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7593A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7593A
KR20110067593A KR1020090124243A KR20090124243A KR20110067593A KR 20110067593 A KR20110067593 A KR 20110067593A KR 1020090124243 A KR1020090124243 A KR 1020090124243A KR 20090124243 A KR20090124243 A KR 20090124243A KR 20110067593 A KR20110067593 A KR 20110067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isplay
information
user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2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63315B1 (en
Inventor
장현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315B1/en
Publication of KR20110067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5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3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PURPOSE: A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conveniently select and move the object displayed on a screen from a large screen display apparatus in which display module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CONSTITUTION: A display unit(110) display an object. A user input unit(120) enables a user to select the object. A controller(130) confirms the user selection for the object displayed region and other region, and then moves the object or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object to the other device. The user input unit includes a touch screen of the display unit. If a second touch on the other region is performed while a first touch on the object is performed, the controller transfers the object to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and then displays the object.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대해서 오브젝트를 이동시키거나 선택되는 오브젝트들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for moving data 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selected objects with respect to a multi-touch of a user.

현재의 디스플레이 장치, 예컨대 텔레비전, 모니터, 컴퓨터와 같이 소정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는 각각의 디바이스마다 전용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여 해당 디바이스에서 처리된 영상만을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Current display apparatuses, such as televisions, monitors, and computers, have a predetermined display module and display an image. Each device has a dedicated display module and operates to output only an image processed by the corresponding device.

즉, 텔레비전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텔레비전에서 처리된 방송 신호를 출력하도록 사용되며, 컴퓨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컴퓨터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사용된다. That is, the display module provided in the television is used to output the broadcast signal processed in the television, and the display module provided in the computer is used to output the processed video signal in the computer.

하지만, 최근 연구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와 같이 각각의 디바이스에 종속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을 할당하는 대신 대형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벽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설치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 다.However, a display device under recent research is being developed to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by installing a large display module on part or all of the wall instead of allocating display modules to each device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가정 또는 회사의 벽면에 설치하여 다양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월'이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As such, a 'display wall' for displaying various images by installing on a wall of a home or a company is currently being actively researched.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월과 같은 대화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화면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선택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proposes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in a display device of a large screen such as a display wall so that a user can conveniently select and move an object displayed on a screen.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의하여 선택되는 제 1 오브젝트와 제 2 오브젝터 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터치에 의해 간단히 다른 기기로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enables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selected by the user's multi-touch, so that the user can simply transmit data to another device by touch, thereby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Suggest a method.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오브젝트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 선택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다른 영역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확인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다른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display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that can be controlled in groups or individually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at least one object; A user input unit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the objec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heck a user selection on an area where the object is displayed and a user selection on another area on the display, and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object or to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to another device. It includes.

또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입력부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 는 오브젝트들이 갖는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의하여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 오브젝트가 갖는 정보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modules which can be controlled in groups or individually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 user input unit comprising: a touch screen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ler which analyzes the information of the object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moves the information of the object or the position of the object displayed by the user's multi-touch.

또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일체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 1 터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의 제 1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서 사용자의 제 2 터치가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제 2 터치에 의하여 제 2 오브젝트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제 2 터치 영역으로 이동시키거나 제 1 오브젝트 또는 제 2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이동시킨다.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modules which are integrally or individually controllable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Selecting a first object on the display unit; Making a second touch of a user on the display unit; Checking whether a second object is selected by the second touch; According to the check result, the first object is moved to the second touch area or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object or the second object is moved.

제안되는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월과 같이 대화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도 오브젝트의 위치를 간편히 옮길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display apparatus and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the position of the object can be easily moved even in the case of a display apparatus having a large screen such as a display wall.

그리고, 사용자의 멀티 터치라는 간단한 사용자 명령에 의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data may be transmitted to a devic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by a simple user command of multi-touch of a user.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 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etermined from the matters disclosed by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inventive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by adding, deleting, or changing components with respect to the proposed embodiment. It will be said to include variations.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word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other elements or steps than those listed.

도 1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네트워크 구성도를 보여주는 일례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of this embodiment,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play unit of a display device of this embodiment, and FIG. 3 is an example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of this embodiment.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제어부(130), 통신부(140)와 메모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display 110, a user input 120, a controller 130, a communicator 140, and a memory 150.

