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664A -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664A
KR20130099664A KR1020120021343A KR20120021343A KR20130099664A KR 20130099664 A KR20130099664 A KR 20130099664A KR 1020120021343 A KR1020120021343 A KR 1020120021343A KR 20120021343 A KR20120021343 A KR 20120021343A KR 20130099664 A KR20130099664 A KR 20130099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lexible display
display unit
bent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3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화섭
류호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1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9664A/en
Publication of KR20130099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66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variously display an image according to a bent or a folded state of a flexible display unit. CONSTITUTION: A flexible display unit displays an operation screen. A sensing unit (140) detects a folded or bent reg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When a folded or bent region is detected in the flexible display unit based on an outputted value from the sensing unit, a control unit (180) flexibly displays an image of the operation screen corresponding to the bent region. The control unit configures a direction or a region of screen displayed in the flexibl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bent region, bent direction, bent area and bent angle. [Reference numerals]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1) Broadcast receiving unit; (112) Mobile communication unit; (113) Wireless internet module; (114)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5)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20) A/V input unit; (121) Camera; (122) Microphone; (130) User input unit; (140) Sensing unit; (150) Output unit; (151) Display unit; (152) Sound output module; (153) Alarm unit; (154) Haptic module; (160) Memory; (170) Interface unit; (180) Control unit; (190) Power supply unit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Examples of such various functions include a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a function of photographing a video or a moving image through a camera, a voice storage function, a music file playback function through a speaker system, and an image or video display function.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은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여 DEH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In general, in a portable terminal, a display module display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video call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hotographing DEH displays the received image, the UI, or the GUI.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이나 휴대성 등을 고려하므로, 디스플레이나, 키패스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공간 할당에 제약이 존재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Since the portable terminal considers mobility and portability, there is a limitation in allocating space for a user interface such as a display or a key path.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providing a service for efficiently using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휘어지거나 접히는 상태에 따라 이미지를 다양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allowing the flexible display unit to display various images according to a bent or folded stat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휘어지거나 접히는 상태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다양하게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unit can automatically switch various operation modes according to a bent or folded state.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럭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지는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휘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내용을 유동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 bending direc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and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direction And fluidly displaying contents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동작 화면을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휘어지는 영역을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서 출력되는 값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접히거나 휘어지는 영역이 감지되면 상기 휘어지는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동작 화면의 이미지를 유동적으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exibl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creen, a sensing unit for sensing an area where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folded or bent, the flexible display unit based on a value output from the sensing uni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flexibly display an image of the operation screen in response to the curved region.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휘어지거나 접힘을 감지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또는 화면의 내용을 변경하거나, 소정의 동작으로 모드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및 그에 따른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detects the bending or folding, various to change the contents of the image or screen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or to easily switch the mode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interface and its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진 경우의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방향으로 접힌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방향으로 접힌 경우의 휴대 단말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방향으로 접히고 카메라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진 경우의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계모드로 동작되는 경우의 휴대 단말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방향으로 휘어진 경우 이미지 디스플레이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진 경우 메뉴 화면 디스플레이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when it is folded or bent in a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when an image is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when folded in a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when folded in a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for fol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operating in a camera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when it is folded or bent in a second dire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when operated in a clock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according to an image display when curved in a second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according to a menu screen display when folded or bent in a second dire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휴대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navigation. 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and the like,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portable terminals.

다음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한다.
Next, a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휴대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A controller 170, a controller 180, a power supply 190,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기(100)와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100 and a network in which the wireless terminal 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 Media Forward Link Only And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ISDB-T)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dapted to other broadcasting system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 or externally moun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may include Wireless 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nd the lik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위치정보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acquiring a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all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121)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wo or more cameras 121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t least one or more cameras 121 may be included i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obile terminal 100.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and output.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122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130)는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user input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when the touch pad form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described later.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 단말기의 방위, 휴대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resence of the user, the orien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may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supplied with power,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upled to the external device may be sensed. Meanwhi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센싱부(14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를 포함할 수 잇다. 근접센서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는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는 구성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접센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접히거나 구부러진 상태로 사용자가 착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감지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Proximity sensors can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objects that are approaching or in the vicinity without mechanical contact. The proximity sensor can detect a proximity object by using a change in an alternating magnetic field or a static magnetic field or by using a change rate of capacitance. Two or more proximity sensors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In particular, the proximity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btain a detection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wears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n a folded or bent stat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the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and a haptic module 154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UI, or GUI is displayed.

