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1695A - Dual-mode antenna - Google Patents

Dual-mode antenn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1695A
KR20140021695A KR1020140012014A KR20140012014A KR20140021695A KR 20140021695 A KR20140021695 A KR 20140021695A KR 1020140012014 A KR1020140012014 A KR 1020140012014A KR 20140012014 A KR20140012014 A KR 20140012014A KR 20140021695 A KR20140021695 A KR 20140021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nfc
wireless power
power transmissio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0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20743B1 (en
Inventor
한민석
김영선
류성한
박래혁
박운규
이지형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2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743B1/en
Publication of KR20140021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6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7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Landscapes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mode antenna. The dual mode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sulation sheet; a loop-shaped NFC coil formed on the insulation sheet; and a loop-shap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NFC coil to be formed in a loop shape on the internal loop-shaped NFC coil, and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ulation sheet to electrically connect each other through via holes which pass through the insulation sheet, wherei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ulation sheet so that currents flow in the same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Reference numerals] (210) NFC impedance matching unit; (220) NFC transceiver; (230) NFC control unit; (310) W/C impedance matching unit; (320) Rectifying unit; (330) Charging unit; (400) Control unit

Description

이중모드 안테나 {Dual-Mode Antenna}Dual-Mode Antenna

본 발명은 NFC 와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이중모드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mode antenna for NFC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최근 에너지-IT 융합기술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에너지-IT 융합기술이란 종래의 에너지 기술에 급속히 발달하고 있는 IT 기술을 융합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에너지-IT 융합 기술의 한 분야로서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WPT) 기술이 있다. 무선 전력 전송이란 종래의 유선으로 된 전력선 대신 무선으로 전기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술을 말하며, 종래에 가전기기 등을 충전하기 위해서 전원 콘센트로부터 가전기기 또는 충전기기로 유선으로 된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cently, interest in energy-IT convergence technology is increasing. Energy-IT convergence technology refers to the fusion of IT technology that is rapidly developing in the conventional energy technology, and there is a wireless power transfer (WPT) technology as one field of such energy-IT convergence technolog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refers to a technology of supplying power to an electric device wirelessly instead of a conventional wired power line. In order to charge a home appliance,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is conventionally performed without connecting a wired power cable from a power outlet to a home appliance or a charger. Due to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arge wirelessly,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현재 상용화 또는 연구 중인 무선 전력 전송 기술에는 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명 방식이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두 코일 간의 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수 mm ~ 수 cm 의 거리에서 수 W의 전력을 전송할 수 있으며, 현재는 교통카드, 무선 면도기, 전동 칫솔 등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자기 공명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공진 주파수에서의 공진 결합(resonant coupling)에 의해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수 m 이내의 거리에서 수십 W의 전력을 전송할 수 있으며, 공진기의 Q(Quality Factor)값에 의해 전송 효율이 영향을 받는다.There are two types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ies currently in commercialization or research: magnetic induction and magnetic resonance. Magnetic induct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uses magnetic induction between two coils, which can transmit several W of power from a distance of several mm to several cm, and is currently applied to transportation cards, wireless shavers, electric toothbrushes, and the like. have. On the other hand, the magnetic resonan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is a method of transmitting power by the resonant coupling (resonant coupling) at the resonant frequency, can transmit several tens of W power within a distance of several meters, the Q (Quality) of the resonator The transmission efficiency is affected by the factor value.

한편, 최근에 출시되는 상당수의 모바일 단말에는 NFC 통신이 가능하도록 NFC 모듈이 장착되어 출시되고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10cm 정도의 거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접통신 기술이다. NFC 모듈은 모바일 단말에 탑재되어 사용자 인증, 신분증, 신용카드, 모바일 티켓, 모바일 쿠폰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a large number of mobile terminals recently released are being equipped with NFC modules to enable NFC communic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s a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t a distance of about 10 cm using a frequency of 13.56 MHz band. The NFC module is mounted on a mobile terminal and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user authentication, ID card, credit card, mobile ticket, and mobile coupon.

한편, NFC 통신을 하기 위해 NFC 통신용 안테나(코일)이 필요하다. NFC 안테나는 NFC 리더와 NFC 태그의 안테나가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되며, 실제 모바일 단말 상에 구현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NFC 리더 안테나와 태그 안테나를 적층 구조로 집적한 통합형 이중안테나 구조가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NFC communication antenna (coil) is required for NFC communication. NFC antenna and the antenna of the NFC tag and the NFC tag are each provided independently, when implemented on the actual mobile terminal is generally used an integrated dual antenna structure integrating the NFC reader antenna and the tag antenna in a stacked structure.

또한, 무선전력전송의 경우에도 별도의 무선전력전송용 안테나(코일)이 필요하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 상에서 NFC 기능과 무선전력전송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능을 위한 안테나를 함께 장착하여야 한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의 크기에 따른 제한으로 인해 안테나 장착 공간이 협소하고, 두 종류의 안테나로 인해 모바일 단말의 크기 및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 separat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tenna (coil) is required. Accordingly, in order to simultaneously support the NFC function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unction on the mobile terminal, an antenna for each function must be mounted together. In this case, the antenna mounting space is narrow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mobile terminal increase due to the two types of antennas.

따라서, NFC 안테나 및 무선전력전송 안테나를 모바일 단말에 함께 장착하면서도 필요한 장착 공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while the NFC antenna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tenna is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together, there is a demand for the introduction of a technology that can reduce the required mounting space to a minimum.

이와 관련하여, 미국공개특허 US2010-0194334 에는 "RETROFITTING WIRELESS POWER AND NEAR-FIELD COMMUNICATION IN ELECTRONIC DEVICESZ"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공개특허 US2010-0194334의 발명은 무선전력전송 및 근거리통신을 위한 전력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력 회로를 가지는 전자 디바이스는 무선전력 수신 안테나 및 변환회로를 가지는 백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미국공개특허 US2010-0194334에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 안테나가 무선전력 공급 기능 또는 NFC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고 개시되어 있지만, 무선전력 공급 기능 및 NFC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In this regard,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US2010-0194334 discloses an invention named "RETROFITTING WIRELESS POWER AND NEAR-FIELD COMMUNICATION IN ELECTRONIC DEVICESZ."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ircui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where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power circuit includes a back housing having a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and a conversion circuit. However, although US Patent Publication No. US2010-0194334 discloses that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may be used for the wireless power supply function or the NFC function, a specific configuration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wireless power supply function and the NFC function is not disclosed. .

미국공개특허 US2010-0194334, "RETROFITTING WIRELESS POWER AND NEAR-FIELD COMMUNICATION IN ELECTRONIC DEVICES"United State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US2010-0194334, "RETROFITTING WIRELESS POWER AND NEAR-FIELD COMMUNICATION IN ELECTRONIC DEVICES"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NFC 통신 및 무선 전력 전송을 동시에 지원하는 이중 모드 안테나용 인쇄 회로 기판, 이중 모드 안테나 및 이를 탑재한 사용자 단말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inted circuit board for a dual mode antenna, a dual mode antenna, and a user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which simultaneously support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또한, 본 발명은 NFC 안테나와 무선 전력 전송 안테나를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하여 상호 간섭에 의한 통신 성능 저하를 억제하는 이중 모드 안테나용 인쇄 회로 기판, 이중 모드 안테나 및 이를 탑재한 사용자 단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inted circuit board for a dual mode antenna, a dual mode antenna, and a user terminal equipped with the NFC antenna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tenna, which do not overlap each other to suppress communication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mutual interferenc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중 모드 안테나용 인쇄 회로 기판은, 절연 시트의 일면에 형성되는 루프 형상의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의 루프의 내측에 형성되는 루프 형상의 제2 코일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rinted circuit board for a dual mode antenna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op-shaped first coil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and the loop shape formed inside the loop of the first coil The second coil of the.

