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712B1 -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712B1
KR101348712B1 KR1020120112528A KR20120112528A KR101348712B1 KR 101348712 B1 KR101348712 B1 KR 101348712B1 KR 1020120112528 A KR1020120112528 A KR 1020120112528A KR 20120112528 A KR20120112528 A KR 20120112528A KR 101348712 B1 KR101348712 B1 KR 101348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ain body
body case
attachment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to KR1020120112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A45C13/06Frame clos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모바일기기를 수용하는 상기 수납부 내측면 가장자리 둘레에는 안착테두리부가 인입 형성되어 있고, 이 안착테두리부에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을 위한 다수의 부착성형홀이 배열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 전체에는 안착부가 인입 형성되어 있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 상기 안착부에 조립되어 그 외형 라인과 일치를 이루도록 밀착되어 부착되는 것으로, 판형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그 외형이 상기 본체케이스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며,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부착성형홀에 대응되어 조립되는 다수의 부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장식커버와; 상기 수납부의 안착테두리부에 조립되도록 액자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면에는 상기 부착성형홀을 통하여 상기 부착돌기와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되는 부착성형면이 형성된 부착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케이스는 상기 장식커버와 상기 부착고정부재의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에 의해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모바일기기를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안전하게 수납함과 동시에 그 내측에는 명함이나 신용카드 등을 함께 휴대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보호케이스의 전체적인 두께를 슬림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 모바일기기의 휴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 및 개폐커버는 힌지부재의 조립위치에 따라 폴더형 또는 다이어리 형태로 자유자재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보호케이스를 제조하여 저렴한 단가로 판매하여 널리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소형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모바일기기 등을 수납하는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케이스와 초음파 융착되어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장식커버를 구비하도록 하고, 내측에는 명함이나 신용카드 또는 교통카드 등을 함께 휴대할 수 있는 포켓을 구비한 커버를 슬림한 형태의 외형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본체케이스 및 상기 커버와 초음파 융착 또는 접착제로 접착되는 힌지부재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휴대전화의 기술이 더욱 발전하여 스마트폰이 출시됨에 따라 휴대용 통신기기의 일대 변혁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전화기능과 인터넷 기능까지 겸하고 있어 종래 핸드폰과 노트북, PDA, PMP 등의 고가의 휴대기기를 통합한 성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에 비례하여 매우 고가의 제품이다.
따라서 파손을 방지하고, 액정 표면이 긁히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재질과 디자인 및 기능성을 갖는 보호케이스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일명 '실리콘 케이스 또는 젤리케이스'라고 칭하는 보호케이스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실리콘 보호케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질 특성상 자체 탄력을 가진 연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모바일기기(M)의 전면을 제외하고는 배면과 네 측면을 감싸는 형태이므로 외부 충격에 모바일기기(M)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으며, 가격도 다른 보호케이스(1)보다 저렴하여 일반적인 보호케이스(1)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보호케이스(1)는 주로 금형에 의한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므로 단일 색상과 단순한 디자인으로 제조될 수 밖에 없었으며, 보호케이스(1) 표면에 제품 로고나 표면에 장식 패턴을 형성하여 사출 성형시 일체 형태로 제조되는 단순한 구성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재질이나 두 가지 이상의 색상을 조합하여 제조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아울러 모바일기기(M)의 액정화면(P) 전면 부위에는 보호필름(미도시) 등을 부착하여 강화 유리 표면 등에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하고 있으나, 모바일기기를 떨어뜨리거나 액정화면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액정화면이 깨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는 해결할 수가 없어서 고가의 모바일 기기 수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원단이나 가죽 소재로 만들어진 다이어리 또는 폴더 형태의 보호케이스가 출시되어 모바일기기(M) 전체를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호케이스는 상기한 사출 성형에 의한 보호케이스(1)에 비해 판매 단가가 높기 때문에 제품 구매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보호케이스(1)에 개폐커버를 구비한 새로운 형태의 보호케이스가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도 1과 같은 실리콘 보호케이스 등에는 명함이나 교통카드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명함이나 교통카드, 신용카드, 소액의 현금과 같은 카드 종류의 휴대품 등은 전용 수납케이스나 지갑 등을 구매하여 별도로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롭고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기존의 다이어리 및 폴더형의 보호케이스에 포켓부가 구비된 종래의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는 