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315B1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315B1
KR101663315B1 KR1020090124243A KR20090124243A KR101663315B1 KR 101663315 B1 KR101663315 B1 KR 101663315B1 KR 1020090124243 A KR1020090124243 A KR 1020090124243A KR 20090124243 A KR20090124243 A KR 20090124243A KR 101663315 B1 KR101663315 B1 KR 101663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formation
display device
are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2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67593A (en
Inventor
장현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315B1/en
Publication of KR20110067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5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3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오브젝트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 선택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다른 영역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확인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다른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disp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which are controllable in a group or independently,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portion displaying at least one object; A user input unit for allowing the user to select the object; And a control unit for confirming a user selection for an area in which the object is displayed and a user selection for another area on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object is moved or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is transmitted to another device. .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device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대해서 오브젝트를 이동시키거나 선택되는 오브젝트들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oving an object with respect to a multi-touch of a user 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selected objects.

현재의 디스플레이 장치, 예컨대 텔레비전, 모니터, 컴퓨터와 같이 소정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는 각각의 디바이스마다 전용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여 해당 디바이스에서 처리된 영상만을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A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having a predetermined display module such as a current display device, such as a television, a monitor, and a computer, has a dedicated display module for each device, and operates to output only the processed image from the device.

즉, 텔레비전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텔레비전에서 처리된 방송 신호를 출력하도록 사용되며, 컴퓨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은 컴퓨터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사용된다. That is, a display module provided in a television is used to output a broadcast signal processed in a television, and a display module provided in the computer is used to output a video signal processed in a computer.

하지만, 최근 연구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와 같이 각각의 디바이스에 종속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을 할당하는 대신 대형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벽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설치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 다.However, recently developed display devices are being developed so that a large-sized display module can be installed on a part or all of a wall surface and used for various purposes instead of allocating display modules depending on each device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가정 또는 회사의 벽면에 설치하여 다양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월'이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The 'display wall' which displays various images on the wall of the home or company is being actively studied.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월과 같은 대화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화면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선택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proposes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that allow a user to conveniently select and move an object displayed on a screen in a display device such as a display wall.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의하여 선택되는 제 1 오브젝트와 제 2 오브젝터 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터치에 의해 간단히 다른 기기로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directed to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first object and a second object selected by a user's multi-touch so that a user can easily transfer data to another apparatus by touching Method.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오브젝트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 선택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다른 영역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확인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하거나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다른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disp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which are controllable in a group or independently,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portion displaying at least one object; A user input unit for allowing the user to select the object; And a control unit for confirming a user selection for an area in which the object is displayed and a user selection for another area on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object is moved or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is transmitted to another device. .

또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입력부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 는 오브젝트들이 갖는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의하여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 오브젝트가 갖는 정보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Further,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display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modules, which are controllable in groups or individually,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 user input unit, comprising: a touch screen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ler for analyzing the information of the object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displayed by the multi-touch of the user or the information of the object.

또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일체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 1 터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의 제 1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서 사용자의 제 2 터치가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제 2 터치에 의하여 제 2 오브젝트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제 2 터치 영역으로 이동시키거나 제 1 오브젝트 또는 제 2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이동시킨다.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display unit including a display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modules, which are integrally or individually controllable,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method comprising: Selecting a first object on a display portion; Performing a second touch of the user on the display unit; Confirming whether a second object is selected by the second touch;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result, the first object is moved to the second touch area or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object or the second object is moved.

제안되는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월과 같이 대화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도 오브젝트의 위치를 간편히 옮길 수 있다. With the display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as proposed, the position of the object can be easily moved even in the case of a display device having a large screen such as a display wall.

그리고, 사용자의 멀티 터치라는 간단한 사용자 명령에 의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이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data to a devic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by a simple user command of the user's multi-touch.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 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termined from the matters disclo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which the addition, deletion, Variations.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word " comprising "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other elements or steps than those listed.

도 1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네트워크 구성도를 보여주는 일례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play unit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3 is an example of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제어부(130), 통신부(140)와 메모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1, th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display unit 110, a user input unit 120, a controller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and a memory 150.

먼저,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공간에서 벽면에 설치가능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벽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차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First, since the display unit 110 can be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display device, the display unit 110 can be provided to occupy a part or all of the wall surface.

