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998A - Smart phone viewer apparatus and method of viewer thereof - Google Patents

Smart phone viewer apparatus and method of viewer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998A
KR20130094998A KR1020120016341A KR20120016341A KR20130094998A KR 20130094998 A KR20130094998 A KR 20130094998A KR 1020120016341 A KR1020120016341 A KR 1020120016341A KR 20120016341 A KR20120016341 A KR 20120016341A KR 20130094998 A KR20130094998 A KR 20130094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phone
screen
smartphone
screen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3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진수
임병운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6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4998A/en
Publication of KR20130094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9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2Multi-standard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 smart phone interlinking screen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display and confirm the same screen as a current operating screen of a smart phone by perform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phone. CONSTITUTION: A communication unit (110) communicates with a connected smart phone (10). An interface unit (120) transmits a manipulation signal inputted through an input unit (150) to the smart phone. A demodulation unit (130) converts an image signal of the smart phon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 display unit (140) displays a screen interlinked with the current operating screen of the smart phone by using the converted image signal. [Reference numerals] (10) Smart phone; (110) Communication unit; (120) Interface unit; (130) Demodulation unit; (140) Display unit; (150) Input unit

Description

스마트 폰 연동 화면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표시방법{Smart phone viewer apparatus and method of viewer thereof}Smartphone interlocking screen display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Smart phone viewer apparatus and method of viewer

본 발명은 스마트 폰 연동 화면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폰과 연결되어 스마트 폰의 화면을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제어할 수 있는 화면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hone linked screen display device and a screen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screen display device and a screen display method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to display and control the screen of the smart phone in real time It is about.

종래에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다양한 오피스 문서나 잡지, 신문 등을 원본과 동일한 모양으로 볼 수 없었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작은 액정의 단말기에서 다양한 형태로 원본을 모양 그대로 볼 수 있게 되었다.Conventionally, various office documents, magazines, newspapers, etc. could not be seen in the same shape as the original in the mobile terminal, but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software technologies, the original can be viewed in various forms on the small liquid crystal terminal. .

그러나, 모바일 단말기는 대부분 액정의 크기가 작아서 원본 형태의 오피스 문서나 잡지, 신문 등을 보는 데에는 상하좌우의 잦은 스크롤과 시각적으로 불편한 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확대, 축소, 텍스트만 보기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여전히 모니터 또는 빔 프로젝터와 같이 액정이 큰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서는 뷰잉의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상황이다.However, most mobile terminals have a small size of liquid crystals, which causes frequent scrolling and visual inconvenience in viewing original office documents, magazines, newspapers, and the like. Although it provides a function such as a view, it is still a situation in which the convenience of viewing is significantly inferior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large liquid crystal such as a monitor or a beam projector.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 폰을 컴퓨터 등과 같은 별도의 표시장치를 가지는 멀티미디어 기기에 케이블 등으로 연결하면, 스마트 폰에 저장된 내용들을 해당 멀티미디어 기기 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는 실제 스마트 폰의 실행 화면이 멀티미디어 기기 상에 그대로 노출되는 형태는 아니며, 멀티미디어 기기 상에서 별도의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 폰의 실행 화면을 변경 제어하는 것도 곤란하다. 즉, 기존의 경우, 스마트 폰을 멀티미디어 기기에 연결하여, 단순히 스마트 폰의 업그레이드, 데이터 저장 등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다.When a smart phone, which is widely used in recent years, is connected to a multimedia device having a separate display device such as a computer by a cable or the like, contents stored in the smart phone can be checked on the corresponding multimedia device. However, this is not a form in which the actual execution screen of the smart phone is exposed on the multimedia device as it is, and it is difficult to change and control the execution screen of the smart phone by transmitting a separate control signal on the multimedia device. That is, in the conventional case, by connecting a smart phone to a multimedia device, it is simply used for the purpose of upgrading the smart phone, data storage and the like.

