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031U - Managing system of datacenter - Google Patents

Managing system of datace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031U
KR20140002031U KR2020120008810U KR20120008810U KR20140002031U KR 20140002031 U KR20140002031 U KR 20140002031U KR 2020120008810 U KR2020120008810 U KR 2020120008810U KR 20120008810 U KR20120008810 U KR 20120008810U KR 20140002031 U KR20140002031 U KR 201400020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enter
temperature
opening
clo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81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77689Y1 (en
Inventor
노상민
김재필
Original Assignee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8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689Y1/en
Publication of KR201400020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03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68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20836Thermal management, e.g. serve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에 의한 데이터센터의 관리시스템은, 복수의 서버를 구비하는 데이터센터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데이터센터를 밀폐시켜 공기의 경로를 형성시킴으로써 데이터센터의 내부의 온도를 조절시키는 조절유닛 및, 데이터센터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데이터센터의 유지 및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온도 조절에 의한 데이터센터의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management system of a data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managing a data center having a plurality of servers, th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data center by closing the data center to form an air path; And an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data center. Such a configuration can improve the maintenance and repairability of the data center, as well as the efficiency of the data center by temperature control.

Description

데이터센터의 관리시스템{MANAGING SYSTEM OF DATACENTER}MANAGEING SYSTEM OF DATACENTER

본 고안은 데이터센터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센터의 유지 및 보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온도 관리에 유리한 데이터센터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center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center management system that is advantageous for temperature management while improving th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of the data center.

일반적인 데이터센터의 경우, 소정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복수의 서버를 관리한다. 상기 복수의 서버는 랙(Rack)과 같은 소정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센터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콜드존(Cold Zone)과 콜드존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핫존(Hot Zone)으로 구분되어, 서버를 관리한다. In a typical data center, a plurality of servers through which predetermined data is input and output are managed. The plurality of servers are supported by predetermined supporting means such as racks. Meanwhile, the data center is classified into a cold zone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and a hot zone having a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 than the cold zone, thereby managing servers.

한편, 상기 서버는 열에 의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함에 따라, 콜드존과 핫존에 마련된 서버의 안정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일정한 온도 제어가 요구된다. 이러한 콜드존과 핫존의 온도제어는 원하는 온도에 대응되는 공기를 각각 공급하여 제어함이 일반적임에 따라, 에너지 낭비의 문제점이 야기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콜드존과 핫존은 모두 개방된 상태로 마련됨에 따라, 공급된 공기가 불필요하게 누출되는 문제점도 야기된다. 만약, 콜드존과 핫존이 밀폐된 상태로 제공될 경우, 케이블 교체와 같은 유지 및 보수 작업에 제약이 발생됨으로써, 또 다른 문제점도 야기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rver is very sensitive to heat, constant temperature control is required for stable use of the servers provided in the cold zone and the hot zone.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cold zone and the hot zone is generally controlled by supplying air corresponding to a desired temperature, thereby causing energy waste. In addition, since both the cold zone and the hot zone are provided in an open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pplied air is leaked unnecessarily. If the cold zone and the hot zone are provided in an enclosed state, limitations occur in the maintenance and repair work such as cable replacement, thereby causing another problem.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지 및 보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온도 관리에 유리한 데이터센터의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data center management system that is advantageous for temperature management while improving maintenance and repairabil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데이터센터의 관리시스템은, 복수의 서버를 구비하는 데이터센터를 관리하는 것으로서, 상기 데이터센터를 밀폐시켜 공기의 경로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데이터센터의 내부의 온도를 조절시키는 조절유닛 및 상기 데이터센터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유닛을 포함한다. A data cent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manage a data center having a plurality of servers, and to close the data center to form an air path, thereby establishing a temperature inside the data center. And an opening and closing unit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data center.

일측에 의하면,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데이터센터에 대해 슬라이딩 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데이터센터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s coupled to the sliding or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data center includes at least one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data center.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폐부재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at least on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cludes a handle.

