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678B1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ll signalling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ll signalling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678B1
KR100717678B1 KR1020050105794A KR20050105794A KR100717678B1 KR 100717678 B1 KR100717678 B1 KR 100717678B1 KR 1020050105794 A KR1020050105794 A KR 1020050105794A KR 20050105794 A KR20050105794 A KR 20050105794A KR 100717678 B1 KR100717678 B1 KR 100717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mod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7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48823A (en
Inventor
임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105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678B1/en
Publication of KR20070048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88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6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감지하는 단말기 확인 신호를 전송하고 그 단말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그 응답 신호가 단말기 존재 여부를 알리는 신호이면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의 착신 모드 설정을 제어하는 모드 제어 메시지를 단말기로 전송하여 착신 모드를 제어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coming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transmits a terminal acknowledgment signal for sen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eives a response signal from the terminal to receive the response signal. If i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exists or no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control the incoming mode by transmitting a mode control message for controlling the incoming mode setting of the terminal.

착신 모드, 매너 모드, 근거리 통신, 모드 제어, 이동 통신 단말기 Incoming mode, silent mode, near field communication, mode contro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LL SIGNALLING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coming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LL SIGNALLING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신을 방해하는 종래의 착신 모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incoming mode control method for interrupting communi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terminal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of FIG. 2.

도 4는 도 2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착신 모드가 전환되는 일례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examples in which a called mode is switch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2.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이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a public pl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0: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 210: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310: 제어부310: control unit

320: 단말기 확인 신호 송신부 320: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330: 근거리 통신부330: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340: 단말기 확인 신호 수신부 340: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receiving unit

350: 모드 제어 메시지 전송부350: mode control message transmission uni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공 장소 등에서 감지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모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여 착신 모드가 전환되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coming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mode control messag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sed in a public place such that the incoming mode is switched. .

현대 사회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편리하게 의사 소통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현대인들에게 필수품처럼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프로세서의 성능이 향상되고, 메모리의 리소스가 증대됨에 따라 종래의 이동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방면에서 여러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In modern societ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widely used as a necessity for modern people as a means of convenient communication without regard to place. Recently, as the performance of the processor is improved and the resources of the memory are increas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various functions as well as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착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그 수신 사실을 벨소리, 진동, 램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상의 통지 기능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고 타인으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영화나 연극 등을 관람하는 공공 장소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타인에게 소음으로 인한 불쾌감을 줄 수 있으므로 타인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통지 기능을 진동 모드로 전환하는 일반적으로 매너 모드라 불리는 자동 전환 방법이 흔히 사용되고 있다. 매너 모드는 사용자가 공공 장소 등에서 통신 단말기의 통지 기능과 관련된 선택 메뉴로 들어가서 벨소리 등이 울리는 착신 모드를 진동 또는 램프 모드로 설정하거나 간단히 버튼 하나를 누름으로써 진동 모드 등으로 전환하는 방법이다.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n incoming call is received, the user can be notified of the reception by ringtone, vibration, lamp, and a combination thereof, so that the user can appropriately set the above not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here is a call request from another person. Allows you to confirm that a message has been received. In addition, 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public place where a movie or a theater is watched, it may cause discomfort due to noise to others, so that the notification function is switched to the vibration mode so as not to disturb others. An automatic switching method called silent mode is commonly used. The manner mode is a method in which a user enters a selection menu related to a notification func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public place, and sets an incoming mode in which a ring tone sounds, such as a vibration or a lamp mode, or switches to a vibration mode by simply pressing a button.

하지만, 공공 장소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실수로 진동 모드로 전환하지 않거나 번거로움 때문에 착신 모드 전환에 많은 신경을 쓰지 않는다. 따라서, 공공 장소 등 많은 사람들이 있는 장소에서 사람들은 종종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벨소리를 듣게 되고 그에 따라 공연을 하는 배우나 관람하는 관객 모두에게 불쾌감을 줄 때가 많다. 그래서, 최근에는 일정한 구역 내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부 기능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한다. However, even in public places, many people do not accidentally switch to vibrate mode or do not pay much attention to switching to incoming mode due to the hassle. Therefore, in a place where there are many people, such as a public place, people often hear the rington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ccordingly, they are often offensive to both the actors who perform the performances and the audiences who watch. Therefore, recently, a system that prevents som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operating in a certain area is introduced and used.

