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150B1 -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disaster scene inform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disaster scene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150B1
KR102013150B1 KR1020180159650A KR20180159650A KR102013150B1 KR 102013150 B1 KR102013150 B1 KR 102013150B1 KR 1020180159650 A KR1020180159650 A KR 1020180159650A KR 20180159650 A KR20180159650 A KR 20180159650A KR 102013150 B1 KR102013150 B1 KR 102013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isaster
disaster site
user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6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아롱
이준우
박진이
김옥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15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1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1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n apparatus for sharing disaster site information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sharing disaster site information comprises: a user interfa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map and a disaster management menu to a user device of a user at a disaster site; a repor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containing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created by the user using a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creation function provid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menu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and a repor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to a user device of at least one different user.

Description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DISASTER SCENE INFORMATION}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device and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DISASTER SCENE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재난 현장 정보 공유 기술과 관련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techniques.

재난 안전 상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재난 현장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재난 현장 정보를 통해 현재 재난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재난 현장 정보는 다양한 재난 예측 모델의 입력 정보로 활용되어 향후 재난 상황을 예측하거나 이러한 재난 예측 모델의 검증에 이용되는 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함께 빅데이터 기술이 대두됨에 따라 과거 발생한 재난의 누적된 현장 정보를 통계적 기법 및 매쉬업(mash-up) 기능을 통해 분석하여 재난에 관한 통찰력을 도출함으로써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Rapid collection of disaster site information is of paramount importance for disaster safety situation management systems. Disaster site information can provide an accurate picture of the current disaster situation. In addition,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is used as input information of various disaster prediction models, and can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predicting future disaster situations or verifying such disaster prediction models. And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big data technologies emerged, the accumulated field information of past disasters was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techniques and mash-up functions to derive insights into disasters. Damage can be prevented.

한편, 화재 발생 시 초기진압이 무엇보다 중요하듯이 재난상황 발생 초기 단계에 적절한 대응조치를 위한 의사결정과 관련하여 재난 현장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이 중요하다. 이때, 재난 현장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함에 있어서 재난 현장에 대한 위치정보(경위도 등)가 동반되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as the initial suppression is most important in the event of a fire, it is important to receive disaster site information in relation to decision making for appropriate response actions in the early stages of a disaster situation. At this time, in collecting and processing disaster sit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e.g.,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disaster site should be accompanied.

또한, 재난 현장조사자는 재난 현장을 조사한 이후에 사무 업무에 복귀할 경우, 현장조사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 이중 업무에 시달린다. 따라서, 재난 현장조사자의 업무 효율화를 위하여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작성하고, 재난 현장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요구된다.In addition, the disaster site investigator may have a double task of preparing a report on the site investigation when returning to the office after the disaster site investigation. Therefore, a method for preparing a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and providing disaster site information is required for the efficiency of disaster site investigators.

한국등록특허 제10-1831874호 (2018.03.15. 공고)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31874 (annually announced on March 15, 2018)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는, 재난 현장에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지도 및 재난 관리 메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재난 관리 메뉴에서 제공되는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 작성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재난 현장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수신하는 보고서 수신부 및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상기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제공하는 보고서 제공부를 포함한다.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interfa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map and disaster management menu to the user device of the user in the disaster site, the disaster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Provide the disaster site survey report to a report receiver and a user device of one or more other users to receive the disaster site survey report including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created by the user using the disaster site survey report generation function provided in the management menu. It includes a report provider.

상기 보고서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재난 현장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고서 제공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The report receiving unit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disaster site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and the report providing unit may provide a disaster site survey report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device of the one or more other users. have.

상기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재난 관리 메뉴에서 제공되는 메모 작성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상기 재난 현장에 대한 메모를 수신하는 메모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aster spot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emo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memo about the disaster spot created by the user using a memo writing function provid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menu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상기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타 사용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상기 타 사용자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formation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user information about the one or more other users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another user list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and the user interface providing unit The other user lis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device of the user.

