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833B1 -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833B1
KR101837833B1 KR1020160065607A KR20160065607A KR101837833B1 KR 101837833 B1 KR101837833 B1 KR 101837833B1 KR 1020160065607 A KR1020160065607 A KR 1020160065607A KR 20160065607 A KR20160065607 A KR 20160065607A KR 101837833 B1 KR101837833 B1 KR 101837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information
merchant
relay serv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4005A (ko
Inventor
강승구
Original Assignee
강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승구 filed Critical 강승구
Priority to KR1020160065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833B1/ko
Publication of KR20170134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06Q20/02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involving a payment switch or gatew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은, 가맹점 결제 장치에 구비된 비콘 발신 장치로부터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1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제1 비콘 신호에 포함된 가맹점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가맹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 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하여 결제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결제 중계 서버로부터 결제 정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결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비콘 발신 장치를 가맹점 결제 장치에 인접하여 설치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가맹점 내외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어 결제 장소가 자유로울 수 있고, NFC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에 대체 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결제 방식의 호환성을 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FOR ELECTRONIC PAYMENT BY USING BEACON TRANSMITTING DEVICE,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과 결제 중계 서버, 가맹점 결제 장치가 상호 연동하여 전자 결제를 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산업의 발달에 힘입어 이동 통신 단말이 광범위하게 보급되었고, 그와 맞물려 상거래 시장에 있어서도 다양한 결제방식이 도입되었다.
특히, 위와 같이 보급된 이동 통신 단말을 활용한 모바일 결제 방식이 많이 활용되고 있는데, 구글 코퍼레이션의 구글 페이, 애플의 애플 페이 또는 삼성의 삼성 페이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결제 방식은 대부분 NFC(Near Field Communication)라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NFC는 통신 거리가 짧기 때문에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차세대 결제 시스템에 활용 가능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NFC는 소비전력도 우수하고, 설정 시간 또한 보통 0.1초 이내로 매우 짧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기존의 NFC를 이용한 결제 방식은 NFC 기능이 탑재되지 않거나 그 사용이 기기 내부 OS(Operating System) 에서 제한되어 있는 이동 통신 단말(예를 들면, 아이폰)에서는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NFC와 대비하여 다양한 기기들간에 유선 USB(Universal Serial Bus)를 대체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통신하기 위한 목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이 있다.
초기에 블루투스는 NFC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인식 범위를 갖는 반면, 설정시간이 길고, 소비 전력이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가 도입되어 소비 전력이 많이 감소되었고, 비접촉식으로 최대 50m의 원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저전력 블루투스(BLE) 기반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서 주로 언급되는 것이 비콘(beacon) 기반의 통신 기술이다.
비콘 기반의 통신 기술은 소량의 패킷 전송으로 동작이 가능하고 두 기기를 연결시키는 페어링이 불필요하며 저전력으로 통신하기 때문에 NFC 와 비교하여도 그 활용도가 떨어지지 않는다
다만 기존의 비콘 기반의 통신 기술은 결제를 위해 사용되는 예가 드믈고, 결제를 위해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NFC의 근거리 통신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원거리 인식 범위를 갖기 때문에 별도의 보안 조치가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의 전자 결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에서의 결제를 지원하는 결제 중계 서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은, 가맹점 결제 장치에 구비된 비콘 발신 장치로부터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1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제1 비콘 신호에 포함된 가맹점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가맹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 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하여 결제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결제 중계 서버로부터 결제 정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결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결제 정보는, 가맹점 결제 장치에서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품 주문 내역,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 및 가맹점 식별 정보를 기초로 결제 중계 서버에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제 정보는, 가맹점 결제 장치에서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상품 주문 내역,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 및 가맹점 식별 정보를 기초로 가맹점 결제 장치에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비콘 신호는 어플리케이션 설치 유도 URL(Uniform Resource Locater) 정보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은 비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설치 유도 URL로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망은, 이동 통신망일 수 있다.
