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0361A - Method for inputting data i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inputting data i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0361A
KR20130140361A KR1020120063675A KR20120063675A KR20130140361A KR 20130140361 A KR20130140361 A KR 20130140361A KR 1020120063675 A KR1020120063675 A KR 1020120063675A KR 20120063675 A KR20120063675 A KR 20120063675A KR 20130140361 A KR20130140361 A KR 20130140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input
key
touch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6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19515B1 (en
Inventor
박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515B1/en
Publication of KR20130140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3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5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and an apparatus are provide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cting an input event for a hard key; determining whether a touch keypad for a character input mode is displayed when the input of the hard key is detected; executing a first function related to a hard key function in response to the input event for the hard key if the touch keypad is not displayed; and executing a second function related to a character input function in response to the input event for the hard key if the touch keypad is displayed. [Reference numerals] (200) Detect the input of a hard key;(210) Touch keypad displayed?;(220) Execute a second function related to a character input mode;(230) Execute a first function related to a hard key mode;(AA) Start;(BB) End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Method for inputting data i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apparatus thereof}Method for inputting data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apparatus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하드 키를 이용하여 데이터 입력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function related to data input using a hard key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로 휴대단말기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단말기는 음성 통화 문자 서비스 이외에 다양한 기능들이 새롭게 부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크기, 디자인, 해상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측면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are widely used. For this reason,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he mobile terminal has not only been newly added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voice call text service, but also various sizes, designs, resolutions, and user interfaces are being developed.

한펴, 휴대 단말기에 터치스크린이 적용된 휴대단말기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정보의 입력과 표시를 하나의 스크린에서 수행하는 입력 장치 겸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측면으로 하드웨어 적인 버튼을 구비한 하드 키(hard key)외에도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이용한 소프트 키(soft key) 즉, 터치 감응 식 키가 적용되고 있다. At the same time, various portable terminals with touch screens have been developed. The touch screen is an input device and a display device for inputt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one screen. In addition to the hard key having hardware buttons on the side of the user interface, a soft key using a touch screen, that is, a touch sensitive key, is applied.

다시 말하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기능 실행 및 문자 입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문자 입력 동작의 편의를 위해, 소프트 키들로 구성된 터치 키 패드를 제공하고 있다. In other words,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 user may perform a function execution and text input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a finger or a stylus pen. In particular, the touch-based portable terminal provides a touch key pad composed of soft keys for the convenience of a user's character input operation.

그러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키 패드에서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키를 배치하기에는 화면 크기의 제약으로 한계가 있다. 즉,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키 패드의 경우, 키 패드에 포함된 키들은 그 수가 제한 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에서 제공되는 키 패드로 다양한 기능 등을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터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문자 입력 동작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However, the limitation of the screen size is limited in arranging various keys to support various functions in the keypa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at is, in the case of the keypad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the number of keys included in the keypad is inevitably limit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with the keypad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refore, in recent year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s character input operation in a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a touch-based input such as a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문자 입력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character input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특히,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문자를 입력할 때 하드 키를 문자 입력 기능의 보조 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문자 입력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which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character input by using a hard key as an auxiliary means of a character input function when inputting a character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ere is thi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드 키 및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의 데이터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드 키에 대한 입력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 상기 하드 키에 대한 입력이 검출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키패드가 표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키패드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입력 이벤트에 응답하여 하드 키 기능과 관련된 제1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키패드가 표시된 경우, 상기 입력 이벤트에 응답하여 문자 입력 기능과 관련된 제2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ata input method of a terminal having a hard key and a touch screen,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n input event for the hard key; Determining whether a keypad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en an input for the hard key is detected; If the keypad is not displayed, executing a first function associated with a hard key function in response to the input event; And when the keypad is displayed, executing a second function related to a text input function in response to the input event.

본 발명에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키, 홈 화면 전환을 위한 홈 키 및 메뉴 화면 전환을 위한 메뉴 키들 중 하나에서 입력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ng may include detecting an input event from one of a volume key for adjusting a volume, a home key for switching a home screen, and a menu key for switching a menu screen.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 홈 화면으로 전환하는 기능,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하는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ecuting of the first function may include executing one of a function of adjusting a volume, a function of switching to a home screen, and a function of displaying a menu screen.

본 발명에서 제2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문자 블록의 복사 기능, 문자 블록의 붙이기 기능, 커서 이동 기능, 언어 전환 기능, 필기 인식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및 문자 인식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ecuting of the second function may include: copying a character block, a pasting function of a character block, a cursor moving function, a language switching function, a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a character recognition function in a character input mode. It may be characterized by executing a function.

본 발명에서, 상기 하드 키에 대한 입력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하드 키에 대응하는 제2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tting a second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hard key before detecting the input event for the hard key.

본 발명에서, 상기 하드 키들의 항목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하드 키들의 항목들 중에서 하나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하드 키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 기능들의 항목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문자 입력 기능들의 항목들 중에서 하나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하드 키와 선택된 문자 입력 기능들을 맵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ing the items of the hard keys; Detecting a selection of one of the items of hard keys; Displaying items of character input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hard key; Detecting a selection of one of the items of character input functions;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apping and storing the selected hard key and the selected character input func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 키 및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 있어서, 터치 입력 모드를 위한 실행 화면 및 키 패드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하드 키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여 하드 키 기능과 관련된 제1 기능 및 문자 입력 기능과 관련된 제2 기능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문자 입력 모드를 위한 터치 키패드가 표시됐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터치스크린에 터치 키패드가 표시된 경우, 하드 키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제2 기능을 실행하고, 터치 키패드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 하드 키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제1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ice including a hard key and a touch screen, comprising: a touch screen displaying an execution screen and a keypad for a touch input mode; A storage unit storing a first function related to a hard key function and a second function related to a text input function in response to the hard key input even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touch keypad for the character input mode is displayed, and if the touch keypad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executes a second function in response to an input for a hard key, and if the touch keypad is not displayed,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executing the first function in response to the input to the key.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키패드가 표시된 경우, 문자 블록의 복사 기능, 문자 블록의 붙이기 기능, 커서 이동 기능, 언어 전환 기능, 필기 인식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및 문자 인식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When the touch keypad is displayed, the controller executes one of a function of copying a character block, pasting a character block, a cursor moving function, a language switching function, a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a character recognition function. It can be characteriz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키패드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 홈 화면으로 전환하는 기능,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하는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f the touch keypad is not displayed, the controller may execute one of a function of adjusting a volume, a function of switching to a home screen, and a function of displaying a menu screen.

