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285A - Method for giving skill to character's equipment item in on-line role playing g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giving skill to character's equipment item in on-line role playing g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285A
KR20120032285A KR1020100093857A KR20100093857A KR20120032285A KR 20120032285 A KR20120032285 A KR 20120032285A KR 1020100093857 A KR1020100093857 A KR 1020100093857A KR 20100093857 A KR20100093857 A KR 20100093857A KR 20120032285 A KR20120032285 A KR 20120032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ll
item
game
user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8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삼석
권동혁
손봉호
권상혁
임민영
최웅
Original Assignee
(주)마상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상소프트 filed Critical (주)마상소프트
Priority to KR1020100093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2285A/en
Priority to PCT/KR2011/007161 priority patent/WO2012044073A2/en
Publication of KR20120032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28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9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enabling or updating specific game elements, e.g. unlocking hidden features, items, levels or v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2Strategy games; Role-play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1Score compu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7Role playing or strategy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quest processing method through multi-scenarios in an online game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use other abilities of an item by including various kind skills. CONSTITUTION: A user character acquires items within a game(S211). The user character acquires skills added to the items within the game(S212). The skill acquired by the user character is attached to an empty socket of the items which are included in the user character(S213) according to the request of a user. The selected skill effects are displayed when the user character uses the items(S214).

Description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에 있어서의 장비 아이템에 대한 스킬 부여 방법{ Method for Giving Skill to Character's Equipment Item in On-line Role Playing Game }Method for Giving Skill to Character's Equipment Item in On-line Role Playing Game}

본 발명은 사용자 캐릭터가 가상 공간에 구현된 게임 맵 내에서 다양한 퀘스트(임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 캐릭터의 장비 아이템이 다양한 종류의 스킬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동일한 장비 아이템이라도 서로 다른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role-playing game that allows a user character to perform various quests (missions) within a game map implemented in a virtual spac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equipment items of the user character to have various kinds of skills, Even equipment items can have different abilities.

통신망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온라인 게임이 서비스되고 있으며, 특히 롤 플레잉 게임(Role Playing Game)이 각광을 받고 있다.Various types of online games are being servic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role playing games are in the spotlight.

롤 플레잉 게임은 일정한 스토리(이야기)에 따라 게임이 진행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스토리 전개에 따라 게임 내에서 다양한 퀘스트를 수행하면서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Role-playing game is characterized by the progress of the game according to a certain story (story), and users progress through the game while performing various quests in the game according to the story development.

롤 플레잉 게임에서 사용자 캐릭터는 사용자를 대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자신의 캐릭터를 외모나 능력 등 다양한 측면에서 다른 캐릭터들과 차별화하고 싶어한다.In role-playing games, user characters perform functions that represent the user, and most users want to differentiate their characters from other characters in various aspects such as appearance and ability.

이러한 요구와 관련하여 롤 플레잉 게임에서는 의상 등을 통해 사용자 캐릭터의 외모를 장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In connection with these demands, role-playing games allow users to decorate their character's appearance through costumes and the like.

한편, 롤 플레잉 게임에 있어서 사용자 캐릭터가 보유하고 있는 스킬은 그 캐릭터의 꽃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핵심적인 부분이다.On the other hand, in a role playing game, the skill possessed by the user character is an essential part of the character's flower.

스킬이란 사용자 캐릭터가 게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 내지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자면 물리적 공격력을 높이는 스킬, 술법 능력을 향상시키는 스킬, 자신의 에너지를 회복시키는 스킬, 적의 능력을 감소시키는 스킬 등을 들 수 있다. Skills refer to various skills or abilities that your character can use in-game, such as skills that increase physical attack power, skills that improve your abilities, skills that restore your energy, and skills that reduce enemies. Can be mentioned.

그런데 종래의 롤 플레잉 게임은 이와 같이 중요한 스킬과 관련하여 사용자들의 차별화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role-playing game does not satisfy the differentiation requirements of users with respect to such important skills.

즉, 종래에는 스킬의 부여와 관련하여 특정 NPC(Non Player Character)가 사용자 캐릭터의 레벨에 따라 기 설정된 종류의 스킬을 일괄적으로 전수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That is, in the related art, a specific NPC (Non Player Character) has not escaped a method of collectively transferring a predetermined kind of skill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a user character.

그 결과 롤 플레잉 게임의 핵심 요소이고 각 사용자 캐릭터의 특징을 그대로 드러낼 수 있는 '스킬'에서 차별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게임 레벨이나 직업에 따라 획일화/고정화된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캐릭터들만 양산되어 게임이 재미없어 진다.As a result, differentiation is not made in 'skills' which are the core elements of role-playing games and can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ser character, and only user characters that perform uniform / fixed functions according to game level or occupation are produced. The game becomes fun.

또한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고 싶어하는 사용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여 불만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does not satisfy the needs of users who want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causing complaints.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 캐릭터가 자신의 장비 아이템에 장착할 수 있는 스킬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동일한 장비 아이템이라도 다양한 능력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o that the user character can freely set the skills that can be mounted on his equipment items, so that even the same equipment items can have a variety of abilities There is a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에 있어서의 장비 아이템에 대한 스킬 부여 방법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online role-playing g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사용자 캐릭터가 게임 내에서 장비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상기 장비 아이템은 스킬을 사용할 수 있는 게임 아이템으로서 스킬을 장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빈 소켓을 가지고 있음);Allowing the user character to acquire equipment items in the game (the equipment items have one or more empty sockets to which the skills can be equipped as game items that can use the skills);

상기 사용자 캐릭터가 게임 내에서 자신의 장비 아이템에 장착할 스킬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Allowing the user character to acquire skills to equip his equipment item in the game;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캐릭터가 획득한 스킬이 상기 사용자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장비 아이템의 빈 소켓에 장착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Processing a skill acquired by the user character so as to be mounted in an empty socket of an equipment item possessed by the user character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상기 사용자 캐릭터가 게임 내에서 상기 장비 아이템을 사용하면, 상기 장비 아이템에 장착되어 있는 스킬 중 현재 선택되어 있는 스킬의 효과가 나타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f the user character uses the equipment item in the game, the step of processing so that the effect of the currently selected skill of the skills mounted on the equipment item appears.

상기 장비 아이템에 장착할 스킬의 획득은 각 스킬에 대응하는 게임 아이템을 획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Acquisition of skills to be mounted on the equipment item may be achieved by acquiring a game item corresponding to each skill.

상기 스킬은 상기 사용자 캐릭터가 특정 스킬 장착용 아이템을 획득한 상태에서만 상기 장비 아이템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kill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equipment item only when the user character acquires a specific skill wearing item.

상기 스킬을 상기 장비 아이템에 장착하는 과정은 소정의 확률에 따라 성공하거나 또는 실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 of mounting the skill on the equipment item may be configured to succeed or fai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bability.

