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5504A - Diagnostic Equipment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 - Google Patents

Diagnostic Equipment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5504A
KR20120085504A KR1020110006865A KR20110006865A KR20120085504A KR 20120085504 A KR20120085504 A KR 20120085504A KR 1020110006865 A KR1020110006865 A KR 1020110006865A KR 20110006865 A KR20110006865 A KR 20110006865A KR 20120085504 A KR20120085504 A KR 20120085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enhancer
magnetic
magnetoresistive sensor
diagnost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8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충완
박종원
강구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to KR1020110006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5504A/en
Publication of KR20120085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50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4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rangible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2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e.g. rods, le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PURPOSE: A diagnosing device using a magnetoresistance sensor is provided to rapidly and simply analyze even though the concentration of an object is low and to obtain a result with high sensitivity. CONSTITUTION: A diagnosing device(10) using a magnetoresistance sensor(200) comprises a holder(310) and an enhancer(320). The holder fixes a specimen accommodating unit(430). The enhancer comprises a magnetic substance for amplifying magnetic signals. The specimen accommodating unit comprises a detection area and accommodates a specimen(410) joined with magnetic particles.

Description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Diagnostic Equipment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Diagnostic equipment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

본 발명은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인핸서가 구비된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gnostic apparatus using a magnetoresistive sensor having an enhancer for amplifying an output signal.

액체샘플, 예를 들면 요 또는 혈액시료에서 단일 또는 복수의 물질의 존재를 검사 또는 조사하는 장치를 진단키트 또는 측정카트리지라 한다. 구체적으로는 현대의 진단 사업 분야는 현장검사(Point-Of-Care Testing: POCT) 하나로 통합되고 있다. POCT는 중앙화된 검사실 외에서 이루어지는 검사로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사용이 가능한 장비를 말한다. 현재에는 병원에서 현장 및 개인으로 진단 영역이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A device for testing or examining the presence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substances in a liquid sample, such as a urine or blood sample, is called a diagnostic kit or measuring cartridge. Specifically, the modern diagnostic business is being integrated into one point-of-care testing (POCT). POCT is a test that takes place outside the centralized laboratory and is available to the general public without expertise. Currently, the diagnosis area is expanding from the hospital to the field and the individual.

이러한 진단키트를 이용하여 일정한 진단을 수행하는 의료기기 또는 측정기기는 전기화학식 혈액분석기나 광학식 혈액분석기, 자기장측정방식의 측정기기 등이 있으며, 전기화학식 혈액분석기는 측정카트리지로부터의 전압, 전류, 저항 값을 도출해 이를 측정에 이용하는 원리로 구동되며, 광학식 혈액분석기는 측정 카트리지 시험선(Test Line)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 획득 이미지의 픽셀강도(Pixel Intensity)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구동되게 된다. Medical devices or measuring devices that perform a certain diagnosis using such a diagnostic kit include an electrochemical blood analyzer, an optical blood analyzer, and a magnetic field measuring device. An electrochemical blood analyzer includes voltage, current, and resistance from a measurement cartridge. It is driven by the principle of deriving the value and using it for the measurement, and the optical hematology analyzer is driven by acquiring an image of the test cartridge test line and measuring the pixel intensity of the acquired image.

도 1은 자기저항센서의 측정 또는 센싱(sensing) 원리를 설명한 개념도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자기저항센서 중 거대자기저항(GMR; Giant Magneto Resistance)를 이용한 센싱 원리를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스핀 밸브 타입(Spin-valve type) GMR(Giant Magneto Resistance) 디바이스를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저항센서는 두 개의 강자성체 금속층 사이에 비자성 금속층이 끼어 있는 형태로 첫 번째 층의 강자성층 금속층의 자력은 고정되어 있고, 두 번째 층의 강자성체의 자력을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첫 번째 층과 자력이 평행할 경우 오직 특정방향으로 스핀이 배향된 전자만이 도체를 통과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즉, 두 강자성층의 자화 방향의 정렬에 따라 재료 내부에서 유도되는 전기저항의 차이, 또는 전위차가 발생하고 이것을 디지털 신호로 인식하게 된다. 층간 물질이 도체인 경우가 바로 GMR 디바이스에 해당된다. 이러한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는 측면 유동 멤브레인(lateral flow membrane)에 축적된 자성입자를 거대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고감도의 현장검사 기기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measuring or sensing a magnetoresistive sensor.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ensing principle using a giant magneto resistance (GMR) of the magnetoresistive senso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is shows a spin-valve type Giant Magneto Resistance (GMR) device. As shown, the magnetoresistive sensor has a nonmagnetic metal layer sandwiched between two ferromagnetic metal layers. The magnetic force of the ferromagnetic metal layer of the first layer is fixed, and the magnetic force of the ferromagnetic material of the second layer is variably adjusted. When the first layer and the magnetic force are parallel, the principle that only electrons spin-oriented in a specific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conductor. That is, according to the alignment of the magnetization directions of the two ferromagnetic layers, a difference in electrical resistance, or a potential difference, induced inside the material is generated and recognized as a digital signal. The case where an interlayer material is a conductor corresponds to a GMR device. The diagnostic device using the magnetoresistive sensor is a high-sensitivity field inspection device capable of quantitatively measuring the magnetic particles accumulated in the lateral flow membrane using a giant magnetoresistive sensor.

하지만 이와 같은 자기저항센서를 사용하는 진단기기의 경우, 축적된 자성입자에 의한 센서의 출력신호가 센서 자체의 잡음 혹은 진단기기 회로의 기본 잡음보다 작은 경우 측정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검체가 저농도 샘플인 경우 측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diagnostic device using such a magnetoresistive sens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asurement is not properly performed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sensor by the accumulated magnetic particles is smaller than the noise of the sensor itself or the basic noise of the diagnostic device circuit. Accordingly, when the sample is a low concentration sample, it is difficult to measur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기신호 증폭을 위한 자성체가 구비된 인핸서를 진단기기의 홀더에 결합시킨 진단기기를 제공하여, 진단기기로 검체의 출력신호 측정시 증폭된 출력신호가 측정되도록 함으로써, 검체가 저농도 샘플인 경우에도 정량적인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diagnostic device coupled to the holder of the diagnostic device with an enhancer having a magnetic material for amplifying the magnetic signal, the amplified output when measu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ample with the diagnostic device By measuring the signal, the object is to enable quantitative measurement even when the sample is a low concentration sampl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는, 검체수용부를 고정하는 홀더; 자기신호 증폭을 위한 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인핸서;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검체수용부는 검출영역이 구비되어 자성입자와 결합한 검체를 수용할 수 있다.Diagnostic apparatus using a magnetoresistiv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holder for fixing the sample receiving portion; An enhancer having a magnetic material for amplifying a magnetic signal and coupled to the hold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sampl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detection area can accommodate the sample combined with the magnetic particles.

