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205A -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based on mobil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based on 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205A
KR20140032205A KR1020120098817A KR20120098817A KR20140032205A KR 20140032205 A KR20140032205 A KR 20140032205A KR 1020120098817 A KR1020120098817 A KR 1020120098817A KR 20120098817 A KR20120098817 A KR 20120098817A KR 20140032205 A KR20140032205 A KR 20140032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information
damage
investigation
investig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8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국
최우정
조재웅
이은정
홍종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안전행정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안전행정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안전행정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to KR1020120098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2205A/en
Publication of KR20140032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2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9Signalling of the alarm condition to a substation whose identity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relaying alarm signals in order to extend communication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system based on a mobile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a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system based on a mobile (for example, a smart phone) linked with a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NDMS) and a method thereof. For th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system based on a mobile including: an investigator terminal; a mobile server which receives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of a disaster region collected through the investigator terminal, and stores and manages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isaster investigation information in an additional information DB; a relay DB which receives and stores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obile server; and a disaster management server which verifies a disaster register of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relay DB periodically through a scheduler, and then stores and manages the verified disaster investigation information in a main DB.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ime and costs can be reduced, by collecting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disaster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using a portable and public mobile (for example, a smart phone), and then transmitting and registering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n the main DB of the NDMS. [Reference numerals] (AA) National administrative computer network; (BB) Damage investigation system; (CC)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NDMS)

Description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BASED ON MOBILE} Mobile-based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system and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BASED ON MOBILE}

본 발명은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국가재난관리시스템(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NDMS)과 연계된 모바일(예컨대,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based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system and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 disaster-disaster investigation system based on a mobile (eg, a smartphone) linked to a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NDMS) and its It is about a method.

국가재난관리시스템(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NDMS)은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등과 같이 재난 관리 단계별 업무를 지원하는 전국 단위 종합 정보 시스템으로서, 풍수해와 지진 등과 같은 재난 유형별 업무지원 시스템과, 기상청 및 홍수 통제소 등과 같이 유관기관의 재난정보를 연계 및 활용하는 재난정보 공동 활용시스템과, 재난현장을 지원하는 119 소방현장 대응시스템 등이 구축되어 운영중에 있다.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NDMS) is a nationw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 that supports disaster-level operations such as prevention, preparedness, response, and recovery.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ystem that links and utilizes disaster information of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flood control station, and 119 fire-fighting site response system that supports disaster sites are in operation.

최근에는 국가재난관리시스템의 기능과 서비스 범위를 한 단계 높이기 위한 고도화 작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특히, 소방방재청은 지금까지 중앙행정기관과 시ㆍ도 중심으로 구축된 재난 대응 시스템을 전국 주요 시ㆍ군ㆍ구로 확대하고, 이전에 구축된 범정부 차원의 재난 관리 네트워크의 범위를 확장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국가 재난 관리 고도화 사업을 공고하고 사업에 착수한 상태이다.In recent years, advancement efforts have been made in earnest to raise the scope and function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particular, the Office of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has expanded its disaster response system, which has been built around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cities and provinces, to major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throughout the country, and expanded the scope of the previously established government-wide disaster management network. We have announced and launched a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advancement project.

이러한 국가 재난 관리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는, 첫째, 재난 유형별 피해자료의 표준화 미비로 인한 작업효율성 저하 및 이중 작업 가능성 산재, 둘째, 재난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지역별 재난 위험 및 피해 규모 산출을 위한 시ㆍ군ㆍ구의 표준화된 자료 구축 필요성, 셋째, 재난자료의 관리 및 재난 이력 관리 체계의 미흡으로 인해 재해 위험성, 또는 피해 규모와 같은 재해 특성 분석을 위한 기반 데이터의 부실 유발, 넷째, 지역의 재난피해 대처능력 분석을 통한 정책 개발 및 재난 피해 저감 능력 증진 방안 도출, 다섯째, 책임행정의 강화기반 조성, 유관기관 사이의 재난정보 이용 및 시스템 연계부진으로 인한 낮은 정보 활용성 등이 있다. The reasons for the advancement of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projects are as follows: First, deterioration of work efficiency due to inadequate standardization of victims by type of disaster and the possibility of double work accidents; and seco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standardized data of the county and district, and third, causing the base data to be inadequate for analyzing disaster characteristics such as disaster risk or damage scale due to the inadequate management of disaster data and disaster history management system. Deriving measures to improve policy development and disaster damage reduction through capacity analysis, Fifth, create a foundation for strengthening responsible administration, use of disaster information among related agencies, and low information utilization due to poor system linkage.

국가 재난 관리 고도화 사업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재난지역의 피해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In order to upgrade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efficient disaster area damage investigation should be preceded.

하지만 현행 피해조사는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함에 따라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피해 조사 과정에서 신속성과 객관성이 결여될 뿐만 아니라, 과학적이고 표준화된 현장 조사 장비의 부재와 광범위한 피해 지역 등으로 인해 피해 규모 및 피해액의 산정이 어렵기 때문에 조사원의 임의 판단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주관적인 판단은 실제의 피해규모 및 피해액 산정에 매우 큰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However, most current damage investigations require a lot of manpower and time, as they rely on manual labor, resulting in a lack of speed and objectivity in the damage investigation process, as well as the lack of scientific and standardized field survey equipment and extensive damage areas. Since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the damage amount, it is inevitable to rely on the discretion of the investigator, and this subjective judgment may cause a very large error in the actual damage amount and damage calculation.

더욱이 현장조사를 실행하는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표준화된 조사과정 및 조사장비가 없기 때문에 결과 항목 도출과 산정 근거 마련에 어려움이 있으며, 조사 진행 후 결과 도출 및 피해액 산정까지의 과정 진행시 대부분의 과정을 수작업으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낭비될 뿐만 아니라 오차 발생 위험성이 있고, 조사결과로부터 피해액 산출시 근거 자료 부족 및 산출 기준의 애매성에 의한 어려움이 존재한다. Moreover, since there is no standardized survey process and equipment for each local government that conducts a site survey, it is difficult to derive result items and prepare a basis for calculation. Because it requires manual work, not only a lot of manpower and time are wasted, but there is also a risk of error, and there are difficulties due to the lack of evidence and the ambiguity of the calculation criteria when calculating the damage amount from the survey results.

또한 복합적인 방재정보 및 조사결과 공개가 진행되지 않아 방재정책에 대한 신뢰성을 획득하지 못하고 있으며, 조사결과의 보존에 있어 현장에서의 조사결과 작성과 수집 후 대장 작성, 보존을 위한 자료 저장 등의 과정이 구분되어 있어 이중, 삼중의 작업이 필요하여 많은 인력이 낭비되고, 인력 부족에 의한 재해복구가 지연되는 원인이 되었고, 재해 대장 검색 및 공개가 어려워 추후 대책 수립 등을 위한 근거 마련의 시간적, 경제적인 낭비가 크고, 대책 수립의 근거 마련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동일한 장소에, 동일한 재해가 해마다 빈번하게 반복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due to the fact that complex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and survey results are not disclosed, reliability of the disaster prevention policy cannot be obtained, and in the preservation of the survey results, the process of creating survey results at the site, preparing the account book after collection, and storing data for preservation Because of this division, it is necessary to double and triple work, which wastes a lot of manpower, delays disaster recovery due to lack of manpower, and makes it difficult to search and disclose disaster ledger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ame disaster was repeated frequently each year in the same place because the waste of phosphorus was large and the time required for establishing the countermeasure was taken.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48528호(등록일 : 2007. 08. 06)에는 '무선통신과 웹-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 피해조사 실시간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이 제안된 바 있다. As an example for solving these problems,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748528 (Registration Date: 2007. 08. 06), 'Real-time automatic update system for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Web-GS, and its operation method' (hereinafter, Prior art) has been proposed.