일측에 의하면,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데이터센터로 공기를 공급하여 제1온도영역을 형성시킨 후, 상기 제1온도영역을 경유하여 가열된 온도로 상기 제1온도영역과 구획된 제2온도영역을 형성시키며, 상기 개폐유닛은 제1 및 제2온도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control unit supplies air to the data center to form a first temperature zone, and then the second temperature zone partitioned from the first temperature zone at a temperature heated via the first temperature zone.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zones.

일측에 의하면,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로 온도 조절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공급된 상기 공기로 상기 데이터센터 내에 제1온도영역을 형성시키는 제1조절부, 상기 제1온도영역과 연통되어 상기 제1온도영역을 경유한 상기 공기의 온도로 상기 데이터센터 내에 제2온도영역을 형성시키는 제2조절부 및, 상기 제2온도영역과 연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온도영역을 형성시킨 상기 공기를 회수시키는 회수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control unit, the supply unit for supplying air for temperature control into the data center, the first control unit for forming a first temperature region in the data center with the air supplied in connection with the supply unit, A second adjusting uni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emperature zone to form a second temperature zone in the data center at the temperature of the air via the first temperature zone,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temperature zone; And a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the air in which the second temperature region is formed.

일측에 의하면,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데이터센터의 상기 제1온도영역에 대해 슬라이딩 또는 회전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제2온도영역을 밀폐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회수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2온도영역의 일측과 상기 회수부 사이를 연통시켜 상기 공기를 상기 회수유닛으로 안내한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by sliding or rotating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of the data center, the second control unit sealing the second temperature region And at least one sealing member, wherein the sealing member communicates between one side of the second temperature region facing the recovery unit and the recovery unit to guide the air to the recovery unit.

일측에 의하면, 단면이 사각형인 막대 형상을 가지며, 탄성재질의 제1 및 제2완충재에 의해 각각 보호된 상태로 상기 개폐부재 및 밀폐부재 각각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지지홈이 각 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보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보호체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홈에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연결체에 의해 각각 연결된다. According to one sid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grooves having a rod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each edge of each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s is inserted in a state of being prot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buffer members of the elastic material, respectively.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protectors respectively formed on a surface thereof,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protector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grooves by first and second connectors. Each is connected.

일측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센터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서버를 지지하기 위한 측부가 개방된 복수의 지지체가 상호 이웃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조절부는 상호 이격된 상기 복수의 지지체 중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체 사이의 공간에 제1온도영역을 형성시키며,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제1온도영역을 형성시키는 상기 한 쌍의 지지체로부터 이격되어 이웃하는 지지체와의 사이 공간에 제2온도영역을 형성시킨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inside of the data cent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s having a side opening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servers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rst control unit is a pair facing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support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rst temperature region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s, and the second adjustment portion forms a second temperature region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and the neighboring support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pair of supports forming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

일측에 의하면, 상기 회수부는 상기 제2온도영역를 경유한 상기 공기를 회수하는 회수덕트 및, 상기 회수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조절공기를 재냉각시킨 후 상기 공급부로 제공하는 냉각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recovery unit includes a recovery duct for recovering the air via the second temperature region, and a cooling unit connected to the recovery duct to recool the control air and provide the supply to the supply unit.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첫째, 데이터센터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어, 케이블 교체와 같은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first,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inside of the data center, it is easy to maintain and repair, such as cable replacement.

둘째, 밀폐된 상태로 데이터센터의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데이터센터의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Second, by controll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ata center in a closed stat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data center.

셋째, 제1온도영역을 경유하여 서버의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로 제2온도영역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에너지 효율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Third,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temperature region with air heated by the heat of the server via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nergy efficiency.

