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7502A -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7502A
KR20100027502A KR1020080086442A KR20080086442A KR20100027502A KR 20100027502 A KR20100027502 A KR 20100027502A KR 1020080086442 A KR1020080086442 A KR 1020080086442A KR 20080086442 A KR20080086442 A KR 20080086442A KR 20100027502 A KR20100027502 A KR 20100027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flexible display
displayed
area
mai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4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무희
김종환
박남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6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7502A/en
Publication of KR20100027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50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PURPOSE: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flexible display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solve the inconvenience in an input operation by expanding the display region through the internal flexibility inside the mobile terminal. CONSTITUTION: First and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151b,151c) are extended between front case(100A-1) and a rear case(100A-2). When a user moves a first packing unit(211a) in the right direction,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is unfolded in the right side of the main display unit(151a). When the user moves a second packing unit(211b) in the left side,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is unfolded in the left side of the main display unit.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have each display region.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flexible display uni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확장 또는 축소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uni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for changing and outputting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in response to expansion or reduction of the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It is about a method.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for making voice and video calls,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nd storing data. As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s are diversified, they are equipped with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pictures or videos, playing music files or video files, playing games, receiving broadcasts, wireless Internet, and the like. It is implemented in the form.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 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양면에서 보이는 양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전면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 변화도 요구되고 있다. In the mobile terminal implemented in the form of such a multimedia device, new attempts have been applied in various ways in terms of hardware and software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for a user to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easily and conveniently. In addition, while the mobile terminal is regarded as a personal portable product for expressing the personality of the user, various types of design changes such as a double-sided LCD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front touch screen are also required.

그런데,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이나 휴대성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display)나 키패드(keypad)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공간 할당에 제약이 존재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구조의 메뉴를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방식 대신 새로운 입출력 방식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However, since a mobile terminal must consider mobility and portability, there is a limitation in allocating space for a user interface such as a display or a keypad. Therefore, in order to efficiently use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a new input / output method instead of sequentially selecting a menu having a complicated structur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연장 정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하고,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표시되는 오브젝트가 가변되도록 하며, 터치 입력가능한 입력수단을 구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display unit and a portable display device that enlarges or reduces the display area according to the extent of extens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allows objects displayed according to the display area to be variable, and implements a touch inputable input means. A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적어도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적어도 하나 펼쳐지는 단계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터치 키패드 입력창 및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과 관련된 보조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ain display unit and at least one flexible display unit, wherein the flexible display unit at least in one direction of the main display unit And unfolding one or outputting at least one of a touch keypad input window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and an auxiliary menu related to a screen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메인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펼쳐짐을 감지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터치 키패드 입력창 및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에 관련된 보조메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unfolding of the main display unit, the at least one flexible display unit, and the flexible display unit, and among the sub-menus related to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and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at least one.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 연성을 이용하여 말아 감겨있거나, 접혀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펼쳐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다량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영역에 터치 입력이 가능한 입력수단을 구현하여 휴대 단말기의 작은 사이즈에 따른 입력의 불편함 및 조작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lexible display unit which is rolled up or folded using a ductility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is expanded to expand a display area, thereby displaying an input means capable of displaying a large amount of data and allowing touch input to the display area. Therefore, inconvenience of input and troublesome operation can be eliminated according to the small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d an output unit 150. , A memory 160, an interface unit 170, a controller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Such components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two or more components into one component, or by dividing one or more components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cessary when implemented in an actual application.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7, and a GPS module 119.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In this case,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 terrestrial channel, and the like.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pre-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terminal.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 systems, and in particula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nd media forward link only (MediaFLO). ), Digital broadcast signals may be received using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such as DVB-H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and ISDB-T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 systems providing broadcast signals as well as such digital broadcast systems. 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voice call signal, video call signal, or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 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may be embedded or external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7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etc. may be used. The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119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3.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all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wo or more cameras 121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3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and output in the call mode. The microphone 123 may use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 finger mouse,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151 described later,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detects a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Generate a sensing signal.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may be sensed. In addition, it may be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supplied with power,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센싱부(14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141)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접근하는 물체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근접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구성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pproaching object or an object present in the vicinity without mechanical contact.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detect a proximity object by using a change in an alternating magnetic field or a change in a static magnetic field, or by using a change rate of capacitance. Two or more proximity sensors 141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 configuration.

센싱부(140)는 자이로센서(Gyro Sensor)(14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142)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관성센서,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자이로스코프에는 기계식 자이로스코프, 고리형 레이저 자이로스코프, 광섬유 자이로스코프 등이 있다. 자이로센서(142)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한다.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gyro sensor 142. The gyro sensor 142 is a concept includ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using a gyroscope, an inertial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Gyroscopes include mechanical gyroscopes, ring laser gyroscopes, and fiber optic gyroscopes. The gyro sensor 142 detects a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vid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센싱부(140)는 중력센서(143)을 포함할 수 있다. 중력센서(143)은 휴대 단말기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모든 종류의 센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중력센서(143)는 무게추를 가변저항에 연결하고 회전에 따른 저항의 변화로 현재 단말기의 회전상태를 감지하거나, 중심부에 도전성 물체를 두고, 회전에 대응하여 도전성 물체가 접촉된 방향에 대응하여 회전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gravity sensor 143. The gravity sensor 143 is a concept including all kinds of sensors for detecting the rota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The gravity sensor 143 connects the weight to the variable resistor and detects the current state of rotation of the terminal by the change of resistan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r places the conductive object in the center, and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ductive object is in contact with the rotation. The rotation state can be detected.

또한, 센싱부(1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말아 감겨있는 축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 등을 더 포함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의 펼쳐짐을 감지하여 제어부(180)로 인가한다.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40 further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pressure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a sensor for detecting rotation of an axis on which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rolled up, and the like to detect the unfolding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to the controller 180. Is authorized.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햅틱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The output unit 150 includes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3, an alarm unit 155, a haptic module 157, and the like. This may include.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a call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display a captured or received image, respectively, or simultaneously, and display a UI and a GUI.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 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touch pad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to form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If the display unit 151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touch screen panel, a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panel is a transparent panel attached to the outsid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bu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touch screen panel keeps an eye on the contact result and sends corresponding signals to the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when there is a touch input. The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so that the controller 180 can know whether there is a touch input and which area of the touch screen has been touched.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display (3D display). In addition,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ex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and the in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may be simultaneously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53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module 153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nd a message reception sound. The sound output module 153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The alarm unit 155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and the like. The alarm unit 155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example, the signal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vibration. The alarm unit 155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when a call signal or a message is received. In addition, when the key signal is input, the alarm unit 155 may output the signal as a feedback to the key signal input. The user may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rough the signal output from the alarm unit 155. Of course, the signal for event occurrence notification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sound output module 153.

햅틱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효과가 있다. 햅틱모듈(157)이 촉각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haptic module 157 generates various haptic effects that a user can feel.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7 is a vibration effect. When the haptic module 157 generates vibration by the tactile effect,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7 may be converted, and may be output by synthesizing different vibrations or sequentially.