여기서,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절연 시트의 양면에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coil may be formed in a laminated structure on both sides of the insulating sheet.

여기서,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은 각각 NFC 루프 안테나 및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일 수 있다.Here,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may be an NFC loop antenna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제1 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한 쌍의 제1 외부 회로 단자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접속 단자 및 상기 제2 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한 쌍의 제2 외부 회로 단자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접속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 pair of first connection terminal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oi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air of first external circuit terminals, respectively, and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coil,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pair of second connection terminal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econd external circuit terminal.

여기서, 상기 제1 외부 회로 단자 및 상기 제2 외부 회로 단자는 각각 외부의 NFC 모듈 및 무선 전력 전송 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first external circuit terminal and the second external circuit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NFC module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1 접속 단자 중 어느 하나가 스티칭 비아(stitching via)를 통해 상기 제1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스티칭 비아는, 상기 절연 시트를 관통하고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제1 접속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 비아와, 상기 절연 시트를 관통하고 일단이 상기 제1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비아와, 상기 절연 시트의 타면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 비아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비아의 타단과 연결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Here, any one of the pair of first connection terminals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oil through a stitching via, the stitching via penetrates the insulating sheet and one end of the pair of first A first via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s, a second via penetrating the insulating sheet, an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oil, and one end of which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atter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other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via.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1 접속 단자 중 어느 하나가 점퍼선(jumper line)을 통해 상기 제1 코일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Here, any one of the pair of first connection terminals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oil through a jumper line.

여기서, 상기 점퍼선은 상기 절연 시트의 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페라이트 시트와 상기 제1 코일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jumper wire may be formed between the ferrite sheet and the first coil formed to contact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여기서, 상기 절연 시트의 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페라이트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ferrite sheet formed to contact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여기서,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상기 절연 시트의 상기 제1 코일에 대향하는 위치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1 페라이트 시트와, 상기 절연 시트의 상기 제2 코일에 대향하는 위치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2 페라이트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errite sheet is a first ferrite sheet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position facing the first coil of the insulating sheet, and the second ferrit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second coil of the insulating sheet. The sheet may further include.

여기서, 상기 제1 코일 및 상기 제2 코일의 사이에 상기 제1 페라이트 시트와 상기 제2 페라이트 시트의 단차 조절용 슬릿(slit)이 형성될 수 있다.Here, a slit for adjusting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ferrite sheet and the second ferrite sheet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여기서, 상기 이중 모드 안테나용 인쇄 회로 기판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제2 접속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코일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장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for the dual mode antenna may include a pair of extension pattern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air of second connection terminals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coil.

여기서, 상기 제2 코일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연장 패턴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절연 시트의 타면에 제1 방향으로 복수 회 감기도록 형성되는 제1 루프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연장 패턴의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절연 시트의 일면에 상기 제1 루프를 흐르는 전류가 보강되는 방향으로 복수 회 감기도록 형성되는 제2 루프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il may include a first loop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air of extension patterns, the first loop being formed to be wound a plurality of times in a first direction on the other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and one end of the pair of the pair of extension patterns.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extension pattern, it may be formed in a laminated structure of a second loop formed to be wound a plurality of tim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loop is reinforced on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여기서,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절연 시트를 관통하고 상기 제1 루프의 타단과 상기 제2 루프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3 비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il may further include a third via penetrating the insulating sheet and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loop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oop.

여기서,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절연 시트를 관통하고 상기 제2 루프의 일단과 상기 한 쌍의 연장 패턴의 다른 하나를 연결하는 제4 비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coil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via penetrating the insulating sheet and connecting one end of the second loop to the other of the pair of extension pattern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중 모드 안테나는,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루프 형상의 NFC 코일,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되는 루프 형상의 무선 전력 전송 코일, 상기 NFC 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NFC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NFC 접속 단자 및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무선 전력 전송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W/C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양면에 적층 구조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dual mode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op-shaped NFC coil formed on one surface of a printed circuit board, a loop-shap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both ends of the NFC coil A pair of NFC connection terminal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FC module and a pair of W / C connection terminal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is formed in a laminated structure on both side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여기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은 상기 NFC 코일의 루프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may be formed inside the loop of the NFC coil.

여기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FPCB일 수 있다.Here, 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an FPCB.

여기서, 상기 한 쌍의 NFC 접속 단자 중 어느 하나가 스티칭 비아를 통해 상기 NFC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스티칭 비아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관통하고 일단이 상기 한 쌍의 NFC 접속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 비아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관통하고 일단이 상기 NFC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비아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타면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 비아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비아의 타단과 연결되는 연결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any one of the pair of NFC connection terminals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NFC coil through a stitching via, the stitching via passes through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one end of the pair of NFC connection terminals. A first via connected to the second via, a second via penetra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NFC coil, and formed at the oth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via The other end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atter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via.

여기서, 상기 한 쌍의 NFC 접속 단자 중 어느 하나가 점퍼선을 통해 상기 NFC 코일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Here, any one of the pair of NFC connection terminals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NFC coil through a jumper wire.

여기서, 상기 점퍼선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페라이트 시트와 상기 NFC 코일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jumper wire may be formed between the ferrite sheet and the NFC coil formed to contact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여기서, 상기 이중 모드 안테나는 상기 절연 시트의 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페라이트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ual mode antenna may further include a ferrite sheet formed to contact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여기서,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NFC 코일에 대향하는 위치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NFC 코일용 페라이트 시트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에 대향하는 위치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무선 전력 전송 코일용 페라이트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errite sheet is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errite sheet for NFC coil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position facing the NFC coil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position facing the wireless power transfer coil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t may further include a ferrite sheet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여기서, 상기 NFC 코일 및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의 사이에 상기 NFC 코일용 페라이트 시트와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용 페라이트 시트의 단차 조절용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Here, a slit for step adjustment of the ferrite sheet for the NFC coil and the ferrite sheet for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may be formed between the NFC coil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여기서, 상기 이중 모드 안테나는 일단이 상기 한 쌍의 W/C 접속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장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The dual mode antenna may include a pair of extension pattern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pair of W / C connection terminals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여기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연장 패턴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타면에 제1 방향으로 복수 회 감기도록 형성되는 상부 루프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연장 패턴의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에 상기 상부 루프를 흐르는 전류가 보강되는 방향으로 복수 회 감기도록 형성되는 하부 루프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an upper loop,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air of extension patterns and formed to be wound a plurality of times in a first direction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one end of the pair of It may be formed as a laminated structure of a lower loop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extension pattern and formed to be wound a plurality of times in a direction in which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upper loop is reinforc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여기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관통하고 상기 상부 루프의 타단과 상기 하부 루프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3 비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may further include a third via penetra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upper loop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loop.