본 발명은 터치 키 패드 설정에서 하드 키를 보조 입력 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문자 입력 모드에서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문자 입력 모드 즉, 터치 키 패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하드 키를 이용해 문자 입력에 대한 추가적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하드 키를 이용하여 터치 키 패드에 제공하는 기능 이외에 특정 기능 예컨대, 커서 좌우 이동 기능, 언어 모드 변경, 키패드 설정 기능, 필기 인식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및 문자 인식 기능 등을 실행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various functions in a character input mode by using a hard key as an auxiliary input means in a touch key pad setting. Accordingly, an additional function for text input may be supported using a hard key while the text input mode, that is, the touch key pad is displayed.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functions provided to the touch key pad by using hard keys in the character input mode, the user may select certain functions such as a cursor left and right movement function, a language mode change function, a keypad setting function, a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a character recognition function. You can ru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드 키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드 키를 이용하여 키패드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드 키를 이용하여 키패드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드 키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드 키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haracter input function using a hard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function of a keypad using a hard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function of a keypad using a hard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text input function using a hard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text input function using a hard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Hereinafter,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messag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to be regard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an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 Also,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of the elem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and the size of each elem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relative size or spacing depic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소프트 키(soft key)'는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에서 제공되어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입력 키들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oft key' refers to input keys provided in a touch screen in a touch-based portable terminal to support touch input.

본 발명에서'터치 키 패드(touch key pad)'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 표시되는 다수 개의 소프트 키들로 이루어진 키들을 의미한다. 터치 키 패드는 문자의 배열을 제공하는 문자 키 영역과, 기능 키들을 제공하는 기능 키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기능 키 영역에는 전환 (예컨대, 한영)을 위한 키, 숫자 및 기호 전환을 위한 키, 스페이스 기능을 위한 키, 엔터 기능을 위한 키, 지우기 기능을 위한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터치 키 패드에는 하드 키 옵션 설정을 위한 설정 키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ouch key pad' refers to key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oft keys displayed for inputting letters or numbers. The touch key pad may be divided into a character key area providing an arrangement of characters and a function key area providing function keys. In particular, the function key area may include a key for switching (eg, Korean English), a key for switching numbers and symbols, a key for a space function, a key for an enter function, a key for an erase func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key pad may include a setting key for setting a hard key option.

본 발명에서 '하드 키(hard key)'는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소프트 키 이외에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위해 물리적으로 구현된 키들을 의미한다. 하드 키는 일반적으로(generally)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볼륨 키, 홈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홈 키, 메뉴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한 메뉴 키, 터치스크린 터치 패널 및 표시 패널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 온/오프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d key" (hard key) refers to keys that are physically implemented for interaction with the user in addition to the soft key to support the touch input. Hard keys are typically used to turn off the power supply to the volume keys for controlling volume, the home key for switching to the home screen, the menu key for switching to the menu screen, the touch screen touch panel and the display panel. On / off keys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하드 키 모드 기능'은 휴대 단말기에 제조 시 하드 키에 대응되어 실행되는 기능을 의미한다. 하드 키 모드 기능은 볼륨을 제어하는 기능, 홈 화면으로 전환하는 기능, 메뉴 화면으로 전환하는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d key mode function" means a function executed in correspondence with a hard key when manufactured in a portable terminal. The hard key mode function may include a function of controlling a volume, a function of switching to a home screen, a function of switching to a menu screen, and the like.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모드에서 하드 키를 사용함으로써, 문자 입력 기능 예컨대, 커서 좌우 이동 기능, 언어 모드 변경, 키패드 설정 기능, 필기 인식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및 문자 인식 기능 등을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모드 즉, 터치 키 패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하드 키들을 보조 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문자 입력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 character input function such as a cursor left and right movement function, a language mode change, a keypad setting function, a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a character recognition function by using a hard key in the character input mode. to prov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ience of character input can be improved by using hard keys as an auxiliary means in the character input mode, that is, while the touch key pad is displayed.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핸드헬드(hand-held)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가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The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Such a mobile terminal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phone, a tablet PC, a hand-held PC,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the lik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드 키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구성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haracter input function using a hard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110), 하드 키 입력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기(100)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하는 오디오 처리부, 피사체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그리고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등의 근거리 통신, 인터넷 및 이동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touch-based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ouch screen 110, a hard key input unit 120, a storage unit 130, and a controller 140. The touch-based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dio processing unit including a microphone and a speaker,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internet and mobile commun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but a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터치스크린(110)은 휴대단말기와 사용자의 인터렉션을 위한 터치패널(111) 및 표시패널(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0)은 터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스크린의 터치 패널(111)은 사용자 입력 정보(예, 터치)에 응답하는 터치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터치 입력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및 터치 제스처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검출된 터치 및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1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ouch panel 111 and a display panel 112 for user intera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The touch screen 100 may have an interface that supports touch-based input. For example, the touch panel 111 of the touch screen may generate and transmit a touch input signal in response to user input information (eg, a touch) to the controller 140. The controller 140 may detect a user's touch and touch gesture from the touch input signal. The controller 140 may execute a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detected touch and touch gesture.

터치패널(111)은 표시패널에 안착(place on the display unit)될 수 있으며, 터치 센서를 구비하여 터치된 접촉점을 인식하여 터치 입력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터치패널(111)은 표시패널(112) 위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이나 표시패널(112) 내에 삽입되는 온 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 The touch panel 111 may be placed on the display unit, and may include a touch sensor to recognize a touched touch point and transmit a touch input signal to the controller 140. The touch panel 111 is an add-on type positioned on the display panel 112, an on-cell type or an in-cell type inserted into the display panel 112. ) May be implemented. .

