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557U -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557U
KR20140004557U KR2020130000640U KR20130000640U KR20140004557U KR 20140004557 U KR20140004557 U KR 20140004557U KR 2020130000640 U KR2020130000640 U KR 2020130000640U KR 20130000640 U KR20130000640 U KR 20130000640U KR 20140004557 U KR20140004557 U KR 201400045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ixing band
core
protective case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6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기
Original Assignee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06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557U/ko
Publication of KR201400045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55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38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 A45C2013/1061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of elastic straps or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는 겉지와, 상기 겉지와 심재가 그 사이에 삽입되어 서로 합지되는 속지에 의해 모바일기기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본체부 및 연결부와 커버부로 이루어지고, 커버부의 외측단부에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단부에 결속되기 위한 고정밴드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는 상기 속지의 외측단부로부터 고정밴드의 길이의 2배 이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그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열 융착되고, 끝단부는 상기 겉지와 속지 사이에 삽입되어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 성형되어 상기 겉지와 일체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를 수납하는 보호케이스의 고정밴드를 속지 원단으로부터 연장하여 두 겹이 되도록 접은 상태로 겉지 및 속지 사이에 함께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함으로써 겉지에는 고정밴드 부분이 필요 없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고정밴드로 인한 고가의 겉지의 원단 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본 고안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모바일기기를 수납하는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호케이스의 고정밴드를 속지 원단으로부터 연장시켜 두 겹으로 접은 후 겉지와 함께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하도록 함으로써 겉지의 원단 손실을 최소화하고 고정밴드 성형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으면서 겉지와 고정밴드 의 다양하고 표면이 미려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휴대 전화의 기술이 더욱 발전하여 스마트폰이 출시됨에 따라 휴대용 통신기기의 일대 변혁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전화기능과 인터넷 기능까지 겸하고 있어 종래 핸드폰과 노트북, PDA, PMP 등의 고가의 휴대기기를 통합한 성능이 있으므로 그에 비례하여 매우 고가의 제품이다.
따라서, 파손을 방지하고, 액정 표면이 긁히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보호케이스가 많이 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보호케이스는 합성수지 원단을 이용하여 재봉이나 접착제 및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고주파 융착에 의해 제조되어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으로 출시되어 많은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선호하고 있는 상황이다.
도 1 및 도 2는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된 다이어리 디자인 형태의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1)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보호케이스(1)의 구성에 있어서 고정밴드(4)는 본체부(2)와 커버부(3)의 개폐 상태를 단속해주는 구성이며, 고정밴드(4)는 주로 본체부(2)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어 밴딩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커버부(3)의 외측단부에 스냅 단추 또는 자석(6)에 의해 고정되거나, 또는 커버부(3) 외측단부에 형성되는 고리부(5)에 끼워져서 커버부(3)가 열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고정밴드(4)를 본체부(2)와 함께 성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도 1과 같이 고정밴드(4)를 별도로 만들어서 본체와 재봉 처리를 하도록 구성된 형태가 있었으나. 이러한 재봉에 의한 고정밴드(4)의 구성은 본체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외형을 갖게 되므로 보호케이스 제품디자인이 고급스럽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재봉부위가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도 2와 같은 보호케이스(1)는 고정밴드(4)를 성형하기 위하여 겉지(7)와 속지(미도시)의 단부로부터 고정밴드(4)의 외형으로 이루도록 일체형으로 재단함으로써 고정밴드(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가상선부위) 원단의 손실이 겉지와 속지에서 각각 발생되므로 주로 속지보다 겉지(7)가 고가의 원단을 주로 많이 사용하는 보호케이스의 특성상 겉지(7)의 원단 손실로 인한 제조 원가 상승은 물론 판매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그리고, 열 융착 또는 고주차 융착하는 과정에서 고정밴드(4)는 특히 폭이 좁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두 겹의 고정밴드(4) 가장자리 융착 부위가 성형 과정에서 서로 엇갈리게 부착되는 융착 불량이 자주 발생하여 이로 인한 겉지(7)의 원단 재료 손실이 큰 문제도 내재 되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고정밴드(4)는 내,외측면은 겉지(7) 및 속지와 동일한 원단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므로 보호케이스(1)의 외측면 원단 디자인과 고정밴드(4)의 외측면 원단 디자인 느낌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고정밴드(4)와 보호케이스(1)의 디자인을 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므로 인위적으로 고정밴드(4)와 보호케이스(1)의 겉지(7)를 다른 색상이나 다른 원단의 느낌을 주기 위해서는 고정밴드를 재봉이나 별도의 부착 방법으로 겉지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 단부에 부착할 수 밖에 없으므로 보호케이스 제품 디자인이 미려하지 못하고 고급스럽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결국,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1)의 