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4762A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4762A
KR20140024762A KR1020120091390A KR20120091390A KR20140024762A KR 20140024762 A KR20140024762 A KR 20140024762A KR 1020120091390 A KR1020120091390 A KR 1020120091390A KR 20120091390 A KR20120091390 A KR 20120091390A KR 20140024762 A KR20140024762 A KR 20140024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panel
input
start signal
tr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
Original Assignee
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 filed Critical 박철
Priority to KR1020120091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4762A/ko
Priority to PCT/KR2013/006634 priority patent/WO2014017831A2/ko
Publication of KR20140024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품의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이 개시된다.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은, 스타트 신호 및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기능을 정의한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스타트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에서 터치 궤적을 감지하는 단계, 및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기능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설정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OPERATION METHOD OF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스타트 신호 및 터치 궤적의 순차적인 입력에 의해 각종 기능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휴대단말기는 누구나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고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개인휴대단말기는 무선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점차 그 기능 영역이 다양화됨에 따라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과 함께 게임, MP3 등과 같은 각종 부가적인 기능을 갖도록 개발되고 있다.
아울러, 최근 개인휴대단말기에는 공간활용성이 높고 사용이 편리함 이점으로 인해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와 같은 터치패널의 장착이 보편화되고 있다. 즉, 터치패널은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터치패널은 크게 정전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방식, 표면 초음파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을 통해 단말기의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터치패널에 표시되는 아이콘이나 메뉴바의 터치 조작을 통해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각종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가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기능 실행에 사용되는 아이콘이나 메뉴바의 사용 방법을 숙지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 여러번의 반복된 터치 조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응용프로그램의 각종 기능을 실행시키기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간단한 터치 조작에 의해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각종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 터치패널의 작동방법에 대한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후 터치 궤적이 순차적으로 감지될 시,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각종 기능의 설정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은, 스타트 신호 및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기능을 정의한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스타트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에서 터치 궤적을 감지하는 단계, 및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기능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설정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개인휴대단말기는 전화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회의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블로깅 어플리케이션,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텍스트 뷰어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디지털 비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스타트 신호라 함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 또는 대기화면 모드 상태에서, 화면을 명령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스타트 신호는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스타트 신호의 입력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데이터 베이스는 시작 영역과 함께 정의되는 스타트 드로잉을 포함할 수 있고, 스타트 신호는 미리 정의된 시작 영역에서 시작되는 스타트 드로잉을 감지함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데이터 베이스는 스타트 드로잉을 포함할 수 있고, 스타트 신호는 터치패널에서 미리 정의된 상기 스타트 드로잉을 감지함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스타트 신호는 터치패널 영역 내부 또는 외부에 제공되는 버튼 또는 키의 조작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시작 영역에서 스타트 드로잉이 시작되는 경우 스타트 신호가 입력되는 방식에서, 시작 영역의 위치 조건은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시작 영역은 터치패널 영역 내부, 외부 및 경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정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시작 영역이 터치패널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 내부, 외부 및 경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정의될 수 있다.
스타트 드로잉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타트 드로잉은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이라 함은, 터치 패널의 터치 조작 움직임 또는 드로잉에 대응하여 선으로 형상화되는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명령 대기 모드라 함은 터치 궤적이 입력 또는 인식될 수 있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화면이 명령 대기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터치 궤적이 감지될 경우에만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른 기능의 설정이 조절될 수 있고, 명령 대기 모드가 아닌 상태에서는 터치 궤적이 감지되더라도 특정 기능의 설정이 변경되지 않는다.