명함이나 교통카드, 신용카드 등을 함께 휴대할 수 있는 편리함은 있으나, 보호케이스와 커버의 두께가 여러 겹으로 겹쳐진 구성이므로 포부켓을 구성하는 원단이 한 장 더 겹쳐진 상태에서 접착되어 구성됨에 따라 보호케이스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져 매우 투박한 형태의 보호케이스의 디자인 상의 결함이 있었으며, 포켓에 명함이나 교통카드 등을 수납할 경우에는 그 두께가 더 두꺼워져 그립감이 매우 불편하고 휴대하기 부담스러운 디자인 상의 구조적인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내측에 포켓을 가진 개폐커버를 구비하면서도 폴더 또는 다이어리 형태의 보호케이스를 제공함은 물론 보호케이스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껍지 않고 슬림한 형태를 이룰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모바일기기를 안전하게 수납함과 동시에 그 내측에는 명함이나 신용카드 등을 함께 휴대할 수 있는 포켓을 가진 개폐커버를 구비하면서도 특히, 보호케이스의 전체적인 두께가 슬림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보호케이스 및 개폐커버는 폴더형 또는 다이어리 형태로 자유자재로 구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힌지 구조를 갖는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보호케이스 및 개폐커버는 서로 다른 재질 또는 색상으로 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하는 형태에 따라 색다른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단순한 형태의 실리콘 또는 젤리 보호케이스 보다 더 다양한 형태의 보호케이스의 디자인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목적에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력을 가진 연질의 의 합성수지,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휴대용 모바일기기를 수용하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 및 측면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휴대용 모바일기기를 수용하는 상기 수납부 내측면 가장자리 둘레에는 안착테두리부가 인입 형성되어 있고, 이 안착테두리부에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을 위한 다수의 부착성형홀이 배열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 전체에는 안착부가 인입 형성되어 있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 상기 안착부에 조립되어 그 외형 라인과 일치를 이루도록 밀착되어 부착되는 것으로, 판형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그 외형이 상기 본체케이스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며,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부착성형홀에 대응되어 조립되는 다수의 부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장식커버와; 상기 수납부의 안착테두리부에 조립되도록 액자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면에는 상기 부착성형홀을 통하여 상기 부착돌기와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되는 부착성형면이 형성된 부착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케이스는 상기 장식커버와 상기 부착고정부재의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에 의해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케이스 수납부의 개구부와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는 판형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가장자리에는 상기 개구부 내주연에 형성된 언더컷부와 억지 끼움되어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 가장자리 둘레에는 일정 폭을 갖는 상기 부착성형면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커버와; 상기 개폐커버와 대응되는 외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면 가장자리부는 상기 부착성형면과 대응하여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되도록 판형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2부착고정부재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부에는 부착단부와 복수의 조립홀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부착단부는 상기 개폐커버 및 제2부착고정부재의 일단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되고, 상기 조립홀은 상기 장식커버 및 부착고정부재 일단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부착돌기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부착고정부재와 상기 장식커버가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되어 일체로 조립되는 힌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힌지부재는 전체적으로 두께가 얇은 패드 형상으로 되어 질기고 유연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본체케이스의 측벽에 밀착되어 감싸지도록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절곡부에는 상기 개폐커버의 개폐 회전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절곡안내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케이스에 대해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본체케이스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커버가 상기 본체케이스 내부에 수납되는 모바일기기에 대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케이스에 대해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본체케이스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커버가 상기 본체케이스 내부에 수납되는 모바일기기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부착고정부재는 판형의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네 가장자리 부위는 상기 개폐커버의 부착성형면과 부착되되, 상기 힌지부재의 부착단부가 함께 개재되어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되며, 그 내측에는 상기 개폐커버 내측면과 간격을 유지하여 카드카드수납공간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카드수납공간부 일측에는 삽입구가 형성된 포켓부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포켓부의 삽입구 일측에는 카드인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드카드수납공간부 내로 수납되는 카드 또는 명함을 눌러 고정하도록 상기 포켓부의 표면 일부가 "ㄷ"형으로 절개되어 내향 탄발되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누름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구의 