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364B1 -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contents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364B1
KR101429364B1 KR1020120151273A KR20120151273A KR101429364B1 KR 101429364 B1 KR101429364 B1 KR 101429364B1 KR 1020120151273 A KR1020120151273 A KR 1020120151273A KR 20120151273 A KR20120151273 A KR 20120151273A KR 101429364 B1 KR101429364 B1 KR 101429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advertisement
advertisement content
screen
conten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2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81483A (en
Inventor
강신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151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364B1/en
Publication of KR20140081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4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3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에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의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광고 콘텐츠를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또는 상기 광고 콘텐츠가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된 경우에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과금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contents.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splaying an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in a first advertisement area on a screen; Mov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from an initial position on the screen when a user's icon movement input is detected; Display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on a second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has reached a predetermined end position of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And generating bill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billing information to an advertisement charging server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a predetermined ending position of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or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displayed in a second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

Description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CONTENT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thod,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contents,

본 발명은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행위에 따른 특정 센서에 의한 감지 신호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content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contents, , A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최근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매체를 통한 광고가 가능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신문과 같은 전통적인 매체뿐만 아니라, 컴퓨터를 통한 온라인 광고, 더 나아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광고가 이루어지고 있다.Recent developments in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made it possible to advertise through various media. For example, in addition to traditional media such as television, radio, and newspaper, online advertising through a computer, and further advertising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being performed.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도 웹 서버에 접속하는 등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광고 시장의 새로운 매체로써 자리잡게 되었다.In particula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becoming a new medium of advertisement market by enabling wireless internet such as accessing a web server.

그런데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가정에 구비되는 개인용 컴퓨터 등과 비교할 때 화면의 크기가 작아서 각종 광고를 그 화면에 표시하는데 여러 제약이 따른다.However,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ize of the screen is small as compared with a personal computer provided at home, and various restrictions are imposed on displaying various advertisements on the screen.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 서버에 접속하여 웹 페이지를 열람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원한 그 웹 페이지만을 표시하는데도 화면 크기가 부족하기 때문에 별도의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For example, when a user accesses a web server to browse a web page, only the web page desired by the user is displayed. However, since the screen size is insufficient, it is more difficult to display the advertisement content.

이를 위해 광고 콘텐츠를 숨김 상태 또는 최소화한 상태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소정의 위치를 클릭하면 광고 콘텐츠가 숨김 상태에서 표시 상태로 전환하거나, 또는 최소화한 상태에서 확장 표시되는 상태로 전환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To this end,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displayed in a hidden state or a minimized state, and when the user clicks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switched from the hidden state to the display state, or from the minimized state to the expanded state There is a bar.

그런데 이러한 클릭 기반 광고 표시 방식은 사용자가 실수로 잘못 클릭하는 경우 원하지 않는 광고가 표시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lick-based advertisement display method has a problem that an undesired advertisement is displayed when a user accidentally clicks by mistake.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작으므로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화면상의 특정 위치를 사용자가 터치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광고 콘텐츠가 화면(예를 들어 화면 전체)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 불만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since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mall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touch a specific position on the screen unlike the user's intention.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entire screen), thereby causing a user dissatisfaction.

광고란 것은 사용자들에게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안내한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반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내용의 광고인 경우에는 오히려 사용자의 반감을 살 수 있다는 측면도 있다.Advertisement has a positive aspect of guiding users to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product or service, but it can also take a user's despair if it is an advertisement of content that the user does not want.

