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499A - Power management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sumption pow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wer management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sumption pow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499A
KR20130124499A KR1020137011079A KR20137011079A KR20130124499A KR 20130124499 A KR20130124499 A KR 20130124499A KR 1020137011079 A KR1020137011079 A KR 1020137011079A KR 20137011079 A KR20137011079 A KR 20137011079A KR 20130124499 A KR20130124499 A KR 20130124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ctronic device
management device
dtv
power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10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32628B1 (en
Inventor
김상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24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4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6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8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involving trading of energy or energy transmission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4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power network being locally controll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34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an electric power subs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5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 H02J2310/56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 upon which the selective controlling is based
    • H02J2310/62The condition being non-electrical, e.g. temperature
    • H02J2310/64The condition being economic, e.g. tariff based load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0Energy trading, including energy flowing from end-user application to gr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A power management device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The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es with a power management network.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power limitation request including a limitation quantity for each device to an electronic device after determining a power limitation quantity and assigning the limitation quantity for each device to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response for the power limitation request and controls a power usage quantity of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based on the response. [Reference numerals] (AA) End;(S100) Set a power limitation quantity;(S110) Obtain each electronic device's limitation quantity;(S120) Transmit a request for limiting power consumption;(S130) Receive a corresponding response;(S140) Has the request been accepted ?;(S150) Have negotiations

Description

소비 전력 제어를 위한 전력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POWER MANAGEMENT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SUMPTION POW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POWER MANAGEMENT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SUMPTION POW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비 전력을 제한하여 제한된 소비 전력 내에서 동작하도록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전력관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to operate within a limited power consumption by limiting power consump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최근 에너지 절약 및 효율화가 문제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력수요처에서의 전력사용의 효율화를 위한 지능형 전력망(스마트 그리드)의 도입이 큰 이슈가 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능형 전력망이 도입되면 전력수요에 따라서 전력요금이 달라지는 변동요금제가 도입될 수 있다.Recently, the introduction of an intelligent power grid (smart grid) for the efficient use of power in the power demand in the state of energy saving and efficiency has become a big issue, and when such an intelligent power grid is introduced, the electric power bil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ower demand. Variable rates may be introduced.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가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전자 기기를 스마트 그리드의 도입과 관련하여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technology that can efficiently control various electronic devices used in the home in connec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smart grid.

본 발명의 과제는, 동작에 소요되는 소비 전력에 대한 제한 요청을 수신하고, 그에 따라 결정되는 동작 전력에 따라 동작하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which receive a request for limiting power consumption required for operation and operat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perating pow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Could b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전력관리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전력 제한량을 결정하고,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에 연결된 전자 기기에 할당할 기기별 제한량을 결정한 후, 상기 기기별 제한량을 포함하는 전력 제한 요청을 상기 전자 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전력 제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된 응답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전력사용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관리장치가 개시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And determining a power limit amount, determining a limit amount for each device to be allocated to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and then transmitting a power limit request including the limit amount for each device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requesting the power limit request.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response to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is disclosed.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복수의 전자기기들을 포함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전력 소비를 제어하는 전력관리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들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동작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열화시키거나 중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management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power management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he power management device, the display unit;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And displaying, via the display unit, operations performed in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degrading or stopping at least one selected operation among the operations to the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elected at least one operation. It includes a control uni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항,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복수의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전력 소비를 제어하는 전력관리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전력관리장치는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중 하나인 제1 전자기기로부터 전력 재할당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필요전력 및 할당된 동작 전력에 근거하여 선택하고, 그리고 상기 선택된 제2 전자기기에 전력 제한 요청을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management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 power management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s disclosed. The power management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And receiving a power reassignment request from a first electronic device,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selecting based on the required power and the allocated operating power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selecting the selected second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power limit request.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 기기들에 의한 소비 전력을 관리함으로써, 전력관리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First, power management can be easily performed by managing power consumption by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a network.

둘째, 네트워크에 할당된 소비 전력을 기초로 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각 전자기기들에 할당할 소비 전력을 할당함으로써, 네트워크 전체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Second,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allocated to the network, by allocating power consumption to be allocated to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network,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entire network.

셋째, 하나의 전자기기에 할당된 소비 전력에 변경이 필요한 경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여유 전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더욱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네트워크에 할당된 소비전력의 범위 내에서 네트워크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Third, when the power consumption allocated to one electronic device needs to be change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pare power from other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network, thereby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within the range of power consumption allocated to the network. The network can be made operational.

도 1은 스마트 그리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려고간리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력관리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에너지관리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전력관리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전자기기 중 하나인 DTV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진행되는 협상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에너지관리장치가 사용자에게 우선순위를 질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에너지관리장치가 사용자에게 정지할 전자기기를 질의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전자 기기가 전력 제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전자 기기가 전력의 재할당을 요청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에너지관리장치가 전력관리네트워크에 연결된 전자 기기의 전력 소모를 감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mart grid.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network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n energy management device connected to a power management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DTV, which is one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a power management network.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energ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negotiation procedure perform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ergy management apparatus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querying a priority of a user.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ergy management device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querying a user for an electronic device to be stopped.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performs a power limit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requesting reallocation of power by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onitoring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a power management network by an energ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foregoing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전체 시스템 구성><Full system configuration>

도 1은 스마트 그리드의 개략도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그리드는 화력발전이나 원자력발전 또는 수력발전을 통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소와, 신재생 에너지인 태양광 또는 풍력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소와 풍력발전소를 포함한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mart grid, a smart grid includes a power plant for generating power through thermal power, nuclear power or hydropower, and a solar power plant and a wind power plant using solar or wind power as renewable energy. .

그리고, 상기 화력발전 또는 원자력발전소 또는 수력발전소는 송전선을 통하여 전력소로 전력을 보내고, 전력소에서는 변전소로 전기를 보내어 전기가 가정이나 사무실 같은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hermal power plant or nuclear power plant or hydroelectric power station transmits power to a power station through a transmission line, and the power station sends electricity to a substation so that the electricity is distributed to a demand destination such as a home or an office.

그리고, 신재생 에너지에 의하여 생산된 전기도 변전소로 보내져 각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그리고, 변전소에서 송전된 전기는 전력저장장치를 거쳐서 사무실이나 각 가정으로 분배된다.The electricity produced by the renewable energy is also sent to substations to be distributed to each customer. Then, the electricity transmitted from the substation is distributed to the office or each home via the power storage device.

가정용 전력관리네트워크(Home Area Network, HAN)를 사용하는 가정에서도 태양광이나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 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에 장착된 연료전지를 통하여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산하여 전기를 자체 공급할 수 있고, 남는 전기는 외부에 되팔 수도 있다.Even in homes that use the Home Area Network (HAN), they can produce their own electricity through fuel cells mounted on solar or Plug in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s). The remaining electricity can also be resold to the outside.

그리고, 사무실이나 가정에는 스마트 계측장치 및/또는 스마트 서버가 마련되어서 각 수요처에서 사용되는 전력 및 전력요금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현재 사용되는 전력량 및 전력요금을 인지하여 상황에 따라 전력소모량이나 전력요금을 줄이는 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In addition, smart measuring devices and / or smart servers are installed in offices or homes to identify power and power rates used in each demand in real time. Measures can be taken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electricity bills.

한편, 상기 발전소, 전력소, 저장장치 및 수요처는 양방향 통신이 되기 때문에 수요처에서 일방적으로 전기를 받도록 하는 것만을 떠나서, 수요처의 상황을 저장장치, 전력소, 발전소로 통지함으로써 수요처의 상황에 맞게 전기 생산 및 전기 분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power plant, power station, storage device and the source of demand ar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nly the unilaterally receive electricity from the source of demand, and notify the storage, power station, and power plant of the demand source to produce electricity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ource of demand. Electric distribution can be performed.

한편, 상기 스마트 그리드에서는 수요처의 실시간 전력관리 및 소요전력의 실시간 예측을 담당하는 에너지관리장치(Energy Management System , EMS) 및 전력의 소모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계측장치(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 AMI)가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Meanwhile, in the smart grid, an energy management system (EMS), which is responsible for real-time power management and real-time prediction of power consumption, and a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that measures power consumption in real time are pivotal. Play a role of person.

여기서 스마트 그리드 하에서의 계측장치는 오픈 아키텍쳐를 근거로 하여 소비자를 통합하려는 기반기술로서 소비자에게는 전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전력공급자에게는 시스템상의 문제를 탐지하여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Here, the measuring device under the smart grid is a basic technology for integrating consumers on the basis of open architecture, and provides consumers with the ability to efficiently use electricity, and provides power providers with the ability to operate the system efficiently by detecting problems in the system. do.

여기서, 오픈 아키텍쳐란 일반적인 통신망과는 달리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에서 전기기구가 어느 제조업체에서 제조되었는지 상관없이 모든 전기기구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을 의미한다.Here, the open architecture refers to a standard that allows all electric device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regardless of which manufacturer the electric device is manufactured in the smart grid system, unlike a general communication network.

따라서, 상기 스마트 그리드에서 사용되는 계측장치는 “가격 대 장치(Prices to Devices)”와 같은 소비자 친화적인 효율성 개념을 가능하게 한다.Thus, the instrumentation used in the smart grid enables a consumer friendly efficiency concept such as "Prices to Devices."

즉, 전력시장의 실시간 가격신호가 각 가정에 설치된 에너지관리장치(EMS)를 통하여 중계되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각 전기장치와 통신을 하며 이를 제어하므로 사용자는 에너지관리장치(EMS)를 보고 각 전기장치의 전력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기초로 소모전력량이나 전력요금 한계설정 등과 같은 전력정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에너지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That is, the real-time price signal of the electric power market is relayed through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installed in each home, and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communicates with and controls each electric device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By recognizing the power information of each electric device and performing the power information processing such as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or the limit of the power bill, the energy and cost can be saved.

여기서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되는 로컬에너지관리장치(EMS)와, 상기 로컬에너지관리장치(EMS)와 양방향 통신을 하여 로컬에너지관리장치(EMS)에서 취합된 정보를 처리하는 중앙에너지관리장치(EMS)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에너지관리장치(EMS)로 명명하여 설명하지만, 에너지관리장치는 스마트 서버(Smart server), 스마트 홈 서버(Smart Home Server), 전력관리서버(Power Managing Server), 홈 서버(Home Server) 및 기타 다른 유사한 다른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Her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processes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local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by performing a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used in the office or home, and the local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It can be configured as a central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will be described and described, but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is a smart server (Smart server), smart home server (Smart Home Server), power management server (Power Managing Server), home server (Home) Server) and other similar names.

스마트 그리드에서 공급자와 수요자간의 전력정보에 관한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실시간 전력망 반응”을 현실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피크 수요(Peak demand)를 맞추는데 소요되는 높은 비용을 줄일 수 있다.By enabling real-time communication of power information between suppliers and consumers in the smart grid, “real-time grid response” can be realized, thereby reducing the high cost of meeting peak demand.

도 2는 스마트 그리드의 주요 수요처인 가정에서의 전력관리네트워크(10)를 도시한 것이다.2 illustrates a power management network 10 in a home, which is a major consumer of a smart grid.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는 각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 및 전력요금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스마트 미터)(20) 또는 에너지관리장치(EMS)(30)를 포함한다.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includes a measuring device (smart meter) 20 or an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30 capable of measuring in real time the power and power rates supplied to each home.