상기한 선행기술에서는 피해원인 정보, 피해 화상 및 동영상, 음성정보를 포집하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각종 장비로 구성된 현장장비단을 구축하고, 상기 현장장비단을 통해 획득된 피해 조사정보를 각 서버단으로 전송하여 정해진 유형에 맞는 정보의 형태로 실시간으로 자동 가공하고 홈페이지의 메인페이지와 게시판에 게시함은 물론 표준화된 재해 대장 형태로 가공하여 웹페이지를 생성하고, 발생 지점 좌표 등을 통해 Web-GIS 상에 피해 발생 지점 등록 및 그 속성을 표출하며, 이러한 홈페이지, 재해대장, Web-GIS 등을 연계하여 신속하게 각종 정보를 검색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피해복구 대책 수립과 방재 정책 수립의 진행을 지원할 수 있고, 일반 인터넷상에 재해조사의 각종 정보를 게시함으로써 방재 및 재해복구 대책의 투명성을 확보하여 대민 정책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In the above prior art, a field equipment stage composed of various equipments for capturing damage cause information, damage image and video, and voic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m to a server is constructed, and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field equipment stage is collected from each server end. Automatically process in real time in the form of information suitable for a given type and post it on the main page and bulletin board of the homepage, process it in the form of a standardized disaster register, create a web page, and generate the web page through the coordinates of the occurrence point. It registers the point of occurrence of damages and expresses its attributes, and it is possible to assist in the establishment of countermeasures for disasters and the establishment of disaster prevention policies by connecting various homepages, disaster registers, Web-GIS, etc. to search and confirm various information promptly. And transparency of disaster prevention and disaster recovery measures by posting various information of disaster investigation on general Internet To ensure we can help you improve the citizen policy credibility.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디지털카메라, GPS, 음성녹음기 및 무선 초고속 통신장비 등과 같이 다양한 조사장비들을 포함하는 현장장비단을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현장장비단을 꾸리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휴대가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각종 장비들로부터 독립적으로 수집된 피해조사정보들을 통합하여 결과를 도출해야 하기 때문에 그 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더욱이, 수집된 피해조사정보에 대한 검증작업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재난지역에서 수집된 피해조사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담보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존재하였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requires a field equipment stage including various research equipments such as digital camera, GPS, voice recorder and wireless high-speed communication equipment, so that it is not only time-consuming and expensive to pack the field equipment. Is not easy. In addition, the process is complicated and requires a lot of time because the results of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collected independently from various devices must be integrated. Moreov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disaster area could not be guaranteed because no verification work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KR 10-0748528 B1, 2007. 08. 06.KR 10-0748528 B1, 2007. 08. 06.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대중적으로 보급된 모바일(예컨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 mobile-based disaster prevention investigation system that can save time and money by using a mobile (for example, a smart phone) that is easy to carry and popularly distributed an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재난지역에서 모바일을 통해 수집된 피해조사정보에 대한 검증작업을 수행하여 재난지역에서 수집된 피해조사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based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system and method that can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disaster area by performing the verification work collected through the mobile in the disaster area. There is another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클릭-선택 조작사양으로 쉽고 간단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based disaster prevention investigation system and method that can easily and simply provide a user interface with a click-select operation specifica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조사자 단말기와, 상기 조사자 단말기를 통해 수집된 재난지역의 피해조사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피해조사정보에 포함된 부가정보를 부가정보 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모바일서버와, 상기 모바일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피해조사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중계 DB와, 상기 중계 DB에 저장된 상기 피해조사정보의 재해대장을 스케줄러를 통해 주기적으로 검증한 후 검증된 피해조사정보를 메인 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재난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을 제공한다. 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vestigator terminal receives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of a disaster area collected through the investigator terminal, and stores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n an additional information DB. And the mobile server to be managed, the relay DB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obile server, and the disaster register of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relay DB periodically through a scheduler. Provides a mobile-based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system including a disaster management server that stores and manages survey information in the main DB.

바람직하게, 상기 중계 DB는 상기 피해조사정보를 "재해대장총괄정보", "피해세부내역정보", "멀티미디어정보", "교통상황상세정보" 및 "피해조사등록결과정보"로 분류하여 각각 저장하기 위하여 5개의 테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elay DB stores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nto "disaster manager general information", "damage detail information", "multimedia information", "traffic situation details" and "damage investigation registration result information", respectively. It can be composed of five tables.

바람직하게, 상기 피해조사등록결과정보가 저장된 테이블에는 상기 스케줄러의 검증결과와 검증실패시 오류코드를 기록하고, 상기 메인 DB에 적용시에는 변경정보에 대한 이력과 상기 메인 DB에 적용여부를 제어하는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Preferably, in the table where the damage investigation registration result information is stored,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scheduler and an error code when the verification failure is recorded, and when applied to the main DB, the history of the change information and whether to apply to the main DB is controlled. Information can be stored.

바람직하게, 상기 부가정보 DB에 저장되는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메인 DB에 저장된 피해조사정보의 재해대장과 고유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메인 DB에 상기 피해조사정보가 등록된 후에는 상기 피해조사등록결과정보가 저장된 테이블에 저장된 고유키와 "신규공공시설입력번호"를 참조정보로 하여 상기 재해대장과 연결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additi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DB is connected to the disaster ledger of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ain DB through a unique key, and after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main DB, the damage investigation is registered. The unique key stored in the table in which the result information is stored and the "new public facility input number" may be connected with the disaster manager.

바람직하게, 상기 모바일서버는 상기 조사자 단말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메인 DB에 저장된 피해조사정보를 상기 조사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mobile server may provide the investigator terminal with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ain DB through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investigator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조사자 단말기는 상기 재해대장을 각 건마다 하나의 요약화면으로 조사자에게 제공하고, 조사자로 하여금 상기 요약화면을 통해 상기 재해대장의 정보조회와 상기 재해대장에 추가로 정보를 입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investigator terminal is provided to the investigator to the investigator in one summary screen for each case, the user to the investigator to input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disaster ledger information and the disaster ledger through the summary screen It can provide an interface.

바람직하게, 상기 조사자 단말기는 조사자가 피해규모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직접입력방식과, 지도상에서 피해규모의 거리 및 면적을 측정하여 제공하는 지도측정방식과, GPS 추적을 활용하여 거리 및 면적을 측정하는 GPS 측정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간편하게 피해규모를 측정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investigator terminal is a direct input method for the investigator to directly enter the damage scale information, a map measurement method for providing the distance and area of the damage scale on the map, and using the GPS tracking to measure the distance and area Any of the GPS measurement methods can be provided to easily measure the damage scale.

바람직하게, 상기 조사자 단말기는 재난지역의 피해내역을 단면도와 피해사진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상기 모바일서버로 제공하되, 상기 단면도는 표준단면도, 기저장된 이미지선택 또는 빈 페이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면도에 펜 기능을 통해 피해내역을 스케치하도록 제공하며, 상기 피해사진은 직접촬영 또는 기촬영되어 앨범에 저장된 사진을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investigator terminal provides the damage history of the disaster area to the mobile server in a manner of inputting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hoto of the damage, wherein the cross-sectional view selects any one of a standard cross section, a pre-stored image selection, or a blank page. The pen function may be used to sketch the damage history, and the damage picture may be directly photographed or pre-recorded to select and input a picture stored in the album.

바람직하게, 상기 조사자 단말기는 지도를 통해 주변의 피해조사의 위치를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되, 조사자가 상기 지도에 표시된 심볼을 선택하면 상기 피해조사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창이 활성화되고, 조사자가 활성화되는 요약 정보창을 선택하면 해당 재해대장이 제공되는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investigator terminal is provided to confirm the location of the surrounding damage investigation through a map, when the investigator selects a symbol displayed on the map, the summary information window for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s activated, the investigator is activated If you select the summary information window can be provided to go to the screen that the disaster leader is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조사자 단말기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재해대장 조회가 가능하도록 제공하되, 조사자가 증강현실을 통해 제공되는 피해조사 정보상자를 선택하면 좌하단에 요약 정보창이 활성화되고, 조사자가 활성화되는 요약 정보창을 선택하면 해당 재해대장이 제공되는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investigator terminal is provided to be able to look up the disaster ledger using augmented reality, when the investigator selects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box provided through augmented reality, the summary information window is activated in the lower left corner, the summary information window that the investigator is activated If you select, you can be provided to move to the screen that the disaster ledger is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조사자 단말기와 상기 모바일서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사자 단말기와 상기 모바일서버 간의 통신시 보안을 담당하는 보안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ecurity server installed between the investigator terminal and the mobile server to secur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nvestigator terminal and the mobile server.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조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재난지역에서 피해조사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조사자 단말기를 통해 수집된 피해조사정보를 모바일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서버에 전송된 피해조사정보 중 부가정보를 부가정보 DB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피해조사정보를 중계 DB에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 DB에 등록된 피해조사정보를 재난관리서버의 스케줄러를 통해 검증하는 단계와, 상기 재난관리서버의 스케줄러를 통해 검증된 피해조사정보를 메인 DB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to collect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n the disaster area using the investigato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investigator terminal to the mobile server And register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mobile server in an additional information DB, registering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obile server in a relay DB, and performing damage investigation registered in the relay DB. It provides a mobile-based disaster prevention investiga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verifying the information through the scheduler of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and registering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verified through the scheduler of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to the main DB.

바람직하게, 상기 중계 DB는 상기 피해조사정보를 "재해대장총괄정보", "피해세부내역정보", "멀티미디어정보", "교통상황상세정보" 및 "피해조사등록결과정보"로 분류하여 각각 저장하기 위하여 5개의 테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relay DB stores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nto "disaster manager general information", "damage detail information", "multimedia information", "traffic situation details" and "damage investigation registration result information", respectively. It can be composed of five tables.

바람직하게, 상기 피해조사등록결과정보가 저장된 테이블에는 상기 스케줄러의 검증결과와 검증실패시 오류코드를 기록하고, 상기 메인 DB에 적용시에는 변경정보에 대한 이력과 상기 메인 DB에 적용여부를 제어하는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Preferably, in the table where the damage investigation registration result information is stored,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scheduler and an error code when the verification failure is recorded, and when applied to the main DB, the history of the change information and whether to apply to the main DB is controlled. Information can be stored.

바람직하게, 상기 부가정보 DB에 저장되는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메인 DB에 저장된 피해조사정보의 재해대장과 고유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메인 DB에 상기 피해조사정보가 등록된 후에는 상기 피해조사등록결과정보가 저장된 테이블에 저장된 고유키와 "신규공공시설입력번호"를 참조정보로 하여 상기 재해대장과 연결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additi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DB is connected to the disaster ledger of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ain DB through a unique key, and after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main DB, the damage investigation is registered. The unique key stored in the table in which the result information is stored and the "new public facility input number" may be connected with the disaster manager.

바람직하게, 상기 재난관리서버의 스케줄러를 통해 검증된 피해조사정보를 메인 DB에 등록하는 단계 후, 상기 모바일서버는 상기 조사자 단말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메인 DB에 저장된 피해조사정보를 상기 조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after registering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verified through the scheduler of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in the main DB, the mobile server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investigator terminal, the damage investigation stored in the main DB through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investigator terminal.