여기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관통하고 상기 하부 루프의 일단과 상기 한 쌍의 연장 패턴의 다른 하나를 연결하는 제4 비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via penetrat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ing one end of the lower loop and the other of the pair of extension pattern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NFC 기능 및 무선 전력 기능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은, NFC 코일 및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포함하는 이중 모드 안테나, 상기 NFC 코일을 이용하여 NFC 통신을 수행하는 NFC 모듈,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이용하여3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중 모드 안테나에서, 상기 NFC 코일은 절연 시트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은 상기 NFC 코일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은 상기 절연 시트의 양면에 적층 구조로 형성된다.In addition, a user terminal having an NFC function and a wireless power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ual mode antenna including an NFC coil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NFC module for performing NFC communication using the NFC coil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configured to wirelessly transmit power us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3, in the dual mode antenna, the NFC coil is formed on one surface of an insulating sheet,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is the NFC. It is formed inside the coil, and the wireless power transfer coil is formed in a laminated structure on both sides of the insulating sheet.

여기서, 상기 이중 모드 안테나는, 상기 NFC 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NFC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NFC 접속 단자 및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W/C 접속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ual mode antenna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NFC coi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ir of NFC connection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FC module and to both end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It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W / C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여기서, 상기 한 쌍의 NFC 접속 단자 중 어느 하나가 스티칭 비아를 통해 상기 NFC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스티칭 비아는, 상기 절연 시트를 관통하고 일단이 상기 한 쌍의 NFC 접속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 비아와, 상기 절연 시트를 관통하고 일단이 상기 NFC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비아와, 상기 절연 시트의 타면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 비아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비아의 타단과 연결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Here, any one of the pair of NFC connection terminals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NFC coil through a stitching via, the stitching via penetrates through the insulating sheet and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air of NFC connection terminals. A first via to be connected, a second via penetrating through the insulating sheet, an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NFC coil, and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an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via, the other end of which is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atter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via.

여기서, 상기 한 쌍의 NFC 접속 단자 중 어느 하나가 점퍼선을 통해 상기 NFC 코일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Here, any one of the pair of NFC connection terminals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NFC coil through a jumper wire.

여기서, 상기 점퍼선은 상기 절연 시트의 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페라이트 시트와 상기 NFC 코일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jumper wire may be formed between the ferrite sheet and the NFC coil formed to contact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W/C 접속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장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pair of extension pattern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pair of W / C connection terminals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여기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연장 패턴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절연 시트의 타면에 제1 방향으로 복수 회 감기도록 형성되는 상부 루프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연장 패턴의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절연 시트의 일면에 상기 상부 루프를 흐르는 전류가 보강되는 방향으로 복수 회 감기도록 형성되는 하부 루프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one end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air of extension patterns, the upper loop is formed to be wound a plurality of times in a first direction on the other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one end of the pair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extension pattern, it may be formed in a laminated structure of the lower loop formed to be wound a plurality of tim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upper loop is reinforced on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여기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은, 상기 절연 시트를 관통하고 상기 상부 루프의 타단과 상기 하부 루프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3 비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may further include a third via penetrating the insulating sheet and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upper loop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loop.

여기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은, 상기 절연 시트를 관통하고 상기 하부 루프의 일단과 상기 한 쌍의 연장 패턴의 다른 하나를 연결하는 제4 비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via penetrating the insulating sheet and connecting one end of the lower loop and the other of the pair of extension pattern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이중 모드 안테나용 인쇄 회로 기판은, 절연 시트의 일면에 형성되는 루프 형상의 NFC 코일, 상기 절연 시트 상에 형성되는 루프 형상의 무선 전력 전송 코일, 상기 NFC 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외부의 NFC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NFC 접속 단자,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W/C 접속 단자, 일단이 상기 NFC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NFC 접속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NFC 접속 단자 연결라인 및 일단이 상기 한 쌍의 W/C 접속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에 연결되는 한 쌍의 W/C 접속 단자 연결라인을 포함한다.In addition, a printed circuit board for a dual mode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op-shaped NFC coil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a loop-shap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formed on the insulating sheet, the NFC coil A pair of NFC connection terminal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ai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NFC module, A pair of W / C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wireless power transfer coi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fer module, respectively. NFC connection terminal connection line, one e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NFC coil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air of NFC connection terminal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pair of W / C connection terminal and the other end is And a pair of W / C connection terminal connection lines connect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여기서, 상기 NFC 접속 단자 연결라인은 점퍼선(jumper line) 또는 스티칭 비아(stitching via)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NFC connection terminal connection line may be formed of a jumper line or a stitching via.

여기서, 상기 스티칭 비아는, 상기 절연 시트를 관통하고 일단이 상기 한 쌍의 NFC 접속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 비아와, 상기 절연 시트를 관통하고 일단이 상기 NFC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비아와, 상기 절연 시트의 타면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 비아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비아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itching via may include a first via penetrating the insulating sheet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air of NFC connection terminals, and a second penetrating through the insulating sheet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NFC coil. 2 vias, and a connection pattern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via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via.

여기서, 상기 점퍼선은 상기 절연 시트의 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페라이트 시트와 상기 NFC 코일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jumper wire may be formed between the ferrite sheet and the NFC coil formed to contact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여기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은 상기 NFC 코일의 루프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may be formed inside the loop of the NFC coil.

여기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은 상기 절연 시트의 양면에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may be formed in a laminated structure on both sides of the insulating sheet.

여기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W/C 접속 단자 연결라인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절연 시트의 일면에 제1 방향으로 복수 회 감기도록 형성되는 제1 루프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W/C 접속 단자 연결라인의 다른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절연 시트의 타면에 상기 제1 루프를 흐르는 전류가 보강되는 방향으로 복수 회 감기도록 형성되는 제2 루프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the first loop is formed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air of W / C connection terminal connecting line and wound on the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a plurality of times in a first direction, and It is formed of a laminated structure of a second loop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pair of W / C connection terminal connecting line and formed to be wound a plurality of times in a direction in which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loop is reinforc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Can b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이중 모드 안테나는, 제1 절연 시트 상에 형성되는 루프 형상의 NFC 코일, 상기 NFC 코일의 루프의 내측에 형성되는 무선 전력 전송 코일,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을 외부의 W/C 모듈에 연결하는 연장 라인, 상기 NFC 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외부의 NFC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NFC 접속 단자 및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W/C 접속 단자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ual mode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op-shaped NFC coil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sheet,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formed inside the loop of the NFC coil,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An extension line connecting to an external W / C module, each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NFC coil, and a pair of NFC connection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NFC module, and both end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And a pair of W / C connection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fer module.

여기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은 리얼 코일(real coil)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may be formed of a real coil.

여기서, 상기 NFC 코일의 루프의 내측에 상기 제1 절연 시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연장 라인용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 라인은 상기 연장 라인용 슬롯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NFC 코일의 루프의 내측에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과 결합될 수 있다.Here, further comprising an extension line slot formed inside the loop of the NFC coil through the first insulating sheet, wherein the extension line is inserted through the extension line slot to form an inside of the loop of the NFC coil. It may be combined wit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여기서, 상기 연장 라인 및 상기 W/C 접속 단자는 제2 절연 시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extension line and the W / C connection terminal may be formed on the second insulating sheet.

여기서,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은 제3 절연 시트의 양면에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may be formed in a laminated structure on both sides of the third insulating sheet.