먼저,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공간에서 벽면에 설치가능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벽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First, since the display unit 110 may be installed on a wall surface in an installation space of the display device, the display unit 110 may be provided to occupy part or all of the wall surface.

예를 들어,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정의 거실이나 방을 구성하는 일 벽면 또는 그 이상의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거실이나 방의 벽면 일부 또는 전부에 설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play apparatus 100 of the embodiment may be installed on one wall or more walls constituting a living room or a room of the home, and the display unit 110 may be installed on a part or all of the wall surfaces of the living room or the room.

따라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월' 또는 비디오 월'이라고도 할 수 있으나,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기재하기로 한다.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display wall" or a video wall. Hereinafter, the display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0)는 타일(tile) 형태를 갖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되어, 하나의 대형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The display 1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bine a plurality of sub display modules having a tile shape to form one large screen.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들(111,112,......,125)이 하나의 대형 디스플레이부(110)로 연결되어 단일 화면(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들은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display unit 110 has a plurality of sub display modules 111, 112,..., 125 connected to one large display unit 110 so as to provide a single display unit. A screen (video) can be output. That is, the sub display modules constituting the display unit may be controlled in groups or individually.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결합되는 대신에, 각각 하나의 단일 디스플레이 모듈로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들이 단일의 디스플레이부로서 화면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since the display unit 110 may operate as one single display module instead of combining a plurality of sub display modules, each of the sub display modules may display a screen as a single display unit.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는 벽면에 화상을 투영하는 프로젝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영상 정보가 포함된 빛이 벽면에 투영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1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configured as a projector for projecting an image onto a wall surface. In this case, light including image information is projected onto the wall surface from the projecto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벽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단일 또는 다수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As such, the display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figure part or all of the wall surface to provide a single or multiple screens to the user.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소정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40)를 통하여 수신되는 소정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이 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0 may display a predetermined image or image, and for example, display the predetermined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Such content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통신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 츠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컨텐츠는 방송 신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컨텐츠를 실행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각 컨텐츠에 대응되는 화면들이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communication unit 140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receives content from an external server or another display apparatus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the received content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110. Here, the content may include not only a broadcast signal but also various contents. That is, it is possible to display a screen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through the display 110 by executing a plurality of contents.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통신부(140)를 통하여 네트워크 통신하는 구성의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3,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isplay apparatus 100 performs network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통신부(140)에 의해 연결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다양한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receive various contents through a network conn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40 or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various devices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자(CP : Contents Provider)(20),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네트워크 운영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network system may include at least one contents provider (CP) 20, at least one display apparatus 100, a network operator or a service provider.

컨텐츠 제공자(20)는 네트워크 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가능한 포맷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들을 제공한다. 컨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일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er 20 generates various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on the network, configures the contents in a format that can be reproduced in the display apparatus 100, and provides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The content can be any data that can be serviced over a network.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컨텐츠 제공자(20)별로 컨텐츠의 재생, 검색, 목록의 표시 등을 하기 위한 전용 펌웨어가 장착될 수 있다. 펌웨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조 과정 중에 네트워크 TV(4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중에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equipped with dedicated firmware for reproducing, searching for, displaying a list of contents, etc. for each content provider 20. The firmware may be installed in the network TV 40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or may be downloaded and installed by the user through a network during use.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펌웨어는 컨텐츠 제공자(2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재생 또는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펌웨어는 컨텐츠 제공자(20)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제공자(20)가 VOD 사업자인 경우는 펌웨어는 VOD 재생 프로그램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20)가 AOD, MOD 사업자인 경우에는 AOD, MOD 재생 프로그램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20)가 화상 전화 사업자인 경우에는 화상 전화 프로그램일 수 있다. The firmware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referred to as a program for playing or executing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20. The firmwar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20.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provider 20 is a VOD provider, the firmware may be a VOD playback program. When the content provider 20 is an AOD or MOD service provider, the content provider 20 may be an AOD or MOD playback program. If the content provider 20 is a video telephone operator, it may be a video telephone program.