한편 플렉서블 디스프렐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대응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신호들을 처리하고,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의 발생 여부와 터치가 입력된 영역에 대한 확일을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and the touch pad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and constitute a touch screen,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I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touch screen panel and a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panel is a transparent panel attached to the outsid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bu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touch screen panel watches the result of the touch and sends corresponding signals to the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when a touch input occurs. The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s and transmits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The controller 180 can confirm whether a touch input is generated and whether the touch is input.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의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nd a flexible display. It may include one.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form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wo or more flexibl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The sound output module 152 also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tones, message reception tones, etc.)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3)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또한 알람부(153)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 receiving a call signal, receiving a message, inputting a key signal, and touch input.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for example, vibratio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152 so that they may be classified as a part of the alarm unit 153. In addition, when the key signal is input,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the signal as a feedback to the key signal input. The user may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rough the signal output from the alarm unit 155.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haptic module 1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Vibratio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sequentially output.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vibration, the haptic module 154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pin array that vertically moves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a jetting force or suction force of air through an injection or inlet port, grazing to the skin surface, contact of an electrode, electrostatic force, and the like. Various tactile effects can be generated, such as effects by the endothermic and the reproduction of a sense of cold using the elements capable of endotherm or heat generation.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54 can be implemented not only to transmit the tactile effect through the direct contact but also to allow the user to feel the tactile effect through the muscular sensation of the finger or arm. The haptic module 154 may include two or more haptic modules 154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80 and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moving picture, etc.). The memory 160 may store data on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ted when a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disk, and / or an optical disk.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6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allows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70.

식별 모듈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authority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nd a universal user authentication module (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s") can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port.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the interface unit may be a path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by the user to the cradle may be transmitted It can be a pa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 various command signals or the power source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a signal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terminal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some cases,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180.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s are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can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80. [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에 따라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0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진 경우의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방향으로 접힌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의 화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방향으로 접힌 경우의 휴대 단말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방향으로 접히고 카메라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when it is folded or bent in a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when an image is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when folded in a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llustrates a portable case when folded in a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and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for fol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operating in a camera mod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다양한 동작 모드 중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또는 메뉴 등과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임의의 이미지 또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모드를 수행한다. (202단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2, the portable terminal 100 performs a display mode of displaying an arbitrary image or data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such as an image or a menu, as shown in FIG. 3, among various operation modes.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display mode for displaying an image is performed as an example.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접힘 또는 휘어짐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한다.(204단계)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bending or bending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detected from the sensing unit 140 (step 204).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접히거나 휘어짐을 감지하면 상기 접히거나 휘어진 방향을 확인한다.(206단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안쪽으로 접히거나 휘어진 방향을 제1방향으로 정의하고, 바깥쪽으로 접히거나 휘어진 방향을 제2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상기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정의한 것이며, 상기 방향은 유동적일 수 있다.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detects the bending or bending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from the sensing unit 140, the controller 180 checks the folding or bending direction (step 206).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provided. It will be described by defining the folded or curved direction a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outwardly folded or curved direction as the second direction. The direction is arbitrarily defin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direction may be fluid.