여기서 전력요금은 시간당 요금제를 기준으로 하여 과금될 수 있으며, 전력 소모량이 급격하게 증대되는 시간구간에서는 시간당 전력요금이 비싸지게 되거나, 전력소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심야 시간구간과 같은 때에는 시간당 전력요금이 저렴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icity rate may be charged based on the hourly rate plan, and the hourly electricity rate becomes cheaper in a time section in which the power consumption is rapidly increased, or in a late-night time section where power consumption is relatively low. Can be done.

여기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현재의 전기 소모상태 및 외부의 환경(온도, 습도)을 표시하는 화면(31)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입력 버튼(32) 등을 구비한 단말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has a screen 31 for displaying the current state of electricity consumption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temperature, humidity), and a terminal having an input button 32 or the like that can be operated by a user.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 또는 상기 계측장치20)는 다시 가정 내부의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DTV(Digital Television, 100),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에어컨, 조명장치, 차광장치, 식기세척기, 조리기기, 홈서버 또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와 같은 전자 기기와 연결되어, 이들과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 포함된 전자 기기들에서 소모되고 있는 전력을 관리, 전자 기기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를 통해 상기 전자 기기들의 On/Off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기기가 에어컨인 경우,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에어컨의 설정 온도, 풍량 또는 동작 모드 등을 제어할 수 있다.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or the measuring device 20 is again connected to a DTV (Digital Television, 100),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 dryer, an air conditioner, a lighting device, a light shield, a dishwasher, a cooking appliance, It can be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home server or a personal computer to communicate with them bidirectionally. That is,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manage power consumed by the electronic devices included in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s, and in some cases, operate the electronic devices. You can also control. For exampl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control the on / off states of the electronic devices through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an air conditioner,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control the set temperature, air volume or operation mode of the air conditioner.

집안 내부에서의 통신은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와 상기 전자 기기 간의 통신은 직비(ZigBee), 와이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과 같은 유선 통신 기술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전자 기기들은 서로 다른 전자기기들과도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Communication inside the house can be via wireless or wired. For example, communication between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and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mad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ZigBee, Wi-Fi, or Bluetooth, and power line communication. Or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PLC). The electronic devices may communicate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한편,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는 가정에 마련되는 보조전원(50), 즉, 태양광 발전장치 등과 같은 자가발전시설(51)과, 이러한 자가발전시설에서 발생하는 전력을 축전할 수 있는 축전지(52)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has an auxiliary power source 50 provided in the home, that is, a self-generating facility 51, such as a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and a storage battery capable of storing power generated from such a self-generating facility. (52).

그리고, 상기 축전지(52) 이외에 연료전지(53)도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 연결되어 보조전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storage battery 52, the fuel cell 53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to serve as an auxiliary power source.

여기서 상기 보조전원(50)은 전력회사와 같은 외부전원에서 전력을 공급받지 않는 상태에서 가정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auxiliary power source 50 serves to supply power to the home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not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such as a power company.

이와 같은 보조전원에서 공급받을 수 있는 전력량 또는 보조전원(50)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량은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 또는 상기 계측장치(20)에 표시될 수 있다.
The amount of power that can be supplied from such an auxiliary power source or the amount of power charged in the auxiliary power source 50 can be displayed on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or the measuring device 20.

<에너지관리장치의 구성><Configuration of Energy Management Device>

도 3은 전력관리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에너지관리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energy management device connected to a power management network.

에너지관리장치(30)는 통신부(31), 입력부(32), 출력부(33), 메모리(34), 전원부(35) 및 제어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출력부(33)는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33a)와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33b)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31, an input unit 32, an output unit 33, a memory 34, a power supply unit 35, and a control unit 36.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33 may include a display unit 33a for outputting an image and a sound output unit 33b for outputting a sound.

상기 통신부(31)는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 포함되어 있는 전자 기기 또는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의 외부에 있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통신부(31)를 통하여 전력공급자로부터 전력요금전보를 포함하는 스마트 그리드와 관련된 전력정보(이하에서, 스마트 그리드 정보라 함)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31)는, 상기 DTV(100)와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1 may transmit / receive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ncluded in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or an external device external to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For exampl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receive pow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smart grid including the power bill telegram from the power suppli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art grid information). .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1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DTV 100 and a network (eg, the Internet).

또한 상기 통신부(31)는, 유선(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PLC 등) 또는 무선(예를 들어, 직비(Zigbee) 등)으로 스마트 그리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1 may receive smart grid information by wire (eg, Ethernet, PLC, etc.) or wirelessly (eg, Zigbee, etc.).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31)는,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휴대 인터넷, 이동통신망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스마트 그리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lso,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31 may receive the smart grid information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such as wired internet, wireless internet, portable internet,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전력 요금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스마트 그리드 정보의 소스(source) 및 상기 스마트 그리드 정보의 송수신 방식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Sources of the smart grid information including the power rate information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schemes of the smart grid information may vary.

상기 입력부(32)는, 사용자가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또는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The input unit 32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or for input of data.

상기 입력부(32)는, 그 구현 방식에는 특별한 제안이 없다. 일반적으로 키패드 방식, 휠 키 방식, 터치 패드 방식, 터치 스크린 방식 등과 이들의 둘 이상을 병용한 복합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공간 활용성의 증대, 디스플레이 화면의 확대 요구, 디자인적 고려에 의해 터치 스크린 방식이 다수 채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경우에는 입력부(32)와 후술할 디스플레이부(33a)가 하나로 통합될 수도 있다.The input unit 32 has no special proposal in its implementation. In general, a keypad type, a wheel key type, a touch pad type, a touch screen type, or the like may be used in combination. Recently, a large number of touch screen systems have been adopted due to increased space utilization, demand for enlargement of display screens, and design considerations. In this case, the input unit 32 and the display unit 33a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tegrated into one. .

상기 출력부(33)는, 각 종 필요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출력부(33)는 시각 또는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33a) 및 음향출력부(33b)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예를 들어,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햅틱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output unit 33 outputs various necessary data. The output unit 33 is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visual or auditory sense, and may include a display unit 33a and a sound output unit 33b. In addition, the output unit 33 may also output an output (for example, vibration) related to tactile sense. It may further include a haptic module (not shown) for generating.

상기 메모리(34)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34)는, 상기 통신부(31)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 및/또는 상기 입력부(32)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34 store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For example, the memory 34 may store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 and / or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32.

상기 전원부(35)는, 상기 외부전원 및/또는 상기 보조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부(35)는 외부전원 및/또는 상기 보조전원 외에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power supply unit 35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 or the auxiliary power source,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The power supply unit 35 may include a battery mounted insid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in addition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 or the auxiliary power source.

상기 제어부(36)는, 통상적으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6)는, 상기 통신부(31), 입력부(32), 출력부(33), 메모리(34) 및 전원부(35)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36 generally manage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30. The control unit 36 also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unit 31, the input unit 32, the output unit 33, the memory 34, and the power supply unit 35.

이상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에너지관리장치(30)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그리드 정보 등에 기반하여,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 연결되어 있는 각 종 전자 기기(예를 들어,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에어컨, 조명장치, 차광장치, 식기세척기, 조리기기, 홈서버 또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들이 제한된 전력을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전자 기기들로 전력 제한 요청을 송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is,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smart grid information and the like, various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connected to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 Refrigerators, washing machines, dryers, air conditioners, lighting devices, shading devices, dishwashers, cooking appliances, home servers or personal computers, perform a series of operations to consume limited power. For exampl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transmit an electric power limit request to the electronic devices and receive a response thereto. A detailed operation method for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전력량은 단위 시간당 사용되는 전기에너지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순간 전력량의 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power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the amount of electrical energy used per unit time, it will be used to include the concept of the instantaneous amount of power.

<전자 기기의 구성><Configuration of Electronic Equipment>

도 4는 전력관리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전자 기기 중 하나인 DTV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는 비록 DTV(100)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며, 후술할 설명에서 상기 DTV(100)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DTV(100) 외에 다른 전자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4 illustrates a block diagram of a DTV, which is one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a power management network. Although only the DTV 100 is illustrated in FIG. 4,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operation of the DTV 100, bu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other electronic devices in addition to the DTV 100. It is self-evident.

도 4를 참조하면, DTV(100)는 통신부(101), 입력부(102), 출력부(103), 메모리(104), 전원부(105) 및 제어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출력부(103)는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03a)와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103b)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DTV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01, an input unit 102, an output unit 103, a memory 104, a power supply unit 105, and a control unit 106.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103 may include a display unit 103a for outputting an image and a sound output unit 103b for outputting a sound.

상기 통신부(101)는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를 통하여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 및/또는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01)는,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와는 다른 별도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01 may transmit / receive data with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and / or other electronic devices included in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through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01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a separate network from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01)는, 유선(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PLC 등) 또는 무선(예를 들어, 직비(Zigbee) 등)으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 또는 외부 전자 기기로부터 스마트 그리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통신부(101)는,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휴대 인터넷, 이동통신망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스마트 그리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01 may be connected to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or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by wire (for example, Ethernet, PLC, etc.) or wirelessly (for example, Zigbee, etc.). The smart grid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In other words, the communication unit 101 may receive the smart grid information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such as a wired internet, a wireless internet, a portable internet,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입력부(102)는, 사용자가 상기 DTV(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또는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DTV(100)의 입력부(102) 또한,에너지관리장치(30)의 입력부(32)와 마찬가지로, 그 구현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키패드 방식, 휠 키 방식, 터치 패드 방식, 터치 스크린 방식 등과 이들의 둘 이상을 병용한 복합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DTV(100)는 공간 리모컨 또는 키패드 리모컨과 같은 리모트 컨트롤러(도면 미도시)를 통해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02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TV 100 or for inputting data. Like the input unit 32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the input unit 102 of the DTV 100 also ha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its implementation. That is, a keypad method, a wheel key method, a touch pad method, a touch screen method and the like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Furthermore, the DTV 100 may receive an input signal through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such as a spatial remote controller or a keypad remote controller.

상기 출력부(103)는, 각 종 필요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출력부(103)는 시각 또는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03a) 및 음향출력부(103b)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예를 들어,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햅틱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output unit 103 outputs various necessary data. The output unit 103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visual or auditory sound, and may include a display unit 103a and an audio output unit 103b. In addition, the output unit 103 may also output an output (for example, vibration) related to tactile sense. It may further include a haptic module (not shown) for generating.

상기 메모리(104)는, 상기 DTV(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104)는, 상기 통신부(101)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 및/또는 상기 입력부(102)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04 store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TV 100. For example, the memory 104 may store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1 and / or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02.

상기 전원부(105)는, 상기 외부전원 및/또는 상기 보조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DTV(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부(105)는 외부전원 및/또는 상기 보조전원 외에 상기 DTV(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05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 or the auxiliary power source,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DTV 100. The power supply unit 105 may include a battery mounted inside the DTV 100 in addition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 or the auxiliary power source.

상기 제어부(106)는, 통상적으로 상기 DTV(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통신부(101), 입력부(102), 출력부(103), 메모리(104) 및 전원부(105)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06 generally manage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TV 100. The control unit 106 also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unit 101, the input unit 102, the output unit 103, the memory 104, and the power supply unit 105.

이상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DTV(100)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그리드 정보 등에 기반하여,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로부터 전력 제한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결정된 제한된 전력 범위 내에서 상기 DTV(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한다.The DTV 1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information related to power limitation from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30 based on the smart grid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is determined accordingly. A series of operatio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TV 100 is performed within a limited power range.