일측에는 카드 또는 명함 인출시 그 선단부가 외측으로 용이하게 돌출되도록 안내하는 경사면이 상기 제2부착고정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개폐커버 또는 상기 제2부착고정부재의 일측 모서리부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스의 모서리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폐커버가 상기 본체케이스에 닫힌 후 좌,우로 틀어지거나 이탈되어 개방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관통홀은 모바일기기에 구비된 이어폰 잭, 전원잭, 카메라렌즈, 안테나 및 장식 고리 연결용 스트랩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케이스의 각 측벽에는 모바일기기의 전원버튼 및 볼륨조절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 누름돌출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벽에는 상기 본체케이스에 대해 상기 개폐커버를 개방하기 용이한 위치에 분리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모바일기기를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안전하게 수납함과 동시에 그 내측에는 명함이나 신용카드 등을 함께 휴대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보호케이스의 전체적인 두께를 슬림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 모바일기기의 휴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 및 개폐커버는 힌지부재의 조립위치에 따라 폴더형 또는 다이어리 형태로 자유자재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보호케이스를 제조하여 저렴한 단가로 판매하여 널리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 및 개폐커버는 이종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보호케이스의 본체와 개폐커버를 다른 재질 또는 색상으로 조합하게 되면 종래의 단순한 형태의 실리콘 또는 젤리 보호케이스 보다 더욱 화려한 심미감이 뛰어난 다양한 형태의 보호케이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모바일기기의 안전한 휴대성과 색다른 형태의 보호케이스의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도 함께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에 의하면 안전하고 간편하게 모바일 휴대기기를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고, 그 내측에 포켓을 구비하여 명함이나, 교통카드 및 신용카드 등을 함께 휴대하고 다니면서도 전체적으로 두껍지 않고 슬림한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어 제품 디자인 품질이 향상되어 고품격의 보호케이스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호 케이스와 개폐커버 등을 초음파 융착 방식으로 제조 과정에서도 융착 불량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제조 원가 및 불량으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 설명된 도면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 형태의 보호케이스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 형태의 보호케이스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의 본체와 개폐커버의 조립구성을 나타낸 횡단면도와 종단면도,
도 8(a),(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 형태의 보호케이스의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들,
도 9(a),(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 형태의 보호케이스의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보호케이스와 개폐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의 일 예로서, 스마트폰이 수납되는 다이어리 디자인 형태와 폴더 형태의 보호케이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바일 휴대기기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보호케이스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 형태의 보호케이스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 형태의 보호케이스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의 본체와 개폐커버의 조립구성을 나타낸 횡단면도와 종단면도이고, 도 8(a),(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리 형태의 보호케이스의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들이며, 도 9(a),(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 형태의 보호케이스의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들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보호케이스와 개폐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을 다이어리 형태의 보호케이스에 적용된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휴대용 모바일기기 휴대케이스(100)는 기본 구성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와 개폐커버(40)와 힌지부재(6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케이스(10)는 종래와 유사한 구성으로서, 탄력을 가진 연질의 합성수지(PVC재질),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모바일기기(M)를 수용하는 수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케이스(10)의 배면 및 측면 가장자리에는 모바일기기(M)의 전원및 볼륨버튼, 이어폰 잭, 카메라 등과 같은 기능버튼 등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관통홀(18)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이러한 본체케이스(1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형으로서 대량으로 연속 제조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본체케이스(10)에는 휴대용 모바일기기(M)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수납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수납부(11)의 내측면 가장자리 둘레에는 안착테두리부(12)가 인입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테두리부(12)에는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을 위한 다수의 부착성형홀(13)이 배열 형성되어 있고, 배면에는 안착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착부(14)에는 본체케이스(10)에 대해 서로 다른 재질 또는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장식커버(2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적인 구성이다.
