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1088A - Electronic device, serv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rver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serv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r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1088A
KR20130131088A KR1020120054884A KR20120054884A KR20130131088A KR 20130131088 A KR20130131088 A KR 20130131088A KR 1020120054884 A KR1020120054884 A KR 1020120054884A KR 20120054884 A KR20120054884 A KR 20120054884A KR 20130131088 A KR20130131088 A KR 20130131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agged
terminal
nf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8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정철
임윤주
김윤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4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1088A/en
Publication of KR2013013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0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Abstract

A server is disclosed. The server can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with a variety of content corresponding to an NFC card,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which is tagged in the NFC card. Also, the server can control a content-providing method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when the electronic device to which the NFC card is tagged is changed. [Reference numerals] (100') Set top box (optional);(300) Content supply server

Description

전자 기기, 서버, 상기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상기 서버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SERV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RVER}ELECTRONIC DEVICE, SERV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RVER}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전자 기기, 상기 전자 기기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 상기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상기 서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ceiving content based on information stored in an NFC tag, a server capable of providing content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 And the server control method.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와 TV 등 고정형 전자 기기들은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s mobile terminals such as personal computers, laptops, mobile phones, and smartphones and fixed electronic devices such as TVs are diversified in function, photography or video recording, music or video file playback, games, broadcast reception, etc. It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with complex functions.

전자 기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전자 기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전자 기기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메뉴 구조 또한 복잡해지고 있다. In order to support and increase the 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part and / or the software part of the electronic device. Recently, as electronic devices provide complex and various functions, the menu structure is also complicated.

또한, 최근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이하 NFC)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가 실용화되고 있다. 예컨대, NFC 기반의 대표적 응용 서비스는 모바일 금융, 각종 인증, 단말기간 정보 교환, 각종 정보 제공 및 맞춤형 광고 관련 서비스 등이 있다.Recently,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echnologies have been put into practical use. For example, NFC-based representative application services include mobile finance, various authentication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erminals, various information provision, and customized advertisement related services.

이러한, NFC 기술은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에 관련된 초단거리 비접촉식 데이터 전송 기술(very short-range contactless data transfer technology)로서, 10cm이내(바람직하게는 4cm 이내)의 거리에 위치한 장치들과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This NFC technology is very short-range contactless data transfer technology related to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d is used for communication with devices located within 10 cm (preferably within 4 cm). Can be used.

NFC는 13.56MHz의 중심 주파수를 사용하며, 106, 212, 424kbps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NFC는 다양한 비접촉 통신 프로토콜과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NFC는 ISO 14443 type A, B, F, ISO 18092에서 정의하는 프로토콜과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NFC 기술을 채택한 전자기기는 예를 들어, 리더(reader) 모드,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card emulation mode), 피어 투 피어 (peer to peer)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NFC 기술을 채택하고 있는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NFC uses a center frequency of 13.56 MHz and can provide data communication services at transmission rates of 106, 212, and 424 kbps. NFC may be compatible with a variety of contactless communication protocols. For example, NFC can be compatible with the protocols defined in ISO 14443 type A, B, F, and ISO 18092. An electronic device employing NFC technology can be used for other electronic devices adopting NFC technology, for example, through at least one of a reader mode, a card emulation mode, and a peer-to-peer mode,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의 멀티미디어 제공 기능과 NFC 기술을 접목하면 다양한 형태의 새롭고 편리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by combining the multimedia providing function and NFC technology of the electronic device,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new and convenient servic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자 기기를 통한 멀티미디어 제공 기능에 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접목시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획득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된 네트워크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전자 기기, 상기 전자 기기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상기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상기 서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ceiving content from a connected network us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y incorporating a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nto a multimedia providing function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It is to provide a server for providing content to the electronic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the server control metho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matter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서버는, 통신부; NFC 카드에 포함된 콘텐츠 소스에 대응하는 콘텐츠와, 상기 NFC 카드와 제1 태깅된 단말기로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NFC 카드와 제2 태깅된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식별정보 및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대응되는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로의 콘텐츠 제공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Serv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A database including content corresponding to a content source included in an NFC card and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providing the content to the NFC card and a first tagged terminal; And at least one of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FC card and the second tagged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agged terminal correspond to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bas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content provision to a second tagged terminal.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NFC 카드의 식별정보, 상기 NFC 카드와 제1 태깅된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자 식별정보 및 상기 NFC 카드와 제1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base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to the NFC card and the first tagged terminal,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and the first tagged termi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태깅된 단말기와 형성된 제1 NFC 링크를 단절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와 제2 NFC 링크를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NFC 링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agged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agged terminal do not match, the controller disconnects the first NFC link formed with the first tagged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tagged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NFC link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ntent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NFC link.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태깅된 단말기와 상기 제1 NFC 링크가 단절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상기 제1 태깅된 단말기 및 제2 태깅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transmit a message for notifying that the first tagged terminal and the first NFC link is disconnected to the first tagged terminal and the second tagged terminal.

상기 제어부는, NFC 링크의 연결 상태를 상기 제1 NFC 링크에서 상기 제2 NFC 링크로 변경될 때 링크 연결의 변경 횟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store a connection count of a link connection w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NFC link is changed from the first NFC link to the second NFC link and stored in the databas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고, 상기 제1 태깅된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자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에 전송하되, 상기 콘텐츠의 전송형식이 다운로드 방식인 경우, 상기 다운로드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register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first tagged terminal and the second tagged terminal without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agged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agged terminal. If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es not match, the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agged terminal, but if the transmission format of the content is a download method, if the number of downloads exceed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transmission of the content is performed. You can stop.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카드가 태깅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NFC 카드의 태깅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NFC 카드의 태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에서 전송되어 상기 NFC 카드가 태깅된 단말기에 저장된 콘텐츠의 실행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NFC 카드가 태깅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receive a signal for monitoring whether the NFC card is tagged from the terminal tagged with the NFC card, and if no tagging of the NFC card exists for a predetermined time,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ransmit the NFC card. The control signal for limiting the execution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tagged termi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agged with the NFC card.

상기 제어부는,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딩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transmit the content to the second tagged terminal based on a streaming scheme or a downloading scheme.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전자 기기는, NFC 통신모듈; 콘텐츠 제공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NFC 통신모듈을 통해 NFC 카드와 태깅됨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NFC 카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미리 정해진 주기 동안 상기 NFC 카드와 태깅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의 실행을 제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NFC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content providing server; A memory storing an application for executing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tagging with the NFC card through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to receiv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to stor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in the memory, and when not tagged with the NFC card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a controller for limiting execution of the stored content.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는 유효 기간을 갖는 DRM이 설정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And the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includes content in which a DRM having a valid period is set.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가 기 저장된 사용자 식별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의 실행을 제한할 수 있다.Whe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application does not match the previously stored user identification number, execution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may be restricted.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은, NFC 카드와 제1 태깅된 단말기로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NFC 카드와 제2 태깅된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 및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 및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대응되는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로의 콘텐츠 제공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server, the method including: storing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providing the content to an NFC card and a first tagged terminal in a database; Receiv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agged terminal from the NFC card and a second tagged terminal; And controlling content provision to the second tagg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at least one of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agged terminal matches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base. It may include.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태깅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NFC 식별정보, 상기 제1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1 태깅된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oring in the database may include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agged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registered in the first tagged terminal from the first tagged terminal. Receiving; And storing the received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database.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은 NFC 통신모듈을 통해 NFC 카드와 태깅하는 단계; 무선 통신부를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NFC 카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미리 정해진 주기 동안 상기 NFC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NFC 카드와 태깅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의 실행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tagging with an NFC card through an NFC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from a content providing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Storing the received content in a memory; And limiting the execution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when not tagged with the NFC card through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for a predetermined period.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는 유효 기간을 갖는 DRM이 설정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may include content in which a DRM having a valid period is set.

상기 콘텐츠의 실행을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사용자 식별정보가 기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Restricting execution of the content may include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executing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And checking whether the input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previously stor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NFC 태깅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NFC 태그와 태깅됨에 따라 상기 NFC 카드로부터 상기 NFC 태그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 및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NFC 태그의 식별정보,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NFC 태그에 대응하는 특정 콘텐츠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고,NFC tagging-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for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tag from the NFC card as the tag and the NFC tag; And a server configured to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and to transmit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tag to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서버는, 상기 NFC 카드와 제1 태깅된 전자 기기의 식별정보와 상기 NFC 카드와 제2 태깅된 전자 기기의 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태깅된 전자 기기로의 상기 특정 콘텐츠의 제공을 제어할 수 있다.The server may determine whether the specific content to the second tagged electronic device depends on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and the first tagged electronic devic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and the second tagged electronic device match. You can control the provision.