위와 같은 펌웨어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컨텐츠 제공자(20)는 업데이트 파일을 네트워크 운영자 등에게 전송하고, 네워크 운영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업데이트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The above firmware may need an update. When an update is required, the content provider 20 may transmit an update file to a network operator, and the network operator may transmit an update file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명령에 응답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부(150)에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컨텐츠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receive and play or execute content through a network in response to a user's command.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store content in the memory unit 150, and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display unit 110 to read the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unit 150 and display the content in the display unit 110.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네트워크 연결된 다른 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가 등록하여 놓은 휴대 단말기(30) 또는 컴퓨터(40)등과 다양한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transfer data to another network-connected apparatus. For example,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exchange various data with the portable terminal 30 or the computer 40 registered by the user.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30)나 컴퓨터(40)등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 전달에 관한 사용자 명령은 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각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111,112)들은 터치 스크린으로 제공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transmit predetermined data to the portable terminal 30 or the computer 40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the user command regarding the data transfer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made by multi-touch. That is, each of the sub display modules 111 and 112 of the display 110 may be provided as a touch screen.

즉,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터치 스크린 패널이 장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와 같은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이 될 수 있다. That is, the user input unit 120 may be a touch screen on which the touch screen panel is mounted on the display 110 to recognize a gesture such as a user's touch or drag.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는 이러한 터치 스크린 이외에 물리적 클릭 휠(physical click wheel)을 포함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가상 클릭 휠(virtual click wheel)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릭 휠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에 의한 휠과의 접촉점 또는 휠의 각 변위에 기초하여 네비게이션 명령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클릭 휠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휠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휠의 중심을 누르는 경우, 하나 이상의 아이템 선택에 대응하는 사용자 명령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physical click wheel in addition to the touch screen, or may include a virtual click wheel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e click wheel is a user interface device capable of providing navigation commands based on contact points with the wheel by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or angular displacement of the wheel. The click wheel can be used to provide a user command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item selec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wheel or the center of the wheel.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하여 수신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object)를 이동시키거나 네트워크연결된 다른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가 대형 화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생각하여 본다면,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위치를 바꾸거나 하는등의 작업이 쉽지 않음을 예상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receives a user's touch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20 and moves or displays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accor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ase where the display unit 110 is formed of a large screen, it can be expected that a user does not easily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changing a position by selecting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

따라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대형 사이즈의 디스플레이부(11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간단히 이동시키 는 것이 가능하고,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오브젝트의 정보를 네트워크 연결된 다른 기기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simply move an object displayed when the large display unit 110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network information of the object selected by the touch may be connected. Make it possible to transfer to other devices.

도 4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4 to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ase of moving the displayed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과 관련되는 설명과 함께 기술하여 본다. Hereinafter, various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으며, 그 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휴대 단말기를 등록하여 둠으로써 해당 휴대 단말기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컨텐츠를 예로 들어 보기로 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4,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execute various applications / contents, and among them, register a mobile terminal on the display device to perform a video call with the mobile terminal. Let's take an example of contents that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of.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해당 컨텐츠에 대한 그래픽 오브젝트(이하, '오브젝트'라고 함)(111)가 디스플레이부(110)상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상기 오브젝트(111)가 표시되는 영역을 터치하게 되면, 해당 오브젝트가 실행되어 해당 휴대 단말기에 전화를 걸어 영상 통화가 개시될 수 있다. 다만, 멀티 터치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오브젝트의 위치 이동 또는 해당 오브젝트의 정보 전송등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멀티 터치는 터치 스크린인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두 군데 이상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를 나타낸다. As shown in FIG. 4, a graphic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bject”) 111 for a corresponding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10, and a user touches an area where the object 111 is displayed. In this case, the object may be executed to make a video call by calling the portable terminal. However, when the multi-touch is made, an operation such as mov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or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object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multi-touch is performed at two or more places of the display unit 110 that is the touch screen. Indicates.

상기 오브젝트(111)가 표시되는 영역을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 1 터치 영역이라고 하고, 사용자가 상기 오브젝트(111)의 위치를 옮기고자 하는 영역을 제 2 터치 영역이라 할 수 있다. An area in which the object 111 is displayed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touch area, and an area where a user wants to move the object 111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touch area.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왼손으로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오브젝트(111)를 터치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130)는 터치된 영역에 속하는 상기 오브젝트(111)가 하이라이트 또는 별도의 표시가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오브젝트가 선택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touches the object 111 currently being displayed with his left hand, the controller 130 indicates that the object 111 belonging to the touched area is highlighted or separately displayed. So that the user knows that the object is selected.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표시되고 있는 상기 오브젝트(111)가 터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의 다른 영역에서 또 다른 터치가 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오브젝트 등이 표시되고 있지 않은 영역(112, 제 2 터치 영역)을 터치한 경우에, 먼저 터치되고 있던 상기 오브젝트(111)의 위치가 상기 제 2 터치 영역(112)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The controller 130 monitors whether there is another touch in another area of the display 110 while the object 111 being displayed is touched. As illustrated in FIG. 6, when the user touches an area 112 (second touch area) in which an object or the like is not displayed with the right hand, the position of the object 111 that is being touched first is changed to the first position. 2 moves to the touch area 112.