즉, 상기한 장식커버(20)는 상기 안착부(14)에 조립되어 그 외형 라인과 일체를 이루도록 그 내측면이 안착부(14)에 밀착되어 부착되는 것이므로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초음파 융착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기로 장식커버(20)는 외부에 노출되어 충격에 의해 스크래치가 잘 생기지 않도록 ABS,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강화 프라스틱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장식커버(20)는 본체케이스(10)와의 디자인적인 조화를 위하여 서로 다른 재질 및 색상으로 이루어져 이종의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커버(20)는 본체케이스(10) 배면에 부착되는 것이므로 그 외곽 형상 및 크기가 상기 본체케이스(10) 배면의 형상 및 외곽 크기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장식커버(20)는 본체케이스(10) 배면에 단순하게 부착되게 구성하거나 또는 장식커버(20) 두께만큼 상기 안착부가(14) 인입되게 형성되어 장식커버(20)의 표면이 본체케이스(10) 배면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본체케이스(10)와 장식커버(20)와의 디자인 변화를 줄 수 있는 구성으로서 전체적으로 본체케이스(10)의 디자인을 슬림한 형태로 하는 경우에 장식커버(20)가 안착부(14)에 인입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장식커버(20)의 표면을 사출 성형시 금형 표면에 부식이나 샌딩 처리하여 소정의 패턴으로 거칠게 형성하고 안착부(14)에 장식커버(20)의 두께(대략0.7t~1t) 만큼 돌출시켜 부착하는 경우에는 휴대 시 양호한 그립감을 제공하여 모바일 보호케이스(100)의 휴대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장식커버(20)의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부착성형홀(13)에 대응되어 조립되는 다수의 부착돌기(21)가 배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착성형홀(13)은 후술된 부착고정부재(30)와의 초음파 융착 또는 접착 에 의한 조립시 필요한 구성으로서 그 크기와 형상은 상기 부착돌기(21)에 대응하여 여러 가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초음파 융착 장치의 작업 방식에 따라 초음파 혼의 단부 형상이 달라지고 그에 따라 상기 부착돌기(21)와 부착성형홀(13)은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케이스(10)와 장식커버(20)의 조립 경계면의 부착된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부착돌기(21)와 부착성형홀(13)은 복수 개 또는 다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보호케이스(10)와 장식커버(200의 구성에 의해 각각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부착고정부재(30)는 상기 장식커버(20)를 본체케이스(10)의 배면에 부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초음파 융착 또는 접착 부위가 장식커버의 네 가장자리에 집중되므로 액자형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조 원가 또한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체케이스(10)의 수납부(11)의 네 가장자리에는 상기 안착테두리부(1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안착테두리부(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부착고정부재(30)의 일면에는 부착성형면(3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부착성형면(31)이 안착테두리부(12)에 위치된 후 장식커버(20)의 부착돌기(21)가 부착성형홀(13)을 통하여 돌출된 상태에서 부착고정부재(30)와 부착돌기(21)가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장식커버(20)와 부착고정부재(30)가 본체케이스(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부착됨으로써 장식커버(20)와 본체케이스(10)는 일체형으로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부착성형면(31)은 본체케이스(10)의 수납부(11)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수납부(11) 바닥면에 대해 평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부착고정부재 (30)두께 만큼 인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부착고정부재(30)는 모바일기기(M)의 배면 가장자리와 접촉되게 하는 경우 수납부(11) 바닥면에서 약간 돌출시켜 부착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본체케이스(10)와 모바일기기(M) 사이의 이물질이나 먼지 등에 의해 흠집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모바일기기(M) 배면 전체에 접촉되게 하는 경우 수납부(11) 바닥면에 인입되게 부착한 후 별도의 보호시트를 수납부(11) 바닥면에 부착함으로써 모바일기기 배면과 본체케이스(10)의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여 스크래치 발생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케이스(10)는 상기 장식커버(20)와 상기 부착고정부재(30)의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 등의 소정의 부착 작업에 의해 고급스럽고 미련한 느낌의 장식커버(20)를 갖는 보호케이스(100)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보호케이스에 비해 보다 다양한 형태의 재질과 색상을 연출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여러 가지 디자인의 보호케이스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100)는 전술한 기본 구성에 있어서, 본체케이스(10)에 개폐커버(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개폐커버(40)는 상기 본체케이스(10) 수납부(11)의 개구부(15)와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는 판형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장자리에는 상기 개구부(15) 내주연에 형성된 언더컷부(16)와 억지 끼움되면서 개구부(15)와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단턱부(4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성이다.