바람직하게, 상기 모바일서버는 상기 조사자 단말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메인 DB에 저장된 피해조사정보를 상기 조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조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재해대장을 각 건마다 하나의 요약화면으로 조사자에게 제공하고, 조사자로 하여금 상기 요약화면을 통해 상기 재해대장의 정보조회와 상기 재해대장에 추가로 정보를 입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Preferably,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investigator terminal, the mobile server providing the investigator terminal with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ain DB through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each case of the disaster ledger through the investigator terminal. Each summary screen may be provided to an investigator, and a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for the investigator to input information to the disaster ledger and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disaster ledger through the summary screen.

바람직하게, 상기 모바일서버는 상기 조사자 단말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메인 DB에 저장된 피해조사정보를 상기 조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조사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지도화면을 통해 주변의 피해조사의 위치를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되, 조사자가 상기 지도에 표시된 심볼을 선택하면 상기 피해조사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창이 활성화되고, 조사자가 활성화되는 요약 정보창을 선택하면 해당 재해대장이 제공되는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Preferably,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investigator terminal, the mobile server may provide the investigator terminal with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ain DB through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through a map screen provided by the investigator terminal. Providing it is possible to check the location of the damage investigation, but if the investigator selects the symbol displayed on the map, the summary information window for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s activated, and if the investigator selects the summary information window is activated, the disaster leader is provided To move to the screen.

바람직하게, 상기 모바일서버는 상기 조사자 단말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메인 DB에 저장된 피해조사정보를 상기 조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조사자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증강현실을 통해 재해대장 조회가 가능하도록 제공하되, 조사자가 증강현실을 통해 제공되는 피해조사 정보상자를 선택하면 좌하단에 요약 정보창이 활성화되고, 조사자가 활성화되는 요약 정보창을 선택하면 해당 재해대장이 제공되는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Preferably,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investigator terminal, the mobile server provides the investigator terminal with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ain DB through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through augmented reality provided by the investigator terminal. When the investigator selects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box provided through augmented reality, the summary information window is activated at the bottom left, and when the investigator selects the summary information window that the investigator is activated, the corresponding disaster ledger is moved to the screen. Can be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조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재난지역에서 피해조사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조사자가 상기 조사자 단말기를 통해 피해규모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직접입력방식과, 지도상에서 피해규모의 거리 및 면적을 측정하여 제공하는 지도측정방식과, GPS 추적을 활용하여 거리 및 면적을 측정하는 GPS 측정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간편하게 피해규모를 측정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tep of collecting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n the disaster area by using the investigator terminal, the direct input method in which the investigator directly inputs the damage scale information through the investigator terminal, and measures the distance and area of the damage scale on the map It can be provided to easily measure the damage by any one of the map measurement method provided by the GPS measurement method to measure the distance and area by using the GPS tracking.

바람직하게, 상기 조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재난지역에서 피해조사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조사자 단말기를 통해 재난지역의 피해내역을 단면도와 피해사진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피해조사정보를 수집하되, 상기 단면도는 표준단면도, 기저장된 이미지선택 또는 빈 페이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면도에 펜 기능을 통해 피해내역을 스케치하도록 제공하며, 상기 피해사진은 직접촬영 또는 기촬영되어 앨범에 저장된 사진을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tep of collecting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n the disaster area using the investigator terminal,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s collected by inputting a cross-sectional view and a damage picture of the damage history of the disaster area through the investigator terminal, Select one of the standard sectional view, pre-stored image selection or blank page, and sketch the damage history through the pen function on the selected sectional view, and the damage picture is directly taken or pre-recorded to select and enter the picture stored in the album. Can be provid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가 간편하고 대중적으로 보급된 모바일(예컨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피해조사정보(재해정보 및 부가정보 포함)를 수집하여 국가재난관리시스템의 메인 DB에 전송 및 등록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DB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by collecting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disaster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using a mobile (for example, smart phone) that is easy to carry and popularly distributed. You can save time and money by sending and registering with.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재난지역에서 모바일을 통해 수집된 피해조사정보를 중계 DB에 저장한 후 국가재난관리시스템의 스케줄러를 이용하여 중계 DB에 저장된 피해조사정보를 검증함으로써 수집된 피해조사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toring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mobile in the disaster area to the relay DB to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verifying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relay DB using the scheduler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It can guarantee the reliabi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사자 단말기에 피해조사앱을 설치하고, 상기 피해조사앱의 실행만으로 다양한 피해조사업무 기능들을 조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클릭-선택의 직관적인 조작사양으로 쉽고 간단하게 정보조회 및 정보수집이 용이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damage investigation app on the investigator terminal, by providing a variety of damage investigation work functions to the investigator only by the execution of the damage investigation app by the intuitive operation specification of the click-selection, the information search and information easily and simply Easy to coll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DB들 중 "피해조사"를 위해 필요한 DB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 DB의 테이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 DB의 피해조사등록결과 테이블 레이아웃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DB들 간의 자료교환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13은 피해조사앱의 기능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반 피해조사 모니터링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
도 15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피해조사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bile-based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DB table required for "damage investigation" of the main D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table configuration of a relay D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the damage investigation registration result table layout of the relay D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data exchange method between DB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1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unctions of the damage investigation app.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based damage investigation monitoring p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to 2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user interface (UI) of the damage investigation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esirabl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the terms used (hereafter) used herei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any way.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lso, components and act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comprising) "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nd operations.

명세서 전체에서, "조사자 단말기"라 함은 재난 피해 조사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로서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단말기를 말한다. 여기서, 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예를 들면, 휴대가 용이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능형 단말기인 스마트폰을 사용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investigator terminal" refer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s a terminal possessed by the disaster damage investigator. 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smart phone, a tablet PC, etc.). Preferably, a smart phone which is an intelligent terminal is used.

상기 조사자 단말기는 유무선 통신부, A/V(Audio/Video)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센싱부, 출력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요소들은 모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특성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The investigator terminal may include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 A / V input unit, a user input unit, a sensing unit, an output unit, a memory, an interface unit, a control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re not all essential, and may be added or subtract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상기 조사자 단말기에는 재난지역 피해조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하, 피해조사앱이라 함)이 설치된다. 상기 피해조사앱은 조사자가 재난지역에서 피해조사정보(예를 들면, 기초정보, 피해세부내역, 피해규모, 단면도, 사진, 위치, 지도조회, 자료조회 등)를 수집하여 모바일서버에 접속하여 수집된 정보를 전송 및 등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The investigator terminal is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damage investigation app) for disaster area damage investigation. The damage investigation app collects the investigator collects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basic information, damage details, damage scale, cross section, photo, location, map search, data search, etc.) in the disaster area to access the mobile server Provided information to be sent and registered.

상기 조사자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메시징 서비스, 예를 들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장문 메시지 서비스(LMS, Long Message Service), 멀티 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푸쉬(push) 메시지 또는 통지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 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investigator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messaging service, for example,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 long message service (LMS),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and the lik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message such as a push message or a notification message may be provided.

상기 조사자 단말기는 이동중 인터넷 통신, 팩스, 전송 등이 가능하며, 개인정보 관리기능을 포함한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Wibro/Wimax, WiFi, 3G(또는 4G) 등과 같은 통신망 등 일상 생활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다.The investigator terminal is capable of internet communication, fax, transmission, etc. while moving, and includes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In a daily life such as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TE Advanced), Wibro / Wimax, WiFi, 3G (or 4G) It is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to the Internet using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readily available, and to access the Internet in various ways using various browsing programs.

상기 조사자 단말기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위치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위성항법장치(GPS) 기반, 이동통신망 기반, WiFi 무선랜/센서네트워크 기반 위치인식기술, 또는 위성항법장치와 WiFi 무선랜을 결합한 위치인식기술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축된다. The investigator terminal is a GPS-bas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based, WiFi WLAN / sensor network-based location recognition technology, or a satellite navigation device and WiFi WLAN in order to utilize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based services. It is built to use technology.

상기 조사자 단말기는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이동통신망 기반의 위치정보제공시스템은 기지국, 위치인식서버,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이 가용지역에 해당한다. The investigator terminal may be provided with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d by a telecommunication company. For this,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based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base station, a location recognition server, and a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available. Corresponds to

상기 조사자 단말기는 위성항법장치(GPS)의 단점인 실내와 건물밀집 지역에서의 수신율 저하를 해결하기 위하여 위성항법장치와 연계한 WiFi 무선랜/센서 네트워크 기반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WiFi 무선랜/센서 네트워크 기반을 이용한 위치정보제공시스템은 근거리 무선통신망과 전자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vestigator terminal may be provided with location information by using a WiFi wireless LAN / sensor network base associated with the satellite navigation system to solve a decrease in reception rate in indoor and building dense areas,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GPS.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WiFi wireless LAN / sensor network base may inclu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n electronic tag.

상기 조사자 단말기는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얻어진 위치정보와 함께 지리정보장치(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와 결합 연계되어 지도상에 위치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지리정보장치는 건물, 도로, 하천, 등고선, 행정구역경계 등과 같이 지형, 지리적으로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 저장, 출력,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지리정보를 구축, 유지관리, 편집, 분석 및 프로세싱, 디스플레이 및 출력 등의 과정을 통하여 공간정보를 얻는 동시에 공간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시스템이다. The investigator terminal is linked with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location-based service to display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map. Geographical information devices are used for collecting, storing, outputting, and analyzing geographical and geographically related data such as buildings, roads, rivers, contour lines, and administrative zone boundaries. They are used to construct, maintain, edit, analyze, It is a system that helps spatial decision making while acquiring spatial information through processes such as display and output.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보안서버", "모바일서버", "재난관리서버"는 조사자 단말기와 상호 데이터 통신하기 위하여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b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security server", "mobile server", "disaster management server"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conventional web server in hardware in order to communicate data with the investigator terminal, and in software C, C ++ Contains program modules that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languages, including Jaba, Visual Basic, Visual C, and more.