제어부(180)는 상기 접히거나 휘어진 방향이 제1방향인지를 확인하고(208단계) 상기 제1방향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접히거나 휘어진 것이 아닌 경우 제2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진 경우에 따른 동작 모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700단계) 상기 제2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진 경우에 대한 동작은 도 7 내지 도 10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The controller 180 checks whether the folded or bent direction is the first direction (step 208). I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not folded or bent in the first direction, the controller 180 may be folded or bent in the second direction. An operation mode may be performed (operation 700). The operation of the case in which the operation mode is folded or bent in the second dire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반면, 제어부(180)는 제1방향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접히거나 휘어짐을 감지하면 접힌 위치 또는 휘어진 위치점을 확인한다.(210단계)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사방 모서리 또는 임의의 위치에 구성된 센서 또는 센서의 분포, 센서의 신호 세기 등에 따라 접히거나 휘어진 각도, 면적 및 위치 등을 산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detects the bending or bending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n the first direction, the controller 180 checks the folded position or the bending position point (step 210), that is, the four corners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or the like. The angle or area and the position of the folded or bent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ensor or the distribution of the sensor configured at an arbitrary positi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sensor, and the like.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사방 모서리가 맞닿도록 접히거나 휘어 졌는지를 판단한다. (212단계)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four corners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are folded or bent to abut. (Step 212)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사방 모서리가 맞닿도록 접히거나 휘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접히거나 휘어지지 않은 영역을 확인한다.(216단계) When the four corners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are not folded or bent to contact each other, the controller 180 checks the folded or unbent area (step 216).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가 접히거나 휘어진 상태에서 카메라 모드 실행 여부를 판단한다.(218단계) 상기 카메라 모드 실행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후면에 부착된 카메라부(121)가 위치한 영역이 접히거나 휘어진 상태가 감지되면 수행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o execute the camera mode while a part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folded or bent. (Step 218) The execution of the camera mode is performed by the portable terminal 100 as shown in FIG. This may be performed when an area in which the camera unit 121 attached to the rear side is located is detected to be folded or bent.

제어부(18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부가 존재하는 영역이 접히거나 휘어진 경우 셀프 촬영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220단계)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80 may perform the self-photographing mode when the area in which the camera unit exists is folded or bent (step 220).

제어부(180)는 카메라 모드가 실행되지 않으면 해당 영역 즉, 접히거나 휘어지지 않은 영역에 맞도록 이미지 또는 메뉴 등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의 사이지를 리사이징 하거나 상기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222단계)If the camera mode is not executed, the controller 180 may resize or move the size of displayed data such as an image or a menu to the corresponding area, that is, an area that is not folded or bent (step 222).

제어부(180)는 상기 리사이징 되거나 위치가 이동된 이미지를 도 4의 (a) 또는 (b)와 같이 해당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224단계)The controller 180 can display the resized or shifted image in the corresponding region as shown in FIG. 4 (a) or (b) (step 224).

도 4의 (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중 임의의 영역이 접힌경우 접히지 않은 영역으로 메뉴가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이다. 또한 도 4의(b)는 시계 모드 수행 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접히지 않은 영역으로 이동하여 시계모드를 계속적으로 수행하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 경우의 화면 예시도이다. FIG. 4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menu is moved to an unfolded area and displayed when a certain area is folded while the menu is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n addition, FIG. 4B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moves to an unfolded area and continuously performs the watch mode when the watch mode is executed.

제어부(18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12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사방 모서리가 맞닿거나 임의의 영역에 모두 닿도록 접히거나 휘어짐을 감지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한다. 도 5의 (a)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사방 모서리가 서로 맞닿도록 접힌 상태이고, (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양쪽 측단이 중앙에 위치되도록 접힌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As illustrated in FIG. 5, when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e folding or bending of the four corners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touch or touches any area, the opera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detected in step 212. Switch to sleep mode. FIG. 5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ll four corners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are folded to abut each other, and FIG.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진 경우의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시계모드로 동작되는 경우의 휴대 단말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방향으로 휘어진 경우 이미지 디스플레이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진 경우 메뉴 화면 디스플레이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when it is folded or bent in a second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when operated in a clock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according to an image display when bent in a second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screen when folded or bent in a second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is a screen example.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 2의 208단계에서 제어부(180)가 센싱부(14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1방향이 아닌 제2방향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접히거나 휘어짐을 감지한 경우에 대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7, in operation 208 of FIG. 2,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folded or bent in a second direction instead of a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140.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 one case will be described.

