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9006A -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device and threeof method - Google Patents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device and threeof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9006A
KR20130049006A KR1020110113987A KR20110113987A KR20130049006A KR 20130049006 A KR20130049006 A KR 20130049006A KR 1020110113987 A KR1020110113987 A KR 1020110113987A KR 20110113987 A KR20110113987 A KR 20110113987A KR 20130049006 A KR20130049006 A KR 20130049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ehicle
vehicle management
wireles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9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오스
Priority to KR1020110113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9006A/en
Publication of KR20130049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0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supply a service for vehicle condition conformation, vehicle control, the confirmation of recorded videos to a user in a remote place. CONSTITUTION: A system is targeted for vehicles including a diagnosis terminal(106). The system includes the diagnosis terminal connected with electric devices(101,102,103,104,105), a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107) wirelessly transmitting data and signals for the management and diagnosis of vehicle condition and delivering a use command to the electric devices, and a smart terminal(500) providing data collected from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through a user interface and transmitting a user commend for the remote control of the vehicles. [Reference numerals] (100) Vehicle; (101) Electronic control unit(ECU); (102) Traction control unit(TCU); (103) Telematics unit; (104) GPS module; (105) Image recording unit; (106) Diagnosis terminal(OBD II); (107)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200)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00) Internet; (400) Management server; (500) Smart terminal; (AA) CAN communication

Description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DEVICE AND THREEOF METHOD}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terminal and method thereof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DEVICE AND THREEOF METHOD}

본 발명은 차량의 진단터미널에 장착된 무선차량 관리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의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차량 상태 확인과 차량 제어 및 차량 카메라의 녹화 영상을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제공받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easily and conveniently check the vehicle status, control the vehicle and recorded video of the vehicle camera using the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of the smart terminal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device mounted on the diagnostic terminal of the vehicle. .

근래 출시되는 대부분의 차량에 차량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진단터미널(OBD II)을 운전석 주변에 마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정비업소에서 이 진단터미널에 케이블을 이용하여 차량 진단장비를 접속하여 차량의 고장 유무를 점검할 수 있는데, 운전자가 차량 정비업소를 찾아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Most vehicles on the market are equipped with a diagnostic terminal (OBD II) around the driver's seat for diagnosing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In general, the vehicle maintenance shop can check the vehicle for failure by connecting the vehicle diagnostic equipment using the cable to the diagnostic terminal, which is inconvenient for the driver to visit the vehicle maintenance shop.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운전자가 차량 정비업소를 찾아가지 않고 차량 상태 정보와 사고 발생을 알려주어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방향으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의 예로는 제목이 "차량 멀티 주행기록 측정장치"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0917442호가 있다. 또한 진단터미널로부터 출력 정보를 무선으로 제공받아 차량의 고장진단을 하는 기술의 예로는 제목이 "휴대형 무선차량 고장 진단 시스템"으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137호가 있다. In consideration of these problems, technology developments are being made in a way that drivers can quickly respond by informing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and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without going to the vehicle repair shop. Device ”is Korean Patent No. 10-0917442. In addition, an example of a technology for diagnosing a vehicle failure by receiving output information wirelessly from a diagnostic terminal is titled "Portable Wireless Vehicle Failure Diagnosis System", which i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9137.

그러나 앞서 설명한 선행기술들은 차량 정비업소의 전문가에 적합하도록 특정하게 설계한 고가의 진단장비를 필요하므로 경제적 부담이 있고, 원격 시동이나 경보음 발생 등 차량 제어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기능상 제약이 따른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requires expensive diagnostic equipment specifically designed to be suitable for professionals in the vehicle repair shop, and thus, there is an economic burden, and there are functional limitations in not properly performing vehicle control functions such as remote start or alarm sound.

최근에는 진단터미널에 접속되고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갖는 진단장치와 스마트폰 사이에 근거리 통신하여 진단정보를 제공하는 제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렇게 스마트폰을 이용하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나 근래에 제조된 신규 자동차에 한하여 제품 개발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이전 출시된 차량이 서비스 대상에서 제외되는 한계가 있으며, 통신 범위가 좁은 블루투스 통신 규격을 적용함에 따라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차량 진단 및 관리를 제대로 획인할 수 없어 서비스 지역의 제약을 받는 문제가 있다.Recentl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products that provide diagnostic information by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a diagnostic device hav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smartphone connected to a diagnostic terminal. Using smartphones like this can provide relatively inexpensive service, but there is a limit that the previously released vehicles are excluded from service due to product development only for new cars manufactured recently, and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narrow communication range As the standard is applied, vehicle diagnosis and management cannot be properly identified in a distant state, which limits the service area.