또한, 상기 "보안서버", "모바일서버", "재난관리서버"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보안서버", "모바일서버", "재난관리서버"는 각각 각종 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가 내부 또는 외부에 구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urity server", "mobile server", "disaster management server" is the operating system, such as DOS (windows), Windows (linux), Unix (macintosh), Macintosh, etc. in general server hardware It can be implemented using a web server program that is provided in various ways, and typical examples are website used in the Windows environment, CERN, NCSA, APPACH used in the Internet (Internet Information Server) and Unix environment. This can be used. The "security server", "mobile server", "disaster management server" may be a database built in or outside each to store and manage a variety of information.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나, 혹은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element)들을 가질 수 있다.The database refers to a data storage type that can freely search (extract) data, delete data, edit data, add data, and the like. Such a database may be a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such as oracle, infomix, sybase, DB2, or an object-orien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such as gemston, orion, O2, specific databases such as excelon, tamino, sekaiju, and the like, and may have appropriate fields or elements.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조사자"라 함은 재난지역에 방문하여 조사자 단말기를 통해 피해조사정보를 수집한 후 수집된 피해조사정보를 모바일서버에 전송하여 등록하는 주체자이다. In the entire specification, "investigator" refers to a subject who visits a disaster area and collects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vestigator terminal and transmits the collected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to a mobile server.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bile-based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난피해 조사시스템은 조사자 단말기(10), 모바일서버(20) 및 재난관리서버(30)를 포함한다. 또한, 재난피해 조사시스템은 중계 DB(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안서버(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vestigator terminal 10, a mobile server 20, and a disaster management server 30. In addition, the disaster investigation investig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relay DB (40). In addition, the security server 50 may further include.

조사자 단말기(10)는 재난지역에서 조사자가 직접 피해조사정보를 수집하여 모바일서버(20)로 전송하여 등록하기 위한 피해조사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해조사앱은 모바일서버(20)로부터 내려받아 설치하거나, 또는 기타 스마트폰용 앱 스토어(예를 들면, 애플 앱스토어, 구글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서 내려받아 설치할 수 있다.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is installed with a damage investigation app for the investigator to collect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directly from the disaster area and transmit it to the mobile server 20 to register. The damage investigation app may be downloaded from the mobile server 20 and installed, or may be downloaded and installed from other smartphone app stores (for example, Apple App Store, Google Android Market, etc.).

조사자는 조사자 단말기(10)를 통해 모바일서버(20)에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인터넷 창을 통해 모바일서버(20)의 URL 주소를 입력하여 접속하거나, 혹은 별도로 피해조사앱을 설치한 후 실행하는 방법으로 접속할 수도 있다. The investigator can access the mobile server 20 through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can access the mobile server 20 by inputting the URL address of the mobile server 20 or install the damage investigation app separately. You can also connect by running it.

조사자 단말기(10)는 피해조사앱의 실행을 통해 재난지역에서 조사된 피해조사정보(재해대장)를 수집한 후 수집된 피해조사정보를 통신망(1)을 통해 모바일서버(20)로 제공한다.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collects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disaster ledger) surveyed in the disaster area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damage investigation app and provides the collected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server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

모바일서버(20)는 부가정보 DB(21)와 함께 피해조사시스템을 구축하며, 피해조사를 위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바일서버(20)는 조사자 단말기(10)로부터 제공되는 재난지역 피해조사정보들(재해대장, 부가정보)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재난관리서버(30)로 제공한다. 이러한 모바일서버(20)는 조사자 단말기(10)로부터 제공되는 피해조사정보들 중 재해대장 기재정보 외에 피해조사 부가정보(예를 들면, 사진정보, 위치정보 및 동영상 정보 등)를 부가정보 DB(21)에 저장 및 관리한다.The mobile server 20 builds a damage investigation system together with the additional information DB 21 and provides a mobile service for damage investigation. The mobile server 20 receives the disaster area damage survey information (disaster ledger,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in real time and provides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30 to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30. The mobile server 20 may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eg, photo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etc.) of damage investigation additional information (for example, photo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on the disaster register among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 To store and manage.

모바일서버(20)는 조사자 단말기(10)의 요청에 응답하여 재난관리서버(30)에 연계된 메인 DB에 저장된 정보들을 조사자 단말기(10)로 제공하거나, 조사자 단말기(10)로부터 제공되는 현장의 피해조사정보를 전달받아 실시간으로 중계 DB(40)로 제공한다. The mobile server 20 provides information stored in the main DB linked to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30 to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or the site provided from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nd provided to the relay DB 40 in real time.

재난관리서버(30)는 중계 DB(40)를 포함하여 국가재난관리시스템을 구축하며, 모바일서버(2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피해조사정보들을 제공받아 메인 DB에 등록한다. 피해조사정보에는 재해대장을 포함하고, 재해대장 기재정보에는 "재해대장총괄정보", "피해세부내역정보", "멀티미디어정보", "교통상황상세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30 builds a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relay DB 40 and receives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from the mobile server 20 and registers it in the main DB.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disaster register, and the disaster register information may include "disaster register general information", "damage detail information", "multimedia information", and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상기에서, "재해대장총괄정보"는 재해에 대한 일반 정보 및 개요를 포함할 수 있다. "피해세부내역정보"는 피해발생에 대한 건별 상세 내용과, 하나의 총괄에 첨부된 n개의 세부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정보"는 재해대장에 첨부되는 사진, 동영상, 위치도 등을 포함하는 피해내역의 첨부파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교통상황상세정보"는 피해발생지역의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above, "disaster register general information" may include general information and an overview of the disaster. The "detailed detail information" may include the details of each occurrence of the damage and the n details attached to one collective. "Multimedia information" may include attachment file information of the damage history, including a picture, video, location map and the like attached to the disaster register. "Traffic situation details" may include information on traffic conditions in the area where the damage occurred.

상기 재해대장 기재정보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재난관리서버(30)와 연결된 메인 DB(도시되지 않음)에 저장 및 관리된다. 상기 메인 DB에 저장 및 관리되는 재해대장 기재정보는 추후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참조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참조정보는 "피해조사 등록결과" 테이블의 고유키와 "신규 공공시설입력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disaster register information is stored and managed in the main DB (not shown) connected to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30. The disaster register information stored and managed in the main DB includes reference information to facilitate later retrieval, and the reference information includes a unique key and a "new public facility input number", etc. of the "damage investigation registration result" table. It may include.

도 2는 국가관리시스템에 구축되어 있는 재해, 피해조사, 복구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다양하고 방대한 메인 DB들 중 "피해조사"를 위해 필요한 DB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메인 DB는 재난관리시스템에서 관리되고, 현장에서 조사자 단말기(10)를 통해 피해조사를 수행할 때에도 필요한 자료들이기 때문에 일부 정보는 모바일서버(20)를 통해 조사자 단말기(10)로 전송된다.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DB table necessary for "damage investigation" among various and vast main DBs in order to manage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and recovery information established in the national management system. As shown in FIG. This main DB is managed by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som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through the mobile server 20 because it is necessary data when performing damage investigation through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in the field.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난피해 조사시스템은 중계 DB(4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중계 DB(40)는 조사자 단말기(10)로부터 수집된 피해조사정보들을 재난관리시스템의 재난관리서버(30)와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모바일서버(20)에서 중계 DB(40)에 재해대장을 등록하면 재난관리시스템의 스케줄러에서 주기적으로 자료를 검증한 후 메인 DB에 조사내용을 반영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the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lay DB 40, the relay DB 40 is the damage investigation collected from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As a system for interlocking information with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30 of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when a disaster register is registered in the relay DB 40 in the mobile server 20, the main system periodically verifies the data in the scheduler of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The survey will be reflected in the DB.

조사자 단말기(10)를 통해 조사된 피해조사정보는 국가재난관리시스템의 재난관리서버(30)로 전송되어 등록되는데, 이때, 중계 DB(40)는 피해조사시스템과 국가재난관리시스템 간의 연계로 인한 안정성과 보안문제들을 방지하기 위해 운영된다.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surveyed through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is transmitted and registered to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30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At this time, the relay DB 40 is generated due to the linkage between the damage investigation system and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It is operated to prevent stability and security problems.

도 3은 중계 DB(40)의 테이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DB(40)는 크게 피해조사정보(예를 들면, 재해대장)와 피해조사등록결과정보가 각각 저장되는 5개의 테이블로 분류될 수 있으며, 국가재난관리시스템의 메인 DB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현장에서 조사된 피해조사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table configuration of the relay DB 40, as shown in Figure 3, the relay DB 40 is largely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disaster ledger) and damage investigation registration The result information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ables, each of which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main DB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stores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surveyed on-site.

피해조사정보가 저장되는 테이블은 "재해대장총괄정보", "피해세부내역정보", "멀티미디어정보", "교통상황상세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피해조사시스템에서 등록된 재해대장은 국가재난관리시스템이 스케줄러에 의해 검증된 후 메인 DB에 저장되는데, 피해조사등록결과정보가 저장되는 테이블에는 상기한 스케줄러의 처리결과를 기록하고 등록실패시 오류코드를 저장한다. 또한, 메인 DB 적용시 변경정보에 대한 이력을 관리하며 메인 DB 적용 여부를 제어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The table in which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cludes "disaster manager general information", "damage detail information", "multimedia information", and "traffic situation details". In addition, the disaster register registered in the damage investigation system is stored in the main DB after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is verified by the scheduler. In the table where the damage investigation registration result information is stored,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scheduler described above is recorded and the registration failure occurs. Save the error code. In addition, it manages the history of change information when the main DB is applied, and includes information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main DB is applied.