본 발명의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에 있어서, 상기 인핸서는, 필름에 상기 자성체를 일정두께로 증착시킨 후 에칭을 통해 형성된 자기신호증폭라인; 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iagnostic device using a magnetoresistiv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hancer includes: a magnetic signal amplification line formed by etching after depositing the magnetic material on a film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 ≪ / RTI >

또한, 상기 자성체는 Fe, Mn, Ni, Co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gnetic material may include one or more of Fe, Mn, Ni, Co.

또한 상기 인핸서는, 상기 홀더의 상측면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hancer may be attached to an upper side of the holder.

더불어 상기 인핸서는, 상기 홀더의 상부면에 부착되되, 상기 홀더에 상기 검체수용부가 고정되는 경우 상기 검출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자기신호증폭라인이 위치하도록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hancer may be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holder, and may be formed such that the magnetic signal amplification line is position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area when the specimen receiving part is fixed to the holder.

본 발명의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에 있어서 상기 인핸서는, 상기 홀더의 상부면에 상기 자성체를 일정두께로 증착시킨 후 에칭을 통해 형성된 자기신호증폭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diagnostic device using the magnetoresistiv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hancer may include a magnetic signal amplification line formed by etching after depositing the magnetic material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이때 상기 자기신호증폭라인은, 상기 홀더에 상기 검체수용부가 고정되는 경우에 상기 검출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홀더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gnetic signal amplification line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lder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area when the specimen accommodating part is fixed to the holder.

본 발명의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에 있어서, 상기 인핸서는, 관형 통로가 형성된 모세관튜브; 상기 모세관튜브에 충진되는 상기 자성체가 첨가된 자기경화충진물; 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iagnostic device using a magnetoresistiv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hancer includes: a capillary tube having a tubular passage; Self-curing filler is added to the magnetic material is filled in the capillary tube; . ≪ / RTI >

또한 상기 자기경화충진물은, 상기 자성체가 첨가된 자외선경화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lf-curing filler may include an ultraviolet curing filler to which the magnetic body is added.

더불어 상기 자기경화충진물은, Poly (Ethylene Glycol)-Diacrylate (PEG-DA) 와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lf-curing filler may include Poly (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and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또한 상기 모세관튜브는 양 말단이 밀봉재로 밀봉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pillary tube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are sealed with a sealing material.

또한 본 발명의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자성입자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iagnostic device using a magnetoresistiv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body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gnetic particles.

또한 본 발명의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에 있어서, 상기 인핸서는, 상기 홀더에 상기 검체수용부가 고정되는 경우, 상기 검출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홀더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iagnostic device using the magnetoresistiv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hancer may be formed by being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area, when the specimen receiving portion is fixed to the holder.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인핸서를 삽입할 공간이 구비된 인핸서삽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핸서는 상기 인핸서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와 결합할 수 있다.The holder may further include an enhancer insert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lder and provided with a space for inserting the enhancer; Includes, the enhancer may be inserted into the enhancer inserting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holder.

이때 상기 인핸서삽입부는, 상기 홀더에 상기 검체수용부가 고정되는 경우, 상기 검출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홀더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nhancer inserting portion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lder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area when the specimen receiving portion is fixed to the holder.

본 발명의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에 있어서, 상기 검체에 외부자기장을 인가하는 외부자기장 인가장치; 상기 외부자기장에 따른 상기 검체의 자기적 성분을 검출하는 자기저항센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diagnostic device using a magnetoresistiv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n external magnetic field applying device for applying an external magnetic field to the specimen; A magnetoresistive sensor for detecting a magnetic component of the sample according to the external magnetic field;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외부자기장 인가장치는 솔레노이드 코일, 헬름홀츠(Helmholtz) 코일, 전자석 요크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xternal magnetic field applying device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solenoid coil, a Helmholtz coil, and an electromagnetic yoke.

또한 상기 자기저항센서는 적어도 1 이상의 거대자기저항(GMR)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gnetoresistive sensor may also include at least one large magnetoresistive (GMR) device.

본 발명은 자기신호를 증폭하는 인핸서를 진단기기의 홀더와 결합시킨 진단기기를 제공함으로써, 검체의 농도가 저농도인 경우에도 현장 진단에서 요구되는 신속하고 간편한 분석이 가능하고 민감도를 향상시킨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agnostic device in which an enhancer for amplifying a magnetic signal is combined with a holder of a diagnostic device, so that even if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is low, quick and simple analysis required in the field diagnosis can be obtained and the sensitivity can be improved. It can be effective.

본 발명은 검체의 출력신호를 증폭함으로써 센서 자체의 잡음 또는 진단기기 회로의 기본잡음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민감도가 향상되고 정량분석이 가능한 새로운 진단기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new diagnostic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sensitivity and quantitative analysis even when the noise of the sensor itself or the basic noise of the diagnostic device circuit occurs by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ample.

본 발명은 진단기기의 홀더에 인핸서를 결합시킴으로써, 진단기기의 복잡한 개조 또는 변형 없이도 민감도가 향상된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an enhancer with a holder of a diagnostic device, it is possible to obtain a measurement result with improved sensitivity without complicated modification or modification of the diagnostic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진단기기의 홀더에 인핸서를 결합시킴으로써, 인핸서의 자성체 위치가 검체의 출력신호 측정시마다 변하지 않고 고정되어 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enhancer to the holder of the diagnostic device,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of the enhancer is fixed does not change every time the output signal of the sample is measured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measurement error.

도 1은 자기저항센서의 측정 원리를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성입자의 자기신호 증폭 원리를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기기의 외부형상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의 진단기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홀더에 검체수용부가 결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모세관 튜브형태의 인핸서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기기로 검체의 출력신호를 측정하는 작용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인핸서의 유무에 따른 검체의 출력신호 측정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asuring principle of a magnetoresistive sensor.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magnetic signal amplification of magnetic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external shape of the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iagnostic device of FIG. 3.
Figure 6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ample receiv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holder of FIG.
7 to 9 show a holder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nhancer in the form of a capillary tube of FIG. 9.
11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measu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ample with the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graphs showing the output signal measurement value of the specimen with or without the enhanc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following terms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aning of each term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성입자의 자기신호 증폭 원리를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자성입자에 외부자기장을 인가하면 도 2 (a)의 점선부분과 같이 자기장이 형성되게 된다. 자기저항센서는 이 자성입자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을 측정하게 되며, 자기저항센서의 감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자성입자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크게 해야 한다.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magnetic signal amplification of magnetic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in general, when an external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the magnetic particles, a magnetic field is formed as in the dotted line of FIG. The magnetoresistive sensor measures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magnetic particles,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sensitivity of the magnetoresistive sensor,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magnetic particles must be increased.