따라서 광고 콘텐츠의 표시는 사용자가 해당 광고를 보고자 하는 의도가 정확하게 반영되는 것이 중요하고, 이와 함께 광고 콘텐츠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가급적 사용자에게 재미를 줄 수 있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기술적 구성이 개시된 바 없다.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e display of the advertisement contents accurately reflects the intention of the user to view the advertisement, and in addition, it should be possible to give the user as much fun as possible in the course of checking the advertisement contents. In the past, Have not been disclos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에 따라 광고 콘텐츠 표시 시점을 정확히 파악하여 광고 표시에 따른 사용자의 불만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에게 재미를 줄 수 있는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cisely grasp a time point at which an advertisement content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interaction with a user, A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an advertisement content that can b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에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의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아이콘 표시부와;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광고 콘텐츠를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하는 광고 콘텐츠 표시부와;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또는 상기 광고 콘텐츠가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된 경우에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과금 서버에 전송하는 과금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display unit; An icon display unit displaying an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in a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display unit screen and mov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from an initial position on the screen when a user's icon movement input is detected; An advertisement conten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on a second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a predetermined set location of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Generating billing information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a predetermined end position of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or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displayed in a second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and transmitting the billing information to the advertisement billing server .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에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의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광고 콘텐츠를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또는 상기 광고 콘텐츠가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된 경우에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과금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n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in a first advertisement area on a screen; Mov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from an initial position on the screen when a user's icon movement input is detected; Display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on a second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has reached a predetermined end position of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And generating bill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billing information to an advertisement charging server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a predetermined ending position of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or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displayed in a second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한 아이콘 이동 조작에 따라 숨겨져 있었거나 표시 대기 상태이던 광고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advertisement contents which are hidd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moving the icons by the user or in the standby state,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특히 기울기 센서(예를 들어 G 센서)를 활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특정 방향으로 기울이는 경우 특정 광고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광고 콘텐츠 표시와 연계된 재미를 안겨줄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ilted in a specific direction by utilizing a tilt sensor (for example, a G sensor), it is possible to display specific advertisement contents,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the fun associated with displaying the advertisement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제어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들을 나타낸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overall system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perform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9 show examples of screens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페이지 제공 서버(200), 광고 과금 서버(300),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entire system inclu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b page providing server 200, an advertisement charging server 300,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웹 페이지 제공 서버(200)는 소정의 웹 페이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때 웹 페이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어를 위한 소정의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코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스크립트 코드는 HTML5(HyperText Markup Language 5)에 따른 태그 또는 코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이루어지는 등 클라이언트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규격의 코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web page providing server 200 functions to provide a predetermined web p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t this time, the web page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client script for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ode may be included. Here, the client script code may be composed of tags or codes according to HTML5 (HyperText Markup Language 5), JavaScript codes or the like, that is, codes of various standards that can be execu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광고 과금 서버(300)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예를 들어 웹 페이지 제공 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포함된 광고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경우에 광고 표시에 따른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for example, when the advertisement included in the web page provided by the web page providing server 200 is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performs a charging process.

여기서 광고와 관련된 과금 처리는 광고주에게 광고 표시에 따른 비용을 정산하는 과정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광고와 관련된 과금 처리 그 자체는 기 공지된 기술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billing process related to the advertisement may include a process of calculating the cost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display to the advertiser. Since the billing process itself related to the advertisement is a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을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fers to all kinds of terminals that a user can carry and move while moving, and includes,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nd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도 1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기지국을 통하여 무선망에 접속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랜을 이용하여 무선망에 접속할 수도 있다.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connects to a wireless network through a base station. 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access a wireless network using a wireless LAN.

본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에 따라 소정의 광고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기능은 도 2에 도시된 기능 블록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의 수행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웹 페이지에 포함된 클라이언트 스크립트의 실행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a predetermined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 interaction with a user. Specific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FIG. 2 Explain. Here,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client script included in the web page, as described abov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아이콘 표시부(120), 광고 콘텐츠 표시부(130), 과금 정보 전송부(140), 센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10, an icon display unit 120, an advertisement content display unit 130, a billing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40, (150). ≪ / RTI >

센서부(150)는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센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센서부(150)는 터치 센서, 기울기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스코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패드의 접촉 및 드래그를 감지하는 센서이고, 기울기 센서는 단말기의 기울기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이고, 중력 센서는 중력의 방향 또는 크기를 감지하는 센서이고, 가속도 센서는 단위시간당 물체 속도의 변화나 충격 여부 등을 감지하는 센서(중력 센서로서 기능할 수도 있음)이고, 자이로스코프 센서는 각속도 변화량이나 회전 정보 등을 감지하는 센서이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 tilt sensor, a gravity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scope sensor. . The tilt sensor is a sensor for sensing the tilt direction of the terminal, the gravity sensor is a sensor for sensing the direction or magnitude of gravity, and the acceleration sensor is a sensor for detecting the tilt direction of the terminal (Which may also function as a gravity sensor) for detecting changes or shocks, and the gyroscope sensor is a sensor for detecting angular rate variation and rotation information.