여기서, 상기 이중 모드 안테나는 상기 한 쌍의 NFC 접속 단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NFC 코일에 연결시키는 점퍼선(jumper line) 또는 스티칭 비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ual mode antenna may further include a jumper line or a stitching via connecting one of the pair of NFC connection terminals to the NFC coi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own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에서 안테나 탑재 공간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NFC 통신 및 무선 전력 전송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of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rrange the antenna mounting space in the user terminal to support NFC communicatio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t the same time.

또한, 사용자 단말에서 NFC 안테나와 무선 전력 전송 안테나를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하여 상호 간섭에 의한 통신 성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rranging the NFC antenna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tenna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in the user terminal, communication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mutual interference may be suppressed.

도 1은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모드 안테나가 사용자 단말의 후면 커버에 장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본체의 후면도 및 후면 커버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모드 안테나의 정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모드 안테나의 정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모드 안테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모드 안테나의 정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이중 모드 안테나의 구성 요소인 NFC 안테나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이중 모드 안테나의 구성 요소인 연장 라인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이중 모드 안테나의 구성 요소인 무선 전력 전송 코일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후면도이다.
1 is an overall schematic diagram of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of a rear cover and a rear cover of a main body of a user terminal for describing a case in which a dual mode antenna is mounted on a rear cover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a dual mod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a dual mode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dual mod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a dual mode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NFC antenna unit which is a component of the dual mode antenna of FIG.
9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extension line portion that is a component of the dual mode antenna of FIG.
FIG. 10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that is a component of the dual mode antenna of FIG. 7.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자 기기로서, 다른 사용자 단말들과의 통신을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NFC 통신을 지원하며,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이동 가능한 모바일 단말일 수 있으며, 또는 TV, 전자 액자, 냉장고 등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어떠한 전자 기기라도 해당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user terminal is an externally powered electronic device, and supports NFC communication as one of means for communication with other user terminals,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It may be a mobile mobile terminal, such as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or the like, or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TV, an electronic frame, a refrigerator, or the like. It may be any electronic device that perform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개념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개요도이다.1 is a general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and opera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또는, 송전기)와,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또는, 수전기)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 (or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20 (or, for wirelessly receiving power). Power receiver).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는 자기 유도 방식으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한다.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 wirelessly transmit power in a magnetic induction manner.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는 전력 전송을 위해 송전 안테나(11)를 이용하여 외부로 전자기장을 방사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는 외부로부터 AC 전원을 공급받는다.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 radiates an electromagnetic field to the outside using the power transmission antenna 11 for power transmission. To this end,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 receives AC power from the outside.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는 외부의 입력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AC 전원을 AC/DC 컨버터(미도시)를 이용하여 DC 전원으로 정류하고, 이후,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해 DC/AC 변환 회로(미도시)를 통해 고주파 AC 전원으로 재변환하여, 송전 안테나(11)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로 전송한다.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 rectifies the AC power supplied from an external input power source into a DC power source using an AC / DC converter (not shown), and thereafter, a DC / AC conversion circuit (not show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Reconverted to a high frequency AC power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transmits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 via the power transmission antenna (11).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로부터 전송된 전력 신호를 수전 안테나(21)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의 송전 안테나(11)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송전 안테나(11)의 주변에 자기장이 생성되고, 전자기 유도에 의해 상기 자기장에 인접하게 배치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의 수전 안테나(21)에는 전압이 유도되어 전력이 전송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 may receive the power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 using the power receiving antenna 21. In detail,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around the power transmission antenna 11 by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antenna 11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er disposed adjacent to the magnetic fiel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 Voltage may be induced in the power receiving antenna 21 of 20 to transmit power.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는 전송된 전력을 이용하여 부하 기기(30)를 충전하거나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 may charge the load device 30 by using the transmitted power or supply driving power for driving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0.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모드 안테나를 구비하는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having a dual mode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은 NFC 통신을 처리하는 NFC 모듈(200) 및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300)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NFC 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NFC 코일(110) 및 무선 전력 전송 모듈(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을 포함하는 이중 모드 안테나(100)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user terminal includes an NFC module 200 that processes NFC communication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300 that perform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unction.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dual mode antenna 100 including an NFC coil 11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FC module 200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2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300. It includes more.

이중 모드 안테나(100)은 NFC 코일(110)과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이중 루프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중 모드 안테나(100)는 절연 시트 상에 NFC 코일(110) 및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의 패턴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연성 회로 기판(FPCB)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dual mode antenna 100 may be implemented in a double loop shape in which the NFC coil 110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20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The dual mode antenna 1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attern of the NFC coil 110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20 is formed on an insulating sheet, and may be formed using, for exampl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

이때, NFC 코일(110)과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은 전기적으로 분리되며, 또한, NFC 코일(110)과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에 의해 형성되는 이중 루프 형상에서 NFC 코일(110)과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코일의 임피던스 매칭을 조절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NFC coil 110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20 is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NFC coil 110 and the dual coil shape form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20 and The impedance matching of the coil may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s 120.

NFC 모듈(200)은 NFC 코일(110)을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 상에서 NFC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NFC 모듈(200)은 NFC 임피던스 매칭부(210), NFC 트랜시버(220) 및 NFC 제어부(230)를 포함한다.The NFC module 200 controls the NFC coil 110 to perform NFC communication on the user terminal. In detail, the NFC module 200 includes an NFC impedance matching unit 210, an NFC transceiver 220, and an NFC controller 230.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 상의 어플의 동작에 의해 NFC 기능이 요청되면, 사용자 단말의 제어부(400)는 NFC 모듈(200)을 동작시켜서 NFC 기능을 활성화시킨다.When the NFC function is requested by the user or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on the user terminal, the control unit 400 of the user terminal operates the NFC module 200 to activate the NFC function.

NFC 임피던스 매칭부(210)는 NFC 코일(110)과 NFC 트랜시버(220) 사이에 설치되어, NFC 코일(110)와 NFC 트랜시버(220)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킬 수 있다.The NFC impedance matching unit 21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NFC coil 110 and the NFC transceiver 220 to match the impedance between the NFC coil 110 and the NFC transceiver 220.

NFC 트랜시버(220)는 베이스밴드 처리부와 통신규약 처리회로, 레지스터 파일, UART 직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NFC 트랜시버(220)의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공지된 기술에 상응하는 바, 본 명세서 상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NFC transceiver 220 may include a baseband processor, a communication protocol processing circuit, a register file, a UART serial interface, and the like. Each component of the NFC transceiver 220 corresponds to a known technology,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NFC 제어부(230)는 NFC 트랜시버(220)와 연결되어 NFC 트랜시버(22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NFC 제어부(230)는 별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의 호스트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NFC controller 230 is connected to the NFC transceiver 220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NFC transceiver 220. In addition, the NFC controller 23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host through a separate communication interface.

무선 전력 전송 모듈(300)은 무선 전력 전송(W/C) 임피던스 매칭부(310), 정류부(320) 및 충전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fer module 300 may include a wireless power transfer (W / C) impedance matching unit 310, a rectifier 320, and a charger 330.

W/C 임피던스 매칭부(310)는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와 정류부(320) 사이에 배치되어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과 정류부(320)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킬 수 있다.The W / C impedance matching unit 3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fer coil 120 and the rectifier 320 to match the impedance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fer coil 120 and the rectifier 320.