한국 특허등록 10-0917442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17442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137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9137

없음non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스마트 단말의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 확인과 차량 제어 및 녹화 영상을 확인하는 제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eneral service for checking the vehicle status and vehicle control and recorded video to a user remotely using the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of the smart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신규 차량은 물론 이전 출시된 차량이라도 표준화된 진단터미널을 갖춘 차량에 대해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niversal use of a new vehicle as well as a previously released vehicle with a standardized diagnostic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무선차량 관리단말의 인증을 거쳐야만 스마트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함으로 불법적인 무단 사용을 방지하는 것이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unauthorized use by using the application in the smart terminal only after authentication of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된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진단터미널; 상기 진단터미널을 매개로 상기 전기 장치와 통신하여 차량 상태 진단과 관리를 위한 신호와 데이터를 수집하여 무선 전송하고, 차량 제어를 위해 무선으로 전송받은 사용자 명령을 상기 진단 터미널을 매개로 상기 전기 장치에 전달하는 무선차량 관리단말; 상기 무선차량 관리단말과 이동 통신망을 매개로 통신하며,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무선차량 관리 단말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가공 처리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고, 차량의 원격 제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상기 무선차량 관리단말로 전송하는 스마트 단말;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gnostic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ommunicates with the electrical device via the diagnostic terminal to collect and wirelessly transmit signals and data for vehicle condi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and transmits user command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electrical device through the diagnostic terminal for vehicle control. A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communicates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vehicle, and a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processes data collected from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through a user interface, and provides a user command for remote control of the vehicle. It includes; smart terminal for transmitting to the vehicle management terminal.

상기 스마트 단말이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인터넷 상에 어플리케이션 플레이스를 운영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한다.The smart terminal further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for operating an application place on the Internet to download the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상기 진단터미널은 표준화된 OBD II 단자로 구현하고, 상기 전기 장치는 전자제어장치와 트랙 제어장치와 텔레매틱스장치와 영상녹화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진단터미널은 상기 전기 장치와 CAN 통신한다.The diagnostic terminal is implemented with a standardized OBD II terminal, and the electrical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a track control device, a telematics device, and an image recording device, and the diagnostic terminal is in CAN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al device.

상기 스마트 단말의 가공 처리는 차량 상태 진단과 소모품 교환주기와 차량의 운행 정보 및 위치 정보의 처리와 녹화 영상을 압축 해제하여 재생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processing of the smart terminal may include vehicle state diagnosis, consumable replacement cycles, processing of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nd decompressing and playing back the recorded video.

상기 무선차량 관리단말은 관리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관리단말 제어부와, 상기 진단터미널에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OBD 인터페이스와, 상기 OBD 인터페이스에 입력 데이터를 식별하여 녹화영상 데이터를 분류하는 데이터 식별부와, 상기 분류된 녹화영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녹화영상 압축부와, 상기 OBD 인터페이스로 입력된 데이터와 상기 압축된 녹화영상 데이터로 데이터패킷을 형성하는 데이터패킷 형성부와,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거나 사용자 명령을 전송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 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includes a management termi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verall operations of the management terminal, an OBD interface connected to the diagnostic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data identification for classifying recorded image data by identifying input data at the OBD interface. And a recorded image compression unit for compressing the classified recorded image data, a data packet forming unit for forming a data packet with the data inputted through the OBD interface and the compressed recorded image data, and transmitting the data packet. It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terminal for transmitting a user command.

상기 스마트 단말은 스마튼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단말 제어부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무선차량 관리단말과 무선 통신하거나 상기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기 위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다운로드 받은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와, 상기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음에 의해 서비스 대상의 차량별 제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차량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무선차량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수집 데이터를 처리하는 수집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무선차량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받은 녹화영상을 압축 해제하고 터치 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압축 해제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영상재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집데이터 처리부는 차량 상태 진단, 소모품 교환주기 산출, 차량 운행 및 위치정보를 각각 처리하는 차량 진단부, 소모품 교환주기 산출부, 운행 및 위치정보 처리부를 포함한다.The smart terminal may include a smart terminal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terminal, a touch screen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and a radio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or accessing the internet for receiving the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A communication database, an applic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ownloaded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a vehicle database in which database information for service targets is provided as a database by receiving the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and from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A collection data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received collection data, and an image reproducing unit for decompressing the recorded image received from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and reproducing the decompressed image data for display on a touch screen.Li section comprises a vehicle diagnostic unit for each process a vehicle diagnostic state, supplies the exchange period calculation, vehicle oper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nd supplies the exchange period calculation unit, and position information processing station.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방법은, 차량의 진단터미널에 무선차량 관리단말을 전기 접속하고,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에 의해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플레이스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무선차량 관리단말의 단말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 인증을 성공하면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 상기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을 성공하면 상기 스마트 단말에서 상기 무선차량 관리단말로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무선차량 관리단말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차량 상태 진단, 소모품 교환주기 산출, 운행 정보 및 위치정보의 처리, 녹화 영상의 압축 해제와 재생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o this end, a vehicle management method using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electrically connecting a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to a diagnostic terminal of a vehicle, and accessing an application place constructed by a management server using a smart terminal; Requesting terminal authentication of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Downloading a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if the terminal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Requesting user authentication while activating the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Requesting connection from the smart terminal to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smart terminal processes the data collected by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to diagnose the vehicle status, calculate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consumables, process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decompress and play back the recorded video, and provide the same through a user interface. It includes;

상기 단말 인증은 상기 무선차량 관리단말의 일련번호로 인증처리하고, 상기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면 서비스 대상 차량의 차량 제원을 설정하기 위한 차량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다.The terminal authentication is authenticated by the serial number of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and when the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is activated, a vehicle database for setting a vehicle specification of the service target vehicle is construct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과 차량 간 무선 통신하므로 원거리의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terminal and the vehicl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provided to the remote user.