고정밴드를 겉지(2)의 디자인 느낌과 고급스러운 차별화를 할 수 있으면서도 고정밴드의 성형성이 양호하고 원단 절감에 의한 제조원가를 낮추면서도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 성형에 의해 대량생산이 가능한 신규한 구성의 보호케이스 고정밴드 접합구조가 절실히 요구되는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고정밴드(4)가 보호케이스(1)와 자력에 의해 서로 개폐되는 구조에서는 고정밴드(4)와 보호케이스(1) 내부에 자석 또는 자성체가 삽입되어 이루어져 있는데, 종래의 대부분의 보호케이스에는 자석 또는 자성체가 내부에 매입된 상태에서 서로 합지된 후에 살펴보면 겉지 원단 표면으로 그대로 노출되거나 돌출되어 보이는 문제가 있어 제품이 고급스럽지 못한 문제가 한계가 있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모바일기기를 수납하는 보호케이스의 고정밴드를 속지 원단으로부터 2 배의 길이로 연장 형성시킨 후 절반으로 두 겹이 되게 접은 상태에서 겉지 및 속지 사이에 삽입하여 함께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하도록 함으로써 겉지에는 고정밴드 부분이 필요 없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고정밴드로 인한 고가의 겉지의 원단 손실을 최소화하고, 고정밴드 열 융착 성형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성형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또한, 본 고안은 속지로부터 연장되어 반으로 접혀지는 고정밴드에 의하여 겉지와 고정밴드의 원단의 종류와 색상 차이에 의하여 더욱 다양한 형태의 다이어리형 또는 폴더형상의 보호케이스의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밴드 및 보호케이스 내부에 매입되는 자석 또는 자성체를 삽입하면서도 제품 표면의 상태가 미려하고 자석 또는 자성체가 돌출되어 보이지 않도록 이루어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를 함께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본 고안목적에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는, 겉지와 속지 사이에 심재가 삽입되어 이루어지고, 모바일기기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본체부 및 연결부와 커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의 외측단부에는 상기 커버부의 외측단부와 결속되기 위한 고정밴드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는 상기 속지의 외측단부로부터 고정밴드의 길이의 2배 이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그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열 융착되고, 끝단부는 상기 겉지와 속지 사이에 삽입되어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 성형되어 상기 겉지와 일체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밴드는 속지의 외측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내측면이 되는 제1밴딩부; 상기 제1밴딩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결속부재가 내장되기 위한 제1결속마감부; 상기 제1결속마감부 끝단에서 다시 일정길이로 더 연장 형성되되, 중간에는 고정밴드의 전체길이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 반으로 접기 위한 안내선이 형성되어 있는 접힘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선을 기준으로 제1결속마감부 및 제1밴딩부와 대칭적으로 이루어지는 제2결속마감부 및 제2밴딩부가 상기 접힘부로부터 더 연장 형성되고; 제2밴딩부의 끝단부는 상기 겉지와 속지 사이에 삽입되어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되기 위한 접합부; 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의 배면심재 외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접합부가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 라인의 내측으로 깊게 삽입되게 하기 위한 상기 고정밴드의 폭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폭을 가지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의 배면심재 가로 폭은 상기 접합부가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 라인의 내측으로 깊게 삽입될 수 있는 깊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배면심재 폭보다 짧은 폭을 갖도록 이루어져서 상기 접합부가 상기 융착 라인의 내측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융착 성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접합부가 삽입되는 상기 겉지의 표면이 상기 고정밴드의 외측면과 최대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그 겹침 부위는 면 접촉식 융착 성형에 의해 평면융착부가 형성되고, 이외 나머지 외곽 라인은 선 접촉식 융착 성형에 의해 선형융착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배면심재 및 전면심재는 상기 본체부과 커버부 사이에 각각 개재되고, 상기 겉지와 속지 및 배면심재 및 전면심재에는 모바일기기의 음성 스피커, 카메라, 음향스피커, 터치펜인출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타공홀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결속마감부와 상기 제2결속마감부 사이에는 상기 결속부재가 조립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결속심재가 삽입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결속심재와 상기 겉지 사이에는 상기 결속부개가 상기 겉지 표면으로 돌출되어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마감시트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겉지와 속지 사이에 심재가 삽입되어 이루어지고, 모바일기기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본체부 및 연결부와 커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의 외측단부에는 상기 커버부의 외측단부와 결속되기 위한 고정밴드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심재와 겉지 사이에는 상기 심재에 매입되게 장착되는 결속부재가 상기 겉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보이지 않도록 마감판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감판은 두께가 얇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심재의 외곽 크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결속부재는 자석 또는 자성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판은 두께가 얇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석 또는 자성체의 외곽크기보다 크게 이루어져 상기 결속부재가 장착된 위치의 상기 겉지와 심재 사이에 부분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결속부재는 자석 또는 자성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에 의하면, 모바일기기를 수납하는 보호케이스의 고정밴드를 속지 원단으로부터 연장하여 두 겹이 되도록 접은 상태로 겉지 및 속지 사이에 함께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함으로써 겉지에는 고정밴드 부분이 필요 없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고정밴드로 인한 고가의 겉지의 