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609A -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609A
KR20140028609A KR1020120095208A KR20120095208A KR20140028609A KR 20140028609 A KR20140028609 A KR 20140028609A KR 1020120095208 A KR1020120095208 A KR 1020120095208A KR 20120095208 A KR20120095208 A KR 20120095208A KR 20140028609 A KR20140028609 A KR 20140028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ignal
contact
mobile terminal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빈
정윤필
김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95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8609A/ko
Priority to US14/013,126 priority patent/US9373006B2/en
Publication of KR20140028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6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4Hybrid read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0873Details of the card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가 개시된다. 카드 결제 장치는 이동 단말과 연결되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및 마이크 단자를 포함하는 오디오잭, 마그네틱 카드로부터 카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마그네틱 리더 모듈을 내장하며, 일면에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ㄷ자형의 카드 가이드가 형성된 제1 몸체 및 제1 몸체와 일체로 결합하며, 접촉식 IC 카드로부터 카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IC 리더 모듈을 내장하고, 접촉식 IC 카드의 통신 접점과의 접촉을 위하여 일면에 IC 리더 모듈과 연결된 통신 접촉 단자가 형성된 제2 몸체를 포함하되,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일체로 결합하는 경우, 접촉식 IC 카드 또는 마그네틱 카드가 제1 몸체와 제2 몸체 사이에 삽입되면서, 통신 접점이 제1 몸체와 제2 몸체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길이와 폭은 서로 상응하고,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길이는 접촉식 IC 카드 및 마그네틱 카드의 폭과 상응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Apparatus for card payment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카드 결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에 연결되어 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카드 결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그네틱 스트립(magnetic stripe)을 구비한 카드 또는 접촉식 IC카드는 신용카드, 선불카드를 비롯한 금융결제의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카드로 결제하기 위해 매장 등의 장소에 유선으로 고정되어 사용되는 카드 리더와 모바일 상으로 카드 결제를 위해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카드 데이터를 입력하는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이동통신수단에 카드결제를 위한 리더장치를 부가하여 이동성을 부여하고 결제의 편리성을 증대시킨 모바일 결합형 카드 리더(card reader)의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이동통신 단말기 겸용 무선금융 결제기 집적회로에 관한 특허문헌이 있으며, 신용카드에 부착된 마그네틱 스트립에서 데이터를 읽어 카드 결제를 수행하는 카드 결제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KR 0481439 B1 2005. 03. 28
본 발명은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단말과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결제를 위하여 마그네틱 스트립을 구비한 마그네틱 카드 및 접촉식 IC 카드의 데이터를 읽는 카드 결제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카드 결제 장치가 별도의 전원이 필요없으며, 결제 처리의 안전을 위하여 양방향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보안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과 연결되는 카드 결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결제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과 연결되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및 마이크 단자를 포함하는 오디오잭, 마그네틱 카드로부터 카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마그네틱 리더 모듈을 내장하며, 일면에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ㄷ자형의 카드 가이드가 형성된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일체로 결합하며, 접촉식 IC 카드로부터 카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IC 리더 모듈을 내장하고, 상기 접촉식 IC 카드의 통신 접점과의 접촉을 위하여 일면에 상기 IC 리더 모듈과 연결된 통신 접촉 단자가 형성된 제2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일체로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접촉식 IC 카드 또는 상기 마그네틱 카드가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삽입되면서, 상기 통신 접점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길이와 폭은 서로 상응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길이는 상기 접촉식 IC 카드 및 상기 마그네틱 카드의 폭과 상응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과 연결되는 카드 결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결제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과 연결되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및 마이크 단자를 포함하는 오디오잭, 마그네틱 카드로부터 카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마그네틱 리더 모듈을 내장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일체로 결합하며, 접촉식 IC 카드로부터 카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IC 리더 모듈을 내장하고, 상기 접촉식 IC 카드의 통신 접점과의 접촉을 위하여 일면에 상기 IC 리더 모듈과 연결된 통신 접촉 단자가 형성된 제2 몸체 및 일체로 결합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상기 접촉식 IC 카드 또는 상기 마그네틱 카드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홈의 양단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ㄱ자형의 카드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 접점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길이와 폭은 서로 상응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길이 또는 폭이 결정된다.
