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226A - Mobile device with extended display means - Google Patents

Mobile device with extended display m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4226A
KR20120014226A KR1020120000303A KR20120000303A KR20120014226A KR 20120014226 A KR20120014226 A KR 20120014226A KR 1020120000303 A KR1020120000303 A KR 1020120000303A KR 20120000303 A KR20120000303 A KR 20120000303A KR 20120014226 A KR20120014226 A KR 20120014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display means
extended
outsid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3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성
Original Assignee
김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성 filed Critical 김동성
Priority to KR1020120000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4226A/en
Publication of KR20120014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2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device with an expandable display unit is provided to enhance the convenience in using a mobile device with a large display screen. CONSTITUTION: A display unit(110) is installed inside a mobile device(100). A cylindrical rotary member(120) is installed inside the mobile device. The display unit is connected to the rotary member. The display unit is extended to outside by rotating the rotary member. When the display unit is extended to outside, a supporting unit(130) supports the display unit.

Description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in which the display means is extended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수단에 플렉시블 성질의 FOLED(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연성 유기 발광장치)를 적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외부로 확장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모바일 디바이스로 DMB 시청, 영화 감상이나 인터넷 검색시 보다 큰 대형화면을 제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블루투스 등 근거리통신이 가능한 모듈을 탑재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등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전자펜 기능, 무선 마우스 기능, 이어폰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전자장치를 별도로 제작하여 직접 핸드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조작함이 없이 간편하게 모바일 디바이스를 조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and a system in which the display means is expand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FOLED) having flexible properties on the display means of the mobile device. It is designed to be extended to a mobile device, so that users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ing a mobile device by providing a larger screen when watching DMB, watching a movie, or searching the Internet. By making a separat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perform electronic pen function, wireless mouse function, earphone function, etc. through local area communication such as mobile device and Bluetooth, mobile device can be easily operated without directly operating mobile device such as mobile phone.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and a system in which display means operable are expande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and a system in which the display means is extended.

모바일 디바이스의 급속한 발전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단순히 통화를 가능하게 해 주는 기능에만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집에서만 가능하게 했던 개인용 PC의 기능을 작은 손안에서 누릴 수 있게 라이프스타일을 비약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는 장소나 행동에 제약 받지 않고 무선 인터넷, 음악감상, 영화감상, 게임, 영상통화까지 휴대용 장치에서 개인용 PC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고 최근에는 회사의 업무를 이동하며 처리하거나 대학에서 강의 내용을 종이가 아닌 스마트폰에 필기 인식으로 메모를 하여 저장을 하는 정도로 계속 진화하고 있다. 이렇듯 기존의 단순한 기능이었던 모바일 디바이스가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된 컨버전스 제품으로 변해감에 따라 기능의 조작이나 메뉴의 이동 그리고 문자의 입력에 대한 효율성을 위한 입력기의 문제점과 사용자 중심의 방식으로 변화하여 현재는 전면이 풀터치 스크린 방식까지 진화하게 되었고 이는 외형 디자인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고 있다.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devices is not only aiming at making mobile devices available for making calls, but is changing the lifestyle dramatically so that you can enjoy the functions of a personal PC that you only have at home. This allows you to play the role of a personal PC on a portable device, from wireless Internet, to music, to movies, to games, to video calls, without being restricted by location or behavior. It continues to evolve to store notes by writing notes on smartphones rather than paper. As mobile devices, which were previously simple functions, have become multimedia convergence-enhanced convergence products, they have been changed to user-centered methods and problems of input methods for the operation of functions, the movement of menus, and the efficiency of text input. The front has evolved into a full touch screen system, which has changed the look of the design.