상기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상기 메모를 제공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표시된 상기 지도 내에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메모를 제공하는 메모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device provides the memo to the user device of the one or more other users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and corresponds to the location information within the map displayed on the user device of the one or more other users. It may further include a memo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memo.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재난 현장 정보 공유 방법은, 재난 현장에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지도 및 재난 관리 메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재난 관리 메뉴에서 제공되는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 작성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재난 현장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수신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상기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map and disaster management menu to the user device of the user in the disaster site, from the disaster management menu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Receiving a disaster site survey report including disaster site information created by the user using the provided disaster site survey report generation function and providing the disaster site survey report to a user device of one or more other users. do.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재난 현장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고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The receiving may include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n the disaster site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and providing the report may include a disaster site survey report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device of the one or more other users. Can be provided as

상기 재난 현장 정보 공유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재난 관리 메뉴에서 제공되는 메모 작성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상기 재난 현장에 대한 메모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aster spot information shar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memo about the disaster spot created by the user using a memo writing function provid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menu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상기 재난 현장 정보 공유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타 사용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상기 타 사용자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method further includes receiving user information for the one or more other users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another user list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and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May provide the other user list to the user device of the user.

상기 재난 현장 정보 공유 방법은,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상기 메모를 제공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표시된 상기 지도 내에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메모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aster spot information sharing method may provide a memo to a user device of the one or more other users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within the map displayed on the user device of the one or more other user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the memo.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난 현장에 있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재난 현장과 관련된 문서를 타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타 사용자에게 재난 현장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고, 재난 현장을 조사한 후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 이중 업무에 따른 수고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document related to the disaster site created by the user at the disaster site to other users, it is possible to quickl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disaster site to other users, and to report the report after the disaster site This saves you from the duplication of work that needs to be do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재난 현장과 관련된 메모를 작성하여 타 사용자들과 공유함으로써 타 사용자에게 재난 현장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reating a memo related to the disaster site and share with other user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easily deliver information about the disaster site to other us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작성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작성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 실시예에 따른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현장 정보 공유 방법의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를 공유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preparing a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preparing a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n example of providing a mem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 chart of a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sharing a mem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d explaining a computing environment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suitable for use i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to assist 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 / 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only and should not be limiting. Unless expressly used otherwise,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of meaning.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es" or "equipment"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ortion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one or more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ortion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시스템(100)은 사용자 장치(110) 및 재난 관리 서버(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system 100 includes a user device 110 and a disaster management server 1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시스템(100)은 사용자 장치(110)에 설치된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장치(110)로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재난 관리 서버(120)와 연계하여 사용자에게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은 재난 관리 서버(120)와 통신하면서 재난 현장에 대한 사진, 동영상, 보고서 및 메모 생성, 재난 현장 정보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과 재난 관리 서버(120) 사이의 역할 분담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system 100 may provide a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service to the user device 110 through a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device 110. At this time,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application may be a program for providing a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service to the user in connection with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120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application may perform various roles, such as generating photos, videos, reports and notes about the disaster site, displaying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120. At this time, the role sharing between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application and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12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사용자 장치(110)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타블릿(Tablet) PC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 음성처리 수단, 정보처리 수단 및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통신 수단을 구비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device 110 may display a display device, a voice processing device,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a wired / wireless network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It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evices having a means for communicating data over.

재난 관리 서버(120)는 재난 현장 정보, 재난 발생 이력 정보, 재난 대응 정보, 재난 시뮬레이션 정보 등과 같이 재난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일 수 있다.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120 may be one or more servers that sto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lated to a disaster, such as disaster site information, disaster occurrence history information, disaster response information, disaster simul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200)의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200)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재난 관리 서버(120)에 포함된 일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200 illustrated in FIG. 2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in a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server 120 illustrated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210), 보고서 수신부(220) 및 보고서 제공부(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200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providing unit 210, a report receiving unit 220, and a report providing unit 2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210)는 재난 현장에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지도 및 재난 관리 메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providing unit 21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map and a disaster management menu to a user device of a user at a disaster site.