넷째, 가열된 조절공기를 회수함으로써, 가열된 조절공기로 인한 불필요한 가열공간 형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Fourth, by recovering the heated control ai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ormation of unnecessary heating space due to the heated control air.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센터의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센터의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2의 Ⅳ-Ⅳ선을 따라 절단하여 개폐유닛의 슬라이딩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개폐유닛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개폐부재가 제1보호체에 보호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7의 Ⅸ영역을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10은 밀폐부재가 제2보호체에 보호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그리고
도 11은 도 10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anagement system of a data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nagement system of the data center shown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cut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by cutting along the line IV-IV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protected by the first protector;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cut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7;
9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nlarged region of FIG. 7;
10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member is protected by the second protector,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cut along the line XI-XI of FIG. 10.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센터 관리시스템(1)은 조절유닛(10) 및 개폐유닛(60)을 포함하여, 복수의 서버(S)를 구비하는 데이터센터(100)를 관리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data center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control unit 1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60, a data center 100 having a plurality of servers (S) ).

상기 조절유닛(10)은 데이터센터(100)를 밀폐시켜 공기(A)의 경로를 형성시킴으로써, 데이터센터(100)의 내부를 복수의 온도영역(T1)(T2)으로 조절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절유닛(10)은 공급부(20), 제1조절부(30), 제2조절부(40) 및 회수부(50)를 포함한다. The control unit 10 seals the data center 100 to form a path of air A, thereby adjusting the interior of the data center 100 to a plurality of temperature regions T1 and T2.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0 includes a supply unit 20, the first control unit 30, the second control unit 40 and the recovery unit 50.

상기 공급부(20)는 데이터센터(100) 내부로 온도 조절을 위한 조절매체인 공기(A)를 공급한다. 상기 공급부(20)는 공냉식 냉각수단이 채용되어 냉각된 공기(A)를 공급한다. 참고로, 상기 공냉식 냉각수단의 기술은 공지된 기술로부터 이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공기(A)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 공급부(20)가 공냉식 냉각수단이 채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꼭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공급부(20)가 공냉식 뿐만 아니라, 수냉식, 냉수식 등과 같이 공기(A)를 냉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냉각수단 중 어느 하나가 채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The supply unit 20 supplies air A, which is a control medium for temperature control, into the data center 100. The supply unit 20 employs air-cooled cooling means to supply cooled air (A). For reference, since the technology of the air-cooled cooling means can be understood from the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rrow shown in Figure 1 shows the flow of air (A). For reference, the supply unit 20 is illustrated that the air-cooled cooling means is employ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at is, it is obvious that the supply unit 20 may employ any one of various cooling means capable of cooling the air A, such as not only air-cooling but also water-cooling and cold water.

상기 제1조절부(30)는 공급부(20)와 연결되어 공급된 공기(A)로 데이터센터(100) 내에 제1온도영역(T1)을 형성시킨다. 상기 제1조절부(30)는 공냉식 냉각수단이 채용된 공급부(20)로부터 공기(A)를 제공받음에 따라 제1온도영역(T1)의 온도는 일정 온도로 냉각된다. The first control unit 30 is connected to the supply unit 20 to form a first temperature region T1 in the data center 100 with air A supplied. As the first control unit 30 receives air A from the supply unit 20 employing the air-cooled cooling unit,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T1 is cool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상기 제2조절부(40)는 제1온도영역(T1)과 연통되어 제1온도영역(T1)을 경유한 공기(A)의 온도로 데이터센터(100) 내에 제2온도영역(T2)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온도영역(T1)의 서버(S)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공기(A)가 가열된 상태로 제2온도영역(T2)으로 공급됨으로써, 제1온도영역(T1)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2온도영역(T2)의 온도가 더 높게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온도영역(T1)은 콜드존(Cold Zone)이고, 제2온도영역(T2)은 핫존(Hot Zone)으로 지칭할 수도 있다. The second control unit 4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temperature zone T1 and sets the second temperature zone T2 in the data center 100 at a temperature of air A via the first temperature zone T1. Form. Herein, the air A is supplied to the second temperature region T2 while the air A is heated b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server S of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T1, so that the temperature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T1. As a result,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temperature region T2 is increased higher. Accordingly, the first temperature zone T1 may be referred to as a cold zone, and the second temperature zone T2 may be referred to as a hot zone.