예를 들어,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정의 거실이나 방을 구성하는 일 벽면 또는 그 이상의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거실이나 방의 벽면 일부 또는 전부에 설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0 of the embodiment may be installed in a living room of a home or a wall surface or a wall surface of the room, and the display portion 110 may be installed in a living room or a part or all of a wall surface of a room.

따라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월' 또는 비디오 월'이라고도 할 수 있으나,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기재하기로 한다.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display wall' or a video wall, but the display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0)는 타일(tile) 형태를 갖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되어, 하나의 대형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 display modules having a tile shape to form one large screen.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들(111,112,......,125)이 하나의 대형 디스플레이부(110)로 연결되어 단일 화면(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들은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display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sub display modules 111, 112,..., And 125 connected to a single large display unit 110, Screen (video) can be output. That is, the sub-display modules constituting the display unit can be controlled in groups or individually.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결합되는 대신에, 각각 하나의 단일 디스플레이 모듈로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들이 단일의 디스플레이부로서 화면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display unit 110 can operate as one single display module instead of a plurality of sub-display modules, each sub-display module can display a screen as a single display unit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실시예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는 벽면에 화상을 투영하는 프로젝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영상 정보가 포함된 빛이 벽면에 투영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10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constituted by a projector for projecting an image on a wall surface. In this case, light including image information is projected from the projector onto a wall surfac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벽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단일 또는 다수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part or all of the wall surface, and can provide a single or multiple screens to the user.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소정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40)를 통하여 수신되는 소정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이 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0 may display a predetermined image or image, and may display predetermined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for example. Such content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통신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 츠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컨텐츠는 방송 신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컨텐츠를 실행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하여 각 컨텐츠에 대응되는 화면들이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communication unit 140 of the display device 100 receives content from an external server or another display devic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the received content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Here, the content may include various contents as well as a broadcast signal. That is, it is possible to display a plurality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by executing a plurality of contents.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통신부(140)를 통하여 네트워크 통신하는 구성의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3,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isplay device 100 performs network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통신부(140)에 의해 연결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다양한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receive various contents through the network conn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40 or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various devices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자(CP : Contents Provider)(20),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네트워크 운영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network system may include at least one content provider (CP) 20, at least one display device 100, and a network operator or service provider.

컨텐츠 제공자(20)는 네트워크 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가능한 포맷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들을 제공한다. 컨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일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er 20 generates various contents that can be provided on the network and configures the contents in a format that can be reproduced by the display device 100 and provides the contents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display device 100. The content may be any data that can be served over the network.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컨텐츠 제공자(20)별로 컨텐츠의 재생, 검색, 목록의 표시 등을 하기 위한 전용 펌웨어가 장착될 수 있다. 펌웨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조 과정 중에 네트워크 TV(4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중에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도 있다. In the display device 100, dedicated firmware for playing, searching, and displaying a list of contents may be installed for each content provider 20. The firmware may be installed on the network TV 40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100, or may be downloaded and installed on the network while the user is using the firmware.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펌웨어는 컨텐츠 제공자(2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재생 또는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펌웨어는 컨텐츠 제공자(20)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제공자(20)가 VOD 사업자인 경우는 펌웨어는 VOD 재생 프로그램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20)가 AOD, MOD 사업자인 경우에는 AOD, MOD 재생 프로그램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20)가 화상 전화 사업자인 경우에는 화상 전화 프로그램일 수 있다. The firmware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referred to as a program for reproducing or executing the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20. [ The firmwar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20. For example, if the content provider 20 is a VOD provider, the firmware may be a VOD playback program. If the content provider 20 is an AOD, a MOD provider, it may be an AOD and a MOD playback program. And may be a video telephone program when the content provider 20 is a video telephone service provider.