이때, 지도는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특별시, 광역시 등과 같은 행정 구역을 표시한 것일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이외의 국가, 섬, 바다 등을 표시한 것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p may not only indicate an administrative region such as a city, a metropolitan city, etc. existing in the Republic of Korea, but also may display a country, island, sea, etc. other than the Republic of Korea.

재난 관리 메뉴는 과거 재난 발생 이력, 폭염/한파 예보 지수, 재난 경보 현황, 재난 위험 지역 등과 같이 재난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재난 관리 메뉴는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 작성 기능, 메모 작성 기능 등과 같이 사용자 편의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The disaster management menu may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disasters such as past disaster occurrence history, heat / cold forecast index, disaster alert status, disaster risk area,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disaster management menu may be to provide a variety of functions related to user convenience, such as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creation function, memo creation func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사용자와 사용자 장치가 상호 작용하도록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마우스,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재난 관리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여 재난 관리 메뉴에서 수행하는 기능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may be, for exampl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hat allows a user and a user device to interact. 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a disaster management menu icon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through an input means such as a mouse or a touch screen to execute functions perform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menu.

보고서 수신부(22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재난 관리 메뉴에서 제공되는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 작성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재난 현장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수신한다.The report receiving unit 220 receives a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including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created by the user using the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generation function provid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menu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재난 현장 정보는 재난 현장의 사진, 동영상 등과 같이 재난 현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 현장 정보는 사용자 장치에 포함된 촬영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것일 수 있다.Disaster sit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disaster site, such as photos and videos of the disaster site. For example, the disaster scen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the user using the photographing means included in the user device.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는 재난 현장에 있는 사용자가 재난 현장을 조사한 이후에 작성하는 문서를 의미한다.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숫자 등의 텍스트뿐만 아니라 재난 현장의 사진, 동영상 등과 같은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에 포함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A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is a document that a user at a disaster site completes after the disaster site has been investigated. The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may include images such as pictures and videos of the disaster site as well as texts such as letters and numbers input by the user. For example, a user can create a disaster site survey report using input means included in the user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는 조사 날짜, 조사자 정보, 재난 유형, 피해 유형, 위험 수준 등과 같이 재난 현장을 조사한 후 사용자가 기재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described by a user after surveying a disaster site such as an investigation date, investigator information, disaster type, damage type, risk level, and the lik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작성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preparing a disaster investigation re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가 스마트폰인 것으로 가정하면,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장 조사 보고서 작성 기능을 활성화 한 후 현장 조사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재난 유형, 피해 유형, 재난이 발생한 날짜, 재난 현장 정보 추가 등과 같이 다양한 재난 정보를 입력하여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ssuming that the user device of the user is a smartphone, the user may create a site survey report after activating a site survey report creation function through a user interface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smartphone. In this case, the user may create a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by inputting various disaster information such as disaster type, damage type, date of disaster occurrence, addition of disaster site information, and the lik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작성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preparing a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가 개인용 컴퓨터인 것으로 가정하면,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의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장 조사 보고서 작성 기능을 활성화 한 후 현장 조사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재난이 발생한 날짜, 위치, 작성자 정보, 재난 유형, 피해 유형, 위험 수준 등과 같이 다양한 재난 정보를 입력하여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ssuming that the user device of the user is a personal computer, the user may create a site survey report after activating a site survey report creation function through a user interface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personal computer. In this case, the user may create a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by inputting various disaster information such as the date of occurrence of the disaster, location, author information, disaster type, damage type, risk level, and the lik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고서 수신부(22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재난 현장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ort receiving unit 220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disaster site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이때, 위치 정보는 경도, 위도 등과 같이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지도 내에서 재난 현장에 대응되는 위치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에 포함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을 통해 획득되거나 사용자 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coordinates indicating a location such as longitude and latitude. For exampl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aster scene within a map included in the user interface. On the other h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through, for exampl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function included in the user device or by a user input through the user device.