본 발명은 신규 차량은 물론 이전 출시된 차량이라도 표준화된 진단터미널을 갖춘 차량에 대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universally for vehicles with standardized diagnostic terminals, even new vehicles as well as previously released vehicles.

본 발명은 진단 터미널에 접속하는 관리 단말의 인증을 거쳐 스마트 단말에서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불법적인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can be used in the smart terminal through the authentication of the management terminal connected to the diagnostic terminal, thereby preventing illegal unauthorized u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선차량 관리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of FIG. 1.
3 is a block diagram of the smart terminal of FIG. 1.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은 표준화된 진단터미널로서 OBD II 단자에 접속하는 무선차량 진단관리 장치와 스마트 단말 사이에 광대역 CDMA(WCDMA) 또는 Wi-Fi 통신 규격을 적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단말 상호간 이동 통신을 위한 통신 규격은 원거리를 통신에 적합한 어떠한 통신 규격이라도 채용할 수 있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ndardized diagnostic terminal to apply a broadband CDMA (WCDMA) or Wi-Fi communication standards between the smart vehicle diagnostic management device and the smart terminal connected to the OBD II terminal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mmunication standard for mobil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s can adopt any communication standard suitable for long distance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단말을 통해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나서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차량의 모델과 배기량 등 차량 제원을 설정하는 절차를 거쳐 해당 차량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무선차량 진단관리 장치가 특정한 차량에 국한하지 않고 표준화된 진단터미널에 접속하여 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차종 변경이나 서비스 대상 차량의 교체 등으로 인해 최초 설정된 차량과 다른 차량에 대해서도 설정 등록을 허용할 목적으로 구현한 것일 뿐, 절차상 불편을 주는 사항은 아니며, 차량 변경을 하지 않으면 최초 설정된 차량 제원을 기초로 하여 서비스 제공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ownloading the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through the smart terminal, the user through the procedure to set the vehicle specifications, such as the model of the vehicle to be serviced and the amount of emissions to the vehicle Although the wireless vehicle diagnosis and management device can access and operate the standardized diagnostic terminal without being limited to a specific vehicle,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vehicle originally set due to the change of the driver's vehicle type or the replacement of the serviced vehicle. It is only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allowing registration registration for other vehicles, it is not a matter of inconvenience in the procedure, and it should be noted that if the vehicle is not changed, the service provision can be continuously made based on the initial specification of the vehicle. ha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단말 인증과 사용자 인증 및 차량 제원 설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뛰어나며, 무선차량 관리장치는 차량으로부터 단순히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고 스마트 단말에서 관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차량 진단 등을 처리하는 방식을 적용하므로서 제조 원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terminal authentication, user authentication and vehicle specification can be easily set using the application of the smart terminal, the ease of use is excellent, and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simply collects and transmits data from the vehicle. By applying a method of processing a vehicle diagnosis using a related program in a smart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은 표준화된 진단터미널(106)을 갖춘 차량(100)을 대상으로 하며, 이러한 진단터미널(106)은 최근 출시된 차량 뿐 아니라 이전에 출시된 차량 대부분에 적용된 OBD II 단자를 포함한다. 진단터미널(106)은 차량에 탑재된 각종 전기 장치로서 예를 들면 전자제어장치(ECU)와, 트랙션제어장치(TCU), 텔레매틱스 장치(103), GPS 모듈(104), 및 영상녹화장치(105)와 CAN 통신으로 신호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단자들을 포함하고 있다.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rgets a vehicle 100 having a standardized diagnostic terminal 106, the diagnostic terminal 106 is recently released It includes OBD II terminals that are applied to most previously released vehicles as well as to existing vehicles. The diagnostic terminal 106 is a variety of electrical devices mounted on a vehicle, for example,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 traction control unit (TCU), a telematics unit 103, a GPS module 104, and an image recording apparatus 105. ) And the terminal that sends and receives signals and data through CAN communication.

무선차량 관리단말(107)은 진단터미널(106)에 접속하고, 진단터미널(106)을 매개로 수집된 데이터에 대해 분류 및 신호 압축과 같은 기본적인 처리를 하여 단순히 데이터를 수집하고 무선 전송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에 따라 후술한다.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107 connects to the diagnostic terminal 106 and performs basic processing such as classification and signal compression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diagnostic terminal 106 to simply collect and wirelessly transmit the data.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무선차량 관리단말(107)은 이동통신망(200)을 매개로 스마트 단말(500)과 통신하여 수집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러한 수집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500)이 적절하게 취급하려면 사전에 스마트 단말(500)에 차량용 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107 communicates with the smart terminal 5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and transmits the collected data. In order to properly handle the collected data, the smart terminal 500 may advance the smart terminal 500. Must have in-vehicle applications.