즉, 본체케이스(10)는 사출 성형 재질 특성상 탄력성을 갖게 되므로 단턱부 (41)라인의 폭에 대해 개구부(15)의 폭을 더 작게 설정하면 개구부가 단턱부(41)에 조립되면서 탄력적으로 확장되어 조립된다.
따라서, 개폐커버(40)는 본체케이스(10)에 대해 억지 끼움식의 개폐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개폐커버(40)는 그 외측면 가장자리 둘레에 초음파 융착을 위한 일정 폭을 갖는 상기 부착성형면(4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개폐커버(40)의 외측면에는 제2부착고정부재(50)가 더 구비되는데, 본 발명에서의 제2부착고정부재(50)는 상기 개폐커버(40)의 디자인의 차별화와 그 안쪽으로 명함이나 교통 및 신용카드 등을 수납하기 위한 포켓부(53)를 형성하기 위해 구비된 구성이다.
즉, 상기 제2부착고정부재(50)는 상기 개폐커버(40)와 대응되는 외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면 가장자리부는 상기 부착성형면(42)과 대응하여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되도록 판형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부착고정부재(50)와 상기 개폐커버(40)는 본체케이스(10)와 장식커버(20)와 같이 초음파 융착 또는 접착이 가능한 서로 다른 합성수지 재질이나 기타 다른 재질 및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보다 더 고급스럽고 미려한 디자인을 본체케이스(10)와 장식커버(20)와 함께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개폐커버(40)와 본체케이스(10)는 다이어리 형태 또는 폴더 형태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도록 힌지부재(6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즉, 힌지부재(6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부에는 부착단부(61)와 복수의 조립홀(62)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부착단부(61)는 상기 개폐커버(40) 및 제2부착고정부재(50)의 일단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립홀(62)은 상기 장식커버(20) 및 부착고정부재(30) 일단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부착돌기(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부착고정부재(30)와 상기 장식커버(20)가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되어 일체로 조립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힌지부재(60)가 본체케이스(10)에 조립되는 위치 즉, 상,하면 또는 좌,우측면에 조립되는 위치에 따라 도 8(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개폐 또는 우측 개폐되는 다이어리 형태의 보호케이스와 및 도 9(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개폐 또는 하향 개폐되는 폴더 형태의 보호케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60)는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케이스(10)의 측면을 감싸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두께가 얇은 슬림한 형태의 패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부재(60)는 질기고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 예를 들어 PP, PE 또는 나이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두께가 1t 이하로 구성된다.
또한, 힌지부재(60)는 또 다른 형태로서 본체케이스(10)의 측벽에 밀착되어 감싸지도록 "ㄷ"형태로 이루어진 절곡부(63)로 이루어져 이 절곡부(63) 내측 또는 외측으로 상기 개폐커버(40)의 개폐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나 이상의 절곡안내홈(64)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절곡안내홈(64)은 힌지부재(60)의 전체 두께에서 1/2을 넘지 않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힌지부재(60)의 재질 자체의 연질 또는 경질 특성 또는 두께에 따라 개폐커버(40)를 열고 닫을 때의 유연한 정도를 감안하여 절곡 안내홈(64)의 폭과 깊이 또는 갯수를 적절히 적용함으로써 개폐커버의 개폐 각도를 제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개폐커버(40)를 본체케이스(10) 배면으로 뒤집어 사용할 수 있도록 폭과 두께를 적절히 조절하여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10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2 및 도 3, 도 8(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커버(40)는 상기 힌지부재(60)에 의해 상기 본체케이스(10)에 대해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면서 상기 힌지부재(60)가 상기 본체케이스(10)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커버(40)가 상기 본체케이스(10) 내부에 수납되는 모바일기기(M)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도 4 및 도 5, 도 9(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커버(40)가 상기 힌지부재(60)에 의해 상기 본체케이스(10)에 대해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면서 상기 힌지부재(60)가 상기 본체케이스(10)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커버(40)를 상기 본체케이스(10) 내부에 수납되는 모바일기기(M)에 대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호케이스(100)에 의하면 개폐커버(40) 내측으로 명함이나 교통카드 또는 신용카드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부(53)가 더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켓부(53)는 상기 제2부착고정부재(50)가 판형의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네 가장자리 부위는 상기 개폐커버(40)의 부착성형면(42)과 초음파 융착 또는 접착에 의해 