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009A - Network system - Google Patents

Network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009A
KR20120000009A KR1020100060884A KR20100060884A KR20120000009A KR 20120000009 A KR20120000009 A KR 20120000009A KR 1020100060884 A KR1020100060884 A KR 1020100060884A KR 20100060884 A KR20100060884 A KR 20100060884A KR 20120000009 A KR20120000009 A KR 20120000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information
energy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8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립
이훈봉
김양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0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009A/en
Publication of KR20120000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0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PURPOSE: A network system is provided to prevent a specific component from abnormally operating. CONSTITUTION: A first component(10) operates in connection with energy. If the first component operates in connection with energy, a second component(2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omponent by a communication uni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is stopped by either one of the first component or the second component.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recognizes energy information with additional information.

Description

네트워크 시스템{Network System}Network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system.

공급자는 전기, 물, 가스 등과 같은 에너지원(Energy source)을 단순히 공급만하고, 수요처는 공급받은 에너지원을 단순히 사용만 하였다. 따라서, 에너지 생산, 분배, 또는 에너지 사용 등의 측면에서 효과적인 관리가 수행되기 어려웠다. The supplier simply supplied energy sources such as electricity, water and gas, and the consumer simply used the supplied energy sources. Therefore, effective management in terms of energy production, distribution, or energy use has been difficult to carry out.

즉, 에너지는 에너지 공급자로부터 다수의 수요처를 향하여 분산되는, 즉 중앙에서 주변부로 퍼져나가는 방사형구조이고, 수요자 중심이 아닌 단방향의 공급자 중심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In other words, energy is a radial structure that is distributed from energy suppliers toward multiple demand sources, that is, spreads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and is characterized by unidirectional supplier center, not consumer center.

전기에 대한 가격의 정보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전력거래소를 통하여 제한적으로만 알 수 있었고, 가격제도 또한 사실상의 고정가격제이기 때문에 가격변화를 통한 수요자에 대한 인센티브와 같은 유인책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The price information for electricity was not only available in real time, but only limitedly through the power exchange, and since the price system is also a de facto fixed price system, incentives such as incentives to consumers through price changes cannot be used. There was a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케 해주는 수평적, 협력적, 분산적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have been a lot of efforts in recent years to implement a horizontal, cooperative, and distributed network that effectively manages energy and enables interaction between consumers and suppliers.

본 발명은, 에너지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복수의 컴포넌트 간의 통신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통신을 중단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twork system that can effectively manage an energy source and stop communication when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components is abnormal.

일 측면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에너지와 관련하여 작동하는 제 1 컴포넌트; 에너지와 관련하여 작동하면, 상기 제 1 컴포넌트와 통신수단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는 제 2 컴포넌트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컴포넌트와 상기 제 2 컴포넌트 간의 통신은 어느 한 컴포넌트에서 중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a network system includes: a first component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energy; When operating in relation to energy, a second component is included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mponent by means of a communication means,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can be interrupted in either component.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컴포넌트 간의 통신 상태가 비정상 상태이거나, 수동 또는 자동에 의해서 컴포넌트 간의 통신을 수동으로 중단시킬 수 있으므로, 특정 컴포넌트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since a communication state between a plurality of components is abnormal or manual or automatic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can be manually stopp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bnormal operation of a specific component and to improve user convenience. There is an advantage to meet.

또한, 복수의 컴포넌트 간의 통신에 의해서 특정 컴포넌트가 에너지정보와 부가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원을 효율적으로 생산, 사용, 분배, 저장 등을 할 수 있게 되어, 에너지원의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a specific component can recognize energy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by communication between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energy source can be efficiently produced, used, distributed, stored, and the like, thereby enabling efficient management of the energy source. d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정보 전달 과정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4는 전기요금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4의 (a)는 TOU(Time of use) 정보와 CPP(critical peak pattern) 정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4의 (b)는 RTP(real time pattern) 정보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1 적용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2 적용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3 적용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 1 실시 예의 특정 컴포넌트의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 2 실시 예의 특정 컴포넌트의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 3 실시 예의 복수의 특정 컴포넌트의 통신 해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1 shows schematically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formation transfer process on a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graph for explaining a form of an electric charge. FIG. 4A is a graph showing time of use (TOU) information and critical peak pattern (CPP) information, and FIG. 4B is an RTP ( real time pattern) A graph showing information.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application example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application example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hird application example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lock diagram of specific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constituting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of specific components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releasing communication of a plurality of specific components in a third embodiment of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기, 물, 가스 등과 같이 에너지원(Energy source)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에너지원은, 발생량 또는 사용량 등이 계측(meter)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is network system is a system for managing energy sources such as electricity, water, and gas. The energy source means that the amount of generation, the amount of use, etc. can be measured.

따라서,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에너지원도 본 시스템의 관리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에너지원으로서 일 예로 전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며, 본 명세서의 내용은 다른 에너지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us, energy sources not mentioned above may also be included in the management of this system. Hereinafter, as an energy source, electricity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equally applied to other energy sources.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Power plant)를 포함한다. 상기 발전소는, 화력발전이나 원자력발전 등을 통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와, 친환경 에너지인 수력, 태양광, 풍력 등을 이용한 발전소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exemplary network system includes a power plant that generates electricity. The power plant may include a power plant that generates electricity through thermal power generation or nuclear power generation, and a power plant using hydro, solar, wind, and the like, which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그리고, 상기 발전소에서 발생된 전기는 송전선을 통하여 전력소로 송전되고, 전력소(substation)에서는 변전소로 전기를 송전하여 전기가 가정이나 사무실 같은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power plant is transmitted to the power station through the transmission line, and in the power station (substation) to transmit electricity to the substation so that the electricity is distributed to the demand destination, such as home or office.

그리고, 친환경 에너지에 의하여 생산된 전기도 변전소로 송전되어 각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그리고, 변전소에서 송전된 전기는 전기저장장치를 거쳐서 또는 직접 사무실이나 각 가정으로 분배된다. In addition, the electricity produced by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is also transmitted to the substation to be distributed to each customer. Then, the electricity transmitted from the substation is distributed to the office or home via the electrical storage device or directly.

가정용 네트워크(HAN, Home Area Network)를 사용하는 가정에서도 태양광이나 PHEV(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Plug in Hybrid Electric Vehicle)에 장착된 연료전지 등을 통하여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산하거나, 저장하거나, 분배하거나, 남는 전기를 외부(일 례로 전력회사)에 되팔 수도 있다. Even in homes that use a home area network (HAN), they can produce, store, or distribute their own electricity through solar light or fuel cells mounted on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The surplus electricity can also be sold back to the outside world (for example, the utility).

또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수요처(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전기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스마트 미터(Smart meter)와, 다수의 수요처의 전기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계측장치(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계측장치는 다수의 스마트 미터에서 계측된 정보를 받아 전기 사용량을 계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twork system includes a smart meter for real-time measuring the electricity usage of the demand destination (home or office, etc.), and a meter (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for real-time measurement of the electricity usage of a plurality of demand destinations. May be included. That is, the measuring device may receive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smart meters to measure the electricity usage.

본 명세서에서, 계측은 스마트 미터 및 계측장치 자체가 계측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컴포넌트로부터 발생량 또는 사용량을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미터 및 계측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measurement includes not only the smart meter and the measuring device itself measuring, but also that the smart meter and the measuring device can recognize the generation amount or the usage amount from other components.

또한,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은,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관리장치(EMS: Energy Management Syste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장치는 에너지와 관련(에너지의 생성, 분배, 사용, 저장 등)하여,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의 작동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장치는, 적어도 컴포넌트의 작동에 관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The network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energy management system (EMS) for managing energ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may generat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one or more components in relation to energy (generation, distribution, use, storage, etc.) of energ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can generate instructions relating to the operation of at least the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에너지관리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기능 또는 솔루션은 에너지관리기능(Energy Management Function) 또는 에너지관리솔루션(Energy Management Solution)이라고 언급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unction or solution performed by the energy management device may be referred to as an energy management function or an energy management solution.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는 별도의 구성으로 하나 이상이 존재하거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에 에너지관리기능 또는 솔루션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energy management devices may be present in separate configurations, or may be included in one or more components as an energy management function or solu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의 컴포넌트 들에 의해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발전소, 변전소, 전력소, 에너지관리장치, 가전제품, 스마트 미터, 축전기, 웹 서버, 계측장치, 홈 서버 등이 네트워크 시스템의 컴포넌트 들이다. 1 and 2,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components. For example, power plants, substations, power stations, energy management devices, appliances, smart meters, capacitors, web servers, instrumentation devices, and home servers are the components of network systems.