여기서, 사용자제스처는 터치(Touch)와 터치 제스처(Touch gesture)로 구분된다. 다시 터치 제스처는 탭(Tap), 더블 탭(Double Tap), 롱 탭(long tap),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플릭(Flick) 및 프레스(pre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에 터치 입력 수단(예,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접촉하는 조작이고, 탭은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터치 입력 수단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touch-off)하는 조작이며, 더블 탭은 어느 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하는 조작이며, 롱 탭은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터치 입력 수단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하는 조작이며, 드래그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이며, 드래그 앤 드롭은 드래그한 다음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하는 조작이며, 플릭은 튀기듯이, 드래그에 비해 터치 입력 수단을 빠르게 이동시킨 다음 터치 해제하는 조작을 의미한다. 프레스는 터치 입력 수단으로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해당 지점을 누르는 조작이다. 즉 터치는 터치스크린(110)에 접촉(contact)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터치제스처는 터치가 터치스크린(110)에 접촉(touch-on)해서 터치 해제(touch-off)까지의 터치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멀티 터치는 터치스크린에 여러 영역에서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멀티 터치 제스처는 여러 영역에서 접촉하고 있는 멀티 터치가 접촉해서 터치 해제까지의 터치 움직임을 의미한다. Here, the user gesture is divided into a touch gesture and a touch gesture. The touch gesture can again include a Tap, a Double Tap, a Long tap, a Drag, a Drag & Drop, a Flick, and a press . In this case, the touch is an operation in which the user touches a point on the screen using a touch input means (for example, a finger or a stylus pen), and the tap touches a point after touching a point without moving the touch input means. Touch-off of the input means, the double tap is an operation of tapping a point twice in succession, and the long tap is touched relatively longer than the tap, and then at the point without moving the touch input means. Touch is an operation for releasing the touch input means, Drag is an operation for moving the touch input mean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hile touching a point, Drag and drop is an operation for releasing the touch input means after dragging, Flick As shown in the figure above, an operation of rapidly moving the touch input means and then releasing the touch as compared to dragging. A press is an operation of pressing a point after touching a point with a touch input means. That is, the touch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touch screen 110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110, and the touch gesture indicates that the touch is touched on the touch screen 110 to move the touch until touch-off. Means. Multi-touch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touch screen is in contact with various areas. The multi-touch gesture refers to a touch movement until the touch is released by the multi-touch touching in various areas.

터치패널(111)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전자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The touch panel 111 may include a capacitive type, a resistive typ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an infrared type, or an ultrasonic type.

표시패널(112)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 및 그의 수행 동작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패널(112)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앱 실행 화면, 메뉴 화면, 키패드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잠금 화면은 표시패널(112)의 화면이 켜지면 표시되는 화면을 의미한다. 잠금 해제를 위한 특정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40)는 표시되는 영상을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 또는 앱 실행 화면 등으로 전환 할 수 있다. 홈 화면은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 아이콘들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들이 나열되어 표시된 화면을 의미한다. 표시패널(112)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홈 화면에서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들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고, 그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표시패널(112)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되더라도,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하나의 앱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패널(112)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12 may display a screen related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an execution operation thereo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The display panel 112 may provide various screen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a lock screen, a home screen, an app execution screen, a menu screen, a keypad screen, and the like. The lock screen refers to a screen displayed when the screen of the display panel 112 is turned on. When a specific touch event for unlocking occurs, the controller 140 may switch the displayed image from the lock screen to the home screen or the app execution screen. The home screen refers to a screen in which function execution icons of a mobile terminal and execution icons of an application are listed. If one of the execution icons of the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is selected by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the display panel 112 may execute the selected application and display the execution screen. The controller 140 may execute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t the same time. The display panel 112 may display one app execution screen e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even i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executed at the same time. The display panel 11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anel display panel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or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112)은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문자 입력 모드관련된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시 패널(112)은, 문자 입력 실행 화면은 문자 입력을 위해 소프트 키들로 구성된 터치 키 패드 영역과, 터치 키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들을 표시하는 문자 표시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터치 키 패드 영역에는 문자들(예컨대, 한국의 모음, 자음 또는 영어 알파벳)이 배열된 문자 키 영역과, 기능 키들을 제공하는 기능 키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기능 키 영역에는 언어 전환 (예컨대, 한영)을 위한 키, 숫자 및 기호 전환을 위한 키, 스페이스 기능을 위한 키, 엔터 기능을 위한 키, 지우기 기능을 위한 키들을 제공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1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an execution screen related to the text input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anel 112 may provide a touch key pad area composed of soft keys for text input and a text display area for displaying characters input through the touch key pad.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key pad area may include a character key area in which characters (eg, Korean vowel, consonant or English alphabet) are arranged, and a function key area providing function keys. In the function key are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key for language switching (for example, Korean English), a key for digit and symbol switching, a key for a space function, a key for an enter function, and keys for an erase function may be provided. Can be.

또한, 본 발명에서 기능 키 영역에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하드 키에 대한 문자 입력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하드 키 설정 키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터치 키 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문자 입력 모드 즉, 터치 키 패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하드 키를 이용해 문자 입력에 대한 보조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하드 키를 사용함으로써, 문자 입력 기능 예컨대, 커서 좌우 이동 기능, 언어 보드 변경 기능, 키패드 설정 기능, 필기 인식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및 문자 인식 기능 등을 수행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key area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hard key setting key for setting a text input function for the hard key in the text input mode. In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input a character by using a touch key pad.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uxiliary function for text input using a hard key in a text input mode, that is, a touch key pad is displayed. For example, the user can perform character input functions such as cursor left and right movement, language board change function, keypad setting function,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character recognition function by using hard keys in the character input mode. Can be.

또한, 표시 패널(112)은 문자 입력 모드에 따른 화면을 표시할 시 휴대 단말기(100)의 회전 방향(또는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세로 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및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 간의 변화에 따른 적응적 화면 전환 표시를 지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112 may display a screen in a landscape mode, a screen in a portrait mode, and a landscape mode according to a rotation direction (or a laid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displaying a screen according to a text input mode. It can support the display of the adaptive screen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between the portrait modes.