여기에서, 비콘 발신 장치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하여 제1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비콘 신호의 전송범위는 수 센티미터 내지 수십 센티미터 이내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비콘 신호의 전송범위는 비콘 발신 장치의 안테나 형상, 안테나 임피던스, 전송 파워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제를 완료함에 따라 생성된 결제 승인 정보를 결제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결제 중계 서버로부터 결제 승인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상품 준비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신한 상품 준비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품의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고, 상품 수령이 완료된 경우, 비콘 발신 장치로부터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2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2비콘 신호에 포함된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점 상품 수령 완료 정보를 결제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은, 가맹점 결제 장치에 구비된 비콘 발신 장치로부터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한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비콘 신호에 포함된 가맹점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가맹점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가맹점의 상품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된 상품 정보에 따른 입력에 기초하여 상품 주문 내역을 생성하는 단계, 가맹점 식별 정보, 상품 주문 내역 및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 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하여 결제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결제 중계 서버로부터 결제 정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결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품 정보는, 결제 중계 서버에서 상품 정보를 수신받아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제 정보는, 상품 주문 내역, 가맹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결제 중계 서버에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콘 신호는 어플리케이션 설치 유도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은 비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설치 유도 URL로의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망은, 이동 통신망일 수 있다.
여기에서, 비콘 발신 장치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하여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콘 신호의 전송범위는 수 센티미터 내지 수십 센티미터 이내일 수 있다.
여기에서, 비콘 신호의 전송범위는 비콘 발신 장치의 안테나 형상, 안테나 임피던스, 전송 파워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결제를 지원하고, 비콘 발신 장치가 구비된 가맹점 결제 장치 및 가맹점 결제 장치와 연동하는 결제 중계 서버를 포함하는,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의 결제 방법은, 가맹점 결제 장치가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품 주문 내역을 결제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비콘 발신 장치가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한 비콘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결제 중계 서버가 비콘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맹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결제 중계 서버가 상품 주문 내역, 사용자 정보 및 가맹점 식별 정보를 기초로 결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결제 중계 서버가 결제 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콘 신호의 전송범위는 수 센티미터 내지 수십 센티미터 이내일 수 있다.
여기에서, 비콘 신호의 전송범위는 비콘 발신 장치의 안테나 형상, 안테나 임피던스, 전송 파워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결제를 지원하고, 비콘 발신 장치가 구비된 가맹점 결제 장치 및 가맹점 결제 장치와 연동하는 결제 중계 서버를 포함하는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의 결제 방법은, 비콘 발신 장치가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한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결제 중계 서버가 비콘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결제 정보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결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결제 중계 서버가 결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결제 중계 서버가 비콘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맹점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가맹점의 상품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결제 중계 서버가 상품 정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가맹점의 상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콘 신호의 전송범위는 수 센티미터 내지 수십 센티미터 이내일 수 있다.