본 발명은 카드 결제 장치가 이동 단말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마그네틱 카드 및 접촉식 IC 카드의 데이터를 읽을 수 있어 이동성 및 결제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드 결제 장치가 별도의 전원이 필요없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고, 이동 단말을 이용한 결제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카드 결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5는 이동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6 내지 도 10은 카드 결제 장치의 전원 생성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4는 카드 결제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15는 이동 단말과 카드 결제 장치가 수행하는 카드 결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카드 결제 장치(200)는 이어폰 인터페이스 및 마이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단말(100)과 연결된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카드 결제 장치(200)는 이어폰 단자 및 마이크 단자를 포함하는 오디오잭(201)을 구비하며, 오디오잭(201)이 이동 단말(100)의 오디오 소켓(101)에 결합됨으로써, 이동 단말(100)과 연결된다.
카드 결제 장치(200)는 이어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단말(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이동 단말(100)은 음향 신호를 생성하여 이어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음향 신호를 출력하고, 카드 결제 장치(200)는 이어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원을 카드 결제 장치(200)의 구동 전원으로 이용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은 MP3와 같은 음악이나 소리로서, 가청주파수(20~20,000Hz)의 최대치에 가까운 20kHz 정도의 고주파를 발생하고, 발생한 고주파를 이어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드 결제 단말기(200)로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결제 단말기(200)는 정류기 등의 승압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된 고주파를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원으로 구동할 수 있다.
카드 결제 장치(200)는 마그네틱 카드(300)의 마그네틱 스트립(301)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마그네틱 카드(300)의 카드 데이터를 획득한다. 또한, 카드 결제 장치(200)는 접촉식 IC 카드(300)의 통신 접점(302)을 통해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접촉식 IC 카드(300)의 카드 데이터를 획득한다. 여기서, 마그네틱 카드(300)와 접촉식 IC 카드(300)는 개별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하나의 카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촉식 IC 카드(300)는 마그네틱 스트립(301)이 부착된 형태로, ISO 7816 표준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이후, 카드 결제 장치(200)는 획득한 카드 데이터를 마이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때, 카드 결제 장치(200)는 카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이동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암호화 방식으로서, 예를 들어, 3DES나 RSA 등 다양한 암복호화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100)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송되는 신호는 이어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은 음향 신호에 명령 신호가 포함되도록 음향 신호를 생성하여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100)은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송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암호화를 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100)과 카드 결제 장치(200)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암호화 처리가 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100) 또는 카드 결제 장치(200)는 수신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구현하기에 따라 오디오잭(201)의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송되고, 전원으로 변환될 음향 신호는 오디오잭(201)의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나머지 하나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카드 결제 장치(200)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이어폰 인터페이스는 전원 공급용으로 이용되지 않으므로, 이동 단말(100)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로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용으로만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어폰 인터페이스가 전원 공급용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 단말(100) 및 카드 결제 장치(200)에 대해서는 이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2 내지 도 4는 카드 결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고, 도 6 내지 도 10은 카드 결제 장치의 전원 생성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카드 결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드 결제 장치(200)는 신호 처리부(210), 전원 생성부(220) 및 카드 리더부(230)를 포함한다.