또한, 본 발명에서, 각 컴포넌트는 다수의 세부 컴포넌트 들에 의해서 구성될 수 있다. 일 례로, 일 컴포넌트가 가전제품인 경우, 가전제품을 구성하는 마이컴, 히터, 디스플레이, 모터 등이 세부 컴포넌트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detailed components. For example, when one component is a home appliance, a detailed component may be a microcomputer, a heater, a display, a motor, etc. constituting the home appliance.

즉, 본 발명에서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것이 컴포넌트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컴포넌트 들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한다. 그리고, 두 컴포넌트 들은 통신수단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everything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can be a component, and these components constitute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wo components may communicate by a communication means.

또한, 하나의 네트워크(network)는 하나의 컴포넌트일 수 있거나, 다수의 컴포넌트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one network may be one component or may be composed of multiple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통신 정보가 에너지원과 관련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에너지 망(Energy grid)이라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network system in which communication information is associated with an energy source may be referred to as an energy grid.

일 실시 예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유틸리티 네트워크(UAN: Utility Area Network: 10)와, 가정용 네트워크(HAN, Home Area Network: 20)로 구성될 수 있다. 유틸리티 네트워크(10)와 가정용 네트워크(20)는 통신수단에 의해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할 수 있다. Th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of a utility network (UAN) 10 and a home network (HAN) 20. The utility network 10 and the home network 20 may communicate by wire or wirelessly by communication means.

본 명세서에서, 가정은, 사전적 의미의 가정 뿐만 아니라, 건물, 회사 등 특정 컴포넌트 들이 모인 집단을 의미한다. 그리고, 유틸리티는 가정 외부의 특정 컴포넌트 들이 모인 집단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a home means a group of specific components such as a building, a company, as well as a home in a dictionary meaning. And, utility means a group of specific components outside the home.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는, 에너지를 발생하는 에너지발생부(Energy generation component: 11)와, 에너지를 분배 또는 전달하는 에너지분배부(Energy distribution component: 12)와,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부(Energy storage component: 13)와,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관리부(Energy management component: 14)와, 에너지 관련 정보를 측정하는 에너지측정부(Energy metering component: 15)를 포함한다. The utility network 10 includes an energy generation component 11 for generating energy, an energy distribution component 12 for distributing or transferring energy, and an energy storage unit for storing energy. An energy storage component 13), an energy management component 14 for managing energy, and an energy metering component 15 for measuring energy related information.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가 에너지를 소비하는 경우, 에너지를 소비하는 컴포넌트는 에너지소비부일 수 있다. 즉, 에너지소비부는 별도의 구성이거나, 다른 컴포넌트에 포함될 수 있다. When one or mor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utility network 10 consume energy, the component that consumes energy may be an energy consumer. That is, the energy consumption unit may be a separate configuration or may be included in other components.

상기 에너지발생부(11)는 일 례로 발전소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분배부(12)는 상기 에너지발생부(11)에서 생성된 에너지 및/또는 에너지저장부(13)에 저장된 에너지를 에너지 소비부로 분배 또는 전달한다. 상기 에너지분배부(12)는 송전기, 변전소, 전력소 등일 수 있다. The energy generator 11 may be, for example, a power plant. The energy distribution unit 12 distributes or delivers the energy generated by the energy generator 11 and / or the energy stored in the energy storage unit 13 to the energy consumption unit. The energy distribution unit 12 may be a power transmitter, a substation, or a power station.

상기 에너지저장부(13)는 축전지 일 수 있고, 상기 에너지관리부(14)는 에너지와 관련하여, 에너지발생부(11), 에너지분배부(12), 에너지저장부(13), 에너지소비부(26) 중 하나 이상의 구동을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 일 례로 상기 에너지관리부(14), 적어도 특정 컴포넌트의 작동에 관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The energy storage unit 13 may be a storage battery, and the energy management unit 14 is related to energy, the energy generating unit 11, energy distribution unit 12, energy storage unit 13, energy consumption unit ( 26) generates information for one or more of driving. For example, the energy management unit 14 may generate a command regard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a specific component.

상기 에너지관리부(14)는 에너지관리장치 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측정부(15)는 에너지의 발생, 분배, 소비, 저장 등과 관련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일 례로 계측장치(AMI) 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부(14)는 별도의 구성이거나, 다른 컴포넌트에 에너지관리기능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The energy management unit 14 may be an energy management device. The energy measuring unit 15 may measure information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distribution, consumption,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be, for example, a measuring device (AMI). The energy management unit 14 may be a separate configuration or may be included as an energy management function in other components.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는, 터미널 컴포넌트(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컴포넌트는 일 례로 게이트웨이(Gate way)일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 컴포넌트는 상기 유틸리니 네트워크(10)와 가정용 네트워크(20)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The utility network 10 may communicate with the home network 20 by a terminal component (not shown). The terminal component may be, for example, a gateway. Such terminal components may be provided in one or more of the utility network 10 and the home network 20.

한편,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는 에너지를 발생하는 에너지발생부(Energy generation component: 21)와, 에너지를 분배하는 에너지분배부(Energy distribution component: 22)와,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부(Energy storage component: 23)와, 에너지를 관리하는 에너지관리부(Energy management component: 24)와,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를 측정하는 에너지측정부(Energy metering component: 25)와,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소비부(Energy consumption component: 26)와, 다수의 컴포넌트를 제어하는 중앙관리부(Central management component: 27)와, 에너지 망 보조부(Energy Grid Assistance Component: 28)와, 악세사리 컴포넌트(29)와, 컨슈머블 처리부(consumable handling component: 30)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home network 20 includes an energy generation component 21 for generating energy, an energy distribution component 22 for distributing energy, and an energy storage unit for storing energy. storage component 23, an energy management component 24 for managing energy, an energy metering component 25 for measuring information related to energy, and an energy consuming unit for consuming energy consumption component 26, a central management component 27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an energy grid assistance component 28, an accessory component 29, and a consumer processing component component: 30).

상기 에너지발생부(Energy generation component: 21)는 가정용 발전기일 수 있고, 상기 에너지저장부(Energy storage component: 23)는 축전지일 수 있고, 에너지관리부(Energy management component: 24)는 에너지관리장치 일 수 있다. The energy generation component 21 may be a household generator, the energy storage component 23 may be a storage battery, and the energy management component 24 may be an energy management device. have.

상기 에너지측정부(Energy metering component: 25)는 에너지의 발생, 분배, 소비, 저장 등과 관련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일 례로 스마트 미터(Smart meter)일 수 있다. The energy metering component 25 may measure information related to generation, distribution, consumption, storage, and the like of energy. For example, the energy metering component 25 may be a smart meter.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일 례로 가전제품(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조리기기, 청소기, 건조기, 식기세척기, 제습기, 디스플레이 기기, 조명기기 등) 또는 가전제품을 구성하는 히터, 모터,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에너지소비부(26)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energy consumption unit 26 may be, for example, a home appliance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n air conditioner, a cooking appliance, a cleaner, a dryer, a dishwasher, a dehumidifier, a display device, a lighting device, etc.) or a heater, a motor, a display, etc. constituting the home appliance. Can be. Note that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type of energy consumption unit 26 in this embodiment.

상기 에너지관리부(24)는 개별적인 컴포넌트이거나 다른 컴포넌트에 에너지관리기능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관리부(21)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와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energy management unit 24 may be an individual component or may be included as an energy management function in another component. The energy management unit 21 may communicate with one or more components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상기 에너지발생부(21), 상기 에너지분배부(22), 에너지저장부(23)는 개별적인 컴포넌트이거나, 단일의 컴포넌트를 구성할 수 있다. The energy generator 21, the energy distributor 22, and the energy storage unit 23 may be individual components or may constitute a single component.

상기 중앙관리부(27)는 일 례로 다수의 가전제품(Appliance)을 제어하는 홈 서버(Home server) 일 수 있다. The central management unit 27 may be, for example, a home server controlling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상기 에너지 망 보조부(28)는, 상기 에너지 망(Energy Grid)을 위해 추가적인 기능을 하면서, 본래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컴포넌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 망 보조부(28)는 웹 서비스 제공부(일 례로 컴퓨터 등),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 텔레비전 등일 수 있다. The energy network assistant 28 is a component having an original function while performing an additional function for the energy grid. For example, the energy network assistant 28 may be a web service provider (eg, a computer), a mobile device, a television, or the like.

상기 악세사리 컴포넌트(29)는, 에너지 망을 위하여 추가적인 기능을 하는 에너지 망 전용 컴포넌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악세사리 컴포넌트(29)는 에너지 망 전용 기상수신 안테나일 수 있다. The accessory component 29 is an energy network only component that performs additional functions for the energy network. For example, the accessory component 29 may be a weather network antenna dedicated to the energy network.