디스플레이부(110)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각종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특히 웹 페이지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전력 소모가 적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터치 패드와 결합한 형태인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a variety of contents such as text, images, and moving images. The display unit 110 can display a web page received from the web page providing server 200. The display unit 11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having low power consumption, or may be a touch screen combined with a touch pad.

아이콘 표시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에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의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con display unit 120 displays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in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10 and moves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from the initial position on the screen when the user's icon movement input is detected do.

여기서 제1 광고 영역과 후술하는 제2 광고 영역은 웹 페이지에서 정의된 내용에 따라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으로서, 반드시 사용자가 그 제1 광고 영역과 제2 광고 영역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 광고 영역과 제2 광고 영역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형태나 일부가 중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한 어느 하나의 영역이 다른 영역에 포함될 수도 있다. 특히 제2 광고 영역은 제1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Here,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and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logically divided according to the content defined in the web page, and the user need not necessarily be able to visually confirm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and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In addition,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and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or overlap each other, and any one area may be included in another area. In particular,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may be an area including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표시해야 할 광고 콘텐츠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은 실제 표시되는 광고 콘텐츠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이미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corresponds to the advertisement content to be displayed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as described later, and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is provided as an image of relatively small size as compared with the advertisement content actually displayed desirable.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은 다시 말하면 센서부(150)의 감지 신호에 의해 판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센서부(150)에 터치 센서가 구비된 경우 아이콘 표시부(120)는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신호에 따라 해당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한 터치 이동 명령을 감지하고, 다른 예로써 센서부(150)에 기울기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스코프 센서가 구비된 경우 아이콘 표시부(120)는 해당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해당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한 이동 명령을 감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nsor unit 150 is provided with a touch sensor, the icon display unit 120 displays the touch sensing signal of the touch sensor 150. In this case, The gravity sensor, the gravity sensor, the acceleration sensor, or the gyroscope sensor is provided in the sensor unit 150, the icon display unit 120 may detect the touch movement instruction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content icon, The user can sense the movement command for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아이콘 표시부(120)는 이러한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한 이동 명령이 감지되면 그 이동 명령에 따라 이동하도록 설정된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이다.The icon display unit 120 moves the content connection icon set to 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command on the screen when a movement command for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is detected.

이때 아이콘 표시부(120)는 이동 명령에 포함된 방향 및 속도에 따라 해당하는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icon display unit 120 can move the corresponding content connection ic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speed included in the move command.

여기서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에 따라 이동하는 콘텐츠 연결 아이콘은 웹 페이지에 포함된 클라이언트 스크립트에 의해 미리 지정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동적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Here, the content connection icon moving according to the user's icon movement input may be designated in advance by the client script included in the web page, or dynamically designa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킴에 있어서, 아이콘 표시부(120)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예를 들어 터치 드래그 속도 또는 단말기를 옆으로 기울이는 속도)에 비례하는 속도로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되,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임계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그 임계 위치로부터 종착 위치까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와 무관한 기 설정된 속도로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 있다.In moving the content connection icon, the icon display unit 120 moves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on the screen at a speed proportional to the user's icon movement input speed (for example, the touch drag speed or the tilting speed of the terminal) ,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a predetermined threshold position of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can be moved from the critical position to the final posi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that is not related to the user's icon movement input speed have.

예를 들어 아이콘 표시부(120)는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임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에 동기화시켜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키고,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임계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와 무관하게 기 설정된 속도로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종착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이다.For example, the icon display unit 120 moves the content connection icon by synchronizing with the icon moving input speed of the user until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the critical position, and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the critical position, The icon of the advertisement contents is moved to the end posi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regardless of the icon input moving speed of the icon.

다른 예로써 아이콘 표시부(120)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에 비례하는 속도로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되,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임계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그 임계 위치로부터 종착 위치까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한 속도로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icon display unit 120 moves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on the screen at a speed proportional to the user's icon movement input speed, and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a predetermined threshold position among the first advertisement areas on the scre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can be moved from the critical position to the end position at a rate at which the predetermined weight is applied to the user's icon movement input speed.