예를 들어, 상기 DTV(100)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로부터 전력 제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 및 상기 DTV(100)의 현재 동작 상황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청에 및/또는 상기 DTV(100)의 현재 동작 상황 등에 기반하여 결정된 동작 전력(제한된 전력)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DTV(100)에 포함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들(또는 각 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TV 100 receives a power limit request from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and based on the request and information on the current operating status of the DTV 100,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Can send a response to the request. In addition,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DTV 100 may be properly operated within a range of operating power (limited power) determined based on the request and / or the current operating situation of the DTV 100, and the like. (Or each module) can be controll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에너지관리장치의 동작, 에너지관리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 기기의 동작 및 상기 에너지관리장치 및 상기 전자기기들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에너지관리장치의 전력 할당 동작><Power allocation operation of energy management devic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관리장치의 동작이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술한 에너지관리장치(30)에 국한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energ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operation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 3, bu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exampl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nergy management device 30 is not applied.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에너지관리장치가 각 전자 기기에 제한 전력을 할당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들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5, a series of operations for allocating the limited power to each electronic device will be described.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서 소비할 수 있는 전력 제한량을 선택한다(S100). 즉,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를 포함하여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 포함되어 있는 각 종 전자 기기들에 의해서 소비할 수 있는 전력 총량에 대한 제한값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가 각 세대(each home)에 독립적으로 하나씩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상기 전력 제한량은 하나의 세대(one home)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 총량에 대한 제한값이 될 수 있다.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selects a power limit amount that can be consumed in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S100). That is,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select a limit value for the total amount of power that can be consumed by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included in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including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Can be.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is configured independently of each household, one power limit is a limit on the total amount of power consumed by one home. This can be

[전력 제한량의 선택 기준][Selection Criteria for Power Limit]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전력 제한량을 선택함(S100)에 있어서, 다양한 기준 및 정책 및/또는 사용자의 요청사항 등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상기 전력 제한량을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수동적으로 상기 전력 제한량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통신부(31)를 통하여 수신한 스마트 그리드 정보를 고려하여, 고액과금구간에서 전력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소비 전력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전력 제한량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입력부(32)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제한량을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 에너지관리장치(30)가 전력 제한량 및 전력제한 시점을 선택하는 기준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select the power limit in step S100, and may automatically select the power limit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riteria, policies, and / or user requests, and input by the user. The power limit can be selected manually. For exampl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select the power limit amount to limit the power consumption in order to reduce the power cost in the high billing period in consideration of the smart gri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 Can be. Alternativel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select the power limit based on data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32. Hereinafter,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power limit and the power limit point b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에너지관리장치(30)는, 사용자에게 전력 제한량을 입력 받아 이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력 제한량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에너지관리장치(3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전력 제한량을 넘지 않도록 각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전력 제한량을 시간대별로 다르게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비교적 전력 사용량이 많은 아침 시간대(아침 식사 준비 및 출근준비를 위한 시간대) 및 저녁 시간대(저녁 식사 준비 및 TV시청이 많은 시간대)에는 전력 제한량을 좀 더 크게 입력하고, 비교적 전력 사용량이 적은 오후 시간대(출근한 시간대)에는 전력 제한량을 좀 더 작게 입력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너지관리장치(30)는 현재시각의 전력 제한량을 체크하고, 그에 따라 각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30 may receive a power limitation amount from a user and select the power limitation amount based on this. That is,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electronic device so as not to exceed the power limit input by the user. In this case, the user may set the power limit amount by different time zones. For example, a user may enter a larger power limit during a relatively busy hour during breakfast (preparing for breakfast and preparing for work) and during evening (with high dinner preparing and watching TV). In the afternoon time (working time) when the power consumption is low, a smaller power limit can be input. Accordingl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checks the current time limit of power and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each electronic device is performed. Can be controlled.

한편, 에너지관리장치(30)는, 미리 설정된 구간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전력 사용요금 값에 근거하여 순간순간 유동적으로 전력 제한량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력 제한량은, 상기 전력 사용요금 값(이는 전력 요금 정액제에 의하여 결정되는 값일 수도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희망 전력 사용 요금에 의해 결정되는 값일 수도 있다), 현재 사용에 의해 지불하여야 할 전력 사용요금 값, 상기 미리 설정된 구간, 및/또는 현재의 전력 사용요금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전력 제한량을 변경/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한달 전력 사용요금으로 5만원을 입력/설정한 경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력 사용요금의 범위 내에서 전력을 소모할 수 있도록 각 전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8월 한 달에 대해서 희망 전기요금을 5만원으로 입력하였는데, 8월 10일 현재 8월 01일부터 사용한 전기 사용요금이 3만원인 경우, 에너지관리장치(30)는 남은 8월달 동안 전력 제한량을 평소보다 더욱 적은 값으로 결정하여 각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8월 25일 현재 8월 01일부터 사용한 전기 사용요금이 2만원인 경우, 에너지관리장치(30)는 남은 8월달 동안 전력 제한량을 평소보다 더욱 큰 값으로 결정하여 각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change the power limit amount instantaneously and momentarily based on a predetermined power usage fee value for a predetermined section. In this case, the power limit amount may be paid by the current use value, which may be a value determined by a power rate subscription or a value determined by a user's desired power use rate. The power limit amount may be changed /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 power usage fee value, the preset interval, and / or a current power usage fee.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 sets 50,000 won as the monthly electricity use rat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operates each electronic device to consume power within a range of the electricity use rate input by the user. Can be controlled. That is, when the user inputs a desired electric charge as 50,000 won for one month in August, and the electric charge used since August 01 as of August 10 is 30,000 won,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remains in the remaining August month. Power limit can be determined to be less than usual to control each electronic device. On the contrary, if the electricity usage fee used since August 01 as of August 25 is 20,000 won,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determines the power limit for the remaining August month to be larger than usual to control each electronic device. can do.

이외에도,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가 상기 전력 제한량을 선택하는 알고리듬은 굉장히 다양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일정 그룹에 속하는 전자 기기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의 총량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 하에서, 상술한 알고리듬에 대한 변경은 당업자의 선택사항에 불과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algorithm for selecting the power limit b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can be very diverse, i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electronic device belonging to a certain group For the purpose of limiting the total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above, modifications to the algorithm described above will only be a choic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어서,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선택된 전력 제한량의 범위내에서,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 포함되어 있는 각 전자 기기에 할당할 기기별 제한량(restricted power-amount for each electric device)을 획득한다(S110).Subsequently,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30 limits the amount of power limited to each electric device to be allocated to each electronic device included in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within the range of the selected power limit. ) Is obtained (S110).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기기별 제한량을 선택함(S110)에 있어서, 다양한 기준 및 정책 및/또는 사용자의 요청사항 등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상기 기기별 제한량을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수동적으로 상기 기기별 제한량을 선택할 수 있다.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30 may select the limit amount for each device automatically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riteria and policies and / or user's request in selecting the limit amount for each device (S110). It is possible to manually select the limit for each device by the input of.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전력 제한량이 선택된 시점에서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 기기들의 과거 전력 사용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분석 결과에 근거해 각 전자 기기들에 할당할 기기별 제한량을 획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analyzes past power usage patterns of the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at the time when the power limit is selected,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respective electronic devices are analyzed. A device-specific limit to be allocated to devices can be obtained.

이 때,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가 상기 전자 기기들의 전력 사용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기기별 제한량을 획득하는 알고리듬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기기가 과거에 사용하였던 전력량의 평균값이 상기 기기별 제한량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현재의 시각이 속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과거의 전력 사용량의 평균값이 상기 기기별 제한량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전자 기기에서 현재 수행하고 있는 동작을 확인하고, 과거에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데에 소요되었던 전력 소비량의 평균값을 상기 기기별 제한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lgorithm for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to obtain the limited amount for each device by analyzing the power usage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s can be very diverse. For example, the average value of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past may be determined as the limit for each device. Alternatively, the average value of past power consumption corresponding to the section to which the current time belongs may be determined as the limit for each device. Alternativel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check an opera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the electronic device, and determine the average value of power consumption used to perform the operation in the past as the limit for each device.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기기별 제한량을 획득함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 기기들 중 전력을 소비하고 있는 전자 기기(예를 들어, 전원이 On되어 있는 전자 기기)를 식별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be an electronic device that consumes power among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in order to obtain a limit for each device.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identifying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power on may be performed.

나아가, 에너지관리장치(30)는, 현재는 전원이 Off된 상태이지만 상기 전력 제한량에 적용되는 시간 구간에서 예약된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는 전자 기기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기기별 제한량을 획득함에 있어서, 예약된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 전자 기기에 할당하여야 할 기기별 제한량을 더 고려하여 각 전자 기기에 할당될 기기별 제한량을 획득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further perform an operation of checking whether there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currently in a power-off state but needs to perform a scheduled operation in a time interval applied to the power limit. In this cas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in acquiring the limit amount for each device, further considers the limit amount for each device to be allocat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at should perform the scheduled operation, and the device to be allocated to each electronic device. Star limit can be obtained.

이어서,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획득된 기기별 제한량을 포함하는 전력 제한 요청(power restricting request)을 그에 대응되는 전자 기기로 전송한다(S120). 상기 전력 제한 요청은 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한 요청은 XML기반의 텍스트 형식으로 작성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30 transmits a power restricting request including the obtained restriction amount for each device to an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hereto (S120). The power limit request may be sent in the form of a message. The power limit request may be written in an XML-based text format.

상기 전력 제한 요청은, 대상 전자 기기가 제한된 전력 하에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것으로써, 상기 전력 제한 요청을 수신한 전자 기기는 상기 전력 제한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기기별 제한량을 참조하여 상기 전자 기기가 동작할 동작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동작 전력이 결정되면 상기 전자 기기는 특별한 사정이 발생하지 않는 한, 상기 결정된 동작 전력의 범위 내에서 동작하여야 한다.The power limit request is a request for the target electronic device to operate under a limited power, and the electronic device that has received the power limit request may be configured to refer to the device-specific limit amount included in the power limit request. The operating power to be operated can be determined. At this time, if the operating power is determined, the electronic device should operate within the range of the determined operating power, unless special circumstances occur.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전력 제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전력 제한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기기별 제한량을 고려하여, 그에 대한 응답을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로 전송한다. 상기 전력 제한 요청 수신에 따르는 상기 전자 기기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기로 한다.When the electronic device receives the power limit request, the electronic device considers the limit for each device included in the power limit request, and transmits a response to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A detailed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power limit request will be described later.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전력 제한 요청을 송신한 전자 기기로부터 그에 대한 응답(response)을 수신한다(S130). 상기 응답은 수락응답(accept-response) 및 거절응답(reject-respons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락응답 및 거절응답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나중에 후술하기로 한다.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30 receives a response thereto from the electronic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power limitation request (S130). The response may include an accept-response and a reject-respons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cceptance response and rejection response will be described later.

이어서,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응답이 수락응답인지 거절응답인지를 판단한다(S140). Subsequently,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30 determines whether the response is an acceptance response or a rejection response (S140).

상기 응답이 수락응답인 경우에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전자 기기와의 제한 전력 할당 동작을 종료한다. 이것은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의 모든 동작이 종료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전자 기기와의 제한 전력 할당 동작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전자 기기와의 제한 전력 할당 동작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If the response is an acceptance respons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ends the limited power allocation oper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This does not mean that all operations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are terminated. If the limited power allocation oper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is not terminated, the limited power allocation oper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may be continued. .