상기 컨슈머블 처리부(Consumable handling component: 30)는 컨슈머블을 저장, 공급, 전달 등을 하는 컴포넌트로서, 컨슈머블에 관한 정보를 확인 또는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컨슈머블은 일 례로 에너지소비부(26)의 작동 시 사용 또는 처리되는 물품 또는 물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슈머블 처리부(30)는 에너지 망에서 일 례로 상기 에너지관리부(24)에 의해서 관리될 수 있다. The consumer handling component 30 is a component that stores, supplies, and delivers the consumer, and may identify or recognize information about the consumer. The consumer may be, for example, an article or material that is used or processed when the energy consumption unit 26 is operated. In addition, the consumer processor 30 may be managed by the energy manager 24 as an example in an energy network.

예를 들어, 상기 컨슈머블은, 세탁기에서 세탁포, 조리기기에서의 조리물이거나, 세탁기에서 세탁포를 세탁하기 위한 세제 또는 섬유유연제이거나,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미료 등 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sumer may be a laundry cloth in a washing machine, a food in a cooking appliance, a detergent or a fabric softener for washing a laundry cloth in a washing machine, a seasoning for cooking food, and the like.

위에서 언급된 에너지 발생부(11, 21), 에너지 분배부(12, 22), 에너지 저장부(13, 23), 에너지 관리부(14, 24), 에너지측정부(15, 25), 에너지소비부(26), 중앙관리부(27)는,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둘 이상이 단일의 컴포넌트를 구성할 수 있다. Energy generation unit 11, 21, energy distribution unit 12, 22, energy storage unit 13, 23, energy management unit 14, 24, energy measuring unit 15, 25, energy consumption unit mentioned above (26), the central management unit 27 may exis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two or more may constitute a single component.

예를 들어, 에너지관리부(14, 24), 에너지측정부(15, 25), 중앙관리부(27)가 각각 단일의 컴포넌트로 존재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미터, 에너지관리장치, 홈서버로 구성되거나, 에너지관리부(14, 24), 에너지측정부(15, 25), 중앙관리부(27)가 기구적으로 단일의 컴포넌트를 이룰 수 있다. For example, the energy management unit 14 and 24, the energy measuring unit 15 and 25, and the central management unit 27 each exist as a single component, and perform smart functions, energy management devices, and home servers that perform their respective functions. Or, the energy management unit 14, 24, the energy measuring unit 15, 25, the central management unit 27 may form a single component mechanically.

또한, 하나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다수 개의 컴포넌트 및/또는 통신수단에서 그 기능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에너지관리부와, 에너지측정부 및 에너지소비부에서 순차적으로 에너지 관리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performing one function, the function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in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 or communication means. For example, energy management functions may be sequentially performed in a separate energy management unit, an energy measuring unit, and an energy consumption unit.

그리고, 유틸리티 네트워크와 가정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특정 기능의 컴포넌트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발생부 또는 에너지소비부 등은 복수 개일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mponents of a specific function constituting the utility network and the home network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re may be a plurality of energy generating units or energy consuming units.

한편,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와 가정용 네트워크(20)는 통신수단(제1인터페이스)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유틸리티 네트워크(10)가 단일의 가정용 네트워크(20)와 통신할 수 있고, 단일의 유틸리티 네트워크(10)가 복수의 가정용 네트워크(20)와 통신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tility network 10 and the home network 20 can communicate by a communication means (first interface).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utility networks 10 may communicate with a single home network 20, and the single utility network 10 may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home networks 20.

일 례로 상기 통신수단은 단순 통신선이거나 전력선 통신수단(Power line communication means)일 수 있다. 물론, 전력선 통신수단은 두 컴포넌트와 각각 연결되는 통신기(일 례로 모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통신수단은 zigbee, wi-fi, 블루투스 등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eans may be a simple communication line or a power line communication means. Of course,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means may include a communicator (eg, a modem) connected to each of the two components. As another example, the communication means may be zigbee, wi-fi, Bluetooth, or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유선 통신을 위한 방법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method for wired communication or the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두 개의 컴포넌트 들은 통신수단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Two components constituting the utility network 10 may communicate by means of communication means.

또한,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를 구성하는 두 개의 컴포넌트 들은 통신수단(제2인터페이스)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상기 에너지관리부(24), 상기 에너지측정부(25), 중앙 관리부(27), 에너지 망 보조부(28) 등 중 하나 이상과 통신수단(제2인터페이스)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wo components constituting the home network 20 may communicate by a communication means (second interface). For example, the energy consumption unit 26 may communicate with one or more of the energy management unit 24, the energy measurement unit 25, the central management unit 27, the energy network assistance unit 28, and the like (second interface). Can communicate by

그리고, 상기 각 컴포넌트(일 례로 에너지소비부)의 마이컴은 상기 통신수단(제2인터페이스)과 통신(제3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소비가 가전제품인 경우, 상기 에너지소비부는 통신수단(제2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상기 에너지관리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는 제3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상기 가전제품의 마이컴으로 전달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of each component (for example, the energy consumption unit) may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means (second interface) (third interface). For example, when the energy consumption is a household appliance, the energy consumption unit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energy management unit by a communication means (second interface), and the received information is a microcomputer of the household appliance by a third interface. Can be delivered.

또한,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상기 악세사리 컴포넌트(29)와 통신수단(제4인터페이스)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상기 컨슈머블 처리부(30)와 통신수단(제5인터페이스)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nergy consumption unit 26 may communicate with the accessory component 29 by a communication means (fourth interface). In addition, the energy consumption unit 26 may communicate with the consumer processor 30 by a communication means (a fifth interface).

도 3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의 정보 전달 과정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전기요금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4의 (a)는 TOU(Time of use) 정보와 CPP(critical peak pattern) 정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4의 (b)는 RTP(real time pattern) 정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transferring information on a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graph illustrating a form of an electric charge. FIG. 4A is a graph showing time of use (TOU) information and critical peak pattern (CPP) information, and FIG. 4B is a RTP ( This graph shows real time pattern informa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특정 컴포넌트(C)는 통신수단에 의해서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이하에서는 "에너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컴포넌트(C)는 통신수단에 의해서 에너지 정보 외에 부가 정보(환경 정보, 프로그램 업데이트 정보, 시간 정보, 각 컴포넌트의 작동 또는 상태 정보(고장 등), 에너지소비부를 사용하는 소비자 습관 정보 등)를 더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n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component C ma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energy (hereinafter, “energy information”) by communication means. In addition, the specific component (C) may be additional informa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program update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oper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breakdown, etc.), in addition to the energy information by the communication means, consumer habit information using the energy consumption unit, etc. ) Can be received further.

상기 환경 정보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 습도, 강우량, 강우여부, 일사량, 풍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may include carbon dioxide emissions,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air, temperature, humidity, rainfall, rainfall or the like, solar radiation, air volume, and the like.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정보는, 각 컴포넌트와 관련한 정보(각 컴포넌트의 작동 또는 상태 정보(고장 등), 에너지소비부의 에너지 사용 정보, 에너지소비부를 사용하는 소비자 습관 정보 등)인 내부 정보와, 그 외의 정보인 외부 정보(에너지 정보, 환경 정보, 프로그램 업데이트 정보, 시간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information is internal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related to each component (oper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such as failure), energy usage information of the energy consumer, consumer habit information using the energy consumer, etc.), and other information. Phosphorus can be classified into external information (energy inform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program update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이 때, 정보 들은 다른 컴포넌트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수신되는 정보에는 적어도 에너지 정보가 포함된다.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other components. In other words, the receive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energy information.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 또는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 일 수 있다. The specific component may be one component constituting the utility network 10 or one component constituting the home network 20.

상기 에너지 정보(I)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물, 가스 등의 정보 중 하나 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nergy information I may be one of information such as electricity, water, and gas.

일 례로, 전기와 관련한 정보의 종류는, 전기 요금(Time-based Pricing), 에너지저감(curtailment), 긴급상황(Grid emergency), 망 안전(grid reliability), 발전량(Energy generation Amount), 작동 우선 순위(operation priority), 에너지소비량(Energy consumption Amount) 등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에너지원과 관련한 요금은 에너지요금이라 할 수 있다. For example,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icity includes time-based pricing, energy curtailment, grid emergency, grid reliability, energy generation amount, and operational priority. (operation priority), energy consumption amount (Amount). In this embodiment, the fee associated with the energy source may be referred to as an energy fee.