여기에서, 비콘 신호의 전송범위는 비콘 발신 장치의 안테나 형상, 안테나 임피던스, 전송 파워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결제를 지원하고, 사용자 단말 및 비콘 발신 장치가 구비된 가맹점 결제 장치와 연동하는 결제 중계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 및 가맹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결제 장치로부터 가맹점 식별 정보를 수신하며, 사용자 단말이나 가맹점 결제 장치로부터 상품 주문 내역을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에 결제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가맹점 식별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상품 주문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가맹점 식별 정보, 상품 주문 내역 및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매칭하여 결제 정보를 생성하는 결제정보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저장부는 가맹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의 상품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초근거리 전송을 통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비콘 발신 장치를 가맹점 결제 장치에 인접하여 설치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가맹점 내외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어 결제 장소가 더 자유로워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NFC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에 대체 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결제 방식의 호환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 현장 주문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 온라인 주문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발신 장치의 전송범위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 결제가 사용자 단말에서 이루어진 이후의 과정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 현장 주문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시퀀스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 온라인 주문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시퀀스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 결제 중계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결제 중계 서버(200), 비콘 발신 장치(400)가 구비된 가맹점 결제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Tablet), 노트북(Notebook), 넷북(Netbook)을 비롯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포함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단말기가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결제 중계 서버(200)는, 예를 들면, 컴퓨터(Computer), 노트북(Notebook), 태블릿(Tablet), 네트워크 서버(Network Server)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무선 통신망과 이동통신망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기기가 해당될 수 있다. 이 경우, 결제 중계 서버(200)는, 상점 자체 결제 시스템 내에서 상점 마일리지, 상점 포인트 등 상점에서 허용하는 지불 수단에 의한 결제 요청을 처리하는 결제 서버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제 중계 서버(200)는 신용 카드등의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중계 서버(200)는 VAN(Value Added Network)의 결제 중계 서비스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맹점 결제 장치(300)는, 예를 들면, 포스 단말기(Point of Sale), 태블릿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맹점 내에서 상품을 관리하거나, 주문, 결제를 진행하는 다양한 결제 관련 기기가 해당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100)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비콘 발신 장치(400)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수신한 비콘 신호를 통해서 비콘 발신 장치(400)가 있는 가맹점을 식별해 낼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결제 중계 서버(200)와 통신하여, 결제에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다른 사용자 단말(100)과 구별될 수 있는, 사용자 정보를 보유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ID(Identification)가 그에 해당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100)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를 비롯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00)이 다른 사용자 단말(100)과 구별될 수 있는 고유의 식별 기호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은 데이터를 결제 중계 서버(200)로 전송시, 이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함께 보낼 수 있고, 그에 따라 결제 중계 서버(200)에서 특정 사용자 단말(100)을 구별할 수 있다.
결제 중계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과 가맹점 결제 장치(300)를 중계하여 상호간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해 주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100)이나 가맹점 결제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전달해 주기도 한다. 결제 중계 서버(200)에 대해서는 도7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가맹점 결제 장치(300)는, 가맹점 내에서 상품 주문을 받아 상품 주문 내역을 생성하거나 결제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상품 준비 상태를 입력받아 사용자 단말(100)에 확인시켜줄 수 있다. 또한 가맹점 결제 장치(300)는 고유의 가맹점 결제 장치(3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비콘 발신 장치(400)의 비콘 신호에 동일하게 포함된 정보로 이용될 수도 있고, 그와 별도로 가맹점 결제 장치(300)를 다른 가맹점 결제 장치(300)와 구별할 수 있는 IP 주소, MAC 주소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콘 신호에 포함된 가맹점 식별 정보와 동일하게 기술하였으나, 반드시 동일하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가맹점 식별 정보와 달리 취급되어, 가맹점 식별 정보와 가맹점 결제 장치(300)의 식별 정보가 상호 매칭된 데이터를 결제 중계 서버(200)가 보유하고, 양자를 확인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가맹점 결제 장치(300)가 결제 중계 서버(200)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에서는 이와 같은 가맹점 결제 장치(300)나 가맹점의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하여 결제 중계 서버(200)에서 다수의 가맹점 결제 장치(300)를 각각 식별할 수 있다.
비콘 발신 장치(4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 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이 이용될 수 있고, 더 자세하게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비콘 발신 장치(400)의 비콘 신호는 일반적으로 1 m에서 50 m까지 전송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NFC의 근거리 태깅을 대체할 수 있도록, 수십 센티미터 이내 더 가능하게는 수 센티미터 이내의 전송범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비콘 발신 장치(400)는 가맹점 결제 장치(300)에 구비된 것으로 기술하고 있으나, 구비되었다는 의미는 넓은 의미로서, 가맹점 결제 장치(300)와 접속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고 내장될 수도 있으며, 가맹점 결제 장치(300)와 독립하여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즉 가맹점 내외의 어느 곳이든 설치될 수 있으며 가맹점 내의 테이블에 설치되어 주문이나 결제를 하는데 활용되거나, 기존의 진동벨을 대체할 수도 있다.