참고로, 상기 데이터센터(100)의 내부는에 배치되는 복수의 서버(S)는 복수의 지지체(R)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복수의 지지체(R)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호 이웃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및 제2온도영역(T1)(T2)을 형성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지지체(R) 중 상호 이격된 한 쌍의 공간에 제1온도영역(T1)을 형성시키고 제1온도영역(T1)과 이웃하는 지지체(R)와의 사이 공간에 제2온도영역(T2)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지지체(R)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일종의 선반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측부가 모두 개방된 형상을 가짐에 따라, 상기 제1온도영역(T1)을 형성시키는 공기(A)가 제2온도영역(T2)으로 유입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plurality of servers S disposed in the data center 100 are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s R. The plurality of supports 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form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regions T1 and T2. Specifically, a first temperature region T1 is formed in a pair of spa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R, and a second temperature is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T1 and a neighboring support R. FIG. The area T2 is formed. As shown in FIG. 2, the support R has a shape such as a kind of shelf and has a shape in which both sides are open, so that the air A forming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T1 has a second temperature. It may flow into the region T2.

상기 제1 및 제2조절부(30)(40)에 의해 구획되는 제1 및 제2온도영역(T1)(T2)의 전방과 후방은 도 2와 같이 도어(D)가 설치됨으로써, 선택적으로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폐쇄된다. 또한, 상기 제1온도영역(T1)의 상방은 후술할 개폐유닛(60)에 폐쇄되며, 제2온도영역(T2)의 상방은 밀폐부재(41)에 의해 폐쇄된다. 이렇게 폐쇄된 제1 및 제2온도영역(T1)(T2)으로 인해, 공기(A)의 불필요한 누출을 차단함과 아울러, 조절공기(A)의 흐름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front and rear of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zones T1 and T2 partitioned by the first and second adjustment units 30 and 40 are selectively installed by the door D as shown in FIG. It is closed to allow workers to enter and exit.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T1 is closed to the opening / closing unit 6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temperature region T2 is closed by the sealing member 41. Due to the closed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zones T1 and T2, unnecessary leakage of air A can be blocked and control can be made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control air A.

상기 회수부(50)는 제2온도영역(T2)과 연통하여 제1 및 제2온도영역(T1)(T2)을 통과한 공기(A)를 회수시킨다. 상기 회수부(50)는 회수덕트(51)와, 회수덕트(51)와 연결되어 공기(A)를 재냉각시키는 냉각부(52)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부(52)는 공급부(20)와 연결됨으로써, 회수된 공기(A)는 냉각되어 제1온도영역(T1)으로 재공급된다. The recovery unit 50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temperature region T2 to recover the air A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regions T1 and T2. The recovery unit 50 includes a recovery duct 51 and a cooling unit 52 connected to the recovery duct 51 to recool the air A. The cooling unit 52 is connected to the supply unit 20, so that the recovered air A is cooled and resupplied to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T1.

참고로, 상기 밀폐부재(41)는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제2온도영역(T2)을 형성시키는 한 쌍의 지지체(R)의 사이의 상부와 회수덕트(51)의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공기(A)의 누출을 차단시키면서 공기(A)를 회수덕트(51)로 안내한다. For referenc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ealing member 41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portion and the recovery duct 51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R forming the second temperature region T2. By being inclined, the air A is guided to the recovery duct 51 while blocking the leakage of the air A. FIG.

상기 개폐유닛(60)은 데이터센터(100)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유닛(60)은 데이터센터(1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데이터센터(100)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유닛(60)이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1조절부(30)에 의해 형성된 제1온도영역(T1)의 상방을 슬라이딩 움직임에 따라 개폐시키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러한 개폐유닛(60)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슬라이딩 가능한 개폐부재(61)와 개폐부재(61)의 슬라이딩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레일(62)을 포함한다.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60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data center 100. To this en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60 is slidably coupled to the data center 100 to open and close at least part of the data center 100. 1 and 2,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60 opens and closes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T1 formed by the first adjusting unit 30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as shown in FIGS. 1 and 2. do. As shown in FIG. 3, the opening / closing unit 60 includes a slidable opening / closing member 61 and a sliding rail 62 for guid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61.