원단 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고정밴드 열 융착 성형 공정이 간소화됨은 물론 고정밴드 융착 과정에서 성형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성형 불량에 의한 제품 원단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함께 발휘하게 되며, 간편하고 신속하게 열 융착될 수 있는 구조에 의하여 대량 생산 효율이 더욱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속지로부터 연장되어 반으로 접혀지는 고정밴드의 원단 종류와 색상 차이에 의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므로 더욱 다양한 형태의 다이어리형 또는 폴더 형상의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도 함께 발휘될 수 있는 등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장점이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고정밴드와 보호케이스 내부에 매입되어 장착되는 자석 또는 자성체가 겉지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보이지 않도록 심재와 겉지 사이에 구비되는 마감판에 의해 보다 미려하고 깔끔한 표면 조도를 연출하여 보호케이스의 제품을 고급화할 수 있는 효과도 함께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 설명된 도면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고정밴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외측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내측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
도 5는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적층 구성을 나타낸 분리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고정밴드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확대 평면도와 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적층 구성을 나타낸 분리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마감판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확대 평면도와 그 종단면도이다.
이하에 설명된 도면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우선,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일례로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가 수납되는 다이어리 디자인 형태 즉, 가로 방향으로 개폐되는 보호케이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바일기기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형태 즉, 세로 방향으로 개폐되는 폴더형의 보호케이스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외측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내측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5는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적층 구성을 나타낸 분리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고정밴드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확대 평면도와 그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100)는, 겉지(40)와, 상기 겉지(40)와 배면심재(11) 및 전면심재(21)가 그 사이에 각각 삽입되어 서로 합지되는 속지(41)에 의해 모바일기기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본체부(10) 및 연결부(30)와 커버부(20)로 이루어지고, 본체부(10)의 외측단부에는 상기 커버부(20)의 외측단부와 결속되기 위한 고정밴드(6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고정밴드(60)는 상기 속지(41)의 외측 단부로부터 고정밴드(60)의 길이의 2배 이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밴드(60)의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서로 고주파 융착되어 합지된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60)의 끝단부는 상기 겉지(40)와 속지(41) 사이에 삽입되어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 성형되어 상기 겉지(40)와 일체형을 이루는 점이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적인 구성이다.
이러한 기본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보호케이스(10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재질의 원단으로 이루어진 겉지(40)와, 상기 겉지(40)와 서로 합지되는 속지(41)로 구성되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본체부(10)과 소정 폭을 유지하여 연결되어 있는 커버부(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겉지(40) 및 속지(41) 사이에는 배면심재(11) 및 전면심재(21)를 적층 한 후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조 금형의 상형과 하형 사이에서 고주파 융착 처리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커버부(20)과 본체부(10) 및 연결부(30) 및 고정밴드(60)가 일체로 이루어져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100)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겉지(40)와 속지(41)는 고주파 융착 가공이 가능한 다양한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케이스(100)의 디자인 형태에 따라 합성피혁, 열가소성 필름, 텍스타일류 및 플라스틱 발포시트 등 고주파 융착이 가능한 원단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거나 고주파에 반응하는 핫멜트(hotmelt)와 같은 열가소성 접착 필름을 사용하여 고주파에 반응하지 않는 원단들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실시에에서는 겉지(40)와 속지(41)의 내측면에 핫멜트층(미도시)이 형성된 열 융착이 가능한 원단을 이용한 다이어리 형태의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100)에 적용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전술한 핫멜트(hotmelt)는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에 의해 발생되는 가열에 의해 용융되는 것으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며, 열가소성 수지는 가열 용융시킨 후 냉각하면 바로 고화되기 때문에 접착제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속지(41)와 겉지(40) 내측면에는 상기 배면심재(11) 및 전면심재(21)와 함께 고주파 융착 성형에 의한 일체형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핫멜트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겉지(40)와 속지(4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이 가능하도록 일면에 핫멜트층이 형성되어 있는 열 융착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4는 전면심재(21)와 속지(41) 사이에 다층으로 재단되어 삽입되는 합성수지 원단으로 된 포켓원단(14)으로서 커버부(20)의 내측으로 카드나 신분증을 수납할 수 있도록 포켓(13)을 형성하게 된다.