전원 생성부(220)는 오디오잭(201)의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와 연결되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원을 카드 결제 장치(200)의 구동 전원으로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원 생성부(220)는 생성한 전원을 신호 처리부(210) 및 카드 리더부(230)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생성부(220)는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오디오잭(201)의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승압하여 전원을 생성하는 승압 회로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회로의 경우, 오디오잭(201)의 좌측(Left) 단자 또는 우측(Right)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는 브리지(Bridge) 회로를 거쳐서 샤트키 다이오드(Schottky diode) 및 커패시터(capacitor)로 구성되는 회로를 통과하면, 전력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각 단자의 음향 신호는 분리되어 각각 별도의 전원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회로의 경우, 오디오잭(201)의 좌측(Left) 단자와 우측(Right)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는 각각 분리되어 별도의 전원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다단계의 멀티플라이어(Multiplier) 회로로 구성되어 보다 빠른 승압이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전원 생성부(220)가 일정한 주기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승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생성부(220)는 음향 신호을 지속적으로 입력받아 음향 신호의 전압을 증감을 반복하면서 전체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음향 신호는 실험적으로 대략 4V 전압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이동 단말(100)과 카드 결제 장치(20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위하여, 이동 단말(100)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송되는 신호는 오디오 인터페이스 즉, 오디오잭(201)의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즉,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어느 하나는 전원 공급용으로 이용되고, 나머지 하나는 이동 단말(100)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신호 전송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구현하기에 따라,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의 각 단자가 전원 공급용과 신호 전송용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은 항상 공급되어야 하고, 이동 단말(100)은 필요에 따라 명령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가 전원 공급용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명령 신호가 발생하면,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어느 하나가 전원 공급용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하나는 신호 전송용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어느 하나가 전원 공급용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하나는 신호 전송용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명령 신호가 사라지면, 다시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모두가 전원 공급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카드 결제 장치(200)는 스위칭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부(240)는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를 통해서 입력되는 신호를 모두 전원 생성부(220)로 인가하거나, 신호 처리부(210)와 전원 생성부(220)로 분리하여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칭부(240)는 신호 처리부(210)에 포함된 프로세서(212)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구현하기에 따라, 스위칭부(240)는 자체적으로, 명령 신호의 유무를 검출하여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이동 단말(100)은 스위칭부(240)가 명령 신호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명령 신호를 생성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로,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는 전원 공급용으로 이용됨과 동시에 신호 전송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는 전원 생성부(220)와 신호 처리부(210)로 동시에 입력될 수 있다. 물론, 도 2 및 도 3에는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우측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만이 신호 처리부(210)로 입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신호 처리부(210)로 입력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이동 단말(100)이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예시한 도면이다. (a)는 주기적인 음향 신호이고, (b)는 비주기적인 음향 신호이다. (a)와 같은 주기적인 음향 신호가 발생된 경우, 전원 공급용으로 이용되고, (b)와 같은 비주기적 음향 신호가 발생된 경우, 전원 공급용과 신호 전송용으로 모두 이용될 수 있다. 즉,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신호의 각 파형 별로 지속 시간이 다르게 설정됨으로써,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데이터가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데이터는 명령 신호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0은 주기적인 음향 신호와 비주기적인 음향 신호에 대한 전압 상승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포함되는 비주기적 음향 신호에 대해서도, 전압 상승이 불규칙하게 일어날 뿐, 전체적으로 승압이 이루어져 전원이 생성됨을 알 수 있다.
카드 리더부(230)는 마그네틱 카드(300)의 마그네틱 스트립(301) 또는 접촉식 IC 카드(300)의 통신 접점(302)으로부터 카드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카드 데이터를 신호 처리부(21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카드 리더부(230)는 마그네틱 리더 모듈(234) 및 IC 리더 모듈(23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네틱 리더 모듈(234)은 마그네틱 헤더(233), 노이즈 필터(232) 및 디코더(231)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틱 헤더(233)는 마그네틱 카드의 마그네틱 스트립과의 접촉 또는 근접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고, 노이즈 필터(232)는 마그네틱 헤더(233)가 발생한 신호를 전달받아 노이즈를 제거하며,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는 디코더(231)로 전달된다. 디코더(233)는 마그네틱 카드를 긁을 때 사람마다의 속도 차이에 따라 인식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표준 속도로 변환하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IC 리더 모듈(235)은 접촉식 IC 카드(300)의 통신 접점(302)에 대응하는 통신 접촉 단자를 통해 접촉식 IC 카드(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카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10)는 카드 리더부(230)로부터 전달되는 카드 데이터를 암호화 처리하고, 암호화된 카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 단자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카드 데이터를 이동 단말(10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신호 처리부(210)는 D/A 컨버터(211), 프로세서(212), A/D 컨버터(213), 보안 모듈(214) 및 메모리(21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2)는 카드 리더부(23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보안 모듈(214)이 암호화하도록 제어하고, D/A 컨버터(211)가 암호화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도록 제어한다.