상기 서버는, 상기 NFC 태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NFC 카드와 제1 태깅된 전자 기기의 식별정보, 상기 NFC 카드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database configured to stor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NFC tag, wherein the database includes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and the first tagged electronic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NFC 카드에 대한 태깅에 기초하여, 상기 NFC 카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from the server based on the tagging on the NFC car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변경되거나, NFC 카드와 태깅되는 단말기의 변경에 상기 NFC 카드에 대응하는 콘텐츠 제공의 다양한 시나리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scenarios of provid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may be provided to a user to change or to a terminal tagged with an NFC car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리더 모드(reader mode)로 동작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card emulation mode) 또는 피어 투 피어 모드(peer to peer mode)로 동작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300)의 블락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이동 단말기로의, 콘텐츠 제공을 위한 준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준비 과정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팝업 문구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준비 과정에 따라서, 단말기 등록을 위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준비 과정에 따라서,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필요한 등록된 정보 등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준비 과정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콘텐츠 제공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대기 상태에 대응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이동 단말기로의 콘텐츠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과정에 따라서 선택된 노래의 뮤직 비디오에 대응되는 동영상이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자 기기로 제공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제공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제공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이동 단말기로의 콘텐츠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과정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NFC 카드에 따라 서로 다른 부가 콘텐츠가 제공된 예들을 나타낸다.
도 20은 NFC 카드를 태깅할 전자 기기가 변경된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의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NFC 카드를 태깅할 전자 기기가 변경된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가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NFC 카드의 태깅에 사용자의 사용 기록을 저장하는 동작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25는 동일한 NFC 카드에 대하여 상기 NFC 카드의 사용자와 NFC 카드가 태깅되는 단말기가 모두 변경된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상기 NFC 카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동작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26 내지 도 27은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NFC 카드 태깅에 따라 다운로딩 된 콘텐츠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 서버 동작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 reader mode.
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 card emulation mode or a peer to peer mod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andover 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eparation process for providing content, from a content providing server to a mobile terminal, performed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llustrates pop-up tex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ing preparation process illustrated in FIG. 7.
FIG. 9 is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provided for terminal registration according to a content providing preparation process illustrated in FIG. 7.
FIG. 10 illustrates that registered information required for a content providing servic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ing preparation process illustrated in FIG. 7.
FIG. 11 illustrates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tandby state of the content providing-only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ing preparation process illustrated in FIG. 7.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process from a content providing server to a mobile terminal performed in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to 15 illustrate examples in which a video corresponding to a music video of a selected song is provided to the electronic device in a streaming manner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ing process illustrated in FIG. 12.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ent providing method performed in a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ent providing method perform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process from a content providing server to a mobile terminal performed in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llustrates examples of providing different additional content to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NFC card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ing process shown in FIG. 18.
2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erver when an electronic device to tag an NFC card is changed.
FIG. 2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20.
2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n operation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content by a content providing server when an electronic device to tag an NFC card is changed.
FIG. 2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22.
24 is an exemplary flowchart of an operation of storing a user's usage record in tagging of an NFC card at a content providing server.
FIG. 25 is an exemplary flowchart of an operation of provid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in a content providing server when both the user of the NFC card and a terminal tagged with the NFC card are changed with respect to the same NFC card.
26 to 27 are diagrams for describing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25.
28 is an exemplary flowchart of a content providing server operation for controlling execution of downloaded content according to NFC card tagging.
FIG. 29 is a diagram for describing the exemplary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8.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 또는 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 또는 전달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transmits or transmits' data or a signal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directly transmit or transmit the data or signal to the other component, and at least one It means that the data or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other component through another component. In addition,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foregoing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1)은 NFC 카드(10), 전자 기기(100), 상기 전자 기기(100)와 인터넷(250)을 통하여 연결되는 콘텐츠 제공 서버(300), 및 데이터베이스(400)을 포함할 수 있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includes an NFC card 10, an electronic device 100, a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the Internet 250, and a database. 400.

NFC 카드(10)는 미리 정해진 정보를 저장하는 NFC 태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되는 정보는 NFC 카드(10) 고유의 식별 정보(예컨대, 고유의 시리얼 넘버) 및 NFC 카드(10)를 매개로 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가 저장된 네트워크상의 주소(예컨대,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음원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The NFC card 10 may include an NFC tag (not shown) that stores predetermined informati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is an identification address (for example, a unique serial number) unique to the NFC card 10 and an address on a network where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s stored through the NFC card 10. (Eg,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and the like. The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image file, a video file, and a sound source file.

NFC 카드(10)는, 상기 NFC 태그가 내장된,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고, 종이 재질일 수도 있으며, 섬유나 금속 재질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NFC 카드의 본체의 재질이 상술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NFC 카드는 전자 기기(100)가 유효 NFC 통신 거리 이내에 위치하면, 즉, 전자 기기(100)와 NFC 태깅이 수행되면, 전자 기기(100)와 NFC 통신 링크를 형성하여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전자 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NFC card 10 may be a plastic material, the NFC tag is embedded, may be a paper material, may be a fiber or metal material. However, the material of the main body of the NFC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When the NFC card 100 is located within an effective NFC communication distance, that is, when NFC tagging is perform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NFC card forms an NFC communication link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to store information stored in the NFC tag.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전자 기기(100)는 NFC 카드(10)에 대한 NFC 태깅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NFC 통신 링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거나 스트리밍 방식으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도 있고, TV와 같은 고정형 전자 기기일 수도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download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or play the content in a streaming manner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NFC communication link formed based on the NFC tagging on the NFC card 10. . As shown in FIG. 1,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fixed electronic device such as a TV.

한편, 이동 단말기에는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고정형 전자 기기에는 TV 뿐만 아니라, PC용 모니터,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의 범위가 상술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not only a smart phone but also a tablet PC,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tationary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not only a TV but also a PC monitor, a digital signage device, and the like. However, the scop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스마트폰(100)은 NFC 링크로 연결된 NFC 카드(10)로부터 NFC 카드(10) 고유의 식별 번호 및 NFC 카드(10)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저장된 서버상의 네트워크 주소를 수신한다. 그런 다음, 스마트폰(100)은 와이파이(WiFi) 통신 링크로 연결된 WiFi 억세스 포인트(200)를 통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주소에 저장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스마트폰(100)는 와이파이(WiFi)망이 아닌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접속할 수도 있다.The smartphone 100 receives an identification number unique to the NFC card 10 and a network address on a server wher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10 are stored from the NFC card 10 connected by the NFC link. Then, the smartphone 100 accesse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WiFi access point 200 connected through the Wi-Fi communication link, and provides the content stored at the network address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 can receive it. Unlike FIG. 1, the smartphone 100 may acces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rather than a Wi-Fi network.

TV(100) 역시 스마트폰(100)과 유사한 방법으로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TV(100)는 자체적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접속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톱박스(100')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V(100)는 리모콘(100")을 통하여 카드 식별 정보 및 콘텐츠가 저장된 네트워크상의 주소를 NFC 카드(1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The TV 100 may also receive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n a manner similar to that of the smartphone 100. When the TV 100 cannot acces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via the Internet itself, as shown in FIG. 1, the TV 100 may acces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using the set top box 100 ′. . In addition, the TV 100 may receive from the NFC card 10 an address on a network where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tent are store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100 ″.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전자 기기(100)를 통하여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100)로 상기 수신되는 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가 제공되는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운로드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일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provid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manner in which the content is provided may be a download method or a stream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데이터베이스(400)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전자 기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410), NFC 카드(10)에 관한 정보와 상기 NFC 카드(10)에 대한 태깅 이력 등을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420), 및 콘텐츠를 저장하는 제3 데이터베이스(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에 관한 정보,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전자 기기에 관한 정보, 상기 NFC 카드에 관한 정보, 상기 NFC 카드(10)에 대한 태깅 관련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상호간은 서로 매칭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베이스(410, 420, 및 430)로 구현된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400)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400)는 콘텐츠 제공 서버(300)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database 400 may include a first database 410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a user and information about an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user, information about an NFC card 10, a tagging history for the NFC card 10, and the like. It may include a second database 420 for storing the, and a third database 430 for storing the content. Here,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 the information about the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user, the information on the NFC card, the tagging related information on the NFC card 10, and the contents are matched with each other in the database 400 ) Can be stored. Unlike FIG. 1, which is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databases 410, 420, and 430, the database 40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database. In addition, the database 400 may be implemented as one device wit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만약, 도 1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자 기기(100)로 제공되는 콘텐츠가 음원 파일인 경우, NFC 카드(10)는 CD 등의 저장매체에 담겨서 판매되는 앨범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노래가 담긴 별도의 저장 매체를 소지하고 다닐 필요없이 지갑이나 수첩 등에 수납하기 편리한 카드 형의 NFC 카드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가수의 노래를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NFC 카드는 앨범 대용의 기능성뿐만 아니라 CD 등 저장 매체에 저장된 앨범과 같이 소장 가치를 가질 수도 있다.If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a sound source file in FIG. 1, the NFC card 10 may serve as an album that is sold in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 . In addition, a user can listen to a singer's desired song by using a NFC card of a card type, which is convenient to store in a wallet or a notebook, without having to carry a separate storage medium containing the song. In addition, such an NFC card may have a collection value, such as albums stored in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 as well as functionality of the album.

만약, 도 1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자 기기(100)로 제공되는 콘텐츠가 영화나 드라마 등이라면, NFC 카드(10)는 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등의 저장 매체에 담겨 판매 또는 대여되는 영상제공 매체를 대체할 수도 있다.If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FIG. 1 is a movie or drama, the NFC card 10 is sold or rented in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 a DVD, a Blu-ray disc, or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o replace the image providing medium.

이상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 보았다.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100)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의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그에 앞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살펴 본다.In the above,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Hereinafter, a content providing method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including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fore that,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블락도(block diagram)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이동 단말기(1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The storage unit 160, the interface unit 170, the controller 180, and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included. Since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100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the mobile terminal 100 may have more components or fewer components.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ing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In particular, the broadcasting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Only Digital Broadcast-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and the like.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dapted to other broadcasting systems that provide broadcast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 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잇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in response to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acces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통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can be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externally.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acces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태깅된 NFC 카드(10)와 NFC 링크를 형성하는데 이용되며, 상기 NFC 카드(10)로부터 상기 NFC 카드(10) 고유의 식별 번호 및 콘텐츠가 저장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300)상의 네트워크 주소를 NFC 링크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is used to form an NFC link with a tagged NFC card 1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at stores the identification number and content unique to the NFC card 10 from the NFC card 10 ( The network address on 300 may be received through the NFC link.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범지구적 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은 지구를 공전하여 무선 항법 수신기들의 소정의 타입들이 지표면 또는 지표면 근처의 그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기준 신호들을 보내는 무선 항법위성 시스템들을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는 용어이다. 상기 범지구적 위성 항법 시스템(GNSS)에는 미국에서 운영하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유럽에서 운영하는 갈릴레오(Galileo), 러시아에서 운영하는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ite System), 중국에서 운영하는 COMPASS 및 일본에서 운영하는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등이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confirming or obtain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may obtain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Here,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NSS) is a term used to describe the radionavigation satellite systems in which certain types of radionavigation receivers orbiting the Earth are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s that can determine their position near the surface or ground surface .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NSS) includes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in the United States, Galileo in Europe,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ite System) in Russia, COMPASS in China and Japan QZSS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which is opera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GNSS의 대표적인 예를 들면,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일 수 있다. 상기 GPS 모듈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상기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GNSS,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may be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The GPS module calculates information on a distance (distance)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to a point (object), information on a time when the distance information is measured, and then applies a trigonometric method to the calculated distance information, 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with respect to a point (object)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Further, a method of calculat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the error of the calculated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another satellite is also used. The GPS module continuously calculates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and calculates velocity information using the current position.

