration mode according to time, .

상기 도 2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시간에 따른 알람이 설정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와이파이 접속을 통해 알람기능 설정하는 과정을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A process of setting an alarm function through a Wi-Fi connection in a portable terminal with a time-based alarm set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우선 무선랜 접속기능을 갖춘 휴대용 단말기(100)를 휴대한 소유자가 급증하고, 또한 전국에 와이파이망이 설치되고, 공유기를 설치하여 무선랜에 접속할 수 있어, 학교, 사무실, 공공장소에서는 손쉽게 와이파이에 접속할 수 있다.First, the number of owners who carry the portable terminal 100 having the wireless LAN connection function has been rapidly increased, the Wi-Fi network has been installed nationwide, and a router has been installed to connect to the wireless LAN. Can be connected.

이러한 와이파이는 고유식별번호(SSID)로 구별되어 학교, 사무실에서 접속시 상기 SSID를 통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The WiFi is distinguished by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SSID), and when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school or the office, the current location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SSID.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장소에서 진동모드로 전환하지 못하여 주변인에게 주는 피해를 막기 위해서 접속된 와이파이 SSID에 따른 장소를 파악하고, 상기 장소에 따른 수업시간표, 강의일정표처럼 스케쥴링 된 특정 시간동안만 진동모드로 전환하고자 한다면 미리 그 시간을 입력하여 특정 시간에는 사용자의 알람기능 설정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진동모드로 알람기능을 수행 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surrounding people due to failure to switch to the vibration mode at a specific place, the user grasps a place according to the connected WiFi SSID and selects a vibration mode for a specific time period If you want to switch, you can enter the time in advance and automatically perform the alarm function in the vibration mode without operating the user's alarm function setting at a specific time.

상기와 같은 자동 진동모드 전환기능을 사용하기 위하여 이미 상기와 같은 기능이 설치된 단말기 또는 상기 기능이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아 설치하거나, 단말기의 업데이트 등을 통하여 이용 할 수 있을 것이다(S201).In order to use the automatic vibration mode switching function as described above, a terminal equipped with the above-described function or an application including the function may be downloaded and used, or may be used through an update of the terminal (S201).

사용자는 알람설정을 수행하고자하면 입력부(120)를 통해 메뉴에서 와이파이 SSID 에 따른 시간대로 알람기능 설정모드를 선택하고,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입력부(120) 조작에 따라 상기 알람기능 설정모드로 진입하여, 알람기능 설정을 위한 설정화면을 단계별로 표시부(130)에 순차적으로 표시한다.When the user desires to perform the alarm setting, the user selects the alarm function setting mode in the time zone according to the Wi-Fi SSID from the menu through the input unit 120, and the controller 160 sets the alarm function setting mode And sequentially displays a setting screen for setting an alarm function on the display unit 130 in a stepwise manner.

이어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알람기능 설정에 요구되는 입력정보를 사용자의 입력부(120) 조작을 통해 입력받는다(S202). 여기서 상기 입력정보는 SSID 로 구분된 스케쥴링 된 시간과 그 시간에 따른 알람형태(벨, 진동, 벨&진동, 벨 종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받은 입력정보를 메모리(150)에 설정한다.Then, the control unit 160 receives the input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alarm function setting through operation of the input unit 120 of the user (S202). The input information includes a scheduled time divided by SSID and an alarm type (bell, vibration, bell & vibration, bell type) according to the tim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60 sets the inputted input information in the memory 150.

상기와 같이 시간을 설정한 후 상기 제어부(160)는 현재 벨소리가 울릴 수 있는 상황인지 지속적으로 체크를 한다. 즉 전화 수신 시 벨모드로 설정해 놓았다면 상기 제어부(160)에서 감지 할 수 있다(S203).After setting the tim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60 continuously checks whether the current ringing tone is available. That is, if the bell mode is set at the time of receiving a call, the control unit 160 can detect the bell mode (S203).

다음, 상기 제어부(160)는 현재 접속된 와이파이의 SSID를 상기 설정된 SSID와 동일한지를 확인한다(S204). Next,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the SSID of the currently connected Wi-Fi is the same as the SSID (S204).

다음, 상기 제어부(160)는 SSID로 구분된 설정된 시간이 현재시간과 동일한지를 확인한다(S206). Next,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the set time divided by the SSID is equal to the current time (S206).

상기 확인결과 현재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설정된 SSID에 접속되고 아울러 현재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에 포함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진동 모드로 알람기능을 수행하여 정숙을 요하는 장소에서 주변인의 피해를 막을 수 있다(S208).If the current time is included in the set time, the terminal 100 performs an alarm function in the vibration mode to prevent damage to the surrounding people in a place requiring quietness (S208).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 SSID로 구분된 설정된 시간을 이용하여 현재 접속된 SSID와 설정된 시간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알람기능 설정을 변경하므로 시간에 따른 진동모드로 설정하는 불편함을 덜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SID and the set time periodically checked using the set time divided by the SSID are periodically checked and the alarm function setting is changed, the inconvenience of setting the time period according to the vibration mode is reduced, The convenience can be improved.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설정 방법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alarm sett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단말기 110 : 통화송수신부
120 : 입력부 130 : 표시부
150 : 메모리 160 : 제어부
170 : 오디오처리부
100: terminal 110: call transmission /
120: input unit 130: display unit
150: memory 160:
170:

Claims (2)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설정 방법에 있어서,
자동 진동모드 알람기능을 갖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S101);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전화수신, 메시지수신, 일정관리, 알람 및 모닝콜에 해당하는 알림상황에 대해 상기 자동 진동모드 알람기능을 수행할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S102);
이후 상기 단말기의 벨소리가 울릴 알림 상황인지 확인하는 단계(S103);
이후 상기 단말기의 벨소리가 울릴 알림 상황이면 현재시간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시간에 해당되는지 확인하는 단계(S104);
이후 상기 설정된 시간에 해당되면 휴대용 단말기가 진동 모드로 알람기능을 수행하는 단계(S10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설정 방법.
A method for setting an alarm of a portable terminal,
Installing an application having an automatic vibration mode alarm function (S101);
(S102) setting a time to perform the automatic vibration mode alarm function for a notification state corresponding to a call reception, a message reception, a schedule management, an alarm, and a morning call to the application;
(S103) a step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terminal is in a notification state in which a ring tone is to be sounded;
(S10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time corresponds to a time set in the application,
(S106)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set time, performing an alarm function in the vibration mode;
The method of claim 1,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설정 방법에 있어서,
자동 진동모드 알람기능을 갖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S201);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전화수신, 메시지수신, 일정관리, 알람 및 모닝콜에 해당하는 알림상황에 대해 상기 자동 진동모드 알람기능을 수행할 SSID 및 SSID에 따른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S202);
이후 상기 단말기의 벨소리가 울릴 알림 상황인지 확인하는 단계(S203);
이후 상기 단말기의 벨소리가 울릴 알림 상황이면 현재시간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SSID에 해당되는지 확인하는 단계(S204);
이후 상기 설정된 SSID에 해당되면 현재시간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SSID에 따른 시간에 해당되는지 확인하는 단계(S206);
이후 상기 설정된 시간에 해당되면 휴대용 단말기가 진동 모드로 알람기능을 수행하는 단계(S208);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설정 방법.
A method for setting an alarm of a portable terminal,
Installing an application having an automatic vibration mode alarm function (S201);
(S202) a time according to the SSID and the SSID to perform the automatic vibration mode alarm function for a notification state corresponding to a call reception, a message reception, a schedule management, an alarm, and a morning call to the application;
(S203) of confirming whether the terminal is in a notification state in which a ring tone is to be sounded;
Then, in step S20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time corresponds to the SSID set in the appl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SID is the current SSID, step S206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time corresponds to the SSID set in the application.
If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set time, performing the alarm function in the vibration mode (S208);
The method of claim 1,
KR1020120124498A 2012-11-05 2012-11-05 Method for setting alarm in the mobile phone KR1014558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498A KR101455843B1 (en) 2012-11-05 2012-11-05 Method for setting alarm in the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498A KR101455843B1 (en) 2012-11-05 2012-11-05 Method for setting alarm in the mobi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026A true KR20140058026A (en) 2014-05-14
KR101455843B1 KR101455843B1 (en) 2014-11-03

Family

ID=50888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498A KR101455843B1 (en) 2012-11-05 2012-11-05 Method for setting alarm in the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84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234A (en) * 2015-01-13 2016-07-2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phones mode automatic setting method and apparatus
US10574789B2 (en) 2016-07-27 202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aging schedul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704A (en) * 2005-03-24 2006-09-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nner mode of mobile phone
KR20120067411A (en) * 2010-12-16 2012-06-26 고스트리트(주) Automatic silent-mode turn-on device for mobile 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234A (en) * 2015-01-13 2016-07-2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phones mode automatic setting method and apparatus
US10574789B2 (en) 2016-07-27 202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aging schedul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843B1 (en)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0694B2 (en)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a commute time funct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130957B1 (en) Tracking a group of mobile terminals
US8594738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location-based silencing of wireless transceivers
EP17250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otification characteristics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998459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etting working state of device
JP2006319946A (en) Electronic device, priority connection apparatus, priority connection method and priority connection program
KR20080047417A (en) Method and apparatus of gauging message freshness in terms of context
JP2012509015A (en) Location-based activation / deactivation of caller ID functionality on mobile devices
JP2016533110A (en) Schedul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WO2012080765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context awar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73127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vironment detection
KR101455843B1 (en) Method for setting alarm in the mobile phone
JP2016529595A (en) LOCATION METHOD,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060003747A1 (en) Periodic parameter control command for a wireless mobile device
CN102945126A (en) Electronic device with call processing function and call processing method
JP2011072003A (en) Electronic device
KR101662932B1 (en) Smartphones mode automatic sett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3038463A (en) Operation control system, operation control program, and radio terminal
KR101205801B1 (en) Portable terminal for notifying service area and method thereof
JP2012175387A (en) Cal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call incoming mode control method, call incoming mode control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KR1007176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ll signalling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2281548A (en) Portable telephone set and portable telephone manner supporting method
KR20060127364A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ceive alarm mode changing
KR101578541B1 (en) Method for changing operation system mode of device, and the device
KR20100056630A (en) 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 channel list,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