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신호는 마이크 단자를 통해 이동 단말(100)로 전달된다. A/D 컨버터(213)는 이어폰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212)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212)로 전달되는 신호는 이동 단말(100)이 발생한 명령 신호가 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는 명령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240)가 이어폰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스위칭하도록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칭부(24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도 5는 이동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100)은 통신부(110), 결제 처리부(120), 신호 발생부(130), 인터페이스부(140), 암복호화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도 5의 구성도에 있어서, 이동 단말(100)은 표시부, 입력부, 무선부, 송수화부 등과 같은 이동 단말(100)의 일반적인 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결제 처리부(120), 신호 발생부(130) 및 암복호화부(150)는 카드 결제 장치(200)를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의 구현을 위해 특별히 추가된 구성에 해당하는 바, 일반적인 구성들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결제 처리부(120), 신호 발생부(130) 및 암복호화부(150)가 수행하는 기능 및 역할은 제어부(160)가 통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100)과 다른 단말과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100)의 종류에 따라 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방송 수신 모듈, GPS 수신 모듈 등과 같은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결제 처리부(120)는 카드 결제 장치(100)로부터 마그네틱 카드의 카드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한다. 여기서, 카드 데이터는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마이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드 결제 장치(1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즉, 결제 처리부(120)는 수신된 카드 데이터를 통신부(110)를 통해 결제 시스템(미도시)으로 전송함으로써, 결제를 요청하고 승인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시스템은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예를 들어, 판매자 서버, 금융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발생부(130)는 이어폰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송되는 음향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앞서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 발생부(130)는 전원 공급용으로 이용되는 음향 신호와 명령 신호를 각각 생성하거나, 명령 신호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명령 신호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적인 음향 신호 또는 비주기적인 음향 신호로 생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는 이동 단말(100)과 외부기기 간의 연결을 위한 통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40)는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데이터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40)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인터페이스부(140)는 이어폰 인터페이스 및 마이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즉,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및 마이크 단자를 포함하는 오디오 소켓(101)을 통해 신호 발생부(130)가 생성한 음향 신호 및 명령 신호를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송하고, 카드 데이터를 카드 결제 장치(20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고, 카드 결제 장치(200)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암복호화부(150)는 카드 결제 장치(200)와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암호화 및 복호화한다. 즉, 이동 단말(100) 및 카드 결제 장치(200)는 서로에게 송신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암호화 처리를 수행하며, 이에 따라 데이터 수신 시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동 단말(100)의 각 구성부(예를 들어, 통신부(110), 결제 처리부(120), 신호 발생부(130), 인터페이스부(140), 암복호화부(15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음향 신호 및 명령 신호가 생성되도록 신호 발생부(130)를 제어하고, 카드 결제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제가 처리되도록 결제 처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카드 결제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카드 결제 장치(200)는 마그네틱 리더 모듈(234)을 내장한 제1 몸체(250) 및 IC 리더 모듈(235)을 내장한 제2 몸체(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몸체(260)의 일면에 IC 리더 모듈(235)과 연결된 통신 접촉 단자(261)가 형성되며, 제2 몸체(260)의 타면에는 사용자가 제1 몸체(250)와 제2 몸체(160)를 일체로 결합하거나 분리하도록 손잡이(262)가 형성된다. 통신 접촉 단자(261)는 접촉식 IC 카드(300)의 통신 접점(302)과 대응된다.
이때, 카드 결제 장치(200)의 나머지 구성부(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210), 전원 생성부(220) 등)는 제1 몸체(250) 또는 제2 몸체(260)에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250)를 제2 몸체(26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게 제작하여 제1 몸체(250)의 일측에 오디오잭(201)을 부착하고, 제1 몸체(250)에 신호 처리부(210) 및 전원 생성부(220)를 내장하여, 카드 결제 장치(200)가 제작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접촉식 IC 카드(300)를 읽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250)와 제2 몸체(160)가 일체로 결합하는 경우, 접촉식 IC 카드(300) 또는 마그네틱 카드(300)가 제1 몸체(250)와 제2 몸체(160) 사이에 일부 삽입되면서, 접촉식 IC 카드(300)의 통신 접점(302)이 제1 몸체(250)와 제2 몸체(160)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 몸체(250) 및 제2 몸체(260)의 길이와 폭은 서로 상응(또는 동일)하고, 제1 몸체(250) 및 제2 몸체(260)의 길이는 접촉식 IC 카드(300) 및 마그네틱 카드(300)의 폭과 상응하게 형성된다. 이때, 통신 접촉 단자(261)는 제2 몸체(250)에서 통신 접점(302)과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몸체(250)와 제2 몸체(160)가 일체로 결합 시, 제1 몸체(250)와 제2 몸체(160) 사이에 접촉식 IC 카드(300)가 삽입 및 고정되고, 마그네틱 카드(300)가 읽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 몸체(250)의 일면에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ㄷ자형의 카드 가이드(251)가 형성된다. 카드 가이드(251)는 제1 몸체(250)의 일면에서 카드 두께만큼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래서, 제1 몸체(250)와 제2 몸체(160)가 일체로 결합 시, 제1 몸체(250)와 제2 몸체(160) 사이에 접촉식 IC 카드(300)가 삽입 및 고정되고, 마그네틱 카드(300)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는 마그네틱 카드(300)를 읽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카드(300)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ㄷ자형의 카드 가이드(251)는 제1 몸체(250)의 폭 부분에 형성된 부분이 제1 몸체(250)의 폭보다 작으면서, 제1 몸체(250)의 양쪽 폭 부분에 형성된 부분이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즉, ㄷ자형의 카드 가이드(251)는 접촉식 IC 카드(300)가 읽히는 경우, 통신 접점(302)을 포함하는 카드의 폭 부분이 삽입 및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하고, 마그네틱 카드(300)가 읽히는 경우, 제1 몸체(2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사용자가 마그네틱 카드(300)를 긁을 수 있도록 마그네틱 카드(30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3 및 도 14는 카드 결제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카드 결제 장치(200)의 구조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카드 결제 장치(200)의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 ㄷ자형의 카드 가이드(251)가 접이식 구조를 가진다.
