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736A -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736A
KR20140029736A KR1020120095219A KR20120095219A KR20140029736A KR 20140029736 A KR20140029736 A KR 20140029736A KR 1020120095219 A KR1020120095219 A KR 1020120095219A KR 20120095219 A KR20120095219 A KR 20120095219A KR 20140029736 A KR20140029736 A KR 20140029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rd
mobile terminal
card paym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빈
김성철
정윤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95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9736A/ko
Priority to US14/013,107 priority patent/US9330385B2/en
Publication of KR20140029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2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n audio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6Use of secure elements separate from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9Use of the SIM of a M-device as secure el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7Passive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3Payments by cards read by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6Aspects of software for card payments
    • G06Q20/3567Software being in the rea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0873Details of the card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nance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카드 결제 장치는 이동 단말과 연결되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및 마이크 단자를 포함하는 오디오잭,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하나 이상의 단자를 통해 이동 단말로부터 음향 신호를 입력받고,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카드 결제 장치의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생성부, 마그네틱 카드로부터 카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드 리더부 및 카드 데이터를 암호화 처리하여 마이크 단자를 통해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되, 신호 처리부는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하나 이상의 단자를 통해 이동 단말로부터 명령 신호를 수신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ard payment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카드 결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에 연결되어 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카드 결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그네틱 스트립(magnetic stripe)을 구비한 카드는 신용카드, 선불카드를 비롯한 금융결제의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카드로 결제하기 위해 매장 등의 장소에 유선으로 고정되어 사용되는 카드 리더와 모바일 상으로 카드 결제를 위해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카드 데이터를 입력하는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이동통신수단에 카드결제를 위한 리더장치를 부가하여 이동성을 부여하고 결제의 편리성을 증대시킨 모바일 결합형 카드 리더(card reader)의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이동통신 단말기 겸용 무선금융 결제기 집적회로에 관한 특허문헌이 있으며, 신용카드에 부착된 마그네틱 스트립에서 데이터를 읽어 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카드 결제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KR 0481439 B1 2005. 03. 28
본 발명은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단말과 연결되어 별도의 전원이 필요없고, 카드 결제를 위하여 마그네틱 카드의 데이터를 읽는 카드 결제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과 카드 결제 장치 간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하며, 결제 처리의 안전을 위하여 양방향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보안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과 연결되는 카드 결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결제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과 연결되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및 마이크 단자를 포함하는 오디오잭,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하나 이상의 단자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음향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 결제 장치의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생성부, 마그네틱 카드로부터 카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드 리더부 및 상기 카드 데이터를 암호화 처리하여 상기 마이크 단자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하나 이상의 단자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명령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마그네틱 카드를 판독하는 카드 결제 장치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은 상기 카드 결제 장치의 전원 생성용으로 이용되는 음향 신호 및 상기 카드 결제 장치에 대한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카드 결제 장치의 오디오잭과 연결되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및 마이크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를 통해 상기 음향 신호 또는 상기 명령 신호를 상기 카드 결제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마이크 단자를 통해 상기 카드 결제 장치로부터 상기 마그네틱 카드의 카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명령 신호를 암호화하며, 상기 카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암복호화부, 상기 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제 시스템을 통해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 및 상기 결제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카드 결제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결제 시스템은 마그네틱 카드로부터 카드 데이터를 획득하며,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하는 카드 결제 장치 및 상기 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며, 상기 카드 결제 장치에 대한 명령 신호 및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이동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카드 결제 장치는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및 마이크 단자를 포함하는 오디오잭을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잭이 상기 이동 단말의 오디오 소켓에 삽입되어, 상기 카드 결제 장치와 상기 이동 단말은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하나 이상의 단자를 통해 상기 음향 신호 또는 명령 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카드 데이터는 상기 마이크 단자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카드 결제 장치와 상기 이동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암호화 처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및 마이크 단자를 포함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이동 단말과 카드 결제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결제 시스템에서의 카드 결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결제 방법은 상기 카드 결제 장치의 오디오잭이 상기 이동 단말의 오디오 소켓에 삽입되어, 상기 카드 결제 장치와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음향 신호 및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를 통해 상기 카드 결제 장치로 상기 음향 신호 및 상기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카드 결제 장치가 상기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하여 구동하는 단계, 상기 카드 결제 장치가 마그네틱 카드의 카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카드 결제 장치가 상기 카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상기 마이크 단자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카드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한 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단말과 연결되어 별도의 전원이 필요없고, 카드 결제를 위하여 마그네틱 카드의 데이터를 읽는 카드 결제 장치를 통해 이동성 및 결제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을 이용한 결제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카드 결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5는 이동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6 내지 도 10은 카드 결제 장치의 전원 생성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이동 단말과 카드 결제 장치가 수행하는 카드 결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카드 결제 장치(200)는 이어폰 인터페이스 및 마이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단말(100)과 연결된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카드 결제 장치(200)는 이어폰 단자 및 마이크 단자를 포함하는 오디오잭(201)을 구비하며, 오디오잭(201)이 이동 단말(100)의 오디오 소켓(101)에 결합됨으로써, 이동 단말(100)과 연결된다.