이때 상기 사용자 캐릭터가 특정 확률 향상용 아이템을 획득한 상태이면, 성공 확률을 높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user character has obtained a specific probability improving item, it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the success probability.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남들과는 다른 자신만의 스킬이 장착되어 있는 고유의 장비 아이템을 생성하여 소유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자신의 캐릭터와 아이템에 대해 애착을 가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게임에 대한 흥미가 높아져 게임에 몰입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s using online role-playing games can create and own unique equipment items equipped with their own skills different from others. As a result, they become attached to their characters and items, and as a result, they become more interested in the game and immerse themselves in the game.

또한, 사용자들의 주문에 따라 맞춤형 장비 아이템을 제작해 주는 게임 내 요소(예: 장인)가 더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게임 내 시장이 활성화되어 게임 내 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다.In addition, in-game elements (eg craftsmen) that make customized equipment items according to user's order play a more important role, and the in-game market can be activated to revitalize the in-game economy.

특히 가치와 능력이 낮은 장비 아이템이라고 하더라도 부여되는 스킬에 따라 충분히 높은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가치와 능력이 낮은 장비 아이템도 쓸모 있는 것으로 변화할 수 있다.In particular, even if the equipment items are low value and abilities, depending on the skills that can be given a high enough ability. That is, equipment items with low values and abilities can be turned into useful items.

그러므로 버려지는 장비 아이템을 최소화 하고, 모든 장비 아이템이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특정 아이템에 편중된 게임이 아니라 균형 잡힌 게임이 이루어져 재미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Therefore, equipment items that are discarded are minimized, and all equipment items play their own roles, so a balanced game can be maximized and fun, rather than a game focused on a specific item.

뿐만 아니라 게임을 시작한지 얼마 안 된 저 레벨의 사용자라고 할지라도 장비 아이템에 따라 게임 내에서 더 큰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 플레잉 게임의 단점으로 평가받는 저 레벨 사용자의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even low-level users who are just starting the game will be able to use their capabilities in-game, depending on their equipment item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lower the entry barrier of low-level users, which is evaluated as a disadvantage of role playing games.

도 1은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을 서비스하는 시스템의 개요,
도 2는 사용자 단말에 관한 구체적인 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장비 아이템에 스킬을 부여하는 일 실시예,
도 4는 장비 아이템에 관한 예,
도 5는 스킬 아이템에 관한 예,
도 6은 스킬 장착용 아이템에 관한 예,
도 7은 게임화면에 나타나는 아이템 표시 창의 예,
도 8은 스킬 장착용 아이템을 이용하여 장비 아이템에 스킬을 장착하는 예,
도 9는 스킬의 인챈트 과정에 관한 구체적인 예,
도 10은 빈 소켓에 새로운 스킬이 장착된 상태의 예,
도 11은 확률 향상용 아이템에 관한 예,
도 12는 스킬 소거용 아이템의 예,
도 13은 게임화면에 나타나는 아이템 표시 창의 또 다른 예,
도 14는 스킬 장착용 아이템을 이용하여 장비 아이템에 스킬을 장착하는 또 다른 예,
도 15는 장착되는 스킬에 따라 동일한 장비 아이템이라도 그 능력이 다양화되는 것을 보인 예이다.
1 is an overview of a system for servicing an online role playing game,
2 is a specific example of a user terminal;
3 is an embodiment of granting a skill to an item of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an equipment item,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kill item;
6 is an example of a skill wearing item,
7 is an example of an item display window appearing on the game screen;
8 illustrates an example of mounting a skill on an item of equipment using a skill wearing item;
9 illustrates a specific example of an enchant process of a skill;
10 i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new skill is mounted on an empty socket;
11 is an example of an item for improving probability;
12 shows an example of a skill erasing item;
13 is another example of an item display window appearing on the game screen;
14 is another example of mounting a skill on an item of equipment using a skill wearing item;
15 is an example showing that the ability of the same equipment item is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skill to be moun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을 서비스하는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 시스템(20)이 제공하는 롤 플레잉 게임 서비스를 이용한다.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ystem for servicing an online role playing gam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each user uses a role playing game service provided by the online game system 20 using the user terminal 10.

사용자 단말(10)은 데스크 탑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일 수도 있고, 휴대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일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망(13)을 통해 온라인 게임 시스템(20)에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 시스템(20)이 제공하는 롤 플레잉 게임을 이용할 수 있는 성능을 구비한 기기는 모두 사용자 단말(10)이 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 may be a personal computer (PC) such as a desktop computer or a notebook computer, or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smartphone. In addition, any device having a capability of accessing the online game system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3 and using the role playing game provided by the online game system 20 may be the user terminal 10. .

사용자 단말(10)에는 사용자가 롤 플레잉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게임 클라이언트(11)가 설치된다.The user terminal 10 is provided with a game client 11 that allows the user to play a role playing game.

게임 클라이언트(11)는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통신망(13)을 통해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game client 11 is a computer program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user terminal 10 and may be downloaded and install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3.

게임 클라이언트(11)는 게임 화면 처리, 사운드 효과 처리,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등 사용자 측에서 수행되어야 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기본적으로 게임 서버(24)와 통신하면서 롤 플레잉 게임을 진행시킨다.The game client 11 performs various functions to be performed on the user side, such as game screen processing, sound effect processing, and providing various user interfaces, and basically performs a role playing game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game server 24.

이때 게임 서버(24)와 게임 클라이언트(11)의 역할 분담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ole sharing between the game server 24 and the game client 11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s necessary.

온라인 게임 시스템(20)은 유선 인터넷망이나 무선 인터넷망 등 다양한 통신망(13)을 통해 롤 플레잉 게임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online game system 20 provides a role playing game service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13 such as a wired internet network or a wireless internet network.

롤 플레잉 게임, 또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게임은 사용자 캐릭터가 가상공간에 구현된 게임 맵을 돌아다니면서 일정한 퀘스트(임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Role-playing games, or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MMORPG) games, are configured so that user characters perform certain quests (missions) while navigating a game map implemented in virtual space.

온라인 게임 시스템(20)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웹 서버(21), 업데이트 서버(22), 인증 서버(23), 게임 서버(24), 계정정보 데이터베이스(25)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online game system 2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s needed,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a web server 21, an update server 22, an authentication server 23, a game server 24, and an account information database ( 25) and the like.

웹 서버(21)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운영하여 게임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웹상에서 제공하며, 각 사용자로부터 인증용 정보인 아이디(ID)와 비밀번호, 닉네임, 연락처 등 회원 가입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계정을 개설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web server 21 operates the Internet homepage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game service on the web, and receives information necessary for membership registration, such as ID, password, nickname, and contact information, which ar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each user. It may be able to open a role such as opening a business.