본 고안의 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한 고정밴드(6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밴드(60)는 속지(41)의 외측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내측면이 되는 제1밴딩부(6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밴딩부(61)에서 연장 형성되고 결속부재(70)가 내장되기 위한 제1결속마감부(62)가 구비되며, 상기 제1결속마감부(62) 끝단에서 다시 일정길이로 더 연장 형성되되, 중간에는 고정밴드(60)의 전체길이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 반으로 접기 위한 안내선(81)이 형성되어 있는 접힘부(8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안내선(81)을 기준으로 제1결속마감부(62) 및 제1밴딩부(61)와 대칭적으로 이루어지는 제2결속마감부(64) 및 제2밴딩부(63)가 상기 접힘부(80)로부터 더 연장 형성되고, 제2밴딩부(63)의 끝단부는 상기 겉지(40)와 속지(41) 사이에 삽입되어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되기 위한 접합부(82)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적인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의 보호케이스(100)는 종래와 같이 고정밴드(60)가 겉지(40)와 속지(41)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지 않고 속지(41)의 외측단부에서만 더 길게(고정밴드 전체길이의 2배 이상) 연장 형성되어 다시 절반으로 포개어져서 함께 융착되는 구성이므로 주로 고가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겉지(40)의 원단 손실이 최소화되어 원가 절감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도 3 및 도 4 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선(81)에 의해 고정밴드(60)를 반으로 접은 후 그 외측단부에 형성되는 접힘부(80)는 고정밴드(60)의 융착 성형을 할 때 속지(41)가 포개진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는 지그 역할도 함께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접힘부(80)를 손으로 잡아 주거나 별도의 고정 지그 등 마련하거나 또는 금형 내부에 접힘부(80)를 눌러주는 부위를 만들어 주게 되면 융착 작업 과정에서 고정밴드(60)의 포개진 상태가 유지되면서 성형 불량이 방지되는 양호한 생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접힘부(80)는 융착 성형 공정상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므로 성형 이후에 그대로 남겨둘 수도 있다.
하지만 보호케이스(100)의 전체적인 디자인에 따라 제1결속마감부(62)및 제2결속마감부(64)의 외형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고주파 융착 성형 이후 또는 성형 압착 작업과 동시에 절단하여 분리함으로써 도 7의 종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부의 절단면이 드러나도록 구성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겉지(40)와 속지(41)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다른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속지(41)의 원단이 상기와 같이 반으로 접혀지면서 외부로 노출될 때 겉지(40)의 원단과 서로 다른 색상을 연출하면서 고정밴드(60)의 외형적인 디자인과 색상 및 이종의 원단에서 표출되는 미려한 효과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10)의 배면심재(11) 외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접합부(82)가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 라인의 내측으로 깊게 삽입된 상태에서 융착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밴드(60)의 폭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폭을 가지는 수용홈(50)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10)의 배면심재(11) 가로 폭은 상기 접합부(82)가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 라인의 내측으로 깊게 삽입될 수 있는 깊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커버부(20)의 배면심재(21) 폭보다 짧은 폭을 갖도록 이루어져서 상기 접합부(82)가 상기 융착 라인의 내측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융착 성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면심재(11) 및 전면심재(21)와 융착 외곽 라인이 거의 밀착된 상태이므로 고정밴드(60)의 접합부(82)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배면심재(11)의 측면에 고정밴드(60)의 접합부(82)가 깊이 끼워질 수 있는 수용홈(50)을 형성하거나 본체부(10)의 배면심재(11) 폭을 줄여 접합부(82)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줌으로써 융착 작업의 불량을 최소화하고 고정밴드(60)의 반복적인 사용과정에서 접합부(82)와 겉지(40)와의 융착 부위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접합부(82)가 삽입되는 상기 겉지(40)의 표면이 상기 고정밴드(60)의 외측면과 최대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그 겹침 부위는 면 접촉식 융착 성형에 의해 평면융착부(83)가 형성되고, 나머지 외곽 라인은 선 접촉식 융착 성형에 의해 선형융착부(84)를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밴드(60)의 