이때, 비콘 신호는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가맹점 식별 정보는, 비콘 발신 장치(400)의 ID, 가맹점의 고유 식별 기호 등이 해당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비콘 발신 장치(400)의 범용 고유 식별자인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비콘 발신 장치(400)의 그룹이나 영역을 나타내는 major 및 min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정보를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가맹점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비콘 신호는 특정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할 수 있는데, UUID 대신에 특정 URL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예를 들면 구글의 에디스톤 URL 패킷 신호) UUID와 특정 URL이 동시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구글의 에디스톤(Eddystone) EID의 경우 상기와 같이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과 결제 중계 서버(2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3G(3Generation),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그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이동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가맹점 결제 장치(300)와 결제 중계 서버(200)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데, 유선 통신망은 xDSL(ADSL, VDSL), PTS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FTTH(Fiber To The Home)가 그 예가 될 수 있고, 무선 통신망은 무선랜(Wireless LAN), 와이브로(Wibro)가 그 예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 현장 주문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고객(이하 사용자)이 가맹점 결제 장치(300) 앞에서 구두로 주문을 하면, 가맹점 점원이 주문 내역을 입력하여 상품 주문 내역이 생성될 수 있다. 그 뒤에 생성된 상품 주문 내역은 결제 중계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비콘 발신 장치(400)의 비콘 신호 전송범위 내에 태그하여, 가맹점 식별 정보를 확인(②)할 수 있고, 결제 중계 서버(200)로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③).
결제 중계 서버(200)는 사용자 정보와 가맹점 식별정보, 상품 주문 내역을 기초로 결제 정보를 생성한 뒤,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④).
사용자 단말(100)이 그에 따라 결제를 완료하면 결제 승인 정보를 결제 중계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고 결제 중계 서버(200)는 다시 가맹점 결제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⑤).
가맹점 결제 장치(300)는 결제 승인 사실을 확인하고, 상품 준비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결제 중계 서버(200)로 전송하면, 결제 중계 서버(200)는 상품 준비 상태 정보를 다시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⑥).
사용자 단말(100)에서 상품 준비가 완료된 사실을 확인하면, 고객은 상품을 수령하고 비콘 발신 장치(400)의 비콘 신호 전송범위 내에 다시 태그하여 상품 수령한 가맹점을 확인하고, 수령 완료 정보를 결제 중계 서버(200)로 전송하고, 결제 중계서버는 다시 가맹점 결제 장치(300)로 전송함으로써 상품 주문부터 수령까지의 과정이 종료될 수 있다(⑦).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 온라인 주문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매장 테이블을 비롯하여 매장 내외의 다양한 장소에 위치한 비콘 발신 장치(400)의 비콘 신호 전송범위 내에 사용자 단말(100)을 태그할 수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실행되어있지 않다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고, 이미 실행중이라면, 비콘 신호로부터 가맹점을 식별하고, 해당 가맹점에 대한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상품 정보를 보고, 고객이 상품을 주문하면, 상품 주문 내역이 생성되어 결제 중계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결제 중계 서버(200)는 그에 따른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다시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를 완료할 수 있다(①).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 승인 정보가 서버를 거쳐, 가맹점 결제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②).
가맹점 결제 장치(300)에서는 결제 승인 사실을 확인하고, 상품 준비 상태 정보를 결제 중계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③).