햅틱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모듈(157)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구성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haptic module 157 is not only caused by vibration, but also by stimulation by an arrangement of pins vertically moving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Various tactile effects can be generated, such as effects of stimulation through contact of electrodes, effects of stimulation using electrostatic force, and effects of reproducing a sense of cold and warm using elements capable of endothermic or exothermic heat. The haptic module 157 may not only deliver the haptic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also implement the haptic effect through the muscles of the user's finger or arm. The haptic module 157 may be provided with more than the configuration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80 and may provid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or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It can also be don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M The storage medium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5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Exampl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and the like, and an audio I / O (Input). / Output) terminal, video I / O (Input / Output) terminal, earphone, and the like. The interface unit 170 may receive data from such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 power and transmit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transmit data in the mobi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 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unit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may be configured in hardware in the controller 180 or in software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180.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2, 3 and 4,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appearanc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bar type portable terminal having a front touch screen among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folder type, a bar type, a swing type, a slider type, and the lik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bar type portable terminal, but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portable terminals including the aforementioned type.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case forming the exterior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formed by the front case 100A-1 and the rear case 100A-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00A-1 and the rear case 100A-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0A-1 and the rear case 100A-2. Such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 제 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제1 사용자 입력부(130a), 제2 사용자 입력부(130b), 제3 사용자 입력부(130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의 측면에 제 4 사용자 입력부(130d),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In the main body,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00A-1, the main display unit 151a,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3a, the first camera 121a, the first user input unit 130a, and the second user input unit 130b. The third user input unit 130c may be disposed. The fourth user input unit 130d and the microphone 123 may be disposed on side surfaces of the rear case 100A-2.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가 연장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may be extended between the front case 100A-1 and the rear case 100A-2.

사용자는 제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의 일단에 연결된 제1 팩킹부(211a)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제 1 팩킹부(211a)를 우로 움직일 경우,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말려 들어가 있는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가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의 우측으로 펼쳐진다. The user may move the first packing part 211a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from side to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When the first packing part 211a is moved to the right, the main flexible display part 151a includes the first flexible display part 151b that is rolled up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00A-1 and the rear case 100A-2. Unfolds to the right of.

또한,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의 일단에 연결된 제 2 팩킹부(211b)를 화살표 방향에 따라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제 2 팩킹부(211b)가 좌로 움직일 경우,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말려 들어가 있는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가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의 좌측으로 펼쳐진다. In addition, the second packing part 211b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may be moved left and righ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When the second packing part 211b moves to the left, the main flexible display part 151a includes the first flexible display part 151b that is rolled up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00A-1 and the rear case 100A-2. Unfolds to the left of.

펼쳐진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다. Unfolded first and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have display areas.

제어부(180)는 제1 또는 제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가 펼쳐지면, 연장된 제 1 또는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의 길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를 산출한다. 제어부(180)는 제 1 또는 제 2 플렉서블 디 스플레이부(151b, 151c)의 디스플레이 영역(151c)에 표시된 오브젝트가 제1 또는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의 연장 정도, 특히 연장 길이에 대응하여 변화하도록 한다. When the first or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are unfolded, the controller 180 calculates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lengths of the extended first or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The controller 18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151c of the first or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b or 151c is extended to the first or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b or 151c, in particular an extension length. Make changes in response.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 또는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main display unit 151a or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nd the like, which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Since the touch pad is superimposed on the display unit 151 in a layer structure, the display unit 151 may operate as a touch screen, so that input of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may be possible.

특히,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는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말려 들어갈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다. In particular,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ar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rolled in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case 100A-1 and the rear case 100A-2.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3a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The first camera 121a may be implemented to be suitab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or the like. The microphone 123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uitable for receiving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user input units 130a, 130b, and 130c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user input unit 130,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operating in a tactile manner.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통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130c)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pad that may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or may be operated by a wheel or jog method or a joystick that rotates a key. Or the like. In the functional aspect, the first user input unit 130a is for inputting a command such as a start, end, call, etc., and the second user input unit 130b is for inputting a selection of an operation mode. In addition, the third user input unit 130c may operate as a hot-key for activating a special fun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사용자의 손가락이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는 경우, 제1 바디 등에 설치된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한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근접센서에 검출물체가 접근하여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이와 같이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하여,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검출물체가 어느 정도 근접하였는지 알 수 있다.When the user's finger approaches the display unit 151, the proximity sensor 141 installed on the first body detects this and outputs a proximity signal. At this time, i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different proximity signals according to the distance the user's finger is located.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detection object approaching the proximity sensor and the output of the proximity signal is generally referred to as the detection distance. When using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having different detection distances, the proximity signals output from each proximity sensor are compared. It is possible to know how close the detection object is.

또한, 검출영역이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배치하여 이들 근접센서 중에서 어느 근접센서로부터 근접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파악하여, 근접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으로 접근하는지 여부와, 검출물체가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여 이동하는지 여부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근접한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키를 선택하여 대응하는 햅틱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having different detection areas are arranged to determine which proximity sensor is output from among the proximity sensors to determine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the proximity object approaches, and the detection object. May be determined to move closer to the display unit 151. Accordingly,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o output a corresponding haptic signal by selecting a touch key corresponding to a proximity position of a user's finger or the like.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기울거나 흔들면 자이로센서(142)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자이로센서(142)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제어부(180)는 자이로센서(142)에서 발생한 신호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방향, 각도, 속도, 세기, 현재 위치 등 움직임에 관련된 정보를 검출한다. When the user tilts or shakes the portable terminal, the gyro sensor 142 detects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gyro sensor 142 generat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180. The controller 180 detec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movement, such as the direction, angle, speed, intensity, and current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signal generated by the gyro sensor 142.

제어부(180)는 자이로센서(142)에서 발생한 신호로부터 검출한 정보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트랙킹한다. 자이로센서(142)를 구성하는 부품에 따라 자이로센서에서 발생한 신호로부터 검출할 수 있는 정보를 다를 수 있다. 휴대 단말기에는 검출하고자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따른 자이로센서(142)가 구비된다. 자이로센서(142)는 휴대 단말기에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검출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응하여 자이로센서(142)가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시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tracks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signal generated by the gyro sensor 142. Depending on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gyro sensor 142 may be different information that can be detected from the signal generated by the gyro sensor.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gyro sensor 142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be detected. At least one gyro sensor 142 may b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gyro sensor 142 to operate only when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to be detected.

휴대 단말기를 회전하면 중력센서(143)는 회전상태를 감지하고 감지한 회전상태에 대응하는 회전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180)는 중력센서(143)에서 발생한 회전신호에서 휴대 단말기가 90도 단위로 회전한 정보를 검출하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면을 회전한다. When the mobile terminal rotates, the gravity sensor 143 detects a rotation state and generates a rot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rotation state. The controller 180 rotates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when the mobile terminal detects information rotated by a 90 degree unit from the rot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gravity sensor 143.

화면의 회전은 중력센서(143)의 감도에 따라 미세하게 실시될 수 있지만, 표시의 편의성과 실시간 표시를 위하여 90도 단위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90도 회전한 경우, 제어부(180)는 중력센서(143)에서 발생한 회전신호를 통해 휴대 단말기가 90도 회전한 상태임을 검출한다. 제어부(180)는 회전 전에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었던 화면을 휴대 단말기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도록 90도 회전하여 표시한다. 휴대 단말기가 180도 회전한 경우, 제어 부(180)는 회전 전에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화면을 상하 반전하여 표시한다. The screen may be rotated finely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of the gravity sensor 143. However, the screen may be rotated by 90 degrees for convenience of display and real-time display.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rotated by 90 degrees,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rotated by 90 degrees through the rot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gravity sensor 143. The controller 180 rotates and displays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by 90 degrees so as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rotated 180 degrees, the controller 180 inverts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upside down before the rotation.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리어케이스(100A-2)의 측면에서는 제5 사용자 입력부(130e),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의 팩킹부(211b)가 배치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A-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2. Referring to FIG. 3, a packing part 211b of the fifth user input unit 130e and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rear case 100A-2, and the rear case 100A-2 may be disposed. The second camera 121b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camera 121b may have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121a, and may have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camera 121a.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video call or the like, the first camera 121a has a low pixel so that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and the second camera 121b photographs a general subject and does not transmit it immediately. In many cases, it is desirable to have a high pixel.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거울(125)과 플래쉬(126)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거울(125)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플래쉬(126)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The mirror 125 and the flash 126 may b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121b. The mirror 125 allows the user to see his / her own face or the like when the user wants to photograph (self-photograph) the second camera 121b. The flash 126 illuminates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121b.