위와 같은 펌웨어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컨텐츠 제공자(20)는 업데이트 파일을 네트워크 운영자 등에게 전송하고, 네워크 운영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업데이트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update is necessary, the content provider 20 transmits the update file to the network operator or the like, and the network operator can transmit the update file to the display device 100. [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명령에 응답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부(150)에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컨텐츠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The display device 100 can receive and reproduce or execute the content over the network in response to a user's command. Th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store contents in the memory unit 150 and the control unit 130 reads the contents stored in the memory unit 150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110 to display the contents.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네트워크 연결된 다른 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가 등록하여 놓은 휴대 단말기(30) 또는 컴퓨터(40)등과 다양한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0 may transmit data to another device connected to the network.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0 may exchange various data with the portable terminal 30 or the computer 40 registered by the user.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30)나 컴퓨터(40)등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 전달에 관한 사용자 명령은 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각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111,112)들은 터치 스크린으로 제공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display device 100 may transmit predetermined data to the portable terminal 30, the computer 40 or the like at the request of the user. It can be done by multi touch. That is, each of the sub display modules 111 and 112 of the display unit 110 may be provided as a touch screen.

즉,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 터치 스크린 패널이 장착되어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와 같은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이 될 수 있다. That is, the user input unit 120 may be a touch screen having a touch screen panel mounted on the display unit 110 to recognize a gesture such as a user's touch or drag.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는 이러한 터치 스크린 이외에 물리적 클릭 휠(physical click wheel)을 포함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된 가상 클릭 휠(virtual click wheel)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릭 휠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에 의한 휠과의 접촉점 또는 휠의 각 변위에 기초하여 네비게이션 명령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클릭 휠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휠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휠의 중심을 누르는 경우, 하나 이상의 아이템 선택에 대응하는 사용자 명령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physical click wheel or a virtual click wheel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in addition to the touch screen. A click wheel is a user interface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navigation command based on a point of contact with a wheel by a user of the display device or an angular displacement of the wheel. The click wheel may be used to provide a user command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item selections,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wheel or the center of the wheel.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하여 수신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object)를 이동시키거나 네트워크연결된 다른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가 대형 화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생각하여 본다면,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위치를 바꾸거나 하는등의 작업이 쉽지 않음을 예상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receives a user's touch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20 and moves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according to a touch input of the user, Lt; / RTI > Particularly, when considering the case where the display unit 110 is a large screen, it can be expected that a user does not easily perform operations such as selecting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and changing its position .

따라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대형 사이즈의 디스플레이부(110)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간단히 이동시키 는 것이 가능하고,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오브젝트의 정보를 네트워크 연결된 다른 기기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easily move an object displayed when the display unit 110 of a large size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It is possible to transmit it to another device.

도 4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S. 4 to 7 are views showing a case where an object to be displayed is mov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과 관련되는 설명과 함께 기술하여 본다.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으며, 그 중 디스플레이 장치에 휴대 단말기를 등록하여 둠으로써 해당 휴대 단말기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컨텐츠를 예로 들어 보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execute various applications / contents. Among them, the display device 100 registers a portable terminal in the display device, thereby performing a video call with the portable terminal As shown in FIG.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해당 컨텐츠에 대한 그래픽 오브젝트(이하, '오브젝트'라고 함)(111)가 디스플레이부(110)상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상기 오브젝트(111)가 표시되는 영역을 터치하게 되면, 해당 오브젝트가 실행되어 해당 휴대 단말기에 전화를 걸어 영상 통화가 개시될 수 있다. 다만, 멀티 터치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오브젝트의 위치 이동 또는 해당 오브젝트의 정보 전송등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멀티 터치는 터치 스크린인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두 군데 이상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를 나타낸다. 4, a graphic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bject') 111 for th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and a user touches an area where the object 111 is displayed , The corresponding object is executed and the corresponding portable terminal is called and the video call can be started.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multi-touch is performed, an operation of moving the object or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he object may be performed. In the case where the touch is performed in two or more places of the display unit 110, .

상기 오브젝트(111)가 표시되는 영역을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 1 터치 영역이라고 하고, 사용자가 상기 오브젝트(111)의 위치를 옮기고자 하는 영역을 제 2 터치 영역이라 할 수 있다. An area in which the object 111 is displayed is referred to as a first touch area in the display area and an area in which the user wants to move the position of the object 111 is referred to as a second touch area.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왼손으로 현재 표시되고 있는 오브젝트(111)를 터치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130)는 터치된 영역에 속하는 상기 오브젝트(111)가 하이라이트 또는 별도의 표시가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오브젝트가 선택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5, when the user touches the object 111 currently displayed on the left hand of the user,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111 belonging to the touched area is highlighted or displayed as a separate display So that the user can know that the object has been selected.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표시되고 있는 상기 오브젝트(111)가 터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10)의 다른 영역에서 또 다른 터치가 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오브젝트 등이 표시되고 있지 않은 영역(112, 제 2 터치 영역)을 터치한 경우에, 먼저 터치되고 있던 상기 오브젝트(111)의 위치가 상기 제 2 터치 영역(112)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The controller 130 monitors whether another object is touched in another area of the display unit 110 while the displayed object 111 is touched. 6, when the user touches an area (112, second touch area) on which an object or the like is not displayed with his or her right hand, the position of the object 111, which is touched first, 2 "