더욱이, 기존의 스마트 폰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에 한계가 있어서, 실제로 이를 내비게이션, 학습, 교육, 프리젠테이션 등의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화면 인식에 큰 불편함이 따르고, 실제로 이러한 이유로 해당 내용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이용 빈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smart phone has a limitation on the size of the display screen, and it is very inconvenient to recognize the screen to actually use it for navigation, learning, education, and presentation, and for this reason, the applic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installed. Even if it i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use frequency is low.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결된 스마트 폰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고 스마트 폰이 연결될 때, 스마트 폰의 현재 구동 화면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고 별도의 조작 신호를 전송하여 스마트 폰의 동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폰 연동 화면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performing a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smart phone, when the smart phone is connected, it can display the current driving screen of the smart phone in real time and transmit the separate operation signal of the smart phone oper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phone linked screen display device and a screen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화면 표시장치는 접속된 스마트 폰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스마트 폰의 영상 신호에 대한 변환을 수행하는 복조부와, 상기 변환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폰의 현재 구동 화면과 연동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display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connected smart phone, and a demodulation unit for converting an image signal of the smart phon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screen linked to a current driving screen of the smart phone by using the converted video sig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조부는 상기 화면 표시장치의 기기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하여 색차공간 변환, 공간적 신축성 변환, 크로파-포맷 신축성 변환, 비트-심도 신축성 변환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환을 수행한다.Preferably, the demodulator performs at least one of chrominance space transformation, spatial elasticity transformation, chromo-format elasticity transformation, and bit-depth elasticity transformation on the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스마트 폰의 현재 구동 화면이 기 설정된 비율만큼 확대되어 표시된다. Preferably,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current driving screen of the smart phone enlarged by a preset ratio.

한편,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화면 표시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구동 화면 상에서 외부 조작 신호를 터치 방식으로 입력 받아 센싱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가 센싱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조작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put unit for sensing and receiving an external operation signal by a touch method on the drive screen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a preset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input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unit for detecting and transmitting to the smart phone.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스마트 폰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며, 상기 입력부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신호를 감지하면, 신호가 감지된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조작 신호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스마트 폰에서 실행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된다.Here, the display unit displays an application included in the smart phone, and when the input unit detects a signal for selecting a specific applicatio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smart phone by the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ignal is detected.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스마트 폰이 삽입 가능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 내에 구비되는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 폰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스마트 폰과 통신 연결이 되는 것이고, 상기 삽입홈과 상기 접속단자는 탈/부탁된다.The smart phone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mart phone can be inserted, and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insertion groove. When the smart phon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smart phone is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The connection terminal is detached / assigned.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화면 표시방법은 접속된 스마트 폰과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된 스마트 폰으로부터 현재 구동 화면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한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와, 변환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된 스마트 폰의 현재 구동 화면과 연동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creen display method comprising: forming a network with a connected smartphone, receiving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a current driving screen from the connected smartphone, and converting the received video signal. And displaying a screen linked to the current driving screen of the connected smartphone by using the converted video sig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는 변환된 영상 신호에 해당하는 화면이 표시되는 화면 표시장치의 기기 정보에 따라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하여 색차공간 변환, 공간적 신축성 변환, 크로파-포맷 신축성 변환, 비트-심도 신축성 변환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performing of the conversion may include color difference spatial transformation, spatial elasticity transformation, and chromo-format elasticity transformation on the received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on which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onverted image signal is displayed. And performing at least one of the bit-depth elastic trans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폰의 현재 구동 화면이 기 설정된 비율만큼 확대되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Preferably, the displaying of the linked screen includes expanding and displaying the current driving screen of the smart phone by a preset ratio.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화면 표시방법은 상기 스마트 폰과 연동하여 출력되는 구동 화면 상에서 외부 조작 신호를 터치 방식으로 입력 받아 센싱하는 단계와, 센싱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조작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On the other hand, the scree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tep of receiving and sensing an external operation signal by a touch method on the drive screen output in conjunction with the smart phone, and the preset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osition information Detecting and transmitting to the smart phone further,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스마트 폰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며, 신호가 감지된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조작 신호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스마트 폰에서 실행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unit displays an application included in the smart phone, the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smart phone by the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ignal is detected,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It is done.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폰과 연결되어 양 방향 통신을 수행함에 따라, 스마트 폰과 접속 시, 스마트 폰의 현재 구동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실시간으로 확장하여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에 조작 신호를 전송하여 스마트 폰의 동작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어서 실제 스마트 폰 상에서 조작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to perform two-way communication, when connected with the smart phone, the same screen as the current driving screen of the smart phone can be extended and displayed in real time, By transmitting the operation signal to the smart phone can easi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mart phone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obtained the same effect as operating on the actual smart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장치에 스마트 폰이 삽입 접속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a smart phone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of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과 연동되는 화면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Referring to FIG. 1, a screen display device interworking with a smart phon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1 is a block diagram of a scree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장치(100)는 통신부(110)와, 인터페이스부(120)와, 복조부(130)와, 디스플레이부(140)와, 입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an interface unit 120, a demodulator 130, a display unit 140, and an input unit ( 150).