도 2를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n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he camera 121 may be equipped with two or more camera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and output.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122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자세감지센서(141) 및/또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may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it may be responsible for a sensing function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Meanwhi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n orientation sensor 141 and / or a proximity sensor.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and a haptic module 154, for example,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hav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video or UI and GUI are displayed.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a transparent LCD or the like.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151 may also be of a light transmission type.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e the object located behind the terminal body through the area occupied by the display unit 151 of the terminal body.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00,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displays may be spaced apart or integral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디스플레이부(151)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151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ensor)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used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As a result, the controller 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is touched.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A proximity sensor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mobile terminal or in the vicinity of the touch screen that is wrapped by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 nearby object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The proximity sensor has a longer life span than the contact sensor and its utilization is also high.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커서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커서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An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cursor with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cursor when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될 수 있다.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and the li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52)는 콜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콜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는 이어폰잭(116)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116)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sound through the earphone jack 116. The user can connect the earphone to the earphone jack 116 to hear the sound output.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that occur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touch input, and the like.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for example, vibratio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sound output module 152.

햅틱 모듈(haptic module, 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haptic module 1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is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sequentially output.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haptic module 154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an effect of stimulation by a pin arrangement vertically moving with respect to a contact skin surface, an effect of stimulation by air spraying force or suction force through a jet opening or a suction opening, A variety of tactile effects such as an effect of stimulation through contact of an electrode, an effect of stimulation by an electrostatic force, and an effect of reproducing a cold sensation using a heat absorbing or exothermic element can be generated.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54 can be implemented not only to transmit the tactile effect through the direct contact but also to feel the tactile effect through the muscles of the user's finger or arm. The haptic module 154 may include two or more haptic modules 154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80 and may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data related to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ted when a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상기 저장부(160)는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인증에 필요한 각종 식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각종 식별 정보에는 NFC 카드(10) 식별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100)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 등이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60)에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저장된 콘텐츠의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e the content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and may store vario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authentication for accessing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o receive the content. hav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NFC card 10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1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the network address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emporarily or permanently.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disk, and / or an optical disk.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storage unit 16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ransfer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to transmit data in the mobi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70.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상기 카드 형식의 사용자 식별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카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은 상기 카드 슬롯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는 복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이 연결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may include a card slot on which the card type user identification module can be mounted. Then, the user identification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card slot. At this time, a plurality of user identification modules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70.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path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various commands A signal may be a path through which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The various command signals or the power source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a signal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terminal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80. [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NFC 통신 링크로 연결된 NFC 카드(1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접속한 다음,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상기 수신된 정보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수신되는 콘텐츠를 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accesse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FC card 10 connected through the NFC communication link, and then corresponds to the received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he received content may be received, and the received content may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50.

전원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In some cases, And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180.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In addition, the software codes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80. [

이상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 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콘텐츠를 활용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와 핸드오버 동작에 대하여 살펴 본다. 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3 to 5,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used to receive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utilize the provided content. The operation mode and the handove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리더 모드(reader mode)로 동작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동 단말기(100)에 대하여 NFC 카드(10)의 NFC 태킹이 수행되면, 이동 단말기(100)의 NFC 통신 모듈(114A)은 리더 모드로 동작하며 리더(reader)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NFC 통신 모듈(114A)은, 에뮬레이션 모드로 동작하는 NFC 카드(10)의 NFC 태그(12)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NFC 카드(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NFC 카드(10)의 식별 정보, 콘텐츠가 저장된 네트워크상의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 reader mode. When NFC tagging of the NFC card 10 is perform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4A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in a reader mode and function as a reader. In this case,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4A may obtain data from the NFC tag 12 of the NFC card 10 operating in the emulation mode. As described above, the data received from the NFC card 10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10 and an address on a network where contents are stor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card emulation mode) 또는 피어 투 피어 모드(peer to peer mode)로 동작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동 단말기(100)는 NFC 통신을 지원하는 다른 전자기기(500)와 NFC 링크(NFC link)를 형성할 수 있다.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 card emulation mode or a peer to peer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form an NFC link with another electronic device 500 that supports NFC communication.

NFC 통신 모듈(114A)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전자기기(100)의 NFC 통신 모듈(114A)은 카드, 다시 말해 태그(tag)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른 전자기기의 NFC 통신 모듈(514A)은 리더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전자기기(100)의 NFC 통신 모듈(114A)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NFC 통신 모듈(114A)이 상기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전자기기(100)의 NFC 통신 모듈(114A)과 다른 전자기기의 NFC 통신 모듈(514A)은 서로 데이터를 교환(exchange)할 수 있다.When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4A operates in a card emulation mode,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4A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function as a card, that is, a tag. In this case,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514A of the other electronic device may operate in a reader mode to obtain data from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4A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When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4A operates in the peer to peer mode,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4A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514A of another electronic device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Can be exchanged.

NFC 통신 모듈(114A)의 동작 모드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통신 모듈(120)의 동작 모드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algorithm)에 따라 세팅(setting)될 수 있다.The operation mode of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4A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For example, the operation mode of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be set according to a user's input or a predetermined algorithm.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의 콘텐츠 제공에 이용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NFC 태그(1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카드 형태로 구현된 NFC 카드(10)에 내장될 수도 있고,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에서 동작하는 다른 전자 기기(500)의 NFC 통신 모듈(514A)에 포함될 수도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다른 전자 기기(500)로부터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의 콘텐츠 제공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NFC tag 10 for storing a variety of information used for providing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be embedded in the NFC card 10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d as described abov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s such, it may be included in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514A of another electronic device 500 operating in the card emulation mode. That is, the mobile terminal 100 may receive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viding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from another electronic device 500.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이동 단말기(100)의 핸드오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 NFC 통신 모듈(114A), 블루투스 통신 모듈(114B), 및 와이파이 통신 모듈(113A)을 포함한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handover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controller 180, an NFC communication module 114A,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114B, and a Wi-Fi communication module 113A.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 내의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114A)은 이동 단말기(100)가 NFC 통신 범위(NFC communication range) 내에서 인식되는 NFC 통신을 지원하는 다른 전자 기기(500 및 600)와 NFC 링크(NFC link)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The controller 180 can control the components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4A may allow the mobile terminal 100 to form an NFC link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500 and 600 that support NFC communication that is recognized within the NFC communication range. do.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다른 전자 기기(500 및 600)와 NFC 통신 모듈(114A)을 통하여 NFC 링크를 형성한 이후, 다른 전자 기기(500 및 600)와 블루투스 통신 모듈(114B) 및/또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113A)을 통하여 NFC 링크와 다른 종류의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이동 단말기(100)는 NFC 통신 링크가 끊어지더라도 블루투스 통신 링크 및/또는 와이파이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다른 전자 기기(500 및 600)와 데이터 통신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100 forms an NFC link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500 and 600 through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4A, and then the other electronic devices 500 and 600 an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114B and / or The Wi-Fi communication module 113A may form another type of communication link with the NFC link. Then, even if the NFC communication link is disconnected, the mobile terminal 100 can continuously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electronic devices 500 and 600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link and / or the Wi-Fi communication link.

상술한 바와 같이, NFC 링크를 형성한 이후, 이동 단말기(100) 및 다른 전자 기기(500 및 600)가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계속하여 상기 다른 전자 기기(500 및 6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다른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핸드오버(handover)라 한다.As described above, after establishing the NFC link,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other electronic devices 500 and 600 can continue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electronic devices 500 and 600 using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 series of processes for forming another communication link is called handover.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NFC 통신 링크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링크, 와이파이 통신 링크로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링크, WiGig(Wireless Gigabit) 통신 링크 등의 다양한 통신 링크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handover from an NFC communication link to a Bluetooth communication link and a Wi-Fi communication link,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to. no.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erform handover to various communication links, such as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communication link and a wireless gigabit (WiGig) communication link.

다시 말해, 이러한 핸드오버 기능은, 이동 단말기(100)가, 다른 전자 기기(500 및 600) 사이의 NFC 태깅(tagging)을 통하여 쉽게 NFC 링크를 형성한 이후, NFC 링크 보다 원거리 및/또는 고용량의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대체 통신 링크로 통신 수단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해 준다.In other words, this handover function is more remote and / or higher capacity than the NFC link after the mobile terminal 100 easily forms the NFC link through NFC tagging between the other electronic devices 500 and 600. Allows the communication means to be changed to an alternative communication link suitable for data transmiss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이러한 핸드오버 기능을 활용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다른 전자 기기와 공유하기 위한 N스크린 서비스, 홈네트워킹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NFC 태깅을 통하여 형성되는 NFC 링크를 통해서는 콘텐츠 공유를 위한 소용량의 정보만을 다른 전자 기기와 교환하고, 대용량의 콘텐츠는 차후 형성되는 대체 통신 링크를 통하여 상기 다른 전자 기기로 제공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tilized for an N screen service and a home networking service for sharing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by using the handover function. That is,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hanges only a small amount of information for content sharing with another electronic device through an NFC link formed through NFC tagging, and a large amount of content is formed later. It can be provided to the other electronic device through an alternative communication link.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300)의 블락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300)는 통신부(310), 입력부(320), 출력부(350), 인터페이스부(370), 제어부(380)를, 데이터베이스(400)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상기 서버(3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6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server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10, an input unit 320, an output unit 350, an interface unit 370, and a control unit 380 and a database 400. The components shown in FIG. 6 are not essential, so the server 300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통신부(310)는 이동 단말기나 TV와 같은 전자 기기(100)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310)는 전자 기기(100)로부터 NFC 카드(10)의 식별 정보 및 콘텐츠가 저장된 네트워크상의 주소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이동통신 모듈, 유/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310 performs a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such as a mobile terminal or a TV.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receive an address on a network whe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tent of the NFC card 10 are stor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red /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and the like.

입력부(320)는 서버 관리자가 서비스 콘텐츠 제공 서버(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입력부(320)에는 서비스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와 마이크 등을 포함될 수도 있다.The input unit 320 includes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nd a jog wheel for the server administrator to input various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rvic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 Jog switch,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input unit 320 may include a camera and a microphone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to the servic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출력부(350)는 서비스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처리되는 데이터와 관련된 출력을 발생하여 서비스 콘텐츠 제공 서버(300) 관리자에게 제공하며,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350 generates an output related to data processed in the servic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and provides the output to the servic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nager. The output unit 3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and a sound output unit.