그러나, 사용자들은 고기능의 컨버전스 모바일 디바이스에 직관적인 UI와 문자 입력방식을 원하고 있고 업체들은 사용자들을 위해 사용자 경험디자인에 중점을 두고 문자 입력 방식을 제공하려 하고 있으나 기존에 입력 방식들은 하드웨어 키보드를 장착하고는 있지만 터치스크린의 버튼의 크기와 필기영역의 제한으로 터치스크린 방식에 따른 핑거터치를 이용한 문자입력이나 조작감에 있어 아직 불편한 면이 있으며 스크린 자체의 제한이나 범위가 한정되어 있고 제조사들의 입력방법의 차별화로 학습이 없이는 나이가 많으신 분들은 쉽게 사용을 하기가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users want an intuitive UI and text input method for high-performance converged mobile devices, and companies are trying to provide a text input method focusing on user experience design for users, but the existing input methods are equipped with a hardware keyboard.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ize and writing area of the touch screen button, there is still some inconvenience in character input or operation feeling using finger touch according to the touch screen method, and the limitation or range of the screen itself is limited. Without learning by age, older people had difficulty using it easily.

이를 위해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문자를 입력하거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편리한 인터페이스가 요구되고 또한, 모바일폰 등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DMB 시청이나 영화감상, 인터넷 검색이 생활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대형화면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하게 요구된다.
To this end, a convenient interface for inputting texts or operating functions is required for mobile devices, and in the reality that DMB viewing, movie watching, and Internet search are becoming more common in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the necessity of large screens is urgently required. do.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수단에 플렉시블 성질의 FOLED(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연성 유기 발광장치)를 적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외부로 확장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모바일 디바이스로 DMB 시청, 영화 감상이나 인터넷 검색시 보다 큰 대형화면을 제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form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FOLED) of flexible properties to the display means of the mobile device to be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The purpose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device in which the display means for the user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mobile device by providing a larger screen when watching DMB, watching a movie or searching the Interne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루투스 등 근거리통신이 가능한 모듈을 탑재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등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전자펜 기능, 무선 마우스 기능, 이어폰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전자장치를 별도로 제작하여 직접 핸드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조작함이 없이 간편하게 모바일 디바이스를 조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arry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is equipped with a module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to perform the electronic pen function, wireless mouse function, earphone function, etc.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nd the mobile devic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device system in which display means for easily operating a mobile device can be expanded without directly operating a mobile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내부에 장착되어 외부로 확장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수단;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이 연결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외부로 확장하는 원통형 회전부재; 및 디스플레이수단이 외부로 확장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의 확장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디스플레이수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부재의 외경면을 따라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외부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device in which the display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in the mobile device, the mobile device is formed to be mounted inside it can be extended to the outside Display means; A cylindrical rotating member mounted therein and connected to the display means and extending the display means to the outside by rotation; And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display means by extending the length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isplay means when the display means extends to the outside. As it is wound or unwou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nters into the mobile device or extends outward.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플렉시블 성질의 FOLED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flexible FOLED.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수단이 외부로 확장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의 표면을 닦는 클린수단을 더 포함한다.
The mobile device further comprises clean means for wiping the surface of the display means when the display means extends outward.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수단에 플렉시블 성질의 FOLED(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연성 유기 발광장치)를 적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외부로 확장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모바일 디바이스로 DMB 시청, 영화 감상이나 인터넷 검색시 보다 큰 대형화면을 제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applying a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FOLED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f the flexible nature to the display means of the mobile device to be formed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users to the mobile device When viewing a DMB, watching a movie, or browsing the Internet, a larger device may be provided, thereby providing a mobile device having an expanded display means for increasing convenience of using the mobile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루투스 등 근거리통신이 가능한 모듈을 탑재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등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전자펜 기능, 무선 마우스 기능, 이어폰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전자장치를 별도로 제작하여 직접 핸드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조작함이 없이 간편하게 모바일 디바이스를 조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module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to separately manufactur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carry out the electronic pen function, wireless mouse function, earphone function, etc.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nd mobile device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obile device system in which display means for easily operating a mobile device can be expanded without directly operating a mobile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지지수단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병풍처럼 형성된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panded state of the display means of the mobile device is extended display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various supporting means for supporting display means of a mobile device in which display mean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3 is a view showing a mobile device in which the display means formed like a folding scree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4 is a view showing a mobile device system in which the display means is extend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describing a mobile device in which the display means is extende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지지수단을 확대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panded state of the display means of the mobile device is extended display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view of various supporting means for supporting display means of a mobile device in which display mean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수단(110)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수단(110)과 회전부재(120)를 포함한다.The mobile device 100 in which the display means 110 is expande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display means 110 and the rotating member 120.