보고서 제공부(230)는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제공한다.The report provider 230 provides a disaster site survey report to the user device of one or more other users.

예를 들어, 보고서 제공부(230)는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 열람 기능을 포함하는 재난 관리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타 사용자는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를 이용하여 재난 관리 메뉴에 포함된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 열람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해당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port providing unit 230 may provide a disaster management menu including a disaster site survey report reading function to a user device of another user. At this time, when another user executes the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viewing function includ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menu using another user's user device, the user can display the contents of the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through the display means included in the user device of the other user. You can check 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고서 제공부(230)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ort provider 230 may provide a disaster site survey report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to a user device of one or more other users.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 실시예에 따른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600)의 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of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600)는 메모 수신부(610), 사용자 정보 수신부(620) 및 메모 제공부(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210), 보고서 수신부(220) 및 보고서 제공부(23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6,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600 may further include a memo receiver 610, a user information receiver 620, and a memo provider 630. At this tim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since the user interface providing unit 210, the report receiving unit 220, and the report providing unit 230 are the same as those shown in FIG. 2,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메모 수신부(61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재난 관리 메뉴에서 제공되는 메모 작성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재난 현장에 대한 메모를 수신할 수 있다.The memo receiver 610 may receive a memo about a disaster site created by a user using a memo writing function provided in a disaster management menu from a user device of the user.

메모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숫자 등의 텍스트뿐만 아니라, 마우스,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하여 입력되는 선, 도형 등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는 예를 들어, 재난에 따른 피해 정보, 재난 현장의 상황 정보, 재난의 위험 수준 분류 정보 등과 같이 재난 현장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특정 종류의 메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모는 재난의 유형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 may include not only texts such as letters and numbers input by the user, but also images such as lines and figures input through a mouse and a touch screen. In addition, the memo may include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the disaster site, for example, da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saster,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disaster site, hazard level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aster, and the like. However,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kind of memo, and the memo may include various forms an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and type of disaster.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를 이용하여 재난 관리 메뉴에 포함된 메모 작성 기능을 먼저 활성화한 뒤 메모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 수신부(220)는 메모 작성 기능이 활성화된 이후 터치스크린 등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동작 또는 드래그 동작에 대하여, 메모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may first activate a memo writing function included in a disaster management menu using a user device and then input a memo. In this case, the memo receiving unit 220 may recognize a touch or drag operation input through a touch screen after the memo writing function is activated as a memo inpu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a mem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21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타 사용자 리스트(710)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UI providing unit 210 may provide another user list 710 to the user device of the user.

이때, 타 사용자 리스트(710)는 타 사용자의 ID, 이름 등과 같이 타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ther user list 710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nother user, such as an ID and a name of another user.

사용자 정보 수신부(62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타 사용자 리스트(710)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information receiver 620 may receive user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other users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the other user list 710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타 사용자 리스트(710) 중 메모를 공유할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 정보 수신부(62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에 대한 ID, 이름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one or more other users to share the memo among other user lists 710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device. 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one or more other users, the user information receiver 620 may receive user information including IDs, names, and the like for one or more other users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메모 제공부(63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메모를 제공하되,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표시된 지도 내에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메모를 제공할 수 있다.The memo provider 630 may provide a memo to a user device of at least one other user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and may provide a memo to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n a map displayed on the at least one other user's user device. .

예를 들어, 메모 제공부(630)는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표시되는 지도에서 재난이 발생한 위치에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메모에 대한 아이콘(72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타 사용자는 해당 아이콘(720)을 통해 재난이 발생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아이콘(720)을 선택하여 메모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emo providing unit 630 may display an icon 720 for a memo made by a user at a location where a disaster occurs on a map displayed on at least one other user's user device. At this time, the other user can check the location where the disaster occurred through the icon 720, and can check the contents of the memo by selecting the icon (72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현장 정보 공유 방법의 순서도이다.8 is a flow chart of a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illustrated in FIG. 8 may be performed by, for example,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200 illustrated in FIG. 2.