데이터베이스(400)는 제어부(3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400)에는 콘텐츠뿐만 아니라, 사용자 식별 정보, 전자 기기(100)의 식별 정보, NFC 카드(10)의 식별 정보, NFC 카드(10)에 대한 태깅 이력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정보들 상호간은 서로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database 40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380, and may store data input / output. In addition to the content, the database 400 may stor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10, a tagging history for the NFC card 10, and the like. Meanwhile,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may be matched with each other and stored in the database 400.

데이터베이스(4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base 400 include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of the optical disk.

인터페이스부(370)는 서비스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즉, 인터페이스부(3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서비스 콘텐츠 제공 서버(3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서비스 콘텐츠 제공 서버(3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unit 370 serves as a path to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servic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hat is, the interface unit 3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to transfer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servic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or to transmit the data inside the servic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o an external device. do.

제어부(380)는 통상적으로 콘텐츠 제공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전자 기기(100)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NFC 카드(10), 사용자, 전자 기기(100)에 대한 인증 및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80)는 상전자 기기(100)로부터 수신되는 NFC 카드(10) 식별 정보, 전자 기기(100) 식별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NFC 카드(10)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저장된 주소 등에 기초하여 NFC 카드(10)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상기 전자 기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authentication and registration with respect to the NFC card 10, the user,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based on vario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addition, the controller 380 may be based on the NFC card 10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electronic device 1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 address in which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10 is stored,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10 may be provid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이동 단말기(100)로의 콘텐츠 제공 준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준비 과정을 살펴 본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preparation process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o the mobile terminal 100, which is performed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ontent providing preparation proces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FC 카드(10)에 대한 NFC 태깅이 수행된다(S100). 그러면, 이동 단말기(100)의 NFC 통신 모듈(114A)과 NFC 카드(10) 사이에는 NFC 링크가 형성되며, NFC 카드(10)에 저장된 카드 식별 정보 및 콘텐츠가 저장된 네트워크 주소가 상기 NFC 링크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다.NFC tagging for the NFC card 10 is performed (S100). Then, an NFC link is formed between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4A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NFC card 10, and a network address where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tent stored in the NFC card 10 is stored through the NFC link.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그러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상기 NFC 카드(10)의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전송하여, NFC 카드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110). NFC 카드(10)에 대한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문의하는 팝업 문구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S120).Then, 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10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perform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the NFC card ( S110). When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the NFC card 10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80 can display a pop-up phrase for inquiring the install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only application on the display unit 151 (S120).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준비 과정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팝업 문구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거부하면(S130), 즉, 사용자가 도 8에 도시된 'No' 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취소한다(S140).FIG. 8 illustrates pop-up tex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ing preparation process illustrated in FIG. 7. Referring to FIG. 8, a user may determine whether to install a content providing service-only application. If the user refuses to install the dedicated application (S130), that is, if the user selects the 'No' button shown in FIG. 8, the controller 180 cancels the download of the dedicated application (S140).

그러나, 사용자가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에 동의하면(S150), 즉, 사용자가 도 8에 도시된 'Yes' 버튼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S160).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부터 다운로드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상의 애플리케이션 마켓(예컨대, 안드로이드 앱 마켓)으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However, if the user agrees to install the dedicated application (S150), that is, if the user selects the 'Yes' button shown in FIG. 8, the controller 180 downloads and installs the dedicated application (S160). The dedicated application may be downloa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or may be received from an application market (eg, an Android app market) on a network.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다음 실행된다(S170).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 입력 요청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S180).The dedicated application i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n executed (S170). The dedicated application may be executed by a user's operation, or may be automatically executed when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7. When the dedicated application is executed, the controller 180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dedicated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nd transmit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t transmits (S180).

여기서, 사용자 식별 정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사용자 식별 정보에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아이디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는 이-메일 주소나 아이디 이외에 추가적인 패스워드가 포함될 수도 있다.Her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n e-mail address of the user, as shown in FIG. 7.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n ID input by the user. In additi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n additional password in addition to the e-mail address or ID.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면,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사용 승인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NFC 카드(10)의 식별 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한다(S190).Whe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performs a use approval procedure for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atch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10 wit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e in the database 400 (S190).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사용 승인이 완료되면, 제어부(180)는 단말기 등록 문구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200).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준비 과정에 따라서, 단말기 등록을 위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만약, 단말기 등록에 동의하면(S210), 즉, 사용자가 도 9에 도시된 동의란에 체크를 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식별 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When the use approval for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terminal registration text on the display unit 151 (S200). FIG. 9 is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provided for terminal registration according to a content providing preparation process illustrated in FIG. 7. If the user agrees to the terminal registration (S210), that is, if the user checks the agreement box shown in FIG. 9, the controller 180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400)에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단말기 식별 정보와 사용자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단말기 등록이 완료되면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필요한 등록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220).Whe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register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400, match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e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400. When the terminal registration is completed, 100 displays the registere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on the display unit 151 (S220).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준비 과정에 따라서,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필요한 등록된 정보 등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련의 등록 절차가 완료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정보 표시 영역(151A)에는 NFC 카드(10) 고유의 식별 번호인 일련 번호, 사용자가 등록한 아이디 및 비밀번호, 상기 카드에 저장된 콘텐츠가 저장된 주소 등이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FIG. 10 illustrates that the registere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ontent providing servic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ing preparation process illustrated in FIG. 7. Referring to FIG. 10, when a series of registration procedures are completed, the information display area 151A of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serial number which is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NFC card 10, an ID and password registered by the user, and the card. It can be seen that the stored address of the stored content is displayed.

그런 다음, 제어부(180)는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NFC 카드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수신하고, 이동 단말기(100)에 태깅된 NFC 카드(10)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S230).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100)에는 콘텐츠가 저장된 콘텐츠 제공 서버(300)상의 주소, 사용자 아이디 등이 저장될 수도 있다.Then, the controller 180 receives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and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10 tagg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S230). Although not shown in FIG. 7,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tore an address, a user ID, and the like o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n which the content is stored.

NFC 카드(10)에 대응되는 이미지에는 NFC 카드(10)에 대응되는 콘텐츠 목록이 포함될 수 있고, NFC 카드(10)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특정 가수의 앨범인 경우에는 상기 앨범의 재킷이나 상기 특정 가수의 사진 등이 포함도리 수도 있다. 그러나 NFC 카드(10)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상술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NFC 카드(10)에 대응되는 이미지는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을 구성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10 may include a list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10, and whe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10 is an album of a specific singer, the jacket of the album or the specific singer Photos may be included. However,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10 may be an image constituting an initial screen of the dedicated application.

NFC 카드(10)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NFC 카드(10)에 대응되는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240). 만약, NFC 카드(10)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특정 가수의 앨범이라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상기 앨범에 수록된 노래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NFC 카드(10)에 대응되는 콘텐츠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어 있고,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 리스트 중 실행될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상태를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대기 상태라 한다.When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10 is received,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 content lis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10 on the display unit 151 (S240). I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10 is an album of a specific singer,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a list of songs included in the album. A content lis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nd a state in which the user can select contents to be executed from the contents list is called a standby state of a dedicated application.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준비 과정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콘텐츠 제공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대기 상태에 대응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1은 NFC 카드(10)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특정 가수의 앨범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대기 상태에 대응되는 화면을 나타낸다.FIG. 11 illustrates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tandby state of the content providing dedicated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ing preparation process illustrated in FIG. 7. In more detail, FIG. 11 shows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tandby state of the content-only application in the case wher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10 is an album of a specific singer.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대기 상태의 화면에는 상기 앨범에 수록된 노래들을 스티리밍 서비스를 통한 듣기 또는 상기 노래들에 대한 다운로드 여부를 선택하거나, 상기 노래들에 대한 뮤직 비디오 제공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영역(151B), 상기 노래들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영역(151C), 스트리밍되거나 다운로드되거나 뮤직 비디오를 제공받을 노래를 선택하기 위한 영역(151D), 재생 목록 리스트에 추가될 노래를 선택하기 위한 영역(151E), 및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선택하여 수행하기 위한 영역(151F)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n the standby screen, an area for selecting whether to listen to songs included in the album through a streaming service or to download the songs or to select whether to provide a music video for the songs is provided. 151B, an area 151C displaying the list of songs, an area 151D for selecting a song to be streamed, downloaded or provided with a music video, an area 151E for selecting a song to be added to a playlist list , And an area 151F for selecting and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dedicated applica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이동 단말기(100)로의 콘텐츠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참고로, 상기 흐름도는 NFC 카드(10)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특정 가수의 앨범인 경우, 상기 앨범에 수록된 노래가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서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과정을 설명한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process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o the mobile terminal 100, which is performed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whe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10 is an album of a specific singer, the song included in the album is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o the mobile terminal 100. Hereinafter, the content provid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necessary drawings.

콘텐츠 제공 전용 앱의 대기 상태에서(S240), 사용자가 앨범에 수록된 노래를 선택한다(S250). 그런 다음, 상기 사용자가 선택된 노래 듣기를 선택한다(S260). 그러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노래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요청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300)의 제어부(380)는 데이터베이스(400)에서 상기 선택된 노래를 검색한 다음 상기 선택된 노래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S270). 여기서, 상기 선택된 노래는 음원 파일일 수 있고, 상기 선택된 노래에 대응되는 뮤직 비디오에 대응되는 동영상 파일일 수도 있다. 이는 향후 살펴볼 선택된 노래의 다운로드 서비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e standby state of the content providing app (S240), the user selects a song contained in the album (S250). Then, the user selects to listen to the selected song (S260). Then, 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quests the streaming service for the selected song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he control unit 380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s selected in the database 400 After searching for a song, a streaming service for the selected song is provided (S270). Here, the selected song may be a sound source file or a video file corresponding to a music video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ong. The same may be applied to the download service of the selected son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노래에 대한 다운로드를 선택한다(S280). 그러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다운로드 정책 문구를 표시한다(S290). 상기 다운로드 정책 문구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로드는 최대 2개의 디바이스까지만 가능합니다." 등과 같이 상기 선택된 노래를 다운로드 하는 디바이스를 제한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다운로드 정책 문구는 상기 선택된 노래의 다운로드 횟수를 제한하는 내용일 수도 있다.However, the user selects a download for the selected song (S280). Then,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download policy phrase on the display unit 151 (S290). The download policy phrase is shown in Figure 12, "Downloading is possible only up to two devices." It may be to limit the device for downloading the selected song, such a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download policy phrase may be content that limits the number of downloads of the selected song.

