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0580A - Nfc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Nfc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0580A
KR20130030580A KR1020110094151A KR20110094151A KR20130030580A KR 20130030580 A KR20130030580 A KR 20130030580A KR 1020110094151 A KR1020110094151 A KR 1020110094151A KR 20110094151 A KR20110094151 A KR 20110094151A KR 20130030580 A KR20130030580 A KR 20130030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c
data
terminal
service
targe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10094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0580A/ko
Priority to US13/612,524 priority patent/US8886160B2/en
Publication of KR2013003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FC 통신을 지원하는 NFC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NFC 단말기 및 NFC 단말기에 NFC 통신으로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NFC 타겟 단말기를 포함하고, NFC 단말기는 제1 NFC 타겟 단말기와 NFC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여 제1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2 NFC 타겟 단말기와 NFC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여 제2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1 데이터를 갱신한다.

Description

NFC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between NFC Terminals}
본 발명은 NFC 통신을 지원하는 NFC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 단말에 NFC 모듈 탑재가 일반화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NFC 통신 기술에서는 휴대 단말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NFC 타겟에서 직접 처리하여 휴대 단말이 응답하게 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20283호 “상점 관리 시스템 및 상점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은 결제카드로부터 획득한 카드정보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단말로 접속하여 결제승인정보를 전달하고,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일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이동단말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이동단말들로 판촉정보, 쿠폰정보, 설문 등의 푸쉬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방식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NFC 타겟에 상품결제 정보와 판촉정보 관련 목록을 제공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NFC 타켓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수의 서버가 필요하며, 상품 및 결제에 관한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20283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NFC 통신을 활용하여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기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할 수 있고, 데이터 동기화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NFC 단말기 및 NFC 단말기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NFC 통신이 가능한 NFC 단말기 및 상기 NFC 단말기와 NFC 통신으로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NFC 타겟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NFC 단말기는 제1 NFC 타겟 단말기와 NFC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서로 송수시하여 제1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NFC 단말기는 제2 NFC 타겟 단말기와 NFC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여 제2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NFC 단말기는 상기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NFC 타겟 단말기는 상기 NFC 단말기에 갱신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상기 NFC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FC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NFC 타겟 단말기와 통신으로 제1 및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데이터 수신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후 입력된 상기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데이터를 생신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입력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갱신된 상기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갱신된 제1 데이터의 서비스 상태 정보 및 가용 시간을 관리하는 서비스 상태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은, NFC 단말기가 제1 NFC 타겟 단말기와 NFC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여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NFC 단말기가 제2 NFC 타겟 단말기와 NFC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하여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NFC 단말기가 상기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데이터를 갱신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NFC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는 상기 NFC 단말기 및 상기 NFC 타겟 단말기의 고유 ID를 저장하는 Device ID와, 서비스 목록 및 내역을 저장하는 Service List와, 제공 서비스의 가용 여부를 저장하는 Service Status를 포함할 수 있다.
NFC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은 NFC 단말기와 다수의 NFC 타셋 단말기 사이의 통신 규약을 통해 특정 프로토 타입의 서비스 관련 정보를 갱신 및 교환함으로써, 별도의 서버 없이도 서비스 제공 이력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갱신되는 서비스 제공 이력을 통하여 NFC 단말기에 기존의 서비스 제공 이력에 대응되는 다음 단계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여 NFC 단말기에 통합적인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NFC 단말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서비스 관련 정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의 구현예로서, 하나의 NFC 단말기가 세 개의 NFC 타겟 단말기와 통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도면 및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의 가능한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위 내용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NFC 단말기(10)와, NFC 타겟 단말기(20, 30, 4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NFC 단말기(10)는 NFC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NFC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이다.
NFC 타겟 단말기(20, 30, 40)는 NFC 단말기(10)와 NFC 통신 및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NFC 디바이스(10)에게 여러가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객체이다. NFC 타겟 단말기(20, 30, 40)는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NFC 타겟 단말기(20, 30, 40)는 지하철의 출입 통로에 설치되는 NFC 통신 방식의 요금 결제 단말기, 아파트나 백화점의 주차장 출입구의 주차 요금 정산소의 결제 단말기 또는 패스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NFC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NFC 단말기(10)와 각 NFC 타겟 단말기(20, 30, 40) 사시에 통신 규약을 통해 특정 프로토 타입의 서비스 관련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별도의 서버 없이도 서비스 제고 이력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음을 그 특징으로 한다.