도 13을 참조하면, 카드 결제 장치(200)는 마그네틱 리더 모듈(234)을 내장한 제1 몸체(250), 카드 가이드(251) 및 IC 리더 모듈(235)을 내장한 제2 몸체(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몸체(260)의 일면에 IC 리더 모듈(235)과 연결된 통신 접촉 단자(261)가 형성되며, 제2 몸체(260)의 타면에는 슬라이딩 스위치(263)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스위치(263)는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에 따라 카드 가이부(251)가 접히거나 피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식 IC 카드(300) 또는 마그네틱 카드(300)가 제1 몸체(250)와 제2 몸체(260) 사이에 일부 삽입되면서, 카드가 카드의 폭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 접촉식 IC 카드(300)의 통신 접점(302)이 제1 몸체(250)와 제2 몸체(260)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 몸체(250)와 제2 몸체(260)는 일체로 결합되며, 제1 몸체(250)와 제2 몸체(260) 사이에 접촉식 IC 카드(300) 또는 마그네틱 카드(300)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홈은 카드 두께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몸체(250) 및 제2 몸체(260)의 길이와 폭은 서로 상응(또는 동일)하고, 접촉식 IC 카드(300) 또는 마그네틱 카드(300)가 카드의 폭 방향으로 삽입홈에 삽입되었을 때, 통신 접점(302)이 제1 몸체(250)와 제2 몸체(160)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 몸체(250) 및 제2 몸체(260)의 폭이 결정될 수 있다.
ㄱ자형의 카드 가이드(251)는 일체로 결합된 제1 몸체(250)와 제2 몸체(260)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접히거나 펴질 수 있다. 그래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의 양단 각각에 결합된 ㄱ자형의 카드 가이드(251)는 펴지면 전체적으로 ㄷ자형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접히면 제1 몸체(250)와 제2 몸체(160)에 형성된 수납부에 수납될 수 있다.
ㄷ자형으로 변형된 카드 가이드(251)는 앞서 도 12 및 도 13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식 IC 카드(300)가 읽히는 경우, 통신 접점(302)을 포함하는 카드의 폭 부분이 삽입 및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하고, 마그네틱 카드(300)가 읽히는 경우, 사용자가 마그네틱 카드(300)를 긁을 수 있도록 마그네틱 카드(30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5는 이동 단말과 카드 결제 장치가 수행하는 카드 결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1510 단계에서, 이동 단말(100)은 음향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과 카드 결제 장치(200)는 오디오잭(201) 및 오디오 소켓(101)을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100)은 카드 결제 처리 명령을 입력받음에 따라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고 카드 결제 처리 명령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음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음향 신호는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명령 신호를 포함하도록 생성되거나, 음향 신호와 명령 신호를 개별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도 11에서는, 이동 단말(100)이 명령 신호를 포함하는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S1520 단계에서, 이동 단말(100)은 생성한 음향 신호를 카드 결제 장치(200)로 전송한다.