부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재(60)의 부착단부(61)가 상기 부착성형면(42)에 함께 개재되어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되며, 그 내측에는 상기 개폐커버(40) 내측면과 간격을 유지하여 카드수납공간부(51)를 형성하도록 간격을 유지하면서, 카드수납공간부(51) 일측 즉, 도면에서는 상단부에 삽입구(52)가 형성되는 형태로 상기 포켓부(53)가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포켓부(53)의 삽입구(52) 일측에는 카드수납공간부(53)에 삽입된 명함이나 카드를 용이하게 인출시키기 위해 명함이나 카드의 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인출홈(54)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인출홈(54)의 형상은 원호형 또는 사각형 사다리꼴 형상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드수납공간부(51) 내로 수납되는 카드 또는 명함은 카드수납공간부(51)의 크기에 따라 한 장 또는 여러 장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한 장 정도가 수납되는 경우 또는 명함이나 카드의 두께가 카드수납공간부(51)의 간격보다 얇은 경우 쉽게 빠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카드수납공간부(51)에 명함이나 카드를 눌러 고정하기 위한 누름판(55)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누름판(55)은 별도의 부품 형태로 구성하여 카드수납공간부(51)에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커버(40)로부터 그 일부분이 절개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포켓부(53)의 표면 일부가 "ㄷ"형상으로 절개되어 내향 탄발되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형태로 구성되어 누름판(55)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개폐커버(40)는 물론 제2부착고정부재(50)에도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외관상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개폐커버(4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폐커버(40)의 사출 성형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사출 재질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명함이나 카드를 눌러 줌으로써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구(52)의 일측에는 카드 또는 명함 인출할 때 그 상단부가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하여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사면(56)이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
경사면(56)은 제2부착고정부재(5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사출 성형의 경우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의하면 도 2 내지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커버(40)와 본체케이스(10)가 별도의 잠금 수단 없이도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개폐커버(40) 또는 상기 제2부착고정부재(50)의 일측 모서리부에는 결합돌기(43)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커버(40)의 모서리부에 한 쌍의 결합돌기(43)가 원형으로 돌출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모서리에는 상기 결합돌기(43)에 대응되어 억지 끼움식으로 끼워지는 결합홈(17a)이 형성된 플랜지부(17)가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개폐커버(40)가 상기 본체케이스(10)에 닫힌 후 개폐커버(40)가 쉽게 이탈되어 개방되지 않게 하며, 개폐커버(40)가 닫힌 상태에서 파지하여 휴대하고 다닐 때 개폐커버(40)가 본체케이스에 대해 좌,우로 틀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본체케이스(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관통홀(18)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모바일기기(M)에 구비된 이어폰 잭, 전원잭, 카메라렌즈, 안테나 및 장식 고리 연결용 스트랩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특히 상기 본체케이스(10)의 각 측벽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모바일기기(M)의 전원버튼 및 볼륨조절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 누름돌출부(19)가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본체케이스(10)에 수납된 상태에서 기능 조작의 편의성을 도모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케이스(100)에 의하면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일측벽에는 상기 본체케이스(10)에 대해 상기 개폐커버(40)가 상기한 결합돌기(43) 및 결합홈(17a)에 의해 닫혀 있는 경우 개폐커버(40)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위치에 분리홈(10a)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분리홈(10a)은 본체케이스(10)의 개구부(15)에 위치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기로 개폐커버(40)의 개방 방향을 감안하여 힌지부재(60) 조립 위치의 반대 측에 형성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본체케이스 11 : 수납부
12 : 안착테두리부 13 : 부착성형홀
14 : 안착부 15 : 개구부
16 : 언더컷부 17 : 플랜지부
17a : 결합홈 18 : 관통홀
19 : 누름돌출부 20 : 장식커버
21 : 부착돌기
30 : 부착고정부재 31 : 부착성형면
40 : 개폐커버 41 : 단턱부
42 : 부착성형면 43 : 결합돌기
50 ; 제2부착고정부재 51 : 수납공간부
52 : 삽입구 53 : 포켓부
54 : 카드인출홈 55 : 누름판
56 : 경사면
60 : 힌지부재 61 : 부착단부
62 : 조립홀 63 : 절곡부
64 : 절곡안내홈
100 : 보호케이스 M : 모바일기기

Claims (10)