상품 준비가 완료되면, 상품 준비 완료 사실을 결제 중계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④)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앞서 살펴본 현장 주문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은, 가맹점 결제 장치(300)에 구비된 비콘 발신 장치(400)로부터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1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제1 비콘 신호에 포함된 가맹점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가맹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 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하여 결제 중계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 결제 중계 서버(200)로부터 결제 정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결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결제 정보는, 가맹점 결제 장치(300)에서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품 주문 내역,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 및 가맹점 식별 정보를 기초로 결제 중계 서버(200)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결제 정보는 단순히 특정 사용자가 특정 가맹점에 지불해야하는 액수일 수도 있고, 해당 상품 내역이 포함된 정보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할인 여부가 포함된 정보일 수도 있다. 특히, 결제 정보를 결제 중계 서버(200)에서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이나 가맹점 결제 장치(300)에서 할인등의 행사가 이루어질 때 좀 더 쉽게 업데이트하여 모든 가맹점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결제 정보는, 상기 가맹점 결제 장치(300)에서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상품 주문 내역,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 및 가맹점 식별 정보를 기초로 가맹점 결제 장치(300)에서 생성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사용자 단말(100)에서 직접 생성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비콘 신호는 어플리케이션 설치 유도 URL 정보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100)은 제1 비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설치 유도 URL로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에 비콘 신호는 설치 유도 URL만을 포함하는 패킷과 UUID를 포함하는 패킷이 보통이나, 본 발명은 두 가지 모두를 전달하는 패킷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치 유도 URL을 수신하면, URL을 팝업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사용자가 터치등의 입력을 통해 해당 URL로의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때 해당 URL을 읽는 과정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치 유도 과정은 통상의 기술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은, 이동 통신망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NFC에 의한 결제 방식이 직접 사용자 단말(100)과 가맹점 결제 장치(300)가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반면, 본 발명은 결제 중계 서버(200)를 통하여 결제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제 중계 서버(200)와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결제가 진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콘 발신 장치(400)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통신방식은 저전력으로 최소한의 신호만을 송출하기 때문에 배터리 지속시간이 매우 길어 비콘 발신 장치(400)의 유지 보수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비콘 신호의 전송범위는 수 센티미터 내지 수십 센티미터 이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콘 장치는 최소 1m에서 최대 50m의 전송범위를 갖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십 센티미터 이내나 수 센티미터 이내까지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범위가 축소됨으로 인하여, 일반적인 비콘 관련 기술보다 사용자의 정보가 유출되지 않을 수 있어 보안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전송범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비콘 발신 장치(400)의 안테나 형상 변경, 안테나 임피던스, 전송 파워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송범위를 축소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안테나에 의한 무선 통신은 임피던스 매칭이 되어야 전송범위가 보장될 수 있는데, 임피던스 매칭이란, 전자기파를 생성하는 장치부분(전송측) 여기서는 비콘 발신 장치(400)가 전송측에 해당하고, 안테나는 이를 전달받으므로 수신측에 해당하며, 전송측과 수신측 사이의 임피던스를 서로 같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양자의 임피던스를 같게 조절함으로써 안테나에 최대의 전력이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고, 따라서, 비콘 발신 장치측(즉, 전송측)의 임피던스를 인위적으로 변경하게 된다면, 수신측에서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저하되므로, 결과적으로는 송신 전력이 조절되는 결과가 된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발신 장치(400)의 전송범위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5의 (a)는 기존의 비콘 발신 장치(400)의 모습을 표현한 개념도이고, 도 5의 (b), (c)는 안테나의 형상을 변형하여 비콘 발신 장치(400)의 전송범위를 근거리로 축소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안테나의 형상을 과장하여 표현한 부분이 있으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안테나의 형상을 변형하면, 임피던스가 달라지므로, 전송범위를 근거리로 축소할 수 있고, 그 밖에도, 통상의 기술자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비콘 발신 장치(400)와 안테나의 전압비를 변경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기존의 안테나에는 전압 바룬(Balun)이라는 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데 원칙적으로 이것은 전압비를 조절하여 임피던스를 동일하게 매칭하는데 이용되나, 이를 역으로 이용하면 전압비를 조절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줄이고, 그에 따라 송신 출력을 급감시킬수 있다.