도 8을 참조하면,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200)는 재난 현장에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지도 및 재난 관리 메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810).Referring to FIG. 8,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200 provides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map and a disaster management menu to a user device of a user at a disaster site (810).

이후,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20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재난 관리 메뉴에서 제공되는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 작성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재난 현장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수신한다(820).Then,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device 200 receives a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including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created by the user using the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creation function provid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menu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820) ).

이때,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20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재난 현장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device 200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disaster site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이후,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상기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제공한다(830).Then,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device 200 provides the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to the user device of one or more other users (830).

이때,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200)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device 200 may provide a disaster site investigation report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device of one or more other users.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를 공유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sharing a mem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6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illustrated in FIG. 9 may be performed by, for example,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600 illustrated in FIG. 6.

도 9를 참조하면,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60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재난 관리 메뉴에서 제공되는 메모 작성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재난 현장에 대한 메모를 수신할 수 있다(910).Referring to FIG. 9,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600 may receive a memo about a disaster site created by a user using a memo writing function provided in a disaster management menu from a user device of the user (910).

이후,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60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타 사용자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920).Thereafter,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600 may provide another user list to the user device of the user (920).

이후,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60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 리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930).Thereafter,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600 may receive user information about one or more other users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list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930).

이후,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60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메모를 제공하되,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표시된 지도 내에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메모를 제공할 수 있다(940).Thereafter,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device 600 provides a memo to the user device of one or more other users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and writes the memo to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map displayed on the user device of the one or more other users. It may be provided (940).

한편, 도 8 및 9에 도시된 순서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In the flowcharts shown in FIGS. 8 and 9, the metho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eps, but at least some of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in combination with other steps, omitted, or divided into detailed steps. It may be performed or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o one or more steps not shown.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d describing a computing environment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suitable for use i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each component may have different functions and capabilities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below, and may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below.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예를 들어, 도 2 및 6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210), 보고서 수신부(220), 보고서 제공부(230), 메모 수신부(610), 사용자 정보 수신부(620) 및 메모 제공부(630)와 같이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200, 6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The illustrated computing environment 10 includes a computing device 12. In one embodiment, the computing device 12 may include, 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providing unit 210, the report receiving unit 220, the report providing unit 230, the memo receiving unit 610, and the user illustrated in FIGS. 2 and 6. It may be one or more components included in the disaster spot information sharing apparatus 200, 600, such as the information receiver 620 and the memo provider 630.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Computing device 12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4,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6, and communication bus 18. The processor 14 may cause the computing device 12 to operate according to the example embodiments mentioned above. For example, processor 14 may execute one or more programs stored in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6. The one or more programs may include one or more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that, when executed by the processor 14, cause the computing device 12 to perform operations in accordance with an exemplary embodiment. Can be.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6 is configured to store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or program code, program data and / or other suitable forms of information. The program 20 stored in th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6 includes a set of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14. In one embodiment,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6 includes memory (volatile memor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nonvolatile memory, or a suitable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magnetic disk storage devices, optical disk storage devices, flash Memory devices, or any other form of storage medium that is accessible by computing device 12 and capable of storing desired information, or a suitable combination thereof.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The communication bus 18 interconnects various other components of the computing device 12, including the processor 14 and th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16.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Computing device 12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input / output interfaces 22 and one or more network communication interfaces 26 that provide an interface for one or more input / output devices 24.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2 and the network communication interface 26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bus 18. The input / output device 24 may be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of the computing device 12 via the input / output interface 22. Exemplary input / output devices 24 may include pointing devices (such as a mouse or trackpad), keyboards, touch input devices (such as touchpads or touchscreens), voice or sound input devices, various types of sensor devices, and / or imaging devices. Input devices, and / or output devices such as display devices, printers, speakers, and / or network cards. The example input / output device 24 may be included inside the computing device 12 as one component of the computing device 12,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mputing device 12 as a separate device from the computing device 12. It may b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10: 컴퓨팅 환경
12: 컴퓨팅 장치
14: 프로세서
16: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8: 통신 버스
20: 프로그램
22: 입출력 인터페이스
24: 입출력 장치
26: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
100: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시스템
110: 사용자 장치
120: 재난 관리 서버
200. 600: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
210: 사용자 인터페이스
220: 보고서 수신부
230: 보고서 제공부
610: 메모 수신부
620: 사용자 정보 수신부
630: 메모 제공부
10: Computing Environment
12: computing device
14: Processor
16: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18: communication bus
20: Program
22: I / O interface
24: input / output device
26: network communication interface
100: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system
110: user device
120: disaster management server
200. 600: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Device
210: user interface
220: report receiving unit
230: report provider
610: memo receiving unit
620: us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630: memo provider