즉, 에너지와 관련한 정보는 요금 정보(에너지요금)와 요금 외 정보(에너지저감, 긴급상황, 망 안전, 발전량, 작동 우선 순위, 에너지소비량 등)로 구분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energy-related information may be classified into charge information (energy charge) and non-charge information (energy reduction, emergency situation, network safety, generation amount, operation priority, energy consumption amount, etc.).

이러한 정보는, 이전의 정보를 토대로 미리 생성된 스케줄 정보(scheduled information)와, 실시 간으로 변동되는 실시 간 정보(real time information)로 구분될 수 있다. 스케줄 정보와 실시 간 정보는 현재 시간 이후(미래)의 정보 예측 여부에 의해서 구분될 수 있다. Such information may be classified into schedule information previously generated based on previous information and real time information that changes in real time.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the real time information may be distinguished by predicting information after the current time (future).

또한, 상기 에너지 정보(I)는, 시간에 따른 데이터의 변화 패턴에 따라서 TOU(time of use) 정보이거나, CPP(critical peak pattern) 정보이거나, RTP(real time pattern)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너지 정보(I)는 시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The energy information I may be classified into time of use (TOU) information, critical peak pattern (CPP) information, or real time pattern (RTP) information according to a change pattern of data over time. The energy information I may change with time.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TOU 정보에 의하면, 시간에 따라 데이터가 단계적으로 변화된다. 상기 CPP 정보에 의하면, 데이터가 시간에 따라 단계 또는 실시간으로 변화되며, 특정 시점에 강조(emphasis)가 표시된다. 즉, CPP 패턴의 경우, 일반적인 요금은 TOU 패턴의 요금보다 저렴하나, 특정 시점에서의 요금은 TOU 패턴에서의 요금 보다 현저하게 비싸다. Referring to FIG. 4A, according to the TOU information, data is gradually changed in time. According to the CPP information, the data changes step by step or in real time with time, and emphasis is displayed at a specific time point. That is, in the case of the CPP pattern, the general fee is lower than that of the TOU pattern, but the charge at a specific time point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TOU pattern.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RTP 정보에 의하면, 시간에 따라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변화된다. Referring to FIG. 4B, according to the RTP information, data changes in real time with time.

한편, 상기 에너지 정보(I)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 불린(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되거나, 실제 가격정보가 송수신되거나, 다수 개로 레벨화되어 송수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기와 관련한 정보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Meanwhile, the energy information I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 true or false signal, such as a Boolean on a network system, or actual pric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or may be leveled and transmitted. Hereinafter,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icity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상기 특정 컴포넌트(C)가 불린(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신호를 온 피크(on-peak) 신호라 인식(에너지소비량 또는 에너지요금의 저감과 관련한 정보 인식)하고, 다른 하나의 신호를 오프 피크(off-peak) 신호라 인식할 수 있다. When the specific component C receives a true or false signal, such as a Boolean, any one signal is recognized as an on-peak signal (recognition of information related to energy consumption or reduction of energy bill). The other signal may be recognized as an off-peak signal.

이와 달리, 특정 컴포넌트는 전기요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에 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인식된 정보값과 기준정보값을 비교하여 온 피크(on-peak)와 오프 피크(off-peak)를 인식할 수 있다. In contrast, a particular component may recognize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driving including an electric charge, and the specific component compares the recognized information value with the reference information value to compare the on-peak and off-peak ( off-peak).

예를 들어, 특정 컴포넌트가 레벨화된 정보 또는 실제 가격 정보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인식된 정보값과 기준정보값을 비교하여 온 피크(on-peak)와 오프 피크(off-peak)를 인식한다. For example, when a specific component recognizes leveled information or actual price information, the specific component compares the recognized information value with the reference information value to turn on-peak and off-peak. Recognize.

이 때, 상기 구동에 관한 정보값은 전기요금, 전력량, 전기요금의 변화율, 전력량의 변화율, 전기요금의 평균값 및 전력량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기준 정보값은 평균값, 소정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평균값, 소정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기준 변화율(일 례로: 단위 시간 당 소비전력량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value related to the driving may be at least one of an electric charge, a power amount, a change rate of the electric charge, a change rate of the power amount, an average value of the electric charge, and an average value of the electric power. The reference information value may be at least one of an average value, an average value of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power information during a predetermined section, and a reference rate of change of power information (eg, slope of power consumption per unit time) during the predetermined section.

상기 기준정보값은 실시 간으로 설정하거나,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준정보값은 유틸리티 네트워크에서 설정되거나, 가정용 네트워크(소비자직접입력, 에너지관리부, 중앙관리부 등에서 입력)에서 설정할 수 있다. The reference information value may be set in real time or may be set in advance. The reference information value may be set in a utility network or in a home network (input from a consumer direct input, an energy manager, a central manager, etc.).

상기 특정 컴포넌트(일 례로 에너지 소비부)가 온 피크(on-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출력을 0으로 하거나(정지 또는 정지상태유지) 출력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작동 시작 전에 미리 판단하여 구동 방식을 결정할 수도 있고, 작동 시작 후 온 피크(on-peak)를 인식하였을 때, 구동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When the specific component (for example, the energy consumption unit) recognizes an on-peak (for example, a recognition time point), the output may be zero (stopped or stopped) and the output may be reduced. The specific component may determine the driving method in advance before starting the operation, or may change the driving method when the on-peak is recognized after starting the operation.

그리고, 특정 컴포넌트가 오프 피크를 인식하면, 필요 시에 출력을 회복하거나 증가할 수 있다. 즉, 온 피크를 인식한 특정 컴포넌트가 오프 피크를 인식하게 되면, 출력을 이전의 상태로 회복하거나, 이전의 출력 보다 더 증가시킬 수 있다. And, if a particular component recognizes an off peak, the output can be restored or increased as needed. That is, when a specific component that recognizes an on peak recognizes an off peak, the output may be restored to a previous state or increased more than the previous output.

이 때, 특정 컴포넌트가 오프 피크를 인식한 후에 출력을 회복하거나 출력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도, 특정 컴포넌트의 전 구동 시간 동안의 전체 소모전력 및/또는 총 전기사용요금은 줄어듬은 물론이다. At this time, even when the specific component recovers the output or increases the output after recognizing the off-peak,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nd / or the total electricity bill for the entire operating time of the specific component is reduced.

또는,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온 피크(on-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작동 가능한 조건이면 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작동 가능한 조건은 구동에 관한 정보값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구동에 관한 정보값은, 전기요금, 소비전력량 또는 작동시간에 관한 정보 등일 수 있다. 상기 일정기준은 상대값 또는 절대값일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specific component recognizes an on-peak (for example, a recognition time point), the output may be maintained when the specific component is operable. At this time, the operable condition means that the information value for driving is below a certain standard. The information value related to the driving may be information about an electric charge, power consumption, or operation time. The predetermined criterion may be a relative value or an absolute value.

상기 일정기준은 실시 간으로 설정하거나,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일정기준은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에서 설정되거나, 가정용 네트워크(소비자직접입력, 에너지관리부, 중앙관리부 등에서 입력)에서 설정할 수 있다. The schedule standard may be set in real time or may be set in advance. The schedule criterion may be set in the utility network or in a home network (input from a consumer direct input, an energy manager, a central manager, etc.).

또는,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온 피크(on-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온 피크(on-peak)를 인식한 시점에서 출력이 증가되더라도 특정 컴포넌트의 전 구동 기간 동안의 총출력량은, 특정 컴포넌트가 정상 출력으로 작동할 때의 총출력량 보다 저감 또는 유지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specific component recognizes an on-peak (eg, a recognition time), the output may be increased. However, even when the output is increased when the on-peak is recognized, the total output amount during the entire driving period of the specific component may be reduced or maintained than the total output amount when the specific component operates at the normal output.

또는, 온 피크(on-peak)를 인식한 시점에서 출력이 증가되더라도, 특정 컴포넌트의 전 구동 기간 동안의 총소모전력 또는 총전기요금은 특정 컴포넌트가 정상 출력으로 작동할 때의 총소모전력 또는 총전기요금 보다 저감될 수 있다. Or, even if the output is increased when the on-peak is recognized,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r total electric charge for the entire operating period of a particular component is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r total power when the specific component operates at normal output. It can be lower than the electricity bill.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오프 피크(off-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예약 설정된 경우, 설정 시각 전에 특정 컴포넌트가 구동 시작하거나 복수의 컴포넌트 중 출력이 큰 컴포넌트가 먼저 구동할 수 있다. When the specific component recognizes an off-peak (for example, a recognition time), the output may be increased. For example, when an operation reservation is set, a specific component may start driving before a set time, or a component having a larger output among a plurality of components may be driven first.