자기장의 세기를 크게 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도 2 (b)의 경우처럼 자성입자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성체를 배치하고, 외부에서 자기장을 인가하면 자성입자에서 생기는 자기장과 자성체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이 합쳐지게 되어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증폭이 된다. 이처럼 자성입자 주변에 항상 동일한 자기장을 형성시킬 수 있는 자성체를 배치하게 되면 자성입자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을 증폭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고, 자기저항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진단기기의 감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된다. 이에 따라 검체가 저농도 샘플이어서 검출영역에 자성입자의 양이 적게 분포되어 있을 경우에도 정량적이고 정확도 높은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As one of methods for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the following method w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s shown in (b) of FIG. 2, when a magnetic body forming a magnetic field is disposed around the magnetic particles, and a magnetic field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the magnetic particles and the magnetic field formed in the magnetic body are combined to form an overall magnetic field strength. It is amplified. As such, when a magnetic body capable of always forming the same magnetic field around the magnetic particles has an effect of amplifying the magnetic field formed in the magnetic particles, the sensitivity of the magnetoresistive sensor is improved. As a result, the sensitivity of the diagnostic device is improved. It is a way to improve. Accordingly, even when the sample is a low concentration sample and the amount of magnetic particles is distributed in the detection region, quantitative and accurate measurement is possibl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 개념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단기기(10)는 검체수용부(430)를 고정하는 홀더(310), 자기신호 증폭을 위한 자성체가 구비되고 홀더(310)에 결합되는 인핸서(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진단기기(10)는 검체(410)에 외부자기장을 인가하는 외부자기장 인가장치(100), 외부자기장에 따른 검체(410)의 자기적 성분을 검출하는 자기저항센서(200), 진단기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3, the diagnostic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er 310 for fixing a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and an enhancer 320 provided with a magnetic material for amplifying a magnetic signal and coupled to the holder 3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In addition, the diagnostic device 10 includes an external magnetic field applying device 100 for applying an external magnetic field to the sample 410, a magnetoresistive sensor 200 for detecting magnetic components of the sample 410 according to the external magnetic field, and a diagnostic devic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500 further includes an overall control.

여기서 검체수용부(430)는 검출영역이 구비되어 자성입자와 결합한 검체(410)를 수용한다. 검체수용부(430)는 그 형태가 진단키트(측정 카트리지) 또는 멤브레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검출영역이 구비되고 검체(410)를 수용할 수 있는 모든 수용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Here,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is provided with a detection area to accommodate the sample 410 coupled with the magnetic particles.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may be a diagnostic kit (measurement cartridge) or a membra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may include all accommodating parts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sample 410.

외부자기장 인가장치(100)는 자성입자와 결합한 검체(430)에 외부자기장을 인가하여 자기저항센서(200)에서 검체(430)에 대한 자기신호를 감지하여 전기적 성분으로 분리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외부자기장 인가장치(100)는 솔레노이드 코일, 헬름홀츠(Helmholtz) 코일, 전자석 요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성입자는 10~100emu/g의 자화값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성입자는 그 특성이 초상자성(superparamagnetism) 또는 상자성(paramagnetism)을 가질 수 있다.The external magnetic field applying device 100 applies an external magnetic field to the sample 430 coupled with the magnetic particles to detect the magnetic signal for the sample 430 in the magnetoresistive sensor 200 so as to separate and analyze it as an electrical component. . The external magnetic field apply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olenoid coil, a Helmholtz coil, and an electromagnetic yoke. Here, the magnetic particles may have a magnetization value of 10 to 100 emu / g, in which case the magnetic particles may have superparamagnetism or paramagnetism.

자기저항센서(200)는 외부자기장 인가장치(100)에 의하여 외부자기장이 인가된 검체(430)의 자기적 성분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자기저항센서(200)는 정상자기저항(Ortrinary Magnetoresistance, OMR)센서, 이방성 자기저항(Anisotropic Magnetoresistance, AMR)센서, 거대자기저항(giant Magnetoresistance, GMR)센서, 초거대자기저항(Colossal Magnetoresistance, CMR)센서, 터널링자기저항(Tunnelling Magnetoresistance, TMR)센서, MJT (Magnetic Tunneling Junction)센서, 평면홀저항(Planar Hall Resistance)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거대자기저항(Giant Magnetoresistance, GMR)센서를 활용할 수 있다.The magnetoresistive sensor 200 detects a magnetic component of the sample 430 to which the external magnetic field is applied by the external magnetic field applying device 100. The magnetoresistive senso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ormal magnetoresistance (OMR) sensor, anisotropic magnetoresistance (AMR) sensor, a giant magnetoresistance (GMR) sensor, and a colossal magnetoresistance (Colossal Magnetoresistance) , CMR) sensor, Tunneling Magnetoresistance (TMR) sensor, MJT (Magnetic Tunneling Junction) sensor, Planar Hall Resistance (Planar Hall Resistance) sensor is preferably used any one selected from. Particularly preferably, a giant magnetoresistance (GMR) sensor may be used.

홀더(310)는 검체수용부(430)를 고정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검체수용부(430)를 삽입등의 방법으로 탈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검체수용부(430)를 고정할 수 있는 모든 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Holder 31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for fixing the sample receiving portion 430, it is preferable that the sample receiving portion 43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removable by inserting or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ll structures capable of fixing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인핸서(320)는 외부자기장이 인가되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홀더(310)와 결합된다. 인핸서(320)의 형태는 필름형태, 금속박막형태, 모세관튜브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enhancer 320 includes a magnetic body that forms a magnetic field when an external magnetic field is applied thereto, and is coupled to the holder 310. The shape of the enhancer 320 may have a film form, a metal thin film form, a capillary tube form,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검체수용부(430)가 고정되고 인핸서(320)가 결합되는 홀더(310)는 보다 효율적인 측정을 위해 외부자기장 인가장치(100)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역으로 이송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홀더(310)를 자기저항센서(200)의 하부로 수평이동을 수행하거나, 수평이동 후 자기저항센서(200)가 고감도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하이동을 수행하는 구동모듈(300)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진단기기(10)는 구동모듈(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홀더(310)는 구동모듈(300)의 일부분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Meanwhile, the holder 310 in which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is fixed and the enhancer 320 is coupled needs to be transferred to an area of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external magnetic field applying device 100 for more efficient measurement. A drive module 300 is required to perform horizontal movement of the holder 31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gnetoresistive sensor 200 or to perform shanghai movement so that the magnetoresistive sensor 200 can measure with high sensitivity after horizontal movement. Done. In this case, the diagnostic device 10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rive module 300, the holder 310 may be part of the drive module 3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500)는 진단기기(1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자기장 인가장치(100)의 동작, 구동모듈(300)의 동작, 자기저항센서(200)로 감지한 자기신호의 분석 등 전반적인 진단기기(1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agnostic apparatus 10 as a whole and may include a processor for performing such an operation. For example, the overall function of the diagnostic apparatus 10 may be controlled, such as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magnetic field applying device 100,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dule 300, and the analysis of the magnetic signal detected by the magnetoresistive sensor 200.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기기의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n embodiment of a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기기의 외부형상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검체수용부(430), 이를테면 진단키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홀더(310)의 일단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검출완료 후의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D)와 결과를 프린팅할 수 있는 프린팅부(P)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진단기기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케이스부(C)를 더 포함할 수 있다.Figure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external shape of the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3 and 4, one end of the holder 310 may protrude to the outside to insert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for example, a diagnostic kit, and may display a result after completion of detection. D) and a printing unit P for printing the result may be further provided. It may also include a case portion (C)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diagnostic device.