디스플레이수단(1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외부로 확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display means 110 is formed to be mounted inside the mobile device 100 and to be extended to the outside.

그리고, 회전부재(12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수단(110)이 연결되고, 회전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디스플레이수단(110)이 외부로 확장된다.In addition, the rotating member 120 is mounted inside the mobile device 100 so that the display means 110 is connected, and the display means 110 is extended to the outside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120.

이때, 회전부재(120)는 로울러 방식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rotating member 120 is preferably made of a cylindrical roller type.

즉, 디스플레이수단(110)은 이 원통형 회전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부재(120)의 외경면을 따라 감기거나 풀리도록 회전부재(120)에 연결되어, 회전부재(120)의 회전에 따라 디스플레이수단(110)이 감기거나 풀리면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외부로 확장된다.That is, the display means 110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member 120 to be wound or unrolled along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120 by the rotation of the cylindrical rotating member 120,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120 Accordingly, as the display unit 110 is wound or unrolled, the display means 110 enters into the mobile device 100 or extends outward.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수단(110)의 일단에 디스플레이수단(110)을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내부로 밀어 넣거나 외부로 확장시키기 위한 손잡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obile device 100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handle (not shown) for pushing the display means 110 into the inside of the mobile device 100 or extending outwardly at one end of the display means 110. .

또한, 디스플레이수단(110)을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외부로 확장하거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위의 손잡이부를 디스플레이수단(110)의 일단에 형성하는 방법 외에도 회전부재(120)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메뉴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forming the handle on one end of the display means 110 to extend the display means 110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100 or to enter the inside of the mobile device 100 You can also rotate automatically by menu operation of).

또한, 디스플레이수단(110)은 플렉시블 성질의 FOLED(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연성 유기 발광장치)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splay means 110 is preferably formed of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FOLED)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flexible nature.

즉, 디스플레이수단(110)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내부에 장착된 회전부재(120)에 감기도록 형성되기 위해서 휘어질 수 있는 얇은 재질의 디스플레이수단(110)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최근 구현되고 있는 유연한 FOLED를 채용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That is, the display means 110 of the thin material that can be bent in order to be formed to be wound around the rotating member 120 mounted inside the mobile device 100 is required, and for this purpose is recently implemented This is made possible by employing flexible FOLEDs.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볼 때,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수단(110)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수단(110)이 외부로 확장될 때 디스플레이수단(1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13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 and 2, the mobile device 100, to which the display means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displays the display means 110 when the display means 110 is extended to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upporting means 130 for supporting.

즉, 유연한 FOLED를 채용함으로써 얇은 재질의 디스플레이수단(110)을 구현하되 디스플레이수단(110)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외부로 확장될 때 디스플레이수단(11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수단(130)을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by adopting a flexible FOLED to implement the display means 110 of a thin material, but the support means for preventing the shaking of the display means 110 when the display means 110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100 ( It is desirable to mount 130 to mobile device 100.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수단(130)은 줄자에서 사용되는 재질과 같은 연성의 금속이나 특수 재질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수단(110)의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수단(110)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내부로 들어갈 때는 같이 구부러져 감기고, 디스플레이수단(110)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외부로 전부 확장될 때는 줄자와 같이 직선으로 펴져서 디스플레이수단(110)을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 the support means 130 is made of a soft metal or a special material such as a material used in a tape measure to form an edge of the display means 110 such that the display means 110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100. When entering the inside of the bent and wound together, when the display means 110 is fully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100 is preferably stretched in a straight line like a tape measure to fix the display means 110.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수단(130)은 위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되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support means 130 may be manufactured and form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즉, 지지수단(13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디스플레이수단(110)이 외부로 확장될 때 디스플레이수단(110)의 뒤에서 같이 펴지면서 디스플레이수단(110)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That is, the support means 13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mobile device 100 and is formed to support the display means 110 while being stretched together behind the display means 110 when the display means 110 is extended outward. It will be desirable.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수단(110)이 외부로 확장될 때 디스플레이수단(110)의 표면을 닦는 클린수단(1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clean means 140 for wiping the surface of the display means 110 when the display means 110 is extended to the outside.