또한, 냉장고의 경우 기존 출력 보다 출력을 증가시켜 과냉각하거나, 세탁기 또는 세척기의 경우, 히터의 작동 예정 시각 보다 미리 히터를 구동하여 온수 탱크에 온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추후 도래할 온 피크에서 작동될 것을 미리 오프 피크에서 작동시켜, 전기요금을 절감시키기 위함이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refrigerator, the output may be supercooled by increasing the output, or in the case of a washing machine or a washing machine, the hot water may be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by driving the heater in advance of the scheduled operation time of the heater. This is to reduce the electricity bill by operating in the off-peak in advance to operate in the on-peak to come later.

또는 특정 컴포넌트가 오프 피크(off-peak)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인식 시점), 축전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a specific component recognizes an off-peak (eg, a recognition time), power storage may be performed.

본 발명에서 상기 특정 컴포넌트(일 례로 에너지소비부)는 출력을 유지하거나 저감하거나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컴포넌트는 전력 가변 컴포넌트(power changing compone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power)은 전류와 전압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전력가변 컴포넌트는, 전류조절기 및/또는 전압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가변 컴포넌트는 일 례로 에너지관리부로부터 발생한 명령에 따라서 작동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component (for example, the energy consumption unit) may maintain, reduce or increase the output. Thus, a particular component can include a power changing component. Since the power can be defined by current and voltage, the power variable component can include a current regulator and / or a voltage regulator. For example, the power variable component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a command generated from an energy management unit.

한편, 상기 에너지저감(curtailment) 정보는, 컴포넌트가 정지되거나 전기요금을 적게 쓰는 모드와 관련한 정보이다. 즉, 에너지저감정보는, 에너지소비량 또는 에너지요금의 저감과 관련한 정보이다. 상기 에너지저감 정보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서 일 례로 불린(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될 수 있다. 즉, 정지 신호(turn off 신호) 또는 저감신호(lower power 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다. Meanwhile, the energy curtailment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lated to a mode in which a component is stopped or a low electric charge is used. In other words, the energy reduc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or energy bill. The energy saving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 true or false signal, for example, as a Boolean on a network system. That is, a turn off signal or a lower power signal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에너지저감 정보를 인식하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출력을 0으로 하거나(정지 또는 정지상태유지: turn off 신호를 인식한 경우) 출력을 저감(lower power 신호를 인식한 경우)할 수 있다. When the specific component recognizes the energy saving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output can be zeroed (if the stop or stop state is recognized) or the output can be reduced (if the lower power signal is recognized). have.

상기 긴급상황(Grid emergency) 정보는, 정전 등과 관련한 정보로서, 일 례로 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정전 등과 관련한 정보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컴포넌트의 신뢰성과 관련성이 있다. The grid emergency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lated to a power failure and the like, and may be transmitted / received as a true or false signal such as Boolean.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wer outage is related to the reliability of the component using energy.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긴급상황 정보를 인식한 경우, 즉시 셧 다운(shut down)될 수 있다. When the specific component recognizes the emergency information, it may be immediately shut down.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상기 긴급상황 정보를 스케줄 정보로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긴급상황 시점의 도래 전에 출력을 증가하여, 앞에서 설명한 특정 컴포넌트의 오프 피크에서의 작동과 동일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긴급상황 시점에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셧 다운 될 수 있다. When the specific component receives the emergency information as the schedule information, the specific component may increase the output before the arrival of the emergency time point to perform the same operation as the off-peak operation of the specific component described above. . In addition, the specific component may be shut down at an emergency time.

상기 망 안전(grid reliability) 정보는, 공급 전기량의 많고 적음에 관한 정보 또는 전기의 품질에 관한 정보로서, 불린(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되거나, 컴포넌트(일 례로 가전제품)으로 공급되는 AC전원의 주파수를 통하여 컴포넌트가 판단할 수도 있다. The grid reliability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the high and low supply electricity or information on the quality of electricity, and is transmitted / received by a true or false signal, such as a Boolean, or supplied to a component (for example, a home appliance). The component may determine the frequency of the AC power.

즉, 컴포넌트로 공급되는 AC 전원의 기준 주파수 보다 낮은 주파수(underfrequency)가 감지(인식)되면 공급 전기량이 적은 것으로 판단되고, AC 전원의 기준 주파수 보다 높은 주파수(overfrequency)가 감지(인식)되면 공급 전기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기준 주파수 보다 낮은 주파수(underfrequency)가 에너지소비량 또는 에너지요금의 저감과 관련한 정보에 해당한다. That is, when an under frequency is detected (recognized) below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AC power supplied to the component, the amount of supply electricity is determined to be low, and when the frequency higher than the reference frequency of the AC power is detected (recognized), the supply electricity is This can be judged by many. That is, the frequency lower than the reference frequency (underfrequency) corresponds to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or energy bill.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망 안전 정보 중에서 전기량이 적음을 인식하거나 전기 품질이 좋지 않다는 정보를 인식하는 경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경우에 따라서, 출력 0으로 하거나(정지 또는 정지상태유지), 출력을 저감하거나, 출력을 유지하거나, 출력을 증가할 수 있다. When the specific component recognizes that the amount of electricity in the network safety information is low or the information that the electrical quality is not good, as mentioned above, the specific component to output 0 (stop or stop) in some cases, You can reduce the output, maintain the output, or increase the output.

발전 전기량 과다 정보는, 발전량에 비하여 에너지를 소비하는 컴포넌트의 전기 사용량이 적어, 잉여 전기가 발생되는 상태에 관한 정보로서, 일 례로 불린(Boolean)과 같이 true or false 신호로 송수신될 수 있다. The excessive amount of generated electricity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 state in which excess electricity is generated since the amount of electricity consumed by the component consuming less energy than the amount of generated electricity may be transmitted / received as a true or false signal, for example, a Boolean.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발전 전기량 과다 정보를 인식한 경우(일 례로 grid overfrequency를 인식한 경우 또는 over energy 신호를 인식한 경우),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예약 설정된 경우, 설정 시각 전에 특정 컴포넌트가 구동 시작하거나 복수의 컴포넌트 중 출력이 큰 컴포넌트가 먼저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의 경우 기존 출력 보다 출력을 증가시켜 과냉각하거나, 세탁기 또는 세척기의 경우, 히터의 작동 예정 시각 보다 미리 히터를 구동하여 온수를 저장할 수 있다. When the specific component recognizes excessive power gener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grid overfrequency is recognized or when over energy signal is recognized), the output may be increased. For example, when an operation reservation is set, a specific component may start driving before a set time, or a component having a larger output among a plurality of components may be driven first.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efrigerator to increase the output than the existing output supercooled, or in the case of a washing machine or a washing machine, the hot water can be stored by driving the heater in advance than the scheduled time of operation of the heater.

한편, 상기 에너지와 관련한 각 종류의 정보는, 구체적으로, 가공되지 않은 제1정보(first information: I1)와, 제1정보에서 가공된 정보인 제2정보(second information: I2)와, 상기 특정 컴포넌트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정보인 제3정보(third information: I3)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1정보는 미가공된 데이터(raw data)이고, 제2정보는 가공된 데이터(refined data)이고, 제3정보는 특정 컴포넌트의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command)이다. On the other hand, each kind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energy, specifically, the unprocessed first information (I1), the second information (second information (I2)) that is processed information from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The information may be divided into third information I3 which is information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a component. That is, the first information is raw data, the second information is refined data, and the third information is a command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a specific component.

그리고, 에너지 정보는 신호에 포함되어 전달된다. 이 때, 제 1 내지 제 3 정보 중 하나 이상은 신호만 변환될 뿐 내용은 변환되지 않고 복수 회 전달될 수 있다. The energy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ignal and transmitted. In this case, one or more of the first to thir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only a plurality of times without converting only the signal.

일 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정보(I1)를 포함하는 신호를 받은 어느 한 컴포넌트는 단지 신호를 변환하여 제 1 정보(I1)를 포함하는 새로운 신호를 다른 컴포넌트로 송신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any component that receives a signal including the first information I1 may only convert a signal and transmit a new signal including the first information I1 to another component.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신호의 변환과 정보의 변환은 다른 개념인 것으로 설명된다. 이 때, 상기 제 1 정보에서 제 2 정보로 변환될 때에 신호도 함께 변환되는 것임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gnal conversion and the information conversion are described as different concepts. At this time,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signal is also converted when the first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the second information.