통신부(110)는 접속 또는 연결된 스마트 폼(10)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스마트 폰(10)과 통신부(110)는 별도의 다이렉트 케이블(Direct Cable), 커넥터, 독(Dock)을 이용한 유선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와이파이, RF, 블루투스, HDMI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HDMI는 무선뿐만 아니라 유선 통신도 가능하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perform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or connected smart form 10. The smart phone 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10 use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separate direct cable, a connector, and a dock, as well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at least one of Wi-Fi, RF, Bluetooth, and HDMI. To send and receive data in both directions. Here, HDMI is capable of wired communication as well as wireless.

일 실시예로서, 스마트 폰(10)과 통신부(110)의 유선 방식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스마트 폰(10)이 삽입 접속되어 수납될 수 있는 삽입 홈이 화면 표시장치(100)의 일부분에 마련된다. 스마트 폰(10)은 화면 표시장치(100)의 일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삽입 홈에 직접적으로 삽입되어 화면 표시장치(100)에 접속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화면 표시장치에 스마트 폰이 삽입 접속되는 예시도이다.In one embodiment, for the data communication by the wired method of the smart phone 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mart phone 10 can be inserted and received is inserted into a portion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Prepared. The smart phone 10 may be directly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screen display apparatus 100 to be connected to the screen display apparatus 100. 2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a smart phone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screen display device of FIG. 1.

구체적으로, 화면 표시장치(100)에는 스마트 폰(10)이 삽입 가능한 삽입홈(160)과, 상기 삽입홈(160) 내에 구비되는 접속단자(161) 즉,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 폰(10)이 상기 삽입 홈(160)에 삽입되면, 상기 접속단자(161)에 의해 커넥팅 되어 화면 표시장치(100)가 스마트 폰(10)과 안전하게 접속이 된다.Specifically,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160 into which the smart phone 10 can be inserted, and a connection terminal 161 provided in the insertion groove 160, that is, a connector. At this time, when the smart phone 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60, it is connected by the connection terminal 161,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is securely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10.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홈(160) 및 접속단자(161)는 화면 표시장치(100)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화면 표시장치(100)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또는 다양한 접속 핀을 가지는 스마트 폰(10)과의 호환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삽입홈(160) 및 접속단자(161)를 제조사에 따라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화면 표시장치(100)에서 삽입홈(160) 및 접속단자(161)는 제조사 별로 다양하게 구비된다.Preferably, the insertion groove 16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61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needs to change the insertion groove 16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61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to ensure compatibility with the smart phone 10 having various sizes or various connection pins. To this end, the insertion groove 16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61 in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is provided in various ways for each manufacturer.