반면, 상기 응답이 거절응답인 경우에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전자 기기에 다시 제한 전력을 할당하기 위한 일련의 협상절차를 수행한다(S150).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가 수행하는 협상절차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response is a rejection respons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performs a series of negotiation procedures for allocating the limited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again (S15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negotiation procedure performed b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이상에서는, 에너지관리장치(30)가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해서 전력 제한 요청을 송신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에너지관리장치(30)는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들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력 제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에너지관리장치(30)가 복수의 전자기기들로 전력 제한 요청을 송신하는 것은 일괄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관리장치(30)는, 기기별 제한량을 복수의 전자기기들에 대해 모두 결정한 후에, 상기 전력 제한 요청을 각 기기들로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하여 기기별 제한량이 결정되는 경우, 다른 전자 기기들에 대한 기기별 제한량에 결정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상기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해 전력 제한 요청이 먼저 송신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has been described for transmitting a power limit request to one electronic devic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is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limitation request may be transmitted.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transmit the power limit request to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n a batch or sequentially. For exampl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transmit the power limit request to each device at once, after all the device-specific limits are determined for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lternatively, when a device-specific limit is determined for one electronic device, a power limit request may be transmitted to the one electronic device without waiting for the device-specific limit amount to be determined for other electronic device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에너지관리장치의 전력 할당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기별 제한 전력을 할당 받아 동작하는 전자 기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In the above, the power allocation operation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an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operating by allocating limited power for ea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전자 기기의 전력 할당 동작><Power allocation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에너지관리장치가 각 전자 기기에 기기별 제한 전력을 할당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에 따라 각 전자 기기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6,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how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s operates according to a series of operations for allocating the limited power for each device to each electronic devic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상기 DTV(100)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이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은 상술한 DTV(100)에 국한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the DTV 1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TV 100.

DTV(100)는, 앞서 설명한 단계 S120에 따라,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로부터 전력 제한 요청을 수신한다(S200).The DTV 100 receives a power limit request from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3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ep S120 (S200).

이어서, DTV(100)는, 상기 전력 제한 요청에 포함된 기기별 제한량과 상기 DTV(100)의 현재 상황을 고려한 필요전력(required power)을 비교한다(S210). Subsequently, the DTV 100 compares the limit for each device included in the power limit request with the required power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DTV 100 (S210).

상기 기기별 제한량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DTV(100)에 할당되는 제한 전력량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imit amount for each device is a limit power amount allocated to the DTV 100.

상기 필요전력은 상기 DTV(100)의 동작에 요구되는 소비 전력량을 의미한다. 한편, 기기별 제한량과 필요전력을 비교하는 것은, DTV(100)가 ‘동작 전력’을 선택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동작으로, 본 명세서에서 필요전력과 동작전력은 서로 구별되는 개념이다.The required power means power consumption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DTV 100. On the other hand, comparing the limited amount and the required power for each device,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DTV 100 to select the 'operating power', in this specification, the required power and the operating power is a concept that i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상기 필요전력은 다양한 기준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준에 대해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required power may be determined by various criteria. These various criteria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필요전력의 결정][Determination of required power]

상기 필요전력은 상기 DTV(100)가, 사용자의 요청, 상기 제어부(106)의 요청, 또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의 요청 등에 의해,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요청된 동작을 수행하는 데 소요되는 전력량으로 결정될 수 있다. When the DTV 100 is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by a request of a user, a request of the controller 106, or a request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the required power is performed by the DTV 100. It may be determined by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to perform.

예를 들면, 상기 DTV(100)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영화 A’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3a)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경우, 상기 ‘영화 A’를 디스플레이 하는 데 필요한 소비 전력이 X인 경우, 상기 DTV(100)는 상기 필요전력을 X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TV 100 is displaying 'movie A' through the display unit 33a at the request of the user, when the power consumption required to display the 'movie A' is X, The DTV 100 may determine X as the required power.

한편, 상기 필요전력은, 사용자의 요청, 상기 제어부(106)의 요청, 또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의 요청 등에 의해, 상기 DTV(100)에 설정된 동작 모드의 수행에 소요되는 전력량으로 결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quired power may be determined as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to perform an operation mode set in the DTV 100 by a user request, a request of the controller 106, or a request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have.

예를 들면, 상기 DTV(100)가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의 제어에 의해 ‘음악 B’를 상기 음향출력부(33b)를 통해 출력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최대절전모드’로 설정되어 동작하고 있는 경우, 상기 ‘음악B’를 출력하는 데 필요한 소비 전력이 Y이며, 상기 ‘최대절전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소요되는 전력으로 설정된 값이 Z(Z는 Y보다 큰 것으로 가정함)일 때, 상기 DTV(100)는 상기 필요전력을 Z로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상기 DTV(100)가 필요전력을 결정하는 알고리듬이 동작모드에 소요되는 전력 소요량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기 때문에 필요전력을 Z로 결정한 것이기 때문에, DTV(100)가 필요전력을 결정하는 알고리듬이 이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DTV(100)는 필요전력을 Y로 결정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DTV 100 is outputting 'music B'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33b under the control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and at the request of the user to the 'maximum power saving mode'. In case of setting and operating, it is assumed that the power consumption required to output the 'music B' is Y, and the value set as the power required to operate in the 'hibernate mode' is Z (Z is greater than Y). ), The DTV 100 may determine Z as the required power. Of course, this is because it is assumed that the algorithm that determines the required power prioritizes the power consumption required in the operation mode, so that the DTV 100 needs to be determined because Z is required power. If the algorithm for determining power is different, the DTV 100 may determine Y as the required power.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DTV(100)의 동작을 이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계 S210에서 비교한 결과, 상기 기기별 제한량이 상기 필요전력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 S220이 수행되며, 상기 기기별 제한량이 상기 필요전력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 S250이 수행된다.Referring to FIG. 6 again, the operation of the DTV 100 will be describe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step S210, if the limit for each device is greater than the required power, step S220 is performed. If the limit for each device is less than the required power, step S250 is performed.

먼저, 상기 기기별 제한량이 상기 필요전력 이상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case where the limit for each device is more than the required power.

상기 DTV(100)는, 상기 기기별 제한량이 상기 필요전력 이상인 경우, 상기 DTV(100)의 동작 전력을 결정한다(S220). 상기 동작 전력은, 상기 기기별 제한량 및 상기 필요전력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상기 동작 전력이 결정되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상기 DTV(100)는 상기 결정된 동작 전력의 범위 내에서 동작하여야 한다. 즉, 상기 DTV(100)는 상기 결정된 동작 전력을 초과하는 전력을 소모하지 않도록 상기 DTV(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또는 각 모듈들)의 동작을 제어해야 한다.
The DTV 100 determines the operating power of the DTV 100 when the limit for each devi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quired power (S220). The operating power is determined based on the limited amount of the device and the required power. When the operating power is determined, the DTV 100 should operate within the determined operating power range unless there is a special situation. do. That is, the DTV 100 should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r each module) constituting the DTV 100 so as not to consume power exceeding the determined operating power.

[동작 전력의 결정][Determination of operating power]

상기 기기별 제한량이 상기 필요전력 이상인 경우, 상기 DTV(100)는, 상기 동작 전력을 다양한 기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limit for each devi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quired power, the DTV 100 may determine the operating power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첫째, 상기 DTV(100)는 상기 동작 전력을 상기 기기별 제한량과 동일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DTV(100)는, 현재의 필요전력은 상기 DTV(100)에 할당된 기기별 제한량보다 더 적지만 향 후 현재의 필요전력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할 수 있는 것이 예측되는 경우에 이러한 결정을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DTV(100)는, 현재의 필요전력은 기기별 제한량보다 더 적지만, 사용자에 의한 동작 요청이 불규칙하거나 사용자의 동작 수행 요청이 잦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추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여유 전력(reserved power)을 확보하고자 할 때 이러한 결정을 할 수 있다.First, the DTV 100 may determine the operating power to the same value as the limit for each device. This determination is made when the DTV 100 is expected to consume more power than the current required power in the future, although the current required power is less than the device-specific limit allocated to the DTV 100. can do. Alternatively, the DTV 100, although the current required power is less than the limit for each devi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operation request is irregular or the user's request to perform the operation frequently, the additional requested by the user This determination can be made when there is a desire to reserve reserved power to perform the operation.

예를 들어, 상기 기기별 제한량이 A이고 상기 DTV(100)의 동작(예를 들어, ‘AAB뉴스’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전력이 B(B<A)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현재의 동작이 종료된 후에 다른 동작 수행(예를 들어, ‘영화D’의 디스플레이 및 녹화)이 예약된 경우, 상기 다른 동작 수행에 필요한 전력이 B보다 더 큰 C라면, 상기 DTV(100)는 상기 예약된 다른 동작 수행에 필요한 전력의 확보를 위해 상기 동작 전력을 A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imit for each device is A and the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DTV 100 (for example, 'AAB news' display) is B (B <A), the current operation is terminated by the user. When another operation (eg, display and recording of 'movie D') is scheduled after the operation is performed, if the power required to perform the other operation is C greater than B, the DTV 100 performs the reserved other operation. The operating power may be determined as A in order to secure power required for performance.

둘째, 상기 DTV(100)는, 상기 동작 전력을 상기 필요전력과 동일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DTV(100)는, 향 후 현재의 전력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되는 경우에 이러한 결정을 할 수 있다.Second, the DTV 100 may determine the operating power to the same value as the required power. The DTV 100 may make this determination if it is anticipated that it will not consume more power in the future than the current power.

셋째, 상기 DTV(100)는, 상기 동작 전력을 상기 필요전력과 상기 DTV(100)에 할당된 기기별 제한량의 사이에 있는 하나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예에서 상기 예약된 다른 동작 수행에 필요한 전력 C가 상기 현재 수행 중인 동작에 필요한 전력 B보다는 크지만, 상기 기기별 제한량 A보다는 작은 경우에, 상기 DTV(100)는, 상기 필요전력을 C(C는 기기별 제한량 A보다는 작지만 현재의 전력 B보다는 크다)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DTV(100)는, 다른 여러 가지 상황 및 과거의 전력 소모 패턴 등을 고려하여, 상기 동작 전력을 상기 필요전력과 상기 기기별 제한량의 사이에 있는 하나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경우는 다양할 수 있다.
Third, the DTV 100 may determine the operating power as one value between the required power and a limit amount for each device allocated to the DTV 100. For example, in the above example, when the power C required to perform the other scheduled operation is greater than the power B required for the currently performing operation, but smaller than the limit amount A for each device, the DTV 100 may include: The required power may be determined as C (C is smaller than the limit A for each device but larger than the current power B). In addition, when the DTV 100 may determine the operation power as one value between the required power and the limit for each device in consideration of various situations and past power consumption patterns. It can vary.

상기 DTV(100)는, 상기 기기별 제한량이 상기 필요전력 이상인 경우, 상기 전력 제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한다(S230). 이 경우, 상기 DTV(100)가 전송하는 응답은 수락응답(accept-response)이다. 상기 수락응답은, 상기 DTV(100)가 상기 전력 제한 요청에 따라 동작 전력을 결정하였음을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로 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DTV 100 transmits a response to the power limit request when the limit for each devi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quired power (S230). In this case, the response transmitted by the DTV 100 is an accept-response. The acceptance response may perform a function of notifying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30 that the DTV 100 has determined operating power according to the power limit request.