다만, 상기 제 3 정보는 내용이 변환된 상태에서 다수 회 전달되거나 내용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신호만 변환된 상태에서 다수 회 전달될 수 있다. However, the third information may be delivered a plurality of times in the state where the contents are converted or in a state where only the signal is converted while maintaining the same contents.

상세히, 제1정보가 가공되지 않은 전기요금 정보인 경우, 상기 제2정보는 가공된 전기요금 정보일 수 있다. 가공된 전기요금 정보는 전기요금이 다수 레벨로 구분된 정보 또는 분석 정보이다. 상기 제3정보는 제1정보 또는 제2정보를 토대로 생성된 명령이다. In detail, when the first information is raw electricity price information,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processed electricity price information. The processed electric charge information is information or analysis information in which electric charges are divided into multiple levels. The third information is a command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information or the second information.

특정 컴포넌트는 제 1 내지 제 3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생성,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정보는 반드시 순차적으로 송수신되는 것은 아니다. The particular component may generate, transmit or receive one or more of the first to third information. The first to third information are not necessarily sequentially transmitted and received.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정보 없이 제 3 정보 만 다수 개가 순차 또는 병렬로 송수신될 수 있다. 또는, 제 1 및 제 3 정보가 함께 송신 또는 수신되거나, 제 2 및 제 3 정보가 함께 송신 또는 수신되거나, 제 1 및 제 2 정보가 함께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For example, only a plurality of thir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sequentially or in parallel without the first and second information. Alternatively, the first and thir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together, the second and thir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together, or the first and secon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together.

일 례로, 특정 컴포넌트가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특정 컴포넌트는 제 2 정보를 송신하거나, 제 2 정보 및 제 3 정보를 송신하거나, 제 3 정보 만을 송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specific component receives the first information, the specific component may transmit the second information, the second information and the third information, or may transmit only the third information.

특정 컴포넌트가 제3정보 만을 수신한 경우, 상기 특정 컴포넌트는 새로운 제 3 정보를 생성 및 송신할 수 있다. When the specific component receives only the third information, the specific component may generate and transmit new third information.

한편, 두 정보 간의 관계에서 어느 한 정보는 메시지(message)이고, 다른 한 정보는 메시지에 대한 대응(response)이다. 따라서, 본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컴포넌트는 메시지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수신된 메시지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의 송신과 이에 대한 대응은 개별 컴포넌트의 경우 상대적인 개념이다. Meanwhi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formations, one information is a message and the other information is a response to the message. Accordingly,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resent network system may transmit or receive a message, and when the message is received, may correspond to the received message. Thus, the transmission of messages and their corresponding responses is a relative concept for individual components.

상기 메시지는, 데이터(제1정보 또는 제2정보) 및/또는 명령(제3정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essage may include data (first information or second information) and / or command (third information).

상기 명령(제3정보)은, 데이터 저장 명령, 데이터 생성 명령, 데이터 가공 명령(추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함), 추가 명령의 생성 명령, 추가 생성된 명령의 송신 명령, 수신한 명령의 전달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and (third information) includes a data storage command, a data generating command, a data processing command (including generating additional data), a generating command of an additional command, a sending command of an additional generated command, and a received command. Commands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대응한다는 것은, 데이터 저장, 데이터 가공(추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함), 새로운 명령 생성, 새롭게 생성된 명령 송신, 수신한 명령을 단순히 전달(다른 컴포넌트로 전달을 위한 명령을 함께 생성할 수 있음), 작동, 저장된 정보 송신, 확인 메시지(acknowledge character or negative acknowledge character) 송신 등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orresponding to a received message means storing data, processing data (including generating additional data), generating a new command, sending a newly generated command, and simply passing the received command to another component. Command can be generated together), operation, transmission of stored information, transmission of acknowledgment character or negative acknowledgment character.

예를 들어, 메시지가 제1정보인 경우 제1정보를 수신한 컴포넌트는 이에 대한 대응으로서, 제1정보를 가공하여 제2정보를 생성하거나, 제2정보 생성 및 새로운 제 3 정보를 생성하거나, 제 3 정보 만을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message is the first information, the component that has received the first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is to generate the second information by processing the first information, generate the second information, and generate new third information, Only third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구체적으로, 에너지관리부(24)가 제1정보(내부 정보 및/또는 외부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에너지관리부(24)는 제2정보 및/또는 제3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례로 에너지소비부)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너지소비부(26)는 상기 에너지관리부(24)로부터 수신한 제3정보에 따라서 작동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energy management unit 24 receives the first information (internal information and / or external information), the energy management unit 24 generates second information and / or third information to establish the home network. It may transmit to one or more components (for example, energy consumption unit) constituting. The energy consumption unit 26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thir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nergy management unit 24.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1 적용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application example of a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20)의 제 1 컴포넌트(31)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컴포넌트(31)는 가정용 네트워크의 다수의 컴포넌트(32, 33, 34: 제 2 내지 제 4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컴포넌트(31)와 통신하는 상기 가정용 네트워크의 컴포넌트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component 31 of the home network 20 may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utility network 10. The first component 31 can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components 32, 33, 34: second to fourth components of the home network. At this time, it is noted that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components of the home network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component 31.

즉, 본 실시 예에서 제 1 컴포넌트(31)는 게이트웨이(gateway)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컴포넌트(31)는 일 례로, 에너지관리부, 에너지측정부, 중앙 관리부, 에너지 망 보조부, 에너지 소비부 등 중 하나 일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mponent 31 serves as a gateway.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31 may be one of an energy management unit, an energy measuring unit, a central management unit, an energy network assistance unit, and an energy consumption unit.

본 발명에서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컴포넌트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컴포넌트 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통신 프로토코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컴포넌트 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 acting as a gateway not only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that communicate using different communication protocols, but also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that communicate using the same communication protocol.

상기 제 2 내지 제 4 컴포넌트(32, 33, 34)는 각각, 에너지발생부, 에너지분배부, 에너지 관리부, 에너지저장부, 에너지측정부, 중앙 관리부, 에너지 망 보조부, 에너지 소비부 중 하나 일 수 있다. The second to fourth components 32, 33, and 34 may each be one of an energy generator, an energy distributor, an energy manager, an energy storage unit, an energy measurer, a central manager, an energy network assistant, and an energy consumer. have.

상기 제 1 컴포넌트(31)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트(10) 또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정보를 전달 또는 가공하여 제 2 컴포넌트 내지 제 4 컴포넌트(32, 34)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컴포넌트(31)가 에너지측정부인 경우, 전기요금 정보를 상기 제 1 컴포넌트가 수신하여, 에너지관리부, 에너지소비부 등으로 송신할 수 있다. The first component 31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utility network 10 or one or mor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utility network 10, and transmit or proces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process the second to fourth components. Can be sent to (32, 34).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mponent 31 is an energy measuring unit, the first component may receive electric charge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electric charge information to an energy management unit, an energy consumption unit,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제 2 내지 제 4 컴포넌트 각각은 또 다른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컴포넌트(31)가 에너지측정부이고, 제 2 컴포넌트는 에너지관리부이며, 상기 에너지관리부가 하나 이상의 에너지소비부와 통신할 수 있다. Each of the second to fourth components may communicate with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31 is an energy measuring unit, the second component is an energy management unit, and the energy management unit may communicate with one or more energy consumption unit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2 적용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application example of th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정용 네트워크(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컴포넌트가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1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plurality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home network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utility network 10.

즉, 본 발명에서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복수의 컴포넌트(제 1 및 제 2 컴포넌트(41, 4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컴포넌트는 동종의 컴포넌트이거나 다른 종류의 컴포넌트 일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mponents (first and second components 41 and 42) serving as gateways are included. The first and second components may be homogeneous components or other kinds of components.

그리고, 상기 제 1 컴포넌트(41)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례로 제 3 및 제 4 컴포넌트(43, 44))와 통신할 수 있고, 상기 제 2 컴포넌트(42)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례로 제 5 및 제 6 컴포넌트(45, 46))와 통신할 수 있다. And, the first component 41 can communicate with one or more components (eg, third and fourth components 43, 44), and the second component 42 can be one or more components (eg, a fifth And sixth component 45, 46.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및 제 2 컴포넌트 각각은, 에너지관리부, 에너지측정부, 중앙 관리부, 에너지 망 보조부, 에너지 소비부 등 중 하나 일 수 있다. 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nents may be one of an energy management unit, an energy measuring unit, a central management unit, an energy network assistance unit, and an energy consumption unit.