도 1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신을 방해하는 착신 모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ll mode mode that interferes with the communication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공공 장소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파 방해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착신을 못하도록 통신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즉, 전파 방해 장치가 일정 영역 내에 들어선 이동 통신 단말기를 발견하면 그 이동 통신 단말기가 호(call) 요청이나 문자 메시지 등을 수신할 수 없도록 방해 전파를 생성(110)하여 단말기 근처에 방사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가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전파를 차단하거나 노이즈를 가하여 방해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 기가 다른 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하는 것을 불가능(120)하게 만들어 강제적인 매너 모드 효과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전파 방해 방식이 완벽한 것은 아닐 뿐만 아니라, 공공 장소에서라도 중요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중요 통화를 기다리는 등의 상황에 대해서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종래의 착신 모드 변경 방법은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착신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이므로 그 사용자가 자의적으로 실천하지 않는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벨소리 모드를 사용하지 않고 진동 모드를 유지하도록 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prevent noi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being generated in a public place, the jammer functions to limit communication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receive the call. That is, when the jammer find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in a certain area, the jammer generates 110 and radiates near the terminal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not receive a call request or a text message. The terminal blocks or interferes with radio wave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Therefore, it is impossibl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o communicate with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120 so as to maintain a forced manner mode effect. However, such a jamming method is not perfec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in situations such as receiving an important message or waiting for an important call even in a public place.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incoming mode change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a method of manually changing the incoming call mode, and thus, it is difficult to keep the vibration mod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using the ring mode unless the user intentionally practices it. There is this.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공 장소 등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 설정을 제어하기 위하여 모드 제어 메시지를 그 단말기로 전송하여 착신 모드가 전환되도록 할 수 있는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nd a mode control message to the terminal to control the incoming mode set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public place, such that the incoming mode is It is to provide a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that can be switch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말기 모드 제어를 권고하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자동으로 모드 전환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transmitting a text message recommending the terminal mode control 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mode using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말기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 확인 신호 송신부; 상기 단 말기 확인 신호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확인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단말기 존재 여부를 알리는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 설정을 제어하는 모드 제어 메시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모드 제어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한다. A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receiving unit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And a mode control messag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exists or not, and transmitting a mode control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trol the incoming mode set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includes a transmission uni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방법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말기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확인 신호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단말기 존재 여부를 알리는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 설정을 제어하는 모드 제어 메시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terminal call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ransmitting a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Determining whether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exists; And selectively transmitting a mode control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trol the incoming mode set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o the embodi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에 대한 실시예들을 상술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가 벨소리 모드와 같이 타인에게 소음 등의 피해를 주는 모 드에 상대적인 개념으로 진동 모드를 설명하나 상기 진동 모드는 램프 모드 또는 두 모드가 조합된 모드 등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vibration mode is described as a concept relative to a mode in which a terminating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uses damage such as noise to others, such as a ringing mode, but the vibration mode is a lamp mode or a combination of two modes. It can be interpreted to mean including a modified mod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제어 시스템(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control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단말기 제어 시스템(200)에서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210)은 이동 통신망/유무선 IP망(220), 기지국(230), 및 이동 통신 단말기(240)와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in the terminal control system 200,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210 operates in connec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wired / wireless IP network 220, a base station 230,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Can be.