상기 수락응답은 상기 DTV(100)가 결정한 필요전력 및/또는 동작전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요전력 및 상기 동작전력이 상기 수락응답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추후에 다른 전자 기기들과의 제한된 전력량 할당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협상절차를 수행할 때 상기 필요전력 및 상기 동작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acceptance response may include the required power and / or operating power determined by the DTV 100. When the required power and the operating power are included in the acceptance response and transmitted,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perform the necessity when performing a negotiation procedure that may occur in a process of allocating a limited amount of power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Power and the operating power can be us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이어서, 상기 DTV(100)는, 상기 결정된 동작 전력에 근거하여, 상기 DTV(100)의 동작에 따라 소모되는 전력이 상기 동작 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전력 제한 동작을 수행한다(S240).
Subsequently, based on the determined operating power, the DTV 100 performs a power limiting operation so that power consum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TV 100 does not exceed the operating power (S240).

다음으로, 상기 기기별 제한량이 상기 필요전력 미만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case where the limit for each device is less than the required power.

상기 DTV(100)는, 상기 기기별 제한량이 상기 필요전력 미만인 경우, 상기 전력 제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한다(S250). 이 경우, 상기 응답은 거절응답(reject-response)이다. 상기 거절응답은, 상기 DTV(100)가 상기 전력 제한 요청을 거부하였음을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로 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DTV 100 transmits a response to the power limit request when the limit for each device is less than the required power (S250). In this case, the response is a reject-response. The rejection response may perform a function of notifying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30 that the DTV 100 has rejected the power limit request.

상기 거절응답은 상기 DTV(100)가 결정한 필요전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절응답은 상기 DTV(100)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동작에 대한 우선순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요전력 또는 상기 우선순위가 상기 거절응답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경우,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추후에 상기 DTV(100)에 기기별 제한량을 재할당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데 상기 필요전력 또는 상기 우선순위를 이용할 수 있다.The rejection response may include the required power determined by the DTV 100. Meanwhile, the rejection response may include a priority for an operation currently performed by the DTV 100. When the required power or priority is included in the rejection response and transmitted,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perform a series of processes for reallocating a limit amount for each device to the DTV 100 later. The required power or the priority may be used.

한편, 상기 DTV(100)는, 상기 거절응답을 전송하는 경우, 임시로 전력 제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260). 예를 들어, 상기 DTV(100)는, 결정된 필요전력을 상술한 동작 전력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동작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DTV(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력 이상을 사용하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DTV(10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ransmitting the rejection response, the DTV 100 may temporarily perform a power limit operation (S260). For example, the DTV 100 may determine the determined required power as the above-described operating power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TV 100 based on the determined operating power.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DTV 100 may be controlled temporarily so as not to use more than the power currently being used.

이와 함께, 상기 DTV(100)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로부터 재전력 제한 요청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S270). 상기 DTV(100)는, 상기 재전력 제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단계 S210으로 회귀하여 상술한 일련의 동작들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TV 100 may wait until a repower limit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30 (S270). When the repower limit request is received, the DTV 100 may return to step S210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operations again.

<협상 절차><Negotiation procedure>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의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가 각 전자 기기에 전력 제한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각 전자 기기들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을 제한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다. 그러나 모든 전자 기기들이 전력 제한 요청에 수락함으로써 원활하게 전력 할당 절차가 완료될 수도 있으나, 일부 전자 기기들은 이러한 전력 제한 요청에 거절할 수 있음도 앞서 설명한 바 있다. 이하에서는, 일부 전자 기기들이 전력 제한 요청에 대해 수락하지 않고 거절하는 경우에, 다시 상기 일부 전자 기기들에 대해 전력을 할당하기 위한 협상 절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limiting the power consumed by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s by transmitting the power limit request to each electronic device has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while all the electronic devices may smoothly complete the power allocation procedure by accepting the power limit request, some electronic devices may also reject the power limit request. Hereinafter, when some electronic devices do not accept and reject the power limit request, a negotiation procedure for allocating power to the some electronic devices will be described agai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진행되는 협상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negotiation procedure perform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에너지관리장치(EMS)가, 앞서 설명한 단계 S100에서 전력 제한량으로 500을 선택하였으며, 단계 S110에서 제1 전자기기(Device A) 및 제2 전자기기(Device B)에 대한 기기별 할당으로 각각 300 및 200을 선택한 경우를 도시한다. 나아가, 도 7은, 상기 제1 전자기기(Device A)가, 앞서 설명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자신의 필요전력을 250으로 결정하였으며, 상기 제2 전자기기(Device B)는 자신의 필요전력을 250으로 결정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FIG. 7 shows that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EMS selects 500 as the power limit in step S100 described above, and in step S110, each device for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and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vice B, respectively. The case where 300 and 200 were selected as the alloca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in FIG. 7,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determines its required power to be 250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criterion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vice B sets its required power to 250. The decision is made.

이러한 경우,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먼저 제1 전자기기(Device A)로 결정된 기기별 제한값인 300을 포함하는 전력 제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전자기기(Device A)는, 앞서 설명한 바에 따라, 수락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기별 할당값이 상기 제1 전자기기(Device A)에서 결정한 필요전력 값인 250 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상기 제1 전자기기(Device A)에 대한 제한 전력 할당에 성공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락응답에는 상기 제1 전자기기(Device A)가 결정한 필요 전력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may first transmit a power limit request including a device-specific limit value 300 determined b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FIG. Accordingl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may transmit an acceptance response as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the device-specific allocation value is larger than the required power value 250 determined b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Accordingl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may be regarded as having succeeded in allocating the limited power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In this case, the acceptance response may include the required power determined b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이어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제2 전자기기(Device B)로 결정된 기기별 제한값인 200을 포함하는 전력 제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SM)가 상기 제1 전자 기기(Device A)로부터 응답을 받은 후에 상기 제2 전자 기기(Device B)에 전력 제한 요청을 전송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전자기기(Device A) 및 제2 전자기기(Device B)에 대한 전력 제한 요청 및 그에 대한 응답의 수신은 병렬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한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전자기기(Device B)는, 앞서 설명한 바에 따라,거절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기별 할당값이 상기 제2 전자기기(Device B)에서 결정한 필요전력 값인 250 보다 더 적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상기 제2 전자기기(Device B)에 대한 제한 전력 할당에 실패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거절응답에는 상기 제2 전자기기(Device B)가 결정한 필요 전력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절응답에는 상기 제2 전자기기(Device B)에서 수행 중인 하나 이상의 동작들에 부여된 우선순위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Subsequentl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may transmit a power limit request including a device-specific limit value 200 determined b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vice B. It is not necessary to transmit a power limit request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vice B after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SM receives a response from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but not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 And the reception of a power limit request and response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vice B may proceed in parallel. In response to the power limit request,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vice B may transmit a rejection response as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the allocation value for each device is smaller than 250, which is a required power value determined b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vice B). Accordingl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may be regarded as having failed to allocate the limited power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vice B. In this case, the rejection response may include the required power determined b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vice B). The rejection response may include a priority given to one or more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vice B).

이와 같이 전력 제한 요청에 대해 거절응답을 수신한 경우,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제1 전자 기기(Device A)에 부족한 전력량 50을 더 할당할 수 있도록 여유전력을 확보하거나, 여유전력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전자 기기(Device A)가 현재의 동작을 중지하거나, 현재의 동작품질을 열화(degrade)시킴으로써, 상기 기기별 제한값에 따라 동작하도록 강제할 수도 있다.When receiving the rejection response to the power limit request as described above, the EMS secures the extra power or allocates the extra power to allocate the insufficient power 50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If not,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may stop the current operation or deteriorate the current operation quality, thereby forcing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to operate according to the device-specific limit value.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상기 제2 전자기기(Device B)에 대해 할당 할 수 있는 여유 전력이 확보될 수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상기 여유 전력이 확보될 수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락응답에 포함된 필요전력을 참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상기 제1 전자 기기(Device A)에 할당한 기기별 제한과 상기 제1 전자기기(Device A)로부터 수신한 필요전력으로부터 상기 제1 전자기기(Device A)로부터 여유 전력 50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may check whether or not spare power that can be allocated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vice B) can be secured.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may refer to the required power included in the acceptance response to confirm whether the surplus power can be secured. For exampl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the first electronic device based on device-specific limitations assigned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and required power received from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FIG. From A), it can be seen that the spare power 50 can be secured.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상기 제1 전자기기(Device A)로 다시 전력 제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 제한 요청에 포함된 기기별 제한값은 250일 수 있다. 즉,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상기 제1 전자기기(Device A)에 다시 전력 할당할 때, 상기 제1 전자기기(Device A)로부터 고지 받은 필요전력값을 기기별 제한으로 결정할 것을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특별한 사정이 없지 않는 한(예를 들어 이전의 수락응답 후에 필요전력이 갑자기 상승하였다는 특별한 사정), 상기 제1 전자기기(Device A)로부터 수락응답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상기 제2 전자기기(Device B)에 할당할 수 있는 여유전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may transmit a power limit request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again. In this case, the limit value for each device included in the power limit request may be 250. That is, when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reassigns power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may request to determine the required power value received from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as a device-specific limit. It is. On the other hand,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responds to the acceptance response from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unless there is a special situation (for example, a special situation that the required power suddenly increased after the previous acceptance response). It can be received from this,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extra power that can be allocated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vice B).

이에 따라,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상기 제2 전자기기(Device B)로 다시 전력을 할당하기 위하여, 전력 제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력 제한 요청에 포함된 기기별 제한은, 기존의 200에서 상기 과정에 의해 제1 전자기기(Device A)로부터 확보된 여유 전력분 50이 더해진 250으로 증가된 값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상기 제2 전자기기(Device B)로부터 수락응답을 수신할 수 있게 될 것이다.Accordingl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may transmit a power limit request in order to allocate power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vice B again. In this case, the limit for each device included in the power limit request may be a value increased to 250 in which the spare power 50 secured from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is added by the above procedure in the existing 200. As a result,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will be able to receive an acceptance response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vice B.

한편,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가 최초에 상기 제1 전자기기(Device A)에 300의 기기별 제한을 할당하였을 때, 상기 제1 전자기기(Device A)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스로 판단하여 동작 전력을 필요전력 값인 250으로 결정하고, 이러한 결정된 동작 전력을 상기 수락 응답 시에 함께 전송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상기 제2 전자기기(Device B)로부터 거절응답을 받은 경우, 제1 전자기기(Device A)에 대한 재 전력할당 절차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제2 전자기기(Device B)에 재 전력할당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제1 전자기기(Device A)의 능동적인 동작에 의해 여유 전력 50이 이미 확보가 되었음을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가 이미 알고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initially assigned a device-specific limit of 300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as described above, determines itself In this case, the operation power may be determined as a required power value of 250, and the determined operating power may be transmitted together in the acceptance response. In this case, when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receives a rejection response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Device B,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does not go through a re-power allocation procedure for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and immediately returns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e power reassignment procedure may be performed to the device B. This is becaus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already knows that the surplus power 50 has already been secured by the active operation of the first electronic device Device A.

이상에서는, 에너지관리장치(EMS)가 여유 전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지 판단하기 위하여, 수락응답에 포함되어 있는 각 전자기기의 필요전력을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 상술하였으나,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여유 전력의 확보가 필요한 경우에,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전자기기들로부터 현재 실제로 사용 중인 필요전력에 대해 응답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들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In the abov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EMS) can secure the spare power, the use of the required power of each electronic device included in the acceptance response has been described above. When securing is necessary, a message may be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ncluded in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to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requesting a response to the required power currently being used. In this case, the message may be transmitted by broadcasting.

