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2520A -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2520A
KR20110022520A KR1020100028467A KR20100028467A KR20110022520A KR 20110022520 A KR20110022520 A KR 20110022520A KR 1020100028467 A KR1020100028467 A KR 1020100028467A KR 20100028467 A KR20100028467 A KR 20100028467A KR 20110022520 A KR20110022520 A KR 20110022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inger
movement
detecting
ref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용기
김배선
이동우
임정묵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JP2010163155A priority Critical patent/JP4988016B2/ja
Priority to US12/840,761 priority patent/US8292833B2/en
Publication of KR20110022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23Tend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28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Dent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피검자의 손목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자의 손목 내부로 측정신호를 출력하고, 측정신호가 피검자의 손목 내부에서 힘줄들의 움직임에 따라 반사된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부, 측정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고, 반사 신호에 근거하여 측정신호를 조절하는 신호 제어부, 및 반사 신호로부터 피검자에 대한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가락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손목 부위에 구비하여 기존 방법들이 가지는 착용 및 사용의 불편함을 개선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치를 파지하지 않고 두 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불편 없이 자연스러운 방법으로 컴퓨터를 사용하고자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분야에 새로운 인터페이스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otion of finger}
본 발명은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의 손가락 움직임을 관장하는 힘줄 다발(finger flexor tendons)이 존재하는 손목 부근의 수근관(carpal tunnel)의 변화를 측정신호의 반사신호로 계측하여 각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하도록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F-048-02, 과제명: u-컴퓨팅 공간 협업을 위한 Wearable Personal Companion 기술개발].
최근 정보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마우스와 키보드 등과 같은 기존 방법들과는 다른 음성이나 멀티 터치, 제스처 등과 같은 새로운 입력 모달(modal)을 이용하여 컴퓨터를 이용하려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손의 움직임 혹은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하려는 많은 시도들이 있었으며, 지금도 여러 분야에서 계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인 기술로는, 이미지 센서와 같은 촬상소자와 적외선 방출수단을 구비한 장치를 손바닥 면의 손목에 장착하고, 손가락에 반사되는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LigthtGlove가 있으며, 가속도 센서를 구비한 손가락에 반지형태의 장치와 손목에 시계형 장치를 각각 착용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Scurry가 있다. 또한, 손에 감겨 있는 도선 형태의 센싱 장치를 이용하여 손가락 간의 접촉으로 손가락 움직임을 검출하는 Kitty와 근전도(EMG)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방법 등이 있다. 손가락 움직임은 아니지만 손모양을 인식할 수 있는 GestureWrist도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들은 신호검출 구조상 손바닥 면에 장치를 부착하거나 손가락에 장치를 착용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활동하는 데에 제약이 있어 착용한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장치를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 움직임을 관장하는 힘줄 다발(finger flexor tendons)이 존재하는 손목 부근의 수근관의 변화를 광 혹은 초음파와 같은 측정신호의 반사신호로 계측하여 각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하도록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서 고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손가락 움직임만으로 다양한 기기를 제어하거나 가속도 센서 혹은 자이로 센서를 부가하여 손 제스처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제스처의 시작과 끝을 결정하는 손동작으로 본 발명을 이용하는 등, 컴퓨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활용하는 다양한 예를 제시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는, 피검자의 손목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자의 손목 내부로 측정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측정신호가 상기 피검자의 손목 내부에서 힘줄들의 움직임에 따라 반사된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부, 상기 측정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반사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신호를 조절하는 신호 제어부, 및 상기 반사 신호로부터 상기 피검자에 대한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을 관장하는 상기 힘줄들을 포함하는 수근관(carpal tunnel)으로 상기 측정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측정신호에 대한 신호 출력 세기, 신호 출력 주파수, 신호 출력 시간, 및 신호 출력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반사 신호를 트리거링(triggering) 하여,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는,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의 파형으로부터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는,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일정 시간의 시블록을 결정하고, 결정된 시블록 이후까지 입력되는 상기 신호에 대해 버퍼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는, 기 설정된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가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시 블록의 시작과 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피검자의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 또는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기 설정된 손 동작이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시 블록의 시작과 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신호는, 적외선, 레이저, 초음파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명령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 검출 방법은, 피검자의 손목 내부로 측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측정신호가 상기 피검자의 손목 내부에서 힘줄들의 움직임에 따라 반사된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반사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신호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신호를 조절하며 출력하는 동안 상기 반사 신호로부터 상기 피검자에 대한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을 관장하는 상기 힘줄들을 포함하는 수근관(carpal tunnel)으로 상기 측정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신호에 대한 신호 출력 세기, 신호 출력 주파수, 신호 출력 시간, 및 신호 출력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 신호를 트리거링(triggering) 하여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의 파형으로부터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일정 시간의 시블록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시블록 이후까지 입력되는 상기 신호에 대해 버퍼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가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시 블록의 시작과 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정신호는, 적외선, 레이저, 초음파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가락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손목 부위에 구비하여 기존 방법들이 가지는 착용 및 사용의 불편함을 개선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치를 파지하지 않고 두 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불편 없이 자연스러운 방법으로 컴퓨터를 사용하고자 하는 웨어러블 컴퓨팅 분야에 새로운 인터페이스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손가락 움직임을 관장하는 힘줄 다발(finger flexor tendons)이 존재하는 손목 부근의 수근관(carpal tunnel)의 변화를 반사신호로 계측함으로써,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구비하지 않아도 각 손가락의 움직임을 손쉽게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 검출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100)는, 피검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손목 내부의 힘줄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이때,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100)는 검출된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동작을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기기(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피검자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100)를 손목에 착용하는 것만으로, 손가락 움직임에 따라 제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 내부의 수근관(carpal tunnel, 13)에는 각각의 손가락 움직임을 관장하는 힘줄(15)들의 힘줄 다발(finger flexor tendons)이 존재한다. 이때,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100)의 센서부(110)는 피검자의 손목에 접촉하도록 착용된다.