S1530 단계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는 음향 신호의 수신에 따라 구동 준비를 한다. 예를 들어, 카드 결제 장치(200)는 슬립 모드(sleep mode) 상태에서 음향 신호의 수신에 따라 웨이크업 모드(wake up)로 전환될 수 있다. 또는, 카드 결제 장치(200)는 기구적인 스위치를 구비하여 스위치를 통한 입력 신호에 의하여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업 모드(wake up)로 전환될 수도 있다.
S1540 단계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는 수신된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을 생성하고, 생성한 전원을 카드 결제 장치(200)의 각 구성부로 공급하여 구동한다.
S1550 단계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는 수신된 음향 신호를 판독하여 명령 신호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명령 신호는 카드 결제 처리 명령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명령 신호는 데이터 보안 처리 여부 명령 신호가 될 수도 있다.
S1560 단계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는 카드 데이터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카드 결제 장치(200)는 마그네틱 카드(300)의 마그네틱 스트립(301) 또는 접촉식 IC 카드(300)의 통신 접점(302)으로부터 카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S1570 단계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는 카드 데이터 입력에 따라 카드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S1580 단계에서, 카드 결제 장치(200)는 암호화한 카드 데이터를 이동 단말(100)로 전송한다.
S1590 단계에서, 이동 단말(100)은 카드 데이터 수신에 따라 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이동 단말과 연결되는 카드 결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과 연결되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및 마이크 단자를 포함하는 오디오잭;
    마그네틱 카드로부터 카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마그네틱 리더 모듈을 내장하며, 일면에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ㄷ자형의 카드 가이드가 형성된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일체로 결합하며, 접촉식 IC 카드로부터 카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IC 리더 모듈을 내장하고, 상기 접촉식 IC 카드의 통신 접점과의 접촉을 위하여 일면에 상기 IC 리더 모듈과 연결된 통신 접촉 단자가 형성된 제2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일체로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접촉식 IC 카드 또는 상기 마그네틱 카드가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삽입되면서, 상기 통신 접점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길이와 폭은 서로 상응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길이는 상기 접촉식 IC 카드 및 상기 마그네틱 카드의 폭과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가이드는 상기 제1 몸체의 일면에서 카드 두께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일체로 결합 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상기 접촉식 IC 카드가 삽입 및 고정되고, 상기 마그네틱 카드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가이드는 상기 제1 몸체의 폭 부분에 형성된 부분이 상기 제1 몸체의 폭보다 작으면서, 상기 제1 몸체의 양쪽 폭 부분에 형성된 부분이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틱 카드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 또는 상기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하나 이상의 단자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음향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 결제 장치의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생성부; 및
    상기 카드 데이터를 암호화 처리하여 상기 마이크 단자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하나 이상의 단자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하나는 상기 전원 생성부와 연결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음향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신호 처리부와 연결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명령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하나는 상기 전원 생성부와 연결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명령 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중 나머지 하나를 상기 신호 처리부 또는 상기 전원 생성부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카드 결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는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전원 생성부에 연결되고,
    상기 음향 신호는 상기 명령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음향 신호에서 상기 명령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는 주기적 신호 또는 비주기적 신호이고,
    상기 주기적 신호는 전원 생성에 이용되고,
    상기 비주기적 신호는 전원 생성 및 명령 신호 검출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주기적 신호는 각 신호 파형의 지속 시간이 다르게 설정되어 상기 명령 신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장치.
  10. 이동 단말과 연결되는 카드 결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과 연결되며, 스테레오 이어폰 단자 및 마이크 단자를 포함하는 오디오잭;
    마그네틱 카드로부터 카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마그네틱 리더 모듈을 내장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와 일체로 결합하며, 접촉식 IC 카드로부터 카드 데이터를 획득하는 IC 리더 모듈을 내장하고, 상기 접촉식 IC 카드의 통신 접점과의 접촉을 위하여 일면에 상기 IC 리더 모듈과 연결된 통신 접촉 단자가 형성된 제2 몸체; 및
    일체로 결합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상기 접촉식 IC 카드 또는 상기 마그네틱 카드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홈의 양단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ㄱ자형의 카드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 접점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길이와 폭은 서로 상응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길이 또는 폭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ㄱ자형의 카드 가이드는 펴지면, ㄷ자형의 카드 가이드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형의 카드 가이드는 상기 접촉식 IC 카드가 읽히는 경우, 상기 통신 접점을 포함하는 카드의 폭 부분이 삽입 및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마그네틱 카드가 읽히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마그네틱 카드를 긁을 수 있도록 상기 마그네틱 카드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결제 장치.