상기 제 3 내지 제 6 컴포넌트 각각은, 에너지발생부, 에너지분배부, 에너지 관리부, 에너지측정부, 중앙 관리부, 에너지 망 보조부, 에너지 소비부 중 하나 일 수 있다. Each of the third to sixth components may be one of an energy generator, an energy distributor, an energy manager, an energy measurer, a central manager, an energy network assistant, and an energy consumer.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 3 적용 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hird application example of th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가정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컴포넌트(51, 52, 53)는 상기 유틸리티 네트워크(2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서처럼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컴포넌트가 존재하지 않고, 컴포넌트(51, 52, 53) 각각이 유틸리티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each of the components 51, 52, and 53 constituting the home network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utility network 20. That is,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re is no component serving as a gateway, and each of the components 51, 52, and 53 may communicate with the utility network.

도 8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 1 실시 예의 특정 컴포넌트의 블럭도이다. 8 is a block diagram of specific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constituting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특정 컴포넌트(60: 제 1 컴포넌트라 할 수 있음)는 다른 컴포넌트(제 2 컴포넌트라 할 수 있음)와 통신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제 1 컴포넌트(60)와 관련한 구성 및 그의 기능은 상기 제 2 컴포넌트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 specific component constituting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6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may communicate with another compon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thereof related to the first component 60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second component.

상기 제1컴포넌트(60)는, 제어부(61)와, 입력부(62)와, 통신수단(64)과, 디스플레이부(65)와, 메모리부(66)를 포함한다. The first component 60 includes a control unit 61, an input unit 62, a communication unit 64, a display unit 65, and a memory unit 66.

상기 제어부(61)는 상기 통신수단(64)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1)는, 상기 통신수단(64)으로부터 수신한 정보, 상기 메모리부(66)에 저장된 정보, 상기 입력부(62)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컴포넌트(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61 may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means 64. The control unit 61 may further include the first control unit based on at least one of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64,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66, and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62. The component 60 can be operated.

상기 제어부(61)는 상기 통신수단(64)을 통하여 에너지 정보 또는 에너지 외의 부가 정보(다른 제2컴포넌트와 관련한 정보 포함)를 수신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61 may receive energy information or additional information other than energy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nother second component)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64.

상기 입력부(62)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컴포넌트(60)의 작동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An operating condition of the first component 60 may be input using the input unit 62.

또한, 상기 입력부(62)를 이용하여, 에너지와 관련하여 일반 모드와, 효율적인 에너지관리를 위한 스마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마트 모드는, 에너지소비 또는 에너지요금을 줄이기 위한 모드 뿐만 아니라, 에너지요금이 저렴할 때 에너지를 사용하여 비축하는 등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모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작동 시작 전에 입력부(62)를 이용하여, 일반 모드 또는 스마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 1 컴포넌트가 선택된 모드로 동작되는 중에 일반 모드 또는 스마트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put unit 62 may be used to select a general mode in relation to energy and a smart mode for efficient energy manage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mart mode includes not only a mode for reducing energy consumption or an energy fee, but also a mode for effectively using such an energy storage when the energy fee is low. In addition, before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mponent is started, the input unit 62 may be used to select a normal mode or a smart mode. In addition, while the first component is operated in the selected mode, the first component may be changed to the normal mode or the smart mode.

상기 메모리부(66)는, 상기 입력부(62)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 또는 상기 통신수단(64)을 통하여 수신한 정보(에너지 정보 또는 부가 정보 등) 또는 상기 제1컴포넌트와 관련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컴포넌트와 관련한 정보는, 작동 또는 상태 정보, 에너지소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unit 66 may stor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62,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64 (energy information or additional information, etc.) 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component. .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component may include operation or state information, energy consump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상기 디스플레이부(65)는 상기 입력부(62)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 또는 상기 통신수단(64)을 통하여 수신한 정보 또는 상기 제1컴포넌트와 관련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컴포넌트와 관련한 정보는, 상기 제1컴포넌트의 작동 또는 상태 정보(통신상태정보를 포함함), 에너지소비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65 may stor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62,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64, 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componen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component may display operation or state information (including communication state information), energy consump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of the first component.

한편, 상기 입력부(62)는, 적어도 상기 제 1 컴포넌트(60)와 제 2 컴포넌트의 통신을 중단 또는 통신중단의 해제를 설정하기 위한 통신설정버튼(63)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put unit 62 may include a communication setting button 63 for setting the interruption or cancellation of the communication interruption of at least the first component 60 and the second component.

상세히, 사용자는 상기 통신설정버튼(63)를 이용하여 두 컴포넌트 간의 통신을 중단시킬 수 있다. In detail, a user may stop communication between two components by using the communication setting button 63.

사용자는, 상기 제 1 컴포넌트(60)와 상기 제 2 컴포넌트 간의 통신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통신 중단 조건을 만족한 경우), 두 컴포넌트 간의 통신을 중단시킬 수 있다. When the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 first component 60 and the second component is in an abnormal state (when a communication stop condition is satisfied), the user may stop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components.

상기 통신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는, 상기 제 1 컴포넌트(60)의 통신수단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제 2 컴포넌트의 통신수단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제 1 컴포넌트(60)의 통신수단이 비정상 신호를 인식하는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 1 컴포넌트가 신호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 1 컴포넌트(60)가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작동하였으나, 상기 제 1 컴포넌트의 작동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일 례로 온 피크 구간 동안 고출력의 에너지소비부가 지속적으로 작동할 때, 다만, 온 피크 구간 동안 고출력의 에너지소비부의 출력이 저감되거나 정지하도록 설정된 경우에 한 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When the communication state is an abnormal state, when the communication means of the first component 60 is an abnormal state, when the communication means of the second component is an abnormal state, the communication means of the first component 60 is When the abnormal component is recognized, when the first component cannot recognize the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first component 60 operates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but when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mponent is abnormal (E.g., when the high power energy consumption unit continuously operates during the on peak period, but only when the output of the high power energy consumption unit is set to be reduced or stopped during the on peak period).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 1 컴포넌트(60)와 제 2 컴포넌트 간의 통신을 중단 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component 60 and the second component can be stopped.

일 례로, 상기 제 1 컴포넌트(60)가 가전제품인 경우, 사용자가 이사를 하여야 하는 겨우 상기 제 1 컴포넌트(60)와 상기 제 2 컴포넌트(60)의 통신을 중단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mponent 60 is a home appliance, the user may stop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component 60 and the second component 60 only when the user needs to move.

다른 예로서, 상기 제 1 컴포넌트(60)를 제 2 컴포넌트가 아닌 제 3 컴포넌트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컴포넌트(60)와 상기 제 2 컴포넌트 간의 통신을 중단시킬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component 60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be stopped so that the first component 60 may communicate with a third component other than the second component.

본 실시 예에서, 부주의하게 통신 중단 또는 통신중단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통신설정버튼(63)이 일정 시간 이상 눌러진 경우에만 작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setting button 63 may be set to operate only when the communication setting button 63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so as to prevent inadvertent interruption or cancellation of communication.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66)에서는, 상기 제 1 컴포넌트(60)와 상기 제 2 컴포넌트와의 통신이 중단된 경우, 통신 중단 상태와 관려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component 60 and the second component is stopped, the display unit 66 may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a communication interruption state.

상기 제 1 컴포넌트(60)가 상기 제 2 컴포넌트와의 통신이 중단된 경우에도 상기 제 1 컴포넌트(60)는 스마트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Even when the first component 60 has stoppe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mponent, the first component 60 may operate in a smart mode.

일 례로, 상기 메모리부(66)에는, 상기 통신수단(64)을 통하여 수신한 에너지요금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1)는 상기 메모리부(66)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일 례로 온/오프 피크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컴포넌트(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nergy pric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64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66. Accordingly, the controller 61 may determine whether the on / off peak is an example us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66,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mponent 6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Can b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두 컴포넌트 간의 통신 상태가 비정상 상태이거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두 컴포넌트 간의 통신을 수동으로 중단시킬 수 있으므로, 특정 컴포넌트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 two components is abnormal or,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can be manually interrupted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component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bnormal operation of a specific component, the user's convenience There is an advantage to meet this.

위의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입력부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터치 방식에 의해서 각종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and the input unit are described separately, but the display unit may act as the input unit. That is,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touch screen for selecting various functions by a touch method.

도 9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 2 실시 예의 특정 컴포넌트의 블럭도이다. 9 is a block diagram of specific components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특정 컴포넌트(70: 제 1 컴포넌트라 할 수 있음)는 다른 컴포넌트(제 2 컴포넌트라 할 수 있음)와 통신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제 1 컴포넌트(70)와 관련한 구성 및 그의 기능은 상기 제 2 컴포넌트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a specific component constituting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may communicate with another compon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thereof related to the first component 70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second component.