또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협상 절차는 전자 기기가 두 개인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전자 기기가 세 개 이상인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협상 절차와 유사한 방법으로 여유 전력을 확보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나아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협상 절차는 하나의 전자 기기에 할당할 수 있는 전력이 부족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협상 절차를 진행하게 되는 트리거(trigger)는 앞서 설명한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하나의 전자 기기가 전력 제한 요청에 거절응답을 전송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협상 절차가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 새로운 전자기기가 진입(join)하여 상기 새로운 전자기기에 전력을 할당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상기 협상 절차가 진행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미 전력할당이 완료된 전자 기기에서, 특별한 사정이 발생하여, 더욱 많은 전력할당을 요청하는 경우에도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상기 협상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negotiat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has been described assuming that there are two electronic devices, the case where there are three or more electronic devices, the additional power is increased in a similar manner to the negotiation procedure described above. Being able to secure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urthermore, the negoti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may be performed when there is not enough power to be allocated to one electronic device, and triggers the negotiation procedur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That is, the negotiation procedure is not performed only when one electronic device transmits a rejection response to the power limit request. For example, when a new electronic device joins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to allocate power to the new electronic device, the negotiation procedure may proceed, and further, the electronic device that has already completed power allocation. In this case, even if a special situation occurs and requests more power allocation, the EMS can proceed with the negotiation procedure.

<협상 절차가 실패한 경우의 전력할당 절차><Power allocation procedure when negotiation process fails>

한편, 에너지관리장치와 전자 기기들 간에 협상절차를 진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거절응답을 전송한 전자 기기에 충분히 할당할 수 있는 여유 전력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협상절차를 진행하였으나, 협상절차가 실패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espite the negotiation process between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s, there may be a case that the sufficient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at transmitted the rejection response is not secured. That is, although the negotiation procedure is performed,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negotiation procedure has failed.

이러한 경우에,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다음의 강제할당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proceed with the following forced allocation procedure.

첫째,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사용자로부터 각 전자 기기에 대한 전력할당의 우선순위를 질의할 수 있다.First,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query the priority of power allocation for each electronic device from the user.

도 8은 에너지관리장치가 사용자에게 우선순위를 질의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3a)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우선순위를 정하여 입력해줄 것을 요청하는 문구와 함께 현재 동작 중이거나 앞으로 동작이 예상 중인 전자 기기들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윈도우(W1)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윈도우(W1)는 상기 전자 기기들의 리스트들 뿐만 아니라, 상기 전자 기기들의 현재 동작 종류 또는 예약된 동작 종류와 함께 동작에 관련된 간략한 설명을 함께 매칭하여 표시하고 있다. 상기 윈도우(W1)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다양한 전자 기기들 및 그에 대한 동작 정보를 참고하여 각 동작의 중요도를 선택할 수 있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ergy management device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querying a user's priority. Referring to FIG. 8,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uses the display unit 33a. In addition, a window W1 is displayed for displaying a list of electronic devices that are currently operating or are expected to operate in the future, together with a phrase requesting the user to input the priorities. The window W1 matches and displays not only lists of the electronic devices but also brief descrip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together with the current operation type or the reserved operation type of the electronic devices. As the window W1 is provided, the user may select the importance of each operation by referring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operation information thereof.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를 통해 동작의 중요도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In order for the user to select the importance of the operation through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the user interface provided b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to the user may be very diverse.

예를 들어, 각 동작의 우선순위를 순서대로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to select the priority of each operation in order.

또는, 각 동작에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들 중 어떤 우선순위가 부여될 수 있는지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1순위에서 4순위까지 분류되어 있는 우선순위에서 각 동작이 어떠한 우선순위에 속하는 동작인지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각 동작에 대한 우선순위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각 순위에는 각 순위에 대응하는 설명이 제공될 수 있다. 즉, 1순위에 대해서는, ‘현재 반드시 수행하여야 하는 동작. 동작 품질의 열화(degrade) 불허’와 같은 설명이 제공될 수 있으며, 2순위에 대해서는, ‘현재 반드시 수행하여야 하는 동작. 동작 품질의 열화 허가’와 같은 설명이, 3순위에 대해서는, ‘지금 수행할 필요 없는 동작. 추후 동작을 재개할 필요 있음’와 같은 설명이, 4순위에 대해서는 ‘지금수행 할 필요 없는 동작. 추후 동작 재개 필요 없음’와 같은 설명이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순위의 분류는 상술한 예 외에도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Alternatively, a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for inputting which of the preset priorities can be given to each operation. That is, the user may input the priority of each operation by inputting which priority the operation belongs to in the priority classified from the 1st to the 4th priority. At this time, each ranking may be provided with a description corresponding to each ranking. That is, for the 1st priority, 'the operation that must be performed at present. A description such as "no deterioration of operation quality" may be provided, and for the second rank, "the action that must be performed at present." An explanation such as "permission deterioration of operation quality", for the third place, is "an operation that does not need to be performed now. A description such as Need to resume operation later is described as 'Operation not required to perform now'.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Of course, it is obvious that the classification of the ranking may be appli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윈도우(W1) 및/또는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선택 또는 입력된 중요도(또는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각 전자 기기에서 동작 중인 여러 동작들에 대해 동작 품질의 열화 및/또는 동작의 정지 등을 각 전자기기로 요청할 수 있다. 각 전자 기기의 동작 품질의 열화 및/또는 동작의 정지에 의해 확보된 여유 전력은 상술한 협상 절차에서 요구되었던 기기별 제한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deteriorates the operation quality for various operations operating in each electronic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or priority) selected or input through the window W1 and / or the user interface. And / or to stop the operation and the like to each electronic device. The spare power secured by the deterioration of the operation quality of each electronic device and / or the stop of the operation may be used as the device-specific limit amount required in the above-described negotiation procedure.

이 때,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가, 어떠한 동작(또는 어떠한 전자기기)의 동작을 열화(degrade)시킬지, 열화시킨다면 어느 정도까지 열화시킬 것인지, 또는 어떤 동작을 정지시킬 것인지 등에 대해 결정하는 데 사용하는 알고리듬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determines whether to deteriorate the operation of which operation (or which electronic device), or to what extent the operation of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is to be deteriorated or to stop which operation. The algorithms used can vary widely.

하지만, 에너지관리장치(30)가, 사용자가 입력/선택한 중요도에 기반하여 동작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자동으로 판단하여 각 전자 기기의 동작 품질을 열화시키거나, 또는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은 사용자에게 예상치 못한 불편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DTV(100) 등을 통하여, 영화를 시청하고 있는 중에,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에 의한 동작 열화 요청에 의해 영화가 상기 DTV(100)에 표시되는 사이즈가 심하게 줄어든다거나, 음량이 심하게 줄어드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operates based on the importance input / selected by the user, it is an unexpected inconvenience for the user to automatically deteriorate or stop the operation quality of each electronic device. Can give For example, while the user is watching a movie through the DTV 100 or the like, the size of the movie displayed on the DTV 100 is severely reduced due to an operation deterioration request by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30. In some cases, the volume may be severely reduced, in which case the user may feel uncomfortable.

이에 따라, 에너지관리장치(30)는 각 전자기기에서의 동작에 대한 중요도 또는 우선순위를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하는 것보다 각 전자기기에서 정지시켜도 되는 동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더 편리할 수 있다.Accordingly, it may be more convenient for the user to allow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to select an operation that may be stopped at each electronic device than to allow the user to select the importance or priority for the operation at each electronic device. have.

도 9는 에너지관리장치가 사용자에게 정지할 전자기기를 질의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3a)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정지할 동작을 입력해줄 것을 요청하는 문구와 함께 현재 동작 중이거나 앞으로 동작이 예상 중인 전자 기기들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윈도우(W2)를 표시하고 있다. 나아가, 현재 확보되어야 할 여유 전력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W2)는 상기 전자 기기들의 리스트들 뿐만 아니라, 상기 전자 기기들의 현재 동작 종류 또는 예약된 동작 종류와 함께 동작에 관련된 간략한 설명을 함께 매칭하여 표시하고 있다. 나아가, 상기 윈도우(W2)는 각 동작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량을 함께 표시하여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윈도우(W2)에는 정지될 동작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정지된 동작이 추후에 여유전력이 발생한 경우 등에 다시 동작의 재개를 할 지 여부에 대한 선택을 받기 위한 체크박스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윈도우(W2)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다양한 전자 기기들 및 그에 대한 소모전력 정보 및 확보되어야 하는 여유 전력 정보를 참고하여 정지할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ergy management device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querying a user to stop an electronic device. Referring to FIG. 9,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include the display unit 33a. Through the display, a window W2 is displayed for displaying a list of electronic devices that are currently operating or are expected to be operated in the future together with a phrase requesting the user to input an operation to stop. Furthermore,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spare power to be secured at present. The window W2 matches and displays not only lists of the electronic devices but also brief descrip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together with the current operation type or the reserved operation type of the electronic devices. In addition, the window W2 may display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each operation. Optionally, when the operation to be stopped is selected, the window W2 may be provided with a check box for receiving a selection of whether to resume the operation, for example, when the stopped operation is free of power in the future. . By providing the window W2, a user may select an operation to stop by referring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thereof, and spare power information to be secured.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를 통해 동작의 중요도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는 매우 다양할 수 있다. In order for the user to select the importance of the operation through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the user interface provided b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to the user may be very divers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가 모든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정보들이 에너지관리장치(30)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들은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DTV(1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 연결되어 있는 범용 컴퓨터를 통해 상기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더 큰 화면과 더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제공받고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정보들은 음향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30 has been described as displaying all the inform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nformation being displayed on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30. For example, th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TV 100 connected to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Alternatively, th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hrough a general-purpose computer connected to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This will allow the user to receive and enter information through a larger screen and a more convenient interfac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displaying th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may be output as sound.

이상에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와 상기 전자 기기들 사이의 상호 동작에 의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에서 선택된,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 할당된, 전력 제한량을 각 전자기기들에 분배하여 할당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In the above, by the mutual operation between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and the electronic devices, the power limit amount allocated to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selected b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is determined by each electronic device. The process of allocating and assigning them is explain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전자기기들에 할당된 기기별 제한량에 근거하여 각 전자기기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동작하는지, 즉 어떻게 전력 제한 동작을 수행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ll be given in detail of how each electronic device operates, that is, how to perform a power limiting operation, based on a device-specific limit assigned to each electronic device.

<전자 기기의 전력 제한 동작><Power Limiting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s>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전자 기기가 전력 제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 기기는, 전자 기기에 할당된 기기별 제한량에 의하여 할당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상기 DTV(100)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제한 동작이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전력 제한 동작 방법은 상술한 DTV(100)에 국한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performs a power limit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is assigned by the device-specific limit allocated to the electronic devic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electronic device is described by the DTV 1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4. Although the power limit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escribed, the power limiting opera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TV 100.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DTV(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 전력을 결정한다(S300). Referring to FIG. 10, as described above, the DTV 100 determines operating power (S300).

이어서, DTV(100)는 자신의 소모 전력을 감시하면서, 소모전력이 상기 결정된 동작 전력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310). 이러한 DTV(100)의 감시동작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감시동작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Subsequently, while monitor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TV 100, the DTV 100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consumption exceeds the determined operating power (S310). The monitoring operation of the DTV 100 may be performed in real time. Alternatively, the monitor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periodically.