여기서 디스플레이부(D)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액정 등의 표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현수단이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입력장치와 표현장치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The display unit D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nd the like. 3D display may include expression means such as liquid crystal. When such a representation means consists of a touch screen, it functions simultaneously as an input device and a representation device.

또한 프린팅부(P)는 도트 매트릭스방식, 잉크젯방식, 레이저방식, 염료승화형 열전사방식 등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기술발전에 따라 구현 가능한 모든 방식으로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inting unit P may perform printing in any manner currently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such as a dot matrix method, an inkjet method, a laser method, and a dye sublimation method, or may be implemented according to future technological developments.

도 5는 도 4의 진단기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FIG. 5 illustrate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iagnostic device of FIG. 4.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홀더(310)에는 인핸서(도면 미도시)가 결합되어 있다. 인핸서가 결합된 홀더(310)의 내부로 검체수용부(430)가 삽입되면, 제어부(500)에서는 외부자기장 인가장치(100)의 하부에 자기장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검체수용부(430)를 수평이동(R3방향으로 왕복이동)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수평이동은 구동모듈(300)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구동모듈(300)은 홀더(310)를 수평이동 할 수 있도록 하는 벨트와 같은 이송유닛(330)으로 X축 구동모터(340)의 구동력(R1방향으로 회전)을 받아 외부자기장 인가장치(100)의 하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홀더(310)는 가이드레일(35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3 to 5, an enhancer (not shown) is coupled to the holder 310. When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310 to which the enhancer is coupled, the control part 500 horizontally holds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as an area in which a magnetic field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rnal magnetic field applying device 100. It can be moved (reciprocating in the R3 direction). This horizontal movement may be driven by the drive module 300, the drive module 300 of the X-axis drive motor 340 to the transfer unit 330, such as a belt to move the holder 310 horizontally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rotation in the R1 direction) to be transported to the lower side of the external magnetic field applying device (100). At this time, the holder 310 is moved along the guide rail 350.

구동모듈(300)의 구동으로 외부자기장 인가장치(100)의 하부에 형성된 영역의 공간에 홀더(310)가 도착하면, 제어부(500)에서는 구동모듈(300)을 구동하여 자기저항센서(200)를 상하로 이동(R2방향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유닛(360)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Z축 구동모터(370)을 구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자기저항센서(200)는 지지유닛(360)의 말단에 부착되어 있다.When the holder 310 arrives in a space of an area formed under the external magnetic field applying device 100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dule 300, the control unit 500 drives the driving module 300 to drive the magnetoresistive sensor 200. It drives the Z-axis drive motor 370 to move up and down the support unit 360 to move up and down (up and down in the R2 direction). Here, the magnetoresistive sensor 200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support unit 360.

지지유닛(360)에 의해 하강하는 자기저항센서(200)는 홀더(310)에 장착되어 고정된 검체수용부(430)의 상부에 정지하여 자기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측정되는 자기신호는 인핸서에 의해 증폭된 자기신호이며, 이에 따라 검체(410)가 저농도 샘플인 경우에도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The magnetoresistive sensor 200 descending by the support unit 360 is mounted on the holder 310 to stop on the fixed sample receiving portion 430 to measure the magnetic signal. In this case, the measured magnetic signal is a magnetic signal amplified by the enhancer, and thus, even when the sample 410 is a low concentration sample, more accurate measurement is possible.

한편 보다 정확한 검출을 위해서는 홀더(310)를 제어부(500)를 통해 제어하여 자기저항센서(200)의 측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운동시켜 변화되는 전기신호의 최대값을 측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측정되는 전기신호의 최대값은 역시 인핸서에 의해 증폭된 값이다. 이후 측정된 검체(410)의 자기신호는 제어부(500)로 보내지고, 이후 디스플레이부(D)를 통해 결과값이 도출되게 된다. 또한 프린팅부(P)를 통해 도출된 결과값을 프린팅 할 수도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for more accurate detection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holder 310 through the control unit 500 to measure the maximum value of the electric signal that is changed by reciprocat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easurement direction of the magnetoresistive sensor 200. The maximum value of the electrical signal measured at this time is again amplified by the enhancer. Then, the measured magnetic signal of the sample 410 is sent to the control unit 500, and then the result value is derived through the display unit (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int the result value derived through the printing unit (P).

도 6은 도 5의 홀더에 검체수용부가 결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6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ample receiv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holder of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핸서(320)는 홀더(31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인핸서(320)는 필름형태, 홀더(310)의 상부면에 직접 증착된 금속박막형태, 모세관 튜브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외부자기장에 대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있으면 그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고 할 것이다. 여기서 자성체는 Fe, Ni, Mn, Co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Ni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외부자기장에 대하여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모든 물질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5 and 6, as illustrated in FIG. 6A, the enhancer 32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310. In this case, the enhancer 320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film form, a metal thin film deposited direct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310, and a capillary tube form,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agnetic material may be a magnetic material that generates a magnetic field with respect to an external magnetic field. If it does, there is no limit to the form. The magnetic material may include one or more of Fe, Ni, Mn, and Co. Preferably, the magnetic material may include Ni,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agnetic material may include any material that forms a magnetic field with respect to an external magnetic field. Should be interpreted.

이후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310)에 검체수용부(430)가 결합되며, 이때 인핸서(320)는 검체수용부(430)의 검출영역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체수용부(430)가 장착된 홀더(310)는 가이드레일(350)을 따라 진단기기의 내측방향(R3방향), 예컨대 외부자기장 인가장치의 하부로 이송되어 자기저항센서에 의해 검체의 자기신호를 측정하게 된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6B,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is coupled to the holder 310, and the enhancer 320 is positioned below the detection area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Thereafter, as shown in FIG. 6C, the holder 310 in which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is mounted has an inner direction (R3 direction) of the diagnostic device along the guide rail 350, for example, a lower portion of the external magnetic field applying device. The magnetic resistance of the sample is measured by the magnetoresistive sensor.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도시한 것이다.7 shows a hol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인핸서(321)는 필름에 자성체를 일정두께로 증착시킨 후 에칭을 통해 형성된 자기신호증폭라인(3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hancer 321 may include a magnetic signal amplification line 323 formed by etching a magnetic material on a film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여기서 자성체는 Fe, Ni, Mn, Co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Ni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외부자기장에 대하여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모든 물질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magnetic material may include one or more of Fe, Ni, Mn, and Co. Preferably, the magnetic material may include Ni,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agnetic material may include any material that forms a magnetic field with respect to an external magnetic field. Should be interpreted.