그런 다음, 제어부(180)는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상기 선택된 노래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상기 선택된 노래의 다운로드 횟수는 이동 단말기(100)의 저장부(160) 및 데이터베이스(400)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다(S300). 그러면, 제어부(380)는 사용자 확인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400)에서 상기 선택된 노래를 검색하고 상기 선택된 노래를 다운로드 방식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한다(S310).Then, the controller 180 request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o download the selected song, and the number of downloads of the selected song is at least one of the storage unit 160 and the database 400 of the mobile terminal 100. It is stored in (S300). Then, the controller 380 searches for the selected song in the database 400 after confirming the user and provides the selected song to the mobile terminal 100 in a download manner (S310).

도 13 내지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과정에 따라서 선택된 노래의 뮤직 비디오에 대응되는 동영상이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자 기기로(100) 제공되는 예들을 나타낸다.13 to 15 illustrate examples in which a video corresponding to a music video of a selected song is provid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a streaming manner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ing process illustrated in FIG. 12.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선택된 노래의 뮤직 비디오에 대응되는 동영상이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억세스 포인트(200)를 경유하여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it can be seen that a video corresponding to the music video of the selected song can be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o the mobile terminal 100 via the access point 200.

도 14를 참조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억세스 포인트(200)를 경유하여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된 뮤직 비디오 동영상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으로 연결된 다른 전자 기기(600)에 공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전자 기기(600)와의 동영상 공유는 앞서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본바 있는 핸드오버 기능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전자 기기(600)와의 동영상 공유는 일반적인 N-스크린 기술, 홈네트워킹 기술 등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4, as illustrated in FIG. 13, a music video video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via the access point 200 is shared with another electronic device 600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It can be seen that. Video sharing with other electronic device 600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handover func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In addition, video sharing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600 may be performed based on general N-screen technology, home networking technology, and the like.

도 15를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뮤직 비디오 동영상을 수신한 전자 기기(100)가 상기 뮤직 비디오 동영상의 음향 신호를 별도의 스피커 시스템(700)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만약,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되는 콘텐츠가 음원 파일이라면 스피커 시스템(700)은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콘텐츠를 직접 수신하여 출력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일 수도 있다. 물론 이는 스피커 시스템(700)에 NFC 카드(10)와의 NFC 링크를 형성할 수 있는 기능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Referring to FIG. 15, the electronic device 100 receiving the music video video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output the sound signal of the music video video through a separate speaker system 700. If the content provided by the streaming service is a sound source file, the speaker system 700 may be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directly receives and outputs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Of course, this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speaker system 700 is equipped with a function for forming an NFC link with the NFC card 10 and a function for connecting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제공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방법을 살펴 본다.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ent providing method perform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low. A method of providing the content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necessary drawings.

먼저, 데이터베이스(400)에는 NFC 카드(10)의 식별 정보, 전자 기기(100)의 식별 정보, 및 콘텐츠가 저장된다(S400). NFC 카드(10)의 식별 정보는 NFC 카드(10)의 시리얼 넘버일 수 있고, 전자 기기(100)의 식별 정보는 전자 기기(100)의 전화 번호나 시리얼 넘버 등의 식별 수단일 수 있다.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10,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content are stored in the database 400 (S40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10 may be a serial number of the NFC card 1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identification means such as a telephone number or a serial number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상술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상태에서, 전자 기기(100)로부터 NFC 카드(10)의 식별 정보, 전자 기기(100)의 식별 정보, 및 선택된 콘텐츠가 저장된 네트워크 어드레스가 통신부(310)를 통하여 전자 기기(100)로부터 수신된다(S410).With the above-described data stored in the database 40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1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network address where the selected content is stor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are used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unit 310. It is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S410).

여기서, NFC 카드(10)의 식별 정보는 전자 기기(100)에서 NFC 카드(10)에 대한 태깅을 통하여 형성되는 NFC 링크를 통하여 NFC 카드(10)로부터 전자 기기(100)로 수신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콘텐츠가 저장된 어드레스 역시, 상기 NFC 링크를 통하여 수신된 NFC 카드(10)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저장된 복수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중 선택된 네트워크 어드레스일 수 있다.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10 may b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FC card 10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an NFC link formed by tagging the NFC card 10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have. The address at which the selected content is stored may also be a selected network address among a plurality of network addresses at which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10 received through the NFC link is stored.

NFC 카드(10)의 식별 정보 등이 수신되면, 콘텐츠 제공 서버(300)의 제어부(380)는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NFC 카드(10)의 식별 정보 및 전자 기기(100)의 식별 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한다(S420).Wh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of the NFC card 10 are received, the controller 380 o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determin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10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based on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400. Authentication is perform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420).

여기서, NFC 카드(10)의 식별 정보에 대한 인증이라 함은, NFC 카드(10)의 식별 정보가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어 있는 유효 식별 정보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자 기기(100)의 식별 번호에 대한 인증이라 함은, 전자 기기(100)의 식별 정보와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전자 기기(100)가 콘텐츠를 제공받을 장치로 미리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authentication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10 means to confirm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10 is vali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400. In addition, authentication of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refers to compa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with the data stored in the database 400 and registering the electronic device 100 in advance as a device to which the content is to be provided. It means to check if it is.

도 16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통신부(310)를 통하여 더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인증 과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인증 역시,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NFC 카드(10)에 대한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6,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further receiv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and may further perform an authentication process for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of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lso means comparing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400 wit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confirm whether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for the NFC card 10.

상기 인증 절차들이 완료되면, 제어부(380)는 상기 수신된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저장된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400)에서 검색하고(S430), 상기 검색된 콘텐츠를 전자 기기(100)로 제공한다(S440).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색된 콘텐츠가 전자 기기(100)로 제공되는 방식에는 다운로드 방식과 스트리밍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검색된 콘텐츠가 제공되는 방식은 전자 기기(100)의 사용자가 전자 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결정한 것일 수 있다.When the authentication procedures are completed, the controller 380 retrieves the content stored in the received network address from the database 400 (S430), and provides the retrieved content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S440). As shown in FIG. 16, there may be a download method and a streaming method in which the searched content is provid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manner in which the searched content is provided may be determined by a user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a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제공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전자 기기(100)는 이동 단말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7의 흐름도는 도 16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방법의 수행 과정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방법을 살펴 본다.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ent providing method perform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 the electronic device 100 is assumed to be a mobile terminal. For reference, a flowchart of FIG.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 process of executing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illustrated in FIG. 16. Below. A method of providing the content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necessary drawings.

NFC 카드(10)에 대한 태깅이 수행되면, 이동 단말기(100)의 NFC 통신 모듈(114A)은 NFC 카드(10)와 NFC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S500), 상기 NFC 링크를 통하여 NFC 카드(10)의 식별 정보 및 NFC 카드(10)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저장된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수신한다(S510).When tagging is performed on the NFC card 10,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114A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ms an NFC communication link with the NFC card 10 (S500), and the NFC card 10 through the NFC link.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network address in which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10 is stored (S510).

그런 다음,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NFC 카드(10)에 대응되는 콘텐츠 중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을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520).Then, the controller 180 of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user interface on the display unit 151 for selecting content to be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amo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10 ( S520).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특정 영역을 클릭하거나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특정 콘텐츠가 선택된 것을 인식한다(S530). 그런 다음,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NFC 카드의 식별 정보, 상기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이동 단말기(100)의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S540). 즉, 제어부(180)는 이러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요청을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When the user clicks or touches a specific area of the user interface, the controller 180 recognizes that a specific content is selected (S530). Then, the controller 18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NFC card, the network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tent,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t transmits (S540). That is, the controller 180 transmits a content providing request including such data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도 17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더 전송할 수 있고,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한 인증 과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7, the mobile terminal 100 may further transmit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further perform an authentication process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may be.

그런 다음,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한다(S550).Then, the mobile terminal 100 receives the selected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n a download or streaming manner (S550).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 수행되는,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이동 단말기(100)로의 콘텐츠 제공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과정을 살펴 본다.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process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o the mobile terminal 100, which is performed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tent provid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necessary drawings.

먼저,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NFC 카드(10)에 태깅된 이동 단말기(100)가 콘텐츠 제공 서버(300)의 접속을 인식한다(S600). 그러면,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NFC 카드(10)의 식별 번호 및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식별 번호를 수신하여, NFC 카드(10) 및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S610).First,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recognizes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tagged on the NFC card 10 is connec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S600). The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NFC card 10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for the NFC card 10 and the mobile terminal 100 Authentication is performed (S610).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NFC 카드(10)에 대응되는 메인 콘텐츠(main contents)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620). 그리고,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NFC 카드(10)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부가 콘텐츠(additional contents)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630).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100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main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10 (S620).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searches for additional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10 in a database and transmits the additional contents to the mobile terminal 100 (S630).

한편, 메인 콘텐츠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되는 콘텐츠이다. 즉, 메인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되는 콘텐츠이다. 부가 콘텐츠는 서버(300)가 임의로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이다. 즉, 부가 콘텐츠는 사용자의 선택과 무관하게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될 수 있는 콘텐츠이다. Meanwhile, the main content is content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based on the network addres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is, the main content is content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by the user's selec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additional content is content that the server 300 can optionally provide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at is, the additional content is content that may b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regardless of the user's selection.

NFC 카드가 특정 가수의 앨범 관련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것임을 가정한다. 이 경우, 메인 콘텐츠는 상기 앨범에 수록된 노래의 음원 파일, 상기 앨범에 수록된 노래의 뮤직 비디오 등일 수 있고, 부가 콘텐츠는 특정 가수의 이미지, 앨범 재킷, 인터뷰 영상 등일 수 있다.It is assumed that the NFC card is intended to be provided with content related to the album of a specific singer. In this case, the main content may be a sound source file of a song contained in the album, a music video of a song contained in the album, and the additional content may be an image of an artist, an album jacket, an interview image, and the like.