즉, 사용자가 상기 오브젝트(111)를 제 1 터치한 다음에, 다른 영역을 제 2 터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터치에 대응되는 제 2 터치 영역(122)으로 상기 오브젝트(111)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오브젝트(111)가 제 1 터치 영역에서 반투명 또는 흐릿하게 표시되도록 한다. 그 다음,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터치 영역으로 상기 오브젝트(111)가 이동시켜 표시되도록 한다. That is, when the user touches the object 111 first and then touches another area, the object 111 is moved to the second touch area 12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The object 111 is displayed in a semi-transparent or blurred manner in the first touch region. Then, as shown in Fig. 7, the object 111 is moved and displayed in the second touch area.

이와 같이, 대형 화면에서 표시되는 오브젝트 또는 아이콘들도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의하여, 제 2 터치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10)가 벽 전면에 걸쳐 설치되는 경우를 생각한다면, 그 효과는 더욱 클 것임을 알 수 있다. In this way, the object or icons displayed on the large screen can be moved to the second touch area by the multi-touch of the user, and if the display unit 110 is installed across the entire wall, It can be seen that it is larger.

만약, 사용자가 표시되고 있는 오브젝트를 제 1 터치한 상태에서, 제 2 터치를 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터치에 대응되는 제 2 터치 영역에 또 다른 오브젝 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오브젝트의 이동이 수행되지 않는다. 즉, 아래에서 설명할 다른 실시예와 같이, 표시되는 오브젝트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가 다른 오브젝트(네트워크 연결된 휴대 단말기등)로 전송될 수 있다. If another object exists in the second touch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second touch while the user touches the displayed object first, Is not performed. That is,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displayed object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object (such as a network-connected portable terminal) as in another embodiment described below.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정보가 네트워크 연결된 기기로 전송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8 to 14 are views showing a case whe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object is transmitted to a network-connected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이하에서는, 표시되고 있는 오브젝트를 사용자가 제 1 터치하고, 상기 오브젝트가 터치된 상태에서 다른 오브젝트를 사용자가 제 2 터치하는 경우가 예시된다. In other words, a case where the user first touches the displayed object and the user touches the other object while the object is touched is exemplified.

먼저, 도 8과 같이,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모듈들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110)에는 여러가지 컨텐츠를 표시하는 아이콘 또는 오브젝트들이 다수 표시될 수 있다. 그 중에는, 알람 시계 기능을 나타내는 제 1 오브젝트(113),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문서나 책을 볼 수 있는 제 2 오브젝트(114)가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8, a plurality of icons or objects for displaying various content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including a plurality of sub-display modules. Among them, the first object 113 indicating the alarm clock function and the second object 114 displaying the document or the book through the display device can be icons representing contents.

그리고, 사용자가 등록한 사람과 각각의 사람에 관한 연락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친구인 Tom의 사진과 Tom의 휴대 단말기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오브젝트(115), 여자친구인 Jerry의 사진과 Jerry의 휴대 단말기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4 오브젝트(116), 친 형인 John의 사진과 John의 메일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5 오브젝트(117)가 될 수 있다.Then, objects representing a person registered by the user and contacts for each person can be displayed. For example, a third object 115 including a picture of friend Tom and information on Tom's portable terminal number, a picture of Jerry's girlfriend, and a fourth object 116), a fifth object 117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John's photo and John's e-mail address.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는 제 3 오브젝트(115)를 선택하여 실 행시키는 경우, 등록된 휴대 단말기 넘버로 콜 요청이 이루어져 영상 통화 또는 음성 통화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selects and executes the third object 115, a call request is made to the registered portable terminal number, so that a video call or a voice call can be performed using the display device.