리어 케이스(100A-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A second sound output module (not shown)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rear case 100A-2. The second sound output module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3a, and may be used for a call in the speakerphone mode.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A-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 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 인터페이스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A-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antenna (not shown) and an interface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econd rear case 100A-2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a call. The antenna may be installed to be pulled out of the rear case 100A-2.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interface unit (not shown) serves as a path allowing the mobile terminal 100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may be at least one of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the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or a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by wire or wirelessly. The interface unit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ommodate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nd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A-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rear case 100A-2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for example, a rechargeable battery,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case 100A-2 for charging.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camera 121b and the like are disposed on the rear case 100A-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even if the second camera 12b is not separately provided, the first camera 121a may be rotatably formed to be able to shoot up to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second camera 121b.

도 4,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이다. 4 and 5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 및 도 5의 (a)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는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 연장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As shown in FIGS. 4A and 5A,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is extendable between the front case 100A-1 and the rear case 100A-2. It is provided.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는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말려 들어가 있으며,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의 일단에 연결된 제 3 팩킹부(211d)를 화살표 방향에 따라 아래로 움직일 경우,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가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의 하부에 펼쳐진다. 사용자가 제 3 팩킹부(211d)를 아래로 잡아 당기는 경우,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진다.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is rolled into a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00A-1 and the rear case 100A-2,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the third packing unit 151d). When 211d) is mov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is spread out below the main display unit 151a. When the user pulls down the third packing part 211d, the third flexible display part is unfolded.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는 제 3 팩킹부(211d)를 상, 하로 움직임에 따라 상, 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는 제 1 디스플레이영역(151d-1)을 갖는다.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may move up and down as the third packing unit 211d moves up and down. In this case,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has a first display area 151d-1.

또한, 도 4의 (b) 및 도 5의 (b) 와 같이,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는 좌, 우로 디스플레이 영역이 확장된다.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는 접혀진 형태로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말려 들어가 있으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51d-1)이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진 제 2 및 제 3 디스플레이 영역(151d-2,151d-3)이 좌우로 펼쳐질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B and 5B, the display areas of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extend left and right.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is folded into the front case 100A-1 and the rear case 100A-2 in a folded form, and the folded second and the second display regions 151d-1 are unfolded. The third display areas 151d-2 and 151d-3 may spread from side to side.

이때,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는 흰지 등의 연결수단을 통해 제 1,2,3 디스플레이 영역(151d-1, 151d-2, 151d-3)이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play regions 151d-1, 151d-2, and 151d-3 through connecting means such as white paper.

제어부(180)는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가 펼쳐지는 것을 감지하고, 펼쳐진 길이, 연장된 길이 및 면적에 대응하여,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에 표시되는 화면이 변경되도록 한다.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at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is unfolded and changes the screen displayed on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in response to the unfolded length, the extended length, and the area.

제어부(180)는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의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51d-1)이 1 단계 펼쳐지는 것을 감지하고, 제 2 또는 제 3 디스플레이 영역(151d-2, 151d-3)영역이 단계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감지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 2,3 디스플레이 영역(151d-2, 151d-3)의 펼쳐진 각도 또는 가해지는 압력의 정도가 센싱부(140)에 의해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펼쳐짐 여부를 감지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말아 들어가 있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말아진 축의 회전 여부가 센싱부(140)에 의해 감지되면 이를 바탕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펼쳐짐을 감지한다.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at the first display area 151d-1 of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is unfolded by one step, and the second or third display areas 151d-2 and 151d-3 Detect spreading step by step.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unfolded angle of the second and third display areas 151d-2 and 151d-3 or the degree of pressure applied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140,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Detect it. In addition,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rolled up,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e unfolding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based on the sensing unit 140 when it i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140 that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rotated.

그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의 펼쳐진 영역의 면적에 대응하여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배율, 모양, 종류, 갯수가 변경되도록 한다. 특히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의 제 1,2,3 디스플레이 영역(151d-1, 151d-2, 151d-3)의 펼쳐짐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이한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표시되는 배율이 변경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controller 180 may change the magnification, shape, type, and number of object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of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to correspond to the area of the unfolded area of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do. In particular, as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play areas 151d-1, 151d-2, and 151d-3 of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are unfolded, different objects may be displayed on each display area, or the displayed magnification may be increased. To be changed.

도 6,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이다.6 and 7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3 실시예에서, 제 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e)는 리어 케이스(100A-2)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케이스(210) 사이에 연장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의 하부에 펼쳐진다. In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the fourth flexible display unit 151e is provided to extend between the rear case 100A-2 and the flexible display case 210, and is spread below the main display unit 151a.

제 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e)의 일단에 연결된 제 4 팩킹부(211e)를 화 살표 방향에 따라 하로 움직일 경우, 제 4 플렉서블 디스프레이부(151e)가 펼쳐지며, 제 4 팩킹부(211e)를 화살표 방향에 따라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제 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e)가 상하로 움직인다. 이때 제 4 팩킹부(211e)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케이스(210)에 끼움되어 고정된다. When the fourth packing part 211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ourth flexible display unit 151e is moved downward in the arrow direction, the fourth flexible display part 151e is unfolded and the fourth packing part 211e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fourth flexible display unit 151e moves up and down as the user moves up and down. In this case, the fourth packing part 211e is fitted to the flexible display case 210 and fixed.

제 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e)는 접힌 상태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케이스(210) 내부에 삽입되며,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의 하부에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진 부분이 단계적으로 펼쳐짐으로써 디스플레이 영역이 연장된다. The fourth flexible display unit 151e is inserted into the flexible display case 210 in a folded state, and in a state in which the fourth flexible display unit 151e is unfol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display unit 151a, the display area is extended by gradually expanding the folded portion.

제어부(180)는 제 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e)가 펼쳐지는 경우, 연장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따라 표시되는 오브젝트가 변경되거나, 표시된 오프젝트의 배율이 변경되도록 한다. 제어부(180)는 제 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e)가 1 단계 펼쳐진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51e-1)에 오브젝트가 표시되고, 접혀진 제 2 또는 제 3 디스플레이 영역(151e-2, 151e-3)이 좌우로 펼쳐지면, 오브젝트가 확대 표시되거나, 제 2 또는 제 3 디스플레이 영역(151e-2, 151e-3)에 별도의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한다. When the fourth flexible display unit 151e is unfolded, the controller 180 changes the displayed object or the magnification of the displayed object according to the extended display area. When the fourth flexible display unit 151e is unfolded in one step,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n object on the first display area 151e-1, and the folded second or third display areas 151e-2 and 151e-3. ) Is expanded to the left or right, the object is displayed enlarged, or a separate object is displayed on the second or third display areas 151e-2 and 151e-3.