정류부(320)는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를 통해 입력되는 전력 신호를 반파 정류 형태로 정류하여 DC 전력으로 정류한다. 정류부(320)에 의해 정류된 DC 신호는 미도시된 필터링부에 의해 고주파 노이즈 성분이 제거될 수 있으며, 이후 충전부(330) 또는 장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될 수 있다.The rectifier 320 rectifies the power signal input throug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20 in a half-wave rectification form to rectify the DC power. The DC signal rectified by the rectifier 320 may be removed from the high frequency noise component by a filter not shown, and then converted into a voltage required for driving the charger 330 or the device.

충전부(330)는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된 전력을 이용하여 외부의 부하 기기 또는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한다.The charging unit 330 charges an external load device or an internal battery by using power converted into a required voltag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모드 안테나(100)의 세부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ual mode antenna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모드 안테나가 사용자 단말의 후면 커버에 장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본체의 후면도 및 후면 커버의 분해도이다.3 is an exploded view of a rear cover and a rear cover of a main body of a user terminal for describing a case in which a dual mode antenna is mounted on a rear cover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모드 안테나(100)는 사용자 단말의 배터리 커버(7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중 모드 안테나(100)는 사용자 단말의 본체(600)와 대면하는 배터리 커버(700)의 내측면에 부착되거나 배터리 커버(700)의 내부에 일체로서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커버(700)의 내부에 일체로서 결합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중 모드 안테나(100)의 NFC 코일 접속 단자(130) 및 W/C 코일 접속 단자(140)가 배터리 커버(700)의 내측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해당 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NFC 코일 접속 단자(130)는 두 개의 단자가 한 쌍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W/C 코일 접속 단자(140)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두 개의 단자가 한 쌍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dual mode antenna 100 may be mounted on the battery cover 700 of the user terminal. The dual mode antenna 100 may be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over 700 facing the main body 600 of the user terminal or integr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attery cover 700. In this case, when the coupling is formed integrally inside the battery cover 700, the NFC coil connection terminal 130 and the W / C coil connection terminal 140 of the dual mode antenna 100 may have an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cover 700. An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In this case, the NFC coil connection terminal 1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wo terminals form a pair, and in the case of the W / C coil connection terminal 140, two terminals may be configured in a pair.

사용자 단말의 본체 후면에는 이중 모드 안테나(100)의 NFC 코일 접속 단자(130) 및 W/C 코일 접속 단자(140)에 대향되는 위치에 NFC 모듈 접속 단자(620) 및 W/C 모듈 접속 단자(61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커버(700)를 사용자 단말 본체(600)에 결합하면 NFC 코일 접속 단자(130)와 W/C 코일 접속 단자(140)는 각각 NFC 모듈 접속 단자(620)와 W/C 모듈 접속 단자(610)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NFC 모듈 접속 단자(620) 또는 W/C 모듈 접속 단자(610)는 C-클립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에 의해 NFC 코일 접속 단자(130) 또는 W/C 코일 접속 단자(140)와의 접속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The NFC module connection terminal 620 and the W / C module connection terminal are located at positions opposite to the NFC coil connection terminal 130 and the W / C coil connection terminal 140 of the dual mode antenna 100 on the rear of the main body of the user terminal. 610 may be formed respectively. Therefore, when the battery cover 700 is coupled to the user terminal body 600, the NFC coil connecting terminal 130 and the W / C coil connecting terminal 140 are the NFC module connecting terminal 620 and the W / C module connecting terminal, respectively. 6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contact with it. In this case, the NFC module connection terminal 620 or the W / C module connection terminal 610 is formed in a C-clip shape and elastically connected with the NFC coil connection terminal 130 or the W / C coil connection terminal 140. Can be maintained.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모드 안테나(100)의 구현 형상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implementation shape of the dual mode antenna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모드 안테나(100)의 정면도 및 후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a dual mode antenna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이중 모드 안테나(100)는 FPCB 등의 절연 시트(105)에 NFC 패턴을 형성하여 생성하며, 절연 시트(105)의 전면에는 한 쌍의 NFC 코일 접속 단자(130)와 한 쌍의 W/C 코일 접속 단자(140)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dual mode antenna 100 is formed by forming an NFC pattern on an insulation sheet 105 such as an FPCB, and a pair of NFC coil connection terminals 130 and on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sulation sheet 105. A pair of W / C coil connection terminals 140 may be formed.

NFC 코일 접속 단자(130)는 NFC 코일(110)에 연결되어 NFC 모듈 접속 단자(62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NFC 신호를 NFC 모듈(300)로 전달할 수 있다.The NFC coil connection terminal 130 may be connected to the NFC coil 110 to transmit a signal input through the NFC module connection terminal 620 to the outside or an NFC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the NFC module 300. .

NFC 코일(110)은 절연 시트(105)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루프의 직경을 최대화하고 루프를 이루는 권선들의 횟수 및 권선간 커패시턴스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절연 시트(105)의 외측을 따라서 가능한 넓게 형성된다.The NFC coil 11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insulating sheet 105, and as wide as possible along the outside of the insulating sheet 105 in order to maximize the diameter of the loop and reduce the number of windings and the inter-winding capacitance of the loop. Is formed.

NFC 코일(110)의 일단은 NFC 코일 접속 단자 중 하나(132)에 연결되며, NFC 코일(110)은 패턴이 내부로 회전하며 루프를 형성하며, 루프의 내부에서 NFC 코일(110)의 일단은 스티칭 비아(stitching via)(150)를 통해 루프 외부의 NFC 코일 접속 단자 중 하나(134)에 연결된다.One end of the NFC coil 110 is connected to one of the NFC coil connection terminal 132, the NFC coil 110 is a pattern rotates inward to form a loop, one end of the NFC coil 110 in the loop It is connected to one of the NFC coil connection terminals 134 outside of the loop via a stitching via 150.

스티칭 비아(150)는 절연 시트를 관통하는 두 개의 비아(via)(152, 154)와 상기 두 개의 비아(152, 154) 사이에 형성되어 신호의 연결 경로를 형성하는 연결 패턴(15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 패턴(156)은 절연 시트(105)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Stitching via 150 is composed of two vias 152 and 154 passing through the insulating sheet and a connection pattern 156 formed between the two vias 152 and 154 to form a signal connection path. Can be.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attern 156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105.

W/C 코일 접속 단자(140)는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에 연결되어 W/C 모듈 접속 단자(610)를 통해 입력된 전력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W / C coil connection terminal 140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20 to transmit and receive the power signal input through the W / C module connection terminal 610.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는 NFC 코일(110)이 형성하는 루프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의 직경은 NFC 코일(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으며, 따라서, 필요한 권선 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은 절연 시트(105)의 전면 및 후면에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20 may be formed inside the loop formed by the NFC coil 110. 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wireless power transfer coil 120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NFC coil 110,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required number of windings, the wireless power transfer coil 12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105 and It may be formed in a laminated structure on the back.

이때, 절연 시트(105)의 전면에 형성된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2)은 내부로 수렴하는 루프 형상을 가지며, 루프의 내부에서 비아 홀(162)을 통해 절연 시트를 관통하여 후면의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4)에 연결된다.In this cas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22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105 has a loop shape converging therein, and passes through the insulating sheet through the via hole 162 inside the loop to wirelessly transfer the coil on the rear surface. 124 is connected.