이때, 센서부(110)의 발신부(111)에서 손목 내부로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측정신호를 출력하면, 수신부(115)는 손목 내부의 힘줄(15)들로부터 반사된 반사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100)는 수신된 반사신호로부터 힘줄(15)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힘줄(15)의 움직임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을 검출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100)는 센서부(110), 신호 증폭부(120), 신호 제어부(130),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140), 명령 생성부(150), 및 통신부(160)를 포함한다.
먼저, 센서부(110)는 피검자의 손목에 배치되며, 상세하게는 손목의 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센서부(110)는 발신부(111)와 수신부(115)를 포함한다. 발신부(111)는 피검자의 손목 내부로 측정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발신부(111)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관장하는 힘줄(15)들을 포함하는 수근관(13)으로 측정신호를 출력한다. 측정신호는 적외선, 레이저, 초음파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갖는다.
또한, 수신부(115)는 측정신호가 피검자의 손목 내부에서 힘줄(15)들의 움직임에 따라 반사된 반사 신호를 수신한다.
신호 증폭부(120)는 측정된 반사신호를 증폭시키고, 증폭된 반사신호를 신호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신호 제어부(130)는 발신부(111)의 측정신호 출력을 제어하고, 반사신호에 근거하여 측정신호의 출력을 조절한다. 이때, 신호 제어부(130)는 측정신호에 대한 신호 출력 세기, 신호 출력 주파수, 신호 출력 시간, 및 신호 출력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손목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검출한다.
또한, 신호 제어부(130)는 반사 신호를 트리거링(triggering) 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감지한다. 이때, 신호 제어부(130)는 기준치 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가 감지되면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140)로 감지 신호를 전달한다.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140)는 반사 신호를 분석하여 피검자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140)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의 파형으로부터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즉, 반사 신호는 각 힘줄(15)들의 움직임에 따라 서로 다른 파형을 갖는다. 따라서,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140)는 반사 신호의 파형으로부터 각 힘줄(15)들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해당 힘줄(15)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한편,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140)는 기 설정된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가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시블록의 시작과 끝을 결정한다. 일 예로서,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140)는 시작을 알리는 특정 손가락의 움직임 또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특정 손동작이 감지되면, 감지 시점을 기준으로 시블록의 시작을 결정한다. 또한,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140)는 끝을 알리는 특정 손가락의 움직임 또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특정 손동작이 감지되면, 감지 시점을 기준으로 시블록의 끝을 결정한다.
이때,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140)는 결정된 시블록 이후까지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 버퍼링을 수행하고, 버퍼링된 신호로부터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해석한다.
명령 생성부(150)는 검출된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이후, 통신부(160)는 명령 생성부(150)에 의해 생성된 제어 명령을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센서부(110)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할 하여 더욱 다양한 응용으로 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손가락 움직임이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마우스의 기능인 클릭과 릴리즈에 대응하는 손가락으로 집거나 푸는 동작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공간상에서 손 제스처를 취할 경우 연산 인식 시스템이 손 제스처의 시작과 끝을 결정하는 것으로 상당히 어려운 문제이며, 손 제스처의 시작과 끝을 결정해야만 제스쳐 인식기가 제대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손 제스처의 시작과 끝을 본 특허에서 제안한 손가락 움직임 검출방법에 의하여 손가락을 집는 동작과 푸는 동작으로 결정하는 데에 응용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 검출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100)는 피검자의 손목 내부로 측정신호를 출력하고(S400), 이후 측정신호가 피검자의 손목 내부에서 힘줄(15)들의 움직임에 따라 반사된 반사 신호를 수신한다(S410).