제어부(180)는 제2방향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바깥쪽으로 접히거나 휘어짐을 감지한 경우(702단계) 접히거나 휘어진 위치에 대한 확인을 수행한다.(704단계)When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e bending or b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that is, the outsid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step 702), the controller 180 checks the folded or bending position (step 704).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에서 수신된 감지 신호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사방 모서리가 맞닿도록 휘어지거나 접혔는지를 판단한다.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four corners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are bent or folded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140.

제어부(180)는 사방의 모서리가 맞닿도록 접히거나 휘어짐을 확인한 경우 센싱부(140)로부터 사용자 착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하여 감지한다.(708단계) Whe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corners of the four sides are folded or bent, the controller 180 receives and detects a signal for confirming whether the user is worn from the sensing unit 140 (step 708).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사방이 맞닿도록 제2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졌으며, 사용자가 착용함을 감지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지거나 선택된 영역에 한정하여 시계와 같은 화면(800)이 디스플레이되는 시계 모드로 동작을 전환할 수 있다.(710단계)The controller 180 is folded or bent in the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in contact with all four sides, and when the user senses that the user wears it, the controller 180 is curved or selected as shown in FIG. Operation 800 may be switched to a watch mode in which 800 is displayed.

제어부(180)는 사용자 착용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디스플레이 면에 대응되도록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712단게) 즉, 제어부(180)는 도9의 (a)에서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평면인 상태에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의해 화면이 좌/우로 이동되도록 한다. 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사방 모서리가 맞닿도록 접히거나 휘어진 겨우 (b) 또는 (c)예시도와 같이 접히거나 휘어진 면에 따라 이미지를 리사이징하여 다수개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고, 접히거나 휘어진 방향으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이미지를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화면 예시도 (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가로로 놓인 상태의 예시도이며, (c)는 세로로 놓인 상태의 예시도이다.If the user's wear is not detected, the controller 180 can display an image to correspond to the curved display surface as illustrated in FIG. 9 (step 712). That is, the controller 180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9A.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 image in a flat state, the screen is moved left / right by user input. On the other hand, if only four corners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are folded or bent to abut,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It can be displayed while moving the image as input. Screen example (b) is an illustration of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placed horizontally, (c) is an illustration of a state placed in the vertical position.

제어부(180)는 706단계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모서리가 맞닿도록 휘어지거나 접히지 않은 경우 접히거나 휘어지지 않은 영역을 확인한다.(714단계) 상기 휘어지거나 접히지 않은 영역은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싱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의 수, 센서의 분포, 센서의 신호 세기 등에 따라 휘어진 면적 또는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If the corner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not bent or fol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n step 706, the controller 180 checks an unfolded or unfolded area (step 714). As described above, the curved area or angle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nsors generating the signal, the distribution of the sensors, the signal strength of the sensor, etc.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from the sensing unit 140.

제어부(180)는 접히거나 휘어지지 않은 영역을 확인하고 해당 영역 사이즈에 맞도록 이미지를 리사이징하거나 이동하여(716단계) 해당 영역에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718단계) 즉, 제어부(180)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평면 상태인 경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또는 메뉴의 일부가 보이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도 (b)에서와 같이 제2방향으로 접히거나 휘어진 상태에서는 이미지 또는 메뉴를 리사이징하여 다수의 이미지 또는 메뉴를 하나의 화면에서 곡선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곡선 형태에 따라 메뉴 또는 이미지가 위치한 영역에 대응되도록 각기 다른 사이즈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may check the unfolded or uncurved region and resize or move the image to fit the size of the region (step 716) and display the image in the corresponding region (step 718), that is, the controller 180. As shown in FIG. 10A,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in a flat state, a part of an image or a menu displayed on a screen may not be visible. However, in the state of being folded or bent in the second direction as shown in FIG.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urve can be displayed in different sizes to correspond to the area where the menu or image is loca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on a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Examples of the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etc.,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ay be.