만약 상기 감시동작 중 소모 전력이 상기 동작 전력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DTV(100)는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또는 수행이 요청된 동작을 분석한다(S320). 예를 들어, DTV(100)는 상기 동작이 저장되어 있는 영화와 같은 동화상 콘텐츠의 시청인지, 상기 동작이 TV방송과 같은 동화상 콘텐츠의 시청인지, 상기 동작이 동화상 콘텐츠의 녹화인지, 상기 동작이 방송 신호에 의해 수신되는 음악과 같은 음향 콘텐츠인지, 또는 상기 동작이 인터넷 브라우징과 같은 동작인지 등을 분석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consumption during the monitoring operation exceeds the operating power, the DTV 100 analyzes an operation that is being performed or requested to be performed (S320). For example, the DTV 100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is watching a moving image content such as a movie in which the operation is stored, whether the operation is watching a moving image content such as TV broadcasting, whether the operation is recording of the moving image content, or the operation is broadcast. Whether the content is acoustic content, such as music received by a signal, or whether the operation is an operation such as Internet browsing may be analyzed.

DTV(100)는 분석된 결과를 근거로 하여, 상기 동작에 필요한 구성요소(또는 모듈)을 결정한다(S330). 예를 들어, DTV(100)는, 상기 동작이 저장되어 있는 동화상 콘텐츠의 시청인 경우, 상기 메모리(104), 상기 출력부(103), 상기 입력부(102) 및 상기 제어부(106) 등이 상기 동작에 필요한 구성요소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DTV(100)는, 상기 동작이 방송신호에 의한 음향콘텐츠의 출력인 경우, 상기 통신부(101), 상기 음향출력부(103b), 상기 입력부(102) 및 상기 제어부(106) 등이 상기 동작에 필요한 구성요소라고 판단할 수 있다.The DTV 100 determines a component (or modul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S330). For example, when the DTV 100 is viewing a moving image content in which the operation is stored, the memory 104, the output unit 103, the input unit 102, the control unit 106, and the like may be us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omponent is necessary for operation. Alternatively, when the operation is the output of the sound content by the broadcast signal, the DTV 100, the communication unit 101, the sound output unit 103b, the input unit 102 and the control unit 106,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omponent is necessary for operation.

이어서, DTV(100)는 상기 결정된 구성요소 각각에 모듈별 전력을 할당한다(S340). 예를 들어, 과거의 각 구성요소에 의한 전력 소모의 패턴분석을 통해, 상기 분석된 동작의 수행에 사용되는 각 구성요소들에 모듈별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DTV 100 allocates power for each module to each of the determined components (S340). For example, through pattern analysis of power consumption by each component in the past, power for each module may be allocated to each component used to perform the analyzed operation.

한편, 상기 DTV(100)의 상기 전원부(105)가 배터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DTV(100)는 상기 동작 전력이 상기 배터리에 할당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DTV(100)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에 동작 전력이 소비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요청된 동작이 배터리의 충전인 경우에는, DTV(100)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에만 동작 전력이 소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power supply unit 105 of the DTV 100 includes a battery, the DTV 100 may control the operation power not to be allocated to the battery. That is, the DTV 100 may control not to consume operating power to charge the battery. However, when the requested operation is charging of the battery, the DTV 100 may control the operation power to be consumed only for charging the battery.

DTV(100)는, 각 구성요소들에 적절하게 모듈별 전력을 분배한 후, 각 구성요소들이 할당 받은 모듈별 전력의 범위 내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350).The DTV 100 distributes power for each component appropriately to each component, and then controls each component to operate within a range of allocated module-specific power (S350).

패턴분석을 통해 할당된 모듈별 전력의 총합이 상기 동작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DTV(100)는 각 모듈들의 동작 성능 열화를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3a)를 통해 컨텐츠를 표시할 때, 정상적이고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500만큼의 전력이 소모된다고 할 때, 상기 DTV(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3a)에 400만큼의 모듈별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3a)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3a)를 통해 표시되는 밝기를 줄이거나,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는 크기를 줄임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3a)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을 줄여서 동작할 수 있다.The total sum of the power for each module allocated through the pattern analysis may exceed the operating power. In this case, the DTV 100 may induce deterioration of operating performance of each module. For example, when displaying content through the display unit 103a, when the normal and general operation is performed, as much as 500 power is consumed, the DTV 100 may display 400 on the display unit 103a. As many module-specific powers can be allocate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03a reduces the power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103a by reducing the brightness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3a or reducing the size at which the content is displayed. It can work.

DTV(100)는 상술한 전력 제한 동작을 수행하면서, 실시간으로 계속해서 DTV(100)에서 소모되는 소모전력을 감시할 수 있다. 즉, DTV(100)는 계속해서 단계 310을 수행할 수 있다. 즉, DTV(100)는 실시간으로 전력 소모를 감시하고, 전력소모가 동작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수행하고 있는 동작을 분석하여, 분석된 동작에 따라서 각 구성요소별로 할당하여야 할 모듈별 전력을 결정/할당함으로써, 상기 DTV(100)에 할당된 동작 전력의 범위 내에서 요청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DTV(100)는 요청되는 동작에 따라서 상황에 맞추어 모듈별 할당 전력을 다이나믹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DTV 100 may monitor power consumption consumed by the DTV 100 in real time while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power limiting operation. That is, the DTV 100 may continue to perform step 310. That is, the DTV 100 monitors power consumption in real time, and analyzes the operation being performed when the power consumption exceeds the operating power, and allocates the power of each module to be allocated to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analyzed operation. By determining / allocating, the requested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in the range of the operating power allocated to the DTV 100. That is, the DTV 100 may dynamically control module-specific allocation power according to a requested operation.

한편, DTV(100)는 할당된 동작 전력을 우선적으로 각각의 구성요소들(또는 모듈들)에 할당한 후, 각 구성요소들이 개별적으로 할당된 전력의 범위 내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DTV 100 may first allocate allocated operating power to each component (or modules), and then control each component to operate within a range of individually allocated power. .

[재할당 요청] [Reassignment Request]

한편, DTV(100)를 포함한 전자 기기는 상술한 전력 제한 동작을 수행하는 중, 요청된 동작을 상기 동작 전력의 범위 내에서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에 전력 재할당을 요청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DTV 100 determines that the requested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within the range of the operating power while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power limiting operation, the electronic device may reset power to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You can request an assignment.

이하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로 전력 재할당을 요청하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in this case, the electronic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requesting power reallocation to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전자 기기가 전력의 재할당을 요청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requesting reallocation of power by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DTV(100)는, 사용자 또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를 포함한 외부 기기로부터 소정의 동작을 요청 받는다(S400).Referring to FIG. 11, the DTV 100 receives a predetermined operation request from a user or an external device including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S400).

DTV(100)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동작 전력의 범위 내에서 동작하고 있는 지 여부를 감시하고 있을 수 있다(S410). 즉, 상기 요청된 동작에 소비되는 전력이 동작 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10).As described above, the DTV 100 may monitor whether the DTV 100 is operating within the determined operating power range (S410).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wer consumed for the requested operation exceeds the operating power (S410).

만약, 소비전력이 동작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DTV(100)는 상기 요청된 동작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질의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그에 대한 응답을 입력 받을 수 있다(S420).If the power consumption exceeds the operating power, the DTV 100 may query the user whether the requested operation should be performed, and may receive a response thereto from the user (S420). .

질의 결과, 동작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DTV(100)는 전력 제한 동작으로 인해 요청된 동작이 수행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출력부(10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430). 이와 함께, DTV(100)는 상기 요청된 동작을 무시하고, 다시 전력 제한 동작을 감시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query, if the operation is not necessarily performed, the DTV 100 may output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requested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due to the power limit oper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103 (S430). . In addition, the DTV 100 may ignore the requested operation and may monitor the power limit operation again.

단계 S420에서의 질의 결과, 동작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라면, DTV(100)는 요청된 동작의 성능을 열화시키어 수행해도 되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질의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그에 대한 응답을 입력 받을 수 있다(S440).As a result of the query in step S420, if the operation must be performed, the DTV 100 may query the user whether the performance may be performed by degrading the performance of the requested operation, and input a response thereto from the user. Can be received (S440).

단계 S430에서의 질의 결과, 동작 성능 열화가 허용되는 경우라면, DTV(100)는 요청된 동작을 열화된 성능으로 수행한다(S450). 예를 들어, DTV(100)를 통해 동화상 컨텐츠의 시청을 요청한 경우, DTV(100)는 동화상 컨텐츠를 출력하되, 표시되는 컨텐츠의 밝기 및 크기를 줄이거나,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줄여서 출력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query in step S430, when the degradation of the operation performance is allowed, the DTV 100 performs the requested operation with the degraded performance (S450). For example, when requesting viewing of moving picture content through the DTV 100, the DTV 100 outputs moving picture content, but may reduce the brightness and size of the displayed content or reduce the size of the output sound. have.

만약, 단계 S430에서의 질의 결과, 동작 성능 열화가 허용되지 않는 경우라면, DTV(100)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로 전력을 재할당해줄 것으로 요청한다(S460). 즉, DTV(100)는 상기 요청된 동작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동작의 수행에 필요한 전력을 확보해줄 것을 에너지관리장치(30)에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If, as a result of the query in step S430, the operation performance deterioration is not allowed, the DTV 100 requests to reallocate power to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S460). That is, the DTV 100 may determine that the requested operation must be performed and request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30 to secure power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전력을 재할당해줄 것으로 요청하기 위해, DTV(100)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로 전력 재할당 요청(power reassigning request)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력 재할당 요청에는 상기 요청된 동작에 소요되는 전력량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재할당 요청에는 상기 요청된 동작에 부여된 우선순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o request to reassign power, the DTV 100 may transmit a power reassigning request to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At this time, the power reassignment request may include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for the requested operation. In addition, the power reassignment request may include priority information given to the requested operation.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전력 재할당 요청을 수신하면, 그에 포함되어 있는 요청된 동작 수행에 필요한 전력량 및/또는 그에 부여된 우선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앞서 상술한 협상절차를 수행하고 이에 따라 여유 전력이 확보되면, 전력 할당 요청을 상기 DTV(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DTV(100)에 전력을 재할당할 수 있다.When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receives the power reallocation request,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performs the above-described negotiation procedure based on the amount of power required for performing the requested operation and / or priority information assigned thereto. Accordingly, when the spare power is secured, power may be reassigned to the DTV 100 by transmitting a power allocation request to the DTV 100.

이에 따라, 상기 DTV(100)는, 앞서 설명한 전자 기기의 전력 할당 동작 및 전력 제한 동작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DTV 100 operates according to the power allocation operation and the power limit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described abov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에너지관리장치에 의한 전력사용량 감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onitoring power consumption by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0 내지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 기기가 개별적으로 스스로 소모하고 있는 전력량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즉, 전자 기기가 할당된 범위 내에서 동작하도록 스스로 제어하고, 만약 할당된 범위를 초과하는 전력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에너지관리장치(30)로 재할당을 요청하는 절차에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에너지관리장치가 각 전자기기의 전력 소모량을 감시하고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1, a method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an electronic device individually is described. In other words,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s itself to operate within the allocated range, and in the case of using power exceeding the allocated range,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a procedure for requesting reassignment to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30. Hereinaf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electronic device b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will be describ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에너지관리장치가 전력관리네트워크에 연결된 전자 기기의 전력 소모를 감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전자 기기는 앞서 설명한 DTV(100)인 것을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onitoring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a power management network by an energy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assuming that the electronic device is the DTV 100 described above.

도 12를 참조하면,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 연결된 DTV(100)의 전력 소모량을 획득한다(S500).Referring to FIG. 12,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obtains power consumption of the DTV 100 connected to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S500).