계정정보 데이터베이스(25)는 각 사용자들의 회원정보, 게임 레벨정보, 사용자 캐릭터 정보 등 각 사용자가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 서비스 이용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저장하여 유지한다.The account information database 25 stores and maintains information required for each user to use the online role-playing game service, such as member information, game level information, and user character information of each user.

특히, 각 사용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게임 아이템 정보를 저장하는 게임 아이템 인벤토리(27)를 포함하며, 각 사용자 캐릭터들에 대한 게임 아이템의 득/실/변경 정보는 게임 아이템 인벤토리(27)에 저장되어 관리된다.In particular, it includes a game item inventory 27 that stores game item information held by each user, and the gain / loss / change information of game items for each user character is stored and managed in the game item inventory 27. do.

게임 클라이언트(11)는 게임 아이템 인벤토리(27)에 저장되어 있는 게임 아이템 정보를 게임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게임 아이템을 관리하거나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게임 아이템을 게임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game client 11 displays the game item information stored in the game item inventory 27 on the gam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manage the game item or use the game item owned by the game.

업데이트 서버(22)는 사용자 단말(10)로 게임 클라이언트(11)를 전송해주고 최신 버전으로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update server 22 transmits the game client 11 to the user terminal 10 and maintains the latest version.

인증 서버(23)는 계정정보 데이터베이스(25)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 서버(24)에 로그인 하는 사용자를 인증하며, 게임 서버(24)는 게임 클라이언트(11)와 통신하면서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을 진행한다.
The authentication server 23 authenticates the user logging in to the game server 24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account information database 25, and the game server 24 communicates with the game client 11 to play online role-playing. Proceed to the game.

도 2는 사용자 단말(10)의 하나로 범용 컴퓨터 장치에 관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들은 다양한 구조의 시스템 버스(10-1)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와 같은 프로세서(10-2)의 총괄적인 제어하에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으면서 그 역할을 수행한다.FIG. 2 illustrates an example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device as one of the user terminals 10, and each component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ystem bus 10-1 having various structures,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It performs the role while exchanging data with each other under the overall control of the processor 10-2, such as).

롬(ROM: Read Only Memory,10-3)은 일반적으로 각 구성요소들 사이의 정보 전달을 돕기 위한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 Basic Input/Output System)을 저장하고, 램(RAM: Random Access Memory,10-4)은 프로세서(10-2)가 즉시 액세스할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유지한다.ROM (Read Only Memory, 10-3) generally stores a basic input / output system (BIOS) to facilitate the transfer of information between the components, and random access memory (RAM). 10-4) maintains computer programs or data that processor 10-2 will access immediately.

입력장치 인터페이스(10-5)는 키보드, 키패드, 터치 스크린, 마우스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10-6)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로 각종 명령이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put device interface 10-5 is connected to various input devices 10-6 such as a keyboard, a keypad, a touch screen, a mouse, and the like so that a user can input various commands or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디스플레이 어댑터(10-7)는 디스플레이 화면(10-8)을 통해 출력할 비디오 정보를 처리하며, 사운드 카드(10-9)는 오디오 정보를 처리하여 스피커(10-10)를 통해 출력한다.The display adapter 10-7 processes video information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screen 10-8, and the sound card 10-9 processes audio information and outputs it through the speaker 10-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12)는 사용자 단말(10)이 유선 인터넷망이나 무선 인터넷망 등 각종 통신망(13)에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The network interface 10-12 allows the user terminal 10 to communicate by connecting to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13 such as a wired internet network or a wireless internet network.

저장매체(10-11)는 비휘발성의 성질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에는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가 사용되지만,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내장형, 외장형, 분리형, 비분리형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storage medium 10-11 has a non-volatile property, and generally, a personal computer uses an internal hard disk drive (HDD), but internal, external, and external devices that can be accessed by the user terminal 10 may be used. It can have a variety of forms, both separable and non-separable.

저장매체(10-11)에는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윈도우즈(Windows)와 같은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나, 사용자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웹 브라우저 등 각종 컴퓨터 프로그램과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며, 특히 게임 클라이언트(11)가 설치된다.The storage medium 10-11 stores various computer programs and user data such as an operating system (OS) such as Microsoft's Windows or a web browser that allows a user to use an Internet service. The client 11 is installed.

사용자가 게임 클라이언트(11)를 실행시키면, 프로세서(10-2)는 게임 클라이언트(11)를 램(10-4)에 로딩하여 순차적으로 처리하며, 디스플레이 화면(10-8)과 스피커(10-10)를 통해 각각 게임화면과 사운드가 출력되기 시작한다.When the user executes the game client 11, the processor 10-2 loads the game client 11 into the RAM 10-4 and processes them sequentially, and displays the display screen 10-8 and the speaker 10-. 10) through the game screen and sound starts to output respectively.

사용자는 아이디(ID)와 비밀번호 등 인증정보를 입력하여 게임 서버(24)에 로그인 한 후, 입력장치(10-6)를 통해 롤 플레잉 게임을 이용하기 위한 각종 명령을 내리면서 게임을 즐기게 된다.
After the user logs in to the game server 24 by inputt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such as an ID and an ID, the user enjoys the game while giving various commands for using the role playing game through the input device 10-6.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에 있어서 가상공간에 나타나 그 역할을 수행하는 주체는 사용자 캐릭터이고, 사용자 캐릭터를 조작하면서 실제 게임을 진행시키는 주체는 사용자이다.In the online role-playing game, the subject who appears in the virtual space and performs the role is the user character, and the subject who proceeds the actual game while manipulating the user character is the user.

그러므로 본 발명과 관련하여 게임 내에서 동작하는 주체를 설명할 때는 '사용자 캐릭터'라고 표현하고, 사용자 캐릭터를 조작하여 게임을 이용하는 주체를 설명할 때는 '사용자'라고 표현한다. 즉, '사용자'와 '사용자 캐릭터'는 게임의 진행과 관련하여 보는 관점만 다를 뿐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Therefore, when describing the subjects operating in the game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scribing the subject using the game by manipulating the user character is expressed as 'user'. In other words, 'user' and 'user character' have the same meaning except that the viewpoints related to the progress of the game are different.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에는 다양한 종류의 게임 아이템이 존재할 수 있으며, 장비 아이템은 게임 아이템의 일종이다.There are various kinds of game items in an online role playing game, and equipment items are a kind of game items.

특히, 장비 아이템이란 하나 이상의 스킬을 장착할 수 있는 게임 아이템을 말하며, 장비 아이템에 스킬을 장착한다는 것은 장비 아이템이 해당 스킬에 따른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In particular, the equipment item refers to a game item that can be equipped with one or more skills, and mounting the skill on the equipment item means that the equipment item can exhibit the ability according to the skill.

사용자는 장비 아이템을 사용할 때 해당 장비 아이템에 장착되어 있는 스킬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장비 아이템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비 아이템은 해당 스킬이 갖는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When the user uses the equipment item,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skills mounted on the equipment item to use the equipment item, and thus the equipment item exhibits the ability of the skill.