복조부(130)는 스마트 폰(10)으로부터 수신된 현재 구동화면의 영상 신호를 통신부(110)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복조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 폰(10)의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40) 상에 출력하기 위한 적합한 신호로 복조한다. 만약, 복조가 필요 없는 신호라면 영상 신호는 복조부(130)를 거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140)에 바로 전송된다. The demodulator 130 demodulates the video signal of the current driving screen received from the smart phone 10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ly, the video signal of the smart phone 10 is demodulated into a suitable signal for output on the display 140. If the signal does not need demodulation, the image signal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display 14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demodulator 130.

일 실시예로서, 스마트 폰(10)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장치(100)는 서로 다른 색차 공간을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화면크기를 가지고 있어, 스마트 폰(10)에서의 영상 신호를 그대로 디스플레이부(140) 상에 출력하는 경우, 비정상적인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폰(10)의 구동 화면이 출력되기 위한 화면 표시장치(100) 자체에 대한 기기 정보를 바탕으로 스마트 폰(10)의 영상 신호를 변환할 필요가 있으며, 여기서 영상 신호의 변환은 색차공간 변환, 공간적 신축성 변환, 크로마-포맷 신축성 변환, 비트-심도 신축성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하는 신호 변환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smart phone 10 and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different color difference space, or have a different screen size, so that the smart phone 10 When the video signal is output on the display 140 as it is, an abnormal screen may be output.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video signal of the smart phone 10 based on the device information on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itself for outputting the driving screen of the smart phone 10, where the conversion of the video signal Includes a signal trans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color difference spatial transformation, spatial elasticity transformation, chroma-format elasticity transformation, and bit-depth elasticity.

디스플레이부(140)는 스마트 폰(10)의 현재 구동 화면을 확대하여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폰(10)의 표시화면은 일반적인 화면 표시장치(100)에 비해 크기가 작으며, 복조부(130)는 스마트 폰(10)의 영상 신호에 대하여 공간적 신축성 변환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전달한다.The display unit 140 enlarges and displays the current driving screen of the smart phone 10.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screen of the smart phone 10 is smaller in size than the general screen display device 100, and the demodulator 130 performs spatial stretch conversion on the image signal of the smart phone 10 Transfer to the display unit 140.

디스플레이부(140)에는 스마트 폰(10)의 현재 구동 화면이 그대로 표시된다. 즉, 스마트 폰(10)이 화면 표시장치(100)에 접속되면, 디스플레이부(140)에 스마트 폰(10)의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그대로 표시된다. The display 140 displays the current driving screen of the smart phone 10 as it is. That is, when the smart phone 10 is connected to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the application list of the smart phone 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as it is.

일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되는 스마트 폰(10)의 구동 화면은 스마트 폰(10)의 구동 화면이 업데이트될 때마다 실시간 반영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스마트 폰(10)의 구동화면의 변동에 따른 영상 신호의 변화는 통신부(100)에서 실시간으로 조회가 되고, 신호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 상에 표시되는 구동화면은 실시간으로 변화게 된다.For example, the driving screen of the smart phone 10 output to the display 140 may be reflected in real time whenever the driving screen of the smart phone 10 is updated. That is, the change of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riving screen of the smart phone 10 is inquired in real time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00, and the driving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changes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ignal change. do.

다른 실시예로서, 화면 표시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부(140) 상에 출력되는 화면을 업데이트할 것인지 여부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로 물어볼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화면 업데이트를 선택하는 경우, 스마트 폰(10)의 영상 신호를 조회하여 구동화면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creen display apparatus 100 may ask the user whether to update the screen output on the display unit 140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the user may be ask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When the screen update is selected, the video signal of the smart phone 10 may be inquired to reflect the change of the driving screen.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사용자 또는 다른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특정한 기능을 직접 수행하도록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여기서 응용프로그램은 워드프로세서,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 웹브라우저, 개발 도구, 페인트 브러시,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통신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Here, the application means an application designed to directly perform a specific function through a user or another software program, where the application program is a word processor, a database program, a web browser, a development tool, a paint brush, an image editing program. , Communication programs and the like.