서비스 제공자가 여럿일 수도 있지만, 단일 서비스 제공자가 NFC 타겟 단말기(20, 30, 40)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NFC 단말기(10)가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각각의 NFC 타겟 단말기(20, 30, 40)와 NFC 통신으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각 서비스 제공 이력은 NFC 단말기(10)에 갱신되면서 서비스 관련 정보도 저장된다.
이하 NFC 단말기(10)의 구조 및 송수신 데이터의 구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NFC 단말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NFC 단말기(10)는 데이터 수신부(12)와, 데이터 처리부(14)와, 데이터 저장부(16)와, 서비스 상태 처리부(18)와, 데이터 전송부(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수신부(11)는 NFC 타겟 단말기로부터 NFC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NFC 타겟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여 제1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타겟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여 제2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제1 및 제2 데이터는 각각의 NFC 타겟 단말기의 단말기 ID 정보,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데이터 처리부(14)는 데이터 수신부(11)에 입력된 제1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후에 입력된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1 데이터를 갱신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4)는 수신한 데이터 내의 서비스 정보 리스트(상품 리스트와 같은 정보를 포함함)를 분석하여 가용 서비스를 확인하고, 가용 서비스 정보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저장부(16)는 데이터 처리부(14)에서 입력된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갱신된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서비스 상태 처리부(18)는 갱신된 제1 데이터의 서비스 상태 정보 및 가용 시간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서비스 상태 처리부(16)는 서비스 데이터 처리부(15)에서 처리된 가용 서비스 정보 내의 서비스 상태(Service Status) 정보 및 서비스 시간 관리(Service Time Management) 정보를 분석하여 가용 서비스 및 서비스 가용 시간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전송부(19)는 데이터 처리부(17)에서 가공된 데이터를 NFC 타겟 단말기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서비스 관련 정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NFC 단말기와 NFC 타겟 단말기는 이하 설명되는 구조의 정보(300)를 상호 송수신한다. 즉, 서비스 관련 정보(300)는, 읽기 쓰기 등의 처리를 위한 명령어가 저장되는 부분인 ‘Cmd(301)’와, 권한의 상태를 나타내는 ‘Flag(303)’와, NFC 단말기 및 NFC 타겟 단말기의 고유 ID를 저장하는 ‘Device ID(305)’와, NFC 타겟 단말기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및 상품의 목록을 저장하는 ‘Service List(307)’와,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가용 여부 및 서비스 가용 시간을 저장하는 ‘Service Status(309)’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NFC 단말기와 NFC 타겟 단말기 NFC 통신을 준비하고 연결한다(401). NFC 통신이 연결되면 NFC 타겟 단말기는 서비스 제공자의 ID와, NFC 타겟 단말기 자신의 ID를 NFC 단말기에 전송하며, NFC 단말기는 자신의 ID 정보를 NFC 타겟 단말기로 전송한다.
다음, NFC 단말기와 NFC 타겟 단말기는 각각 수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파싱 및 분석한다(403). 이때, NFC 타겟 단말기는 NFC 단말기로 서비스 아이템 리스트를 전송한다.
NFC 단말기는 송수신되는 본데이터와 관련된 서비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405).
단계 405에서 제공받을 서비스가 있다고 판단되면(405), 서비스 사용 이력 정보를 갱신하겠는가 사용자에게 요청한다(408). 이때, 서비스 사용 이력 정보를 갱신한다는 의미는 NFC 단말기가 복수의 NFC 타겟 단말기와 계속하여 NFC 통신으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그 전의 서비스 제공에 따른 결과를 반영하여 서비스 관련 정보를 갱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서비스 사용 이력 정보를 갱신하겠다고 한 경우에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갱신하고(409), 제공받을 다른 서비스가 있는가를 판단한다(412). 제공받을 다른 서비스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403으로 돌아가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고, 제공받을 다른 서비스가 없는 경우에는 동작을 종료한다.