하나의 예로서 장비 아이템이 목검이고, 어느 스킬이 불의 능력을 갖게 하는 것이라면, 사용자 캐릭터가 이 스킬을 선택한 상태로 목검을 사용하는 경우 불을 뿜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그냥 목검을 사용할 때에 비해 상대방에게 더욱 큰 타격을 입힐 수 있다.As an example, if the equipment item is a wooden sword, and a skill has the ability of fire, if the user character uses the wooden sword with this skill selected, the fire effect is exerted. This can cause more damage to your opponent than just using a wooden sword.

장비 아이템의 종류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The type of equipment item can be variously configured as needed.

예컨대 무기로 사용되는 각종 게임 아이템뿐 아니라 각종 방어 용도의 장비, 장신구, 펫(사용자 캐릭터의 애완동물) 등도 스킬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 모두 장비 아이템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not only various game items used as weapons, but also various defense equipment, ornaments, pets (pets of the user character), etc., may be all equipment items as long as they can be equipped with skills.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장비 아이템에 스킬을 부여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granting a skill to an equipment i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온라인 게임 시스템은 사용자 캐릭터가 게임 내에서 장비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S211).First, the online game system enables the user character to acquire equipment items in the game (S211).

단계 S211에서 사용자 캐릭터가 어떤 방법으로 장비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할 것인지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온라인 상점에서 장비 아이템을 구매하도록 하거나, 게임 내 활동을 통해 장비 아이템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How to enable the user character to acquire the equipment item in step S211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s needed. As a specific example, it may be possible to purchase equipment items in an online store or to acquire equipment items through in-game activities.

온라인 상점은 게임 내에 구현되어 사용자가 일정한 지불수단(예: 현금, 사이버 머니 등)을 이용하여 장비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곳으로서, 게임 내에 구현된 상점 NPC를 통해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각종 게임 아이템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n online store is implemented in the game where the user can purchase equipment items using certain payment methods (e.g. cash, cyber money, etc.), and is configured to make transactions through the store NPC implemented in the game or various game items.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online shopping mall selling the.

사용자 캐릭터가 게임 내 활동을 통해 장비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게임 시나리오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method of allowing the user character to acquire equipment items through in-game activities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game scenario.

구체적인 예로서, 게임 내 특정 위치에 장비 아이템을 떨어뜨려 놓고 그 곳을 지나가는 사용자 캐릭터가 줍도록 하는 방법, 특정 몬스터가 사용자 캐릭터와의 대결에서 패하면 장비 아이템을 주는 방법, 사용자의 게임 레벨에 따라 그냥 주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you can drop equipment items at specific locations in the game and have them pick up your character as you pass them, how to give equipment items when a particular monster loses your character, or just your game level. How to give.

특히, 사용자가 처음 획득하는 장비 아이템은 스킬을 장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빈 소켓을 가지고 있다.In particular, the first item of equipment the user acquires has one or more empty sockets to which the skill can be equipped.

여기서 빈 소켓이란 새로운 스킬을 장착할 수 공간을 말하며, 빈 소켓이 있어야만 해당 장비 아이템에 새로운 스킬을 장착할 수 있다.
Here, an empty socket refers to a space in which a new skill can be mounted, and an empty socket can be used to equip a new skill with a corresponding item.

또한, 온라인 게임 시스템은 사용자 캐릭터가 게임 내에서 자신의 장비 아이템에 장착할 스킬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S212).In addition, the online game system allows the user character to acquire a skill to be mounted on his equipment item in the game (S212).

스킬의 획득은 각 스킬에 대응하는 게임 아이템을 획득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Acquisition of the skill may be configured by acquiring a game item corresponding to each skill.

예컨대 100 종류의 스킬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각 스킬에 대응하는 100 가지의 게임 아이템이 존재하도록 하고, 사용자 캐릭터가 각 게임 아이템을 획득함으로써 해당 스킬을 획득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re are 100 types of skills, 100 game items corresponding to each skill may be present, and the user character may acquire a corresponding skill by acquiring each game item.

이하에서는 이러한 게임 아이템을 스킬 아이템이라 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such game items will be referred to as skill items.

단계 S212에서 사용자 캐릭터가 장비 아이템에 장착할 스킬을 획득하는 방법은 장비 아이템과 마찬가지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method of acquiring a skill to be mounted on the equipment item by the user character in operation S212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s in the equipment item.

예를 들자면, 온라인 상점에서 스킬 아이템을 구매하도록 하거나, 게임 내 활동을 통해 스킬 아이템을 획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can be configured to purchase skill items in an online store or to acquire skill items through in-game activities.

단계 S211과 단계 S212를 통해 사용자 캐릭터가 장비 아이템과 스킬 아이템을 획득하면, 사용자는 게임화면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스킬의 인챈트를 시도할 수 있다. 여기서 스킬 인챈트란 스킬을 장비 아이템에 장착하는 것을 말한다.When the user character acquires the equipment item and the skill item through the step S211 and the step S212, the user may attempt to enchant the skill using the user interface provided in the game screen. Here, the skill enchant refers to equipping a skill item with equipment.

사용자가 스킬 인챈트를 시도하면, 온라인 게임 시스템은 사용자 캐릭터가 획득한 스킬이 장비 아이템의 빈 소켓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S213).When the user attempts to enchant a skill, the online game system processes the skill acquired by the user character to be mounted in any one of the empty sockets of the equipment item (S213).

스킬 인챈트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for skill enchantmen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예를 들자면, 사용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장비 아이템과 스킬을 선택하여 스킬 인챈트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하고, 온라인 게임 시스템은 이 명령에 따라 해당 스킬이 해당 장비 아이템에 장착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may select a device item and a skill that he owns to issue a skill enchant command, and the online game system may process the corresponding skill item to be mounted on the corresponding item.

이때 게임에 재미를 더하기 위하여, 사용자 캐릭터가 특정 스킬 장착용 아이템을 획득한 상태에서만 스킬 인챈트를 시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add fun to the game,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haracter can only attempt skill enchantment while obtaining a specific skill wearing item.

이 경우 사용자는 장비 아이템과, 해당 장비 아이템에 장착할 수 있는 스킬을 획득하였다고 하더라도 스킬 장착용 아이템을 가지고 있어야만 스킬을 장비 아이템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even if the user has acquired an equipment item and a skill that can be mounted on the corresponding equipment item, the user must have a skill mounting item to mount the skill on the equipment item.

도 4는 목검이라는 장비 아이템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a는 목검 아이템(311)의 외관을 보인 것이고, 도 4b는 목검 아이템과 관련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속성 창(312)을 보인 것이다.4 shows an example of an equipment item called a wood sword, FIG. 4A shows the appearance of a wood sword item 311, and FIG. 4B shows a property window 312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wood sword item.