또한, 비콘 발신 장치(400)의 Tx power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줄이는 방식도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 결제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이루어진 이후의 과정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결제를 완료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이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60). 이때 결제 승인 정보는 어느 가맹점에 얼마가 결제 완료되었는지에 대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결제 승인은 별도의 결제 서버 예를 들면 신용카드 서버와 상호 데이터를 주고 받아 이루어진 결과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자세한 서술은 생략한다.
결제 승인 정보를 생성하면 생성된 결제 승인 정보를 결제 중계 서버(200)로 전송(S170)할 수 있다. 결제 중계 서버(200)는 결제 승인 여부를 확인(S180)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가맹점 결제 장치(300)로 결제 승인 정보를 전송(S190)할 수 있다. 가맹점 결제 장치(300)는 결제 사실을 확인하고 상품 준비 상태 정보를 입력받아 생성(S200)하며, 결제 중계 서버(200)를 거쳐(S210) 사용자 단말(100)로 상품 준비 상태 정보를 전송(S220)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품 준비 상태 정보는 주문한 상품의 대기 시간, 대기 순서, 상품 준비 완료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품 준비 상태 정보를 받아 준비 완료 여부를 확인(S230)하고, 상품 준비가 완료되었다면, 비콘 발신 장치(400)로부터 제2 비콘 신호를 전송 받아(S240) 제2 비콘 신호에 포함된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수령 완료 정보를 생성(S250)할 수 있다.
생성한 상품 수령 완료 정보는 결제 중계 서버(200)를 통해(S260) 가맹점 결제 장치(300)로 전송(S270)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한 결제 승인 이후의 과정은 현장 주문에서뿐만 아니라, 온라인 주문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 현장 주문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이를 통해 앞서 설명한 현장 주문에 대한 전체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가맹점 결제 장치(300)가 상품 주문을 입력받아 상품 주문 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S310). 생성된 상품 주문 내역은 결제 중계 서버(200)로 전송(S320)될 수 있으며, 그 후, 사용자 단말(100)이 비콘 발신 장치(400)의 전송범위 내에서 태그되어,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한 비콘 신호를 수신(S330)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비콘 신호에서 가맹점 식별 정보를 확인(S340)하고 결제 중계 서버(200)에 사용자 정보, 가맹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요청(S350)할 수 있다. 결제 중계 서버(200)는 그에 따라 결제 정보를 생성(S360)하고, 생성된 결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S370)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수신받은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완료(S380)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콘 신호의 전송범위는 수 센티미터 내지 수십 센티미터 이내일 수 있으며, 비콘 신호의 전송범위는 상기 비콘 발신 장치(400)의 안테나 형상, 안테나 임피던스, 전송 파워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의 결제 방법에서 온라인 주문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이를 통해 앞서 설명한 온라인 주문에 대한 전체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100)이 비콘 발신 장치(400)에 태그되면,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한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510). 여기에서, 비콘 신호는 어플리케이션 설치 유도 URL 정보를 더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100)은 비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설치 유도 URL로의 접속을 지원할 수 있고 비콘 발신 장치(400)는 저전력 블루투스(BLE)를 이용하여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비콘 신호의 전송범위는 수 센티미터 내지 수십 센티미터 이내일 수 있고, 비콘 발신 장치(400)의 안테나 형상, 안테나 임피던스, 전송 파워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사용자 단말(100)은 비콘 신호에서 가맹점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가맹점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가맹점의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550). 여기에서, 가맹점의 상품 정보는 결제 중계 서버(200)가 보유하거나 가맹점 결제 장치(300)가 보유할 수도 있고,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결제 중계 서버(200)에 가맹점의 상품 정보를 요청(S530)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품 정보를 전송받아 표시(S550)할 수 있다.