KR1020120095208A 2012-08-29 2012-08-29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KR20140028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208A KR20140028609A (ko) 2012-08-29 2012-08-29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US14/013,126 US9373006B2 (en) 2012-08-29 2013-08-29 Card pay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208A KR20140028609A (ko) 2012-08-29 2012-08-29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609A true KR20140028609A (ko) 2014-03-10

Family

ID=50186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208A KR20140028609A (ko) 2012-08-29 2012-08-29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73006B2 (ko)
KR (1) KR201400286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565B1 (ko) * 2014-12-05 2015-06-03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양방향 하이브리드 카드 리더기
KR101599635B1 (ko) * 2014-10-14 2016-03-15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단말기, 카드 리더 및 그를 이용한 ic카드 결제 정보 처리 방법
KR101720230B1 (ko) * 2016-12-12 2017-03-27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마그네틱 보안 전송을 지원하는 이어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9236B1 (ja) * 2013-07-31 2014-12-10 佳弘 東 携帯電子機器
US20150069125A1 (en) * 2013-09-09 2015-03-12 Coatmen Technology Integration Limited Active contact and near-field card read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WO2016024143A1 (en) * 2014-08-13 2016-02-18 Intel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xchanging a data communication via an audio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0729B2 (en) * 2009-06-10 2010-10-12 Rem Holdings 3, Llc Card reader device for a cell phone and method of use
KR100481439B1 (ko) 2002-08-08 2005-04-08 주식회사 우심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겸용 무선금융 결제기 집적회로
WO2009126538A2 (en) * 2008-04-07 2009-10-15 Wal-Mart Stor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of a customer interface device
FR2936620B1 (fr) * 2008-10-01 2010-10-22 Ingenico Sa Terminal de paiement electronique a affichage ameliore
US8214290B1 (en) * 2009-04-30 2012-07-03 Bank Of America Corporation Self-service terminal reporting
US9195983B2 (en) * 2011-04-05 2015-11-24 Roam Data Inc. System and method for a secure cardholder load and storage device
US9424721B2 (en) * 2012-04-18 2016-08-23 Square, Inc. Point-of-sale system
US9058172B2 (en) * 2012-07-02 2015-06-16 Square, Inc. Method for conserving power using a wireless card read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635B1 (ko) * 2014-10-14 2016-03-15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단말기, 카드 리더 및 그를 이용한 ic카드 결제 정보 처리 방법
KR101525565B1 (ko) * 2014-12-05 2015-06-03 주식회사 제패트로닉스 양방향 하이브리드 카드 리더기
KR101720230B1 (ko) * 2016-12-12 2017-03-27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마그네틱 보안 전송을 지원하는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73006B2 (en) 2016-06-21
US20140061309A1 (en)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9736A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및 방법
KR20140028609A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US10838481B2 (en) Management of near field communications using low power modes of an electronic device
CN107341387B (zh) 用于安全增强的电子图章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602426B1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카드 결제 장치 및 방법
US8483758B2 (en) Modular mobile accessory for mobile device
US10489778B2 (en) Secure payment card
US9665866B2 (en) Smart cards and smart card communication methods and systems
EP3252960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4101594A1 (zh) 基于音频接口的读卡装置
CN104837133A (zh) Sim卡鉴权方法和装置
CN107612058B (zh) 充电方法及设备
US20160253655A1 (en) Payment media reading device, control method of a payment media reading device, and a payment processing system
CN108243402B (zh) 一种读写智能卡的方法及装置
EP3246867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25565B1 (ko) 양방향 하이브리드 카드 리더기
CN105553651A (zh) 安卓系统中磁盘镜像文件的签名方法、装置和设备
US10236927B2 (en) Protective case apparatus with temperature-controlled charging circuit for a portable mobile terminal
EP2889809A1 (fr) Dispositif de transformation de champ électromagnétique
KR20080084875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분산형 결제용 트랜잭션 포인트 단말장치와 이를 이용한 분산형 결제 방법 및 기록매체
FR2820266A1 (fr) Dispositif et procede d'appairage automatique securise des appareils d'un reseau radiofrequence
CN112041897A (zh) 一种控制方法、售票规则服务器、检票规则服务器及装置
KR20200084272A (ko)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20075078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
CN212135286U (zh) 用于移动终端的功能扩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