여기서, 리어 케이스(100A-2)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케이스(210)는 회전 가능한 회전수단으로 연결되며, 제 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e)가 펼쳐진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00A-2)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케이스(210)가 90도 회전되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Here, the rear case 100A-2 and the flexible display case 210 are connected by rotatable rotation means, 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fourth flexible display unit 151e is unfolded, the rear case 100A-2 or the flexible display case. The 210 may be rotated 90 degrees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main display unit 151a.

이때, 제어부(180)는 리어 케이스(100A-2)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케이스(210)가 회전됨을 감지하여,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의 위치 변경에 따라 표시 되는 오브젝트의 표시 방향이 변경되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at the rear case 100A-2 or the flexible display case 210 is rotated so that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displayed object is changed as the position of the main display unit 151a is changed.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제1, 2, 3 실시예에서 보여진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 내부에 말려있거나, 별도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케이스 내부에 말려 있을 수 있고, 접혀진 상태에서 단계적으로 펼칠 수 있도록 형성될 뿐 아니라, 그외에도 다른 형태로 접힐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제1,2,3실시예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e flexible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olled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as shown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r may be rolled inside a separate flexible display case, and may be unfolded in a folded state. In addition to being formed, it also includes a flexible display that can be folded in other forms. The flexible display unit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8 and 9 are flowcharts referred to for describ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에 제 1 오브젝트를 표시한다(S410).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되는 제 1오브젝트는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또는 메뉴아이콘 등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제 1 또는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를 펼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연장되기 전에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가 활성화된다.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는 휴대 단말기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 first object on the main display unit 151a of the portable terminal (S410). The first object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151a is a content 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a screen or a menu icon of an application executed on the portable terminal. Here, the main display unit 151a is activated before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extended by the user unfolding the first or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The main display unit 151a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portable terminal.

제어부(180)는, 말려있거나 접혀있는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의 펼쳐짐을 감지한다(S420).The controller 180 detects unfolding of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that is curled or folded (S420).

제어부(180)는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가 펼쳐져 디스플레이 영역이 연장되면, 제 2 오브젝트를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의 디스플레이 영 역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의 연장길이에 따라 제 2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배율이 변경되도록 한다.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second object in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when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is extended to extend the display area.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changes the magnification of displaying the second object according to the extension length of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제어부(180)는 말려있거나 접혀있는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의 펼쳐짐을 감지한다(S440). 제어부(180)는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가 펼쳐져 디스플레이 영역이 연장되면, 제 3 오브젝트를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와 같이,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의 연장길이에 따라 제 3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배율이 변경되도록 한다. The controller 180 detects unfolding of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that is curled or folded (S440).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third object on the display area of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when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is extended to extend the display area.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80, like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causes the magnification of the third object to be displayed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xtension length of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제 2 또는 제 3 오브젝트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된 제 1 오브젝트에 관련된 보조메뉴가 표시될 수 있으며, 또는 터치 키패드 입력창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터치 키패드 입력창은 터치 입력이 가능한 소정 자판 배열의 키보드 형태로 표시된다. As the second or third object, an auxiliary menu related to the first object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151a may be displayed, or a touch keypad input window may be displayed. In this case,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keyboard of a predetermined keyboard layout capable of touch input.

보조메뉴는 메시지 리스트,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에 대응하는 재생리스트, 전화번호부, 통화리스트, 카메라 촬영에 따른 설정메뉴, 동시동작 가능한 멀티태스크메뉴 등과 같이, 제 1 오브젝트의 보조메뉴거나, 제 1 오브젝트에 관련된 메뉴 또는 리스트가 될 수 있다. The sub-menu may be a sub-menu of the first object or related to the first object, such as a message list, a playlist corresponding to playing multimedia content, a phone book, a call list, a setting menu according to camera shooting, a multi-task menu capable of simultaneous operation, and the like. It can be a menu or a list.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와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제 2, 제3 오브젝트는 각각 좌우에 배치되며, 그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하나의 오브젝트가 분할되어,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와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에 표시될 수 있다.The second and third object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s of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and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may b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nd their positions may be changed. In some cases, one object may be divided and displayed on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and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여기서,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가 펼쳐진 후에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가 펼쳐지는 것은 아니며, 순서에 관계없이 제어부(180)는 제 1 또는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의 펼쳐짐을 감지하여, 제 2 오브젝트 또는 제 3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한다. Here, after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is unfolded,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is not unfolded, and regardless of the order, the controller 18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or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The unfolding is detected to display the second object or the third object on the display area.

또한, 제어부(180)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 또는 제 1 또는 제 2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연장된 길이 또는 면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나 아이콘을 표시한다. 문자 또는 아이콘을 통해 표시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연장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연장 가능한 총 길이 또는 면적에 대한 정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현재 연장된 길이또는 면적에 대한 정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현재 더 연장 가능한 길이 또는 면적에 대한 정보 등이다. 사용자는 연장된 길이 또는 면적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나 아이콘을 바탕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추가 연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 letter or an icon indicating information on an extended length or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on the main display unit 151a or the first or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The extension in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which can be displayed through a letter or an ic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total length or area that the flexible display unit can extend, information about the length or area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currently extended, or a length that the flexible display unit can now further extend. Or information about the area. The user may determine whether to further extend the flexible display unit based on a character or an icon representing information about an extended length or area.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에 제 1 오브젝트를 표시한다(S410).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되는 제 1 오브젝트는 휴대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컨텐츠,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또는 메뉴아이콘 등이다. Referring to FIG. 9,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first object on the main display unit 151a of the portable terminal (S410). The first object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151a is a content played on the portable terminal, a screen or a menu icon of an application executed on the portable terminal.

제어부(180)는, 말려있거나 접혀있는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가 1 단계 펼쳐짐을 감지한다(S5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연장되면, 제어부(180)는 연장된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면적 또 는 길이를 산출한다. 디스플레이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연장 길이 또는 면적에 대응한다.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at the rolled or folded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is unfolded in one step (S520).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extended, the controller 180 calculates an area or length of the display area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extended first flexible display unit. The display area corresponds to an extension length or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제어부(180)는, 제 1 단계 펼쳐진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2 오브젝트를 표시한다(S530).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second object on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unfolded in the first step (S530).

제어부(180)는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가 제 2 단계 펼쳐짐을 감지한다(S540). 이때,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는 제 2 단계 펼쳐짐에 의해 디스플레이 영역이 확장된다.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at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is unfolded in the second step (S540). In this case,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expands the display area by expanding the second step.

제어부(180)는 1 단계에서 2 단계로 디스플레이 영역이 확장된,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 제 2 오브젝트를 확대하여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확장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3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한다(S550). 여기서, 제 2 오브젝트의 확대 표시 또는 제 3 오브젝트의 표시 여부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된 오브젝트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설정에 따라 지정된 오브젝트가 출력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enlarges and displays the second object displayed on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in which the display area is expanded from step 1 to step 2, or causes the third object to be displayed on the extended display area. (S550). Here, whether the enlarged display of the second object or the display of the third object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object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151a, and an object designated according to a setting may be output.

또한, 제어부(180)는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가 3 단계 펼쳐짐을 감지한다(S560). 이때,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는 3 단계 펼쳐진 경우 2 단계 펼쳐진 경우보다 펼쳐진 면적이 넓어지므로, 디스플레이 영역이 확장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detects unfolding of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in three steps (S560). In this case, when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is unfolded in three stages, the unfolded area becomes wider than in the unfolded two stages, and thus the display area is expanded.