카드 결제 장치(200)는 이어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단말(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이동 단말(100)은 음향 신호를 생성하여 이어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카드 결제 장치(200)는 이어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원을 카드 결제 장치(200)의 구동 전원으로 이용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은 MP3와 같은 음악이나 소리로서, 가청주파수(20~20,000Hz)의 최대치에 가까운 20kHz 정도의 고주파를 발생하고, 발생한 고주파를 이어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드 결제 단말기(200)로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결제 단말기(200)는 정류기 등의 승압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된 고주파를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원으로 구동할 수 있다.
카드 결제 장치(200)는 마그네틱 카드(300)의 마그네틱 스트립(301)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마그네틱 카드(300)의 카드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카드 데이터를 마이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때, 카드 결제 장치(200)는 카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이동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암호화 방식으로서, 예를 들어, 3DES나 RSA 등 다양한 암복호화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송되는 신호는 이어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은 음향 신호에 명령 신호가 포함되도록 음향 신호를 생성하여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100)은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송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암호화를 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100)과 카드 결제 장치(200)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암호화 처리가 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100) 또는 카드 결제 장치(200)는 수신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구현하기에 따라 오디오잭(201)의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되고, 전원으로 변환될 음향 신호는 오디오잭(201)의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나머지 하나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카드 결제 장치(200)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이어폰 인터페이스는 전원 공급용으로 이용되지 않으므로, 이동 단말(100)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로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용으로만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어폰 인터페이스가 전원 공급용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100) 및 카드 결제 장치(200)에 대해서는 이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2 내지 도 4는 카드 결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고, 도 6 내지 도 10은 카드 결제 장치의 전원 생성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카드 결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드 결제 장치(200)는 신호 처리부(210), 전원 생성부(220) 및 카드 리더부(230)를 포함한다.
전원 생성부(220)는 오디오잭(201)의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와 연결되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원을 카드 결제 장치(200)의 구동 전원으로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원 생성부(220)는 생성한 전원을 신호 처리부(210) 및 카드 리더부(230)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생성부(220)는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오디오잭(201)의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승압하여 전원을 생성하는 승압 회로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회로의 경우, 오디오잭(201)의 좌측(Left) 단자 또는 우측(Right)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는 브리지(Bridge) 회로를 거쳐서 샤트키 다이오드(Schottky diode) 및 커패시터(capacitor)로 구성되는 회로를 통과하면, 전력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각 단자의 음향 신호는 분리되어 각각 별도의 전원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회로의 경우, 오디오잭(201)의 좌측(Left) 단자와 우측(Right)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는 각각 분리되어 별도의 전원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다단계의 멀티플라이어(Multiplier) 회로로 구성되어 보다 빠른 승압이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전원 생성부(220)가 일정한 주기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승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생성부(220)는 음향 신호을 지속적으로 입력받아 음향 신호의 전압을 증감을 반복하면서 전체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음향 신호는 실험적으로 대략 4V 전압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동 단말(100)과 카드 결제 장치(20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위하여, 이동 단말(100)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송되는 신호는 오디오 인터페이스 즉, 오디오잭(201)의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즉,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어느 하나는 전원 공급용으로 이용되고, 나머지 하나는 이동 단말(100)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신호 전송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구현하기에 따라,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의 각 