상기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210)은 기지국(230)과 연계된 이동 통신망/유무선 IP망(220) 등 여러 통신망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셀룰러 폰, PCS, PDA, DMB 폰 등 이동 통신 단말기(240)로 착신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210 is connected to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 component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wired / wireless IP network 220 associated with a base station 230,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such as a cellular phone, a PCS, a PDA, a DMB phone, and the like. It is proposed to deliver a mode control message for controlling the incoming mod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210)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240)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말기 확인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 확인 신호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24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단말기 존재 여부를 알리는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의 착신 모드 설정을 제어하는 모드 제어 메시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로 전송한다.To this end,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performs mobil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A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240,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i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exists. In response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 mode control messag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incoming mode set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가 자동적으로 전환되므로 공공 장소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벨소리 등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한, 사용자가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210)으로부터 단말기 착신 모드 변경을 권고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단말기 착신 모드가 진동 모드와 같은 매너 모드가 아님을 인식하고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since the incoming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utomatically switched, noise due to the incoming ring t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public place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by allowing the user to receive a text message recommending the terminal incoming mode change from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210,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nd switch that the terminal incoming mode is not a manner mode such as a vibration mode. .

상기 이동 통신망/유무선 IP망(220)은 상기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210)과 기지국(230)간에 상기 모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망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이동 통신망/유무선 IP망(220) 중 이동 통신망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 고정된 지점간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 상호간을 연결하는 통신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셀룰러(cellular) 이동 통신 방식 등 다양한 이동 통신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무선 응용 통신 규약에 따라 통신 단말기가 인터넷 통신을 하거나 다른 컴퓨터와 또한, 도 2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복수개의 다른 종류 또는 같은 종류의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여 통신망 사이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기능 단위 또는 장치로서 사용되는 게이트웨이와 같은 통신망 구성 요소도 함께 사용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wired / wireless IP network 220 is used as a communication network for transmitting the mode control message between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210 and the base station 230.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wired / wireless IP network 220 refers to a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fixed point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principles such as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cheme may be applied. have. A functional unit that allows a communication terminal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et or communicate with another computer according to a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and communicate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s by interconnecting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r types of communication networks, although not shown in FIG. Or network components, such as gateways, used as devices.

상기 기지국(230)은 이동하며 사용되는 전기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업무를 취급하는 무선국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240)의 송수신 전파를 중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230)은 이동 통신 단말기(240)가 속한 셀 반경에 해당하는 기지국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기(240)와 연관된 복수의 기지국들일 수도 있다.The base station 230 is a wireless station that handles a task of communicating with an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that is used to move and relays transmission and reception radio wave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ssociat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as well as the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cell radius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belongs.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는 상기 기지국(230)과 전파를 송수신하면서 모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드 제어 메시지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의 착신 모드는 매너 모드로 자동 전환되거나 매너 모드 전 환을 권고하는 문자 메시지를 받을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may receive a mode control message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wave with the base station 230.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mode control message, the incoming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may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ilent mode or receive a text message recommending to switch the silent mode.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는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스마트(Smart) 폰, 핸드폰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단말기,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EGACO(Media Gateway Control),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MP3 플레이어, MD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기반의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카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일정한 연산 동 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is a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one,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one, CDMA-2000 (1X, 3X) phone, WCDMA (Wideband CDMA) phone Communication such as Dual Band / Dual Mode phone, Global Standard for Mobile (GSM) phone, Mobile Broadband System (MBS) phon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phone, Smart phone, mobile phone, etc. Features may include portable devices,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terminals,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GCP), Media Gateway Control (MEGACO), and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Hand-Held PCs, Notebook Computers, Laptop Computers, WiBro Terminals, MP3 Players, Mobile Devices such as MD Players, and International Roaming and Expand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 provided by IMT-2000 tion-2000) A portabl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which means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cluding a terminal,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UMTS) -based terminal, and the like, and includes a 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CDMA) module and a Bluetooth ( It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GPS chip to enable location tracking through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Data Association, a wired / wireless LAN card, and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In addition, it is interpreted as a concept of collectively a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certain arithmetic operations by mounting a microprocessor capable of performing multimedia playback functions.

도 3은 도 2의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21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210 of FIG. 2.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210)은 제어부(310), 단말기 확인 신호 송신부(320), 근거리 통신부(330), 단말기 확인 신호 수신부(340), 및 모드 제어 메시지 전송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210 includes a control unit 310, a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transmitter 320,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330, a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receiver 340, and a mode control message transmitter 350. ) May be included.