여기서 스마트 단말(500)은 WCDMA 또는 WiFi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200)을 통해 인터넷(300)에 연결하거나 유선으로 TCP/IP 통신 규격에 따라 인터넷(300)에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 기기로서, 그러한 전형적인 예로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이 포함될 수 있다.Herein, the smart terminal 500 is a portable communication having a function of connecting to the Internet 3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or a wired connection to the Internet 300 according to the TCP / IP communication standard according to the WCDMA or WiFi communication standard. As the device, such a typical example may include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본 시스템 구성에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무선차량 관리 단말(107)을 제공하는 제조 회사는 스마트 단말(500) 사용자가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접근하여 획득할 수 있도록 인터넷(300)을 매개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400)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의 공급원 역할을 하며, 인터넷(300) 상에서 어플리케이션 플레이스를 운영하는 주체로서 일종의 웹서버이다. The manufacturing company that provides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107 required for the present system configuration is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300 so that the smart terminal 500 user can easily access and acquire the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anytime and anywhere. We need to be able to receive it. To this end, the management server 400 serves as a source of a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for providing a service, and is a kind of web server as a subject that operates an application place on the Internet 300.

도 2를 참고하면, 무선차량 관리 단말(107)은 진단터미널(106)에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OBD 인터페이스(108)를 포함한다. OBD 인터페이스(108)와 진단터미널(106) 직접 연결할 수 있으나, 단자 크기와 규격이 달라서 직접 접속이 어려우면 어댑터를 사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107 includes an OBD interface 108 connected to the diagnostic terminal 106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e OBD interface 108 and the diagnostic terminal 106 may be directly connected, but may be connected using an adapter when the direct connection is difficult due to different terminal sizes and specifications.

OBD 인터페이스(108)는 전자제어장치(101)와 트랙션제어장치(102)를 통해 수집되는 각종 센서와 차량 상태의 신호와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고, 그러한 입력 신호와 데이터는 차속, 배터리 전압 등의 운행 정보와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 그리고 냉각수, 엔진오일, 항균필터, 미션오일, 브레이크 및 타이밍 벨트 등 소모품에 대한 교환주기 정보를 포함한다.The OBD interface 108 may receive signals and data of various sensors and vehicle statuses collected through the electronic controller 101 and the traction controller 102, and the input signals and data may be inputted to the vehicle speed, battery voltage, and the like. It includes driving information, driving status information, and replacement cycle information for consumables such as coolant, engine oil, antibacterial filter, mission oil, brakes and timing belts.

또한 OBD 인터페이스(108)는 원격 시동과 외부 충격에 따른 경보음 발생 및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처리하는 텔레매틱스장치(103)를 통해 신호와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GPS 모듈(104)를 통해 차량 위치의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고, 사고 발생에 대처하기 위해 차량 주위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영상을 녹화하는 영상녹화장치(105)로부터 녹화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OBD interface 108 may receive signals and data through the telematics device 103 that handles remote start and external alarms, and locks and unlocks the door. The location data may be input, and the recorded image may be received from the video recording device 105 that records an image of a camera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in order to cope with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이러한 OBD 인터페이스(108)의 입력 동작은 관리단말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일정 주기로 수행하거나 관리단말 제어부(110)로부터 설정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수행할 수 있다.The input operation of the OBD interface 108 may be performed at regular intervals under the control of the management terminal control unit 110 or in response to a setting control signal from the management terminal control unit 110.

관리단말 제어부(110)는 관리 단말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버스신호선(111)을 통해 OBD 인터페이스(108), 데이터 식별부(112), 데이터패킷 형성부(114), 단말인증 정보 저장부(115) 및 무선통신부(116)와 연결된다. The management terminal controller 110 performs the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management terminal, the OBD interface 108, the data identification unit 112, the data packet forming unit 114, the termi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via the bus signal line 111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6.

데이터 식별부(112)는 버스신호선(111)로 연결된 OBD인터페이스(108)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식별하는데, 진단터미널(106)의 단자마다 할당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데이터를 구분한다. 여기서 데이터 식별부(112)는 입력 데이터가 영상녹화장치(113)로부터 제공된 녹화 영상이면 녹화 영상 압축부(113)로 보낸다. 그 이외의 다른 입력 데이터는 데이터패킷 형성부(114)에 전달된다.The data identification unit 112 identifies data input from the OBD interface 108 connected to the bus signal line 111, and classifies the input data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llocated to each terminal of the diagnostic terminal 106. Here, the data identification unit 112 transmits the input data to the recorded image compression unit 113 if the input data is a recorded image provided from the video recording apparatus 113. Other input data is transferred to the data packet forming unit 114.

녹화 영상 압축부(113)는 녹화 영상을 압축 알고리즘에 따라 압축하여 데이터 크기를 줄인 후 데이터패킷 형성부(114)에 전달한다.The recorded image compression unit 113 compresses the recorded image according to a compression algorithm to reduce the data size and transmits the recorded image to the data packet forming unit 114.