도 4b의 속성 창(312)에는 목검 아이템의 종류, 그 공격력과 무게, 목검 아이템에 관한 설명이 나타나 있으며, 2개의 빈 소켓(312-1,312-2)이 존재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현재 목검 아이템(311)에는 '무기술법', '이타퀘검', '회선창', '신검합일', '삼연창' 이라는 스킬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스킬들은 목검 아이템(311)의 획득시 디폴트로 주어질 수 있다.In the attribute window 312 of FIG. 4B, descriptions of the types of wood sword items, their damage and weight, and wood sword items are shown, and a state in which two empty sockets 312-1 and 312-2 exist. The current wood sword item 311 is equipped with skills such as 'non-technical law', 'Itaque gum', 'circle', 'new sword date', 'samyeonchang'. These skills may be given by default upon acquisition of the wood sword item 311.

즉, 장비 아이템을 처음 획득할 때 스킬은 하나도 없을 수도 있고, 디폴트로 하나 이상의 기본 스킬이 주어질 수도 있다.
That is, the first time the equipment item is acquired, there may be no skills, or one or more basic skills may be given by default.

도 5는 팔방풍우라는 스킬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스킬 아이템(321)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a는 이 스킬 아이템의 외관을 보인 것이고, 도 5b는 이 스킬 아이템의 속성 창(322)을 보인 것이다.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kill item 321 that enables a player to acquire a skill called an all-weather wind. FIG. 5A illustrates an appearance of the skill item, and FIG. 5B illustrates an attribute window 322 of the skill item. It is seen.

도 5b의 속성 창(322)에는 팔방풍우라는 스킬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 스킬 아이템(321)의 이름(혈풍천석), 아이템의 종류, 무게, 해당 스킬을 이용할 수 있는 횟수, 용도 등의 정보가 나타나 있다.
In the attribute window 322 of FIG. 5B,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of the skill item 321 (the hemisphere), the type of the item, the weight,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can use the skill, and the purpose of acquiring a skill called an all-round storm Is shown.

도 6은 스킬 장착용 아이템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a는 이 스킬 장착용 아이템(331)의 외관을 보인 것이고, 도 6b는 이 스킬 장착용 아이템(331)에 관한 속성 창(332)를 보인 것이다.FIG. 6 shows an example of a skill wearing item, and FIG. 6A shows an appearance of the skill wearing item 331, and FIG. 6B shows an attribute window 332 related to the skill wearing item 331. FIG. It is seen.

도 6b의 속성 창(332)에는 스킬 장착용 아이템(331)의 이름(하늘상자), 아이템의 종류, 무게, 사용 가능 횟수, 용도 등의 정보가 나타나 있다.In the attribute window 332 of FIG. 6B,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of the skill mounting item 331 (the sky box), the type of the item, the weight, the number of times of use, and the purpose of use are shown.

이러한 스킬 장착용 아이템 역시 온라인 상점에서 구매하거나 게임 내 활동을 통해 획득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Such skill-equipped items can also be obtain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purchasing them from an online store or obtaining them through in-game activities.

도 7은 아이템 표시 창(341)이 나타나 있는 게임화면(340)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아이템 표시 창(341)에는 현재 사용자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게임 아이템들이 표시된다.FIG. 7 illustrates an example of a game screen 340 in which an item display window 341 is displayed. The item display window 341 displays game items currently owned by a user character.

각 사용자 캐릭터의 게임 아이템에 관한 득/실/변경 정보는 게임 아이템 인벤토리(27)에 저장되어 관리되며, 게임 클라이언트(11)는 사용자 캐릭터가 현재 가지고 있는 게임 아이템을 아이템 표시 창(341)에 보여 준다.The gain / loss / change information about the game item of each user character is stored and managed in the game item inventory 27, and the game client 11 shows the game item that the user character currently has in the item display window 341. give.

사용자는 아이템 표시 창(341)을 통해 원하는 게임 아이템을 선택하여 게임 내에서 사용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The user may select a desired game item through the item display window 341 to use or manage the game.

현재 아이템 표시 창(341)에는 장비 아이템으로서의 목검 아이템(311), 스킬 아이템으로서의 혈풍천석 아이템(321), 스킬 장착용 아이템으로서의 하늘상자 아이템(331)이 나타나 있다.
The current item display window 341 shows a wooden sword item 311 as an equipment item, a blood-winding skystone item 321 as a skill item, and a sky box item 331 as a skill wearing item.

도 8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장비 아이템에 스킬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8, a specific example of a method for enabling a user to mount a skill on an equipment item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아이템 표시 창(341)에서 장비 아이템에 스킬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하늘상자 아이템(331)을 클릭하면 스킬 인챈트를 할 수 있는 하늘상자 창(350)이 나타난다.When the user clicks on the sky box item 331 that allows the user to equip the equipment item in the item display window 341, the sky box window 350 for skill enchanting appears.

그러면 사용자는 아이템 표시 창(341)에서 목검 아이템(311)과 혈풍천석 아이템(321)을 선택하여 하늘상자 창(350)의 아이템 모음 칸(352)으로 이동시킨다. 예컨대 사용자는 마우스로 목검 아이템(311)과 혈풍천석 아이템(321)을 하늘상자 창(350)으로 드래그하여 끌고 갈 수 있다.Then, the user selects the wooden sword item 311 and the blood-heavy astronomy item 321 in the item display window 341 to move to the item collection box 352 of the sky box window 350. For example, the user may drag the wood sword item 311 and the blood flowing sky item 321 to the sky box window 350 by using a mouse.

그리고 사용자가 '연단' 버튼(351)을 클릭하면 현재 하늘상자 창(350)의 아이템 모음 칸(352)에 포함되어 있는 목검 아이템(311)에 팔방풍우라는 스킬이 장착된다. 여기서 팔방풍우라는 스킬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혈풍천석 아이템(321)에 대응하는 스킬이다.
When the user clicks the podium button 351, a skill called palbangbang is installed on the wooden sword item 311 included in the item collection box 352 of the sky box window 350. In this case, the eight-wheeled storm is a skill corresponding to the blood-flowing skylight item 321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한편, 스킬 인챈트 과정은 소정의 확률에 따라 스킬 장착이 성공하거나 또는 실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skill enchant process may be configured to succeed or fail to mount the skil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bability.

즉, 사용자가 장비 아이템과 스킬 아이템을 모두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확률이라는 우연적인 요소에 따라 그 성공이 좌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at is, even if a user has both an equipment item and a skill item, the success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a chance factor of probability.

이때 확률은 고정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고, 무작위적으로 변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probability may be fixed or may be configured to vary randomly.