상기 제어부(310)는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210)의 각 구성 요소들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The controller 310 is responsible for the overall control of the components of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210.

상기 단말기 확인 신호 송신부(320)는 이동 통신 단말기(240)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말기 확인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240)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 확인 신호를 여러 방향으로 전파(spreading)할 수 있다.The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transmitter 320 transmits a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Accordingly, in order to detec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the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may be spread in various directions.

상기 단말기 확인 신호 수신부(340)는 상기 단말기 확인 신호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 확인 신호 송신부(320) 및 상기 단말기 확인 신호 수신부(340)는 각각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확인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Wi-Fi(Wireless Fidelity), 홈 RF, 및 UWB(Ultra Wide Band) 등을 사용될 수 있다.The terminal acknowledgment signal receiver 340 receives a response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terminal acknowledgment signal. In this case, the terminal acknowledgment signal transmitter 320 and the terminal acknowledgment signal receiver 340 may transmit the terminal acknowledgment signal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receive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respectively. In addition, as a method for using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Bluetooth, infrared communication (IrDA), Zigbee, Wi-Fi (Wireless Fidelity), home RF, and UWB (Ultra Wide Band) may be used. .

상기 블루투스는 근거리에 놓여 있는 컴퓨터와 이동 통신 단말기, 가전 제품 등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쌍방향으로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규격의 통신 모듈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적외선 통신은 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케이블 없이 적외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적외선 방식의 IrDA 통신 포트는 LAN에 버금가는 디지털 정보의 송수신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지그비는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홈 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 기술로서 버튼 하나로 하나의 동작을 잡아 집안 어느 곳에서나 전등 제어, 홈 보안 시스템, 및 VCR on/off 등을 가능하도록 하고 인터넷을 통한 전화 접속으로 홈 오토메이션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본원 발명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Wi-Fi는 무선 이더넷 호환성 협회(WECA)에서 802.11b 무선 이더넷 표준에 대해 제공하고 있는 규격으로 통신거리가 비교적 긴 장점이 있다. 상기 홈 RF는 공간에 전파되는 전자파(electromagnetic waves)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으로 4GHz ISM 대역에서의 RF 통신은 확산 스펙트럼(Spread Spectrum) 기술을 사용하는데 상기 RF(Radio Frequency)는 가청 주파수 이상 가시선 이하 전자 주파수인데, FM 과 AM 라디오를 포함한 모든 방송과 위성, 그리고 셀룰러폰을 이 영역에서 주로 사용한다. 또한, UWB(초광대역통신, Ultra Wide Band)은 2∼10GHz의 고주파대역을 활용하는 무선 통신 기술로서 초광대역통신(UWB)은 극초단파를 이용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고 전송속도가 빨라 홈네트워킹 시스템이나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할 무선 통신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The Bluetooth refers to a communication module of a standard that enables real-time communication in two directions by wirelessly connecting a compu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home appliance that are located at a short distance. In addition, the infrared communication may use the 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and the like, and refers to a technology for transmitting data in the infrared without a cable. The wireless infrared IrDA communication port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information comparable to that of a LAN. In addition, ZigBee is a standard technology for home automation and data networks with a low transmission speed, enabling one-button operation to enable light control, home security system, and VCR on / off anywhere in the home and to connect the Internet. It can be used as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ology that can more conveniently use home automation by dial-up through. In addition, the Wi-Fi is a standard provided by the Wireless Ethernet Compatibility Association (WECA) for the 802.11b wireless Ethernet standard, and has a relatively long communication distance. The home RF is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electromagnetic waves propagating in a space. In the 4 GHz ISM band, RF communication uses spread spectrum technology, and the radio frequency (RF) is above an audible frequency and is below a visible line. All broadcasts, satellite and cellular phones, including FM and AM radios, are used primarily in this area. In addition, UWB (Ultra Wide Band) is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utilizes a high frequency band of 2 to 10GHz, and UWB (UWB) can exchange data using ultra-high frequency and has a high transmission speed. It can be us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o implement a ubiquitous environment.