데이터패킷 형성부(114)는 관리단말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 단말(50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격에 맞게 데이터 패킷을 형성하며, 이러한 데이터 패킷은 OBD 인터페이스(103)로부터 입력된 각종 센서의 신호와 데이터 및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packet forming unit 114 forms a data packet in accordance with a communication standard for transmitting to the smart terminal 500 under the control of the management terminal control unit 110, and the data packet is inputted from the OBD interface 103. Signals and data of the sensor and compressed image data may be included.

단말인증정보 저장부(115)는 무선차량 관리 단말(107)에 부여된 고유 일련번호에 대한 인증정보를 저장한다.The termi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15 stor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the unique serial number assigned to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107.

무선통신부(116)는 스마트 단말(500)과 이동통신망(200)을 매개로 통신한다. 무선통신부(116)는 스마트 단말(500)로부터 접속 요구에 응답할 수 있는데, 이때 관리단말 제어부(110)가 스마트 단말(500)에서 보내 준 단말인증을 위한 일련번호와 단말인증 저장부(115)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처리한다. 이러한 단말 인증에 성공하면, 무선차량 관리단말(11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패킷 형성부(114)에 의해 형성된 데이터 패킷을 무선통신부(116)를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500)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6 communicates through the smart terminal 5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6 may respond to the connection request from the smart terminal 500, in which case the management terminal controller 110 serial number and terminal authentication storage unit 115 for the terminal authentication sent from the smart terminal 500. Compar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authentication process. If the terminal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data packet formed by the data packet forming unit 114 may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smart terminal 500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6 under the control of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110.

무선통신부(116)를 통해 차량의 원격 시동과 도어의 잠금 및 해제에 대한 사용자 요청이 있으면, 관리단말 제어부(110)는 OBD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텔레매틱스 장치(103)에 전달하고, 텔레매틱스 장치(103)가 전달받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주어진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When there is a user request for remote starting of the vehicle and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doo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6, the management terminal control unit 110 transmits to the telematics device 103 through the OBD interface 103, and transmits the telematics device ( 103 performs a given process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user command.

도 3을 참고하면, 스마트 단말(500)은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단말 제어부(505)와, 터치를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스크린상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501)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터치 스크린(501)은 터치 센서(502)와 표시부(50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Referring to FIG. 3, the smart terminal 500 may include a smart terminal controller 505 that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the terminal, and a touch screen 501 that may receive a user command through a touch and display data on a screen. Include. To this end, the touch screen 501 includes a touch sensor 502 and a display unit 503.

무선통신부(513)은 관리 서버(400)에 의해 인터넷(300) 상에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플레이스에 접속하거나 무선차량 관리단말(107)과 통신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13 connects to an application place established on the Internet 300 by the management server 400 or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107.

어플리케이션 저장부(506)는 관리 서버(400)에 의해 인터넷(300) 상에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플레이스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The application storage unit 506 stores the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downloaded from the application place built on the Internet 300 by the management server 400.

차량데이터베이스(507)는 서비스 대상의 차량별 제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 두며, 예로서 차량 제조회사, 차량 모델, 배기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database 507 builds a database of vehicle-specific specification information as a service object,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vehicle manufacturer, a vehicle model, an exhaust amount, and the like.

수집데이터 처리부(508)는 무선차량 관리단말(107)로부터 전송받은 수집 데이터에 대해 차량 상태 진단, 소모품 교환주기 산출, 차량 운행 및 위치정보를 각각 처리하는 차량 진단부(509), 소모품 교환주기 산출부(510), 운행 및 위치정보 처리부(511)를 포함한다. 이때 차량진단부(509)와 소모품 교환주기 산출부(510)와 운행 및 위치정보 처리부(511)는 차량데이터베이스(507)에서 제공하는 제원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차량 제원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진단과 교환주기 산출과 운행 및 위치정보를 처리한다.The collection data processing unit 508 calculates a vehicle state diagnosis, a consumable replacement cycle, a vehicle diagnostic unit 509 for processing vehicle oper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nd calculates a consumable replacement cycle for the collected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107. The unit 510 includes a driving and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511. In this case, the vehicle diagnosis unit 509, the consumable replacement cycle calculation unit 510, and the oper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511 may perform a vehicle diagnosis based on the vehicle specification information set by the user among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vehicle database 507. It processes exchange cycle calculation and oper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영상재생부(512)는 무선차량 관리단말(107)로부터 전송받은 녹화영상을 압축 해제하고 터치 스크린(501)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압축 해제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한다.The image reproducing unit 512 decompresses the recorded image received from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107 and reproduces the decompressed image data for display on the touch screen 501.