접합부(82)를 상기 겉지(40)와 속지(41)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선 접촉식 융착 성형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짐으로써 고정밴드(60)의 접합부가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융착 부위가 보호케이스(100)의 외곽 라인 특히 커버부(20)의 외곽라인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선 접촉식의 융착 성형 후 겉지 원단의 가장자리 절단 부위가 들뜨게 되므로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여 고품질의 보호케이스(100)를 양산할 수 없게 되어 상품적 가치가 저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접합부(82)가 접합되는 영역 즉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 접촉식 융착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융착부(83)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선형융착부(84)에 비해 더욱 견고한 고정밴드(60)의 접합 상태를 보장하여 품질을 높이도록 하고, 특히 겉지(40)와 접합부(82)와 속지(41)는 도 7의 종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원단처럼 일체형으로 융착되어 평면을 이루게 되므로서 평면 상태가 양호하고 일체감을 이루면서도 겉지와 속지에 의해 이종의 색상을 갖는 보호케이스의 색다른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배면심재(11)와 전면심재(21)가 개재된 본체부(10)와 커버부(20)는 모바일기기(미도시)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며, 연결부(30)에는 상기 배면심재(11)와 전면심재(21)가 삽입되지 않으므로 커버부(20)를 열고 닫을 때 유연한 개폐 상태와 함께 반대로 젖히더라도 원단 자체의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배면심재(11)와 전면심재(21)는 상기 본체부(10)과 커버부(20) 사이에 각각 개재되고, 상기 겉지(40)와 속지(41) 및 상기 배면심재(11)와 전면심재(21)에는 모바일기기의 음성 스피커, 카메라, 음향스피커, 터치펜 인출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타공홀(12)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결속마감부(62)와 상기 제2결속마감부(64) 사이에는 상기 결속부재(70)가 조립되는 안착홈(91)이 형성되어 있는 결속심재(90)가 삽입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결속부재(70)는 스냅단추 또는 벨크로테이프와 자석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이 적용된 것으로 설명하면, 두께가 얇고 직경이 다소 작은 네오듀늄 자석을 이용하여 고정밴드(60)의 단부를 커버부(20)의 외측단부에 마련된 결속부재(70) 예를 들어 자석과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밴드(60)의 자력에 의한 부착력에 의해 커버부(20)를 닫아 결속하거나 개방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하지만 자석을 고정밴드(60)의 제1및 제2결속마감부(64)에 단순히 삽입하면 자석의 외형이 그대로 노출되어 제품의 디자인을 훼손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원형 자석과 같은 결속부재(70)를 수용하는 안착홈(91)이 형성된 결속심재(90)가 삽입되어 제1및 제2결속마감부(64) 함께 융착되도록 함으로써 자석이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커버부(20)의 외측단부의 전면심재(21)에는 금속 자성체 또는 반대극 끼리 부착되도록 매입되어 있는 ND자석과 같은 결속부재(70)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속심재(90)는 배면심재(11) 및 전면심재(21)와 유사한 두께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판형의 결속심재(90)를 적용하는 경우 고정밴드(60)의 단부에 위치되는 결속심재(90)를 파지할 때 안정적인 느낌을 제공하여 보호케이스(100)를 열고 닫는 동작이 매우 편안하게 느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부재(70) 즉, ND자석에 의해 부착될 때에도 상기 금속 자성체 또는 반대 극 끼리 부착되도록 매입되어 있는 ND자석과 좁은 면적으로 부착되는 구성보다 ND자석 보다 넓은 부착 면적을 갖게 되는 결속심재(90)에 의해 더 넓은 면적으로 부착됨으로써 고정밴드(60)의 부착 및 분리 작동이 고급스러운 느낌을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고정밴드(60)의 외측면이 되는 속지(41)원단이 겉지(40)의 원단보다 얇은 원단인 경우에는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결속부재(70)가 속지(41)의 외측면 표면으로 돌출되어 보일 수 있게 되어 이 또한 제품의 고급스런 디자인을 훼손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결속심재(90)와 상기 겉지(40) 사이에는 상기 결속부재(70)가 상기 고정밴드(60)의 외측면 속지(41)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마감시트(9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감시트(92)는 바람직하기로 PET 재질의 두께가 얇은 시트로 구성되며, 결속심재(90)의 외형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적층 구성을 나타낸 분리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의 마감판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확대 평면도와 그 종단면도로서,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동일부호와 명칭은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하기로 한다.