이에 더하여 스킬 인챈트에 실패한 경우에는 일정한 벌칙, 예컨대 스킬 장착용 아이템이 소멸되도록 하는 등의 벌칙을 부여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f a skill enchantment fails, a penalty may be imposed such that a skill wearing item is destroyed.

도 9를 참조하여, 도 3의 단계 S213에서 스킬 인챈트가 이루어지는 과정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9, a specific example of a process of making an enchant in step S213 of FIG. 3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스킬 인챈트를 시도하면(S231), 해당 장비 아이템에 빈 소켓이 남아 있는지의 여부(S232), 해당 장비 아이템에 동일한 스킬이 이미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S233), 사용자 캐릭터의 게임 내 지위(예: 직업, 종족, 게임 레벨 등)가 해당 스킬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인지의 여부(234) 등을 확인한다.When the user attempts to enchant a skill (S231), whether or not an empty socket is left in the corresponding equipment item (S232), whether the same skill is already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equipment item (S233), the user's in-game status ( (E.g., occupation, race, game level, etc.) check whether the corresponding skill can be used (234).

즉, 스킬은 사용자 캐릭터의 게임 내 지위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것과 이용할 수 없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at is, the skills may be divided into those that can be used and those that cannot be used according to the in-game status of the user character.

단계 S232 내지 단계 S234에서의 확인 결과, 해당 장비 아이템에 빈 소켓이 남아 있고, 해당 장비 아이템에 동일한 스킬이 장착되어 있지 않으며, 사용자 캐릭터의 게임 내 지위가 해당 스킬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일정 확률에 따라 스킬 인챈트를 허용할 것인지를 결정한다(S235).If the result of the check in step S232 to step S234 indicates that an empty socket remains in the corresponding equipment item, the same skill is not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equipment item, and the user's in-game status of the character can use the skil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whether to allow the skill enchantment (S235).

단계 S235에서 스킬 인챈트를 허용할 것으로 결정되면(S236), 해당 스킬은 장비 아이템에 장착되고(S237), 스킬 인챈트는 성공한 상태로 종료된다(S238).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35 to allow the skill enchantment (S236), the skill is mounted on the equipment item (S237), and the skill enchantment ends in a successful state (S238).

그러나, 단계 S232 내지 단계 S234에서의 확인 결과, 해당 장비 아이템에 빈 소켓이 남아 있지 않거나, 해당 장비 아이템에 동일한 스킬이 장착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자 캐릭터의 게임 내 지위가 해당 스킬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이라면 스킬 인챈트는 실패한 상태로 종료된다(S238)However, if the result of the check in step S232 to step S234 indicates that there is no empty socket in the corresponding equipment item, the same skill is equipped in the corresponding equipment item, or the user's in-game status of the character cannot use the skill. The enchantment ends in a failed state (S238).

또한, 단계 S235에서 스킬 인챈트를 허용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도 스킬 인챈트는 실패한 상태로 종료된다(S236,S238)
In addition, eve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35 not to allow the skill enchantment, the skill enchantment is terminated in a failed state (S236, S238).

도 10은 스킬 인챈트가 성공한 경우 목검 아이템(311)의 속성 창(312)을 보인 것으로서, 비어 있던 소켓 중 하나(312-1)에 팔방풍우라는 스킬이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표시된다.
FIG. 10 shows the attribute window 312 of the wood sword item 311 when the skill enchant is successful, and it is indicated that one of the empty sockets 312-1 is equipped with a skill called an all-weather windstorm.

도 3으로 돌아가서, 단계 S213을 통해 장비 아이템에 스킬이 장착되면, 이제 사용자는 해당 스킬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온라인 게임 시스템은 사용자 캐릭터가 해당 스킬을 선택하고 장비 아이템을 사용하면, 해당 스킬의 효과가 나타나도록 처리한다(S214).3, when the skill is mounted on the equipment item through step S213, the user can now use the skill. That is, when the user character selects the corresponding skill and uses the equipment item, the online game system processes the effect of the corresponding skill to appear (S214).

도 10의 예로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팔방풍우라는 스킬을 선택한 상태에서 목검 아이템으로 상대방을 공격하면, 여덟 곳의 방향을 비바람이 몰아치듯 공격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되어 상대방에게 더욱 큰 타격을 줄 수 있다.Referring to the example of FIG. 10, when the user attacks the opponent with a wood sword item in a state of selecting a skill called palbang-woo, the effect of attacking like eight directions may appear to cause a greater blow to the opponent.

한편, 스킬 인챈트가 소정의 확률에 따라 성공하도록 구성되는 실시예는 사용자 캐릭터가 특정 확률 향상용 아이템을 획득한 상태인 경우 성공 확률을 높여 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embodiment in which the skill enchant is configured to succe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bability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the success probability when the user character has obtained a specific probability improving item.

예컨대 확률 향상용 아이템이 없을 때의 스킬 인챈트 성공 확률이 50%라고 가정하면, 확률 향상용 아이템이 있는 경우에는 스킬 인챈트 성공 확률을 70% 정도로 높여줄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re is a 50% chance of skill enchanting success when there is no item for improving probability, the probability of success of skill enchanting may be increased to about 70% when there is an item for improving probability.

또한, 사용자가 장비 아이템에 장착되어 있는 스킬을 제거하는 기능과 관련해서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with respect to the ability to remove the skills mounted on the equipment item.

예컨대 사용자가 언제든지 임의의 스킬을 선택적으로 삭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사용자가 특정 스킬 소거용 아이템을 가지고 있어야만 장비 아이템에서 스킬을 소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delete any skill at any time, but may be configured to delete a skill from the equipment item only if the user has a specific skill erasing item.

상기 확률 향상용 아이템이나 스킬 소거용 아이템 역시 온라인 상점에서 구매하거나 게임 내 활동을 통해 획득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The probability improving item or the skill erasing item may also be obtain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purchasing in an online store or obtaining in-game activities.

도 11은 확률 향상용 아이템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1a는 확률 향상용 아이템(361)의 외관을 보인 것이고, 도 11b는 확률 향상용 아이템(361)의 속성 창(362)을 보인 것이다.FIG. 1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robability improving item, FIG. 11A illustrates an appearance of the probability improving item 361, and FIG. 11B illustrates an attribute window 362 of the probability improving item 361.

도 11b의 속성 창(362)에는 이 게임 아이템의 이름(성물), 아이템의 종류, 무게, 용도 등에 관한 정보가 나타나 있다.In the attribute window 362 of FIG. 11B, information on the name (castle) of this game item, the type, weight, use, etc. of the game item is displayed.

도 12는 스킬 소거용 아이템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2a는 스킬 소거용 아이템(371)의 외관을 보인 것이고, 도 12b는 스킬 소거용 아이템(371)의 속성 창(372)을 보인 것이다.FIG. 12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kill erasing item, and FIG. 12A shows an appearance of the skill erasing item 371, and FIG. 12B shows an attribute window 372 of the skill erasing item 371.