즉, 디스플레이수단(110)이 내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형성된 홈을 살며시 덮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부드러운 재질의 클린수단(140)을 부착함으로써, 디스플레이수단(110)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내부로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는 홈을 통해 들어오는 먼지 등을 차단하고, 디스플레이수단(110)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외부로 확장될 때는 디스플레이수단(110)의 표면을 닦아주어 사용자가 별도로 디스플레이수단(110)을 닦을 필요없이 깨끗한 디스플레이수단(110)의 표면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That is, by attaching the clean means 140 made of a soft material to the mobile device 100 so as to gently cover the groove formed in the mobile device 100 so that the display means 110 can move in and out, the display means 110 is mobile. In the state of entering the device 100 to block the dust, etc. coming through the groove, and when the display means 110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100 by wiping the surface of the display means 110 the user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urface of the clean display means 110 without having to clean the display means 110 separately.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병풍처럼 형성된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mobile device in which the display means formed like a folding scree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도 3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볼 때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일측에 장착되어 필요시 디스플레이수단(110)을 접었다 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수단(110)을 병풍처럼 접이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Referring to FIG. 3, the mobile device 100 in which the display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mobile device 100 so that the display means 110 can be folded and unfolded when necessary. 110 may be folded like a folding scree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mobile device system in which the display means is extend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인터페이스장치(200)를 포함한다.The mobile device system in which the display mean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includes a mobile device 100 and an interface device 200.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구성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위에서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인터페이스장치(200)와 통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First, since the basic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device 100 has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device system communicating with the interface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인터페이스장치(200)는 소정의 근거리통신 모듈(미도시)을 탑재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The interface device 200 is equipped with a predetermined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to perform short rang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100.

이때, 근거리 통신모듈은 적외선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n infrared communication or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그리고, 인터페이스장치(200)는 손가락에 착용이 용이하도록 반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device 200 is preferably ring-shaped so as to be easily worn on the finger.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휴대하고 다니는 사용자들은 인터페이스장치(200)를 항상 손가락에 반지처럼 착용하고 다님으로써, 잃어버릴 염려가 없고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직접 조작할 필요없이 인터페이스장치(200)를 통해 단말기 조작이 가능하여 휴대단말기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users carrying the mobile device 100 always wear the interface device 200 as a ring on their fingers, so that they do not have to worry about losing it and do not need to directly manipulate the mobile device 100 anytime and anywhere. The terminal 200 can be operated to increase convenience of using a mobile terminal.

다만, 인터페이스장치(200)의 형상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하게 변형 제작이 가능하다.
However, the shape of the interface device 2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또한, 인터페이스장치(200)는 멀티버튼(210), 볼컨트롤러(220), 스피커(230), 마이크(240), 움직임감지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nterface device 200 includes a multi-button 210, a ball controller 220, a speaker 230, a microphone 240, a motion detector (not shown), and a controller (not shown).

마이크(240)와 스피커(230)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송신할 음성신호를 입력받거나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The microphone 240 and the speaker 230 receive a voice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100 through short rang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output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100.

이때, 제어부(미도시)가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해서 마이크(240)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송신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23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not shown) transmits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40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o the mobile device 100, receives the voice signal from the mobile device 100 through the speaker 230 Control the output.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전화가 걸려온 경우 블루투스 이어폰 및 마이크 기능이 장착된 손가락에 착용된 반지 형상의 인터페이스장치(200)를 이용하여 손을 귀 근처 등 편안한 곳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a call is made to the mobile device 100, the user can make a phone call while using a ring-shaped interface device 200 worn on a finger equipped with a Bluetooth earphone and a microphone function while placing a hand near a comfortable place. It becomes possible.

또한, 볼컨트롤러(220)는 인터페이스장치(200)의 외부에 장착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수단(110)에 표시된 마우스 커서를 조작한다.In addition, the ball controller 220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interface device 200 to manipulate the mouse cursor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110 of the mobile device 100.