상기 모드 제어 메시지 전송부(35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단말기 존재 여부를 알리는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응답 신호가 단말기 존재 여부를 알리는 신호로 판단된 경우에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의 착신 모드 설정을 제어하는 모드 제어 메시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로 전송한다. The mode control message transmitter 350 determines whether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exist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sponse signal i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exists, a mode control message for controlling the incoming mode set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전송된 모드 제어 메시지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의 착신 모드가 자동으로 벨소리 모드에서 진동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는 상기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210)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의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어하여 착신 모드를 강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모드뿐만 아니라 램프 모드 또는 두 모드가 조합된 모드 등으로도 변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드 제어 메시지 전송부(350)로부터 전송된 모드 제어 메시지에 따라 착신 모드를 강제 전환시키는 소정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에서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되었다.According to the transmitted mode control message, the incoming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may be automatically switched from the ring mode to the vibration mode. That is,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210 using the local area network may forcibly switch the incoming mode by directly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In addition, not only the vibration mode but also a lamp mode or a combination of the two modes may be converted. Here, it is assum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supports a predetermined application for forcibly switching the called mode according to the mode control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mode control message transmitter 350.

또한, 상기 전송된 모드 제어 메시지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에 착신 모드 설정을 벨소리 모드에서 진동 모드 전환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의 사용자는 실수로 진동 모드를 전환하여야 하는 구역임을 잊고 있었을 때 상기 모드 제어 메시지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불가피하게 벨소리 모드를 사용해야 하거나 일부 이동 통신 단말기를 벨소리 모드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mode control message, a message for requesting to switch the vibration mode from the ring mode to the incoming mode setting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Therefore, 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accidentally forgets that it is an area to switch the vibration mode, the user can check the mode control message and change the mod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herefore, inevitably, when the ringtone mode should be used or when som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hould be used as the ringtone mod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도 4는 도 2의 이동 통신 단말기(240)에서 착신 모드가 전환되는 일례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example in which a called mode is switch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of FIG. 2.

도 4의 (410)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210)에서 전송한 착신 모드를 요구하는 모드 제어 메시지를 이동 통신 단말기(240)에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고 착신 모드를 현 상황에서 가장 적합한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드 제어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또는 UMS(Unified Message Service)를 통해 송수신되는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장문 메시지, 또는 통합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240)에 전송될 수 있다.As shown in 410 of FIG. 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may receive a mode control message requesting a called mod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called mode control system 210. Thus, the user can check the text message and switch the incoming mode to the most suitable mode in the present situation. The mode control message may be a short message, a multimedia message, a long message, or an integrated message transmitted or received through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a long message service (LMS), or a unified message service (UMS). The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by any one means.

또한, 도 4의 (420)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210)에 의해 착신 모드는 자동 전환되고 상기 착신 모드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가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210)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모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진동 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의 착신 모드가 변경되도록 하는 명령이나 코드를 상기 모드 제어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4의 (420)에서 표시하는 내용은 사용자에게 착신 모드가 변환되었음을 통지하는 메시지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250)에 구비된 LCD, 유기 LED, PDP, LED 등 시각적 출력 수단을 이용한 출력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벨소리, 컬러링, MP3 등 다양한 음악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이어폰 등 청각적 출력 수단, 및 진동 모터 등을 이용한 촉각적 출력 수단이 최소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420 of FIG. 4, an incoming mode is automatically switched by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2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incoming mode.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210 receives a command or code for changing the incoming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vibration mod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mode control message. Can be included in the control message. The content displayed at 420 of FIG. 4 is a message informing the user that the incoming call mode has been converted, and uses an output method using visual output means such as an LCD, an organic LED, a PDP, and an LED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50. . In addition, at least one of audible output means such as a speaker capable of outputting various music such as ringtones, coloring, MP3, and earphones, and a tactile output means using a vibration motor may be used.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단 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210)을 동작 과정의 단계에 따라 설명을 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4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steps of the operation process.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210)이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210)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말기 확인 신호를 전송한다(S510).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는 일정하지 않으므로 상기 단말기 확인 신호를 여러 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다.First,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210 transmits a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S510). Since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constant, the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in various directions.