필름은 자성체를 증착 및 에칭 가능한 모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름 자체는 외부자기장에 대하여 자기장을 형성하지 않는 비자성 물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자성체 증착공정 및 에칭공정은 다수의 공지된 공정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film may be made of any material capable of depositing and etching magnetic materials, and the film itself is preferably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that does not form a magnetic field with respect to an external magnetic field. Meanwhile, the magnetic deposition process and the etching process may be made of a number of known processe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하나의 예시로서 자성체가 Ni인 경우,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로 형성된 필름에 Ni를 증착하고, 실크스크린 인쇄기를 사용하여 필름에 패턴을 인쇄한 후, 에칭로에서 에칭과정을 거치게 되면 인쇄한 부분의 Ni만 남게 되고 나머지 부분은 제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필름 형태의 인핸서(321)에 포함된 자기신호증폭라인(323)을 형성할 수 있다. As an example, when the magnetic material is Ni, Ni is deposited on a film formed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 pattern is printed on the film using a silk screen printing machine, and then the printed portion is subjected to an etching process in an etching furnace. Only Ni remains and the rest are removed. In this manner, the magnetic signal amplification line 323 included in the film-type enhancer 321 may be formed.

이와 더불어 상술한 자성체를 포함한 물질을 필름상에 직접 인쇄하여 자기신호증폭라인(323)을 형성하는 방법도 상술한 방법과 유사한 공정을 통해 구현 가능하다. In addition, a method of forming the magnetic signal amplification line 323 by directly printing the material including the magnetic material on the film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ces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다만 상술한 공정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기술발전에 따라 구현 가능한 모든 방법을 통해 필름 형태의 인핸서(321)를 제조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필름의 재질 역시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기술발전에 따라 구현 가능한 모든 자성체를 증착 가능한 재질로 본 발명의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just one example and may be said to be able to manufacture the enhancer 321 in the form of a film through all methods that are currently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or can be implemented according to future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film is just one example, it will be said that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depositing all magnetic materials that are currently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or can be implemented according to future technology development.

본 실시예에서 인핸서(321)는 홀더(310)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자세하게는 인핸서(321)는 홀더(310)의 상부면에 부착되되. 홀더(310)에 검체수용부(430)가 삽입되는 방식 등으로 고정되는 경우, 검체수용부(430)의 검출영역(431)과 대응하는 홀더(310)의 상부면 특정영역(A)에 자기신호증폭라인(323)이 위치하도록 인핸서(321)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출영역(431)에 수용된 검체의 자기신호만을 증폭하여 정확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함이다.In this embodiment, the enhancer 321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310. More specifically, the enhancer 321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310. When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is fixed to the holder 310 in such a manner that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310, the magnet accommodating part is detected in the upper surface specific area A of the holder 310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area 431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It is preferable to attach the enhancer 321 so that the signal amplification line 323 is located. This is to amplify only the magnetic signal of the sample contained in the detection area 431 to perform accurate measurement.

이에 따라 검체가 저농도 샘플이어서 검출영역에 자성입자의 양이 적게 분포되어 있을 경우에도 정량적이고 정확도 높은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홀더(310)상에 인핸서(321)가 결합되어 특정위치에 고정됨으로써 검체수용부(430)를 바꾸어도 인핸서(321)는 정위치에 배치되고, 인핸서에 포함된 자성체의 위치변화가 없어 측정시 발생 가능한 오차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the sample is a low concentration sample and the amount of magnetic particles is distributed in the detection region, quantitative and accurate measurement is possible. In addition, since the enhancer 321 is coupled to the holder 310 and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even when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is changed, the enhancer 321 is disposed at the correct position and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included in the enhancer. Possible errors can be reduced.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도시한 것이다.8 shows a hol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인핸서(325)는 홀더(310)의 상부면에 직접 자성체를 증착시킨 후 에칭을 통해 형성된 자기신호증폭라인으로 구성된다. 즉 도 7의 제1실시예처럼 필름에 자성체를 증착하여 홀더(310)에 부착하는 방식이 아니라, 홀더(310) 상부면에 직접 자성체를 증착하여 자기신호증폭라인으로 구성된 인핸서(325)을 생성하는 방식이다. 인핸서(325)는 홀더(310)에 검체수용부(430)가 삽입되는 방식 등으로 고정되는 경우, 도 7의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검체수용부(430)의 검출영역(431)과 대응하는 홀더(310)의 상부면 특정영역(A)에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의 설명은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한다. 이에 따라 검체가 저농도 샘플이어서 검출영역에 자성입자의 양이 적게 분포되어 있을 경우에도 정량적이고 정확도 높은 측정이 가능하며, 측정과정에서 인핸서에 포함된 자성체의 위치변화가 없어 측정시 발생 가능한 오차를 줄일 수 있다.7 and 8, in this embodiment, the enhancer 325 includes a magnetic signal amplification line formed through etching after depositing a magnetic material direct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310. That is, instead of depositing a magnetic material on the film and attaching the magnetic material to the holder 310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FIG. 7, the magnetic material is directly deposi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310 to generate an enhancer 325 including a magnetic signal amplification line. That's the way it is. When the enhancer 325 is fixed to the holder 310 in such a manner that the sample receiving part 430 is inserted, the enhancer 325 corresponds to the detection area 431 of the sample receiving part 430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of FIG. 7. It is preferable to be generated in the upper surface specific region A of the holder 310,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n FIG. Accordingly, even if the sample is a low concentration sample and the amount of magnetic particles is distributed in the detection area, it is possible to measure quantitatively and accurately, and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material included in the enhancer during the measurement process, thereby reducing the error that may occur during measurement. Can be.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도시한 것이다.9 shows a hol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인핸서(327)는 모세관 튜브 형태로 구성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관형 통로가 형성된 모세관 튜브에 자성체가 첨가된 자기경화충진물이 충진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자기경화충진물은 자성체가 첨가된 자외선경화충진제로 구성되며, Poly (Ethylene Glycol)-Diacrylate (PEG-DA) 와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는 실제 검체수용부(430)에서 사용될 자성입자와 동일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제로 측정에 사용될 검체수용부(430)의 자성입자와 동일한 성분의 자성체를 모세관 튜브로 제조하는 경우, 그 자기적 성질을 정확하게 모사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모세관 튜브 형태의 인핸서(327)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응은 도 10의 설명에서 서술한다.7 to 9, in this embodiment, the enhancer 327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apillary tube. More specifically, the capillary tube formed with a tubular passage is configured to be filled with a magnetic hardening filler containing magnetic material. At this time, the self-curing filler is composed of a UV-curing filler with a magnetic substance, and comprises Poly (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and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Can be. Magnetic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used the same as the magnetic particles to be used in the actual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430. That is, when the magnetic material of the same component as the magnetic particles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to be actually used for the measurement is made of a capillary tube, the magnetic property can be accurately simulated. A more detailed response to the enhancer 327 in the form of a capillary tube i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FIG. 10.