Claims (9)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럭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휘어지는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휘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내용을 유동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Sensing a bending direc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Fluidly displaying contents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curved direction;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어진 방향이 제1방향인 경우 상기 휘어진 방향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접점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 모서리가 서로 맞닿도록 휘어진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hecking a contact point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curved direction when the curved direction is a first direction;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a sleep mode when each corner of the display unit is bent to abut each othe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어진 방향이 제1방향인 경우 상기 휘어진 면적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휘어진 면적에 대응하여 상기 휘어진 영역에 표시된 데이터를 휘어지지 않은 영역으로 위치를 이동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hecking the curved area when the curved direction is a first direction;
Moving and displaying the data displayed on the curved area to an unbent area corresponding to the curved area;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휘어지지 않은 영역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휘어지지 않은 영역의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상기 이미지를 리사이징하여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Resizing the imag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unbent area when displaying the image in the unbent area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어진 방향이 후면 카메라가 위치한 제1방향이면 카메라 촬영 모드 중 셀프 촬영 모드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curved direction is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rear camera is located, the self-shooting mode of the camera shooting mode is performed.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어진 방향이 제2방향인 경우 상기 휘어진 방향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접점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각 모서리가 서로 맞닿도록 휘어진 경우 상기 휘어진 각도에 대응되도록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hecking a contact point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curved direction when the curved direction is a second direction;
When each corner of the display unit is bent to abut each other to display the image to correspond to the bent angle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방향에 따라 이미지를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nd display an image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동작 화면을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접히거나 휘어지는 영역을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서 출력되는 값에 기초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접히거나 휘어지는 영역이 감지되면 상기 휘어지는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동작 화면의 이미지를 유동적으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Flexibl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creen;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an area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folded or ben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flexibly display an image of the operation screen in response to the bent area when the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detected to be folded or bent based on a value output from the sensing unit.
Mobile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휘어진 영역, 휘어진 방향, 휘어진 면적, 휘어진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방향 또는 영역을 설정하는
휴대단말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Setting the direction or area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in correspondence with at least one of a curved area, a curved direction, a curved area, and a curved angle.
Mobile terminal.
KR1020120021343A 2012-02-29 2012-02-29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3009966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343A KR20130099664A (en) 2012-02-29 2012-02-29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343A KR20130099664A (en) 2012-02-29 2012-02-29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664A true KR20130099664A (en) 2013-09-06

Family

ID=4945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343A KR20130099664A (en) 2012-02-29 2012-02-29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9664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9485A1 (en) * 2014-02-10 2015-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9510440B2 (en) 2014-02-04 2016-11-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curvature variation device adapted thereto
US9891663B2 (en) 2014-02-10 2018-02-13 Samsung El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20180130076A (en) * 2017-05-26 2018-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N109327610A (en) * 2018-09-21 2019-02-12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levant apparatus
WO2024031409A1 (en) * 2022-08-10 2024-0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Vehicle-mounted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bending test fixtur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0440B2 (en) 2014-02-04 2016-11-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curvature variation device adapted thereto
WO2015119485A1 (en) * 2014-02-10 2015-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9891663B2 (en) 2014-02-10 2018-02-13 Samsung El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0379573B2 (en) 2014-02-10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0528078B2 (en) 2014-02-10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0671115B2 (en) 2014-02-10 2020-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0976773B2 (en) 2014-02-10 2021-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1042185B2 (en) 2014-02-10 2021-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1366490B2 (en) 2014-02-10 202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20180130076A (en) * 2017-05-26 2018-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N109327610A (en) * 2018-09-21 2019-02-12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levant apparatus
WO2024031409A1 (en) * 2022-08-10 2024-0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Vehicle-mounted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bending test fix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5996A (e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124122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20140145894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20140094226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101682725B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virtual keyboard
KR102187569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20130099664A (en)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50033429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73337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40092694A (en) Method for muitiple selection using multi touch and the terminal thereof
KR101902404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30076028A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US987499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1995234B1 (e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73205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20140124303A (e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67291A (e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con
KR20140028795A (e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023482A (e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90964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883374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10054353A (en)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and mobile terminal thereof
KR101598227B1 (en) Method for dispalying menu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559789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KR101540813B1 (en) Method for processing image and terminal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