즉, 사용자가 상기 오브젝트(111)를 제 1 터치한 다음에, 다른 영역을 제 2 터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터치에 대응되는 제 2 터치 영역(122)으로 상기 오브젝트(111)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오브젝트(111)가 제 1 터치 영역에서 반투명 또는 흐릿하게 표시되도록 한다. 그 다음,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터치 영역으로 상기 오브젝트(111)가 이동시켜 표시되도록 한다. That is, when the user touches the object 111 firstly and then touches another area secondly, moving the object 111 to the second touch area 12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For this purpose, the object 111 is displayed to be translucent or blurred in the first touch area. Next, as shown in FIG. 7, the object 111 is moved and displayed on the second touch area.

이와 같이, 대형 화면에서 표시되는 오브젝트 또는 아이콘들도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의하여, 제 2 터치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벽 전면에 걸쳐 설치되는 경우를 생각한다면, 그 효과는 더욱 클 것임을 알 수 있다. In this way, the objects or icons displayed on the large screen may also be moved to the second touch area by the user's multi-touch, and if the display unit 110 is installed over the entire wall, the effect It can be seen that is larger.

만약, 사용자가 표시되고 있는 오브젝트를 제 1 터치한 상태에서, 제 2 터치를 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터치에 대응되는 제 2 터치 영역에 또 다른 오브젝 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오브젝트의 이동이 수행되지 않는다. 즉, 아래에서 설명할 다른 실시예와 같이, 표시되는 오브젝트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가 다른 오브젝트(네트워크 연결된 휴대 단말기등)로 전송될 수 있다. If another object exists in a second touch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a second touch while the user touches the object being displayed, the movement of the object is performed. This is not done. That is, as in another embodiment to be described below,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isplayed object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object (such as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a network).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정보가 네트워크 연결된 기기로 전송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8 to 14 illustrate a case in whi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object is transmitted to a network connected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이하에서는, 표시되고 있는 오브젝트를 사용자가 제 1 터치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터치된 상태에서 다른 오브젝트를 사용자가 제 2 터치하는 경우가 예시된다. That is, a case where the user first touches the object being displayed and the user second touches another object while the object is touched is illustrated.

먼저, 도 8과 같이,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들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110)에는 여러가지 컨텐츠를 표시하는 아이콘 또는 오브젝트들이 다수 표시될 수 있다. 그 중에는, 알람 시계 기능을 나타내는 제 1 오브젝트(113),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문서나 책을 볼 수 있는 제 2 오브젝트(114)가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8, a plurality of icons or objects displaying various content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10 including a plurality of sub display modules. Among them, the first object 113 representing the alarm clock function and the second object 114 through which the document or book can be view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may be icons representing content.

그리고, 사용자가 등록한 사람과 각각의 사람에 관한 연락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친구인 Tom의 사진과 Tom의 휴대 단말기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오브젝트(115), 여자친구인 Jerry의 사진과 Jerry의 휴대 단말기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4 오브젝트(116), 친 형인 John의 사진과 John의 메일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5 오브젝트(117)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objects representing a person registered by a user and a contact information regarding each person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a third object 115 including a photo of a friend Tom and information about Tom's mobile terminal number, a fourth object including a photo of Jerry's girlfriend and information about Jerry's mobile terminal number ( 116), may be a fifth object 117 that includes information about John's photograph and his e-mail address.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는 제 3 오브젝트(115)를 선택하여 실 행시키는 경우, 등록된 휴대 단말기 넘버로 콜 요청이 이루어져 영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display apparatus selects and executes the third object 115, a call request is made to the registered mobile terminal number to perform a video call or a voice call using the display apparatus.