명령 대기 모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명령 대기 모드는 스타트 신호의 입력이 이루어진 후 입력 조작이 유지되는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명령 대기 모드는 스타트 신호의 입력이 이루어진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터치 궤적의 변위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궤적의 변위는, 터치 궤적의 최초 시작 부위를 기준으로 터치 궤적의 방향 및 각도 변화를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기능이라 함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활성화된 응용프로그램에 관련된 기능 또는 여타 다른 설정 기능일 수 있으며,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기능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기능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설정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서로 상반되는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기능은 사진의 확대/축소, 시계 방향/반시계 방향 회전 등의 설정 조절에 관련된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기능은 음악의 재생, 멈춤 및 스킵(skip) 등의 설정 조절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전화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기능은 통화 음량의 조절, 음소거 ON/OFF 등의 설정 조절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기능은 줌, 플래시 ON/OFF 등의 설정 조절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이외에도,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기능은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예를 들면, 지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터치패널의 우측 하단 모서리에 인접한 시작 영역에서부터 시작되는 직선 형태의 스타트 드로잉이 입력된 후, 대략 2시 방향을 향해 직선 형태의 터치 궤적이 입력되면, 확대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대략 8시 방향을 향해 직선 형태의 터치 궤적이 입력되면, 축소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궤적의 변위가 연속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확대 및 축소에 관련된 기능이 연속적으로 실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터치 궤적을 보다 정확하게 구분 및 감지할 수 있도록,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에서는 터치패널에 복수개의 가이드 경계라인이 활성화될 수 있고, 터치 궤적이 가이드 경계라인을 따라 감지되는 경우, 가이드 경계라인별 터치 궤적의 변위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기능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다르게는, 터치패널에는 복수개의 거점아이콘이 활성화될 수 있고, 스타트 신호가 거점아이콘을 통과하는 경우, 거점아이콘별 터치 궤적의 변위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설정이 변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 영역 내부 또는 외부에 제공되는 버튼 또는 키의 조작에 의해 스타트 신호가 입력되는 방식에서, 터치패널 영역 내부에 제공되는 버튼 또는 키라 함은, 터치패널 영역 내부에 형성되어 터치 조작 가능한 버튼 또는 키로 이해될 수 있고, 터치패널 영역 외부에 제공되는 버튼 또는 키라 함은, 터치패널 영역 외부에 누름, 슬라이드 또는 회전 조작 가능하게 제공되어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버튼 또는 키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대응하여 터치패널의 특정 부위에는 패널 화면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스타트 신호는 패널 화면에 제공되는 기능아이콘의 터치 조작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패널 영역의 다른 부위 또는 다른 버튼을 터치 조작함으로써 스타트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위젯과 같은 아이콘을 이용하여 스타트 신호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터치패널의 터치 기능 영역은 통상적으로 화면 외부영역에도 터치센서 라인이 확장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기능 영역이라 함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스타트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버튼에 제공될 수 있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의 작동방법에 의하면,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후 터치 궤적이 순차적으로 감지될 시,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능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각종 기능의 설정을 보다 손쉽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만 터치 궤적을 감지하면 되기 때문에 시스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가령, 별도의 스타트 신호의 입력없이, 특정 터치 궤적이 감지되면 특정 기능의 설정이 변경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많은 종류의 드로잉 또는 여타 다른 터치 조작이 미리 설정된 터치 궤적에 해당되는지를 일일이 판별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에 부하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타트 신호가 감지되기 전에는 많은 종류의 드로잉 또는 여타 다른 터치 조작이 많은 종류의 터치 궤적에 해당하는지를 일일이 판별할 필요없이, 단순히 스타트 신호의 입력만 감지하면 되기 때문에 시스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손으로 간단히 스타트 신호 및 터치 궤적을 입력하여 각종 기능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 복잡한 여러 단계의 조작을 거처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별도의 메뉴 아이콘을 활성화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터치패널에서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기능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실행 방법을 각각 별도로 숙지해야 할 필요없이, 각종 기능의 설정을 빠르고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각종 기능의 설정 변경에 필요한 입력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타트 신호의 입력 및 터치 궤적 변화에 의해 각종 기능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기능의 설정 변경을 위한 입력조작시 단순히 입력작업을 수행하는 수준을 넘어 재미와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시키고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스타트 신호 및 터치 궤적의 입력에 의한 기능 실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스타트 신호 및 터치 궤적의 입력에 의한 기능 실행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가이드 경계라인을 이용한 터치 궤적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거점아이콘을 이용한 터치 궤적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스타트 신호의 다른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스타트 신호 및 터치 궤적의 입력에 의한 기능 실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스타트 신호 및 터치 궤적의 입력에 의한 기능 실행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가이드 경계라인을 이용한 터치 궤적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거점아이콘을 이용한 터치 궤적의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은, 스타트 신호 및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터치 궤적을 정의한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S10), 스타트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S20),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S30), 명령 대기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에서 터치 궤적을 감지하는 단계(S40), 및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기능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설정을 조절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터치패널(100)이라 함은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통상의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패널(100)의 종류 및 구동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개인휴대단말기는 지도 어플리케이션, 전화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회의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블로깅 어플리케이션,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텍스트 뷰어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디지털 비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다.