한편 스마트 단말 제어부(505)는 사용자로부터 원격 시동과, 도어의 잠금 및 해제에 대한 요구를 입력받으면, 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무선 통신부(513)을 통해 무선차량 관리단말(107)에 무선 전송한다. 그러면, 관리단말 제어부(110)는 OBD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텔레매틱스 장치(103)에 전달하고, 텔레매틱스 장치(103)가 전달받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주어진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Meanwhile, the smart terminal controller 505 wirelessly transmits a user command to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107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13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remote starting and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from the user. Then, the management terminal control unit 110 transmits to the telematics device 103 through the OBD interface 103, and performs the given process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received by the telematics device 103.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mart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차량에 마련된 진단터이널(106)에 무선차량 관리단말(107)을 접속한다. 이때 무선차량 관리단말(107)을 직접 접속이 어려우면 어댑터를 사용하여 상호 접속할 수 있다.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107 is connected to the diagnostic terminal 106 provided in the vehicle. At this time, if it is difficult to directly connect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107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n adapter.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500)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400)에 의해 구축된 인터넷(300) 상의 어플리케이션 플레이스에 접속하고(600), 무선차량 관리단말(107)에 부여된 단말 일련번호를 이용하여 인증 요청을 한다(602).The user accesses an application place on the Internet 300 established by the management server 400 using the smart terminal 500 (600), and authenticates using the terminal serial number assigned to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107. Make a request (602).

단말 인증에 성공하면(604의 예) 관리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다(606). 이때 차량데이터베이스(507)에 차종별 제원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고, 터치 스크린(501)에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이 형성된다. 이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에 의해 본 시스템의 제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활성화 상태가 된다.If the terminal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Yes of 604), the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provided by the management server 400 is downloaded (606). At this time, a database of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type is built in the vehicle database 507, and an icon for the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is formed on the touch screen 501. The user who selects this icon is in an activated state that can receive all the services of the present system.

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501)을 통해 대상 차량의 제원 및 기능 옵션을 설정하여 등록하며, 이러한 설정 동작은 최초 설정 후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이후 사용자는 터치스크린(501)의 인증창을 열고, 인증창에 회원 등록 시 부여받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청한다(108).In the activated state, the user sets and registers the specifications and function options of the target vehicle through the touch screen 501, and this setting operation is continuously maintained after the initial setting. Thereafter, the user opens the authentication window of the touch screen 501 and requests user authentication using the ID and password given when registering a member in the authentication window (108).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면(110의 예),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500)을 이용하여 무선차량 관리단말(107)로 접속 요청하고, 접속이 이루어지면 수집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다(612). 이때 스마트 단말(50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단말 인증용 단말 일련번호를 전송한다.If the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Yes of 110), the user requests a connection to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107 by using the smart terminal 500, and if the connection is made to request the transmission of the collected data (612). At this time, the smart terminal 500 transmits a terminal serial number for terminal authentication input by the user.

무선차량 관리단말(107)은 무선통신부(116)를 통해 수신한 단말 인증번호와 단말인증 정보 저장부(115)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면 데이터패킷 형성부(114)에 의해 형성된 데이터 패킷을 스마트 단말(5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스마트 단말(500)은 터치 스크린(501)의 터치 동작에 의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수집 데이터 처리부(508)에서 처리된 차량 진단, 소모품 교환주기, 운행 및 위치 정보에 대한 일련의 처리 결과를 터치 스크린(501)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차량 주위를 녹화한 영상의 재생 요청이 있으면 영상 재생부(512)에 의해 압축 해제되고 재생한 녹화 영상을 터치 스크린(501)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원격 시동과, 도어의 잠금 및 해제에 대한 요구를 입력받으면, 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무선 통신부(513)을 통해 무선차량 관리단말(107)에 무선 전송한다. 그러면 관리단말 제어부(110)는 OBD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텔레매틱스 장치(103)에 전달하고, 텔레매틱스 장치(103)가 전달받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주어진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614).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107 compares the terminal authentication number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6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15 and if they match with each other, the data formed by the data packet forming unit 114. The packet is transmitted to the smart terminal 500. Then, the smart terminal 500 touches a series of processing results for the vehicle diagnosis, consumable replacement cycle, driving, and location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llection data processing unit 508 according to a user command by a touch operation of the touch screen 501. Displayed at 501. At this time, if a user requests a playback of a video recorded around the vehicle, the video playback unit 512 decompresses and plays the recorded video on the touch screen 501. On the other hand, when a user receives a request for remote start and lock and unlock of the door, the user command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107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13. Then, the management terminal control unit 110 transmits to the telematics device 103 through the OBD interface 103, and performs the given process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received from the telematics device 103 (614).