예를 들어 아이콘 표시부(120)는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임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에 동기화시켜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키고,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임계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여기서의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는 임계 위치 이후에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의 이동을 위해 입력되는 속도-단적인 예로 사용자의 드래그 속도-일 수도 있고, 또는 임계 위치까지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이동한 평균 속도일 수도 있으며 또는 임계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의 이동 속도일 수도 있음)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곱한 값을 갖는 속도로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종착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기 설정된 가중치는 양수 또는 음수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icon display unit 120 moves the content connection icon by synchronizing with the icon moving input speed of the user until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the critical position, and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the critical position, (Here, the user's icon movement input speed is the speed at which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is moved after the critical position - the drag speed of the user as a simple example, or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The moving speed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may be the moving average speed or the moving speed of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at the time of reaching the critical position) by the predetermined weight.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weight may be positive or negative.

제1 광고 영역과 상기 제2 광고 영역은 서로 구분되는 영역일 수 있는데, 이때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는, 아이콘 표시부(120)는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제2 광고 콘텐츠와 매칭된 제2 아이콘으로 대체 표시하고, 제2 아이콘을 표시한 이후에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제2 아이콘을 화면상의 종착 위치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다.After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has reached the predetermined end position of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the icon display unit 120 displays the advertisement content The connection icon may be replaced with a second icon matched with the second advertisement content and the second icon may be moved from the on-screen finish position when the user's icon movement input is detected after the second icon is displayed.

광고 콘텐츠 표시부(130)는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광고 콘텐츠를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dvertisement content display unit 130 displays the advertisement content on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the predetermined end position of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이때 광고 콘텐츠는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고, 또한 제2 광고 영역에 최상단 레이어로 표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vertisement content may correspond to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and may be displayed as the uppermost layer in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여기서 광고 콘텐츠를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최상단 레이어로 표시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현재 제2 광고 영역에 웹 페이지의 특정 내용들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면서 그 웹 페이지의 특정 내용들을 가리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displayed as the uppermost layer in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For example, in a state where specific contents of the web page are currently displayed in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It means to cover.

이때 웹 페이지의 내용들이 표시되는 화면 크기가 제2 광고 영역보다 더 큰 경우에는, 광고 콘텐츠 표시부(130)는 제2 광고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는 웹 페이지의 내용들이 그대로 표시되도록 하고 제2 광고 영역에 표시되던 웹 페이지의 내용만 광고 콘텐츠로 대체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creen size of the contents of the web page is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the advertisement content display unit 130 displays the content of the web page in the area excluding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Only the contents of the displayed web page can be replaced with the advertisement contents.

광고 콘텐츠를 표시함에 있어서 광고 콘텐츠 표시부(130)는 슬라이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광고 콘텐츠 표시부(130)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또는 좌에서 우로, 광고 콘텐츠가 이동하면서 점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In displaying the advertisement contents, the advertisement content display unit 130 may use a slide method. For example, the advertisement content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the advertisement contents gradually from the top to the bottom, or from left to right .

또한, 광고 콘텐츠 표시부(130)는 앞서 언급한 제2 아이콘이 화면상의 종착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초기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제2 아이콘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를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최상단 레이어로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icon is moved from the end position on the screen and reaches the initial position, the advertisement content display unit 130 displays the advertise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con as the uppermost layer in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You may.

이에 따라 서로 다른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예를 들어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그 이동한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가 제2 광고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Accordingly, as different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s move left and right, for example, the advertise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oved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can be displayed in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과금 정보 전송부(140)는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또는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가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된 경우에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과금 서버(3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the predetermined end position of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or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is displayed in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advertisement billing server 300.

예를 들어, 과금 정보 전송부(140)는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도 있고,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가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된 시점에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billing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40 may generate and transmit billing information at a time point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a predetermined ending position in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Billing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at the time when the content is displayed in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여기서 과금 정보는 광고 과금 서버(30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의 광고 표시에 따른 과금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써, 광고 표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즉, 과금 정보에는 광고 콘텐츠가 제2 광고 영역에 표시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만이 포함될 수도 있는 것이다.Here, the bill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advertisement charging server 300 to perform the billing process in accordance with the advertisement displa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advertisement is displayed. That is, the billing information may include only information on whether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displayed in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의 제어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rol procedur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배경이미지 또는 소정의 웹 페이지 내용이 이동통신 단말기(100)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라고 가정하고, 제2 광고 영역은 제1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a background image or a predetermined web pag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includes a first advertisement area.