제어부(180)는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의 확장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2 오브젝트를 확대하여 표시하거나, 제 3 또는 제 4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S570). 제 2 단계 펼쳐진 경우, 제 2 오브젝트가 확대표시된 경우라면, 제 3 단계 펼쳐짐 시, 제 2 오브젝트가 보다 확대되어 표시되거나, 확장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3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2 단계 펼쳐진 경우, 제 2 오브젝트와 제 3 오브젝트가 표시된 경우, 제 3 단계 펼쳐짐 시, 제 2 또는 제 3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가 확대 표시되거나, 제 2 또는 제 3 오브젝트와는 다른 새로운 제 4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80 can enlarge and display the second object or display the third or fourth object in the extended display area of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S570). When the second step is expanded, when the second object is enlarged, when the third step is expanded, the second object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or the third object may be displayed on the expanded display area. Further, when the second stage is unfolded, when the second object and the third object are displayed, when the third stage is unfolded, at least one of the second or third objects is enlarged and displayed, or a new agent different from the second or third object. 4 Objects can be displayed.

상기와 같이,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가 단계적으로 펼쳐짐에 따라 제어부(180)가 이를 감지하여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소정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것은,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is unfolded step by step,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is and displays a predetermined object on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It may be applied to the unit 151c, and may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한편, 제 1 또는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가 단계적으로 접히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로 말이 감아지는 경우, 전술한 경우와 반대로 디스플레이 영역이 감소되고, 제어부(180)는 감소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축소 표시하거나, 표시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를 삭제하여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or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are folded in stages or the horse is wound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the display area is reduced in contrast to the case described above, and the controller 180 is applied to the reduced display area. The displayed object is reduced in size, or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ed objects is deleted so as not to be displayed.

여기서, 표시된 오브젝트가 삭제되는 순서는 단계적으로 펼쳐짐에 따라 표시되는 순서의 역순으로, 가장 마지막에 표시된 오브젝트가 가장 먼저 삭제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를 우선 삭제하거나, 선택된 오브젝트만을 남기고 나머지 오브젝트를 삭제할 수 있다. Here, the order in which the displayed objects are deleted is in the reverse order of the order in which the displayed objects are unfolded, so that the last displayed object is deleted first. In some cases, the object selected by the touch input may be deleted first, or the remaining objects may be deleted while leaving only the selected object.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오브젝트가 확대 표시되거나, 축소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 1 또는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여, 오브젝트가 표시된 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로,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연장된 면적 또는 길이, 축소된 면적 또는 길이에 따라 오브젝트의 표시 비율을 가변하여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object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is enlarged or reduced in size, the controller 180 maintains a constant ratio in which the object is display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or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In a state of being enlarged or reduc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a variable display ratio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extended area or length, the reduced area or the length.

또한, 디스플레이 영역이 감소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면적 또는 연장길이에 대응하여 표시된 오브젝트의 일부분만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area is reduced,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only a part of the displayed object corresponding to the area or the extension length of the display area.

도 10 내지 도 1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을 다양한 일실시예와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고되는 도면이다.10 to 1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various embodiments.

도 10은 휴대 단말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확장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의 표시예이다. 이하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펼쳐진 정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변화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의 펼치짐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오브젝트가 변경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10 is a display example of a display area according to expansion of a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Hereinafter, the change of the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ccording to the unfolding degree of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may be changed in response to the unfolding of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Applicable to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에 메시지 입력창을 표시하고, 제 1 또는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가 펼쳐짐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의 메시지 입력창(220)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로써, 터치 키패드 입력창을 제 1 또는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에 표시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 message input window on the main display unit 151a, detects this as the first or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are opened, and detects the main display unit ( As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message input window 220 of 151a,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is displayed on the first or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 말려있거나 접혀있는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는 좌측 방향으로 펼쳐짐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이 확장된다. As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which is curled or folded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is extended in the left direction, the display area is expanded.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가 제 1 단계 펼쳐지면,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제 1 연장길이(L2)만큼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영역이 확장된다. As shown in FIG. 10A, when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is unfolded in the first step,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extends by the first extension length L2 to extend the display area.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의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제 1 디스플레이부(151a)의 메시지 입력창에 대응하여, 키보드 형태의 터치 키패드 입력창이 표시된다. 제어부(180)는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가 제 1 연장길이(L2) 만큼 연장되므로 그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 1 크기의 터치 키패드 입력창(227)을 표시한다. In the display area of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a keyboard-type touch keypad input window is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message input window of the first display unit 151a. Since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extends by the first extension length L2, the controller 180 calculates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and corresponds to the calculated size of the display area. The input window 227 is displayed.

도 10의 (b)와 같이,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가 좌측으로 제 2 단계 펼쳐지면,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는 제 2 연장길이(L4)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영역이 확장된다. 제어부(180)는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가 제 2 연장길이(L4)로 연장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의 산출하고 그에 대응하여, 제 1 크기의 터치 키패드 입력창(227)보다 크게 확대하여, 제2 크기의 터치 키패드 입력창(228)을 표시한다. As shown in FIG. 10B, when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is unfolded to the left in the second step,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extends to the second extension length L4, thereby expanding the display area. do. The controller 180 calculates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as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extends to the second extension length L4 and, correspondingly, enlarges the display panel 227 larger than the first size touch keypad input window 227.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228 of the second size is displayed.

도 10의 (c)와 같이,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가 좌측으로 제 3 단계 펼쳐지면,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는 제 3 연장길이(L6)로 연장되어,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이 확장된다. 제어부(180)는 확장된 제 3 연장길이(L6)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고, 표시된 오브젝트인 터치 키패드 입력창을 확대하여 제 3 크기의 터치 키패드 입력창(229)을 표시한다. As shown in FIG. 10C, when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is extended to the left by a third step,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extends to the third extension length L6, thereby resulting in a display area. This is expanded. The controller 180 calculates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third extension length L6, and enlarges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that is the displayed object to display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229 having the third size.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가 오른쪽으로 말아 감기거나 접히는 경우,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연장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제어부(180)는 축소 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터치 키패드 입력창을 축소하여 표시한다. 단계적으로 도 10의 (c)에 표시된 제 3 크기의 터치 키패드 입력창(229)이 도 10의 (b)의 제 2 크기의 터치 키패드 입력창(228)으로 축소 표시되고, 도 10의(a)에 표시된 제 1 크기의 터치 키패드 입력창(227)으로 축소 표시된다. When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is rolled up or folded to the right, as the extension length of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is changed, the controller 180 reduces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reduced display area. Display. Step by step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229 of the third size shown in (c) of FIG. 10 is reduced to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228 of the second size of FIG. 10 (b), and (a) of FIG. The first size of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227 is reduced.

도 11 은 휴대 단말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또는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터치 키패드 입력창이 표시되는 예이다. FIG. 1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touch keypad input window is displayed on a display area of a first or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도 11을 참조하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에 메시지 입력창이 표시되고,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가 펼쳐짐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의 메시지 입력창(220)에 대응하여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에 키보드 형태의 터치 키패드 입력창이 표시된다. Referring to FIG. 11, as the message input window is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151a and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are unfolded, the message input window 220 of the main display unit 151a is displayed. Correspondingly, a keyboard-type touch keypad input window is displayed on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이때, 제어부(180)는 터치 키패드 입력창을 두 영역으로 분할하여, 터치 키패드 입력창의 제 1 영역(221)은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하고, 나머지 제 2 영역(222)은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에 표시한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divides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into two areas, and displays the first area 221 of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on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and the remaining second area 222 is formed by the first area 221. 2 is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c.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된 메시지 입력창(220)을 기준으로 터치 키패드 입력창이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에 각각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양손을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를 터치함으로서,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Since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s are displayed on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based on the message input window 220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151a, the user may use the first and second hands with both hands. Data is input by touching the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에 터치 입력 발생 시,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문자, 숫자 또는 특수문자를 입력받아,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의 메시지 입력창에 표시한다. The controller 180 receives a letter, a number, or a special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position when a touch input is generated on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and a message input window of the main display unit 151a. Mark on.