도 12b의 속성 창(372)에는 이 게임 아이템의 이름(쑤세미), 아이템의 종류, 무게, 사용 가능 횟수, 용도 등에 관한 정보가 나타나 있다.
In the attribute window 372 of FIG. 12B, information on the name (slice) of the game item, the type of the item, the weight, the number of times available, the use, and the like are shown.

도 13은 확률 향상용 아이템(361)과 스킬 소거용 아이템(371)이 함께 나타나 있는 아이템 표시 창(341)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성물 아이템(361)을 포함하고 있는 하늘상자 창(350)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FIG. 13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tem display window 341 in which a probability enhancing item 361 and a skill erasing item 371 are displayed together, and FIG. 14 is a sky box window including a holy item 361. An example of 350 is shown.

사용자는 스킬 인챈트를 시도하기 위하여 장비 아이템(311)과 스킬 아이템(321)뿐 아니라 확률 향상용 아이템인 성물 아이템(361)도 하늘상자 창(350)의 아이템 모음 칸(352)으로 이동시킨다.The user moves not only the equipment item 311 and the skill item 321 but also the item item 361, which is a probability improving item, to the item collection box 352 of the sky box window 350 to attempt a skill enchant.

그리고 사용자가 '연단' 버튼(351)을 클릭하면 현재 하늘상자 창(350)의 아이템 모음 칸(352)에 포함되어 있는 목검 아이템(311)에 팔방풍우라는 스킬이 장착된다. 이때 성물 아이템(361)이 존재하기 때문에 도 8에서의 예와 같이 장비 아이템(311)과 스킬 아이템(321) 만이 존재할 때 보다 높은 확률로 스킬 인챈트가 성공하게 된다.
When the user clicks the podium button 351, a skill called palbangbang is installed on the wooden sword item 311 included in the item collection box 352 of the sky box window 350. At this time, since the holy item 361 exists,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8, when only the equipment item 311 and the skill item 321 exist, the skill enchantment is more successful.

도 15는 동일한 장비 아이템이라도 그 성능 내지 능력이 얼마든지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이다.15 is an example showing that even the same equipment item may vary in its performance or capability.

사용자 캐릭터 A가 장비 아이템인 목검 아이템에 스킬 #1과 스킬 #2를 장착하였다면, 이 목검 아이템은 게임 내에서 스킬 #1이나 스킬 #2에 따른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If user character A equips skill # 1 and skill # 2 on a wooden sword item, which is an equipment item, this wooden sword item exhibits the ability according to skill # 1 or skill # 2 in the game.

또한, 사용자 캐릭터 B가 장비 아이템인 목검 아이템에 스킬 #5와 스킬 #7을 장착하였다면, 이 목검 아이템은 게임 내에서 스킬 #5나 스킬 #7에 따른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In addition, if the user character B is equipped with skill # 5 and skill # 7 on the wooden sword item which is an equipment item, the wooden sword item exhibits the ability according to skill # 5 or skill # 7 in the game.

또한, 사용자 캐릭터 C가 장비 아이템인 목검 아이템에 스킬 #3과 스킬 #9를 장착하였다면, 이 목검 아이템은 게임 내에서 스킬 #3이나 스킬 #9에 따른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In addition, if the user character C is equipped with skill # 3 and skill # 9 on a wooden sword item which is an equipment item, the wooden sword item exhibits the ability according to skill # 3 or skill # 9 in the gam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사용자마다 자신이 원하는 스킬을 획득하여 장비 아이템에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동일한 장비 아이템이라도 그 능력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즉, 획일화된 장비 아이템에서 벗어나 여러 조합의 스킬이 부여된 다양한 장비 아이템이 나타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user may acquire a desired skill and mount it on the equipment item, and thus the same equipment item may vary in its ability. That is, various equipment items to which various combinations of skills are given may appear away from the uniform equipment item.

뿐만 아니라 종래의 롤 플레잉 게임에서는 스킬이 사용자 캐릭터의 장비 아이템에 종속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킬이 장비 아이템에 종속되는 형식으로 존재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role-playing game, the skill does not depend on the equipment item of the user character,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kill may exist in a form that depends on the equipment item.

이 경우 사용자 캐릭터가 게임 내에서 어느 장비 아이템의 착용을 해제하면 해당 장비 아이템에 장착된 스킬은 더 이상 사용 가능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게임 상황에 따라 어떤 장비 아이템을 착용할지를 결정해야 한다.In this case, when a user character releases a certain equipment item in the game, the skill mounted on the equipment item is no longer available, so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ich equipment item to wear according to the game situation.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더욱 다양한 전략을 세울 수 있게 되고, 게임의 자유도가 높아지므로, 게임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users can plan more various strategies and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game increases, which can induce interest in the game.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10: 사용자 단말 11: 게임 클라이언트
13: 통신망 20: 온라인 게임 시스템
21: 웹 서버 22: 업데이트 서버
23: 인증 서버 24: 게임 서버
25: 계정정보 데이터베이스 27: 게임 아이템 인벤토리
311: 장비 아이템
312,322,332,362,372: 속성 창
321: 스킬 아이템 331: 스킬 장착용 아이템
341: 아이템 표시 창 361: 확률 향상용 아이템
371: 스킬 소거용 아이템
10: user terminal 11: game client
13: Network 20: Online Gaming Systems
21: Web Server 22: Update Server
23: authentication server 24: game server
25: Account Information Database 27: Game Item Inventory
311: Equipment Item
312,322,332,362,372: Properties pane
321: Skill Item 331: Skill Equip Item
341: Item Display Window 361: Probability Improvement Item
371: Item for Skill Scavenging

Claims (5)