Claims (1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난 현장에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지도 및 재난 관리 메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재난 관리 메뉴에서 제공되는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 작성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재난 현장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재난 관리 메뉴에서 제공되는 메모 작성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상기 재난 현장에 대한 메모를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상기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 및 메모를 제공하는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communication interfaces,
The one or more processors,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map and a disaster management menu to the user device of a user at a disaster site through the one or more communication interfaces,
Receive a disaster site survey report including the disaster site information created by the user using the disaster site survey report creation function provid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menu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through the one or more communication interfaces,
Receive a memo about the disaster site created by the user using a memo writing function provid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menu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through the one or more communication interfaces,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device for providing the disaster site survey report and notes to the user device of one or more other users through the one or more communication inte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재난 현장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ne or more processors, via the one or more communication interfaces,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disaster site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and generate a disaster site survey report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device of the one or more other users.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device provided by.
삭제dele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타 사용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상기 타 사용자 리스트를 제공하는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one or more processors, via the one or more communication interfaces, receive user information for the one or more other users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another user list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and to the user device of the user.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device for providing the other user lis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상기 메모를 제공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표시된 상기 지도 내에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메모를 제공하는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one or more processors provide the memo to the user device of the one or more other users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via the one or more communication interfaces, wherein the location within the map displayed on the user device of the one or more other users.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device for providing the memo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재난 현장 정보 공유 장치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재난 현장 정보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난 현장에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지도 및 재난 관리 메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재난 관리 메뉴에서 제공되는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 작성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재난 현장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재난 관리 메뉴에서 제공되는 메모 작성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상기 재난 현장에 대한 메모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상기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 및 메모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난 현장 정보 공유 방법.
One or more processors; And
A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method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of a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interface,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 user interface comprising a map and a disaster management menu to the user device of a user at a disaster site via the one or more communication interfaces;
Receiving a disaster site survey report including disaster si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user using a disaster site survey report generation function provid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menu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through the one or more communication interfaces;
Receiving a memo for the disaster scene created by the user using a memo writing function provided in the disaster management menu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through the one or more communication interfaces; And
Providing the disaster site survey report and a memo through the one or more communication interfaces to a user device of one or more other user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고서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재난 현장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고서 및 메모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재난 현장 조사 보고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재난 현장 정보 공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Receiving the report,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disaster site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The providing of the report and the memo may include providing a disaster site survey report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device of the at least one other user.
삭제delet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타 사용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로 상기 타 사용자 리스트를 제공하는 재난 현장 정보 공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Receiving user information for the one or more other users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another user list from the user device of the user via the one or more communication interfaces,
The providing of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providing the other user list to the user device of the us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고서 및 메모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상기 메모를 제공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에 표시된 상기 지도 내에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메모를 제공하는 재난 현장 정보 공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providing of the report and the memo may include providing the memo to the user device of the one or more other users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map displayed on the user device of the one or more other users. Disaster site information sharing method for providing the note at the location.
KR1020180159650A 2018-12-12 2018-12-12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disaster scene information KR1020131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650A KR102013150B1 (en) 2018-12-12 2018-12-12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disaster scene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650A KR102013150B1 (en) 2018-12-12 2018-12-12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disaster scene 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150B1 true KR102013150B1 (en) 2019-08-27