단자가 전원 공급용과 신호 전송용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은 항상 공급되어야 하고, 이동 단말(100)은 필요에 따라 명령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가 전원 공급용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명령 신호가 발생하면,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어느 하나가 전원 공급용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하나는 신호 전송용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어느 하나가 전원 공급용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하나는 신호 전송용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명령 신호가 사라지면, 다시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모두가 전원 공급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카드 결제 장치(200)는 스위칭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240)는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를 통해서 입력되는 신호를 모두 전원 생성부(220)로 인가하거나, 신호 처리부(210)와 전원 생성부(220)로 분리하여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칭부(240)는 신호 처리부(210)에 포함된 프로세서(212)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구현하기에 따라, 스위칭부(240)는 자체적으로, 명령 신호의 유무를 검출하여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이동 단말(100)은 스위칭부(240)가 명령 신호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명령 신호를 생성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로,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는 전원 공급용으로 이용됨과 동시에 신호 전송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는 전원 생성부(220)와 신호 처리부(210)로 동시에 입력될 수 있다. 물론, 도 2 및 도 3에는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우측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만이 신호 처리부(210)로 입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신호 처리부(210)로 입력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이동 단말(100)이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예시한 도면이다. (a)는 주기적인 음향 신호이고, (b)는 비주기적인 음향 신호이다. (a)와 같은 주기적인 음향 신호가 발생된 경우, 전원 공급용으로 이용되고, (b)와 같은 비주기적 음향 신호가 발생된 경우, 전원 공급용과 신호 전송용으로 모두 이용될 수 있다. 즉,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신호의 각 파형 별로 지속 시간이 다르게 설정됨으로써,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데이터가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데이터는 명령 신호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0은 주기적인 음향 신호와 비주기적인 음향 신호에 대한 전압 상승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포함되는 비주기적 음향 신호에 대해서도, 전압 상승이 불규칙하게 일어날 뿐, 전체적으로 승압이 이루어져 전원이 생성됨을 알 수 있다.
카드 리더부(230)는 마그네틱 카드(300)의 마그네틱 스트립(301)으로부터 카드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카드 데이터를 신호 처리부(21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카드 리더부(230)는 마그네틱 헤더(233), 노이즈 필터(232) 및 디코더(231)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틱 헤더(233)는 마그네틱 카드의 마그네틱 스트립과의 접촉 또는 근접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고, 노이즈 필터(232)는 마그네틱 헤더(233)가 발생한 신호를 전달받아 노이즈를 제거하며,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는 디코더(231)로 전달된다. 디코더(233)는 마그네틱 카드를 긁을 때 사람마다의 속도 차이에 따라 인식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표준 속도로 변환하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신호 처리부(210)는 카드 리더부(230)로부터 전달되는 카드 데이터를 암호화 처리하고, 암호화된 카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 단자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카드 데이터를 이동 단말(10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신호 처리부(210)는 D/A 컨버터(211), 프로세서(212), A/D 컨버터(213), 보안 모듈(214) 및 메모리(21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2)는 카드 리더부(23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보안 모듈(214)이 암호화하도록 제어하고, D/A 컨버터(211)가 암호화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도록 제어한다.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신호는 마이크 단자를 통해 이동 단말(100)로 전달된다. A/D 컨버터(213)는 이어폰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212)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212)로 전달되는 신호는 이동 단말(100)이 발생한 명령 신호가 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는 명령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240)가 이어폰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스위칭하도록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부(24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도 5는 이동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100)은 통신부(110), 결제 처리부(120), 신호 발생부(130), 인터페이스부(140), 암복호화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도 5의 구성도에 있어서, 이동 단말(100)은 표시부, 입력부, 무선부, 송수화부 등과 같은 이동 단말(100)의 일반적인 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결제 처리부(120), 신호 발생부(130) 및 암복호화부(150)는 카드 결제 장치(200)를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의 구현을 위해 특별히 추가된 구성에 해당하는 바, 일반적인 구성들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결제 처리부(120), 신호 발생부(130) 및 암복호화부(150)가 수행하는 기능 및 역할은 제어부(160)가 통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100)과 다른 단말과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100)의 종류에 따라 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방송 수신 모듈, GPS 수신 모듈 등과 같은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결제 처리부(120)는 카드 결제 장치(100)로부터 마그네틱 카드의 카드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한다. 