다시 도 18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메인 콘텐츠를 선택한다. 그러면,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메인 콘텐츠가 저장된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상기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수신한 다음(S640), 상기 수신된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저장된 콘텐츠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650).Referring back to FIG. 18, a user selects main content through a user interface provid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Then,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network address storing the main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the network address (S640). The content stored in the network address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S650).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과정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에 NFC 카드에 따라 서로 다른 부가 콘텐츠가 제공된 예들을 나타낸다. 도 19를 참조하면, 그룹 '소녀시대'의 앨범에 대응되는 NFC 카드1, NFC 카드2, NFC 카드3 각각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가수의 이미지가 백그라운드 화면으로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19에서 부가 콘텐츠는 백드라운드 화면으로 제공되는 가수의 이미지이다.FIG. 19 illustrates examples in which different additional content is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NFC card according to the content providing process illustrated in FIG. 18. Referring to FIG. 19, it can be seen that images of different singers are provided as background screens for each of the NFC card 1, the NFC card 2, and the NFC card 3 corresponding to the album of the 'Girls' Generation'. That is, in FIG. 19, the additional content is an image of a singer provided as a backround screen.

도 19에 도시된 바와 달리,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서버(300)에 접속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4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부가 콘텐츠를 랜덤하기 선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NFC 카드 태깅시마다 다른 이미지를 백그운드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Unlike FIG. 19,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ccesses the server 30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randomly selects additional content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400 to move the content. It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100. That is,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rovide a different image as a background screen for each NFC card tagging.

이상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전자 기기 기기,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rver,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system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이동 단말기(100)는 NFC 카드(10)의 태깅(tagging)에 따라 NFC 카드(10)에 내장된 NFC 태그 및 상기 NFC 카드가 태깅한 이동 단말기(100)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That is,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first information including an NFC tag embedded in the NFC card 10 and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agged by the NFC card 10 according to tagging of the NFC card 10.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상기 제1 정보는 NFC 태그의 식별정보, 이동 단말기(100)의 기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tag and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further includ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input.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NFC 태그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콘텐츠를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search fo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tag based on the first information, and provide the searched content to the mobile terminal 100.

이하에서는 NFC 카드의 소유자가 상기 NFC 카드를 태깅할 전자 기기를 변경한 경우의 예에 대하여 필요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case where an owner of an NFC card changes an electronic device to tag the NFC car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0은 NFC 카드를 태깅할 전자 기기가 변경된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의 동작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erver when an electronic device to tag an NFC card is changed. FIG. 2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20.

도 20 내지 도21을 참조하면, 먼저, NFC 카드(10)와 제1 태깅된 단말기(100_1)와 관련된 식별 정보를 데이베이스(400)에 저장함으로써, NFC 카드(10)를 상기 단말기(100_1)에 등록할 수 있다(S700).20 to 21, first, by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NFC card 10 and the first tagged terminal 100_1 in the database 400, the NFC card 10 is stored in the terminal 100_1. It can be registered at (S700).

여기서,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는 제1 태깅된 단말기(100_1)와 관련된 식별정보는 사용자 정보(User ID), 단말기 정보(Device ID)(410), NFC 카드 식별 정보(NFC ID)(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 단말기 정보, NFC 카드의 식별 정보는 하나의 세트(set)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first tagged terminal 100_1 stored in the database 400 may include user information (User ID), terminal information (Device ID) 410, and NFC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NFC ID) 420. It may include. In addition, the user information, the terminal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may be configured in one set.

예를 들어, 제1 태깅된 단말기(100_1)는 사용자 식별정보(User ID) A1, 태깅된 기기의 식별 정보(Device ID) B1 및 NFC 카드 식별 정보(NFC ID) C1을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면,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상기 A1,B1,C1을 하나의 세트(set)로 구성하여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형식으로 구성하여 데이터 베이스(400)에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tagged terminal 100_1 may provide the user ID A1, the device ID B1 of the tagged device, and the NFC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NFC ID) C1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n this cas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configure the A1, B1, and C1 as a set, and configure the A1, B1, and C1 in a table form as shown in FIG. 21 to store the data in the database 400.

이와 같이, 특정 단말기(100_1) 특정 NFC 카드(10)를 등록하는 과정을 거친 후, 상기 특정 NFC 카드(10)를 상기 특정 단말기(100_1)에 재차 태깅하면,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소정의 인증 과정만을 거친 후, 태깅된 NFC 카드(10)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특정 단말기(100_1)로 전송할 수 있다.As such, after the process of registering the specific terminal 100_1 specific NFC card 10, if the specific NFC card 10 is tagged again to the specific terminal 100_1,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s a predetermined After only the authentication proces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agged NFC card 10 may be transmitted to the specific terminal 100_1.

그러나, 상기 특정 NFC 카드(10)가 태깅되는 단말기가 변경될 수 있다.However, the terminal to which the specific NFC card 10 is tagged may be changed.

다시 도 20를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NFC 카드(10)와 제2 태깅된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 및 제2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710).Referring back to FIG. 2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receiv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agged terminal from the NFC card 10 and the second tagged terminal (S710).

이는 제1 태깅된 단말기(100_1)와 제2 태깅된 단말기(100_2)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동일한 것을 전제로 한다. 즉, NFC 카드를 사용하는 자가 휴대폰을 변경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폰을 변경하여, NFC 카드(10)를 변경된 휴대폰에 태깅하는 경우, 이전에 사용하던 휴대폰 및 변경된 휴대폰으로의 콘텐츠 제공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assumes that a user using the first tagged terminal 100_1 and the second tagged terminal 100_2 are the same. That is, it can be applied when the person using the NFC card changes the mobile phone. Therefore, when the user changes the mobile phone and tags the NFC card 10 to the changed mobile phone,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control the provision of content to the mobile phone and the changed mobile phone that were used previously.

그리고,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400)에 저장된 대응하는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100_2)로 소정의 콘텐츠의 제공을 제어할 수 있다(S720).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control the provision of the predetermined content to the second tagged terminal 100_2 according to whether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es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400. It may be (S720).

예를 들어, 사용자가 NFC 카드를 태깅하는 기기를 변경한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제2 태깅된 단말기(100_2)로 부터 사용자 식별정보(A1), 태깅된 기기의 식별 정보(B2), NFC 카드 식별 정보(C1)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changes the device tagging the NFC car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from the second tagged terminal (100_2)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1),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gged device (B2) , NFC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1) can be received.

이에 따라,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 베이스(400)에 기 저장된 식별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즉, 제1 태깅된 단말기(100_1)로부터 수신되어 등록된 A1,B1,C1와 제2 태깅된 단말기(100_2)로부터 수신된 A1,B2,C1을 비교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compa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400. That is, A1, B1, C1 received and registered from the first tagged terminal 100_1 and A1, B2, C1 received from the second tagged terminal 100_2 may be compared.

여기서,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A1 및 C1은 동일하지만, B1이 B2로 변경되었음을 인식한다. 이에 따라,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제1 태깅된 단말기(100_1)로의 콘텐츠 제공이 제한될 수 있음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제1 태깅된 단말기(100_1) 및 제2 태깅된 단말기(100_2)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recognizes that A1 and C1 are the same but B1 is changed to B2. Accordingl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provides at least one of the first tagged terminal 100_1 and the second tagged terminal 100_2 with a guid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rovision of the content to the first tagged terminal 100_1 may be restricted. Can be provided in one.

도 22는 NFC 카드를 태깅할 전자 기기가 변경된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가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n operation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content by a content providing server when an electronic device to tag an NFC card is changed. FIG. 23 is a diagram for describing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22.

도 22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제1 태깅된 단말기(100_1)의 식별 정보와 제2 태깅된 단말기(100_2)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00).22 to 23,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determine whet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agged terminal 100_1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agged terminal 100_2 coincide with each other ( S800).

제1 태깅된 단말기(100_1)의 식별 정보가 제2 태깅된 단말기(100_2)의 식별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제1 태깅된 단말기(100_1)와 형성된 제1 통신 링크를 단절시키고(S820), 제 태깅된 단말기와 제2 통신 링크를 새롭게 연결할 수 있다(S820).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agged terminal 100_1 does not mat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agged terminal 100_2,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form a first communication link formed with the first tagged terminal 100_1. In operation S820, the second tagged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newly connected (S820).

그리고,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통해 제2 태깅된 단말기(100_2)로 소정의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상기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되는 콘텐츠는 태깅된 NFC 태그와 관련된 콘텐츠이며, 상기 콘텐츠는 제2 태깅된 단말기(100_2)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콘텐츠이다.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transmit predetermined content to the second tagged terminal 100_2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link.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provide the content in a streaming or download manner. In addition, the provided content is content associated with a tagged NFC tag, and the content is content provided based on a network address received from the second tagged terminal 100_2.

도 24는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NFC 카드의 태깅에 사용자의 사용 기록을 저장하는 동작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24 is an exemplary flowchart of an operation of storing a user's usage record in tagging of an NFC card at a content providing server.

도 24를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NFC 태그(10)가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 적어도 한 번 이상의 태깅이 이루어지는 경우(S431), 태깅 동작이 수행될 때 마다 사용자 식별정보(User ID), 태깅된 기기의 식별 정보(Device ID), NFC 카드의 식별 정보(Card ID)가 데이터 베이스(400)에 기 등록된 식별정보들과 일치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832).Referring to FIG. 24, when the NFC tag 10 is tagged with at least one device at least one time (S431),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use user ID information whenever a tagg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operation S832, it may be monitored whet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vice ID) of the tagged devic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rd ID) of the NFC card mat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database 400.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833).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일치하지 않는 식별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콘텐츠 제공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다운로드 되는 기기를 제한하거나 스트리밍 되는 기기를 제한할 수 있다(S834).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does not match (S833).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change the content providing method when there is a mismatch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That i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limit the device to be downloaded or limit the device to be streamed (S834).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정보는 NFC 카드(10)가 태깅되는 단말기의 식별 정보,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식별정보는 기 등록된 식별정보와 동일하고, NFC 카드(10)가 태깅되는 단말기의 식별 정보만이 상이할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스트리밍 방식의 콘텐츠 제공은 무제한으로 제공하되, 다운로드 방식의 콘텐츠 제공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스트리밍 방식의 콘텐츠 제공 및 다운로드 방식의 콘텐츠 제공 모두 제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on which the NFC card 10 is tagged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herefore, the ot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he same as the previously registe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f on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ag the NFC card 10 is different,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provides an unlimited amount of streaming content provision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limit the provision of the downloadable content. Also, for exampl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limit both the streaming content providing and the download content providing.