도 4는 중계 DB(40)의 피해조사등록결과 테이블 레이아웃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damage investigation registration result table layout of the relay DB 40.

도 4를 참조하면, '1~6'은 재해대장의 고유키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인자들이 저장되는 항목이다. '1~6'에 저장되는 인자들을 조합하여 재해대장의 고유키를 생성한다. "5"는 메인 DB 등록시 확정되는 번호로 데이터 중계 DB(40) 등록시 가등록번호를 부여하는 항목이다. "7"은 등록되는 재해대장의 유형정보, 예를 들면, 신규등록, 수정 및 삭제를 요청하는 항목이다. "8" 항목은 메인 DB(40) 등록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항목이다. "9"는 중계 DB 최초 등록 일시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10"은 중계 DB(40)의 최종 수정 일시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11"은 메인 DB 등록결과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12"는 메인 DB 등록시 확정된 "공공시설일련번호"로, 자료 이력 관리 위해 "5"와 별도로 기록하는 항목이다. "13"은 스케줄러의 처리 일시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11~13' 항목은 국가재난관리시스템의 스케줄러에 의해 입력된다. Referring to Figure 4, '1-6' is an item that stores the factors used to create a unique key of the disaster register. A unique key of the disaster leader is created by combining the factors stored in '1 ~ 6'. &Quot; 5 " is a number which is determined when registering the main DB and assigns a provisional registration number when registering the data relay DB 40. FIG. "7" is an item for requesting the type information of the disaster register registered, for example, new registration, modification and deletion. An item "8" is an item for determining whether to permit registration of the main DB 40. "9" is an item indicating the relay DB initial registration date and time. "10" is an item indicating the last modified date and time of the relay DB 40. "11" is an item indicating the main DB registration result. "12" is the "public facility serial number" determined when the main DB is registered, and is an item recorded separately from "5" for data history management. "13" is an item indicating the processing date and time of the scheduler. The '11 ~ 13 'items are entered by the scheduler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난피해 조사시스템의 자료교환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view illustrating a data exchange method of the disaster investigation investig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조사자 단말기(10)를 통해 재난피해현장에서 수집된 피해조사정보, 즉 재해대장과 부가정보는 피해조사시스템을 통해 국가재난관리시스템으로 제공된다. Referring to Figure 5, through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collected at the disaster damage site, that is, the disaster register and additional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damage investigation system.

조사자 단말기(10)로부터 제공되는 재해대장과 부가정보는 중계 DB(40)에 등록된다. 중계 DB(40)에 등록된 피해조사정보들은 국가재난관리시스템의 스케줄러를 통해 주기적으로 검증된 후 메인 DB에 검증내용(조사내용)이 반영된 정보들이 등록된다. The disaster register and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are registered in the relay DB 40.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relay DB 40 is periodically verified through the scheduler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then the information reflecting the verification contents (investigation contents) is registered in the main DB.

조사자 단말기(10)로부터 피해조사시스템으로 전송되는 부가정보는 모바일서버(20)를 통해 부가정보 DB(21)에 실시간으로 저장되고, 고유키를 통해 재해대장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 DB 등록 후에는 "피해조사등록결과" 테이블의 고유키와 "신규공공시설입력번호"의 참조정보로 하여 부가정보와 재해대장을 상호 연결(매칭)한다. The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to the damage investigation system may be stored in real time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DB 21 through the mobile server 2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isaster ledger through a unique key. After the main DB registration, the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 disaster register are interconnected (matched) using the unique key of the "damage investigation registration result" table and the reference information of the "new public facility input number".

조사자 단말기(10)는 재난관리서버(30)로 메인 DB에 저장된 피해조사정보들에 대한 열람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재난관리서버(30)는 메인 DB에 저장된 피해조사정보들(재해정보, 부가정보)을 조사자 단말기(10)로 제공한다.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may request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30 to view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ain DB, and in response to the request,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30 may request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ain DB ( Disaster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도 6 내지 도 13은 피해조사앱의 기능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이다. 6 to 1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unctions of the damage investigation app.

도 6을 참조하면, 조사자 단말기(10)는 피해조사앱의 실행을 통해 다양한 피해조사업무 기능들을 조사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면, 화면단위 단계별 업무진행, 기초정보 자동입력, 피해물량 측정(GSP, MAP),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조회, 사용자 위치 이동에 따른 지도상 위치 트래킹, 플랫폼 특성을 고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이미지맵과 영상맵의 선택적 사용, 증강현실을 이용한 정보조회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provides the investigator with various damage investigation task functions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damage investigation app. For example, task progress by screen unit, automatic input of basic information, measurement of damage quantity (GSP, MAP), location search using augmented reality, location tracking on map according to user's location movement, user interface (UI) considering platform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can provide information search functions using augmented reality, selective use of image maps and image maps.

도 7을 참조하면, 조사자 단말기(10)는 피해조사가 즉시 가능하도록 메인화면을 구성하였으며, 재해대장 조회를 자료조회 화면으로 통합 구성하여 사용 편의를 도모하였다. 또한, 액션바를 통해 주요 회면 즉시 이동이 가능하고, 퀵 액션을 통해 화면 이동없이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작은 화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별도의 팝업창으로 입력 편의를 도모하고, 기본 재해 설정으로 반복 입력 프로세스를 제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configured the main screen to immediately perform the damage investigation, and integrated the system for inquiring the disaster ledger into a data inquiry screen for convenience of us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ve the main screen immediately through the action bar, and various operations are possible without moving the screen through the quick ac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a small screen, a separate pop-up window can be used for input convenience, and a repetitive input process can be eliminated with a basic disaster setting.

도 8을 참조하면, 조사자 단말기(10)는 재해대장 1건을 하나의 요약화면으로 구성하여 재해대장 중심의 사용자 작업 환경을 반영하였다. 또한, 요약화면을 통해 정보 조회 및 추가 입력이 가능하고, 조사, 입력 항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하며, 클릭-선택의 직관적인 조작사양으로 쉽고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configures one disaster ledger into one summary screen to reflect the user work environment centered on the disaster ledg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arch and add information through the summary screen, configure the screen to grasp survey and input items at a glance, and provide an easy and simple user interface (UI) with intuitive operation specification of click-selection.

도 9를 참조하면, 조사자 단말기(10)는 직접입력, 지도측정(거리, 면적), GPS 측정과 같이 다양한 방식의 피해규모 측정방식을 제공하며, 복구단가의 적용으로 측정된 피해규모에 따른 피해규모를 자동으로 계산이 가능하다. 또한, GPS 추적(tracking)을 활용한 거리 및 면적 측정 방식을 적용하여 간편하게 피해규모를 측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provides various types of damage scale measurement methods such as direct input, map measurement (distance, area), and GPS measurement, and damages according to the damage scale measured by the application of recovery unit cost. The scale can be calculated automatically. In addition, by applying a distance and area measurement method using GPS tracking it is possible to easily measure the damage scale.

도 10을 참조하면, 조사자 단말기(10)는 재난지역의 단면도 및 피해사진을 입력할 수 있다. 표준단면도, 이미지선택, 빈 페이지 중에서 단면도를 선택하도록 제공하고, 펜 기능으로 단면도에 피해 내역을 스케치할 수 있으며, 공종그룹, 선택, 관리기능 등이 가능하고, 직접촬영, 앨범선택을 통한 피해사진 입력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10,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may input a sectional view of the disaster area and a photograph of damage. It provides the user to select the cross section from the standard cross section, image selection, and blank page, and can sketch the damage details on the cross section with the pen function, work group, selection, management function, etc., damage photo by direct shooting, album selection Input is possible.

도 11을 참조하면, 조사자 단말기(10)는 재해대장 조회 및 자료 관리기능을 제공한다. 재해대장 조회를 자료조회 화면으로 통합구성하여 사용 편의를 도모하고, 자료 관리를 위한 하단 메뉴바를 구성하였다. 또한, 퀵액션 구성으로 재해대장, 피해내역의 삭제, 재전송 기능을 제공하고, 등록사진의 조회 및 삭제 기능도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11,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provides a disaster register inquiry and data management function. Disaster ledger inquiry was integrated into the data inquiry screen for convenience of use, and the bottom menu bar for data management was constructed. In addition, the quick action configuration provides disaster register, damage history deletion, retransmission function, and the registered photos can be viewed and deleted.

도 12를 참조하면, 조사자 단말기(10)는 지도와 증강현실을 이용한 재해대장 조회가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지도화면을 통해 주변의 피해조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지도상에 표시된 심볼을 선택하면 피해조사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창이 활성화된다. 그리고, 활성화된 요약 정보창을 선택하면 해당 재해대장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증강현실(AR) 기능에 의해 피해조사의 위치도 확인이 가능하고, 피해조사 정보상자 클릭시 좌하단에 요약 정보창이 활성화된다. 그리고, 활성화된 요약 정보창을 선택하면 해당 지도와 마찬가지로 해당 재해대장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provides a map of a disaster ledger using maps and augmented reality. You can check the location of the surrounding damage investigation on the map screen, and select the symbol displayed on the map to activate the summary information window for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f you select the active summary information window, you can move to the corresponding disaster register screen.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damage investigation can be confirmed by the AR function, and when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box is clicked, the summary information window is activated at the bottom left. If you select the activated summary information window, you can move to the disaster register screen like the map.