여기서, 카드 데이터는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마이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드 결제 장치(1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즉, 결제 처리부(120)는 수신된 카드 데이터를 통신부(110)를 통해 결제 시스템(미도시)으로 전송함으로써, 결제를 요청하고 승인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시스템은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예를 들어, 판매자 서버, 금융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발생부(130)는 이어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송되는 음향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앞서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 발생부(130)는 전원 공급용으로 이용되는 음향 신호와 명령 신호를 각각 생성하거나, 명령 신호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명령 신호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적인 음향 신호 또는 비주기적인 음향 신호로 생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는 이동 단말(100)과 외부기기 간의 연결을 위한 통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40)는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데이터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40)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인터페이스부(140)는 이어폰 인터페이스 및 마이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즉,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및 마이크 단자를 포함하는 오디오 소켓(101)을 통해 신호 발생부(130)가 생성한 음향 신호 및 명령 신호를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송하고, 카드 데이터를 카드 결제 장치(20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고, 카드 결제 장치(200)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암복호화부(150)는 카드 결제 장치(200)와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한다. 즉, 이동 단말(100) 및 카드 결제 장치(200)는 서로에게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암호화 처리를 수행하며, 이에 따라 데이터 수신 시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동 단말(100)의 각 구성부(예를 들어, 통신부(110), 결제 처리부(120), 신호 발생부(130), 인터페이스부(140), 암복호화부(15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음향 신호 및 명령 신호가 생성되도록 신호 발생부(130)를 제어하고, 카드 결제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제가 처리되도록 결제 처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이동 단말과 카드 결제 장치가 수행하는 카드 결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1110 단계에서, 이동 단말(100)은 음향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과 카드 결제 장치(200)는 오디오잭(201) 및 오디오 소켓(101)을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100)은 카드 결제 처리 명령을 입력받음에 따라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고 카드 결제 처리 명령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음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음향 신호는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명령 신호를 포함하도록 생성되거나, 음향 신호와 명령 신호를 개별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도 11에서는, 이동 단말(100)이 명령 신호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S1120 단계에서, 이동 단말(100)은 생성한 음향 신호를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송한다.
S1130 단계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는 음향 신호의 수신에 따라 구동 준비를 한다. 예를 들어, 카드 결제 장치(200)는 슬립 모드(sleep mode) 상태에서 음향 신호의 수신에 따라 웨이크업 모드(wake up)로 전환될 수 있다. 또는, 카드 결제 장치(200)는 기구적인 스위치를 구비하여 스위치를 통한 입력 신호에 의하여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업 모드(wake up)로 전환될 수도 있다.
S1140 단계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는 수신된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하고, 생성한 전원을 카드 결제 장치(200)의 각 구성부로 공급하여 구동한다.
S1150 단계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는 수신된 음향 신호를 판독하여 명령 신호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명령 신호는 카드 결제 처리 명령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명령 신호는 데이터 보안 처리 여부 명령 신호가 될 수도 있다.
S1160 단계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는 카드 데이터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카드 결제 장치(200)는 마그네틱 카드의 마그네틱 스트립으로부터 카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S1170 단계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는 카드 데이터 입력에 따라 카드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S1180 단계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는 암호화한 카드 데이터를 이동 단말(100)로 전송한다.