상기 개폐부재(61)는 적어도 하나 마련되어, 제1온도영역(T1)을 형성시키는 한 쌍의 지지체(R) 사이의 상방 영역을 유지/보수를 위해 개방시키거나 온도 유지를 위해 폐쇄시킨다. 상기 개폐부재(61)는 제1온도영역(T1)을 외부에서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아크릴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며, 다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한 쌍의 개폐부재(61)가 각각 슬라이딩되어 데이터센터(100)의 제1온도영역(T1)을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61)는 각각 손잡이(61a)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61)가 슬라이딩될 때의 슬라이딩 동작은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 레일(62)에 의해 가이드된다. At least one opening / closing member 61 is provided to open an upper region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R forming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T1 for maintenance / repair or to close the temperature maintenanc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1 is formed of a transparent acrylic material so that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T1 can be visually checked from the outside, and has a polygonal plate shape.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pair of opening and closing members 61 are slid, respectively, to open or close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T1 of the data center 100. At this time, the pair of opening and closing member 61 is provided with a handle (61a), respectively. The sliding operation when the pair of opening and closing members 61 is slid is guided by the sliding rail 62 shown in FIG.

한편, 상기 개폐유닛(60)의 개폐부재(61)의 개수 및 개폐 동작은 도 4 및 도 5의 도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개폐부재(61)가 3개 이상 마련되어 다단 슬라이딩되거나,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복수의 개폐유닛(60')이 제1온도영역(T1)을 형성시키는 한 쌍의 지지체(R)에 대해 힌지(H) 결합되어 회전되어 제1온도영역(T1)의 상방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변형예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개폐유닛(60')이 한 쌍 마련되어 한 쌍의 지지체(R)에 힌지(H) 결합되는 또 다른 변형예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1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6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ion of FIGS. For example, three or more opening / closing members 61 are provided to slide in multiple stages, or as shown in FIG. 6, the pair of supports R for forming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T1 by the plurality of opening / closing units 60 ′. Modifi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T1 is rotated by the hinge (H) relative to. In addition, another modification is also possible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60 'is provided with a pair of hinges (H) coupled to the pair of supports (R).

또한,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61)의 테두리는 제1보호체(63)에 의해 보호됨이 좋다. 상기 제1보호체(63)는 단면이 사각형인 복수의 막대 형상을 가지고,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개폐부재(61)의 테두리에 설치된다. 이때, 도 8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1보호체(63)의 각 면 즉, 4개의 면에는 인입된 제1지지홈(63a)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보호체(63)의 4개의 면에 형성된 4개의 제1지지홈(63a) 중 어느 하나에는 개폐부재(61)의 일측 테두리가 제1완충체(61b)에 의해 보호된 상태로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제1완충체(61b)는 일종의 고무패드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제1지지홈(63a) 내에서 개폐부재(61)의 유격을 보상한다. 참고로, 도 3의 도시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62)에 삽입된 개폐부재(61)의 일측엔 제1보호체(63)가 미 장착된 상태로 도시되나, 도 7과 같이 개폐부재(61)의 전 테두리가 제1보호체(63)에 의해 보호된 상태로 슬라이딩 레일(62)에 삽입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7, the edg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1 is preferably protected by the first protective member (63). The first protector 63 has a plurality of rod-shaped cross sections and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61 having a plate shap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8, each surface, that is, four surfaces of the first protective body 63, the first supporting grooves 63a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Here, in one of the four first support groove (63a) formed on the four surfaces of the first protector 63, one edg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1 is protected by the first buffer (61b) It is inserted into and supported. The first buffer 61b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kind of rubber pad to compensate for the play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1 in the first support groove 63a. For reference, in FIG. 3, one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61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62 is illust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rotection body 63 is not mounted, but the opening / closing member 61 is as shown in FIG. 7. Of course, the front edge of the can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rail 62 in a protected state by the first protector (63).