100 : 차량 101 : 전자제어장치
102 : 트랙션제어장치 103 : 텔레매틱스장치
104 : GPS 모듈 105 : 영상녹화장치
106 : 진단터미널 107 : 무선차량 관리단말
108 : OBD 인터페이스 110 : 관리단말 제어부
111 : 버스 신호선 112 : 데이터식별부
113 : 녹화영상 압축부 114 : 데이터패킷 형성부
115 : 단말인증정보 저장부 116 : 무선통신부
200 : 이동통신망 300 : 인터넷
400 : 관리서버 500 : 스마트 단말
501 : 터치 스크린 502 : 터치센서
503 : 표시부 505 : 스마트단말 제어부
506 : 어플리케이션 저장부 507 : 차량데이터베이스
508 : 수집데이터 처리부 509 : 차랑진단부
510 : 소모품 교환주기 산출부 511 : 운행 및 위치정보 처리부
512 : 영상재생부 513 : 무선통신부
100: vehicle 101: electronic control device
102: traction control device 103: telematics device
104: GPS module 105: video recording device
106: diagnostic terminal 107: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108: OBD interface 110: management terminal control
111: bus signal line 112: data identification unit
113: recording image compression unit 114: data packet forming unit
115: termi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16: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00: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300: Internet
400: management server 500: smart terminal
501: touch screen 502: touch sensor
503: display unit 505: smart terminal control unit
506: application storage unit 507: vehicle database
508: collected data processing unit 509: car diagnostics
510: consumable replacement cycle calculation unit 511: oper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512: video playback unit 513: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laims (8)

차량에 설치된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진단터미널;
상기 진단터미널을 매개로 상기 전기 장치와 통신하여 차량 상태 진단과 관리를 위한 신호와 데이터를 수집하여 무선 전송하고, 차량 제어를 위해 무선으로 전송받은 사용자 명령을 상기 진단 터미널을 매개로 상기 전기 장치에 전달하는 무선차량 관리단말;
상기 무선차량 관리단말과 이동 통신망을 매개로 통신하며,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무선차량 관리 단말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가공 처리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고, 차량의 원격 제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상기 무선차량 관리단말로 전송하는 스마트 단말;을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A diagnostic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ical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Communicates with the electrical device via the diagnostic terminal to collect and wirelessly transmit signals and data for vehicle condi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and transmits user command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electrical device through the diagnostic terminal for vehicle control. A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communicates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vehicle, and a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processes data collected from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through a user interface, and provides a user command for remote control of the vehicle.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comprising a; smart terminal for transmitting to the vehicle management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이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인터넷 상에 어플리케이션 플레이스를 운영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management server for operating the application place on the Internet so that the smart terminal can download the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터미널은 표준화된 OBD II 단자로 구현하고,
상기 전기 장치는 전자제어장치와 트랙 제어장치와 텔레매틱스장치와 영상녹화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진단터미널은 상기 전기 장치와 CAN 통신하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iagnostic terminal is implemented with a standardized OBD II terminal,
The electrical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lectronic controller, a track controller, a telematics apparatus, and an image recording apparatus.
The diagnostic terminal is a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in CAN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의 가공 처리는 차량 상태 진단과 소모품 교환주기와 차량의 운행 정보 및 위치 정보의 처리와 녹화 영상을 압축 해제하여 재생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ing process of the smart terminal is a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including vehicle status diagnosis and consumable replacement cycles, processing of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and decompressing and playing back recorded imag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차량 관리단말은
관리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관리단말 제어부와, 상기 진단터미널에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OBD 인터페이스와, 상기 OBD 인터페이스에 입력 데이터를 식별하여 녹화영상 데이터를 분류하는 데이터 식별부와, 상기 분류된 녹화영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녹화영상 압축부와, 상기 OBD 인터페이스로 입력된 데이터와 상기 압축된 녹화영상 데이터로 데이터패킷을 형성하는 데이터패킷 형성부와, 상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거나 사용자 명령을 전송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 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A management terminal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anagement terminal, an OBD interface connected to the diagnostic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 data identification unit for classifying recorded video data by identifying input data at the OBD interface, and the classified A recorded image compression unit for compressing recorded image data, a data packet forming unit for forming a data packet with the data input through the OBD interface and the compressed recorded image data, and for transmitting the data packet or transmitting a user command.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erminal compri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스마튼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스마트단말 제어부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무선차량 관리단말과 무선 통신하거나 상기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기 위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다운로드 받은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와, 상기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음에 의해 서비스 대상의 차량별 제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차량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무선차량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수집 데이터를 처리하는 수집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무선차량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받은 녹화영상을 압축 해제하고 터치 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압축 해제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영상재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집데이터 처리부는 차량 상태 진단, 소모품 교환주기 산출, 차량 운행 및 위치정보를 각각 처리하는 차량 진단부, 소모품 교환주기 산출부, 운행 및 위치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mart terminal
A smart terminal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terminal, a touch screen for receiving a user comm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or accessing the Internet to receive the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An applic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ownloaded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a vehicle database in which database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to be serviced is provided as a database by receiving the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and collected data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And a video reproducing unit for decompressing the recorded video received from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and reproducing the decompressed video data for display on a touch screen.
The collection data processing unit includes a vehicle diagnosis unit for processing a vehicle condition diagnosis, a consumable replacement cycle calculation, a vehicle driving and position information, a consumable replacement cycle calculation unit, and a driving and posi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차량의 진단터미널에 무선차량 관리단말을 전기 접속하고,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에 의해 구축된 어플리케이션 플레이스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무선차량 관리단말의 단말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 인증을 성공하면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
상기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을 성공하면 상기 스마트 단말에서 상기 무선차량 관리단말로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무선차량 관리단말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차량 상태 진단, 소모품 교환주기 산출, 운행 정보 및 위치정보의 처리, 녹화 영상의 압축 해제와 재생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방법.
Electrically connecting a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to a diagnostic terminal of the vehicle, and accessing an application place established by the management server using a smart terminal;
Requesting terminal authentication of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Downloading a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if the terminal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Requesting user authentication while activating the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Requesting connection from the smart terminal to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smart terminal processes the data collected by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to diagnose the vehicle status, calculate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consumables, process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decompress and play back the recorded video, and provide the same through a user interface. Vehicle management method using a smart terminal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인증은 상기 무선차량 관리단말의 일련번호로 인증처리하고,
상기 차량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면 서비스 대상 차량의 차량 제원을 설정하기 위한 차량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는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차량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erminal authentication is authenticated with the serial number of the wireless vehicle management terminal,
When the vehicle management application is activated, a vehicle management method using a smart terminal to establish a vehicle database for setting the vehicle specifications of the service target vehicle.
KR1020110113987A 2011-11-03 2011-11-03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device and threeof method KR201300490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987A KR20130049006A (en) 2011-11-03 2011-11-03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device and threeof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987A KR20130049006A (en) 2011-11-03 2011-11-03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device and threeof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006A true KR20130049006A (en) 2013-05-13