단계 408에서 서비스 사용 이력 정보를 갱신하지 않겠다고 선택한 경우에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초기화하고(411), 단계 412로 넘어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의 구현예로서, 하나의 NFC 단말기가 세 개의 NFC 타겟 단말기와 통신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때, NFC 타겟 단말기(20, 30, 40)는 하나의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각 NFC 타겟 단말기(20, 30, 40)는 백화점과 같은 하나의 공간에서 백화점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NFC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NFC 타겟 단말기 B(30)는 백화점의 입구에 위치한 단말기 일수 있으며, NFC 타겟 단말기 A(20)는 백화점 내의 한 매장에서의 결제 단말기 일 수 있으며, NFC 타겟 단말기 C(40)는 백화점 내부에 위치한 특정 서비스 제공 단말기 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차를 타고 백화점에 출입하여 NFC 타겟 단말기 B(30) 근처에 NFC 단말기(10)를 근접시키면, NFC 타겟 단말기 B(30)와 NFC 단말기(10)는 NFC 통신으로 상호 연결된다.
이때, NFC 타겟 단말기 B(30)는 NFC 단말기(10)의 고유 정보를 요청하며(502), NFC 단말기(10)는 자신의 고유 정보를 생성하여(503), ID와 같은 자신의 고유 정보를 NFC 타겟 단말기 B(30)로 전달한다(504).
이를 수신한 NFC 타겟 단말기 B(30)는 NFC 단말기(10)의 고유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고(505), 서비스 관련 정보를 NFC 단말기(10)로 전달한다(506). NFC 단말기(10)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를 제공 받고, 서비스 제공 결과를 반영하여 NFC 단말기 내 서비스 관련 정보를 갱신한다(507).
백화점으로 출입한 사용자는 매장으로 진입하여 특정 매장의 물건을 살 수 있다. NFC 단말기 A(20)는 이 특정 매장의 결제 단말기라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물건을 선택하고 결제하는 경우 사용자의 NFC 단말기(10)를 NFC 타겟 단말기 A(20)에 근접시켜 NFC 통신으로 접속하여 물품 결제 요청을 한다(509).
이를 수신한 NFC 타겟 단말기 A(20)는 상품 정보, 가격, 부가 서비스 등 상품에 대한 결제 처리 및 서비스 정보를 수집하고(510), 이를 NFC 단말기(10)로 전송함으로써 결제를 수행한다(511).
NFC 단말기(10)는 수신된 결제 결과를 반영하여 NFC 단말기(10)내의 서비스 정보를 갱신하고(512), 서비스 정보 갱신이 완료되면 이를 NFC 타겟 단말기 A(20)로 전송한다(513). 이를 수신한 NFC 타겟 단말기 A(20)는 NFC 단말기의 관련 정보를 갱신한다(514).
즉,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제 결과를 반영하여 NFC 단말기(10)는 자신의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 관련 정보를 갱신한다.
사용자가 백화점 내에서 쇼핑을 하다가 NFC 단말기(10)를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때, 백화점 내에는 미리 NFC 타겟 단말기 C(40)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NFC 단말기(10)를 NFC 타겟 단말기 C(40)로 근접시키면, 두 단말기는 NFC 통신으로 상호 접속된다. 이때, NFC 타겟 단말기 C(40)는 현재 NFC 단말기(10)가 사용할 수 있는 NFC 서비스 목록을 전달하여 서비스 사용 여부에 관하여 확인을 요청한다(516).
이를 수신한 NFC 단말기(10)는 수신된 서비스 목록과 NFC 단말기(10) 내의 서비스 목록을 비교하여 가용 서비스를 추출하고(517), NFC 타겟 단말기 C(40)에 특정 서비스에 관하여 서비스를 요청한다(518) 다음, NFC 타겟 단말기 C(40)는 해당 서비스를 검증을 준비하고(519), NFC 단말기(10)로 검증에 필요한 서비스 과련 정보를 요청한다(520).
이에 따라, NFC 단말기(10)는 단말기 내의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521), 서비스 관련 정보를 NFC 타겟 단말기 C(40)에 전달한다(522). NFC 타겟 단말기 C(40)는 전달된 서비스 관련 정보고 제공할 서비스를 검증하여(523), NFC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한다(524).