Family

ID=67807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650A KR102013150B1 (en) 2018-12-12 2018-12-12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disaster scene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15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8532A (en) * 2020-04-29 2020-08-28 武汉大学 Automatic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of disaster assessment report
KR102322231B1 (en) * 2020-12-10 2021-11-08 대한민국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isaster information using drone and mobile device
KR102331276B1 (en) * 2020-12-10 2021-12-07 대한민국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disaster information based on web using drone
KR20220046509A (en) * 2020-10-07 2022-04-14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A method for establishing a map-based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reinforcing utilization of disaster sit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905A (en) * 2010-03-03 2011-09-09 (주)위니텍 System for managing emergency based on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scenario and method of managing emergency
KR20140032205A (en) * 2012-09-06 2014-03-14 대한민국(안전행정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based on mobile
JP2016128960A (en) * 2015-01-09 2016-07-14 日本ユニシス株式会社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ystem
KR101831874B1 (en) 2017-05-12 2018-03-15 문라이팅디자인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based Escape from the Disaster Si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905A (en) * 2010-03-03 2011-09-09 (주)위니텍 System for managing emergency based on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scenario and method of managing emergency
KR20140032205A (en) * 2012-09-06 2014-03-14 대한민국(안전행정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based on mobile
JP2016128960A (en) * 2015-01-09 2016-07-14 日本ユニシス株式会社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system
KR101831874B1 (en) 2017-05-12 2018-03-15 문라이팅디자인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based Escape from the Disaster Sit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8532A (en) * 2020-04-29 2020-08-28 武汉大学 Automatic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of disaster assessment report
CN111598532B (en) * 2020-04-29 2023-08-08 武汉大学 Automatic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aster assessment report
KR20220046509A (en) * 2020-10-07 2022-04-14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A method for establishing a map-based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reinforcing utilization of disaster sites
KR102407374B1 (en) 2020-10-07 2022-06-10 대한민국 A method for establishing a map-based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reinforcing utilization of disaster sites
KR102322231B1 (en) * 2020-12-10 2021-11-08 대한민국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isaster information using drone and mobile device
KR102331276B1 (en) * 2020-12-10 2021-12-07 대한민국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disaster information based on web using dr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15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disaster scene information
US10593118B2 (en) Learning opportunity based display generation and presentation
US98050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a geographic origin of content and accuracy of geotags related to content obtained from social media and other content providers
US11068696B2 (en) Protecting individuals privacy in public through visual opt-out, signal detection, and marker detection
CA2967925A1 (en) Emergency service provision with destination-specific information
US20140365307A1 (en) Transmitting listings based on detected location
US10820154B2 (en) Location-based home screen customization
US11210818B2 (en) Resource mapping server and system
US11374888B2 (en) User-defined notification templates
US20230140529A1 (en) Event verification engine
JP2018077821A (en) Method, program, server device, and processor for generating predictive model of category of venue visited by user
US20160232773A1 (en) Emergency Response System
US20190027017A1 (en) Emergency service provision with destination‐specific information
US101714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display-screen security and privacy
US201300026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 Screen Image Capture And Display
US20170220999A1 (en) Techniques for document management workflows
US10432572B2 (en) Content post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900655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security, safety, and wellness climate concerns from social media content
JP6293100B2 (en) Event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US11068552B2 (en) Updating social media post based on subsequent related social media content
US1097053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finding elements i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documents
CN115280298A (en) Preventing disclosure of sensitive information
CA3161292A1 (en) Inspection project manager
US8913999B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geolocationally relevant contacts and acquiring their contact data
EP3289488A1 (en) Navigation with contextual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