이때, 절연 시트(105)의 전면에 형성된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2)과 후면에 형성된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4)은 전면에서 봤을 때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루프를 형성하여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을 흐르는 전류가 서로 보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reless power transfer coil 122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105 and the wireless power transfer coil 124 formed on the rear side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and form a loop to form the wireless power transfer coil 120. The currents flowing through them can be reinforced with each other.

W/C 코일 접속 단자의 양단(142, 144)과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의 양단은 한 쌍의 연장 패턴(170)에 의해 연결된다. 연장 패턴(170)은 W/C 코일 접속 단자(140)의 배치 위치에 따라 가변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어서, 사용자 단말(100)의 내부 회로 설계시의 유연성을 보장할 수 있다.Both ends 142 and 144 of the W / C coil connection terminal and both end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20 are connected by a pair of extension patterns 170. The extension pattern 170 may have a variable shap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W / C coil connection terminal 140, thereby ensuring flexibility in designing an internal circuit of the user terminal 100.

또한, 연장 패턴(170)은 절연 시트(105)의 후면에 형성되며, W/C 코일 접속 단자(142, 144)는 한 쌍의 비아 홀(143, 145)을 통해 절연 시트를 관통하여 후면에 형성된 연장 패턴(17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pattern 17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105, and the W / C coil connection terminals 142 and 144 pass through the insulating sheet through a pair of via holes 143 and 145 and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105. It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ormed extension pattern 170.

연장 패턴(170)의 타측은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에 연결된다. 한 쌍의 연장 패턴(170) 중 하나의 연장 패턴은 비아 홀(162)을 통해 절연 시트(105)의 전면에 형성된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2)의 일단에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연장 패턴은 절연 시트의 후면에 형성된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4)의 타단에 연결된다.The other side of the extension pattern 17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20. One extension pattern of the pair of extension patterns 17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ireless power transfer coil 122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105 through the via hole 162, and the other extension pattern is insulated.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less power transfer coil 124 formed on the back of the seat.

상기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은 비아 홀(162, 164, 143, 145) 및 절연 시트(105)의 후면에 형성된 연장 패턴(170)에 의해 W/C 코일 접속 단자(140)와 연결되므로,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과 NFC 코일(110) 간의 중첩되는 영역이 없어서 상호 간섭에 의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20 may be connected to the W / C coil connecting terminal 140 by the extension patterns 170 formed on the back of the via holes 162, 164, 143, and 145 and the insulating sheet 105. Since it is connected, there is no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20 and the NFC coil 110 to prevent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mutual interference.

한편, NFC 코일(110)과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 사이에는 단차 조절용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절연 시트(105)의 전면에는 W/C 코일용 페라이트 시트(194) 및 NFC 코일용 페라이트 시트(192)가 순서대로 부착될 수 있다. 참고로, 페라이트 시트는 와전류(eddy current)로 인한 자속의 차폐를 방지한다.Meanwhile, a slit for adjusting the step may be formed between the NFC coil 110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20. Referring to FIG. 6, the ferrite sheet 194 for the W / C coil and the ferrite sheet 192 for the NFC coil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105 in order. For reference, the ferrite sheet prevents shielding of magnetic flux due to eddy currents.

이 경우, NFC 코일용 페라이트 시트(192)에 비해 내측의 W/C 코일용 페라이트 시트(194)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으며, 따라서, W/C 코일용 페라이트 시트(194)가 겹쳐진 부분의 두께는 NFC 코일용 페라이트 시트(192)만 부착된 부분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워진다.In this case, the size of the ferrite sheet 194 for the W / C coil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ferrite sheet 192 for the NFC coil, and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where the ferrite sheet 194 for the W / C coil overlaps. Is relatively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attached only the ferrite sheet 192 for NFC coil.

따라서, NFC 코일(110)과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의 사이에 상기와 같은 페라이트 시트의 두께로 인한 단차를 조절하기 위한 단자 조절용 슬릿(198)을 형성하여 두께 차이로 인한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 또는 연장 패턴(17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a terminal adjustment slit 198 is formed between the NFC coil 110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20 to adjust the step difference due to the thickness of the ferrite sheet as described above. 120 or the damage of the extension pattern 170 can be prevent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모드 안테나의 정면도 및 후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a dual mode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모드 안테나(100)는 도 4의 이중 모드 안테나와 동일하게, 절연 시트(105)에 NFC 코일(110)이 형성되고, NFC 코일(110)의 루프 내측에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이 형성될 수 있다. NFC 코일(110) 및 무선 전력 전송 코일(120)은 NFC 코일 접속 단자(130) 및 W/C 코일 접속 단자(140)에 각각 연결된다.As shown in FIG. 5, in the dual mode antenna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FC coil 110 is formed on the insulating sheet 105 in the same manner as the dual mode antenna of FIG. 4.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20 may be formed inside the loop of 110. The NFC coil 110 and the wireless power transfer coil 120 are connected to the NFC coil connection terminal 130 and the W / C coil connection terminal 140, respectively.

NFC 코일(110)의 일단은 NFC 코일 접속 단자 중 하나(132)에 연결되며, NFC 코일(110)은 패턴이 내부로 회전하며 루프를 형성하며, 루프의 내부에서 NFC 코일(110)의 일단은 점퍼선(jumper line)(190)을 통해 루프 외부의 NFC 코일 접속 단자 중 하나(134)에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NFC coil 110 is connected to one of the NFC coil connection terminal 132, the NFC coil 110 is a pattern rotates inward to form a loop, one end of the NFC coil 110 in the loop A jumper line 190 may be connected to one of the NFC coil connection terminals 134 outside the loop.

이때, 점퍼선(190)은 절연 시트(105)의 전면에 형성된 NFC 코일(110)의 상부에 형성되므로, 도 6에서와 같이, NFC 신호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절연 시트(105)의 후면을 점퍼선(190)이 차단하지 않아서, NFC 코일(110)에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jumper wire 19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NFC coil 11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105, as shown in Figure 6, jumper the back of the insulating sheet 105, the NFC signal is introduced or drawn out Since the line 190 does not block, interference with the NFC coil 110 can be suppress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모드 안테나의 세부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ual mode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모드 안테나(10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후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ual mode antenna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이중 모드 안테나(1000)는 NFC 코일이 형성된 NFC 안테나부(1100)와, 무선 전력 전송 코일(1300) 및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코일(1300)을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 모듈과 연결시키는 연장 라인부(1200)를 포함한다. 이때, NFC 안테나부(1100), 무선 전력 전송 코일(1300) 및 연장 라인부(1200)는 각각 별도의 절연 시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dual mode antenna 1000 connects an NFC antenna unit 1100 on which an NFC coil is forme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300,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300 with an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It includes an extension line portion 1200 to. In this case, the NFC antenna unit 1100,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300, and the extension line unit 1200 may be formed on separate insulating sheets, respectively.

이때, 무선 전력 전송 코일(1300)은 NFC 안테나부(1100)의 NFC 코일(1120)이 형성하는 루프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루프의 내측에 위치하는 무선 전력 전송 코일(1300)은 연장 라인부(1200)를 통해 NFC 코일(1120)의 외부로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3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loop formed by the NFC coil 1120 of the NFC antenna unit 1100. In this cas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300 is located inside the loop. )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NFC coil 1120 through the extension line unit 1200.