NFC 단말기(10)는 제공받은 서비스 정보를 자신의 단말기 내에서 초기화하고(525), 초기화 완료 사실을 NFC 타겟 단말기 C(40)에 전송한다(526). NFC 타겟 단말기 C(40)는 이를 수신하여 NFC 단말기(10)의 단말기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527).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이러한 방법으로 별도의 서버 없이도 NFC 단말기(10)에 저장하는 데이터를 갱신함으로써, 복수의 NFC 타겟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주차 서비스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5를 주차 서비스에 이용되는 경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FC 단말기(10)를 가진 사용자가 있다. NFC 타겟 단말기(20, 30, 40)들은 특정 백화점과 같은 장소에 설치된 단말기이다. NFC 타겟 단말기 B(30)는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단말기이며, NFC 타겟 단말기 C(40)는 주차장 출구에 설치된 단말기이며, NFC 타겟 단말기 A(20)는 백화점 내의 매장에 설치된 결제 단말기이다.
사용자가 주차장에 도착하여 NFC 단말기(10)를 가지고 NFC 타겟 단말기B(30)에 근접하면, NFC 타겟 단말기B(30)는 단말기의 고유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IMEI 정보 등)와 상황 정보(예를 들어 현재 날씨, 현재 시간, 현재 위치 정보 등)를 조합하여 NFC 타겟 단말기 B(30)에게 NFC 통신을 이용하여 전달한다.
NFC 타겟 단말기 B(30)는 NFC 단말기(10)의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상품의 목록과 서비스 목록, 기본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또한, NFC 타겟 단말기(30)는 현재 시간 정보와 자신의 단말기 정보를 NFC 단말기(10)에게 넘겨주어 나중에 다른 타겟에서 처리하게 될 서비스(주차, 물품 구매 등)의 증빙 자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다음 사용자는 NFC 단말기(10)를 들고 매장에 가서 물품을 구입하고 NFC 타겟 단말기 A(20)에 근접하여 NFC 통신으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물품을 구입할 때, 즉, NFC를 이용하여 결제 시에는 NFC 타겟 단말기 A(20)는 구입하는 물건의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하는 품목에 따른 서비스(예를 들면, 주차권이나 할인권 등)을 검색하여 NFC 단말기(10)에게 전달한다. 이를 전달받은 NFC 단말기(10)는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의 상태와 목록, 권한 등을 NFC 모듈을 통해 갱신하게 된다.
사용자가 쇼핑을 마치고 백화점을 빠져나가기 위해서는 주차창 출구에서 NFC 타겟 단말기 C(40)를 통과해야 한다. NFC 타겟 단말기 C(40)를 통과하면서 주차와 관련된 비용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매장에서 발급받은 무료 주차권을 사용하면 비용 지불 없이 나갈 수 있다.
즉, NFC 통신으로 NFC 단말기(10)와 NFC 타겟 단말기 C(40)가 접속된 경우, NFC 타겟 단말기 C(40)는 NFC 단말기(10)로부터 부여 받은 주차 시간을 넘겨 받게 되며, 이를 통해 비용을 청구하게 된다.
이때, NFC 단말기(10) 의 내부에서는 갱신된 서비스 목록 및 주차권을 NFC 타겟 단말기C(40)에게 전송하게 된다. NFC 타겟 단말기C(40)는 전달된 주차권을 검증하기 위해서 NFC 단말기(10)의 고유 정보를 요청하게 되며, NFC 단말기(10)에서 고유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검증한다.
이러한 검증을 거치게 되면 NFC 타겟 단말기 C(40)는 사용자에게 무료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며, 사용자의 정보(구매 물품 목록, 도착 시간 및 주차 종료 시간 등)을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되게 된다.
서버는 전송받은 정보를 기초로 같은 사용자가 재방문시 쇼핑 패턴 등을 분석하여 맞춤형 서비스 또한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실적에 따라 할인 등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으로 NFC 단말기간의 정보 교환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NFC 단말기와 다른 NFC 단말기와의 일대일 관계의 한계에서 벗어나 NFC 단말기와 다수의 NFC 타겟 단말기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서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10 : NFC 단말기 12 : 데이터 수신부
14 : 데이터 처리부 14: 데이터 저장부
18: 서비스 상태 처리부 19 : 데이터 전송부
19 : 데이터 전송부 20, 30, 40 : NFC 타겟 단말기

Claims (7)

  1. NFC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NFC 타겟 단말기간 NFC 통신을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NFC 단말기는 제1 NFC 타겟 단말기와 NFC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여 제1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NFC 단말기는 제2 NFC 타겟 단말기와 NFC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여 제2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NFC 단말기는 상기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FC 타겟 단말기는 상기 NFC 단말기에 갱신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상기 NFC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3. NFC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NFC 타겟 단말기간 NFC 통신을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NFC 타겟 단말기와의 통신으로 제1 및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데이터 수신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후 입력된 상기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데이터를 갱신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입력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갱신된 상기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FC 단말기는,
    상기 갱신된 제1 데이터의 서비스 상태 정보 및 가용 시간을 관리하는 서비스 상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는,
    상기 NFC 단말기 및 상기 NFC 타겟 단말기의 고유 ID를 저장하는 Device ID;
    서비스 목록 및 내역을 저장하는 Service List; 및
    제공 서비스의 가용 여부를 저장하는 Service Statu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 단말기.