본 실시예에서 인핸서(327)는 도 8에서 설명한 제2실시예와 유사하게 홀더(310)에 검체수용부(430)가 삽입되는 방식 등으로 고정되는 경우, 도 7의 검체수용부(430)의 검출영역(431)과 대응하는 홀더(310)의 상부면 특정영역(도 8의 A)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enhancer 327 is fixed in a manner such that the sample receiving portion 430 is inserted into the holder 310 similarly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the sample receiving portion 430 of FIG. 7 is fixed. It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specific region (A of FIG. 8) of the holder 310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region 431 of FIG.

또한 홀더(310)는 상부면에 인핸서를 삽입할 공간이 구비된 인핸서삽입부(313)를 더 구비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모세관 튜브 형태의 인핸서(327)는 인핸서삽입부(313)에 삽입되어 홀더(3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인핸서삽입부(313)는 상술한 A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체수용부(430)의 검출영역(431)에 수용된 검체의 자기신호만을 증폭하여 정확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holder 310 may further include an enhancer inserting portion 313 having a space for inserting an enhancer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In this case, the enhancer 327 in the form of a capillary tube is inserted into the enhancer inserting portion 313. And may be coupled to the holder 31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hancer inserting portion 313 is formed in the above-mentioned A region. This is to amplify only the magnetic signal of the sample accommodated in the detection area 431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to perform accurate measurement.

이에 따라 검체가 저농도 샘플인 경우에도 정량적이고 정확도 높은 측정이 가능하며, 검체수용부(430)를 바꾸어도 인핸서(327)는 정위치에 배치되어 신호 측정시 발생 가능한 오차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even when the sample is a low concentration sample, it is possible to measure quantitatively and accurately. Even if the sample accommodating unit 430 is changed, the enhancer 327 is disposed in the correct position to reduce the error that may occur when measuring the signal.

도 10은 도 9의 모세관 튜브형태의 인핸서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모세관 튜브 형태의 인핸서(327)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우선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단면을 구비하고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관형 통로가 형성되는 모세관 튜브(610)를 구비한다. 상기 모세관 튜브는 합성수지, 유리 등 다양한 재질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유리 모세관을 이용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상기 모세관 튜브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단면이 사각형인 튜브를 이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IG. 10 show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nhancer in the form of a capillary tube of FIG. 9. 9 and 10, an enhancer 327 in the form of a capillary tube is manufactured as follows. First, as shown in (a) of FIG. 10, a capillary tube 610 having a constant cross section and having a hollow structure is formed with a tubular passage. The capillary tube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ynthetic resin, glass, and the like, but here, the glass capillary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case, the cross section of the capillary tube may be any one of a circle, an oval, and a rectangle. It may have a shape of, in the present embodiment uses a tub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후,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세관 튜브(610)의 내부로 자성체 용액(620)을 주입한다. 자성체 용액(620)은 일반적으로 자성나노입자 형태의 자성체를 포함하는 용액성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추후 모세관 튜브(610)에 주입된 후, 열, 광, 자외선 등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경화충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외선경화충진제를 사용하여 내부에 포함된 상기 자성체를 고형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자성체 용액(620)은 Poly (Ethylene Glycol)-Diacrylate (PEG-DA)와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에 자성나노입자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전체 자성체 용액 중에 Poly (Ethylene Glycol)-Diacrylate (PEG-DA)와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를 포함하는 용액은 60~70 중량%, 자성나노입자가 포함된 용액은 30~40 중량%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Thereafter, the magnetic solution 620 is injected into the capillary tube 610 as shown in FIG. 10 (b). The magnetic solution 620 is generally a solution component including a magnetic material in the form of magnetic nanoparticles, and more preferably, a curing filler which may be cured by heat, light, ultraviolet rays, etc. after being injected into the capillary tube 610. May be included. In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olidify the magnetic material contained therein by using an ultraviolet curing filler. For example, the magnetic solution 620 may include Poly (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and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and the magnetic nanoparticles May be further included. In particular, the solution containing Poly (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and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in the total magnetic solution is 60 to 70% by weight, magnetic nanoparticles The solution containing may be formed in a proportion of 30 to 40% by weight.

이후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 용액(620)이 충진된 모세관 튜브(610)를 경화하여 모세관 튜브(610)의 내부에 자성체 용액(620)이 경화된 자기경화충진물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이하에서는, 자성체 용액이 고형화된 물질을 '자기경화충진물'이라고 정의한다). 특히, 도 10의 (c)에서 경화방식은 열경화, 광경화 등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자외선 경화방식을 이용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0 (c), the capillary tube 610 filled with the magnetic solution 620 is cured to form a magnetic hardening filler having the magnetic solution 620 cured inside the capillary tube 610. (Hereinafter, the substance in which the magnetic solution is solidified is defined as 'self-curing filler'). In particular, the curing method in Figure 10 (c) may be applied to the thermosetting, photo-curing, etc., in this embodiment, but using an ultraviolet curing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후,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세관튜브(610)의 말단을 에폭시 등의 밀봉재(630)로 밀봉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 형태의 인핸서(327)를 완성할 수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d) of FIG. 10, the end of the capillary tube 610 may be sealed with a sealing material 630 such as epoxy to complete the capillary-type enhancer 32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는 실제 검체수용부(430)에서 사용될 자성입자와 동일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제로 측정에 사용될 검체수용부(430)의 자성입자와 동일한 성분의 자성체를 모세관 튜브로 제조하는 경우, 그 자기적 성질을 정확하게 모사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Magnetic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used the same as the magnetic particles to be used in the actual sample accommodating portion 430. That is, when the magnetic material of the same component as the magnetic particles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to be actually used for the measurement is made of a capillary tube, the magnetic property can be accurately simulated.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기기로 검체의 출력신호를 측정하는 작용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서는 도 7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용례를 도시하여 설명하나,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고 전반적인 작용례는 다른 실시예의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11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measu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ample with the diagnos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1, an operation examp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FIG. 7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the overall operation example may be equally applicable to other embodiments.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홀더(310)의 상부면에는 필름형태의 인핸서(321)가 부착되어 있으며, 인핸서(321)에는 자성체의 증착 및 에칭을 통해 형성된 자기신호증폭라인(323)이 구비되어 있다. 7 and 11,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310 is attached to the enhancer 321 in the form of a film, the enhancer 321 is a magnetic signal amplification line 323 formed through the deposition and etching of the magnetic material is It is provided.