한편, 도 9의 도시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제1보호체(63)는 제1연결체(64)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도 7의 도시에서는 상기 제1보호체(63)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개폐부재(61)의 각 변 길이에 맞게 재단되어 설치됨으로써, 4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체(64)는 "ㄱ"자 형상을 가지고 4개의 제1보호체(63) 중 상호 이웃하는 제1연결체(64)들 각각의 제1지지홈(63a)에 삽입됨으로써, 상호 이웃하는 2개의 제1보호체(63)를 상호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제1연결체(64)는 제1보호체(63)에 형성된 4개의 제1지지홈(63a) 중, 상기 개폐부재(61)를 지지하지 않는 나머지 3개의 제1지지홈(63a)에 삽입되어 상호 이웃하는 제1연결체(64)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고정됨이 좋다. 상기 제1연결체(64)는 상호 이웃하는 제1보호체(63)를 연결시킨 후 볼트(B)에 의해 고정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9, the plurality of first protective bodies 6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irst connecting member 64. In FIG. 7, the first protective member 63 is cut and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each side length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61 having a square plate shape, thereby providing four. Accordingly, the first connector 64 has a "-" shape and is formed in the first support groove 63a of each of the first connector 64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four first protectors 63. By insertion, two mutually neighboring first protectors 63 are interconnected.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or 64 is the remaining three first support groove (63a) of the four first support groove (63a) formed in the first protection body (63) that does not support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1)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ertion and inse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connector 64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rst connector 64 is fixed by the bolt B after connecting the neighboring first protector 63.

한편, 상기 제1보호체(63)가 개폐부재(61)의 어느 한 변을 복수개로 보호할 경우, 제1연결체(64)가 "ㅡ"자 형상을 가지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1보호체(63)를 상호 연결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protective member 63 protects any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1 in a plurality, the first protective member 64 is installed side by side having a "-" shape. Naturally, it is possible to interconnect (63).

또한, 도 10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2온도영역(T2)을 밀폐시키는 밀폐부재(41) 또한, 개폐부재(61)와 마찬가지로 제2보호체(42)에 의해 테두리가 보호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보호체(42)도 4개의 제2지지홈(42a)을 구비함으로써, 제2완충체(41a)를 사이에 두고 밀폐부재(41)를 지지한다. 상기 제2보호체(42)도 복수개 마련되어 제2연결체(미도시)에 의해 상호 연결되나, 제2연결체(미도시)의 구성은 제1연결체(64)(도 9 참고)와 동일 구성을 가짐에 따라 도시를 생략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he sealing member 41 for sealing the second temperature region T2 may also be protected by the second protection body 42, similarly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61. In addition, the second protector 42 also includes four second support grooves 42a to support the sealing member 41 with the second buffer 41a therebetween. A plurality of second protective members 42 are also provid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econd connecting member (not shown),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not show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64 (see FIG. 9). The illustration is omitted as it has a configura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데이터센터의 관리시스템(1)의 관리동작은 하기와 같다. The management opera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1 of the data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기 데이터센터(100) 내에 케이블(미도시) 교체와 같은 유지 보수가 필요할 경우, 개폐유닛(60)의 개폐부재(61)를 도 4 및 도 5와 같이 슬라이딩시켜 데이터센터(100)의 내부를 개방시킨다. 그러면, 작업자가 개방된 데이터센터(100)로 진입하여 용이하게 유지/보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1, when maintenance such as replacement of a cable (not shown) is required in the data center 100, the opening / closing member 61 of the opening / closing unit 60 is slid as shown in FIGS. 4 and 5. Open the inside of the center 100. Then, the worker enters the open data center 100 and can easily perform the maintenance / repair operation.