  6. NFC 단말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NFC 타겟 단말기간 NFC 통신을 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NFC 단말기가 제1 NFC 타겟 단말기와 NFC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여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NFC 단말기가 제2 NFC 타겟 단말기와 NFC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여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NFC 단말기가 상기 제2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데이터를 갱신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NFC 단말기에 저장되는 정보는,
    상기 NFC 단말기 및 상기 NFC 타겟 단말기의 의 고유 ID를 저장하는 Device ID;
    서비스 목록 및 내역을 저장하는 Service List; 및
    제공 서비스의 가용 여부를 저장하는 Service Statu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KR1020110094151A 2011-09-19 2011-09-19 Nfc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0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151A KR20130030580A (ko) 2011-09-19 2011-09-19 Nfc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13/612,524 US8886160B2 (en) 2011-09-19 2012-09-12 System,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151A KR20130030580A (ko) 2011-09-19 2011-09-19 Nfc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580A true KR20130030580A (ko) 2013-03-27

Family

ID=4788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151A KR20130030580A (ko) 2011-09-19 2011-09-19 Nfc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86160B2 (ko)
KR (1) KR201300305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699B1 (ko) * 2013-10-21 2015-03-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Nfc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데이터를 백업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74891B (en) * 2006-01-17 2007-03-01 Benq Corp Systems, methods an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a for battery power management of electronic systems
KR20090120283A (ko) 2008-05-19 2009-11-2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상점 관리 시스템 및 상점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US8583781B2 (en) * 2009-01-28 2013-11-12 Headwater Partners I Llc Simplified service network architecture
US8548428B2 (en) * 2009-01-28 2013-10-01 Headwater Partners I Llc Device group partitions and settlement platform
US20110136429A1 (en) 2009-12-04 2011-06-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ular wireless payment authorization method
GB2519695A (en) * 2012-07-27 2015-04-29 Myine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personal electronic device to wirelessly link remote diagnostic site to a home appliance for troubleshoo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699B1 (ko) * 2013-10-21 2015-03-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Nfc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데이터를 백업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72118A1 (en) 2013-03-21
US8886160B2 (en) 2014-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09800B1 (en) Payment processing access device and method
US8422949B1 (en) Public kiosk provi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services
CN102419846A (zh) 一种基于pos机网络的非接近场支付系统和方法
WO20150661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purchasing fuel
CN104915829A (zh) 基于nfc技术的应用交互方法及装置
KR20140060849A (ko) 카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20130254051A1 (en) Apparatus for issuing receipts and user terminal using the receipts
CN103250170A (zh) 电子交易方法和系统
KR20080041000A (ko) Rfid를 이용한 주문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50120424A1 (en) Mobile point saving system and method
KR101631609B1 (ko) 사용자 자동 인증 전자지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69237A (ko) 다이나믹nfc태그를 이용한 결제방법 및 시스템
KR102224803B1 (ko)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4733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40106323A (ko) 무선단말기와 연동되는 pos시스템
KR20200008495A (ko) Qr 코드와 거래 중개 서버를 이용하여 가맹점 결제단말과 사용자 이동단말간을 연결하는 간편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64872A (ko) 모바일 단말의 위치 기반 결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37833B1 (ko)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30030580A (ko) Nfc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515702B1 (ko) Nfc를 이용한 sns 광고비 정산 장치 및 방법
KR101946330B1 (ko) 보안 응용 모듈 간 공유를 제공하는 결제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19760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온라인 쇼핑몰 서버,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60043878A (ko) 불루투스를이용한결제시스템
KR101685281B1 (ko) 모바일 메신저와 연계한 자동 판매기의 상품 판매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33615A (ko)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