검체수용부(430)에는 검출영역(431)이 구비되어 있으며, 검출영역(431)에는 자성입자와 결합한 검체가 수용되어 있다.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is provided with a detection area 431, and the detection area 431 accommodates a sample combined with magnetic particles.

홀더(310)에 검체수용부(430)가 결합되면 검출영역(431)과 대응하는 곳에 자기신호증폭라인(323)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홀더(310)와 검체수용부(430)가 결합된 상태일 때 검출영역(431)의 수직하부면에 자기신호증폭라인(323)이 위치하도록 인핸서(321)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is coupled to the holder 310, the magnetic signal amplification line 323 may be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area 431. That is, the enhancer 321 is preferably disposed such that the magnetic signal amplification line 323 is positioned on the vertical lower surface of the detection area 431 when the holder 310 and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are coupled to each other.

진단을 위해 홀더(310)에 검체수용부(430)가 고정되면, 자기저항센서(200)가 구동모듈을 통해 검체수용부(430) 위를 이동하거나 또는 검체수용부(430)를 고정한 홀더(310)가 자기저항센서(200)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자기저항센서(200)는 검체수용부(430)의 검출영역(431)에 축적된 자성입자의 출력신호를 측정하게 된다. 기존의 검출영역(431)에 대한 출력신호 측정값이 전압 Vt, 인핸서(320)만의 출력신호 측정값이 전압 Ve라고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의 경우 홀더(310)에 부착된 인핸서(320)에 의해 그 출력신호 측정값이 Vt+Ve로 증폭되어 측정된다.When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is fixed to the holder 310 for diagnosis, the magnetoresistive sensor 200 moves on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through the driving module or the holder fixing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 310 moves below the magnetoresistive sensor 200. The magnetoresistive sensor 200 measures the output signal of the magnetic particles accumulated in the detection area 431 of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430. If the output signal measurement value of the existing detection area 431 is the voltage Vt, and the output signal measurement value of the enhancer 320 only is the voltage Ve, the enhancer 320 attached to the holder 310 in the case of the diagnostic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signal measured value is amplified to Vt + Ve and measured.

인핸서(320)에 의한 증폭은 주위 잡음의 크기는 변화시키지 않고 검출영역(431)에 의한 출력신호만 증폭하게 되므로 검체가 저농도 샘플인 경우에도 신호구분이 가능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진단기기의 신호대 잡음비를 높일 수 있어 보다 신뢰도 높은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The amplification by the enhancer 320 amplifies only the output signal from the detection area 431 without changing the magnitude of the ambient noise, so that the signal can be distinguished even when the sample is a low concentration sample, and finally the signal-to-noise ratio of the diagnostic device. Can be increased, which enables more reliable measurement.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인핸서의 유무에 따른 검체의 출력신호 측정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12는 인핸서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의 출력신호 측정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3은 인핸서를 구비한 경우의 출력신호 측정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X축은 센서 측정시의 위치, Y축은 센서의 출력이고, 각 응답곡선들은 검체의 농도별 센서 출력을 보여주고 있다.12 and 13 are graphs showing the output signal measurement value of the specimen with or without the enhancer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FIG. 12 is a graph showing output signal measurement values when no enhancer is provided, and FIG. 13 is a graph showing output signal measurements when an enhancer is provided. The X-axis shows the position of the sensor, the Y-axis shows the sensor output, and each response curve shows the sensor output for each concentration of the sample.

도 12를 참조하면, 전개된 검체의 농도가 0.02%이하인 경우 센서 스캔시의 위치별로 그래프의 최대치 구별이 불가능하며, 출력신호 측정치는 잡음신호의 출력 수준에 불과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deployed sample is less than 0.02%,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the maximum value of the graph for each position during the sensor scan, and the output signal measurement value is only an output level of the noise signal.

반면 인핸서를 구비한 도 13의 경우를 살펴보면, 전개된 검체의 농도가 0.005%인 경우까지 각 센서 스캔시의 위치별로 신호의 높낮이를 이용한 신호구분이 가능함을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the case of FIG. 13 having an enhancer, it may be possible to distinguish the signal using the height of the signal for each position during each sensor scan until the developed sample concentration is 0.005%.

즉 본 발명의 진단기기는 자기신호를 증폭하는 인핸서를 진단기기의 홀더에 구비함으로써 성능이 향상되어 검체의 농도가 저농도인 경우에도 신호구분이 가능하고, 센서와 전개된 샘플간의 거리가 멀어지더라도 신호구분이 가능하며, 최종적으로 진단기기의 신호대 잡음비를 높일 수 있어 보다 신뢰도 높은 측정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diagnost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hancer for amplifying a magnetic signal in a holder of the diagnostic device, thereby improving performance, so that the signal can be distinguished even when the sample concentration is low, and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or and the developed sample becomes far. Signal classification is possible, and finally, the signal-to-noise ratio of the diagnostic device can be increased, so that more reliable measurement is possible.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형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such,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진단기기
100: 외부자기장 인가장치 200: 자기저항센서
300: 구동모듈 310: 홀더
313: 인핸서삽입부 320: 인핸서
321: 필름형태 인핸서 323: 자기신호증폭라인
325: 자기신호증폭라인형태 인핸서
327: 모세관 튜브형태 인핸서
330: 이송유닛 340: X축 구동모터
350: 가이드레일 360: 지지유닛
370: Z축 구동모터 410: 검체
430: 검체수용부 431: 검출영역
500: 제어부
610: 모세관 튜브 620: 자성체용액
630: 튜브 밀봉재
10: Diagnostic device
100: external magnetic field applying device 200: magnetoresistance sensor
300: drive module 310: holder
313: enhancer insertion unit 320: enhancer
321: film type enhancer 323: magnetic signal amplification line
325: magnetic signal amplification line type enhancer
327: capillary tube type enhancer
330: transfer unit 340: X axis drive motor
350: guide rail 360: support unit
370: Z axis drive motor 410: Sample
430: sample receiving unit 431: detection area
500:
610: capillary tube 620: magnetic solution
630: tube sealant

Claims (18)