상기 겉지(40)와 속지(41) 사이에 심재(200)가 삽입되어 이루어지고, 모바일기기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본체부(10) 및 연결부(30)와 커버부(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10)의 외측단부에는 상기 커버부(20)의 외측단부와 결속되기 위한 고정밴드(6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100)에 있어서,
상기 심재(200)와 겉지(40) 사이에는 상기 심재에(200) 매입되게 장착되는 결속부재(70)가 상기 겉지(4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보이지 않도록 마감판(21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결속부재(70)는 자석 또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마감판(210)에는 이들의 조합(서로 다른 극성이 배치되도록 자석 대 자석 또는 자석 대 금속재질의 자성체)으로 장착될 수 있다.
즉, 고정밴드(60)는 주로 본체부(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므로 이 고정밴드(60)의 단부와 커버부(20)의 외측면이 상기한 자석 또는 자성체와 같은 결속부재(70)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보호케이스(100)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결속부재(70)가 삽입되는 심재(20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석 또는 자성체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안착홈(91)이 형성되어 이 안착홈(91)에 자석 또는 금속의 자성체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심재(200)와 겉지(40) 사이에는 상기 마감판(210)이 더 구비되어 겉지(40)와 심재(200) 그리고 속지(41)가 함께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되어 합지됨으로써 결속부재(70)가 마감판(210)에 의해 겉지(40)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상기 마감판(210)은 상기한 마감시트(92)와 같이 바람직하기로 두께가 얇고 PET재질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두께가 얇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심재(200)의 외곽 크기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심재(200)와 마감판(210)의 외형이나 크기가 동일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심재(210)를 재단하여 마감판(210)과 미리 접착시킨 상태에서 겉지(40)와 속지(41)와 함께 합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판(210)은 상기 결속부재(70)의 외곽크기보다 크게 이루어져 상기 결속부재(70)가 장착된 위치에 국부적으로 삽입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결속부재(70)가 매입되는 부위의 심재(200)의 표면에 그대로 부착하거나 마감판(210)의 두께를 감안하여 심재(200)의 자석을 마감판(210)의 두께 만큼 더 인입되도록 안착시킨 뒤 그 안착홈(91) 주변을 마감판(210)의 두께만큼 가공하여 평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결속부재(70)와 함께 마감판(210)이 외부로 돌출되어 나타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마감판(210)에 의해 결속부재(70)의 매입된 상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겉지(40)의 고급스러운 원단의 질감이 그대로 표현됨으로써 보호케이스(100)의 제품의 고급화를 실현할 수 있는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본체부 11 : 배면심재
12 : 타공홀 13 : 포켓
14 : 포켓원단
20 : 커버부 21 : 전면심재
30 : 연결부 40 : 겉지
41 : 속지 44 : 핫멜트층
50 : 수용홈 60 : 고정밴드
61 : 제1밴딩부 62 : 제1결속마감부
63 : 제2밴딩부 64 : 제2결속마감부
70 : 결속부재 80 : 접힘부
81 : 안내선 82 : 접합부
83 : 평면융착부 84 : 선형융착부
90 : 결속심재 91 : 안착홈
92 : 마감시트 100 : 보호케이스
200 : 심재 210 : 마감판

Claims (11)

  1. 겉지와 속지 사이에 심재가 삽입되어 이루어지고, 모바일기기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본체부 및 연결부와 커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의 외측단부에는 상기 커버부의 외측단부와 결속되기 위한 고정밴드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는 상기 본체부의 속지의 외측단부로부터 고정밴드의 길이의 2배 이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그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반으로 접힌 상태에서 열 융착되고, 끝단부는 상기 겉지와 속지 사이에 삽입되어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 성형되어 상기 겉지와 일체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는 속지의 외측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내측면이 되는 제1밴딩부;
    상기 제1밴딩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결속부재가 내장되기 위한 제1결속마감부;
    상기 제1결속마감부 끝단에서 다시 일정길이로 더 연장 형성되되, 중간에는 고정밴드의 전체길이의 절반이 되는 위치에 반으로 접기 위한 안내선이 형성되어 있는 접힘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선을 기준으로 제1결속마감부 및 제1밴딩부와 대칭적으로 이루어지는 제2결속마감부 및 제2밴딩부가 상기 접힘부로부터 더 연장 형성되고;