한편,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특정 NFC 카드(10)에 대한 태깅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통계를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NFC 카드가 제1 단말기에 N번 태깅되었음을 기록할 수 있고, 제1 NFC가 태깅된 기기가 제1 단말기에서 제2 단말기로 변경되었음을 기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record and store the user's usage statistics for the tagging information for the particular NFC card 10. For example, it may record that the first NFC card has been tagged N times to the first terminal, and may record that the device tagged with the first NFC is changed from the first terminal to the second terminal.

한편,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특정 NFC 카드에 대한 사용자의 태깅 기록을 소정의 주기마다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transmit the user's tagging record for the specific NFC card to the user's terminal at predetermined intervals.

이하에서는, NFC 카드의 태깅 기록을 반영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300)가 소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을 변경하는 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구매한 NFC 카드를 제2 사용자에게 양도하는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상기 NFC 카드에 대응되는 콘텐츠의 제공을 제어할 수 있다.
Hereinafter, an example of changing the manner in whic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provides predetermined content by reflecting the tagging record of the NFC card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when the NFC card purchased by the first user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user,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control the provision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도 25는 동일한 NFC 카드에 대하여 상기 NFC 카드의 사용자와 NFC 카드가 태깅되는 단말기가 모두 변경된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상기 NFC 카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동작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FIG. 25 is an exemplary flowchart of an operation of provid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in a content providing server when both the user of the NFC card and a terminal tagged with the NFC card are changed with respect to the same NFC card.

도 26 내지 도 27은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6 to 27 are diagrams for describing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25.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제1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제2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 정보가 동일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S900). 즉,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동일한 NFC 카드가 태깅되는 단말기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25 to 27,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determine whet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agged terminal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agged terminal are the same (S900). That i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tagged with the same NFC card is changed.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제1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 정보와 제2 태깅된 단말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NFC 카드가 태깅되는 단말기가 변경된 것으로 인식한다.Meanwhi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agged terminal and the second tagged terminal do not match, the terminal to which the NFC card is tagged is recognized as changed.

그런 후,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제1 태깅된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자 식별 정보(User ID)와 제2 태깅된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자 식별 정보(User ID)가 동일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S910). 즉,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NFC 카드의 소유자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D information (User ID) registered in the first tagged terminal and the user ID information (User ID) registered in the second tagged terminal are the same (S910). ). That i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determine whether the owner of the NFC card has changed.

제1 태깅된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제2 태깅된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겨우(S910:아니오),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전송 방식에 따라 제2 태깅된 단말기로의 콘텐츠 제공 방식을 제어할 수 있다(S920).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registered in the first tagged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registered in the second tagged terminal do not match (S910: N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the content transmission method is the second The method of providing content to the tagged terminal may be controlled (S920).

상기 콘텐츠 전송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전송 방식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음악 파일을 "듣기" 또는 "다운로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transmission scheme may include a streaming scheme or a download scheme. In addition, the content transmission scheme may be set at the request of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the selected content by selecting either "listening" or "downloading" a particular music file.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별도의 제한 없이 NFC 카드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2 태깅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S930).For example, when providing content in a streaming manner,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transmit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to the second tagged terminal in a streaming manner without restriction.

또한,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해당 콘텐츠의 다운로드 회수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provides content in a download manner,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check the number of download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상기 다운로드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S940:예),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제2 태깅된 단말기(100_2)로 콘텐츠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S950). 혹은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미리 정해진 다운로드 횟수가 초과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2 태깅된 단말기(100_2)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number of downloads exceed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S940: YE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stop the content transmission to the second tagged terminal (100_2) (S950). Alternatively,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transmit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redetermined number of downloads has been exceeded to the second tagged terminal 100_2.

또한, 다운로드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S940:아니오),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태깅된 NFC 카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2 태깅된 단말기(100_2)에 제공할 수 있다(S955).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downloads does not exce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S940: N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provide the second tagged terminal 100_2 with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agged NFC card to the download method. There is (S955).

도 26을 참조하면, 사용자 A(User A)는 구매한 NFC 카드(10)를 사용자 B(User B)에게 양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6, User A may transfer the purchased NFC card 10 to User B.

사용자 A는 제1 태깅 단말기(100_1)에 NFC 카드(10)를 태깅하고 콘텐츠 제공서버(300)에 상기 NFC 카드(10)와 관련된 식별 정보를 미리 등록한 상태일 수 있다.The user A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NFC tag 10 is tagged with the first tagging terminal 100_1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NFC card 10 is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이와 같은 경우, 상기 NFC 카드(10)를 양도받은 사용자 B가 NFC 카드(10)를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제2 태깅 단말기(100_2)에 태깅할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제2 태깅 단말기(100_2)로 콘텐츠를 제공하되, 스트리밍 방식의 콘텐츠 제공은 무제한을 제공하고, 다운로드 방식의 콘텐츠 제공은 다운로드 횟수에 따라 콘텐츠 제공을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B who has received the NFC card 10 tags the NFC card 10 to the second tagging terminal 100_2 that he or she is using,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is the second tagging terminal. Providing the content at 100_2, the streaming content providing is unlimited, and the downloading method providing the content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downloads.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A가 NFC 카드 구매시 미리 설정된 다운로드 횟수를 모두 사용한 경우(NFC 카드 사용기록을 참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음), 제2 태깅 단말기(100_2)로의 콘텐츠 다운로딩 서비스는 제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when the user A has used all of the preset download number when purchasing the NFC card (which can be checked by referring to the NFC card usage record), the content downloading service to the second tagging terminal 100_2. Can be limited.

도 27을 참조하면, NFC 카드(10)가 제2 태깅 단말기(100_2)에 태깅됨에 따라,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상기 NFC 카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대기 화면을 제2 태깅 단말기(100_2)에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7, as the NFC card 10 is tagged to the second tagging terminal 100_2,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display a standby screen for provid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100_2).

그리고,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상기 대기 화면을 통해 소정의 콘텐츠(AAAAAAA)에 대하여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NFC 카드(10)의 사용 기록을 확인하고, 해당 콘텐츠 (AAAAAA)의 다운로드 횟수가 기 설정된 다운로드 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a signal for requesting download of a predetermined content (AAAAAAA) through the idle scree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checks the usage record of the NFC card 10 and checks the corresponding content (AAAAAA).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downloads exceeds the preset number of downloads.

상기 확인 결과, 해당 콘텐츠의 다운로드 횟수가 기 설정된 다운로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다운로드 횟수가 초과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2 태깅된 단말기(100_2)로 전송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the number of downloads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exceeds a preset number of download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transmit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number of downloads has been exceeded to the second tagged terminal 100_2.

한편, 사용자는 구매한 NFC 카드를 자신의 단말기에 태깅함으로써,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지속적으로 상기 저장된 콘텐츠를 이용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user may tag the purchased NFC card on his terminal to store the content downloa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in a memory and continuously use the stored content.

그러나,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분실한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의 실행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However, when the user loses his terminal,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needs to restrict the execution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이하, 사용자가 단말기를 분실한 경우, 단말기에 기 저장된 콘텐츠의 실행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content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when the user loses the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8 and 29.

도 28은 NFC 카드 태깅에 따라 다운로딩 된 콘텐츠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 서버 동작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8 is an exemplary flowchart of a content providing server operation for controlling execution of downloaded content according to NFC card tagging. FIG. 29 is a diagram for describing the exemplary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8.

도 28를 참조하면, NFC 카드가 소정의 단말기에 태깅되면, NFC 카드가 태깅된 단말기는 사용자 식별정보(User ID), NFC 카드가 태깅되는 기기의 식별 정보(Device ID), NFC 카드의 식별 정보(NFC ID)를 콘텐츠 제공 서버(300)를 통해 등록할 수 있다(S1010).Referring to FIG. 28, when an NFC card is tagged to a predetermined terminal, the terminal tagged with the NFC card may include user ID information, device ID information on which the NFC card is tagged,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NFC ID) may be registered throug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S1010).

NFC 카드 등록 과정이 종료된 이후 NFC 카드가 재차 태깅되면(S1020), 콘텐츠 서버(300)로부터 소정의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S1030). 그리고, NFC 카드가 태깅된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저장공간에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S1040).If the NFC card is tagged again after the NFC card registration process is terminated (S1020), the predetermined content may be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er 300 (S1030). In addition, the terminal tagged with the NFC card may separately store the received content in a storage space (S1040).

콘텐츠 제공 서버(300)가 NFC 카드(10)가 태깅된 단말기에 소정의 콘텐츠를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하는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상기 NFC 카드(10)가 상기 단말기로의 태깅 주기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S1040).Whe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provides a predetermined content to the terminal tagged with the NFC card 10 in a download manner,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onitors the tagging cycle of the NFC card 10 to the terminal. It may be (S1040).

즉, 다운로드 방식으로 소정의 콘텐츠가 제1 단말기에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 단말기를 분실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를 습득한 사용자는 상기 제1 단말기에 저장된 콘텐츠를 무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상기 NFC 카드(10)가 상기 제1 단말기에 태깅되어야, 저장된 콘텐츠가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when a user loses the first terminal while a predetermined content is provided to the first terminal in a download manner, the user who has acquired the first terminal may use the content stored in the first terminal without permission. .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control the NFC card 10 to be tagged with the first termi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ycle so that the stored content is executed.

즉,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상기 제1 단말기로 소정의 콘텐츠가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된 경우,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NFC 카드의 태깅 동작이 존재하지 않으면(S1050), 상기 제1 단말기에 저장된 콘텐츠의 실행을 제한할 수 있다(S1060).That is, when the predetermined content is provided to the first terminal in a download manner, if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does not have a tagging operation of the NFC card for a predetermined period (S1050), execution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first terminal is performed. It may be limited (S1060).

이에 따라, 제1 단말기를 습득한 자는 NFC 카드없이는 상기 제1 단말기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시킬 수 없게 된다.Accordingly, the person who has acquired the first terminal cannot play the content stored in the first terminal without the NFC card.

도 29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100)는, NFC 통신 모듈을 통해 NFC 카드와 태깅되고,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상기 NFC 카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Referring to FIG. 29, the first terminal 100 is tagged with an NFC card through an NFC communication module, and receives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from a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and stores it in a memory.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는 NFC 카드 태깅에 의해 획득된 콘텐츠와 NFC 카드의 태깅과 관련없는 콘텐츠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NFC 카드의 태깅에 따라 제1 단말기(100)에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하여 소정의 식별 표지(I1,I2)를 부가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may include both content obtained by NFC card tagging and content not related to tagging of the NFC card. In order to distinguish thi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add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marks I1 and I2 to the content provided by the first terminal 100 in a download manner according to the tagging of the NFC card.