이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제1 광고 영역에 표시한다(단계 S1). 이러한 예가 도 4(a)에 도시되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광고 영역에 표시된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편의상 제1 아이콘이라 칭한다.In this st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isplays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in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step S1). An example of this is shown in Fig. 4 (a). Hereinafter, in this embodiment,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displayed in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is referred to as a first icon for convenience's sake.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1 광고 영역에 표시된 제1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즉, 터치 드래그)이 감지되면(단계 S3) 그 터치 입력에 따라 해당하는 제1 아이콘을 이동시킨다(단계 S5).Then, when the touch input (i.e., touch drag) to the first icon displayed in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is detected (step S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oves the corresponding first icon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

사용자의 터치 입력(즉, 터치 드래그)에 따라 제1 아이콘이 종착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는데, 제1 아이콘이 종착 위치에 도달한 상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first icon can be moved to the end position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of the user (i.e., the touch drag), and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icon reaches the end position is as shown in Fig. 4 (b).

이처럼 제1 아이콘이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단계 S7)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그 제1 아이콘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즉, 제1 광고 콘텐츠)를 제2 광고 영역에 표시한다(단계 S9). 본 실시예에서 제2 광고 영역은 제1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므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4(c)와 같이 제1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전체 영역에 제1 광고 콘텐츠를 표시한다.When the first icon reaches the end position (step S7),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isplays the advertisement content (i.e., the first advertise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icon in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step S9 ).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includes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isplays the first advertisement content in the entire area including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as shown in FIG. 4 (c).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광고 표시에 따른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과금 서버(300)에 전송한다(단계 S11).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generates bill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display and transmits the billing information to the advertisement billing server 300 (step S11).

도 4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비례하는 속도로 제1 아이콘이 종착 위치까지 이동한 것을 일 예로 하여 나타냈으나, 제1 아이콘은 소정의 위치 즉, 임계 위치 이후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상관없는 기 설정된 속도로, 또는 터치 입력 속도에 소정의 가중치를 적용한 속도록 이동할 수 있다.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icon is moved to the end position at a speed proportional to the touch input of the user. However, the first icon is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at is, after the critical position, It is possible to move at a set speed or a speed with a predetermined weight applied to the touch input speed.

이러한 예가 도 5에 도시되었다.An example of this is shown in FIG.

도 5에서는 임계 위치까지는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에 맞춰 제1 아이콘이 이동하다가, 임계 위치 이후에는 제1 아이콘이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종착 위치에 도달한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In FIG. 5, the first icon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touch drag to the critical position, and the first icon moves at a faster speed than the user's drag speed after the critical position to reach the finish position.

이처럼 임계 위치 이후에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제1 아이콘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마치 제1 아이콘이 종착 위치로 빨려 들어가는 효과를 볼 수 있어 사용자들에 소정의 재미를 줄 수 있다.If the first icon moves at a speed higher than the touch drag speed of the user after the critical position, the first icon is sucked into the end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have a certain amount of fun.

도 4에서는 제2 광고 영역에 제1 광고 영역이 포함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제2 광고 영역과 제1 광고 영역은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도 있다.Although FIG. 4 shows a case where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is included in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and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may not overlap with each other.

도 6은 이러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showing this example.

도 6(a)는 제1 아이콘이 제1 광고 영역에 포함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6(b)는 사용자의 제1 아이콘에 대한 터치 드래그에 따라 제1 아이콘이 종착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6(c)는 제1 아이콘의 종착 위치 도달에 따라 제2 광고 영역에 제1 아이콘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즉, 제1 광고 콘텐츠)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6A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icon is included in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and FIG. 6B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icon has moved to the end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drag on the first icon FIG. 6C shows a state in which the advertise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icon (i.e., the first advertisement content) is displayed in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according to the arrival of the first icon at the end position.