검체수용부를 고정하는 홀더;
자기신호 증폭을 위한 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인핸서;
를 포함하고,
상기 검체수용부는 검출영역이 구비되어 자성입자와 결합한 검체를 수용하는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
A holder for fixing the sample receiving part;
An enhancer having a magnetic material for amplifying a magnetic signal and coupled to the holder;
Including,
The sample accommodating part is provided with a detection region, the diagnostic device using a magnetoresistive sensor for receiving a sample coupled to the magnetic particl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핸서는,
필름에 상기 자성체를 일정두께로 증착시킨 후 에칭을 통해 형성된 자기신호증폭라인;
을 포함하는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hancer,
A magnetic signal amplification line formed by etching the magnetic material on a film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Diagnostic device using a magnetoresistive sensor comprising a.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Fe, Mn, Ni, Co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magnetic material is a diagnostic device using a magnetoresistive sensor containing at least one of Fe, Mn, Ni, Co.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핸서는,
상기 홀더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enhancer,
Diagnostic device using a magnetoresistive sensor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핸서는, 상기 홀더의 상부면에 부착되되,
상기 홀더에 상기 검체수용부가 고정되는 경우에 상기 검출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자기신호증폭라인이 위치하도록 부착되어 형성되는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enhancer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When the specimen receiving portion is fixed to the holder, the magnetic signal amplification line is attached to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area so as to be positioned. Diagnostic device using magnetoresistive sens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핸서는,
상기 홀더의 상부면에 상기 자성체를 일정두께로 증착시킨 후 에칭을 통해 형성된 자기신호증폭라인으로 구성되는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hancer,
Diagnosis device using a magnetoresistive sensor consisting of a magnetic signal amplification line formed by etching after depositing the magnetic material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자기신호증폭라인은,
상기 홀더에 상기 검체수용부가 고정되는 경우에 상기 검출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홀더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agnetic signal amplification line,
And a magnetoresistive sensor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lder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area when the specimen receiving part is fixed to the hold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핸서는,
관형 통로가 형성된 모세관튜브;
상기 모세관튜브에 충진되고 상기 자성체가 첨가된 자기경화충진물;
을 포함하는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hancer,
Capillary tubes formed with tubular passages;
Self-curing filler is filled in the capillary tube and the magnetic material is added;
Diagnostic device using a magnetoresistive sensor comprising a.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자기경화충진물은, 상기 자성체가 첨가된 자외선경화충진제를 포함하는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magnetic hardening filler is a diagnostic device using a magnetoresistive sensor comprising a ultraviolet curing filler to which the magnetic material is adde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자기경화충진물은, Poly (Ethylene Glycol)-Diacrylate (PEG-DA) 와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을 포함하는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magnetic hardening filler is a diagnostic device using a magnetoresistive sensor comprising Poly (Ethylene Glycol) -Diacrylate (PEG-DA) and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튜브는 양 말단이 밀봉재로 밀봉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capillary tube is a diagnostic device using a magnetoresistive sensor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are sealed with a sealing material.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자성입자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magnetic body is a diagnostic device using a magnetoresistive sensor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gnetic particle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인핸서는, 상기 홀더에 상기 검체수용부가 고정되는 경우, 상기 검출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홀더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And the enhancer is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holder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area when the specimen receiving part is fixed to the hold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인핸서를 삽입할 공간이 구비된 인핸서삽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인핸서는 상기 인핸서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와 결합하는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holder may include an enhancer insert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lder and provided with a space for inserting the enhancer; Including,
The enhancer is a diagnostic device using a magnetoresistive sensor is inserted into the enhancer insertion portion and coupled to the holder.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인핸서삽입부는, 상기 홀더에 상기 검체수용부가 고정되는 경우, 상기 검출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홀더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And the enhancer inserting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lder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area when the specimen receiving portion is fixed to the holder.
청구항 1 내지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에 외부자기장을 인가하는 외부자기장 인가장치;
상기 외부자기장에 따른 상기 검체의 자기적 성분을 검출하는 자기저항센서;
를 더 포함하는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An external magnetic field applying device for applying an external magnetic field to the specimen;
A magnetoresistive sensor for detecting a magnetic component of the sample according to the external magnetic field;
Diagnostic device using a magnetoresistive sensor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외부자기장 인가장치는 솔레노이드 코일, 헬름홀츠(Helmholtz) 코일, 전자석 요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
18. The method of claim 16,
The external magnetic field applying device is a diagnostic device using a magnetoresistive sensor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a solenoid coil, a Helmholtz coil, an electromagnet yoke.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자기저항센서는 적어도 1 이상의 거대자기저항(GMR)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진단기기.
18. The method of claim 16,
The magnetoresistive sensor is a diagnostic device using a magnetoresistive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t least one giant magnetoresistive (GMR) device.
KR1020110006865A 2011-01-24 2011-01-24 Diagnostic Equipment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 KR201200855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865A KR20120085504A (en) 2011-01-24 2011-01-24 Diagnostic Equipment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865A KR20120085504A (en) 2011-01-24 2011-01-24 Diagnostic Equipment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504A true KR20120085504A (en) 2012-08-01

Family

ID=4687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865A KR20120085504A (en) 2011-01-24 2011-01-24 Diagnostic Equipment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550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997B1 (en) System for signal detection of specimen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
KR20100104396A (en) System for signal detection of specimen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 and detecting method of the same
CN101283264A (en) Magnetic sensor device with field compensation
JP20085257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a magnetic field applied to a magnetic sensor
US8283912B2 (en) Sensor device with magnetic washing means
US9714985B2 (en) Calibration assembly for aide in detection of analytes with electromagnetic read-write heads
US10393737B2 (en) Sample assembly with an electromagnetic field to accelerate the bonding of target antigens and nanoparticles
US201300049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 flow cytometry
US10656232B2 (en) Calibrating read sensors of electromagnetic read-write heads
US20130121879A1 (en) Magnetic-Field Measurement Device
US20160018392A1 (en) Trenched sample assembly for detection of analytes with electromagnetic read-write heads
CN103675094A (en) Non-destructive testing device
KR20100054357A (en) System for signal detection of specimen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
KR101214009B1 (en) System for signal detection of specimen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
KR20120088349A (en) Diagnostic Equipment for signal detection of specimen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
KR101239863B1 (en) System for signal detection of specimen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
KR20120085504A (en) Diagnostic Equipment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
KR101230423B1 (en) System for signal detection of specimen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 and Detecting Method of the same
KR20110021429A (en) System for signal detection of specimen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 and detecting method of the same
KR101235846B1 (en) System for signal detection of specimen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 and Detecting Method of the same
KR20120085503A (en) Diagnostic Kit and Diagnostic Method using magnetic particles
CN107703297A (en) Weak magnetic signal detection means
KR101235845B1 (en) System for signal detection of specimen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 and Detecting Method of the same
KR20090044390A (en) System and method for signal detection of specimen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
CN203616286U (en) Lossless flaw de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