통신망을 통해 롤 플레잉 게임을 서비스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이 사용자 캐릭터에게 스킬을 부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캐릭터가 게임 내에서 장비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상기 장비 아이템은 스킬을 사용할 수 있는 게임 아이템으로서 스킬을 장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빈 소켓을 가지고 있음 -;
상기 사용자 캐릭터가 게임 내에서 자신의 장비 아이템에 장착할 스킬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캐릭터가 획득한 스킬이 상기 사용자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장비 아이템의 빈 소켓에 장착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캐릭터가 게임 내에서 상기 장비 아이템을 사용하면, 상기 장비 아이템에 장착되어 있는 스킬 중 현재 선택되어 있는 스킬의 효과가 나타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에 있어서의 장비 아이템에 대한 스킬 부여 방법.
In an online game system for serving role-playing game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method for granting a skill to a user character is provided.
Enabling the user character to acquire equipment items in the game, the equipment items having one or more empty sockets to which the skills can be equipped as game items that can use the skills;
Allowing the user character to acquire skills to equip his equipment item in the game;
Processing a skill acquired by the user character so as to be mounted in an empty socket of an equipment item possessed by the user character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If the user character uses the equipment item in the game, processing the effect of the currently selected skill from among the skills mounted on the equipment item to be displayed for the equipment item in the online role-playing game. How to grant ski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아이템에 장착할 스킬의 획득은 각 스킬에 대응하는 게임 아이템을 획득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에 있어서의 장비 아이템에 대한 스킬 부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cquiring a skill to be attached to the equipment item is obtained by obtaining a game item corresponding to each skill skill grant method for the equipment item in an online role-playing g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킬은 상기 사용자 캐릭터가 특정 스킬 장착용 아이템을 획득한 상태에서만 상기 장비 아이템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에 있어서의 장비 아이템에 대한 스킬 부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kill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equipment item only when the user character has acquired a specific skill wearing item.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킬을 상기 장비 아이템에 장착하는 과정은 소정의 확률에 따라 성공하거나 또는 실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에 있어서의 장비 아이템에 대한 스킬 부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method of attaching the skill to the equipment item is configured to succeed or fai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babilit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캐릭터가 특정 확률 향상용 아이템을 획득한 상태이면, 성공 확률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롤 플레잉 게임에 있어서의 장비 아이템에 대한 스킬 부여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f the user character has acquired a specific probability improving item, increase the probability of succ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skill grant method for the equipment item in an online role-playing game.
KR1020100093857A 2010-09-28 2010-09-28 Method for giving skill to character's equipment item in on-line role playing game KR20120032285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857A KR20120032285A (en) 2010-09-28 2010-09-28 Method for giving skill to character's equipment item in on-line role playing game
PCT/KR2011/007161 WO2012044073A2 (en) 2010-09-28 2011-09-28 Method for granting skills for equipment items in online role playing g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857A KR20120032285A (en) 2010-09-28 2010-09-28 Method for giving skill to character's equipment item in on-line role playing g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285A true KR20120032285A (en) 2012-04-05

Family

ID=45893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857A KR20120032285A (en) 2010-09-28 2010-09-28 Method for giving skill to character's equipment item in on-line role playing g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032285A (en)
WO (1) WO2012044073A2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969B1 (en) * 2012-06-08 2013-07-08 (주)네오위즈게임즈 Item consecutively upgrade method and server
KR101319955B1 (en) * 2012-06-08 2013-10-25 (주)네오위즈게임즈 Method for upgrading game item, server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KR101328080B1 (en) * 2012-06-29 2013-11-13 (주)네오위즈게임즈 Method for providing game service using auxiliary item, server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WO2013183832A1 (en) * 2012-06-08 2013-12-1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Method for enhancing game items, server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WO2013183837A1 (en) * 2012-06-08 2013-12-1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Method and server for enhancing items using game traffic
WO2013183835A1 (en) * 2012-06-08 2013-12-1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Method and server for enhancing items using retained items
KR101506374B1 (en) * 2012-12-21 2015-03-26 (주)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ems in online game
KR20150116475A (en) * 2014-04-04 2015-10-16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Method for playing card game and card game service system using the method
KR20150116474A (en) * 2014-04-04 2015-10-16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Method for playing card game and card game service system using the method
KR20160131214A (en) 2015-05-06 2016-11-16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Method and system for calculating gear adaptability of a game charact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333A (en) * 2004-06-08 2005-12-12 엔에이치엔(주) A system for online roll-playing racing game, and methods thereof
KR20060123694A (en) * 2006-11-14 2006-12-04 주식회사 월드비즈넷 The growing method of character quality using mobile terminal on mmorpg
KR20090021871A (en) * 2007-08-28 2009-03-04 주식회사 네오플 Chracter ability balancing method and server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3833A1 (en) * 2012-06-08 2013-12-1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Method, server, and recording medium for enhancing game item
KR101319955B1 (en) * 2012-06-08 2013-10-25 (주)네오위즈게임즈 Method for upgrading game item, server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WO2013183832A1 (en) * 2012-06-08 2013-12-1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Method for enhancing game items, server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WO2013183837A1 (en) * 2012-06-08 2013-12-1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Method and server for enhancing items using game traffic
WO2013183835A1 (en) * 2012-06-08 2013-12-1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Method and server for enhancing items using retained items
KR101282969B1 (en) * 2012-06-08 2013-07-08 (주)네오위즈게임즈 Item consecutively upgrade method and server
WO2013183838A1 (en) * 2012-06-08 2013-12-1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Method and server for continuously enhancing items
KR101328080B1 (en) * 2012-06-29 2013-11-13 (주)네오위즈게임즈 Method for providing game service using auxiliary item, server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WO2014003243A1 (en) * 2012-06-29 2014-01-03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game service using auxiliary item, server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KR101506374B1 (en) * 2012-12-21 2015-03-26 (주)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ems in online game
KR20150116475A (en) * 2014-04-04 2015-10-16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Method for playing card game and card game service system using the method
KR20150116474A (en) * 2014-04-04 2015-10-16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Method for playing card game and card game service system using the method
KR20160131214A (en) 2015-05-06 2016-11-16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Method and system for calculating gear adaptability of a game charac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44073A2 (en) 2012-04-05
WO2012044073A3 (en) 2012-05-24
WO2012044073A9 (en) 201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2285A (en) Method for giving skill to character's equipment item in on-line role playing game
US8738533B2 (en) Real-world items unlocking virtual items online and in video games
US11731054B1 (en) Multilayer framework architecture and user interface for video gaming applications
KR100456962B1 (en) A method for providing a character incorporated with game item functions, and a system therefor
KR1015164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characters to be manifested within a plurality of different virtual spaces
JP5623452B2 (en) Server system, program, server system control method, and network system
Manninen et al. The value of virtual assets: the role of game characters in MMOGs
JP6085094B2 (en) Server system, program and network system
JP2014090880A (en) Game control device, game control method, program, game system, and lottery device
JP2014090876A (en) Game control device, game control method, program, game system, and lottery device
JP2017099923A (en) Server system, program, control method of server system, and network system
WO2013141085A1 (en) Game system
Kerdvibulvech Geo-based mixed reality gaming market analysis
KR102186412B1 (en) Method for providing game content
KR100808629B1 (en) Method for Trading Game Character
US200301993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role playing and computer-user interaction
KR100883029B1 (en) Online Role-Playing Game Service System, Game Servi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201202830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hysical indication of an objective met in an entertainment platform
KR102383865B1 (en) Method for matching players in online battle game based on ai, sever and computer readalbe stroage medium of recording the metohd
KR20130099429A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online game interlcoked with social network game
JP2021106657A (en) Server system, game system, and program
KR20150055150A (en) Gam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fighting game of the same
KR20130099428A (en) Method of dynamically alteration game contents due to the change of the apparence of a game character and provision system thereof
KR101440078B1 (en) Ranking display metohd
KR20080011516A (en) System for providing game for multiple user via communicati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