먼저, 스타트 신호, 및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터치 궤적(20)을 정의한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스타트 신호라 함은,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 또는 대기화면 모드 상태에서, 화면을 명령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일종의 전환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스타트 신호는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스타트 신호의 입력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미리 정의된 시작 영역에서 스타트 드로잉(10)이 시작되는 경우 스타트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은 미리 정의된 시작 영역에서 시작되는 경우에만 정상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즉, 미리 정의된 시작 영역에서 스타트 드로잉(10)이 시작될 경우에만 스타트 드로잉(10)의 입력이 정상적으로 감지될 수 있고, 미리 정의되지 않은 영역에서 스타트 드로잉(10)이 시작될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스타트 드로잉(10) 조작이 이루어지더라도 스타트 드로잉(10)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다.
상기 시작 영역의 위치 조건은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시작 영역은 터치패널(100) 영역 내부, 외부 및 경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정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시작 영역이 터치패널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 내부, 외부 및 경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시작 영역은 터치패널(100) 영역 내부의 특정 위치에서 특정 경계 내측에 정의된 영역(또는, 터치패널(100)에서 특정 좌표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 내에서 정해진 좌표의 그룹 내측에 정의된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시작 영역은 터치패널(100) 상에 단 하나만 정의될 수 있으나, 다르게는 복수개의 시작 영역이 정의될 수도 있다.
상기 시작 영역은 터치패널(100)의 경계에 인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패널(100)의 경계라 함은, 터치패널(100)의 외곽 경계를 이루는 터치패널(100)의 모서리 및 변(side)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시작 영역이 터치패널 영역 내부의 중앙부 영역에 정의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터치패널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십자가 또는 여타 다른 형태로 시작 영역을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은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이라 함은, 터치 패널의 터치 조작 움직임 또는 드로잉에 대응하여 선으로 형상화되는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에는 복수개의 터치 궤적(20)이 귀속될 수 있는 바, 스타트 드로잉(10)마다 각각 동일한 복수개의 터치 궤적(20)이 귀속될 수 있다. 가령, 스타트 드로잉(10) "A"에는 터치 궤적 "B,C,D,E"가 귀속될 수 있고, 스타트 드로잉(10) "B"에는 터치 궤적 "B,C,D,E"가 귀속될 수 있다. 아울러, 스타트 드로잉(10) "A"에 귀속된 터치 궤적 "B"와, 스타트 드로잉(10) "B"에 귀속된 터치 궤적 "B"는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의 설정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신된 스타트 드로잉(10)을 판별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으며, 판별된 스타트 드로잉(10)에 따라 터치 궤적(20)의 입력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기능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가령, 동일한 터치 궤적 "B"가 입력되더라도 먼저 판별된 스타트 드로잉(10)의 종류에 따라 터치 궤적 "B"에 대응하는 기능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타트 드로잉마다 각각 동일한 복수개의 터치 궤적이 귀속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스타트 드로잉마다 각각 다른 복수개의 터치 궤적이 귀속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령, 스타트 드로잉 "A"에는 터치 궤적 "B,C,D,E"가 귀속될 수 있고, 스타트 드로잉 "B"에는 터치 궤적 "F,G,H,I"가 귀속될 수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이 스타트 신호 및 터치 궤적(20)을 정의하는 데이터 베이스가 유지되는 동안, 미리 설정된 시작 영역에서 시작되는 스타트 드로잉(10)의 입력을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 또는 대기화면 모드 상태에서, 화면을 명령 대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입력될 수 있다. 스타트 드로잉(10)의 입력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예를 들어, 스타일러스펜)가 터치패널(100)에 접촉 또는 근접될 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예로,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은 대략 직선 형태로 정의될 수 있으며, 시작 영역은 터치패널(100)의 우측 하단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조작 움직임이 터치패널(100)의 우측 하단 모서리에 인접한 시작 영역에서 시작되어 미리 설정된 스타트 드로잉(10) 형상을 따라 그려질 경우에는 스타트 드로잉(10)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스타트 드로잉(10)이 곡선, 알파벳, 삼각형 또는 "L" 형상 등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스타트 드로잉(10)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시작 영역은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터치 패널의 상/하부변, 좌/우측변, 다른 모서리 등에 인접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다음, 스타트 신호의 입력에 대응하여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명령 대기 모드라 함은 터치 궤적(20)이 입력 또는 감지될 수 있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즉, 화면이 명령 대기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경우에만 터치 