한편, 이중 모드 안테나(1000)에는 페라이트 시트가 접착될 수 있다. 이때, 페라이트 시트는 NFC 안테나부(1100)에 대향되는 위치에 접착되는 NFC 코일용 페라이트 시트와 무선 전력 전송 코일(1300)에 대향되는 위치에 접착되는 무선 전력 전송 코일용 페라이트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 ferrite sheet may be attached to the dual mode antenna 1000. In this case, the ferrite sheet may be composed of a ferrite sheet for the NFC coil bonded to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NFC antenna unit 1100 and a ferrite sheet for the wireless power transfer coil bonded to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300. .

도 8을 참조하여 NFC 안테나부(1100)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NFC 안테나부(1100)는 제1 절연 시트(1110)와, 상기 제1 절연 시트(1110)의 전면에 형성되고 외부의 NFC 모듈과 연결되는 한 쌍의 NFC 접속 단자(1130)와, 상기 제1 절연 시트(1110)의 전면에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NFC 접속 단자(1130)와 연결되는 NFC 코일(1120)을 포함한다.Looking a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NFC antenna unit 1100 with reference to Figure 8, NFC antenna unit 1100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first insulating sheet 1110, the first insulating sheet 1110 and the external NFC module And a pair of NFC connection terminals 1130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 NFC coil 1120 formed in a loop shap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sheet 1110 and connected to the NFC connection terminals 1130.

이때, 상기 NFC 코일(1120)의 일단은 NFC 접속 단자 연결라인(1140)에 의해 NFC 접속 단자(11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NFC 접속 단자 연결라인(1140)은 점퍼선(jumper li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제1 절연 시트(1100)를 관통하여 형성된 스티칭 비아(stitching via)로 구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one end of the NFC coil 1120 may be connected to the NFC connection terminal 1130 by the NFC connection terminal connection line 1140. In this case, the NFC connection terminal connection line 1140 may be implemented by a jumper line or a stitching via formed through the first insulating sheet 1100.

또한, NFC 안테나부(1100)에서, NFC 코일(1120)의 루프의 내측에는 연장라인용 슬롯(1150)이 형성될 수 있어서, 상기 연장 라인부(1200)가 연장라인용 슬롯(1150)을 통해 삽입되어 루프 내부의 무선 전력 전송 코일(1300)과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NFC antenna unit 1100, an extension line slot 1150 may be formed inside the loop of the NFC coil 1120, so that the extension line unit 1200 may be formed through the extension line slot 1150. It may be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300 inside the loop.

이때, 상기 연장 라인부(1200)는 NFC 안테나부(1100)의 전면과 페라이트 시트 사이에 배치되므로, 연장 라인에 의한 NFC 코일(1120)에의 간섭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extension line unit 1200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NFC antenna unit 1100 and the ferrite sheet, the extension line unit 1200 may reduce interference with the NFC coil 1120 by the extension line.

도 9를 참조하여 연장 라인부(1200)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연장 라인부(1200)는 제1 절연 시트(1110)와는 별도의 제2 절연 시트(1210)와, 상기 제2 절연 시트(1210)의 전면에 형성되고 무선 전력 전송 모듈과 연결되는 한 쌍의 W/C 접속 단자(1220)와, 상기 제2 절연 시트(1210)의 후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W/C 연장 라인(1230)과, 상기 W/C 연장 라인(1230)을 무선 전력 전송 코일(1300)과 연결시키는 한 쌍의 접합부(1260)를 포함한다.Looking a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extension line portion 1200 with reference to Figure 9, the extension line portion 1200 is a second insulating sheet 1210 separate from the first insulating sheet 1110 and the second insulating sheet 1210 A pair of W / C connection terminals 122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anel and connecte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a pair of W / C extension lines 1230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insulating sheet 1210. And a pair of junctions 1260 connecting the W / C extension line 1230 wit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300.

이때, W/C 연장 라인(1230)은 한 쌍의 비아홀(1240)을 통해 상기 W/C 접속 단자(1220)와 연결되며, 다른 한 쌍의 비아홀(1250)을 통해 상기 접합부(1260)와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 / C extension line 1230 is connected to the W / C connection terminal 1220 through a pair of via holes 1240, and is connected to the junction 1260 through another pair of via holes 1250. Can be.

이전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 코일(1300)은 별도의 제3 절연 시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전력 전송 코일(1300)은 제3 절연 시트의 양면에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power transfer coil 1300 may be formed on a separate third insulating sheet. In this cas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300 may be formed to overlap both sides of the third insulating sheet.

또한, 무선 전력 전송 코일(1300)은 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만들어진 리얼 코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리얼 코일의 양단(1310, 1320)은 상기 접합부(1262, 1264)에 납땜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1300 may be implemented as a real coil made of a highly conductive material. In this case, both ends 1310 and 1320 of the real coil may be coupled to the junction parts 1262 and 1264 by soldering or the like.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은 협소한 공간에 NFC 안테나 및 무선 전력 전송 안테나를 함께 구비할 수 있으며, NFC 안테나와 무선 전력 전송 안테나 간의 중첩되는 영역을 회피함으로써 상호 간섭에 의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s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n NFC antenna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tenna together in a narrow space, and performance by mutual interference by avoiding overlapping areas between the NFC antenna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tenna.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degrada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1)