    제2밴딩부의 끝단부는 상기 겉지와 속지 사이에 삽입되어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되기 위한 접합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배면심재 외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접합부가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 라인의 내측으로 깊게 삽입되게 하기 위한 상기 고정밴드의 폭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폭을 가지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배면심재 가로 폭은 상기 접합부가 열 융착 또는 고주파 융착 라인의 내측으로 깊게 삽입될 수 있는 깊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부의 심재 폭보다 짧은 폭을 갖도록 이루어져서 상기 접합부가 상기 융착 라인의 내측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융착 성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가 삽입되는 상기 겉지의 표면이 상기 고정밴드의 외측면과 최대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그 겹침 부위는 면 접촉식 융착 성형에 의해 평면융착부가 형성되고, 이외 나머지 외곽 라인은 선 접촉식 융착 성형에 의해 선형융착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심재 및 전면심재는 상기 본체부과 커버부 사이에 각각 개재되고, 상기 겉지와 속지 및 배면심재 및 전면심재에는 모바일기기의 음성 스피커, 카메라, 음향스피커, 터치펜인출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타공홀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속마감부와 상기 제2결속마감부 사이에는 상기 결속부재가 조립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결속심재가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심재와 상기 겉지 사이에는 상기 결속부재가 상기 고정밴드의 외측면 속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마감시트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9. 겉지와 속지 사이에 심재가 삽입되어 이루어지고, 모바일기기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보호하는 본체부 및 연결부와 커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의 외측단부에는 상기 커버부의 외측단부와 결속되기 위한 고정밴드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심재와 겉지 사이에는 상기 심재에 매입되게 장착되는 결속부재가 상기 겉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보이지 않도록 마감판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은 두께가 얇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심재의 외곽 크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결속부재는 자석 또는 자성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은 두께가 얇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석 또는 자성체의 외곽크기보다 크게 이루어져 상기 결속부재가 장착된 위치의 상기 겉지와 심재 사이에 부분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결속부재는 자석 또는 자성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20130000640U 2013-01-24 2013-01-24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1400045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640U KR20140004557U (ko) 2013-01-24 2013-01-24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640U KR20140004557U (ko) 2013-01-24 2013-01-24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557U true KR20140004557U (ko) 2014-08-04

Family

ID=52445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640U KR20140004557U (ko) 2013-01-24 2013-01-24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55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416A1 (ko) * 2017-03-23 2018-09-27 이영희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416A1 (ko) * 2017-03-23 2018-09-27 이영희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5004B2 (en) Accessory units for consumer electronic device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CN104619210B (zh) 用于电子设备的护套
KR101397925B1 (ko) 샌드위치 접합구조를 갖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JP2016028680A (ja) 眼鏡ケース
KR101348712B1 (ko)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EP3016881A1 (en) Oral care implement package and kit therefor
KR20140004557U (ko)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306177B1 (ko) 카드수납용 포켓구조
KR101553023B1 (ko) 방수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방수 케이스
KR101368626B1 (ko)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제조금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KR20130007270U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201348B1 (ko) 액정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일체형 스마트 기기 보호 케이스
KR200485342Y1 (ko) 간이 가방
TWI523762B (zh) 隨身電子用品的保護體及其製造方法
KR20120135375A (ko) 천 커버를 구비한 다이어리
KR20140137491A (ko)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2975A (ko) 장식용 보강부재를 갖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100091711A (ko) 다이어리 커버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321204B1 (ko) 앨범의 속지
KR101524265B1 (ko) 수납부를 구비한 모바일 케이스 제조방법 및 그 모바일 케이스
WO2021203672A1 (zh) 手机壳套、屏幕贴膜及贴膜装置
WO2021203671A1 (zh) 手机用皮套
KR200473293Y1 (ko) 장식커버를 갖는 태블릿피씨용 보호커버
JP3213954U (ja) スマートフォンケース
JP3217318U (ja) 手帳型携帯電子機器用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