  1. 탄력을 가진 연질의 합성수지,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휴대용 모바일기기를 수용하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 및 측면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휴대용 모바일기기(M)를 수용하는 상기 수납부(11) 내측면 가장자리 둘레에는 안착테두리부(12)가 인입 형성되어 있고, 이 안착테두리부(12)에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을 위한 다수의 부착성형홀(13)이 배열 형성되어 있으며, 배면 전체에는 안착부(14)가 인입 형성되어 있는 본체케이스(10)와;
    상기 본체케이스(10) 상기 안착부(14)에 조립되어 그 외형 라인과 일치를 이루도록 밀착되어 부착되는 것으로, 판형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그 외형이 상기 본체케이스(10)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며,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부착성형홀(13)에 대응되어 조립되는 다수의 부착돌기(21)가 형성되어 있는 장식커버(20)와;
    상기 수납부(11)의 안착테두리부(12)에 조립되도록 액자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면에는 상기 부착성형홀(13)을 통하여 상기 부착돌기(21)와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되는 부착성형면(31)이 형성된 부착고정부재(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케이스(10)는 상기 장식커버(20)와 상기 부착고정부재(30)의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에 의해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10) 수납부(11)의 개구부(15)와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는 판형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가장자리에는 상기 개구부(15) 내주연에 형성된 언더컷부(16)와 억지 끼움되어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단턱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 가장자리 둘레에는 일정 폭을 갖는 상기 부착성형면(42)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커버(40)와;
    상기 개폐커버(40)와 대응되는 외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면 가장자리부는 상기 부착성형면(42)과 대응하여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되도록 판형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2부착고정부재(50)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부에는 부착단부(61)와 복수의 조립홀(62)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부착단부(61)는 상기 개폐커버(40) 및 제2부착고정부재(50)의 일단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되고, 상기 조립홀(62)은 상기 장식커버(20) 및 부착고정부재(30) 일단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부착돌기(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부착고정부재(30)와 상기 장식커버(20)가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되어 일체로 조립되는 힌지부재(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60)는 전체적으로 두께가 얇은 패드 형상으로 되어 질기고 유연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측벽에 밀착되어 감싸지도록 절곡부(63)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절곡부(63)에는 상기 개폐커버(40)의 개폐 회전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절곡안내홈(6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40)는 상기 힌지부재(60)에 의해 상기 본체케이스(10)에 대해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힌지부재(60)는 상기 본체케이스(10)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커버(40)가 상기 본체케이스(10) 내부에 수납되는 모바일기기(M)에 대해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40)는 상기 힌지부재(60)에 의해 상기 본체케이스(10)에 대해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힌지부재(60)는 상기 본체케이스(10)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되어 상기 개폐커버(40)가 상기 본체케이스(10) 내부에 수납되는 모바일기기(M)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착고정부재(50)는 판형의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네 가장자리 부위는 상기 개폐커버(40)의 부착성형면(42)과 부착되되, 상기 힌지부재(60)의 부착단부(61)가 함께 개재되어 초음파 융착 또는 본딩 접착되며, 그 내측에는 상기 개폐커버(40) 내측면과 간격을 유지하여 카드카드수납공간부(51)를 형성하면서, 상기 카드수납공간부(51) 일측에는 삽입구(52)가 형성된 포켓부(53)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53)의 삽입구(52) 일측에는 카드인출홈(5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드카드수납공간부(51) 내로 수납되는 카드 또는 명함을 눌러 고정하도록 상기 포켓부(53)의 표면 일부가 "ㄷ"형으로 절개되어 내향 탄발되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누름판(5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구(52)의 일측에는 카드 또는 명함 인출시 그 선단부가 외측으로 용이하게 돌출되도록 안내하는 경사면(56)이 상기 제2부착고정부재(5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40) 또는 상기 제2부착고정부재(50)의 일측 모서리부에는 결합돌기(4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모서리에는 상기 결합돌기(43)에 