도 13을 참조하면, 조사자 단말기(10)는 위치도 등록, 전송 및 부가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위성지도(구글맵)의 선택이 가능하고, 복수의 피해위치를 위치도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테스트 서버에 재해대장 전송 또는 임시저장도 가능하다. 또한, 위치에 대한 주소정보를 획득하는데 실패한 경우 사용자의 선택으로 직접 입력 또한 가능하다. 메인화면 정보창을 통해 프로그램과 전송 요약정보도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13,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may provide location map registration, transmission, and additional functions. General / satellite maps (Google maps) can be selected, and a plurality of damage locations can be displayed on a location map. It is also possible to send a disaster log to the test server or temporarily store it. In addition, if it fails to obtain the address information for the location, it is also possible to enter directly by the user's selection. It also provides a summary of the program and its transfers via the main screen info window.

도 14는 모바일 기반 피해조사 모니터링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피해조사 웹 메인 페이지를 피해집계(최종 조사일, 해당연도 피해액 집계), 최종 피해접수 정보제공, 지역별 및 시설별 피해현황(피해액 및 조사건수)을 그래프로 제공한다.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 mobile-based damage investigation monitoring page. The damage investigation web main page includes damage aggregation (final investigation date and damage amount for the year), final damage reception information, damage status by region and facility (damage and investigation number). ) As a graph.

도 15 내지 도 26은 피해조사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이다. 15 to 2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user interface (UI) of the damage investigation app.

먼저, 도 15는 피해조사앱의 화면 구성으로서, 크게 "시작화면", "로그인화면", "메인화면", "재해선택화면", "피해조사화면", "자료조회화면", "지도조회화면", "프로그램설정화면", "기초정보입력화면", "피해세부내역화면", "피해사진삭제화면", "피해규모측정화면", "사진등록화면", "주소검색화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First, Figure 15 is a screen configuration of the damage investigation app, largely "start screen", "login screen", "main screen", "disaster selection screen", "damage investigation screen", "data inquiry screen", "map search" Screen "," program setting screen "," basic information input screen "," damage detail screen "," damage picture deletion screen "," damage scale measurement screen "," photo registration screen "," address search screen ", etc. Can be done.

도 16 및 도 17은 상세화면으로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화면"에는 조사자가 선택할 수 있는 "기본메뉴버튼" 등이 제공된다. 상기 "기본메뉴버튼"에는 "재해선택", "피해조사", "자료조회", "지도조회" 및 "설정" 등과 같은 선택버튼이 제공된다. 16 and 17 are detailed screens. As shown in FIG. 16, a “main screen” is provided with a “basic menu button” that an investigator can select. The "basic menu button" is provided with selection buttons such as "disaster selection", "damage investigation", "data search", "map search" and "setting".

"재해선택"에는 홈으로 이동하는 "홈버튼", 단축 메뉴얼 버튼인 "단축메뉴버튼", "메뉴 타이틀", 등록된 재해들의 리스트가 표시되는 "재해선택리스트" 등이 제공된다. The "disaster selection" is provided with a "home button" moving to the home, a "short menu button" which is a shortcut manual button, a "menu title", and a "disaster selection list" which displays a list of registered disasters.

"피해조사"에는 "기초정보입력", "기초정보내역", "피해세부내역정보창", "입력완료버튼" 등이 제공된다. The "damage investigation" is provided with "basic information input", "basic information details", "damage detail information window", "input complete button", and the like.

"자료조회"에는 "자료상태아이콘", "저장자료리스트" 등이 제공된다. "Data Inquiry" provides "Data Status Icon", "Stored Data List", etc.

"지도조회"에는 "위성/일반지도전환버튼", "현재위치 이동버튼", "주소입력창", "주소검색버튼", "지도화면" 등이 제공된다. "Map search" is provided with "satellite / general map switch button", "current location moving button", "address input window", "address search button", "map screen".

"프로그램설정"에는 "프로그램설정", "동기화체크박스", "프로그램 이력조회", "업데이트 정보조회" 등이 제공된다. "Program setting", "Program setting", "Sync check box", "Program history inquiry", "Update information inquiry", etc. are provided.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정보를 입력하는 창에는 "기초정보입력항목", "기초정보입력상태", "입력완료" 등이 제공된다. As shown in Fig. 17, a window for inputting basic information is provided with "basic information input item", "basic information input state", "input complete" and the like.

피해세부내역을 입력하는 창에는 "피해세부내역입력항목", "피해세부내역입력상태", "입력완료버튼" 등이 제공된다. In the window for inputting the damage details, "damage details entry items", "damage details entry status", and "input complete button" are provided.

피해사진을 삭제하는 창에는 "이미지썸네일"과, "취소" 및 "삭제" 등과 같은 버튼이 제공된다. The window for deleting the damaged photo is provided with buttons such as "image thumbnail", "cancel" and "delete".

피해규모를 측정하여 입력하는 창에는 피해가 발생한 지역의 지점을 등록하는 "포인트추가", "포인트삭제", "전체삭제", "입력완료" 등과 같은 버튼들이 제공된다. In the window for measuring and inputting the damage scale, buttons such as "add point", "delete point", "delete all", and "complete input" are provided to register the point of the area where the damage occurred.

사진을 등록하는 창에는 "피해사진 썸네일", "단면도 썸네일" 등이 제공된다. In the window for registering a picture, "damage picture thumbnail", "section thumbnail", and the like are provided.

주소를 검색할 수 있는 창에는 "텍스트 입력창"과 GIS와 연계된 지도가 제공된다. The window where you can search for addresses is provided with a "text entry window" and a map associated with the GIS.

이하, 도 18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조작사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specificatio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8 to 26.

먼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사자 단말기(10)에 설치된 피해조사앱을 실행하면 "Smart 피해조사" 화면이 제공된 후, 로그인 화면이 제공되고, 조사자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메인화면"이 제공된다. First, as shown in FIG. 18, when the damage investigation app installed in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is executed, a "Smart Damage Investigation" screen is provided, and then a login screen is provided, and the investigator inputs an ID and a password to successfully authenticate. When completed, the "main screen" is provided.

"메인화면"에서 "재해선택"을 선택하면 이미 단말기 DB에 등록되어 제공되는 재해들 중 해당 재해를 선택하여 기본재해로 설정하고, 선택된 기본재해 또는 신규재해에 대해 기초정보를 편집 및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초정보입력창으로 이동한다. 아울러, 선택된 기본재해에 대해 사전에 메인 DB에 등록된 자료를 요청받는 창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If you select “Disaster Selection” in “Main Screen”, you can select the disaster among those already registered and provided in the terminal DB to set as the basic disaster, and edit and register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basic disaster or new disaster. In the case, it moves to the basic information input window. In addition, you can move to the window that is requested for the data registered in the main DB in advance for the selected basic disaster.

"메인화면"에서 "피해조사"를 선택하면, "기본재해설정여부"에 따라 기본정보입력창으로 이동한다. If you select "Inspection" in "Main Screen", you will be directed to the basic information input window according to "Basic Disaster Setting".

"메인화면"에서 "지도검색"을 선택하면, 입력창이 제공되고, 입력창에 주소를 입력하면 주소에 해당하는 지점이 지도화면에 표시되고, 이를 편집한 후 전송을 클릭하면, 편집된 지도사진은 피해조사시스템과 국가재난관리시스템으로 제공된다. If you select "Map Search" in "Main Screen", an input window is provided. If you input an address in the input window,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is displayed on the map screen. It serves as a damage investigation system and a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도 19는 기초정보입력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먼저 기초정보입력창에서 "기초정보입력"을 선택하면, "피해위치", "접수일시", "행정서비스", "소과부처", "시설구분", "시설등급", "피해요인" 등의 항목이 제공된다. 1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asic information input process. Referring to FIG. 19, first, select "basic information input" in the basic information input window, "damage location", "date and time of reception", "administrative service", "subdivision department", "facility classification", "facility class" , "Victims", etc. are provided.

도 20은 피해세부내역입력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먼저 기초정보입력창에서 "기초정보입력"을 선택하면, "피해위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규격", "피해규모측정", "단면도" 등의 항목이 제공된다. 20 is a view illustrating a damage detail input process. Referring to FIG. 20, when "basic information input" is first selected in the basic information input window, "damage location", "large classification", "medium classification", "small classification", "standard", "measurement scale", "cross section" And the like are provided.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피해규모측정"의 입력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피해규모측정"을 선택하면, 입력방식에 따라 입력좌표를 입력하는 "직접입력", 지도를 이용한 "지도측정" 및 GPS를 이용한 "GPS 측정"으로 나누어지고, 이들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선택하여 피해규모를 측정할 수 있다. FIG. 2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nput process of " damage scale measurement " Referring to FIG. 21, when the "damage scale measurement" is selected, it is divided into "direct input" for inputting input coordinates, "map measurement" using a map, and "GPS measurement" using a GPS. Either method can be used to measure damage.