또한, 상기 데이터센터(100) 내부의 온도는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된 공기(A)가 제1조절부(30)에 의해 제1온도영역(T1)을 형성시킨 후에 제2조절부(40)로 유입됨으로써 제1온도영역(T1)에서 가열된 온도로 제2온도영역(T2)이 형성되도록 조절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온도영역(T2)을 경유한 공기(A)는 회수부(50)에 의해 회수된 후, 재냉각되어 공급부(20)를 통해 재 사용됨으로써, 순환된다.
In addition, the temperature inside the data center 100 is the second control unit 40 after the air (A)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20 forms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T1) by the first control unit 30. ) Is adjusted to form the second temperature region T2 at the temperature heated in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T1. At this time, the air A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regions T2 is recovered by the recovery unit 50, and then re-cooled and reused through the supply unit 20, thereby circulating.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유닛(60)이 제1온도영역(T1)을 개폐시키는 것으로만 예시 및 도시하였으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온도영역(T1)(T2) 또는 제2온도영역(T2)에 설치되는 변형예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60 is illustrated and illustrated only to open and close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T1.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regions T1 and T2 or the like. Naturally, a modification provided in the second temperature region T2 is also possib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 데이터센터의 관리시스템 10: 조절유닛
20: 공급부 30: 제1조절부
40: 제2조절부 50: 회수부
60: 개폐유닛
1: data center management system 10: control unit
20: supply unit 30: first adjusting unit
40: second adjustment unit 50: recovery unit
60: opening and closing unit

Claims (9)

복수의 서버를 구비하는 데이터센터를 관리하는 데이터센터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데이터센터를 밀폐시켜 공기의 경로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데이터센터의 내부의 온도를 조절시키는 조절유닛; 및
상기 데이터센터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유닛;
을 포함하는 데이터센터의 관리시스템.
Regarding a data center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a data center having a plurality of servers,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temperature inside the data center by closing the data center to form an air path; And
An opening / closing unit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t least a part of the data center;
Data center management system that inclu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데이터센터에 대해 슬라이딩 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데이터센터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데이터센터의 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s coupled to the data center slidably or rotatably comprises at least one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data cent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폐부재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데이터센터의 관리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at least one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mprises a ha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데이터센터로 공기를 공급하여 제1온도영역을 형성시킨 후, 상기 제1온도영역을 경유하여 가열된 온도로 상기 제1온도영역과 구획된 제2온도영역을 형성시키며,
상기 개폐유닛은 제1 및 제2온도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데이터센터의 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supplies air to the data center to form a first temperature region, and then forms a second temperature region partitioned from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at a temperature heated through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selectively opens or close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zo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데이터센터 내부로 온도 조절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공급된 상기 공기로 상기 데이터센터 내에 제1온도영역을 형성시키는 제1조절부;
상기 제1온도영역과 연통되어 상기 제1온도영역을 경유한 상기 공기의 온도로 상기 데이터센터 내에 제2온도영역을 형성시키는 제2조절부; 및
상기 제2온도영역과 연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온도영역을 형성시킨 상기 공기를 회수시키는 회수부;
를 포함하는 데이터센터의 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 supply unit supplying air for temperature control into the data center;
A first adjusting unit forming a first temperature region in the data center with the air supplied in connection with the supply unit;
A second control uni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emperature zone to form a second temperature zone in the data center at the temperature of the air via the first temperature zone; And
A recovery unit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temperature zone to recover the air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zones;
Data center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데이터센터의 상기 제1온도영역에 대해 슬라이딩 또는 회전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제2온도영역을 밀폐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회수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2온도영역의 일측과 상기 회수부 사이를 연통시켜 상기 공기를 상기 회수유닛으로 안내하는 데이터센터의 관리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by sliding or rotating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of the data center,
The second control unit includes at least one sealing member for sealing the second temperature region, wherein the sealing member communicates between one side of the second temperature region facing the recovery unit and the recovery unit. A management system of a data center for guiding the recovery unit.
제5항에 있어서,
단면이 사각형인 막대 형상을 가지며, 탄성재질의 제1 및 제2완충재에 의해 각각 보호된 상태로 상기 개폐부재 및 밀폐부재 각각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지지홈이 각 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보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보호체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홈에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연결체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데이터센터의 관리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First and second support grooves each having a bar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into which the edge of each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s are inserted in each surface are prot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buffer members of the elastic material, respectively.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protective body,
And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protectors are connected by first and second connector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grooves, respective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센터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서버를 지지하기 위한 측부가 개방된 복수의 지지체가 상호 이웃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조절부는 상호 이격된 상기 복수의 지지체 중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지지체 사이의 공간에 제1온도영역을 형성시키며,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제1온도영역을 형성시키는 상기 한 쌍의 지지체로부터 이격되어 이웃하는 지지체와의 사이 공간에 제2온도영역을 형성시키는 데이터센터의 온도관리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data center, a plurality of supports having open sides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servers are provid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rst control unit forms a first temperature zone in a space between a pair of supporters facing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support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control unit forms the first temperature zone. And a second temperature zone in the space between the adjacent support and spaced apar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는 상기 제2온도영역를 경유한 상기 공기를 회수하는 회수덕트 및, 상기 회수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조절공기를 재냉각시킨 후 상기 공급부로 제공하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센터의 관리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recovery unit includes a recovery duct for recovering the air via the second temperature region, and a cooling unit connected to the recovery duct to recool the regulated air and provide the supply to the supply unit.
KR2020120008810U 2012-09-28 2012-09-28 Managing system of datacenter KR20047768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810U KR200477689Y1 (en) 2012-09-28 2012-09-28 Managing system of datace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810U KR200477689Y1 (en) 2012-09-28 2012-09-28 Managing system of datacent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861U Division KR20140004868U (en) 2014-08-05 2014-08-05 Managing system of datace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031U true KR20140002031U (en) 2014-04-07
KR200477689Y1 KR200477689Y1 (en) 2015-07-08