궤적(20)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의 설정이 조절될 수 있고, 명령 대기 모드가 아닌 상태에서는 터치 궤적이 감지되더라도 특정 기능의 설정이 변경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명령 대기 모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명령 대기 모드는 스타트 드로잉(10)의 입력이 이루어진 후 터치 조작이 유지되는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가 터치패널에 접촉된 상태로 스타트 드로잉을 입력한 후, 터치패널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명령 대기 모드가 유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명령 대기 모드는 스타트 드로잉의 입력이 이루어진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가 터치패널에 접촉된 상태로 스타트 드로잉을 입력한 후, 터치패널로부터 분리되더라도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예를 들어, 2초) 동안 명령 대기 모드가 유지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터치패널(100)에서 터치 궤적(20)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 궤적(20)의 입력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예를 들어, 스타일러스펜)가 터치패널(100)에 접촉 또는 근접될 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일 예로, 상기 터치 궤적(20)은 대략 직선 형태로 정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조작 움직임이 스타트 드로잉(10)이 완료된 지점(또는 터치 궤적이 최초 시작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대략 2시 방향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터치 궤적(20)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르게는, 터치 궤적이 알파벳, 숫자, 기호 또는 도형 형상 등으로 정의되는 것도 가능하며, 터치 궤적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후, 상기 터치 궤적(20)의 변위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능에 대한 개인휴대단말기의 설정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기능이라 함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활성화된 응용프로그램에 관련된 기능 또는 여타 다른 설정 기능일 수 있으며,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기능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기능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설정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서로 상반되는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기능은 사진의 확대/축소, 시계 방향/반시계 방향 회전 등의 설정 조절에 관련된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기능은 음악의 재생, 멈춤 및 스킵(skip) 등의 설정 조절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전화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기능은 통화 음량의 조절, 음소거 ON/OFF 등의 설정 조절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기능은 줌, 플래시 ON/OFF 등의 설정 조절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이외에도,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기능은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터치 궤적(20)의 변위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터치 궤적(20)의 변위는, 터치 궤적(20)의 최초 시작 부위를 기준으로 터치 궤적(20)의 방향 및 각도 변화를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를 참조하면, 지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터치패널(100)의 우측 하단 모서리에 인접한 시작 영역에서부터 시작되는 직선 형태의 스타트 드로잉(10)이 입력된 후, 대략 2시 방향을 향해 직선 형태의 터치 궤적(20)이 감지되면, 확대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궤적(20)의 거리(또는 구간)가 터치 궤적(20)의 최초 시작 부위로부터 증가할수록 확대에 관련된 기능의 실행 정도(확대 배율 또는 속도)가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지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터치패널(100)의 우측 하단 모서리에 인접한 시작 영역에서부터 시작되는 직선 형태의 스타트 드로잉(10)이 입력된 후, 대략 8시 방향을 향해 직선 형태의 터치 궤적(20)이 감지되면, 축소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궤적(20)의 거리(또는 구간)가 터치 궤적(20)의 최초 시작 부위로부터 증가할수록 축소에 관련된 기능의 실행 정도(축소 배율 또는 속도)가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지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터치패널(100)의 우측 하단 모서리에 인접한 시작 영역에서부터 시작되는 직선 형태의 스타트 드로잉(10)이 입력된 후, 터치 궤적(20)의 변위에 따라 확대 및 축소에 관련된 기능이 연속적으로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대략 8시 방향을 향해 직선 형태의 터치 궤적(20a)이 감지되면, 축소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터치조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다시 대략 2시 방향을 향해 직선 형태의 터치 궤적(20b)이 입력되면, 확대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으며, 터치조작이 유지된 상태에서, 다시, 대략 8시 방향을 향해 직선 형태의 터치 궤적(20c)이 입력되면, 축소에 관련된 기능이 연속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다르게는 도 5와 같이, 상기 터치패널(100a)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100)의 외부에 정의된 시작 영역에서부터 시작하는 직선 형태의 스타트 드로잉(10)이 입력된 상태에서, 대략 2시 방향을 향해 직선 형태의 터치 궤적이 입력되면, 확대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대략 8시 방향을 향해 직선 형태의 터치 궤적이 입력되면, 축소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 궤적에 변위에 따라 각종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 