이와 같이, 복수의 오브젝트들이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그 중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가능한 다른 기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들(115,116,117)도 있고, 사용자가 특정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즐길 수 있도록 컨텐츠 자체에 관한 정보만을 포함하는 오브젝트들(113,114)도 있다. 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람 시계 기능의 오브젝트(113)와, e-book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오브젝트(114)가 다른 기기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오브젝트라 할 수 있다. As such, a plurality of object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among which are objects 115, 116, and 117 that contain information about other devices that can b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There are also objects 113 and 114 that contain only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itself to be enjoyed through. The object 113 of the alarm clock function for setting a time and notifying the user of the set time and the object 114 for viewing an e-book may be referred to as an object that does not include other device information.

이러한 경우에,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알람 시계 컨텐츠를 나타내는 제 1 오브젝트(113)를 제 1 터치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제 1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오브젝트(113)가 선택되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이트라이트 표시되거나 하는 등 해당 오브젝트가 강조될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9, when the user first touches the first object 113 representing the alarm clock content,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first object (including the first touch area). The object may be highlighted, such as being highlighted so that the user may know that 113 is selected.

사용자가 상기 제 1 오브젝트(113)를 제 1 터치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른 제 3 오브젝트(115)를 제 2 터치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터치된 제 1 오브젝트(113)와 제 3 오브젝트(115)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즉,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가능한 다른 기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When the user first touches the first object 113, as shown in FIG. 10, when the second touches another third object 115, the controller 130 may touch the first object that has been touch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113 and the third object 115 is analyzed. That is, it is checked whether one object includes information about another device connectable through a network.

이 경우, 상기 제 3 오브젝트(115)는 Tom의 휴대 단말기 넘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130)는 제 1 터치된 상기 제 1 오브젝트(113)에 포함되는 정보가 상기 제 3 오브젝트(115)에 대응되는 기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In this case, since the third object 115 includes information about Tom's mobile terminal number, the controller 130 may inclu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object 113 that is first touched by the third object. Control to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corresponding to (115).

상기 제 1 오브젝트(113)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알람 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 1 오브젝트(113)에 관한 정보(시각 정보)를 제 2 터치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기기로 전송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118)를 디스플레이부(110)상에 표시한다. Since the first object 113 includes information on an alarm time set by a user, the controller 130 corresponds to information about the first object 113 (vis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ed object. A message 118 confirming whether or not to transmit to the devic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10.

사용자가 전송을 허락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 1 오브젝트(113)가 갖는 정보 즉, 설정된 알람 시각 정보를 상기 제 3 오브젝트(115)에 대응되는 기기 즉, 해당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 3 오브젝트(115)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는 수신된 알람 시각 정보를 저장하여, 설정된 시간에 알람이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user allows the transmission, the controller 130 transmits the information, that is, the set alarm time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113 to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hird object 115, that is,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do. In this case, the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third object 115 may store the received alarm time information and perform an alarm at a set time.

도 12 내지 도 14는 다른 종류의 오브젝트 간 정보 전송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2 to 14 illustrat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objects.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책을 볼 수 있는 컨텐츠를 나타내는 제 2 오브젝트(114)가 사용자에 의해 제 1 터치되면, 전술한 예들과 같이 선택된 오브젝트는 강조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2, when the second object 114 representing the content that can view the book through the display unit is first touched by the user, the selected object may be highlighted a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s.

그리고,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의 제 1 터치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다른 사용자의 메일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5 오브젝트(117)가 선택되면, 먼저 터치된 상기 제 2 오브젝트(114)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5 오브젝트(117)에 대응되는 기기로 전송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119)를 표시할 수 있 다. As shown in FIG. 13, when the fifth object 117 including information on another user's mail address is selected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touch is made, the second object 114 that is first touched is selected. A message 119 confirming whether to transmit the information about the to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fth object 117 may be displayed.

여기서, 상기 제 5 오브젝트(117)에 대응되는 기기는 메일 서버(또는 메일 주소)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 2 오브젝트(114)에 해당되는 문서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해당 메일 주소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Herein,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fth object 117 may be a mail server (or a mail address), and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docum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bject 114 is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To be sent to the address.

즉, 상기 제어부(130)는 전송가능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오브젝트와, 상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기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오브젝트를 구분하고, 이에 따라 선택된 오브젝트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기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controller 130 distinguishes between an object including information that can be transmitted and an object that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the information can be received. Allows transmission to other devices.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제 1 터치에 의하여 선택된 상기 제 2 오브젝트(114)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5 오브젝트(117)에 대응되는 기기로 전송하기에 앞서, 상기 메시지(119)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시지(119)에는 제 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 즉, 문서에 대해서 그 문서의 정보만을 전송할 것인지, 해당 문서의 데이터 전부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30 may display the message 119 before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object 114 selected by the first touch to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fth object 117. Can be. In this case, the message 119 may allow the user to select whether to transmit only the information of the document or all the data of the document with respect to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that is, the document.