도 22는 재난지역의 단면도와 사진 등록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화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재난지역의 사진을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직접 조사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거나, 기촬영되어 저장된 사진앨범에서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단면도는 "표준단면도", "단면도선택", "이미지선택"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표준단면도"는 4개의 단면도(정면, 좌안, 우안, 일반)를 등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표준단면도"가 없는 경우에는 빈 페이지가 로딩된 후 그 화면에 조사자가 검정, 빨강, 파랑의 펜을 이용하여 단면도를 그릴 수 있다. 22 is a screen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aster area and a picture registration process. Referring to FIG. 22, when a photograph of a disaster area is to be registered, a photograph may be directly photographed using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or may be selected and registered from a photographed and stored photo album. The cross section can be registered by selecting any one of "standard cross section", "cross section selection" and "image selection". "Standard cross section" provides for the registration of four cross sections (front, left eye, right eye, general). If there is no "standard section", the blank page is loaded and the investigator can draw a section using black, red, and blue pens on the screen.

도 23은 위치도 등록 및 전송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화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재해대장을 기입완료 후, 조사자 단말기(10)의 화면창에 지도와 함께 표시되는 현재 위치화면과 재해대장을 함께 통신망을 통해 국가재난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한다. 23 is a screen illustrating a location diagram registration and transmission process. Referring to FIG. 23, after completing writing of the disaster register, the current position screen and the disaster register displayed together with the map on the screen window of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are transmitted together to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도 24는 지도조회검색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화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GPS 위치추적을 통해 현재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거나, 혹은 입력창에 주소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지도상에 현재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재난지역의 현재 위치는 증강현실(AR)을 통해 3차원으로 제작되어 제공될 수 있다. 24 is a screen illustrating a map search search process. Referring to FIG. 24, the current location may be displayed on a map through GPS location tracking, or the current location may be displayed on a map by inputting an address in an input window. In additi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disaster area can be produced and provided in three dimensions through augmented reality (AR).

도 25는 자료조회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화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자료조회 화면창에서는 "로컬자료", "서버자료", "사전접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탭이 제공된다. "로컬자료"는 조사자 단말기(10)에서 조사되고 입력된 자료이고, "서버자료"는 모바일서버(20)에서 전송된 국가재난관리시스템의 자료이며, "사전접수"는 모바일서버(20)에서 전송된 국가재난관리시스템의 사전접수 자료이다. 조사자는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조사자 단말기(10)를 통해 국가재난관리시스템으로 제공되는 재해대장을 새롭게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갱신할 수 있다. 25 is a screen illustrating a data inquiry process. Referring to FIG. 25, a tab is provided in the data inquiry screen window to select one of "local data", "server data", and "pre-receipt". "Local data" is the data surveyed and input from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server data" is the data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transmitted from the mobile server 20, "pre-receipt" is from the mobile server 20 It is a pre-receipt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transmitted. The investigator may select any one of them and update the disaster register provided to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investigator terminal 10 using newly collected information.

도 26은 설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화면으로서, 이 화면을 통해 "사전업무 동기화", "사후업무 동기화", "GPS 정보", "프로그램 정보" 등을 설정할 수 있다.
FIG. 26 is a screen for explaining a setting process. Through this screen, "pre-task synchronization", "post-task synchronization", "GPS information", "program information", and the like can be se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combining these. Accordingly,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set forth in the claims.

1 : 통신망
10 : 조사자 단말기
20 : 모바일서버
21 : 부가정보 DB
30 : 재난관리서버
40 : 중계 DB
50 : 보안서버
1: communication network
10: investigator terminal
20: Mobile server
21: Additional Information DB
30: disaster management server
40: relay DB
50: security server

Claims (21)

조사자 단말기;
상기 조사자 단말기를 통해 수집된 재난지역의 피해조사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피해조사정보에 포함된 부가정보를 부가정보 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모바일서버;
상기 모바일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피해조사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중계 DB; 및
상기 중계 DB에 저장된 상기 피해조사정보의 재해대장을 스케줄러를 통해 주기적으로 검증한 후 검증된 피해조사정보를 메인 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재난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Investigator terminal;
A mobile server for receiving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of the disaster area collected through the investigator terminal and storing and managing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n an additional information DB;
A relay DB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obile server; And
A disaster management server that periodically verifies the disaster register of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relay DB through a scheduler and stores and manages the verified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n the main DB.
Mobile-based disaster prevention investigation system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DB는 상기 피해조사정보를 "재해대장총괄정보", "피해세부내역정보", "멀티미디어정보", "교통상황상세정보" 및 "피해조사등록결과정보"로 분류하여 각각 저장하기 위하여 5개의 테이블로 구성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relay DB stores and stores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nto "disaster general management information", "damage detail information", "multimedia information", "traffic situation details" and "damage investigation registration result information". Mobile disaster investigation system consisting of two tabl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해조사등록결과정보가 저장된 테이블에는 상기 스케줄러의 검증결과와 검증실패시 오류코드를 기록하고, 상기 메인 DB에 적용시에는 변경정보에 대한 이력과 상기 메인 DB에 적용여부를 제어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table where the damage investigation registration result information is stored, a verification result of the scheduler and an error code when verification failure is recorded, and when applied to the main DB, a history of chang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to the main DB are stored. Mobile based disaster investigation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DB에 저장되는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메인 DB에 저장된 피해조사정보의 재해대장과 고유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메인 DB에 상기 피해조사정보가 등록된 후에는 상기 피해조사등록결과정보가 저장된 테이블에 저장된 고유키와 "신규공공시설입력번호"를 참조정보로 하여 상기 재해대장과 연결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dditi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DB is connected to the disaster ledger of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ain DB through a unique key, and after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main DB, the damage investigation registration result information is stored. Mobile-based disaster prevention investigation system connected to the disaster ledger by using the unique key stored in the stored table and the "new public facility input number" as reference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서버는 상기 조사자 단말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메인 DB에 저장된 피해조사정보를 상기 조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obile server provides the disaster invest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ain DB to the investigator terminal through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investigator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자 단말기는 상기 재해대장을 각 건마다 하나의 요약화면으로 조사자에게 제공하고, 조사자로 하여금 상기 요약화면을 통해 상기 재해대장의 정보조회와 상기 재해대장에 추가로 정보를 입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vestigator terminal provides the disaster ledger to the investigator in one summary screen for each case, and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the investigator to input information to the disaster ledger and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disaster ledger through the summary screen. Mobile disaster investiga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자 단말기는 조사자가 피해규모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직접입력방식과, 지도상에서 피해규모의 거리 및 면적을 측정하여 제공하는 지도측정방식과, GPS 추적을 활용하여 거리 및 면적을 측정하는 GPS 측정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간편하게 피해규모를 측정하도록 제공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vestigator terminal is a direct input method in which the investigator directly inputs damage scale information, a map measurement method for measuring the distance and area of the damage scale on a map, and a GPS measurement method for measuring the distance and area using GPS tracking. A mobile-based disaster investigation system that provides easy measurement of damage in any of the way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자 단말기는 재난지역의 피해내역을 단면도와 피해사진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상기 모바일서버로 제공하되, 상기 단면도는 표준단면도, 기저장된 이미지선택 또는 빈 페이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면도에 펜 기능을 통해 피해내역을 스케치하도록 제공하며, 상기 피해사진은 직접촬영 또는 기촬영되어 앨범에 저장된 사진을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제공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vestigator terminal provides the damage history of the disaster area to the mobile server by inputting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hoto of the damage, wherein the cross-sectional view selects one of a standard cross section, a pre-stored image selection or a blank page, and a pen function on the selected cross section. It provides a sketch of the damage through the damage, the damage photo is directly taken or pre-recorded mobile based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system that provides to select and enter the photos stored in the albu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자 단말기는 지도를 통해 주변의 피해조사의 위치를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되, 조사자가 상기 지도에 표시된 심볼을 선택하면 상기 피해조사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창이 활성화되고, 조사자가 활성화되는 요약 정보창을 선택하면 해당 재해대장이 제공되는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제공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vestigator terminal is provided to confirm the location of the surrounding damage investigation through a map, when the investigator selects a symbol displayed on the map, the summary information window for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s activated, and the summary information window for the investigator is activated. When selected, the mobile disaster-based disaster investigation system that provides a screen to move to the corresponding disaster regis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자 단말기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재해대장 조회가 가능하도록 제공하되, 조사자가 증강현실을 통해 제공되는 피해조사 정보상자를 선택하면 좌하단에 요약 정보창이 활성화되고, 조사자가 활성화되는 요약 정보창을 선택하면 해당 재해대장이 제공되는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제공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vestigator terminal is provided to be able to look up the disaster ledger using augmented reality, if the investigator selects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box provided through augmented reality, the summary information window is activated at the bottom left, and if the investigator selects the summary information window activated Mobile-based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system that provides to move to the screen that the disaster register is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자 단말기와 상기 모바일서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사자 단말기와 상기 모바일서버 간의 통신시 보안을 담당하는 보안서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ecurity server installed between the investigator terminal and the mobile server to secur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nvestigator terminal and the mobile server.
조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재난지역에서 피해조사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조사자 단말기를 통해 수집된 피해조사정보를 모바일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서버에 전송된 피해조사정보 중 부가정보를 부가정보 DB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피해조사정보를 중계 DB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중계 DB에 등록된 피해조사정보를 재난관리서버의 스케줄러를 통해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재난관리서버의 스케줄러를 통해 검증된 피해조사정보를 메인 DB에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방법.
Collecting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n the disaster area using the investigator terminal;
Transmitting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investigator terminal to a mobile server;
Registering additional information among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mobile server in an additional information DB;
Registering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obile server in a relay DB;
Verifying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relay DB through a scheduler of a disaster management server; And
Registering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verified through the scheduler of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in the main DB
Mobile-based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method comprising a.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DB는 상기 피해조사정보를 "재해대장총괄정보", "피해세부내역정보", "멀티미디어정보", "교통상황상세정보" 및 "피해조사등록결과정보"로 분류하여 각각 저장하기 위하여 5개의 테이블로 구성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lay DB stores and stores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nto "disaster general management information", "damage detail information", "multimedia information", "traffic situation details" and "damage investigation registration result information". Mobile-based Disaster Damage Survey Method consisting of two tables.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피해조사등록결과정보가 저장된 테이블에는 상기 스케줄러의 검증결과와 검증실패시 오류코드를 기록하고, 상기 메인 DB에 적용시에는 변경정보에 대한 이력과 상기 메인 DB에 적용여부를 제어하는 정보가 저장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In the table where the damage investigation registration result information is stored, a verification result of the scheduler and an error code when verification failure is recorded, and when applied to the main DB, a history of chang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application to the main DB are stored. Mobile-based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metho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DB에 저장되는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메인 DB에 저장된 피해조사정보의 재해대장과 고유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메인 DB에 상기 피해조사정보가 등록된 후에는 상기 피해조사등록결과정보가 저장된 테이블에 저장된 고유키와 "신규공공시설입력번호"를 참조정보로 하여 상기 재해대장과 연결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additi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DB is connected to the disaster ledger of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ain DB through a unique key, and after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main DB, the damage investigation registration result information is stored. Mobile-based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method connected to the disaster ledger using the unique key stored in the stored table and the "new public facility input number" as reference informat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관리서버의 스케줄러를 통해 검증된 피해조사정보를 메인 DB에 등록하는 단계 후,
상기 모바일서버는 상기 조사자 단말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메인 DB에 저장된 피해조사정보를 상기 조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After registering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verified through the scheduler of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in the main DB,
The mobile server provides the investigator terminal with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ain DB in response to the request from the investigator terminal,
Mobile-based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서버는 상기 조사자 단말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메인 DB에 저장된 피해조사정보를 상기 조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조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재해대장을 각 건마다 하나의 요약화면으로 조사자에게 제공하고, 조사자로 하여금 상기 요약화면을 통해 상기 재해대장의 정보조회와 상기 재해대장에 추가로 정보를 입력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investigator terminal, the mobile server provides the investigator terminal with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ain DB through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investigator terminal, the disaster register is provided to the investigator in one summary screen for each case, and the user interface is provided to allow the investigator to input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disaster register information and the disaster register through the summary screen. Providing mobile-based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method.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서버는 상기 조사자 단말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메인 DB에 저장된 피해조사정보를 상기 조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조사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지도화면을 통해 주변의 피해조사의 위치를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되, 조사자가 상기 지도에 표시된 심볼을 선택하면 상기 피해조사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창이 활성화되고, 조사자가 활성화되는 요약 정보창을 선택하면 해당 재해대장이 제공되는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제공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investigator terminal, the mobile server provides the investigator terminal with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ain DB through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The location of the surrounding damage investigation is provided through the map screen provided by the investigator terminal, but when the investigator selects a symbol displayed on the map, the summary information window for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s activated, and the investigator is activated. If you select the summary information window, the mobile disaster-based disaster investigation method that provides the user to go to the screen provided.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서버는 상기 조사자 단말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재난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메인 DB에 저장된 피해조사정보를 상기 조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조사자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증강현실을 통해 재해대장 조회가 가능하도록 제공하되, 조사자가 증강현실을 통해 제공되는 피해조사 정보상자를 선택하면 좌하단에 요약 정보창이 활성화되고, 조사자가 활성화되는 요약 정보창을 선택하면 해당 재해대장이 제공되는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제공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investigator terminal, the mobile server provides the investigator terminal with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ain DB through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In the augmented reality provided by the investigator's terminal to provide a disaster ledger inquiry, if the investigator selects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box provided through augmented reality, the summary information window is activated in the lower left corner, and the summary information window to activate the investigator When selected, the mobile disaster-based disaster investigation investigation method to move to the screen provide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재난지역에서 피해조사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조사자가 상기 조사자 단말기를 통해 피해규모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직접입력방식과, 지도상에서 피해규모의 거리 및 면적을 측정하여 제공하는 지도측정방식과, GPS 추적을 활용하여 거리 및 면적을 측정하는 GPS 측정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간편하게 피해규모를 측정하도록 제공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Collecting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n the disaster area using the investigator terminal,
A direct input method for investigators to directly input damage scale information through the investigator terminal, a map measurement method for providing distance and area of damage scale on a map, and a GPS measurement for measuring distance and area using GPS tracking A mobile-based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method that provides an easy way to measure the scale of damage in either of two way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재난지역에서 피해조사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조사자 단말기를 통해 재난지역의 피해내역을 단면도와 피해사진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피해조사정보를 수집하되, 상기 단면도는 표준단면도, 기저장된 이미지선택 또는 빈 페이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단면도에 펜 기능을 통해 피해내역을 스케치하도록 제공하며, 상기 피해사진은 직접촬영 또는 기촬영되어 앨범에 저장된 사진을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제공하는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Collecting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in the disaster area using the investigator terminal,
Collect the damage investigation information by inputting the cross-sectional view and damage photo of the disaster area of the disaster area through the investigator terminal, wherein the cross-section is selected from a standard cross-sectional view, a pre-stored image selection or a blank page, and a pen on the selected cross-section. It provides a sketch of the damage through the function, the damage photo is directly taken or pre-recorded mobile based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method to provide to select and enter the photo stored in the album.
KR1020120098817A 2012-09-06 2012-09-06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based on mobile KR201400322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817A KR20140032205A (en) 2012-09-06 2012-09-06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based on 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817A KR20140032205A (en) 2012-09-06 2012-09-06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based on 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205A true KR20140032205A (en) 2014-03-14