스마트 폰(10)에 적용된 어플리케이션의 예로는 네비게이션, 전자책(e-book), 동영상, 음악, 일정관리, 지도, 인터넷, 게임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예시는 나열한 것보다 훨씬 다양하고 광범위함은 자명한 것이다. Examples of applications applied to the smart phone 10 may include navigation, e-books, videos, music, schedule management, maps, the Internet, and games. Of course, the examples of the application are obviously much more versatile than the ones listed.

입력부(15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를 센싱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입력부(150)는 화면 표시장치(100)에 연결된 키패드, 마우스 수단 등일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구동 화면 상에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50 is a part for sensing an operation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he input unit 150 may be a keypad, a mouse means,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In addition, the input unit 150 may be implemented by a touch screen method on the driving screen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인터페이스부(120)는 입력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조작 신호를 스마트 폰(10)으로 전송하여 스마트 폰(1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복조부(130)에 의해 복조되는 영상 신호에는 디스플레이부(140)의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조작 신호까지 포함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방식의 입력부(150) 상에서, 즉 디스플레이부(140) 상의 특정 위치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감지된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조작 신호가 검출되고, 검출된 조작신호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스마트 폰(10)으로 전송된다.The interface unit 120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50 to the smart phone 1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mart phone 10. The image signal demodulated by the demodulator 130 may include an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display 140. When a touch is detected on a touch screen input unit 150, that is,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display unit 140, an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pecific position is detected, and the detected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20. Is sent to the smartphone 10.

그 동작 예는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the operation is as follows.

디스플레이부(140)는 스마트 폰(10)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한다. 이때 입력부(150)에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스마트 폰(10)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게 된다. 또한 스마트 폰(10) 상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은 화면 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서도 동일하게 표시된다.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the application included in the smart phone 10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when an operation signal for selecting an application is input to the input unit 150, the application is executed through the smart phone 10. In addition,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on the smartphone 10 is also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즉, 화면 표시장치(100)에서 상기 스마트 폰(10)의 동작 제어용 조작 신호를 스마트 폰(10) 측으로 전송하게 되면, 스마트 폰(10)은 상기 조작 신호에 따라 구동되면서 상기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화면을 출력한다. 여기서, 이렇게 스마트 폰(10)에 출력되는 영상 신호가 화면 표시장치(100)에 바로 전송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의 화면 또한, 상기 스마트 폰(10)의 현재 구동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실시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화면 표시장치(100)에서의 조작은 실제 스마트 폰(10) 상에서의 조작과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That is, when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transmits the operation control operation signal of the smart phone 10 to the smart phone 10 side, the smart phone 10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ignal Print the screen. Here, since the video signal output to the smart phone 10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40, the same screen as the current driving screen of the smart phone 10 in real time Will be displayed. Therefore, the operation on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obtains the same effect as the operation on the actual smartphone 10.

만약,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네비게이션, 전자책(e-book), 동영상, 음악, 일정관리, 지도, 인터넷, 게임 등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서는 상기 조작신호에 따라 스마트 폰(10) 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황을 동일하게 표시한다.If the application is navigation, e-book, video, music, schedule management, map, internet, game, etc., the display unit 140 is executed on the smartphone 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The execution status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displayed in the same way.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방법을 설명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scree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장치(100)는 연결된 스마트 폰(10)과 연동되기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S310).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 표시장치(100)와 스마트 폰(10) 사이의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고, 일 실시예로서, 유선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해서 화면 표시장치(100)의 일부분에는 스마트 폰(10)이 삽입 가능한 삽입홈(160)과, 상기 삽입홈(160) 내에 구비되는 접속단자(161) 즉, 커넥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 폰(10)이 상기 삽입 홈(160)에 삽입되면, 상기 접속단자(161)에 의해 커넥팅 되어 화면 표시장치(100)가 스마트 폰(10)과 안전하게 접속이 된다.As shown,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network for interworking with the connected smart phone 10 (S310). As described above, the network between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and the smart phone 10 includes both wired and wireless networks. In one embodiment, a portion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is provided to support a wired network. The smart phone 10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160 that can be inserted, and a connection terminal 161 provided in the insertion groove 160, that is, a connector. At this time, when the smart phone 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60, it is connected by the connection terminal 161,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is securely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10.