이에 따라, 제1 단말기(100)는 NFC 카드 태깅에 따라 다운로딩된 콘텐츠(AAA,DDD)를 사용자에게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terminal 100 may separately provide the downloaded contents (AAA, DDD) according to the NFC card tagging to the user.

사용자가 제1 단말기(100)를 분실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분실 신고를 하는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상기 제1 단말기(100)에 저장된 NFC 태깅 콘텐츠(AAA,DDD)의 실행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1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user loses the first terminal 100 and reports the loss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determine the NFC tagged content (AAA, DDD) stored in the first terminal 100. A control signal for limiting execu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100.

상기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상기 NFC 태깅 콘텐츠(AAA,DDD)에 기간 DRM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signal may include, for example, a signal for setting a period DRM in the NFC tagged content (AAA, DDD).

이에 따라, 상기 제1 단말기(100)를 습득한 자가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AAA)를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제1 단말기(100)는 실행 제한된 콘텐츠에 대한 실행 요청이 입력되었음을 콘텐츠 제공 서버(300)에 알릴 수 있다. 그러면,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제1 단말기(100)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응되는 NFC 카드의 태깅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1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person who acquired the first terminal 100 wants to execute the content AAA stored in the memory, the first terminal 100 indicates that the execution request for the execution restricted content has been input. You can inform. The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may transmit a message for inducing tagging of the NFC car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tored in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first terminal 100.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1)에서 수행되는콘텐츠 제공 관련 방법 각각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content providing related methods performed in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program form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code as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such description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1: 콘텐츠 제공 시스템 100: 전자 기기
100': 셋톱박스 100": 리모콘
200: 억세스 포인트 250: 인터넷
300: 콘텐츠 제공 서버 400: 데이터베이스
1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20: A/V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51: 디스플레이부, 터치 스크린 152: 음향 출력부
160: 저장부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부
1: content providing system 100: electronic device
100 ': Set-top box 100 ": remote control
200: access point 250: Internet
300: content providing server 400: database
100: mobile terminal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A / V input unit 130: user input unit
140: sensing unit 150: output unit
151: display unit, touch screen 152: sound output unit
160: storage unit 170: interface unit
180: control unit 190: power unit

Claims (18)

통신부;
NFC 카드에 포함된 콘텐츠 소스에 대응하는 콘텐츠와, 상기 NFC 카드와 제1 태깅된 단말기로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NFC 카드와 제2 태깅된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식별정보 및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대응되는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로의 콘텐츠 제공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서버.
A communication unit;
A database including content corresponding to a content source included in an NFC card and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providing the content to the NFC card and a first tagged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of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FC card and the second tagged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agged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matched with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base. A control unit controlling content provision to a tagged terminal;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NFC 카드의 식별정보, 상기 NFC 카드와 제1 태깅된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자 식별정보 및 상기 NFC 카드와 제1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database includes: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to the NFC card and the first tagged terminal,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and the first tagged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태깅된 단말기와 형성된 제1 통신 링크를 단절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와 제2 통신 링크를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agged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agged terminal do not match, disconnect the first communication link formed with the first tagged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 to connect a second tagged terminal with a second communication link, and to transmit the content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link.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태깅된 단말기와 상기 제1 통신 링크가 단절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상기 제1 태깅된 단말기 및 제2 태깅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 a message for notifying that the first tagged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link is disconnected to the first tagged terminal and the second tagged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와 통신 링크의 연결 상태를 상기 제1 통신 링크 상기 제2 통신 링크로 변경할 때 링크 연결의 변경 횟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of link connection change w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mmunication link is chang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link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link, and storing the changed number in the databa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고, 상기 제1 태깅된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자 식별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에 전송하되,
상기 콘텐츠의 전송형식이 다운로드 방식인 경우, 상기 다운로드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의 전송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agged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agged terminal do not match,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to the first tagged terminal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to the second tagged terminal If it does not match, the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agged terminal,
When the transmission format of the content is a download method, when the number of downloads exceed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transmission of the content is stopp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NFC 카드가 태깅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NFC 카드의 태깅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NFC 카드의 태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에서 전송되어 상기 NFC 카드가 태깅된 단말기에 저장된 콘텐츠의 실행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NFC 카드가 태깅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Receiving a signal for monitoring whether the NFC card is tagged from the terminal tagged with the NFC card,
When there is no tagging of the NFC card for a predetermined time,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limit the execution of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tagged with the NFC card to the terminal tagged with the NFC card. Server featur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딩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content to the second tagged terminal based on a streaming scheme or a downloading scheme.
NFC 통신모듈;
콘텐츠 제공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NFC 통신모듈을 통해 NFC 카드와 태깅됨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NFC 카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미리 정해진 주기 동안 상기 NFC 카드와 태깅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의 실행을 제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NFC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content providing server;
A memory storing an application for executing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Running the application as tagged with the NFC card through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stores in the memory, and not tagged with the NFC card for a predetermined period A control unit for limiting execution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는 유효 기간을 갖는 DRM이 설정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includes content in which a DRM having a valid period is se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식별정보가 기 저장된 사용자 식별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의 실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The method of claim 9,
And whe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application does not match a previously stored user identification number, limiting execution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NFC 카드와 제1 태깅된 단말기로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NFC 카드와 제2 태깅된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 및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 및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대응되는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태깅된 단말기로의 콘텐츠 제공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Storing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providing the content to an NFC card and a first tagged terminal in a database;
Receiv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agged terminal from the NFC card and a second tagged terminal; And
Controlling content provision to the second tagged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at least one of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agged terminal matches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included in the database;
Control method of the server comprising a.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태깅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NFC 식별정보, 상기 제1 태깅된 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1 태깅된 단말기에 등록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toring in the database comprises:
Receiving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agged termi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registered to the first tagged terminal from the first tagged terminal; And
Storing the received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database;
The control method of the server further comprising.
NFC 통신모듈을 통해 NFC 카드와 태깅하는 단계;
무선 통신부를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NFC 카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미리 정해진 주기 동안 상기 NFC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NFC 카드와 태깅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콘텐츠의 실행을 제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Tagging with an NFC card through an NFC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card from a content providing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Storing the received content in a memory; And
Limiting execution of the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when not tagged with the NFC card through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는 유효 기간을 갖는 DRM이 설정된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is a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M is set content having a valid perio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실행을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사용자 식별정보가 기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Restricting the execution of the content,
Executing an application for executing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And
Checking whether the input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previously stor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NFC 태그와 태깅됨에 따라 상기 NFC 카드로부터 상기 NFC 태그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 및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NFC 태그의 식별정보, 상기 전자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NFC 태그에 대응하는 특정 콘텐츠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NFC 카드와 제1 태깅된 전자 기기의 식별정보와 상기 NFC 카드와 제2 태깅된 전자 기기의 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태깅된 전자 기기로의 상기 특정 콘텐츠의 제공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깅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that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tag from the NFC card as tagged with the NFC tag; And
And a server configured to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and to transmit specific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tag to the electronic device.
The server comprises:
Controlling the provision of the specific content to the second tagged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whet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and the first tagged electronic devic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and the second tagged electronic device match. NFC tagging-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NFC 태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NFC 카드와 제1 태깅된 전자 기기의 식별정보, 상기 NFC 카드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태깅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7,
The server comprises:
It further includes a database for stor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NFC tag,
The databas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and the first tagged electronic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NFC card,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KR1020120054884A 2012-05-23 2012-05-23 Electronic device, serv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rver KR201301310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884A KR20130131088A (en) 2012-05-23 2012-05-23 Electronic device, serv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r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884A KR20130131088A (en) 2012-05-23 2012-05-23 Electronic device, serv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r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088A true KR20130131088A (en) 2013-12-03

Family

ID=49980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884A KR20130131088A (en) 2012-05-23 2012-05-23 Electronic device, serv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r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1088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81896A1 (en) * 2013-12-06 2015-06-10 Sap Se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based data transfer
KR101585191B1 (en) * 2015-04-02 2016-01-13 주식회사 큐인 Method,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content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round user terminal
KR20160074079A (en) * 2014-12-18 2016-06-2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service method of real time product and company introduce using NFC electronic name card
KR20210022884A (en)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티네트웍스 AR card for enhancing security and system for providing AR contents therewith
CN114963548A (en) * 2021-05-27 2022-08-30 青岛经济技术开发区海尔热水器有限公司 Water heater control method and device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540746B1 (en) * 2022-04-20 2023-06-13 주식회사 메이크스타 Method for providing media content using real object and apparatus for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81896A1 (en) * 2013-12-06 2015-06-10 Sap Se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based data transfer
KR20160074079A (en) * 2014-12-18 2016-06-2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service method of real time product and company introduce using NFC electronic name card
KR101585191B1 (en) * 2015-04-02 2016-01-13 주식회사 큐인 Method,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content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round user terminal
KR20210022884A (en) *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티네트웍스 AR card for enhancing security and system for providing AR contents therewith
CN114963548A (en) * 2021-05-27 2022-08-30 青岛经济技术开发区海尔热水器有限公司 Water heater control method and device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540746B1 (en) * 2022-04-20 2023-06-13 주식회사 메이크스타 Method for providing media content using real object and apparatus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75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60911B1 (en) Mobile Terminal
KR101760424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RU2640727C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playback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is
US9087328B2 (en) Mobile terminal and payment method thereof
KR20150049440A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20128315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20029234A (en) Mobile terminal,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of transferring and receiving data using the same
KR20130131088A (en) Electronic device, serv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rver
KR20150134663A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881936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20110125724A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s shar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KR20130131090A (en) Server providing contents and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in the server
KR101771555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KR10200300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mobile terminal
KR10198746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KR101718030B1 (e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00086358A (en) Portable terminal location tracking system and mehtod
KR20170050235A (en) User equip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access point, system for providing sound source information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1743199B1 (en) Mobile terminal
KR101899073B1 (en) Mobile terminal
KR10158721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necting WLAN Ad-hoc Using The Same
KR101850820B1 (en) Electronic Device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30104133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transceiving contents in the same
KR101638020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ents download method for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