이와 같이, 복수의 오브젝트들이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그 중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가능한 다른 기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들(115,116,117)도 있고, 사용자가 특정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즐길 수 있도록 컨텐츠 자체에 관한 정보만을 포함하는 오브젝트들(113,114)도 있다. 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람 시계 기능의 오브젝트(113)와, e-book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오브젝트(114)가 다른 기기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오브젝트라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object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including objects 115, 116, and 117 including information on other devices connectable through a network, There are also objects 113 and 114 that contain only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itself so that it can be enjoyed through the content. An object 113 of an alarm clock function for setting a time and notifying a user of a set time and an object 114 for allowing an e-book to be viewed may be objects that do not contain other device information.

이러한 경우에,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알람 시계 컨텐츠를 나타내는 제 1 오브젝트(113)를 제 1 터치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제 1 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오브젝트(113)가 선택되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이트라이트 표시되거나 하는 등 해당 오브젝트가 강조될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9, when the user first touches the first object 113 indicating the alarm clock contents,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first object 113 including the first touch area 113) is highlighted so that the user can know that it has been selected.

사용자가 상기 제 1 오브젝트(113)를 제 1 터치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른 제 3 오브젝트(115)를 제 2 터치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터치된 제 1 오브젝트(113)와 제 3 오브젝트(115)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즉,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가능한 다른 기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10, when the user touches the first object 113 in the first state, the controller 130 causes the first object 113 to be touched to be touched, (113) and the third object (115). That is, it is checked whether any one of the objects includes information about other devices connectable through the network.

이 경우, 상기 제 3 오브젝트(115)는 Tom의 휴대 단말기 넘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130)는 제 1 터치된 상기 제 1 오브젝트(113)에 포함되는 정보가 상기 제 3 오브젝트(115)에 대응되는 기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In this case, since the third object 115 includes Tom's portable terminal number information,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touched first object 113 is the third object To be transmitted to a device corresponding to the device 115.

상기 제 1 오브젝트(113)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알람 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 1 오브젝트(113)에 관한 정보(시각 정보)를 제 2 터치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기기로 전송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118)를 디스플레이부(110)상에 표시한다. Since the first object 113 includes information on the alarm time set by the user, the controller 130 stores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object 113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touched object On the display unit 110, a message 118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o transmit the data to the device.

사용자가 전송을 허락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 1 오브젝트(113)가 갖는 정보 즉, 설정된 알람 시각 정보를 상기 제 3 오브젝트(115)에 대응되는 기기 즉, 해당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 3 오브젝트(115)에 대응되는 휴대 단말기는 수신된 알람 시각 정보를 저장하여, 설정된 시간에 알람이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user permits the transmission, the controller 130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object 113, that is, the set alarm time information, to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hird object 115, that is, do. At this time, the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third object 115 stores the received alarm time information, and an alarm can be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time.

도 12 내지 도 14는 다른 종류의 오브젝트 간 정보 전송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2 to 14 are diagrams showing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different kinds of objects.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책을 볼 수 있는 컨텐츠를 나타내는 제 2 오브젝트(114)가 사용자에 의해 제 1 터치되면, 전술한 예들과 같이 선택된 오브젝트는 강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 when a second object 114 representing a content for viewing a book through the display unit is first touched by the user, the selected object can be highlighted a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s.

그리고,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의 제 1 터치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다른 사용자의 메일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5 오브젝트(117)가 선택되면, 먼저 터치된 상기 제 2 오브젝트(114)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5 오브젝트(117)에 대응되는 기기로 전송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119)를 표시할 수 있 다. 13, when the fifth object 117 containing information on the mail address of another user is selected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touch is performed, the second object 114, which is touched first, A message 119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fifth object 117 to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fth object 117 can be displayed.

여기서, 상기 제 5 오브젝트(117)에 대응되는 기기는 메일 서버(또는 메일 주소)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 2 오브젝트(114)에 해당되는 문서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해당 메일 주소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Here,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fth object 117 may be a mail server (or a mail address), and the control unit 130 may transmit the document dat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bject 114 to the corresponding mail Address.