도 12는 휴대 단말기의 제 1 실시예에서, 오브젝트가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에 각각 표시되는 예이다. 1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n object is displayed on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도 12를 참조하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의 메시지 입력창(220)이 표시되고,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의 펼쳐짐을 감지하여,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각각 상이한 오브젝트를 출력한다. Referring to FIG. 12, the message input window 220 of the main display unit 151a is displayed, and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e unfolding of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to detect the unfolding of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Different objects are output to the display areas of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respectively.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에 숫자 터치 키패드 입력창(223)이 표시되도록 하고,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에는 터치 키패드 입력창(224)이 표시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12A, the controller 180 causes the numeric touch keypad input window 223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and the touch keypad on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The input window 224 is displayed.

이때,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의 연장길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면적을 산출하고, 그에 따라 숫자 터치 키패드 입력창(223) 또는 터치 키패드 입력창(224)가 소정 크기로 표시되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calculates an area of the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and accordingly, the numeric touch keypad input window 223 or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224 is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size.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는 제 1 단계 펼쳐진 상태에서 제 4 연장길이(L1)에 따라 제 1 크기의 숫자 터치 키패드 입력창(223)이 표시되고,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는 제 3 단계 펼쳐진 상태로 제 3 연장길이(L6)에 대응하여 제 2 크기의 터치 키패드 입력창(224)이 표시된다.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displays a numeric touch keypad input window 223 of a first size according to a fourth extension length L1 in a first stage unfolded state, and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displays a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224 of the second size is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third extension length L6 in the unfolded state in three steps.

이때, 표시되는 터치 키패드 입력창의 위치는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터치 입력 또는 소정의 데이터 설정 시, 표시된 위치의 변경 또한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displayed touch keypad input window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tting, and when the touch input or predetermined data is set by the user, the displayed position may also be changed.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는 제 6 연장길이(L5)로 펼쳐져,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3 크기의 터치 키패드 입력창(225)이 표시되고,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는 제 1 연장길이(L2)로 펼쳐짐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크기의 숫자 터치 키패드 입력창(226)을 표시한다. As shown in FIG. 12B,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is extended to the sixth extension length L5 so that a touch keypad input window 225 having a third siz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displays the numeric touch keypad input window 226 of the first size in the display area as the first extended length L2 is unfolded.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 터치 키패드 입력창(225)이 터치 후,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로 드래그되는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와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에 표시된 오브젝트가 상호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의 터치 키패드 입력창(225)을 터치 후,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까지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와 제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의 표시 오브젝트가 상호 변경되어,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에 숫자 터치 키패드 입력창이 표시되고,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에 터치 키패드 입력창이 표시될 수 있다., When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225 displayed on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is touched and dragged to the main display unit 151a, an object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151a and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Can be interchanged with each other. Also, when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225 of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is touched and then dragged to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and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 The display objects of 151c may be interchanged so that a numeric touch keypad input window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and a touch keypad input window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도 13은 휴대 단말기의 제 1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 151c)에 보조메뉴가 표시되는 예이다. 1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n auxiliary menu is displayed on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제 1 또는 제 2 플랙시브 디스플레이부(151b, 151c)는 터치 키패드 입력창 또는 숫자 터치 키패드 입력창 외,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보조메뉴가 표시된다. In addition to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or the numeric touch keypad input window, the first or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151b and 151c display an auxiliary menu corresponding to the object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151a.

도 13의 (a)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 목록(230)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되면,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에 수신된 메시지 목록에 대응하는 보조 메뉴로, 선택된 메시지에 첨부된 첨부파일목록(231)이 표시되고,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에는 터치 키패드 입력창(232)이 표시된다. As shown in FIG. 13A, when the received message list 230 is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151a, a sub-menu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message list is displayed on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The attached attachment file list 231 is displayed, and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232 is displayed on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도 13의 (b)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에 메시지 입력창(220)이 표시되면,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의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터치 키패드 입력창(233)이 표시되고,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의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된 메시지 입력창(220)에 대하여, 작성되는 메시지에 첨부된 첨부파일목록(234)이 표시된다. As shown in FIG. 13B, when the message input window 220 is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151a,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233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of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In the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c, the attachment list 234 attached to the message to be created is displayed on the message input window 220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151a.

도 14는 휴대 단말기의 제 1 실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오브젝트에 대응하여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보조메뉴 또는 관련메뉴가 표시되는 예이다. 1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n auxiliary menu or a related menu is displayed on the first and second flexible display units in response to an object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휴대 단말기가 다른 단말기로 통화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에는 통화연결창(240)이 표시된다. 이때, 제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b)는 통화 상대에 관련된 정보, 예를들어, 통화상대에 대하여 전화번호부에 저장된 정보가 표시되거나, 또는 통화 상대로 부터 수신된 수신메시지(241)가 표시될 수 있다.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된 통화 연결창(240)에 대응하여, 최근 통화목록(242)이 표시된다. When the mobile terminal attempts to connect to another terminal, the call connection window 240 is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151a. In this case, the first flexible display unit 151b may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a call partner, for example, information stored in a phone book with respect to a call partner, or a received message 241 received from a call partner. .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displays a recent call list 242 corresponding to the call connection window 240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151a.

경우에 따라, 통화연결 중 동시에 실행 가능한 메뉴가 제 1 또는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In some cases, a menu which can be executed simultaneously during a call connection may be selectively displayed on either the first or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한편, 제 1 또는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오브젝트에 포함된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의 오브젝트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c)에 표시된 최근 통화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통화가 시도되면, 휴대단말기는 선택된 상대의 단말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 전화번호 목록 등의 오브젝트가 표시된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에는 통화연결창(240)이 표시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any one of data included in an object displayed on the first or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is selected, an object of the main display unit 151a may be changed. For example, if one of the recent call lists displayed on the second flexible display unit 151c is selected and a call is attempted, the mobile terminal attempts to connect to the terminal of the selected counterpart and displays an object such as a list of telephone numbers. The call connection window 24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a.

도 15 는 휴대 단말기의 제 2 실시예에서, 제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예이다. FIG. 1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n object is displayed on a display area of a third flexible display unit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전술한 도 4 및 5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제 2 실시예에서,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의 하부에 펼쳐진다.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S. 4 and 5 described above,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is spread out below the main display unit 151a.

휴대 단말기의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는 하향으로 펼쳐짐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의 하부에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연장되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소정의 오브젝트가 표시된다.As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of the portable terminal extends downward, a display area of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extends below the main display unit 151a to correspond to an object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151a. The object of is displayed.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에 메시지 입력창(250)이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의 펼쳐짐을 감지하고,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터치 키패드 입력창(251)을 출력한다. When the message input window 250 is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151a,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e spread of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and touches the display area of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The keypad input window 251 is output.

이때,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는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계 펼쳐진 경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51d-1)에 터치 키패드 입력창이 표시된다. 이때,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는 일부가 접혀진 상태로, 제 2 및 제 3 디스플레이 영역(151d-2, 151d-2)이 배면에 접혀진 상태로 위치한다. In this case, when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is unfolded in the first step, as illustrated in FIG. 15A,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area 151d-1. In this case, a part of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is folded, and the second and third display areas 151d-2 and 151d-2 are positioned in a state of being folded on the rear surface.