Family

ID=48659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987A KR20130049006A (en) 2011-11-03 2011-11-03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device and threeof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9006A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1338A (en) 2015-05-06 2016-11-16 김선범 Real time vehicle statu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nd spreading purchase experience of vehicle buyers
US9813540B2 (en) 2015-01-27 2017-11-07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computing statistical vehicle data using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20180046220A (en) * 2016-10-27 2018-05-08 지플레인 주식회사 System for diagnosing automobile
KR20180132612A (en) * 2017-03-29 2018-12-12 런치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utomobile remote diagnosis
WO2020135855A1 (en) * 2018-12-29 2020-07-02 深圳市道通科技股份有限公司 Vehicle communication interface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therefor
CN111741042A (en) * 2019-07-19 2020-10-02 四川省派瑞克斯光电科技有限公司 Oil consumption, driving track and safe driving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system
KR20210057262A (en) * 2019-11-11 2021-05-21 주식회사 에스제이 테크 Electronic vehicle diagnostic system connected to smartphone
KR102364026B1 (en) * 2021-01-18 2022-02-18 최무룡 Battery life estim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3540B2 (en) 2015-01-27 2017-11-07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of computing statistical vehicle data using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20160131338A (en) 2015-05-06 2016-11-16 김선범 Real time vehicle statu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nd spreading purchase experience of vehicle buyers
KR20180046220A (en) * 2016-10-27 2018-05-08 지플레인 주식회사 System for diagnosing automobile
KR20180132612A (en) * 2017-03-29 2018-12-12 런치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utomobile remote diagnosis
WO2020135855A1 (en) * 2018-12-29 2020-07-02 深圳市道通科技股份有限公司 Vehicle communication interface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therefor
CN111741042A (en) * 2019-07-19 2020-10-02 四川省派瑞克斯光电科技有限公司 Oil consumption, driving track and safe driving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system
KR20210057262A (en) * 2019-11-11 2021-05-21 주식회사 에스제이 테크 Electronic vehicle diagnostic system connected to smartphone
KR102364026B1 (en) * 2021-01-18 2022-02-18 최무룡 Battery life estim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9006A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device and threeof method
EP3721130B1 (en)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ydrogen fueling and electric charging
US10940830B2 (en) Upgrade kit for an ignition key and methods
KR100646710B1 (en) Telematics system using home network and thereof method
CN102571345B (en) In-vehicle device, vehicle authentication system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US89375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users and managing biometric data thereof in a vehicle
US9002554B2 (en) Smart phone app-based remote vehicle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US85274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nformation relating to a vehicle
BRPI1103445A2 (en) METHOD FOR PROVIDING VEHICLE AND SERVICE MAINTENANCE INFORMATION
TWI410342B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ehicle information
JP6962732B2 (en) Vehicle diagnostic system and adapters used for it, diagnostic terminal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and server device, and vehicle diagnostic method.
JP2009528520A (en) Vehicle diagnosis and vehicle acceptance method
WO2011053357A1 (en) Vehicle access control services and platform
KR20130030583A (en) Remote controlling system for on-board diagnostics(obd) and image recording device in vehicle
EP3011541A1 (en) Module and system for vehicle diagnosis
CN110139243B (en) Vehicle monitoring method, monitoring terminal, vehicle monitoring system and medium
EP4171974B1 (en) Securely pairing a vehicle-mounted wireless sensor with a central device
CN108073118B (en) Vehicle bod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mobile phone APP
KR20130088719A (en) Smart key system for vehicle management
KR101445370B1 (en) Multi black box mounted mdr module
TWM567719U (en) Vehicle condi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KR101209822B1 (en)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ing system of vehicle using mobile
CN103532990A (en) Remote servo driv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70051591A (en) Telematics service quality inspection system
JP3080205U (en) Moving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