접속된 스마트 폰(10)으로부터 현재 구동 화면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가 화면 표시장치(100)로 전송되고, 화면 표시장치(100)의 복조부(130)는 해당 장치의 기기 정보에 따라 영상 신호에 대한 복조를 수행한다(S320).The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driving screen is transmitted from the connected smart phone 10 to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and the demodulator 130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Demodulation is performed (S320).

이후, 복조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스마트 폰(10)의 구동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S330).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폰(10)에 표시되는 화면에 비해 확대된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다. Thereafter, the same screen as the driving screen of the current smart phone 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using the demodulated video signal (S330). Preferably, the enlarged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compared to the screen displayed on the smart phone 10.

한편, 디스플레이부(140)에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입력부(150)가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40) 상의 특정 위치(예컨대, 디스플레이부(140) 상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를 손가락 등으로 터치하면, 입력부(150)는 해당 위치에서의 터치를 감지하고,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조작 명령신호를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스마트 폰(10)으로 전송한다(S340).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장치(100)에서 직접적으로 스마트 폰(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unit 140 may be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type input unit 150, the user may select a specific position on the display unit 140 (for example, a position where a specific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When touched by a finger or the like, the input unit 150 senses a touch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transmits an operation comma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to the smart phone 1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20 (S340). Through this, the user can direct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mart phone 10 in the screen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접속된 스마트 폰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스마트 폰의 영상 신호에 대한 변환을 수행하는 복조부; 및
상기 변환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폰의 현재 구동 화면과 연동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폰 연동 화면 표시장치.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smart phone;
A demodulator for converting the image signal of the smart phon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linked to the current driving screen of the smart phone by using the converted video signal
Smartphone interlock scre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부는
상기 화면 표시장치의 기기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하여 색차공간 변환, 공간적 신축성 변환, 크로파-포맷 신축성 변환, 비트-심도 신축성 변환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환을 수행하는 것
인 스마트 폰 연동 화면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modulation unit
Performing at least one of chrominance space conversion, spatial elasticity conversion, chromo-format elasticity conversion, and bit-depth elasticity conversion on the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Smartphone interlocking screen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스마트 폰의 현재 구동 화면이 기 설정된 비율만큼 확대되어 표시되는 것
인 스마트 폰 연동 화면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The current driving screen of the smart phone is enlarged and displayed by a preset ratio
Smartphone interlocking screen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구동 화면 상에서 외부 조작 신호를 터치 방식으로 입력 받아 센싱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가 센싱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조작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폰 연동 화면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d sense an external manipulation signal by a touch method on a driving screen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interface unit detects a preset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sensed by the input unit and transmits it to the smart phone.
Smartphone linked screen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스마트 폰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며,
상기 입력부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신호를 감지하면, 신호가 감지된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조작 신호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스마트 폰에서 실행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것
인 스마트 폰 연동 화면 표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isplay unit displays an application included in the smart phone,
When the input unit detects a signal of selecting a specific applicatio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on the smart phone by the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ignal is detected,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Smartphone interlocking screen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이 삽입 가능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 내에 구비되는 접속단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 폰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스마트 폰과 통신 연결이 되는 것이고,
상기 삽입홈과 상기 접속단자는 탈/부탁되는 것
인 스마트 폰 연동 화면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mart phone further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and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insertion groove,
When the smart phon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smart phone will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connection terminal are to be removed / charged
Smartphone interlocking screen display.
접속된 스마트 폰과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스마트 폰으로부터 현재 구동 화면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한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 및
변환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된 스마트 폰의 현재 구동 화면과 연동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폰 연동 화면 표시방법.
Forming a network with a connected smartphone;
Receiving an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current driving screen from the connected smart phone;
Performing conversion on the received video signal; And
Displaying a screen linked to a current driving screen of the connected smartphone by using the converted video signal on a display unit;
Smartphone interlock screen display method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는,
변환된 영상 신호에 해당하는 화면이 표시되는 화면 표시장치의 기기 정보에 따라 수신된 영상 신호에 대하여 색차공간 변환, 공간적 신축성 변환, 크로파-포맷 신축성 변환, 비트-심도 신축성 변환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스마트 폰 연동 화면 표시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performing the transformation,
At least one of chrominance space conversion, spatial elasticity conversion, chromo-format elasticity conversion, and bit-depth elasticity conversion for the received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device information of the screen display device on which th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onverted image signal is displayed. Comprising performing a step
Smartphone interlocking screen display meth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폰의 현재 구동 화면이 기 설정된 비율만큼 확대되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스마트 폰 연동 화면 표시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displaying the linked screen
And displaying the current driving screen of the smart phone in a magnified manner.
Smartphone interlocking screen display meth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폰과 연동하여 출력되는 구동 화면 상에서 외부 조작 신호를 터치 방식으로 입력 받아 센싱하는 단계와, 센싱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조작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스마트 폰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며, 신호가 감지된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조작 신호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스마트 폰에서 실행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것
인 스마트 폰 연동 화면 표시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receiving and sensing an external manipulation signal by a touch method on a driving screen output in association with the smartphone, and detecting and transmitting a preset manipul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martphone. ,
The display unit displays an application included in the smart phone, the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smart phone by the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ignal is detected,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Smartphone interlocking screen display method.
KR1020120016341A 2012-02-17 2012-02-17 Smart phone viewer apparatus and method of viewer thereof KR201300949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341A KR20130094998A (en) 2012-02-17 2012-02-17 Smart phone viewer apparatus and method of viewer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341A KR20130094998A (en) 2012-02-17 2012-02-17 Smart phone viewer apparatus and method of viewer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998A true KR20130094998A (en) 2013-08-27