상기 제1컴포넌트(70)는, 제어부(71)와, 입력부(72)와, 통신수단(73)과, 디스플레이부(75)와, 메모리부(76)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71), 디스플레이부(75)와, 메모리부(76)의 기능은 도 8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first component 70 includes a control unit 71, an input unit 72, a communication unit 73, a display unit 75, and a memory unit 76.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unit 71, the display unit 75, and the memory unit 76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 예의 통신수단(73)에는 통신설정버튼(74)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통신설정버튼(74)의 기능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통신수단(73)에 통신설정버튼(74)이 포함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통신설정버튼(74)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설정버튼(74)은 제1컴포넌트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통신설정버튼(74)이 제1컴포넌트의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부주의하게 통신 중단 또는 통신중단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통신설정버튼(73)이 일정 시간 이상 눌러진 경우에만 작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eans 73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setting button 74. The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setting button 74 is the same as described in FIG. When the communication setting button 74 is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means 73, the communication setting button 74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omponent so that a user may operate the communication setting button 74. have. When the communication setting button 74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omponent, the communication setting button 73 is set to operate only when the communication setting button 73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so as to prevent inadvertent cancellation of communication or interruption of communication. Can be.

이와 달리, 상기 통신설정버튼(74)은 커버 등에 의해서 커버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On the contrary, the communication setting button 74 may be covered by a cover or the like to prevent exposure to the outside.

도 10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 3 실시 예의 복수의 특정 컴포넌트의 통신 해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leasing communication of a plurality of specific components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networ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에서는 통신중단 또는 통신중단의 해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ruption of communication or the cancellation of the communic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컴포넌트(일 례로 제1컴포넌트 및 제2컴포넌트)는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S1). Referring to FIG. 10, a plurality of components (eg, a first component and a second component) perform communication to transmit or receive information (S1).

그리고, 복수의 컴포넌트 간의 통신 과정에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통신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 상기 통신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의 통신수단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특정 컴포넌트의 통신수단이 비정상 신호를 인식하는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신호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 특정 컴포넌트가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작동하였으나, 상기 특정 컴포넌트의 작동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일 례로 온 피크 구간 동안 고출력의 에너지소비부가 지속적으로 작동할 때, 다만, 온 피크 구간 동안 고출력의 에너지소비부의 출력이 저감되거나 정지하도록 설정된 경우에 한 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between the plurality of components, one or more components determine whether the communication state is abnormal (S2). When the communication state is an abnormal state, when the communication means of at least one component is an abnormal state, when the communication means of a specific component recognizes an abnormal signal, when the specific component can not recognize the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a specific component operates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but the operation of the specific component is abnormal (for example, when the high power energy consumption unit continuously operates during the on-peak period, except for the high-power energy consumption unit during the on-peak period). And only when the output is set to be reduced or stopped.

만약, 통신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복수의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일 례로 통신 상태가 비정상 상태임을 인식한 컴포넌트)은 통신을 중단(네트워크 탈퇴)하게 된다(S3). 이와 달리, 상기 복수의 컴포넌트 중 통신 상태가 비정상 상태임을 인식한 컴포넌트는 상기 통신을 중단하기 전에 통신 상태의 체크를 위한 특정 메시지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정보를 수신한 컴포넌트를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비정상 상태 확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러면, 통신 상태가 비정상 상태임을 인식한 컴포넌트는 통신을 중단하게 된다. If the communication state is an abnormal state,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for example, a component that recognizes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is an abnormal state) stops the communication (network leave) (S3). Alternatively, a component recognizing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is abnormal among the plurality of components may transmit specific message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communication state before stopping the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component that has received the specific information may transmit a confirmation message (abnormal status confirmation message) for this. Then, the component recognizing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is abnormal is to stop the communication.

그리고,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의 디스플레이부에서는 통신 중단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S4). 복수의 컴포넌트의 통신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특정 컴포넌트는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마트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communication stop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at least one component (S4). Even when communication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is interrupted, a specific component may operate in a smart mode as described in FIG. 8.

통신이 중단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복수의 컴포넌트는 통신 중단을 해제할 수 있다. 이 때, 통신 중단을 해제한 후에도 통신 상태가 비정상 상태가 되면, 재차 통신을 중단하게 된다. After a certain time elapses after the communication is stopped, the plurality of components may release the communication stop. At this time, if the communication state becomes abnormal even after canceling the communication interruption, the communication is stopped again.

10: 유틸리티 네트워크 20: 가정용 네트워크 10: utility network 20: home network

Claims (11)

에너지와 관련하여 작동하는 제 1 컴포넌트;
에너지와 관련하여 작동하면, 상기 제 1 컴포넌트와 통신수단에 의해서 통신할 수 있는 제 2 컴포넌트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컴포넌트와 상기 제 2 컴포넌트 간의 통신은 어느 한 컴포넌트에서 중단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A first component operating in association with energy;
When operated in connection with energy, a second componen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mponent by means of communication is included,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can stop at either compon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컴포넌트 및 상기 제 2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은 에너지 정보와 에너지 정보 외의 부가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is capable of recognizing energy informati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other than energy inform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정보는, 에너지 요금 정보와 에너지 요금 외 정보가 포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energy information includes energy rate information and energy fee informa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요금 외 정보는, 에너지저감, 긴급상황, 망 안전, 발전량, 작동 우선 순위, 에너지소비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non-energy information includes a network system including one or more of energy reduction, emergency situation, network safety, power generation amount, operation priority, and energy consumption amou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환경 정보, 프로그램 업데이트 정보, 시간 정보, 각 컴포넌트의 작동 또는 상태 정보, 에너지소비부를 사용하는 소비자 습관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s one or more of environment information, program update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operation or status information of each component, and consumer habit information using an energy consump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컴포넌트 및 상기 제 2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은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수동으로 통신을 중단 및 중단을 해제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includes an input unit,
And a network system capable of manually stopping and halt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input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수동으로 통신을 중단 및 중단을 해제할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mmunication means comprises a button for manually stopping and halting communication.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 중단 조건을 만족하게 되면, 상기 제 1 컴포넌트 및 제 2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이 통신을 자동으로 중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when one or more of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utomatically stop communication, if a communication interruption condition is satisfi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의 중단 전에, 통신 중단 조건이 만족되었음을 인식한 컴포넌트는 다른 컴포넌트로 통신 상태의 체크를 위한 특정 메시지를 송신하고,
특정 정보를 수신한 상기 다른 컴포넌트가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통신이 중단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Before stopping the communication, the component recognizing that the communication stop condition is satisfied transmits a specific message for checking the communication state to another component,
Communication is interrupted if the other component receiving the specific information transmits a confirmation messag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중단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의 통신수단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특정 컴포넌트의 통신수단이 비정상 신호를 인식하는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특정 컴포넌트가 신호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 특정 컴포넌트가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작동하였으나, 상기 특정 컴포넌트의 작동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중 하나인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communication stop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communication means of at least one component is in an abnormal state, when the communication means of a specific component recognizes an abnormal signal, when the specific component cannot recognize the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network system is one of cases where a specific component operates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but an operation of the specific component is abnorm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컴포넌트와 상기 제 2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은 메모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컴포넌트와 상기 제 2 컴포넌트 간의 통신이 중단된 경우, 상기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컴포넌트는,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includes a memory unit,
And whe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is interrupted, the component including the memory unit may operate based on the stored information.
KR1020100060884A 2010-06-26 2010-06-26 Network system KR201200000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884A KR20120000009A (en) 2010-06-26 2010-06-26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884A KR20120000009A (en) 2010-06-26 2010-06-26 Network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009A true KR20120000009A (en) 2012-01-03

Family

ID=45608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884A KR20120000009A (en) 2010-06-26 2010-06-26 Network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00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0011A (en) Network system and energy consumption component
KR20120000026A (en) Network system
KR20120000018A (en) Network system
KR101897818B1 (en) Network system
KR101796317B1 (en) A network system
KR20120000029A (en) Network system and component thereof
KR20120008375A (en) Network system
KR20120000019A (en) A network system
KR20120000009A (en) Network system
KR20120000308A (en) A network system
KR20120080086A (en) Controlling method of a component for network system
KR20120000313A (en) A network system
KR101605209B1 (en) Network system
KR20120067033A (en) A network system
KR20120029566A (en) A network system
KR101615386B1 (en) Network system
KR20120029568A (en) A network system
KR101644654B1 (en) Network system and a component thereof
KR20120029565A (en) A network system
KR20110138811A (en) Network system
KR20120000007A (en) Network system
KR20120000016A (en) A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00022A (en)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20066848A (en) Network system
KR20120080085A (en) A component for network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