이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는 상기 단말기 확인 신호에 상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210)으로 전송한다(S520). 상기 단말기 확인 신호 및 상기 응답 신호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송수신될 수 있는데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to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210 (S520). The terminal acknowledgment signal and the response signal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ethod, and may use Bluetooth, an infrared communication method, or the like.

다음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S530)한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단말기 존재 여부를 알리는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540).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 설정을 제어하는 모드 제어 메시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로 전송한다(S550).Next,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S530) determines whether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is a signal indicating the presence of the terminal (S540). .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 mode control messag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incoming mode set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S550).

이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는 모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S560), 사용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의 착신 모드가 자동적으로 전환되므로, 공공 장소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인한 소음 등 방해 요소가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210)으로부터 단말기 모드 제어를 권고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단말기 모드를 전환되어 있지 않음을 인식하고 전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receives a mode control message (S560), and the user automatically switches the incoming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thereby preventing noise such as noise cau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public place. The element may not be output, and the user may receive a text message recommending the terminal mode control from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210 to recognize and switch that the terminal mode is not switche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210)이 공공 장소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210 is installed in a public place and opera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교회, 영화관, 미술관과 같은 공공 장소에 이동 통신 단말기(240)가 있을 때 건물의 천정이나 벽면 등에 설치된 다수의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들(601 ~ 603)을 이용하여 벨소리 등 주위 사람들을 불쾌하게 만들 수 있는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들(601 ~ 603)은 이동 통신 단말기(240)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말기 확인 신호를 특정 방향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가 감지된 경우 상기 단말기 확인 신호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존재 여부를 알리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의 착신 모드 설정을 제어하는 모드 제어 메시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40)로 전송한다. As shown in FIG. 6,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is located in a public place such as a church, a movie theater, or an art gallery, a ring tone is generated using a plurality of terminal call mode control systems 601 to 603 installed on a ceiling or a wall of a building. You may want to avoid noise that could offend people around you.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s 601 to 603 transmit a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in a specific direction 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Receive a response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pon receiving the response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exists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de control message for controlling the incoming mode set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명세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240)와 연관하여 언급된 실시예들은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210)에 적용될 수 있고,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mbodiments mentioned in connec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40 herein may be applied to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210, and vice versa.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모드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앞서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들에서 언급한 내용들이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so far, and the details mentioned in the embodiments of FIGS. 2 to 4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it is,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모드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 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terminal mod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The medium may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n optical or metal wire, a waveguide, or the lik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specify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the like, but the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are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such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the thing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가 자동적으로 전환되므로, 공공 장소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벨소리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oming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utomatically switched, thereby preventing the noise caused by the incoming ringing t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public place.

또한, 사용자가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단말기 모드 제어를 권고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 착신 모드가 매너 모드로 전환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고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may receive a text message recommending the terminal mode control from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terminal incoming mode is not switched to the silent mode and to switch.