이때,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100)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관장하는 힘줄(15)들을 포함하는 수근관(13)으로 측정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측정신호는 적외선, 레이저, 초음파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갖는다.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100)는 반사 신호가 수신되면, 반사 신호에 근거하여 측정신호를 조절하며 피검자의 손목 내부로 측정신호를 계속 출력한다. 이때,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100)는 측정신호에 대한 신호 출력 세기, 신호 출력 주파수, 신호 출력 시간, 및 신호 출력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한다.
한편,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100)는 측정신호를 조절하며 출력하는 동안 반사 신호를 트리거링(triggering) 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감지한다. 만일,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가 감지되면(S420),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시블록의 기준 시간영역을 결정한다(S430). 이때, 기 설정된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가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시 블록의 시작과 끝을 결정한다.
이후,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100)는 'S430' 과정에서 결정된 시블록 이후까지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 버퍼링을 수행한다(S440). 이때,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100)는 'S440' 과정에서 버퍼링 된 신호에 근거하여 손가락 움직임 신호를 해석하고, 그로부터 피검자의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한다(S450).
이때,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S430' 과정에서 결정된 시블록 이후까지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피검자의 손 동작을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100)는 'S450' 과정에서 검출된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명령을 생성하여(S460), 동작을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기기(200)로 전송한다(S470).
이후, 다른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가 감지되면(S480), 'S430' 이후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5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에 복수의 센서부를 배치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센서부(110)를 일렬로 배열한 것으로, 센서부(110)를 복수개 구비함으로써, 넓은 영역에서 힘줄(15)들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100)는 복수의 센서부(110)에 의해 수신되는 반사 신호에 근거하여 보다 정확한 손가락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어기기(200)는 복수의 센서부(110)를 구비한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100)를 입력장치로 할 수 있다. 제어기기(200)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재생, 다음곡 또는 이전곡으로 전환, 음량 조절 등과 같은 제어를 한다.
이때,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100)는 블루투스나 RF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제어기기(200)로 전송한다.
한편, 도 6은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에 손 동작을 검출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을 구비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110a)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100)의 센서부(110)에 함께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110a)는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140)에 의해 시블록이 결정되면, 결정된 시블록 이후까지의 손 동작을 감지한다.
따라서,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140)는 결정된 시블록 이후까지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110a)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피검자의 손 동작을 검출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100)는 손동작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블루투스나 RF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제어기기(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어기기(200)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재생, 다음곡 또는 이전곡으로 전환, 음량 조절 등과 같은 제어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100: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110: 센서부
111: 발신부 115: 수신부
120: 신호 증폭부 130: 신호 제어부
140: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 150: 명령 생성부
160: 통신부 200: 제어기기

Claims (20)

  1. 피검자의 손목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자의 손목 내부로 측정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측정신호가 상기 피검자의 손목 내부에서 힘줄들의 움직임에 따라 반사된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부;
    상기 측정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고, 상기 반사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신호를 조절하는 신호 제어부; 및
    상기 반사 신호로부터 상기 피검자에 대한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을 관장하는 상기 힘줄들을 포함하는 수근관(carpal tunnel)으로 상기 측정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측정신호에 대한 신호 출력 세기, 신호 출력 주파수, 신호 출력 시간, 및 신호 출력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반사 신호를 트리거링(triggering) 하여,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는,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의 파형으로부터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는,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일정 시간의 시블록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시블록 이후까지 입력되는 상기 신호에 대해 버퍼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는,
    기 설정된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가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시 블록의 시작과 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가락 움직임 인식부는, 결정된 상기 시블록 이후까지 상기 가속도 센서 또는 상기 자이로 센서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피검자의 손 동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신호는,
    적외선, 레이저, 초음파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명령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11. 피검자의 손목 내부로 측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측정신호가 상기 피검자의 손목 내부에서 힘줄들의 움직임에 따라 반사된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반사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측정신호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신호를 조절하며 출력하는 동안 상기 반사 신호로부터 상기 피검자에 대한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을 관장하는 상기 힘줄들을 포함하는 수근관(carpal tunnel)으로 상기 측정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신호에 대한 신호 출력 세기, 신호 출력 주파수, 신호 출력 시간, 및 신호 출력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 신호를 트리거링(triggering) 하여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의 파형으로부터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일정 시간의 시블록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시블록 이후까지 입력되는 상기 신호에 대해 버퍼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신호가 감지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시 블록의 시작과 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시블록 이후까지 상기 가속도 센서 또는 상기 자이로 센서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피검자의 손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방법.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측정신호는,
    적외선, 레이저, 초음파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방법.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움직임 검출 방법.