이때, 제어부(미도시)가 볼컨트롤러(22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마우스 커서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전송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not shown) detects the movement of the ball controller 220,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use cursor,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mobile device 100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또한, 움직임감지부(미도시)는 인터페이스장치(2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In addition, the motion detection unit (not shown) detects the movement of the interface device 200.

그리고, 인터페이스장치(200)의 제어부(미도시)가 움직임감지부(미도시)에서 입력된 움직임을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제스처(Gesture)에 대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뉴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거나 필기데이터로 변환하고, 생성된 메뉴 제어 신호나 변환된 필기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not shown) of the interface apparatus 200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a menu of the mobile device corresponding to a preset gesture based on the movement input from the motion detector (not shown), or writes handwritten data. And converts the generated menu control signal or the converted handwriting data to the mobile device 100 through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이때, 움직임감지부는 관성 센서, 적외선 센서, 비전(vision) 센서, 초음파 센서 및 마이크로파 센서 등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tion detection unit may be an inertial sensor, an infrared sensor, a vision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microwave sensor, or the like.

즉,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장치(200)인 반지 등을 손가락에 착용한 상태에서 일정 제스처(Gesture)를 취하면 움직임감지부가 그 제스처를 감지하고 제어부가 감지된 제스처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제스처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일치된 제스처에 대응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뉴를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하고, 일치된 제스처 데이터가 없는 경우 필기 데이터로 변환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한다.That is, for example, when a certain gesture is taken while a ring or the like, which is the interface device 200, is worn on a finger, the motion detection unit detects the gesture, and the gesture detected by the controller is preset and stored. If it is determined to match, a signal for controlling a menu of the mobil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matched gesture is generated, and if there is no matched gesture data,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handwritten data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이때, 미리 멀티버튼(210)을 조작하여 메뉴 제어 신호 발생 제스처를 입력할 것인지, 필기 데이터를 입력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multi-button 210 may be operated in advance to set whether to input a menu control signal generation gesture or input writing data.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전자펜 기능 자체는 이미 구현되어 있는 기술로서 이를 인터페이스장치(200)에 적용하여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The electronic pen function itself for inputting a character may be variously manufactured by applying it to the interface device 200 as a technology already implemented.

즉, 사용자들은 반지가 착용된 손을 글자 모양으로 움직임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도 있고,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제스처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스처를 취함으로써, 쉽게 전화를 걸거나 받고, 문자를 삭제, 편집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at is, users can easily enter characters into the mobile device 100 by moving the ring-worn hand in a letter shape, and make a call easily by taking a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preset gesture data. Receive, delete, edit, and the like.

또한, 멀티버튼(210)은 인터페이스장치(200)의 외부에 장착되어 인터페이스장치(200)의 모드 설정 신호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메뉴 제어신호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multi-button 210 is mounted outside the interface device 200 to generate a mode setting signal of the interface device 200 or a menu control signal of the mobile device 100.

그리고, 인터페이스장치(200)의 제어부가 멀티버튼(210)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따라 인터페이스장치(200)의 모드 설정을 변경하거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메뉴 제어신호를 전송한다.The controller of the interface apparatus 200 changes the mode setting of the interface apparatus 200 according to a sign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ulti-button 210 or sends a menu control signal to the mobile device 100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send.