S1190 단계에서, 이동 단말(100)은 카드 데이터 수신에 따라 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이동 단말과 연결되는 카드 결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과 연결되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및 마이크 단자를 포함하는 오디오잭;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하나 이상의 단자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음향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 결제 장치의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생성부;
    마그네틱 카드로부터 카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드 리더부; 및
    상기 카드 데이터를 암호화 처리하여 상기 마이크 단자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하나 이상의 단자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하나는 상기 전원 생성부와 연결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음향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신호 처리부와 연결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명령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하나는 상기 전원 생성부와 연결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명령 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나머지 하나를 상기 신호 처리부 또는 상기 전원 생성부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카드 결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는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전원 생성부에 연결되고,
    상기 음향 신호는 상기 명령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음향 신호에서 상기 명령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는 주기적 신호 또는 비주기적 신호이고,
    상기 주기적 신호는 전원 생성에 이용되고,
    상기 비주기적 신호는 전원 생성 및 명령 신호 검출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주기적 신호는 각 신호 파형의 지속 시간이 다르게 설정되어 상기 명령 신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장치.
  7. 마그네틱 카드를 판독하는 카드 결제 장치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카드 결제 장치의 전원 생성용으로 이용되는 음향 신호 및 상기 카드 결제 장치에 대한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카드 결제 장치의 오디오잭과 연결되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및 마이크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를 통해 상기 음향 신호 또는 상기 명령 신호를 상기 카드 결제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마이크 단자를 통해 상기 카드 결제 장치로부터 상기 마그네틱 카드의 카드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명령 신호를 암호화하며, 상기 카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암복호화부;
    상기 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제 시스템을 통해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 및
    상기 결제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는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카드 결제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명령 신호는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나머지 하나를 통해 상기 카드 결제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명령 신호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주기적 음향 신호 또는 비주기적 음향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주기적 음향 신호는 전원 생성에 이용되고,
    상기 비주기적 음향 신호는 전원 생성 및 명령 신호 검출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명령 신호가 포함되도록 각 신호 파형의 지속 시간을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비주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2. 마그네틱 카드로부터 카드 데이터를 획득하며,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하는 카드 결제 장치; 및
    상기 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며, 상기 카드 결제 장치에 대한 명령 신호 및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이동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카드 결제 장치는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및 마이크 단자를 포함하는 오디오잭을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잭이 상기 이동 단말의 오디오 소켓에 삽입되어, 상기 카드 결제 장치와 상기 이동 단말은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하나 이상의 단자를 통해 상기 음향 신호 또는 명령 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카드 데이터는 상기 마이크 단자를 통해 전송되고,
    상기 카드 결제 장치와 상기 이동 단말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암호화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명령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주기적 음향 신호 또는 비주기적 음향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주기적 음향 신호는 전원 생성에 이용되고,
    상기 비주기적 음향 신호는 전원 생성 및 명령 신호 검출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명령 신호가 포함되도록 각 신호 파형의 지속 시간을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비주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시스템.
  16.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및 마이크 단자를 포함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이동 단말과 카드 결제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결제 시스템에서의 카드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드 결제 장치의 오디오잭이 상기 이동 단말의 오디오 소켓에 삽입되어, 상기 카드 결제 장치와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음향 신호 및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를 통해 상기 카드 결제 장치로 상기 음향 신호 및 상기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카드 결제 장치가 상기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하여 구동하는 단계;
    상기 카드 결제 장치가 마그네틱 카드의 카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카드 결제 장치가 상기 카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상기 마이크 단자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카드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한 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 결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음향 신호 및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를 통해 상기 카드 결제 장치로 상기 음향 신호 및 상기 명령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명령 신호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 결제 장치가 상기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하여 구동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카드 결제 장치가 상기 음향 신호에서 상기 명령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드 결제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주기적 음향 신호 또는 비주기적 음향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주기적 음향 신호는 전원 생성에 이용되고,
    상기 비주기적 음향 신호는 전원 생성 및 명령 신호 검출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명령 신호가 포함되도록 각 신호 파형의 지속 시간을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비주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방법.