Family

ID=52442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810U KR200477689Y1 (en) 2012-09-28 2012-09-28 Managing system of datace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689Y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2955B2 (en) * 2001-09-07 2004-01-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ir flow management system for an internet data center
US9066450B2 (en) * 2008-10-24 2015-06-23 Wright Line, Llc Data center air routing system
KR20110095580A (en) * 2010-02-19 2011-08-25 (주)유호스트 Cooling system by rack passage and building method thereof
KR100996098B1 (en) * 2010-08-31 2010-11-22 (주)유호스트 Upperboard opening device for cool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689Y1 (en)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511B1 (en) System for managing temperature of datacenter
ITPD20060176A1 (en) FURNISHED EQUIPMENT FOR RACKS CONDITIONING FOR ELECTRICAL, ELECTRONIC, TELECOMMUNICATION AND SIMILAR INSTRUMENTS
US6672955B2 (en) Air flow management system for an internet data center
US7746634B2 (en) Internal access mechanism for a server rack
CN101861764B (en) Rack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a climate condition thereof
JP2010041007A (en) Cooling unit, electronic apparatus rack, cooling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EP2933190B1 (en) Galley cool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galley cooling system
EP2364076B1 (en) Cabinet for cooling units for server rooms
KR20140002031U (en) Managing system of datacenter
KR20140004868U (en) Managing system of datacenter
KR20130131266A (en) System for managing temperature of datacenter
KR200495270Y1 (en) Exhaust air leading guide
Khankari Analysis of Air Leakage from Hot Aisle Containment Systems and Cooling Efficiency of Data Centers.
JP2011190987A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537239B1 (en) Radiator system for cooling motor
KR101522325B1 (en) containment device for cool zone or hot zone of data center
IT201600069274A1 (en) System for the thermal control of an electronic panel for the reproduction of images
RU2018120698A (en) Cooled display cabinet and associated chilled air distribution system
KR20110095580A (en) Cooling system by rack passage and building method thereof
US8035969B2 (en) Aeraulic cooling device for a “full ARINC” computer
KR20210074653A (en) Smart cage for multiuser data facility
US20190360265A1 (en) Rolling door guide area heating method and system
JP2014159894A (en) Refrigerator
JP2012221296A (en) One side space closing device for rack
JP2020085752A (en) Pit cov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819

Effective date: 201505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