절연시트;
상기 절연시트에 형성되는 루프 형상의 NFC 코일;
상기 NFC 코일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루프 형상의 NFC코일 내측에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시트의 양면에 형성되어 상기 절연시트를 관통하는 비아홀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루프 형상의 무선전력전송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시트의 양면에 형성된 상기 무선전력전송코일은 전면에서 볼 때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안테나.
Insulation sheet;
An NFC coil having a loop shape formed on the insulating sheet;
The loop-shap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NFC coil and formed in a loop shape inside the loop-shaped NFC coi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via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ulating sheet and penetrating the insulating sheet. With;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ulating sheet is a dual mode antenna,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rent flows in the same direction as seen from the fro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시트의 양면에 형성된 상기 무선전력전송코일은 전면에서 볼 때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ulating sheet is a dual mode antenna,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loop and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s seen from the fro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FC 코일의 양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NFC코일 접속단자와, 상기 무선전력전송코일의 양단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무선전력전송코일 접속단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안테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pair of NFC coil connection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NFC coil, and a pair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connection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respectively. Dual mode antenn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NFC코일 접속단자 중 어느 하나가 스티칭 비아를 통해 상기 NFC코일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무선전력전송코일 접속단자와 상기 무선전력전송코일의 양단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연장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3,
Any one of the pair of NFC coil connection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NFC coil through a stitching via,
And a pair of extension patterns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air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connection terminals and the both end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NFC코일 접속단자 중 어느 하나가 점퍼선(jumper line)을 통해 상기 NFC코일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무선전력전송코일 접속단자와 상기 무선전력전송코일의 양단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연장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3,
Any one of the pair of NFC coil connection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NFC coil through a jumper line (jumper line),
And a pair of extension patterns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air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connection terminals and the both ends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장패턴은 상기 NFC 코일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pair of extension pattern is a dual mode antenna,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not to overlap the NFC coi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장패턴은 상기 NFC 코일과 절연시트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air of extension pattern is a dual mode antenna,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different surfaces of the NFC coil and the insulating shee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칭 비아는
상기 절연시트를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한 쌍의 NFC코일 접속단자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비아와, 상기 절연시트를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NFC 코일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비아와, 상기 절연시트의 타면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 비아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비아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itching vias
A first via having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pair of NFC coil connection terminals through the insulating sheet, and a second via having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NFC coil through the insulating sheet And a connection pattern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and having one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via and the other e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vi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NFC코일 접속단자 및 상기 무선전력전송코일 접속단자는 각각 외부의 NFC모듈 및 무선전력 전송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안테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NFC coil connection terminal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connection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NFC module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respectivel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시트의 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페라이트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안테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ferrite sheet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상기 절연 시트의 상기 NFC 코일에 대향하는 위치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1페라이트 시트와, 상기 절연 시트의 상기 무선전력전송코일에 대향하는 위치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2페라이트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10,
The ferrite sheet further comprises a first ferrite sheet formed to contact a position facing the NFC coil of the insulation sheet and a second ferrite sheet formed to contact a position facing the wireless power transfer coil of the insulation sheet. Dual-mode antenna,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NFC 코일 및 상기 무선전력전송코일 사이에 상기 제1 페라이트 시트와 상기 제2 페라이트 시트의 단차 조절용 슬릿(slit)이 형성되는 이중모드 안테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slit for controlling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ferrite sheet and the second ferrite sheet is formed between the NFC coil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절연시트;
NFC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NFC코일 접속단자;
상기 절연 시트에 형성되고, 상기 NFC코일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NFC코일 접속단자 중 어느 하나가 스티칭 비아를 통해 그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NFC 코일;
상기 NFC코일이 형성하는 루프의 내측에 배치된 무선전력전송코일; 및
상기 무선전력전송코일을 무선전력전송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무선전력전송코일 접속단자; 및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무선전력접속단자 및 무선전력전송코일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연장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연장패턴은 상기 NFC 코일과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절연시트의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안테나.
Insulation sheet;
A pair of NFC coil connection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FC module;
An NFC coil formed on the insulating shee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FC coil connection terminal, and one of the pair of NFC coil connection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thereof through a stitching via;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disposed inside the loop formed by the NFC coil; And
A pair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connection terminal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And a pair of extension patterns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wireless power connection terminals and one end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The pair of extension pattern is a dual mode antenna,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of the insulating sheet so as not to overlap the NFC coi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칭 비아는
상기 절연시트에서 상기 NFC코일이 형성되는 면과 다른 면에 형성되고,
일단이 절연시트를 관통하는 제2 비아를 통하여 상기 NFC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안테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itching vias
The insulation sheet is formed on a surface different from the surface on which the NFC coil is formed,
And a first end of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FC coil through a second via passing through the insulating shee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칭 비아는 타단이 절연시트를 관통하는 제1 비아를 통하여 NFC코일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안테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itching via is a dual mode antenna,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FC coil connection terminal through a first via through the insulating sheet.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전송코일은 리얼코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안테나.
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is a dual mode antenna,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real coil.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얼코일의 양단은 상기 연장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안테나.
17. The method of claim 16,
Both ends of the real coil is a dual mode antenna, characterized in that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extension patter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NFC코일 접속단자 및 상기 무선전력전송코일 접속단자는 각각 외부의 NFC모듈 및 무선전력 전송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안테나.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the NFC coil connection terminal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connection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NFC module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respectively.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시트의 일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페라이트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안테나.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a ferrite sheet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insulating shee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상기 절연 시트의 상기 NFC 코일에 대향하는 위치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1페라이트 시트와, 상기 절연 시트의 상기 무선전력전송코일에 대향하는 위치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제2페라이트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모드 안테나.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ferrite sheet further comprises a first ferrite sheet formed to contact a position facing the NFC coil of the insulation sheet and a second ferrite sheet formed to contact a position facing the wireless power transfer coil of the insulation sheet. Dual-mode antenna,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NFC 코일 및 상기 무선전력전송코일 사이에 상기 제1 페라이트 시트와 상기 제2 페라이트 시트의 단차 조절용 슬릿(slit)이 형성되는 이중모드 안테나.
21. The method of claim 20,
And a slit for controlling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ferrite sheet and the second ferrite sheet is formed between the NFC coil an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coil.
KR1020140012014A 2014-02-03 2014-02-03 Dual-Mode Antenna KR1017207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014A KR101720743B1 (en) 2014-02-03 2014-02-03 Dual-Mode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014A KR101720743B1 (en) 2014-02-03 2014-02-03 Dual-Mode Antenna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502A Division KR20130134759A (en) 2012-05-31 2012-05-31 Flexible circuit board for dual-mode antenna, dual-mode antenna and use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695A true KR20140021695A (en) 2014-02-20
KR101720743B1 KR101720743B1 (en) 2017-03-28

Family

ID=5026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014A KR101720743B1 (en) 2014-02-03 2014-02-03 Dual-Mode Antenn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74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609A1 (en) * 2014-03-12 2015-09-17 (주)파트론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case for nfc antenna
US11081795B2 (en) 2015-08-10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6589A (en) * 2001-06-19 2003-01-10 Nec Tokin Corp Non-contact communication recording mediu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060008332A (en) * 2003-06-06 2006-01-2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Antenna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US20100194334A1 (en) 2008-11-20 2010-08-05 Qualcomm Incorporated Retrofitting wireless power and near-field communication in electronic devices
JP2012019302A (en) * 2010-07-07 2012-01-26 Nec Tokin Corp Antenna module an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6589A (en) * 2001-06-19 2003-01-10 Nec Tokin Corp Non-contact communication recording mediu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060008332A (en) * 2003-06-06 2006-01-2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Antenna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US20100194334A1 (en) 2008-11-20 2010-08-05 Qualcomm Incorporated Retrofitting wireless power and near-field communication in electronic devices
JP2012019302A (en) * 2010-07-07 2012-01-26 Nec Tokin Corp Antenna module an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609A1 (en) * 2014-03-12 2015-09-17 (주)파트론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case for nfc antenna
US11081795B2 (en) 2015-08-10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743B1 (en) 201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9018B2 (en) Printed circuit board for dual mode antenna, dual mode antenna and user terminal using the same
TWI717313B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10224747B2 (en) Antenna for wireless power, and dual mode antenna comprising same
CN208423175U (en) Antenna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US10090710B2 (en) Power receiving apparatus with a plurality of resonance coils
KR20140090045A (en)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Dual mode antenna having the same
KR20110056334A (en) Combined antenna and inductive power receiver
JP2012143091A (en) Remotely and wirelessly driven charger
US9570935B2 (en) Magnetic coupling unit and magnetic coupling system
WO2015108054A1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40021694A (en) Dual-mode antenna
JP2014049479A (en) Coil unit
KR20150045985A (en) Flexible Circuit Board for Dual-Mode Antenna, Dual-Mode Antenna and User Device
KR101965451B1 (en)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Dual mode antenna having the same
KR20140021693A (en) Dual-mode antenna
KR102183887B1 (en)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Dualmode antenna having the same
JP2014044994A (en) Coil unit
KR101720743B1 (en) Dual-Mode Antenna
US20200051737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KR20160103968A (en) Dual-Mode Antenna and User Device
KR20130106527A (en) Dual-mode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and mobile device
KR102184049B1 (en) Antenna for wireless charging and Dualmode antenna having the same
JP2017005952A (en)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device, non-contact power reception device, an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578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930

Effective date: 201609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