Family

ID=5064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817A KR20140032205A (en) 2012-09-06 2012-09-06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based on 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2205A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439A (en) * 2015-03-02 2016-09-1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Geospatial information fusion systems for natural disaster research
KR20190063000A (en)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오경컴텍 AR-Based Disater Injuries Posi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013150B1 (en) * 2018-12-12 2019-08-27 대한민국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disaster scene information
KR20190124403A (en) * 2018-04-26 2019-11-05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Attribute Data of Disaster
KR20200006441A (en) * 2018-07-10 2020-01-20 김의중 Disaster rescue system using receving radar of RF signal
KR102158672B1 (en) * 2019-04-04 2020-09-22 (주)원제로소프트 The way and system of notifi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designed to notify the public of disaster risk using national index numbers and the installed tags with location information
CN112634107A (en) * 2019-09-20 2021-04-09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Device for investigating an accident and method implemented therein
KR102273308B1 (en) * 2020-10-07 2021-07-06 대한민국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system to provide mapping contents results
KR102322231B1 (en) * 2020-12-10 2021-11-08 대한민국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isaster information using drone and mobile device
KR20220046509A (en) * 2020-10-07 2022-04-14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A method for establishing a map-based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reinforcing utilization of disaster sites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439A (en) * 2015-03-02 2016-09-1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Geospatial information fusion systems for natural disaster research
KR20190063000A (en)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오경컴텍 AR-Based Disater Injuries Posi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90124403A (en) * 2018-04-26 2019-11-05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Attribute Data of Disaster
KR20200006441A (en) * 2018-07-10 2020-01-20 김의중 Disaster rescue system using receving radar of RF signal
KR102013150B1 (en) * 2018-12-12 2019-08-27 대한민국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disaster scene information
KR102158672B1 (en) * 2019-04-04 2020-09-22 (주)원제로소프트 The way and system of notifi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designed to notify the public of disaster risk using national index numbers and the installed tags with location information
CN112634107A (en) * 2019-09-20 2021-04-09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Device for investigating an accident and method implemented therein
KR102273308B1 (en) * 2020-10-07 2021-07-06 대한민국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system to provide mapping contents results
KR20220046509A (en) * 2020-10-07 2022-04-14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A method for establishing a map-based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reinforcing utilization of disaster sites
KR102322231B1 (en) * 2020-12-10 2021-11-08 대한민국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isaster information using drone and mobi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2205A (en)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based on mobile
KR101724259B1 (en) Interested area analyzing method by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disaster safety
KR101265510B1 (e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danger information on the site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managing the disaster
CN102792322B (en) Utilize the Visual Information Organization & of the geographical spatial data be associated
KR100748528B1 (en) Information update method and the real-time automatic update system for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web-gis
US10062118B1 (en) Concepts for providing an insurance quote
KR10099261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nderground facility inform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of mobile terminal in cloud-computing environment
KR101724260B1 (en) Location-based scenario setting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disaster safety
JP6276106B2 (en) Decision support system and decision support method
KR20130043422A (en) Realtime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map using mobile device
US9679539B1 (en) Real-time presentation of geolocated entities for emergency response
KR102164538B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real estate development
JP2012063900A (en) Store information provision apparatus
KR101837664B1 (en) River Smar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hen et al. Supporting Urban Search and Rescue with digital assessments of structures and requests of response resources
CN111582729A (en)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field data of soil mass and geological survey
US20170286911A1 (en) Electronic Project Management System
CN105893579A (en) Seismic damage investigation system based on smartphone
DK178501B1 (en) Construction site imag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878149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mote flood zone determinations
JP2009099024A (en)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system and program, and its method
JP6387202B1 (en)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information sharing method
KR20100030283A (en)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management using mobile phone
US201600487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e Request Entry Configured for Defining Multiple Excavation Sites as Part of a Single Locate Request
KR20210059990A (en) Server and method of providing vacancy room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