제 2 및 제 3 디스플레이 영역(151d-2, 151d-2)가 펼쳐지면, 제어부(180)는 제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d)가 제 2 단계 및 제 3 단계로 펼쳐지는 것을 감지하여, 도 15의 (b)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디스플레이 영역(151d-1 내지 151d- 3) 전체에, 확대된 터치 키패드 입력창(252)을 표시한다. When the second and third display areas 151d-2 and 151d-2 are unfolded,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at the third flexible display unit 151d is unfolded in the second and third steps, and FIG. 15. As shown in (b), the enlarged touch keypad input window 252 is displayed on the entire first to third display areas 151d-1 to 151d-3.

여기서, 제어부(180)는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51d-2)이 우선 펼쳐지고, 제 3 디스플레이 영역(151d-3)이 단계적으로 펼쳐지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터치 키패드 입력창의 크기 또한 단계적으로 확대 표시되도록 한다. Herein, when the second display area 151d-2 is first unfolded and the third display area 151d-3 is unfolded, the controller 180 also gradually enlarges the size of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To be displayed.

도 16 및 도 17은 휴대 단말기의 제 3 실시예에서, 제 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예이다.16 and 17 illustrate examples of displaying an object on a fourth flexible display unit in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전술한 도 6 및 7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제 3 실시예에서,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위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케이스(210) 내에 말아 감겨있거나, 접혀 있는 제 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e)는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의 하부에 펼쳐져 소정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한다. 6 and 7, the fourth flexible display unit 151e, which is rolled up or folded in the flexible display case 210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the main display unit (see FIG. 6 and 7). It is spread out below 151a to display a predetermined object on the display area.

이때, 휴대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케이스(210)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가 좌 또는 우로 90도 회전된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40)의 중력센서(142) 또는 자이로센서(142)에 의해, 회전이 감지되면, 메인 디스플레이부(151a)에 표시되는 오브젝트(260)가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In this case, since the flexible display case 210 is rotatable, the portable terminal is rotated 90 degrees left or right as shown in FIG. 16. When the rotation is detected by the gravity sensor 142 or the gyro sensor 142 of the sensing unit 140, the controller 180 corresponds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object 260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151a. Make sure it is displayed in landscape orientation.

제 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e)가 도 16의 (a)와 같이 제 2 단계 펼쳐진 상태에서, 도 16의 (c)와 같이 제 3 단계로 펼쳐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를 감지하여, 제 2 크기의 터치 키패드 입력창(261)이 제 3 크기의 터치 키패드 입력창(262)으로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한다. When the fourth flexible display unit 151e is unfolded in the third step as shown in FIG. 16 (c) in a state in which the fourth flexible display unit 151e is unfolded in the second step as shown in FIG. 16A,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is and The two-size touch keypad input window 261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third-size touch keypad input window 262.

한편, 제 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e)가 도 16의 (a)와 같이 제 2 단계로 펼쳐진 상태에서 제 3 단계로 펼쳐져, 디스플레이 영역이 확장되는 경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새로운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ourth flexible display unit 151e is unfolded in the third stage in a state in which the fourth flexible display unit 151e is unfolded in the second stage as shown in FIG. 16A, the display area is expanded, as shown in FIG. A new object can be displayed in the area.

예를 들어 제 2 단계로 펼쳐진 제 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e)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사진 목록(264)이 썸네일로 표시되는 상태에서, 제 3 단계 펼쳐짐에 의해 디스플레이 영역이 확장되면, 확장된 영역에 카메라 보조메뉴(263)가 표시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icture area 264 is displayed as a thumbnail on the display area of the fourth flexible display unit 151e expanded in the second step, when the display area is expanded by expanding in the third step, the camera is extended to the expanded area. The submenu 263 may be displayed.

휴대 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말아 들어가 있거나 접혀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하여 소정의 오브젝트를 출력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활용하여 다량의 데이터를 출력함과 동시에, 터치 입력이 가능한 입력수단으로 구현하여 데이터 입력에 따른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which is rolled up or folded is unfolded, the mobile terminal detects this, expands the display area, outputs a predetermined object, and outputs a large amount of data by utilizing the flexible display unit as a display unit. By implementing the input means capable of touch input, the operability according to data input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portable terminal and its oper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are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May be optionally combined.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 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processor readable codes on a processor readable recording medium provided i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station modem (MSM).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Examples of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processor-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 4 and 5 are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및 후면 사시도, 6 and 7 are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순서도,8 and 9 are flowcharts referred to for describing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도 1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을 다양한 일실시예와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고되는 도면이다.10 to 1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various embodiments.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A / V input unit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130: user input unit 140: sensing unit

150 : 출력부 160 : 메모리 150: output unit 160: memory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170: interface unit 180: control unit

Claims (17)

메인 디스플레이부와, 적어도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In the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main display unit and at least one flexible display unit,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적어도 하나 펼쳐지는 단계; 및Spreading at least on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in one direction of the main display unit; And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터치 키패드 입력창 및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과 관련된 보조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And outputting at least one of a touch keypad input window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and an auxiliary menu associated with a screen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단계적으로 상이한 면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spread in different areas in stages.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진 면적에 대응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And a size of a screen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an area where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spread ou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 1 영역에 상기 터치 키패드 입력창을 표시하고, 제 2 영역에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과 관련된 보조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Splitting the scree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into at least one area to display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in a first area, and to display a sub menu related to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part in a second area.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제 1 영역에 상기 보조메뉴를 출력하고, 제 2 영역에 상기 제 1 영역에 표시된 보조메뉴와 상이한 제 2 보조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Dividing the screen of the flexible display into at least one area, outputting the submenu to a first area, and displaying a second submenu different from the submenu displayed on the first area to a second are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펼쳐지고,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spread out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display unit, respectively.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좌측에 펼쳐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좌측 영역에 상기 터치 키패드 입력창을 표시하고,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is displayed on a left reg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which is opened on the left side of the main display unit.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우측에 펼쳐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우측영역에 상기 보조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And displaying the auxiliary menu on a right side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displa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일방향으로 1 단계 펼쳐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The flexible display un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unfolding one step in any one direction of the main display unit,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터치 키패드 입력창 및 상기 보조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And outputting at least one of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and the auxiliary menu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1 단계 펼쳐진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2단계 펼쳐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The flexible display unit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unfolding in two stag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unfolded state of the first stage,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터치 키패드 입력창 및 상기 보조메뉴 중 적어도 하나가 확대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And at least one of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and the auxiliary menu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enlarged and displayed.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2 단계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In a state where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unfolded in the two steps, the scree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divided into at least one region,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터치 키패드 입력창 및 상기 보조메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The touch keypad input window and the sub menu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are displayed.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가 회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And rotating the main display unit.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연동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이 확대되어,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The flexible display unit interlocks with the main display unit, and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and the flexible displa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메뉴는 메시지 리스트,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에 대응하는 재생리스트, 전화번호부, 통화리스트, 카메라 촬영에 따른 설정메뉴, 동시동작 가능한 멀티태스크메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The auxiliary menu may be any one of a message list, a playlist corresponding to playing multimedia content, a phone book, a call list, a setting menu according to camera shooting, and a multitask menu capable of simultaneous operation. 메인 디스플레이부;A main display unit; 적어도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및At least one flexible display unit; And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펼쳐짐을 감지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터치 키패드 입력창 및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에 관련된 보조메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ct the unfolding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so that at least one of a touch keypad input window and an auxiliary menu related to a screen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unit is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상, 하, 좌, 우 중 적어도 일방향으로 펼쳐지는 휴대 단말기.The flexible display unit extends in at least one direction of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main display unit.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단계에 따라 상이한 면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nfolded in different areas according to the step. 제 1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펼쳐진 면적에 대응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flexible display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adjusted in response to the unfolded area. 제 1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어느 일방향으로 1 단계 펼쳐지고, 상기 1 단계 펼쳐진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2단계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spread in one direction in any one direction of the main display unit,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unfolded in two stag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expanded state of the first stage. 제 1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display unit unfolds.
KR1020080086442A 2008-09-02 2008-09-02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000275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442A KR20100027502A (en) 2008-09-02 2008-09-02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442A KR20100027502A (en) 2008-09-02 2008-09-02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502A true KR20100027502A (en) 2010-03-11