표시된 상품 정보에 대하여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주문 내역을 생성(S560)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 가맹점 식별 정보 및 생성한 상품 주문 내역을 결제 중계 서버(200)로 전송하여 결제 정보를 요청(S570)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중계 서버(200)로 요청하는 통신망은 이동통신망일 수 있다.
결제 중계 서버(200)는 상품 주문 내역, 가맹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결제 정보를 생성(S580)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S590)해 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 결제 중계 서버(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결제 중계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 및 가맹점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결제 장치(300)로부터 가맹점 식별 정보를 수신하며, 사용자 단말(100)이나 가맹점 결제 장치(300)로부터 상품 주문 내역을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100)에 결제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210), 가맹점 식별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상품 주문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220) 및 가맹점 식별 정보, 상품 주문 내역 및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를 매칭하여 결제 정보를 생성하는 결제정보생성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의 상품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결제 중계 서버(200)나 가맹점 결제 장치(300)에서 저장될 수 있고, 따라서 결제 중계 서버(200)의 저장부는 가맹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의 상품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결제 중계 서버(200), 비콘 발신 장치(400)가 구비된 가맹점 결제 장치(300)로 그 구성을 구분하였으나 실제 구현에 있어서는 하나 또는 몇 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한 수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기능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로 구성된 장치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200: 결제 중계 서버
210: 통신부 220: 저장부
230: 결제정보생성부 300: 가맹점 결제 장치
400: 비콘 발신 장치

Claims (28)

  1.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에 있어서,
    가맹점 결제 장치에 구비된 비콘 발신 장치로부터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1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비콘 신호에 포함된 가맹점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 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하여 결제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정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결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완료하는 단계;
    결제를 완료함에 따라 생성된 결제 승인 정보를 상기 결제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승인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상품 준비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상품 준비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품의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고, 상품 수령이 완료된 경우,
    상기 비콘 발신 장치로부터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2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비콘 신호에 포함된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점 상품 수령 완료 정보를 상기 결제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결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는,
    상기 가맹점 결제 장치에서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품 주문 내역,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가맹점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제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는,
    상기 가맹점 결제 장치에서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상품 주문 내역,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가맹점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맹점 결제 장치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제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콘 신호는 어플리케이션 설치 유도 URL(Uniform Resource Locater)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비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설치 유도 URL로 접속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제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이동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제 방법.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콘 신호의 전송범위는 상기 비콘 발신 장치의 안테나 형상, 안테나 임피던스, 전송 파워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제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에 있어서,
    가맹점 결제 장치에 구비된 비콘 발신 장치로부터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1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콘 신호에 포함된 가맹점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가맹점의 상품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된 상품 정보에 따른 입력에 기초하여 상품 주문 내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 식별 정보, 상기 상품 주문 내역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 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하여 결제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정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결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완료하는 단계;
    결제를 완료함에 따라 생성된 결제 승인 정보를 상기 결제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승인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상품 준비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상품 준비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품의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고, 상품 수령이 완료된 경우,
    상기 비콘 발신 장치로부터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2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비콘 신호에 포함된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점 상품 수령 완료 정보를 상기 결제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결제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는,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서 상기 상품 정보를 수신받아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제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는,
    상기 상품 주문 내역, 상기 가맹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결제 중계 서버에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제 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콘 신호는 어플리케이션 설치 유도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비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설치 유도 URL로의 접속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제 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이동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제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콘 신호의 전송범위는 상기 비콘 발신 장치의 안테나 형상, 안테나 임피던스, 전송 파워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제 방법.
  20. 사용자 단말에서의 결제를 지원하고, 비콘 발신 장치가 구비된 가맹점 결제 장치 및 상기 가맹점 결제 장치와 연동하는 결제 중계 서버를 포함하는,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의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결제 장치가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품 주문 내역을 상기 결제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콘 발신 장치가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1 비콘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제1 비콘 신호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맹점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상품 주문 내역,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가맹점 식별 정보를 기초로 결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 승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가맹점 결제 장치로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수신한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품 준비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상품 준비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품 준비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품의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고, 상품 수령이 완료된 경우,
    상기 비콘 발신 장치가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2 비콘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제2 비콘 신호에 포함된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점 상품 수령 완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의 결제 방법.