하드 키 입력부(120)는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기에서 물리적으로 구현된 기능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드 키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하드 키 입력에 응답하는 하드 키 신호는 전원 온/오프를 위한 신호, 홈 화면 전환을 위한 신호, 볼륨 조절을 위한 신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러한 하드 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The hard key input unit 120 may include function keys physically implemented in a touch-based portable terminal. The hard key input unit 120 may generate a key signal related to user setting and function control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 the key signal to the controller 140. The hard key signal in response to the hard key input may be classified into a signal for power on / off, a signal for switching the home screen, a signal for volume control, and the like.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above components in response to the hard key signal.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하여,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크게 데이터 영역과 프로그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의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생성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된 데이터 및 이러한 데이터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표시 패널(112)에 의해 표시되는 상술한 화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붙여 넣기 등을 위해 복사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운영을 위한 다양한 설정 값(예, 화면 밝기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various data executed and processed i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n operating system (OS) and various applica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storage unit 130 may largely include a data area and a program area. The data area of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data generated by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downloaded from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attribute information indicating attributes of the data. In addition, the data area may store the above-described screens displayed by the display panel 112. The data area can also temporarily store the copied data for pasting or the like. Also, the data area may store various setting values (e.g., screen brightness, etc.) for operating the portable terminal.

저장부(130)의 프로그램 영역에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기 위한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 통화 기능,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기능, 이미지 디스플레이 기능, 카메라 촬영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영역은 방송 시청 기능, 오디오 녹음 기능, 계산기 기능, 일정 관리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In the program area of the storage unit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an operating system (OS) for boot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a call function, a video or music playback function, an image display function, a camera photographing function Application programs required for functions can be stored. In addition, the program area can store application programs necessary for a broadcast viewing function, an audio recording function, a calculator function, and a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기능 운용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장부(130)는 터치 키패드에서 제공되는 문자 키, 숫자 키 및 기능 키들의 배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저장부(130)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하드 키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실행될 문자 입력 모드 기능이 맵핑된 맵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맵핑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inuously or temporarily store programs and data related to operation of the character input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ext keys,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provided in the touch keypad.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mapping information mapped with a character input mode function to be executed corresponding to an input signal for a hard key in the character input mode. Such mapping information may be defined by a user.

제어부(140)는 휴대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 간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멀티 터치 또는 멀티 터치 제스처가 발생되면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signal flow between internal components, and may perform data processing.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power supply between internal components in the battery. 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may execute applications stored in a program area. The controller 140 may execute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multi-touch or a multi-touch gesture.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40)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기능과 그와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하드 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검출하면, 표시 패널(112)에 터치 키패드가 표시된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표시 패널(112)에 터치 키패드가 표시된 상태이면, 하드 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문자 입력 모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표시 패널(112)에 터치 키패드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이면, 하드 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하드 키 모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a function for inputting a text and an operation related thereto in the text input mode. The controller 140 may determine whether the touch keypa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12 when the user's input to the hard key is detected. If a touch keypa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12, the controller 140 may execute a text input mode function in response to an input of a hard key. If the touch keypad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12, the controller 140 may execute a hard key mode function in response to an input of a hard key.

본 발명에서 제어부(140)는 하드 키가 문자 입력 모드에서 문자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문자 입력 모드 기능들 즉, 좌 우 커서 이동 기능, 모드 변경 기능, 키패드 설정 기능 , 필기 인식 기능, 음석 인식 기능, 문자 인식 기능 들을 포함하는 항목의 리스트를 터치스크린(11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좌우 커서 이동 기능은, 문자 입력 모드에서 문자 입력의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를 좌 우로 이동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모드 변경 기능은 문자 입력 모드에서 키 패드에 표시되는 언어들을 전환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모드 변경 기능은 하드 키 입력에 따라 키 패드를 순차적으로, 영어에서 한글로 전환, 한글에서 심볼로 전환, 심볼에서 숫자로 전환, 숫자에서 영어로 전환할 수 있다. 복사, 붙이기 기능은 문자 블록의 복사 기능 및 붙이기 기능을 의미한다. 키패드 설정 기능은 키패드의 설정이나 도움말 화면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필기 인식 기능은 필기를 인식하는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음성 인식 음성을 인식하는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문자 인식 기능은 문자를 인식하는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hard key to perform the character input function in the character input mode. The controller 140 displays a list of items on the touch screen 110 including text input mode functions, that is, a left and right cursor movement function, a mode change function, a keypad setting function, a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a speech recognition function, and a character recognition function. I can display it. Here, the left and right cursor movement function means a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 input left and right in the character input mode. The mode change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of switching languages displayed on the keypad in the text input mode. For example, the mode change function may switch the keypad sequentially from English to Korean, from Korean to symbol, from symbol to number, and from number to English according to the hard key input. Copy and paste function means copy and paste function of character block. The keypad setting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for changing the keypad setting or the help screen. The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of switching to a mode for recognizing handwriting. Voice recognition refers to the function to switch to the mode for recognizing the voice. The character recognition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for switching to a character recognition mode.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볼륨 키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 모드 기능으로 커서의 위치를 이동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문자 입력 모드에서 볼륨 키에 대응하여 커서 위치 이동하는 기능이 맵핑되도록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표시 패널(112)에 터치 키 패드가 표시된 상태 즉, 문자 입력 모드에서 볼륨 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검출하고, 이에 응답하여 문자 입력의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set a function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cursor to the character input mod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volume key. The controller 140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130 to map a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position in response to the volume key in the text input mode. The controller 140 detects a user's input to the volume key in the state where the touch key pa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12, that is, in the character input mode, and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curs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 input to be moved in response thereto. can do.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부(140)는 하드 키들 중 홈 키 또는 메뉴 키에 대한 입력 신호 발생이 임계 시간(예컨대, 3-4초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에, 하드 키에 대응하여 문자 입력 모드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 키 및 메뉴 키의 경우에는 홈 키 또는 메뉴 키에 대한 입력 신호 발생이 임계 시간 이내인 경우에는 하드 키 모드 기능이 실행되고,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문자 입력 모드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하드 키를 사용하여 문자 입력 모드 기능이 실행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할 수 있도록 옵션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40 functions as a character input mode in response to a hard key when an input signal generation for a home key or a menu key of the hard keys exceeds a threshold time (for example, 3-4 seconds or more). Can be controlled to run.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home key and the menu key, the hard key mode function is executed when the input signal generation to the home key or the menu key is within the threshold time, and the character input mode function is executed when the threshold time is exceeded.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the method an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n option item for determining whether to execute the character input mode function using a hard key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상술한 제어부의 상세한 동작 설명에 대해 다음에 제시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한 기능 외에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기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In addition to the above functions, the controller may control various operations related to the general functions of the touch-based portable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드 키를 이용하여 키패드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function of a keypad using a hard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00에서 제어부(140)는 하드 키에 대한 입력 이벤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드 키는 터치스크린에서 제공되는 소프트 키들과는 별개로 물리적 구현된 기능 키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하드 키 입력 이벤트는 전원 온/오프 신호를 위한 신호, 홈 화면 전환을 위한 신호, 볼륨 조절을 위한 볼륨 신호 및 메뉴 화면 표시를 위한 신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in step 200, the controller 140 may detect whether an input event for a hard key is receiv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d key refers to function keys that are physically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soft keys provided in the touch screen. The hard key input event may be classified into a signal for power on / off signal, a signal for switching the home screen, a volume signal for adjusting the volume, and a signal for displaying a menu screen.