KR1020100028467A 2009-08-27 2010-03-30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22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3155A JP4988016B2 (ja) 2009-08-27 2010-07-20 指の動き検出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12/840,761 US8292833B2 (en) 2009-08-27 2010-07-21 Finger motion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79964 2009-08-27
KR1020090079964 2009-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520A true KR20110022520A (ko) 2011-03-07

Family

ID=43930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467A KR20110022520A (ko) 2009-08-27 2010-03-30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252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3845A (ko) * 2012-07-27 201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123254A (ko) * 2013-02-22 2015-11-03 탈믹 랩스 인크 제스처-기반 제어를 위해 근활성도 센서 신호와 관성 센서 신호를 결합하는 방법 및 기기
KR20160025722A (ko) * 2014-08-28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목 근육들의 움직임들에 상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이를 포함하는 장치들
WO2016099049A1 (ko) * 2014-12-17 2016-06-23 전자부품연구원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입력 방법
WO2017014330A1 (ko) * 2015-07-17 2017-01-26 전자부품연구원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입력 방법
WO2017065482A1 (ko) * 2015-06-12 2017-04-20 스피어다인 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이의 ui 설정 및 실행 방법
KR20180093113A (ko) * 2014-02-10 2018-08-20 애플 인크. 광학 센서를 사용해 검출된 모션 제스처 입력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3845A (ko) * 2012-07-27 201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123254A (ko) * 2013-02-22 2015-11-03 탈믹 랩스 인크 제스처-기반 제어를 위해 근활성도 센서 신호와 관성 센서 신호를 결합하는 방법 및 기기
KR20180093113A (ko) * 2014-02-10 2018-08-20 애플 인크. 광학 센서를 사용해 검출된 모션 제스처 입력
KR20190105664A (ko) * 2014-02-10 2019-09-17 애플 인크. 광학 센서를 사용해 검출된 모션 제스처 입력
US11422635B2 (en) 2014-02-10 2022-08-23 Apple Inc. Optical sensing device
KR20160025722A (ko) * 2014-08-28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목 근육들의 움직임들에 상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이를 포함하는 장치들
WO2016099049A1 (ko) * 2014-12-17 2016-06-23 전자부품연구원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입력 방법
US10488924B2 (en) 2014-12-17 2019-11-26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inputt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WO2017065482A1 (ko) * 2015-06-12 2017-04-20 스피어다인 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이의 ui 설정 및 실행 방법
US10635457B2 (en) 2015-06-12 2020-04-28 Tyrenn Co., Ltd. Input device and UI configuration and execution method thereof
WO2017014330A1 (ko) * 2015-07-17 2017-01-26 전자부품연구원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입력 방법
US10884504B2 (en) 2015-07-17 2021-01-05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Wearable wrist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a physical change in the epidermis and wirelessly inputting sensor information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8016B2 (ja) 指の動き検出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110022520A (ko) 손가락 움직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0793079B1 (ko) 손목착용형 사용자 명령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JP2021072136A (ja) ジェスチャに基づいて制御するための筋活動センサ信号と慣性センサ信号とを結合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995130B1 (ko) 터치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의 터치패턴 인식시스템
US10642404B2 (en) Touch sensitive device with multi-sensor stream synchronized data
US89130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ting at least one touch on a touch-sensitive surface of an object
KR101692004B1 (ko) 웨어러블 바이오 장치
EP3183625B1 (en) Modal body touch using ultrasound
JP6083799B2 (ja) 携帯デバイスの携帯場所判定方法、携帯デバイス、携帯デバイスの携帯場所判定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CN101620465A (zh) 一种指令输入方法及数据处理系统
US20170075425A1 (en) Finger gesture sensing device
KR101579585B1 (ko) 사용자 행동 모니터링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US20150177858A1 (en) Contact type finger mous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942603B2 (en) Managing activity states of an application processor in relation to touch or hover interactions with a touch sensitive device
JP5187380B2 (ja) 情報入力装置および情報入力方法
KR102516354B1 (ko) 검출 시점 간 시간 차 측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10664069B1 (en) Stylus with input adapter
KR20100065074A (ko) 동작인식 기반의 로봇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6852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웨어러블 장치 제어 시스템
CN113467647A (zh) 皮肤与皮肤接触检测
CN105373220B (zh) 使用位置传感器和扩音器信号与装置的用户交互
JP5998811B2 (ja) 情報入力装置、特定周波数抽出方法、特定周波数抽出プログラム
US10488924B2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inputt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US20220342489A1 (en) Machine learning user motion identification using intra-body optical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