DTV(10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 소모량은 상기 DTV(100)에서 측정되어 상기 에너지관리장치(3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에너지관리장치(30)가 직접적으로 DTV(100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 소모량을 측정 및/또는 산출할 수 있다.The power consumption consumed by the DTV 100 may be measured by the DTV 100 and transmitted to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and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directly consumes power consumed by the DTV 1000. Can be measured and / or calculated.

이 때, 전자의 경우, DTV(100)에는 전력 소모량의 측정을 위한 계측기(도면 미도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DTV(100)의 상기 전원부(105)에 연결되는 스마트 미터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05)의 전원 플러그와 전력 공급을 위한 콘센트의 사이에 연결된 스마트 미터기에 의해 상기 DTV(10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량이 측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측정값은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10)를 통해 에너지관리장치(30)로 전송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former case, the DTV 100 may include a measuring instrument (not shown) for measuring power consumption, or is measured by a smart meter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05 of the DTV 100. Can be. For example,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DTV 100 may be measured by a smart meter connected between a power plug of the power supply unit 105 and an outlet for power supply, and the measured value may be measured by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 10) may be transmitted to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에너지관리장치(30)는 획득된 전력 소모량을 기초로 하여 DTV(100)의 전력 사용량을 감시한다(S510). 즉, 에너지관리장치(30)는 상기 DTV(100)의 전력 소모량이 상기 DTV(100)에 할당된 동작 전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10).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onitors the power usage of the DTV 100 based on the obtained power consumption (S510). That is,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determine whethe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TV 100 exceeds the operating power allocated to the DTV 100 (S510).

DTV(100)에 할당된 동작 전력은 앞서 설명한 전력 제한 요청에 대한 응답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또는, 만약 전력 제한 요청에 대한 응답에 DTV(100)에서 결정한 동작 전력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에너지관리장치(30)는, 별도의 요청을 통해, DTV(100)에 할당된 동작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The operating power allocated to the DTV 100 may be obtained through a response to the power limit request described above. Or, if the operating power determined by the DTV 100 is not included in the response to the power limit request,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obtains the operating power allocated to the DTV 100 through a separate request. can do.

만약, 상기 감시 동작(S510) 중, 소모 전력이 동작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단계 S520을 수행하고, 소모 전력이 동작 전력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500으로 회귀하여, 계속하여 실시간으로 DTV(10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을 감시하게 된다.If the power consumption exceeds the operating power during the monitoring operation S510, step S520 to be described below is performed. If the power consumption does not exceed the operating power,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500 and continues. The power consumed by the DTV 100 is monitored in real time.

에너지관리장치(30)는, 이어서, DTV(100)에 대한 전력 재할당이 필요한지를 확인한다(S520). 예를 들어, 에너지관리장치(30)는, 현재 DTV(100)에서 수행 중인 동작에 대한 정보를 획득 하고, 사용자에게 현재 DTV(100)에서 수행 중인 동작이 반드시 필요한지 질의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33a)를 통해 출력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음으로써 단계 S520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DTV(100)에게 이와 같은 질의 화면을 DTV(100)의 디스플레이부(103a)를 통해 출력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아 전송할 것을 요청함으로써, 에너지관리장치(30)는 DTV(100)에 대한 전력 재할당이 필요한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만약, 단계 S520을 수행하기 전에,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 S460에 의한 전력 재할당 요청이 DTV(10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에너지관리장치(30)는 전력 재할당이 필요한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30 then checks whether power reallocation for the DTV 100 is necessary (S520). For exampl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obtains information on an opera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the DTV 100, and displays a screen that asks the user whether an opera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the DTV 100 is necessary. Step S520 may be performed by outputting through 33a) and receiving a user's response thereto. Alternatively, by requesting the DTV 100 to output such a query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103a of the DTV 100 and receiving and transmitting a response thereto,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30 sends the DTV 100 to the DTV 100. It will be able to determine if power reassignment is required. If, before performing step S520, the power reassignment request according to step S46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is received from the DTV 100,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can determine whether power reallocation is necessary. do.

만약, 단계 S520의 확인 절차에 의해 전력 재할당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에너지관리장치(30)는 전력 재할당 절차를 수행한다(S530). 이 경우의 전력 재할당 절차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력 재할당 절차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power reallocation is necessary by the checking procedure of step S520,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30 performs a power reallocation procedure (S530). In this case, the power reallocation procedure may be performed by the same or similar method as the power reallocation proced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한편, 단계 S520의 확인 절차에 의해 전력 재할당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에너지관리장치(30)는 DTV(100)의 동작을 제어한다(S540). 예를 들어, 에너지관리장치(30)는 DTV(100)에게 현재 수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동작의 수행을 중지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는, DTV(100)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력 제한 동작을 다시 수행할 것을 요청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reassignment is not necessary by the confirmation procedure of step S520,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TV 100 (S540). For example,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30 may request the DTV 100 to stop performing at least one opera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Alternatively, the DTV 100 may be requested to perform the power limiting opera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0.

이로써, 에너지관리장치(30)는 능동적으로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서 소모되고 있는 전력량을 감시하고, 전력관리네트워크(10)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 기기들의 동작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energy management apparatus 30 actively monitors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and appropriately controls the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10.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미디엄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can be implemented in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may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and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상기 메모리(34, 104)에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34, 106)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In addition, software codes may be stored in the memories 34 and 104 and executed by the controllers 34 and 106.

Claims (12)

전력관리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전력 제한량을 결정하고,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에 연결된 전자 기기에 할당할 기기별 제한량을 결정한 후, 상기 기기별 제한량을 포함하는 전력 제한 요청을 상기 전자 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전력 제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된 응답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전력사용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관리장치.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And
Determine the power limit,
After determining a device specific limit to be allocated to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and transmits a power limit request including the device specific limit to the electronic device,
Receive a response to the power limit request, and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Power managemen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전자 기기에 할당할 전력이 부족한 경우, 상기 전자 기기에 재 전력 제한 요청을 전송하는
전력관리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n there is not enough power to be allocated to other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a request for re-restriction of power is sent to the electronic device.
Power managemen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기별 제한량을 결정할 때, 상기 전자 기기의 전력소비 패턴 및 상기 전자 기기의 현재 필요 전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전력관리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n determining the limit for each device, determining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current required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Power management device.
복수의 전자기기들을 포함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전력 소비를 제어하는 전력관리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들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동작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열화시키거나 중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관리장치.
A power management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 power management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 display unit;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And
Displaying operations performed on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deteriorating or stopping at least one selected operation among the operation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performs the selected at least one oper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들에 대응되는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우선순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선택하는
전력관리장치.
5. The apparatus of claim 4,
Receiving prior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priority information, selecting the at least one oper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할당할 전력이 부족한 경우,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들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전력관리장치.
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n there is insufficient power to be alloca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the display unit displays operations performed by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Power management device.
복수의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전력관리네트워크의 전력 소비를 제어하는 전력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리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 중 하나인 제1 전자기기로부터 전력 재할당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에 대한 필요전력 및 할당된 동작 전력에 근거하여 선택하고, 그리고
상기 선택된 제2 전자기기에 전력 제한 요청을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관리장치.
A power management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 power management network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power management network; And
Receiving a power reallocation request from a first electronic device, which is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Selecting based on the required power and the allocated operating power for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And a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a power limit request to the selected second electronic device.
Power management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들 중, 필요 전력이 할당된 동작 전력보다 더 작은 전자기기를 상기 제2 전자기기로 선택하는
전력관리장치.
8. The apparatus of claim 7,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required power smaller than the allocated operating power is selected as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Power management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들 중, 필요전력과 할당된 동작 전력의 차이가 상기 제1 전자기기에 더 할당하여야 하는 전력량 이상인 전자기기를 상기 제2 전자기기로 선택하는
전력관리장치.
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fference between a required power and an allocated operating power more than the amount of power to be allocated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is selected as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Power managemen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은 상기 전력 제한 요청의 승인 및 거절 중 하나를 나타내는
전력관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sponse indicates one of approving and rejecting the power limit request.
Power managemen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이 거절 응답일 때, 복수의 전자기기들에 대한 복수의 필요 전력과 할당된 동작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기기가 아닌 상기 복수의 전자기기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전력관리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n the response is a rejection response,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the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plurality of required powers and the allocated operating powers for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Power management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력 재할당을 위해 상기 선택된 전자기기에 전력 제한 요청을 전송하는
전력관리장치.
1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Sending a power limit request to the selected electronics for power reallocation;
Power management device.
KR1020137011079A 2010-11-05 2010-11-05 Power management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sumption pow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73262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7821 WO2012060495A1 (en) 2010-11-05 2010-11-05 Power management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sumption pow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499A true KR20130124499A (en) 2013-11-14
KR101732628B1 KR101732628B1 (en) 2017-05-04

Family

ID=4602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1079A KR101732628B1 (en) 2010-11-05 2010-11-05 Power management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sumption pow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32628B1 (en)
WO (1) WO2012060495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487A (en) * 2015-03-11 201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Network system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US10296989B2 (en) 2010-06-26 2019-05-21 Lg Electronics Inc. Network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4249A (en) * 2014-09-16 2016-03-16 医扬科技股份有限公司 Mobile nursing device with power supply monitoring and power suppl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6653153B2 (en) * 2015-10-01 2020-0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ower demand adjustment plan management device
US20210302198A1 (en) * 2020-03-25 2021-09-30 Melink Solar & Geo, Inc. Load monitoring and control by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502A (en) * 1995-06-23 1997-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Demand control device
US5754445A (en) * 1995-12-20 1998-05-19 Primex Technologies, Inc. Load distribution and management system
JP2004104863A (en) * 2002-09-05 2004-04-02 Funai Electric Co Ltd Power supply control system
JP2008306835A (en) * 2007-06-07 2008-12-18 Sharp Corp Power controller
JP2009254219A (en) * 2008-04-11 2009-10-29 Panasonic Corp Power control apparatus and program
EP2200142B1 (en) * 2008-12-19 2014-04-16 ABB Oy Method and arrangement for limiting electric power required by electric load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96989B2 (en) 2010-06-26 2019-05-21 Lg Electronics Inc. Network system
KR20160109487A (en) * 2015-03-11 201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Network system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US10254735B2 (en) 2015-03-11 2019-04-09 Lg Electronics Inc.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628B1 (en) 2017-05-04
WO2012060495A1 (en)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4728B2 (en) Power management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sumption pow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4594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ngle and multizonal optimization of utility services delivery and utilization
US7953519B2 (en) Energy usage monitoring and balancing method and system
KR101611287B1 (en) Smart metering device
US8674543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consumption pow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5872571B2 (en) Power management system, power management method, and network server
US865393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32628B1 (en) Power management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sumption pow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20000011A (en) Network system and energy consumption component
KR101731361B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consumption pow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Yang et al. Two-stage robust optimization strategy for spatially-temporally correlated data centers with data-driven uncertainty sets
JP6783630B2 (en) Equipment control devices, equipment control methods, and programs
WO2020261797A1 (en) Power control method, program, power control system, aggreg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KR20170111368A (en) Power network system
KR20120000018A (en) Network system
US9182247B2 (en) Network system
KR20120008375A (en) Network system
Bojović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a microgrid application
KR20120067033A (en) A network system
KR20120000015A (en) Network system
KR20120000019A (en) A network system
KR20120029568A (en) A network system
KR20120000012A (en) A network system
KR20120008373A (en) Network system and a component thereof
KR20120000009A (en) Network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