단계 210에서 하드 키에 대한 입력 이벤트가 수신되면, 제어부(140)는 터치스크린(110)에 터치 키패드가 표시된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휴대 단말기가 문자 입력 모드인지 여부로 터치 키패드가 표시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문자 입력 모드 요청에 응답하여 문자 입력 모드를 실행하고, 그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문자 입력 모드 요청에 응답하여 문자 표시를 위한 문자 표시 영역과, 문자 입력을 위한 소프트 키들로 구성된 터치 키패드가 구분된 화면을 터치스크린(110)에 제공할 수 있다. When an input event for a hard key is received in step 210, the controller 140 may determine whether the touch keypad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The controller 140 may check whether the touch keypad is displayed in the text input mode. For example, the controller 140 may execute a text input mode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for text input mode and display an execution screen thereof. That is, the controller 140 may provide the touch screen 110 with a screen in which a text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 character and a touch keypad composed of soft keys for text input are divided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for text input mode. .

단계 220에서, 제어부(140)는 키패드가 표시된 상태인 경우, 하드 키에 대한 입력 이벤트에 응답하여 문자 입력 모드와 관련된 문자 입력 모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터치 키패드가 표시된 상태이면, 하드 키의 입력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하드 키 모드 기능을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하드 키에 대한 입력에 대응하여 문자 블록(block)의 복사 기능, 문자 블록의 붙이기 기능, 문자 입력 시 커서의 이동 기능, 문자 입력 모드의 전환 기능, 필기 인식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문자 인식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 키의 문자 입력 기능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In operation 220, when the keypad is displayed, the controller 140 may execute a text input mode function related to the text input mode in response to an input event for the hard key. In this case, when the touch keypad is displayed,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not to execute the hard key mode function executed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hard key. The control unit 140 functions to copy a character block, paste a character block, move a cursor when inputting a character, switch a character input mode, handwriting recognition, and voice recognition in response to an input of a hard key. In this case, one of the character recognition functions can be executed. The character input function of this hard key can be defined by the user's selection.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하드 키들 중 볼륨 조절을 위한 볼륨 키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 기능으로 커서의 이동 기능이 맵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러한 상태에서, 제어부(140)는 하드 키에 대한 입력 이벤트가 검출되면, 터치스크린(110)에 터치 키패드가 표시됐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제어부(140)는 터치스크린(110)에 터치 키패드가 표시된 경우, 하드 키에 대한 입력 이벤트에 응답하여 문자 입력의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set the cursor movement function to be mapped to a character input function corresponding to a volume key for volume control among the hard keys. In such a state, when an input event for a hard key is detected,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whether a touch keypad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When the touch keypad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0, the controller 140 may move a cursor indicating a position of a text input in response to an input event for a hard key.

단계 230에서, 제어부(140)는 키패드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하드 키에 대한 입력 이벤트에 응답하여 일반 기능(gerneral function)즉, 휴대 단말기 제조 시의 하드 키 모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40)는 터치 키패드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 하드 키 예를 들어, 볼륨 키에 대한 입력 이벤트가 검출되면, 볼륨 키 신호에 응답하여 볼륨 키를 조절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터치 키패드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 홈 키에 대한 입력 이벤트가 검출되면, 홈 키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을 홈 화면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In operation 230, when the keypad is not displayed, the controller 140 may execute a general function, that is, a hard key mode func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anufactured, in response to an input event for the hard key. For example, when the touch keypad is not displayed, the controller 140 may execute a function of adjusting the volume key in response to a volume key signal when an input event for a hard key, for example, a volume key is detected. If the touch keypad is not displayed, the controller 140 may execute a function of switching the touch screen to the home screen in response to the home key.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부(140)는 하드 키들 중 홈 키 또는 메뉴 키에 대한 입력 신호 발생이 임계 시간(예컨대, 3-4초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에, 하드 키에 대응하여 문자 입력 모드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 키 및 메뉴 키의 경우에는 홈 키 또는 메뉴 키에 대한 입력 신호 발생이 임계 시간 이내인 경우에는 하드 키 모드 기능이 실행되고,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문자 입력 모드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40 functions as a character input mode in response to a hard key when an input signal generation for a home key or a menu key of the hard keys exceeds a threshold time (for example, 3-4 seconds or more). Can be controlled to run.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home key and the menu key, the hard key mode function is executed when the input signal generation to the home key or the menu key is within the threshold time, and the character input mode function is executed when the threshold time is exceeded. Can be controll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하드 키는 터치 키패드가 표시된 상태와 터치 키패드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문자 입력 모드 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 제조 시의 하드 키 모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어부(140)는 터치 키패드가 표시된 상태에서는 하드 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문자 입력 모드 기능이 실행되는 제어 신호만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터치 키패드가 표시된 상태에서는 하드 키 모드 기능이 실행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40)는 터치 키패드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하드 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하드 키 모드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 신호만 생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d key may execute the character input mode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according to the state where the touch keypad is displayed and the state where the touch keypad is not displayed, and execute the hard key mode func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anufactured. Can be.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generate only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the text input mode function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hard key while the touch keypad is displayed. That is, the controller 140 does not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the hard key mode function while the touch keypad is display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generate only a control signal for executing the hard key mode function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hard key when the touch keypad is not display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드 키를 이용하여 키패드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function of a keypad using a hard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0에서, 제어부(140)는 터치스크린(110)에 하드 키 옵션 설정을 위한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터치스크린에 하드 키들 예컨대, 볼륨 키, 홈 키, 메뉴 키 등의 하드 키 항목을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n step 300, the controller 140 may display an execution screen for setting a hard key option on the touch screen 110. The controller 140 may provide hard key items, such as volume keys, home keys, and menu keys, on the touch screen as a list.