또는 슬라이드 스위치(slide switch)가 활성화되거나, 여타 다른 버튼 또는 키가 활성화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상기 터치패널(100)의 터치 기능 영역은 통상적으로 화면(100a) 외부영역에도 터치센서 라인이 확장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기능 영역이라 함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홈키의 상부 영역에는 수직 연결 패턴을 통해 세로로 연결된 수직 노드 패턴, 및 수평 연결 패턴을 통해 가로로 연결된 수평 노드 패턴으로 이루어진 제1터치센서 라인이 제공될 수 있으며, 홈키 주변 영역에는 빗살 형태로 형성되는 제1노드패턴, 및 빗살 형태로 형성되며 제1노드패턴과 빗살 부분이 상호 교대로 배치되는 제2노드패턴을 포함하는 제2터치센서 라인이 제공될 수 있으며, 터치패널(100a)의 화면(100) 외부 영역에서 시작되는 스타트 드로잉(10)의 감지는 제2터치센서 라인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상기 터치패널(100)의 우측 하단 모서리에 인접한 시작 영역에서부터 시작하는 직선 형태의 스타트 드로잉(10)이 입력된 상태에서, 시계 방향을 따라 원호 형상의 터치 궤적(20)이 감지되면, 확대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반시계 방향을 따라 원호 형상의 터치 궤적(20)이 감지되면, 축소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스타트 기호가 입력되면 터치패널(100)에는 터치 궤적을 입력하기 위한 터치 궤적 입력창(미도시)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터치 궤적 입력창을 통해 터치 궤적이 입력될 경우,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대응하는 기능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에서는 터치패널(100)에 복수개의 가이드 경계라인(40)이 활성화될 수 있고, 상기 터치 궤적(20)이 가이드 경계라인(40)을 따라 감지되는 경우, 가이드 경계라인(40)별 터치 궤적(20)의 변위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 경계라인의 갯수, 형태 및 위치는 전술한 스타트 드로잉의 길이(구간) 또는 특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에서는, 대략 원호 형상을 갖는 제1가이드 경계라인 내지 제3가이드 경계라인(41~43)이 서로 이격되며 무지개 형태를 이루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가이드 경계라인 내지 제3가이드 경계라인(41~43)을 따라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경우, 볼륨, 스킵(skip) 및 재생/멈춤에 대한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로, 최하단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 경계라인(41)의 대략 중앙부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경우에는 볼륨 확대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좌측 방향으로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경우에는 볼륨 축소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가운데 배치되는 제2가이드 경계라인(42)의 대략 중앙부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경우에는 앞으로 넘김(skip)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좌측 방향으로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경우에는 뒤로 넘김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최상단에 배치되는 제3가이드 경계라인(43)의 대략 중앙부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경우에는 재생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좌측 방향으로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경우에는 멈춤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가이드 경계라인(40)을 따라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시에만 터치 궤적(20)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터치 궤적(20)을 보다 정확하게 구분 및 감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경계라인이 무지개 형태로 배열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 경계라인이 직선 또는 여타 다른 형태로 형성 및 배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 경계라인의 형상 및 배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패널(100)에는 복수개의 거점아이콘(50)이 활성화될 수 있고, 상기 스타트 신호가 거점아이콘(50)을 통과하는 경우, 거점아이콘(50)별 터치 궤적(20)의 변위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기능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터치패널(100)에는 제1 및 제2거점아이콘(51,52)이 활성화될 수 있고, 스타트 드로잉(10)이 제1거점아이콘(51)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터치 궤적(20)의 변위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 기능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고, 스타트 드로잉(10)이 제2거점아이콘(52)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터치 궤적(20)의 변위에 따라 상부 스크롤 또는 하부 스크롤 기능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스타트 신호의 다른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리 정의된 시작 영역에서 스타트 드로잉이 시작되는 경우 스타트 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로 특정 시작 영역을 정의하지 않고 터치패널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스타트 드로잉이 감지됨에 따라 스타트 신호가 입력되거나, 터치패널 영역 내부 또는 외부에 제공되는 버튼 또는 키의 조작이 감지됨에 따라 스타트 신호가 입력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터치 궤적(20)이 귀속되는 스타트 드로잉(1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타트 신호는 터치패널(100)에서 미리 정의된 스타트 드로잉(10')을 감지함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은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은 대략 가운데가 잘록한 모래시계(또는 절구)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조작 움직임이 미리 설정된 스타트 드로잉(10') 