Family

ID=42178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442A KR20100027502A (en) 2008-09-02 2008-09-02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7502A (en)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3736A3 (en) * 2009-04-20 2011-03-31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based state change for an adaptive input device
CN102289283A (en) * 2010-06-16 2011-12-21 微软公司 Status change of adaptive device
KR101103120B1 (en) * 2010-03-10 2012-01-04 김용석 Mobile-terminal with banding type flexible display
WO2012151418A3 (en) * 2011-05-03 2013-01-17 Echostar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CN103123560A (en) * 2011-11-18 2013-05-29 三星显示有限公司 Display device
WO2013089476A1 (en) * 2011-12-15 2013-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hanging screen mode using the same
WO2013103278A1 (en) * 2012-01-07 2013-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WO2013147333A1 (en) * 2012-03-27 2013-10-03 Lg Electronics Inc. Optimiz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based on length of pulled out flexible display screen
KR20140052570A (en) * 2012-10-25 2014-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40084869A (en) * 2012-12-27 201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interacting with flexible device and user terminal thereof
KR20140100149A (en) * 2013-02-05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device containing fel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of
US9230468B2 (en) 2011-08-10 2016-01-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9317190B2 (en) 2013-07-11 2016-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s and methods thereof
US9704932B2 (en) 2014-02-10 2017-07-11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US9720637B2 (en) 2014-04-16 2017-08-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9836148B2 (en) 2015-01-13 2017-12-05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having guide for movement of the flexible display
KR200487368Y1 (en) 2018-01-08 2018-09-07 정대선 Portable terminal having a scroll type flexible display
KR20200125892A (en) * 2019-04-25 2020-11-05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Screen deployment and storage assembly and terminal
CN113157184A (en) * 2021-04-26 2021-07-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Content display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3704714A (en) * 2020-05-20 2021-11-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Password verification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ited B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3736A3 (en) * 2009-04-20 2011-03-31 Microsoft Corporation Context-based state change for an adaptive input device
KR101103120B1 (en) * 2010-03-10 2012-01-04 김용석 Mobile-terminal with banding type flexible display
CN102289283A (en) * 2010-06-16 2011-12-21 微软公司 Status change of adaptive device
US11416031B2 (en) 2011-05-03 2022-08-16 DISH Technologies L.L.C. Mobile device with an expandable screen
US10409330B2 (en) 2011-05-03 2019-09-10 DISH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CN103620967A (en) * 2011-05-03 2014-03-05 艾科星科技公司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US10317944B2 (en) 2011-05-03 2019-06-11 DISH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WO2012151418A3 (en) * 2011-05-03 2013-01-17 Echostar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US9927839B2 (en) 2011-05-03 2018-03-27 DISH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CN103620967B (en) * 2011-05-03 2016-11-02 艾科星科技公司 There is the communicator of extendable screen
US9230468B2 (en) 2011-08-10 2016-01-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3123560A (en) * 2011-11-18 2013-05-29 三星显示有限公司 Display device
CN103123560B (en) * 2011-11-18 2017-10-27 三星显示有限公司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US9019313B2 (en) 2011-11-18 2015-04-2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O2013089476A1 (en) * 2011-12-15 2013-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hanging screen mode using the same
US10244091B2 (en) 2012-01-07 2019-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US9491272B2 (en) 2012-01-07 2016-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US9300772B2 (en) 2012-01-07 2016-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WO2013103278A1 (en) * 2012-01-07 2013-07-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US11165896B2 (en) 2012-01-07 2021-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US9438709B2 (en) 2012-01-07 2016-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US10178208B2 (en) 2012-01-07 2019-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US9602644B2 (en) 2012-01-07 2017-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vent of 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unit
USD775625S1 (en) 2012-01-07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USD775124S1 (en) 2012-01-07 2016-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US9262059B2 (en) 2012-03-27 2016-02-16 Lg Electronics Inc. Optimiz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based on length of pulled out flexible display screen
KR20140146992A (en) * 2012-03-27 201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Optimiz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based on length of pulled out flexible display screen
WO2013147333A1 (en) * 2012-03-27 2013-10-03 Lg Electronics Inc. Optimiz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based on length of pulled out flexible display screen
KR20140052570A (en) * 2012-10-25 2014-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40084869A (en) * 2012-12-27 201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interacting with flexible device and user terminal thereof
US9589529B2 (en) 2013-02-05 2017-03-07 Lg Electronics Inc. Device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954388A4 (en) * 2013-02-05 2016-09-14 Lg Electronics Inc Device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4123272A1 (en) 2013-02-05 2014-08-14 Lg Electronics Inc. Device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40100149A (en) * 2013-02-05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device containing fel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of
US11675391B2 (en) 2013-07-11 2023-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s and methods thereof
US9823756B2 (en) 2013-07-11 2017-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for support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s thereof
US9977516B2 (en) 2013-07-11 2018-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application and methods thereof
US9817486B2 (en) 2013-07-11 2017-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s and methods thereof
US10318120B2 (en) 2013-07-11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s and methods thereof
US9465453B2 (en) 2013-07-11 2016-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n curved display
US9430057B2 (en) 2013-07-11 2016-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application and methods thereof
US9317190B2 (en) 2013-07-11 2016-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s and methods thereof
US10691313B2 (en) 2013-07-11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s and methods thereof
US11409327B2 (en) 2013-07-11 2022-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s and methods thereof
US9704932B2 (en) 2014-02-10 2017-07-11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US9720637B2 (en) 2014-04-16 2017-08-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9836148B2 (en) 2015-01-13 2017-12-05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having guide for movement of the flexible display
US10488957B2 (en) 2015-01-13 2019-11-26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having a rotation guide
KR200487368Y1 (en) 2018-01-08 2018-09-07 정대선 Portable terminal having a scroll type flexible display
KR20200125892A (en) * 2019-04-25 2020-11-05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Screen deployment and storage assembly and terminal
CN113704714A (en) * 2020-05-20 2021-11-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Password verification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3157184A (en) * 2021-04-26 2021-07-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Content display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7502A (en)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525160B1 (en)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with a Flexible Display
KR101517082B1 (en) Mobile terminal using flexi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11302B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gesture inpu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40779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35614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12041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22882B1 (en)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with a Flexible Display
KR101677029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05439A (en)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with a gyro-sensor
KR20110116526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20818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67445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26809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30962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10026811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57543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43610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20102293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105775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01516A (en) Method for editing image contents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00093888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29641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37654A (en) Method for processing touch signal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573753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