즉, 상기 제어부(130)는 전송가능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오브젝트와, 상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기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오브젝트를 구분하고, 이에 따라 선택된 오브젝트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기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control unit 130 distinguishes between an object including information that can be transmitted and an object including information on a device capable of network connection so as to receive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another device.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제 1 터치에 의하여 선택된 상기 제 2 오브젝트(114)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5 오브젝트(117)에 대응되는 기기로 전송하기에 앞서, 상기 메시지(119)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시지(119)에는 제 1 터치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 즉, 문서에 대해서 그 문서의 정보만을 전송할 것인지, 해당 문서의 데이터 전부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message 119 prior to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object 114 selected by the first touch to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fth object 117 . At this time, the user can select whether to transmit only the document information to the object selected by the first touch, that is, the document, or whether to transmit all the data of the document.

즉,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가 John에게 해당 문서를 참조하라는 의미로, 문서의 서지적 사항만이 기록된 정보를 John의 메일로 전송시키거나, 해당 문서 데이터 전부를 John의 메일로 전송시킬 수 있다. 이외에,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That is,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transmit the recorded information of John's e-mail to only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the document in order to refer to the corresponding document, or transmit all the corresponding document data to John's mail have. 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may be possible.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나타내는 오브젝 트들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양손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멀티 터치(멀티 선택)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can display objects representing various contents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user can multi-touch (multi-select) objec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ith both hands.

사용자의 제 1 터치에 의하여 제 1 오브젝트가 선택되고(S101),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터치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제 2 터치에 해당되는 영역을 확인한다(S102).The first object is selected by the first touch of the user (S101), and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by the user is checked (S102) while the first object is being touched.

그리고, 사용자의 제 2 터치에 해당되는 영역 내에 다른 제 2 오브젝트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제 2 터치가 제 2 오브젝트 선택을 위하여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 Then, it is confirmed whether or not another second object is locat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of the user.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touch has been performed for the second object selection (S103).

상기 제어부(130)가 사용자에 의한 제 2 터치가 제 2 오브젝트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멀티 터치에 의하여 다중 선택된 제 1 오브젝트와 제 2 오브젝트를 분석한다(S104). 즉, 제 1 오브젝트와 제 2 오브젝트 중에서 네트워크 연결가능한 다른 기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When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 second touch by the user has selected the second object, the first and second objects selected by the multi-touch are analyzed (S104). That is, it is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include information on other devices capable of network connection.

만약, 제 2 오브젝트가 네트워크 연결가능한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정보 또는 메일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30)는 제 1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 2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기기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If the second objec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the network or information on the mail address,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object is transmitted to the device Lt; / RTI >

한편, 상기 제어부(130)가 사용자에 의한 제 2 터치가 다른 오브젝트를 선택한 것이 아닌 경우 즉, 사용자의 제 2 터치 영역에 다른 오브젝트가 표시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제 2 터치 영역으로 이동된 다음 표시되도록 한다(S106).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 second touch by the user does not select another object, that is, if another object is not displayed in the second touch area of the user, And then displayed (S106).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해서, 대형 화면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한손으로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이동시키는 등의 행위가 불편한 경우에, 이를 간단한 멀티 터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when a large screen is formed and the user is inconvenient to select and move the object with one hand, it can be performed by simple multi-touch.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됨에 따라, 다양한 정보의 전달이 사용자의 멀티 터치에 의하여 간단히 실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s the display device is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transfer of various information can be easily realized by the user's multi-touch.

도 1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of this embodiment; Fig.

도 2는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2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play unit of the display device of this embodiment.