단계 310에서 제어부(140)는 하드 키들 중 문자 입력 모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하나의 하드 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그러한 상태에서 제어부(140)는 단계 320에서 터치스크린(110)에 문자 입력 모드에서 실행될 하드 키의 문자 입력 모드 기능들의 항목을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문자 입력 모드 기능들 즉, 좌 우 커서 이동 기능, 모드 변경 기능, 키패드 설정 기능 , 필기 인식 기능, 음석 인식 기능, 문자 인식 기능 들을 포함하는 항목의 리스트를 터치스크린(11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좌우 커서 이동 기능은, 문자 입력 모드에서 문자 입력의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를 좌 우로 이동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모드 변경 기능은 문자 입력 모드에서 키 패드에 표시되는 언어들을 전환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모드 변경 기능은 하드 키 입력에 따라 키 패드를 순차적으로, 영어에서 한글로 전환, 한글에서 심볼로 전환, 심볼에서 숫자로 전환, 숫자에서 영어로 전환할 수 있다. 복사, 붙이기 기능은 문자 블록의 복사 기능 및 붙이기 기능을 의미한다. 키패드 설정 기능은 키패드의 설정이나 도움말 화면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필기 인식 기능은 필기를 인식하는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음성 인식 음성을 인식하는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문자 인식 기능은 문자를 인식하는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In operation 310, the controller 140 may detect a user's selection of one hard key in order to set a text input mode function among the hard keys. In such a state, the controller 140 may provide the touch screen 110 with items of the character input mode functions of the hard key to be executed in the character input mode in step 320. The controller 140 displays a list of items on the touch screen 110 including text input mode functions, that is, a left and right cursor movement function, a mode change function, a keypad setting function, a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a speech recognition function, and a character recognition function. I can display it. Here, the left and right cursor movement function means a function of moving the curs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 input left and right in the character input mode. The mode change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of switching languages displayed on the keypad in the text input mode. For example, the mode change function may switch the keypad sequentially from English to Korean, from Korean to symbol, from symbol to number, and from number to English according to the hard key input. Copy and paste function means copy and paste function of character block. The keypad setting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for changing the keypad setting or the help screen. The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of switching to a mode for recognizing handwriting. Voice recognition refers to the function to switch to the mode for recognizing the voice. The character recognition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for switching to a character recognition mode.

단계 330에서 제어부(140)는 선택된 하드 키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 모드 기능 들 중 하나의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단계 340에서 제어부(140)는 선택된 하드 키와 선택된 문자 입력 모드 기능을 맵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하드 키에 대한 입력 이벤트가 검출되면, 해당 하드 키에 응답하여 선택된 문자 입력 모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일반 모드 즉, 통화 모드, 대기 모드 등 문자 입력을 위한 터치 키패드가 표시되지 않은 화면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하드 키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하드 키 모드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어부(140)는 터치 키패드를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하드 키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하드 키 모드 기능이 실행되지 않고, 문자 입력 모드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operation 330, the controller 140 may detect selection of one of character input mode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hard key. In operation 340, the controller 140 may map and store the selected hard key and the selected character input mode function. When an input event for a hard key is detected in the text input mode, the controller 140 may execute the selected text input mode function in response to the hard key. In addition,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o execute a hard key mode function in response to an input for a hard key when a screen in which a touch keypad for text input such as a call mode and a standby mode is not displayed is provided. can do.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oviding a screen displaying a touch keypad,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o execute the character input mode function without executing the hard key mode function in response to an input for the hard key.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하드 키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예시도이다. 특히, 도 4는 하드 키에 대한 문자 입력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text input function using a hard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terface displayed on a touch screen to set a text input function for a hard key.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문자 입력 모드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4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입력 모드에 따른 실행 화면, 즉, 표시 패널에 터치 키패드 영역(410), 문자 표시 영역(420) 및 수신자 입력 영역(430)을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 터치 키패드 영역(410)은 터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영역으로 나타낼 수 있다. 터치 키패드 영역(140)은 문자의 배열(예컨대, 한국어의 모음, 자음 또는 영어 알파벳 등 )을 제공하는 문자 영역과, 기능키들을 제공하는 기능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기능 영역은 언어 전환 (예컨대, 한영)을 위한 키, 숫자 및 기호 전환을 위한 키, 스페이스 기능을 위한 키, 엔터 기능을 위한 키 및 지우기 기능을 위한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키패드 영역에는 하드 키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 모드 기능 설정을 위한 하드 키 설정 키(4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ler 140 may display a screen interface according to a text input mode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As shown in FIG. 401, the controller 140 includes a touch keypad area 410, a text display area 420, and a receiver input area 430 on an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a text input mode, that is, a display panel. I can display it. The touch keypad area 410 may be represented as an area that supports touch-based input. The touch keypad area 140 may be divided into a text area providing an arrangement of characters (eg, a Korean vowel, a consonant or an English alphabet, etc.) and a function area providing function keys. The function region may include a key for language switching (eg, Korean English), a key for numeral and symbol switching, a key for the space function, a key for the enter function, and keys for the erase function. In particular, the touch keypad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ard key setting key 440 for setting a character input mod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hard key.