KR1020120095219A 2012-08-29 2012-08-29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및 방법 KR20140029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219A KR20140029736A (ko) 2012-08-29 2012-08-29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및 방법
US14/013,107 US9330385B2 (en) 2012-08-29 2013-08-29 Card pay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219A KR20140029736A (ko) 2012-08-29 2012-08-29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736A true KR20140029736A (ko) 2014-03-11

Family

ID=50186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219A KR20140029736A (ko) 2012-08-29 2012-08-29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30385B2 (ko)
KR (1) KR2014002973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558B1 (ko) * 2015-03-17 2016-02-17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카드 리더 장치, 카드 정보를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91557B1 (ko) * 2015-12-28 2016-12-30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마그네틱 보안 전송을 지원하는 이어폰
KR101972351B1 (ko) * 2018-01-12 2019-04-25 황승준 신호 변환 결제를 제공하는 결제 단말 및 그 동작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자판기 시스템
WO2020175945A1 (ko) * 2019-02-27 2020-09-03 황승준 자판기 신호 변환 결제를 제공하는 결제 단말을 이용한 자판기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자판기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6570B1 (en) * 2014-04-18 2015-04-28 Adrian Gluck Multi-purpose credit card reader apparatus
CN204650536U (zh) * 2014-11-27 2015-09-16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Pos终端以及包括其的支付系统
KR101840013B1 (ko) * 2017-10-20 2018-03-19 주식회사 단솔플러스 음파 통신을 이용한 근거리 결제 시스템
CN108416950B (zh) * 2018-03-01 2020-12-04 临沂文衡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插接头保护功能的稳固型移动手机刷卡器
CN108668200B (zh) * 2018-06-29 2024-04-19 深圳微步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音频支付控制电路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5981B1 (en) * 2000-04-04 2006-08-22 Great American Technologies Low power infrared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with wireless receiver and methods regarding same
US7810729B2 (en) * 2009-06-10 2010-10-12 Rem Holdings 3, Llc Card reader device for a cell phone and method of use
US8573487B2 (en) * 2010-10-13 2013-11-05 Square, Inc. Integrated read head device
KR100481439B1 (ko) 2002-08-08 2005-04-08 주식회사 우심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겸용 무선금융 결제기 집적회로
US8214290B1 (en) * 2009-04-30 2012-07-03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elf-service terminal reporting
US9195983B2 (en) * 2011-04-05 2015-11-24 Roam Data Inc. System and method for a secure cardholder load and storage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558B1 (ko) * 2015-03-17 2016-02-17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카드 리더 장치, 카드 정보를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WO2016148347A1 (ko) * 2015-03-17 2016-09-22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카드 리더 장치, 카드 정보를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91557B1 (ko) * 2015-12-28 2016-12-30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마그네틱 보안 전송을 지원하는 이어폰
KR101972351B1 (ko) * 2018-01-12 2019-04-25 황승준 신호 변환 결제를 제공하는 결제 단말 및 그 동작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자판기 시스템
WO2020175945A1 (ko) * 2019-02-27 2020-09-03 황승준 자판기 신호 변환 결제를 제공하는 결제 단말을 이용한 자판기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자판기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61300A1 (en) 2014-03-06
US9330385B2 (en)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9736A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및 방법
KR101602426B1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및 방법
CN104243484B (zh) 信息交互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04219058B (zh) 身份认证、身份授权方法及装置
US9665866B2 (en) Smart cards and smart card communication methods and systems
US20140203082A1 (en) Card reader device using a mobile, and the method thereof
US20130176826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s by audio
KR20120103929A (ko) 휴대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장치 및 방법
CN102523092B (zh) 基于音频的非接触ic卡及移动认证数据传输装置
CN104618330A (zh) 业务处理方法、装置及终端
KR20140028609A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CN103701977A (zh) 便捷式电子设备、通信系统以及信息认证方法
CN104009837A (zh) 密钥更新方法、装置及终端
CN105407070A (zh) 登录授权方法及装置
CN104102863B (zh) 一种身份认证设备及该设备控制方法
CN106911476A (zh) 一种加解密装置及方法
CN103281183A (zh) 转换装置和显示系统
KR20140017035A (ko) 오디오 보안 저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인증서 관리 방법
CN104182697A (zh) 文件加密方法和装置
CN107612058B (zh) 充电方法及设备
US20160253655A1 (en) Payment media reading device, control method of a payment media reading device, and a payment processing system
KR101085664B1 (ko) 휴대단말기에서 신용카드결제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CN108243402B (zh) 一种读写智能卡的方法及装置
CN103281182B (zh) 转换装置和显示系统
US20140380061A1 (en) Implementation Method of a Multifunctional MCU and such Multifunctional MC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