도 3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네트워크 구성도를 보여주는 일례. 3 is an example of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4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 FIGS. 4 to 7 illustrate a case where an object to be displayed is mov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정보가 네트워크 연결된 기기로 전송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 8 to 14 illustrate a case whe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object is transmitted to a network-connected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1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laims (14)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A disp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which are controllable in groups or individually,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displaying at least one object;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one area of the display unit; 통신부; 및A communication unit; And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입력부 및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he user input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제어부는,Wherein, 제 1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제 1 영역을 선택하는 제 1 입력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 2 영역을 선택하는 제 2 입력을 수신하고,A first input for selecting a first region for displaying a first object and a second input for selecting a second region of the display portion, 상기 제 2 영역이 제 2 오브젝트를 포함하는지 판단하고,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region includes a second object,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상기 제 2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Displays the first object in the second area if the second area does not include the second object,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포함하면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 중에서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다른 기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오브젝트가 있는지 판단하고,If the second area includes the second objec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object including information on another device connectable to the network among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상기 제 2 오브젝트가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다른 기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기기로 전송하고,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first object to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bject if the second object includes information on another device connectable to the network,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제 1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 표시하는,Upon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a first area for displaying the first object, highlighting the first object to indicate that the first object is selected,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스크린이고, Wherein the user input unit is a touch screen of the display unit, 상기 제 1 입력은, 제 1 터치 입력이고, Wherein the first input is a first touch input, 상기 제 2 입력은. 제 2 터치 입력인, The second input comprises: The second touch input,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영역에서 표시되는 제 1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기기로 전송하는 경우, 전송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a messag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first object is displayed when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object displayed in the first area is transmitted to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bject,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device.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In the display device, 그룹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modules, which are controllable in groups or individually,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사용자 입력부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포함되는 터치 스크린; A touch screen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as a user input unit; 통신부; 및A communication unit; And 상기 디스플레이부, 터치 스크린 및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he touch screen, and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제어부는,Wherein,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는 오브젝트들의 정보를 분석하고, Wherein the display unit analyzes information of objects to be displayed, 제 1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제 1 영역을 선택하는 제 1 입력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제 2 영역을 선택하는 제 2 입력을 포함하는 멀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Receiving a multi-touch input including a first input for selecting a first area for displaying a first object and a second input for selecting a second area of the touch screen, 상기 제 2 영역이 제 2 오브젝트를 포함하는지 판단하고,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region includes a second object,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상기 제 2 영역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Displays the first object in the second area if the second area does not include the second object,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포함하면 상기 제 1 오브젝트와 상기 제 2 오브젝트 중에서 외부 기기와의 연결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오브젝트가 있는지 판단하고,If the second area includes the second objec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object including connection inform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mong the first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상기 제 2 오브젝트가 외부 기기와의 연결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정보 송신 오브젝트로 결정하고, 상기 제 2 오브젝트를 정보 수신 오브젝트로 결정하여,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기기로 전송하고,Determining the first object as an information transmitting object when the second object includes connection inform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determining the second object as an information receiving object,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object to the second object To the corresponding device,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제 1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Wherein the first object is highlighted to indicate that the first object has been selected upon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the first object,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기기는, 휴대 단말기 또는 메일 서버인, Wherein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bject is a mobile terminal or a mail server,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대한 요약정보 또는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기기로 전송하는,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summary information on the first object or data on the first object to a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bject,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124243A 2009-12-14 2009-12-14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KR1016633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243A KR101663315B1 (en) 2009-12-14 2009-12-14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243A KR101663315B1 (en) 2009-12-14 2009-12-14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593A KR20110067593A (en) 2011-06-22
KR101663315B1 true KR101663315B1 (en) 2016-10-06

Family

ID=44400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243A KR101663315B1 (en) 2009-12-14 2009-12-14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31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378B1 (en) 2011-10-14 2018-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ents sharing method thereof
KR102085225B1 (en) 2012-12-05 2020-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6979B2 (en) * 2006-03-09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Image presenting apparatus and image presenting method
KR101329128B1 (en) * 2007-10-01 2013-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Projec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multi-projection by the proj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593A (en)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147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RU2595519C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put interface of contact list
JP539872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integrated circuit
EP2416564B1 (en)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CN103338398B (en) Mobile terminal controls method and the mobile terminal of Set Top Box
US9582903B2 (en) Display terminal device connectable to external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201500260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screen in electronic device
EP224924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EP303517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larging an image and controlling the enlarged im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2874401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evice based on user interface that reflects user's intention
WO2007102110A2 (en) Method of transferring data
EP2400380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563330B2 (en) Method of operating a background content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N113489700B (en) Method, server and terminal equipment for acquiring media asset data
KR101850302B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nderer thereof
CN112947825A (en) Display control method, display control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dium
CN113590059A (en) Screen projec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JP2009295016A (en)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display, display control program and information display
JP696951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and programs
KR101663315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JP6628354B2 (en) Server device, program,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120081879A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3686271B (en) Display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CN111259639B (en) Self-adaptive adjustment method of table and display equipment
JP2014071669A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