형상을 따라 이루어질 경우에는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르게는, 스타트 드로잉이 알파벳, 삼각형 또는 계단 형상 등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스타트 드로잉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터치패널(100)에 스타트 드로잉(10')이 입력된 후에는 전술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시, 터치 궤적(20)의 변위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스타트 드로잉(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상기 스타트 드로잉(10)에는 각각 복수개의 터치 궤적(20)이 귀속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스타트 신호는 터치패널(100) 영역 내부 또는 외부에 제공되는 버튼 또는 키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터치패널(100) 영역 내부에 제공되는 버튼 또는 키라 함은, 터치패널(100) 영역 내부에 형성되어 터치 조작 가능한 버튼 또는 키로 이해될 수 있고, 터치패널(100) 영역 외부에 제공되는 버튼 또는 키라 함은, 터치패널(100) 영역 외부에 누름, 슬라이드 또는 회전 조작 가능하게 제공되어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버튼 또는 키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0을 참조하면, 터치패널(100) 영역 외부에 해당되는 단말기의 측면에는 누름 조작 가능하게 조작 버튼(102)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 버튼(102)의 누름 조작에 의한 입력 신호가 감지될 시,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타트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버튼(102)이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조작 버튼이 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되거나, 측면 다른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스타트 신호를 입력 가능한 복수개의 조작 버튼이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조작 버튼에는 각각 복수개의 터치 궤적이 귀속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버튼(102)을 통해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후에는 전술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터치 궤적(20)이 감지될 시, 터치 궤적(20)의 변위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에 대응하여 터치패널(100)의 특정 부위에는 패널 화면(101)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상기 스타트 신호는 패널 화면(101)에 제공되는 기능아이콘(102')의 터치 조작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패널(100) 영역의 상단부를 아래로 드래그하는 터치 조작에 대응하여 터치패널(100)의 상단부에는 패널 화면(101)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패널 화면(101)에는 각종 설정 변경을 위한 복수개의 기능아이콘(102')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스타트 신호는 특정 기능아이콘(102')을 터치 조작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상기 기능아이콘(102')을 통해 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후에는 전술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터치 궤적(20)의 변위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예를 들어, 상/하부 스크롤 기능)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패널 영역의 다른 부위 또는 다른 버튼을 터치 조작함으로써 스타트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위젯과 같은 아이콘을 이용하여 스타트 신호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상기 터치패널의 터치 기능 영역은 통상적으로 화면 외부영역에도 터치센서 라인이 확장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기능 영역이라 함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스타트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버튼에 제공될 수 있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스타트 드로잉 20 : 터치 궤적
100 : 터치패널

Claims (17)

  1.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스타트 신호 및 상기 스타트 신호에 귀속되는 복수개의 기능을 정의한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스타트 신호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명령 대기 모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터치패널에서 터치 궤적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상기 기능에 따른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설정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스타트 드로잉을 포함하고,
    상기 스타트 신호는 상기 터치패널에서 미리 정의된 상기 스타트 드로잉을 감지함에 따라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시작 영역과 함께 정의되는 스타트 드로잉을 포함하되,
    상기 스타트 신호는 미리 정의된 상기 시작 영역에서 시작되는 상기 스타트 드로잉을 감지함에 따라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영역은 상기 터치패널 영역 내부, 외부 및 경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영역은 상기 터치패널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영역 내부, 외부 및 경계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영역은 상기 터치패널 영역 내부의 특정 위치에서 특정 경계 내측에 정의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영역은 상기 터치패널의 경계를 이루는 변(side) 및 모서리를 따라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드로잉은 선으로 형상화 가능한 문자, 기호, 도형 및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신호는 상기 터치패널 영역 내부 또는 외부에 제공되는 버튼 또는 키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패널의 특정 부위에는 패널 화면이 활성화되고,