즉, 사용자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화가 오는 경우 멀티버튼(210)의 조작으로 블루투스 이어폰 및 마이크를 통한 전화통화 모드, 모바일 디바이스의 마우스 커서 제어모드,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문자를 전송하기 위한 필기모드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메뉴조작 모드로 전환하여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a call comes to a mobile device, the user can operate the multi-button 210 in a telephone call mode through a Bluetooth earphone and a microphone, a mouse cursor control mode in a mobile device, a handwriting mode for transmitting a text to another mobile device, and mobile. The necessary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switching to the menu operation mode of the device 100.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근거리통신 모듈(미도시)과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mobil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a controller (not shown).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근거리통신모듈이 인터페이스장치(200)의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전송된 각종 제어신호 및 필기데이터를 수신한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obile device 100 receives various control signals and writing data transmitted from a controller (not shown) of the interface apparatus 200.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제어부(미도시)가 위의 수신된 제어신호가 마우스 커서 제어신호인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액정화면이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수단(110)에 마우스 커서를 표시하고, 수신된 마우스 커서 제어신호에 따라 마우스 커서를 제어하여 메뉴 조작이나 인터넷 검색 작업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signal (not shown) of the mobile device 100 is the mouse cursor control signal, the control unit (not shown) moves the mouse cursor to the LCD screen mounted on the mobile device 100 or the display means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display and control the mouse cursor according to the received mouse cursor control signal to perform a menu operation or an internet search operation.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근거리통신모듈이 필기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미도시)가 수신된 필기데이터를 액정화면이나 디스플레이수단(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obile device 100 receives the writing data,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ler (not shown) controls to display the received writing data on the LCD screen or the display means 110.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근거리통신모듈이 인터페이스장치(200)의 멀티버튼(210)을 통해 생성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메뉴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제어부(미도시)가 수신된 신호에 따라 메뉴를 조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obile device 100 receives the menu control signal of the mobile device 100 generated through the multi-button 210 of the interface device 200 (not shown) Control the menu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 concep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0: 모바일 디바이스 110: 디스플레이수단
120: 회전부재 130: 지지수단
140: 클린수단 200: 인터페이스장치
210: 멀티버튼 220: 볼컨트롤러
230: 스피커 240: 마이크
100: mobile device 110: display means
120: rotating member 130: support means
140: clean means 200: interface device
210: multi-button 220: ball controller
230: Speaker 240: Microphone

Claims (3)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내부에 장착되어 외부로 확장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수단;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이 연결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외부로 확장하는 원통형 회전부재; 및
디스플레이수단이 외부로 확장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의 확장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디스플레이수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부재의 외경면을 따라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외부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In a mobile device, the mobile device,
A display means mounted inside and extending to the outside;
A cylindrical rotating member mounted therein and connected to the display means and extending the display means to the outside by rotation; And
When the display means is extended to the outside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display means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display means;
The display means,
A mobile device, wherein the display means is expanded into or out of the mobile device as the rotary member rotates along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the rotary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은,
플렉시블 성질의 FOLED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means,
A mobile device, the display means is extende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flexible FOL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수단이 외부로 확장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의 표면을 닦는 클린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확장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obile device,
And the display means further comprises clean means for wiping the surface of the display means when the display means extends to the outside.
KR1020120000303A 2012-01-02 2012-01-02 Mobile device with extended display means KR201200142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303A KR20120014226A (en) 2012-01-02 2012-01-02 Mobile device with extended display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303A KR20120014226A (en) 2012-01-02 2012-01-02 Mobile device with extended display mean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586A Division KR20120000293A (en) 2010-06-25 2010-06-25 Display unit expanding mobile device and th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226A true KR20120014226A (en) 2012-02-16

Family

ID=4583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303A KR20120014226A (en) 2012-01-02 2012-01-02 Mobile device with extended display m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4226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587A (en) * 2015-05-20 2016-11-30 김민형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US9519313B2 (en) 2014-12-16 2016-12-13 Samsun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US9836087B2 (en) 2014-12-22 2017-12-05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9313B2 (en) 2014-12-16 2016-12-13 Samsun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US9836087B2 (en) 2014-12-22 2017-12-05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KR20160136587A (en) * 2015-05-20 2016-11-30 김민형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552B1 (en) Fold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interfacing thereof
JP6366309B2 (en) User equipment object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6627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olling for electronic device
EP2977880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CN104049744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with lid
KR101850821B1 (en) Mobile terminal and message display method for mobile terminal
US8627235B2 (en) Mobi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assigning user-drawn input gestures to functions
KR101629645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60062489A1 (en) Multi-surface controller
JP6509695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134744A1 (en) Icon mov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101694787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2018013466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9228297A1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terminal
CN108509105B (en)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method and terminal
KR20150059517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20160120103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81012A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27502A (en)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50086032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40125218A (en)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using electronic pe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23853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82722A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844702B (en)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input equipment
JP7446441B2 (en) Image cropp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