  21. 삭제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콘 신호의 전송범위는 상기 비콘 발신 장치의 안테나 형상, 안테나 임피던스, 전송 파워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제 방법.
  23. 사용자 단말에서의 결제를 지원하고, 비콘 발신 장치가 구비된 가맹점 결제 장치 및 상기 가맹점 결제 장치와 연동하는 결제 중계 서버를 포함하는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의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콘 발신 장치가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1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제1 비콘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결제 정보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결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 승인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가맹점 결제 장치로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승인 정보를 수신한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품 준비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결제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상품 준비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품 준비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품의 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고, 상품 수령이 완료된 경우,
    상기 비콘 발신 장치가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제2 비콘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제2 비콘 신호에 포함된 가맹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점 상품 수령 완료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의 결제 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제1 비콘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가맹점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가맹점의 상품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상품 정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가맹점의 상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제 시스템에서의 결제 방법.
  25. 삭제
  26.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콘 신호의 전송범위는 상기 비콘 발신 장치의 안테나 형상, 안테나 임피던스, 전송 파워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결제 방법.
  27. 삭제
  28. 삭제
KR1020160065607A 2016-05-27 2016-05-27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837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607A KR101837833B1 (ko) 2016-05-27 2016-05-27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607A KR101837833B1 (ko) 2016-05-27 2016-05-27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005A KR20170134005A (ko) 2017-12-06
KR101837833B1 true KR101837833B1 (ko) 2018-03-13

Family

ID=6092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607A KR101837833B1 (ko) 2016-05-27 2016-05-27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8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3928A (ko) 2020-07-02 2022-01-11 주식회사 스텔스솔루션 비콘을 이용한 고객관리 및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406535B1 (ko) * 2021-11-09 2022-06-08 (주)한우리아이티 비콘에 기반하여 인증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266B1 (ko) * 2015-06-04 2016-03-04 디에이치이노시스 주식회사 현금 영수증 발급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266B1 (ko) * 2015-06-04 2016-03-04 디에이치이노시스 주식회사 현금 영수증 발급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005A (ko) 201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2949B1 (en) Public kiosk provi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services
KR101110778B1 (ko) 블루투스 통신 방법 및 시스템
TWI610256B (zh) 在非接觸式銷售據點終端機的行動錢包偵測技術
JP6101366B2 (ja) 支払認証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00257067A1 (en) Remote web service appliance for point of sale actions
WO2017185367A1 (zh) 一种交易应用的选择方法和终端
CN111656380B (zh) 用于在进行电子钱包支付时支持具有增强的安全方法的自动Wi-Fi连接的电子装置和方法
JP6471928B2 (ja) 電子棚札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方法
CN102483821A (zh) 安全警报系统以及方法
US20210398138A1 (en) Computerized optimization of customer service queue based on customer device detection
CN104123643A (zh) 基于nfc的支付方法和系统
WO2015025353A1 (ja) 携帯装置、携帯装置の制御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US20220005019A1 (en) Electronic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KR20080041000A (ko) Rfid를 이용한 주문 방법 및 그 시스템
Ali et al. Secure mobile communication in m-payment system using NFC technology
WO2023221528A1 (zh) 支付方法、装置、设备、介质及产品
KR101837833B1 (ko) 비콘 발신 장치를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807409B1 (ko) 근거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자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69237A (ko) 다이나믹nfc태그를 이용한 결제방법 및 시스템
KR20170034733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3036950A (zh) 服务转发器
EP3679458A1 (en) Keyboard input emulation
KR102580848B1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20075578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신용 결제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KR20120007434A (ko) 결제처리서버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