문자 입력 모드의 실행 화면 즉, 터치 키패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하드 키 옵션 설정을 위한 하드 키 설정 키(440)를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터치스크린(110)은 터치된 영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터치 신호에 포함된 터치된 영역의 위치 정보와 터치 키들의 배열 정보를 비교하여 하드 키 설정 키(440)가 선택됐음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하드 키 설정 키(440)의 선택이 검출되면, 하드 키 설정 화면을 터치스크린(110)에 표시할 수 있다. 하드 키 설정 화면은 <402>에 제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하드 키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드 키 항목 예컨대, 볼 륨키 조작 설정, 메뉴 키 조작 설정, 홈 키 조작 설정 등의 항목을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text input mode, that is, the touch keypad is displayed, the user may touch the hard key setting key 440 for setting the hard key option. Then, the touch screen 110 may transmit a touch signal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ouched area to the controller 140. The controller 140 may detect that the hard key setting key 440 is selected by compa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ouched region included in the touch signal with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touch keys. When the selection of the hard key setting key 440 is detected, the controller 140 may display the hard key setting screen on the touch screen 110. The hard key setting screen provides a list of hard key items, such as volume key operation setting, menu key operation setting, home key operation setting, and the like, so that the hard key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can be selected as shown in <402>. can do.

그러한 상황에서 사용자는 볼륨 키 옵션 선택 화면에서 볼륨 키에 대한 입력 모드 추가 기능 설정을 위해 볼륨 키 기능 설정 항목(450)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볼륨 키 기능 설정 항목(45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검출하고, 터치스크린(110)에 <40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입력 모드를 위한 기능 선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기능 선택 화면은 좌, 우 커서이동 기능, 모드 변경 기능, 키패드 설정 기능, 필기 인식 기능, 음석 인식 기능, 문자 인식 기능(OCR) 등의 기능 항목들을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기능 선택 화면은 팝업창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기능 선택 화면은 하드 키 설정 화면을 백그라운드로 하여 기능 선택 화면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In such a situation, the user may select the volume key function setting item 450 for setting an input mode additional function for the volume key in the volume key option selection screen. Then, the controller 140 detects the user's selection of the volume key function setting item 450 and displays the function selection screen for the text input mode on the touch screen 110 as shown in FIG. Can be. The function selection screen may provide a list of function items such as a left and right cursor movement function, a mode change function, a keypad setting function, a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a character recognition function (OCR). In this case, the function selection screen may be displayed as a pop-up window. Alternatively, the function selection screen may be displayed by overlaying the function selection screen with the hard key setting screen in the background.

사용자는 볼륨 키에 대해 문자 입력 모드를 위한 기능 항목들 중 하나의 기능이 설정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좌, 우 커서 이동 기능 항목(460)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볼륨 키에 응답하여 좌우 커서 이동 기능이 실행되도록 볼륨 키와 좌우 커서 이동 기능을 맵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볼륨 키에 대한 입력 신호가 검출되면, 그에 응답하여 문자 입력 창의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The user can choose to have one of the function items for the character input mode set for the volume key. 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the left and right cursor movement function item 460. Then, the controller 140 may map and store the volume key and the left and right cursor movement functions to execute the left and right cursor movement functions in response to the volume keys in the character input mode. Accordingly, when an input signal for the volume key is detected in the text input mode, the controller 140 may move the cursor of the text input window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예시도이다. 특히, 도 5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하드 키를 이용하여 데이터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data input function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terface for performing a data input function using a hard key in a text input mode.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문자 입력 모드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문자 입력 모드에 따른 실행 화면 즉, 표시 패널에 터치 키패드 영역, 문자 표시 영역 및 수신자 입력 영역을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장부(130)는 하드 키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 모드 기능을 맵핑하여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30)는 볼륨 키에 대한 문자 이력 모드 기능으로 커서의 좌우 이동 기능을 맵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ler 140 may display a screen interface according to a text input mode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The controller 140 may display the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the text input mode, that is, the display panel including the touch keypad area, the text display area, and the receiver input area.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130 may map and store the character input mod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hard key.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30 may map and stor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functions of the cursor as the character history mode function for the volume key.

사용자는 문자 입력 모드에 따른 실행 화면에서 터치 키패드 영역을 터치하여 문자(예컨대, 연락 바랍니다.)를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키패드 영역의 터치 패널(111)은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터치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제어부(140)는 해당 터치 영역에 배치된 문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문자를 문자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문자 표시 영역에 문자의 입력 위치 나타내는 커서(51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커서의 위치에 따라, 문자가 입력되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The user may touch a touch keypad area on the execution screen according to the text input mode to input text (for example, contact). For example, the touch panel 111 of the touch keypad area transmits a touch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to the controller 140. The controller 140 checks the character disposed in the corresponding touch area and displays the confirmed character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40 may display a cursor 510 indicating an input position of a character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he user can grasp the position where the character is inpu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ursor.

<501>에 도시된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도중에, 하드 키 예컨대, 볼륨 키(520)를 프레스(press)할 수 있다. 그러면, 하드 키 입력부(120)는 하드 키 즉, 볼륨 키(520)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제어부(140)는 볼륨 키에 대한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문자 입력 지원 기능 즉, 문자 입력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510a)의 위치를 화면 <5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501, a user may press a hard key, for example, a volume key 520, while a user inputs a character using a touch keypad. Then, the hard key input unit 120 generates an input signal for the hard key, that is, the volume key 52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40. The controller 140 may move the character input support function set by the user, that is, the position of the cursor 510a indicating the character input position, in response to the input signal for the volume key, as shown on the screen. .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 입력 모드 즉, 터치 키 패드가 표시된 상태에서 하드 키를 보조 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문자 입력 대한 추가적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하드 키를 사용함으로써, 특정 기능 예컨대, 커서 좌우 이동 기능, 언어 모드 변경 기능, 키패드 설정 기능, 필기 인식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문자 인식 기능 등을 실행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hard key as an auxiliary means in the character input mode, that is, the touch key pad is displayed, it is possible to support additional functions for character input. By using the hard key in the character input mode, the user can execute a specific function such as a cursor left / right movement function, a language mode change function, a keypad setting function, a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 character recognition function, and the like.