즉,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가 John에게 해당 문서를 참조하라는 의미로, 문서의 서지적 사항만이 기록된 정보를 John의 메일로 전송시키거나, 해당 문서 데이터 전부를 John의 메일로 전송시킬 수 있다. 이외에,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That is, the display device user of this embodiment means to refer to the document to John, so that only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the document can be sent to John's mail or all the document data can be sent to John's mail. have. 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will be possible.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나타내는 오브젝 트들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양손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멀티 터치(멀티 선택)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may display objects representing various contents through the display unit. In this case, the user may multi-touch (multi-select)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ith both hands.

사용자의 제 1 터치에 의하여 제 1 오브젝트가 선택되고(S101),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터치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제 2 터치에 해당되는 영역을 확인한다(S102).The first object is selected by the first touch of the user (S101), and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by the user is checked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object is being touched (S102).

그리고, 사용자의 제 2 터치에 해당되는 영역 내에 다른 제 2 오브젝트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제 2 터치가 제 2 오브젝트 선택을 위하여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 In addition, it is checked whether another second object is locat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of the user.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touch is performed to select the second object (S103).

상기 제어부(130)가 사용자에 의한 제 2 터치가 제 2 오브젝트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멀티 터치에 의하여 다중 선택된 제 1 오브젝트와 제 2 오브젝트를 분석한다(S104). 즉, 제 1 오브젝트와 제 2 오브젝트 중에서 네트워크 연결가능한 다른 기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When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 second touch by the user selects the second object, the controller 130 analyzes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multi-selected by the multi-touch (S104). That is, it is checked whether information on other devices that can connect to the network is included in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만약, 제 2 오브젝트가 네트워크 연결가능한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정보 또는 메일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30)는 제 1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2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기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If the second object includes information on a network-connectable portable terminal or information on an e-mail address, the controller 130 is a device i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first object corresponds to the second object through a network. To be transmitted to.

한편, 상기 제어부(130)가 사용자에 의한 제 2 터치가 다른 오브젝트를 선택한 것이 아닌 경우 즉, 사용자의 제 2 터치 영역에 다른 오브젝트가 표시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제 2 터치 영역으로 이동된 다음 표시되도록 한다(S106). In the meantime, when the second touch by the user does not select another object, that is, when no other object is displayed on the second touch area of the user, the first object is the second touch area. Move to and then display (S106).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해서, 대형 화면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한손으로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이동시키는 등의 행위가 불편한 경우에, 이를 간단한 멀티 터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is inconvenient to make a large screen and move an object by using one hand, this may be performed by a simple multi-touch.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됨에 따라, 다양한 정보의 전달이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의하여 간단히 실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s the display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transfer of various information may be easily realized by the multi-touch of the user.

도 1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of this embodiment.

도 2는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2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play unit of the display device of this embodiment.

도 3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네트워크 구성도를 보여주는 일례. 3 is an example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of this embodiment.