즉, 도 6(c)와 앞서 설명한 도 4(c)를 비교하면 제1 광고 콘텐츠가 표시되는 상태에서도 제1 아이콘 역시 함께 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1 광고 콘텐츠가 표시된 이후, 종착 위치에 있는 제1 아이콘을 다른 광고 콘텐츠(즉, 제2 광고 콘텐츠)에 대응되는 제2 아이콘으로 변경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icon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first advertisement content even if the first advertisement content is displayed by comparing FIG. 6 (c) with FIG. 4 (c) 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change the first icon at the end position to the second ic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advertisement content (i.e., the second advertisement content) after the first advertisement content is displayed.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고 콘텐츠와 함께 제2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second icon can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first advertisement content as shown in Fig. 7 (a).

도 7(b)는 사용자가 제2 아이콘을 터치 드래그 하여 초기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7(c)는 제2 아이콘이 초기 위치에 도착한 경우 제2 광고 영역에 그 제2 아이콘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즉, 제2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7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user has mov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ouching and dragging the second icon, and Fig. 7 (c) shows a state in which, when the second icon arrives at the initial position, (I.e., the second advertise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dvertisement content.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7(c)에서 초기 위치에 도착한 제2 아이콘을 또 다른 광고 콘텐츠(즉, 제3 광고 콘텐츠)에 대응되는 제3 아이콘으로 대체시킬 수 있고, 이후의 과정은 도 6의 과정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에 따라 제3 콘텐츠가 표시되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reaft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replace the second icon that arrived at the initial position in Fig. 7 (c) with a third icon corresponding to another advertisement content (i.e., the third advertisement content) The process of displaying the third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dragging may be performed as in the process of FIG.

도 4 내지 도 7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이동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지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기울기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4 to 7 illustrate that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moves according to a user's touch input. 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in accordance with a signal detected by a tilt sensor, a gravity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scope sensor,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may be moved.

도 8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고 영역에 제1 아이콘을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오른쪽 방향으로 기울이면 제1 아이콘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8, when the user til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he right in a state where the first icon is displayed in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as shown in FIG. 8 (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ove the first icon to the right.

도 8(b)와 같이 제1 아이콘이 종착 위치에 도달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8(c)와 같이 제1 아이콘에 대응되는 제1 광고 콘텐츠를 제2 광고 영역에 표시한다. 제1 아이콘이 종착 위치에 도달한 이후의 도 7(c)의 상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일 수 있다.When the first icon reaches the end position as shown in FIG. 8 (b),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isplays the first advertise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icon in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as shown in FIG. 8 (c). The state of FIG. 7 (c) after the first icon reaches the end position may be a stat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kept horizontal.

이때 사용자가 해당 광고의 닫힘 버튼을 클릭하여 닫거나 또는 다른 예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좌우로 흔드는 동작 등과 같이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2 광고 영역에 표시한 제1 광고 콘텐츠를 제거하고, 도 8(d)와 같은 상태를 표시한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착 위치에 있던 제1 아이콘을 대신하여 제2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performs a predetermined operation such as clicking the close button of the advertisement or clo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r swing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left and right as anothe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isplays the advertisement The first advertisement content is removed, and the state shown in Fig. 8 (d) is display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8 (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display the second icon instead of the first icon at the end position.

도 9는 도 8(d)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왼쪽으로 기울이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FIG. 9 shows a process perform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hen the user til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he left in the state of FIG. 8 (d).

즉, 도 9(a)와 같이 제2 아이콘이 제1 광고 영역의 종착 위치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왼쪽으로 기울이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아이콘을 초기위치까지 왼쪽으로 이동시킨다.That is, when the user til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he left in a state where the second icon is displayed at the end position of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as shown in FIG. 9 (a) As shown, the second icon is moved to the left to the initial position.

제2 아이콘이 초기위치에 도달한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고 영역에 제2 아이콘에 대응되는 제2 광고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icon reaches the initial pos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display the second advertise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con in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as shown in FIG. 9 (c).