끼워지는 결합홈(17a)이 형성된 플랜지부(17)가 형성되어 상기 개폐커버(40)가 상기 본체케이스(10)에 닫힌 후 좌,우로 틀어지거나 이탈되어 개방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18)은 모바일기기에 구비된 이어폰 잭, 전원잭, 카메라렌즈, 안테나 및 장식 고리 연결용 스트랩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케이스(10)의 각 측벽에는 모바일기기의 전원버튼 및 볼륨조절버튼에 대응되는 위치에 누름돌출부(19)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일측벽에는 상기 본체케이스(10)에 대해 상기 개폐커버(40)를 개방하기 용이한 위치에 분리홈(10a)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KR1020120112528A 2012-10-10 2012-10-10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KR101348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528A KR101348712B1 (ko) 2012-10-10 2012-10-10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528A KR101348712B1 (ko) 2012-10-10 2012-10-10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712B1 true KR101348712B1 (ko) 2014-01-10

Family

ID=50144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528A KR101348712B1 (ko) 2012-10-10 2012-10-10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7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196B1 (ko) * 2014-04-14 2014-07-25 주식회사아리움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CN107710723A (zh) * 2015-07-08 2018-02-16 株式会社力援 卡收纳型后壳
KR20230001422U (ko) 2022-01-04 2023-07-11 광저우 순디디 컴퍼니.,리미티드.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
KR200497645Y1 (ko) * 2023-05-15 2024-01-15 주식회사 폰누리 편의기능이 개선된 폴더블폰 커버
KR20240007568A (ko) * 2022-07-08 2024-01-16 주식회사 리어스 폴더블 휴대기기용 부착형 자동 힌지 보호 커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5971A (ko) * 2007-04-26 2008-10-30 주식회사 모빌텔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62038Y1 (ko) 2012-06-18 2012-08-22 임창수 휴대폰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5971A (ko) * 2007-04-26 2008-10-30 주식회사 모빌텔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62038Y1 (ko) 2012-06-18 2012-08-22 임창수 휴대폰 보호 케이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196B1 (ko) * 2014-04-14 2014-07-25 주식회사아리움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CN107710723A (zh) * 2015-07-08 2018-02-16 株式会社力援 卡收纳型后壳
KR20230001422U (ko) 2022-01-04 2023-07-11 광저우 순디디 컴퍼니.,리미티드. 모바일 단말기 보호 케이스
KR20240007568A (ko) * 2022-07-08 2024-01-16 주식회사 리어스 폴더블 휴대기기용 부착형 자동 힌지 보호 커버
KR102626226B1 (ko) * 2022-07-08 2024-01-17 주식회사 리어스 폴더블 휴대기기용 부착형 자동 힌지 보호 커버
KR200497645Y1 (ko) * 2023-05-15 2024-01-15 주식회사 폰누리 편의기능이 개선된 폴더블폰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916Y1 (ko) 휴대전자기기용 프로텍터
KR101348712B1 (ko)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KR10139428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US20120244918A1 (en) Cell Phone Case
KR101422194B1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200469053Y1 (ko) 핸드폰 보호 케이스
JP5689520B1 (ja) 携帯電話機用背面カバー
US20160254835A1 (en) Integrated screen and perimeter prot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585383B1 (ko)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878982B1 (ko) 스마트폰의 외면보호케이스
KR101390793B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150000251U (ko) 직선 운동이 가능한 휴대폰 홀더가 구비된 수첩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66662Y1 (ko) 다이어리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78264Y1 (ko) 스마트폰 케이스
KR20160010778A (ko) 지갑겸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255559B1 (ko)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
KR101385313B1 (ko)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422196B1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101247406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CN204559676U (zh) 一种手机保护壳
CN203747866U (zh) 一体触控屏手机套
KR101460321B1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150012975A (ko) 장식용 보강부재를 갖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140137491A (ko)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04981U (ko)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