Claims (10)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말기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 확인 신호 송신부;A terminal acknowledgment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terminal acknowledgment signal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전송된 단말기 확인 신호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확인 신호 수신부; 및A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receiving unit 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And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단말기 존재 여부를 알리는 신호일 경우,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 설정을 제어하는 모드 제어 메시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모드 제어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고,When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exists, a mode control message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mode control message for controlling the incoming mode set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모드 제어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mode control message, (1) 착신 모드를, 벨소리 모드에서 자동으로 진동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1) switch the incoming call mode to the vibrate mode automatically from the ringtone mode, or (2) 착신 모드를 진동 모드로 전환시킬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2) A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incoming mode is switched to the vibration mo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기 확인 신호 송신부 및 상기 단말기 확인 신호 수신부는 각각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확인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 And the terminal acknowledgment signal transmitter and the terminal acknowledgment signal receiver respectively transmit the terminal acknowledgment signal and receive the response signal by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근거리 통신은,The short-range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Wi-Fi(Wireless Fidelity), 홈 RF, 및 UWB(Ultra Wide Ban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A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Bluetooth, infrared communication (IrDA), Zigbee, Wi-Fi (Wireless Fidelity), home RF, and UWB (Ultra Wide Ban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드 제어 메시지 전송부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드 제어 메시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And the mode control message transmission unit transmits the mode control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text message servic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문자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및 UMS(Unified Message Servic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장문 메시지, 또는 통합 메시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The text message is a short message, a multimedia message, a long message, or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at least one of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a long message service (LMS), and a unified message service (UMS).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messages integra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컴퓨터 단말기, PSTN 단말기, VoIP, SIP, Megaco,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또는 위성/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시스템.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computer terminal, PSTN terminal, VoIP, SIP, Megaco,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cellular phone,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Hand-Held PC (CDMA-2000) (1X) , 3X) phones, wideband CDMA (WCDMA) phones, dual band / dual mode phones, global standard for mobile (GSM) phones, mobile broadband system (MBS) phones, or satellite / terrestrial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phones.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terminal incoming mode control method,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말기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a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전송된 단말기 확인 신호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a response signal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terminal confirmation signal; And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단말기 존재 여부를 알리는 신호일 경우,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모드 설정을 제어하는 모드 제어 메시지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When the response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exists, transmitting a mode control message for controlling the incoming mode sett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모드 제어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mode control message, (1) 착신 모드를, 벨소리 모드에서 자동으로 진동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1) switch the incoming call mode to the vibrate mode automatically from the ringtone mode, or (2) 착신 모드를 진동 모드로 전환시킬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착신 모드 제어 방법.(2) A method for controlling a terminal incoming mode, characterized by displaying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incoming mode is changed to the vibration mode. 제9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9.
KR1020050105794A 2005-11-07 2005-11-07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ll signalling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176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794A KR100717678B1 (en) 2005-11-07 2005-11-07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ll signalling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5794A KR100717678B1 (en) 2005-11-07 2005-11-07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ll signalling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823A KR20070048823A (en) 2007-05-10
KR100717678B1 true KR100717678B1 (en) 2007-05-11

Family

ID=38273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794A KR100717678B1 (en) 2005-11-07 2005-11-07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ll signalling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67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105B1 (en) 2007-05-18 2009-01-14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Seat Belt Retrac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650A (en) * 1999-03-18 2000-10-16 구계숙 Incoming Mode Control Method By Intera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0650A (en) * 1999-03-18 2000-10-16 구계숙 Incoming Mode Control Method By Intera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8823A (en)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4963B2 (en) Method and device for bluetooth pairing
KR100703511B1 (en) Method for communication terminal&#39;s automatic entrance of mobile to home network using bluetooth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721542B1 (en) System for location specific, automatic mobile station behavior control
US20070117558A1 (en) Local area wireless airspace management
US20080085732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server,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DE60139073D1 (en) SYSTEM FOR THE USE OF A LOCAL WIRELESS NETWORK FOR CONTROLLING A DEVICE WITHIN THE REACH OF THE NETWORK
JP2004509559A (en) Mobile device interaction with beacons
JP2009044309A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4092658B (en) Audio data play method and device
KR100650060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automatically call volume of receiving device
KR1007176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ll signalling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1234473B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KR100706986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stricting Zone 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y Using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1455843B1 (en) Method for setting alarm in the mobile phone
US200702650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the mode of radio equipment in certain environments
JP3186755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all restriction message insertion method
KR100753364B1 (en) Server and method for giving reasons of call drop using text message
JP3563389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3224511A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ith short range radio func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KR20040082892A (en) Manners Mode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in private mobile service system
KR100723721B1 (en) Method for Providing Image Call Service in Non Simultaneous Voice and Video Terminal
JP407381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KR100645011B1 (en) Sound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a mobile phone
KR100803952B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er-Mapped Sound with Text Message
KR20070060618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cooperating with victim rescue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