기울기 센서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도 4에서 설명한 임계 위치와 관련된 내용과, 제1 광고 영역과 제2 광고 영역이 중첩 없이 구분될 수 있다는 내용 등은 모두 적용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a tilt sensor or the like, the content related to the critical position described in FIG. 4 and the content that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and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can be distinguished without overlap can all be applied.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 과정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포함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소정 기능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특정 기능에 의해 직접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API를 활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는 것이다.Each step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performed by a predetermined func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For example, directly performed by a specific function included in the application, or may be performed using an API of the application.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Needless to say, the process of performing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performed by a program stored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medium (for example, a computer readable medium).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이동통신 단말기 200 : 웹 페이지 제공 서버
300 : 광고 과금 서버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아이콘 표시부 130 : 광고 콘텐츠 표시부
140 : 과금 정보 전송부 150 : 센서부
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web page providing server
300: Ad billing server 110:
120: Icon display section 130: Advertisement contents display section
140: billing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50:

Claims (13)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에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와;
(b)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의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단계와;
(c)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광고 콘텐츠를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d)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또는 상기 광고 콘텐츠가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된 경우에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과금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displaying an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in a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b) mov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from an initial position on the screen when a user's icon movement input is detected;
(c) display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on a second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has reached a predetermined ending position of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d)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a predetermined end position of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or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displayed in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billing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advertisement billing server The method of claim 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기 구비된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신호에 따라 해당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한 터치 이동 명령을 감지하는 경우와, 기 구비된 기울기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스코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 신호에 따라 해당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한 이동 명령을 감지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b)
A touch sensor that senses a touch movement command for a corresponding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according to a touch detection signal of the touch sensor and a sensing signal of at least any one of a built-in tilt sensor, a gravity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scope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moves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on the screen in at least one of the cas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a move command for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고 영역은 상기 제1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is an area including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임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에 비례하는 속도로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단계와;
(b2)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상기 임계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임계 위치로부터 상기 종착 위치까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와 무관한 기 설정된 속도로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b)
(b1) mov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on the screen at a speed proportional to the user's icon movement input speed until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a predetermined threshold position in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b2)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the critical position, mov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from the critical position to the end posi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that is not related to the user's icon movement input speed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3)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임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에 비례하는 속도로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단계와;
(b4)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상기 임계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임계 위치로부터 상기 종착 위치까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한 속도로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b)
(b3) mov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on the screen at a speed proportional to a user's icon movement input speed until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a preset critical position in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b4)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has reached the critical position, mov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at a rate at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is applied to the icon movement input speed of the user from the critical position to the end position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고 영역과 상기 제2 광고 영역은 서로 구분되는 영역이고,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제2 광고 콘텐츠와 매칭된 제2 아이콘으로 대체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아이콘이 표시된 이후에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 아이콘을 화면상의 종착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아이콘이 화면상의 초기 위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2 아이콘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를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최상단 레이어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and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are regions separated from each other,
Replac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with a second icon matched with the second advertisement content after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a preset one of the first advertisement areas on the screen;
Moving the second icon from an end position on the screen when the icon movement input of the user is detected after the second icon is displayed;
And display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con as the uppermost layer in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when the second icon reaches the initial position on the screen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에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의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아이콘 표시부와;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광고 콘텐츠를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하는 광고 콘텐츠 표시부와;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경우 또는 상기 광고 콘텐츠가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표시된 경우에 과금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 과금 서버에 전송하는 과금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 display unit;
An icon display unit displaying an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in a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display unit screen and mov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from an initial position on the screen when a user's icon movement input is detected;
An advertisement conten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advertisement content on a second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a predetermined set location of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Generating billing information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a predetermined end position of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or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displayed in a second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and transmitting the billing information to the advertisement billing serv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터치 센서, 기울기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스코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감지 신호에 따라 해당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한 이동 명령을 감지하는 경우와, 상기 기울기 센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스코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감지 신호에 따라 해당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에 대한 이동 명령을 감지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sensor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 tilt sensor, a gravity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scope sensor,
The icon display un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movement command for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according to the touch detection signal of the touch sensor and to detect a movement command for at least one of the tilt sensor, the gravity sensor,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gyroscope sensor Wherei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is moved on the screen in at least one of cases where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is detected and a movement command for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is detec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고 영역은 상기 제1 광고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is an area including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에 비례하는 속도로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되,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임계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임계 위치로부터 상기 종착 위치까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와 무관한 기 설정된 속도로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icon display unit moves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on the screen at a speed proportional to a user's icon movement input speed, and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a preset critical position in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from the position to the end posi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regardless of a user's icon movement input spe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에 비례하는 속도로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되,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임계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임계 위치로부터 상기 종착 위치까지는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 속도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한 속도로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icon display unit moves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on the screen at a speed proportional to a user's icon movement input speed, and when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a preset critical position in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at a rate at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is applied to the icon movement input speed of the user from the position to the end posi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고 영역과 상기 제2 광고 영역은 서로 구분되는 영역이고,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이 화면상의 제1 광고 영역 중 기 설정된 종착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상기 광고 콘텐츠 연결 아이콘을 제2 광고 콘텐츠와 매칭된 제2 아이콘으로 대체 표시하고, 상기 제2 아이콘을 표시한 이후에 사용자의 아이콘 이동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2 아이콘을 화면상의 종착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며,
상기 광고 콘텐츠 표시부는 상기 제2 아이콘이 화면상의 종착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초기 위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2 아이콘에 대응되는 광고 콘텐츠를 화면상의 제2 광고 영역에 최상단 레이어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and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are regions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icon display unit alternately displays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with a second icon matched with the second advertisement content after the advertisement content connection icon reaches a predetermined end position of the first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2 icon is detected, the second icon is moved from an end position on the screen,
Wherein the advertisement content display unit displays the advertisemen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con as the uppermost layer in the second advertisement area on the screen when the second icon moves from the end position on the screen and reaches the initial position.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120151273A 2012-12-21 2012-12-21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contents KR1014293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273A KR101429364B1 (en) 2012-12-21 2012-12-21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273A KR101429364B1 (en) 2012-12-21 2012-12-21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cont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483A KR20140081483A (en) 2014-07-01
KR101429364B1 true KR101429364B1 (en) 2014-08-11