100: 휴대 단말기
110: 터치스크린 120: 하드 키 입력부
130: 저장부 140: 제어부
100: portable terminal
110: touch screen 120: hard key input unit
130: storage unit 140:

Claims (11)

하드 키 및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의 데이터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드 키에 대한 입력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
상기 하드 키에 대한 입력이 검출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키패드가 표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키패드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입력 이벤트에 응답하여 하드 키 기능과 관련된 제1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키패드가 표시된 경우, 상기 입력 이벤트에 응답하여 문자 입력 기능과 관련된 제2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In the data input method of the terminal having a hard key and a touch screen,
Detecting an input event for the hard key;
Determining whether a keypad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en an input for the hard key is detected;
If the keypad is not displayed, executing a first function associated with a hard key function in response to the input event; And
If the keypad is displayed, executing a second function related to a text input function in response to the input ev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키, 홈 화면 전환을 위한 홈 키 및 메뉴 화면 전환을 위한 메뉴 키들 중 하나에서 입력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cting comprises:
A data input method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wherein an input event is detected by one of a volume key for adjusting a volume, a home key for switching a home screen, and a menu key for switching a menu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 홈 화면으로 전환하는 기능,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하는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executing the first function,
A data input method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which executes one of a function of adjusting a volume, a function of switching to a home screen, and a function of displaying a menu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문자 입력 모드에서 문자 블록의 복사 기능, 문자 블록의 붙이기 기능, 커서 이동 기능, 언어 전환 기능, 필기 인식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및 문자 인식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executing the second function,
In the character input mode, the touch screen is characterized by executing one of the following functions: copying of character blocks, pasting of character blocks, cursor movement, language switching, handwriting recognition, speech recognition, and character recognition. Data input method in th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키에 대한 입력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하드 키에 대응하는 제2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rior to detecting an input event for the hard key,
And setting a second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hard ke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드 키들의 항목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하드 키들의 항목들 중에서 하나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하드 키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 기능들의 항목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문자 입력 기능들의 항목들 중에서 하나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하드 키와 선택된 문자 입력 기능들을 맵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setting step,
Displaying items of the hard keys;
Detecting a selection of one of the items of hard keys;
Displaying items of character input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hard key;
Detecting a selection of one of the items of character input functions; And
And mapping and storing the selected hard key and selected character input function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키들의 항목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볼륨 키 설정 항목, 홈 키 설정 항목 및 볼륨 키 설정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Displaying the items of the hard keys,
And a volume key setting item, a home key setting item, and a volume key setting i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기능들의 항목들을 표시하는 단계는,
문자 블록의 복사 기능, 문자 블록의 붙이기 기능, 커서 이동 기능, 언어 전환 기능, 필기 인식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및 문자 인식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것을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Displaying the items of the character input functions,
A data input method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one or more of a copy function, a paste function, a cursor movement function, a language switching function, a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a character recognition function of a character block.
하드 키 및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 있어서,
터치 입력 모드를 위한 실행 화면 및 키 패드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하드 키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여 하드 키 기능과 관련된 제1 기능 및 문자 입력 기능과 관련된 제2 기능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문자 입력 모드를 위한 터치 키패드가 표시됐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터치스크린에 터치 키패드가 표시된 경우, 하드 키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제2 기능을 실행하고, 터치 키패드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 하드 키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제1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장치.
In the terminal having a hard key and a touch screen,
A touch screen displaying an execution screen and a keypad for a touch input mode; A storage unit storing a first function related to a hard key function and a second function related to a text input function in response to the hard key input event;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ouch keypad for the character input mode is displayed, and if the touch keypad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e second function is executed in response to the input of the hard keys, and if the touch keypad is not displayed, the hard key Data input device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executing a first function in response to an input to.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키패드가 표시된 경우, 문자 블록의 복사 기능, 문자 블록의 붙이기 기능, 커서 이동 기능, 언어 전환 기능, 필기 인식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및 문자 인식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키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When the touch keypad is displayed, a hard drive comprising one of a copy function of a character block, a paste function of a character block, a cursor movement function, a language switching function, a handwriting recognition function,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a character recognition function. A device that provides a character input function using a ke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키패드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 홈 화면으로 전환하는 기능,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하는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키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When the touch keypad is not displayed, a character input function is provided using a hard key, which performs one of a function of adjusting a volume, a function of switching to a home screen, and a function of displaying a menu screen. How to.
KR1020120063675A 2012-06-14 2012-06-14 Method for inputting data i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apparatus thereof KR1019195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675A KR101919515B1 (en) 2012-06-14 2012-06-14 Method for inputting data i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675A KR101919515B1 (en) 2012-06-14 2012-06-14 Method for inputting data i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361A true KR20130140361A (en) 2013-12-24
KR101919515B1 KR101919515B1 (en) 2018-11-16

Family

ID=4998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675A KR101919515B1 (en) 2012-06-14 2012-06-14 Method for inputting data i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515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7742B2 (en) * 2010-09-28 2015-06-03 京セラ株式会社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2011233175A (en) * 2011-08-19 2011-11-17 Kyocera Corp Control method of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515B1 (en) 201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5319B2 (en) Character input interface provision method and device
KR102020345B1 (en)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the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device thereof
KR102089447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s thereof
US9459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US9864504B2 (en) User Interface (UI)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of touch-enabled device
US8739053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transferring object between two display unit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5630327B (en) The method of the display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optional element
KR1019748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object i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US20140152585A1 (en) Scroll jump interface for touchscreen input/output device
US201403254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enu i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KR20130052151A (en) Data input method and device in portable terminal having touchscreen
US20100265209A1 (en) Power reduction for touch screens
JP2011529598A (e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using pattern recognition in portable terminal
JP2012242851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screen and control method
JP5951886B2 (en) Electronic device and input method
US938392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wo or three dimensional figure based on touch and apparatus thereof
KR20140089224A (en)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operation based on touch-input
KR2014010680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voice service in terminal for visually disabled peoples
KR201300972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contents view in mobile terminal
US201500675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User Interface in a Device with Touch Screen
EP2869167A1 (en) Processing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5050755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26853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device
EP2741194A1 (en) Scroll jump interface for touchscreen input/output device
KR20140009687A (en) Method for processing composite inputs using macro function and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