도 4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 4 to 7 are views showing a case of moving the displayed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정보가 네트워크 연결된 기기로 전송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 8 to 14 illustrate a case in whi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object is transmitted to a network connected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1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laims (14)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In a disp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that can be controlled in groups or individually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displaying at least one object; 상기 오브젝트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A user input unit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the object; And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 선택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다른 영역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확인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다른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controller for checking a user selection for an area where the object is displayed, a user selection for another area on the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moved 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to another device; Display device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지고, The user input unit is made of a touch screen of the display unit,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 선택은 제 1 터치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의 다른 영역에 대한 사용자 선택은 제 2 터치인 디스플레이 장치. And a user's selection of a region where the object is displayed is a first touch, and a user's selection of another region on the display is a second touch.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 1 터치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가 상기 제 2 터치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이동한 다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nd when the second touch is made while the first touch is made on the object,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bject to be displayed after moving to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제 1 터치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터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터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다른 오브젝트가 표시되고 있는 경우에, When the second touch is made while the first touch is made on the object and another object is displayed o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상기 제어부는 제 2 터치에 의하여 선택되는 오브젝트로 상기 제 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의 정보를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to the object selected by the second touch.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 2 터치에 의하여 선택되는 오브젝트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가능한 기기의 정보를 포함하고, The object selected by the second touch includes information of a device connectable through a network, 상기 제어부는 제 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기기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to the device via a network.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modules which can be controlled in groups or individually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사용자 입력부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되는 터치 스크린; 및A user input unit comprising: a touch screen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And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는 오브젝트들이 갖는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의하여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 오브젝트가 갖는 정보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analyz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bject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and to move the position of the object displayed by the user's multi-touch or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bject.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의 멀티 터치는 제 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제 1 터치와, 제 2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제 2 터치를 포함하고, The multi-touch includes a first touch for selecting a first object and a second touch for selecting a second object, 상기 제어부는 외부 기기의 연결과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정보를 송신하는 오브젝트와, 정보를 수신하는 오브젝트를 각각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nd the controller is further configured to determine an objec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an object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controller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connection of an external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 2 오브젝트가 외부 기기의 연결과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When the second object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상기 제어부는 제 1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control unit transmits information about a first object to an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bject.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외부 기기는 휴대 단말기 또는 메일 서버인 디스플레이 장치.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bject is a mobile terminal or a mail server.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관한 요약정보 또는 상기 제 1 오브젝 트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transmit summary information about the first object or data about the first object to the external device. 일체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by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modules which are integrally or individually controllable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사용자의 제 1 터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의 제 1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단계;Selecting a first object on the display by a first touch of a user;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서 사용자의 제 2 터치가 이루어지는 단계;Making a second touch of a user on the display unit; 상기 제 2 터치에 의하여 제 2 오브젝트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Checking whether a second object is selected by the second touch;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제 2 터치 영역으로 이동시키거나 제 1 오브젝트 또는 제 2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And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to move the first object to a second touch area or to mov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object or the second object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checking.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제 2 터치 영역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 1 오브젝트 또는 제 2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oving of the first object to the second touch area or mov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object or the second object may be performed when the second touch is performed while the first object is selected.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제 12 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 2 터치에 의하여 제 2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에, When a second object is selected by the second touch,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제 2 오브젝트 중에서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를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an object including information on an external device from among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nd 상기 제 2 오브젝트가 외부 기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외부 기기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object to an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bject when the second object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device.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휴대기기 또는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objec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or the network serv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bject.
KR1020090124243A 2009-12-14 2009-12-14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KR1016633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243A KR101663315B1 (en) 2009-12-14 2009-12-14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243A KR101663315B1 (en) 2009-12-14 2009-12-14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593A true KR20110067593A (en) 2011-06-22
KR101663315B1 KR101663315B1 (en) 2016-10-06

Family

ID=44400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243A KR101663315B1 (en) 2009-12-14 2009-12-14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31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4994A1 (en) * 2011-10-14 2013-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ent sharing method thereof
US10915225B2 (en) 2012-12-05 2021-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2645A (en) * 2006-03-09 2007-09-13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Apparatus and method that present projection image
KR20090033758A (en) * 2007-10-01 2009-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Projec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multi-projection by the proj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2645A (en) * 2006-03-09 2007-09-13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Apparatus and method that present projection image
KR20090033758A (en) * 2007-10-01 2009-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Projec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multi-projection by the projec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4994A1 (en) * 2011-10-14 2013-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ent sharing method thereof
US10750234B2 (en) 2011-10-14 2020-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ent sharing method thereof
US10915225B2 (en) 2012-12-05 2021-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315B1 (en)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1766B2 (en) Mobile terminal and device linkage method
KR1021533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screen in electronic device
US908147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7113468B (en) Mobile computing equipment, implementation method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20080068781A (e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using same
KR20140011857A (en)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of display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KR20140088820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439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s between devices
AU2014312481A1 (en) Display apparatus,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s thereof
CN103051865A (en) Method and terminal for controlling picture and video meeting device
US2016000697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7530496A (en) Device control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17097407A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20140285437A1 (en) Method of internet browser-based remote user interface virtual mouse cursor positioning
JP2018185863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KR101663315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US9548894B2 (en) Proximity based cross-screen experience App framework for use between an industrial automation console server and smart mobile devices
JP6628354B2 (en) Server device,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120081879A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3336661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592676B2 (en)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160028636A (en) Mobile terminal
US20240121464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JP658613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erver device, and program
CN115708058A (en) Display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