    상기 스타트 신호는 상기 패널 화면에 제공되는 기능아이콘의 터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대기 모드는 상기 스타트 신호의 입력이 이루어진 후 입력 조작이 유지되는 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대기 모드는 상기 스타트 신호의 입력이 이루어진 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대기 모드를 유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터치패널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경계라인이 활성화되고,
    상기 터치 궤적이 상기 가이드 경계라인을 따라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경계라인별 상기 터치 궤적의 변위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에는 복수개의 거점아이콘이 활성화되고,
    상기 스타트 신호가 상기 거점아이콘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거점아이콘별 상기 터치 궤적의 변위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상기 기능에 따른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설정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서로 상반되는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궤적의 변위는,
    상기 터치 궤적의 최초 시작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터치 궤적의 방향 및 각도 변화를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상기 기능에 따른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설정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터치 궤적의 변위에 따라 화면 확대/축소, 스크롤 업/다운, 볼륨 업/다운, 시계 방향 회전/반시계 방향 회전, 앞으로 감기/뒤로 감기, 상부/하부 이동, 좌측/우측 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KR1020120091390A 2012-07-25 2012-08-21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KR20140024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390A KR20140024762A (ko) 2012-08-21 2012-08-21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PCT/KR2013/006634 WO2014017831A2 (ko) 2012-07-25 2013-07-24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390A KR20140024762A (ko) 2012-08-21 2012-08-21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762A true KR20140024762A (ko) 2014-03-03

Family

ID=50640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390A KR20140024762A (ko) 2012-07-25 2012-08-21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47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812A1 (ko) * 2022-08-08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획을 입력하기 위한 제스쳐를 이용하여 획에 대응하는 라인을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812A1 (ko) * 2022-08-08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획을 입력하기 위한 제스쳐를 이용하여 획에 대응하는 라인을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KR101224588B1 (ko) 멀티포인트 스트록을 감지하기 위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100798301B1 (ko) 스크롤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455690B1 (ko) 정보처리 시스템, 조작입력장치,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기억매체
JP552961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操作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US20080168401A1 (en)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multiple application windows
US20120297339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JP2011227854A (ja) 情報表示装置
KR20110085189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US9298364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scree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rong screen control program
US10768717B2 (en) Method for operating handheld device, handhel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WO2013021879A1 (ja) 情報処理装置、画面表示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092198B2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EP21464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key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KR20110066025A (ko)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
US2006024087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5653062B2 (ja) 情報処理装置、操作入力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CN108124064B (zh) 一种移动终端的按键响应方法及移动终端
KR101678213B1 (ko) 터치 영역 증감 검출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229357B1 (ko) 방향입력용 터치패드와 터치패널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20140024762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US20100164756A1 (en) Electronic device user input
KR20140048756A (ko)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KR20100042762A (ko) 휴대 단말기에서 마우스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KR20140020570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