Family

ID=5173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273A KR101429364B1 (en) 2012-12-21 2012-12-21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36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9397A (en) * 2018-08-14 2020-02-24 주식회사 케이티 Server, method and user device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6525A (en) 2015-06-30 2015-11-11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device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270A (en) * 2000-01-25 2001-08-03 Minolta Co Ltd Electrical device, advertisement means to electric device, fee charging system and fee charging method
KR100854406B1 (en) * 2008-04-17 2008-08-26 서장원 Advertising method in the video telecommunication
KR20100056209A (en) * 2008-11-19 201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20040047A (en) * 2010-10-18 2012-04-26 주식회사 케이티 A mobi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and the method contro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1270A (en) * 2000-01-25 2001-08-03 Minolta Co Ltd Electrical device, advertisement means to electric device, fee charging system and fee charging method
KR100854406B1 (en) * 2008-04-17 2008-08-26 서장원 Advertising method in the video telecommunication
KR20100056209A (en) * 2008-11-19 201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20040047A (en) * 2010-10-18 2012-04-26 주식회사 케이티 A mobi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and the method control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9397A (en) * 2018-08-14 2020-02-24 주식회사 케이티 Server, method and user device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KR102634745B1 (en) * 2018-08-14 2024-02-07 주식회사 케이티 Server, method and user device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483A (en)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1010B1 (en) User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s and methods thereof
AU2013278136B2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user device
JP5433375B2 (en) Terminal device, function execution method, function execution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9535595B2 (en) Accessed location of user interface
JP6100287B2 (en) Terminal multiple selection operation method and terminal
EP3110113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02126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election operation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US10185488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US20130042199A1 (en) Automatic zooming for text selection/cursor placement
CN103197841B (en) Picture browsing method and its system and terminal device
EP25600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content on screen using pointing device
EP2680119A2 (en) Enhanced user interface to suspend a drag and drop operation
CN107391010A (en) For the locally applied and mixing of network application movement interaction
JP5254399B2 (en) Display device, user interface method and program
CN111279300B (en) Providing a rich electronic reading experience in a multi-display environment
TW201520878A (en) Page elem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KR20150025214A (en) Method for displaying visual object on video,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US201501691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olling control in mobile terminal
US20210067476A1 (en) Intelligent chat object sending animations
KR101429364B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contents
CN101599263B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of screen display (OSD) interface thereof
CN109976605B (en) Class board content display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JP5997328B2 (en) Program and terminal device
JP2014032554A (en) Advertisement display control program and advertisement display control method
US20150058792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navigation, display interactivity and multi-browser array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