Family

ID=4921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341A KR20130094998A (en) 2012-02-17 2012-02-17 Smart phone viewer apparatus and method of viewer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4998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3611B2 (en) 2014-01-06 2018-09-11 Hyundai Motor Company Display apparatus to display a mirroring scre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015828B1 (en) 2018-05-10 2019-10-21 (주)테크온비젼 System On Chip for Converting Iimage Resolution Of Mobile Phone
CN112849321A (en) * 2019-11-13 2021-05-28 中华汽车工业股份有限公司 Meter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3611B2 (en) 2014-01-06 2018-09-11 Hyundai Motor Company Display apparatus to display a mirroring scre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015828B1 (en) 2018-05-10 2019-10-21 (주)테크온비젼 System On Chip for Converting Iimage Resolution Of Mobile Phone
CN112849321A (en) * 2019-11-13 2021-05-28 中华汽车工业股份有限公司 Meter system for electric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6658A1 (en) Digital interface system to support Ethernet and cable connection state displaying method thereof
US9690536B2 (en) Terminal device, and screen-sharing display method and system
CN104007813A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1031678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3489426A (en) Method for switching displayer resolution
CN103428489A (en) Sending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screen capture
CN101815180A (en) Signal self-adaptive adapter plate of display screen interface
JP2014219885A (en) Test support method and test support system
KR20130094998A (en) Smart phone viewer apparatus and method of viewer thereof
EP280409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N103500056A (en) Display method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CN110874180A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functions of mouse and keyboard by using intelligent terminal
KR20130103362A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working and controlling devices
KR101100536B1 (en) Smart phone viewer apparatus of full-duplex type and driving method of viewer thereof
CN109976605B (en) Class board content display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6000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pointer on an external display
CN102622199A (en) Terminal sub-screen display device
CN105094502A (en) Vehicle device system
JP6120524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84791B2 (en) Display apparatus, setting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KR101429364B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contents
CN103188461A (e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202443458U (en) Terminal split-screen display device
WO2013077062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US20170308509A1 (en) Imag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